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56

한눈에 보는 정답

01 실천 윤리와 윤리 문제에 대한 탐구 본문 13~18쪽 05 사랑과 성 윤리 본문 59~63쪽

수능 기본 문제 수능 기본 문제
01 ① 02 ④ 03 ③ 04 ⑤ 05 ④ 01 ② 02 ④ 03 ③ 04 ② 05 ④
06 ④ 07 ⑤ 08 ② 06 ③ 07 ④ 08 ④
수능 실전 문제 수능 실전 문제
1③ 2③ 3⑤ 4② 5③ 1④ 2③ 3④ 4⑤ 5②
6① 7⑤ 8④ 6②

02 윤리 문제에 대한 접근 본문 25~31쪽 06 직업과 청렴의 윤리 본문 70~75쪽

수능 기본 문제 수능 기본 문제
01 ⑤ 02 ④ 03 ⑤ 04 ③ 05 ② 01 ③ 02 ① 03 ③ 04 ① 05 ③
06 ④ 07 ② 08 ④ 06 ③ 07 ② 08 ⑤
수능 실전 문제 수능 실전 문제
1⑤ 2③ 3② 4② 5① 1② 2③ 3③ 4③ 5④
6① 7③ 8④ 9④ 10 ④ 6⑤ 7② 8①

03 삶과 죽음의 윤리 본문 39~44쪽 07 사회 정의와 윤리 본문 82~88쪽

수능 기본 문제 수능 기본 문제
01 ② 02 ④ 03 ① 04 ② 05 ③ 01 ④ 02 ③ 03 ⑤ 04 ⑤ 05 ①
06 ① 07 ③ 08 ⑤ 06 ③ 07 ② 08 ④
수능 실전 문제 수능 실전 문제
1① 2② 3③ 4③ 5③ 1③ 2④ 3② 4③ 5③
6② 7⑤ 8③ 6④ 7③ 8① 9② 10 ⑤

04 생명 윤리 본문 49~54쪽 08 국가와 시민의 윤리 본문 94~99쪽

수능 기본 문제 수능 기본 문제
01 ⑤ 02 ② 03 ④ 04 ③ 05 ⑤ 01 ③ 02 ④ 03 ① 04 ② 05 ④
06 ④ 07 ② 08 ② 06 ⑤ 07 ② 08 ④
수능 실전 문제 수능 실전 문제
1③ 2③ 3② 4② 5③ 1④ 2① 3④ 4③ 5④
6① 7③ 8② 6② 7⑤ 8⑤
한눈에 보는 정답

09 과학 기술과 윤리 본문 106~111쪽 13 의식주 윤리와 다문화 사회 윤리 본문 154~159쪽

수능 기본 문제 수능 기본 문제
01 ② 02 ① 03 ② 04 ① 05 ② 01 ⑤ 02 ② 03 ④ 04 ⑤ 05 ④
06 ② 07 ② 08 ⑤ 06 ② 07 ④ 08 ⑤
수능 실전 문제 수능 실전 문제
1⑤ 2② 3③ 4③ 5② 1① 2① 3④ 4② 5⑤
6① 7④ 8② 6⑤ 7⑤ 8①

10 정보 사회와 윤리 본문 116~121쪽 14 갈등 해결과 소통, 민족 통합의 윤리 본문 167~172쪽

수능 기본 문제 수능 기본 문제
01 ⑤ 02 ② 03 ③ 04 ③ 05 ⑤ 01 ⑤ 02 ② 03 ③ 04 ③ 05 ④
06 ① 07 ⑤ 08 ③ 06 ④ 07 ② 08 ④
수능 실전 문제 수능 실전 문제
1⑤ 2③ 3③ 4⑤ 5① 1④ 2⑤ 3① 4① 5③
6③ 7④ 8② 6④ 7① 8④

11 자연과 윤리 본문 129~135쪽 15 지구촌 평화의 윤리 본문 178~183쪽

수능 기본 문제 수능 기본 문제
01 ① 02 ② 03 ⑤ 04 ⑤ 05 ③ 01 ⑤ 02 ④ 03 ③ 04 ② 05 ③
06 ③ 07 ① 08 ⑤ 06 ② 07 ③ 08 ②
수능 실전 문제 수능 실전 문제
1① 2① 3③ 4⑤ 5⑤ 1④ 2④ 3④ 4③ 5②
6④ 7④ 8⑤ 9⑤ 10 ② 6② 7④ 8④

12 예술과 대중문화 윤리 본문 143~148쪽

수능 기본 문제
01 ② 02 ② 03 ③ 04 ③ 05 ②
06 ③ 07 ③ 08 ④
수능 실전 문제
1① 2② 3③ 4① 5②
6① 7④ 8②
정답과 해설

01 실천 윤리와 윤리 문제에 대한 탐구
고 그의 처지에서 생각하며 그 필요를 충족해야 한다고 강조하는
것이다. 이에 근거하여 ㉠에는 감정을 억제하는 ‘차가운 이성’을
바탕으로 도덕적 탐구를 해야 한다고 강조하는 사람들을 비판하

수 능 기본 문제 본문 13~14쪽 는 내용이 들어가는 것이 적절하다.


③ 배려적 사고를 강조하는 입장에서는 공감 능력을
01 ① 02 ④ 03 ③ 04 ⑤ 바탕으로 역지사지를 실천하고자 노력해야 한다는 점을 강조할
05 ④ 06 ④ 07 ⑤ 08 ② 것이다.
① 배려적 사고를 강조하는 입장에서는 상대와 상
01 실천 윤리학의 필요성에 대한 싱어의 입장 이해 황을 고려하여 도덕 판단을 할 수 있다고 본다.
그림의 강연자는 싱어이다. 싱어는 동물에 대한 대우, ② 제시문은 도덕적 탐구 과정에서 타인에 대해 공감하는 자세가
지구 온난화 문제 등과 같은 현실적인 윤리적 문제에 대한 윤리학 필요하다고 강조하고 있으므로, 제시문의 관점에서 ‘차가운 이성’
적 탐구가 필요하다고 강조하고 있다. 을 강조하는 입장에 할 수 있는 비판이 아니다.
ㄱ. 제시문의 강연자는 윤리학이 동물 학대 문제에 대 ④ 제시문은 자신의 신념을 고수하기 위한 이론적 정당화를 강조
한 실천적인 행위 지침을 연구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한다고 볼 수 없다.
ㄴ. 제시문의 강연자는 지구 온난화를 발생시키는 원인에 대한 과 ⑤ 제시문은 도덕적 갈등을 위한 최선의 방안을 합리적 토론이라
학적, 윤리적 탐구가 필요하다고 볼 것이다. 고 단정하지 않는다.
ㄷ. 제시문의 강연자는 도덕 문제에 대한 실천적 대
안 탐구를 중시하기 때문에 제시문의 강연자가 도덕 문제에 대한
객관적 기술을 최종 목표로 삼는다고 보기 어렵다. 04 비판적 사고에 대한 이해
ㄹ. 제시문의 강연자가 한 주장으로 볼 수 없으며, 메타 윤리학적 ㉠은 비판적 사고이다. 비판적 사고는 사실 판단의 진
탐구 방법에 해당하는 진술이다. 위, 사회에서 통용되는 규칙이나 관습, 사회에서 인정하는 권위
및 권위자의 명령, 개인의 도덕적 감정과 양심 등에 대한 비판적
인 검토를 가능하게 한다.
02 자연법칙과 도덕 법칙에 대한 칸트의 입장 이해 ⑤ 비판적 사고는 개인의 의사를 배제하는 것이 아닐 뿐
제시문은 칸트의 주장이고, ㉠은 자연법칙, ㉡은 도덕 만 아니라, 사회적 통용 가치를 무비판적으로 따르는 것도 아니다.
법칙을 가리킨다. 칸트는 인간이 자연법칙으로부터 영향을 받지 ① 비판적 사고는 사실 판단의 진위를 확인하는 과
만 동시에 도덕 법칙을 따르는 존재라고 주장하였다. 그는 이성적 정을 포함한다.
존재인 인간은 고유한 도덕 법칙을 가지고 있는 존엄한 존재라는 ② 비판적 사고는 도덕 판단의 타당성을 비판적으로 검증하도록
점을 강조하면서, 이러한 도덕 법칙은 인간에게 ‘의무’의 법칙으 한다.
로 다가온다고 주장하였다. ③ 비판적 사고는 권위자, 사회적 통념 등에 대한 검토를 가능하
ㄱ. ㉠은 자연법칙을 상징하는 표현이다. 게 한다.
ㄴ. 칸트에게 도덕 법칙은 인간이라면 누구나 어떤 상황에서도 예 ④ 비판적 사고는 자신의 주장만을 고집하지 않고 열린 태도로 타
외 없이 따라야 하는 무조건적이고 절대적인 정언 명령이다. 인의 합리적인 의견을 존중하는 것을 포함한다.
ㄷ. 자연법칙은 존재와 관련된 것이며, 도덕 법칙은 당위와 관련
된 것이다.
ㄹ. 자연법칙은 인간이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는 대 05 규범 윤리학과 메타 윤리학의 비교
상이 아니다. (가)는 규범 윤리학, (나)는 메타 윤리학을 강조하는
입장이다. 규범 윤리학은 윤리적 행위를 위한 근본 원리로 성립
가능한 도덕 원리를 탐구하거나, 삶의 윤리 문제에 대한 해결책을
03 배려적 사고의 필요성에 대한 이해 제시하고자 한다. 메타 윤리학은 도덕 판단의 타당성을 입증하거
제시문에서는 배려적 사고가 필요하다는 점을 강조하 나 도덕적 용어의 개념을 분석하는 것을 주요 과제로 삼는다.
고 있다. 공감 능력을 바탕으로 타인의 욕구나 필요에 관심을 두 ④ 기술 윤리학에 대한 설명이다. 메타 윤리학이 도덕

정답과 해설 3
정답과 해설

적 관행에 대한 가치 중립적 서술을 목적으로 한다고 볼 수는 없다.


08 이이가 강조한 성찰하는 삶의 중요성에 대한 이해
① 규범 윤리학은 현실의 도덕적 문제 해결을 중시 제시문은 이이의 주장이다. 이이는 과거의 생각이나
한다. 행동, 습관에 대한 반성이 있어야 이를 개선하여 인격 완성에 도
② 규범 윤리학은 도덕적 정당화를 위해 이론적 근거를 제시한다. 움이 될 수 있다고 주장한다.
③ 메타 윤리학은 도덕적 용어의 개념 분석을 주요 과제로 삼는다.
ㄱ. 제시문에서는 자신의 행동에 대해 반성하는 자세
⑤ 규범 윤리학은 메타 윤리학과 달리 도덕규범의 실천을 목적으
가 필요하다고 주장한다.
로 하는 당위를 강조한다.
ㄹ. 제시문에서는 생활 속에서 자신을 살펴 올바른 인격을 갖추고
있는지 스스로 점검해야 한다고 본다.

06 도덕적 탐구의 과정에 대한 이해 ㄴ. 제시문에서는 과거의 경험이나 생각에 대한 반


성의 자세를 강조한다.
(가)는 도덕적 탐구의 과정이고, (나)는 연명 치료 중
ㄷ. 제시문에서는 잘못된 버릇을 고치기 위해서는 반성하는 삶의
단에 대해 고민하고 있는 의사의 사례이다. (가)의 ㉠은 윤리적 쟁
자세가 필요하다고 강조하고, 이를 행한 뒤에야 학문에 나아가는
점 또는 딜레마 확인의 과정, ㉡은 자료 수집 및 분석의 과정, ㉢
공부를 말할 수 있다고 강조한다.
은 입장 채택 및 정당화 근거 제시의 과정, ㉣은 최선의 대안을 도
출하는 과정, ㉤은 반성적 성찰 및 입장 정리의 과정이다.
④ 연명 치료 중단 여부는 윤리학적 접근과 의학적 사
실을 함께 고려해야 한다.
수능 실전 문제 본문 15~18쪽
① ㉠은 윤리적 쟁점을 확인하는 단계로, 연명 치료
중단에 대한 쟁점을 파악하는 단계이다. 1③ 2③ 3⑤ 4②
② ㉡은 문제 해결을 위한 사례를 수집하는 단계로, 다양한 국가 5③ 6① 7⑤ 8④
의 사례를 찾아보는 것이 도움이 된다.
③ ㉢은 정당화 근거의 타당성을 확보하기 위해 노력하는 단계로, 1 기술 윤리학과 실천 윤리학의 비교
자신의 입장과 근거를 객관적으로 검토하는 것이 필요하다. 갑은 기술 윤리학, 을은 실천 윤리학을 강조하고 있
⑤ ㉤은 탐구 과정을 통해 달라진 생각 등에 대해 반성하고 정리 다. 기술 윤리학은 도덕 현상과 문제를 명확히 기술하고, 기술된
하는 단계로, 연명 치료 중단에 대한 자신의 판단이 타당한지를 현상들 간의 인과 관계를 설명하는 것을 강조한다. 실천 윤리학은
비판적으로 검토해 볼 필요가 있다. 이론 윤리를 현대 사회의 여러 윤리 문제에 적용하여 실제적이고
구체적인 해결책을 모색하는 데 주된 관심을 가진다.
③ 을은 윤리학이 도덕적 삶을 위한 지침을 제시해야
07 도덕적 추론의 과정에 대한 이해 한다고 보고 있으므로 X는 높고, 도덕적 현상에 대한 가치 판단
칠판의 내용은 인공 임신 중절에 대한 도덕적 추론의 을 중시하므로 Y는 낮다. 또한 을은 인간의 도덕적 행위에 대한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A에는 ‘인공 임신 중절은 무고한 인간을 당위적 규범 제시를 강조하므로 Z는 높다.
죽이는 것이다.’가 들어가야 한다.
⑤ ㉠은 도덕 원리이기 때문에 가치 중립적인 내용이
아니다. 2 메타 윤리학과 규범 윤리학의 비교
① ㉠에는 보편적으로 모든 사람들의 처지에서 받 갑은 메타 윤리학, 을은 규범 윤리학을 강조하고 있
아들여질 수 있는지, 규범적 차원에서 보편화 가능한지 등이 검토 다. 메타 윤리학은 도덕적 언어의 의미를 분석하고 도덕적 추론의
된 내용이 들어가야 한다. 정당성을 검증하기 위한 논리를 분석하는 것을 주된 탐구 과제로
② ㉡에는 개념과 사실 관계가 명확하게 드러나야 한다. 삼는다. 규범 윤리학은 도덕적 행위의 근거가 되는 도덕 원리나
③ 도덕 판단은 도덕 원리와 도덕적으로 상충되지 않아야 정당화 인간의 성품에 대해 탐구하고, 이를 바탕으로 도덕적 문제의 해결
될 수 있다. 과 실천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④ A에는 도덕적 추론의 과정에 비추어 볼 때 ‘인공 임신 중절은 ③ 메타 윤리학에서 긍정, 규범 윤리학에서 부정의 대
무고한 인간을 죽이는 것이다.’가 들어가야 한다. 답을 할 질문이다.

4 EBS 수능특강 생활과 윤리


①, ② 규범 윤리학에서 긍정의 대답을 할 질문이다. 과 메타 윤리학에서 모두 부정의 대답을 할 질문이다.
④ 기술 윤리학에서 긍정의 대답을 할 질문으로, 메타 윤리학에서 ㄷ. 실천 윤리학에서 강조할 내용으로 기술 윤리학과 메타 윤리학
부정의 대답을 할 질문이다. 에서 모두 부정의 대답을 할 질문이다.
⑤ 메타 윤리학에서 부정의 대답을 할 질문이다.

3 토론의 필요성을 강조하는 밀의 입장에 대한 이해 6 소크라테스가 강조한 반성적 사고에 대한 이해


칼럼은 토론의 필요성을 강조하는 밀의 주장을 담고
제시문은 소크라테스의 주장이다. 소크라테스는 자신
있다. ㉠에는 토론이 필요하다고 강조하는 밀의 입장에서 토론이
뿐만 아니라 다른 사람들의 삶을 부단히 검토해야 한다고 강조하
무용하다고 주장하는 입장을 비판하는 내용이 들어가야 적절하다.
였다. 따라서 ㉠에는 삶에 대한 비판적이고 반성적인 성찰을 강조
⑤ 밀은 토론을 통해 도출된 결론이 반드시 다수결을
하는 내용이 들어가야 적절하다.
통과해야 한다고 보지 않는다.
① 소크라테스는 삶에 대한 반성적인 성찰이 지속적으
① 밀은 어떤 의견이라도 부분적으로 오류가 있을
로 필요하다고 강조하였다.
수 있다고 본다.
② 밀은 토론을 통해 다양한 의견들의 오류 가능성을 점검할 수
② 제시문의 내용에서 도출할 수 없는 진술이다.
있다고 본다.
③ 제시문에서는 부와 명예보다 삶에 대한 성찰을 강조하고 있다.
③ 밀은 토론의 과정을 거치면 더 합리적인 판단이 가능하다고 본다.
④ 제시문에서는 비판적이고 반성적인 성찰을 강조하고 있으므
④ 밀은 인간이 오류 가능성을 지닌 존재이므로 타인과의 대화나
로, 제시문을 주장한 사상가는 전문가의 의견이라 할지라도 그것
토론을 통해 자신의 판단을 시정할 수 있다고 본다.
을 무비판적으로 수용하는 것에 대해 반대할 것이다.
⑤ 제시문에서는 재물과 명예에 마음을 쓰면서 정신의 훌륭함에

4 윤리적 성찰을 강조하는 입장에 대한 이해 대해 생각하지 않는 태도를 비판하고 있으므로, 제시문을 주장한
사상가는 다른 사람의 삶에 개입하여 그들이 원하는 부나 명예를
제시문은 윤리적 성찰을 강조하는 유학 사상가의 주장
성취하도록 돕는 것이 윤리적 삶의 영위에 도움이 된다는 의견에
이다. 이에 따르면 옷차림, 몸가짐, 마음가짐 등을 바르게 하고,
동의하지 않을 것이다.
타인에게는 공손하며, 마음을 보존하여 자신에 대해 올바르게 성
찰할 수 있어야 한다.
ㄱ. 제시문에서는 몸가짐과 마음가짐을 올바르게 하도
록 항상 노력해야 한다고 강조한다.
ㄹ. 제시문에서는 개인이 주체적으로 자신의 삶과 행동을 성찰하 7 새로운 윤리학의 필요성에 대한 요나스의 이해
여 도덕적 삶을 살아야 한다고 강조한다. 제시문은 요나스의 주장이다. 요나스는 기술이 발전
ㄴ. 제시문에서는 무위를 실천해야 한다고 강조하지 함에 따라 인간의 행위가 미치는 영향력이 커지며, 이에 대해 숙
않는다. 고하는 새로운 윤리학이 필요하다고 강조하고 있다.
ㄷ. 제시문에서는 인간의 모든 욕구를 제거해야 한다고 강조하지 ㄴ. 요나스는 기술이 인간의 지속적인 삶을 위협하지
않는다. 않도록 윤리적으로 성찰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ㄷ. 요나스는 기술의 발전과 도덕적 숙고의 과정 간에 공백이 발
생하지 않도록 노력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5 기술 윤리학과 메타 윤리학의 비교 ㄹ. 요나스는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인간의 윤리적 판단이 미래
갑은 기술 윤리학, 을은 메타 윤리학을 강조하고 있다. 세대까지 영향을 미친다고 주장한다.
ㄴ. 기술 윤리학에서 긍정, 메타 윤리학에서 부정의 대 ㄱ. 요나스는 기술 발전으로 인간의 행위가 미치는
답을 할 질문이다. 영향력이 강화되고 있으므로 현세대만을 고려하는 전통적인 인간
ㄹ. 메타 윤리학에서 긍정의 대답을 할 질문이다. 중심주의 윤리를 넘어 미래 세대와 자연까지 고려하는 새로운 윤
ㄱ. 이론 윤리학에서 강조할 내용으로 기술 윤리학 리학이 필요하다고 본다.

정답과 해설 5
정답과 해설

8 인간 배아 세포를 이용한 실험에 대한 다양한 윤리적 탐구 이해 02 불교 윤리의 특징에 대한 이해


그림에서 질문자는 인간 배아 세포를 이용한 실험에 제시문은 불교 사상에서 강조하는 만물의 상호 의존성
대해 윤리적으로 탐구할 때, 주된 탐구 과제가 무엇인지를 묻고 에 대한 설명이다. 불교에서는 세상의 모든 존재와 현상이 서로가
있다. 이에 대해 갑은 기술 윤리학적 관점, 을은 실천 윤리학적 관 서로에게 원인이 되기도 하고 조건이 되기도 하면서 생겨나고 사
점, 병은 메타 윤리학적 관점에서 접근하고 있다. 라진다고 여긴다.
④ 실천 윤리학은 현실적 윤리 문제에 대해 이론을 적 첫 번째 진술과 관련하여 불교에서는 모든 존재와 현상
용하여 규범적 해결 방안을 찾고자 노력한다. 이 무수한 원인과 조건에 의해 생겨난다는 인연생기를 강조한다.
① 기술 윤리학에서는 도덕적 현상에 대한 사회적 두 번째 진술과 관련하여 불교에서는 연기를 자각해야 윤회의 고
반응이나 문제를 사실적으로 기술하고자 노력한다. 통에서 벗어나 해탈에 이를 수 있다고 본다.
② 규범 윤리학에서는 도덕 원리에 근거하여 자신의 입장을 정당 세 번째 진술과 관련하여 불교에서는 다른 사람을 사랑하고 고통
화하는 것을 중시한다. 을 연민하는 자비의 마음을 가져야 한다고 본다.
③ 메타 윤리학에서는 도덕적 진술에 사용되는 언어의 의미를 분 네 번째 진술과 관련하여 불교에서는 만물이 끊임
석하는 것을 중시한다. 없이 변하기 때문에 불변하는 실체는 없다고 본다.
⑤ 규범 윤리학은 메타 윤리학과 달리 도덕 원리에 대한 규범적
탐구를 중시한다.
03 도덕 과학적 접근에 대한 쟁점 파악
갑은 도덕성과 관련한 행동이나 현상을 과학적 방법을
통해 설명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을은 도덕성이 인간의 자율적 영
역에 해당하므로 과학적 방법으로 평가하거나 조절하려고 해서는

02 윤리 문제에 대한 접근 안 된다고 주장한다.


⑤ 을은 인간의 자율적 영역을 과학을 통해 침해해서
는 안 된다고 보고 있으므로, 을이 갑에게 제기할 수 있는 비판이다.
수 능 기본 문제 본문 25~26쪽
① 을은 이타적 행위를 생물학적 적응의 산물에 불

01 ⑤ 02 ④ 03 ⑤ 04 ③ 과한 것으로 보지 않는다.

05 ② 06 ④ 07 ② 08 ④ ② 갑은 인간의 도덕적 행동이나 도덕성과 관련된 당위의 영역을


사실적 차원을 주로 다루는 자연 과학적 측면에서 설명하고 있다.
01 유교 윤리의 특징에 대한 이해 ③ 을은 자연 과학적 탐구 방법으로 인간의 도덕성을 설명해서는
제시문은 유교의 이상 사회인 대동 사회에 대한 설명 안 된다는 입장이고, 갑은 도덕성을 진화의 결과로 보고 있으므로
이다. 공자가 제시한 대동 사회는 유능한 사람이 중용되고, 재화 을이 갑에게 제기할 수 있는 적절한 비판이 아니다.
가 고르게 분배되며, 사람들이 가족주의에 얽매이지 않는 평화로 ④ 을은 인간 존재의 특성이나 윤리 문제에 대한 과학적 접근에
운 도덕 공동체이다. 대해 반대하고 있다.
⑤ 유교에서 통치의 궁극적 목표는 대동의 실현이며,
이는 인의예지가 구현되어 모두가 더불어 잘 사는 사회이다.
① 유교에서는 타고난 선한 도덕성을 확충해야 한 04 도가 윤리의 특징에 대한 이해
다고 보았다. 제시문은 도가 사상가 장자의 주장이다. 장자는 자기
② 군자는 자신을 수양한 이후에 타인을 편안하게 해 주는 수기안 중심적으로 시비나 선악을 분별하지 않고, 도와 일치되는 삶을 사
인을 추구해야 한다. 는 사람이자 절대 자유의 경지에 도달한 사람인 진인, 지인, 성인
③ 공자는 자신의 직분에 알맞은 사회적 역할을 수행해야 한다는 등을 이상적 인간상으로 제시하였다.
면에서 정명(正名)을 강조하였다. ③ 장자는 부나 명예를 추구하기보다 도에 따라 살아
④ 공자는 통치자가 덕에 따라 백성을 교화하는 덕치를 추구해야 야 한다고 강조하였다.
한다고 보았다. ① 공자의 입장으로 유교 사상가의 입장에서 해 줄

6 EBS 수능특강 생활과 윤리


수 있는 조언에 해당한다. 자신의 괴롭힘을 비교한다고 볼 수 없다.
② 장자는 재화를 공정하게 나누어 사회 정의를 실현해야 한다고
보지 않는다.
④ 장자는 시비선악의 분별이 인간의 관점에서 만물을 파악한 것 07 공리주의적 접근에 대한 이해
이라고 보고 이에 대해 반대한다. 제시문은 공리주의 사상가인 벤담의 주장이다. 벤담
⑤ 장자가 자연적인 인간의 모든 욕망을 제거할 것을 강조한 것은 은 쾌락을 산출하고 고통을 피하는 결과를 낳는 행위가 선이라고
아니다. 보며, 최대 다수의 최대 행복을 도덕과 입법의 원리로 제시하였
다. <문제 상황>은 장기 기증과 관련한 윤리 문제로 벤담의 입장
에서는 공리의 원리에 입각한 도덕 판단을 강조할 것이다.
05 자연법 윤리와 칸트 윤리에 대한 이해 ② 벤담은 최대 다수의 최대 행복을 강조하므로 적절
갑은 자연법 윤리 사상가인 아퀴나스, 을은 칸트이다. 한 조언으로 볼 수 있다.
아퀴나스는 자연법의 궁극적 근거가 우주에 질서를 부여하는 영 ① 공리주의에서는 자신의 이익과 편리뿐만 아니라
원법이며, 인간이 영원법에 참여하는 것이 다름 아닌 자연법이라 다른 사람의 이익과 편리도 함께 고려한다.
고 주장하였다. 그는 자연법의 원리로부터 구체적인 도덕 규칙을 ③, ④ 칸트의 입장에서 할 수 있는 조언이다.
이끌어 낼 수 있다고 보았다. 칸트는 이성적 존재인 인간은 고유한 ⑤ 벤담은 유용성의 증진을 강조한다.
도덕 법칙을 가지고 있는 존엄한 존재라는 점을 강조하였다.
② 아퀴나스는 자기 보존의 본성을 거스르는 행위는
옳지 않다고 본다. 08 덕 윤리적 접근에 대한 이해
① 아퀴나스는 유용성을 기준으로 도덕성을 판단하 제시문은 덕 윤리 사상가인 매킨타이어의 주장이다.
지 않는다. 매킨타이어는 덕이 사회적 실천 또는 관행에 내재한 선을 성취하
③ 칸트는 오직 의무 의식과 선의지에서 나온 행위만이 도덕적 가 는 데 유용한 인간의 성품이라고 주장하였다.
치를 지닌다고 본다. ㄴ. 덕 윤리에서는 인간의 욕구나 감정 및 인간관계에
④ 칸트는 도덕 법칙은 인간이라면 누구나 예외 없이 따라야 하는 주목한다. 따라서 긍정의 대답을 할 질문이다.
무조건적이고 절대적인 정언 명령이라고 본다. ㄹ. 덕 윤리에서는 유덕한 성품에서 자연스럽게 우러나오는 덕의
⑤ 아퀴나스와 칸트는 사회적 효용성이 인간의 의무를 발생시키 실천을 강조한다. 따라서 긍정의 대답을 할 질문이다.
는 것이라고 보지 않는다. ㄱ. 덕 윤리에서는 상황과 맥락에 따른 사고를 중시
한다. 따라서 부정의 대답을 할 질문이다.
ㄷ. 덕 윤리에서는 자연적 경향성이나 감정을 존중할 것을 강조한
06 칸트 윤리의 특징에 대한 이해 다. 따라서 부정의 대답을 할 질문이다.
(가)는 칸트 윤리이고, (나)는 괴롭힘을 당하는 친구를
도와주어야 할지 고민하는 사례가 제시되어 있다. 칸트는 윤리적
의사 결정에서 보편화 가능성과 인간 존엄성의 관점에서 검토해
수능 실전 문제 본문 27~31쪽
야 한다고 본다.
④ 칸트는 자신의 행위의 준칙이 보편화 가능한 도덕 1⑤ 2③ 3② 4②
법칙이 될 수 있는지 검토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5① 6① 7③ 8④
① 칸트는 쾌락의 증진이나 고통의 감소가 도덕성 9④ 10 ④
판단의 기준이라고 생각하지 않는다.
② 칸트는 상황이나 감정에 대한 고려가 도덕성 판단의 기준이라 1 유교 윤리와 도가 윤리의 비교
고 생각하지 않는다. 갑은 유교 사상가 맹자, 을은 도가 사상가 노자이다.
③ 칸트는 이익 증진의 여부를 도덕성 판단의 기준으로 생각하지 맹자는 사단이라는 선한 마음이 누구에게나 주어져 있다고 보았
않는다. 다. 사단에는 측은지심, 수오지심, 시비지심, 사양지심이 있으며
⑤ 칸트는 인간 존엄성과 보편화 가능성을 염두에 두므로, 친구와 이는 인간의 내면에 도덕적 본성이 있다는 단서가 된다. 노자는

정답과 해설 7
정답과 해설

도를 우주 만물의 근원이자 생성 변화의 법칙으로 파악하였다. 그


4 불교 윤리의 특징에 대한 이해
는 도를 형체가 없고 인간의 감각 경험을 넘어선 것, 인간의 언어
제시문을 주장한 사상가는 세상을 이롭게 하는 것보다
로 표현할 수 없고 이름 지을 수도 없는 것, 지식을 쌓아 올리는
자신의 털 한 올을 더 중시하고 있다. 이에 대해 불교 윤리의 관점
방법으로는 파악할 수 없는 것으로 여겼다.
에서 제기할 수 있는 비판을 고르는 것이 적절하다.
⑤ 노자는 영토가 작고 인위적 문명의 발달이 없는 무
ㄱ. 불교 윤리의 관점에서는 자신의 이익에만 집착하
위의 사회를 강조하므로 X는 높고, 인의예지의 덕목을 사회적 규
는 이기심을 버리라고 강조할 것이다.
범으로 강조하는 사람은 맹자이므로 Y는 낮다. 또한 존비와 친소
ㄷ. 불교에서는 자타불이를 깨닫고 자비를 실천할 것을 강조한다.
의 구별을 전제로 한 사랑인 인을 강조하는 사람은 맹자이므로 Z
ㄴ. 불교에서는 불성을 타고나는 것으로 본다.
는 낮다.
ㄹ. 불교에서는 인간뿐만 아니라 동물도 인연에 의해 생겨난다고
본다.

2 유교 윤리와 도가 윤리의 비교
갑은 맹자, 을은 노자이다. 맹자는 백성들에게 일정한 5 윤리적 의사 결정 과정에 대한 이해
생업이 보장되어야 백성들이 일정한 도덕심을 갖는다고 주장하였 그림의 강연자는 의무론적 입장의 사상가이다. 의무
다. 노자는 문명의 발달이 적은 무위와 무욕의 사회를 추구해야 론적 입장에서는 윤리적 의사 결정 과정에서는 행위의 밑바탕에
한다고 주장하였다. 있는 행위의 준칙을 고려하고, 이러한 준칙이 모든 사람에게 보편
③ 맹자는 덕으로 백성의 삶을 보살피는 덕치를 강조 적으로 적용 가능한 것인지를 고려해야 한다고 본다.
하였고, 노자는 무위의 치를 강조하였으므로 갑은 긍정, 을은 부 ① 강연자는 보편화할 수 없는 준칙을 거부해야 하며,
정의 대답을 할 질문이다. 그 행위는 비도덕적인 것이라고 본다. 따라서 그는 보편적 도덕
① 불교의 관점에 해당하는 것으로 갑, 을 모두 부 원리를 기준으로 행위의 도덕성을 판단할 것이다.
정의 대답을 할 질문이다. ② 덕 윤리학적 관점에 대한 설명으로, 제시된 내용
②, ④, ⑤ 을이 긍정의 대답을 할 질문이다. 과 관련이 없다.
③ 공리주의적 접근과 관련된 설명으로 제시된 내용과 관련이 없다.
④ 강연자는 준칙의 보편화 가능성에 대해서 언급하고 있으므로

3 유교 윤리와 불교 윤리의 적용
쾌락을 추구하는 경향성과 관련이 없다.
⑤ 강연자의 입장과 관련된 내용으로 보기 어렵다.
(가)는 유교 사상, (나)는 불교 사상을 담고 있다. 유교
에서는 인간이 하늘로부터 도덕적 본성을 부여받은 존재이지만,
지나친 욕구 때문에 잘못된 행동을 할 수 있다고 보아 경과 성의
자세를 강조하였다. 불교에서는 진리에 대한 깨달음을 얻어 고통 6 벤담과 밀의 사상적 관점 비교
과 번뇌에서 벗어나면 열반의 경지에 도달할 수 있다고 보았다. 갑은 벤담, 을은 밀이다. 벤담은 모든 쾌락이 질적으
이에 근거하여 <사례>에서 바람직한 삶에 대해 고민하는 A에게 로 같으며 양적인 차이만 있다고 가정하고 쾌락을 계산할 수 있다
적절한 조언을 해야 한다. 고 본다. 밀은 쾌락의 양뿐만 아니라 질적인 차이까지도 고려해야
② 유교에서는 자신의 욕구를 다스려 항상 마음을 바 한다고 본다.
르게 하도록 집중하라고 강조할 것이다. ① 벤담과 밀은 모두 쾌락을 주는 행위는 선하고 고통
① 유교에서는 인의예지의 도덕적 규범을 강조하므 을 주는 행위는 악하다고 본다.
로, A에게 할 수 있는 조언이 아니다.
③ 불교에서 말하는 ‘공’은 불변의 고정된 실체가 없음을 말하는 ②, ③ 벤담과 밀 모두 긍정의 대답을 할 질문이다.
것으로, 허무주의가 아니다. ④ 벤담과 밀은 도덕이 행복을 위한 수단으로써 가치를 지닌다고
④ 불교에서는 참선을 통해 깨달음에 이를 것을 강조한다. 본다.
⑤ 불교에서는 해탈을 위한 종교적 수행이 필요하다고 본다. ⑤ 벤담은 부정, 밀은 긍정의 대답을 할 질문이다.

