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6

단원별 적중 테스트

과목 과학 대단원 5. 동물과 에너지 소단원 (2) 순환

1. 혈관과 혈액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4. 다음 중 모세 혈관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동맥혈은 정맥혈보다 적혈구가 많아서 더 붉다. 온몸에 그물처럼 퍼져 있다.


모세 혈관은 총 단면적이 넓어서 혈류 속도가 가장 혈류 속도가 느려 혈압이 가장 낮다.
느리다. 조직세포에 산소와 영양소를 공급한다.
동맥은 혈류 속도가 느려서 혈관벽이 두껍고, 적혈구 한 개가 지나갈 정도로 매우 가늘다.
탄력적이다. 한 겹의 세포층으로 이루어져 있어 혈액과 조직세포
모세 혈관은 한 겹의 세포벽으로 되어 있어 물질 교환에 사이의 물질 교환이 쉽게 일어난다.
유리하다.
정맥은 혈류 속도가 빨라 혈액의 역류를 방지하는
구조가 있다.

2. 다음 중 혈액 순환의 의의로 가장 타당하다고 생각되는 것은?

5. 다음은 혈액을 관찰하기 위한 실험 과정이다.


체온을 일정하게 유지한다.
심장이 쉬지 않고 계속 박동하게 한다.
세포의 생명 활동에 필요한 물질을 운반한다. (가) 손가락 끝을 채혈침으로 찔러 혈액을 받침 유리 위에
혈압이 일정하게 유지하게 한다. 떨어뜨리고 덮개 유리로 밀어 얇게 편다.
세포에서 생긴 노폐물을 항문으로 운반한다. (나) 에탄올을 1~2방울 떨어뜨린 후 말린다.
(다) 김사액을 한 방울 떨어뜨리고 3분 후 물로 씻은 다음 말려
덮개 유리를 덮고 현미경으로 관찰한다.

이 실험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

<보기>
ㄱ. 과정 (나)는 혈구를 고정시키기 위한 것이다.
3. 그림은 혈액을 나타낸 것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ㄴ. 과정 (다)의 김사액은 적혈구의 핵을 염색한다.
ㄷ. 백혈구가 가장 많이 관찰된다.





ㄱ,ㄴ
ㄱ,ㄷ
A는 식균 작용을 한다.
B는 영양소, 노폐물을 운반한다.
C는 출혈 시 혈액을 응고시킨다.
D는 산소를 운반하며, 혈구 중 수가 가장 많다.
D는 염색을 하면 뚜렷하게 관찰되는 핵이 있다.

1
:
6. 고산 지대에 사는 사람의 적혈구 수는 평지에 사는 사람보다 8. 판막은 혈액의 역류를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다음 중 판막이
많다고 한다. 그 이유를 가장 잘 설명한 것은? 존재하지 않는 곳은?

고산 지대에는 공기가 희박하여 적혈구 수를 늘려 우심방과 우심실 사이


체온을 유지하기 위해서 좌심방과 좌심실 사이
고산 지대는 기압이 낮으므로 적혈구 수를 늘려 혈액 좌심실과 대동맥 사이
응고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대정맥과 우심방 사이
고산 지대에는 공기가 희박하여 적혈구 수를 늘려 면역 우심실과 폐동맥 사이
기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고산 지대 사람들은 헤모글로빈 수치가 낮으므로
적혈구 수를 늘려 부족한 영양분을 공급하기 위해서
고산 지대에는 공기가 부족하여 적혈구 수를 늘려
조직세포에 산소를 충분히 공급하기 위해서

9. 그림은 혈액 순환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정맥혈이 흐르는 곳끼리


바르게 짝지어진 것은?

7. 다음은 여러 사람들의 혈액 1 ㎣ 당 혈구 수를 정상인과 비교하여


나타낸 표를 보고 학생들이 나눈 대화이다.

