You are on page 1of 5

*고대~연맹왕국

구석기 신석기 청동기 철기


-뗀석기, 뼈도구 -간석기(돌보습, 돌화살촉 등) -청동기(비파형 동검, 거친무늬 거울 등) -철기(철제무기와 농기구)
ex) 사냥도구-주먹도끼, 찍개, 찌르개, 팔매돌 / 조리 -토기(이른 민무늬 토기, 덧무늬 토기, 압인문 토기, 빗 -석기(반달 돌칼 등 생활도구와 농기구) -청동기(의식용 도구, 세형 동검, 잔무늬 거울, 거푸집
도구
도구-긁개, 밀개 살무늬 토기 등) -토기(미송리식 토기, 민무늬 토기) 등 독자적 발전)
-토기(민무늬 토기, 덧띠 토기, 검은 간토기)
-열매 채집, 사냥, 물고기 잡이 -농경과 목축 시작(신석기 혁명): 가축 사육, 조·피·수 -밭농사 중심, 벼농사 시작 -농업 생산량의 증가로 인구 증가
수 등 잡곡류 경작(돌괭이, 돌삽, 돌보습, 돌낫)
경제 -원시적 수공업 생산: 가락바퀴와 뼈바늘로 옷과 그물
제작

-계급이 없는 평등사회 -정착 생활, 부족 사회(혈연 바탕 씨족에서 족외혼을 -구릉지나 야산에 거주, 배산임수 -연맹왕국의 등장 (부여, 고구려, 옥저, 동예, 삼한)
사회 통한 부족), 평등 사회 -계급의 분화: 군장 출현, 성 역할 분리, 장인 출현, 사
유재산 제도
-시체 매장, 동굴벽화, 조각품 제작 (사냥의 성공과 풍 -원시 신앙 등장(애니미즘, 토테미즘, 샤머니즘) -울주 대곡리 반구대 바위그림(풍성한 수확 염원), 고
신앙 예술 요 기원) -조개 껍데기 예술품, 뼈나 이빨로 만든 치레걸이 등 령 장기리 바위그림(태양 숭배) 등
문화

-평양 상원 검은모루 동굴, 경기 연천 전곡리, 충남 공 -제주 한경 고산리, 서울 강동 암사동, 강원 양양 오산 -중국 요령성, 길림성 지방과 한반도 전반에 걸쳐 나타 -명도전, 반량전 등 화폐 발견
주 석장리와 단양 수양개에서 고래와 물고기를 새긴 리, 부산 영도 동삼동, 황해 봉산 지탑리(좁쌀 발견, 남 -경남 창원 다호리 유적에서 붓 출토
유적
조각 발견, 충북 청원 두루봉 동굴(홍수아이), 농경)

-고인돌(덮개돌), 돌널무덤 등 -널무덤, 독무덤


무덤
무덤 크기와 껴묻거리로 군장 확인
-막집(기둥자리, 담자리, 불 땐 자리 등이 남아있음) -움집: 땅을 파고 기둥을 세운 후 지붕을 얹은 반지하 -움집: 직사각형 집터의 지상가옥, 온돌과 화덕이 벽으
형 가옥, 중앙에는 취사와 난방을 위한 화덕 로 이동하고 저장 구덩이 변화함. 주춧돌 사용. 이후
주거
창고나 공동작업장 등이 따로 생김(조직 발달)

고조선의 건국(선민사상): 8조법, 왕위세습, 관직 설치


전국시대 후 진·한교체기 때 유이민이 대거 이주하면서 위만이 집권함. 철기 문화를 수용하고 정복사업과 중계 무역 독점
한 무제의 침략으로 왕검성이 함락하고 한군현(낙랑, 진번, 임둥, 현도) 설치

