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88

해외취업

완전정복

싱가
포르

1
해외취업
완전정복

싱가
포르

2 3
취업 로드맵
한눈에 보는 취업 절차

02 03
본격적인 구직 및 면접 단계
01 구직 준비 단계
싱가포르 취업 정보 탐색
채용공고 확인
1. 월드잡플러스 홈페이지, 개
04
구직 초기 단계 성공적인
1. 공공기관 지원사업 활용 별기업 홈페이지, 현지 구
싱가포르 국가 정보 탐색 싱가포르 정착 및 생활
104 인구직사이트, 소셜네트워
1. 국가 정보 및 경제·노동 현 크 활용 104 싱가포르
2. 싱가포르 취업 관련 정보를
정착 및 생활 정보
황 16 제공하는 웹사이트 활용110
1. 집 구하기 158
2. 기본생활정보 151
2. 은행 및 통장 개설 153
3. 고용 관련 제도 35 입사지원
3. 물가정보 및 유틸리티 151
4. 사회 보장 제도 45 취업 유망 분야 및 1. 취업연수절차 120
취업 절차 파악 4. 비즈니스 및 생활 에티켓
2. 해외취업 정착 지원 125
1. 싱가포르 취업 유망 분야 및 161

필요 역량 71
싱가포르 취업을 위한
준비 상태 점검
취업허가 및 비자 발급
1. 싱가포르 취업의 성공·실
1. 취업허가를 받고 본인에게
패 사례를 참고한 나의 강
맞는 비자 발급 절차를 거친
점 및 약점 파악 81
후 비자를 발급받고 채용을
확정 139

4 5
싱가포르 취업 SUMMARY
ƒ 싱가포르 취업 유망 직종

ƒ 싱가포르 취업의 특징 싱가포르의 외국인 취업은 호텔 등 서비스업 및 사무직종이 중심이 되고 있다. 그


러나 글로벌 기업의 IT직종, 금융 및 엔지니어링 분야에서의 취업도 꾸준히 이루어
2020 ~ 2021년은 인류 역사상 코로나19의 시대로 기록될 것이다. 분자 크기의
지고 있다. 물론 코로나19 이후 서비스 산업 전반이 침체되어 호텔 및 서비스 기업
눈에 보이지도 않는 작은 바이러스가 75억 인류의 삶을 송두리째 바꿔 놓았다.
에서도 휴업 및 고용 축소가 이어진 만큼 일자리의 타격이 심각한 상황이다. 그러
싱가포르는 코로나19 발생 초기 빠른 국경 차단 등 효과적인 대응으로 코로나
나 코로나19 사태가 완화된 이후에는 이러한 일자리 수요가 급격히 회복될 것으로
19 방역 모범국가로 손꼽혔으나, 외국인 기숙사 등의 새로운 감염원 확산에 따
예측된다. 최근 중국과 대만의 정치적 분쟁으로 인하여 싱가폴의 관광산업 및 경
라 다른 국가들과 마찬가지로 감염 확산에 무릎을 꿇을 수밖에 없었다.
제 전반에서 반사 이익 효과가 예상되기도 한다.
싱가포르는 동서양을 연결하는 무역과 서비스업이 주력 산업이다. 그러나 국
경부터 차단하는 각국의 코로나19 대응 방침에 따라 자연스럽게 싱가포르의 경 ▶ 서비스·경영·마케팅: 한국의 해외 취업자 대부분이 근무하고 있는 직종으로, 호
제침체 및 실업률 증가가 이어졌다. 이에 기존 평균 2%대의 실업률이 2020년 텔 등 서비스업 및 사무직종의 수요가 많은 편이다. 다만, 호텔 등 서비스 직종
후반 4.9%까지 급등하였다. 자연스럽게 2020년도부터 자국민 고용 장려 정책 은 상대적으로 낮은 임금, 교대제 등 근무 조건이 열악한 편이다. 일정 기간 경
이 이어지고 있으며, 입국 제한이 강화되며 외국인의 취업은 극히 제한되고 기 력을 쌓은 후 국내 혹은 다른 국가의 메이저 호텔로 이직하는 것을 염두에 둘
존의 외국인 고용인력들도 대거 이탈하였다. 싱가포르에서는 코로나19에 대응 수 있다. 싱가포르 취업의 가장 큰 장점은 브랜드 인지도가 높은 기업에서 경
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가능한 모든 직업을 재택근무로 전환하였다. 2021 력을 시작할 수 있다는 것이다. 또한 싱가포르에서의 경력은 영어 의사소통에
년 9월 싱가포르 정부는 모든 근무 형태를 재택근무로 전환하였으며, 이에 대 대한 경력 증명이기도 하므로 영·미권 등 글로벌 진출의 교두보가 될 수 있다.
한 엄격한 점검 활동이 이어지고 있다. ▶ IT직종: 싱가포르에는 구글 및 마이크로소프트와 같은 대부분의 글로벌 IT 기업
정부의 노력에 따라 2021년 9월 자국민의 실업률이 3.4% 수준으로 낮아지면서 들이 진출해 있다. 따라서 프로그래머 등 IT 인력 수요가 많고, 근면하고 성실한
자국민 고용 장려 정책의 점차적인 완화를 예상할 수 있다. 그러나 코로나19 사 한국 인력에 대한 선호도와 수요가 매우 높은 편이다. 특히 한국 기업과의 협력
태로 인해 완전히 침체된 외국인 고용 풍경이 급격히 개선될 것으로 추측하기 관계가 있는 글로벌 기업의 경우 구인 수요가 있다. 비대면 경제와 플랫폼 공유
는 다소 어려운 실정이다. 경제로의 급속한 경제 구조 진화에 따라 IT•개발 인력 수요가 대규모로 성장하
그러나 위드 코로나 시대로 접어들면서 무역과 서비스업을 중심으로 경제의 고 있고, 향후 IT분야의 핵심 화두인 메타버스 등에서 전 세계적인 인력 수요의
활력을 되찾는 단계에서는 분명히 외국인 인력의 수요가 크게 발생할 것으로 확대가 예상된다. 만약 현재 IT분야에서 공부를 하고 있거나 경력을 쌓고 있다
예상된다. 자신의 경력 계획을 다시 한번 점검하고 꼼꼼히 준비한다면 이전보 면, 당장 글로벌 시장으로 눈을 돌릴 필요가 있다.
다 더 나은 일자리 기회가 열릴 가능성이 높다. 해외취업의 경력을 꿈꾸고 있는 ▶ 금융과 회계: 전 세계 어디에서나 금융·회계 분야의 인기는 하늘을 찌른다. 그
젊은이라면 지금의 코로나19 시기를 앞으로의 도약을 위한 준비 기간으로 보
만큼 경쟁이 치열하여 입사 관문이 좁지만, 경력과 자격을 갖춘 경우라면 충분
고 한번 도전을 준비해 볼 만하다.
히 도전해볼 만하다. 금융 및 회계 분야는 경영학 등 관련 분야를 졸업한 지원
자라면 적절한 수준의 영어 의사소통 능력을 갖춰 신입 또는 1 ~ 2년의 짧은 경
력을 가지고도 충분히 도전할 수 있다.

▶ 엔지니어: 플랜트와 건설업 분야에서 설계 및 엔지니어링을 전공하고 영어에


어느 정도 자신감이 있다면, 싱가포르에 진출해 있는 수많은 글로벌 엔지니어
링 기업들을 목표로 할 수 있다. 조선 및 해운업의 환경규제가 심화되고, 글로
벌 물동량의 증가에 따라 새로운 엔지니어링 수요가 급등할 것으로 예상된다.
엔지니어링 분야는 근본적으로 글로벌 시장과 산업의 특성을 갖고 있다. 따라
서 엔지니어로서의 성장을 꿈꾸고 있다면 경력 초창기 단계에서 글로벌 시장
에 뛰어드는 것도 충분히 도전해 볼 만하다.

6 7
ƒ 싱가포르 취업 준비 시 유의사항
ƒ 싱가포르 취업의 핵심 포인트
▶ 취업 직종이 싱가포르에서 비자 발급이 가능한지, 비자 발급 시 문제는 없는지 체크

▶ 회사의 전문 감사팀이 구직자가 제공한 모든 정보를 조사하고 확인하기 때문에 이


력서 작성, 면접 및 취업비자 신청 시 허위 정보 기재는 절대 금지 1) 싱가포르는 아시아는 물론 세계적인 금융허브임. 따라서 금융권 해외취업
을 노린다면 해외취업 성공률이 가장 높은 국가일 수 있음
▶ 싱가포르의 물가 수준은 상당히 높지만 신입사원의 초임이 높지 않다는 점, 그리
고 생활비 및 주거비 등 초기 정착 비용이 꽤 요구된다는 사실을 염두에 두어야 함
2) 한국은 IT기술로 세계를 리드하고 있다는 것을 싱가포르는 잘 알고 있음. 싱
▶ 취업 전 근로조건에 대해 꼼꼼한 확인 필요(직무 내용, 급여 내역, 각종 수당, 의료 가포르 IT관련 업종 취업이나 창업에 적극 도전해 볼 만함
보험 및 복리후생)
3) 해외취업 공통사항이지만 영어를 업무에 지장이 없을 정도로 해야 하는 것
은 기본. 영어 실력이야말로 성공적인 싱가포르 취업의 첩경

ƒ 싱가포르 취업 준비 방법
▶ 준비 단계
자가 진단: 취업 희망 직종에 대한 전문성, 해외 취업에 대한 열망, 자신의 장점과 단
점, 적성, 장래 포부, 가치관 등 객관적 점검
기본 역량 배양: 어학 능력 및 자격증, 기술 등 직무 능력 중 부족한 역량 향상 노력
à 어학 능력 부족: 학원, 어학 연수, 유학 등을 통한 싱가포르 생활 경험
à 자격·기술 등 직무 능력 부족: 전공 과목 이수, 자격증 취득, K-Move 스쿨 등 연
수 참여

▶ 구직 단계
이력서 작성: 신입 지원자의 경우 직무 역량과 경력을 가급적 상세히 기술하여야 하
며, 조직 구성원으로서의 몰입도를 어필할 수 있는 사례를 준비하는 것이 좋다. 경력
직은 직무 기반 경력과 역량을 최대한 어필해야 하며, 이력서 상 다양한 프로젝트 수
행 경험을 제시하는 것도 좋은 전략이다.
à 1차 면접: 최근 싱가포르에서는 대부분의 면접을 화상면접으로 진행하고 있으
니 미리 꼼꼼히 점검하고 준비를 해 두는 것이 좋다. 회사 인사 담당자(company
human resources manager)가 실시하며, 경우에 따라서는 적성 검사를 실시하
는 경우도 있다. 최근에는 기업들에서 주로 화상 면접을 실시하므로 화상 면접
도 사전에 충분히 준비해 두어야 한다.
à 2차 면접: 함께 업무를 수행하게 될 직장 동료 및 상사 등 실무자들이 진행한다.
2차 면접의 경우 3명 이상의 다중 화상 면접으로 진행되는 경우가 많다.
à 3차 면접: 회사 임원진들과 인터뷰를 진행하고, 채용 결정 후 비자 발급 과정에
서 신체검사를 수행한다. 3차 면접의 경우에는 대부분 대면 인터뷰의 형태로 진
행되며, 인터뷰 직후 인사부서와의 면담을 진행하는 경우가 많다.

8 9
자기분석 체크리스트

자기분석 체크리스트

# 항목 YES NO

1 싱가포르에서 수요가 많은 직종에 지원하고 있는가?

싱가포르 취업을 지원하는 기관(예: 해외취업센터, KOTRA 등)


2 과 정책(예: K-Move 멘토링, 해외취업 아카데미, 해외취업박
람회, 해외취업정착지원금 등)에 대하여 알고 있는가?

3 싱가포르 현지에 머무르면서 구직활동을 할 수 있는가?

싱가포르에서 기업에 자신을 추천할 수 있는 인적 네트워크를


4
가지고 있는가?

싱가포르 기업에서 구직하는 다양한 취업 채널/경로(예:


5
LinkedIn, 전문 구직 웹사이트, 알선업체 등)를 알고 있는가?

민간 취업 알선 업체를 이용하는 경우, 이용 업체와 컨설턴트가


6
싱가포르 정부에서 부여하는 면허를 가지고 있는가?

이직에 필요한 경력개발을 위하여 취업 초기에 낮은 임금과 열


7
악한 근무조건을 감내할 수 있는가?

8 업무에 필요한 영어 말하기와 쓰기 능력을 갖추고 있는가?

싱가포르에서 취업 가능성과 직장의 질을 결정하는 업무 경력


9
을 가지고 있는가?

현재 이력서가 싱가포르 기업에서 기대하는 형식과 내용을 갖


10
추고 있는가?

싱가포르 기업에 취직하는 과정에서 겪는 여러 인터뷰의 형식


11
과 내용에 대하여 숙지하고 있는가?

싱가포르에 진출한 회사들의 본사가 위치한 일본이나 유럽 선


12
진국의 언어를 영어 외에 제2외국어로서 구사할 수 있는가?

취업비자를 받는데 요구되는 건강상태를 갖추고 있으며 전과


13
기록 등의 결격 사유는 없는가?

경력직의 경우 취업 이후 오리엔테이션 수준의 교육만을 받고


14
바로 독립적으로 업무를 진행하고 성과를 낼 수 있는가?

10 11
CONTENTS
Part 1 노동시장 동향 및 고용 제도 Part 3 해외취업 정보 및 지원 사업
1.1 국가 정보 16 3.1 해외취업 정보 찾기 104

1.2 노동시장 동향 27 3.2 정부의 해외취업 지원 프로그램 활용 116

1.3 고용 관련 제도 35 3.3 해외취업 정착 지원 125

1.4 임금 제도 41
Part 4 취업비자
1.5 사회 보장 제도
4.1 취업비자 종류 및 특징
45
132

4.2 취업비자 신청 및 취득 139

4.3 유학비자를 취업비자로 전환 142


Part 2 해외취업 전략
Part 5 정착 및 생활정보
2.1 채용 트렌드 및 유망직종 56
5.1 정착
2.2 직종/직무별 취업 역량 및 전략
146
71
5.2 생활
2.3 해외취업 사례
151
81
5.3 생활 에티켓
2.4 취업 전략 로드맵
161
93

2.5 싱가포르 주요 글로벌 기업 및 한국 진출기업 현황 97 Part 6 해외취업 Q&A 168

12 13
1

PA R T
노동시장 동향 및 고용 제도

1.1 국가 정보 16

1.2 노동시장 동향 27

1.3 고용 관련 제도 35

1.4 임금 제도 41

1.5 사회 보장 제도 45
싱가포르 개요
1.1 국가정보
싱가포르 공화국
◆ 개요 ▶ 영어: Republic of Singapore

싱가포르는 동남아시아 말레이반도 최남단에 위치한 섬국가로 서울시와 비슷 국명 ▶ 중국어: 新加坡共和国

한 면적을 보유하고 있다. 지리적 이점으로 동남아 교통, 무역, 금융, 비즈니스 등의 ▶ 말레이어: Republik Singapura
중심지가 되고 있다. ▶ 타밀어: Singapore Kudiyarasu

국토가 좁고 지하자원이 전무한 환경적 여건으로 인해 일찍이 정부 주도로 대 위치 동남아, 적도 근처(북위 1.09 ~ 1.29도, 동경 103.36 ~ 104.25도)

외 개방형 경제를 추구해 왔으며, 세계적인 기업들을 유치함으로써 비즈니스의 중심 면적 약 719.1 km2(서울시의 1.18배)
지로 발전하고 있다.
기후 열대성(연중 고온 다습)

수도 싱가포르(도시국가)

인구 5,453,566명

주요도시 싱가포르(도시국가)

민족 중국계(74.2%), 말레이계(13.7%), 인도계(8.9%), 기타(3.2%)

언어 영어, 중국어, 말레이어, 타밀어 등 4개 공용어

종교 불교 31.1%, 기독교 18.9%, 무교 20.0%, 이슬람교 15.6%, 도교 8.8%, 힌두교 5.0% 등

건국일 1965년 8월 9일(말레이시아 연방에서 분리, 독립)

정부형태 내각책임제

대통령: Halimah Yacob

▶ 취임일: 2017년 9월 (임기 6년)


국가원수 총리: Lee Hsien Loong (李顯龍)

▶ 취임일: 2004년 8월 (국회 임기 5년 단위) ~ 2006년, 2011년, 2015년, 2020


년 총선에서 집권당 승리로 장기집권 중

서비스 생산(69.8%), 상품생산(26.4%), 기타(3.8%) - 서비스 생산: 도매무역


(17.9%), 전문서비스(5.8%), 부동산(2.9%), 숙박업(0.5%), 금융보험업(14.6%),
산업구조
정보통신업(5.6%), 소매무역(1.4%), 기타 서비스산업(10.5%), 운송저장업
(2021)
(6.1%), 행정 및 지원서비스(3.6%), 식음료서비스(0.9%) - 상품 생산: 제조업
(22.3%), 건설업(2.9%)

출처: KOTRA 무역자료실(2022년). KOTRA 싱가포르무역관. ‘2022 해외출장 가이드: 싱가포르.’

PART 1 PART 1
16 17
◆ 한-싱가포르 관계 2021년 기준 한국은 싱가포르의 수출대상국 7위이자 수입 대상국 5위를 기록
하였다.
2021년 기준 싱가포르는 한국의 수출 대상국 8위, 수입 대상국 10위를 기록하
였다. 싱가포르 10대 무역국 현황(2021년 기준) (단위: 백만 달러, %)

한국 10대 무역국 현황(2021년 기준) (단위: 백만 달러, %) 수입 수출

국가 금액 증감률 국가 금액 증감률
수입 수출
중국 54,548 14.99 중국 67,611 31.29
국가 금액 증감률 국가 금액 증감률
말레이시아 53,670 28.37 홍콩 60,064 29.87
중국 138,628 27.3 중국 162,913 22.9
대만 51,025 40,36 말레이시아 42,072 26.15
미국 73,213 27.3 미국 95,902 29.4
미국 40,425 15.32 미국 38,237 -2.31
일본 54,642 18.7 베트남 56,729 16.9
한국 22,144 42.18 인도네시아 28,758 33.96
호주 32,918 76.0 홍콩 37,467 22.2
일본 21,778 20.21 대만 23,270 27.50
베트남 23,966 16.5 일본 30,062 19.8
인도네시아 15,192 8.93 한국 19,676 17.30
대만 23,486 31.7 대만 24,285 47.5
아랍에미레
독일 21,996 6.4 인도 15,603 30.7 12,510 99.72 일본 18,324 2.60
이트
러시아 17,357 63.3 싱가포르 14,149 44.0
프랑스 11,505 12.27 베트남 15,648 25.62
인도네시아 10,725 41.2 멕시코 11,290 37.0
독일 10,281 16.43 태국 15,605 10.56
싱가포르 10,691 26.7 독일 11,110 16.0
전체 406,034 23.38 전체 456,799 22.06
전체 615,093 31.5 전체 644,400 25.7
출처: KOTRA 무역자료실(2022년). KOTRA 싱가포르무역관. ‘2022 해외출장 가이드: 싱가포르.’

출처: KOTRA 무역자료실(2022년). KOTRA 싱가포르무역관. ‘2022 해외출장 가이드: 싱가포르.’


양국의 주요 교역 품목은 석유제품, 반도체, 선박 류 등으로 수출입 품목이 유사
하다. 이는 싱가포르를 통한 중계무역 비중이 높은 데 기인한다.

PART 1 PART 1
18 19
한국의 對싱가포르 수출 상위 10개 품목 (단위: 백만 달러, %) 한국의 對싱가포르 수입 상위 10개 품목 (단위: 백만 달러, %)

2020년 2021년 2020년 2021년


품목명 품목명
금액 증감률 금액 증감률 금액 증감률 금액 증감률

집적회로 반도체 2,456 13 3,732 52.0 반도체 제조용 장비 1,664 99.1 2,727 63.8

휘발유 385 -48.0 1,970 411.9 집적회로반도체 2,496 62.0 2,260 -9.4

경유 1,036 -58.8 1,711 65.2 중유 382 -21.9 537 40.6

선박 1,462 -50.4 1,150 -21.3 컴퓨터 347 -2.2 522 50.5

반도체 제조용 장비부품 249 28.6 388 55.4 실리콘웨이퍼 302 -2.1 372 22.9

전산기록매체 136 155.4 331 143.1 기타 정밀화학 제품 224 -5.2 292 30.4

의약품 34 81.9 313 814.2 기타 석유제품 22 540.0 291 1,225.6

제트유 및 등유 227 179.8 292 28.3 반도체 제조용 장비부품 132 12.2 275 107.8

윤활유 145 -31.2 282 94.1 개별소자 반도체 76 36.9 224 194.9

반도체 제조용 장비 172 39.2 265 54.4 광학기기부품 391 20.0 217 -44.3

수출 총계 9,828 -23.0 14,149 44.0 수입 총계 8,438 26.7 10,691 26.7

출처: KOTRA 무역자료실(2022년). KOTRA 싱가포르무역관. ‘2022 해외출장 가이드: 싱가포르.’ 출처: KOTRA 무역자료실(2022년). KOTRA 싱가포르무역관. ‘2022 해외출장 가이드: 싱가포르.’

PART 1 PART 1
20 21
◆ 경제지표 ◆ 경제동향

실질경제성장률에서 싱가포르는 코로나19가 발생한 2020년 마이너스 성장을 싱가포르는 대외 의존도가 높아 세계 경제의 영향을 크게 받는 경향이 있어 팬
기록하였으나 2021년에 7.6%로 다시 플러스성장으로 돌아섰다. 데믹 이후 세계경제 회복에 힘입어 싱가포르 통상 산업부(Ministry of Trade and
Industry, MTI)에서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싱가포르는 2021년 실질 GDP 성장률
7.6%를 기록하였다. 기존에 발표한 2021년 GDP 예상치인 7.2%보다 소폭 증가한 결
과이다. GDP 성장에 크게 기여한 부문으로는 제조업(2.6%), 금융 및 보험(1.1%), 도매
주요 경제지표
무역(0.7%) 분야가 꼽혔다. 2021년 싱가포르의 제조업 부문은 2020년도의 7.5%보
지표 단위 2017 2018 2019 2020 2021 다 더 높은 성장세(+13.4%)를 보였는데, 이는 정밀 엔지니어링, 전자 및 운송 엔지니
실질 경제성장률 % 3.9 3.4 1.3 -5.4 7.6 어링 등 분야에서 호조를 보이며 성장을 견인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명목 GDP(십억) US$ 343.33 375.96 374.39 339.98 378.65


싱가포르는 대외 의존도 높아 세계 경제 영향을 크게 받아왔다. 참고로, 현재 세
1인당 GDP US$ 59,484 61,373 61,340 58,982 66,176 계 경제의 위협 요인으로는 첫째, 코로나19로 인한 공급망 이슈 및 글로벌 소비 감소,
1인당 GNI US$ 56,537 58,720 57,601 52,617 63,999 둘째, 미·중 무역 분쟁, 셋째, 중동의 지정학적 긴장 등으로 인한 금융 시장의 변동가

재정수지(GDP대비) % 17.3 15.4 14.3 17.6 15.9


능성과 부정적인 파급 효과 등이 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싱가포르 정부에서는 향
후 싱가포르 경제가 꾸준한 회복세를 보일 것으로 예상하며, 대내외 기회 요인에 따
정부부채/GDP % 110.9 108.6 126.3 137.86 139.03
른 경제성장률 예상치를 +3% ~ 5%로 발표했다.
근원 소비자물가
% 1.5 1.7 1.5 -0.2 2.3
상승률
통상 산업부(MTI)는 정보 통신 및 금융, 보험 부문이 IT, 디지털솔루션 등의 수요
종합주가지수 - 3,403 3,069 3,223 2,850 3,124 의 영향으로 성장을 견인할 것이라고 언급하였다. 한편, 항공, 관광 및 숙박업은 코로
실업률 % 2.2 2.1 2.3 3.0 2.6 나19 영향으로 당분간 회복이 더딜 것으로 보인다.

수출실적(백만) US$ 373,355 412,813 390,652 368,096 414,503

수입실적(백만) US$ 327,707 370,650 359,180 329,064 366,937

무역수지(백만) US$ 45,648 42,163 31,472 39,032 -

외국인투자금액
S$ 1,567,974 1,736,796 1,923,604 2,141,775 -
(백만)

외환보유고(백만) US$ 279,900 287,673 279,450 362,305 417,904

현지국/
환율(연평균) 1.38 1.35 1.36 1.38 1.34
US$

출처: 싱가포르 통계청(Singstat), 싱가포르 통화청(MAS), 싱가포르 통상산업부(MTI), 싱가포르 노동부


(MOM), IMF, World Bank, 한국무역협회(KITA).
출처: KOTRA 무역자료실(2022년). KOTRA 싱가포르무역관. ‘2022 해외출장 가이드: 싱가포르.’

PART 1 PART 1
22 23
산업별 경제성장률 추이 (단위: %)

2021
구분 2020
1분기 2분기 3분기 4분기 전체

전체 GDP -4.1 2.0 15.8 7.5 6.1 7.6

상품 제조 산업 0.3 6.5 23.0 11.7 13.6 13.4

제조업 7.5 11.5 18.2 7.9 15.5 13.2

건설업 -38.4 -22.2 118.9 69.9 2.9 20.1

서비스 산업 -5.1 0.2 11.5 6.8 4.4 5.6

도매업 -1.7 4.0 3.0 5.5 3.3 3.9

소매업 -18.5 1.7 51.8 0.9 4.3 10.2

운송 저장업 -20.1 -13.1 22.2 9.2 7.5 5.0

숙박업 -13.9 11.5 10.4 -5.7 -5.1 1.7

요식업 -28.6 -9.2 36.0 -4.1 -1.5 3.0

정보 통신업 8.4 9.4 14.4 13.9 11.2 12.2

금융 보험업 6.9 5.2 10.4 8.5 5.6 7.4

부동산업 -13.7 -1.7 29.2 19.9 1.6 10.7

전문 서비스업 -8.0 -4.3 11.8 5.9 4.9 4.4

행정 및 지원서비스업 -16.7 -15.5 -0.1 0.2 2.5 -3.8

기타 서비스 산업 -8.1 0.2 16.5 3.8 2.4 5.2

출처: KOTRA 무역자료실(2022년). KOTRA 싱가포르무역관. ‘2022 해외출장 가이드: 싱가포르.’

PART 1 PART 1
24 25
1.2 노동시장 동향

◆ 인력 규모 현황1

싱가포르는 총인구 560만의 작은 도시국가로서 외국인력 의존도가 높은 특성


을 보인다. 또한 글로벌 유수기업들의 지역 본부로 많이 활용되어 각 시장에 대한 이
해와 언어능력을 갖춘 외국 인재들에 대한 수요도 높다. 싱가포르 총 인력 중 외국인
인력이 차지하는 비중은 약 1/3(28.7%) 정도이다.

싱가포르 인력 규모 현황 (단위: 천 명, %)

2015 2016 2017 2018 2019

외국인력 1,156 (22.6) 1,153 (-2.5) 1,121 (-32.0) 1,132 (10.9) 1,161 (28.7)

현지인력 2,232 (0.7) 2,258 (11.2) 2,270 (21.3) 2,293 (27.4) 2,329 (28.3)

총인력 3,656 3,673 3,669 3,715 3,780

출처: KOTRA 해외시장뉴스(2021년 3월 22일). KOTRA 싱가포르무역관. ‘싱가포르 진출 기업들을 위한


싱가포르 노무 가이드.’

싱가포르 노동시장은 한국과 비교하여 매우 유연한 특성을 가진다. 근로자들의


퇴사 및 이직이 자유로운 편이고, 고용주도 정당한 사유가 있을 시 근로자들을 해고
하기가 쉽다. 싱가포르 노동법(Employment Act)을 준수해야 하나, 큰 틀을 제공하
는 선에 그쳐 해고, 퇴사, 퇴직 급여 등 세부적인 사항은 근로자와 고용주 간의 계약
내용에 기반을 둔다. 한 예로, 싱가포르는 최저 임금이 법적으로 정해져 있지 않으며
임금은 근로자와 고용주 간의 합의에 따라 결정된다.

싱가포르 노동시장은 3자주의(Tripartism) 원칙을 따르고 있다. 3자주의


(Tripartism)란 노·사·정간 합의를 통해 노동 문제를 다루는 것을 뜻한다. 싱가포
르 3자 위원회(Tripartite Committee)는 싱가포르 노동부(Ministry of Manpower,
MOM), 노동조합(National Trades Union Congress, NTUC), 국가 경영자 총협회

1) 출처: KOTRA 해외시장뉴스(2021년 3월 22일). KOTRA 싱가포르무역관. ‘싱가포르 진출 기업들을 위한 싱가포르 노무 가이


드’ 자료 기반 작성.
PART 1 PART 1
26 27
(Singapore National Employers Federation, SNEF)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고 싱가포르 전체 실업률 및 실업자 수 변화 (단위: %, 천 명)

용 및 근로 공정성, 유연성, 안전성 등에 대한 가이드 라인을 제시한다.


년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 노동시장 동향 연평균 전체 실업률(% 2.3 3.0 2.7 2.1

ƒ 싱가포르 노동시장 현황 연평균 전체 실업자 수(명) 83.7 110.4 95.6 78.9

2023년 3월 싱가포르 노동부(MOM)에서 발표한 노동시장 보고서에 따르면


출처: KOTRA 해외시장뉴스(2023년 3월 28일). 싱가포르무역관 천정인. ‘2023년 싱가포르 노동시장 및
2022년 고용자 수는 2021년도 대비 25만명 이상이 증가하였으며, 팬데믹 이전인 취업비자 발급 현황.’