8 EBS 수능특강 생활과 윤리


7 덕 윤리와 칸트 윤리의 비교 따르는 것은 옳다고 보았다.
두 번째 입장과 관련하여 아퀴나스는 인간이 이성적 사유를 통해
갑은 매킨타이어, 을은 칸트이다. 매킨타이어는 윤리
보편적인 도덕 법칙을 파악할 수 있다고 보았다.
적으로 옳고 선한 결정을 하려면 유덕한 품성을 길러야 한다고 본
네 번째 입장과 관련하여 아퀴나스는 ‘선을 행하고 악을 피하라.’
다. 칸트는 이성적 존재인 인간은 고유한 도덕 법칙을 가지고 있
는 자연법을 준수해야 한다고 보았다.
는 존엄한 존재라는 점을 강조하였다.
세 번째 입장과 관련하여 아퀴나스는 인간이 도덕
③ 매킨타이어는 긍정, 칸트는 부정의 대답을 할 질문
원리의 참, 거짓을 인식할 수 있는 능력을 지닌다고 보았다.
이다.
① 칸트가 부정의 대답을 할 질문이다.
② 칸트가 긍정의 대답을 할 질문이다.
10 규칙 공리주의와 덕 윤리에 대한 이해
④ 칸트는 오직 의무 의식과 선의지에서 나온 행위만이 도덕적 가
갑은 규칙 공리주의적 관점, 을은 덕 윤리적 관점을 취
치를 지닌다고 보았다. 그는 단순히 의무에 맞는 행위만을 도덕적
하고 있다. 규칙 공리주의는 어떤 규칙이 최대의 유용성을 산출하
으로 본 것이 아니라 의무 의식과 선의지가 행위의 동기가 되어야
는지 판단한 후, 그 규칙에 부합하는 행위를 옳은 행위로 본다. 덕
한다고 주장하였다.
윤리에서는 덕이 사회적 실천 또는 관행에 내재한 선을 성취하는
⑤ 칸트는 도덕이 이성적 존재인 인간의 자율적 판단에 의한 것이
데 유용한 인간의 성품이라고 주장한다.
어야 한다고 보았다.
④ 규칙 공리주의는 공리의 원리를 도덕 판단의 기준
으로 보기 때문에 규칙 공리주의에서 덕 윤리에 제기할 수 있는
비판이다.
8 도덕 과학적 접근에 대한 이해 ① 덕 윤리는 바른 성품을 갖추기 위한 습관화의 필
(가)는 신경 윤리학, (나)는 진화 윤리학을 강조하고
요성을 강조한다.
있다. 신경 윤리학은 도덕 판단 과정에서 이성과 정서의 역할이나
② 덕 윤리에서는 공동체의 전통이 개인의 도덕성에 영향을 미친
공감 능력 여부 등을 과학적 측정 방법을 통해 입증하고자 노력한
다고 본다.
다. 진화 윤리학은 이타적 행동 및 성품과 관련된 도덕성이 자연
③ 규칙 공리주의는 인간의 감정에 따라야 도덕적 가치를 지닌다
선택을 통한 진화의 결과라고 주장한다.
고 주장하지 않는다.
④ 진화 윤리학은 과학을 통해 도덕성 형성 과정을 설 ⑤ 덕 윤리에서는 도덕적 행위가 구체적인 맥락에 따라 달라질 수
명하고자 한다. 있다고 본다.
① 신경 윤리학에서는 뇌의 전면을 보여 주는 장치
를 활용하기도 한다.
② 신경 윤리학에서는 도덕 판단 과정에서 이성의 역할을 과학적

03
으로 조정할 수 있다고 본다.
③ 진화 윤리학에서는 이타적 행동 등 도덕적 행위를 진화의 결과 삶과 죽음의 윤리
로 본다.
⑤ 신경 윤리학과 진화 윤리학은 인간의 윤리적 행위를 과학적 탐
구 방법으로 이해할 수 있다고 본다.
수 능 기본 문제 본문 39~40쪽

01 ② 02 ④ 03 ① 04 ②
05 ③ 06 ① 07 ③ 08 ⑤
9 아퀴나스의 자연법적 윤리에 대한 이해
제시문은 아퀴나스의 주장이다. 아퀴나스는 인간이 01 출생의 의의 파악
본성적으로 지니는 자연적 성향으로 자기 보존, 종족 보존, 신과 출생은 생물학적으로 태아가 모체로부터 독립하는 것
사회에 대한 진리 파악을 제시하였다. 이다. 유교에서는 출생을 도덕적 주체로서 삶을 살아가는 출발점
첫 번째 입장과 관련하여 아퀴나스는 신과 사회에 대 으로 보며, 자연법 윤리에서는 자신의 생명을 유지하고 종족을 번
한 진리를 파악하고자 하는 것은 인간의 자연적 성향으로, 이를 식하려는 인간의 자연적 성향을 실현하는 과정이라고 본다.

정답과 해설 9
정답과 해설

② 출생은 생물학적으로 모체로부터 독립하는 것이지 행하는 안락사를 말한다. 자발적 안락사를 시행할 경우에 환자의
모체와 가족으로부터 분리된 삶을 살아가는 것은 아니다. 출생은 선택이 이성적 판단에 의한 것인지, 환자의 선택이라고 해서 자살
가족과 사회 구성원으로서 사는 삶의 시작을 의미한다. 을 인정할 수 있는지 등의 윤리적 문제가 제기될 수 있다. ㉠에는
① 부모와 자식 간의 관계는 선택적 관계가 아닌 천 자발적 안락사를 반대하는 논거가 들어가야 한다.
륜 관계이다. ㄴ. 인간이 자신의 죽음을 인위적으로 선택할 권리가
③ 출생은 다음 세대를 구성하여 사회를 지속시켜 나갈 수 있는 없다는 것은 자발적 안락사를 반대하는 논거이다.
바탕이 된다. ㄷ. 안락사가 생명 보존을 중시하는 자연의 질서에 어긋난다는 것
④ 출생을 통해 새로운 사회 구성원들은 기존의 문화를 유지하고 은 자발적 안락사를 반대하는 논거이다.
계승, 발전시킬 수 있게 된다. ㄱ. 자발적 안락사는 환자의 신체에 대한 자기 결정
⑤ 자연법 윤리에서는 출생이 인간의 자연적 성향을 실현하는 과 권을 존중하는 것이다.
정이라고 본다. ㄹ. 환자가 존엄하게 죽음을 맞이할 권리를 중시하는 것은 자발적
안락사를 찬성하는 논거이다.

02 장자의 죽음관 파악
제시문은 장자의 주장이다. 장자는 삶은 기가 모인 것 05 플라톤과 에피쿠로스의 죽음관 비교
이고 죽음은 기가 흩어진 것으로, 삶과 죽음은 사계절의 운행처럼 갑은 플라톤, 을은 에피쿠로스이다. 플라톤은 죽음을
서로 연결된 것이라고 본다. 육체에 갇혀 있던 영혼이 해방되어 이데아의 세계에 들어가는 것
ㄱ. 장자는 삶과 죽음이 서로 연결된 것이므로 차별할 이라고 본다. 에피쿠로스는 인간이 죽음을 경험할 수 없으므로 죽
필요가 없다고 본다. 음을 두려워할 필요가 없다고 본다.
ㄴ. 장자는 죽음을 자연스럽고 필연적인 과정으로 본다. ㄷ. 갑은 긍정, 을은 부정의 대답을 할 질문이다. 플라
ㄹ. 장자는 삶과 죽음을 기가 모이고 흩어지는 것으로 본다. 톤은 에피쿠로스와 달리 죽음 이후에 참된 진리를 인식할 수 있다
ㄷ. 장자는 죽음을 슬퍼하거나 삶에 집착하지 말 것 고 본다.
을 강조한다. ㄹ. 갑은 긍정, 을은 부정의 대답을 할 질문이다. 플라톤은 죽음을
영혼이 육체의 구속에서 벗어나는 것이라고 본다. 에피쿠로스는
죽음을 원자가 흩어지는 것이라고 본다.
03 불교 사상의 죽음관 파악 ㄱ. 갑, 을 모두 부정의 대답을 할 질문이다. 플라
제시문은 불교 사상이다. 불교에서는 죽음을 또 다른 톤, 에피쿠로스는 모두 죽음을 두려워할 필요가 없다고 본다.
세계로 윤회하는 것이라고 하며, 삶과 죽음이 하나[生死一如]라고 ㄴ. 을이 긍정의 대답을 할 질문이다. 에피쿠로스는 죽음 이후에
본다. 인간의 감각이 소멸한다고 본다.
① 불교에서는 인간이 윤회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 고
통에서 벗어날 수 없다고 본다.
② 불교에서는 죽음을 생·노·병과 더불어 인간이 06 뇌사의 윤리적 쟁점 파악
겪는 고통의 하나라고 본다. 갑은 뇌사를 죽음으로 인정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
③ 불교에서는 인간이 죽은 이후에 또 다른 삶으로 윤회한다고 본다. 고, 을은 이에 대해 반대하고 있다. ㉠에는 뇌사를 반대하는 입장
④ 불교에서는 인간이 깨달음을 통해 윤회의 고통에서 벗어날 수 에서 뇌사를 찬성하는 입장을 비판하는 내용이 들어가야 한다.
있다고 본다. ① 뇌사가 아닌 심폐사를 죽음으로 인정하는 입장에서
⑤ 불교에서는 윤회 과정에서 인간의 선업(善業)과 악업(惡業)이 는 뇌사 상태에서도 다른 장기들이 기능을 하고 있으므로, 뇌사를
죽음 이후의 삶을 결정한다고 본다. 죽음으로 인정해서는 안 된다고 본다.
② 뇌사자의 장기를 장기 이식에 활용할 수 있다는
것은 뇌사를 찬성하는 입장의 논거이다.
04 자발적 안락사의 쟁점 파악 ③ 제한된 의료 자원을 효율적으로 사용해야 한다고 강조하는 것
자발적 안락사는 환자가 안락사에 직접 동의한 경우에 은 뇌사를 찬성하는 입장의 논거이다.

10 EBS 수능특강 생활과 윤리


④ 뇌가 인간 생명 활동의 핵심 기관이라는 것은 뇌사를 죽음으로
수능 실전 문제 본문 41~44쪽
인정하는 입장의 논거에 해당한다.
⑤ 인간의 생명을 실용적 가치를 기준으로 평가해야 한다는 것은 1① 2② 3③ 4③
뇌사를 찬성하는 입장의 논거이다. 5③ 6② 7⑤ 8③

1 플라톤과 불교의 죽음관 비교


07 인공 임신 중절의 윤리적 쟁점 파악 (가)는 플라톤의 주장이고, (나)는 불교 사상이다. 플
갑은 소유권 논거를 바탕으로 인공 임신 중절을 찬성 라톤은 죽음을 육체에 갇혀 있던 영혼이 해방되어 이데아의 세계
하고 있다. 소유권 논거는 태아가 여성의 몸의 일부이므로 여성은 로 돌아가는 것이라고 본다. 불교에서는 죽음이 윤회의 과정이
태아에 대한 권리가 있다는 것으로 인공 임신 중절을 찬성하는 논 며, 현세의 업보[業]가 죽음 이후의 삶을 결정한다고 본다.
거이다.
① 플라톤은 죽음을 통해 영혼이 육체의 구속에서 벗
③ 여성은 자신의 삶을 자율적으로 결정할 수 있다는 어나 이데아의 세계로 돌아갈 수 있다고 본다.
것은 자율권 논거로, 인공 임신 중절을 찬성하는 논거이다.
② 불교에서는 인간이 죽어도 윤회의 고통에서 벗
① 존엄성 논거로 인공 임신 중절을 반대하는 논거 어날 수 없다고 본다.
이다. ③ 불교는 죽음을 인간이 겪게 되는 대표적인 고통의 하나라고 본다.
② 태아가 인간과 동등한 도덕적 지위가 있다는 것은 인공 임신 ④ 불교는 인간이 죽는다고 해서 신과 하나가 된다고 주장하지 않
중절을 반대하는 논거이다. 는다.
④ 무고한 인간의 신성불가침 논거로 인공 임신 중절을 반대하는 ⑤ 플라톤은 인간이 죽음 이후에 참된 진리를 인식할 수 있다고
논거이다. 본다.
⑤ 잠재성 논거로 인공 임신 중절을 반대하는 논거이다.

2 공자의 죽음관 파악
08 자살에 대한 입장 비교 가상 대화의 스승은 공자이다. 공자는 죽음 이후의 삶
갑은 아우구스티누스, 을은 아퀴나스, 병은 공자이다. 보다 현세에서 도덕적으로 실천하는 삶에 더 관심을 가질 것을 강
초기 그리스도교의 대표 철학자인 아우구스티누스는 자살을 ‘살 조하였다.
인하지 말라.’는 신의 계명을 어긴 것으로 보고 자살을 해서는 안 ② 공자는 귀신을 섬기는 일이나 죽음 이후에 관심을
된다고 주장하였다. 중세 그리스도교의 대표 철학자인 아퀴나스 가지기보다는 죽음이 아쉽지 않도록 현세에서 도덕적으로 충실하
역시 자살은 자기를 보존할 것을 강조하는 자연법에 어긋나며, 자 게 살아야 한다고 강조하였다.
살자가 속한 공동체에 상처를 주고, 신에 대한 생명의 의무를 어 ① 공자는 삶을 모른다고 하지 않았으며, 삶을 모를
기는 것이라고 보았다. 공자는 “무릇 효란 덕의 근본이요, 가르침 경우에만 죽음을 파악할 수 있다고도 하지 않았다.
은 여기에서 비롯된다.”라고 하면서 “사람의 신체와 터럭과 살갗 ③ 공자는 돌아가신 조상을 섬기는 일을 중요한 일로 간주하였다.
은 부모에게서 받은 것이니, 이것을 손상시키지 않는 것이 효의 ④ 공자는 죽은 뒤에 천국에 갈 것을 강조하지 않았다. 공자는 내
시작이다.”라고 주장하였다. 세에 관한 언급을 거의 하지 않았다.
⑤ 을, 병은 모두 자살이 인간이 자기 자신을 보존해야 ⑤ 공자는 죽음 이후의 삶보다 살아 있을 때의 삶에 더 관심을 기
한다는 규범을 어기는 것이므로 잘못이라고 본다. 울여야 한다고 강조하였다.
① 갑은 인간의 생명은 신이 부여한 것이므로 인간
자신이 삶과 죽음을 자유롭게 선택할 수 없다고 본다.
② 을은 자살이 인간의 자연적 성향과 자연법에 어긋나므로 잘못 3 인공 임신 중절의 윤리적 쟁점 파악
된 행위라고 본다. ㉠에 들어갈 내용은 ‘인공 임신 중절은 태아가 인간으
③ 병은 자살이 부모로부터 받은 신체를 함부로 훼손한 것이므로 로서 지니는 지위를 침해하는 것이다.’이므로, ㉠에 대한 반론은
잘못된 행위라고 본다. ‘인공 임신 중절은 태아가 인간으로서 지니는 지위를 침해하는 것
④ 갑, 을은 그리스도교적 관점에서 자살이 잘못된 것이라고 주장한다. 이 아니다.’이다. 이에 대한 근거를 찾는 문항이다.

정답과 해설 11
정답과 해설

③ 출생하기 이전의 태아가 아직 인간이 아니라는 주 ④ 불살생(不殺生)의 계율의 의무를 강조하는 것은 불교이다.
장은 인공 임신 중절이 태아의 인간으로서의 지위를 침해하지 않 ⑤ 아퀴나스와 칸트는 자살이 선한 결과를 초래하는지 여부로 자
는다는 주장의 근거가 될 수 있다. 살의 허용 여부를 판단하지 않는다.
① 태아의 생명 존엄성을 존중해야 한다는 것은 ㉠
에 대한 반론의 근거로 적절하지 않다.
② 태아의 권리를 임신부의 권리와 동등하게 인정한다면 인공 임 6 자발적 안락사의 윤리적 쟁점 파악
신 중절을 하는 것은 태아의 권리를 침해하는 것이 된다. 갑은 자발적 안락사를 찬성하고 있고, 을은 자발적 안
④ 인공 임신 중절을 반대하는 주장의 논거로, ㉠에 대한 반론의 락사를 반대하고 있다. 갑은 불치병으로 고통받고 있고 죽음이 임
근거로 적절하지 않다. 박한 환자가 자발적으로 안락사를 원하는 경우라면 환자가 존엄
⑤ ㉠에 대한 반론의 근거와 관련이 없다. 하게 죽음을 맞이하도록 하는 것은 좋은 일이라고 본다. 을은 의
사의 임무는 환자를 치료하는 것인데, 의사가 환자를 죽음에 이르
도록 도와주는 안락사는 의사의 임무에 반하며, 사회 전체적으로
4 하이데거의 죽음관 파악 도 부정적인 결과를 초래할 것이라고 본다.
제시문은 하이데거의 죽음에 대한 입장이다. 그는 죽 ② 을은 자발적 안락사를 허용하면 사회 전체가 생명
음이 인간에게 하나의 확실한 가능성, 즉 주체로서 현존재가 피할 을 경시하는 풍조로 변화되며, 수많은 비윤리적인 일들이 일어날
수 없는 것이라고 하고, 인간 자신이 죽음에 이르는 존재라는 사 것이라고 본다.
실을 직시함으로써 참된 현존재로 살아갈 수 있는 결단을 내릴 수 ① 갑은 극심한 고통에 시달리는 환자가 자발적으
있게 된다고 본다. 로 안락사를 요청하는 경우라면 안락사를 허용할 수 있다고 본다.
③ 하이데거는 인간 자신이 죽음에 이르는 존재임을 ③ 을은 의사가 환자를 치료하는 일에 매진해야 한다고 본다.
자각함으로써 의미 있는 삶을 살아갈 수 있게 된다고 본다. ④ 갑은 제한된 조건하에서 자발적 안락사가 허용될 수 있다고 본다.
① 하이데거에 따르면 인간은 자신의 죽음에 대해 ⑤ 갑, 을은 환자의 동의가 없는 안락사를 시행해서는 안 된다고
인식할 수 있는 존재이다. 본다.
② 하이데거는 현존재 자신이 자신의 본질을 직시하고 자각할 수
있다고 본다.
④ 하이데거에 따르면 동물은 인간과 달리 자신이 죽을 수밖에 없 7 뇌사의 윤리적 쟁점 파악
는 존재라는 점을 인식하지 못한다. 갑은 뇌사자가 이미 죽은 사람이나 마찬가지이므로 뇌
⑤ 하이데거에 따르면 인간은 죽음의 가능성을 인식할 때 주체적 사를 죽음의 판단 기준으로 인정해야 한다고 본다. 이에 비하여
으로 자신의 삶을 이끌어 갈 수 있게 된다. 을은 뇌사를 죽음의 판단 기준으로 인정해서는 안 된다고 본다.
따라서 ㉠에는 뇌사를 죽음으로 인정하지 않는 입장에서 뇌사를
죽음으로 인정하는 입장을 비판하는 내용이 들어가야 한다.
5 아퀴나스와 칸트의 자살에 대한 입장 파악 ㄴ. 을은 뇌사를 죽음으로 인정하는 것이 인간 생명의
갑은 아퀴나스, 을은 칸트이다. 아퀴나스는 자살이 가치를 효용성의 측면에서 평가하는 것이라고 비판할 수 있다.
‘자기를 사랑하라.’는 자연법에 어긋나는 행위라고 보며, 칸트는 ㄷ. 뇌사를 죽음으로 인정하면 장기 이식을 효율적으로 할 수 있
자살이 고통에서 벗어나기 위해 자신의 생명과 인격을 수단으로 다. 이에 대해 을은 뇌사 판정이 사람의 신체를 대체할 수 있는 부
삼는 행위라고 본다. 아퀴나스와 칸트의 입장에서 자살을 생각하 품처럼 취급하는 것이라고 비판할 수 있다.
고 있는 K에게 제시할 조언을 파악하는 문항이다. ㄹ. 을은 심폐사만이 죽음의 판정 기준이 되어야 한다고 본다.
③ 칸트는 자살이 이성을 지닌 자율적 존재가 지켜야 ㄱ. 갑이 을에게 제기할 수 있는 비판이다.
할 자기 보존의 의무를 위반하는 것이라고 본다.
① 아퀴나스는 자살이 인간의 자연적 성향에 어긋
나는 행위라고 본다. 8 죽음에 대한 입장 비교
② 아퀴나스는 자살이 신으로부터 선물받은 생명을 함부로 훼손 (가)의 갑은 하이데거, 을은 에피쿠로스, 병은 플라톤
하는 것이라고 본다. 이다. 하이데거는 죽음에 대한 자각을 통해 삶을 더욱 의미 있고

12 EBS 수능특강 생활과 윤리


가치 있게 살 수 있다고 본다. 에피쿠로스는 인간이 죽음을 감각 어리가 아니라 온전한 생명을 지닌 존재라고 비판할 수 있다.
적으로 경험할 수 없으므로 두려워할 필요가 없다고 본다. 플라톤 ① 갑은 배아 실험을 허용해서는 안 된다고 본다.
은 육체에 갇혀 있는 영혼이 죽음을 통해 영원불변하는 이데아의 ③ 갑은 배아가 생성된 순간부터 인간과 동등한 존재라고 본다.
세계로 들어갈 수 있다고 본다. ④ 갑은 배아가 내재적 가치를 지닌다고 본다.
③ 병은 갑, 을과 달리 인간은 죽음 이후에 절대적 진 ⑤ 갑은 배아를 실험 대상으로 삼는 데 반대한다.
리의 세계인 이데아의 세계에 들어갈 수 있다고 본다.
① 을이 동의할 내용이므로 오답이다.
② 을은 죽음을 고통으로 간주하지 않는다. 03 인간 개체 복제에 대한 윤리적 쟁점 파악
④ 을이 부정할 내용이므로 오답이다. 제시문은 인간 개체 복제를 반대하는 입장이다. ㉠에
⑤ 을, 병이 부정할 내용이므로 오답이다. 는 인간 개체 복제를 반대하는 입장의 논거가 들어가야 한다.
ㄱ. 인간 개체 복제가 만연하게 되면 생명을 경시하는
풍조가 확산될 수 있다.
ㄷ. 인간 개체 복제는 인간이 지니는 정체성에 혼란을 야기할 수
있다.

04 생명 윤리 ㄹ. 인간 개체 복제로 태어난 인간은 의도적인 기획의 결과로 태


어났기 때문에 인간마다 달리 갖는 고유성을 침해받을 수 있다.
ㄴ. 인간 개체 복제는 동일한 유전자의 세대 계승을
수 능 기본 문제 본문 49~50쪽 가능하게 한다.

01 ⑤ 02 ② 03 ④ 04 ③
05 ⑤ 06 ④ 07 ② 08 ②
04 싱어의 동물 권리에 대한 입장 파악
01 데카르트와 코헨의 인간 중심주의 파악 제시문은 싱어의 주장이다. 싱어는 도덕 판단의 기준
이 쾌락과 고통이므로 고통을 느끼는 동물에 대해 도덕적 고려를
갑은 데카르트, 을은 코헨이다. 데카르트는 동물은
해야 한다고 본다. 그는 단지 인간이 아니라는 이유로 고통을 느
‘자동인형’ 또는 ‘움직이는 기계’에 불과하다고 본다. 코헨에 따르
끼는 동물을 차별하는 것은 인종 차별이나 성 차별과 같은 ‘종 차
면 동물은 인간이 지닌 고등 능력을 지니지 못하므로 동물에게는
별주의’이므로 고통을 느끼는 존재들의 이익을 평등하게 고려해
도덕적 권리가 없다.
야 한다고 주장한다.
⑤ 갑과 을은 모두 동물의 권리를 인정하지 않는 인간
③ 싱어는 쾌고 감수 능력이 있는 존재를 도덕적으로
중심주의의 입장을 취한다.
고려해야 한다고 본다.
① 데카르트에 따르면 동물은 영혼이 없는 존재이다.
① 싱어는 동물이 인간과 동일한 도덕적 지위를 지
② 데카르트는 동물이 인간을 위한 수단적 존재에 불과하다고 본다.
닌다고 주장하지는 않는다.
③ 레건의 입장이다. 코헨은 동물을 삶의 주체로 간주하지 않는다.
② 싱어는 동물의 이익을 인간의 이익과 평등하게 고려할 것을 주
④ 싱어의 입장이다. 코헨은 쾌고 감수 능력의 유무로 도덕적 고
장하지만, 동물과 인간을 동등하게 대우할 것을 주장하지는 않는다.
려의 대상을 결정해야 한다고 주장하지 않는다.
④ 싱어는 이성적 능력이 없어도 쾌고 감수 능력이 있는 존재를
실험 대상으로 삼아서는 안 된다고 본다.
02 인간 배아 복제에 대한 윤리적 쟁점 파악 ⑤ 싱어는 쾌고 감수 능력을 지닌 동물을 실험 대상으로 이용하는
갑은 배아가 인간과 도덕적으로 동등한 존재이므로 배 데 반대한다.
아를 실험 대상으로 삼아서는 안 된다고 본다. 을은 배아가 인간
이 아닌 세포 덩어리에 불과한 존재이므로 실험 대상으로 삼을 수
있다고 본다. 05 생명 윤리와 생명 과학의 관계 파악
② 갑의 입장에서는 을의 입장에 대해 배아가 세포 덩 생명 과학은 생명 현상의 본질과 특성을 연구하는 학

정답과 해설 13
정답과 해설

문이고, 생명 윤리는 생명을 책임 있게 다루기 위해 생명 과학 기 ⑤ 벤담과 레건은 인간과 동물이 항상 동일한 이익을 지닌다고 주장
술의 윤리적 쟁점을 다루는 학문이다. 생명 윤리는 생명 과학의 하지 않는다.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필요하다.
⑤ 생명 과학과 생명 윤리는 공통적으로 생명의 존엄
성 실현을 목적으로 하며, 상호 보완적 관계를 이룰 수 있다. 08 생식 세포 유전자 치료의 윤리적 쟁점 파악
① 생명 윤리는 생명 과학을 가치와 연계된 방법론 갑은 생식 세포 유전자 치료를 찬성하고 있고, 을은 반

을 바탕으로 연구한다. 대하고 있다. 생식 세포 유전자 치료는 수정란이나 발생 초기의

② 생명 윤리는 가치와 당위를 배제한 채 연구를 수행하지는 않는다. 배아에 유전 물질을 삽입하여 질병을 치료하는 방법을 말한다.

③ 생명 과학 기술의 윤리적 정당성과 한계를 다루는 학문은 생명 ② 생식 세포 유전자 치료는 유전병을 물려주지 않으
윤리이다. 려는 부모의 선택을 고려하는 것이라고 볼 수 있다.
④ 생명 현상 연구가 초래할 수 있는 윤리적 쟁점을 연구하는 학 ①, ③, ④, ⑤ 생식 세포 유전자 치료를 반대하는
문은 생명 윤리이다. 입장의 논거이다.

06 칸트의 동물 권리에 대한 입장 파악 수능 실전 문제 본문 51~54쪽


제시문은 칸트의 주장이다. 칸트는 동물에 대한 우리
의 의무는 인간성 실현을 위한 간접적인 도덕적 의무에 불과하다 1③ 2③ 3② 4②
고 본다. 5③ 6① 7③ 8②
ㄱ. 칸트는 인간이 동물에 대해 간접적 의무를 지닌다
고 본다. 1 유전자 치료의 윤리적 쟁점 파악
ㄴ. 칸트는 이성적 능력이 결여된 동물은 스스로 도덕적 삶을 살 갑은 체세포 유전자 치료와 생식 세포 유전자 치료를
아갈 능력이 없다고 본다. 모두 허용해야 한다고 보지만, 을은 체세포 유전자 치료만 허용하
ㄷ. 칸트는 오직 이성적 존재만이 자율적이고 도덕적으로 행위 할 고 생식 세포 유전자 치료는 허용해서는 안 된다고 본다.
수 있다고 본다. ③ 갑, 을은 생식 세포 유전자 치료 허용 유무에 관해
ㄹ. 칸트는 동물을 내재적 가치를 지닌 존재로 간주 입장을 달리하고 있다. 따라서 후세대에게 영향을 미치는 유전자
하지 않는다. 치료 허용 유무가 토론의 핵심 쟁점이 될 수 있다.
① 갑, 을은 모두 체세포 유전자 치료를 허용해야
한다고 본다.
② 갑, 을은 모두 유전자 치료가 인간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07 벤담과 레건의 동물 권리에 대한 입장 파악 고 본다.
갑은 벤담, 을은 레건이다. 벤담은 동물도 고통을 느 ④ 토론에서 언급되지 않는 내용이다. 갑, 을은 전문 의료인이 아
끼기 때문에 도덕적으로 고려해야 한다고 본다. 레건은 한 살 정 닌 사람에 의해서 수행되는 생식 세포 유전자 치료를 반대할 것이다.
도의 포유류는 삶의 주체가 될 수 있으며, 내재적 가치를 지닌다 ⑤ 갑, 을은 모두 체세포 유전자 치료를 허용해야 한다고 주장하
고 본다. 고 있으므로, 후세대의 체세포 유전자 치료의 필요성에 대해서도
② 레건은 의무론의 관점에서 동물 권리론을 주장한다. 공감할 것이다.
① 벤담은 고통을 느낄 수 있는 동물을 도덕적으로
고려해야 한다고 본다.
③ 벤담, 레건은 모두 동물을 수단으로만 취급해서는 안 된다고 2 싱어와 레건의 동물 권리에 대한 입장 파악
본다. 갑은 싱어, 을은 레건이다. 싱어는 쾌고 감수 능력을
④ 벤담, 레건은 모두 이성이 없는 존재도 도덕적 고려의 대상이 지니는 동물의 이익을 인간의 이익과 동등하게 고려해야 한다고
될 수 있다고 본다. 본다. 레건은 삶의 주체가 될 수 있는 동물을 그 자체로 목적으로

14 EBS 수능특강 생활과 윤리


대우해야 한다고 본다.
5 코헨과 싱어의 동물 권리에 대한 입장 파악
③ 싱어, 레건은 모두 인간의 이익을 위해 동물에게 과 갑은 코헨, 을은 싱어이다. 코헨은 모든 인간이 인종
도한 고통을 주는 동물 실험을 해서는 안 된다고 본다. 에 관계없이 모두 도덕적 권리를 지니지만, 인간과 동물은 근본적
① 레건이 동의할 내용이므로 오답이다. 인 차이가 있기 때문에 인간과 달리 동물에게는 도덕적 권리가 없
② 싱어는 이성이 없는 존재가 모두 수단으로서의 가치만을 지니 다고 본다. 싱어는 쾌고 감수 능력을 지닌 존재의 이익을 인간의
는 것은 아니라고 본다. 이익과 동등하게 고려해야 한다고 본다.
④, ⑤ 싱어가 동의할 내용이므로 오답이다. ③ 코헨은 싱어와 달리 인간과 다른 종(種) 간에는 근
본적인 차이가 있기 때문에 인간이 다른 종을 차별적으로 대우하
는 것은 정당화될 수 있다고 본다.
3 칸트와 벤담의 동물 권리에 대한 입장 파악 ① 코헨은 동물을 도덕적 권리를 지닌 존재로 간주
(가)의 갑은 칸트, 을은 벤담이다. 칸트는 이성적 존재 하지 않는다.
인 인간을 수단만이 아니라 목적으로 대우할 것을 강조하는 정언 ② 싱어는 모든 생명체가 내재적 가치, 또는 그 자체로 가치를 지
명령을 제시하였다. 벤담은 공리주의의 입장에서 사회 전체의 쾌 닌다고 주장하지 않는다.
락을 극대화할 수 있는 행위를 가장 바람직한 행위로 본다. 칸트 ④ 코헨은 윤리 규범의 고안 능력이 있는 존재가 권리를 지닌다고
와 벤담의 입장에서 동물 복제 실험을 준비하고 있는 K에게 제시 본다.
할 조언을 파악하는 문항이다. ⑤ 코헨은 인간이 아닌 다른 종은 도덕적 권리를 지니지 못한다고
② 칸트는 동물에게 잔인한 사람은 인간을 대우할 때 본다.
에도 마찬가지로 거칠어지기 때문에 인간은 동물을 폭력적으로
다루어서는 안 된다고 주장한다. 따라서 동물 실험이 인간의 도덕
성에 해를 끼친다면 칸트는 그러한 동물 실험에 반대할 것이다. 6 동물 권리에 관한 입장 비교
① 칸트에 따르면 이성적 능력이 결여된 동물은 목 갑은 코헨, 을은 레건, 병은 데카르트이다. 코헨은 인
적적 존재가 될 수 없다. 간이 동물을 차별하는 종 차별주의는 정당화될 수 있다고 본다.
③ 벤담은 자연의 모든 생명체를 도덕적으로 고려할 것을 주장하 레건은 삶의 주체인 동물을 인간의 복지를 위한 수단으로 이용하
지 않는다. 는 것은 부당하다고 본다. 데카르트는 동물이 단순한 기계에 불과
④ 벤담은 모든 생명이 내재적 가치가 있다고 주장하지 않는다. 하며, 고통과 쾌락을 경험할 수 없다고 본다.
⑤ 칸트는 동물이 인간을 위한 수단으로서 가치를 지닌다고 본다. ① 갑, 을, 병은 모두 인간과 동물을 차이를 두어 구별
해야 한다고 본다.
② 갑, 을, 병 모두 부정의 대답을 할 질문이다. 동
4 동물 실험의 윤리적 쟁점 파악 물의 권리를 인정한다고 해서 인간과 동물을 동일하게 대하는 것
(나)의 ㉠에 들어갈 말은 ‘동물 실험은 동물의 권리를 침 은 아니다.
해하는 것이다.’이므로, ㉠에 대한 반론은 ‘동물 실험은 동물의 권리 ③ 갑, 을은 부정, 병은 긍정의 대답을 할 질문이다. 데카르트는
를 침해하는 것이 아니다.’이다. 이 반론의 근거를 찾는 문항이다. 동물을 고통과 쾌락을 경험할 수 없는 기계로 간주한다.
ㄱ. 동물이 인간을 위해 존재하는 것이라면 동물은 인 ④ 갑, 병은 부정, 을은 긍정의 대답을 할 질문이다. 레건은 삶의
간을 위한 수단의 지위만을 가질 뿐이므로 ㉠에 대한 반론의 근거 주체인 동물은 내재적 가치를 지닌다고 본다.
가 될 수 있다. ⑤ 갑, 을, 병 모두 부정의 대답을 할 질문이다. 동물은 도덕적 행
ㄷ. 동물을 영혼이 없는 기계로 간주하는 것은 ㉠에 대한 반론의 위를 할 수 있는 주체적 존재자가 아니다.
근거가 될 수 있다.
ㄴ. 동물의 지위를 인간의 지위와 동등하게 간주하
는 것이므로, ㉠에 대한 반론의 근거가 될 수 없다. 7 칸트와 싱어의 동물 권리에 대한 입장 파악
ㄹ. 동물의 이익을 인간의 이익과 동등하게 고려하는 것이므로, 갑은 칸트, 을은 싱어이다. 칸트는 인간 중심주의자로
㉠에 대한 반론의 근거가 될 수 없다. 인간은 동물에 대해 간접적인 도덕적 의무를 지닌다고 주장한다.