부여 고구려 옥저 동예 삼한
-5부족 연맹 왕국. 5부제 but 왕권미약 -5부족 연맹 왕국 -진이 성장하면서 마한(54개국), 변한(12개
-마가 우가 저가 구가가 사출도 통치 -상가, 고추가(사자, 조의, 선인 등 관리 거 -왕이 없이 군장(읍군 삼로)이 부족을 통치 →중앙집권국가로 발전하지 못함 국), 진한의 연맹체가 등장
정치
느림) 등 대가를 둠 -변방에 위치하고 고구려의 압박으로 성장이 지연 -마한의 목지국 왕이 삼한 사회 주도
-군장(견지,신지)>부례,읍차)이 소국 통치
-농경과 목축 발달 -산악지대에 위치하여 소국을 정복함 -농경이 발달하고 어물, 소금이 풍부 -특산물: 단궁, 과하마, 반어피 등 -철제 농기구를 사용, 벼농사 발달
경제 -특산물: 말, 모피, 주옥 등 -옥저와 동예의 공납 -방직 기술 발달 -변한의 철이 유명하여 낙랑과 왜에 수출
-저수지 축조
사회 -순장, 엄격한 법률, 형사취수제 -서옥제, 형사취수제 -민며느리제, 가족 공동 무덤 -책화, 족외혼 -제정분리 사회(천군이 소도 지배)
제천 행사 -영고(12월) -동맹(10월): 조상신인 주몽, 유화부인에게 -무천(10월) -5월 수릿날, 10월 계절제
-북쪽 선비족에게 침략 후 쇠퇴함 -철기시대 후기 백제가 발달하면서 마한
멸망 -문자왕(494) 때 고구려에 편입 지역을 통합함
-낙동강에 구야국(가야), 동쪽 사로국(신라)
진이 성장하면서 마한(54개국), 변한(12개국), 진한의 연맹체가 등장
일반인들은 소국의 읍락에 살며 농업과 수공업 실시/초가지붕의 반움집과 귀틀집/두레조직을 통해 공동작업/예술품: 토우, 바위그림(다산, 태양숭배)

HelloSsong(http://blog.naver.com/thddleid)
*삼국시대-통일신라
고구려 백제 신라
1c 태조: 옥저·동예 정복, 요동 진출, 계루부 고씨 왕위
독점 세습
2c 고국천왕: 왕위 부자상속, 진대법(을파소), 5부를 방
위적 성격으로 개편
3c 동천왕: 서안평 공격→위 관구검이 침입 고이왕: 율령 반포, 관등제 정리, 관리 복색 제정,
한강 장악, 왕위 상속제
4c 국 미천왕: 낙랑군 축출→대동강 유역 정복 내물왕: 진한 정복, 마립간 사용, 김씨 왕위 계승
내 고국원왕: 전사 근초고왕: 부자상속, 마한 통합, 평양 공격(고국원 권, 고구려와 함게 가야와 왜 격퇴
성 왕에게 승리), 동진과 통교, 규슈 교류,

요서 진출, 칠지도, 고흥 <서기>

소수림왕: 율령 반포, 불교 수용(전진에서 순도가), 침류왕: 불교 수용 및 공인 (동진에서 마라난타가)
태학 설립
5c 광개토대왕: 영락 연호, 한강이북과 요동·만주 장악,
호우명 그릇을 신라에 줌

장수왕: 평양 천도, 남북조 교류, 남진 정책, 한강 비유왕: 나제동맹 눌지왕: 나제동맹


문주왕: 웅진 천도
유역 장악, 중원 고구려비
동성왕: 혼인 정책 소지왕: 결혼동맹, 6촌→6부
웅 지증왕: 신라 국호, 왕 칭호, 주군제, 우산국 복속,
문자왕: 부여 복속, 최대영토 진 동시전 설치
6c 무령왕: 22담로 왕족 파견 법흥왕: 건원 연호, 율령 반포, 골품제 정비, 17관
등, 병부·상대등, 공복제정, 불교 공인(이차
성왕: 사비천도, 남부여, 왜에 불교 전파, 5부 5방 돈 순교), 금관가야 정복
평 관산성에서 전사 진흥왕: 개국 연호, 화랑도 개편, 불교 교단 정비,
양 한강 장악, 대가야 정복, 단양적성비 등 순
수비, 거칠부 <국사>
7c 영양왕: 살수대첨(612)- 수양제 침입, 을지문덕 무왕, 의자왕