2019년에 비해서도 2.9% 회복되었다.

싱가포르 노동부(MOM)에서 발표한 싱가포르 취업비자 발급 건수 변화를 살


싱가포르 전체 고용자 수 현황 (단위: 천 명)
펴보면 2022년 총 취업비자 발급 건수는 1,424,200건으로 2021년도 대비 약 22

년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2년 12월


만 건 이상 상승하였으나, 팬데믹 이전인 2019년에 비해서는 여전히 낮은 수준이다.

고용자 수(‘000) 3,784.3 3,603.3 3,643.5 3,893.6 2022년도 Employment Pass(EP)와 S Pass(SP) 비자의 발급 건수는 2021년
도 발급 건수에 비해 소폭 증가했다. Work Permit 비자의 경우 2021년도 대비 18만
전체 69.5 -181.0 40.2 250.1 3,893.6
건 이상 대폭 증가했으며, 취업비자 중 유일하게 팬데믹 이전인 2019년도에 비해 발
싱가포르 자국민 28.0 14.9 71.3 26.3 2,469.4 급 건수가 증가하였다. 이는 싱가포르 정부에서 자국민 고용 장려 정책을 도입함과
동시에 외국인 취업비자인 EP와 SP의 발급 기준을 더욱 강화한 결과로 볼 수 있다.
외국인 41.5 -195.9 -31.1 223.8 1,424.2

출처: KOTRA 해외시장뉴스(2023년 3월 28일). 싱가포르무역관 천정인. ‘2023년 싱가포르 노동시장 및


취업비자 발급 현황.’
싱가포르 취업비자 발급 건수 변화 (단위: 건)

2019년 12월 2020년 12월 2021년 12월 2022년 12월


2022년도 싱가포르 전체 실업자 수 역시 2021년도 대비 1만 7천명 이상 감소
하였으며, 팬데믹 이전인 2019년도에 비해서도 약 6% 이상 감소하여 싱가포르 노동 Employment Pass 193,700 177,100 161,700 187,300
시장이 활기를 되찾고 있음을 알 수 있다.
S Pass 200,000 174,000 161,800 177,900

싱가포르는 코로나19로 인해 2020년 실업률이 역대 최고치를 기록하는 등 어


Work Permit 999,000 848,200 849,700 1,033,500
려움을 겪었다. 노동시장이 코로나19 이전 수준으로 빠르게 회복할 수 있었던 것은
싱가포르 정부가 다양한 자국민 고용장려정책을 시행함으로써 코로나19 위기 상황 전체 취업비자 발급 건수 1,427,400 1,231,500 1,200,400 1,424,200
에 발빠르게 대응한 결과로 볼 수 있다. 이로 인해 싱가포르 자국민 고용이 점차 증가
하였고, 2022년도에는 국경 제한을 빠르게 완화하면서 싱가포르로 돌아오는 외국 출처: KOTRA 해외시장뉴스(2023년 3월 28일). 싱가포르무역관 천정인. ‘2023년 싱가포르 노동시장 및
취업비자 발급 현황.’
인 근로자 또한 증가하였다.

PART 1 PART 1
28 29
ƒ 취업비자 EP & SP 최소급여기준 강화 2023년 취업비자 발급 기준

향후 싱가포르 취업비자 발급이 더 까다로워질 것으로 예상된다. 2020년도 9 비자 종류 기준 신규(2023년 9월 1일 기준)


월, 싱가포르 노동부(MOM)는 EP와 SP 비자의 최소 급여 기준을 인상하고 비자 발
1) 최소급여 4,500 싱가포르 달 1) 최소급여 5,000 싱가포르 달러
급 신청 이전에 자국민 대상 정부 구인 포털(MyCarrersFuture.sg) 내 구인공고를 최
러 * 금융 서비스직 최소급여
소 28일 이상 게재하게 하는 등 의무를 강화했다. 특히 금융서비스 직종에서는 일반
Employment Pass * 금융서비스직 최소급여 5,500 싱가포르 달러
적인 수준보다 더 높은 기준을 적용하여 취업비자 발급이 더 어려워졌다.
5,000 싱가포르 달러 2) 발급 신청 이전, 정부 구인 포털
사무직 등 고급 인력 2) 발급신청 이전, 정부 구인 포 내 구인공고 최소 14일 이상 게
2022년 9월에는 EP와 SP 비자에 대한 최소 급여 기준이 다시 한번 인
털 내 구인공고 최소 28일 이 재 의무
상되었다. 아울러, EP 비자 대상 신규 평가 제도인 상호 보완 평가 프레임 워크
상 게재 의무 3) EP COMPASS 제도 도입
(Complementarity Assessment Framework, COMPASS) 제도가 도입됨에 따라
1) 최소급여 2,500 싱가포르 달 1) 최소급여 3,000 싱가포르 달러
취업비자 발급이 더 까다로워질 것으로 예상된다.

* 금융서비스직 최소급여
S Pass 2) 발급신청 이전, 정부 구인 포 3,500 싱가포르 달러
털 내 구인공고 최소 28일 이
2) 발급신청 이전, 정부 구인 포털
중간 정도 숙련된 근 상 게재 의무
내 구인공고 최소 14일 이상 게
로자 및 서비스직 종 3) 비자 할당(quota) 재 의무
사자
▶ 서비스분야 10% 3) 비자 할당(quota)

▶ 건설, 해양 및 가공분야 18% 건설, 해양, 및 가공분야 15%

Work Permit 1) 최소급여 및 학력조건 제한


없음

건설, 제조, 해양서 2) 발급신청 이전, 정부 구인 포 ▶ 변경사항 없음


비스 등의 저숙련 근 털 내 구인공고 게재 의무 없
로자 음

출처: KOTRA 해외시장뉴스(2023년 3월 28일). 싱가포르무역관 천정인. ‘2023년 싱가포르 노동시장 및


취업비자 발급 현황.’

PART 1 PART 1
30 31
ƒ 취업비자 EP 대상 평가 제도 COMPASS 도입2

싱가포르 정부는 EP 비자에 대한 보다 투명한 심사를 위해 새로운 점수 기반 평


가 제도인 상호보완 평가 프레임 워크(COMPASS) 제도를 도입하여 명확한 기준을
마련하고자 한다고 발표했다. 신규 신청자의 경우 2023년 9월 1일부터, 갱신 신청자
는 2024년 9월 1일부터 해당 기준이 적용된다.

심사는 4가지 영역의 기본 기준(급여, 학력, 국적의 다양성, 싱가포르 국민 고용


창출에 대한 공헌도)과 2가지 영역의 보너스 기준(싱가포르에 해당 기술을 보유한
현지 인력 보유 여부, 현지 투자 등 경제 평가 기준 충족 여부)으로 나뉘며, 합계가 최
소 40점 이상이어야만 EP비자가 발급된다. 특이 사항은 신청자의 조건 외에도 회사
의 고용 실태도 심사의 대상이 된다는 점이다.

ƒ 구직자를 위한 유의사항3

맨파워그룹(ManpowerGroup) 싱가포르 지사의 조사에 따르면 2023년도 싱


가포르 내 고용률은 에너지 산업에서 67%, 통신 및 디지털 산업에서 59%, 금융 및 투
자산업에서는 39%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지원자에게 요구하는 역량은 1) 비
판적 사고 및 분석능력 2) 창의력 및 독창성 3) 리더십 및 사회성 이라고 밝혔다. 싱가
포르 취업을 준비함에 있어 관련 분야를 공략하는 것이 효과적일 것이다. 이러한 고
용시장 변화에 발맞춰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Korea Trade-Investment Promotion
Agency, KOTRA) 싱가포르 무역관 K-Move센터에서는 현지 인사 담당자를 통해 1:1
이력서 첨삭과 취업 컨설팅을 제공하는 행사 등을 진행하고 있다.

2) 출처: KOTRA 해외시장뉴스(2023년 3월 28일). 싱가포르무역관 천정인. ‘2023년 싱가포르 노동시장 및 취업비자 발급 현황’
자료 기반 작성.

3) 출처: KOTRA 해외시장뉴스(2023년 3월 28일). 싱가포르무역관 천정인. ‘2023년 싱가포르 노동시장 및 취업비자 발급 현황’
자료 기반 작성.
PART 1 PART 1
32 33
1.3 고용 관련 제도

◆ 개요4

싱가포르에서 근로자의 고용에 관련하여 규정하고 있는 법률 가운데 기본적인


근로 조건을 규정하고 있는 법률로는 고용법(Employment Act)이 있다. 분쟁이 있을
경우에는 고용소송법(Employment Claims Act)이 적용된다. 그 외에도 노사관계에
관한 노사관계법(Industrial Relations Act) 등이 있고, 외국인 근로자에 관한 규정은
외국인력 고용법(Employment of Foreign Manpower)에 기술되어 있다.

◆ 고용법 핵심 조항5

급여는 급여기간 만료 후 7일 이내에 지급이 완료되어야 하고 유급 연가는 최


소 7일부터 14일까지 보장된다. 유급 병가는 연간 14일을 사용할 수 있으며 입원이
필요한 경우 최대 60일(의료진단비에 대한 전액 상환 포함)까지 가능하다. 공휴일
은 관보에 게재된 11일이 유급으로 정해져 있다. 이 외에 부당해고에 대한 상환청구
도 가능하다.

고용법 제4장은 근로자와 사무직 근로자에게 적용되며 주당 5일 이상 근무하


는 경우 통상 근로 시간을 1일 최대 8시간, 1주 최대 44시간으로 규정하고 있고 시간
외 근무수당은 기본급의 1.5배 이상으로 정하고 있다. 주 1일의 주휴일도 보장된다.

◆ 휴일과 휴가

기본적으로 싱가포르는 연간 11일이 국경일로 규정되어 있다. 휴가법(Holiday


Act)에 의하여 법으로 정해진 국경일이 일요일일 경우, 다음 근무일이 자동적으로 휴
일로 대체되거나 근로자와 합의하에 추가로 휴일을 보장한다. 또한 싱가포르 노동법
에 의해 보호되는 계층에 한해, 국경일이 계약서상 정의된 근무시간이 아닌 요일이
될 경우, 예를 들면 근로자가 월 ~ 금 기준으로 근로하고 국경일이 토요일이 될 경우,
추가로 휴일을 보장하거나 일일 임금으로 보상해야 한다.

4) 출처: 법제처(2020년 6월 30일). 세계법제정보센터. ‘2020 싱가포르 고용관련 법 개관’ 자료 기반 작성.

5) 출처: 법제처(2020년 6월 30일). 세계법제정보센터. ‘2020 싱가포르 고용관련 법 개관’ 자료 기반 작성.


PART 1 PART 1
34 35
3개월 이상 같은 고용주를 위해 근무한 피고용자는 첫 12개월의 근무기간 동안 퇴하게 되었을 때 고용주가 해당 직원 재고용을 원하지 않을 경우, 고용주는 일정 금
7일의 유급 휴가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이러한 유급 휴가는 노동법이 규정한 계층에 액의 지원금을 은퇴한 직원에게 지급해야 한다.
한해 그 후로 매년 1일씩 추가된다. 연차 이외에 법으로 정해진 11일의 국경일에 대해
서는 추가로 휴일이 보장되어야 하며, 총 연차 일은 고용계약에 따라 정해지나, 일반 6개월 이상 근무한 여성 근로자는 자녀의 국적이 싱가포르일 경우, 총 16주의
적으로 법에 규정된 최소 휴가 일수인 7일보다 많은 13 ~ 14일 정도의 휴가가 계약 사 출산휴가를 사용할 수 있으며, 고용주는 출산 휴가를 이유로 피고용자를 해고할 수

항으로 보장되는 경우가 많다. 없다. 남성 근로자 또한 자녀의 국적이 싱가포르이면 자녀 출산 16주 이내에 7일의
출산휴가를 사용할 수 있다. 출산 휴가와는 별도로, 3개월 이상 근무하였고 7세 미만
의 자녀를 둔 부모는 매년 6일, 7 ~ 12세의 자녀를 가진 부모는 매년 2일의 육아 휴
가를 사용할 수 있으며, 2세 이하의 유아를 둔 부모는 추가로 6일의 무급 휴가를 보
◆ 해고 및 부당해고 소송기관6 장받을 수 있다.

싱가포르의 경우 노동시장이 매우 유연해 채용과 해고 관련 사항은 고용주와


피고용자 간의 계약에 근거하도록 되어있다. 정규직이라 하더라도 특정기간 사전 공
지를 통해 비교적 쉽게 해고될 수 있다. 또한 비정규직 채용 시 일정기간 후 정규직 ◆ 노사협의회
으로 전환해야 할 의무는 없다. 해고가 부당하다고 여기는 경우, 고용법 개정 이전
에는 부당해고는 싱가포르 노동부(MOM)로, 급여 관련 소송은 분쟁 해결을 위한 삼 싱가포르의 노사관계는 강력한 정부의 개입으로 인해 상당히 안정되어 있는

자 협의체(Tripartite Alliance for Dispute Management, TADM) 또는 고용심판소 편이다. 싱가포르의 노사관계는 노사관계법(Industrial Relation Cap)에 의해 관리

(Employment Claims Tribunals)로 따로 신고했어야 했다. 또한 관리자 및 경영자가 된다. 노사분규는 원칙적으로 불법이며, 분쟁이 일어날 경우 산업중재원(Industrial

해고 소송을 제기하기 위한 최소 근무기간은 1년이었다. 그러나 개정 후에는 부당해 Arbitration Court, IAC)의 강력한 조정 및 중재를 통하여 원만하게 해결된다. 계약
고 소송기관이 고용 심판소(Employment Claims Tribunals)로 변경되었다. 이로써 해지 또한 탄력적이며 M&A나 기업분할, 자회사 설립 시 근로관계 이전도 가능하다.

모든 소송 제기 기관이 일원화되어 급여 관련 문제와 부당해고 소송을 함께 제기할


직장 내 노동조합이 결성된 경우 단체협약에 따라 근로조건 등을 정할 수 있다.
수 있는 ‘원스톱 서비스’가 가능하게 되었다. 또한 관리자 및 경영자가 해고 소송을 제
단체협약의 유효기간은 최소 2년, 최장 3년으로서 반드시 산업중재원(IAC)의 인가
기하기 위한 최소 근무기간도 6개월로 단축되었다.
를 받아야 효력이 발생한다. 단체협약이 결렬되어 노동부(MOM) 노동관계국에 제소
후 그 결정에 따른 협약도 실패한 경우에는 산업중재원(IAC)에 제소하여 그 결정에
따라야 하며, 어떠한 경우에도 파업 등 노사분규 행위를 할 수 없다. 단체협약은 근
◆ 퇴직급여 로에 대한 모든 조건이 대상이 될 수 있으나 임금조정은 국가임금위원회(National
Wage Council, NWC)의 지침을 준용하여야 한다.
싱가포르 노동법에는 퇴직급여 산정에 관련된 규정이 없다. 따라서 고용인과의
최초 계약서에 의거 퇴직급여 지급이 결정된다. 단, 인원감축 또는 조직 개편을 할
사용주의 고유 경영권한을 보호하기 위해서 사용주의 인사조치에 대하여 이의
경우 고용주는 인원감축 보상금(Retrenchment Benefit Payment)을 최소 3년 이상
제기, 제소, 분규 등을 할 수 없다. 법규를 위반한 부당 해고가 있었을 경우에는 노동
근무한 직원에게 지급한다. 싱가포르 정부는 고령 인구의 재취업을 활성화하기 위한
부(MOM) 노동 관계국에 제소하여 그에 따른 보상을 청구할 수 있다.
방편으로 2012년 1월부터 퇴직 및 재고용법(Retirement and Re-employment Act,
RRA)을 시행하고 있다. 이에 따라 업무 수행 능력이 있는 직원이 정년에 도달하여 은

6) 출처: 법제처(2020년 6월 30일). 세계법제정보센터. ‘2020 싱가포르 고용관련 법 개관’ 자료 기반 작성.


PART 1 PART 1
36 37
◆ 표준근로계약서7

싱가포르의 표준근로계약서에는 고용주 이름, 고용인 이름 직위, 직무, 책무, 고


용시작일, 고용기간, 업무, 임금산정기간, 기본급, 고정수당, 고정공제, 초과근무산정
기간, 초과근무 수당, 기타 임금관련, 휴가, 기타 의료혜택, 수습기간, 퇴사통보기간
내용이 있어야 한다.

7) 출처: 한국촌(2020년 3월 24일). 싱가포르 노동부. ‘근로계약서/급여 명세서 발급 의무화’ 자료 기반 작성.


PART 1 PART 1
38 39
1.4 임금 제도

◆ 개요

싱가포르는 매년 임금 조정과 관련된 노사협상 시 국가임금위원회(NWC)의 가


이드라인을 준수하도록 함으로써 급격한 임금상승을 적절히 통제하여 왔다. 국가임
금위원회(NWC)는 정부, 노동조합(NTUC), 제조업 협회(사용자) 등 노·사·정 3자의 대
표로 구성되며, 임금정책과 결정에 대한 정부 자문 기구로서 임금정책의 일반적 지
침을 작성하고, 노동 생산성과 효율을 증대시키기 위한 바람직한 성과급 제도의 고
안 및 건의 등을 담당한다.

◆ 평균 급여8,9

싱가포르의 평균 급여는 2023년 7월 기준 연간 93,313 싱가포르 달러이다. 가


장 일반적인 수입은 49,946 싱가포르 달러이다. 급여는 성별에 따라 차이를 보인다.
남성의 평균 급여는 107,992 싱가포르 달러이고 여성의 경우 83,289 싱가포르 달
러이다.

가장 많은 급여를 받는 직업은 평균 소득이 136,475 싱가포르 달러이며 보험 소


득이 124,461 싱가포르 달러인 관리 및 비즈니스이다. 교육에 따라 가장 높은 급여는
급여가 137,420 싱가포르 달러인 박사학위자이다. 두 번째로 높은 급여를 받는 교육
수준은 석사 학위이며, 급여는 117,981 싱가포르 달러이다.

다양한 경험이 수입에도 영향을 미친다. 16 ~ 20세의 경력직은 급여로 149,839


싱가포르 달러를 받는다. 20세 이상의 경력직은 급여로 148,894 싱가포르 달러를
받는다.

외국인 고용에 관련된 노동정책은 싱가포르 정부 예산안에 따라 개정되어 왔으


며 싱가포르 노동부(MOM)는 2022년 9월 1일 부로 각 취업비자의 최소 급여 기준을
인상했다. 정부 재정계획(Budget 2022)에 따르면, 2023년 9월부터 EP와 SP 최소
급여 기준이 각각 5000 싱가포르 달러와 3000 싱가포르 달러로 상향 조정된다. 일

8) 출처: Average Salary Survey (2023년 7월). ‘싱가포르/샐러리’ 자료 기반 작성.

9) 출처: KOTRA 해외시장뉴스(2022년 10월 13일). 싱가포르 무역관 김은빈. ‘2022년 싱가포르 노동시장 현황 및 주요 이슈’ 자
료 기잔 작성.
PART 1 PART 1
40 41
반 직종의 EP 비자 발급을 위한 최소 월 급여 조건이 기존 4500 싱가포르 달러에서
5000 싱가포르 달러로 상향되며, 금융업의 경우 EP 비자 발급은 5000 싱가포르 달
러에서 5500 싱가포르 달러로 인상된다. SP 비자의 최소 월 급여 조건은 9월부로
3000 싱가포르 달러로 인상되며, 금융업의 경우 3500 싱가포르 달러의 최소 급여
가 요구된다. 다만, 비자 갱신의 경우 기업에 준비할 시간을 충분히 제공하기 위해 이
와 같은 변경사항은 2023년 9월부터 적용된다.

◆ 휴일 근무수당

고용주는 근로자에게 일주일에 최소 하루의 휴일을 제공해야 하며 예외적인 상


황이 아닌 이상 근로자에게 휴일 근무를 강요할 수 없다. 휴일 근무를 하게 된 경우
다음과 같이 법적으로 보상이 지급돼야 한다. 휴일 근무 수당은 피고용자의 자발적
또는 비자발적 근무 여부에 따라 아래와 같이 다르게 적용된다.

휴일근무수당 시간별 산식

일반 근로시간의 반 일반 근로시간의 반
일반 근로시간 이상 근무
이하 근무 이상 근무

자발적 근무 반일 치 급여 1일 치 급여 1일 치 급여 + 초과 근무수당

비자발적 근무 1일 치 급여 2일 치 급여 2일 치 급여 + 초과 근무수당

출처: 싱가포르 노동부(2023); KOTRA 해외시장뉴스.

PART 1 PART 1
42 43
1.5 사회 보장 제도

◆ 개요10

싱가포르 사회 보장 제도는 국민적립기금(公積金; Central Provident Fund,


CPF)이라는 개인별 저축계좌를 통해 운영된다는 점에서 매우 독특하다. 정부는 법
적 기구인 국민적립기금위원회(Central Provident Fund Board)를 설립하였다. 동
기구는 확정기여(defined contribution) 방식으로 개인저축계좌를 관리ㆍ운영하고
기여금 징수, 기금 운용, 급여 지급 등의 업무를 담당한다. 1955년 최초 도입 당시 국
민 적립 기금((CPF)은 근로자의 퇴직금을 적립하기 위한 강제퇴직저축(Mandatory
Retirement Scheme) 제도였다. 국민적립기금(CPF)은 그동안 근로자의 퇴직 후 소
득을 제공하는 사업 외에도 주택구입과 의료 비용을 지급하는 사업 등도 운영하게 되
었다. 또한 국민적립기금(CPF)은 자영업자로 가입 범위를 확대하였다.

국민적립기금( CPF )은 보통계좌( Ordinary Account ), 특별계좌( Special


Account), 의료저축계좌(MediSave Account)로 나뉘어 적립된다. 보통계좌의 저
축액은 주택 구입 주택 대출금 납부, 가족생활보장을 위한 보험, 자녀의 교육비 지급,
자산증식을 위한 투자 등의 목적으로 사용된다. 특별계좌에 적립된 저축액은 퇴직
후 노후소득을 위해 적립되므로 55세 이전까지는 인출할 수 없다. 의료저축계좌의
저축액은 입원과 외래 비용을 지급하기 위해 사용되고, 중증질환과 장기요양에 대
처하기 위한 의료보험과 요양보험에 가입하고 해당 보험료를 납입하는데 사용된다.
55세 전까지 모든 근로자들은 위에서 언급한 세 개의 개인저축계좌를 유지한다. 55
세가 되는 생일이 속한 달에는 특별계좌를 대신해 퇴직계정(Retirement Account)
이 자동 생성되고, 여기에 저축하여야 한다. 국민적립기금(CPF)은 다음과 같은 사업
5가지를 포함한다.

1) 퇴직 후 노후소득 제공

2) 주택 구입

3) 의료비용 지급

4) 가족생활 보장보험

5) 자산 증식

10) 출처: 한국보건사회연구원(2015년 4월 1일). 신동면. ‘싱가포르 사회보장제도: 국민적립기금을 중심으로’ 자료 기반 작성.
PART 1 PART 1
44 45
국민적립기금(CPF)은 강제적인 개인저축방식을 택하고 있지만, 자급과 자립 CPF 적립률과 계정별 할당률(2015년 기준, 월 소득 S$750 이상인 근로자 적용 비율)

(self-provision and self-reliance) 원칙을 지킨다고 국민적립기금위원회는 강조한


적립률(입금 대비%) 할당률 할당율(임금 대비 %)
다. 노후소득, 주거, 의료, 가족생활 안정 등에 대한 욕구 충족은 개인과 가족의 책임
근로자 연령
이라는 것이다. 개인저축계좌를 통해 제공되는 급여 수준은 기본적 욕구 충족으로 고용주 근로자 총합 일반계정 특별계정 의료계정
제한되기 때문에 이를 넘어서는 욕구 충족은 개인의 노력에 달려 있다고 한다. 그리
35세 이하 17 20 91 23 6 8
고 국민적립기금(CPF)을 통해 노후소득이 지급되지 않거나 의료 비용, 주택 구입 등
이 불가한 사람들의 경우 정부가 소득 및 자산 조사를 실시하여 재정적 지원과 원조 36 ~ 45세 17 20 37 21 7 9
를 실시하고 있다.
46 ~ 50세 17 20 37 19 8 10

51 ~ 55세 16 19 35 14 10.5 10.5

◆ 국민적립기금(CPF) 대상자11 56 ~ 60세 8.5 7.5 16 3.5 2 10.5

싱가포르 시민권과 영주권을 지닌 근로자(시간제, 임시직, 전일제 근로자)와 고 66세 이상 7.5 5 12.5 1 1 10.5
용주는 법률에 의하여 의무적으로 국민적립기금(CPF)에 가입해 보통계좌, 특별계
좌, 의료저축계좌를 생성해야 한다. 국민적립기금(CPF)에 가입한 개인은 자신이 부 출처: 싱가포르 노동부(2016년).

담한 기여금과 이자를 합산한 개인저축계좌의 적립금 범위 내에서 주택구입, 의료,


연금 등의 혜택을 받을 수 있다. 국민적립기금(CPF)에 가입하지 못한 사람들은 주택,
의료, 연금 혜택 대상에서 전면 제외된다. 국민적립기금(CPF) 납입액에는 상한선(2015년 기준 월 소득액 S$5,000)이 존
재한다. 예를 들어 월 소득액이 10,000 싱가포르 달러 이상인 가입자라 하더라도
5,000 싱가포르 달러에 해당하는 적립률까지만 납입할 수 있다. 싱가포르 정부는 적
립금에 대해 최소 시중은행의 이자율을 보장하고, 국민적립기금(CPF)의 모든 계좌
◆ 국민적립기금(CPF) 적립
에 대해 면세 혜택을 제공한다. 이자율은 분기별로 다르게 적용되며, 보통 일반계좌
고용주와 근로자는 쌍방이 임금의 일정 비율을 분담해 일반계정, 특별계정, 의 는 2.5%, 특별계좌와 의료계좌는 4%까지의 최저금리를 보장하고, 계정 합산 최초
료계정으로 분배해 적립하게 되어 있다. 국민적립기금(CPF)의 월 적립율과 계정별 60,000 싱가포르 달러에 대해서는 1%의 추가 이자를 적용한다. 일반계좌에 대한 추
할당율은 근로자의 연령과 임금수준에 따라 차등 적용한다. 연령이 낮을수록 적립 가 이자 적용 상한선은 20,000 싱가포르 달러이며, 일반계좌에서 나온 이자수익은
비율이 높아지고, 고용주에 비해 근로자의 부담비율이 크다. 또한, 근로자의 연령이 특별계좌로 이체된다.
낮을수록 일반계정에 더 많은 금액을, 연령이 높아질수록 의료계정에 더 많은 금액
을 할당한다.

11) 출처: 한국보건사회연구원(2015년 4월 1일). 신동면. 싱가포르 사회보장제도: 국민적립기금을 중심으로’ 자료 기반 작성.
PART 1 PART 1
46 47
◆ 국민적립기금(CPF) 가입자의 적립액 활용 범위 ◆ 교육

국민적립기금(CPF) 적립액 인출은 크게 목적에 따라 주택 구입, 교육, 투자, 보 국민적립기금(CPF) 가입자는 일반계정 적립액을 본인, 배우자, 자녀의 고등교
건 의료, 은퇴 기금으로 나눌 수 있다. 육 학자금 융자 목적으로 인출할 수 있다. 국내 교육기관에서 수학할 경우에만 적용
되며, 일반계정 적립액의 40% 혹은 주택 구입에 사용할 비용을 제외한 나머지 금액

CPF 적립 에 한해 인출이 가능하다.

일반계정(Ordinary Account) 주택구입, 교육, 투자에 사용


수학이 끝난 1년 후 원리금을 전액 상환하거나 최대 12년에 걸쳐 분할 상환해야
한다. 기금 인출 시기부터 원리금 상환 시기까지 융자에 대한 이자가 발생하며, 이자
특별계정(Special Account) 노후연금, 은퇴 관련 상품 투자 및 우발적 사고 대비 율은 국민적립기금(CPF) 일반계정에 적용되는 일반 이자율로 고정된다.

의료계정(Medical Account) 의료비 및 의료보험 지출 등에 사용

※ 각 계정은 별도로 관리되지만, 계정 간 이체가 가능하여 여분의 적립금을 잔액이 부족한 계좌에 이체
가능하다. ◆ 투자
※ 55세가 되면 일반계좌와 특별계좌의 적립금을 통합한다.
국민적립기금(CPF) 가입자는 국민적립기금 투자제도(CPF Investment
Scheme, CPFIS)를 통해 일반계정과 특별계정의 적립 액 일부를 정부가 인가한 금
◆ 주택 구입 융 및 실물 자산에 투자할 수 있다.

국민적립기금(CPF)의 일반계정 적립액은 공공주택(Housing and


Development Board, HDB)이나 민간주택 구입자금으로 활용 가능하다. 주택 구입
시 초기 자금 납입이나 매월 지급되는 원리금 상환액으로 사용할 수 있다. 주택 구입
시 적용되는 제약 조건은 정부 보조금과 국민적립기금(CPF) 일반계정의 자금을 모
두 인출하고 나서야 모기지(mortgage) 대출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싱가포르의 자가
주택 보유율이 90.3%(2014년 기준)에 달하는 배경에는 정부가 토지 국유화를 통해
저렴한 공공주택(HDB)을 공급하고, 국민들은 국민적립기금(CPF) 저축액을 통해 주
택 구입자금을 손쉽게 마련하는 데 있다.

