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18

현대사회 와


6월 23일(오리엔테이션) 변용완 교수
‘현대사회와 법’ ?

‘현대’사회
와 법(灋)
2
‘현대’ 사회 와 법’ ? ‘현대’는 언제 부터?

시대 : 중세 / 근대 / 현대
1789 1919

법적 관점에서의 시대 구분?

3
바이마르 헌법(Weimarer Verfassung) / 대한민국 헌법

Die Verfassung des Deutschen Reichs, 11. August 1919

Artikel 1. - Das Deutsche Reich ist eine Republik.


- Die Staatsgewalt geht vom Volke aus
- 독일국은 공화국이다.
- 국가권력은 국민으로부터 나온다.

대한민국 헌법
제1조 ① 대한민국은 민주공화국이다.
② 대한민국의 주권은 국민에게 있고, 모든 권력은 국
민으로부터 나온다.

4
‘현대사회와 법’ ?

5
‘해치’ : 시비와 선악을 판단하여 안다고 하는 상상의 동물

6
“현대” 의 의미

현대사회(디지털 혁명 및 팬데믹 시대의 사회)

농업 산업 1차정보 2차정보
혁명 혁명 혁명 혁명

농업기술 산업기술 정보기술 인공지능 기술

기술 기계공업, 철도 컴퓨터와 인터넷 Netwrok(Cloud),


농경기술 진보
발전 증기선 등장 확산 Big data, AI

공장제, 대공업 수송, 미디어, 언택트, 온택트 사회


노동력, 생산량 증가 시간절감
사회 온라인 서비스 혁신 인간 - 기계의 공존
변화 신분적 계급사회 자유 평등사회 사회적 부조 인간 - 기계 갈등
지배자에의한 통치 인간 스스로의 판단 사회적 협력 인간 - 인간 새로운 갈등

7
현대사회(디지털 혁명(인공지능) 및 팬데믹 시대의 사회변화에 따른 갈등)

“의사”의
진단 및 수술
“인공지능”의
진단 및 수술 ?

“인간”의 창작물
- 보호
“인공지능”의 창작물
- 보호 ?
인공지능 “넥스트 렘브란트”

8
현대사회(디지털 혁명 및 팬데믹 시대의 사회변화에 따른 갈등)

“인간”에 의한
명예훼손
“인공지능”에 의한
명예훼손 ?

9
현대사회(디지털 혁명 및 팬데믹 시대의 사회변화에 따른 갈등)

개인정보 보호
(사생활비밀보호)
개인정보 이용
(수집/활용) ?

인공지능
“인간 자율성”
– 행위
– 결과(책임) “인공지능 자율성”
– 행위
– 결과(책임) ?
인 간

10
(생각해보기 ? (윤리적 법적 사회적 딜레마 )

관련 사례(자율주행자동차는 어떻게 해야 할까요?)

11
“정의(正義)”에 대한 생각

(사례1) 배고픈 5명의 학생이 친구의 자취방에 찾아갔는데, 한 조각의 피자가


남아있는 상자를 발견했습니다......

(사례2) “1884년 여름, 영국 선원 네 명이 작은 구명보트에 의지해 표류하고


있었다. 순무 통조림 2개와 잡은 거북이로 8일을 버텼고, 선원들은 아무것도 먹지
못한 채 11일을 버티다가 19일째 되는 날 선장 더들리는 제비뽑기를 하여
희생자를 정하자고 하였으나 반대로 무산되었다.

다음날 더들리가 17살의 고아로 나약하고 병에 걸린 파커를 죽여, 모두 목숨을


연명하게 되었다. 24일째 되는 날 그들은 구조가 되었고, 그 후 더들리는 재판을
받게 되었다. 더들리측은 한 사람을 죽여 세 사람을 살릴 수밖에 없는 어쩔 수 없는
상황이라고 주장했다. 죽어가고 있고 부양가족도 없는 파커를 죽이는 것이 그래도
희생을 줄일 수 있는 방안이었다고......”

12
“정의(正義)”에 대한 생각

<당시 사건이 실린 런던신문(1884.9.20)>


13
“정의(正義)”에 대한 생각

(사례3) 오른쪽 다리에 장애를 가진 신체장애인과 비 신체장애인이 100미터


달리기를 하기 위하여 출발선에 서있습니다. 출발신호가 울리고 결과는 100미터
18초에 들어온 비 신체장애인이 이겼습니다. 그래서 승자의 기쁨을 누리면서 많은
사람들 앞에서 자랑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많은 사람들은 비 신체장애인에게
손가락질을 합니다. 저런 이상한 녀석이 있냐고 이 결과에 모든 사람 불공정하다고
말합니다.

14
“정의(正義)”에 대한 생각

15
“정의(正義)”에 대한 생각

그럼 공정과 불공정 그 기준이 무엇입니까?

현대사회와 법을 배우는데 있어서 “법”은 “정의(justice)라고 하는데, 과연 정의란 무엇인가?

이번 한 학기 동안 현대사회에서 다양하게 발생하는 사회적 이슈 속에서 어떻게 ‘정의’가


작동되고 적용되는가?
16
‘현대사회와 법’ 수업 방식과 관련하여.

17
‘현대사회와 법’ 수업 개요(강의계획서 내용)

“학습평가”
출결 / 시험

“강의 계획”

18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