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2

1 1학년 과학탐구실험 반: 번: 이름:

이론2 ABO식 혈액형 응집 반응


( )

1. 항원 항체 반응
1) ( ) : 외부에서 몸속으로 침입한 이물질(세균, 바이러스, 먼지, 꽃가루
( )
등)로 면역 반응을 유도할 수 있는 분자나 그 분자의 일부분이다.
2) ( ) : 양쪽에 Y자 모양의 항원과 결합하는 부위를 가진 면역 단백질
로 항원과 결합하여 항원을 무력화시킨다.
3) 항원 항체 반응의 특이성 : 특정 항체는 항원 결합 부위에 맞는 입체 구
4. ABO식 혈액형의 판정
조를 가진 특정 항원하고만 결합한다.
항A혈청, 항B혈청에 혈액을 떨어뜨렸을 때 나타나는 응집 반응으로 ABO식
혈액형을 판정한다.
1) 항A혈청 : 응집소 ( )가 존재 -> 응집원 ( )가 있으면 응집반응 나타남
2) 항B혈청 : 응집소 ( )가 존재 -> 응집원 ( )가 있으면 응집반응 나타남

( )형

2. 혈액의 응집 반응
혈액의 응집 반응은 항원에 해당하는 ( )과 항체에 해당하는 ( )
사이에 항원 항체 반응이 일어나 적혈구가 서로 엉기는 현상이다.

3. ABO식 혈액형의 구분 5. ABO식 혈액형의 수혈 관계


응집원(항원)은 ( ) 표면에, 응집소(항체)는 ( )에 있다. 같은 혈액형끼리 수혈하는 것이 원칙이지만, 이론적으
1) 응집원 종류 : 응집원 ( ), 응집원 ( ) 로 혈액을 주는 사람의 응집원과 혈액을 받는 사람의
2) 응집소 종류 : 응집소 ( ), 응집소 ( ) 응집소 사이에 응집 반응이 일어나지 않으면 다른 혈
3) 응집원의 종류에 따라 ( )형, ( )형, ( )형, ( )형으로 구분한다. 액형끼리도 소량 수혈이 가능하다.

양청고등학교 생명과학 엄지수


2 1학년 과학탐구실험 반: 번: 이름:

실험2 ABO식 혈액형 판정


탐구활동:
1. 우리반 친구4명의 혈액형 판정하기
탐구과정:
친구 이름 항A혈청
1. 슬라이드 위 혈액에 항 A혈청과 항 B혈청을 각 한 방울씩 떨어뜨린다.
이 때, 혈청끼리 섞이지 않도록 주의한다. ㉠

2. 왼쪽 검지 또는 새끼 손가락을 알콜 스왑으로 소독하고, 채혈침(란셋)으 ㉡


로 찔러 혈액을 채취한 후, 적당량의 혈액을 슬라이드의 세 군데에 섞이

지 않도록 떨어뜨린다.

3. 이쑤시개를 이용하여 혈청과 혈액을 잘 섞은 후, 응집 반응을 관찰한다. ㉣


(혈청에 따라 각기 다른 이쑤시개를 사용한다)

2. 나는 친구 ㉠, ㉡, ㉢, ㉣ 중 누구에게 수혈이 가능하고, 누구에게서 수혈을 받을


수 있는지 화살표(소량수혈 : ⇢ (점선 화살표), 대량수혈 : → (실선 화살표))
를 사용하여 나타내시오. (단, ABO식 혈액형만 고려한다.)

㉡ ( )
( )형

양청고등학교 생명과학 엄지수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