민간업체가 공급하는 주택 가격이 공공주택(HDB)보다 두 배 이상 높고, 공공


주택(HDB) 구입에는 저금리 대출이 제공되기 때문에 싱가포르인의 80.4%(2014년
기준)가 공공주택(HDB)에 거주하고 있다. 최초 분양 받은 공공주택(HDB)은 의무 거
주기간인 5년이 지난 후 매각 가능하며, 매각한 금액은 국민적립기금(CPF) 계정으
로 재납입해야 한다. 최초 분양 받은 공공주택(HDB)을 의무 거주기간 내 매각할 경
우 주택개발청에서 미리 정한 가격으로 주택개발청에 환매해야 한다. 두 번째 분양
받는 주택의 경우 5년 이상 거주했다 하더라도 주택개발청이 정한 가격으로 주택개
발청에 환매해야 한다.
PART 1 PART 1
48 49
국민적립기금 투자제도(CPFIS)로 자산을 증식시키고자 할 경우, 정부가 승인 메디세이브·메디쉴드로 의료비를 해결할 수 없는 저소득층의 경우, 정부가 세금으로
한 국내 은행에 투자계좌를 개설한 후 정기 예금, 국채, 재무부 단기 증권, 정부기관 운영하는 의료보험제도인 메디펀드(MediFund)를 통해 의료비를 보조받을 수 있다.
이 발행하는 채권, 정부가 보장하는 채권, 연금 보험, 양로보험, 투자성 보험, 단위 신
탁 등에 투자하게 된다(일반계좌의 2만 싱가포르 달러, 특별계좌의 4만 싱가포르 달 싱가포르에서 일하는 외국인의 경우 정부지원 의료보험 혜택을 받을 수 없고,

러를 초과한 적립액만 투자 자금으로 사용이 가능). 투자로 발생하는 수익은 세금이 회사측에서 민간보험료를 부담하거나, 개인이 별도로 가입해야 한다, 국내에서 해외

면제되며, 국민적립기금 투자제도(CPFIS)의 목적이 은퇴자금의 증식인 만큼 투자 수 장기체류보험을 가입하고 가는 것이 좋다, 현지에서 가입하는 것보다 보장내용을 확

익은 국민적립기금(CPF) 일반·특별계정에 재 납입되어야 한다. 단, 손해 발생 시 차 실히 알 수 있으며 보험사간 보험료 등을 비교하여 가입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더불

액을 납입할 필요는 없다. 최소 이자율이 보장되는 국민적립기금(CPF) 계정과는 달 어 사고 발생시 보상을 한국어로 안내 받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가입하는 방법은

리, 국민적립기금 투자제도(CPFIS)를 통한 투자는 최소 수익률이 보장되지 않는다. 다음과 같다.

◆ 보건의료
보험다모아(https://e-insmarket.or.kr/) 접속 → 여행자보험 → 유학생보험 → 각 보험
싱가포르 국민은 국민적립기금(CPF)의 의료계정인 메디세이브(MediSave)를
사 별로 해외 장기체류 상품을 제시하고 있으므로 개인 사정에 맞는 상품 가입
기반으로 국민적립기금(CPF)에서 운영하는 의료보험제도인 메디쉴드(MediShield)
등을 통해 의료비를 충당한다. 개인의 의료계정에는 최소금액(MediSave Minimum
Sum, MMS)을 유지해야 한다(2015년 기준 MMS 한도: 43,500 싱가포르 달러). 국
민적립기금(CPF) 가입자는 메디세이브에 적립된 금액으로 중증 및 장기 질환을 제
외한 모든 입원 및 외래진료 비용을 조달할 수 있다. 싱가포르 의료보험제도에서 ◆ 최소 유지금(MMS) 제도
는 과도한 의료비 지출을 억제하기 위해 일정액 전액 본인 부담금제(deductible)와
국민적립기금(CPF) 가입자는 55세가 되면 은퇴계정에 최소 유지금(MMS)을
본인 일부 부담금제(co-insurance)를 채택하고 있다. 즉, 1년 1회에 한해 일정금액
적립하고, 최소 유지금(MMS)을 제외한 금액에 한해 일시불 인출이 가능하다. 최
(deductible)을 본인이 부담하고, 이를 제외한 금액 중 일정 부분을 메디쉴드(80 ~
소 유지금(MSS) 제도는 노후자금으로 쓸 최소한의 금액 비축을 위해 도입되었으
90%)로, 그 외 일정 부분을 본인이 부담(co-insurance:10 ~ 20%)하는 것이다. 정
며, 도입 당시(1987년) 최소 유지금(MMS) 한도는 30,000 싱가포르 달러였으나, 이
부가 규정한 특별 치료 목록 외에는 최소 8시간 이상 입원이 요구되는 중증질환에
후 꾸준히 증가해 현재 161,000싱가포르 달러에 이르고 있다. 최소 유지금(MMS)은
만 인출이 가능하도록 규제하고 있다. 따라서 가벼운 질환에 대한 진료비는 개인이
80,000 싱가포르 달러(’03.7.1 이후 55세 생일을 맞는 자)에서 161,000 싱가포르 달
부담해야 하며, 정부는 이러한 방식으로 의료재정 안정화를 도모하고 있다. 또한, 인
러(’15.7.1일 이후 생일을 맞는 자)까지 연령대별로 다르다.
출 금액에도 상한선을 적용하고 있다. 입원 수술은 하루에 S$450까지, 통원 수술은
S$200 ~ S$300까지 공제가 가능하다. 중증 및 장기 질환으로 거액의 비용이 소요
최소 유지금(MMS)을 은퇴계정에 비축한 국민적립기금(CPF) 가입자는 수급 나
되는 진료비는 공공 의료 보험제도인 메디쉴드(MediShield)를 통해 충당할 수 있다.
이(Drawdown Age, DDA)부터 향후 20년까지 은퇴계정 저축액에서 매월 월 지급금
(monthly payout)을 수령하게 된다. 수급 연령은 출생 연도에 따라 다른데, 1943년
2002년에는 노년층의 장기 중증 질환을 커버하기 위한 엘더쉴드(ElderShield)
이전 출생자라면 60세부터 수령하며 1954년 이후 출생자라면 65세부터 수령한다.
를 도입하여 보험료는 메디세이브에서 인출 가능하다. 메디세이브는 40 ~ 64세까
지 가입할 수 있으며, 연간 보험료는 성별과 가입 연령에 따라 차등 적용하고 있다.

PART 1 PART 1
50 51
◆ CPF Life CPF Life 플랜 비교

싱가포르 국민들의 기대수명이 연장되면서 필요한 노후자금 액수가 늘어나자,


Life Standard Life Basic
정부는 2009년 최소 유지금(MMS) 제도를 종신연금 형태로 발전시킨 CPF Life를
도입하였다.
특징 연금 수령액 〉 유증액 연금 수령액 〈 유증액

CPF Life는 일종의 거치 연금으로 수급 연령부터 가입자가 생을 마감할 때까지


월 연금을 지급한다. 1958년 이후 출생한 시민·영주권 소지자는 55세가 되면 은퇴 55세가 되면 은퇴계정 적립액 중 소

계정에 적립된 저축액을 기반으로 CPF Life에 자동 가입하게 된다. 만약, 자동 가입 55세에 은퇴계정에 적립된 최소유 정의 금액을 CPF Life 보험료로 납부
1차 지금(MSS) 절반을 연금 보험료로 ※ 보험료는 연령대에 따라 다르며,
해당자가 아닌 경우에는 최소 유지금(MSS)을 이용해 수급 나이부터 향후 20년까지
보험료 1차 인출 2013년 55세가 되는 가입자의 경우
월 지급금을 수령하거나, 55세부터 80세 생일 한 달 전까지 CPF Life 가입을 선택할
지불 은퇴 계정의 10%를 보험료로 납부
수 있다. CPF Life 가입자는 원하는 월 연금 수령액과 유증액(bequest) 비율에 따라
방법
Life Standard플랜과 Life Basic플랜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수급 연령 도달 1 ~ 2개월 전 은퇴 수급 연령 도달 직전 그동안 은퇴계
2차 계정의 잔여금을 연금 보험료로 정에 새로 추가된 금액 중 일부를 2
2차 납부 차 연금 보험료로 납부

연금 수급 연령부터 90세까지 은퇴계정


수급 연령이 되면 연금기금(Lifelong
에서 월 지급금을 수령하고, 90세 이
수령 Income Fund)으로부터 사망 시까지
후부터는 사망 시까지 연금기금으
방법 월 연금 수령
로부터 월 연금 수령

PART 1 PART 1
52 53
2

PA R T
해외취업 전략

2.1 채용 트렌드 및 유망 직종 56

2.2 직종/직무별 취업 역량 및 전략 71

2.3 해외취업 사례 81

2.4 취업 전략 로드맵 93

2.5 싱가포르 주요 글로벌


기업 및 한국 진출기업 현황 97

PART 1
54
싱가포르 정부의 외국인 인력 제한 정책이 기업 측에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다는
2.1 채용 트렌드 및 유망 직종
의견이 기업 및 업계에서도 계속 나오고 있지만, 당분간 외국인 인력 제한 정책은 지
속될 것으로 예상된다. 코로나19로 인한 경기침체의 영향이 크게 작용했기 때문이다.
◆ 개요

가장 많은 외국인 취업 분야는 저임금분야(Work Permit)로 건설, 해양조선, 생 과거 싱가포르 리센룽 총리는 외국인 유입제한정책이 단지 대중들의 인기를 얻
산공정 및 가사 서비스 등의 직무가 여기에 해당된다. 각 업무 분야별 가능한 출신 국 기 위해서가 아닌 싱가포르 사회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시행되었음을 강조하기도
가와 연령 조건이 상이한 것이 특징이며, 해외취업을 위한 한국의 젊은이들은 일단 하였다. 싱가포르 내 공간, 경제발전, 사회 기반 시설, 국가의 수용 능력, 싱가포르인
고급 인력 비자(EP) 비자 취득을 1차 목표로 설정할 필요가 있다. 싱가포르의 외국인 들의 정체성 등 다양한 요인들을 고려하였을 때 외국인 유입제한이 싱가포르를 위한
근로자는 연간 130만 명 수준을 유지해 왔으나 최근 코로나19 사태로 인해 120만 명 최선의 정책이라고 판단하였다고 전하였다.
수준으로 낮아진 상황이다.
싱가포르 노동부(MOM)는 싱가포르인 채용을 기피한 회사 및 외국인 직원 수
가 현저히 높은 회사들을 조사하는 등 강력한 외국인 인력제한정책을 펼치고 있다.
이러한 행정부 수반의 입장 표명이나 노동부(MOM)의 정책 시행 이후 외국인 고용
싱가포르의 외국인 인력 취업 현황
이 급감하고 내국인 고용은 증가하고 있다. 싱가포르 통화청(Monetary Authority of

비자 종류 2016 2017 2018 2019 2020 2021


Singapore, MAS) 발표에 따르면 2014년 상반기 싱가포르 전체 일자리의 73%를 싱
가포르인들이 차지하였다고 한다. 이는 2011년 이후 최고 수준인데, 2011년 상반기
Employment Pass 192,300 187,700 185,800 193,700 177,100 166,900 싱가포르인이 차지한 일자리 비율은 31%에 불과했음을 고려하면 외국인의 고용이
어느 정도로 급감하였는지 알 수 있다. 통화청(MAS)은 외국인 고용제한 조치로 노동

S Pass 179,700 184,400 195,500 200,000 174,000 164,200 시장이 경직되면서 싱가포르인들의 취업률이 급격하게 상승하고 있으며, 이로 인하
여 향후 싱가포르 전체 임금수준도 인상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Work Permit (total) 992,700 965,200 972,600 999,000 848,200 834,300

Work Permit
(foreign domestic 239,700 246,800 253,800 261,800 247,400 245,600
workers)

Work Permit
(construction, marine 407,500 360,700 355,700 370,100 311,000 304,200
shipyard and process)

Other work passes 28,300 30,700 32,100 34,700 32,200 31,700

Total foreign
1,393,000 1,368,000 1,386,000 1,427,400 1,231,500 1,197,100
workforce

PART 2 PART 2
56 57
여러 정황 상의 제약으로 취업비자 발급이 엄격히 제한되고 있는 상황이라 한 실제 싱가포르 정부의 외국인 제한 및 자국인력 보호정책으로 인하여 직무경
국 대졸자들이 신입직원으로서 취업비자를 발급받기는 현실적으로 쉽지 않은 상황 력이 없으며 외국 국가에서 학위를 받은 대졸 신입의 취업은 어려운 실정이나 싱가
이다. 현지 인사컨설팅 업계에 의하면, 한국의 명문대를 졸업했어도 신입직원으로서 포르 주요 산업 내 고급 전문인력의 유입은 상대적으로 수월하게 진행되고 있다. 우
싱가포르 구직 시 EP 비자 클래스의 최소 연봉 조건인 3,300 싱가포르 달러로는 비 선, 한국에서 몇 년 간의 직무경험을 가진 경력자의 경우 싱가포르 내 한국 시장 관
자가 나오지 않는 상황이다. 최소 3,900 싱가포르 달러 이상의 연봉을 받는 경우에 련 비즈니스를 담당하는 직군(재무관리, 고객상담, 영업 등)에 취업하는 경향이 두드
비자 발급이 되고 있으나, 싱가포르 내 대졸자 초봉이 평균 2,500 ~ 3,500 싱가포르 러지게 나타나고 있다.
달러임을 감안하면 외국인 신입을 3,900 싱가포르 달러가 넘는 금액으로 고용하기
에는 기업 측에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어 사실상 외국인 고용이 쉽지 않은 상황이다. 또한, 자격증 및 다년간의 업무 경험이 요구되는 전문 기술직(IT, 금융, 조선해

최근 3,900 싱가포르 달러의 최소 연봉 기준이 4,500 싱가포르 달러로 상향 조정되 양 등)의 경우 관련 직무 경험을 인정받아 싱가포르 내 주요 포지션으로 이직하는 경

면서 취업비자 발급에 대한 정부의 규제 입장이 더욱 높아진 상황이다. 우도 다수 볼 수 있다.

해외 취업 알선 기관이나 대학들이 한국 대학생들을 인턴십 등의 명목으로 대


거 송출하면서 인턴십 후 싱가포르 기업 내 중간 포지션으로 이직이 수월하다고 잘
못된 정보를 안내하기도 한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고급인력으로의 취업(EP 비자 클
래스)은 쉽지 않은 것이 현실이다. 이에 저임금(WP 비자 클래스) 서비스직에 종사하
거나 한국으로 다시 돌아가는 현상도 나타나고 있다.

다만, 싱가포르 정부가 고급 외국인력을 영입하려는 노력을 중단한 것은 아니


다. 외국인 유치 정부기관인 컨택 싱가포르(Contact Singapore)에서는 외국인력을
영입하기 위한 유치활동을 꾸준히 지속하고 있다. 또한, Global Investor Program
과 같은 인센티브를 통해 싱가포르 투자가 및 기업가들을 유치하는 업무도 수행하
고 있다.

▶ 컨택 싱가포르( Contact Singapore ): 싱가포르 경제개발청( Economic


Development Board, EDB)과 노동부(MOM) 합작으로 1998에 세워진 외국인
인재유치 정부기관

▶ Global Investor Program: 투자금액 2백만 달러 이상의 외국인 투자자 및 기


업가 대상

PART 2 PART 2
58 59
◆ 코로나19 이후 외국인 취업 정책 변화1 ◆ 한국인 취업 수요

싱가포르는 자국민 실업률 증가를 최소화하기 위해 외국인 취업비자에 대한 자 한국어 가능 인력에 대한 수요는 주로 고객서비스, 회계, 영업 및 마케팅 등 서비
격요건을 강화하는 등 외국인 취업비자에 제한을 두기 시작했다. 싱가포르 역시 코 스 직종에서 발생한다고 싱가포르 내에서 한국인 채용을 주로 전담해온 헤드헌팅사
로나19로 인해 타격을 입었기 때문으로 볼 수 있다. 또한 2013년부터 시행해온 자국 들은 밝히고 있다. 이러한 수요는 다국적 기업 및 한국계 글로벌기업 모두에서 동일
민 우선 고용 정책*을 코로나19 이후 더욱 강화했다. 하게 나타난다고 한다. 특히, 한국에 투자결정 및 투자의사가 있는 다국적기업과 한
국과의 비즈니스 거래가 활발한 기업들에서 꾸준한 수요가 있다. 구글, 마이크로 소
* 외국인을 고용하기 위해 일정 수의 싱가포르 거주자(싱가포르 국적자 혹은 영주권
프트와 같은 글로벌 IT 기업들의 기술영업직 또는 콜센터 서비스직에 대한 수요가 대
자)를 의무 고용할 것을 규정
표적인 예이다. 연간 1,300만 명이 넘는 관광객의 수혜를 입고 있는 호텔 및 요식업
에서도 한국인 서비스 직원에 대한 수요를 매년 꾸준하게 보여왔다.

ƒ 2022년 채용시장의 트렌드 및 전망2


외국인 취업에 대한 제약으로 취업 수요 자체가 축소되고 있는 상황이지만, 한
첫 번째, 신규 채용의 꾸준한 증가이다. 포스트 코로나 시대를 맞이하여 경제회
국이 강점을 가지고 있는 IT, 경영서비스 및 문화예술 마케팅 등의 측면에서는 한국
복을 이루면서 기업들이 고용을 확대함에 따라 채용시장이 활발해졌다. 싱가포르 노
기업의 지속적인 해외 진출과 더불어 꾸준히 인력 수요가 발생하고 있는 영역이니
동부(MOM)의 2022년 1분기 노동시장 보고서에 따르면 싱가포르 일자리 수는 2021
싱가포르에 대해서 지나치게 부정적인 관점에서만 바라보지 않고 꾸준히 기회를 탐
년 12월 11만 7천 개에서 2022년 3월 기준 12만 8천 개로 증가했다. 노동부(MOM)
색하는 자세가 필요하다.
는 이러한 구인 일자리 수의 증가는 기업의 채용 수요 증가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하
지만 외국인 구직 후보자 풀은 정반대의 상황이다. 코로나19 시기에 외국인 대부분 한국 기업과의 비즈니스를 위하여 한국인 인력을 채용하는 경우 비즈니스 관점
은 본국으로 귀국하였기에 외국인 후보자 풀은 코로나19 이전에 비해 크게 감소하였 에서 유창한 한국어 외에도 한국의 기업 문화를 이해할 수 있는 직원이 필요하다. 사
다. 게다가 계속해서 강화되는 취업비자 조건들로 인해 인력 시장의 수요와 공급 불 실, 이를 갖추고 있는 내국인은 거의 없으며, 한국인 특유의 근면 성실함과 강한 책임
균형이 나타나고 있는 상황이다. 감 역시 한국인 근로자에 대한 좋은 평판으로 이어지고 있다. 한국어가 다른 외국 언

두 번째, 현재 싱가포르 채용시장은 candidate-driven 시장이 되었다. 경쟁력


있는 후보자의 경우 한 개 이상의 직장에서 오퍼를 동시에 받기도 하며, 후보자의 희
망 급여 상승폭 역시 코로나19 이전에 비해 높아졌다. 이직을 희망하는 후보자들 중
대다수가 현재 급여의 20% 상승을 기대하고 있는 상황이다.

마지막으로는 시민권자 또는 영주권자에 대한 인력 채용 선호도가 더욱 증가할


것이라는 점이다. 코로나19 이후에 싱가포르 정부에서 실시한 여러 자국민 고용장려
정책들로 인해서 기업에서 외국인을 채용하는 것이 까다로워졌고, 올해 9월에 EP와
SP 취업비자의 최소급여기준이 또 한번 상향됨에 따라 시민권자 또는 영주권자 인
력 채용 선호도가 더욱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1) 출처: KOTRA 해외시장뉴스(2022년 10월 13일). 김은빈. ‘2022년 싱가포르 노동시장 현황 및 주요 이슈’ 자료 기반 작성.

2) 출처: KOTRA 해외시장뉴스(2022년 10월 13일). 김은빈. ‘2022년 싱가포르 노동시장 현황 및 주요 이슈’ 자료 기반 작성.
PART 2 PART 2
60 61
어에 비해 짧은 시간 내에 숙련도를 높이기 어려운 외국어라는 점이 여기서는 장점 싱가포르 각 산업별 노동인구 부족이 심한 직종

으로 작용하기도 한다.
직종 부족인원 요구학력 직무경험

한편, 외국인 인재유치 정부기관인 컨택 싱가포르(Contact Singapore)에서 학사학위와


교육, 훈련전문가 1,600 필요없음
는 한국 인력에 관해 전자(electronics), 의료바이오(biomedical), 데이터 클라우드 전문교육 수료증

(data cloud) 분야로 취업할 것을 적극 장려하고 있다. 최근 메타버스와 자율주행 전 학사학위와


경영진 1,310 필요없음
기차 등 새로운 게임 체인저들의 등장으로 IT 중심의 전문인력이 전 세계적으로 품 전문교육 수료증

귀 현상이다. 학사학위와
상업 및 마케팅 경영진 1,070 전문가
전문교육 수료증

학사학위와
운영 담당자(운송 제외) 900 전문가
◆ 유망 산업 전문교육 수료증

영업 및 마케팅 관리자 670 전문학사 이상 전문가


싱가포르는 사회 및 개인서비스업(12,400명), 도매 및 소매업 (7,000명) 그리
고 숙박 및 요식업(6,200명)에서 인력부족이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싱가포르의 소프트웨어, 웹, 멀티미디어 개발자 640 전문학사 이상 전문가

인력부족의 가장 큰 원인으로는 서비스산업 발달에 따른 일자리 창출이 꼽힌다. 싱 시스템 분석가 510 전문학사 이상 전문가

가포르 고용청에 따르면 2015년 기준 서비스 분야에서만 4만 3천명의 인력이 부족 토목 엔지니어 510 전문학사 이상 필요없음

한 것으로 집계되었다. 기계공학 기술자 480 전문학사 이상 전문가

경영 및 비즈니스 컨설턴트 460 전문학사 이상 전문가


싱가포르는 경제규모에 비하여 인구가 적기 때문에 전 직종에 걸쳐 인력부족
웨이터 2,020 초등교육 이하 필요없음
현상이 있긴 하지만, 한국인 구직자가 서비스 및 생산/운송 분야에서 열악한 근무
보안요원 2,010 중등교육 필요없음
조건을 제공하는 업체에 취업하는 것은 주의할 필요가 있다. 상당수의 취업 알선업
접수원, 고객 서비스 & 안내요원 1,960 중등교육 필요없음
체가 이러한 싱가포르의 노동시장 현실을 알면서도 알선지원금 및 취업 성공 수수
료 등을 목적으로 무분별한 알선을 제공하기도 하는 만큼 구직자들의 주의가 필요 매장 판매요원 1,910 중등교육 필요없음

한 상황이다. 요리사 1,000 초등교육 이하 전문가

요식업 직원 960 초등교육 이하 필요없음


다음의 노동력 부족 직종은 2017년 기준 자료이긴 하나, 이후 싱가포르 산업구
일반 사무원 960 중등교육 일반적인 경력
조의 큰 변화가 없는 상황이기에 지금 상황에서도 일정 부분 참고가 가능하다. 코로
판매 관리자 590 중등교육 전문가
나19 사태 이후 글로벌 일자리 전반에서 나타나고 있는 변화 양상에 대해서는 전 세
선임 웨이터/웨이터 감독 550 중등교육 이하 해당분야 경력
계적인 관점에서 세심한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의료 보조(예: 치료 보조사) 490 중등교육 이상 필요없음

2017년 싱가포르 노동부(MOM)는 의료서비스업, 정보 통신 산업, 도매 무역업, 자재 및 화물 취급 작업자 760 초등교육 이하 필요없음

금융서비스업 및 전문 서비스업 5개의 산업분야를 취업 유망 산업으로 발표했다. 토목/건축 노동자 730 초등교육 이하 일반적인 경력

청소부 & 호텔 종업원 & 관련 시설 720 초등교육 이하 필요없음

대형 트럭, 로리 운전사 660 초등교육 이하 일반적인 경력

PART 2 PART 2
62 63
ƒ 도매 무역업
직종 부족인원 요구학력 직무경험

다른 업소 청소부(쇼핑몰, 학교, 병원, 싱가포르는 인도양과 태평양을 연결하는 지리적 이점으로 일찍이 중개 무역
630 초등교육 이하 필요없음
교회 등) 항으로 발전하면서 물류산업이 크게 발달했다. 싱가포르 도매 무역업은 2016년 싱
주방보조 600 초등교육 이하 필요없음 가포르 국내 GDP의 12%를 차지했으며 3만 4,000개 이상의 기업으로 구성, 32만
공개적인 장소 청소부(버스정류장, 수 5,000명 이상의 직원을 고용하고 있는데, 이는 2016년 싱가포르 인력의 9%를 차
500 초등교육 이하 필요없음
로, 길, 고속도로 등) 지한다.
산업장 청소부 430 초등교육 이하 필요없음
싱가포르 정부는 업계 전문가 및 무역 협회와 협력해 디지털 장터를 만들고 글
접시닦이 410 초등교육 이하 필요없음
로벌 플랫폼을 유치할 것이라 밝혔으며, 새로운 플랫폼의 등장과 디지털 기술 개발
전기 & 전자제품 기사 380 중등교육 이하 필요없음
로 B2B 전자 상거래 시장 규모는 2020년까지 6조 7,000억 달러에 달할 것으로 전
했다. 2017년 출시된 국가 거래 플랫폼(National Trade Platform, NTP)은 주요 무역
ƒ 의료서비스업 및 물류 이해 관계자 간의 디지털 데이터 교환을 가능하게 하는 원스톱 무역정보 플
랫폼으로 기업은 단일창구를 통해 통관 혜택을 누릴 수 있다. 말레이시아, 태국, 인도
싱가포르는 고령인구의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2020년까지 새로운 공공 의
네시아와 같은 아세안 국가의 물류업체와 협력하고 있으며, 약 500개의 현지화물 운
료 시설 6곳 및 노인 간호시설 등이 설립될 예정이며, 3만여명의 추가 인력 수요가 발
송업체 및 화주의 수요 역시 늘어날 전망이다.
생할 것으로 전망된다. 컨설팅 업체인 Frost & Sullivan에 따르면 싱가포르는 인구고
령화가 급속하게 진행 중이며, 그중 65%가 적어도 한 가지 이상의 만성질환을 갖고
있으며 2030년까지 5명 중 1명은 65세 이상이 될 것으로 예상했다. 이에 따라 의료
서비스업이 싱가포르에서 향후 주요 산업으로 부상할 것으로 전망된다. ƒ 전문 서비스

Doing Business 2017 보고서에 따르면 싱가포르는 사업하기에 가장 쉬운 국


가 2위로 선정됐다. 또한 진출 기업 중 44%가 싱가포르에 APAC 본부를 두고 있으며
ƒ 정보통신산업 신흥 다국적 기업의 대부분은 싱가포르를 성장의 발판으로 삼고 있다.

세계경제포럼(World Economic Forum)의 글로벌 정보기술 보고서 2016(The


경제개발청(EDB)은 싱가포르 진출 기업들에서 전문서비스 분야가 더 큰 역할
Global Information Technology Report 2016)에 따르면 싱가포르는 2016년 정보
을 맡게 되었다고 강조했는데, 이는 전문서비스가 아시아 성장 기회를 모색하는 데
통신 시스템 기반이 가장 발달한 나라 중 1위에 올랐으며, 이는 스마트네이션(SMART
필수적이기 때문이다. 이처럼 업계 전문가들의 지식을 바탕으로 팀을 보강하고 전문
Nation) 프로그램 등 싱가포르 정부가 보인 강력한 의지의 결과라고 밝혔다.
서비스업 성장을 촉진하는 전문 컨설팅 회사에 다양한 글로벌 역량을 가진 취업자들
이 문을 두드릴 것으로 예상된다.
2015년 싱가포르는 빅데이터, 고급 통신 및 전산 기술로 경제의 주요 부문에서
혁신을 촉구하고 미래 지향적인 인력개발계획인 Infocomm Media 2025를 발표했
다. 이를 바탕으로 정보통신 및 미디어 분야의 변화가 일어나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할
것으로 전망된다. 또한 클라우드 컴퓨팅, 빅데이터 및 분석, 사물인터넷(Internet of
Things, IoT), 미래 통신 기술, 사이버 보안, 인지 컴퓨팅 및 첨단 로봇 공학, 실감미디
어 등 7개 분야 기술이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전망된다.