보장왕: 안시성 전투(645)- 당 태종 침입, 천리장성 김유신vs계백-황산벌 전투

축조, 연개소문 양만춘 격퇴 나·당의 협공으로 백강·탄현 방어선 붕괴, 무열왕(김춘추): 최초의 진골 출신, 집사부(시중) 설
사비성 함락(660) 치, 중국식 시호 사용, 백제 멸망

부흥운동: 복신, 도침(주류성),


나·당 연합군의 협공으로 평양성 함락(668) 문무왕: 통일신라(676), 식읍과 녹읍 지급, 외사정
흑치상지(임존성)⇾백강전투(왜 지원)
파견, 복신·도침의 저항
부흥운동: 검모잠(한성), 고연무(오골성), *나·당 전쟁: 웅진 도독부, 안동 도호부, 계림 도독
안승(보덕국)⇾신라의 지원 중 부 → 매소성 전투, 기벌포 전투 승리
대 후 통일 달성
신문왕: 김흠돌의 난 진압→귀족 세력 숙청
*발해(698) 9주 5소경, 9서당 10정, 국학 설치, 관료전
지급, 녹읍 폐지, 5묘제, 만파식적 설화 유
고왕 돌궐 연합, 당 견제
행, 6두품 두각
(천통) 고구구려 유민과 말갈족 통합
성덕왕: 정전 지급, 대당국교, 발해 침략 실패
경덕왕: 중시→시중, 관료전 폐지, 녹읍 부활, 태학,
무왕 북만주 일대 장악, 흑수말갈 공격, 장문휴의
석굴암, 불국사
(인안) 당 공격, 발해관
혜공왕: 김지정의 반란, 성덕대왕 신종 완성
선덕왕: 내물왕계, 첨성대, 모전석탑
문왕 요동반도 지배, 당 국교, 주자감, 신라도
원성왕: 독서삼품과
(대흥) 중경→상경→동경 하 헌덕왕: 무열왕계 반란(웅진 도독 김헌창의 난)
대 흥덕왕: 장보고-청해진, 집사부→집사정
성왕
동경→상경 진성여왕: 원종·애노의 난
(중흥)

선왕
말갈 복속, 쑹화~요하 진출 →해동성국!
(건흥)

 거란의 침입으로 멸망 (926)


*문화: 발해석등, 모줄임 천장, 온돌 장치
조세 1/10, 공물, 역, 민정문서 3년마다
*통치: 3성 6부, 정당성(대내상), 5경 15부 62주
동시, 서시, 남시 / 공사무역(대당)
덩저우-법화원, 울산항-서역 내왕, 경주-동시전(시장 감독)
일심사상(십문화쟁론)
원효
아미타신앙으로 불교 대중화
하대: 호족 발생, 풍수지리설, 승탑 유행, 선종(참선·실천) 유행
의상 화엄사상, 부석사, 낙산사

혜초 왕오천축국전 *최치원(문성왕~): 시무책 제시


<계원필경>, <토황소격문>
서명사에서 학설 강의
원측 <제왕연대력>: 중국과 신라 역대 왕조의 계보 수록
규기와 논쟁

HelloSsong(http://blog.naver.com/thddleid)
특징 수취제도 대내 관계 문화
조선경국전, 경제문감 - 민본적 통치 규범 마련 과전법: 경기지방에 한해 수조권 지급, 정도전: 불씨잡변, 조선경국전
태조(이성계) 불교비판(불씨잡변), 한양 도읍, 개국공신 정도전 죽으면 반납, 수신·휼양·공신 세습

6조 직계제, 사간원 독립, 사병제 폐지, 사원과 사원노비 제한 하여가, 혼일강리역대국도지도(세계지도)


