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7

1강 화학양론

1. 원소의 표시
질량수 이온상태

원자번호
X 결합된 원자수

예제 1-1

다음 원자 또는 이온의 양성자수, 중성자수, 전자수를 구하시오

양성자수 중성자수 전자수


 
 O

 
 Na

2. 화학식

1. 이온식
이온을 구성하는 원자의 종류와 수를 원소 기호를 써서 표시하고 이온의 전하도 함께 나타낸 식
  
예) Na , C l , CO  …

2. 분자식
분자를 구성하는 원자의 종류와 수를 원소 기호로 나타낸 식
예) O  , HC l, HSO  …

3. 실험식
물질을 이루는 원자나 이온의 종류와 수를 가장 간단한 정수비로 나타낸 식,
⑴ 분자식을 가장 간단한 정수비로 표현하는 식

물질 아세틸렌 벤젠
분자식 C H  C H 
분자식 = 실험식 × n(정수)
실험식 CH CH

⑵ ‘분자’로 존재하지 않는 물질을 표현하는 식


① 금속결합 물질
예) 구리 - Cu , 철 - Fe, 마그네슘 - Mg 등
② 이온결합 물질
예) 염화나트륨 - NaCl, 산화마그네슘 - MgO 등
③ 공유결정(원자결정)
예) 다이아몬드 - C , 흑연 - C 등

화학올림피아드 대비 LEVEL1
- 1 -
1강 화학양론

4. 구조식
분자를 구성하고 있는 원자들의 결합 모양이나 배열 상태를 결합 선을 이용하여 나타낸 식

5. 시성식
분자 속에 화학적 성질을 지배하는 기능 원자단이 있을 때 이것을 표시하여 나타낸 식
예) 히드록시기( O H ) : 메틸 알코올 (CH  O H ), 에틸 알코올(C  H  O H )
카르복시기(  CO O H ) : 폼산(HCO O H ), 아세트산(CH  CO O H )

3. 화학의 기본법칙

1. 원자에 관한 법칙
⑴ 질량 보존의 법칙

화학 변화가 일어날 때 전 각 물질의 질량의 합은 반응 후 생성된 각 물질의 질


량의 합과 같다.

⑵ 일정 성분비의 법칙

두 물질이 결합하여 한 화합물을 생성할 때 반응하는 두 물질의 질량 사이에는


항상 일정한 비가 성립한다.

⑶ 돌턴의 원자설
화학 반응이 일어날 때 성립되는 질량 보존의 법칙, 일정 성분비의 법칙 등을 설명하기 위하여
돌턴이 만든 가설로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ㄱ. 모든 물질은 더 이상 쪼갤 수 없는 원자로 구성되어 있다.

ㄴ. 같은 원소의 원자들은 크기, 모양, 질량 등이 같다.

ㄷ. 화학 변화가 일어나도 원자들은 새로 생기거나 소멸되지 않는다.

ㄹ. 화합물은 서로 다른 원자가 정수 비로 결합하여 만들어진다.

화학올림피아드 대비 LEVEL1
- 2 -
1강 화학양론

⑷ 배수 비례의 법칙

A, B 두 원소가 결합하여 두 가지 이상의 화합물을 만들 때 A 원소의 일정량과


결합하는 B 원소의 질량 사이에는 간단한 정수비가 성립한다.

2. 분자에 관한 법칙
⑴ 기체 반응의 법칙

화학 반응에 관여하는 기체들의 부피 사이에는 간단한 정수비가 성립한다.

⑵ 분자설
① 기체 반응의 법칙을 설명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가설을 제안하였다.

∙ 물질은 분자라는 작은 알갱이로 구성되어 있다.


∙ 같은 물질의 분자는 크기, 모양, 질량이 같다.
∙ 분자는 다시 몇 개의 원자로 쪼개질 수 있다. 이 때 물질의 성질을 잃는다.
∙ 모든 기체는 온도, 압력이 같으면 같은 부피 안에 같은 수의 분자가 존재한다.

② 아보가드로의 법칙
아보가드로의 분자설 중에서 네 번째 항목은 실험적으로 확인되었기 때문에 아보가드로의 법칙

0℃, 1기압 상태에서 모든 기체는 22.4L 속에  × 개의 분자가 들어 있다.

예제 1-2

다음 반응식으로 설명되는 법칙을 맞게 고른 것은?


H g  O  g ⇄ HO g

< 보 기 >
ㄱ. 질량 보존의 법칙 ㄴ. 일정성분비의 법칙
ㄷ. 배수 비례의 법칙 ㄹ. 기체 반응의 법칙

① ㄱ, ㄴ ② ㄴ, ㄷ, ㄹ ③ ㄱ, ㄴ, ㄹ ④ ㄱ, ㄴ, ㄷ, ㄹ

화학올림피아드 대비 LEVEL1
- 3 -
1강 화학양론

4. 화학식량(=몰질량)

1. 원자량
⑴ 필요성
원자 1개의 질량을 그대로 사용하는 것은 대단히 불편한 일이므로 탄소 C  의 질량을 기준으
로 하여 각 원자들의 상대적인 질량으로써 나타내게 되었다.