PART 2 PART 2
64 65
ƒ 금융 서비스 ◆ 최신 채용 트렌드3
2017년 기준 싱가포르는 금융도시지수(Global Financial Centers Index)에서 2023년 1분기 기준 싱가포르 실업률은 1.8%로 2022년 4분기 2% 대비 0.2%
런던, 뉴욕, 홍콩에 이어 세계 4위를 차지했다. 싱가포르는 정부의 강한 추진력을 기 감소했다. 이처럼 총 고용이 늘어나며 노동시장의 긴장이 완화되고 있다. 다만, 글로
반으로 금융 중심지 정책을 지속 추진한 결과 128개의 상업은행을 보유하게 되었 벌 테크산업의 성장률 하락과 대규모 채용 축소 등 글로벌 변화에 따라 싱가포르의
다. 이 중 5개의 현지 은행을 제외한 나머지는 모두 외국은행으로 글로벌 은행의 시 고용시장에도 변화가 나타나고 있다. 싱가포르 고용시장의 현황을 살펴보면, 싱가포
장 진출이 활발히 이루어져 홍콩, 도쿄와 더불어 아시아의 대표적인 금융 허브로 자 르 노동부(MOM)는 ‘2023년 1분기 노동시장 사전 예측 통계’ 자료에서 거주자와 비
리잡고 있다. 거주자의 고용 증가율은 다소 둔화하였으나 실업률은 낮은 수준을 유지하며 노동시
장의 경색이 완화된 것으로 나타났다고 발표했다. 2023년 1분기 기준 전반적으로
글로벌 경기침체로 싱가포르 경제 성장률이 둔화되고 있음에도 금융 산업은
외국인 근로자의 고용이 높았으며 산업별로는 외국인 근로자의 의존도가 높은 건설
2009년 금융 위기 이후 여전히 높은 성장률을 보이고 있다. 최근 금융업계에서는 핀
업종에 특히 집중되었다. 실업률은 2023년 3월 기준 1.8%로 낮은 수준을 유지했다
테크(fintech) 시장 육성에 주력하고 있다. 실제로, 기술 발전으로 인해 싱가포르 주
(전체: 1.8%, 거주자: 2.5%, 시민: 2.7%). 1분기 동안 실업자 수는 2022년 4분기 6만
요 은행인 UOB, OCBC 및 DBS에서는 UX/UI 디자이너, 디지털 데이터 분석가 및 앱
7,100명에서 6만 1,500명으로 감소하였으며 그중 5만 4,900명이 시민권자로 나타
개발자 등 새로운 직책에 대한 수요를 보이고 있으며, 이러한 수요는 계속해서 증가
났다. 2023년 1분기 근로자 감원 수는 2022년 4분기 2,990건에서 1분기 4,000건
하는 추세에 있다. 이를 통해 싱가포르는 한 단계 더 발전한 smart financial center
으로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고 사전 추정되었다.
로 성장할 전망이다.

ƒ 싱가포르의 테크산업 고용시장4

싱가포르 노동부(MOM)의 최근 구인 공석 보고서(Job Vacancy 2022)에 따르


면, 테크산업의 저성장과 일자리 감소로 전 세계적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음에도 불
구하고 싱가포르 기업은 기술 인재를 적극적으로 유치하고자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싱가포르는 글로벌 테크 기업인 Google, Apple, Microsoft, Facebook, LinkedIn뿐
아니라 Workato, Switcheo Labs, Cover Genius, Kanda Software 등 기술 스타트
업도 유치해 동남아시아에서 가장 앞선 기술 생태계를 구축하고 있다. 싱가포르 국
제 비즈니스 대학원인 Aventis Graduate School Singapore의 발표 자료에 따르면
싱가포르는 수많은 다국적 기술 회사의 본거지이며 정부 기관, 벤처 캐피털 회사 및
인큐베이터의 강력한 지원을 받는 강력한 스타트업 생태계를 갖추고 있다. 이처럼 테
크산업의 생태계를 형성한 싱가포르에는 여러 글로벌 회사 외에도 신생 기업의 성장
을 촉진할 기술 인재가 지속적으로 필요하다. 노동부(MOM) 구인 공석 보고서에 따
르면 소프트웨어 엔지니어, 데이터 과학자 및 사이버 보안 전문가와 같은 기술 관련
직종은 싱가포르에서 채용률이 가장 높은 인기 있는 직종 중 하나이다.

3) 출처: KOTRA 해외시장뉴스(2023년 6월 27일). 안재은. ‘2023년 싱가포르 최근 채용시장 트렌드’ 자료 기반 작성.

4) 출처: KOTRA 해외시장뉴스(2023년 6월 27일). 안재은. ‘2023년 싱가포르 최근 채용시장 트렌드’ 자료 기반 작성.
PART 2 PART 2
66 67
채용회사 Randstad의 아시아 태평양 채용 전무 이사인 Jaya Dass는 글로벌 Recruiters Ambition의 기술 이사인 Michael Nette에 따르면 싱가포르 은행은
테크 회사들에서 최근 불어온 변화의 바람이 다른 기업에서는 오히려 인재를 채용 애플리케이션과 서비스를 빠른 속도로 제공할 수 있도록 DevOps(데브옵스) 프로세
할 기회로 작용하기도 했다고 언급했다. 더불어 싱가포르 테크산업 관련 협회인 SG 스와 도구를 통합함으로써 효율성을 개선하고 비용을 줄이며 복제 작업을 절약하고
Tech의 Wong Wai Meng 회장은 많은 기업들이 양질의 구직자를 만나볼 수 있을 것 있다. 그러나 DevOps에 능숙한 인원이 많지 않기 때문에 Python, Go 및 Ruby를 포
이라고 언급했다. 함한 스크립팅 언어와 자동화 기술을 갖춘 인재에 대한 수요가 높다.

싱가포르 노동부(MOM)의 직군 분류에 따르면 테크산업 종사자들은 전문, 관 Aventis Graduate School Singapore 발표 자료에 따르면, 싱가포르에서 기
리, 임원 및 기술직(professional, manager, executive, technician, PMET)에 해당 술 일자리를 찾고 있다면 ‘기술 전문성’을 키우는 것이 우선이다. 점점 더 많은 고용
한다. 전문, 관리, 임원 및 기술직(PMET) 중 하나인 기술 직종에는 2022년 높은 채용 주가 기술 솔루션을 통해 경쟁 업체보다 앞서 나가기를 원하므로 구직자가 정기적
수요의 영향으로 소프트웨어, 웹 및 멀티미디어 개발자가 포함되었다. 싱가포르 노 으로 기술을 업그레이드하는 것이 중요하다. 관련 과정이나 교육 프로그램을 찾는
동부(MOM)에 따르면 2022년 기준 구인 일자리 수가 가장 많았던 전문, 관리, 임원 것, 업계에서 직업 관련성과 경쟁력을 유지하는 것도 방법이다. 또한, 이력서에 본인
및 기술직(PMET) 직종은 관리 임원이었으며, 그 뒤를 이어 소프트웨어 및 애플리케 의 경험이 명확하게 반영되어 있는지 확인하고 지원하는 직책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이션 관리자, 시스템 분석가 직종의 수요가 많았던 것으로 나타났다. 높은 수준의 월 모든 관련 기술을 나열해야 한다. 취득한 관련 인증이나 완료한 프로젝트를 이력서
급과 혜택이 전제되는 만큼, 기술 전문가에게는 최신 트렌드와 기술 보유가 요구된 에 포함하여 현재 트렌드와 기술을 보유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것도 중요하다. 마지
다. 싱가포르 정부는 재직자의 기술 역량 향상을 위해 이니셔티브를 수립하기도 했 막으로 전문 네트워킹을 활용하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다. 새로운 과정, 취업 이벤트,
다. 지속적인 학습과 기술 향상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인력의 평생 학습을 지원하기 세미나 또는 컨퍼런스에 참석하면 다양한 사람들을 만날 수 있고, 취업 기회와 관련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있다. 데이터 과학 및 AI 대학원 디플로마, 데이터 하여 더 나은 방향을 제시할 수 있는 잠재적인 고용주 또는 동료와 아이디어를 공유
분석 석사, 사이버 보안 석사, ESG 및 지속 가능성 대학원 디플로마 등 여러 과정을 할 기회를 찾을 수 있다.
개설해 두어 전문가가 기술과 지식을 향상시키도록 도움을 제공하고 있으며, 싱가포
르 내에서 외국인도 입학하여 학업이 가능하다. 지속적인 학습과 기술 향상에 대한
이러한 노력 덕택에 싱가포르는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경력을 개발할 기회를 찾는 기
술 인재에게 매력적인 곳일 수밖에 없다.

ƒ 테크산업 취업 준비5

노동부(MOM) 구인 공석 보고서에 따르면 가장 수요가 많은 테크직종으로는 ‘


디지털 변환 및 자동화,’ ‘제조 및 엔지니어링,’ ‘데이터 분석,’ ‘데이터 과학 및 인공지
능,’ ‘사이버 보안,’ ‘금융 및 핀테크,’ ‘헬스테크’가 언급되었다. 이러한 분야에는 소프
트웨어 엔지니어, 데이터 과학자, 프론트엔드 개발자, UX 디자이너 및 DevOps 엔지
니어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기술이 필요하고, 다른 역할에 비해 높은 급여를 요구한
다고 발표했다. 또한 이러한 직무 중 일부는 사이버 보안, 의료 또는 금융과 같은 특
정 영역에 대한 더 깊은 이해가 필요하다.

5) 출처: KOTRA 해외시장뉴스(2023년 6월 27일). 안재은. ‘2023년 싱가포르 최근 채용시장 트렌드’ 자료 기반 작성.
PART 2 PART 2
68 69
2.2 직종/직무별 취업 역량 및 전략
다음은 고용노동부와 한국산업인력공단에서 제시하는 유망직종군에 대한 정
보이다. 유망직종군에서의 산업현황을 세부적으로 제시하고, 전 산업에 걸친 신입
및 경력직 채용 트렌드와 구직자에 요구되는 역량을 살펴보았다.

◆ 서비스ㆍ경영ㆍ마케팅

한국인 구직자를 대상으로 조사한 싱가포르 취업 현황에 따르면, 직종별로는 사


무직과 서비스업 직종으로의 진출이 70.3%(1,331명)로 절대 다수를 차지하고 있다(
한국산업인력공단 연수 및 알선 취업자 기준). 싱가포르 취업자 대부분이 호텔 및 판
매 등 취업이 용이한 특정 분야에 집중되어 있다는 데 유의해야 한다. 싱가포르의 외
국인 고용정책 변화로 인하여 보다 우수한 인력이 싱가포르 미래 육성사업으로 취업
할 수 있도록 장려해야 하는 시점인 것이다. 또한, 호텔과 판매를 포함하여 식음료 및
관광 분야의 많은 서비스업 직종에서 열악한 근무조건을 제공하고 있다는 점을 구직
자들은 유념해 두어야 있다. 그에 반해 경영 서비스의 경우 급여조건이 상대적으로
나은 편이므로 취업을 고려해 보는 것을 추천한다. 특히 싱가포르에 진출해 있는 한
국 기업의 현지 법인 또는 지사의 경우 국내 취업자 수준의 연봉을 제공하기에 비자
취득 등의 측면에서 상당히 유리하다.

호텔 서비스 직무의 경우 상대적으로 급여 조건 등이 다소 불확실하거나 취업


면접 이후 이러한 조건을 통보하는 경우가 상당히 많다. 전반적으로 서비스 직무의
처우 조건이 타 직종에 비해 높지 않다는 점을 고려해야 한다.

하지만 싱가포르 호텔 직종 취업은 경력 개발을 위해서는 도전해볼 가치가 있


다. 세계 유수의 호텔에서 근무한 경력을 바탕으로 국내 혹은 해외 메이저 호텔로 이
직하는 것이 용이하기 때문이다. 물론, 최대 1,800 싱가포르 달러 정도인 저임금으로
인하여 생활비를 충당하는 데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 호텔 직종의 경우 한국은 물론
이고 세계적으로 낮은 임금을 지급한다는 점을 감안해야 한다.

한국의 전문대를 졸업하고 현지에서 1,800 싱가포르 달러를 받으며 일하고 있는


한국인 취업자를 인터뷰한 결과, 개인에 따라 다르겠지만 이 정도의 임금수준도 생

PART 2 PART 2
70 71
활하기 불가능한 정도는 아니라고 한다. 경력 개발로 인한 향후 발전가능성을 감안하 르 스타트업 창업자들은 보조금 조건과 펀딩 조건을 충족하는 것이 쉽지 않다고 답
면 호텔리어를 꿈꾸는 구직자들에게 상당히 매력적인 취업 기회일 수 있다고 전했다. 변하였다. 일부 보조금의 경우 정산 후에 자금을 지원받을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기
때문에 많은 재원 투입이 필요한 초기 사업 개발 단계에서는 이를 활용하기 어렵다
는 것이다.

◆ IT 관련 스타트업 ‘펀딩’에 대한 주요 플레이어들의 입장 또한 상이하다. 스타트업의 입장에서는

싱가포르는 ‘동남아시아의 실리콘밸리’라고 불릴 만큼 글로벌 스타트업 및 이 투자자들이 자사의 기술 가치를 알아보지 못한다고 생각하는 반면, 벤처캐피털 투자

노베이션 테스트베드 생태계가 잘 갖춰져 있다. 매년 국제경영개발원(International 자들은 스타트업 기술이 차별성을 갖고 있지 않아서 투자를 하기가 어렵다고 주장한

Institute for Management Development, IMD)에서 발표하는 ‘세계경쟁력지수’에 다. 이러한 의견 차이는 딥테크 분야에서 특히 두드러진다. 딥테크 기술의 경우, 실증

서 싱가포르는 2017년부터 2021년까지 꾸준히 Top 5에 들었으며, 2021년에는 전 이 없고 장기간의 연구가 필요하므로 수익을 창출할 때까지 사업을 유지하는 데 큰

세계 경제성장률 1위 국가로 선정되었다. 싱가포르는 동남아시아의 중심지로, 자본· 리스크가 따른다. 싱가포르 딥테크 생태계를 관리하고 있는 SG Innovate에 따르면

인재·파트너 네트워크가 집중되어 있기 때문에 비즈니스 네트워크를 확보할 수 있는 딥테크 솔루션은 제품 출시까지 약 10년의 준비기간이 소요된다. 벤처캐피탈 펀드의

허브로 인식되고 있다. 평균 존속기간보다 오랜 시간이 걸리는 셈이다. 이러한 현실적인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싱가포르 기업청(Enterprise Singapore, ESG)은 투자자 및 액셀러레이터와 협
업하여 다양한 프로그램을 시행하고 있다.

ƒ 싱가포르 스타트업이 겪는 현실적인 문제 Top 3 ƒ Startup SG Founder: 벤처캐피털 투자사를 Accredited Mentor Partners(
인증된 멘토 파트너)로 섭외, 최초 창업자에게 사업 개발, 컨설팅, 공용 오피
싱가포르는 아시아 최고의 스타트업 생태계를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스 입주, 피칭, 펀드레이징 등을 지원한다.
있으나 현실적인 문제도 존재한다. 2021년 10월 싱가포르 스타트업 생태계 관련
대표적인 협회인 Action Community for Entrepreneurship (ACE)와 컨설팅사 ƒ Startup SG Accelerator: 스케일업 및 해외진출을 목표로 둔 스타트업의
PricewaterhouseCoopers Singapore (PwC)의 Venture Hub이 공동으로 실시한 경우, 정부에서 액셀러레이터와 협업하여 자금, 창업, 운영관리 등의 멘토
설문조사에 따르면, 스타트업 창업자들은 ‘펀딩 부족’을 스타트업의 가장 큰 애로사 쉽을 제공하고 있다.
항으로 꼽았으며 ‘전문 인재 공급의 부족,’ ‘높은 국내외 시장 진입장벽’이 각각 2, 3
ƒ Startup SG Tech: 혁신 기술의 상업화를 가속화하기 위하여 실증(proof-
위를 기록했다.
of-concept) 및 가치 검증(proof-of-value)을 지원해주는 보조금 제도이다.
▶ 문제 1: 펀딩 부족을 가장 큰 애로사항으로 응답
ƒ Startup SG Equity: 스타트업에 대한 투자 활동을 촉진하기 위해 싱가포르
싱가포르 이노베이션 정책 컨설팅 및 연구소 Startup Genome의 조사에 의하 정부가 투자자들과 함께 공동 투자자로 나선다. 일반 테크 기반 스타트업 외
면, 싱가포르는 글로벌 펀딩 생태계 부문에서 세계 10위를 기록했다. 또한 싱가포르 에도 첨단 제조, 팜비오, 메드테크, 애그리테크 기술에 초점을 둔 초기 단계
에는 220개사가 넘는 투자사와 약 200개사의 액셀러레이터가 스타트업 관련 활동 싱가포르 딥테크 스타트업 투자유치를 지원한다.
을 하고 있으며, 튼튼한 스타트업 생태계를 기반으로 시드 & 시리즈A 펀딩 단계에서 참고로, Startup SG Equity 제도의 경우 싱가포르 투자자가 일반 테크 스타트
글로벌 평균에 비해 높은 수치를 보이고 있다. 업에 투자를 하게 되면 첫 25만 싱가포르 달러에 대해 투자사는 30%, 싱가포르 정
부는 70%를 공동 투자한다. 25만 싱가포르 달러를 초과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각각
이처럼 싱가포르는 우수한 스타트업 생태계를 구축해왔지만 현장에서는 여전
50%를 투자한다(200만 싱가포르 달러까지). 반면, 딥테크 스타트업 투자의 경우 첫
히 투자유치가 어렵다는 의견이 있다. ACE와 PwC가 실시한 설문조사에서 싱가포
50만 싱가포르 달러에 대하여 투자사는 30%, 싱가포르 정부는 70%를 공동 투자한
PART 2 PART 2
72 73
다. 50만 싱가포르 달러를 초과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각각 50%를, 400만 싱가포 출에 큰 타격을 입었다. 스타트업의 경우 파트너와 스킨십을 하면서 네트워크를 만
르 달러 초과 구간에서는 투자사는 70%, 싱가포르 정부에서 30%를 공동 투자한다 들어가는 것이 중요하기 때문이다. 다행히 싱가포르 정부에서 2022년 4월 26일부
(800만 싱가포르 달러까지). 터 방역 제한을 풀기 시작하면서 해외 출장이 가능해졌다. 앞으로 스타트업에서 해
외 사업을 더 원활히 진행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 문제 2: 전문 인재 확보의 어려움
싱가포르 정부는 ‘Accreditation@SGD’라는 프로그램을 통해 혁신적인 기술을
ACE와 PwC에서 실시한 인터뷰에 의하면 스타트업 창업자들은 데이터 사이언
보유하고 있거나 폭발적인 성장을 보이는 스타트업 및 중소기업을 발굴하고 이들의
티스트, 소프트웨어 엔지니어, 프로덕트 스페셜리스트 등 전문적인 인재 확보에 어
국내외 판로개척을 지원하고 있다. 해당 프로그램에 선정된 스타트업은 싱가포르 공
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구인 구직 에이전시 Persolkelly에서 발표
공 프로젝트 발주 시 공개 입찰(tender) 과정을 밟지 않아도 되며, 정부의 추천을 받
한 조사 결과와 같다.
을 수 있어 시장에 보다 수월하게 진입할 수 있다. 이러한 프로젝트 실적은 이후 해외
진출 시 레퍼런스로 활용할 수 있다.
전문 인재 확보가 어려운 이유로 싱가포르 대학교에 관련 교육 및 프로그램이
부족하다는 의견이 있으며 까다로운 워크비자 신청 조건으로 적기에 우수한 구직자
이외에도 싱가포르 통상산업부(MTI)는 싱가포르 기업이 잘 성장할 수 있는 환
를 놓쳐 사업 계획이 늦춰졌다는 피드백도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경을 구축하기 위해 민관 협력 위원회(Pro-Enterprise Panel, PEP)를 구성하였다. 해
싱가포르 정부는 아래와 같이 다양한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당 위원회는 민간단체와 정부가 협업하며 규제 관련 우려가 있으면 그에 맞는 조치
ƒ SkillsFuture 제도: ‘SkillsFuture’는 25세 이상의 싱가포르 시민권자에게 방법을 제안, 개선하는 역할을 한다. 현재까지 2,000건이 넘는 제안을 받았으며 실
500싱가포르 달러의 지원금을 주고 기술을 배우도록 독려하는 프로그램 질적으로 규제 변경을 가져온 건은 1,000여 건에 달한다고 한다.
이다. 40세 이상의 싱가포르 시민권자 또는 영주권 소유자는 ‘Mid-Career
Enhanced Subsidy’를 통해 금전적인 지원을 받을 수 있다. 싱가포르 정부
는 ‘SkillsFuture’를 통해 싱가포르 거주자들의 기술 지식과 관련 역량을 향
상하여 변화하는 산업 니즈에 부합하는 노동력을 공급하고자 한다.

ƒ 주요 대기업과 산학협력으로 전문 인재 창출: 아울러, 싱가포르는 산학협


력을 통해 미래 인재 양성에 힘쓰고 있다. IBM, Rolls Royce, Keppel 등 대
기업과의 인턴십 프로그램을 통해 인공지능(AI), 바이오테크, 블록체인, 데
이터 분석, 로보틱스 등 미래 산업 인재를 양성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ƒ Tech.Pass 비자 제도: 외부에서 기술력이 높은 노동력을 유치하기 위한 일


종의 비자(Pass) 사업이다. ‘Tech.Pass’는 외국인 테크 기반 창업자 및 전문
가가 그 가족과 함께 싱가포르로 동행 및 정착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다.

▶ 문제 3: 국내외 고객 접근성

싱가포르는 인구가 540만 명 정도인 섬나라이다. 적은 인구와 제한적인 내수시


장 규모 때문에 싱가포르 스타트업은 해외 시장에 의존하게 되며 외부의 영향을 많
이 받는다. 게다가 코로나19로 대면 네트워크 기회가 줄어들면서 스타트업은 해외진
PART 2 PART 2
74 75
새롭고 혁신적인 제품과 서비스 그리고 비즈니스 모델을 가진 스타트업의 경우
에 규제 관련 어려움을 느낀다면 민관 협력 위원회(PEP)의 ACE(Action Community ƒ 체
 크포인트: 스타트업을 위한 싱가포르 정부의 보조금 제도와 싱가포르 공공
for Entrepreneurship)를 만나서 함께 고민하고 솔루션을 찾아볼 수 있다. 기관 사이트

싱가포르 진출 시 참고사항6 보조금, 라이센스 세금 혜택 등 관련 정보는 아래 사이트에서 확인 가능

▶ Startup SG Grants
싱가포르에 진출하고자 하는 스타트업의 경우, 싱가포르에 법인을 설립하고 정 à Startup SG Founder: https://www.startupsg.gov.sg/programmes/4894/startup-
착하는 것이 시작점이 될 수 있다. 싱가포르에 법인이 있을 경우, 싱가포르 정부에서 sg-founder
제공하는 여러 혜택을 받을 수 있기 때문이다. à Startup SG Tech:https://www.startupsg.gov.sg/programmes/4897/startup-sg-
tech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KOTRA) 싱가포르 무역관이 개별적으로 접촉한 현지 ▶ LEAD International Fairs & Missions (LEAD FM)
관계자들 또한 싱가포르 진출의 기본은 현지 법인 설립이라고 입을 모았다. 싱가포 à https://www.imda.gov.sg/disg/Programmes/2019/10/LEAD-IFM

르에서 활발히 활동하고 있는 Golden Gate Ventures의 Angela Toy는 해외진출을 ▶ Market Readiness Assistance Grants
희망하는 스타트업들이 타깃시장에서 직접 활동하면서 사업을 추진하는 것을 추천 à https://www.enterprisesg.gov.sg/financial-assistance/grants/for-local-
companies/market-readiness-assistance-grant
한다고 조언하였다.
▶ Double Tax Deduction for Internationalisation (DTDi)
싱가포르 해외법인 설립 시 비용, 직원 채용, 사무실 공간 등에 대한 지원이 필 à https://www.enterprisesg.gov.sg/financial-assistance/tax-incentives/tax-
incentives/double-tax-deduction-for-internationalisation
요할 경우에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KOTRA)에서 운영하고 있는 지사화 사업, 민간
※ 지원자격: 제도마다 조금씩 다를 수 있지만 전반적으로 싱가포르 정부에서 제공하
컨설팅사 또는 싱가포르 K-Startup Center (KSC)와 Korea IT Cooperation Center
는 혜택을 누리려면 싱가포르에 정착할 계획이 있어야 하며, 법인 회사 외에 사업 활
Singapore (KICC)에 문의하면 관련 안내를 받을 수 있다.
동도 해야 함

도움이 될 만한 싱가포르 공공기관 및 디지털 서비스

▶ Economic Development Board (EDB): https://www.edb.gov.sg/en/about-edb/


who-we-are.html
싱가포르 통상산업부(MTI) 산하 기관으로, 싱가포르의 비즈니스·혁신 환경·인재
양성 전략을 세우는 역할

▶ Enterprise Singapore (ESG): https://www.enterprisesg.gov.sg/about-us/overview


싱가포르 기업의 기술 역량 강화, 기술 혁신
그리고 글로벌화를 주도하는 역할

▶ Infocomm Media Development Authority (IMDA):


https://www.imda.gov.sg/Who-We-Are
인포컴 및 미디어 산업의 발달과 규제를 담당하며,
관련 기술 혁신 그리고 기업 성장을 지원

출처: KOTRA 해외시장뉴스(2022년 7월 19일). Ong Li Huang. ‘최근 싱가포르 스타트업의 생태계 이해’
6) 출처: KOTRA 해외시장뉴스(2022년 7월 19일). Ong Li Huang. ‘최근 싱가포르 스타트업의 생태계 이해’ 자료 기반 작성. 자료 기반 작성.
PART 2 PART 2
76 77
◆ 금융ㆍ회계

글로벌 경기침체로 싱가포르 대부분의 산업군의 성장률이 둔화되고 있는 와중


에도 금융산업은 가장 높은 성장률을 보이며 선전하고 있다. 싱가포르가 세계에서
대표적인 금융허브 중 하나로 탄탄히 자리매김한 만큼 앞으로도 지속적인 성장세를
보일 것으로 전망된다. 특히, 싱가포르는 2015년 6월 29일 공식 출범한 아시아 인프
라 투자은행(Asian Infrastructure Investment Bank, AIIB), 2015년 12월 31일 출범
한 아세안경제공동체(ASEAN Economic Community, AEC) 등 대규모 다자간 경제
협력체에 적극적으로 참여해 왔는데, 이로써 금융 허브로서의 싱가포르의 중요도는
더욱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

현재 아시아의 대표적인 금융허브 중 하나인 싱가포르에는 약 200여 개의 글로


벌 금융기관이 진출해 있다. 금융 및 회계분야에 대한 싱가포르 현지 구직자들의 선
호도가 높고 싱가포르 현지 기업들 또한 자국민에 대한 선호도가 높아 한국인이 취
업하기에 어려운 것이 사실이다(싱가포르 3개 명문대학 출신의 구직자가 50% 이상
신입직과 경력직에 채용). 하지만, 한국시장을 담당하는 재무 및 회계(유럽회계기준)
관련 직위에 한국인을 채용하려는 수요가 확실히 존재하고 전문지식이 있는 경력 직
원에 대한 수요도 매우 높아서 자격 조건을 갖춘 한국인 구직자들에게 여전히 많은
취업의 기회가 존재한다. 특히, 높은 수준의 영어 능력을 갖춘 신입 및 중하위 관리직
의 경우 한국인 구직자의 취업가능성이 상당히 높다.

◆ 엔지니어

IT산업에서는 물론 화학산업과 건설산업에서도 엔지니어에 대한 수요는 매


우 높다. 싱가포르는 BASF, Exxon Mobil, Lanxess, Mitsui Chemicals, Shell and
Sumitomo Chemicals 등 글로벌 유수 기업들을 주롱섬 지역에 성공적으로 유치
해 왔다. 건설업에서도 창이 국제공항 Terminal 4확장 공사 등 항공 유지 보수 운영
(Maintenance Repair Operation, MRO) 산업이 지속 성장할 것으로 예상되면서(
약 100여 개 MRO 관련 기업, 아시아 시장의 25% 차지), 엔지니어에 대한 수요가 높
은 상황이다. 엔지니어링을 전공한 경우라면 싱가포르를 훌륭한 취업 후보지로서 검
토해볼 수 있다.

PART 2 PART 2
78 79
2.3 해외취업 사례

◆ 일반적 채용 프로세스

싱가포르에서는 외국인/현지인 및 다양한 직종 그리고 신입직/경력직과 상관


없이 상당히 유사한 채용 절차를 거친다. 우선 채용의 전반적인 절차는 아래에서 소
개하는 바와 같다.

1) 지원하기

▶ 직접지원: 구직자 본인이 LinkedIn, 전문 구직 웹사이트, 기타 취업관련 정보를 바


탕으로 직접 자신을 소개하고 이력서를 송부.

▶ 취업 에이전시: 취업정보를 가진 알선 업체에 연락하고 알선 담당자(agent)와 면접


을 보면 알선업체가 구직자와 적합한 일자리를 찾고 지원하는 일을 대행.

2) 짧게는 며칠에서 길게는 몇 주 후에 면접 일정을 조정하기 위하여 연락을 받음.

3) 1차 면접은 회사 인사 담당자(HR이라고 부름)와 하는데, 경우에 따라서는 1차 면접


전이나 1차 면접과 함께 구직자의 인성/적성 검사를 실시하는 경우도 있음.

4) 2차 면접은 함께 업무를 수행하게 될 실무자(직장동료 및 상사)들과 진행함.

5) 3차 면접은 임원진들과 인터뷰를 진행.

6) 채용이 결정되면 비자발급 프로세스를 진행하고 이 과정에서 신체검사도 수행


함(신체검사는 한국에서 처럼 회사에서 요구하는 것이 아니라 비자발급 과정에
서 요구됨).