정답과 해설 15
정답과 해설

그렇게 주장한 이유는 동물을 잔인하게 다루면 인간성이 훼손될


01 프롬의 사랑의 의미 파악
수 있기 때문이지, 동물이 인간처럼 존엄한 존재이기 때문은 아니
제시문은 프롬의 주장이다. 프롬은 사랑을 ‘주는 것’이
다. 싱어는 ‘이익 평등 고려의 원칙’을 주장하면서, 인간을 우대하
라고 본다. 프롬에 따르면 준다는 것은 잠재력의 최고의 표현이며
고 쾌고 감수 능력을 지닌 동물을 차별하는 태도를 ‘종 차별주의
자신의 생명력을 고양시키는 것이다. 준다는 바로 그 행위를 통해
(종 이기주의)’라고 비판한다.
서 각자는 자신의 힘과 부의 능력을 경험하게 되기 때문이다.
③ 칸트는 이성을 지닌 존재만이 자율성을 지니고 도
② 사랑은 상대방을 이해하고 존중하는 것이지 소유하
덕적 의무를 이행할 수 있는 주체가 될 수 있다고 본다.
는 것은 아니다.
① 칸트는 고통을 느끼는 동물을 잔학하게 다루는
① 사랑은 상대방에 대한 참된 이해로부터 출발한다.
것을 잘못이라고 보지만, 싱어도 동의할 내용이므로 오답이다.
③ 사랑은 받는 것이 아닌 주는 것으로 능동적인 성격을 지니며, 자
② 칸트는 인간이 동물에 대한 간접적 의무를 지닌다고 본다.
신의 생동감을 고양함으로써 타인의 생동감을 고양시키는 것이다.
④ 싱어는 동물에게 고통을 주는 행위가 항상 잘못이라고 주장하
④ 사랑은 상대방의 요청에 진심으로 반응하는 것이다.
지는 않는다.
⑤ 사랑은 상대방을 지배하는 것이 아니라 있는 그대로 존중하는
⑤ 싱어는 인간의 이익을 동물의 이익과 평등하게 고려해야 한다
것이다.
고 본다.

8 배아 세포 복제에 대한 윤리적 쟁점 파악 02 성의 자기 결정권의 의미 파악


(가)는 미끄러운 경사면 논증이다. 미끄러운 경사면 제시문은 성의 자기 결정권을 올바르게 행사해야 한다

논증은 미끄러운 경사면에서 한번 미끄러지면 정지하지 못한 채 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 성의 자기 결정권은 외부의 강요 없이 스

계속 미끄러질 수밖에 없다는 점에서 잘못된 행동을 한번 하게 되 스로의 의지나 판단에 따라 성적 행동을 결정할 수 있는 권리이다.

면 계속 그러한 행동을 하게 된다는 것을 증명하는 논증이다. (나) ④ 상대방을 존중하려는 의도가 성적 행위를 정당화하
는 배아 복제를 허용해야 한다는 주장이다. 미끄러운 경사면 논증 는 필요충분조건은 아니다. 상대방을 존중하려는 의도가 있어도
의 입장에서 배아 복제를 어떻게 평가할 것인지를 파악하는 문항 상대방의 성의 자기 결정권을 침해할 수 있다.
이다. ① 자신의 성의 자기 결정권을 존중하는 것은 상대
② 미끄러운 경사면 논증의 입장에서는 배아 복제를 방의 성의 자기 결정권도 존중해야 함을 의미한다.
한번 허용하게 되면 배아 복제를 하게 되는 경우가 확산될 것이 ② 자신의 인격을 훼손하면서 성적 행동을 하는 것은 성의 자기
고, 이는 결국 개체 복제까지 나아가게 될 것이라고 생각할 것이다. 결정권을 존중하는 것이 아니다.

① (가)의 입장과 관련이 없다. 그리고 (나)의 강연 ③ 인간의 성은 개인적 가치뿐만 아니라 사회적·인격적 가치를

자의 입장이므로 제시할 수 있는 견해로 적절하지 않다. 지니므로 이러한 가치를 존중해야 한다.

③, ④, ⑤ (가)의 입장과 관련이 없으므로 제시할 수 있는 견해로 ⑤ 각 개인은 다른 사람으로부터 억압이나 강압을 받지 않은 상태

적절하지 않다. 에서 자율적으로 자신의 성의 문제를 결정할 수 있어야 한다.

03 성의 의미에 대한 쟁점 파악
성의 의미는 자연적 성(sex), 사회적·문화적 성

05 사랑과 성 윤리 (gender), 욕망으로서의 성(sexuality)으로 나누어 생각해 볼 수


있다. 자연적 성은 생물학적 신체 구조와 기능에 의해 결정되는
성 개념이다. 사회적·문화적 성은 사회적·문화적으로 구성되는
수 능 기본 문제 본문 59~60쪽
남성다움과 여성다움을 나타내는 성 개념이다. 욕망으로서의 성
은 성적 관심이나 성적 활동 등 성적 욕망과 관련되는 모든 것을
01 ② 02 ④ 03 ③ 04 ②
포괄하는 성 개념이다.
05 ④ 06 ③ 07 ④ 08 ④
③ 남녀의 신체적 차이를 바탕으로 하는 것은 자연적

16 EBS 수능특강 생활과 윤리


성이고, 심리적·문화적 차이는 사회적·문화적 성에서 중시한다. 관점에서 파악했다고 보고, 남성과 여성이 각각의 특징을 지니면
① 자연적 성은 남녀 성의 신체적·생리적 특징을 서도 상호 보완적인 역할을 지닌다고 본다. ‘어떤 사람들’은 음양
나타낸다. 론이 남성의 여성 지배를 정당화했다고 본다. ㉠에는 ‘나’의 관점
② 사회적·문화적 성은 남녀 성의 선천적 특징보다 문화 속에서 에서 ‘어떤 사람들’을 비판하는 내용이 들어가야 한다.
나타나는 성의 특징을 중요하게 고려한다. ③ 음양론에 따르면 음과 양은 바뀔 수 있다. 음과 양
④ 사회적·문화적 성은 남녀의 성적 특징이 남녀의 생물학적인 이 고정된 역할만을 수행하지 않는다는 점은 음양론이 남성의 여
특징과 반드시 연관되는 것은 아니라고 본다. 성 지배를 정당화했다고 주장하는 ‘어떤 사람들’을 비판하는 내용
⑤ 욕망으로서의 성은 성적 욕망이나 성적 관심을 표현하는 의미 이 될 수 있다.
로 사용된다. ① 음과 양이 동일한 역할을 수행하는 것은 아니다.
② 음양론에서는 남녀를 상호 분리된 존재로 파악하지 않는다.
④ 음양론에 따르면 음과 양은 수직적 위계 구조를 지니지 않는다.
04 성과 사랑의 관계에 관한 입장 파악 ⑤ ‘어떤 사람들’의 입장이기 때문에 ㉠에 들어갈 진술로 적절하
성과 사랑의 관계에 대하여 갑은 보수주의 입장이고, 지 않다.
을은 자유주의 입장이다. 보수주의는 성이 부부간의 신뢰와 사랑
을 전제로 할 때만 도덕적이라고 본다. 자유주의는 자발적 동의에
따라 다른 사람에게 피해를 주지 않는 한 성적 관계가 허용될 수 07 유교에서 형제자매 관계의 특징 파악
있다고 본다. (가)는 공자의 주장으로, (가) 사상은 유교 사상이다.
ㄱ. 갑은 성의 생식적 가치를 중시한다. (나)의 ㉠에 들어갈 개념은 ‘형제자매’이다. 형제자매는 형과 아우
ㄷ. 갑은 을과 달리 성의 주된 목표를 출산과 양육으로 본다. 의 순서가 있는 상하 관계이면서도 한 부모 아래 동기(同氣)라는
ㄴ. 중도주의의 입장이다. 을은 사랑하는 사람들 사 점에서 횡적 관계를 가진다. 그리고 형제자매는 연령의 차이를 통
이가 아니어도 성적 관계가 허용될 수 있다고 본다. 해 장유유서(長幼有序)의 도리를 깨닫고, 성별이 다를 경우 이성
ㄹ. 을의 입장으로 맞지만, 갑도 동의할 내용이므로 오답이다. 간에 지켜야 할 기본적인 예절을 배우는 관계이다.
④ 형제자매는 연령의 차이에 따라 장유유서의 도리를
실천하는 관계이면서 선택적 관계가 아닌 천륜(天倫) 관계이다.
05 보부아르의 성차별에 대한 입장 파악 ① 형제자매는 연령의 차이에 따라 서열이 존재하
제시문은 “제2의 성”이라는 책에서 남성과 동등한 여 는 관계이다.
성의 권리를 주장한 보부아르의 글이다. 보부아르는 여성이 사회 ② 서로 간에 자애(慈愛)와 효도를 실천해야 하는 관계는 부모 자
속에서 ‘여성다움’을 강요받아 왔다고 지적하고, 생물학적인 차이 녀 관계이다.
를 이유로 여성을 부당하게 차별하는 것은 잘못이라고 주장하였다. ③ 친구 관계에 대한 설명이다.
ㄱ. 보부아르는 여성은 남성과 마찬가지로 자율적 선 ⑤ 부부 관계에 대한 설명이다.
택 능력이 있다고 본다.
ㄴ. 보부아르는 여성성과 남성성을 사회 구조 안에서 만들어진 산
물이라고 본다. 08 가족의 의미와 가치 파악
ㄷ. 보부아르는 남녀의 성 역할이 사회적·문화적으로 강요된 가 ㉠에 들어갈 개념은 ‘가족’이다. 가족은 혼인, 혈연,
치관에 의해 결정되어 왔다고 하고, 이러한 관행을 없앨 것을 주 입양 등으로 이루어지는 사랑의 공동체이다. 가족은 가족 구성원
장한다. 에게 정서적으로 안정을 주고 생계를 유지하며, 사회를 유지·발
ㄹ. 보부아르는 남녀의 차별이 생물학적인 요소에 전시키는 데 필수적인 공동체이다.
의해 결정되어서는 안 된다고 본다. ㄱ. 가족은 구성원들이 피로를 풀고 정서적인 안정을
유지하게 하는 데 기여한다.
ㄴ. 가족은 사회생활에 필요한 규칙과 예절을 습득하는 터전이 된다.
06 음양론의 관점에서 남녀 관계의 성격 파악 ㄷ. 가족은 자녀를 출산하고 양육하여 다음 세대를 이루게 하는
제시문의 ‘나’는 전통 사회에서 남녀 관계를 음양론의 데 기여한다.

정답과 해설 17
정답과 해설

ㄹ. 가족은 연령의 차이에 따라 수직적인 역할도 강 3 부부 관계의 특징 파악


조되는 관계이다. 제시문은 “예기”, ‘혼의’의 내용이다. 남녀의 구별을
전제로 부부가 서로 공경하고 삼갈 때 부부간의 올바름이 실현되
며, 부부간의 올바름이 실현될 때 부자간이나 군신 간의 올바름도
실현된다는 것이 제시문의 취지이다.
ㄱ. 부부는 서로의 역할을 구분하여 수행해야 한다.
수능 실전 문제 본문 61~63쪽
ㄷ. 부부간에는 부부유별(夫婦有別)의 덕목이 필요하다. 부부유
1④ 2③ 3④ 4⑤ 별은 부부 사이에 분별이 있어야 함을 강조한다.
5② 6② ㄹ. 부부는 친밀한 사이이지만 서로 손님을 대하듯 공경해야 하는
관계이다.
1 프롬의 사랑의 의미 파악 ㄴ. 부부의 의가 있어야 부자간의 친함이 있게 된다.
제시문의 사상가는 프롬이다. 프롬은 참다운 사랑의
실천을 위해서는 보호, 책임, 존경, 이해 등이 요구된다고 보았
다. 프롬에 따르면 이 네 가지 요소는 상호 의존적이며 자신의 힘 4 성 상품화의 윤리적 쟁점 파악
에 바탕을 둔 겸손을 깨우친 성숙한 사람에게서 찾아볼 수 있는 (가)의 갑은 벤담, 을은 칸트이다. 벤담은 쾌락과 행복
일련의 태도이다. 을 가져다주는 행위는 옳은 행위이며, 고통과 불행을 가져다주는
ㄴ. 사랑은 수동적인 감정이 아니라 상대방에게 적극 행위는 그릇된 행위라고 본다. 칸트는 행위의 결과보다는 동기를
적인 관심을 갖는 능동적 활동이다. 중시하면서 오로지 의무 의식에서 나온 행위만이 도덕적 가치를
ㄹ. 사랑은 상대방이 자신의 능력을 온전히 발휘하도록 도와주는 지닌다고 본다. 경제적으로 빈곤한 상태에 놓여 있는 K는 자신의
것이다. 성을 상품화하여 돈을 벌어야 할지 고민하고 있다.
ㄱ. 사랑은 상대방을 나의 입장에서 파악하는 것이 ⑤ 갑은 유용성의 원리, 을은 도덕 법칙을 도덕적 행위
아니라 상대방을 그 자체로 존중하는 것이다. 여부를 판단하는 기준으로 제시한다. 따라서 갑, 을은 모두 인간
ㄷ. 상대방을 위한다고 할지라도 자신을 희생하는 것은 진정한 사 이 지켜야 할 도덕 원리에 따라 행위 할 것을 강조한다고 볼 수 있다.
랑이 아니다. ① 을이 제시할 수 있는 견해이다. 갑은 보편적인
정언 명령에 따라 행위 할 것을 주장하지 않는다.
② 갑은 신체가 절대적 가치를 지녔다고 주장하지 않는다.
③ 을은 감정이 도덕성의 근거가 될 수 없다고 본다.
2 성과 사랑의 관계에 대한 입장 파악 ④ 을은 사회 전체의 행복에 기여하는 행위가 도덕적인 행위라고
성과 사랑의 관계에 관하여 갑은 중도주의, 을은 보수 간주하지 않는다.
주의 입장을 취하고 있다. 중도주의는 사랑이 동반된 성적 관계는
허용될 수 있다고 본다. 보수주의는 결혼을 통해 이루어지는 성적
관계만이 도덕적이라고 주장한다. 5 유교에서 우애의 성격 파악
③ 중도주의와 보수주의는 모두 오직 쾌락만을 위한 (가)는 공자의 주장으로 유교 사상이다. (나)의 가로
성은 비도덕적이라고 본다. 중도주의는 사랑이 전제될 때, 보수주 낱말 (A)는 ‘우정(友情)’, (B)는 ‘인류애(人類愛)’이므로 세로 낱말
의는 부부간의 신뢰와 사랑이 전제될 때 성적 관계가 허용될 수 (A)는 ‘우애(友愛)’이다. 유교 사상의 입장에서 우애의 성격을 파
있다고 본다. 악하는 문항이다.
① 갑의 입장으로 맞지만, 을도 동의할 내용이므로 ② 형제자매 간에 서로 사랑하고 공경하는 우애는 효
오답이다. 를 실천하는 기본적인 덕목이다.
② 을의 입장에만 해당한다. ① 부자유친(父子有親)에 대한 설명이다.
④ 갑의 입장에만 해당한다. ③ 우애는 가족 관계 내에서 나타나는 규범이다.
⑤ 을의 입장으로 맞지만, 갑도 동의할 내용이므로 오답이다. ④ 효의 시작인 불감훼상(不敢毁傷)에 대한 설명이다.

18 EBS 수능특강 생활과 윤리


⑤ 형제간의 우애는 장유(長幼)에 따른 수직적인 특징도 지니는 맡은 일에 전념해야 한다고 보았다.
덕목이다.

02 칼뱅의 직업 소명설 이해
6 아리스토텔레스의 친애의 의미 파악 제시문의 사상가는 칼뱅이다. 칼뱅은 종교적 사제직
제시문은 아리스토텔레스의 주장이다. 아리스토텔레 과 세속적 직업 모두 신의 부르심에 따라 주어진 소중한 것이라고
스는 부모는 자녀를 사랑하고, 자녀는 부모를 사랑하며, 형제는 보았다. 그는 이러한 믿음을 바탕으로 근면 성실하고 검소한 직업
한 부모 아래의 동기로서 서로를 사랑해야 한다고 본다. 생활을 할 것을 강조하였다.
② 아리스토텔레스는 혈연을 기초로 한 친애의 연원은 ㄱ. 칼뱅은 모든 직업이 신의 부르심이므로 귀천이 없
부자의 친애라고 주장하고 있다. 다고 보았다.
① 아리스토텔레스는 공동체적 친애가 합의에 근거 ㄴ. 칼뱅은 노동을 세속에서 신의 뜻에 참여하는 한 방식이라고
한다고 본다. 보았다.
③ 아리스토텔레스는 가족 간의 친애가 자연스럽고 필연적인 것 ㄷ. 칼뱅은 소명에 충실해야 하는 이유가 부를 축적
이라고 본다. 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소명이 신의 거룩한 부르심이기 때문이라
④ 아리스토텔레스는 부모가 자식을 먼저 사랑하고 시간이 경과 고 보았다.
한 뒤에 자식이 부모를 사랑하게 된다고 본다. ㄹ. 칼뱅은 소명에 충실히 임해서 결과적으로 얻게 되는 세속적
⑤ 아리스토텔레스는 자식이 이해하는 힘이 생기고 지각할 수 있 이익은 신의 뜻을 어기는 것이 아니라고 보았다.
게 된 이후에 부모를 사랑하게 된다고 본다.

03 맹자의 직업에 대한 입장 파악
제시문의 사상가는 맹자이다. 맹자는 공동체가 조화
롭게 유지되기 위해서는 각자 타고난 능력에 맞게 일을 분업하여

06
자신의 직분에 충실해야 한다고 보았다.
직업과 청렴의 윤리 ③ 맹자는 각자가 자신의 사회적 직분에 상응하는 덕
을 발휘해야 한다고 보았다.

수 능 기본 문제 본문 70~71쪽 ① 맹자는 사회적 분업을 주장하였다.


② 맹자는 통치자와 생산자의 역할을 구별 지어야 한다고 보았다.
01 ③ 02 ① 03 ③ 04 ① ④ 맹자는 정치를 하는 대인과 농업이나 기술에 종사하는 소인을
05 ③ 06 ③ 07 ② 08 ⑤ 구별하고, 대인은 마음 쓰는 일을 하고 소인은 힘쓰는 일을 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01 전통 사회의 장인 정신 이해 ⑤ 맹자는 기술이 정치보다 더 가치 있다고 보지 않았다.
제시문은 전통 사회의 직업관을 설명하고 있다. 전통
사회에서는 기술을 연마하여 탁월한 능력을 발휘하고, 이를 통해
사회적 책임을 다하는 장인 정신을 강조하였다. 04 기업과 기업가의 윤리 이해
③ 전통 사회에서는 자신의 전문성을 향상시킴으로써 (가)는 기업의 적극적 책임을 강조하는 입장이고, (나)
사회적 책임을 다할 수 있다고 보았다. 는 기업의 소극적 책임을 강조하는 입장이다. 기업의 책임을 소극
① 전통 사회에서는 자신의 직분에 전념하고 재능 적으로 해석하는 입장에서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이 준법과 이윤
을 키울 것을 강조하였다. 창출에 한정된다고 본다. 반면 기업의 책임을 적극적으로 해석하
② 전통 사회에서는 직업을 통해 사회에 기여해야 한다고 보았다. 는 입장에서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이 준법과 이윤 창출뿐만 아니
④ 전통 사회에서는 각자 주어진 일에 전념할 것을 강조하였고, 라 공익 증진에도 있다고 본다.
학문 연구는 선비의 일이라고 보았다. ① (가)는 기업이 이윤 창출 이외의 사회적 책임을 져
⑤ 전통 사회에서는 여러 가지 일을 고르게 잘 하기보다는 자신이 야 한다고 본다.

정답과 해설 19
정답과 해설

② (나)는 기업의 책임이 투자자의 이익 증대에 있 에서 주어진 소임을 다할 것을 강조하였다. 순자는 사람들은 누구
다는 점을 강조한다. 나 자신의 이익을 추구하며, 그 과정에서 다툼이 생기므로 예(禮)
③ (나)는 기업이 공익 증진에 책임이 있다고 강조하지 않는다. 로 다스려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또한 일은 덕과 능력에 따라 배
④, ⑤ (나)의 입장에서 (가)의 주장에 대해 제기할 수 있는 판단이다. 분해야 한다고 보았다.
ㄱ. 공자와 순자는 자신의 소임을 충실하게 해야 한다
고 보았다.
05 공직자 윤리 이해 ㄷ. 공자와 순자는 개인이 지닌 덕에 따라 일을 나누어 해야 한다
제시된 내용은 ‘공직자 윤리법’의 일부이다. 공직자 윤 고 보았다.
리법에서는 공직자의 직무상 공정성을 확보하기 위해 공직자가 ㄴ. 공자와 순자는 직업을 자율적으로 선택하는 것
직무와 관련하여 사적 이해를 추구하지 않도록 규정하고 있다. 이 아니라 각자의 덕에 따라 정해져야 한다고 보았다.
③ 공직자는 국민으로부터 권한을 위임받아 국가적 의 ㄹ. 공자는 군자가 육체노동에 미숙할 수 있다고 보았다.
사 결정 과정에서 큰 영향력을 행사하는 지위에 있다. 공직자 윤
리법에서는 이러한 지위를 이용해 부당한 이익을 취하지 않도록
규정하고 있다. 08 마르크스의 노동에 대한 입장 파악
① 공직자는 자신이 지닌 권한을 이용해 이익을 취 제시문의 사상가는 마르크스이다. 마르크스는 인간이
하면 안 된다. 노동을 통해 본질을 실현할 수 있다고 보았다. 그러나 그는 자본
② 공직자는 공과 사를 구별하여 공직 수행 과정에서 사적 이익을 주의 체제가 분업을 통해 노동자를 착취하므로 노동은 진정한 가
추구하면 안 된다. 치를 상실하고 노동 소외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고 주장하였다.
④ 공직자는 공무상 취득한 정보를 타인에게 특혜를 주기 위해 남 ⑤ 마르크스는 자본주의 사회에서 노동자는 자본에 종
용하면 안 된다. 속되고 자본가의 이윤 창출의 수단으로 전락하게 되면서 노동 소
⑤ 공직자는 업무의 효율성을 높여 공익을 증진시키는 것도 중요 외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고 보았다.
하지만 정당하고 공정한 수단을 사용해야 한다. ① 마르크스는 자본가가 이윤 증대를 위해 노동자
를 착취한다고 보았다.
② 마르크스는 자본주의 사회에서는 노동을 통해 자아실현을 하
06 전문직 윤리의 특징 파악 기가 어렵다고 보았다.
제시된 교사와 학생 간의 대화는 전문직에 대한 내용 ③ 마르크스는 기계화로 인해 노동자는 더욱더 단순한 일을 반복
이다. 전문직은 전문적 지식과 기술을 독점적이고 자율적으로 수 하게 된다고 보았다.
행하여 일반적으로 높은 보수와 존경을 받으면서 사회적으로 높 ④ 마르크스는 분업이라는 노동 형태가 자본가의 이익 창출에는
은 영향력을 행사한다. 유리하지만 노동을 통한 자아실현을 어렵게 한다고 보았다.
ㄴ. 전문직은 전문적 지식과 기술을 지니므로 사회에
큰 영향력을 끼칠 수 있다.
ㄷ. 전문직 종사자는 일반인들이 알기 힘든 전문적인 지식을 지녔
수능 실전 문제 본문 72~75쪽
기 때문에 전문 지식을 남용하여 부당한 이익을 취할 수 있다.
ㄱ. 전문직은 일반적으로 사회적으로 우월한 지위 1② 2③ 3③ 4③
를 누린다. 5④ 6⑤ 7② 8①
ㄹ. 전문직 종사자는 전문 지식을 가지고 자율적으로 일을 한다.
국민 전체를 대변하는 일에 종사하는 사람은 공직자이다. 1 순자와 플라톤의 직업관 비교 이해
갑은 순자, 을은 플라톤이다. 순자는 각자가 지닌 덕
과 능력에 따라 일을 분배해야 한다고 보았으며, 분배의 기준으로
07 공자와 순자의 직업관 비교 이해 ‘예’를 제시하였다. 플라톤은 사람들이 타고난 성향에 맞는 직업
갑은 공자, 을은 순자이다. 공자는 덕이 있는 군자와 에 종사해야 하며, 그렇게 분배된 직업을 개인의 선호에 따라 바
덕이 부족한 소인을 구별하고, 각자가 자신의 덕에 부합하는 자리 꾸면 안 된다고 주장하였다.

20 EBS 수능특강 생활과 윤리


ㄱ. 순자는 각자의 덕과 능력에 따라 분업해야 사회 질 은 마음 쓰는 일에 능해야 한다고 보았다.
서가 유지될 수 있다고 보았다. 네 번째 입장과 관련해 맹자는 누구나 자유롭게 일을 선택할 것이
ㄹ. 순자와 플라톤은 개인의 사회적 역할은 능력에 따라 구분되어 아니라, 자신의 덕에 맞는 일을 해야 한다고 보았다.
야 한다고 보았다.
ㄴ. 플라톤은 치자와 피치자가 각자의 직분에 충실
하고 서로의 일에 참견하지 않는 것이 정의롭다고 보았다. 4 중세 그리스도교와 칼뱅의 직업관 비교 이해
ㄷ. 플라톤은 개인이 타고난 덕에 맞는 계층에서 자신이 맡은 사 가상 인터뷰의 갑은 중세 그리스도교 신학자이고, 을
회적 역할에 충실해야 하고, 자유롭게 계층 이동을 하면 안 된다 은 칼뱅이다. 가상 인터뷰의 중세 신학자는 노동을 인간이 지은
고 보았다. 원죄에 대한 속죄로 보았으며, 세속적인 삶보다 종교적인 삶이 더
가치 있다고 주장하였다. 칼뱅은 다양한 삶의 양식들 모두가 신의
뜻에 따른 것이므로 자신의 일을 소명으로 받아들여야 한다고 보
2 기업가와 근로자의 윤리 이해 았다.
칼럼에서는 기업 내부에서 일어나는 불법적이고 비윤 ㄷ. 을은 신이 부여한 일을 근면 성실하게 잘해서 다른
리적인 문제와 그러한 문제를 내부인이 고발했을 때, 내부 고발자 사람들을 도울 수 있는 것을 바람직하다고 보았다.
에 대한 보호가 미비한 점을 지적하고 있다. ㉠에는 기업의 불법 ㄹ. 갑, 을은 노동이 신에 의해 인간에게 부여된 것이므로 성실하
행위 또는 비윤리적 행위에 대한 규제 방안과 내부 고발자 보호 게 소임을 다해야 한다고 보았다.
방안 등의 내용이 들어가야 한다. ㄱ. 갑은 세속적인 일을 인간이 지은 죄에 대한 대
③ 칼럼은 기업에 대한 규제가 필요하다는 입장이므 가라고 보았다.
로, 기업가의 자유를 보장해야 한다는 내용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 ㄴ. 을은 구원이 예정되어 있으므로 근면 성실한 직업 생활을 한
한 방안과 거리가 멀다. 다고 해도 누구나 구원받을 수 있는 것은 아니라고 보았다. 다만
① 내부 고발자가 부당하게 피해를 입지 않도록 제 근면 성실하게 일해서 직업적인 성공을 거두는 것은 긍정하였다.
도적으로 보호해 주어야 한다.
② 기업이 대내외적으로 비리를 저지르지 못하도록 기업 경영의
투명성을 높여야 한다. 5 마르크스의 직업관 파악
④ 약자의 위치에 있는 노동자의 정당한 권리 보장을 위해서는 정 제시문의 사상가는 마르크스이다. 마르크스는 자본주
부의 기업에 대한 감시가 필요하다. 의 체제에서 노동자는 자기 본질 실현을 위한 자발적인 노동을 하
⑤ 노사 양측이 서로 상생적인 관계임을 인식하고 기업가가 노동 는 것이 아니라, 자본에 예속되어 생산을 위한 수단으로 전락한다
자에 대한 의무를 다하면 노동자의 권리가 더욱 잘 보장될 수 있 고 주장하였다. 그는 이러한 노동 소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을 것이다. 사적 소유를 철폐하고 공산주의로 나아가야 한다고 보았다.
④ 마르크스는 노동 소외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위해서는 사적 소유를 철폐해야 한다고 보았다.
3 맹자의 직업관 이해 ① 마르크스는 노동자의 생산성 증대로 인한 이익
제시문의 사상가는 맹자이다. 맹자는 마음을 쓰는 사 이 노동자에게 돌아가지 않는다고 보았다.
람[勞心者]과 힘을 쓰는 사람[勞力者]을 구별하고, 각자가 자신의 ② 마르크스는 노동 소외 현상이 자본가의 자선 행위로 해결될 수
직분에 맞게 자신의 역할을 다해야 한다고 보았다. 또한 일반 백 없고, 사적 소유를 철폐해야 해결될 수 있다고 보았다.
성들이 도덕성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일정한 노동을 통한 경제적 ③ 마르크스는 필요에 따른 분배가 이상적이라고 보았다.
인 안정이 필요하다고 보았다. ⑤ 마르크스는 분업이 노동자의 인간다운 삶을 불가능하게 한다
두 번째 입장과 관련해 맹자는 통치자와 피치자는 서 고 보았다.
로 역할을 달리하면서 상호 의존적인 관계라고 보았다.
세 번째 입장과 관련해 맹자는 백성들에게 일정한 생업이 보장되
어야 도덕적으로 살 수 있다고 보았다. 6 퍼트넘의 ‘사회적 자본’ 관점 이해
첫 번째 입장과 관련해 맹자는 남을 다스리는 사람 (가) 사상가는 퍼트넘이다. 퍼트넘은 사회 구성원들

정답과 해설 21
정답과 해설

간의 신뢰를 사회적 자본으로 파악하고, 사회적 자본이 구성원들 위한 노력을 강조하는 정도(Y)는 높으며, 노동자의 복지 향상을
간의 협력적 행동을 촉진해 효율성을 향상시킨다고 보았다. (나) 위한 책임을 강조하는 정도(Z)는 높다.
의 ㉠은 기업가, ㉡은 근로자이다.
⑤ 퍼트넘은 ㉠, ㉡의 연대와 호혜적 관계가 사회적 자
본을 형성한다고 보았다.
① 퍼트넘은 기업가가 신뢰 구축과 의사소통의 활
성화를 위해 노력해야 한다고 본다.
② 퍼트넘은 근로자의 시민적 품성이 생산의 효율성을 향상시키 07 사회 정의와 윤리
는 데 기여한다고 본다.
③ 퍼트넘은 기업가와 근로자의 협력이 사회적 자본이 되어 공동 수 능 기본 문제 본문 82~83쪽
체의 이익을 증진시킨다고 본다.
④ 퍼트넘은 기업가와 근로자가 상호 이익 증진을 위해 협력할 수 01 ④ 02 ③ 03 ⑤ 04 ⑤
있다고 본다. 05 ① 06 ③ 07 ② 08 ④

01 니부어의 사회 윤리적 관점 이해
7 정약용과 플라톤의 공직자 윤리 이해 제시문의 사상가는 니부어이다. 니부어는 집단이 개
갑은 정약용, 을은 플라톤이다. 정약용은 관리가 욕심 인보다 부도덕하며 개인의 이기적인 성향은 집단 속에서 강화되
을 내면 백성의 삶을 어렵게 만들기 때문에 반드시 절약해야 하 어 나타난다고 보았다. 따라서 집단들 간의 문제는 개인의 윤리적
며, 청렴한 자세로 애민(愛民)과 봉공(奉公)을 실천해야 한다고 주 양심에 호소하기보다 사회적 강제력으로 해결해야 한다고 주장하
장하였다. 플라톤은 국가를 다스리는 사람은 공정해야 하므로 사 였다.
적인 이익을 취하면 안 된다고 주장하였다. ㄴ. 니부어는 집단이 개인에 비해 이성과 자기 극복 능
ㄱ. 정약용은 공직자는 절약하는 삶을 살아야 한다고 력이 부족하다고 보았다.
보았다. ㄹ. 니부어는 집단들 간의 갈등 해결을 위해 정치력과 같은 강제
ㄷ. 정약용과 플라톤은 다스리는 사람이 직책에 맞는 능력을 지녀 력이 사용될 수 있다고 보았다.
야 한다고 보았다. ㄱ. 니부어는 집단들 간의 문제가 개인 문제로 환원
ㄴ. 플라톤은 수호자가 정치를 하고 시민들은 각자 될 수 없다고 보았다.
의 능력에 따른 직분을 다해야 한다고 보았다. ㄷ. 니부어는 합리성과 선의지를 통해 개인의 도덕성은 유지하는
ㄹ. 플라톤만의 입장이다. 게 가능하지만 집단의 도덕성은 유지하기 어렵다고 보았다.

8 기업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두 입장 비교 이해 02 아리스토텔레스의 정의에 대한 입장 파악


갑은 프리드먼, 을은 애로우이다. 프리드먼은 기업의 제시문의 사상가는 아리스토텔레스이다. 아리스토텔
책임을 소극적으로 해석하여 기업은 시장의 질서를 준수하면서 레스는 정의를 일반적 정의와 특수적 정의로 나누었다. 일반적 정
자유 경쟁을 통해 주주들의 이익을 최대화하는 데 직접적인 책임 의는 시민들이 공정한 법을 준수하는 상태를 의미한다. 특수적 정
이 있다고 주장하였다. 애로우는 자기 이익만 추구하는 기업은 사 의는 분배적 정의와 교정적 정의로 나뉘는데, 분배적 정의는 각자
회적으로 비효율적인 상황을 발생시키며, 기업은 합법적인 의무 의 몫을 비례에 따라 분배하는 것이고, 교정적 정의는 교섭에서
를 넘어서 소비자나 환경을 고려하는 사회에 대한 도덕적인 책임 잘못된 부분을 바로잡는 것이다.
까지 져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③ 아리스토텔레스가 긍정의 대답을 할 질문이다.
① 을은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강조하면서 기업은 이 ① 아리스토텔레스는 각자가 기여한 가치에 비례하
익 창출 이외에도 인권이나 환경에 관심을 가지고 그와 관련된 문 여 분배받아야 한다고 보았다.
제 해결을 위해 노력해야 한다고 보므로, 갑에 비해 기업의 책임 ② 아리스토텔레스는 물질 이외에도 명예와 그 밖의 다른 것들도
을 이윤 추구에 한정시키는 정도(X)는 낮고, 기업의 공익 실현을 분배의 대상이 된다고 보았다.