⑵ 기준

현재는 질량수가 12인 탄소 원자 C 의 질량을 12.00이라 정하고, 이것을 기준으로
하여 비교한 다른 원자의 상대적 질량값을 원자량이라고 한다.
⑶ 평균 원자량
자연계에 존재하는 원소들 중에는 동위원소를 포함하는 것들이 있으므로 일반적으로 원자량으
로 사용하는 값은 각각의 동위원소의 존재 비를 고려하여 정한다.

예제 1-3
 
자연계에서 염소는 Cl가 75%, Cl가 25%의 비율로 혼합되어 있다. 염소의 평균원자량은?

2. 분자량
분자는 원자들이 모여 이루어진 것이므로 분자를 구성하고 있는 원자들의 원자량 합
예) 물의 분자량 = 수소의 원자량 1×2개 + 산소의 원자량 16 = 18

3. 실험식량
실험식으로 나타내는 물질들은 실험식을 구성하고 있는 원자들의 원자량 합
예) 이온 결정 : NaCl(23+35.5=58.5), KNO  (101)
공유 결정(원자 결정) : SiO  (28+16×2=60), C(12)
금속 결정 : Na(23), Cu (63.5)

5. 이온량
이온식으로 나타내는 물질들은 이온식을 구성하고 있는 원자들의 원자량 합
전자의 질량이 매우 작아서 무시할 수 있기 때문이다.
예) Na  의 이온량 = Na의 원자량 = 23.0

화학올림피아드 대비 LEVEL1
- 4 -
1강 화학양론

5. 몰
1. 몰의 개념

현재에는 질량수가 12인 탄소 원자(  C ) 12g 속에 들어 있는 입자 수를 1몰로 정의


하고 있으며, 그 값은   ×   이다. 그리고 이 값을 아보가드로수라고 하며,
보통   ×  이다.

2. 몰 수

⑴ 몰과 개수
모든 입자 1몰 속에는 그 입자가 아보가드로수( ×   )만큼 존재

입자수 = 몰수 ×   ×  

⑵ 몰과 질량
원자량이나 분자량에 그램을 붙인 값 = 원자나 분자 1몰의 질량

질량 = 몰 수 × 화학식량 g

⑶ 몰과 기체의 부피
모든 기체 1몰의 부피는 기체의 종류에 관계없이 표준상태에서 22.4L를 차지한다.

기체의 부피 = 몰수 × 22.4L (0℃, 1기압)

예제 1-4

다음 물음에 답하시오.
⑴ 산소 분자 5몰 속의 산소 원자수를 구하시오.

⑵ N 원자   ×   개가 있을 때 질소의 질량을 구하시오.

⑶ 표준상태에서 수증기 분자 10몰의 부피를 구하시오.

화학올림피아드 대비 LEVEL1
- 5 -
1강 화학양론

6. 화학식 결정

1. 질량 백분율
여러 가지 원소가 결합되어 이루어지는 화합물에서 어떤 원소가 차지하는 질량 비율

2. 실험식의 결정
질량 백분율이나 질량비를 원자량으로 나누어서 원자 수의 비를 구한다.

3. 분자식의 결정
화합물의 분자량을 구한 후 분자량과 실험식량과의 관계에서 다음 식의 정수n을 구한다.

분자량 = 실험식량 × n
분자식 = 실험식 × n

예제 1-5

C, H, O로 된 화합물 90mg을 연소시켜 CO  132mg과 H  O 54mg을 얻었다. 이 화


합물의 실험식과 분자식을 구하시오. (단, 이 화합물의 분자량은 60이다)

C질량(mg) O질량(mg) 실험식 분자식


① 16 32 CH  O C H O 
② 48 24 CH  O C H O 
③ 36 32 CH  O C H O 
④ 36 48 CH  O C H O 

화학올림피아드 대비 LEVEL1
- 6 -
1강 화학양론

7. 화학반응식의 의미

1. 화학반응식에서 굳이 계수를 맞춰주는 이유


⇒ 이것은 계수를 알면 여러 가지 양적 계산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2. 화학반응식의 의미

⑴ 화학반응식에는 화학의 기본법칙이 적용된다.


⑵ 화학반응식을 통해 양적 계산을 할 수 있다.

화학반응식의 계수 비 = 입자의 개수 비 = 몰수 비 = 부피 비(기체일 경우)

3. 수득률

실제 생산량
수득률 = × 100
이론적 생산량

예제 1-6

CHNH 는 산소와 반응하여 이산화탄소, 질소, 물을 생성한다. CHNH 1몰과 완전히


반응 하는데 필요한 산소의 몰수는?

① 2.25 ② 2.50 ③ 3.00 ④ 4

화학올림피아드 대비 LEVEL1
- 7 -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