최근 가장 중요하게 고려해야 할 사항은 대부분의 면접이 비대면 화상회의 방식


으로 진행된다는 것이다. 구글미팅이나 Zoom과 같은 프로그램을 사용하게 되는데,
이러한 프로그램의 조작에 어려움을 겪는 경우 원활한 인터뷰 진행이 이루어지지 않
아 예상치 못한 감점이 발생하기도 한다. 화상면접에 생소할 수 있기 때문에 사전에
여러 차례의 모의면접을 통해 익숙해질 필요가 있다.

PART 2 PART 2
80 81
◆ 신입직 및 경력직 채용 관련 유의사항 그렇지만 싱가포르에서도 입사지원 시 제출하는 이력서는 직무 관련 역량이나
경력을 중심으로 작성해야 하는데, 지원자가 과거에 무엇을 하였고 무엇을 할 수 있
ƒ 신입직
는지 명확히 보여주는 동시에 관련 경력을 2 ~ 3페이지에 걸쳐 제시할 수 있어야 한
싱가포르에서 신입직에 지원하는 한국인 구직자가 우선 기억해야 하는 점은 외 다. 이력서의 양식은 간략히 개인정보를 나열하는 식으로 작성하기보다는, 지원자의
국인의 취업이 2013년 이후 매우 어려워졌다는 것이다. 싱가포르도 세계적인 경제 역량과 경력을 채용담당자 혹은 면접위원이 명확히 이해할 수 있도록 몇 줄에 걸쳐
불황의 영향을 받고 있는데, 싱가포르 현지인들이 양질의 일자리에 취업하는 일이 자세히 설명하는 것을 권장한다. 자신에 대한 전반적인 소개를 하는 커버레터(Cover
어려워지고 중국계 자본과 인력이 싱가포르에 유입되면서 부동산 가격이 폭등하는 Letter)는 있다면 좋겠지만 일반적으로 필수 사항이 아니다.
등의 이유로 외국인에 대한 반감이 고조되면서 싱가포르 현지인을 위한 여러 가지
정책들이 시행되고 있다. 고용정책도 마찬가지로 외국인의 채용이 꼭 필요한 경우가 싱가포르에서는 신입으로 취업 시 면접이 절대적으로 중요하다. 때문에 한국인

아니라면 장려하지 않고, 싱가포르 현지인들을 우선 채용하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구직자라도 싱가포르 현지에서 면접관과 만나는 경우에 취업 가능성이 대단히 높아

싱가포르에 취업을 계획하는 구직자는 국내에서 1 ~ 2년의 경력을 쌓고 경력직으로 진다. 면접 시 구직자에게 궁금한 것은 당장 업무를 수행하는 데 필요한 지식이나 역

지원하는 것이 훨씬 용이할 수 있다. 량이 아니다. 오히려 구직자가 얼마나 잘 배우고 열심히 일할 수 있는 자질을 갖추고
있는지, 다른 직원들과 잘 지낼 수 있을지에 더 높은 관심이 있다. 또한, 한국인 구직
자의 경우에는 영어 구사력에 대한 평가가 이루어지기도 한다. 한국과 마찬가지로
잠재력과 호감이 느껴지고 원만하며 의사소통이 잘 되는 구직자가 채용된다고 생각
▶ 싱가포르 취업에 필요한 영어구사 수준 하면 된다.

싱가포르의 공용어가 영어이므로 싱가포르에서 일하기 위해서는 영어구사능력


수준이 반드시 높아야 한다. 하지만 한국에서 태어나고 성장하여 대학을 졸업한 이
후 단시간의 준비를 거쳐 취업에 성공한 구직자들에 따르면, 영어가 중요하고 영어
를 잘해야 하는 것은 맞지만 너무 두려워할 필요는 없다. 직종이나 직위에 따라 다 ƒ 체크포인트: 구직 과정에서의 주의사항
르지만, 원어민 수준의 영어구사능력이 필요한 것은 아니고 의사소통에 무리가 없 이력서 작성이나 면접 중에(이후 취업비자 신청 시에도) 절대로 거짓 정보를 제공
는 정도라면 직장생활이 가능하다. 영어 쓰기와 관련해서는 이메일을 쓰는 데 큰 무 해서는 안 됨

리가 없는 정도면 되니 한국에서 10여 년에 걸쳐 열심히 영어를 학습해온 구직자라 ▶ 거짓 정보로 우선은 채용이나 비자발급에 성공할 수 있지만, 결국 회사와 정부의
면 도전해볼 만하다. 전문 감사팀이 구직자가 제공한 모든 정보를 조사(background check)하고 확인하
기 때문에 분명히 적발된다는 점을 명심해야 함

▶ 한국 내 일부 해외취업 알선업체에서는 알선 성공률을 높이기 위하여 어느 정도


거짓정보를 제공하는 것은 큰 문제가 되지 않는다고 조언하거나 오히려 이러한 부
▶ 이력서 작성과 면접 정행위를 부추기기도 하는데, 절대 이러한 말에 현혹되어서는 안 됨

싱가포르에서 신입직원을 채용할 때에는 일반적으로 높은 직무역량이나 많은 경


력을 요구하지 않는다. 신입직원이 회사에 취직하여 직무역량을 쌓으며 경력을 개
▶ 채용계약 내용과 유의사항
발하고 이러한 경력을 바탕으로 더 좋은 조건으로 경력직 이직을 하는 것이 일반적
이다. 싱가포르에서는 한국과 같은 대규모 채용은 없고 수시로 필요한 인력을 채용한
다. 대규모 신입직원 공채는 사실상 한국에만 남은 관행이다. 이런 이유로 채용 계약

PART 2 PART 2
82 83
도 개인별로 이루어지고 내용도 개인별로 달라진다. 그러므로 싱가포르에서 채용 계 현지 채용 컨설턴트에 따르면, 경력직 역시 채용 과정과 주의 사항이 앞서 언급
약을 하기 전에는 계약서를 꼼꼼히 읽어보고 다양한 계약 조건들을 요구·협상하고 변 한 신입직의 경우와 대부분 비슷하다. 1 ~ 2년의 경력을 중소기업에서 쌓으면 경력직
경하는 일이 반드시 필요하다. 지원의 최소 요건을 충족할 수 있다. 경력직으로 취업하고자 할 때 주의할 점은 인턴
이나 아르바이트 경력은 제대로 된 경력으로 간주하지 않으므로 경력직 취업에 크게
계약 시에 특히 관심을 둘 사항으로 의료보험(insurance와 medical) 제공 여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것이다. 경력직은 그야말로 취업 직후 자신의 업무를 독립적
부와 범위(coverage)가 있다. 싱가포르는 한국과 달리 모든 병·의원이 영리기관이 으로 수행할 수 있는 경우에만 지원해야 하는 것이다. 또 다른 주의사항으로 국내 기
므로 의료비용이 높다. 따라서 의료보험이나 복리 후생을 통하지 않고 개인이 비용 업에서 직무순환 등의 이유로 다양한 업무를 수행한 경험이 싱가포르의 경력직 취업
을 부담하기는 대단히 어렵다. 의료보험은 한국과 조금 체계가 다른데, insurance 에는 다소 불리하게 작용할 수 있다는 점이다. 1 ~ 2년의 경력을 요구하는 초급 관리
와 medical benefit으로 나누어진다. Insurance라 불리는 의료보험은 입원이나 수 직에는 괜찮지만 5 ~ 10년의 경력을 요구하는 중간 관리직의 경우에는 업무 전문성
술과 같은 심각한 질병이나 부상에 대한 의료비를 지원하고, medical이라고 부르는 에 의심을 받게 되어 감점요인이 될 수 있다.
의료보험은 클리닉이라 불리는 의원 혹은 치과 등 아주 심각하지 않지만 치료를 요
하는 경우에 받은 의료서비스에 대한 비용을 지원한다. 회사마다 insurance만 제공 경력직의 경우는 길어야 2주 정도인 OJT(on-the-job) 트레이닝을 받고 바로
을 한다거나 제공범위 등이 상당히 다르기 때문에 협상의 여지가 크다고 할 수 있다. 자신의 업무를 독립적으로 진행해야 한다. 싱가포르에서는 직원들 간 상당히 좋은
인간관계를 맺고 친밀하게 지내지만, 업무와 관련하여서는 상당히 냉정하며, 독립적
싱가포르 채용계약에서 협상의 여지가 적은 부분 중 하나는 주거 지원으로, 거 이라 할 수 있다. 이처럼 독립적으로 업무를 수행하는 분위기는 간섭이 없다는 측면
주지는 특별한 경우가 아니면 스스로 해결해야 한다. 이 외에도 유의해야 할 여러가 에서는 장점일 수 있으나 경력직의 경우 비공식적인 업무지원을 기대하기 어렵기 때
지 채용계약 내용들이 있다. 따라서 한국인 지원자는 계약서나 계약조건 협상에 익 문에 자신의 업무에 전문성이 낮은 경우에 상당한 부담이 될 수 있다. 해외 대부분의
숙하지 않겠지만 지인이나 전문가의 도움을 받아서라도 계약 체결 전에 세부사항들 국가에서는 직무기술서(job description)에 따른 업무수행이 기대되고, 다른 직원의
을 검토 및 조정해야 한다. 직무에 관여하지 않는 것이 통상적 관례라는 점을 명심해야 한다.

ƒ 경력직
ƒ 체크포인트: 인기 있는 동북아시아 출신 직원
2013년 이후 신입직으로서 외국인 채용의 문은 좁아졌지만 경력자 채용은 비
교적 수월하다. 따라서 한국에서 직장 경력이 있고 자신의 경력을 세계 유수의 기업 한국이나 중국 등 동북아시아 출신의 직원들은 싱가포르 직장에서 인기가 있고 환
에서 개발하고 싶은 구직자에게는 비교적 많은 취업 기회가 열려있다. 싱가포르에서 영 받는 경우가 많음
경력직으로 취업하고자 하는 경우에 어떤 회사에서 업무경력을 쌓았는가 보다는 어 ▶ 동북아시아 출신 직원들은 아무래도 영어구사능력은 다소 떨어지지만
떤 업무를 하였고 현재 어떤 업무를 실제 수행할 수 있는지가 더 중요하다. 중소기업 근면하면서 자신의 업무 외에도 무엇이든 열심히, 더 많이
에서 얻은 경력으로도 싱가포르에 위치한 세계적인 회사들의 아시아 본부에 취업하 일하려는 태도를 보이는 것이 일반적임

는 데 문제될 것이 없다는 것이다. 물론, 삼성전자나 현대자동차와 같은 잘 알려진 국 ▶ 또한 회식이나 잡무 등 직장에서 공식적으로
내 기업에서 쌓은 경력이 높은 평가를 받기는 하지만 채용하려는 업무와 직접적으로 요구하는 것 외에 자신에게 기대되는 바에도
기꺼이 응하는 경향이 있음
관련된 경력이 더 중요하다.

PART 2 PART 2
84 85
◆ 최근 싱가포르 인재 유치 동향 ƒ 외국인 장기 비자(ONE) 추가 도입으로 인재 유치

코로나19 방역 규제가 완화되면서 싱가포르 정부는 구인난 해소 및 우수 인재 코로나19 시기, 강도 높은 방역 조치를 시행한 결과 외국 고급인력이 유출돼

유치를 위해 활발히 노력하고 있다. 코로나19 기간 동안에는 국경 폐쇄로 국가 간 인 어려움을 겪은 싱가포르는 외국의 고급 인재를 다시 유치하기 위한 전략으로 새로

재 이동이 둔화됐으나 싱가포르의 방송사 CNA의 9월 26일 기사에 따르면 코로나19 운 장기 취업비자 ‘해외 네트워크 전문지식(Overseas Networks and Expertise,

이후 글로벌 인재를 유치하기 위한 ‘인재 전쟁’이 심화되고 있다. ONE)’ 제도를 도입했다. 이에 따라 2023년 1월부터 월 고정소득이 3만 싱가포르 달
러(한화 약 2900만 원) 이상인 외국인은 5년짜리 체류 비자인 ONE 패스(Overseas
세계 인적자원 경쟁력 지수(Global Talent Competitiveness Index, GTCI) 보 Networks & Expertise Pass)를 신청할 수 있다.
고서에 따르면, 싱가포르는 해외기업과 인재에 개방적이며 현지 인력의 국제 경쟁
력을 높이고자 노력하고 있다. 2022 세계 인적자원 경쟁력 지수(GTCI 2022)에서 ONE 비자의 발급의 소득기준은 현재 학사학위 이상의 학력을 보유한 외국인에

총 75.80점을 얻은 싱가포르는 전 세계 133개국 중 2위, 아시아 국가 중에서는 1위 게 발급되는 EP 소지자의 소득 상위 5%에 해당될 정도로 매우 높다. 다만 싱가포르

를 차지했다. 정부는 급여 기준을 충족하지 못하더라도 스포츠, 예술, 과학 등 각 분야에서 뛰어난


성과를 보인 인재들도 해당 비자를 받을 수 있도록 제도를 설계했다.
세계 인적자원 경쟁력 지수(GTCI)에는 국내 환경, 인재 유치, 인재 양성, 인재 보
유, 직업 기술, 글로벌 지식 등 6가지 주요 평가 지표가 있으며, 나라별 규제와 교육, ONE 비자 발급 대상자는 외국인 채용 전 내국인 대상의 채용 공지 의무제도인

대외개방 정도 등을 평가해 각국의 인재 경쟁력을 측정한다. 싱가포르는 올해 전 세 공정 고용 프레임워크(Fair Consideration Framework, FCF)에서도 제외될 예정이

계 지식·기술 분야 세계 1위, 인재 유치·육성 부문 2위를 차지했다. 2013년 동 지수가 다. 싱가포르 정부는 최고의 글로벌 인재를 유치하기 위해 ONE 패스 소지 외국인이

처음 발표된 이후 매년 2위를 차지할 정도로 싱가포르는 인재 유치와 육성에 집중하 복수의 기업에서 근무하는 것을 허용하겠다고 밝혔다. 또한 ONE 비자 취득 시 동반

고 있다. 인재 유치를 위한 싱가포르 정부의 노력은 다음과 같다. 가족도 취업이 가능하다. 싱가포르 정부는 최고급 외국인 인력을 유치할 경우, 다양
한 산업 분야에서 더 많은 일자리를 창출할 수 있으며 이번 ONE 비자 도입을 통해
경제성장을 가속화할 수 있다는 입장이다.

▶ 공정 고용 프레임워크(FCF): 외국인을 채용할 경우 고용주는 싱가포르 내국인을


대상으로도 포지션을 공지할 의무가 있다.

ƒ 자국민 우선채용정책 완화7

싱가포르 노동부(MOM)는 자국민 우선 채용정책의 일환으로 싱가포르인에게


공정한 취업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2014년부터 공정 고용 프레임워크(FCF)를 도입
했다. 공정 고용 프레임워크(FCF)란 고용주가 EP 비자를 발급받아야 하는 외국인을
채용하기에 앞서 싱가포르 자국민에게 해당 정보를 공평하게 공개할 것과 직장 내
에서 인종, 국적, 성별, 연령 등과 관련된 차별을 금지하도록 규정한 지침이다. 외국
인을 고용하기 전, 모든 채용 공고를 싱가포르 인력개발청(Workforce Singapore,

7) 출처: KOTRA 해외시장뉴스(2022년 12월 20일). 김은빈. ‘최근 싱가포르 인재 유치 동향’ 자료 기반 작성.
PART 2 PART 2
86 87
WSG)에서 운영하는 My Career Future(구인구직사이트)에 최소 14일 동안 우선적 ◆ 최근 싱가포르 실제 취업사례
으로 게재해야 한다.

ƒ 취업사례 1
2020년 10월, 코로나19로 인해 노동시장이 얼어붙고 불확실한 경제 상황이 지
▶ 취업 준비
속되자 공정 고용 프레임워크(FCF) 상 구인 광고 기간이 14일에서 28일로 늘어나기
2019년 7월, 1학년 여름 방학 때 갔던 싱가포르 한 달 어학연수이다. 한국산업인력공단
도 했으나 싱가포르 경제가 코로나19에서 회복되면서 정부는 신속한 인재 유치를 위
과 협약을 맺은 K-Move라는 청년 해외 취업 지원 프로그램이 있다. 이 싱가포르 어학
해 2022년 9월부터 공정 고용 프레임워크(FCF) 공고 기간을 28일에서 14일로 다시 연수 프로그램의 취지는 싱가포르 해외 취업에 관심이 있는 학생들이 한 달 동안 영어
완화했다. 싱가포르 노동부(MOM)는 고용증 발급 처리 기간도 최대 3주에서 10일로 공부도 하고 싱가포르를 직접 느껴보고 알아가는 경험을 제공하는 것이었다. 나는 한
단축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처럼 싱가포르 정부는 글로벌 인재를 영입하기 위해 강 번도 싱가포르를 가본 적이 없었고 이 어학연수를 신청하게 되었고 면접 끝에 참여할
수 있게 되었다. 2020년 1월 겨울 방학으로 참여했던 대만 한 달 현장학습이다. 이 활
력한 정책을 내세우며 국제 비즈니스 허브로 도약하고 있다.
동은 우리 학교와 자매결연을 한 대만의 National Kaohsiung University of Hospitality
라는 대학교에서 한 달 동안 그곳의 학생들과 같이 교류하며 수업도 듣고 해외를 느
인력 채용회사인 Global Manpower의 설문 조사에 따르면 싱가포르는 40개
껴보는 글로벌 체험학습이었다. 호텔 영어, 호텔경영 등의 수업을 현지 학생들과 같이
대상국 중 3번째로 전문 인재가 부족한 국가로 선정됐으며, 싱가포르 기업의 84% 듣고 WSET(The Wine and Sprit Education Trust)라는 기관에서 주최하는 와인 자격증
가 인력 부족을 호소하고 있다. 이러한 인재 부족 현상은 인재 허브로서 자리매김하 수업도 들으며 Lv.1의 국제 자격증까지 딸 수 있게 되었다. 2021년 졸업 예정자를 대상
으로 싱가포르 해외 취업 준비반을 모집한다는 공지가 뜨는 것과 동시에 지원하였다.
려는 싱가포르로 하여금 글로벌 인재 유치에 더 박차를 가하는 요인이 되고 있다. 정
싱가포르 해외 취업 준비반 프로그램이 있다는 것을 알았던 새내기 때부터 자연스럽
부의 스마트 국가 네이션 담당 장관 비비안 발라 크리슈난 (Vivian Balakrishnan)은
게 나는 여기 들어가야 한다는 생각을 가지고 살았다. 서류 면접, 영어면접, 영어 자기
정보통신기술(ICT) 부문에 2023년까지 6만 명의 근로자가 추가로 필요할 것이라 소개서를 통한 면접이 이루어졌고 나는 마침내, 2020년 6월 K-Move가 주최하는 싱
고 언급했다. 가포르 호텔 실무자 취업연수과정 17기에 들어갈 수 있었다.

▶ 취업과 미래 포부
싱가포르 인력 채용회사 A사 관계자는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KOTRA) 싱가포
(2021년 2월) 그렇게 인턴십을 했던 호텔에 취업하는 듯 싶었지만, 3월 초 갑자기 풀
르 무역관과의 인터뷰에서 ‘비자 규제가 완화됨에 따라 현지 시장에 우수한 기술과 린 취업 비자 소식에 우리는 부리나케 출국 준비를 하였다. 나는 메리어트 계열사 호
경력을 갖춘 인재 유치를 위해 해외까지 인재 영입의 폭을 넓혀 가고있다’며, ‘특히 문 텔들의 면접을 봤는데 The St. Regis Hotel에 합격하게 되었고 이 호텔이 가장 빠르게

화의 차이에 빠르게 적응하고 성실한 태도의 한국인과 같은 글로벌 인재 확보가 중 입국 수속을 진행했다. 나의 첫 부서는 인 룸 다이닝(룸서비스)+버틀러(butler)였다. 버
틀러란 호텔의 집사로서, 고객에게 개인 맞춤형 서비스를 하는 부서이다. 사실 이 부
요하다’라고 말했다. 싱가포르의 인재 수요가 많은 직종으로는 IT 분야의 소프트웨어
서는 전반적인 호텔의 모든 지식을 알고 있어야 하기 때문에 처음 입사한 후 호텔을
개발자 및 사이버 보안 전문가, 금융 분야의 재무관리 및 분석가 부문이며 그 외 인 이해하기에 너무나 좋은 부서였다. 나는 그렇게 객실 부서에서 1년 동안 일하며 다양
력 채용 전문가, 비즈니스 개발 및 영업 분야도 인재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전망했다. 한 사례를 통해 호텔 운영, 고객맞춤 서비스 등을 습득하게 된다. 2022년 4월 입사한
지 1년째 되는 날 나는 승진을 하게 되었다.
앞으로 나는 싱가포르 외에도 다른 해외에도 도전하고 싶다. 메리어트 계열이 워낙 국
제적으로 분포되어 있어 호주, 미국, 유럽, 캐나다, 다른 아시아 등 기회가 많이 열려 있
다. 실제 같이 일하는 직원들 사이에 다른 나라 매리어트를 통해 이직을 한 경우가 많
다. 그래서 여기에서는 이직과 해외 취업도 진입장벽이 낮은 편이다.

출처: HRDK 한국산업인력공단 (2022년). 월드잡플러스와 함께 나는 세계로 출근합니다: 2022 청년


해외진출 성장스토리 공모전 수상작품집, pp. 24 ~ 29 자료 기반 작성.

PART 2 PART 2
88 89
ƒ 취업사례 2 ƒ 취업사례 3
▶ 취업준비 ▶ 취업준비
한국에서도 직장이 있는 상태여서 가장 현실적으로 내가 노력할 수 있는 부분은 한 실행력도 해외 취업과 생활에 중요한 요소인 것 같다. 생각만 가지고 있는 것이 아니
국에서 꾸준히 해외 취업을 시도하는 것이었다. 제일 먼저 영문 이력서를 조금 더 매 라 월드잡플러스에 들어가 해외취업의 길을 찾은 것도, 수영 선생님 자격증을 취득해
력적으로 보이게 하려고 ‘월드잡플러스’를 통해 첨삭을 가다듬었다. 그리고 아무것도 또 다른 분야의 직업에 도전한 것도, 나의 경험을 살려 해외진출 공모전에 참여하여
없었던 링크드인을 꾸며 링크를 이력서에 첨부했다. 이력서만으로는 부족한 정보를 수상한 것도 다 나의 실행력에서 얻어낸 자랑스러운 결과물이라고 생각한다.
직관적으로 알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었다. 포스팅, 사진, 첨부파일까지 인스타그램
▶ 싱가포르 취업 후 생존 비법
에 들이는 수고의 반을 들이니 꽤 매력적인 링크드인이 완성되어 있었다. 그리고 하
내가 싱가포르에서 살아남을 수 있었던 방법은 생각의 전환이라고 생각한다. 나에게
루도 거르지 않고 월드잡플러스, LinkedIn, Glassdoor, 한국촌(싱가포르 한인 커뮤니
는 첫 직장 생활, 첫 해외 생활이었기 때문에 처음 마주한 일들에 자주 넘어지기도 했
티) 등 여러 사이트를 통해 내 이력서를 뿌렸다. 확률을 높이기 위해 ‘한국어+Sales’
다. 특히 코로나19 바이러스처럼 하늘길이 막혀 한국으로 휴가를 가지 못하게 된 것
를 키워드로 잡 서치를 하였다. 위와 같은 방법을 약 1년 반 동안 꾸준히 시도했고,
은 나에게 큰 타격이었다. 하지만 해외에 있었기 때문에 남들이 해보지 못하는 경험
(100군데 넘는 곳 지원) 결국 링크드인을 통해 다국적 기업 ‘Business Development
을 하고, 지금 내가 처한 상황에서 어떻게 이겨나가야 할지, 내가 가지고 있는 것에서
Representative’ 한국 마켓 담당으로 채용이 되었다.
어떻게 해결할지 생각하게 되는 기회였던 것 같다. 코로나19가 기승을 부릴 당시 내
▶ 취업과 미래 포부 가 다니고 있던 회사는 운영을 할 수 없었고, 회사 동료들을 만나 간단한 식사를 하
한국인으로서 싱가포르에 내가 채용되었던 직무는 Business Development 러 나갈 수도 없었다. 하지만 보스를 비롯해 동료들은 그 시간을 이용해 개인의 재능
Representative라는 직무였다. 가장 쉽게 설명하면 세일즈 직무이다. 여기서 왜 싱가 을 살려 회사에 도움이 될 만한 일들을 제안해 주었다. 그래서 나는 동료들과 화상으
포르는 제2외국어를 구사하는 직원을 고용할까? 단순하다. 다른 나라 마켓에서 장사 로 직업훈련을 하고, 시간이 남을 때는 나의 전공을 살려 회사의 마케팅 업무에 참여
하려는데 영어를 공용어로 쓰지 않는 나라의 경우, 장사하기가 매우 어렵기 때문이다. 하기도 했다. 이 모든 일을 겪으면서 가장 많이 느꼈던 것은 문제의 해결방안은 한 가
싱가포르는 Korean이 장점이 될 수 있는 나라인 것이다. 동남아시아를 여행해 봤거나 지 방법만 있는 것이 아니라 여러 가지가 있다는 것이다. 코로나19 때문에 한국으로
봉사 활동을 가본 사람은 느끼셨을 건데 ‘한국인’이라는 것 자체가 특별해지는 나라는 갈 수 없기에 한국에 관련한 뉴스들에 대해 찾아보았고, 당장 한국에 갈 수 없다면 싱
동남아시아다. 우리나라 뷰티, 연예계가 활발히 활동해준 덕분에 동남아시아인들은 가포르에서 어떻게 더 즐겁게 생활할지 찾아보게 되었다. 이 활동을 통해 양국에 대
한국인에게 우호적인 시각을 가지게 되었고, 그 자체로 호기심의 대상이 되었다. 나는 한 이해도도 높아지고, 이런 소중한 경험들이 앞으로 나를 더 많이 도전하고, 생각하
이를 활용하여 한국 제품을 싱가포르에 소개하는 조그만 사업을 시작해 보고 싶다. 그 고, 읽고, 쓰게 할 것 같다.
리고 싱가포르에 100% 만족을 하고 있기 때문에 영주권을 딸 계획이다.

출처: HRDK 한국산업인력공단 (2020년). 월드잡플러스와 함께 나는 세계로 출근합니다: 2020 청년


출처: HRDK 한국산업인력공단 (2021년). 월드잡플러스와 함께 나는 세계로 출근합니다: 2021 청년 해외진출 성장스토리 공모전 수상작품집, pp. 130 ~ 131 자료 기반 작성.
해외진출 성장스토리 공모전 수상작품집, pp. 18 ~ 22 자료 기반 작성.

이상 싱가포르 취업에 있어 핵심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1) 싱가포르는 아시아는 물론 세계적인 금융허브임. 따라서 금융권 해외취업


을 노린다면 해외취업 성공률이 가장 높은 국가일 수 있음

2) 한국은 IT기술로 세계를 리드하고 있다는 것을 싱가포르는 잘 알고 있음. 싱


가포르 IT관련업종 취업이나 창업에 적극 도전해 볼 만함

3) 해외취업 공통사항이지만 영어를 업무에 지장이 없을 정도로 해야하는 것


은 기본. 영어 실력이야말로 성공적인 싱가포르 취업의 첩경
PART 2 PART 2
90 91
2.4 취업전략 로드맵
효과적인 취업전략을 위해서 취업준비는 지원자의 결심과 자기분석에서 시작
한다. 자기분석이란 자신의 장점과 단점, 적성, 전문분야의 능력, 흥미와 장래 꿈, 가
치관 등을 스스로 되새겨보고 정리해보는 것이다. 현재의 자신의 모습을 점검하고
되돌아보면서 자신을 객관적으로 평가해 장래의 모습을 그려보는 과정이다. 아래 자
기분석 항목과 점검 내용을 토대로 질문에 답해보도록 한다.

자기분석 항목

장단점 호불호 인간관계 흥미/가치관

자신이 좋아하는 본인의 흥미와 관


자신의 장점은? 사교적인가?
개인 것? 심?
자신의 단점은? 내성적인가?
싫어하는 것은? 가장 소중한 것은?

가족에게 공헌하
가족의 좋은 점? 가족 내의 역할은? 가족관계에서 소
는 것?
가정 가족생활의 싫은 가족 간 충돌경험 중한
가족에게 부담인
점? 은? 것은?
것?

전공과 전문분야 학교에서 인간관


좋아하는 선생님,
는? 계는? 어떤 과목에서 흥
학교 선배?
적성과 안 맞는 과 상대하기 어려운 미?
싫어하는 학우?
목은? 경험?

직무경험(아르바
능력을 발휘한 경 직장 내 어려웠던
이트) 흥미로웠던 일 경
회사 험? 인간
에서 좋고 싫었던 험?
본인이 서투른 점? 관계는?
경험?

자기분석표 기입 후 자신의 적성에 맞는 업계를 면밀히 검토하고 중점 연구 대


상 업계를 좁혀 나간다. 자기평가를 위해서 담당자들이 강조하는 능력 밸런스를 중
심으로 취업로드맵을 점검해 보도록 한다.

PART 2 PART 2
92 93
◆ 영어 및 제2외국어 ◆ 업무 역량

싱가포르는 영어를 공용어로 사용하는 나라이기에 업무도 당연히 영어로 수행 유망직종별로 요구하는 역량 수준이 상이하지만, 신입직의 경우 보편적으로 해
해야 한다. 따라서 유창한 영어능력은 기본적인 취업조건이다. 다만, 직종별로 요구 당 직무의 경력이나 전문자격증을 요하는 경우는 많지 않다. 일부 예외적인 신입직
하는 영어 수준은 다소 상이할 수 있다. 과 경력직의 경우, 높은 업무역량이라 하면 특별한 자격이나 경험 및 이로 인한 지혜
와 노하우가 습득된 상태를 말한다.