태종(이방원) 양전사업 실시, 호패법 시행, 신문고 설치, 친명사대교린

의정부 서사제, 집현전 설치, 경연 활성화, 훈민정음 공법: 전분6등법, 연분9등법 충신, 효자 등의 행적을 수록한 <삼강행실도> 편찬, 칠성산(달력) 간행, 용비어
유교정치 실현(국가 행사 오례 따름, 사대부에게 주자가례 장려) 천가, 월인천강지곡, 신기전, 신찬팔도지리지, 고려사 시작, 향약집성방, 혼
세종 여진 강경책: 압록강 최윤덕 4군, 두만강 김종서 6진을 설치하 천의(정초, 정인지), 농사직설 등
여 사민정책과 토관 제도 실시 박연 악기 개량, 정간보 제작, 종묘제례악 정비
일본 강경/회유: 이종무의 쓰시마섬 토벌/ 계해약조, 3포 개항
세조 6조 직계제, 집현전 폐지, 경연 폐지, 종친 등용 직전법: 현직 관리만 수조권, 계유정난(김종서 제거) → 훈구파 발생
(수양대군) 경국대전 시작 수신·휼량전 몰수→농장 확대 함경도의 난(이정목, 이시애) 진압
의정부 서사제, 홍문관(경연, 서연) 설치, 경국대전 완성 및 반포 건원중보 각 도의 지리, 풍속 등이 수록된 <동국여지승람>, 고조선~고려까지 역사를 정리한
성종
훈구세력의 전횡을 막기 위해 사림 등용 관수관급제 <동국통감>, 음악 이론서 <악학궤범>
무오사화: 김종직의 조의제문(김일손의 사초)
연산군
갑자사화: 폐비윤씨 사건
삼포왜란 →비변사: 군사 임시 기구
*성리학: 명분론(차별 정당화), 주자대전, 소학, 주자가례, 이륜행실도, 동
조광조: 현량과, 소학 보급, 방납의 폐단 지적, 소격서 폐지, 향약 보급(여씨향약) 기묘사화: 조광조의 위훈삭제
중종 계, 가묘, 족보, 동몽선습, 격몽요결 등
*향약: 서원과 함게 사림 세력 기반, 전통적 조직과 미풍양속 계승, 삼강오륜 중심
주세붕: 백운동 서원 *서원: 성리학 연구 기관, 유교 보급, 선현 제사, 향촌 결집 이(理) 강조, 근본적·이상주의적, 동방의 주자, 영남파
이황
영정법: 지주제의 폐단 완화, 토지 1결 형성, <성학십도>, <주자서절요>
인종
당 쌀 4~6두, 부과세 기(氣) 강조, 현실적·개혁적, 수미법, 기로학파 형성,
이이
임꺽정 직전법 폐지, 현물녹봉제와 병작반수제 을사사화: 외척정치(윤원형)/대윤vs소윤 <성학집요>, <동호문답>
명종
을묘왜변- 비변사 상설기구화 →지주전호제 확산
임진왜란(1592): 옥포, 한산도/정유재란: 명량, 노량 → 훈련도감, 속오군 설치, 공명첩 발행 붕당·이조전랑 황신의 일본왕환일기
선조

중립외교(누르하치 후금에 강홍립 투항사건) 대동법(이수광): 공납의 기준을 토지 북인 우세 지봉유설(이수광), 동의보감(허준)

광해군 토지대장, new호적, 성곽과 무기 수리, 통신사 파견, 기유약조 결수로 바꿈(1결 당 12두) → 방납의
(부산과 동래에 왜관) 폐단 방지, 상품 화폐 경제 발전 *실학

서인 집권, 남인 공존 유형원(반계수록, 균전론)