22 EBS 수능특강 생활과 윤리


④ 아리스토텔레스는 각자의 가치에 따른 분배 방식이 정의롭다고 적·문화적 맥락에 따른 다양한 정의의 기준을 인정하였다.
보았다. ① 왈처가 지지할 주장이다.
⑤ 아리스토텔레스는 분배에서 기하학적 비례를 따르는 동등함을 ② 왈처는 가치 분배의 과정에서 보편적인 하나의
추구해야 한다고 보았다. 기준이 일괄적으로 적용되는 것이 아니라, 각 영역의 고유한 기준
이 각각 적용되어야 한다고 보았다.
③ 왈처는 정의의 다양한 영역들 간의 경계가 필요하다고 보았다.
03 우대 정책에 대한 찬반 입장 파악 ④ 왈처는 정의의 영역 간의 경계가 있어야 한다고 보았으므로,
서술형 평가 문제의 ‘A’는 ‘우대 정책’이다. 우대 정책 한 영역에서 우월한 사람이 다른 영역에서도 우위에 서야 한다고
은 특정 집단에 대한 역사적·사회 구조적인 부당한 차별이나 불 하지 않는다.
평등을 바로잡기 위한 정책이다. 따라서 사회적 약자에 대해 배려 ⑤ 왈처는 정의의 기준은 구체적 상황을 고려해야 한다고 보았으
할 수 있고 실질적 기회균등을 보장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므로, 정의의 원칙이 개인의 정체성을 배제시킨 상황에서 도출되
역차별의 문제나 업적주의에 위배된다는 문제도 있다. 어야 한다고 하지 않는다.
⑤ 우대 정책을 반대하는 입장에서는 우대 정책이 개
인의 능력이나 성과에 따라 분배하지 않는다고 본다.
① 우대 정책은 실질적 기회균등을 가능하게 한다.
②, ③ 우대 정책을 찬성하는 입장의 논거이다. 06 마르크스와 노직의 분배에 관한 입장 이해
④ 우대 정책을 반대하는 입장의 논거이다. 갑은 마르크스, 을은 노직이다. 마르크스는 자본주의
의 분배 방식이 불평등을 심화시키므로, 사적 소유를 철폐하고 필
요에 따른 분배가 이루어져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노직은 절차적
04 롤스의 정의론 이해 정의의 관점에서 재화의 취득, 이전의 과정이 부당하지 않다면 재
제시문의 사상가는 롤스이다. 롤스는 공정한 절차를 화에 대한 개인의 소유를 철저하게 보장해 주어야 한다고 주장하
통해 합의된 것이라면 정의롭다고 보는 순수 절차적 정의의 입장 였다.
에서, 모든 사람에게 공정하다고 받아들여질 수 있는 정의의 원칙 ③ ‘생산 수단에 대한 개인의 정당한 소유권은 배타적
을 제시하였다. 으로 보장되어야 하는가? ’에 대해 마르크스는 부정, 노직은 긍정
⑤ 롤스는 분배의 절차가 공정하고 그 공정한 절차가 의 대답을 할 것이고, ‘정의로운 사회는 사회적 불평등이 사라진
제대로 실행되면 결과도 공정한 것으로 받아들여야 한다는 순수 사회인가? ’에 대해 마르크스는 긍정, 노직은 부정의 대답을 할 것
절차적 정의의 입장이다. 이다. 따라서 갑은 B, 을은 C와 연결되어야 한다.
① 롤스는 사회 제도가 추구해야 할 제1덕목을 정의
로 보았다.
② 롤스는 원초적 입장의 사람들을 자신의 이익을 추구하는 존재
로 가정하였다. 07 다양한 분배 기준의 특징 비교 이해
③ 롤스는 정의로운 사회에서도 빈부 격차가 존재할 수 있다고 보 제시문은 분배 기준에 대한 교사의 질문과 학생들의
았다. 대답이다. 갑은 분배의 기준으로 절대적 평등, 을은 업적, 병은 필
④ 롤스는 사회적 약자들에게 이익이 되는 경우에도 정부에 의한 요를 강조하고 있고 이를 기준으로 분배해야 한다고 본다.
재분배가 가능하다고 보았다. ② 을의 업적에 따른 분배의 장점에 해당하는 내용이다.
① 갑은 절대적 평등을 기준으로 똑같이 나누어야
한다고 본다.
05 왈처의 복합 평등으로서의 정의관 이해 ③ 병은 필요에 따른 분배를 주장한다. 혜택을 균등하게 나누어야
그림의 강연자는 왈처이다. 왈처는 특정 영역의 사회 한다고 보는 것은 갑의 입장이다.
적 가치가 지배적 역할을 하여 다른 영역을 획득하는 데 기여하는 ④ 갑의 분배 방식이 을에 비해 분배의 양을 정하기가 쉽다.
것을 금지하고, 특정한 가치는 자신의 고유한 영역 안에 머무르는 ⑤ 병의 필요에 따른 분배 방식이 갑에 비해 어려운 처지의 친구
복합 평등으로서의 정의를 제시하였다. 또한 공동체들의 역사 를 더 배려할 수 있다.

정답과 해설 23
정답과 해설

08 형벌에 대한 칸트와 벤담의 입장 파악 사람은 통치에서 이익보다 인의의 덕을 먼저 생각하는 왕도 정치


(王道政治)를 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플라톤은 정의로운 국가가
갑은 칸트, 을은 벤담이다. 칸트는 응보주의 입장에서
되기 위해서는 철학자가 통치해야 하며, 각 계층의 사람들은 자신
위법 행위는 반드시 그에 상응하는 처벌을 받아야 한다고 주장하
의 타고난 성향에 맞는 일을 해야 한다고 보았다.
였다. 벤담은 공리주의 입장에서 형벌은 고통을 야기하므로 악이
지만 사회 전체의 행복 증진을 위한 필요악이라고 주장하였다. ④ 플라톤은 사람들이 각자 타고난 성향에 맞는 일을
충실히 수행하면 사회가 정의롭게 된다고 보았다.
ㄱ. 칸트는 응보주의 관점에서 살인에 대한 정당한 보
복은 사형이라고 보았다. ① 맹자는 인의의 덕으로 다스림으로써 정의를 실
ㄴ. 벤담은 공리주의 관점에서 형벌의 목적을 사회적 이익 증진이 현해야 한다고 보았다.
라고 보았다. ② 맹자는 통치자가 이익보다 의로움을 우선시해야 한다고 보았다.
ㄹ. 칸트는 동해 보복의 원칙에 따라야 한다고 보았으며, 벤담은 ③ 플라톤은 나라의 일은 사람들이 타고난 성향에 따라 나누어 해
범죄로 인한 이익이 처벌로 인한 고통보다 더 크지 않도록 해야 야 한다고 보았다.
한다고 제한하고 있다. ⑤ 맹자와 플라톤의 공통적인 입장에 해당하는 내용이다.

ㄷ. 벤담의 입장에만 해당하는 내용이다. 칸트는 응


당한 보복이 형벌의 목적이라고 보았다.
3 롤스와 노직의 정의에 대한 입장 이해
갑은 롤스, 을은 노직이다. 롤스는 모든 구성원들이

수능 실전 문제 본문 84~88쪽
가상적 상황에서 자신의 이익의 안정적 확보를 위해 동의하게 될
정의의 원칙을 제시하였다. 가상적 상황에서 인간은 자신이 가장
1③ 2④ 3② 4③ 불리한 상황에 놓일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모든 사람에게 이익이
5③ 6④ 7③ 8① 되는 원칙에 합의하게 된다고 주장하였다. 노직은 개인의 정당한
9② 10 ⑤ 소유물에 대한 배타적이고 절대적인 권리를 강조하면서, 개인의
권리를 보호하는 역할만 수행하는 최소 국가가 정당하다고 주장
1 니부어의 사회 윤리 관점 이해 하였다.
제시문의 사상가는 니부어이다. 니부어는 개인의 도 ② 롤스는 긍정, 노직은 부정의 대답을 할 질문이다.
덕성에 호소해서는 사회 문제를 해결할 수 없다고 보고, 사회 집 ① 롤스와 노직 모두 긍정의 대답을 할 질문이다.
단 간의 힘의 불균형과 집단 이기주의로 인한 갈등은 제도와 정책 ③ 롤스가 부정의 대답을 할 질문이다.
의 개선을 통해 해결해야 한다고 보았다. ④ 롤스가 부정의 대답을 할 질문이다. 기본적 자유는 사회적 약
두 번째 입장에 대해 니부어는 집단들 간의 관계는 힘 자의 처지 개선을 위해 제한될 수 없다.
의 비율에 따라 결정된다고 보았다. ⑤ 노직이 부정의 대답을 할 질문이다. 노직은 재화의 취득과 이
세 번째 입장에 대해 니부어는 집단들 간의 갈등을 해결하기 위해 전의 과정에서 부정의가 발생하는 경우 국가가 개입할 수 있다고
서는 도덕적인 사람이 허용하기 어려울 수 있는 강제력을 사용할 보았다.
수 있다고 보았다.
첫 번째 입장에 대해 니부어는 집단들 간의 갈등을
도덕적으로 해결하기는 어렵지만, 집단 내부의 개인들 간의 갈등 4 롤스와 노직의 부유세에 대한 입장 파악
은 도덕적 방법으로 해결 가능하다고 보았다. 제시된 ㉠ 정책은 ‘부유세’이다. 부유세는 일정액 이상
네 번째 입장에 대해 니부어는 집단의 개인에 대한 영향이 더 강 의 자산을 보유하고 있는 사람에게 부과하는 세금으로, 많은 재산
력하기는 하지만, 개인의 도덕성도 집단에 영향을 끼칠 수 있다고 을 가진 특정 상위 계층에 부과된다. 이에 대해 찬성하는 입장에
보았다. 서는 부유세가 빈부 격차를 완화하여 불평등 문제를 해소하고 사
회 통합에 기여한다고 주장하며, 이에 대해 반대하는 입장에서는
부유세가 부자들에 대한 역차별이며, 개인의 재산에 대한 지나친
2 맹자와 플라톤의 정의관 파악 침해라고 주장한다.
갑은 맹자, 을은 플라톤이다. 맹자는 국가를 다스리는 ③ 을은 부유세 부과가 자유 시장의 원리에 따르지 않

24 EBS 수능특강 생활과 윤리


는 것이므로 옳지 않다고 볼 것이다.
7 칸트와 공리주의의 형벌에 대한 입장 파악
① 갑은 사유 재산권이 보장되어야 하지만 일정한 조 (가)는 칸트, (나)는 공리주의의 형벌에 대한 입장이
건이 충족된다면 국가에 의한 재분배가 허용 가능하다고 보았다. 다. 칸트는 응보주의 관점에서 형벌은 범죄자가 아닌 범죄 행위
② 갑은 부유세 부과가 사회적 약자들에게 이익이 된다면 정당하 그 자체에 대한 보복으로 가해져야 하며, 살인에 대한 응당한 보
다고 볼 것이다. 부유세 부과는 불법적인 재화를 재분배하는 것이 복은 사형이라고 주장하였다. 공리주의는 형벌이 그 자체로는 고
아니다. 통을 야기하므로 나쁜 것이지만 사회적 이익 증진을 위해 필요하
④ 을은 개인들 간의 선천적 능력의 차이를 공동 자산으로 볼 수 다고 보았다.
없다고 보았다.
ㄷ. (가)는 응보주의 관점에서 범죄에 대한 양형은 동
⑤ 을은 부유세 정책과 같은 국가에 의한 부의 재분배 정책에 반
해 보복의 원리에 따라 정해져야 한다고 본다.
대한다.
ㄹ. (가)는 범죄자라 할지라도 그의 인격을 사회적 이익 증진을 위
한 수단으로만 대우하면 안 된다고 본다.
ㄱ. (나)의 입장에서 (가)의 주장에 대해 제기할 비

5 아리스토텔레스의 정의론 이해 판의 내용이다.


ㄴ. (가)는 사형제를 지지하는 입장이므로 (가)의 입장에서 (나)의
그림의 판서 자료는 아리스토텔레스의 정의론 내용이
주장에 대해 제기할 비판이 될 수 없다.
다. ㉠에는 정의의 의미에 대한 내용이 들어가야 한다. ㉡은 일반
적 정의, ㉢은 특수적 정의, ㉣은 분배적 정의, ㉤은 시정적 정의
이다.
③ ㉢은 내용에 따라 분배적 정의의 경우 기하학적 비 8 롤스와 공리주의의 분배적 정의에 대한 입장 파악
례를 따르며, 시정적 정의의 경우 산술적 비례를 따른다. (가)의 갑은 롤스, 을은 공리주의자이다. 롤스는 자유
주의 입장에서 기본권의 자유롭고 평등한 행사가 정당하다고 보
① ㉠은 정의에 대한 아리스토텔레스의 입장이다.
았으며, 사회적·경제적 불평등은 최소 수혜자의 상황이 개선되
② ㉡은 일반적 정의에 대한 내용이다.
는 경우에 정당화될 수 있다고 주장하였다. 공리주의는 모든 사람
④ ㉣은 분배적 정의에 대한 내용이다.
들의 이익을 동등하게 고려하며, 정부의 정책이나 개인의 행위가
⑤ ㉤은 시정적 정의에 대한 내용이다.
관련된 사람들 전체의 이익을 증가시키는 경우에 정당화될 수 있
다고 주장하였다.
① 갑은 최소 수혜자에게 이익이 되는 경우에 불평등
6 롤스와 왈처의 정의에 대한 입장 파악 이 정당화될 수 있다고 판단하므로 최소 수혜자의 이익이 더 큰 C
갑은 롤스, 을은 왈처이다. 롤스는 공정한 정의의 원 가 B보다 더 정의롭다고 볼 것이다.
칙을 도출하기 위해 자연적·사회적 우연성이 배제된 가상적 상 ② 이익의 총합을 고려하는 것은 을의 입장이다.
황을 제시하였으며, 그러한 가상적 상황에서 도출된 정의의 원칙 ③ 을은 중상층의 이익이 아니라 관련된 모든 사람들의 이익을 고
은 누구나 기본적 자유를 누리면서 최소 수혜자를 배려할 수 있는 려한다.
것이라고 주장하였다. 왈처는 사회의 다양한 영역에 다양한 정의 ④ 사회적 약자에게 이익이 되는 경우 불평등이 정당화된다고 보
의 기준이 적용되어야 하며, 정의의 기준은 각 사회의 역사적·문 는 것은 갑의 입장이다.
화적 맥락에 따라 다를 수 있다고 주장하였다. ⑤ 갑은 최소 수혜자의 이익을, 을은 관련된 모든 사람들의 이익
ㄱ. 롤스의 입장에 해당하는 내용이다. 의 총합을 고려한다.
ㄷ. 왈처의 입장에 해당하는 내용이다.
ㄹ. 롤스는 우연성이 배제된 원초적 입장에서 정의의 원리가 도출
되어야 한다고 보았으며, 왈처는 공동체의 문화적 특수성과 구체 9 형벌에 대한 루소, 베카리아, 칸트의 입장 비교 이해
적 현실이 반영된 정의의 원리를 세워야 한다고 보았다. 갑은 루소, 을은 베카리아, 병은 칸트이다. 형벌의 목
ㄴ. 롤스는 기본적 자유가 평등하게 보장되어야 한 적과 양형을 결정하는 기준으로 루소는 사회 계약론의 입장에서
다고 보았다. 사회 방위를, 베카리아는 공리주의 관점에서 범죄 예방을, 칸트는

정답과 해설 25
정답과 해설

응보주의 관점에서 응당한 보복을 제시한다. 대한 내용이다. 민본주의는 모든 백성을 평등한 존재로 파악하지
② 베카리아의 입장에 해당하는 내용이다. 는 않았지만 민주주의와 마찬가지로 통치자는 피치자의 뜻을 수
① 루소는 사형이 범죄자의 계약 파기에 대한 정당 용하고 피치자를 위한 정치를 할 때 통치권을 인정받을 수 있다고
한 처벌이라고 보았다. 보았다. ㉠에는 민주주의와 민본주의의 공통적인 내용이 들어가
③ 칸트는 범죄자가 ‘형벌’이 아니라 ‘형벌의 대상이 되는 행위’를 야 한다.
의욕했기 때문에 처벌받는 것이라고 보았다. ③ 민주주의와 민본주의의 공통적인 내용이다.
④ 루소의 입장에만 해당하는 내용이다. ① 민주주의에만 해당하는 내용이다.
⑤ 칸트는 형벌의 양과 질이 동해 보복의 원리에 따라 결정되어야 ② 민본주의에만 해당하는 내용이다. 민본주의 사상에서는 통치
한다고 보았다. 권은 하늘이 명하는 것이며, 하늘의 뜻은 백성을 통해 알 수 있으
므로 백성의 뜻을 존중해야 한다고 보았다.
④ 민주주의, 민본주의 입장과 거리가 먼 내용이다.
⑤ 민주주의는 국가 권력이 국민들의 자발적 동의에 의해 형성되
10 니부어와 노직의 정의에 대한 입장 이해 는 것이라고 본다.
갑은 니부어, 을은 노직이다. 니부어는 개인들 간의
문제는 개인의 도덕성을 바탕으로 해결할 수 있으나 집단들 간의

02 국가에 대한 로크의 입장 파악
문제는 개인의 도덕성만으로 해결하기 어렵다고 보았다. 그는 집
단들 간의 갈등 해결을 위해서는 강제력이 개입되어야 한다고 보
제시문의 사상가는 로크이다. 로크는 사회 계약론의
았다. 노직은 부정의한 상황을 개선하기 위한 경우 이외에 국가가
개인들의 삶에 임의로 개입해서는 안 되고, 개인의 자유를 최대한 입장에서 사람들이 필요에 따라 자발적 동의를 바탕으로 국가를

보장해 주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형성한 것이라고 보았다. 따라서 국가의 권위는 국가가 계약의 내
용(생명권의 보장 등)을 잘 이행할 때 정당화될 수 있다고 보았다.
⑤ 니부어와 노직의 공통적인 입장에 해당하는 내용이다.
ㄴ. 로크는 자연 상태에서 인간이 누리던 자연권을 양
① 니부어는 인간의 이성은 불완전하며 개인적으로
도함으로써 국가가 형성되었다고 보았다.
는 이성적인 인간도 집단 속에서는 비이성적이 된다고 보았다.
ㄹ. 로크는 국가가 개인의 생명과 이익을 보장할 때 정당화될 수
② 니부어는 사회적 갈등은 합리적이고 도덕적인 방법으로 해결
있다고 보았다.
하기 어렵고, 강제력이 개입되어야 해결할 수 있다고 보았다.
③ 노직은 불의(不義)를 교정하기 위한 경우에 국가가 개입할 수 ㄱ. 로크는 국가가 사람들의 동의에 의해 형성되는

있다고 보았다. 것이라고 보았다.

④ 노직은 사회적 약자의 처지가 개선되는 경우에도 국가에 의한 ㄷ. 로크는 인간이 지니는 기본권이 자연권을 바탕으로 하는 것이

재분배는 정당하지 않다고 보았다. 며, 국가는 그러한 권리를 보장해 주는 역할을 한다고 보았다.

03 국가의 역할에 대한 묵자와 한비자의 입장 파악

08
갑은 묵자, 을은 한비자이다. 묵자는 천하의 혼란이
국가와 시민의 윤리 서로 차별하고 지나친 욕심을 부리기 때문이라고 보아 서로 사랑
하고[兼相愛] 이익을 나눌 것[交相利]을 강조하였다. 한비자는 천
하의 혼란이 인간들의 이기적인 본성 때문이라고 보아 군주는 힘
수 능 기본 문제 본문 94~95쪽
과 계략을 통해 이기적인 인간들을 다스려야 한다고 보았다.
01 ③ 02 ④ 03 ① 04 ② ① 묵자는 군주와 백성이 서로 이익을 나누어야 한다
05 ④ 06 ⑤ 07 ② 08 ④ 고 보았다.
② 묵자는 다른 나라를 자신의 나라처럼 사랑하고
01 국가 통치권의 특징 이해 이익을 나누어야 한다고 보았다.
제시문의 앞부분은 민주주의, 뒷부분은 민본주의에 ③ 한비자는 군주가 강력한 법으로 나라를 다스려야 한다고 보았다.

26 EBS 수능특강 생활과 윤리


④ 한비자는 인간의 본성을 이기적이라고 보았다. ② 대의 민주주의는 선출된 대표자가 정치를 하는 과정에서 국민
⑤ 묵자의 입장에만 해당하는 내용이다. 의 의사를 정확하게 반영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③ 대의 민주주의는 선출된 대표자가 전문성을 요구하는 다양한
문제들을 해결할 능력이 있는지 검증하기 어렵다는 한계가 있다.
04 국가에 대한 홉스의 관점 이해 ④ 시민 참여는 시민들이 직접 정치에 참여하는 것이므로 민주주
제시문의 사상가는 홉스이다. 홉스는 인간의 본성이 의의 본질을 실현하는 한 방법이다.
이기적이기 때문에 자연 상태에서는 생명을 보존하기 힘들다고
보았다. 따라서 사람들은 생명을 보존하기 위해 계약을 맺어 국가
를 형성하였고, 국가는 이기적인 인간들을 통제하기 위해 막강한
권력을 지녀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② 홉스가 긍정의 대답을 할 질문이다.
07 시민 불복종에 대한 싱어의 입장 이해
① 홉스가 부정의 대답을 할 질문이다. 홉스는 인간
제시문의 사상가는 싱어이다. 싱어는 부정의한 법률
의 본성을 이기적이라고 보았다.
이나 정책을 개선하기 위한 민주적인 모든 방법을 동원했으나 개
③, ④, ⑤ 홉스가 긍정의 대답을 할 질문이다.
선이 불가능한 경우에는 시민 불복종이 가능하다고 보았다. 다만
시민 불복종은 비폭력적이어야 하고, 성공의 가능성이 있어야 한

05 민주주의와 민본주의의 입장 이해 다. 또한 시민 불복종으로 인한 이익이 그렇게 하지 않은 경우보


다 더 커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갑은 민주주의를 주장한 미국의 링컨 대통령, 을은 민
② 싱어의 입장에 해당하는 내용이다.
본주의를 주장한 맹자이다. 민주주의는 주권이 시민에게 있으므
로 정치는 시민의 참여를 통해 이루어지고 시민을 위하는 정치를 ① 싱어는 시민 불복종에 가담한 사람은 위법 행위

해야 한다고 본다. 민본주의는 백성을 나라의 근본으로 삼아 군주 에 대한 처벌을 감수해야 한다고 보았다.

는 백성을 위한 통치를 해야 한다고 본다. ③ 싱어는 시민 불복종이 부정의한 일부 법이나 정책을 개선하기
위해 이루어지는 것이라고 보았다.
ㄱ. 갑은 주권자인 국민이 통치자를 선출한다고 본다.
④ 싱어는 시민 불복종이 다수의 정의관에 따른 것일 때뿐만 아니
ㄷ, ㄹ. 갑, 을의 공통적 입장에 해당하는 내용이다.
라 정책이나 법의 내용이 심각하게 부정의한 것일 때도 가능하다
ㄴ. 을은 통치자가 부덕하여 통치자답지 못하면 혁
고 보았다.
명이 가능하다고 보았다.
⑤ 싱어는 시민 불복종이 정책이나 법이 다수의 의견을 반영하고
있지 않거나 그 내용이 완전히 그릇된 것일 때 가능하다고 보았다.

06 대의 민주주의와 시민 참여의 필요성 이해


그림의 필기는 대의 민주주의의 특징과 시민 참여의
필요성에 대한 내용이다. 대의 민주주의는 직접 민주주의를 실현
하기 어려운 현실에서 국민이 정치에 참여하는 한 대안으로, 국민
이 자신의 뜻을 대리해 줄 대표를 선출하여 간접적으로 정치에 참 08 시민 불복종에 대한 소로와 롤스의 입장 파악
여하는 방식이다. 대의 민주주의는 효율적으로 국정을 운영할 수 갑은 소로, 을은 롤스이다. 소로는 개인의 양심이 법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대표자가 국민의 뜻을 왜곡해서 전달할 가능 에 우선한다고 보아 부정의하다고 판단되어 양심에 어긋나는 정
성이 있고, 대표자의 직무에 대한 전문성을 검증하기 어렵다는 등 책이나 법에 대해서는 즉각적인 불복종이 정당하다고 보았다. 롤
의 한계가 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서는 공청회나 주민 소환제와 같 스는 정책이나 법이 다수의 정의관에 어긋나는 경우 최후의 수단
은 다양한 방법을 통해 국민들이 직접 정치에 참여할 필요가 있다. 으로 시민 불복종이 가능하다고 보았다.
⑤ 시민 참여는 정책 결정 과정에서 시민들의 다양한 ㄱ. 소로는 부정, 롤스는 긍정의 대답을 할 질문이다.
의견을 반영하게 한다. ㄴ. 소로는 긍정, 롤스는 부정의 대답을 할 질문이다.
① 대의 민주주의는 국민이 직접 정치에 참여하지 ㄷ. 소로와 롤스 모두 긍정의 대답을 할 질문이다.
않고 선출된 대표자가 정부와 의회를 구성한다. ㄹ. 소로와 롤스 모두 부정의 대답을 할 질문이다.

정답과 해설 27
정답과 해설

수능 실전 문제 본문 96~99쪽 3 시민 불복종에 대한 소로와 롤스의 입장 이해


갑은 소로, 을은 롤스이다. 소로는 법보다 정의로운
1④ 2① 3④ 4③ 개인의 양심이 우선한다고 보아, 부정의한 법을 개선하기 위해서
5④ 6② 7⑤ 8⑤ 는 즉시 불복종할 수 있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롤스는 부정의한
법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가능한 합법적이고 민주적인 절차를 거
1 통치자에 대한 맹자와 플라톤의 입장 이해 쳐 가능한 모든 방법을 시도해 보아야 하고, 그럼에도 불구하고
갑은 맹자, 을은 플라톤이다. 맹자는 통치자가 인의의 부정의를 개선하기 어려운 경우 최후의 수단으로 불복종할 수 있
덕을 바탕으로 왕도 정치를 펴야 하며, 백성들을 위하지 않고 덕 다고 보았다.
이 없는 통치자는 바꿀 수 있다고 주장하였다. 플라톤은 사람들이 ㄱ. 소로는 개인의 양심에 따른 정의감이 법에 대한 복
제각기 타고나는 성향이 다르므로, 타고난 성향에 따라 사회적 직 종의 의무보다 우선한다고 보았다.
분을 나누어 그 직분을 다하는 것이 정의롭다고 보았다. 특히 통 ㄷ. 소로는 시민 불복종이 최후의 수단으로 행해져야 할 필요가
치자는 나라를 다스리므로 공정함을 유지하기 위해 사적 소유를 없다고 보았고, 롤스는 시민 불복종이 최후의 수단이어야 한다고
금하고 가정을 꾸려서도 안 된다고 주장하였다. 보았다.
④ 맹자와 플라톤의 입장에 공통적으로 해당하는 내용 ㄹ. 소로와 롤스는 시민 불복종이 사회 정의 실현을 위한 것이라
이다. 고 보았다.
① 맹자는 통치자가 강제력이 아니라 덕으로 다스 ㄴ. 소로는 시민 불복종의 정당성 근거를 사회적 효
려야 한다고 보았다. 용성이 아닌 개인의 정의감에 있다고 보았다.
② 플라톤은 각자 타고난 능력에 따라 살아갈 때 국가가 정의롭다
고 보았다.
③ 플라톤은 통치자가 개인적으로 이익을 취하면 피치자들을 착 4 국가의 역할에 대한 밀의 입장 이해
취할 수 있으므로 사적 소유를 금지해야 한다고 보았다. 가상 인터뷰의 사상가는 밀이다. 밀은 국가가 시민이
⑤ 맹자와 플라톤은 통치자가 사람들이 직분을 다하면서 선한 삶 타인에게 해악을 끼칠 경우를 제외하고는 시민의 자유와 기본권
을 살 수 있도록 해 주어야 한다고 보았다. 을 최대한 보장해 주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③ 밀은 당사자에게 이익이 되는 결과를 가져온다 하
더라도 국가가 개인을 통제하면 안 된다고 보았다.
①, ②, ④, ⑤ 밀의 입장에 해당하는 내용이다.
2 국가에 대한 아리스토텔레스와 로크의 입장 이해
(가)의 갑은 아리스토텔레스, 을은 로크이다. 아리스
토텔레스는 사람들이 자연스럽게 가정을 꾸리듯이 국가도 인간의 5 통치권에 대한 맹자와 로크의 입장 파악
본성상 자연스럽게 발생하는 것이라고 보았다. 로크는 자연 상태 (가)의 갑은 맹자, 을은 로크이다. 맹자는 통치자가 덕
에서 인간은 자유롭고 평등하지만 분쟁이 발생했을 경우 이를 해 으로 백성을 다스리고 모범이 되며 백성의 뜻을 존중하는 왕도 정
결해 줄 권위 있는 기관이 없어 혼란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동의 치를 펼쳐야 한다고 보았다. 그는 통치자가 그렇지 못할 경우에는
하에 국가를 형성했다고 주장하였다. 통치자를 바꾸는 역성혁명이 가능하다고 주장하였다. 로크는 사
① 아리스토텔레스의 입장에만 해당하는 내용이다. 회 계약론의 입장에서 사람들이 자신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받기
로크는 국가가 인간 본성에 의해 자연 발생하는 것이 아니라 필요 위해 자연권의 일부를 국가에 양도했다고 보았다. 따라서 정부가
에 따라 형성된 것이라고 보았다. 시민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지 못하면 신탁의 위반이므로 정부
②, ③ 로크의 입장에만 해당하는 내용이다. 에 저항할 수 있다고 주장하였다.
④ 로크는 자연 상태의 사람들이 자연권을 지닌다고 보았다. ④ 맹자는 통치자가 이로움보다 의로움을 먼저 생각해
⑤ 로크는 인간의 본성이 이기적이라고 하지 않았다. 이기적인 본 야 한다고 보았다.
성을 지닌 인간이 생명 보존을 위해 국가를 형성했다고 보는 것은 ①, ② 맹자와 로크 모두 긍정의 대답을 할 질문이다.
홉스의 입장이다. ③ 맹자가 부정의 대답을 할 질문이다.

28 EBS 수능특강 생활과 윤리


⑤ 로크가 부정의 대답을 할 질문이다. 로크는 명시적 동의뿐만 ④ 한비자는 덕으로 나라를 다스리는 데는 한계가 있다고 보는 입
아니라 묵시적 동의에 의해서도 통치권이 인정될 수 있다고 보았다. 장이므로, 한비자가 홉스에게 제기할 적절한 비판의 내용이 아니다.

6 대의 민주주의의 한계와 시민 참여의 필요성 이해 8 시민 불복종에 대한 롤스와 싱어의 입장 비교 이해


제시문은 대의 민주주의의 장단점을 제시하고 있다. 갑은 롤스, 을은 싱어이다. 롤스와 싱어는 공통적으로
대의 민주주의는 민주적이면서도 효율적인 국정 운영을 가능하게 시민 불복종이 최후의 수단이 되어야 하며 비폭력적인 방법으로
했으나 선출된 대표자가 국민의 의사를 왜곡하거나 사적 이익을 이루어져야 한다고 보았다. 한편 롤스는 다수의 정의감이 시민 불
추구할 수 있다는 문제가 있다. ㉠에는 이와 같은 대의 민주주의 복종의 정당화 근거가 된다고 보았으나, 싱어는 다수의 정의감 이
의 단점을 완화시키는 방안이 들어가야 한다. 외에 현저한 부정의(다수의 지지를 받지 않은)도 시민 불복종의
② 선출된 대표자의 정책을 심의할 수 있는 제도를 통 근거가 된다고 보았다.
해 시민들이 참여함으로써 대의 민주주의의 단점을 완화시킬 수 ⑤ 롤스는 긍정, 싱어는 부정의 대답을 할 질문이다.
있다. ①, ④ 롤스와 싱어 모두 부정의 대답을 할 질문이다.
① 시민들이 선출된 대표자의 활동에 관심을 가지 ② 롤스와 싱어 모두 긍정의 대답을 할 질문이다.
고 감시해야 한다. ③ 롤스와 싱어 모두 부정의 대답을 할 질문이다. 롤스와 싱어 모
③ 시민들이 정부와 사회의 모든 활동에 직접 참여하는 것은 직접 두 시민 불복종의 목적을 사회 정의 실현으로 보았으며, 개인 또는
민주주의이다. 집단의 이익 증진을 위한 시민 불복종을 정당하다고 보지 않았다.
④ 선출된 대표자를 견제할 수 있어야 하므로 대의 민주주의의 부
작용을 막기 위한 방안으로 적절하지 않다.
⑤ 대의 민주주의의 부작용을 막기 위해서는 정책 결정 과정에서
시민 참여가 이루어져야 한다.

09 과학 기술과 윤리
7 통치에 대한 공자, 한비자, 홉스의 관점 이해
갑은 공자, 을은 한비자, 병은 홉스이다. 공자는 통치
수 능 기본 문제 본문 106~107쪽
자가 내면의 덕을 갖추어야 하며 백성을 다스릴 때는 형벌로 하지
않고 덕과 예로써 다스려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한비자는 인간의 01 ② 02 ① 03 ② 04 ①
본성을 이기적으로 보고, 이기적인 인간들이 살아가는 사회의 질 05 ② 06 ② 07 ② 08 ⑤
서를 잡기 위해서는 강력한 법으로 통치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홉스는 자연 상태의 인간은 ‘만인의 만인에 대한 투쟁’을 발생시 01 베이컨의 입장 이해
키는 이기적인 본성을 지녔다고 보았다. 따라서 통치자는 이기적 제시문은 베이컨의 주장이다. 베이컨은 “새로운 아틀
인 인간의 본성이 사회 질서를 어지럽히지 않도록 강력한 힘을 바 란티스”라는 자신의 저서에서 과학 기술이 가져오는 이상 사회의
탕으로 통치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모습을 긍정적으로 제시하였다.
⑤ 한비자와 홉스의 입장에서 공자에게 제기할 수 있 ② 베이컨은 학문의 목적이 인간의 목적에 맞게 사물
는 비판의 내용이다. 을 변화시키는 데 있다고 주장하였다. 그는 과학 기술의 발전을
① 공자는 덕으로 통치해야 한다고 주장하므로, 공 통해 인류가 꿈꾸는 이상을 실현할 수 있다고 보았다.
자가 홉스에게 제기할 적절한 비판의 내용이 아니다. ① 제시문은 ‘천국의 물’이나 ‘건강의 방’이라는 과
② 공자는 가족 윤리를 국가 윤리로 확장시켜야 한다고 보는 입장 학 기술의 성과를 통한 인류의 풍요로운 삶에 대해 묘사하고 있다.
이므로, 한비자가 공자에게 제기할 적절한 비판의 내용이 아니다. ③ 베이컨은 과학 기술에 바탕을 둔 이상 사회의 실현이 가능하다
③ 한비자 역시 통치자가 피치자의 생명과 안전을 보장해 주어야 고 보았다.
한다는 입장이므로, 홉스가 한비자에게 제기할 적절한 비판의 내 ④ 베이컨은 인간과 자연을 이분법적으로 구분하면서, 인간이 자
용이 아니다. 연을 지배하고 정복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정답과 해설 29
정답과 해설

⑤ 베이컨은 과학 기술의 유용성을 강조하였다.