A, B
A, F
B, C
B, E
E, F

10. 심장 박동 과정으로 옳은 것은?

심방과 심실 이완 → 심실 수축 → 심방 수축
심방과 심실 이완 → 심방 수축 → 심실 수축
심실 수축 → 심방 수축 → 심실과 심방 이완
심실 수축 → 심방과 심실 이완 → 심실 수축
​ 심방 수축 → 심방과 심실 이완 → 심실 수축

세 사람의 상태를 옳게 예상한 사람끼리 모두 바르게 짝지은 것은?

다인
준섭, 선우
다인, 지수
다인, 선우, 지수
준섭, 선우, 지수

2
:
11. 다음 그림은 혈액이 두 층으로 분리된 모습이다. (가)에 대한 13. 위 심장 구조에서 다음 설명에 해당하는 구조가 없는 곳은?
설명으로 옳은 것은?
심장 근육의 수축 시 혈액을 일정한 방향으로 흐르도록 하여
혈액이 거꾸로 흐르는 것을 방지한다.

(가)와 (나) 사이
(나)와 C 사이
(다)와 D 사이
(다)와 (라) 사이
(라)와 B 사이

헤모글로빈을 가지고 있다.


14. 다음 중 그림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보기에서 모두 고른
산소 운반의 역할을 한다.
것은?
영양소와 노폐물을 운반한다.
혈액 응고 작용을 한다.
체내에 들어온 세균을 잡아먹는 일을 한다. <보기>
ㄱ. (가)와 (다)는 심방으로, 혈액이 들어오는 곳이다.
ㄴ. (가)와 (다)가 수축할 때 혈액은 (나)와 (라)로 들어간다.
ㄷ. 심장에서 나가는 혈액이 흐르는 혈관은 A와 D이다.
ㄹ. (라)는 심장에서 근육이 가장 두꺼운 곳이다.
12. 다음 중 사람의 심장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ㄱ,ㄴ
2개의 심방과 2개의 심실로 이루어져 있다. ㄱ,ㄴ,ㄷ
심방과 심실의 규칙적인 수축, 이완 운동을 심장 ㄱ,ㄴ,ㄹ
박동이라고 한다. ㄱ,ㄷ,ㄹ
심방은 정맥과 연결되어 있고, 심실은 동맥과 연결되어 ㄴ,ㄷ,ㄹ
있다.
좌심실은 혈액을 온몸으로 내보내기 때문에 우심실의
근육보다 두껍다.
심장은 혈액을 받아들이는 심실과 혈액을 내보내는
심방으로 구성되어 있다.
15. 다음 그림은 심장 박동 과정을 순서 없이 나타낸 것이다.

[13~14] 다음 그림은 사람의 심장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가) 시기는 심방이 수축한다.


(나) 시기는 심실이 수축하여 혈액이 동맥으로 나간다.
(다) 시기는 혈액이 심방에서 심실로 이동한다.
심장 박동 순서는 (가)→(다)→(나)이다.
이와 같은 심장 박동 수는 맥박 수와 같다.

3
:
16. 다음 그림은 사람의 심장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이에 대한 18. 다음 그래프는 혈관의 특징 중 일부를 나타낸 것이다.
설명으로 옳은 것은?


2심방 1심실 구조이다. 각 혈관의 특징을 옳게 비교한 것을 다음 보기에서 모두 고른


(다)는 좌심실로 폐정맥과 연결되어 있다. 것은?
심장으로 혈액이 들어오는 곳은 (나)와 (라)이다.
혈액이 (나)에서 (가)로 거꾸로 흐르는 것을 막기 위해
<보기>
판막이 있다.
ㄱ. 혈압의 세기: 동맥>모세 혈관>정맥
혈관 B는 폐동맥이고, C는 대동맥이다.
ㄴ. 혈류 속도: 정맥>모세 혈관>동맥
ㄷ. 혈관 벽의 두께: 정맥>모세 혈관> 동맥
ㄹ. 혈관의 총 단면적: 모세 혈관>정맥>동맥

ㄱ,ㄴ
ㄱ,ㄷ
ㄱ,ㄹ
ㄴ,ㄷ
ㄷ,ㄹ

17. 다음 그림은 심장의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그림에서 동맥혈이


흐르는 곳으로 바르게 짝지어진 것은?