정묘호란(1627) vs금 병자호란(1636) vs청
농업 이익(성호사설, 한전론)
배경 서인의 친명배금, 이괄의 난 주전론과 주화론의 대랍, 군신관계 거절
정약용(목민심서, 경세유표, 정전제)
관군과 의병 활약 인조가 남한산성으로 피신하여 항전→주화파 회
인조 전개 유수원(우서)
정봉수(용골산성), 이립(의주)의 활약 의→삼전도의 굴욕
상공업 홍대용(의산문답)
청과 군신관계 체결, 인질(소현세자)과 공물 요구
결과 정묘약조, 후금과 명 사이 중립 약속 (북학파) 박지원(열하일기, 수레, 선박, 화폐유통, 양반전, 호질)
명과 국교 단절, 삼전도비, 김상헌과 3학사 볼모
박제가(북학의, 소비 촉진)
양난 이후 5위→5군영(훈련도감, 어영청, 총융청, 수어청, 금위영), 비변사 기능확대 예송(서인vs남인)
..
. 제승방략 체제에서 진관 체제로 변화, 속오군 편성
금위영 설치 탕편론, 환국 발생
숙종
백두산 정계비, 간도 관리사 이범균 파견, 안용복(울릉도, 독도)
탕평책 실시, 탕평비, 신문고, 형벌 완화 균역법: 대립(군포징수)의 폐단 방지, 속대전, 속오예의
영조 1년 1필, 결작·선무군관포·어장세·어염 우리나라 역대 문물을 정리한 <동국문헌비고>
세·선박세
규장각, 장용영(친위부대), 초계문신제, 금난전권 폐지, 통공정책 대전통편, 탁지지
정조
체제공: 금난전권의 혁파 건의 →개성상인, 경강상인 증가 창덕궁 후원의 주합루, 수원화성(정약용 거중기)

HelloSsong(http://blog.naver.com/thddleid)
1866 1868 1871 1875 1876 1880 1881 1882 1883 1884 1885

오페르트 도굴사건 §김홍집(수신사) §조사시찰단 英 거문도 불법 점령


병인박해 신미양요 운요호사건 강화도조약 임오군란 조·미 수호 통상 조약 갑신정변
:조선책략 =신사유람단
↓ 제너럴셔먼호 -----------→ 日의 강화도 침략 거중조정 김옥균 차관 도입 실패
美 강화도 침략 =조·일 수호 조규 §영선사(淸) 별기군과 2영 차별
최외법권 日 공사관 지원 약속
초지진, 덕진진 함락 최초의 근대적 조약 통리기무아문, -기기창 설치(1883)
병인양요 최혜국 대우
어재연(광성보) 청의 종주권 부인 민경호 습격 → 공사관 우정국 축하연 혜상공국 폐지
12사 설치 -근대 무기 제조
프랑스의 강화도 침략 ↓ 부산·원산·제물포 개항 공격 → 일본 교관 살 조·일 통상 장정 개화당 정부 수립
-군사 훈련법 배움 규장각 폐지
외규장각 약탈 척화비 건립 해안측량권 해 → 창덕궁 진입 → 방곡령 규정 14개조 혁명 정강
§별기군 창설 입헌군주제
한성근(문수산성), 양헌수(정족산성) 치외법권 흥선군 재집권 → 청 최혜국 대우 ⇓ 지조법 개혁
개입 → 대원군 압송 한성조약 재정 일원화(호조)
§김기수(수신사)
→ 민씨 재집권 §보빙사(美) 신문제 폐지
톈진조약
§기정진, 이항로(화서집) 등 통상반대 §최익현 개항반대 상소 §이만손, 홍재학 개화반대 ⇓ : 민영익, 홍영식
(왜양일치론) (영남만인소)
제물포 조약 §유길준, 부들러의 중립화론
기기창, 전환국, 박문국
동학: 최시형의 교세 확장(동경대전, 용담유사, 포접제) 청 내정간섭(고문)+ 일본에 배상금
교조 신원 운동: 공주 삼례 집회, 보은 집회 (척왜양창의) 조일무역규칙(1876): 3無
일본군 서울 주둔 §한성순보: 최초신문,
조일수호조규부록(1876) 광혜원, 육영공원
고부농민봉기: 조병갑의 만석보 수세 징수 박영효 태극기 박문국에서 출간 §한성주보(1886)
: 간행이정 10리, 개항장 내 일본 화폐 사용
동학농민운동 안핵사 이용태의 회포→1차 봉기: 제폭구민, 보국안민→ 조·청 상민 수륙 무역 장정 상업광고
황토현 전투, 황룡촌 전투 승리→전주성 점령→청·일주둔→전주화약→폐정 개혁 원산학사(무술) §방곡령(1889-1890)
조일수호조규속약(1882) 청이 종주국임을 명시
12개조 요구→집강소 설치→日경복궁 침략→2차 봉기→공주 우금치 패배 동문학(외국어)
: 간행이정 50리, 외교관 free, 거류지 설정 거류지 무역 붕괴, 내륙 무역 시작