04 과학 기술의 가치 중립성 논쟁 이해
제시문은 과학 기술 그 자체는 좋은 것도 나쁜 것도 아
니며, 과학 기술에 가치를 다루는 영역이 개입되어서는 안 된다고
본다. 그리고 과학 기술의 활용에 대한 책임은 활용한 사람들에게
02 요나스의 책임 윤리 이해 있다고 본다.
제시문은 요나스의 주장이다. 요나스는 과학 기술로 ㄱ. 제시문은 과학 기술 그 자체는 좋은 것도 나쁜 것
발생할 수 있는 위험들을 미리 생각해 보고 이를 통해 새로운 윤 도 아니라고 본다. 즉 과학 기술은 가치 중립적이라고 본다.
리적 원리들을 발견해야 한다는 공포의 발견술을 제시하였다. ㄴ. 제시문은 사실을 다루는 과학 기술에 가치를 다루는 영역이
① 요나스는 인간만이 책임질 수 있는 유일한 존재라 개입되어서는 안 된다고 보는데, 이것은 과학 기술이 윤리적 평가
고 보고, 이러한 책임질 수 있는 능력은 책임져야 하는 당위로 연 로부터 자유로워야 한다는 입장이다.
결되어야 한다고 보았다. ㄷ. 제시문은 과학 기술의 결과 활용에 대한 책임이
② 요나스는 과학 기술의 진보를 바탕으로 한 유토 활용한 사람들에게 있다고 본다.
피아를 건설할 수 있다는 인간의 사고방식이 새로운 윤리적 문제 ㄹ. 제시문은 과학 기술이 사실을 다루는 영역이기 때문에 가치를
들을 발생시켰다고 보았다. 다루는 영역이 개입되어서는 안 된다고 본다.
③ 요나스는 현세대에게 요청되는 책임이 자녀에 대한 부모의 책
임처럼 일방적이고 절대적인 책임이라고 보았다.
④ 요나스는 세대 간 호혜적 권리와 의무를 통한 문제 해결을 주 05 과학 기술자의 책임 이해
장하는 기존의 윤리 방식으로는 새로운 문제들을 해결할 수 없다 갑은 과학 기술자가 연구 윤리만을 준수하면 되고, 자
고 보았다. 신의 연구 결과가 사회에 미칠 영향에 대해서는 고려할 필요가 없
⑤ 요나스는 과학 기술로 발생할 수 있는 부정적 측면에 대한 두려 다고 본다. 을은 과학 기술자가 연구 윤리를 준수하는 동시에 자
움과 공포를 통해 새로운 윤리적 원리를 발견할 수 있다고 보았다. 신의 연구 결과가 인간의 존엄성과 삶의 질 향상에 도움이 되는지
를 성찰해야 한다고 본다. 갑은 과학 기술자의 내적 책임만을 제
시하는 반면, 을은 과학 기술자의 내적 책임과 외적 책임까지 제
시하고 있다.
03 전자 판옵티콘 사회 예방 방안 이해 ② 과학 기술자가 자신의 연구 결과물의 활용에 대해
제시문은 미셀 푸코가 주장한 판옵티콘 사회의 특징을 책임져야 한다는 것은 과학 기술자가 사회적 책임을 다해야 한다
설명하면서, 정보 사회에서는 특정 권력 집단의 정보 통제로 인해 는 것으로 갑의 입장이 아니다.
전자 판옵티콘 사회가 도래할 것이라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고 ① 과학 기술자가 정직하고 성실한 태도로 연구를
본다. ㉠에는 이러한 전자 판옵티콘 사회의 도래를 막기 위한 방 수행해야 한다는 것은 과학 기술자의 내적 책임에 해당하는데, 갑
안이 들어가야 한다. 은 과학 기술자의 내적 책임을 제시하고 있다.
ㄱ. 전자 판옵티콘 사회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개인 정 ③ 을은 과학 기술자가 연구 윤리를 지키면서 자신의 연구가 진리
보 보호를 위한 제도를 강화하여 특정 개인이나 집단이 함부로 개 임을 밝히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고 본다.
인의 사적 정보를 통제하지 못하도록 해야 한다. ④ 을은 과학 기술자의 사회적 책임 이행에 대해서도 언급하고 있다.
ㄷ. 전자 판옵티콘 사회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권력 집단이 정보를 ⑤ 갑과 을은 모두 과학 기술자가 연구 윤리를 준수해야 한다는
독점하여 이를 개인과 사회를 통제하기 위한 수단으로 사용하지 못 내적 책임을 제시하고 있다.
하도록 권력 집단의 정보 독점 방지를 위한 체계를 마련해야 한다.
ㄴ. 대중의 정보를 통제할 수 있는 국가 기관을 창
설하는 것은 전자 판옵티콘 사회를 예방하는 것이 아니라 전자 판 06 과학 기술에 대한 사회 제도적 차원의 노력 이해
옵티콘 사회를 조장하는 것이다. 제시문은 과학 기술의 윤리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ㄹ. 정보에 대한 검열은 전자 판옵티콘 사회를 예방하는 것이 아 는 과학 기술자의 개별적 노력과 더불어 사회적 차원의 노력이 필
니라 전자 판옵티콘 사회를 조장하는 것이다. 요하다고 본다. 또한 시민들도 과학 기술의 연구·개발과 관련된

30 EBS 수능특강 생활과 윤리


과정에 적극적으로 참여해야 한다고 본다. 에 없다고 보는 것이 제시문의 입장이다.
ㄱ. 제시문은 과학 기술의 윤리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 ③ 과학 기술을 통해 보편적 법칙을 발견하는 과정은 과학 기술의
해서는 사회적 차원의 노력이 필요하다고 본다. 과학 기술의 연 가치 중립성이 보장되어야 하는 과정이므로 ㉠에 들어갈 내용으
구·개발을 평가하고 감시할 수 있는 제도의 강화는 사회적 차원 로 적절하지 않다.
의 노력에 해당한다. ④ 과학 지식의 객관적 타당성을 인정받기 위한 과정은 과학 기술
ㄷ. 제시문은 과학 기술의 윤리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시민 의 가치 중립성이 보장되어야 하는 과정이므로 ㉠에 들어갈 내용
들, 즉 대중의 관심과 참여가 필요하다고 본다. 으로 적절하지 않다.
ㄴ. 제시문은 과학 기술자의 개별적 책임만으로는
과학 기술의 윤리적 문제를 해결할 수 없다고 본다.
ㄹ. 제시문은 과학 기술의 연구·개발 과정에 대한 사회적 차원의 수능 실전 문제 본문 108~111쪽
평가와 시민들의 적극적 참여가 필요하다고 본다.
1⑤ 2② 3③ 4③
5② 6① 7④ 8②
07 과학 기술자의 사회적 책임 이해
제시문은 과학자가 자신의 연구가 초래할 모든 결과를 1 요나스의 책임 윤리 이해
예측할 수는 없지만 공동체를 위험에 빠뜨리지 않도록 노력해야 제시문은 요나스의 주장이다. 요나스는 기존의 윤리
하며 사회 전체의 연관성을 고려해야 한다고 본다. 가 호혜성에 기초하고 있는 반면, 새로운 책임 윤리는 호혜성의
② 제시문은 과학자가 자신의 목표를 더 커다란 시각 원칙에 상관없이 자연과 미래 세대에 대해 책임을 다해야 한다고
에서 봄으로써 공동체를 위험에 빠뜨리지 않아야 한다고 본다. 주장하였다.
① 제시문은 과학자가 자신의 이익과 무관하게 자 두 번째 입장에 대해 요나스는 모든 생명체가 더 이상
신의 연구와 사회 전체의 연관성을 고려해야 한다고 본다. 의 정당화를 필요로 하지 않는 자신의 고유한 목적을 지닌다고 주
③ 제시문은 자신의 연구 결과가 사회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고 장하였다.
려해야 한다고 본다. 세 번째 입장에 대해 요나스는 인간만이 책임질 수 있는 유일한
④ 제시문은 과학자가 자신의 과학적 발명이 초래할 모든 결과를 존재이며, 책임질 수 있는 능력은 책임을 이행해야 한다는 당위로
예측하지는 못한다고 본다. 이어져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⑤ 제시문은 과학자가 작은 집단의 이익을 구하다가 커다란 공동 네 번째 입장에 대해 요나스는 현세대의 책임이 일차적으로는 미
체를 위험에 빠뜨려서는 안 된다고 본다. 래 세대의 존재를 보장하는 것이며, 이차적으로는 그들의 삶의 질
을 배려하는 것이라고 주장하였다.
첫 번째 입장에 대해 요나스는 현재 존재하지 않는
08 과학 기술의 가치 중립성 논쟁 이해 미래 세대도 존재할 권리를 지닌다고 보았다.
제시문은 과학 기술의 이론적 정당화 과정에서는 가치
중립성이 요구되지만 과학 기술의 연구 대상 선정 및 결과 활용의
과정에서는 가치 중립성을 주장하는 것이 옳지 않다고 본다. 2 과학 기술자의 책임 이해
⑤ ㉠에는 과학 기술의 연구 대상 선정 및 결과 활용의 갑은 과학 기술자가 연구 과정에서 비윤리적인 행위를
과정에서 가치 중립성을 주장하는 것이 옳지 않은 이유가 들어가 해서는 안 되며, 자신의 연구가 참 또는 거짓인지를 밝히는 등의
야 한다. 과학 기술의 연구 대상을 선정하는 과정에서는 개인의 가 내적 책임을 다해야 한다고 본다. 하지만 과학 기술자가 사회적 책
치관, 기업의 이익, 사회적 요구 등 다양한 가치가 개입하게 된다. 임까지 질 필요는 없다고 본다. 한편 을은 과학 기술자가 내적 책임
① 과학 기술을 연구하고 활용하는 전 과정이 외부 을 져야 한다고 보며, 동시에 사회적 책임도 다해야 한다고 본다.
영향으로부터 독립적인 영역이라는 주장은 과학 기술의 가치 중 ㄴ. 갑은 과학 기술자가 과학 기술의 활용에 대해 책임
립성을 강조하는 입장에서 제시하는 주장이므로 ㉠에 들어갈 내 질 필요가 없다고 보는 반면, 을은 과학 기술자가 과학 기술의 활
용으로 적절하지 않다. 용에 대해서도 책임져야 한다고 본다.
② 과학 기술의 결과를 활용하는 과정에서는 가치가 개입될 수밖 ㄷ. 갑은 과학 기술자가 연구 과정에서의 연구 윤리만을 준수하면

정답과 해설 31
정답과 해설

된다고 보는 반면, 을은 과학 기술자가 연구 과정에서의 연구 윤리 고 본다.


준수뿐만 아니라 사회적 책임도 다해야 한다고 본다. ㄱ. 갑, 을 모두 과학 기술의 정당화 과정에서는 가
ㄱ. 갑, 을 모두 긍정의 대답을 할 질문이다. 갑과 치 중립성이 요구된다고 본다.
을 모두 과학 기술자가 객관적 지식을 탐구해야 한다고 본다. ㄷ. 을은 과학 기술의 정당화 과정에서는 가치가 개입되어서는 안
ㄹ. 갑은 부정, 을은 긍정의 대답을 할 질문이다. 갑은 과학 기술 된다고 보기 때문에 과학 기술의 전 과정에서 가치가 개입되어야
자는 자신의 연구 결과가 사회에 미칠 영향에 대해 고려할 필요가 한다고 보지 않는다.
없다고 보는 반면, 을은 과학 기술자는 자신의 연구 결과가 사회
에 미칠 영향에 대해 고려해야 한다고 본다.

5 과학 기술과 사회의 관계 이해
3 과학 기술 지상주의의 문제점 이해 제시문은 과학 기술의 발전이 사회에 미치는 긍정적
측면과 부정적 측면에 대해 서술하고 있다. 한편으로는 과학 기술
제시문의 ‘어떤 이들’은 과학 기술이 인간에게 가져다
의 발전이 사회적·문화적·정치적 요인들로부터 영향을 받는다
주는 혜택에 대해서 언급하면서 과학 기술이 사회의 모든 문제를
고 본다.
해결하고 인류에게 행복과 부를 가져다줄 것이라고 본다. 이러한
② 제시문은 과학 기술이 사회에 많은 영향을 미치는
입장은 과학 기술 지상주의에 해당한다.
한편 사회도 과학 기술의 발전에 영향을 미친다고 본다. 즉 과학
③ 과학 기술 지상주의는 과학 기술이 가져오는 긍정
기술과 사회가 상호 영향을 주고받으며 변화한다고 본다.
적 측면을 지나치게 부각시킨 나머지 과학 기술이 갖는 부정적 측
① 제시문은 과학 기술이 사회 변화에 핵심적인 영
면을 간과하고, 인간의 반성적 사고 능력을 훼손할 수 있다는 문
향을 미친다고 본다.
제점을 지닌다.
③ 제시문은 사회 구성원들이 과학 기술의 연구 개발 과정에 어떻
① 과학 기술의 부정적 측면만을 강조하는 것은 과
게 개입하느냐에 따라 과학 기술이 크게 달라질 수 있다고 본다.
학 기술 혐오주의의 문제점에 해당한다.
④ 제시문은 과학 기술의 발전이 과학 기술 자체의 논리에 따라서
② 제시문의 ‘어떤 이들’은 과학 기술을 인간을 위해 존재하는 수
만 이루어지는 것은 아니라고 본다.
단으로 보고 있다.
⑤ 제시문은 과학 기술의 개발에 사회적 가치가 반영된다고 본다.
④ 제시문의 ‘어떤 이들’은 과학 기술이 인간에게 가져다주는 긍
정적인 측면을 강조하고 있다.
⑤ 과학 기술의 가치를 인정하지 않고 비인간적이고 비윤리적인
측면을 지나치게 부각시키는 것은 과학 기술 혐오주의의 문제점 6 과학 기술에 대한 하이데거의 입장 이해
에 해당한다. 제시문은 하이데거의 주장이다. 하이데거는 우리가
기술을 이용하는 데에만 급급하면 기술에 대한 올바른 가치 판단
을 할 수 없다고 본다. 그는 기술을 가치 중립적인 것으로 고찰할
4 과학 기술의 가치 중립성 논쟁 이해 때 우리는 무방비 상태로 기술에 내맡겨진다고 주장한다.
갑은 과학 기술이 가치와 무관한 사실의 영역이고 사 ㄱ. 하이데거는 과학 기술을 가치 중립적인 것으로 보
회적·윤리적 책임으로부터 자유로워야 한다고 주장한다. 이는 아서는 안 되며, 과학 기술에 대한 올바른 가치 판단이 필요하다
과학의 가치 중립성을 강조하는 입장에 해당한다. 을은 과학 기술 고 본다.
의 정당화 과정에서는 가치 중립성이 요구되지만 과학 기술의 연 ㄹ. 하이데거는 과학 기술을 가치 중립적인 것으로 고찰할 경우
구 목적 설정 과정과 결과 적용 과정에서는 가치 판단이 개입된다 인간은 과학 기술에 종속될 수 있다고 본다.
고 주장한다. ㄴ. 하이데거는 과학 기술이 인간의 삶과 환경을 파
ㄴ. 갑, 을 모두 과학 기술의 객관성 보장, 즉 과학 기 괴하는 도구일 뿐이라는 주장이 부적절하다고 본다. 그는 과학 기
술의 이론적 타당성을 확인하는 과정에서는 사실 판단과 가치 판 술을 맹목적으로 추종하거나 과학 기술의 부정적 측면을 강조하
단을 구분해서 가치 판단을 배제해야 한다고 본다. 여 회피할 경우 과학 기술의 본질을 파악할 수 없다고 본다.
ㄹ. 을은 과학 기술의 발견과 활용의 맥락, 즉 과학 기술의 연구 ㄷ. 과학 기술 자체를 선도 아니고 악도 아니라고 보는 것은 과학
목적 설정과 결과 활용의 과정에서는 가치가 개입될 수밖에 없다 기술이 가치 중립적이라는 입장이다.

32 EBS 수능특강 생활과 윤리


7 과학 기술자의 책임 이해
제시문은 과학 기술자가 지녀야 할 윤리적 책임에 대
해 서술하고 있다. 과학 기술자는 진실성을 가지고 연구를 진행해
10 정보 사회와 윤리

야 하고, 논문 발표 시 부당한 저자 표기를 하지 말아야 한다는 등


수 능 기본 문제 본문 116~117쪽
의 연구 윤리를 제시하고 있으며, 과학 기술자의 사회적 책임에
대해서도 언급하고 있다. 01 ⑤ 02 ② 03 ③ 04 ③
④ 제시문은 과학 기술자가 공공성에 반하는 연구를 05 ⑤ 06 ① 07 ⑤ 08 ③
진행해서는 안 되며, 사회 문제에 대해 책임 있게 발언해야 하는
등의 외적 책임에 대해서 언급하고 있다. 01 잊힐 권리 이해
① 제시문은 정직하고 충실한 연구 수행과 같은 과 제시문은 개인이 자신의 사적 정보가 노출되어 사생활
학 기술자가 지켜야 할 연구 윤리에 대해 언급하고 있다. 침해나 명예 훼손 등의 권리를 침해받은 경우 정보 통신 서비스 제
② 제시문은 과학 기술자가 의도적인 속임수나 자기기만으로 문 공자에게 그 정보의 삭제를 요청할 수 있다는 잊힐 권리에 관한 내
제 있는 연구 결과를 내어서는 안 된다는 등의 연구 이론의 진실 용을 담고 있다.
성 유지를 위한 노력을 언급하고 있다. ⑤ 제시문은 개인이 자신의 사생활이 침해당하거나 자
③ 제시문은 과학 기술자가 공공성에 반하는 연구를 진행해서는 신의 정보가 남용되는 경우, 자신의 사생활을 보호하기 위하여 자
안 된다고 주장하고 있는데, 이는 과학 기술자의 사회에 대한 책 기 정보의 유통에 대해 개인이 결정하고 통제할 수 있는 권리인
임 의식을 언급한 것이다. 잊힐 권리를 보장해야 한다는 내용이다.
⑤ 제시문은 논문 발표 시 연구 활동에 대한 실질적인 기여 정도 ① 제시문은 잊힐 권리에 대한 보장을 강조하고 있다.
에 따라 저자 표시를 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는데, 이는 과학 기 ② 개인 간의 정보 처리 능력 차이의 간극을 줄이는 것은 정보 격
술 연구 과정의 기여 정도에 따라 공로를 합당하게 배분해야 한다 차를 완화하기 위한 방안이다.
는 점을 언급한 것이다. ③ 제시문은 정보 격차를 완화하기 위한 방안을 서술하고 있지
않다.
④ 정보에 자유롭게 접근할 수 있는 권리를 보장하는 것은 정보
격차를 완화하기 위한 방안으로, 잊힐 권리와는 관련이 없는 내용
8 과학 기술의 가치 중립성 논쟁 이해 이다.
제시문은 사실 판단에는 가치 판단이 개입하며, 사실
판단과 가치 판단을 구분하는 것이 현실적으로는 불가능하다고
본다. 그리고 과학자의 사실 판단도 가치 판단에 의존해 있기 때
문에 과학자의 활동이나 그 결과물에 대해서 가치 평가를 내려야
한다고 본다. 02 저작권 문제 이해
② 제시문은 과학자의 사실 판단이 자신의 가치 판단 갑은 저작권 보호를 주장하고 있는 반면, 을은 정보 공
에 의존해 있다고 본다. 즉 과학자의 활동 역시 다른 사람들과 마 유를 주장하고 있다.
찬가지로 가치 의존적이라는 점을 명심해야 한다고 본다. ㄱ. 갑은 정보 창작자에게 배타적 독점권을 부여해야
① 제시문은 과학자가 자신의 활동이나 결과물에 한다는 입장으로, 정보 창작자에게 정당한 대가를 지불해야 창작자
대해 책임을 져야 한다고 본다. 의 창작 의욕을 고취시키고 양질의 정보를 생산할 수 있다고 본다.
③ 제시문은 과학의 연구 절차와 결과물에 과학자의 가치 판단이 ㄷ. 을은 모든 정보 창작물이 인류가 생산한 정보와 지식을 활용
개입한다고 본다. 하여 구성된 공공재라고 본다. 즉 정보가 사회적 산물이므로 정보
④ 제시문은 사실 판단에는 가치 판단이 불가피하게 개입한다고 를 공유해야 한다고 본다.
본다. ㄴ. 정보를 공유해야 한다는 것은 을의 입장이다.
⑤ 제시문은 과학자의 활동이나 그 결과물에 대해 가치 평가를 내 ㄹ. 정보 창작자의 지식 재산권을 보호해야 한다는 것은 갑만의
리고, 과학자는 자신의 연구에 대한 책임을 져야 한다고 본다. 입장이다.

정답과 해설 33
정답과 해설

03 사이버 폭력의 특징 이해 서 필요한 대책에 대해 언급하고 있다.

A는 사이버 폭력이다. 사이버 폭력에는 사이버 따돌 ⑤ 제시문은 허위 정보의 확산을 막기 위해서 시민들
림, 사이버 명예 훼손, 사이버 모욕, 사이버 스토킹 등이 있다. 의 미디어 리터러시 향상, 즉 매체 이해력 향상이 필요하다고 본
다. 시민들이 매체가 전달하는 정보를 비판적으로 읽어 내는 능력
③ 사이버 폭력의 경우 현실 공간이 아니라 사이버 공
을 향상시켜야만 진짜 정보와 허위 정보를 구분할 수 있다고 본다.
간에서 발생하므로 가해자들이 피해자의 고통을 직접 목격하기
어려워 폭력의 심각성을 인식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① 제시문은 허위 정보의 확산이 불가피한 측면이
존재하며, 허위 정보를 근절시킨다는 식의 접근은 비현실적이라
① 사이버 폭력은 사이버 공간에서 이루어지기 때
고 본다.
문에 시공간의 제약을 받지 않고 일상적으로 발생할 수 있다.
② 제시문은 정보를 이용하는 시민들도 미디어 리터러시를 향상
② 사이버 폭력은 사이버 공간이 지니는 특성으로 인해 광범위하
시켜야 한다고 본다. 즉 허위 정보 확산 방지를 위해서는 정보 생
고 빠르게 확산된다.
산자뿐만 아니라 정보 이용자도 책임져야 한다고 본다.
④ 사이버 폭력은 다수에 의해 행사되는 경우가 많은데, 이러한
③ 제시문은 언론의 자유와 미디어의 다양성을 위축시킬 수 있으
이유로 가해자들이 자신의 잘못을 다른 사람에게 돌리기 쉽다.
므로 정부의 규제 정책을 최소화해야 한다고 본다.
⑤ 사이버 폭력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개인적으로는 책임과 윤리
④ 제시문은 허위 정보를 막기 위해 대중 매체들이 정보 전달을
의식을 갖고 다른 사람의 고통에 공감하는 태도를 지녀야 하며,
독점하는 시스템을 마련해야 한다고 주장하지 않는다. 제시문은
사회적 차원에서는 사이버 폭력 예방을 위한 법적·제도적 장치
디지털 기술이 누구나 정보 생산과 유통의 주체가 될 수 있도록
를 마련해야 한다.
만들었다고 보면서, 정보를 생산하고 유통하는 시민들도 허위 정
보 확산을 막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고 본다.

04 정보 사회의 윤리적 문제 이해
제시문은 정보 사회에서 사람들 간의 기술 격차로 인 06 표현의 자유의 한계 이해
한 정보 격차가 빈부 격차를 낳는다고 보며, 기술 체계의 기능에 제시문은 사이버 공간에서도 현실 공간에서와 마찬가
대한 의존도가 높아짐에 따라 문제가 발생할 경우 혼란이 일어날 지로 표현의 자유의 보장이 필요하다고 본다. 하지만 지나친 표현
수 있다고 본다. 의 자유 행사가 가져오는 문제점을 인식하고 표현의 자유에 대한
ㄴ. 제시문은 사람들 사이의 기술의 격차가 정보 격차 제한이 필요하다고 본다. ㉠에는 표현의 자유를 지나치게 행사할
를 낳고, 이것이 빈부 격차로 이어진다고 본다. 즉 사람들 사이의 경우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들어가면 된다.
정보 접근과 처리 능력의 차이로 사회적·경제적 불평등이 발생 ① 제시문은 지나친 표현의 자유 행사가 타인의 사생
한다고 본다. 활 노출이나 권리 행사를 방해함으로써 개인의 인격권을 침해할
ㄷ. 제시문은 정보 사회에서 기술에 대한 의존성이 증가하면서 인 수 있다고 본다.
간의 비판적 사고력이 약화되어 기술 체계에 문제가 발생할 경우
②, ③, ④, ⑤ 표현의 자유를 제한할 경우 발생할
속수무책의 혼란이 발생할 수 있다고 본다. 즉 기술에 대한 의존
수 있는 문제점에 해당한다.
성 증가가 인간의 문제 해결 능력을 약화시킨다고 본다.
ㄱ. 제시문은 정보 사회에서는 시스템의 복잡성 때
문에 책임 소재가 불분명한 경우가 발생하고 있다고 본다. 07 매체 이해력의 주요 내용 이해
ㄹ. 제시문은 기술에 대한 의존성 증가로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 A는 매체 이해력이다. 매체 이해력은 매체가 제공하
에 대해 언급하고 있다. 는 정보를 비판적으로 읽어 내고, 다른 사람들에게 바람직하게 표
현하는 능력이다.
⑤ 매체가 배출하는 개인 정보의 경우 거짓 정보도 포
05 뉴 미디어 시대의 허위 정보 해결 방안 이해 함되어 있어 무비판적으로 수용하여 전파할 경우 많은 문제를 일
제시문은 기존 미디어뿐만 아니라 누구나 정보를 생산 으킬 수 있다. 매체 이해력은 뉴 미디어가 배출하는 개인 정보들
하고 전파할 수 있는 디지털 환경에서는 허위 정보 확산의 문제가 을 비판적 사고력을 바탕으로 올바르게 이해하는 능력이다.
발생한다고 본다. 제시문은 이러한 허위 정보의 확산을 막기 위해 ① 매체 이해력에는 자신이 생산한 정보를 다양한

34 EBS 수능특강 생활과 윤리


뉴 미디어를 통해 타인과 공유하는 능력도 포함된다. 개인들의 자발적 노력이 필요하다고 본다.
② 매체 이해력은 기본적으로 매체가 제공하는 정보의 가치를 판 ① 갑은 표현의 자유로 인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
단하고 평가할 수 있는 능력을 의미한다. 해 개인의 자율적 통제를 주장할 뿐 법과 제도의 필요성을 주장하
③ 매체 이해력에는 매체가 제공하는 정보를 새롭게 조합하여 표 지는 않는다.
현하는 능력도 포함된다. ② 갑은 표현의 자유로 인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개인의 자발
④ 매체 이해력에는 매체가 제공하는 정보의 거짓 유무를 비판적 적 통제만 있으면 되고, 표현의 자유를 최대한 보장해야 한다고
사고력을 바탕으로 평가하는 능력도 포함된다. 본다.
③ 을은 표현의 자유로 인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개인의 자율
적 규제가 이상적이라고 본다.
08 정보 사회의 윤리 이해 ④ 을은 표현의 자유로 인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제도적 노력
제시문은 윤리가 시대와 장소에 따라 변하는 측면이 이 필요하다고 본다.
있는 동시에 변하지 않는 측면이 있다고 본다. 즉 시대와 장소를
관통하는 보편적인 도덕 원칙이 존재한다는 것이다.
③ 제시문은 인간의 존엄성, 인간의 기본권, 정의, 공 2 사이버 폭력의 특징 이해
동선 등을 중시하는 보편적인 도덕 원칙을 적용하여 정보 사회의 제시문은 사이버 공간의 특징으로 인해 모욕이나 명예
윤리 문제에 대한 해결책을 마련할 수 있다고 본다. 훼손과 같은 사이버 폭력의 심각성이 현실 세계의 폭력에 비해 훨
① 제시문은 인간이 함께 살아가는 곳에서는 언제 씬 크다고 본다.
나 동일한 양상을 보이는, 즉 보편적인 윤리가 존재한다고 본다. ㄴ. 제시문은 사이버 폭력이 네티즌들에 의해 급속하
② 제시문은 정보 사회의 변화에 맞는 새로운 윤리적 측면도 필요 게 퍼지게 된다고 보는데, 이는 정보의 복제와 유포가 쉬운 사이
하지만, 보편적인 도덕 원칙을 제시하는 전통 윤리를 통해 정보 버 공간의 특징에서 비롯된다.
사회의 윤리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고 본다. ㄹ. 제시문은 사이버 폭력이 일회성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계속적
④ 제시문은 윤리란 시대와 장소에 따라 변하는 측면이 있다고 본 으로 반복되고 확대된다고 보는데, 이는 한번 유포된 정보는 회수
다. 따라서 산업 사회와 정보 사회의 윤리는 시대의 변화에 따른 하기가 어려운 사이버 공간의 특징에서 비롯된다.
서로 다른 측면이 존재한다. ㄱ. 제시문은 사이버 폭력의 형태가 물리적인, 즉
⑤ 제시문은 인간 사회를 관통하는 보편적인 도덕 원칙이 존재한 신체적인 측면의 폭력의 형태는 아니라고 본다.
다고 본다. ㄷ. 제시문은 사이버 폭력이 계속적으로 반복되고 확대됨으로써
현실 세계에서 폭력을 당하는 경우보다 그 피해가 극심해질 가능
성이 높다고 본다.

수능 실전 문제 본문 118~121쪽

1⑤ 2③ 3③ 4⑤ 3 사이버 공간에서의 익명성의 문제점 이해


5① 6③ 7④ 8② 제시문은 기게스의 반지 이야기를 통해 익명성이 가져
오는 부정적 측면을 설명하고 있다. 인터넷 공간에서 자신의 정체
1 사이버 공간에서의 표현의 자유 문제 이해 를 감출 수 있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은 기게스의 반지의 주인공처
갑은 사이버 공간에서 표현의 자유가 최대한 보장되어 럼 비윤리적인 행위를 하게 된다는 것이다. 따라서 ㉠에 들어갈
야 한다고 주장하면서, 표현의 자유로 인한 문제들을 해결하는 데 내용은 익명성으로 인한 문제점이다.
개인의 자율적 통제만 있으면 되며, 제도적 규제나 통제는 필요하 ③ 인터넷 공간에서 익명성을 보장받는다고 생각하는
지 않다고 주장한다. 을은 표현의 자유로 인한 문제를 해결하기 사람들은 자신의 행위를 통제하지 못하고 무책임한 언행이나 일
위해서는 개인의 자율적 규제와 더불어 제도적 규제 장치가 필요 탈 행위를 저지르게 된다.
하다고 주장한다. ① 인터넷 공간에서 자신의 익명성이 보장된다고
⑤ 갑과 을은 모두 표현의 자유로 인해 발생하는 사이 생각하는 사람들은 자신의 생각을 숨기려 하기보다는 드러내려는
버 공간의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개인의 자율적 규제, 즉 경향을 보인다.