영어능력 기준

전문 능력 자기 평가표 자기분석 항목
최하 하 중 상 최상

거의 모든 상 항목 자기평가수준
아주 간단한 익숙한 주제에 업무와 관련 모든 상황에
황에서 만족할
일상 언어정도만 대해 아주 간단한 된 제한적인 서 효과적인 1 관심업종에서의 인턴십 등의 경험이 있다. 1—네 2—아니오
만한 의사소통
구사 가능 의사소통 가능 의사소통 가능 의사소통 가능
가능 2 나의 전공에서 해당 업무에 관한 특별한 과목을 제공한다. 1—네 2—아니오

3 외부에서 연구발표를 하거나 기업과 공동연구를 한 적이 있다. 1—네 2—아니오

4 전문성이 높은 자격증을 보유하고 있다. 1—네 2—아니오

◆ 인성

동남아 문화권에 속한 싱가포르에서는 업무 역량 외에도 팀플레이를 할 수 있


는 인성을 중시하며 원활하게 업무를 진행할 수 있는 언어능력을 갖춘 사람을 선호
한다. 특히, 자기통제력, 임기응변력, 적응력, 서비스 마인드 등은 모든 직종을 막론하
고 인사담당자들이 면접 시 주요하게 평가하는 항목이다.

PART 2 PART 2
94 95
2.5 싱가포르 주요 글로벌 기업 및 한국 진출기업 현황

◆ 싱가포르 주요 글로벌기업 리스트

탄탄한 인프라와 숙련된 인력, 좋은 비즈니스 환경으로 잘 알려진 싱가포르는


7,000여 개의 다국적 기업이 자리 잡고 있다.8 다양한 국가에서 온 이 기업들은 싱가
포르 수출의 상당 부분을 차지하며 싱가포르 경제에 기여하고 있다.9 싱가포르 정부
는 세제 혜택 등의 정책을 통해 이러한 기업들의 성장 환경을 제공하여 아시아의 비
즈니스 중심 국가로 성장을 지원하고 있다.10 아래 이 표에서는 싱가포르에서 활동 중
인 전 세계의 다양한 기업들 중에 다국적 기업 일부를 소개한다.

8) 출처: AsianBusinessHub.com (2021년 3월 7일). APacBiz. ‘List of Multinational Companies in Singapore.’

9) 출처: Touchbase Technologies (2022년 1월 27일). Kira Allen. ‘How Multinational Companies Contribute to Singapore’s
Economy?’

10) 출처: Rikvin (n.d.). ‘Why is Singapore Preferred by Foreign Companies?’


PART 2 PART 2
96 97
싱가포르 내의 주요 글로벌 기업

No. 출신 국가 기업 이름 No. 출신 국가 기업 이름

1 USA 3M 29 Singapore MapleTree Group

2 USA Accenture 30 Singapore Marina Bay Sands

3 France AXA 31 Malaysia MayBank

4 USA Bank of America Merrill Lynch 32 USA McDonald’s

5 France BNP Paribas 33 Ireland Medtronic

6 Singapore CapitaLand 34 USA Micron Semiconductor Asia

7 USA Caterpillar 35 Switzerland Novartis

8 USA Citibank 36 Singapore OCBC Bank

9 Germany Continental Automotive 37 Japan Panasonic Asia Pacific

10 Hong Kong Dairy Farm International 38 UK PricewaterhouseCoopers

11 Singapore DBS 39 USA Procter & Gamble

12 UK Deloitte 40 Singapore SATS

13 Germany Deutsche Bank 41 France Schneider Electric

14 UK Ernst & Young 42 USA Seagate

15 USA ExxonMobil 43 Singapore Sembcorp

16 Singapore Far East Organization 44 Netherlands Shell

17 Singapore Fraser & Neave 45 Germany Siemens

18 USA General Electric 46 Singapore Singapore Airlines

19 Singapore Great Eastern 47 Singapore Singtel

20 UK GlaxoSmithKline 48 UK Standard Chartered Bank

21 USA Hewlett-Packard 49 Singapore Starhub

22 UK HSBC 50 Singapore UOB

23 USA IBM
출처: Paul Hype Page (2023년 9월 8일). ‘MNC in Singapore: Registering a Singapore Business’
24 UK InterContinental Hotels Group 자료 기반 작성.

25 USA Johnson & Johnson

26 USA JP Morgan Chase

27 USA Kentucky Fried Chicken

28 Netherlands KPMG
PART 2 PART 2
98 99
◆ 싱가포르에 진출한 한국기업 리스트

싱가포르에 진출한 한국기업 리스트는 싱가포르 한국상공회의소(The Korean


Chamber of Commerce in Singapore)의 사이트에서 확인할 수 있다.
싱가포르에 진출한 주요 한국기업

No. 기업 이름(영어) 기업 이름(한국어) 산업 분야

1 Asiana Airlines 아시아나항공 항공

Hankook Tire Singapore


2 한국타이어 싱가포르 법인 자동차전장
Pte Ltd

Hyundai Motor Group 현대차그룹 싱가포르 혁신


3 자동차전장
Innovation Center 센터

AMOREPACIFIC SINGAPORE
4 아모레퍼시픽 싱가포르 의료미용/한류
PTE.LTD

Hyundai Engineering &


5 현대건설 건설/부동산/기술정보
Construction Co., Ltd.

LG Electronics Singapore
6 LG전자 싱가포르 전기전자/인공지능
Pte Ltd

Samsung Electronics
7 삼성전자 전기전자/인공지능
Singapore Pte. Ltd.

Hyundai Heavy Industries


8 현대중공업주식회사 중공업
Co., Ltd.

LOTTE Hotels & Resorts


9 롯데호텔 싱가포르지사 호텔/면세
Singapore Branch

10 Samsung C&T Corporation 삼성물산 건설부문 무역도소매

Shinhan Bank Singapore


11 신한은행 싱가폴지점 투자/금융
Branch

12 Korean Air 대한항공 항공

13 SK Hynix Asia Pte Ltd SK하이닉스아시아 전기전자/인공지능

Samsung SDS Asia Pacific 데이터시스템(기술정


14 삼성SDS 동남아법인
PTE. LTD. 보)

15 CJ SE Asia Pte Ltd CJ 싱가포르사무소 식품가공/유통

출처: 싱가포르 한국상공회의소(n.d.). ‘회원사 리스트’ 자료 기반 작성.

PART 2 PART 2
100 101
3

PA R T
해외취업 정보
및 지원사업

3.1 해외취업 정보 찾기 104

3.2 정부의 해외취업 지원


프로그램 활용 116

3.3 해외취업 정착 지원 125

PART 3
102
▶ 해외취업센터 시설 대관 및 월드잡 유니버스(메타버스) 시설 대관 제공 등
3.1 해외취업 정보찾기
해외취업을 희망하는 구직자는 한국산업인력공단,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 한 월드잡플러스 해외채용공고 페이지에서는 해당 국가와 직종을 선택하여 검색
국무역협회 등에서 운영하는 웹사이트를 통해 해외취업설명회, 박람회 등 다양한 해 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해당 직종이 요구하는 수준과 해당 직종의 현재 지원현황까
외취업 관련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지 확인이 가능하다.

◆ 월드잡플러스(웹사이트/앱) 월드잡플러스에서 일자리 검색하기

한국산업인력공단에서는 한국 청년의 해외진출을 지원하기 위해 월드잡플러


1
스 를 운영하고, 기관별로 분산된 해외 진출 정보(해외취업, 해외인턴, 해외봉사 등)
를 통합하여 제공합니다. 여기에서 해외취업, 해외인턴, 해외봉사, 해외창업 등의 정
보를 제공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국가별 기본정보 및 취업전략, 일자리(구인/구직)
정보, 해외취업 후 경력 관리 국내 복귀 후 재취업 등 해외진출과 관련된 중요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이를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

▶ 주요 국가별 기본 정보 및 유망 직종 취업전략 제공

▶ 외국어, 직무 등 글로벌 역량 강화를 위한 온라인 교육 콘텐츠 제공

▶ 해외취업 상담 서비스 제공
출처: 월드잡플러스(2023). 채용 모집.
▶ 영문/일문 이력서 및 자기소개서 무료 첨삭 서비스 제공

▶ 해외취업, 해외연수(K-Move스쿨), 해외인턴, 해외봉사, 해외창업 모집 공고 제


▶ 해외취업 K-Move 멘토링, 해외취업설명회(박람회)참여, 해외취업 아카데미 정


보 제공

▶ 국가별(17개국), 직종별(4개 직종) 해외취업 완전정복 책자(E-book)제공

▶ 취업사실 확인 및 해외취업 정착지원금 지원

▶ 해외진출 경력관리시스템 운영 및 국내 재취업 정보 제공

▶ 부당사례 신고센터 운영

1) 월드잡플러스 웹사이트: www.worldjob.or.kr


PART 3 PART 3
104 105
해일로 프로그램 안내

ƒ 체크포인트
프로그램명 주요내용
1) 앱스토어와 플레이스토어에서 월드잡플러스 앱을 다운로드 받을 수 있다. 아울러
나의 해외취업 준비 역량을
월드잡플러스 카카오톡 채널 추가 또는 링크드인(LinkedIn)에서 WorldJobPlus를 해일로 네비게이션
검색하는 경우 더 많은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경력, 어학, 전공 등에 따라 진단
진단
진단 결과를 기반으로 해외취업 상담사와 함께 해외취
2) 월드잡플러스 회원가입 또는 이력서 작성 시 희망 국가와 맞춤형 컨설팅
업을 준비
직종을 체크해두면 나에게 맞는 해외취업 정보를
맞춤 공고 메뉴에서 확인하거나 뉴스레터로 받아볼 진단 단계에서 분석한 나의 취약 역량을 아카데미를 수
해외취업 아카데미
수 있다. 이력서를 미리 등록해두면 구인 공고가 강하여 보완 및 강화
올라왔을 때 바로 지원도 가능하다. 성장
내가 희망하는 국가 및 직종에 대한 이해도를 높여 취
국가/직종별 설명회
업 확률을 높임

기업의 채용담당자 및 현직자와의 대화를 통해 희망기


채용박람회
도전 업에 대한 현실감 있는 정보를 습득
ƒ 해일로 프로그램: 해외취업 일자리 로드맵 채용공고 지원 해외취업 성공을 위해 채용공고에 지원

해외취업 준비 역량을 진단하여 준비 단계에 따라 해외취업 지원 서비스를 제 출처: 월드잡플러스(2023). 해일로 홈페이지 자료 기반 작성. https://www.worldjob.or.kr/halo/main.do
공받을 수 있는 원스톱 서비스이다.

▶ 대상: 월드잡플러스 회원이라면 누구나 이용 가능


◆ KOTRA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

▶ 참여방법: 월드잡플러스 메인 > 상단 배너 > 해일로 페이지 KOTRA는 해외시장 뉴스2를 통해 싱가포르 등 94개국에 대한 국가정보, 무역·
투자진출 현황, 취업 유망분야 등의 자료를 제공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해취투게더
카페3를 통해서도 비자정보, 정착생활 후기 등의 생생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그
월드잡플러스의 해일로 홈페이지
리고 해외취업에 필요한 구인구직 검색은 해외경제정보 드림4을 통해서 가능하다.

2) KOTRA 해외시장뉴스 웹사이트: www.news.kotra.or.kr


출처: 월드잡플러스(2023). 해일로 홈페이지.
3) 해취투게더 카페 웹사이트: cafe.naver.com/kotrajobinfo

4) KOTRA 해외경제정보드림 웹사이트: https://dream.kotra.or.kr/index.jsp


PART 3 PART 3
106 107
KOTRA의 해외경제정보 드림에서 해외 취업 검색하기 KITA 한국무역협회 홈페이지

출처: KITA 한국무역협회(2023). 홈페이지.


출처: KOTRA 해외경제 정보 드림(2023). ‘해외 취업.’

JOB Together 잡투게더 홈페이지

또한 KOTRA에서도 취업국가에 대한 정보를 한꺼번에 모아서 볼 수 있도록 제


공하고 있다. KOTRA에서 제공되는 국가정보에서는 간략한 국가 지역정보와 함께
해당 국가의 해외시장뉴스, 통상규제, 주요 산업 해외인증정보, 보고서, AI 연계 데이
터를 확인할 수 있다.

◆ KITA 한국무역협회

한국무역협회5(Korea International Trade Association, KITA)는 무역진흥을


통한 국민경제 발전에 공헌함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한국무역협회는 이와 관련한 세
계무역과 경제현황에 대한 각종 연구, 통상보고서 그리고 해외시장의 산업, 문화, 경 출처: JOB Together (2023). 홈페이지.

제, 무역 동향과 관련한 주요 정보와 뉴스를 제공하고 있다. 이와 함께 한국무역협회


에서 운영중인 잡투게더6는 국내외 업종, 직종별 채용정보, 채용현황 등을 확인할 수
◆ 주요 채용 사이트
있다. 더불어 국내외 채용박람회와 일자리 지원센터를 통해 글로벌 비즈니스의 꿈을
가진 청년들에게 온라인 자기소개서 취업역량 교육도 함께 지원한다. 싱가포르는 공공기관, 사설기관, 서치펌 등 다양하게 채용 관련 웹사이트를 운
영하고 있다. 이하 사이트를 조사하여 다양한 싱가포르 채용 정보를 얻을 수 있다.

5) KITA 한국무역협회 웹사이트: www.kita.net

6) 잡투게더 우엡주소: www.jobtogether.net


PART 3 PART 3
108 109
ƒ 현지 채용 웹사이트

▶ 싱가포르 공공기관 ▶ 싱가포르 내 채용 웹사이트

컨택 싱가포르(http://jobs.contactsingapore.sg) 등 싱가포르 정부에서 구축 싱가포르 취업을 위한 구인 및 구직 웹사이트는 다음과 같다. 다음 웹사이트를


및 제공하는 포털 웹사이트는 경제발전이라는 궁극적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싱 통해 구직자는 다양한 산업 분야의 채용 정보를 검색할 수 있고 즉시 온라인으로 영
가포르에 주거, 투자, 근로하고자 하는 사람들에게 필요한 정보를 원스톱으로 제공 문이력서를 제출할 수도 있다.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싱가포르에서 취업을 희망하는 구직자에게도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싱가포르 내 채용 웹사이트

웹사이트명 웹주소
공공기관 운영 채용 웹사이트
Career Resources Center for Expatriates
http://www.aasingapore.com/
웹사이트명 웹주소 (CRCE)

eFinancialCareers http://www.efinancialcareers.sg/
Contact Singapore Job Portal http://jobs.contactsingapore.sg/internatio
HeadHunt http://www.headhunt.com.sg/
Singapore Public Sector Job Portal http://www.careers.gov.sg/
Jobs.com.sg http://www.jobs.com.sg/

JobsCentral http://jobscentral.com.sg/

JobsDB http://www.jobsdb.com/

MyTechnology http://www.mytechlogy.com/IT-jobs-careers/

Job-Search Online http://www.job-searchonline.com/

Job Seek http://www.jobseek.com.sg/

▶ 싱가포르 내 고급인력 서치펌

고급인력 서치펌은 중간급에서 고위급의 특정 전문직 인재들을 찾는 고객사를


돕는 헤드헌터이다. 이러한 서치펌은 경영 컨설팅, 채용 및 배치를 포함한 완결적인
서비스(end-to-end service)를 제공한다. 싱가포르에는 약 1,100개 이상의 인가 받
은 채용 대행사, 글로벌 서치 대행사 및 싱가포르 고급인력 서치펌이 있다. 이러한 서
치펌에 부담 없이 이메일을 보내어 구직하고 있음을 알리고 자신의 구직 서류를 보
내면 된다. 이러한 서치펌을 이용하는 데 있어 노력과 시간을 제외하면 별도의 비용

PART 3 PART 3
110 111
은 들지 않는다. 이러한 서치펌은 구직자가 취업에 성공하면 서비스 제공에 대한 보
1) 한국촌: 싱가포르 한인정보사이트(http://www.hankookchon.com/main)
수를 구직자가 아니라 구직자가 취업한 회사로부터 받게 된다.
싱가포르 내 한국인 커뮤니티로 구인구직이 활발한 편이며, 관련 뉴스, 한
국계 기업의 채용정보가 많이 올라오는 편이다. 취업 시 빠르게 적응할 수 있는
점이 장점이나, 대부분 싱가포르 내에 거주하고 있는 교포 또는 경력직을 선호
싱가포르 내 고급인력 서치펌
하는 경향이 있다.
웹사이트명 웹주소
2) 코닷싱: 싱가폴 교민커뮤니티(http://www.korea.com.sg/)
Ambition www.ambition.com.sg
한국촌과 비슷한 한국인 커뮤니티 카페로서 취업뿐만 아니라 생활에 관련
Adecco www.adecco.com.sg
된 많은 정보를 얻을 수 있다.
BTIConsultants Pte Ltd www.bticonsultants.com

EgonZehnder www.egonzehnder.com
◆ 비즈니스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BSNS) 이용
Garner International www.garnerasia.com

비즈니스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BSNS)는 전문적인 관심사에 대해 의견을 교


HaysRecruitment www.hays.com.sg
환하고 자신의 경력, 관심 분야에 관하여 제안하는 등 새로운 구직의 장이 되고 있
HRNetOnePteLtd www.hrnetone.com
다. 특히 기업들이 구인 시 부족한 분야에 집중하여 BSNS를 활용하는 사례가 지속

Hudson www.hudson.sg 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구인자 또한 동종 업계의 현황 파악, 이력관리, 글로벌 인맥
활용을 목적으로 이용하는 경우가 많다. 대표적인 구직용 BSNS 중 하나인 링크드인
Hughes-Castelll www.hughes-castell.com/contact-singapore.htm
(LinkedIn)의 활용 방법은 다음과 같다.
JAC Recruitment www.jac-recruitment.sg

Kelly Services Pte Ltd www.kellyservices.com.sg

Korn/Ferry International www.kornferryasia.com

Law Alliance www.lawalliance.com

Michael Page International www.michaelpage.com.sg

Morgan McKinley www.morganmckinley.com.si

Robert Walters www.robertwalters.com.sg

Russell Reynolds www.russellreynolds.com

PART 3 PART 3
112 113
BSNS 활용방법

항목 내용

▶ 전문성과 자신감을 잘 드러낼 수 있는 프로필 사진 첨부

▶ 경력사항을 자세히 기재
프로필 구축 ▶ 특히, 담당했던 업무나 프로젝트 등을 자세히 기술하고 이를 증명
할 수 있는 웹사이트나 이미지 등을 추가

▶ 취미, 특기 등 업무 외에 본인을 어필할 수 있는 내용 포함

▶ 본인이 지속적으로 자기 개발을 위해 노력하고 있음을 설명

▶ 본인의 주요 관심사나 역량과 관련된 컨텐츠 작성하거나 리서치


지속적 활동
컨텐츠를 공유

▶ 지인들이나 함께 일했던 동료들에게 자신에 대한 추천 글 요청

▶ 관심 있는 회사를 관심기업으로 등록

▶ 관심회사에서 올리는 컨텐츠를 파악하여 최근에 동 회사가 어떤


관심기업 등록
분야에 집중하고 있는지를 파악

▶ 이는 향후 회사 면접 과정에서 도움이 될 수 있음

▶ 취업을 희망하고 있는 관심 기업 그리고 관심 직무 및 포지션을


채용공고 확인 키워드로 검색

▶ 관련된 채용 공고 및 트렌드를 지속적으로 확인

ƒ 체크포인트
자력으로 취업에 성공한 한국인 구직자들에게 일부 취업 알선 업체들이 연락을 취해
와서 자신들이 알선하여 취업한 것으로 처리할 수 있게 협조를 구하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이러한 행위는 국가에서 제공하는 지원금을 횡령하는 엄연한
불법행위이다. 이 경우 K-Move 센터 및 한국산업인력공단
등 관련 기관이나 사법기관에 즉시 알리는 것이
필요하다.

PART 3 PART 3
114 115
취업 단계 별 해외취업지원 프로그램 현황
3.2 정부의 해외취업 지원프로그램 활용
구분 내용 비고
◆ 해외취업 지원 프로그램
월드잡플러스/해외취업센터를 통한 상담
해외취업 상담
해외 취업을 희망하는 구직자는 취업 단계별로 정부 기관에서 지원하는 프로 (전화, 이메일, 방문상담, 온라인 상담 등)

그램 및 지원금 제도를 통해 도움을 받을 수 있다. 자세한 사업내용은 변경될 수 있 국가 직종별 전략 설명회 취업 희망국가와 직종별 해외취업 준비전략 안내

으므로 월드잡플러스(www.worldjob.or.kr)에서 세부내용에 대한 확인이 필요하다. ▶ 해외진출 경험이 있는 국가별 멘토가 본인의 노하우
K-Move 멘토링
를 온라인 콘텐츠 형식으로 전달

▶ K-Learning: 해외취업을 희망하는 구직자에게 취업 시


해외취업아카데미 필요한 공통역량, 학습 프로그램 제공
(K-Academy) ▶ K-Class: 어학 등 구직 역량을 갖춘 구직자 대상으로
준비
국가, 직무, 맞춤형 해외취업 코칭 서비스 제공

월드잡플러스를 통해 외국어, 직무 등 글로벌역량 강화


역량 강화 온라인강의
교육 콘텐츠 제공

해외진출 희망 청년을 대상으로 어학, 직무능력, 생활, 문


K-Move 스쿨 화 등 맞춤형 교육을 제공하여 취업까지 연계하는 프로
그램

해일로 해외취업 희망 청년을 위한 맞춤형 원스톱 지원서비스(


(해외취업일자리 로드맵) 취업 공통역량 분석 등)

해외취업 상담 해외취업센터 전화 및 방문 상담을 통한 상세 상담

도전 직종 및 국가별 채용행사, 구인기업 맞춤형 채용행사 등


해외취업 박람회 기업과 구직자의 오프라인 채용 면접을 통한 해외취업 지

해외취업 성공 시, 해외에서의 초기정착 및 장기근속을


해외취업정착지원금
위한 지원금

▶ 해외취업자 온라인 사후지원센터 : 해외취업자의 원


활한 현지정착과 경력개발을 위한 온라인 통합서비
취업 온라인 사후지원센터 스 페이지

후 ▶ 출국 및 현지정착, 현지소통, 취업 후 고충해결, 나의


지원 경력관리 등

해외 K-Move 센터
해외 16개소(KOTRA)를 통해 취업자의 해외정착 지원
헬프데스크

해외진출 성공수기 해외진출 우수사례를 발굴하여 해외취업/인턴/창업/봉


공모전 사 등의 정보와 노하우 제공

출처: 월드잡플러스(2023).
PART 3 PART 3
116 117
◆ 해외취업센터 해외취업센터 프로그램 안내

해외취업센터에서는 해외취업을 준비하는 청년을 위해 취업상담과 다양한 교 프로그램 명 내용

육프로그램(해외취업 아카데미), 스터디 공간을 제공하고 있다 아울러, 해외취업 설 ▶ 취업 희망국가의 비자제도 안내 및 유망직종 등 관련 정보제공을 통
명회와 각종 특강을 진행하기 때문에 월드잡플러스에 자주 방문하여 개최 정보를 파 한 1:1 맞춤 상담 제공
1:1 해외취업상담
악하기를 추천한다. 센터는 서울과 부산에 위치하고 있다. ▶ 신청방법: 월드잡플러스 상단메뉴▶해외취업상담▶온라인방문상
담 예약

▶ 전국 대학교 및 유관기관을 대상으로 해위취업 설명회와 특강


해위취업 설명회 ▶ 신청방법: 월드잡플러스 상단메뉴▶설명회/박람회▶설명회/공지사
해외취업센터 현황

구분 주소 ▶ 외국어 역량강화(영어, 일본어, 중국어, 독일어, 스페인어 등)



주소: 서울시 강남구 테헤란로410(대치4동 889-13) 금강타워 402호 K-Learning ▶ 이력서/면접 및 외국어 시험준비
서울 해외취업 위
전화: 02-6964-7071 ~ 6 취
센터 ▶ 비즈니스 역량강화
이메일: kmove@hrdkorea.or.kr 업
▶ 이력서 첨삭 및 1:1 면접 컨설팅

주소: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중앙대로 993(양정동 150-3), 시청역 롯데골
카 K-Class ▶ 전문가 코칭 마스터
부산 해외취업 드로즈빌딩 610호

센터 전화: 051-715-7017 ~ 7020 ▶ 해외취업 준비부터 취업까지 맞춤형 코칭서비스

이메일: busan@hrdkorea.or.kr 참여방법 월드잡플러스 메인▶해외취업교육▶해외취업아카데미

해외취업준비를 위한 스터디, 회의, 소모임 등을 위한 공간을 무료로


출처: 월드잡플러스(2023). ‘해외취업상담.’ 시설대관
제공

월드잡플러스▶상단메뉴▶채용모집▶해외채용공고

해외취업 알선

해외 구인업체, 유관기관, 월드잡플러스 기업회원을 대상으로 해외취업


상시채용관
관련 행사를 위한 시설 무상 대관

출처: 한국산업인력공단(2023). 해외진출의 모든 것.

PART 3 PART 3
118 119
◆ 해외취업연수 지원절차
ƒ 체크포인트: K-Move 스쿨 유의사항
만 34세 이하 청년들을 대상으로 운영 중인 K-Move 스쿨이나 청해진 대학이
▶ 과정별로 국가, 직종, 세부 일정이 상이하며, 구직자 부담금이 발생할 수 있음
대표적이다. 이곳에서는 해외 유망직종이나 기업, 새로운 일자리 정보, 그리고 국가
▶ 다음의 경우는 연수과정 신청이 불가
별 취업역량을 분석하고 국내외 연수과정을 운영 중이다. 아울러, 최소 300시간 이
à 연수개시일 기준 최근 1년 이내에 공단의 해외취업 연수과정에 참여한 적이 있
상 해외취업을 위한 연수과정도 운영 중이고 전문직종의 경우 800시간까지 해외연 는자
수가 가능한 프로그램도 운영 중이다. 특히 대학생 대상으로 운영 중인 청해진대학 • 기준일자는 연수과정 종료일(수료자) 또는 중도탈락일(중도탈락자)부터 기
도 눈여겨볼 만하다. 산함
à 해외취업 연수과정에 2회 이상 참여한 자(국가, 직종, 과정, 참여연도 무관)- 연
수종료 후 취업률 산정기간 내 졸업 및 해외취업이 불가능한 자
à 연수참여(예정)일 기준 고용보험가입 또는 개인사업자 등록 중인 자
참여 대상 및 프로그램
• 단, 이사장이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경우, 일용직, 단시간 근로자, 시간제 근로
자, 군전역예정자 등은 예외로 할 수 있음
대상: 만 34세 이하로 해외취업에 결격사유가 없는 청년 / 구인업체가 요구하는 채용조건에
à 해외 연수 및 취업을 위한 해외 출입국 및 비자발급이 불가한 자
부합하는 자 (모집인원의 30% 범위 내에서 34세 초과자 모집 가능)
à 참여하는 연수과정의 취업예정국가에 연수개시일 1년 이내에 8개월 이상 해외
참여방법: 월드잡플러스 메인▶채용모집▶해외연수
체류 사실이 있는 자
구분 내용 • 단, 국내교육구성이 연수과정의 50% 이상인 과정, 교환학생 프로그램 및 청
글로벌기업, 해외 유망직종 기업과 신흥시장 일자리, 자격증 취득 등 해진 대학 연수생은 예외 인정)
K-Move 스쿨 취업국가와 기업이 필요로 하는 역량을 맞춤형으로 제공하는 국내외
연수과정

트랙 I 300시간 이상의 해외취업연수과정

트랙 II 고임금, 전문직을 목표로 하는 800시간 이상의 해외취업연수 과정

대학교 저학년 예비자 과정을 통해 해외취업 관심을 유도하고 이후


청해진대학
K-Move 스쿨 본과정으로 진행하는 과정

운영대학이 다수의 참여대학과 사업단을 구성하고 인적·물적 자원을


대학연합과정
상호 공유하여 해외취업을 지원하는 과정

PART 3 PART 3
120 121
K-Move 스쿨 신청 및 취업절차 종합 KOTRA 해외취업 지원사업

K-Move 스쿨 신청 절차는 다음과 같다. 우선, 월드잡플러스에 회원으로 가입 ▶ 해외 구인수요 발굴 및 전파

한 후 이력서나 자기소개서를 등록한다. 그 이후부터 과정별로 모집 중인 공고를 확 ▶ 글로벌 일자리 대전 개최


주요
인하고 지원한다. 이후 서류와 면접 등의 절차를 거쳐 연수생으로 선발된다. 연수생 ▶ 해외취업 설명회, 현지 채용박람회, Pin-Point 해외취업 초청 채용상담회 등
사업
은 해외취업을 위한 다양한 교육을 받게 되며, 연수 후반부에는 해외기업 알선도 병
▶ 행사별 세부 내용은 월드잡플러스와 KOTRA 해취투게더 카페에서 확인 가능
행한다. 뿐만 아니라 연수 종료일로부터 약 1년 6개월 동안 사후관리가 제공된다. 구 • 웹주소: cafe. naver.com/kotrajobinfo
체적인 내용은 아래 표를 참고하면 좋을 것이다.