19. 그림은 사람의 혈관을 모식화한 것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가), (나), (다), (라)
(마), (바), (사), (아)
(나), (다), (라), (아) [보기]
(가), (마), (바), (사) ㉠ 혈액은 C → B → A의 방향으로 흐른다.
(가), (라), (마), (아) ㉡ A는 심실에서 나온 혈액이 흐르는 혈관이다.
㉢ B는 혈액과 조직세포 사이에 물질 교환이 일어난다.
㉣ A는 혈관벽이 두껍고 탄력성이 강하여 높은 혈압을 견딜 수
있다.

㉠, ㉡
㉡, ㉢
㉠, ㉡, ㉢
㉠, ㉢, ㉣
㉡, ㉢, ㉣

4
:
20. 다음 그림은 사람의 심장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이에 대한 22. 다음은 사람의 혈관과 그에 대한 설명을 나타낸 것이다. 옳지
설명으로 옳은 것은? 않은 것은?

B와 D는 심실로 혈액을 (나), (다)로 내보낸다.


우심방인 C는 (라)로 들어오는 혈액을 받아들인다. ​
A, B가 동시에 이완하고 C, D는 동시에 수축한다.
판막은 (다)와 B, (나)와 D 사이 두 곳에만 존재한다. 혈압의 세기는 A > B > C이다.
B는 온몸으로 강하게 혈액을 밀어내야 하므로 내벽이 혈액이 흘러가는 순서는 A → C → B이다.
가장 두껍다. 조직세포와 물질 교환을 하는 혈관은 C이다.
(가)는 혈액이 거꾸로 흐르는 것을 막는 판막이다.
A는 동맥, B는 정맥, C는 모세 혈관이다.

[23~24] ※ 다음 그림은 사람의 혈액 순환 경로를 나타낸


21. 다음 그래프는 혈관 속을 흐르는 혈액에 들어 있는 산소의 양을 것이다.
나타낸 것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



<보기>
ㄱ. (가)를 흐르는 혈액은 동맥혈이다.
ㄴ. (가)는 폐동맥, (다)는 폐정맥이다.
ㄷ. (나)는 폐의 모세 혈관이다.

23. 다음 중 그림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ㄱ,ㄷ (가)와 (나)를 흐르는 혈액의 산소 양은 같다.
ㄴ,ㄷ (다)는 대정맥으로, 산소가 적은 혈액이 흐른다.
ㄱ,ㄴ,ㄷ 혈관 벽은 (다)가 (라)보다 두껍다.
A와 D에는 산소가 많이 포함된 혈액이 흐른다.
C에서 나간 혈액이 B로 돌아오는 혈액 순환은 온몸
순환이다.

5
:
24. 다음 중 정맥혈이 동맥혈로 바뀌어 심장으로 돌아오는 경로를
옳게 나타낸 것은?

A→(다)→온몸→(라)→D
B→(나)→폐→(가)→C
C→(라)→온몸→(다)→A
C→(가)→폐→(나)→B
D→(라)→온몸→(다)→A

25. 다음 그림은 혈액 순환의 경로를 나타낸 것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A는 폐동맥으로 동맥혈이 흐른다.


C와 D에는 산소가 풍부한 혈액이 흐른다.
온몸 순환 경로는 (다) → A → C → (나)이다.
(라)에서 나간 혈액이 (가)로 돌아오는 순환이
폐순환이다.
(나)에서 심장 밖으로 나간 혈액은 영양소와 산소를
세포에 전달해 주고 B로 돌아온다.

6
: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