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46

인간을 뛰어 넘으려는 기계 장치
▶ 고경민
▶ 엄기창

▶ 이승후
목차

설명

질문
목차
5 개의 목차

목차
설명
로봇 이해를 위한 설명

설명
질문
마지막으로 질문과 답변

질문
목차
로봇이란 ?

1 로봇의 개념
.
ROBOTA
최초의 로봇

2 로봇의 역사 로봇의 전반적인 역사


.
한국의 로봇
하드웨어

3 로봇의 구성요소
.
소프트웨어
서비스용 로봇

4 로봇의 제조업용 로봇
종류 , 분류 , 장단점
.
로봇의 장단점
급속도로 발전하는 로봇 기술

인구구조의 변화

5 로봇의 전망
. 로봇 관련 핵심기술 확보

로봇 산업 육성정책 추진
로봇이 란 ?
ROBOT A
ROBOT
로봇의
역사
1927
1920 1954
~1928

1961 1969 1974


1920 년

1920 년 카렐 차페크의 희곡인


『로섬의 만능 로봇』에서는
인간의 명령에 따라
강제 노동을 하는 기계 인간이
등장하고 이때부터
로봇이라는 말을 처음 사용함
1927

전기기사였던 웬슬리가
철판을 잘라 붙여 만든
최초의 로봇 텔레복스
이 로봇은 전화를 통해
원격 조종과 음성인식이 가능했다
1928

윌리엄 리차드와 앙랜 레펠의


공동작품인 에릭
텔레복스보다 사람적인 모습이다
당시 에릭의 기능은 좌우로 움직이며
사람들에게 손을 흔들거나
음성으로 인사를 건넬 수 있었다고 한다
1954

미국의 발명가인 조지 데볼은


컴퓨터로 작업의 순서와 방법을
로봇에게 지시하는 방식으로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기계의 동작을
제어하는 방법을 구원한다
조지 데볼과 조셉 엥델버거는
로봇 회사인 유니메이션을 설립
같은 해 최초의 산업용 로봇 유니메이트 등장
이후 산업 현장에서 로봇에 대한 수요 증가

1961 유니메이트
스탠포드 대학의 빅터 샤인먼 교수의 연구실에서
최초의 6 축 로봇 팔인 스탠포드 암 제작

스탠포드 암

1969
신시내티사에서 최초의 컴퓨터로
제어되는 산업용 로봇 T3 가 개발되었고
이후 로봇 산업은 크게 증가

1974
스탠포드 암

최초의 6 축 로봇 팔

1961 1974

유니메이트 T3
최초의 산업용 로봇 컴퓨터로 제어되는
최초의 산업용 로봇
한국의
란?
로봇 역사
1984~
1995

1990 오늘날
년대
1984
~1995

현대 중공업에서는 1984 년 용접기술연구소 내


로보트 전담팀을 구성하게 되고
1995 년 용접용 로봇인 HR120 을 개발한다

이 업적은 짧은 시간 내
기술 독립을 이뤄내며 한국
로봇 산업 성장에 큰 발판을 함
정부의 활발한 지원 정책으로 인해
로봇산업이 크게 호황함
자동차와 반도체 산업이 성장하며
자동화에 대한 요구가 증가했기 때문

1990
년대
오늘날까지 지능형 로봇의 발전에 따라
사람과 협동하는 협동 로봇 ,
무인화 공정인 스마트 팩토리 등
다양한 발전이 이어져 오고 있음

오늘날
로봇의
구성요소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케이블과 메인보드를
몸 보호해 주는 역할을 한다

로봇이 움직일 수 있는 부분을 말한다


구동부 보통 모터와 같이 전기적 에너지를 가하여
동작시키는 장치를 이용해 움직인다
하드웨어

전원을 공급해 주는 장치 ,
전원 공급 장치 로봇이 움직이는 힘의 원천이다
• 시각 - 카메라
• 청각 - 마이크
감지 시스템
• 촉각 - 터치센서
• 이외 - 온도센서 습도센서 적외선센서 등등