1894 1895 1896 1897 1898 1899 1904 1905 1906 1907 1909 1910

삼국간섭, 친러내각 대한제국(광무) 헤이그특사 파견


1차 갑오개혁 아관파천 한일의정서 을사조약 한일병합
고종 강제 퇴위
광무개혁
군국기무처 중심 군사적 요충지 외교권 박탈,
을미사변 정미 7조약= 한일신협약 기유각서
흥선대원군 섭정 구본신참, 대한국국제 반포, 원수부 통감정치
1차 협약
김홍집 내각 ↓ 교정소, 양전사업:지계, 간도 관리사(이범윤), 울릉도 승격 ⇓ 차관정치 사법권, 경찰권
개국 기원 사용, 과거 우편, 전화, 전차,철도부설 고문정치 시일야방성대곡 군대 해산 박탈
4차 김홍집 내각
제 폐지, 8아문 설치, 상공업 진흥 정책, 무관학교 (재정-메가다, 민영환, 조병세 자결 ⇓
(친일)
재정일원화(탁지아문), 외교-스티븐스) 5적 암살단 정미의병
을미개혁 독립협회
도량형 통일, 은본위 러시아 절영도 조차 요구 반대(구국선언상소문) 시일야방성대곡 이인영, 허위 호남의병
화폐제, 조세 금납제, 태양력 사용, 소학 만민공동회(저지 성공)
을사의병 13도 창의군, 서울
교 설립, 독자적 연 §만세보: 천도교 남한대토벌작전
신분제 폐지, 조혼 금 법률과 재판에 의한 신체자유·재산권 보호 진공 작전, 국제법
화폐정리사업 민종식, 최익현 §경향신문: 천주교
지, 과부 재가 허용, 호(건양), 단발령, 관민공동회→헌의 6조→중추원관제(의회 설립) 상 교전 단체로 인
친위대/진위대 신돌석(평민) 간도협약
고문과 연좌제 폐지 황국협회에 의해 해산 정할 것 요구, 해산
⇓ 독립문, 독립관 명동성당 광제원 보안회 서전서숙(이상설) 된 군인이 참여 석조전
2차 갑오개혁
§독립신문(서재필), 최초 민간 신문, 국문판, 영문판, 한글, 띄어쓰기
을미의병 황무지 개간권 X 헌정 연구회 대한자강회 대한협회
김홍집·박영효 연립 ----→ --------→ 해산(105
日 내정간섭 본격화 유인석, 자진해산, 시전상인: 황국중앙총상회 입헌 군주제 추구, 실력 양성 운동, 강연회, 월보 §대한민보 인 사건)
군국기무처 폐지 활빈당 조직 일진회 규탄 고종 강제 퇴위 반대, 보안법으로 해산 (오세창) ↑
교윢입국조서 §매일신문: 최초민간, 순한글
신민회 비밀결사단체로 공화정 추구
홍범 14조
대성, 오산 학교, 자기회사, 태극서관
경학사, 신흥 무관학교, 삼원보
국문연구소(지석영), 국어학연구소
§황성신문: 남궁억, 국한문 혼용, 장지연 자강회 취지문
HelloSsong(http://blog.naver.com/thddleid)
§제국신문: 이종일, 순한글, 여성층에게 인기
§대한매일신보: 베델, 양기탁 국채보상운동, 신채호<독사신론>
1912 1913 1914 1915 1918 1919 1920 1921 1923 1926