정답과 해설 35
정답과 해설

②, ④ 익명성이 가져다주는 긍정적 측면에 해당한다. ㉠에 들어 ㄹ. 을은 공공의 알 권리와 같은 공익을 위해서는 개인의 사적 정
갈 내용은 익명성으로 인한 문제점이다. 보를 공개해야 한다고 본다.
⑤ 익명성의 보장은 개인에게 도덕적 자각을 가져다주기보다는
비도덕적 행위를 유발하는 경우가 많다.
6 미디어 리터러시의 특징 이해
제시문은 디지털 시대에 필요한 미디어 리터러시에 대
4 저작권 문제 이해 해 언급하고 있다. 기존의 미디어 리터러시가 미디어가 전달하는
갑은 정보의 생성이 개인이나 집단의 노력의 산물이기 내용을 비판적으로 이해하는 능력에 집중했다면, 개인 미디어가
때문에 적절한 보상 시스템이 주어져야 한다고 본다. 정보의 창작 등장하는 디지털 시대에는 새로운 미디어 리터러시가 필요하다는
자에게 보상을 제공함으로써 정보의 생산을 촉진하여 사회 전체 것이다.
의 발전을 가져올 수 있다고 주장한다. 을은 정보와 지식이 인류 ③ 제시문은 디지털 시대에 필요한 미디어 리터러시에
의 보편적 자산이므로 특정 개인의 소유로 인정해서는 안 된다고 비판적 읽기 능력뿐만 아니라 미디어를 창의적이고 올바르게 사
본다. 용하고 표현하는 능력까지 포함되어야 한다고 본다.
ㄴ. 갑은 정보의 생산을 촉진하기 위해서는 정보의 창 ① 제시문은 디지털 시대에 필요한 미디어 리터러
작자에게 경제적 보상이라는 인센티브를 제공해야 한다고 주장한 시는 읽기 능력뿐만 아니라 올바른 미디어 사용과 표현 능력도 포
다. 이는 정보 창작자의 배타적 권리를 인정해야 한다는 것을 의 함해야 한다고 본다.
미한다. ② 미디어가 생성하는 의미에 대한 분석 능력은 디지털 시대 이전
ㄷ. 갑과 을 모두 정보의 확산이 사회의 발전을 가져올 수 있다고 에 강조하던 미디어 리터러시이다.
주장한다. 다만 갑은 정보 소유권의 인정을 통해서 정보의 확산이 ④ 대중 매체가 전달하는 내용을 해석하는 능력은 디지털 시대 이
가능하다고 보며, 을은 정보의 공유를 통해서 정보의 확산이 가능 전에 강조하던 미디어 리터러시이다.
하다고 본다. ⑤ 제시문은 미디어의 내용을 신속히 전달하는 능력보다는 미디
ㄹ. 을은 지식 재산권 제도가 정보의 확산을 가로막아 기술과 문 어를 창의적으로 올바르게 사용하고 표현하는 능력을 미디어 리
화의 발전을 방해할 것이라고 주장한다. 터러시의 주목적으로 제시하고 있다.
ㄱ. 갑은 지식과 정보의 사유화가 기술의 진보를 가
져올 수 있다고 본다.
7 인터넷 실명제의 찬반 입장 비교
갑은 인터넷상의 악성 댓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5 잊힐 권리와 알 권리의 윤리적 쟁점 이해 인터넷 실명제를 확대해야 한다고 본다. 반면에 을은 악성 댓글
갑은 인터넷으로 인한 개인 사생활 침해의 문제를 해 문제를 현행법 체계 내에서 충분히 해결할 수 있으며, 인터넷 실
결하기 위해 잊힐 권리를 보장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을은 잊힐 명제는 인터넷의 비판과 견제 기능을 위축시킬 것이라고 본다.
권리의 보장이 공공의 알 권리와 언론의 자유를 침해할 수 있다고 ④ 을은 악성 댓글 문제가 현행법 체계 내에서 추적과
주장한다. 처벌이 가능하다고 본다. 따라서 을은 악성 댓글 문제 해결을 위
ㄱ. 갑은 개인에게 자기 정보에 대한 결정권을 주는 잊 해 제도의 확대가 시급하다고 보지 않는다.
힐 권리를 보장해야만 개인의 사생활 침해를 막을 수 있다고 주장 ① 갑은 악성 댓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인터
한다. 넷 실명제를 확대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ㄷ. 을은 사람들이 알아야 할 정보라면 공인의 정보든 일반인의 ② 갑은 악성 댓글 문제를 표현의 자유를 넘어서 일탈이라고 규정
정보든 공개되어야 한다고 본다. 그런데 잊힐 권리의 보장이 이러 하고, 인터넷상에서 표현의 자유를 넘어서는 일탈에 대한 적절한
한 공공의 알 권리를 위축시킬 수 있다고 주장한다. 제한이 필요하다고 본다.
ㄴ. 갑은 개인이 자신의 정보가 더 이상 적법한 목 ③ 을은 인터넷 실명제가 각종 권력에 대한 비판과 견제를 위축시
적 등을 위해 필요하지 않을 때 그것을 지울 권리를 보장해야 한 킬 수 있다고 본다. 즉 을은 인터넷 실명제가 표현의 자유를 침해
다고 주장한다. 따라서 갑이 개인이 원하면 무조건적으로 그의 정 할 수 있다고 본다.
보를 삭제해야 한다고 보지는 않는다. ⑤ 갑은 익명성으로 인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인터넷 실명제의

36 EBS 수능특강 생활과 윤리


확대를 주장한다. 을은 익명성으로 인해 인터넷에서 여러 문제가 보지 않는다. 다만 인간과 동물의 이익을 동등하게 고려해야 한다
발생한다고 본다. 따라서 갑과 을은 모두 인터넷의 여러 문제들이 고 주장하였다.
익명성으로 인해 발생한다고 본다. ③ 싱어는 이성적 사고 능력이 아니라 쾌고 감수 능력이 어떤 존
재의 이익을 고려하기 위한 전제 조건이라고 주장하였다.
④ 싱어는 자신이 속한 종의 이익을 다른 종의 이익보다 우위에
8 뉴 미디어의 특징 이해 두는 것은 종 차별주의라고 비판하였다.
제시문은 모바일 환경에서 달라진 미디어의 변화에 대 ⑤ 싱어는 동물을 도덕적으로 고려해야 하는 이유를 동물이 쾌고
해 설명하고 있다. 새로운 미디어 환경에서는 기존 미디어뿐만 아 감수 능력을 지니고 있기 때문이라고 주장하였다.
니라 일반 이용자들도 정보를 생산하고 전파할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미디어 환경은 가짜 뉴스나 허위 정보와 같은 문제를 발생
시킬 수 있는 조건도 함께 가지고 있다. 02 환경적으로 건전하고 지속 가능한 발전의 개념 이해
ㄱ. 제시문은 새로운 모바일 환경에서는 기존의 미디 서술형 평가의 A는 ‘환경적으로 건전하고 지속 가능
어뿐만 아니라 일반 이용자들도 미디어 정보와 콘텐츠를 생산할 한 발전’이다.
수 있다고 본다. ② 환경적으로 건전하고 지속 가능한 발전은 개발과
ㄹ. 제시문은 모바일 환경에서 정보의 생산에 참여하는 일반 이용 보전의 균형, 인간과 자연의 조화를 추구하는 방식이다. 자연의
자들이 기존의 미디어와 달리 정보의 정확성이나 객관성보다는 내재적 가치를 인정하고 자연에 대한 인간의 개입을 배제하자는
사람들의 관심 끌기에 더 신경을 쓰게 된다고 본다. 것은 개발을 반대하고 자연 보전만을 강조하는 입장으로, 환경적
ㄴ. 제시문은 모바일 환경에서 대중 매체에 의한 획 으로 건전하고 지속 가능한 발전에 해당하지 않는다.
일적 메시지 전달 방식이 약화되고, 다양한 정보 생산자들이 정보 ① 환경적으로 건전하고 지속 가능한 발전은 개발
를 전달하게 되는 변화가 발생한다고 본다. 과 보전을 양립 가능한 것으로 파악한다.
ㄷ. 제시문은 전통적 미디어들이 모바일 환경에서도 정확성, 객관 ③ 환경적으로 건전하고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해서 개인적으로
성, 공정성의 규범을 중요한 가치로 여기고 있다고 본다. 는 일회용품 사용 자제와 에너지 절약 등 친환경적인 소비 생활을
추구해야 한다.
④ 환경적으로 건전하고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해서 국가적으로
는 친환경 에너지 개발을 촉진하고 환경 오염 물질 배출을 규제하
는 법과 제도를 마련해야 한다.

11 자연과 윤리
⑤ 환경적으로 건전하고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해서 국제적으로
는 환경 문제 해결을 위한 국제 협력 체계를 구축해야 한다.

수 능 기본 문제 본문 129~130쪽
03 기후 정의의 특징 이해
01 ① 02 ② 03 ⑤ 04 ⑤ 제시문은 지구 생태계가 인류만이 아니라 모든 생물종
05 ③ 06 ③ 07 ① 08 ⑤ 의 공유지이므로 인류와 다른 생물종 간에 형평성의 원칙이 실현
되어야 하며, 이러한 형평성의 원칙은 세대 간에도 실현되어야 한
01 싱어의 동물 중심주의 이해 다고 본다.
제시문은 싱어의 주장이다. 싱어는 쾌고 감수 능력의 ㄱ. 제시문은 인류 중 어느 누구도 대기에 더 많은 온
유무를 도덕적 고려의 유일한 기준으로 보았다. 그는 인간을 우대 실가스를 배출할 권리가 없다고 본다. 즉 인류가 대기를 함께 누
하고 쾌고 감수 능력을 지닌 동물을 차별하는 태도를 종 차별주의 리고 함께 보전해야 할 책임을 지닌다고 본다.
라고 비판하였다. ㄷ. 제시문은 대기 공유지를 동등하게 누려야 한다는 형평성의 원
① 싱어는 이익 평등 고려의 원칙에 근거해 동물의 고 칙이 세대 간, 즉 현세대와 미래 세대 간에도 실현되어야 한다고
통과 인간의 고통을 동등하게 고려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본다.
② 싱어는 인간과 동물이 동일한 권리를 지닌다고 ㄹ. 제시문은 지구 생태계의 진정한 지속 가능성을 담보해야 한다

정답과 해설 37
정답과 해설

고 본다. 즉 생태적 지속 가능성을 충족시킬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진인은 자연의 순리를 따르는 이상적 인간이다.
개발이 이루어져야 한다고 본다. ③ 제시문에서 장자는 덕을 소중히 품고 자연을 따르
ㄴ. 제시문은 생태계가 인류의 이익 충족을 위해서 는 자를 진인이라고 하였다. 이처럼 장자는 자연의 흐름을 거스르
만 존재한다고 보지 않으며, 생태계를 인류만이 아니라 모든 생물 지 않고 자연의 순리에 따라 살아가는 삶의 자세를 중시하였다.
의 공유지라고 본다. ① 장자는 인간을 만물의 주인이 아닌 자연의 일부
분으로 보았다.
② 장자는 자연의 변화를 추구하지 않고 자연의 흐름에 따르는 삶
04 칸트의 인간 중심주의 이해 을 중시하였다.
제시문은 칸트의 주장이다. 칸트는 이성적 능력을 지닌 ④ 서양의 인간 중심주의에서 제시하는 자연관이다.
인간만이 도덕적 권리를 지닌다는 인간 중심주의를 주장하였다. ⑤ 장자는 자연을 단순한 물질의 결합체로 보지 않는다. 장자를
⑤ 칸트는 이성은 없지만 생명을 지닌 존재들을 폭력 비롯한 도가 사상에서는 자연을 거대한 순환 체계를 지닌 살아 움
적으로 그리고 잔학하게 다루어서는 안 된다고 주장하였는데, 이 직이는 유기체로 보았다.
는 이러한 행위가 인간성을 해칠 수 있기 때문이다.
① 칸트는 인간의 도덕적 지위만을 인정하는 인간 중
심주의자이다. 07 레건과 테일러의 사상 비교
② 칸트는 인간만이 도덕적으로 존중받을 만한 가치를 지닌다고 갑은 레건, 을은 테일러이다. 레건은 의무론의 입장에
보았다. 서 일부 동물도 삶의 주체로서 도덕적 권리를 갖는다고 보았다.
③ 칸트는 인간이 자연을 도덕적으로 고려하는 것은 자연 그 자체 테일러는 모든 생명체가 목적론적 삶의 중심으로서 고유의 선을
를 위한 직접적 의무가 아니라 인간을 위한 간접적 의무라고 주장 갖는다고 보았다.
하였다. ㄱ. 레건은 일부 동물, 즉 성장한 포유동물은 삶의 주
④ 칸트는 이성이 없는 존재를 수단이 아니라 목적으로 대우해야 체로서 존중받아야 할 도덕적 지위를 지닌다고 보았다.
한다고 보지 않았다. ㄴ. 테일러는 인간이 다른 생명체와 함께 지구 생명 공동체를 구
성하는 일원이며, 본질적으로 다른 생명체보다 우월하지 않다고
보았다.
05 슈바이처의 생명 중심주의 이해 ㄷ. 테일러는 감정을 느낄 수 있는지의 여부에 상관
제시문은 슈바이처의 주장이다. 슈바이처는 생명을 없이 모든 생명체가 도덕적 고려의 대상이 될 수 있다고 보았다.
유지하고 고양하는 것이 선이며, 생명을 파괴하고 훼손하는 것은 ㄹ. 테일러만의 입장이다.
악이라는 생명 중심주의를 주장하였다.
ㄴ. 슈바이처는 생명이 그 자체로 선이며 본래적 가치
를 지니므로 모든 생명을 도덕적으로 고려해야 한다고 보았다. 08 레오폴드의 생태 중심주의 이해
ㄷ. 슈바이처는 모든 생명이 살고자 하는 의지를 지니고 있으며 제시문은 레오폴드의 주장이다. 레오폴드는 인간이
그 자체로 신성하다는 생명의 동등성을 주장하였다. 상호 의존적인 부분들로 이루어진 공동체의 한 구성원이라고 주
ㄱ. 슈바이처의 입장으로 적절하지 않다. 슈바이처 장하며, 도덕 공동체의 범위를 동물, 식물, 토양, 물을 포함하는
는 생명이 그 자체로 선이며 본래적 가치를 지니므로 모든 생명을 대지로 확장시켜야 한다고 본다.
존중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⑤ 레오폴드는 대지 이용 문제를 고려할 때 경제적인
ㄹ. 슈바이처는 자기 존재를 유지하기 위해 불가피하게 다른 생명 관점에서만 보지 말고 윤리적·심미적 관점에서도 보아야 한다고
을 해쳐야 할 경우가 발생한다고 보았다. 주장한다.
① 레오폴드는 인간을 생명 공동체의 지배자가 아
니라 생명 공동체의 한 구성원으로 본다.
06 장자의 자연관 이해 ② 레오폴드는 도덕적 고려의 대상을 무생물을 포함한 생태계 전
제시문은 도가 사상가인 장자의 주장이다. 장자는 이 체로 확장한다.
상적 인간상의 하나로 진인(眞人)을 제시하였다. 장자에 따르면 ③ 레오폴드는 전일론적 관점에서 각 개체의 생존권보다 생명 공

38 EBS 수능특강 생활과 윤리


동체의 보전을 중시한다. 지닌다고 주장한다.
④ 레오폴드는 인간과 자연이 분리되고 대립한다는 이분법적 관점 ㄹ. 인간 중심주의에서는 인간이 다른 존재들보다 우월한 능력과
을 거부하고 인간이 생명 공동체의 구성원이라는 점을 강조한다. 지위를 지닌다고 주장한다.

수능 실전 문제
3 슈바이처와 레오폴드의 사상 비교
본문 131~135쪽

1① 2① 3③ 4⑤ 갑은 슈바이처, 을은 레오폴드이다. 슈바이처는 생명


5⑤ 6④ 7④ 8⑤ 은 그 자체로 선이며 본래적 가치를 지니므로 모든 생명을 존중해
9⑤ 10 ② 야 한다고 보았다. 레오폴드는 도덕 공동체의 범위를 식물, 동물,
토양을 포함하는 대지로 확장해야 한다는 대지 윤리를 제시하였다.
1 싱어의 동물 중심주의 이해 ③ 레오폴드는 생태계, 즉 생명 공동체의 온전성, 안
그림의 강연자는 싱어이다. 싱어는 쾌고 감수 능력을 정성, 아름다움의 보전에 이바지하는 행위가 옳은 행위라고 주장
지닌 모든 존재의 이익을 평등하게 고려해야 한다는 이익 평등 고 하였다.
려의 원칙을 제시하였다. ① 슈바이처는 모든 생명은 살고자 하는 의지를 지
① 싱어는 인간들이 자신들의 편의를 위해 사용했던 니고 있으며 그 자체로 신성하다고 보고 모든 생명의 동등성을 주
동물을 다루는 방식을 개선하기만 해도 동물들은 상당한 양의 고 장하였다.
통을 피할 수 있을 것이라고 주장하였다. 싱어는 고통받는 존재가 ② 슈바이처는 자기 존재를 유지하기 위해 불가피하게 다른 생명
인간인지 동물인지의 여부와 무관하게 고통을 최소화해야 한다고 을 해쳐야 하는 경우가 발생하는데, 이때에도 불가피한 생명 훼손
보았다. 에 대한 도덕적 책임감을 바탕으로 생명 사랑을 실천해야 한다고
② 싱어는 이성적 능력 여부에 상관없이 고통받는 주장하였다.
존재를 도덕적으로 고려해야 한다고 보았다. ④ 레오폴드는 생태 중심주의자로서 생태계 전체를 도덕적 고려
③ 싱어는 이익 평등 고려의 원칙에 근거하여 동물의 고통을 저급 의 대상으로 삼는다.
하게 여기거나 무시하는 행위를 해서는 안 된다고 주장하였다. ⑤ 레오폴드만의 입장이다.
④ 싱어는 일부 동물도 고통을 느낄 수 있는 능력을 갖추고 있다
고 보았다.
⑤ 싱어는 쾌고 감수 능력을 지닌 존재만을 도덕적으로 고려해야
한다고 보았다. 4 심층 생태주의의 입장 이해
제시문은 심층 생태주의의 입장이다. 심층 생태주의
에서는 ‘큰 자아실현’과 ‘생명 중심적 평등’을 궁극적 규범으로 제
2 인간 중심주의의 특징 이해 시한다.
갑은 아퀴나스, 을은 베이컨으로 두 사상가 모두 인간 ㄱ. 심층 생태주의에서는 모든 유기체가 상호 연관된
중심주의 윤리를 주장하였다. 아퀴나스는 신의 섭리에 의해 인간 전체의 부분들로서 생명의 연결망 속에 본래적으로 연결되어 있
이 자연을 사용하도록 운명 지어졌다고 보았다. 베이컨은 자연을 다고 본다.
정복하여 물질적 생활을 향상시키는 것을 학문의 목적으로 파악 ㄷ. 심층 생태주의에서는 생명 공동체의 구성원이라는 이유로 모
하였다. 든 존재는 평등한 도덕적 가치를 소유한다고 본다.
ㄱ. 인간 중심주의에서는 인간이 자연의 다른 존재들 ㄹ. 심층 생태주의에서는 자신을 자연과의 상호 연관을 통해서 존
보다 우월하고 고귀한 존재로, 인간만이 도덕적 지위를 지닌다고 재하는 것으로 이해하여 자연의 모든 존재들과 공생할 때 큰 자아
본다. 를 실현할 수 있다고 본다.
ㄷ. 인간 중심주의에서는 자연을 그 자체로 가치 있는 존재가 아 ㄴ. 심층 생태주의에서는 환경 오염 예방이나 경제
니라 인간의 생존과 복지를 위한 수단으로 간주한다. 개발의 속도 조절과 같은 피상적 방법으로는 환경 위기의 문제를
ㄴ. 인간 중심주의에서는 인간만이 도덕적 지위를 근본적으로 해결할 수 없다고 본다.

정답과 해설 39
정답과 해설

5 레건, 칸트, 테일러의 사상 비교 능성 정도에 의해 제한되어야 하고, 재생 불가능한 자원 생산은


대체물 개발에 의해서 제한되어야 한다고 본다.
갑은 레건, 을은 칸트, 병은 테일러이다. 레건은 삶의
주체가 될 수 있는 존재는 도덕적으로 존중받을 권리를 지닌다고

7 불교와 유교의 자연관 비교


보았다. 칸트는 이성적 존재만이 도덕적 주체가 될 수 있고 도덕
적 지위를 지닌다고 보았다. 테일러는 모든 생명체가 목적론적 삶
(가)는 불교 사상, (나)는 유교 사상에 해당한다. 불교
의 중심으로서 고유한 가치를 지닌다고 보았다.
에서는 연기론을 주장하면서 만물의 상호 의존성을 강조한다. 유
ㄴ. 칸트는 동물을 폭력적으로 다루지 말아야 하는 이
교에서는 만물이 본래의 가치를 지닌다고 보고, 인간과 자연이 조
유는 동물들이 도덕적으로 존중받을 만한 가치를 지녀서가 아니
화를 이루는 천인합일의 경지를 지향한다.
라 그러한 행위가 인간의 도덕성 형성에 악영향을 미치기 때문이
④ 자연을 무위의 체계로 보는 것은 도가의 자연관이다.
라고 보았다. 칸트는 동물에 대한 우리의 의무는 간접적 의무이
① 불교에서는 인간과 자연의 상호 의존성을 자각
며, 인간에 대한 의무에서 비롯된다고 보았다.
하고, 모든 생명을 소중히 여기면서 자비를 베풀 것을 강조한다.
ㄷ. 테일러는 인간은 다른 생명체와 마찬가지로 지구 생명 공동체
② 불교에서는 모든 존재가 원인과 조건으로 연결되어 서로 영향
의 구성원이며, 인간 종은 다른 모든 종과 함께 상호 의존적 체계
을 주고받는다는 연기론을 주장한다.
의 일부라고 보았다.
③ 유교에서는 인간의 선한 본성이 하늘로부터 온 것이라고 보고
ㄹ. 칸트는 인간 이외의 존재는 내재적 가치를 지니지 않는다고
하늘을 본받아 타인에게 사랑을 베풀 것을 강조한다.
보았다. 레건은 삶의 주체가 될 수 있는 존재는 내재적 가치를 지
⑤ 유교와 불교에서는 인간을 자연의 일부분으로 보며, 인간과 자
닌다고 보았다. 테일러는 모든 생명체가 목적론적 삶의 중심으로
연을 상호 유기적인 관계로 파악한다.
서 내재적 가치를 지닌다고 보았다. 세 사상가 모두 내재적 가치
를 지니는 존재를 도덕적으로 고려해야 한다고 보았다.

8 기후 변화의 특징 이해
ㄱ. 레건뿐만 아니라 테일러의 입장에도 해당하므
로 정답이 아니다.
제시문은 기후 변화의 문제가 갖는 특징에 대해 서술
하고 있다. 기후 변화의 문제는 인간의 활동에 의해 급격히 증가
하고 있고, 기후 변화로 인한 피해는 전 세계에서 일어나고 있다.
6 지속 가능한 경제의 특징 이해 그리고 기후 변화는 인간의 생존과 생명 공동체의 복지에도 위협
제시문은 지속 가능한 경제의 특징을 제시하고 있다. 이 되고 있다.
지속 가능한 경제를 위해서는 자원을 지속될 수 있는 속도로 이용 ⑤ 제시문은 기후 변화가 인간 생활의 모든 측면과 관
하고, 부산물과 생산물을 재사용하는 경제 체제를 발전시켜야 한 련되며, 기후 변화 문제 해결을 위해서는 다양한 학문 간의 논의
다고 본다. 가 필요하다고 본다. 따라서 제시문은 기후 변화를 과학적인 문제
④ 제시문은 지속 가능한 경제를 위해서는 전통적인 로만 한정지어서는 안 된다고 본다.
시장 경제의 틀에서 벗어나야 한다고 본다. 생산된 재화와 용역이 ① 제시문은 기후 변화의 문제가 인간 생존의 사회
소비자의 수요에 의해서 우선 분배되는 시스템은 전통적인 시장 적, 문화적 차원에 대해 분명한 위협이 되고 있다고 본다.
경제에 해당한다. ② 제시문은 최근 기후 변화가 인간의 직접적·간접적인 활동에
① 제시문은 생산 과정의 부산물이나 생산물을 재 의해 기후 변화의 속도와 폭이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고 본다.
활용하거나 재사용하는 경제 체제를 발전시켜야 한다고 본다. ③ 제시문은 기후 변화와 그로 인해 파생되는 문제가 전 세계에서
② 제시문은 폐기물이나 오염 등의 최적 수준은 그것들을 흡수할 일어나고 있다고 본다.
수 있는 지구의 능력, 즉 자정 능력에 의해서 결정되어야 한다고 ④ 제시문은 기후 변화가 지구상에 생존하고 있는 생명 공동체의
본다. 복지에도 위협이 되고 있다고 본다.
③ 제시문은 자원을 장기간 지속될 수 있는 속도로 이용해야 하
고, 자원에 대한 생산 결정은 자원들이 새로 보충될 수 있는 정도
에 의해 제한되어야 한다고 본다. 9 아리스토텔레스, 싱어, 레오폴드의 사상 비교
⑤ 제시문은 재생 가능한 자원의 생산 결정은 자원들의 재생산 가 갑은 아리스토텔레스, 을은 싱어, 병은 레오폴드이다.

40 EBS 수능특강 생활과 윤리


아리스토텔레스는 자연의 모든 존재가 인간을 위해 존재한다는
인간 중심주의를 주장하였다. 싱어는 인간을 우대하고 쾌고 감수
능력을 지닌 동물을 차별하는 태도를 종 차별주의라고 비판하였
12 예술과 대중문화 윤리

다. 레오폴드는 전일론적 관점에서 생명 공동체의 온전성과 안정


성을 중시하는 입장을 제시하였다. 수 능 기본 문제 본문 143~144쪽

ㄴ. 싱어는 긍정, 레오폴드는 부정의 대답을 할 질문


01 ② 02 ② 03 ③ 04 ③
이다. 싱어와 달리 레오폴드는 무생물을 도덕적 존중의 대상으로
05 ② 06 ③ 07 ③ 08 ④
보았다.
ㄷ. 싱어는 쾌고 감수 능력을 지닌 존재를 도덕적 고려의 대상으
01 예술에 대한 입장 이해
로 삼아야 한다고 보았다.
제시문은 예술이란 자기가 경험한 감정을 타인에게 전
ㄹ. 레오폴드는 생명 공동체의 온전성과 안정성을 보전하는 행위
달하기 위해 외적으로 표현하는 것으로, 인류 전체의 행복을 위해
를 옳다고 보았다. 그는 인간에게 생명 공동체의 건강한 유지를
필요한 교류의 수단이자 감정을 통일하는 수단이라고 본다. 따라
위한 도덕적 책임이 부여된다고 보았다.
서 예술을 통해 인간 상호 간의 연대와 공감의 형성이 가능해진다
ㄱ. 이성적 능력을 지닌 존재, 즉 인간을 도덕적으
고 볼 것이다.
로 존중해야 한다는 것은 아리스토텔레스뿐만 아니라 싱어, 레오
② 제시문은 예술이 인간 상호 간의 감정을 공유하며
폴드의 입장이기도 하다.
교류하기 위한 수단이라고 본다. 따라서 예술은 인류의 연대를 위
한 소통의 수단이 되어야 한다고 볼 것이다.

10 미래 세대의 책임에 대한 윤리적 쟁점 이해 ① 제시문은 예술이 타인의 감정과 무관한 독창성


갑은 현세대가 과거 세대의 도움으로 출현했듯이 미래 을 지녀야 한다고 보지 않는다.
세대도 현세대의 도움 없이는 존재할 수 없다고 보아 세대 간의 ③ 제시문은 예술이 교류의 도구가 될 수 있다고 본다.
상호 관계를 주장하고 있다. 을은 미래 세대가 비실재적인 존재들 ④ 제시문은 예술의 목적을 욕망의 충족을 통해 쾌락을 얻는 것만
이며 자신이 누구인지를 확인할 수 없는 존재들이라고 본다. 따라 으로 보지 않는다.
서 미래 세대는 직접적인 권리 주장을 할 수 없으며, 현세대와 도 ⑤ 제시문은 예술이 주변 사람과의 교류와 소통의 수단이 되어야
덕을 공유하는 공동체에 속할 자격이 없다고 본다. 한다고 보기 때문에, 사회적 비난을 받더라도 예술가의 창작 의도
를 드러내야 한다고 보지 않을 것이다.
② 갑은 인류가 과거 세대와 현세대, 그리고 미래 세대
라는 연속적 세대로 이루어진 하나의 도덕 공동체를 형성하고 있
다고 본다.
① 갑은 미래 세대가 자신의 존립을 위해 현세대에 02 대중문화에 대한 입장 이해
의존할 수밖에 없는 의존적 관계를 맺고 있다고 본다. 칼럼에서는 대중문화에서 획일적인 내용만을 생산하
③ 을은 미래 세대가 현세대와 도덕 공동체를 형성하고 있지 않다 여 사람들의 주체성을 약화시키고 상업적 이익만을 추구하는 문
고 본다. 따라서 현세대는 미래 세대에 대해 도덕적 책임 의식을 화 산업에 대해 서양 사상가 아도르노의 주장을 인용하여 비판하
지닐 필요가 없다고 본다. 고 있다. 따라서 사람들이 이러한 대중문화를 그대로 받아들이지
④ 을은 현세대가 자신들과 도덕을 공유하는 공동체에 속할 자격 말고 비판적으로 바라보려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볼 것이다.
이 없는 미래 세대에 대해 책임질 필요가 없다고 본다. ② 칼럼에서는 문화 산업이 사람들을 수동적으로 만들
⑤ 을의 입장에 해당하지 않는다. 기 때문에 대중문화를 비판적으로 바라보려는 수용자의 주체적
노력이 필요하다고 본다.
① 칼럼에서는 대중문화가 사람들의 감정을 정화시
켜야 한다고 보지 않는다.
③ 칼럼에서는 대중문화를 누구나 접해야 한다는 접근성의 문제
에 대해 이야기하고 있지 않다.
④ 칼럼에서는 대중문화의 획일성을 비판하고 다양한 문화를 접

정답과 해설 41
정답과 해설

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본다.
05 예술에 대한 플라톤의 도덕주의 입장 이해
⑤ 칼럼에서는 대중문화가 담고 있는 내용이 허구이어야 하는지
제시문의 ‘나’는 플라톤이다. 플라톤은 시인은 시를 쓸
또는 사실이어야 하는지에 대해 이야기하고 있지 않다.
때 용감하고 절제 있고 경건하며 훌륭한 덕을 모방해야만 한다고
보았다. 이에 반해 ‘어떤 시인들’은 인간의 나약함을 묘사함으로
써 감정에 호소하는 시가 가치를 지닌다고 본다. 따라서 플라톤의

03 유가의 음악에 대한 입장 이해 도덕주의 입장에서 어떤 시인들의 주장에 대해 바르게 비판한 내

제시문은 유가의 입장으로 악(樂)은 천지의 조화이며, 용을 고르면 된다.

예(禮)는 천지의 질서라고 본다. 또한 악은 하늘의 이치에 따라 만 ② 플라톤은 시는 사려 깊은 절제와 선량함을 담아야
들어지고 예는 땅의 이치에 따라 만들어지므로, 예와 악이 잘못되 한다고 보았다. 따라서 감정에 대한 호소를 중시하는 어떤 시인들
면 사회가 어지럽고 혼란하며 하늘과 땅의 이치에 어긋나게 된다 이 이를 간과하고 있다고 볼 것이다.
고 본다. ① 플라톤은 시가 사람들의 나약한 감정에 호소함
ㄴ. 제시문은 음악이 하늘의 이치에 따라 만들어져야 으로써 대중의 인기를 얻으려고 하는 것을 비판하였다.

한다고 보므로 긍정의 대답을 할 질문이다. ③ 제시문에서 시가 인간의 나약한 감정을 표현하는 수단이 되어
야 한다고 보는 것은 플라톤이 아니라 어떤 시인들이다.
ㄷ. 제시문은 음악이 조화로운 사회를 형성하는 데 기여할 수 있
④ 플라톤은 시에서 감정적 호소보다 올바름과 선량함의 표현이
다고 보므로 긍정의 대답을 할 질문이다.
중요하다고 보았다.
ㄱ. 제시문은 잘못 만들어진 음악이 오히려 사회를 난
⑤ 플라톤은 시가 윤리성 도야에 기여할 때 가치를 갖는다고 보
폭하게 만드는 원인이 된다고 보므로 부정의 대답을 할 질문이다.
았다.
ㄹ. 제시문은 음악이 하늘의 이치에 따라 화해와 조화에 기여해야
하므로 욕망의 절제와 무관하지 않다고 볼 것이다. 따라서 부정의
대답을 할 질문이다.

04 예술에 대한 입장 이해 06 대중문화에 대한 규제 파악
제시문에서는 인간은 자신이 참여하는 문화를 통해 미 갑, 을은 모두 대중문화가 사람들의 삶에 미치는 영향
적 경험을 하게 되므로 미적 경험은 개인적인 동시에 개인이 속한 이 크므로 이에 대한 규제가 필요하다고 본다. 갑은 대중문화에
문명적 삶의 기록이므로 사회적이라고 본다. 또한 예술은 이러한 대한 규제에서 자율적 규제는 한계가 있으므로 법과 제도를 통해
미적 경험을 통해 가능하며, 미적 경험은 지속적으로 변화하고 발 규제해야 한다고 본다. 이에 비해 을은 대중문화에 대한 타율적
전할 수 있으므로 미적 경험 또한 문명의 발전을 위한 수단이 될 규제는 대중문화에 대한 사람들의 권리를 위축시키므로 자율적
수 있다고 본다. 규제만으로 충분하다고 본다.
③ 제시문은 미적 경험으로서의 예술이 사회적이며 문 ③ 갑은 대중문화에 대해 법과 제도를 통한 강제성을
명 발전을 위한 수단이 되므로, 현실과 무관하지 않다고 볼 것이 지닌 규제가 필요하다고 보며, 을은 양심에 따른 자율적 규제가
다. 따라서 ‘아니요’라고 대답할 것이다. 필요하다고 본다. 따라서 토론의 핵심 쟁점으로 적절하다.
① 제시문은 개인이 자신이 참여하는 문화를 통해 ① 갑, 을은 모두 대중문화를 규제할 필요가 있다고
미적 경험을 하게 된다고 본다. 따라서 ‘예’라고 대답할 것이다. 본다.
② 제시문은 예술이 문명을 진보시키는 가치 있는 목적을 위한 수 ② 문화적 권리의 침해가 대중문화를 위축시킬 수 있다는 것은 을
단이 된다고 본다. 따라서 ‘예’라고 대답할 것이다. 이 제기한 주장의 근거이며, 토론의 핵심 쟁점은 아니다.
④ 제시문은 인간이 미적 경험을 통해 문명적 삶의 발전을 촉진할 ④ 갑, 을은 대중문화의 규제에서 생산자와 소비자에 대한 규제가
수 있다고 본다. 따라서 ‘예’라고 대답할 것이다. 아니라 자율적 규제와 타율적 규제에 대해 토론하고 있다.
⑤ 제시문은 미적 경험이 개인적 경험인 동시에 사회적 경험이 된 ⑤ 갑, 을은 자율적 규제가 표현의 자유를 억압하는지에 대해 토
다고 본다. 따라서 ‘예’라고 대답할 것이다. 론하고 있지는 않다.

42 EBS 수능특강 생활과 윤리


07 예술에 대한 도덕주의와 심미주의의 입장 비교 수능 실전 문제 본문 145~148쪽
갑은 예술이 미(美)를 선(善)의 경지로 끌어올려 도덕
성의 완성에 기여해야 한다고 보는 도덕주의의 입장을 지닌다. 이 1① 2② 3③ 4①
에 비해 을은 예술의 목적은 오직 미의 실현에 있으며, 미는 선과 5② 6① 7④ 8②
분리되어 독립적으로 존재해야 한다고 보는 심미주의의 입장을
지닌다. 따라서 심미주의 입장에서 도덕주의 입장에 대해 제기할 1 예술가의 역할에 대한 플라톤의 입장 이해
수 있는 비판을 고르면 된다. (가)를 주장한 사상가는 플라톤이다. 플라톤은 예술이
③ 심미주의는 예술에서 미와 선이 분리되어야 한다고 도덕적 가치를 지녀야 하며, 미(美)도 선(善)의 일부라고 보아 예
보므로, 미가 선을 실현하기 위한 수단이 되어야 한다고 보는 도 술을 통한 도덕성의 실현을 중시하였다. 그는 예술의 존재 이유가
덕주의의 입장에 대해 아름다움과 도덕성이 무관한 것임을 간과 바른 행동과 덕성을 표현하고 장려하는 데 있으며, 예술에 내재되
한다고 비판할 것이다. 어 있는 미가 우리의 정신을 고상하게 하는 데 이바지해야 한다고

① 예술이 감상자의 인격 완성에 도움이 되어야 한 주장하였다. 따라서 플라톤은 예술가는 예술 작품을 통해 사람들

다고 보는 것은 도덕주의의 입장이다. 의 도덕성을 고양시키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고 보았다.

② 예술이 사회 전반의 윤리 의식 고취에 기여해야 한다고 보는 ㄱ. 플라톤은 예술가가 사람들에게 도덕적 모범을 제시
것은 도덕주의의 입장이다. 하여 선한 것과 악한 것을 구별하도록 도와주어야 한다고 보았다.
④ 심미주의에서는 예술이 윤리적 가치의 실현을 위한 수단이 되 ㄷ. 플라톤은 예술가가 일반인들이 모방할 만한 도덕적으로 훌륭
어야 한다고 보지 않는다. 한 사람들의 성품을 제시해야 한다고 보았다.
⑤ 심미주의에서는 미가 선의 실현에 이바지하기 위한 것이 아니 ㄴ. 플라톤은 예술이란 도덕성 함양의 수단이어야
라, 미 그 자체를 위해 존재해야 한다고 본다. 하므로 예술을 도덕으로부터 분리시켜야 한다고 보지 않는다.
ㄹ. 플라톤은 예술가가 감각적 삶의 중요성을 일깨워 주기보다 덕
을 찬양하여 도덕적 성품을 기르는 데 기여해야 한다고 보았다.