소프트웨어

데이터를 처리하고 저장하는 데 사용하는 시스템으로


컴퓨팅 시스템 컴퓨팅 시스템이 없으면 사물에 대한 판단 , 기억을 못 한다
로봇의
종류 , 분류
서비스 제조업
개인이 사용하기 편리하게 만들어진
개인용 로봇

서비스

공공 서비스 , 산업 현장 등 사람 대신
전문용 일을 수행하거나 보조하는 로봇
가사지원 교육용

• 실내 청소용 로봇 • 저연령 교육용 로봇


• 잔디 깎기 로봇 • 에듀테인먼트용 로봇

서비스
( 개인 엔터테인먼트 기타 개인서비스
용)
• 헬스케어 로봇
• 애완용 로봇
• 스포츠 지원 로봇
• 댄스로봇
• 지능형 보행보조 로봇
• 공공 서비스 - 안내 , 도우미
공공 서비스 • 빌딩 서비스 - 경비 , 배달 , 청소
• 사회안전 - 경비

• 사회 인프라 - 활선 , 관로 작업용
• 재난 극복 - 화재 진압 , 인명구조
서비스 극한 직업
• 군사 - 지뢰 제거 , 전투 로봇 , 경계 로봇
( 전문 • 해양 - 탐사 , 자원 개발 지원

용)
• 건설 - 건설 지원 , 해체 지원 , 건설 유지보수
기타 산업용 • 농림 , 축산 - 농약 살포 . 과실 수확 지원
• 의료 - 수술 , 간호 , 진료 , 치료 , 교육
• 핸들링
자동차 제조
• 용접

• 핸들링
전자제품 제조 • 도장
• 조립
제조업

• 도장
조선업 • 용접
• 블라스팅
로봇의
장단점
사람이 해야 할 일을 대신해 주어 편리해지는 장점이 있다
장점 또한 로봇은 휴식이 필요 없으니 사람보다 업무 효율이 높다
전쟁이나 위험한 곳의 인명 구출을 인간대신 할 수 있다
사람들의 일자리가 줄어들어 실업자가 증가할 수 있다
로봇을 전쟁에 이용할 경우 윤리적인 문제가 생겨난다 단점
생명의 존엄성이 떨어질 수 있다
로봇의
미래 전망
급속도로 과거에는 로봇의 구동부를 하자 있는 유압 실린더를 사용했지만
최근에는 모터를 사용하며 정밀 구동이 가능 해졌다
발전하는 또 모터의 성능을 결정하는 베어링의 신소재도 개발되며
로봇 기술 국내 로봇 산업에 힘이 실리고 있다

고령화와 출산율 감소로 노동인구가 감소하고 있다


인구구조의 이미 제조업 현장에서는 청년층의 기피 현상 , 노동력의 질적인 문제 ,
인건비 상승 등의 문제가 발생하고 있는데 로봇이 이를 대체할 수 있다면
변화 다양한 사회적 , 경제적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 것이다
대기업들이 로봇 산업에 뛰어들고 있는데 삼성전자는 2022 년
3 월 로봇 산업을 언급했고 , 로봇 관련
현대와 LG 도 미국 로봇 기업을 인수했다 핵심기술
로봇 분야의 핵심인 AI 도 네이버 등 확보
국내 IT 기업을 중심으로 연구 및 개발 중이다

정부는 2027 년 안에 ‘제 5 차 과학기술 기본계획’과


‘ 미래 유망 산업 육성 기본계획’ 발표를 앞두고 있다
로봇 산업
이 계획에는 로봇 산업 육성 정책이 포함될 것으로 예상되고 육성정책
정부가 로봇 분야 육성에 직접 나서며 추진
금융권에도 다양한 로봇 관련 상품이 출시될 예정이다
THANK YOU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