대한부인회(하와이), 대한 광복군 정부 신한청년단 대한국민의회 조선청년총동맹

흥사단(안창호-미국) (이상설-연해주) (김규식-상하이) 봉오동 전투


3.1 운동
: 홍범도(대한 독립군) 김상옥이 종로 경 나석주가 동양척식
독립의군부 대한광복회 박상진, 채기중, 김좌진 의열단 만주, 김원봉 청산리 전투+어랑촌 전투 찰서에 폭탄 주식회사에 폭탄
임병찬이 고종의 밀지를 받아 조직, 의병+유생 공화주의, 독립운동기지(만주) 건설을 무정부주의 -신채호<조선 혁명 선언> : 김좌진(북로군정서군)+홍범도
복벽주의, 국권반환 요구서, 의병전쟁 계획 위한 군자금 모집 간도참변 (30년대까지)
밀산집결------------→자유시참변
임시정부
연해주 대한국민의회 참의부 신민부 정의부
+
서울 한성정부 양태도 소작쟁의
HelloSsong(http://blog.naver.com/thddleid) + 6.10 만세운동
상하이 임시정부
민족주의, 천도교의 도움
상하이(~1932) 시기: →이승만 “국제 연맹 위임 통치 청원” 순종 인산일 학생 중심
연통제, 교통국, 애국공채, 독립신문, 사료편찬소 →국민대표회의(1923)

무단통치 헌병 경찰 통치: 즉결 처분권, 태형 부활 문화통치 민족 분열 통치 (1925)

일진회 해산, 중추원 설치, 언론·출판·집회·결사의 자유 박탈 보통 경찰제 but 수 증가, 자유 부분 허용, 교육 기회 일부 확대, 치안유지법

토지 조사 사업: 기한부 신고제, 총독부의 토지 약탈, 회사령(허가제), 심림령, 어업령, 광업령, 철도 정비 등 산미 증식 계획: 개간, 간척, 수리 시설 개선, 종자 개량 등 but 증산량<수탈량
조선물산장려회 ---------------→ 물산장려운동
국문연구소(1907) → (평양, 조만식) → 조선어 연구회 민립대학설립운동 가갸날
(잡지 한글) 조선형평사(진주)

1927 1928 1929 1930 1931 1932 1935 1937 1940 1942 1944

한인애국단 조선 건국 동맹(여운
신간회 일제 강점기 최대 합법적인 반일 단체
임시정부 활성화를 위해 김구가 결성 형): 조선 건국 준비
정우회 선언(민족주의+사회주의): 이광수<민족개조론>+치안 유지법, 6.10만세운동 사전 발각 영향
이봉창 일왕에 폭탄 (실패) 위원회로 재편(1945)
지회 설립, 민중운동 주도, 전국 순회 강연, 광주 학생 항일 운동 지원(진상 조사단, 민중대회)
윤봉길 홍커우 공원에 폭탄 후 조선 인민 공화국
건설
광주학생항일운동
북: 혁신의회
일제의 차별 교육, 억압 등
참+정+신 → 한국독립당(1929)  +의열단
독서회, 신간회의 활동 영향
한국독립군(지청천) + 中호로군 - 쌍성보, 대전자령 전투 민족혁명당(김원봉): 민족유일당 운동
만주와 일본까지 확산
남: 국민부 → 조선 민족 혁명당+조선 의용대 → 조선독립동맹(김두봉)
3.1운동 이후 최대의
→ 조선혁명당(1930) (조선민족전선연맹) 조선의용군+팔로군 - 호가장 전투
민족운동
조선혁명군(양세봉) + 中의용군 - 영릉가, 흥경성 전투 김원봉, 조선의용대 일부는 김구와 합류(1942)
한국국민당(김구) → 한국 독립운동 단체 연합회 ⇓
대통령 중심제(1919~1925) → →한국 독립당(1940): 임시정부의 여당
내각 중심 국무령제(1925~1927) → 국무위원 중심의 집단 지도 체제(1927~1940) → 주석중심체제(1940~1944) 건국강령 발표(1941)-조소앙의 삼균주의

민족 말살 통치 내선일체, 일선 동조론, 황국 신민화


(문화통치 계속) 창씨 개명, 궁성요배, 신사참배, 정오묵도, 황국신민서사 암송, 조선어 금지, 일본어 사용 강요

산미 증식 계획 계속 (~1934) 병참기지화, 남면북양제, 국가 총 동원령(1938): 공출, 식량배급제, 징용

원산 노동자 총파업
→ 조선어학회: 한글 맞춤법 통일안, 우리말 큰사전 편찬 계획, 표준어 제정, 조선어학회 사건으로 해산(1942)
조선일보 문자보급 운동(1929) 동아일보 브나로드 운동(1931~1934): 문맹퇴치, 생활 개선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