OKTA는 KOTRA와 유사하게 해외 구인수요를 발굴하고 취업을 지원한다. 특히


현지 교민을 멘토로 삼아 자문을 얻을 수 있게 하고 비자비용이나 장기 체류시 보험
구분 내용 료를 지급하는 사업도 있다. 아울러, 해외취업박람회를 개최하여 한국 청년들의 해
외취업을 가이드하는 등의 사업을 벌이고 있다. 자세한 것은 OKTA 홈페이지의 글로
1) 월드잡플러스 회원가입 온라인 접수(이력서, 자기소개서 등 등록)
벌 취업지원사업 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
2) 모집공고 지원 과정별 모집요강 확인 및 지원

3) 연수생 선발 서류전형 및 면접심사

4) 연수실시 오리엔테이션 및 연수실시


OKTA 글로벌 취업지원사업
5) 취업 알선 해외기업 알선 및 면접

6) 사후 관리 연수 종료 후 1년 6개월까지
▶ 해외 구인수요 발굴 및 채용지원

▶ 현지 교민 멘토링

▶ 비자비용 및 장기체류보험 지급
주요
사업 ▶ 해외취업박람회 개최 등

▶ 지원사업에 대한 자세한 사항은 OKTA 홈페이지’글로벌취업지원사업’메뉴에


서 확인 가능
◆ KOTRA와 OKTA 해외취업 지원사업 • 웹주소: www.worldjob.or.kr/jobfairOkta/jobfairMain.do

KOTRA와 OKTA에서도 한국 청년들의 해외취업을 지원하기 위한 사업이 진행 출처: 한국산업인력공단(2023). ‘해외진출의 모든 것.’

중이다. KOTRA는 우선 해외에서 발생하는 구인수요를 파악하고 전파하는 사업을


맡고 있다. 아울러 글로벌 일자리 대전이나 박람회를 개최한다. 여기에서 해외취업
설명회 현지 채용박람회 등 다양한 프로그램이 운영된다. 자세한 것은 월드잡플러스
나 KOTRA가 운영 중인 해취투게더 카페에서 확인하면 좋다.

PART 3 PART 3
122 123
3.3 해외취업 정착 지원

◆ 취업자 경력관리 및 취업 후 지원

취업자 경력 관리 및 취업 후 지원

구분 내용

경력관리시스템 해외취업자의 직무 경력을 체계적으로 관리하는 개인별 경력관리


(월드잡플러스) 플랫폼

해외경력을 바탕으로 더 좋은 일자리로 진출할 수 있도록 경력확인


해외취업사실확인서
이 가능한 확인서

출국 전 OT 출국 전/후 필요한 현지 생활 팁 및 비즈니스 예절, 노무 정보 등 제공

국내일자리 정보 해외경력을 우대하는 국내 일자리 정보 상시제공

현지통신원 현지 생활환경 및 일자리 이슈 등 생동감 있는 정보 제공

정부지원 해외취업 사업에 참여한 구직자나 취업자가 운영기관 또


부당사례신고
는 구인기업의 부당한 행위로 받은 피해 신고 가능

해외취업자 스텝업 해외 취업 후 국내 재취업 지원서비스

해외취업자의 취업(채용), 근무과정에서 발생하는 노동분쟁 해결을


국가별 노무사 상담
위한 온라인 노무상담 서비스

마음챙김프로그램 해외취업자 마음건강을 위해 온라인 자가진단 서비스와 1:1 심화상


(EAP) 담 서비스 제공

국가별 주요 노무분쟁(근로계약, 직장 내 괴롭힘 등) 관련 법령 및


노무상담 가이드북
Q&A

ƒ 체크포인트
경력관리시스템은 역량개발 및 직무경험을 구직 단계부터 취업 후 국내 복귀단계까
지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경력관리 플랫폼으로 해외취업 준비자, 취업자, 취업
후 국내복귀자 등 누구나 활용이 가능하다.

PART 3 PART 3
124 125
◆ 해외취업 정착지원금 해외취업 정착지원금 차수별 제출서류

해외취업에 성공한 청년들의 취업초기 현지적응 및 경력개발을 통해 글로벌 인 구분 내용


재로 성장할 수 있도록 재정지원을 하는 제도로 1인당 총 3차에 걸쳐 최대 500만원
1) 취업비자 사본
까지 지원금을 받을 수 있다.
2) 근로계약서 사본
3) 재직증명서(근무시작 1개월 이후 발급)
1차 지원금 4) 본인통장사본(한국계좌일 것)
해외취업 정착지원금 지원대상, 취업인정기준, 신청절차
5) 가족관계증명서(본인기준)

구분 내용 6) 개인정보이용 및 취업정보 제공에 관한 동의서(본인)


7) 개인정보이용에 관한 동의서(부모 및 배우자)
▶ 만 34세 이하(1988년 1월 1일 이후 출생자(2023년 기준))인자

▶ 월드잡플러스에 구직 등록 후 근로계약서를 작성하고 취업한 자 1) 취업비자 사본


지원대상 2차 지원금
2) 재직증명서(근무시작 6개월 이후 발급)
▶ 신청자 본인 및 부모, 배우자, 자녀의 합산 소득이 6분위 이하인 취업자 (동일기업 근무)
3) 개인정보이용 및 취업정보 제공에 관한 동의서(본인)
▶ 이전에 정착지원금을 수령한 적이 없는 자

▶ 연봉 1,700만원 이상(’23.1.2. 고시환율 적용)


1) 취업비자 사본
3차 지원금
▶ 1년 이상의 근로계약 체결 2) 재직 증명서(근무시작 12개월 이후 발급)
취업인정기준 (동일기업 근무)
▶ 합법적으로 근로가 가능하며 취업을 목적으로 발급된 비자 소지 3) 개인정보이용 및 취업정보 제공에 관한 동의서(본인)

▶ 단순노무직종 제외(예: 청소원, 세차원, 주유원 등) 1) 취업비자 사본


2) 1 ∙ 2차 지원금 수령 당시 회사의 재직(경력)증명서
3차 지원금 (근무시작 6개월 이후 발급)
신청절차
(이직한 경우) 3) 이직한 회사의 근로계약서
4) 이직한 회사의 재직 증명서
5) 개인정보이용 및 취업정보 제공에 관한 동의서(본인)

출처: 한국산업인력공단(2022년 12월 28일). 한국산업인력공단 공고 제(2022-217호). ‘2023년도


해외취업 정착지원금 신청기한 및 지원금액 업정착지원금 사업 공고’ 자료 기반 작성.

구분 1차 2차 3차

취업 후 1개월부터 취업 후 6개월부터 취업 후 12개월 부터


신청기한
4개월까지 8개월까지 14개월까지

지원금액 250만원 100만원 150만원

*2023년도부터 국가 구분없이 동일한 금액 지원


출처: HRDK 한국산업인력공단(2023). ‘해외취업 정착지원금.’

PART 3 PART 3
126 127
ƒ 체크포인트
서류준비 유의사항
근로계약서와 재직증명서는 반드시 ‘영사관 공증, 아포스티유 확인, 취업사실확인(코
트라 무역관 및 EPS센터)’ 절차를 거친 서류로 제출
à 취업사실 확인신청 방법: 월드잡플러스▶사후지원센터▶나의경력관리▶취업
사실확인

신청 Tips

1) 가족관계증명서(취업전월 이후 발급한 본인 기준 상세본)

2) 국내송금 가능한 본인통장사본

3) 개인정보이용 및 취업정보 제공에 관한 동의서(본인)

4) 개인정보제공 동의서(부모, 배우자, 기타가족)

5) 부모님의 이혼이나 사망일 경우 취업전월 이후 발급된


부양자 기준 가족 관계 증명서(상세본)를 추가로
제출해야 함
à 자격요건, 지원절차, 지원금액 등 사업 내용은
변경될 수 있으므로, 월드잡플러스에 자세한
확인이 필요하다.

출처: 한국산업인력공단(2022년 12월 28일). 한국산업인력공단 공고 제(2022-217호). ‘2023년도


업정착지원금 사업 공고’ 자료 기반 작성.

PART 3 PART 3
128 129
4

PA R T
취업비자

4.1 취업비자 종류 및 특징 132

4.2 취업비자 신청 및 취득 139

4.3 유학비자를 취업비자로 전환 142

PART 4
130
비자 종류
4.1 취업비자 종류 및 특징
비자 종류 내용
◆ 개요
▶ 전문가, 관리자 및 기업 임원 비자
ƒ 비자(사증) 발급 및 절차
▶ 최소 월급 5,000 싱가포르 달러 및
취업, 이민 또는 90일 이상의 어학연수나 유학을 위해 싱가포르에 입국할 때 Employment Pass ▶ 관련분야 직무기술
는 체류 목적에 맞는 비자를 발급받아야 한다. 비자에는 방문비자(Social Visit Pass,
▶ 금융서비스직 최소급여 5,500 싱가포르
관광 목적 방문 포함) 외에 고용비자, 부양가족 비자 등이 있다. 외국인이 취업을 달러
전문직
위해 장기간 싱가포르에 체류하고자 할 경우에는 싱가포르 노동부(MOM)로부터 50,000 싱가포르 달러 이상 납입 자본
Employment Pass (EP), S Pass (SP), Work Permit등 신청자의 직무 및 급여에 따 기업인 비자(EntrePass)
창업가 및 기업가
라 적합한 고용비자를 발급받아야 한다. 비자발급에는 신청 후 약 3주 ~ 1달 정도가
▶ 최종 수령 월급 8,000 싱가포르 달러 이상
소요되며, 사전 건강검진을 요구하기도 한다. 싱가포르 고용비자에 대한 월 급여 조 개인고용비자(Personalized
Employment Pass)
▶ 전문가 및 관리자를 위한 가장 자유로운
건은 아래와 같다.
고용 비자

S Pass 월 3,000 싱가포르 달러 이상준 상위 숙련공

소위 CMP 분야 (Construction, manufacturing,


Work Permit: Migrant Workers marine shipyard, process or service sector)의
준숙련공

숙련직 Work Permit: Migrant Domestic


CMP 이외의 분야에서 준 숙련 인력 비자
Workers

야간 보모 전문인력 비자로 말레이시아 국민


Work Permit: Confinement Nanny
의 경우에만 가능

Work Permit: Performing Artist 공공분야 예술 및 공연 인력 전문 비자

PART 4 PART 4
132 133
◆ 취업비자 유형
5) 외국인 중 싱가포르에서 상위교육과정(Higher Learning in Singapore)을 마치고
P 또는 Q1 Pass로 최소 2년 이상 일한 경력이 있으며 연봉이 최소 34,000 싱가
ƒ 인턴 비자(Training Employment Pass, TEP)
포르 달러인 자
1) 대학생: 대학교에 재학 중인 학생으로서 싱가포르에서 인턴 근무를 희망하거나
싱가포르 정부에서 인정하는 범위 내의 교육기관의 학생으로서 학위프로그램
의 일부를 이수하고자 하는 자 개인고용 비자(PEP)는 어느 분야이든 신청 가능하며 직업을 바꾸더라도 바로 비
자를 발급받지 않아도 된다. 개인고용 비자(PEP) 소지자는 직업 없이 최대 6개월간
2) 외국회사 혹은 자회사 인턴: 자회사 인턴은 반드시 학위나 수료증을 가지고 있 직장을 알아보면서 싱가포르 체류가 가능하며 5년간 유효하다.
어야만 함(degree or diploma 소지)

3) 한 달 급여 2,800 싱가포르 달러 이상 및/또는 공인 전문 자격증 소지한 자


ƒ Employment Pass (EP)

1) 외국인 신분의 전문인력 중에서 싱가포르에서 근무하고자 하는 자


ƒ 단기 인턴을 위한 Training Work Permit (TWP)

1) 전문가 과정을 밟고 있는 자 또는 전문가가 아닌 외국인 교육생을 대상으로 하 2) 최소 4,500 싱가포르 달러 이상의 월급 및 전문 분야의 기술 및 경력이 확인
는 비자(말레이시안 제외) 된자

2) 최대 6개월까지 발급 가능. 외국학생의 경우, 싱가포르 private 교육기관에서 공 3) 동반가족 비자 신청 가능


부하는 학생도 자격 대상

3) 한 달 급여 2,800 싱가포르 달러 이상 및/또는 공인 전문자격증 소지한 자 ƒ EP 소지자 가족을 위한 비자

1) Employment Pass 또는 S Pass 소지자 중 월 고정급여가 4,000 싱가포르 달러


ƒ 개인고용 비자(Personalized Employment Pass, PEP)
이상인 자(2015년 9월 1일부터 월 고정급여 5,000 싱가포르 달러로 상향 조정)
1) 최종 수령 월급(6개월 이내)이 8,000 싱가포르 달러 이상이었던 전문직 외국인
2) 신청 비용은 60 싱가포르 달러이며 발급 시 150 싱가포르 달러 추가 소요
2) P1 Pass를 소지한 경력이 있는 외국인
3) 부양가족은 법적으로 혼인한 부인과 21세 미만의 미혼 자녀로 한정
3) P1 Pass 소지자(신청 시점으로부터 6개월 이상 실업상태이면 불가)

4) P2 Pass 소지자(최소 2년 이상 P2 Pass로 일한 경력이 있고 그 연봉이 최소


45,000 싱가포르 달러)

PART 4 PART 4
134 135
EP 소지자 가족을 위한 비자 ƒ Work Permit (WP)

비자 신청비자(가족) 대상
1) 월 급여 2,000 싱가포르 달러 미만

동반가족비자 배우자 2) 자격조건이 낮음. 국가별, 산업분야별, 자격조건이 제일 낮음


(Dependent’s Pass, DP) 미혼이며 21살 이하인 자녀
3) 동반가족 비자 신청 불가
배우자
4) WP를 발급하는 고용주는 정부에 Foreign Worker Levy를 지급할 의무가 있음
21살 이상이며 미혼인 딸
P Pass 소지자
장기체류 비자 21살 이상이며 장애를 가진 자녀 5) Levy 비율은 산업분야별, 전체 인원 중 WP 차지 비율, 전문직 혹은 비전문직에
(Long Term Visit Pass) 21살 이하인 입양아 따라 다르게 부과되며, 노동부(MOM) 사이트에서 자세한 내용 확인 가능
부모(P2 이상)
배우자의 부모(P1만 해당)
ƒ 기업투자 사증(Entrepreneurial Pass)
배우자
동반가족비자
Q1 소지자 미혼이며 21살 이하인 자녀 6) 싱가포르 기업투자 사증 신청자는 법인회사를 설립, 자본금 50,000 싱가포르
(Dependent’s Pass, DP)
급여 S$5,000 이상만 해당 달러 이상을 납입, 회사 주식의 최소 30% 이상 본인이 보유 법인을 설립한 지 6
개월 이내에만 신청이 가능

7) 다음에 해당하는 사업체의 경우 발급대상에서 제외


ƒ 취업 비자(S Pass)

1) 싱가포르에서 취업하기를 원하는 외국인(중간레벨 기술자 등)에게 발행하는 비



커피숍, 호커센터, 푸드코트(coffee shops, hawker centers, food courts), 술집, 나이트
2) 동반가족 비자 신청 불가, 그러나 월 4,000 싱가포르 달러를 받는 근로자는 동 클럽, 노래방(bars, night clubs, karaoke lounges), 마사지 샵(Foot reflexology, massage
반가족비자(Dependent’s Pass, DP) 신청 가능 parlors), 한약방(acupuncture,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herbal dispensing), 인력

3) 월 급여 2,500 싱가포르 달러 이상 에이전트, 풍수 관련 사업체(employment agencies, geomancy)

4) 학력 조건: degree or diploma, 1년 이상 풀타임으로 전문과정을 이수한 자

5) 직종: 전문직 및 기술자

6) 관련 업종 경력

7) 비자 신청을 위한 쿼터 필요(회사 내 싱가포르 근로자 3명 고용 시 한 명의 쿼


터 발급)

8) Medical insurance (2010년 1월부터 적용, 1년에 최소 15,000 싱가포르 달러


보장)

PART 4 PART 4
136 137
4.2 취업비자 신청 및 취득

◆ 취업비자 신청 시 필요 서류

싱가포르 학생비자나 창업비자의 경우 그에 맞는 서류가 필요할 수 있다. 취업


비자에 필요한 구비서류는 다음과 같다.

ƒ 취업비자 구비 서류

1) 비자별 신청 시 싱가포르 정부에 등록이 되어 있는 기업체의 스폰서가 필요하


며 통상 고용주가 해당

2) 기업의 스탬프, 신청자, 스폰서 회사 담당직원의 사인을 첨부해야 함

3) 학력증명서, 경력증명서의 경우 2년 이내에 SP를 소지했던 신청자는 제출 면제

4) Accounting and Corporate Regulatory Authority에 등록된 회사의 최근 사업 정


5) 신청자 증명사진(3개월 이내, 여권 사이즈)

6) 개인정보가 나와 있는 여권 사본

7) 최근 3개월 동안의 국민적립기금(CPF) 개인분담금 증명서

◆ 취업비자 신청 시 필수 서류

1) 고용주 인터뷰(영어)

2) 고용계약서 발급

3) 비자 서류 준비

4) 비자(IPA 승인서) 발급

5) 출국 후 원본 서류 지참해 Employment Pass Service Centre(EPSC)를 방문해 기


제출한 서류 최종 확인

PART 4 PART 4
138 139
◆ 취업비자 신청 시 주의사항

스폰서십이나 중개업체 등을 통하지 않고 직접 비자발급을 신청하는 방법으로


는 온라인 신청, 방문신청 두 가지가 있다. 그중 온라인 신청이 시간 및 비용을 절약
할 수 있기 때문에 온라인으로 신청하는 것이 좋다. 온라인으로 신청하는 경우는 서
류들을 스캔해서 업로드해야 하는데 확장자는 PDF, 파일당 2MB까지 가능하다. 서
류 내용이 잘 보이도록 스캐너에서는 150 dpi 이상을 권장하고 있으며, 영문이 아닌
서류의 경우는 번역 및 공증서류를 포함하여 제출하여야 한다.

PART 4 PART 4
140 141
4.3 유학비자를 취업비자로 전환
ƒ 체크포인트: 취업 관련 비자 갱신 유의사항

◆ 개요
WP 취업비자 주의사항
싱가포르의 워킹홀리데이 프로그램(Working Holiday Program, WHP)은 싱가
▶ 취업비자를 갱신하는 경우에 EP와 SP의 경우에는 싱가포르 국내에서도 가능하지
포르 내 특정 대학을 대상으로 하고 있고, 각기 다른 자격조건을 적용하고 있다. 산 만, WP의 경우에는 반드시 싱가포르에서 출국하고 돌아와 갱신해야 함
업분야 역시 다르기 때문에 유학비자를 취업비자로 전환하는 점에 관한 이해가 필
▶ 이에 WP를 소지한 사람들은 싱가포르에서 출국하고 입국하는 데 따르는 여러 가
요하다. 지 비용을 감안하여, 싱가포르와 국경이 맞닿아 있는 말레이시아 조오바루(Johor
Bahru)와 같은 곳에 차를 타고 국경만 넘었다 들어와서 갱신하는 경우도 많음. 이
러한 행위는 물론 합법적이지만, 문제가 되는 것은 취업비자가 아니라 관광비자로
들어와 불법으로 일을 하고 비자가 만료되면 잠깐 국경을 넘었다가 다시 관광비자
◆ 학생비자 로 들어와 계속 일하는 경우임

▶ 이런 일이 반복되면 결국 적발될 수밖에 없는데, 한번 비자와 관련하여 위법행위


싱가포르에서 인정하는 교육기관에서 full-time 교육을 받는 자로서, 비자 기간
가 적발되면 다시는 싱가포르에 관광을 목적으로도 입국할 수 없게 된다는 점을
은 교육기간에 따라서 다르며, 교육기관에서 발급한다. 동반가족비자(DP)를 가진 사 명심해야 함
람은 비자와 관계없이 학생비자를 발급받지 않고도 수학할 수 있다. 비자 종료 후에
는 1달의 유예기간 동안 싱가포르에 체류할 수 있다.

◆ 취업비자로 전환

학생비자를 발급받은 상태로 취업이 되는 경우에 일반 취업비자 발급과 같은


절차가 진행된다. 보통 신청 후 3일에서 7일 내로 결과를 알 수 있고, 비자발급 완료
(in-principle approval, IPA) 승인이 나면 회사에서 알려주는 절차대로 진행하면 된
다. 학생비자는 자동으로 Work Permit으로 바뀌게 된다.

비자발급 완료(IPA) 승인 후 회사에서 주는 서류를 갖고 medical check up을


받고, 회사에서 이를 노동부(MOM)에 제출하면 방문일을 정하게 된다. 방문일에 사
진 촬영 후 지문 등록을 완료하면 3일에서 5일 사이에 회사에서 신청한 주소로 신분
증(identification card, IC)이 배송된다. Immigration에 자동으로 연계되므로 별도의
비자 전환은 하지 않아도 된다.

PART 4 PART 4
142 143
5

PA R T
정착 및 생활정보

5.1 정착 146

5.2 생활 151

5.3 생활 에티켓 161

PART 5
144
5.1 정착
ƒ 체크포인트: 무관세 반입 허용범위 및 반입 금지 품목

◆ 공항 안내1
▶ 싱가포르 입국 시 면세 한도는 최대 500 싱가포르 달러
입국 시 싱가포르 국제공항인 창이공항(Changi Airport)은 싱가포르 도심에서
▶ 18세 이상이며 싱가포르 입국 전 말레이시아 외 다른 국가에서의 체류시간이 48시
동쪽으로 약 20 km 떨어진 곳에 위치하고 있다. 공항에서 시내까지 이동하고자 할
간 이상인 경우 1인당 주류 상품 2리터까지 무관세로 반입 허용
경우, 지하철(Mass Rapid Transit, MRT), 버스, 공항셔틀, 택시(약 20 달러) 등 각종
▶ 껌 및 전자담배 등 궐련(일반)담배 외 담배 류 반입이 금지됨
대중교통 수단을 이용할 수 있다. 한국에서 싱가포르 창이공항으로 취항하는 직항편
* 싱가포르 보건부는 2018년 2월부로 비 일반 담배제품의 구매, 사용, 소지를 금지
은 대한항공, 아시아나항공, 싱가포르항공 등에 마련되어 있으며, 소요시간은 약 6시
하였으며 위반 시 최대 2천 싱가포르 달러의 벌금이 부과됨
간 30분이다. 단, 코로나19로 인해 운행정보는 상시 변경될 수 있다.
▶ 담배는 면세 비적용 대상으로 관세와 상품서비스세(Goods and Services Tax,
GST)를 납부해야 함. 세관신고를 하지 않거나, 거짓된 신고를 할 경우
담배 1갑 당 최대 200싱가포르 달러의 벌금이 부과됨.
담배의 반입 최대 허용 한도는 이미 개봉된 담배 1갑
◆ 비자 및 통관 절차2
(총 20개비 미만)임

90일 관광비자가 발급되므로 별도의 비자 신청은 불필요하나, 여권 유효기간 ▶ 세부정보는 싱가포르 관세청(www.customs.gov.sg)
이 6개월 이상인지 확인해야 한다. 입국 시 출입국 카드를 작성 및 제출해야 하며, 되 참조

돌려 받은 출국카드는 출국 시 제출해야 하므로 필히 보관해두어야 한다(코로나19


방역지침에 따라 상이할 수 있음).

◆ 화폐 반/출입 및 환전3

현지화는 싱가포르 달러(S$)이며, 주화는 1, 5, 10, 20, 50 센트 및 1 싱가포르 달


러 6종, 지폐는 2, 5, 10, 50, 100, 1,000 싱가포르 달러 6종이 있다.

싱가포르 내 은행, 공항, 환전소(Money Exchanger)에서 환전 가능하며 특별한


규제가 없다. 또한, 브루나이(Brunei) 화폐는 싱가포르에서 법정화폐로 인정받아 싱
가포르 달러와 같이 동일하게 사용 가능하다.

대부분의 상점에서 비자, 마스터카드, 아멕스 등 해외 신용카드 사용이 가능하


나, 현찰만을 취급하는 경우도 있으니 소액의 비상용 현지화를 소지할 필요가 있다.
2만 싱가포르 달러 이상 송금, 운반, 수납 시 신고가 의무화되어 있다.

1) 출처: KOTRA 무역자료실(2022년). KOTRA 싱가포르무역관. ‘2022 해외출장 가이드: 싱가포르’ 자료 기반 작성.

2) 출처: KOTRA 무역자료실(2022년). KOTRA 싱가포르무역관. ‘2022 해외출장 가이드: 싱가포르’ 자료 기반 작성. 3) 출처: KOTRA 무역자료실(2022년). KOTRA 싱가포르무역관. ‘2022 해외출장 가이드: 싱가포르’ 자료 기반 작성.
PART 5 PART 5
146 147
◆ 기후 및 복장4 ▶ 대중교통
적도 부근에 위치하여 연중 고온 다습하며 일교차가 적은 편이다. 연중 기온은
지하철과 버스 요금은 거리에 따라 다르나 보통 1.7 싱가포르 달러 내외이다. 세
28 ~ 32도 사이이며, 9 ~ 10월은 다소 기온이 낮은 우기로 접어드는 시기이며, 11 ~
븐일레븐 및 역에서 판매하는 ez-Link 카드(T머니와 유사) 구입 시 편리하다.
1월은 우기, 5 ~ 7월은 가장 더운 건기이다. 연평균 우천 일수는 167일로 번개를 동
반한 비가 잦다.

한국의 한여름에 준하는 더운 날씨로 인하여 남성들의 일반적인 정장 차림은 양


▶ 팁
복 바지에 와이셔츠이며 넥타이는 생략되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에어컨이 강하게 가
동되기 때문에 카디건, 자켓 등을 준비하는 것이 좋다. 팁은 별도 지급이 불필요하다. (호텔룸 청소, 벨보이 등은 2 싱가포르 달러 정
도가 적당)

◆ 기타 참고사항5
▶ 응급상황
▶ 시차
응급상황에는 앰뷸런스 ‘995’, 경찰 ‘999’로 전화하면 된다.
싱가포르(GMT+8)와 한국(GMT+9)의 시차는 1시간으로, 싱가포르가 한국보다
1시간이 늦다. 주 5일 근무(평일 09:00 ~ 18:00)가 일반적이다.

◆ 코로나19 관련 유의사항6

싱가포르 정부의 출입국 정책 사항에 따라 수시 변동되니 상세 사항은 싱가포


▶ 전기
르 이민국(Immigration and Checkpoints Authority, ICA) 홈페이지 및 대사관 공지
230V/50HZ를 사용하며 플러그는 3PIN 타입을 사용한다(2PIN 연결잭 구입 사항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단, 2023년 2월 13일부터 싱가포르에 도착하는 여행자
가능). 에 대하여 코로나19 관련 제한 조치가 시행되지 않는다.

◆ 최저임금 관련 유의사항
▶ 택시
싱가포르는 최저임금이 법적으로 정해져 있지 않으며 임금은 근로자와 고용주
기본요금은 3.2 ~ 3.9싱가포르 달러이며, 시간 및 거리 병산제로 운영된다. 도심 간의 합의에 따라 결정된다.
(Central Business District, CBD)에서는 Taxi Stand에서 탑승해야 하며, Grab과 같
은 차량 호출 서비스가 보편화되어 있다.

4) 출처: KOTRA 무역자료실(2022년). KOTRA 싱가포르무역관. ‘2022 해외출장 가이드: 싱가포르’ 자료 기반 작성.

5) 출처: KOTRA 무역자료실(2022년). KOTRA 싱가포르무역관. ‘2022 해외출장 가이드: 싱가포르’ 자료기반작성. 6) 출처: 싱가포르 이민국(n.d.). ‘Entering Singapore’ 자료 기반 작성.
PART 5 PART 5
148 149
5.2 생활

◆ 물가 정보
ƒ 물가 전망

2023년 2월 싱가포르 근원물가 상승률(core inflation)이 14년 만에 가장 높은


5.5%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되었다.

싱가포르에서 서비스 물가상승 폭이 완화되었으나 전기 요금과 소매 물가가 가


파르게 상승하면서 전반적인 물가 수준이 오름세를 기록했다. 근원물가 상승률은 개
인 교통 및 숙박 요금을 제외한 물가 지표로서 싱가포르 가계 지출을 더 정확하게 반
영한다는 장점이 있다. 싱가포르에서 2022년 10 ~ 12월 사이에 근원물가 상승세가
주춤했으나 2023년 1월부터 상품·서비스 가격이 오름세를 나타내면서 근원물가가
다시 상승 국면으로 전환되었다. 한편, 싱가포르의 근원물가 상승률은 2022년 10월
전까지 8개월 연속 오름세를 나타낸 바 있다.