08 대중문화에 대한 입장 이해 2 예술에 대한 심미주의와 도덕주의의 입장 비교


그림의 강연에서는 복제 기술의 발달로 예술에서 원본 갑은 심미주의의 입장을 지닌 사람으로서 예술이란 그
과 복제품의 구분이 모호해지고 원본이 지닌 아우라가 약화되었 자체로 가치를 지니므로 도덕이나 정치와 같은 다른 목적을 위한
다고 본다. 또한 예술 작품에 대한 사람들의 접근성이 확대되면서 수단이 되어서는 안 된다고 본다. 이에 비해 을은 톨스토이로, 그
누구나 예술에 대해 논의하고 비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었고, 예 는 인간의 감정 중 종교적 자각에서 나오는 감정이 최고의 감정이
술에서 수용자의 주체성이 강화되었다고 본다. 므로 예술은 이의 전파를 목적으로 해야 하며, 예술은 종교적 선
ㄱ. 강연에서는 복제 기술의 발달로 예술 작품이 대량 에 봉사하는 한에서만 의미를 갖는다고 보았다.
생산되면서 사람들이 예술을 쉽게 접할 수 있게 된다고 본다. ② 갑은 예술이 미적 가치만을 실현하면 되므로 예술
ㄴ. 강연에서는 복제 기술이 발달하면서 원본과 복제품의 구분이 이 미풍양속에 해가 될 경우 규제를 가해야 한다고 보지 않을 것
모호해지고 사람들의 예술에 대한 비평이 가능해졌다고 본다. 따라 이다. 따라서 갑이 ‘아니요’라고 대답하게 되므로 B에 들어갈 질
서 복제 기술의 발달로 예술의 수용 방식이 변화된다고 볼 것이다. 문으로 적절하지 않다.
ㄹ. 강연에서는 복제 기술의 발달로 예술 작품의 아우라가 약화되 ① 갑은 예술이 예술 그 자체를 위해 존재한다고 보
면서 각자가 생각하는 예술에 대한 비평적 해석이 가능해졌다고 므로 예술의 사회성보다 예술의 자율성을 중시할 것이다. 을은 예
본다. 따라서 복제 기술의 발달은 예술 작품에 대한 다양한 해석 술이 종교적 선을 위해 봉사할 때 의미를 지닌다고 보므로 예술의
을 가능하게 한다고 볼 것이다. 자율성보다 예술의 사회성을 중시할 것이다. 따라서 갑은 ‘예’, 을
ㄷ. 강연에서는 원본의 아우라가 강조될수록 감상 은 ‘아니요’라고 대답하게 되므로 A에 들어갈 질문으로 적절하다.
자의 비판이 어려워진다고 본다. 따라서 예술 작품의 유일무이함이 ③ 갑은 예술이 도덕과 무관하게 그 자체로 가치를 지닐 수 있다
강조될수록 감상자의 비판 의식이 강화된다고 보지 않을 것이다. 고 본다. 따라서 갑이 ‘예’라고 대답하게 된다.

정답과 해설 43
정답과 해설

④ 을은 예술이 종교적 선을 위해 봉사할 때 의미를 지닌다고 보 이익에 부합되지 않아 공익성을 상실할 수 있다고 본다.
므로 예술이 외재적 목적을 위한 수단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따라 ⑤ (가), (나)는 모두 음악이 미적 가치만을 추구해야 한다고 보는
서 을이 ‘예’라고 대답하게 된다. 예술 지상주의와 무관하다.
⑤ 을은 예술에 대한 도덕주의의 입장을 지니므로 예술의 가치를
도덕적 기준을 근거로 평가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볼 것이다. 따라
서 을이 ‘예’라고 대답하게 된다. 5 예술에 대한 톨스토이와 칸트의 입장 비교
갑은 톨스토이, 을은 칸트이다. 톨스토이는 예술의 진
정한 가치는 인류 최고의 사랑을 완성하는 데 있으며, 종교적 자
3 순수 예술론과 참여 예술론 비교 각의 감정을 감염시키는 예술, 모두가 참여하는 만인을 위한 예술
갑은 예술이 현실과 분리되어 예술의 자율성을 확보할 을 좋은 예술이라고 보아 도덕주의의 입장을 지녔다. 칸트는 자유
때 우아한 예술로서 가치를 지닐 수 있다고 보는 순수 예술론을 로운 미적 체험이나 자유로운 도덕적 행위가 특정 이익을 추구하
주장한다. 이에 반해 을은 예술이 사회 현실에 관심을 가지고 올 는 것이 아니라는 점에서 미(美)와 도덕성은 유사성을 가지며, 미
바른 방향으로 사회 변화를 이끌어 가는 데 기여해야 한다고 보는 가 도덕성의 실현에 기여할 수 있다고 보았다.
참여 예술론을 주장한다. 따라서 ㉠에는 을이 지닌 참여 예술론의 ② 갑은 예술이 인류의 공감 형성과 교류에 기여해야
입장에서 갑이 지닌 순수 예술론의 입장을 평가하는 내용이 들어 한다고 보았으며, 을은 미가 주관적 판단이지만 자신의 이해와 무
가면 된다. 관하기 때문에 보편타당한 것이 될 수 있다고 보았다. 따라서 갑,
③ 참여 예술론을 주장하는 을의 입장에서는 순수 예 을 모두 예술 작품이 타인과 감정을 공유할 수 있는 매개체가 될
술론이 예술의 현실 참여를 부정하기 때문에 예술이 현실의 모순 수 있다고 볼 것이다.
을 고발하여 사회적 역할을 다해야 함을 간과한다고 볼 것이다. ① 예술이 예술 그 자체만을 위해 존재한다고 보는
① 예술과 정치의 결합이 예술의 자율성을 억압한 것은 심미주의의 입장이다.
다고 보는 것은 갑의 입장이다. ③ 갑은 예술 작품이 인류 최고의 사랑을 완성하고 종교적 자각에
② 갑은 예술이 사회 변화의 수단이 되어야 한다고 보지 않는다. 근거한 공감 형성에 기여해야 한다고 보기 때문에, 예술 작품에
④ 예술이 사회 변혁을 지향하는 것이 예술의 순수성을 저해한다 대한 도덕적 가치 판단이 필요하다고 볼 것이다.
고 보는 것은 갑의 입장이다. ④ 을은 미가 도덕성의 실현에 기여할 수 있다고 보았기 때문에
⑤ 갑은 예술이 사회 참여를 추구하는 것은 예술의 자율성을 훼손 미가 선(善)과 무관하다고 주장하지 않을 것이다.
하는 것이라고 본다. ⑤ 을은 미가 도덕성 실현에 기여할 수 있지만 도덕성 실현을 위
한 수단으로서만 존재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예술 또한 독립성
이 결여된 수단으로서만 존재한다고 보지 않을 것이다.
4 음악에 대한 입장 비교
(가)를 주장한 사상가는 묵자이다. 그는 연주에 쓰일
악기 제조를 위해 민생에 사용될 재물이 낭비되며 연주와 감상을 6 동양의 예술관 이해
위해 노동력이 사용됨으로써, 음악은 생산 활동에 방해가 된다고 (가)는 예술에서 아름다움과 즐거움을 추구할 때 백성
비판하였다. (나)는 유가의 입장으로 유가에서는 음악이 사람의 의 형편을 헤아리는 것이 중요하다고 본다. 즉 예술 활동을 전개
성품을 도야시키며 개인과 사회의 관계를 조화롭게 만드는 데 기 하면서 백성의 재물을 축내고 백성을 지치게 만들어 피해를 끼친
여할 수 있다고 보았다. 다면 이는 진정한 예술이라고 볼 수 없다는 것이다. 따라서 백성
① (가)는 음악이 백성들의 재물을 축내고 생업을 방해 과 더불어 즐거움을 추구하기 위해서는 예술이 왕의 개인적 욕망
함으로써 백성들의 안정된 삶에 해로움을 줄 수 있다고 본다. 만을 충족시키는 것이 아니라 백성의 지지를 얻을 수 있는 것이
② (나)는 음악이 도덕성 함양에 기여해야 하므로 되어야 하며, (나)의 ㉠에는 이러한 내용이 들어가면 된다.
이보다 감각적 쾌락의 충족을 중시해야 한다고 보지 않을 것이다. ㄱ. (가)에서는 백성과 더불어 즐거움을 얻기 위해서
③ (나)는 음악이 사람들 간의 조화와 화합을 이루는 데 도움이 되 는 예술 활동을 할 때 백성의 여러 가지 형편을 헤아려야 한다고
어야 한다고 본다. 본다.
④ (가)는 음악이 민생을 해치고 낭비를 조장함으로써 백성들의 ㄷ. (가)에서는 예술의 즐거움을 얻고자 할 때 백성의 이익을 빼앗

44 EBS 수능특강 생활과 윤리


아 해를 끼치면 안 된다고 본다. ⑤ 갑은 예술이 사람들로 하여금 사회의 모순을 깨닫도록 해 주어
ㄴ. (가)에서는 예술이 백성이 처한 현실의 어려움 야 한다고 보므로 정치적 목적 달성을 위한 수단이 될 수 있다고
을 잊도록 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이를 고려해야 한다고 본다. 볼 것이다.
ㄹ. (가)에서는 예술을 통해 개인의 욕망만을 충족시키는 것보다
백성과 조화를 이루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한다.

7 현대 예술의 특징 이해
(가)는 현대 미술의 지향점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현 13 의식주 윤리와 다문화 사회 윤리
대 미술은 이성에 억눌린 감성을 해방시키고 대중과 소통할 수 있
는 예술을 추구하고자 한다. 또한 창작자와 감상자의 경계를 허물 수 능 기본 문제 본문 154~155쪽

어 미술의 기반을 넓히고자 하며, 이에 따라 다양한 기법을 구사


01 ⑤ 02 ② 03 ④ 04 ⑤
하고자 한다. 따라서 (나)의 ㉠에는 이러한 (가)의 입장에서 현대
05 ④ 06 ② 07 ④ 08 ⑤
미술이 나아가야 할 방향으로 적절한 내용이 들어가면 된다.
ㄱ. (가)에서는 미술이 다양한 영역과 협력적 공유를
01 하이데거의 거주에 대한 입장 이해
통해 자유로운 창작을 시도해야 한다고 본다.
제시문은 하이데거의 주장이다. 그는 거주함이란 어
ㄴ. (가)에서는 현대 미술이 창작 못지않게 해석과 비평을 중시하
떤 것이 그것의 본질 속에 있을 수 있도록 위협으로부터 소중히
며, 창작과 수용 간의 자유로운 위치 전도를 지향해야 한다고 본다.
보살피는 것으로, 매일매일 거주한다는 것은 그 본질적 의미를 깨
ㄹ. (가)에서는 일상과 예술 간 경계를 허물어야 한다고 보므로,
달아 실존적 삶 전체를 돌보는 것이라고 보았다. 또한 건축함은
미술이 대중의 삶과 유리되지 않아야 한다고 볼 것이다.
단순한 물리적 공간만을 마련하는 것이 아니라 이러한 거주함을
ㄷ. (가)에서는 현대 미술이 기존 작품의 재구성과 실현하는 것이기 때문에 결국 건축함은 거주함의 의미를 지니게
타인의 작품에 대한 모방까지도 예술로 간주하여 창의성의 기준 된다고 보았다.
을 변화시키려 한다고 보므로, 작품의 원본만이 참다운 예술적 가 ⑤ 하이데거는 죽을 자로서 인간은 다양한 건축 행위
치를 지닌다고 강조하지 않을 것이다. 를 통해 자신의 존재 의미를 만들어 간다고 보았으므로 부정의 대
답을 할 질문이다.
① 하이데거는 거주함이란 인간이 자신의 본질적
8 예술에 대한 입장 비교 의미를 사유하고 깨닫는 것이라고 보았으므로 거주함은 인간의
갑은 사회주의의 입장을 지닌 사람이다. 사회주의에 사유함과 분리될 수 없다고 볼 것이다. 따라서 긍정의 대답을 할
서는 예술이 자본주의의 억압으로부터 민중을 해방시키는 데 기 질문이다.
여해야 하므로 예술이란 현실을 묘사하여 사람들이 사회의 모순 ② 하이데거는 거주함이 다양한 건축함의 행위를 통해 실현된다
을 깨닫도록 도와주며, 민중의 목소리를 대변해야 한다고 본다. 고 보았다. 따라서 긍정의 대답을 할 질문이다.
을은 와일드로 그는 예술이 다른 어떤 것을 위한 수단이 되어서는 ③ 하이데거는 건축함이 단순한 건축물의 건립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근원적으로 거주함을 의미한다고 보았다. 따라서 긍정의
안 되며, 예술 그 자체를 위해 존재해야 한다고 본다.
대답을 할 질문이다.
② 을은 예술의 목적은 진실이 아닌 아름다움에 대해
④ 하이데거는 인간은 거주함을 통해 자신의 본질적 의미를 깨닫
이야기하는 것이며 예술가에게 윤리적 공감은 필요하지 않으므
고 실현하게 된다고 보았다. 따라서 긍정의 대답을 할 질문이다.
로, 예술에서는 비도덕적인 행위도 허용될 수 있다고 본다.
① 갑은 예술이란 현실을 있는 그대로 재현해야 한
다고 보므로 현실과 무관하지 않다고 볼 것이다. 02 윤리적 소비를 위해 필요한 자세 파악
③ 을은 예술이 예술 그 자체를 위해 존재해야 한다고 본다. 갑은 배려 윤리학자인 나딩스이다. 나딩스는 여성의
④ 갑은 예술이 기존 사회를 변혁하는 데 기여해야 한다고 본다. 도덕적 특징인 타인에 대한 배려나 보살핌, 다른 사람에 대한 유

정답과 해설 45
정답과 해설

대감이나 책임감 등을 중시하며, 맥락에 대한 고려 없이 특정 덕 인간 존중이라고 보았다.


목을 주입하려는 시도에 반대하였다. 따라서 배려 윤리의 입장에 ① 큉은 인류의 가치 있는 삶을 위해서는 과학과 종
서 윤리적 소비의 실천과 관련된 <문제 상황>에 놓인 A에게 해 교가 모두 필요하며, 종교보다 과학이 중요하다고 보지 않았다.
줄 적절한 조언을 고르면 된다. ② 큉은 인간됨의 윤리가 다른 사람을 존중하고 인간적 대우를 해
② 나딩스는 다른 사람이 처한 상황과 맥락을 고려해 주는 것이므로 타인에 대한 책임을 중시하였다.
그 사람을 보살피고 배려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보았다. ③ 큉은 인간됨의 윤리가 모든 인간을 존중하는 것이므로 인간적
① 행위의 사회적 효용을 계산해 판단하는 것은 공 대우의 전제 조건이 종교에 대한 귀의라고 보지 않을 것이다.
리주의의 입장이다. ④ 큉의 인간됨의 윤리는 종교인과 무종교인 모두에게 적용되므
③ 배려 윤리는 다른 사람과의 공감을 중시하므로 감정을 배제하 로, 종교를 통해서만 윤리적 기준을 마련할 수 있다고 보지 않을
지 않는다. 것이다.
④ 다수에게 더 좋은 결과를 가져오는 규칙에 따라 행위 해야 한
다고 보는 것은 규칙 공리주의의 입장이다.
⑤ 인간을 수단으로만 대하면 안 된다는 정언 명령에 따라 행동해 05 세계 종교의 황금률의 내용 이해
야 한다고 보는 것은 칸트의 입장이다. (가)에는 다양한 종교의 황금률의 내용이 제시되어 있
다. 황금률은 인류의 다양한 문화와 윤리, 종교에서 보편적으로
발견되는 원칙으로 종교와 종교, 종교와 윤리가 서로 소통하고 공
03 관용에 대한 입장 이해 존할 수 있는 근거가 된다. 따라서 (나)의 A에는 (가)에 제시된 종
그림의 강연자는 볼테르이다. 그는 이성에 부합하지 교 간의 황금률의 내용이 들어가면 된다.
않는 당대의 사회 현실을 비판하면서 관용의 필요성을 강조하였 ④ (가)에서는 제시된 모든 종교가 다른 사람에게 사랑
다. 볼테르는 서로 다른 사람의 의견을 하나로 통제하려고 하는 을 베풀고 자선을 실천하는 것을 중시한다는 점을 보여 주고 있
것은 터무니없는 욕심이며, 인간이라면 누구나 약점과 실수, 어리 다. 따라서 타자에 대한 도덕적 책임의 이행과 존중의 실천이 황
석음을 지니므로 이를 이해하고 용서해야 한다고 보았다. 금률의 내용이 된다고 볼 것이다.
ㄱ. 강연에서는 관용을 실천하기 위해서는 다른 사람 ① (가)에서는 인간과 자연에 대한 배려 가운데 무
을 인정하고 존중해야 한다고 본다. 엇이 우선되어야 하는지 제시하고 있지 않다.
ㄴ. 강연에서는 갈등의 해결을 위해서는 관용이 필요한데 관용은 ② 종교 공동체를 정치 공동체와 일치시키는 것은 모든 종교의 공
서로를 돕고 용서하는 것이므로 겸손해야 한다고 본다. 통적 주장이 아니다.
ㄷ. 강연에서는 인간이 모두 연약하고 무지하다고 보므로 오류를 ③ (가)에서는 서로 다른 종교에서 발견되는 공통적인 윤리적 원
범할 수 있는 존재라고 볼 것이다. 칙을 발견할 수 있지만 그렇다고 종교 간 서로 다른 교리를 통일
ㄹ. 강연에서는 인간은 누구나 무지하며 실수를 할 시켜야 한다고 주장하지는 않는다.
수 있으므로 서로 용서하고 도와야 한다고 본다. 따라서 관용을 상 ⑤ 죽음 이후의 세계에 대해서는 종교마다 입장이 다르다.
대보다 내가 뛰어날 때 베풀 수 있는 것이라고 보지 않을 것이다.

06 다문화 사회에서 동화주의의 입장 이해


04 종교와 윤리의 관계에 대한 큉의 입장 이해 (가)는 동화주의의 입장에 대한 설명이다. 다문화 사
제시문은 큉의 주장이다. 큉은 인류 전체를 위한 세계 회에서 동화주의는 이민자가 출신국의 언어, 문화, 사회적 특성을
윤리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종교들의 협력이 필요하며, 이를 바탕 포기하고 주류 사회의 구성원으로 편입되어야 하며 이럴 때만이
으로 종교 간 대화가 필수적이라고 보았다. 또한 인간됨의 윤리는 사회 통합이 가능해진다고 본다.
모든 인간을 존중하고 다른 사람에게 자신이 원치 않는 것을 강요 ② 동화주의는 주류 사회의 문화를 중심으로 모든 문
하지 않는 것으로서, 세계 윤리의 기초가 되며 종교 간 대화를 위 화가 편입되어 동질화되어야 한다고 본다.
해서도 필요하다고 보았다. ① 동화주의는 이주민의 문화 보존에 대한 적극적
⑤ 큉은 종교를 믿는지 여부와 무관하게 인간됨의 윤 지원을 반대한다.
리는 모든 인간에게 보편적으로 적용되어야 하며, 이것의 핵심을 ③ 동화주의는 소수 문화가 주류 문화와 동등한 가치를 지닌다고

46 EBS 수능특강 생활과 윤리


보지 않는다. 건적이어야 한다.
④ 동화주의는 소수 문화의 가치를 인정하지 않으며 동일성 논리
를 중시한다.
⑤ 동화주의는 주류 문화와 이주민 문화 간의 협력을 통한 공존이 수능 실전 문제 본문 156~159쪽
아닌 이주민 문화의 주류 문화로의 편입을 강조한다.
1① 2① 3④ 4②
5⑤ 6⑤ 7⑤ 8①
07 음식 윤리 이해
(가)는 유교 사상의 입장으로 음식을 먹을 때 지나치게 1 종교 윤리 이해
많이 먹지 않고 절제와 공경의 자세를 지녀야 한다고 강조한다. 제시문은 종교 간 경쟁이 반드시 소모적이고 배타적인
(나)는 불교 사상의 입장으로 음식은 쾌락만을 위한 것이 아니라 싸움으로만 귀결되는 것은 아니라고 본다. 즉 다양한 종교가 존재
건강을 유지하고 수행에 도움이 되고자 하는 것이므로 절제의 자 함으로써 종교 간 경쟁은 필연적인데 이러한 경쟁이 누가 더 인류
세를 지녀야 한다고 본다. 에게 이타적 사랑을 펼치는가의 여부를 두고 벌어지게 된다면 오
ㄱ. (가), (나) 모두 음식 섭취에서 사치스러움을 경계 히려 세계 전체에 도움을 줄 수 있다고 주장한다. 또한 종교 간 경
해야 한다고 본다. 쟁이 벌어질수록 종교의 교리를 현실에서 실천하기 위해 노력하
ㄷ. (가), (나) 모두 음식 섭취에서 지나침을 경계하고 검소와 절제 게 되므로 교리와 실천의 간극을 줄이는 계기가 될 수 있다고 본
의 자세를 강조한다. 다. 따라서 제시문은 이러한 경우에 종교 다원주의는 싸움의 빌미
ㄹ. (가), (나) 모두 음식을 섭취할 때 윤리적 태도가 필요하다고 가 되는 것이 아니라 종교 간 평화로운 공존으로 연결될 수 있다
본다. 고 주장한다.
ㄴ. (가), (나) 모두 음식 섭취에서 절제하지 못하는 ㄱ. 제시문은 종교를 통해 인류에 대한 이타적 사랑을
태도를 비판하지만, 그렇다고 해서 모든 음식 섭취를 금하는 것은 펼칠 수 있어야 한다고 본다.
아니다. ㄷ. 제시문은 종교 간 경쟁이 긍정적이려면 이웃에 대한 사랑을
실천하는 경쟁, 교리와 실천의 간극을 줄이려는 경쟁이 되어야 한
다고 본다.
08 다문화 사회에 필요한 윤리적 자세 이해 ㄴ. 제시문은 종교 다원주의가 갈등을 불러올 수 있
제시문은 이방인을 대할 때 필요한 자세로 방문의 환 지만 종교 간 경쟁이 올바른 방향을 지향할 경우 종교 다원주의가
대를 설명하고 있다. 방문의 환대란 모든 사람에게 개방되어 있는 오히려 평화로운 공존으로 연결될 수 있다고 본다.
것으로서 무조건적이고 절대적인 환대를 의미한다. 즉 권력을 가 ㄹ. 제시문은 사회적으로 인정받는 참된 종교가 되기 위해서는 이
진 사람이 자신에게 필요한 사람에게만 베푸는 제한적 환대로서 론과 실천의 간극을 좁혀야 한다고 보기 때문에 교리의 실천보다
의 초대의 환대가 아니라 누구에게나 열려 있는 자세로 모든 낯선 교리의 체계화에 주력하라고 하지 않을 것이다.
사람을 환영하고 반기는 것이다.
⑤ 제시문은 이방인에 대한 환대가 초대의 환대가 아
닌 방문의 환대가 되어야 한다고 주장하므로 조건적 환대보다 절 2 윤리적 소비의 필요성 이해
대적 환대를 베풀어야 한다고 볼 것이다. 따라서 긍정의 대답을 (가)를 주장한 사상가는 요나스이다. 그는 인간만이
할 질문이다. 책임을 질 수 있는 유일한 존재이며, 인간이 책임질 수 있는 능력
① 제시문은 초대의 환대보다 방문의 환대가 바람 을 지녔다는 것 자체로 책임을 져야 한다는 당위로 연결된다고 보
직하다고 본다. 았다. 또한 인간의 책임 범위에는 현세대뿐만 아니라 미래 세대와
② 제시문은 방문의 환대가 바람직하다고 보는데, 이는 일정한 자 자연까지 포함되어야 한다고 강조하였다. 따라서 (나)의 A에는
격을 갖춘 타자만 환대하는 것이 아니라 낯선 이들 모두에 대한 이러한 요나스의 입장에서 윤리적 소비가 필요한 이유로 적절한
조건 없는 환대를 의미한다. 내용을 고르면 된다.
③ 권력자의 시혜에서 비롯되는 환대는 초대의 환대이다. ① 윤리적 소비는 환경을 지키고 공동체를 배려하고자
④ 이방인에 대한 환대는 방문의 환대가 되어야 하며, 이는 무조 하므로 요나스의 입장에서 후손들의 삶까지 책임질 수 있는 소비

정답과 해설 47
정답과 해설

라고 볼 것이다. 행에 찬성한다. 반면 ‘어떤 사람들’은 이를 최소화하거나 제한할


② 경제적이며 효율적인 소비를 중시하는 것은 합 수 있는 정책이 필요하다고 본다.
리적 소비를 강조하는 경우이다. ① ‘어떤 사람들’은 이주민이 한 사회 내에서 최소
③ 요나스는 책임 대상에 현세대뿐만 아니라 미래 세대와 자연까 화되어야 한다고 보므로 이주민과 내국인을 차별적으로 대우할
지 포함되어야 한다고 보았다. 수 있다고 볼 것이다.
④ 요나스는 책임이 세대 간 호혜적인 것이 아니라 현세대의 미래 ③ ‘어떤 사람들’은 소수 집단과 공존하는 것이 사회 통합에 도움이
세대에 대한 일방향적인 것이라고 보았다. 되는 것이 아니라 소수 집단을 제한하는 것이 도움이 된다고 본다.
⑤ 요나스의 입장에서 윤리적 소비의 주체는 현세대이며, 현세대 ④ ‘어떤 사람들’은 이주민의 영주 가능성을 최소화해야 하므로
는 그들 자신에 대해서뿐만 아니라 미래 세대와 자연에 대해서도 국적 부여 조건을 엄격하게 해야 한다고 볼 것이다.
책임의 의무를 갖게 된다. ⑤ 국가가 이주민의 수를 최소화하거나 제한하기 위해 이들의 영
주 가능성을 막는 정책을 시행할 수 있다고 보는 것은 ‘어떤 사람
들’이다.
3 윤리적 의복 소비의 특징 파악
그림은 윤리적 의복 소비를 실천하는 다양한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이를 통해 윤리적 의복 소비는 자신에게 꼭 필요 5 주거 공간의 윤리성 실현을 위해 필요한 자세 이해
한 옷만을 구입함으로써 검소와 절제를 실천하며, 재활용 옷을 구 (가)는 덕 윤리의 입장이다. 덕 윤리는 행위자의 품성
매함으로써 환경 보호에 기여하고, 유행에 따르기보다 옷의 본질 과 덕성을 중시하며, 공동체 구성원으로서 인간의 삶에 관심을 가
에 충실하게 의복을 구매하며, 필요 없는 옷은 기증함으로써 나눔 진다. 또한 도덕 판단은 구체적이고 맥락적인 사고를 반영해야 도
을 실천하는 것임을 알 수 있다. 덕적 실천력을 높일 수 있다고 본다. 따라서 (나)의 ㉠에는 이러한
ㄱ. 그림으로부터 윤리적 의복 소비는 자신을 과시하 덕 윤리의 입장에서 윤리적 집짓기를 위해서 필요한 자세가 무엇
기 위한 것이 아니라 의복의 본래 목적에 충실하게 옷을 구매하여 인지를 제시하는 내용이 들어가면 된다.
입는 것임을 알 수 있다. ㄴ. 덕 윤리에서는 덕의 실천을 통한 탁월성의 발휘를
ㄴ. 그림으로부터 윤리적 의복 소비는 유행에 따르기보다 꼭 필요 중시하므로, 윤리적 집짓기를 위해서는 집 짓는 사람이 이에 필요한
한 옷만을 구입하며, 옷만 보고 사람을 판단하는 것이 아님을 알 전문적 지식과 탁월한 품성을 지니는 것이 필요하다고 볼 것이다.
수 있다. ㄷ. 덕 윤리는 덕의 함양과 실천을 중시하므로, 집짓기에서도 거
ㄷ. 그림에서 윤리적 의복 소비는 재활용 옷의 구매를 실천하며 주의 공간으로서 집의 미덕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집이 가족 구성
자신에게 필요 없는 옷을 기증하여 나눔으로써 지속 가능한 삶에 원을 위한 안정과 평화의 공간으로서 집의 가치를 구현해야 한다
기여하는 소비임을 알 수 있다. 고 볼 것이다.
ㄹ. 그림에서 윤리적 의복 소비는 자신의 필요보다 ㄹ. 집이 갖는 미덕은 사람들의 거주 공간으로서 집이 제 역할을
타인의 기준에 맞추어 소비하려는 동조 소비를 지양하는 것임을 다할 때 실현될 수 있으므로, 집의 겉모습을 가꾸는 데만 치중하
알 수 있다. 지 말고 거주하는 사람과의 조화를 고려해야 한다고 볼 것이다.
ㄱ. 덕 윤리는 덕의 실천을 통해 선을 성취해야 한
다고 보므로, 집을 지을 때 경제적 이익의 극대화만을 위해 노력
4 다문화 정책 이해 해야 한다고 보지 않을 것이다.
제시문의 ‘나’는 국가가 그 안에 거주하는 모든 사람을
국가 구성원으로 수용해야 하며, 이주민 집단의 권리 보장을 위해
적극적 우대 조치를 시행해야 한다고 본다. 이에 비해 ‘어떤 사람 6 종교에 대한 입장 이해
들’은 한 국가 내에서 이주민의 존재를 최소화하거나 제한함으로 (가)는 종교 간 대화를 통해 각 종교들은 스스로의 고
써 국가의 단일성을 유지해 나가는 것이 중요하다고 본다. 따라서 유성을 강화할 수 있으며, 종교 간 대화는 개별 종교가 생존하고
㉠에는 이러한 ‘나’의 입장에서 ‘어떤 사람들’의 입장을 평가하는 발전하기 위해 필수적이라고 본다. (나)는 종교 간 대화의 과정에
내용이 들어가면 된다. 서 타 종교와의 교류 결과 새로운 종교로의 변혁은 불가피하며 종
② ‘나’는 이주민 집단을 위한 적극적 우대 조치의 시 교의 정체성이 바뀔 수 있다고 본다.

48 EBS 수능특강 생활과 윤리


⑤ (가)는 종교 간 대화가 결과적으로 자기 종교의 교 로 하여금 현실 도피적 경향을 나타내도록 함으로써 혁명에 대한
유성을 유지하는 데 도움이 된다고 보지만, (나)는 종교의 정체성 의지를 약화시킨다고 본 것이다.
에 대한 변화를 촉진한다고 본다. 첫 번째 견해와 관련하여 마르크스는 종교란 사람들에
① (가)는 종교 간 대화를 통해 대화 참여자들은 자 게 위안을 줌으로써 억압적 현실에 대한 비판 의식을 약화시킨다
기 종교의 고유성을 강화하게 된다고 본다. 고 보았다.
② (나)는 종교 간 대화를 통해 타 종교와 교류, 융합하게 되면서 세 번째 견해와 관련하여 마르크스는 사람들이 종교적 환상에 빠
종교의 변화 가능성이 열린다고 본다. 져 억압적 현실을 잊게 됨으로써 노동자 계급의 해방이 어려워진
③ (가)는 자기 종교의 건강함을 강화하기 위해 다른 종교와 대화 다고 보았다.
가 필요하다고 본다. 두 번째 견해와 관련하여 마르크스는 종교가 현실
④ (나)는 종교 간 대화를 통해 서로 다른 종교에 대해 의견을 수 의 모순을 깨닫지 못하도록 만듦으로써 사람들의 혁명에 대한 의
렴하고 이해하게 되며, 자신의 종교 또한 변화될 수 있다고 본다. 지를 약화시킨다고 보았다.
네 번째 견해와 관련하여 마르크스는 종교가 억압적 현실을 깨닫
도록 하는 각성제가 아니라 이러한 현실로부터 도피시키는 아편
7 다문화 정책에 대한 입장 파악 과 같은 역할을 한다고 보았다.
갑은 다문화 정책이 소수 집단의 권리 보장을 위한 것
으로, 이를 시행하게 되면 결과적으로 사회 통합을 위한 소수 집
단의 자발적 협력이 이루어지게 된다고 본다. 을은 다문화 정책이
법과 제도에 대한 예외를 인정하는 것으로, 이를 시행하게 되면 결
과적으로 사회 통합의 기반인 민주적 연대감이 약화된다고 본다.
⑤ 을은 소수 집단 구성원들의 차별화된 권리를 인정
하는 것이 이들에게 예외적 기회를 부여하는 것이기 때문에 법 앞
에서의 평등을 훼손할 수 있다고 본다. 따라서 ‘예’라고 대답할 질
문이다. 14 갈등 해결과 소통, 민족 통합의 윤리
① 갑은 다문화 정책의 시행이 결과적으로 사회 분
열을 치유하여 사회 통합에 도움이 된다고 보지만, 을은 사회 통 수 능 기본 문제 본문 167~168쪽
합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본다. 따라서 갑은 ‘아니요’, 을은 ‘예’
라고 대답할 질문이다. 01 ⑤ 02 ② 03 ③ 04 ③
② 갑은 소수 집단의 차별화된 권리를 인정하려는 다문화 정책의 05 ④ 06 ④ 07 ② 08 ④
시행이 정의롭다고 본다. 따라서 ‘아니요’라고 대답할 질문이다.
③ 갑은 다문화 정책의 시행이 결과적으로 소수 집단의 자발적 협 01 갈등의 순기능과 역기능
력을 이끌어 내게 된다고 본다. 따라서 ‘아니요’라고 대답할 질문 제시문은 갈등이 다양한 순기능도 지니고 있음을 설명
이다. 하고 있다.
④ 을은 문화적 차이를 인정하여 소수 집단의 권리를 보장하는 것 ⑤ 제시문은 갈등이 발생하면 개인이나 집단은 갈등을
보다 모든 사람에게 평등한 자유권을 보장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해결하기 위해 과거의 활동을 진지하게 반성하게 되며, 이러한 과
본다. 따라서 ‘아니요’라고 대답할 질문이다. 정에서 도덕적으로 성장하는 계기를 갖게 된다는 입장이다.
① 제시문은 갈등이 전혀 없을 때 오히려 구성원들
이 무사안일에 빠질 수 있다는 입장이다.
8 마르크스의 종교에 대한 입장 이해 ② 제시문은 갈등이 다양한 순기능도 지니고 있다는 입장이다.
제시문은 마르크스의 주장이다. 그는 종교가 사람들 ③ 제시문은 갈등 해결 과정에서 행해지는 상호 비판이 독창적인
의 삶을 고통스럽게 만드는 자본의 억압과 착취를 사회 비판과 계 사고력을 고취한다는 입장이다.
급 투쟁으로 극복하지 못하게 만드는 ‘민중의 아편’이라고 보았 ④ 제시문은 외부 집단과의 갈등이 집단 구성원들의 소속감과 응
다. 즉 종교가 자본주의의 사회 경제적 모순으로 고통받는 사람들 집력을 강화시킨다는 입장이다.

정답과 해설 49
정답과 해설

02 하버마스의 사상 이해 ② 신문 칼럼의 필자는 흡수 통일에 대해서는 언급하지 않았다.


