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1

최근 석유화학공장 위험요소와

중점안전관리방안
(한국가스안전공사 석유화학진단처 SMS검사지원부 차석정 과장, sjcha@kgs.or.kr)

Line Auto Blind 사용의 위험성 동파사고 예방관리의 중요성


- 문제점 - 문제점
규칙적으로 발생하는 격리작업의 시간절약 및 편의성을 위해 기후변화로 인한 이상한파 발생으로 동파사고 및 대형사고
밸브 핸들을 돌려 배관을 개폐하는 Line Auto Blind를 설치해 발생의 위험성 증가
운영중이나 작업절차 미준수로 인한 사고 위험이 있음 (영하 3~4℃ 이하의 기온에서 주로 발생, 동결 및 부피팽창이
사고의 주요 요인 → 공장 가동중지까지 영향)
- 사고사례 ※ 2000년 VS 2023 1월 대기최저온도
사례 1. NCC Furnace 원료 배관 Auto Blind Flange 납사 누출 · 화재
(’22년, 충남 서산시 대산, 1명 부상)

사례 2. Blind Turning 작업절차 미준수로 VCE 발생


(’09년, 인도 Jaipur Terminal, 11명 부상, 11일 화재 지속)

- 사고사례

사례1. Sight Glass 내수분동결로유리파열 사례2 . 잔여수분동파로체크밸브본넷파손


- 중점 안전관리방안
1) 기존 Blind를 Auto Type으로 변경 시 반드시 MOC를 통해
공정 위험성을 고려하여 설계
- 내용물 제거를 위한 적절한 퍼지 시스템
- 계 내 잔압 여부를 확인하는 계기 구성 등

2) 현장 작업환경을 고려한 작업위험성평가(JSA) 실시 및


Auto Blind 안전작업절차서 작성 사례3. 벤젠(어는점5℃) 이송배관동결및파손 사례4.LT 배관동결로센서오지시및 S/D

- Blind 작업은 작업허가서(화재, 특별 등) 발급 및 승인 후 실시


- 중점 안전관리방안
3) 작업은 “반드시 2인 이상 실시”, “Shift내에 완료 원칙”, 1) Winterization 관리지침 및 점검 기준 마련
“담당자 변경 시 인수인계 철저” 2) Interlock 계기, 운휴설비, Dead-Leg 구간 등 동파사고
4) 인적오류를 예방할 수 있는 대책을 끊임없이 검토하고 위험부 파악 및 점검계획 수립
개선하는 활동을 생활화 3) 동절기 대비 주기적 예방점검 및 설비 유지보수 핵심 포인트
Point 1. 수분 등 동결의 우려가 있는 공정배관의 Low Point 드레인
- Blind 식별관리(도면, Blind list 활용) 및 LOTO 등 현장 안전조치
Point 2. Tracing Service, Utility Station, Steam Trap 상태 점검
- 비숙련 운전원 및 작업자 대상 작업안전교육 철저
Point 3. 보온 누락 또는 보온재 파손부위 확인 및 보수
- 인적오류 차단을 위해 공정 및 작업환경 개선 Point 4. 장기 미사용 설비 격리차단 적정여부 점검
①사고예방기능Auto Blind 설치, ② 계기(PT/PG) 이중화, ③ 작업위치조명확보등 Point 5. Hydrant 및 Foam 소화전, Cooling Water 배관, 세안세척설비 등
Boxy Blind Line Blind(Swing Type) 드레인 일부 개방

Back to the Basic


Keep the basic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