싱가포르 물가정보표 (1 USD: 1.32 SGD)

No. 구분 품목 단위 금액

1 식품 햄버거(맥도날드 빅맥) 단품 5.47

2 식품 비빔밥 (한식당 기준) 1인분 12.83

3 식품 김치찌개백반 (푸드코트 기준) 1인분 5.51

4 식품 신라면 (컵라면) 1개 1.25

5 음료 커피(스타벅스-아메리카노) 1잔 4.3

6 음료 생수(마트, 최저가) 1병 0.78

7 식품 쌀 1kg 2.78

8 의료 병원진료비 (몸살감기 내과초진) 37.74

9 교통 시내버스요금 기본요금 (현금) 1.28

10 교통 지하철요금 기본요금 (현금) 1.89

11 교통 택시요금 기본요금 3.06

12 서비스 헤어컷 (시내중심가, 외국인 애용) 1회 37.74

13 서비스 인터넷 월사용료 (무계약) 43.77

PART 5 PART 5
150 151
No. 구분 품목 단위 금액
ƒ 소비자 물가지수7

14 서비스 특급호텔(5성급) 1박 정상요금 (싱글) 300 종합물가 지표로 사용되는 소비자 물가지수(Consumer Price Index, CPI)는
15 서비스 중급호텔(3성급) 1박 정상요금 (싱글) 150 2023년 2월 6.3%를 기록하며 전월 6.6% 대비 하락하였다. 싱가포르 통화청(MAS)
16 여가 담배 1갑 11.71 과 싱가포르 산업통상부는 2023년 2월 소비자 물가지수를 6.4%로 전망한 바 있다.

17 여가 소주(한식당내 판매 최저가) 360ml 12.08 한편, 통화청(MAS)은 2023년 전체 소비자 물가상승률 전망을 5.5 ~ 6.5%로, 근원

대졸 사무직 초임(중상급 대졸, 영어구 물가상승률 전망을 3.5 ~ 4.5%로 유지하였다.


18 임금 월 급여 3,170.05
사)

19 임금 생산직 초임(학력무관, 초임) 월 급여 1,660.5

국제/사립학교(고등학교 3학년) 수
20 학비 연간 30,870 ◆ 통장 개설
업료

21 식품 쌀 1 kg 2.78 싱가포르 내 모든 은행은 통화청(MAS)의 인·허가를 받아 운영된다. 지로시스템


22 식품 식빵 400 g 2.42 을 통한 전기, 전화요금, 세금 납부와 입출금기(ATM) 방식이 고도로 발달하였고 일

23 식품 고기 1 kg 12.83 상에 널리 퍼져 있어 보다 나은 고객 서비스를 제공한다. 싱가포르 내의 모든 은행에

24 식품 계란 10개 2.64 서는 크게 당좌예금(current account)과 저축예금(saving account), 정기적금(time

25 식품 우유 1L 2.66
deposit) 등의 예금 상품을 제공하며, 계좌 신설(open account)을 위해서는 실명제
도가 원칙이므로 신분증(EP, DP 또는 학생비자)과 여권을 지참하여 본인이 직접 방
26 식품 식용유 2L 5.89
문해야 한다.
27 주거 전기요금 1 kWh 0.24

28 주거 수도세 ㎥ 1.15
예를 들면 POSB에서는 계좌 신설 시 당좌예금의 경우 500싱가포르 달러, 저
29 주거 가스비 1 kWh 0.13 축 예금의 경우 100 싱가포르 달러의 초입금(minimum initial deposit)을 요구한다.
30 의료 의료보험료(1인) 년 2,415.28 수표(Check)를 사용하는 당좌예금의 경우 잔고 부족이나 부도일 경우 벌금 수수료
31 의료 진료비(일반내과) 초진, 보험X 113.22 (월 7.50 싱가포르 달러)를 지불하며, 입출금 내역서(statement)를 매달 받아 볼 수
32 차량 자동차등록비 1600 cc 이상 78,285.9 있다. 단, 외국인의 경우 고용이 불확실할 시 통장 개설에 2,000 ~ 3,000 싱가포르
33 차량 전기차 충전 요금 1㎾ 0.42 달러로 다소 높은 최소 예금액을 요구하는 경우가 있다.
34 통신 국제전화 요금 분 0.11
은행 계좌 폐쇄 시엔 은행에 통보할 수 있다. 또는 잔고가 ‘0’인 상태로 1 ~ 2달
35 통신 휴대전화 요금 분 15.1
이 지나면 은행에서 계좌를 자동으로 폐쇄 처리한다. 싱가포르의 대표적인 은행으로
36 통신 인터넷 사용료 1개월 55.54
는 POSB, DBS, UOB가 있으며, 그 외에 기타 외국계 은행으로는 HSBC, Standard
37 서비스 TV 수신료 1개월 12.08
Chartered, Citi Bank 등이 있다. 영업은 보통 평일은 9:30 ~ 15:00까지, 토요일에
38 서비스 OTT 구독료(YouTube, Netflix, HBO 등) 1개월 9.8
는 9:30 ~ 11:30까지이다. 하지만 은행마다, 각 지점마다 영업시간이 다르므로 이용
39 서비스 세탁소(드라이클리닝) 셔츠1벌 5.2
시 확인해야 한다.
40 기타 국경일수 연간 11

출처: KOTRA 해외시장뉴스(2023년 5월 16일). ‘싱가포르 물가정보’ 자료 기반 작성.


7) 출처: The Straits Times (2023년 3월 24일). Claire Huang. ‘Singapore core inflation holds firm at 14-year high of 5.5% in
February’ 자료 기반 작성.
PART 5 PART 5
152 153
은행 연락처 ƒ 인터넷

싱가포르 내 인터넷 사업자로는 Singtel(Singnet), Starhub, M1 등이 있다. 각


한국은행 현지지점 현지은행
사업자에서 정한 양식을 기재하여 제출하거나 해당 사업자와 인터넷 사이트를 방
DBS/POSB: 1800-111-1111
신한은행: 6536-1144 문해 그곳에 비치된 양식으로 신청할 수 있다. 싱가포르 케이블티브이(Singapore
OCBC Bank: 1800-438-3333
외환은행: 6536-1633 Cable Vision, SCV)가 설치되어 있다면 케이블 TV선을 이용하는 인터넷을 신청할
Standard Chartered Bank: 1800-747-7000
우리은행: 6223-5855 수 있다. 케이블 TV 신청은 위의 Singtel(Mio TV) 또는 Starhub에서 신청이 가능하
UOB Bank: 1800-222-2121
하나은행: 6438-4100 며 선택한 채널의 종류에 따라 월정액 시청료를 지불한다.
Citibank: 1800-225-5225
한국산업은행: 6224-8188
HSBC: 1800-786-6666

◆ 병원 이용

싱가포르는 국민보건과 의학체계가 잘 갖추어진 나라이다. 개인병원 및 공립병


원은 우수한 전문 의료진과 현대적인 의료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24시간 응급

◆ 휴대폰 개통 실을 운영하고 있다. 병원진료를 받으려면 여권(신원 확인 서류), 의사 소견서, 지불


보증 등이 필요하다.
현지 USIM카드 구입 시 한국 휴대폰을 현지에서 바로 사용할 수 있다. 선불
USIM은 선불 요금제라고 생각하면 된다. 휴대폰 기종에 따라 세팅을 다시 해야 하는
경우도 있다. 장기 체류하는 경우에는 현지 휴대폰 개통이 용이하나, 기존의 한국 전
화를 사용할 수는 없다는 점을 고려해야 한다. 현지 이동통신사는 Singtel, Starhub,
M1이며, 요금제나 이동통신망은 유사하다. Singtel이 가장 큰 이동통신사이다. 싱가
포르는 한국과 달리 전화 수신 시에도 요금이 청구되므로 주의하여야 한다.

◆ 각종 유틸리티 개설

ƒ 전화

신규 전화선을 신청하려면, 신청 양식을 작성한 후 여권이나 신분증과 함께 신


청서를 전화국에 제출하면 된다. 보통 신청일로부터 1주일 정도면 신규 전화선이 연
결되는데, 특급으로 신청하면 2 ~ 3일 만에 연결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추가요금을
지불해야 한다. 외국인의 경우 고용비자가 있으면 보증금 없이 전화를 신청할 수 있
으나, 비자가 없는 경우에는 200 싱가포르 달러 정도의 보증금이 필요하다.

PART 5 PART 5
154 155
싱가포르 병원 ◆ 긴급 연락처 및 헬프데스크

▶ SGH은 300명 정도의 전문의와 1,600환자를 돌볼 수 있는 싱 긴급 연락처


Singapore General 가포르에서 가장 큰 종합병원이다.

Hospital ▶ 주소: Outram Road, Singapore 169608 ▶ 소방서/긴급 앰뷸런스: 995


▶ Tel: 6222-3322, Fax: 6224-9221 Emergency numbers
(싱가포르 국립병원) ▶ 일반 앰뷸런스: 1777
in Singapore
▶ 홈페이지: www.sgh.com.sg
▶ 경찰서: 999
Singapore National ▶ 주소: 11 Third Hospital Avenue, Singapore 168751
▶ MRT Information Center: 1800 336 8900
Eye Centre ▶ Tel: 6227-7255, Fax: 6227-7290 교통편 문의 번호
▶ SBS Passenger Relation Center: 1800 287 2727
(싱가포르 국립안과) ▶ 홈페이지:http://www.snec.com.sg
▶ City Cab Pte Ltd: 552 2222
▶ 주소: 17 Third Hospital Avenue, Singapore 168752
National Heart Centre Taxi services ▶ NTUC Comfort: 552 1111
▶ Tel: 6436-7800, Fax: 6224-7629
(국립심장센터)
▶ 홈페이지: http://nhc.com.sg ▶ TIBS Taxis Pte Ltd: 481 1211

▶ 주소: 11 Hospital Drive, Singapore 169610 ▶ Application for global talent discovery
National Cancer Centre à Tel: 82-2-3460-7384/7395
▶ Tel: 6436-8000, Fax: 6225-6283
(국립암센터) à E-mail: contactkorea@kotra.or.kr
▶ 홈페이지: http://nccs.com.sg
KOTRA Help Desk ▶ Employment recommendation letter for E-7 visa issuance
▶ 주소: 5 Second Hospital Avenue, Singapore 168938
National Dental Centre service
▶ Tel: 6324-8910, Fax: 6324-8810
(국립치과센터)
à Tel: 28-2-3460-7387
▶ 홈페이지: http://www.ndc.com.sg à E-mail: contactkorea@kotra.or.kr

KK Women’s & KK 병원은 임신부들이 가장 선호하는 최신 시설의 병원이다.


Children’s ▶ 주소: 100 Bukit Timah Road Singapore 229899
Hospital ▶ Tel: (65) 6294-4050, Fax: (65) 6394-1700
(KK부인, 어린이병원) ▶ 홈페이지: http://www.kkh.com.sg/ ◆ 유용한 앱
국립대학 병원은 1985년 정부 주도로 개원되었고 2,000여명의
전문요원들과 957명의 환자를 돌볼 수 있는 싱가포르 최고의 대
1) 코닷싱(Kodotsing): 싱가포르 한국 교민들을 위한 어플리케이션. 한인업소 주
National University 소록을 한눈에 볼 수 있으며, 음식점, 헤어, 마트 등 길 찾기, 전화번호부 사용
학 병원이다.
Hospital 이 가능하다.
▶ 주소: 5 Lower Kent Ridge Road, Singapore 119074
(국립대학병원)
▶ Tel: (65) 6779-5555, Fax: 6779-5678
2) SG Next Bus: 버스정류장 및 도착시간을 알려주는 어플리케이션. 버스가 도착하
▶ 홈페이지: http://www.nuh.com.sg/
면 알려주는 알림 기능을 포함하고 있다.
마운트 알버니아 병원은 1961년 가톨릭에서 세운 종합병원이다.
매우 친절하고 임신부들이 출산을 선호하는 곳 중의 하나이다.
3) WeatherLah: 싱가포르는 빈번하게 비가 내리기 때문에 날씨 체크를 꼼꼼히 해
Mount Alvernia Hospital 야 한다. 비, 온도 등 싱가포르의 기후에 대한 모든 것을 실시간으로 알려준다.
▶ 주소: 820, Thomson Road, Singapore 574623
(마운트 알버니아 병원)
▶ Tel: (65) 6347-6688 4) 팝콘: 보고 싶은 영화를 예매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 케세이, 골든빌리지 등 영
▶ 홈페이지: http://www.mtalvernia-hospital.org/ 화에 따라 영화관을 선택할 수 있고, 좌석 예매도 가능하다.
PART 5 PART 5
156 157
5) HungryGoWhere: 싱가포르 최대 음식 어플리케이션으로 식당 정보와 리뷰가
있다.

6) GoThere.sg: 버스, MRT, 택시, 자가용을 타고 여행을 다닐 때 필수 어플리케이


션. 목적지까지 걸리는 시간과 비용을 알려주며, 주차 요금 확인도 가능하다.

7) MyTransport: 싱가포르 교통정보 어플리케이션. 버스 도착시간, ERP요금, 교통


정보를 실시간으로 알려주는 기능이 있다.

8) HereGotSale: 싱가포르에서 세일하는 정보들을 한눈에 알려주는 어플리케이션.


각종 프로모션 및 할인 행사를 보여준다.

◆ 방 구하기8

싱가포르는 쉐어하우스가 매우 보편적이다. 방 한 칸에 최소 600 싱가포르 달


러는 예상을 해야 한다. 다음은 싱가포르 해외취업자 외국인이 거주할 만한 방이다,

1) Common room: 화장실이 없는 방 한 칸이다.

2) Master room: 화장실이 있는 방 한 칸이다. 커먼룸 보다 넓어 커플이 거주하기


적당하다.

3) Studio: 우리나라의 원룸이다.

4) Whole unit rent: 집 전체를 빌리는 것이며 일부 방을 세놓을 수도 있다.

8) 출처: 피피공간(2022년 7월 9일). 피피PP. ‘싱가포르/싱가포르 꿀팁 정보: 싱가포르 방 구하기 팁! 체크리스트 확인’.
PART 5 PART 5
158 159
5.3 생활 에티켓

◆ 복장

연중 고온 다습하므로 간편한 여름 복장이 일반적이다. 와이셔츠, 양복 바지


에 넥타이를 매면 정장으로 무난하다. 단, 공식적인 파티나 대형 이벤트 같은 경우
에는 자켓을 입는 경우가 종종 있으며 대부분의 큰 건물과 대중교통 수단, 전시회장
같은 곳에서는 에어컨이 강하게 작동하고 있으므로 긴 팔 와이셔츠나 카디건을 준
비할 필요가 있다. 갑작스럽게 비가 내리는 경우가 많으므로 휴대용 우산을 구비하
는 것이 좋다.

◆ 인사

국제적인 비즈니스 도시인만큼 일반적인 에티켓을 따르면 큰 무리가 없다. 단


인종별로 나타나는 특징을 참고할 필요가 있다. 중국계의 경우 악수로 시작하는 일반
적인 서구식 비즈니스 문화를 가지고 있으며 목례도 가능하다. 말레이 계열의 경우,
여성이 먼저 손을 내밀었을 경우를 제외하고, 이성과는 악수를 하지 않는 것이 일반
적이며, 인도계일 경우도 이성끼리는 악수보다는 고개를 숙이며 인사한다.

◆ 선물

선물 역시 인종별로 차이점이 나타나는데, 중국계의 경우 가위나 칼등은 절교


를 의미하고 꽃, 시계, 손수건 등도 장례식과 관련된 이미지이므로 피해야 한다. 선
물 포장은 빨간색, 핑크색, 노란색이 좋으며, 흰색, 파란색, 검은색 계열은 피해야 한
다. 기본적으로 홀수보다는 짝수를 선호하며 8은 행운이나 재산, 9는 장수를 의미하
기 때문에 좋아하는 숫자이다.

말레이 계열의 경우 술을 선물해서는 안 되며, 남성이 여성에게 선물을 할 경우


오해를 사지 않도록 유의해야 한다. 보통 만날 때보다 떠날 때 선물을 준다. 흰색은 죽
음을 상징하기 때문에 포장으로 좋지 않으며 빨간색이나 녹색을 사용하며, 돼지, 왼
손 사용 등에 대한 이슬람 문화권의 기본적인 상식을 이해하고 접근할 필요가 있다.

PART 5 PART 5
160 161
인도계의 경우, 집에 초대를 받았을 때는 반드시 선물을 준비하며 초콜릿이나 유서 개념이 상대적으로 희박하기 때문에, 어리다는 이유로 상대방을 가볍게 보는
인도 과자가 무난하며 소와 관련된 제품 선물은 금기이다. 흰색이나 검은색보다는 붉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은색, 노란색, 녹색, 파란색 등 밝은 원색 계열로 선물을 포장하는 것이 좋다.
뇌물수수에 대해서는 엄격한 법률이 시행되고 있어, 공무원들은 선물을 받는 것
자체를 꺼리는 경우가 많다. 선물을 주고받는 관행이 보편화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선물을 주더라도 과다한 것보다는 간단한 기념품 등이 바람직하다.
◆ 약속
싱가포르는 크게 중국계 74.1%, 말레이계 13.4%, 인도계 9.2%, 기타 3.3%로 구
업무상 상대편을 방문해야 할 경우, 미리 방문 사유, 일정 등을 조율하고 확답을
성된 다민족 국가이다. 일찍부터 외국인 투자유치에 주력하여 다국적기업 및 지역
받은 후 방문해야 하며, 시간 엄수는 필수적이다. 특히 물류, 외자유치, 의료 등 다양
본부가 많이 소재해 있으며, 외국인 거주 비율이 전체 인구의 30%에 이른다. 서울과
한 분야에서 벤치마킹을 위해 방문하는 기업 혹은 인사들이 많기 때문에 약속 없이
유사한 크기의 도시국가이면서 그 안에 다양한 민족과 종교, 문화가 융화되어 흥미
불쑥 방문하는 것은 상당한 실례이며, 미팅 자체가 불가능할 가능성이 높다. 미팅을
로운 사회를 이루고 있다. 따라서 싱가포르에서는 만나는 사람의 민족 및 종교에 따
하게 되면 부수적인 이야기는 길지 않고, 업무에 관한 본론으로 바로 들어가는 경우
라 해당 민족 및 종교 별 역사/문화적 특이사항 및 금기사항들을 고려하여 행동하는
가 많으며, 대부분 업무 진행도 군더더기 없이 깔끔하게 진행된다.
것이 바람직하다.

◆ 식사
◆ 주요 용어
개인 사생활을 중요시하기 때문에 저녁식사 약속은 피하는 것이 좋으며, 점심
싱가포르는 영어를 사용하기 때문에 대부분의 의사소통이나 용어는 기본 영어
식사 약속이 무난하다. 처음 만나는 상대일 경우 식사 자체가 부담이 될 수 있으므로
회화를 할 수 있으면 충분하다. 하지만 일상생활에서 발견했을 때 이해하기 어려운
식사는 어느 정도 안면을 익힌 상태에서 제안하는 것이 좋다. 메뉴나 장소 선정에 있
싱가포르의 용어를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
어 상대편이 채식주의자이거나 무슬림일 경우가 있으므로 사전에 관련 내용을 확인
해 둘 필요가 있다.

◆ 문화적 금기사항

현지인들의 시간관념이 철저하므로 약속 시간 엄수는 필수적이다. 오랫동안 영


국의 지배를 받아온 영향으로 국민의 의식 구조가 서구화되어 있으며 여성의 사회
진출도 매우 활발하다. 많은 국가기관 및 기업에서 여성들이 활동하는 것을 쉽게 볼
수 있으며 직장 내에서도 중요 직책을 맞고 있는 등 능력에 맞는 대우를 받고 있어 여
성을 남성보다 낮게 보는 분위기는 찾아보기 힘들다. 동양적인 사고방식도 존재하여
일반적으로 나이가 많은 사람에 대해 존경심을 보이며, 처음 만나는 자리에서는 연
장자나 직급이 높은 사람에게 먼저 상대방을 소개한다. 하지만 젊은 층의 경우, 장유

PART 5 PART 5
162 163
▶ Certificate of Entitlement (COE): 차량 소유 허가증

▶ Community club/Center (CC): 싱가포르에서 인종이나 사회 통합을 위한 센터 129

▶ Electronic read pricing (ERP): 톨게이트 비용

▶ Expressways: 고속도로

▶ ez-Link card: 싱가포르 교통카드

▶ Giro: 싱가포르에서 은행계좌를 통해 공제되는 지불 시스템

▶ 공공주택(HDB) flats: 싱가포르 국유 아파트/ 하우징

▶ Mass Rapid Transit (MRT): 싱가포르 지하철

◆ 주요 인터넷 커뮤니티9

싱가포르 생활에 도움이 될만한 대표적 커뮤니티는 다음과 같다.

▶ 싱가폴 사랑: https://cafe.naver.com/singaporelove

▶ 인사이드 싱가포르: https://cafe.naver.com/insidesingapore

▶ 싱가포르 물어보살: https://cafe.naver.com/asksing

▶ 코트라와 함께 싱가포르 취업: https://cafe.naver.com/kotrasingapore

▶ 싱가포르에서 살기: https://cafe.naver.com/ivymint

9) 출처: 네이버 카페(n.d.). ‘싱가포르’ 검색결과.


PART 5 PART 5
164 165
6

PA R T
해외취업 Q&A 168

PART 6
166
Q 싱가포르에서는 어느 정도의 급여를 받아야 안정적인 생활이 가능한가요? Q 싱가포르에서 외국인 취업이 어려워진 것이 사실인가요?

A 싱가포르의 경우 주거비가 비싼 편이기 때문에 대략 2,500 싱가포르 달러 정도 A 2013년 이후 외국인 취업이 어려워진 것은 사실이다. 특히, 경력을 요구하지 않
는 받아야 기본적인 생활이 가능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싱가포르에서는 특별 는 신입직의 경우 낮은 임금이나 힘든 업무로 인하여 싱가포르 현지인이 기피
한 사례를 제외하고는 직원을 대상으로 하는 주거비 지원은 없으므로 주거비가 하는 직종을 제외하면 영어 수준이 높지 않은 한국인이 취업하는 것은 상당히
급여의 지출항목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상당하다. 하지만, 싱가포르에서도 외곽 힘들 수 있다. 이에 반하여 1 ~ 2년의 업무 경력을 요구하는 주니어 레벨 경력직
지역에서 룸메이트나 하우스 메이트와 함께 거주하는 경우에는 주거비가 대폭 의 경우 비교적 외국인 구직자에게 문호가 넓다고 할 수 있다. 현지 취업알선 컨
절감되면서 2,500 싱가포르 달러에 훨씬 못 미치는 수준의 급여라도 나름대로 설턴트에 따르면, 싱가포르 신입직 준비에 시간과 노력을 들이기보다는 한국의
생활을 할 수 있다고 한다. 어느 국가에서나 마찬가지이겠지만, 거주하는 지역 중소기업에서 1 ~ 2년의 업무 경력을 쌓고 경력직에 지원할 때에 취업가능성이
에 따라 최저 생계를 위한 급여 수준이 달라질 수 있다. 주거비 등 싱가포르 생 훨씬 높아진다고 한다.
활 물가 정보는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KOTRA)에서 운영하는 글로벌 윈도우 웹
사이트에 자세하게 소개되어 있으니 이를 참고하기 바란다. 직장 신입직원들의
경우 조호바로와 같은 인근의 저렴한 지역에서 거주하는 경우가 아니라면, 2명
Q 싱가포르 호텔의 경우 급여수준이 상당히 낮은데 생활하는데 지장은 없나요?
이상의 하우스메이트와 한 집을 공동으로 임차하는 경우가 일반적이다. 이 시
기가 싱가포르 취업자들에게 가장 힘든 시기일 수 있다. 이후 싱가포르 내에서 A 싱가포르 호텔의 경우 업계 최고 수준의 연봉이 1,800 싱가포르 달러 정도로 낮
급여는 한국과는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빠르게 상승하기에, 처음 시기의 어려 은 편이다. 다만, 전통적으로 호텔산업의 급여수준이 낮다는 점과 업무 중에는
움을 견뎌내기 위한 굳은 의지가 필요하다. 식사가 제공되어 물가가 높은 싱가포르에서 식비가 절약되는 점을 감안할 필요
가 있다. 물론 이러한 급여가 싱가포르에서 생활하기에 충분하지는 않으나, 경
력 개발의 측면에서 이러한 낮은 급여에도 싱가포르 호텔에서 근무하는 이유가
있다. 우선, 싱가포르는 아시아의 주요 비즈니스 도시 중 하나이며 최고 수준의
Q 싱가포르 취업을 위해 요구되는 영어실력은 어느 정도인가요?
호텔들이 많이 위치하고 있어서 싱가포르 호텔에서 쌓은 경력은 세계적으로 인
A 싱가포르 항공사는 토익 등의 점수가 아니라 실제 업무를 진행하기에 필요한 말 정받는 경향이 있다. 이런 이유로 유수의 호텔 관련 전공자들도 졸업 후에 낮은
하고, 듣고, 이해하고 쓰는 영어가 중요하다. 영어를 공용어로 사용하는 국가이 급여에도 불구하고 싱가포르에서 근무하는 것을 선택하는 경우가 있다. 게다가
므로 좋은 영어실력은 취업의 필수 전제조건이라 할 수 있다. 하지만, 외국인이 싱가포르 호텔에서는 승진이 빠르고 용이하여 비교적 단시간에 관리자가 될 수
기에 영어를 원어민 수준처럼 요구하지는 않는다. 직장에서 요구되는 영어 말하 있고 이와 함께 급여의 수준도 함께 개선된다. 꼭 호텔업종이 아니더라도 싱가
기와 듣기의 수준은 직종이나 직위에 따라 다르겠지만, 업무 중 의사소통에 무 포르에서 세계적인 기업에 취업하는 경우에 경력개발이나 이후 경력 인정 등의
리가 없는 정도라면 괜찮다고 한다. 영어 쓰기(writing)와 관련해서는 이메일을 측면에서 유사한 이점을 가질 수 있으므로 이러한 점을 싱가포르 취업 시에 적
작성하는 데 큰 무리가 없는 정도면 된다. 요약하자면, 한국에서 정규 교육과정 극 고려할 필요가 있다.
에서 10여 년 간 열심히 영어를 학습해온 구직자라면 초기에 다소 어려운 시기
를 지나고 나면 금방 익숙해질 것이다.

PART 6 PART 6
168 169
Q 싱가포르에서 근로계약을 할 때 주의할 사항은 어떤 것들이 있나요?

A 싱가포르에서는 채용계약서를 꼼꼼히 읽어보고 다양한 계약조건들을 요구해


야 한다. 특히, 싱가포르의 병·의원들이 전부 영리 기관이라 높은 의료비용을 개
인이 부담하는 것은 어려우므로, 다양한 채용계약 조건들 중에 의료보험을 제
공하는지 여부와 어느 정도로 의료비용을 부담해 주는지를 면밀히 따져보는 일
이 필요하다. 의료보험은 한국과 조금 체계가 다른데, 크게 insurance와 medical
benefit으로 나누어진다. Insurance라 불리는 의료보험은 입원이나 수술과 같은
심각한 질병이나 부상에 대한 의료비를 지원하고, medical이라고 부르는 의료
보험은 클리닉이라 불리는 의원 혹은 치과 등 아주 심각하지 않지만 치료를 요
하는 경우에 받은 의료서비스에 대한 비용을 지원한다. 회사마다 insurance만
제공을 한다거나 제공 범위 등이 상당히 다르기 때문에 협상의 여지가 클 수 있
으므로 문제가 있다면 적극적으로 지적하고 요구하는 것이 좋다.

Q 싱가포르 취업을 위하여 민간 알선업체를 이용하고자 하는데 주의할 사항이 있


나요?

A 싱가포르에서 취업을 알선하는 민간 업체(agency)는 등록을 하는 것이 의무사


항인데 이러한 의무사항을 지키지 않고 영업을 하는 미등록 업체가 일부 있다.
게다가 취업알선업체에서 알선업무를 담당하는 직원(agent)도 등록을 해야 한
다. 이러한 취업을 알선하는 업체와 개인은 모두 등록번호(license number)를 가
지고 있어야 하므로 민간 알선업체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반드시 등록번호를 확
인하여 적법하게 영업을 하고 있는지 확인하는 일이 필수이다. 등록번호는 굳이
업체에 문의할 필요 없이 싱가포르 노동청 홈페이지에서 간단하게 검색할 수 있
다(https://services.mom.gov.sg/eadirectory/). 이 외에 주의할 사항으로는 민간
알선업체가 얼마나 많은 취업처를 확보하고 있는지 확인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
다. 싱가포르 현지 취업알선업체의 담당자에 따르면 싱가포르 유수의 기업들은
자신들이 직원을 뽑고자 할 때 연락하는 민간 알선업체 리스트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민간 알선업체들 외에는 기업들에서 직원 채용과 관련된 정보를 좀처럼
제공하지 않으므로, 한국에 위치한 민간 알선업체들이 이러한 고급채용정보를
얻는 것은 쉽지 않다.

PART 6
170
해외취업 완전정복 싱가포르

도서명 해외취업 완전정복 싱가포르


발행인 이우영
발행처 고용노동부, 한국산업인력공단
발행일 1판 1쇄 17.03.24
1판 2쇄 18.11.22
1판 3쇄 22.01.10
2판 1쇄 23.12.04
홈페이지 www.worldjob.or.kr
디자인 지식펜
ISBN 979-11-5799-546-2
ⓒ 고용노동부, 한국산업인력공단, 2023

본 책의 2판 1쇄는 수정 및 업데이트 되었으며 일부는 이전 1판 3쇄의 내용을 유지했습니다.


저자의 의견과 한국산업인력공단의 의견은 다를 수 있음을 알려드리며,
본 책 내용의 전부 또는 일부를 재사용하려면 반드시 저작권자의 동의를 받으셔야 합니다.
비매품/무료

해외취업준비의 시작과 끝은 월드잡플러스


www.worldjob.or.kr ISBN 979-11-5799-546-2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