④ 신문 칼럼의 필자는 체제와 영토의 통일을 넘어 심리적·문화
제시문은 하버마스의 주장이다. 하버마스는 담론에
적 통일을 충실하게 준비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참여한 당사자들이 합리적인 의사소통의 과정을 거쳐 보편적인
⑤ 신문 칼럼의 필자는 통일 전 교류와 협력이 통일에 기여하지
합의에 도달할 수 있다고 보았다.
못한다는 입장이 아니다.
ㄱ. 하버마스는 담론이 합리적 합의나 동의를 목표로
해야 한다고 본다.
ㄹ. 하버마스는 담론 참여자들이 자신의 희망과 욕구를 표현할 수
05 세대 갈등의 해결 방안 파악
있어야 한다는 입장이다.
(가)는 우리 사회의 관계성 회복을 위해 부자자효(父慈
ㄴ. 하버마스는 담론 참여자들이 어떤 주장에 대해
子孝)의 정신을 사회, 국가로 확대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부자자
서도 문제를 제기할 수 있어야 한다는 입장이다.
효에는 자식은 부모에게 효도를 해야 하고, 부모도 자식에게 자애
ㄷ. 하버마스는 전문가들만 담론에 참여할 수 있다는 입장이 아니
를 베풀어야 한다는 호혜적 윤리가 담겨 있다. (나)는 세대 간 인
다. 그는 언어 능력과 행위 능력을 지닌 모든 주체가 담론에 참여
간관계가 단절되어 있는 사례이다.
할 수 있어야 한다는 입장이다.
④ (가)는 사회의 관계성 회복을 위해 호혜적 윤리를
사회로 확대해야 한다는 입장이므로, 젊은 세대와 기성세대가 호
혜적인 존중의 태도를 실천해야 한다고 주장할 것이다.
03 통일 비용에 대한 다양한 입장 파악 ① (가)는 호혜적 윤리를 강조하는 입장이지 국가적
제시문의 ‘필자’는 남북한의 이질적 요소를 통합하기
차원에서 노인 복지 정책을 확대해야 한다는 입장이 아니다.
위해 통일 비용이 든다는 점은 인정하지만 통일 편익이 더 크기
② (가)는 호혜적 윤리를 강조하는 입장이지 법으로 노인에게 자
때문에 통일 비용이 많은 것이 아니라고 주장한다. 반면에 ‘어떤
리를 양보하도록 강제해야 한다는 입장이 아니다.
사람’은 통일 비용은 막대하지만 통일 편익은 적다고 주장한다.
③ (가)는 호혜적 윤리를 강조하는 입장이지 노인의 행위라고 해
③ 제시문의 ‘필자’는 통일 비용보다 통일 편익이 더 서 시비선악을 따지지 말아야 한다는 입장이 아니다.
크다는 사실을 강조하는 입장이다. ⑤ (가)는 호혜적 윤리를 강조하는 입장이지 노인에게 절대적 권
① 제시문의 ‘어떤 사람’은 통일 비용이 많이 든다 위를 부여하자는 입장이 아니다.
는 점을 인정하는 입장이다.
② 제시문의 ‘필자’와 ‘어떤 사람’ 모두 통일 비용이 단기적인 비
용이라는 점은 인정한다. 06 통일의 과정에 대한 다양한 입장 비교
④ 제시문의 ‘필자’는 통일 비용을 소모적인 성격의 비용으로 여 갑은 평화 통일을 위해 먼저 사회·경제·문화 분야부
기는 것이 아니라 투자적인 성격의 비용으로 보는 입장이다. 터 교류와 협력을 점진적으로 확대해 나가야 한다는 입장이다. 한
⑤ 제시문의 ‘필자’는 통일 편익이 통일 이후에 단기적으로 발생 편 을은 평화 통일을 위해 정치적 결단이 우선되어야 한다는 입장
한다는 입장이 아니라 영속적으로 발생한다는 입장이다. 이다.
④ 갑은 비정치적 분야인 사회·경제·문화 분야의 교
류와 협력이 선행되어야 한다는 입장이고, 을은 정치적 결단이 선
04 독일 통일의 교훈 파악 행되어야 한다는 입장이다. 따라서 갑은 긍정, 을은 부정의 대답
제시된 신문 칼럼은 독일 통일의 교훈에 대한 내용이 을 할 질문이다.
다. 필자는 영토와 체제의 통일을 넘어 심리적·문화적 통일을 이루 ① 갑은 서로 다른 두 체제를 하나의 체제로 합쳐야
기 위해서는 실질적인 통일 역량을 키워 나가야 한다고 주장한다. 한다는 입장이므로 갑이 부정의 대답을 할 질문이다.
③ 신문 칼럼의 필자는 통일 후 나타날 심리적 측면의 ② 갑, 을 모두 남북한 간의 신뢰가 통일에 기여한다고 보기 때문
갈등을 예방하기 위해 실질적인 통일 역량을 키우는 철저한 준비 에 갑, 을 모두 긍정의 대답을 할 질문이다.
가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③ 갑은 교류와 협력을 통해 점진적으로 통일이 이루어져야 한다
① 신문 칼럼은 외형적 통합보다 내적 통합이 더 중 는 입장이므로 갑이 부정의 대답을 할 질문이다.
요하다는 내용이다. ⑤ 갑, 을은 평화적인 통일을 지향하므로 갑, 을 모두 긍정의 대답

50 EBS 수능특강 생활과 윤리


을 할 질문이다.
1 지역주의에 대한 다양한 입장 비교
갑은 지역주의가 민주주의와 지역 발전에 기여하며,

07 통일의 필요성에 대한 이해 다른 지역과 조화를 추진하는 원동력이라고 주장한다. 반면에 을


은 지역주의가 지역 갈등의 원인이며, 국민 통합을 저해하고, 민주
(가)는 벤담의 주장으로 공리주의 사상이다. 벤담은
정치에 악영향을 미치며, 지역 발전의 걸림돌이 된다고 주장한다.
쾌락의 증대와 고통의 감소를 추구해야 한다고 본다.
④ 을의 입장은 갑의 입장에 비해 지역주의가 민주 정
ㄱ. 소모적 비용인 분단 비용보다 통일 편익이 더 크기
치에 기여한다고 보는 정도(X)는 낮고, 지역주의가 사회 통합을
때문에 통일을 해야 한다는 주장은 이익의 증가를 추구하는 공리
저해한다고 보는 정도(Y)는 높으며, 지역주의가 지역 발전에 기
주의 사상에 부합한다.
여한다고 보는 정도(Z)는 낮다.
ㄷ. 대다수 국민들이 더 많은 복지 혜택을 누릴 수 있기 때문에 통
일을 해야 한다는 주장은 이익의 증대를 추구하는 공리주의 사상
에 부합한다.
ㄴ. 이익 때문이 아니라 민족의 역사적 당위이기 때
2 통일에 대한 다양한 입장 비교
갑은 통일의 부작용을 최소화하기 위해 점진적인 방법
문에 통일을 해야 한다는 것은 공리주의 입장으로 보기 어렵다.
의 통일을 추구해야 한다는 입장이고, 을은 통일이 지연되면 될수
ㄹ. 효용성을 떠나 같은 역사를 지닌 민족이기 때문에 통일을 해
록 남북한의 경제 격차가 벌어질 것이기 때문에 조기 통일을 해야
야 한다는 것은 공리주의 입장으로 보기 어렵다.
한다는 입장이다.
⑤ 갑은 점진적인 통일을, 을은 조기 통일을 지향하는
08 원효의 조화 정신의 이해 입장이다.
(가)는 원효의 주장이다. 원효는 특수하고 상대적인 ① 을은 장기적 관점에서 볼 때 통일로 인한 이익이
각자의 입장만을 고수하는 태도에서 벗어나 대승적으로 융합할 통일 비용을 압도할 정도로 많다는 입장이다.
것을 강조하였다. (나)는 노사 모두 자신의 입장만을 주장하면서 ② 을은 통일을 통해 분단 비용의 낭비를 막을 수 있다는 입장이다.
대립하는 상황을 나타내고 있다. ③ 갑, 을 모두 통일의 당위성을 경제적인 측면에서 주장하고 있다.
④ 원효는 조화를 이루기 위해서는 자신의 주장만이 ④ 을은 분단 비용을 소모적 성격의 비용으로 파악하고 있다.
옳다는 편견에서 벗어나 상대방의 의견을 존중해야 한다는 입장
이다.
① 원효는 조화를 중시한 사상가이므로 노사 모두 3 보수와 진보 간의 갈등에 대한 이해
끝까지 자신의 입장을 고수해야 한다고 주장하지 않을 것이다. (가)는 새의 두 날개처럼 보수와 진보의 이념을 균형
② 원효는 조화를 강조한 사상가이므로 어느 한쪽의 주장이 일방 있게 지녀야 한다는 입장이다. (나)의 갑은 국가 발전을 위해 변화
적으로 옳기 때문에 무조건 따라야 한다고 주장하지 않을 것이다. 보다는 사회 안정을 중시하는 보수적 입장을 지니고 있다. 반면
③ 원효는 자신의 입장만을 고수하는 태도를 버려 조화를 추구해 을은 국가 발전을 위해 현상 유지보다 변화를 통해 사회 문제를
야 한다는 입장이므로 다수결로 시비를 가려야 한다고 주장하지 해결해야 한다는 진보적 입장을 지니고 있다.
않을 것이다. ① (가)는 진보와 보수에 관한 균형 잡힌 인식이 필요
⑤ 원효는 다양한 입장을 포용해 조화시키고자 한 사상가이므로 하다고 보는 입장이다.
어떤 입장은 옳기 때문에 따르고, 어떤 입장은 틀리기 때문에 배 ② (가)는 진보와 보수의 균형을 중시하는 입장이지
제해야 한다고 주장하지 않을 것이다. 보수와 진보 중 하나로 통합해야 한다는 입장이 아니다.
③ (가)는 진보와 보수의 균형을 중시하는 입장이지 노인 세대와
젊은 세대 모두가 중도 이념을 지녀야 한다는 입장이 아니다.
수능 실전 문제 본문 169~172쪽 ④ (가)는 진보와 보수의 균형을 중시하는 입장이지 국민들이 진
보 입장을 지녀야 한다는 입장이 아니며, 안정적인 국가 발전을
1④ 2⑤ 3① 4①
추구하는 것은 보수의 입장이다.
5③ 6④ 7① 8④
⑤ (가)는 진보와 보수의 균형을 중시하는 입장이지 자신의 이념

정답과 해설 51
정답과 해설

적 특성을 포기해야 한다는 입장이 아니다.


6 원효의 조화 정신 이해
(가)를 주장한 사상가는 원효이다. 원효는 서로 다른
주장일지라도 더 높은 차원에서 하나로 통합할 수 있음을 주장하
4 통일에 대한 다양한 견해 비교 였다. (나)는 오늘날 개인과 집단이 자신만 옳다고 주장해 갈등이
갑은 통일을 찬성하는 입장이고, 을은 통일을 반대하 증폭되고 있는 상황을 나타내고 있다.
는 입장이며, 병은 궁극적으로는 통일을 지향하지만 현재는 평화 ㄱ. 원효는 조화를 위해서는 자신의 편견이나 선입견
유지에 주력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에서 벗어날 수 있어야 한다는 입장이다.
① 갑은 이산가족의 고통 해소, 북한 주민들의 인권 신 ㄴ. 원효는 서로 다른 의견도 더 높은 차원에서 하나로 종합할 수
장과 같은 인도주의적 관점에서 통일의 필요성을 강조하고 있고, 있다는 입장이다.
을은 경제적 이유를 들어 통일에 반대하고 있다. 따라서 갑은 을 ㄷ. 원효는 현상에 대한 이해가 부분적으로는 맞을 수 있지만 완
에게 인도주의적 관점에서 볼 때 통일이 반드시 필요함을 간과하 전하지 못할 수 있음을 자각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고 있다고 비판할 수 있다. ㄹ. 원효는 부분에 대한 지식이 완전하지는 않지만
틀린 것은 아니기 때문에 포용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② 병은 현재 상황에서 통일을 한다면 국가 경쟁력의 약화를 초래
할 수 있음을 잘 알고 있다.
③ 을은 통일 문제를 경제적 관점에서 바라보고 있으므로 을이 제 7 하버마스와 칸트의 사상 비교
기할 비판 내용으로 부적절하다. 갑은 담론 윤리를 주장한 하버마스, 을은 의무론적 윤
④ 갑은 통일이 민족의 동질성을 회복할 수 있는 유일한 길이라는 리설을 주장한 칸트이다. 하버마스는 타당한 규범이 충족시켜야
점을 잘 알고 있다. 할 원칙인 보편화의 원칙을 제시하였고, 칸트는 보편화 가능한 준
⑤ 을은 통일이 이루어지면 국가 경제가 위기에 처할 수 있음을 칙에 따라서 행동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잘 알고 있다.
ㄱ. 하버마스는 개인의 도덕 판단만으로는 타당한 규
범의 성립이 어렵다고 보기 때문에 담론이 필요하다고 보는 입장
이다. 그는 담론 윤리가 개인이 내면적으로 자신의 준칙이 타당한
5 사회 갈등의 순기능과 역기능 비교 지를 검사하는 칸트의 독백 논리적 방법을 극복하고 있다고 주장
(가)의 갑은 사회 갈등이 다양한 악영향을 미치기 때문 한다.
에 하루빨리 제거되어야 한다는 입장이다. 반면에 을은 사회 갈등 ㄷ. 칸트는 동기를 중시하는 의무론적 윤리설을 주장하였다. 그는
이 다양한 긍정적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사회 발전을 위해 필요하 규범의 타당성 여부를 판단함에 있어 결과를 고려할 필요가 없다
다는 입장이다. 는 입장이다.
ㄴ. 갑은 사회 갈등이 사회 구성원들 간의 소통을 방해 ㄴ. 칸트는 대화에 참여한 모든 당사자들이 동의했
한다는 입장이고, 을은 사회 갈등이 타인과 소통할 기회를 제공해 다고 해서 타당한 규범이라고 보지 않는다. 칸트는 합의 여부로
준다는 입장이다. 규범의 타당성을 판단하는 입장이 아니다.
ㄹ. 을은 사회 갈등을 통해 사회의 비합리적인 것들을 폭로하여 ㄹ. 칸트는 모든 타당한 도덕규범이 이성적 존재자들에 보편화될
사회를 도덕적으로 개선할 수 있다는 입장이다. 수 있다고 보는 입장이다. 칸트에게 이성적 존재자들에게 보편화
ㄱ. 갑은 사회 갈등이 사회적 비용을 초래하고, 비 불가능한 규범은 타당한 도덕규범이 아니다.
도덕적 행동을 취하게 함으로써 사회 발전에 방해가 된다는 입장
이다. 반면에 을은 사회 갈등이 사회 구성원의 역량을 강화하고,
사회 구성원 간의 협동적인 상호 작용을 이끌어 냄으로써 사회 발 8 공자의 조화 정신 이해
전에 기여한다는 입장이다. (가)를 주장한 사상가는 공자이다. 공자는 군자는 소
ㄷ. 갑은 사회 갈등이 소속감과 연대감의 상실을 초래하고, 상대 인과 달리 화이부동(和而不同)한다고 주장한다. (나)는 학급 반장
집단을 적대시하게 만든다고 보기 때문에 사회 갈등이 공동체 의 인 A가 자신의 의견을 포기하고 급우들의 의견에 따라 모든 일을
식을 향상시킨다고 보는 입장이 아니다. 처리하는 상황을 나타내고 있다.

52 EBS 수능특강 생활과 윤리


④ 공자는 군자처럼 타인과 조화롭게 지내면서도 자신 ④ 제시문의 ‘필자’는 세계화가 선진국에만 이익이 되
의 소신을 지키는 화이부동(和而不同)의 자세를 강조하는 입장이다. 며, 후진국과 개발 도상국의 경제 수준을 지속적으로 악화시킨다
① 공자는 자신의 소신을 지키면서도 조화를 추구 고 주장하므로 세계화가 세계의 빈부 격차를 심화시킨다는 입장
할 수 있다고 주장한 것이지, 모든 사안을 다수결로 해결해야 한 이다. 반면에 제시문의 ‘어떤 사람’은 세계화가 국가 간 부의 불평
다고 주장한 것은 아니다. 등 문제를 해결할 것이라는 입장이다.
② 공자는 군자라면 동일한 생각을 지니지 않고서도 타인과 조화 ① 제시문의 ‘어떤 사람’은 세계화가 기업의 생산성
를 이룰 수 있다고 보는 입장이다. 을 제고시킨다는 입장이다.
③ 공자는 각자가 소신을 지키면서 조화를 이룰 수 있어야 한다는 ② 제시문의 ‘필자’는 세계화가 후진국의 경제 발전에 기여한다는
입장이므로, 타인이 나의 의견을 그대로 따르게 만드는 것 또한 입장이 아니다.
반대할 것이다. ③ 제시문의 ‘어떤 사람’은 세계화가 국가 간의 교류를 촉진시킨
⑤ 공자는 유교 사상가로 시비를 구분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다는 입장이다.
⑤ 제시문의 ‘필자’는 세계화가 선진국에 이익을 가져다준다는 입
장이다.

15 지구촌 평화의 윤리
03 싱어의 해외 원조에 대한 입장 파악
제시문은 싱어의 주장이다. 싱어는 해외 원조와 관련
수 능 기본 문제 본문 178~179쪽
해 만약 어떤 사람에게 매우 나쁜 일이 일어나는 것을 방지할 수
01 ⑤ 02 ④ 03 ③ 04 ② 있는 힘을 우리가 가지고 있고, 그 나쁜 일을 방지함으로써 그 일
05 ③ 06 ② 07 ③ 08 ② 에 상당하는 도덕적 의미를 가진 다른 일이 희생되지 않는다면 우
리는 어떤 공동체의 구성원인지에 관계없이 그렇게 해야 한다고
01 국제 관계를 바라보는 관점 비교 주장한다.
(가)는 국제 관계를 바라보는 관점 중 이상주의 관점이 ③ 싱어는 공리주의 입장에서 원조를 통해 얻는 이익
고, (나)는 현실주의 관점이다. 이 비용보다 클 경우 원조를 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⑤ 국제법을 통한 국제적 분쟁 해결을 강조하는 것은 ① 싱어는 개인이 해외 원조를 하는 것에 반대하지
이상주의의 입장이다. 반면에 현실주의에서는 힘의 논리를 강조 않는다.
한다. ② 싱어는 지구적 관점에서 어떤 공동체의 구성원인지에 관계없
① 이상주의에서는 권력의 획득을 국제 정치의 목 이 원조를 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표로 보지 않는다. ④ 싱어는 원조를 도덕적인 의무로 파악하는 입장이다.
② 현실주의에서는 국제 관계를 세계 정부가 없는 무정부적 상태 ⑤ 원조의 목적을 고통받는 사회가 질서 정연한 사회가 되도록 돕
로 파악한다. 는 데 두어야 한다고 보는 사상가는 롤스이다.
③ 국제적인 분쟁을 억제하기 위해 세력 균형을 강조하는 것은 현
실주의의 입장이다.
④ 도덕성보다 국익을 우선시하는 것은 현실주의의 입장이다. 04 칸트의 평화에 대한 입장 이해
제시문은 칸트의 주장이다. 칸트는 영구적인 평화를
위해 상비군은 조만간 완전히 폐지되어야 한다는 입장이다.
02 세계화에 대한 다양한 견해 이해 ㄱ. 칸트는 상비군이 다른 나라를 위협하고, 군비 경
제시문의 ‘필자’는 세계화로 인해 선진국만 이익을 얻 쟁을 조장해 전쟁을 유발한다고 보아 상비군 자체가 공격적 전쟁
게 되고 후진국과 개발 도상국은 경제 수준이 악화될 것이라는 입 의 유발 요인이 된다고 주장한다.
장이다. 반면에 제시문의 ‘어떤 사람’은 세계화가 후진국과 개발 ㄹ. 칸트는 상비군과 같이 사람을 죽이도록 혹은 다른 사람에게
도상국의 부를 증진시켜 국가 간의 불평등 문제를 해결할 것이라 죽임을 당하도록 고용된다는 것은 인간을 단순한 기계나 도구로
는 입장이다. 간주하는 것이라고 주장한다.

정답과 해설 53
정답과 해설

ㄴ. 칸트는 평화를 위해서는 상비군이 조만간 완전 있는 힘을 우리가 가지고 있고, 그 나쁜 일을 방지함으로써 그 일


히 폐지되어야 한다는 입장이다. 에 상당하는 도덕적 의미를 가진 다른 일이 희생되지 않는다면 우
ㄷ. 칸트는 휴전 상태는 평화가 아니라 적대 행위의 일시적인 중 리는 어떤 공동체의 구성원인지에 관계없이 그렇게 해야 한다고
지에 불과하다는 입장이다. 주장한다. 반면 자유 지상주의 사상가 노직은 정당한 절차를 통해
취득한 재산에 대해 개인은 배타적 소유권을 지니고 있으며, 처분
권 또한 개인의 자유로운 선택에 달려 있다고 보기 때문에 원조를
05 갈퉁의 평화 사상 이해 의무가 아니라 자선으로 이해한다.
서술형 평가 문제의 제시문은 평화학자 갈퉁의 주장이 ③ 싱어는 원조를 도덕적인 의무로 보는 입장이고, 노
다. 갈퉁은 폭력에는 직접적 폭력, 구조적 폭력, 문화적 폭력이 있 직은 원조를 자선으로 보는 입장이다.
다고 보았다. 그는 진정한 평화를 위해서는 직접적 폭력은 물론 ① 싱어는 지구적 관점에서 해외 원조를 해야 한다
구조적 폭력과 문화적 폭력까지 사라져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는 입장이다.
③ 구조적 폭력은 부정의한 사회 제도나 구조를 통해 ② 노직은 원조 여부를 개인의 자율적인 선택으로 여겨야 한다는
이루어지는 폭력을 의미하며, 대표적인 예로는 정치와 경제에서 입장이다.
행해지는 억압과 착취를 들 수 있다. ④ 싱어와 노직 모두 선진국이 자국민에게 해외 원조를 하도록 법
① 소극적 평화란 범죄, 전쟁, 테러와 같은 직접적 으로 강제해야 한다는 입장이 아니다.
인 폭력으로부터 해방된 상태이다. ⑤ 싱어는 빈곤국에도 수많은 부자들이 살고 있으며, 그들도 원조
② 적극적 평화란 구조적 폭력과 문화적 폭력까지 사라진 상태를 를 실천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말한다.
④ 문화적 폭력이란 문화적 영역이 직접적 폭력이나 구조적 폭력
을 정당화하는 데 이용되는 형태의 폭력을 의미한다. 08 롤스의 해외 원조에 대한 입장 이해
⑤ 갈퉁은 인간 존엄성, 삶의 질을 중시하는 적극적 평화의 실현 제시문은 롤스의 주장이다. 롤스는 불리한 여건으로
을 강조함으로써 평화 개념을 국가 안보 차원에서 인간 안보 차원 ‘고통받는 사회’를 ‘질서 정연한 사회’가 되도록 돕는 것을 원조의
으로 확장하였다. 목적으로 본다. 롤스의 이러한 입장은 “정의론”의 ‘차등의 원칙’
을 국제적 분배 정의에 적용하지 않는다는 비판을 받는다.
② 롤스는 원조를 통해 질서 정연한 사회가 된 이후에
06 현실주의의 입장 파악 여전히 상대적으로 빈곤하다고 할지라도 더 이상의 원조는 요구
제시문은 현실주의 사상가인 모겐소의 주장이다. 모 되지 않는다는 입장이다. 따라서 빈곤국이라고 해도 해외 원조의
겐소는 현실주의 입장에서 정치에서 권력의 획득이 중요하다는 대상이 아닐 수 있다.
점을 강조한다. ① 롤스는 해외 원조에 반드시 차등의 원칙을 적용
ㄱ. 현실주의 사상가 모겐소는 국제 정치의 제일차적 해야 한다는 입장이 아니다.
목적이 권력이라는 입장이다. ③ 롤스는 ‘고통받는 사회’를 ‘질서 정연한 사회’가 되도록 돕는
ㄷ. 현실주의 사상가 모겐소는 인간이 권력을 향한 욕망을 지니고 것을 원조의 목적으로 본다.
있다는 입장이다. ④ 롤스는 사회들 간의 부와 복지의 수준들은 다양할 수 있으며,
ㄴ. 현실주의 사상가 모겐소는 국익보다 보편적 도 그러한 수준들을 조정하는 것은 원조의 목적이 아니라고 본다.
덕률의 준수가 중요하다는 입장이 아니다. ⑤ 롤스는 모든 질서 정연한 사회가 부유한 것은 아니라고 본다.
ㄹ. 세계 평화를 위해 상비군의 완전한 폐지가 필요하다고 주장한
사상가는 칸트이다.

수능 실전 문제 본문 180~183쪽

07 해외 원조에 대한 입장 비교 1④ 2④ 3④ 4③
갑은 싱어, 을은 노직이다. 싱어는 해외 원조와 관련
5② 6② 7④ 8④
해 만약 어떤 사람에게 매우 나쁜 일이 일어나는 것을 방지할 수

54 EBS 수능특강 생활과 윤리


1 세계화에 대한 다양한 입장 비교 ㄱ. 칸트는 영구 평화를 위한 확정 조항으로 세계 시민
갑은 세계화가 문화 분야에도 긍정적 영향을 미쳐 문 법은 보편적 우호의 조건들에 국한되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화의 양과 질을 개선한다는 입장이다. 반면에 을은 세계화가 문화 ㄴ. 칸트는 영구 평화를 위해 모든 국가의 시민적 정치 체제는 공
분야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쳐 문화의 질적 저하를 초래한다는 입 화 정체이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장이다. ㄷ. 칸트는 공화적 체제가 아닌 정치 체제에서는 지배자가 쉽게
전쟁을 선택할 수 있다는 입장이다.
④ 갑은 세계화로 인해 문화 분야에서도 시장 논리의
혜택을 받을 것이라는 입장이고, 을도 세계화가 경쟁을 야기한다 ㄹ. 칸트는 개별 국가의 주권을 폐지하고 세계 정부
는 입장이다. 를 수립할 때에만 평화가 실현된다고 보지 않았으며, 평화의 실현
을 위해 자유로운 국가들 간의 연방을 주장하였다.
① 갑은 세계화가 문화의 다양화를 초래한다는 입
장이고, 을은 세계화가 문화의 동질화를 추구한다는 입장이다.
② 을은 세계화로 상대방의 문화 상품을 모방하는 현상이 증가할
4 국제 관계를 바라보는 관점 비교
것이라는 입장이다.
(가)는 국제 관계에 대한 균형적인 시각을 지니기 위해
③ 을은 세계화가 문화의 질적 저하를 초래한다는 입장이다.
국제 관계를 바라보는 대표적 관점인 현실주의와 이상주의를 살
⑤ 을은 세계화로 인해 유사한 TV 드라마, 연속극, 추리극, 상업
펴보아야 한다는 입장이다. (나)는 국제 관계를 바라보는 관점인
용 음악 등이 제작될 것이라는 입장이다.
현실주의와 이상주의에 관한 마인드맵이다.
③ 이상주의에서는 인간을 선한 존재 또는 이성적 존
재로 파악하고, 분쟁의 원인을 국가 간의 오해나 제도의 불완전함
2 싱어와 롤스의 해외 원조에 대한 입장 파악 으로 보며, 분쟁 해결을 위해 국제기구와 국제법의 역할을 강조한
갑은 싱어, 을은 롤스이다. 싱어는 해외 원조와 관련
다. 반면에 현실주의에서는 인간을 이기적인 존재로 파악하고, 분
해 만약 어떤 사람에게 매우 나쁜 일이 일어나는 것을 막을 수 있
쟁의 원인을 권력 추구와 자국의 이익 추구로 보며, 분쟁 해결을
는 힘을 우리가 가지고 있고, 그 나쁜 일을 막을 때 그에 상당하는
위해 국가 간의 세력 균형, 동맹을 강조한다. 이상주의는 국가 간
도덕적 의미를 가진 것을 희생하지 않고서 그것을 할 수 있다면
경쟁이나 갈등을 설명하기 어렵다는 한계점을 지니며, 현실주의
우리는 어떤 공동체의 구성원인지에 관계없이 그렇게 해야 한다
는 국제기구, 비정부 기구 등의 역할을 경시해 국제 협력을 설명
고 주장하였다. 롤스는 불리한 여건으로 ‘고통받는 사회’를 ‘질서
하기 어렵다는 한계점을 지닌다. 따라서 A에는 ‘이상주의’, B에
정연한 사회’가 되도록 돕는 것이 원조의 목적이라고 주장하였다.
는 ‘현실주의’, C에는 ‘국가 간 경쟁이나 갈등을 설명하기 어려
④ 싱어는 롤스의 입장에 대해 지금 당장 질병이나 기 움’, D에는 ‘국제기구, 비정부 기구 등의 역할을 경시해 국제 협
아로 죽어가는 개인들의 고통을 방치할 수 있다고 비판할 것이다. 력을 설명하기 어려움’이라는 내용이 들어가야 한다.
① 싱어와 롤스 모두 원조를 도덕적 의무로 보는 입 ① 전쟁을 정당화할 위험이 있다는 내용은 현실주
장이다. 의의 한계점이고, 국가 간 경쟁이나 갈등을 설명하기 어렵다는 내
② 롤스는 인류의 복지 수준 향상을 원조의 목적으로 보지 않는다. 용은 이상주의의 한계점이다.
③ 롤스는 원조를 통해 질서 정연한 사회가 된 이후에 여전히 상 ② 국제기구, 비정부 기구 등의 역할을 경시해 국제 협력을 설명
대적으로 빈곤하다고 할지라도 더 이상의 원조는 요구되지 않는 하기 어렵다는 내용은 현실주의의 한계점이고, 국가 간 경쟁이나
다는 입장이다. 갈등을 설명하기 어렵다는 내용은 이상주의의 한계점이다.
⑤ 롤스는 고통받는 사회가 자유와 평등을 확립할 수 있도록 원조 ④ A에는 ‘이상주의’, B에는 ‘현실주의’가 들어가야 한다. 전쟁을
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정당화할 위험이 있다는 내용은 현실주의의 한계점이고, 국가 간 경
쟁이나 갈등을 설명하기 어렵다는 내용은 이상주의의 한계점이다.
⑤ A에는 ‘이상주의’, B에는 ‘현실주의’가 들어가야 한다.
3 칸트의 평화에 대한 입장 이해
제시문은 칸트의 주장이다. 칸트는 영구 평화를 위한
확정 조항으로 모든 국가의 시민적 정치 체제는 공화 정체이어야 5 해외 원조에 대한 다양한 입장 비교
한다고 주장하였다. (가)의 갑은 노직, 을은 롤스, 병은 싱어이다. 자유 지

정답과 해설 55
정답과 해설

상주의 사상가 노직은 정당한 절차를 통해 취득한 재산에 대해 개 성, 삶의 질을 중시하는 적극적 평화의 실현을 강조한다.
인은 배타적 소유권을 지니고 있으며, 처분권 또한 개인의 자유로 세 번째 진술은 갈퉁의 입장이다. 구조적 폭력은 부정의한 사회
운 선택에 달려 있다고 보기 때문에 원조를 의무가 아니라 자선으 제도나 구조를 통하여 이루어지는 폭력을 의미하며, 대표적인 예
로 이해한다. 롤스는 원조의 목적을 불리한 여건으로 ‘고통받는 로는 정치와 경제에서 행해지는 억압과 착취를 들 수 있다.
사회’를 ‘질서 정연한 사회’가 되도록 돕는 것이라고 보며, 질서 네 번째 진술은 갈퉁의 입장이다. 문화적 폭력이란 문화적 영역이
정연한 사회로 진입한 이후에는 그 사회가 여전히 상대적으로 빈 직접적 폭력이나 구조적 폭력을 정당화하는 데 이용되는 형태의
곤할지라도 해외 원조는 요구되지 않는다는 입장이다. 싱어는 공 폭력을 의미한다.
리주의 관점에서 원조를 통해 얻는 이익이 비용보다 클 경우 어떤 두 번째 진술은 갈퉁의 입장이 아니다. 갈퉁은 직접
공동체의 구성원인지에 관계없이 도움을 주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적 폭력뿐만 아니라 구조적 폭력, 문화적 폭력이 모두 사라진 상
ㄱ. 노직은 원조를 의무가 아니라 선의를 베푸는 자선 태를 지향한다.
행위로 보는 입장이다.
ㄹ. 싱어는 공리주의 입장에서 해외 원조를 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ㄴ. 롤스는 세계에 존재하는 모든 빈곤국을 해외 원 8 지역화와 세계화의 조화 방안 이해
조의 대상으로 보지 않는다. 고통받는 사회가 원조를 통해 질서 (가)는 세계화가 일방적인 문화 전파 형태로 진행되었
정연한 사회로 진입한 이후에는 그 사회가 여전히 상대적으로 빈 다고 보고, 이제는 이러한 방식의 세계화에서 벗어나 세계적 보편
곤할지라도 해외 원조는 요구되지 않는다는 입장이다. 성과 한국의 특수성을 조화시켜 제3의 문화를 창출해야 한다고
ㄷ. 롤스는 국가 간 부의 불평등 해소를 위해 원조를 해야 한다는 주장한다. (나)는 세계화 시대에 우리 문화가 나아가야 할 방향에
입장이 아니다. 대해 묻고 있다.
④ (가)는 한국의 지역적인 특수성과 세계적 보편성을
조화시켜야 한다는 입장이다. 따라서 문화 교류를 통해 지역적인
6 칸트의 평화에 대한 입장 이해 것과 세계적인 것을 창조적으로 융합해 나가야 한다고 답변할 것
갑은 칸트이다. 칸트는 영구 평화를 위한 확정 조항에 이다.
서 세계 시민법은 보편적 우호의 조건들에 국한되어야 한다고 주 ① (가)는 우리의 전통문화를 그대로 복원하자는 입
장하였다. 우호(환대)란 어떤 이방인이 낯선 땅에 도착했을 때 적 장이 아니다.
으로 간주되지 않을 권리를 의미한다. 칸트는 이방인이 평화적으 ② (가)는 국수주의적 태도를 지녀야 한다는 입장이 아니다.
로 처신한다면 그를 적대적으로 다루어서는 안 되지만, 이방인이 ③ (가)는 문화의 서열화를 반대하는 입장이다.
영속적인 체류권을 요구할 권리는 없다고 보았다. ⑤ (가)는 전통을 포기하고 세계적 흐름을 따라가야 한다는 입장
ㄱ. 칸트는 이방인의 경우 보편적 우호의 조건에 맞추 이 아니다.
어 대우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ㄷ. 칸트는 이방인이 영구 거주권을 요구할 권리를 갖지 않는다고
보았다.
ㄴ. 칸트는 이방인에 대한 대우의 문제는 인간애의
문제가 아니라 권리에 대한 문제라고 주장한다.
ㄹ. 칸트는 이방인에게 일시적인 방문의 권리를 인정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7 갈퉁의 사상 이해
제시문은 평화학자 갈퉁의 주장이다. 갈퉁은 직접적
폭력, 구조적 폭력, 문화적 폭력이 모두 사라진 평화의 상태를 지
향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첫 번째 진술은 갈퉁의 입장이다. 갈퉁은 인간 존엄

56 EBS 수능특강 생활과 윤리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