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1

모음조화

이어적기

동국정운식 한자음 표기

말산미 )
훈민정음의 창제 정신 [ ) 이 :
자음 + 이 ( 백경이 ,

내배서
주격조사 … 모응 + " "

E이
[
( 새 )
모음 " 또는 반모음 i +

자주 :

정신 유정명사의

숙 ! 존칭유정명사의
무전명사
(
,

* 관형격 조사
평칭
이 아 >
달아증비교부사격 활용 )
나라 + 시
말썸 + 다리 +
0 형

주격 조사 0
녀현협 ~
과 )
관형격 조사
말삼 > 말씀 현ㆍ다르 + 아 > 달라 ( 2 고형 활용 )
O
중 말 -

→)
현 말씀
/
의미축소

부사격조사요
공동
] A 동국 정운식 한자음 표기


한자음을 중국 원음에 가깝게 표기
받침이 없는 글자에 형식 종성을 사용
.

싸에
.

형식종성 = 현협력 ~ 와 더불어 ~ 와 함께 ) 소몰 다 아치 +

황구개음화
,

, 이유를 나타내는

적용 X 종속적 연결어미
8 종성가족용 ( 8종성법 )
~협객 ~ 기에 ,
므로 )
가리상

mmmm

현대국어 사용 X ⑦ 어리다 ⑦ 니르다 >


주력 조사 이르다고 바 + 1 잇 + 어도

중인어리석다 형 D 나이가 적다
주격 조사
두음법칙 적용 ⑦ 잇다 있다

X
! 기
의미 이동 후 + - 오

← ㅭ

관형사형 전성어미

6뜯 +
을 펴 + 다 몬+ ㅭ 놈 + 이
주격 조사
합용병서 ,

목적격 조사 고 관형사형
O
중 사랑 .

→ 현남자 ( 비속에
구개음화 적용 전성어미 1
어두자음군 X

의미축소 은 양성모으끼리
양성모음 )
* 모음조화 :

[ ]
애민 응성모의 ( -1 - . T )은 의성모음끼리
0
결합
정신
* 후다동하다
목적격 조사
합식종성 ⑦ 어엿브다 너기 + 어
( 많다
나고 하다 형크다 .

주격 조사 .
불쌍하다 →
시기다여기다 현예쁘다
>
의미 이동 두음법칙 적용 X

* 말쑤마어
이어적기 ( 연철 )

] [
창조원신 [
끊어적기 ( 분철) 말심
-

말삼미거듭적기
( 중철 )

훤순모음화 옳식종성
0

- 적용 목적격조사
명골 + 오 ← 니 바표기
)(
이어쓰기 ( 연세
각자병서 7 띠 빠
을 물

,

[ 합용병서
>
,

현재
나란히쓰기 병서 ) ,
시제
( -

선어말어미 시계 서 휩

l ]
,

그락
비계 , 바 ③
J
-

0

[
배계 바.

실용정신
( 이응 ) : 응가 X 소리

[
X
어두 자음군 <
② 표기
( 옛이응 ) :
* 응가의

( 여린하을 된이응 ) - 한자어 : 동국정운식


:
입성
한자응표기인
,
고 닉 + 이어
,

우리말 입성 -

( 닫힌 발음 )
각자병선 면서 ( 이어쓰기 )
닉다 > 익다 ( 뒤에 말 된소리 발음
E
'
투음법칙 적용 X

6

스 +
움 + 에
도림아니라
]
합용병서 ,
명사형
어두자음군 전성어미
- 옴움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