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9

2학년 상문고등학교 2학기 중간고사

생명과학1 내신코치에서는 전국 최신 기출문제를 완전무료로 제공합니다.

1. 그림 (가)는 배양 중인 어떤 동물의 체세포 조직 3. 그림은 어떤 사람의 핵형 분석 결과와 번


번 염
에서 세포당 DNA 양에 따른 세포 수를,
zb1)
zb
zb
zb1)1)
1) zb3)
zb
zb
zb3)3)
3)

수를, (나)는 이 색체 개를


개를 확대하여 나타낸 것이다.
것이다.
조직을 구성하는 세포의 세포 주기를 나타낸 것이
다. ㉠~㉣은 G 기, S기
기, G 기, M기를
기를 순서 없이
나타낸 것이고,
것이고, ㉢ 시기에는 핵막이 사라지는 세포
있다..
가 있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


보기>에서 있는 대
로 고른 것은?
것은?

<보기>
ㄱ. 이 핵형 분석 결과에서 관찰되는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있는 대로 고르면?
고르면? 상염색체의 염색분체 수
성염색체 수
  이다.
구간 에는 ㉠ 시기의 세포가 있다.
ㄴ. 이 사람의 낫 모양 적혈구 빈혈증 여부를 알 수 있
구간 에는 방추사를 구성하는 단백질이 합성되는
다.
세포가 있다.
시기의 세포 
세포 당 DNA양은    이다.
ㄷ. ㉠과 ㉡은 부모에게서 각각 하나씩 물려받은 것이
시기의 세포  다.

구간 에서 가 염색체가 분리된다. ㄱ ㄴ

세포에 방추사 형성을 억제하는 물질을 처리하면 구간 ㄱ, ㄷ ㄴ, ㄷ


의 세포 수가 증가한다. ㄱ, ㄴ, ㄷ

2. zb2)
zb
zb
zb2)2)
2) 그림 (가)는 사람에서 체세포의 세포 주기를,
주기를, 4. zb4)
zb
zb
zb4)4)
4) 그림은 어떤 동물 종의 세포 (가)~(라
)~(라) 각각에 들
(나)는 사람의 체세포에 있는 염색체의 구조를 나 어 있는 모든 염색체를 나타낸 것이다.것이다. (가)는 개체
것이다. ㉠~㉢은 각각 G 기, M기
타낸 것이다. 기, S기
기 중 하 A의 세포이고, (다)는 개체 B 의 세포이다.
의 세포이고, 세포이다. (나)와
나이고, 특정 형질에 대한 유전자형은 Tt이다 (라)는 A와 와 B 의 세포를 순서 없이 나타낸 것이고,
것이고,
이 동물 종에서 성염색체는 암컷이 XX , 수컷이
나이고, 이다.
이다.

XY 이다
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있는 대로 고르면?
고르면?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
보기>에서 있는 대
㉠ 시기에 ⓒ가 관찰된다. 로 고른 것은?
것은? (단, 돌연변이는 고려하지 않는다.)
않는다.)
㉡ 시기에 핵형 분석할 수 있는 세포가 있다. <보기>
ⓑ의 구성단위는 아미노산이다. ㄱ. A는 수컷이다.
ⓐ에는 당이 있다. ㄴ. (나)는 B 의 세포이다.
ⓓ는 t를 가지고 있다. ㄷ. (가)와 (나)의 핵상은 같다.
ㄱ ㄴ 6. zb6)
zb
zb
zb6)6)
6) 다음은 어떤 집안의 유전병 ㉠과 ㉡에 대한 자
ㄱ, ㄷ ㄴ, ㄷ 료이다.
료이다.
ㄱ, ㄴ, ㄷ ㉠은 유전병 대립유전자 A와 정상 대립유전자 a에
의해 결정된다.
㉡은 유전병 대립유전자 B 와 정상 대립유전자 b에
의해 결정된다.
A는 a에 대해, B 는 b에 대해 완전 우성이며, ㉠의
5. zb5)
zb
zb
zb5)5)
5) 그림은 어떤 사람의 세포 로부터 난자가 형성
유전자와 ㉡의 유전자 중 하나는 상염색체에 있고, 나
머지는 X 염색체에 있다.
과정을, 표는 세포 ㉠~㉣의 세포 개당
되는 과정을, 개당 대립
유전자 A b d의 의 DNA 상대량을 나타낸 것이다.
표는 가족 구성원에서 G 기의 체세포 개당 유전자
것이다.
A b d는 a B D 의
A a B b의 DNA 상대량을 나타낸 것이다. 구성원
는 각각 대립유전자이다.
대립유전자이다.
∼ 는 각각 ㉠~㉣ 중 하나이고, 하나이고, 는 중기의
세포이다.. A a B b D d 각각의 개당
세포이다 개당 DNA  ∼ 은 어머니, 아들, 딸을 순서 없이 나타낸 것이다.

DNA 상대량
상대량은 같다 같다..

A a B b
아버지 ?  ? 
구성원     ?
구성원  ?   ?
구성원   ?  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보기>에서 있는 대


로 고른 것은?
것은? (단, 돌연변이와 교차는 고려하지 않
는다.)
는다 .)
DNA 상대량
세포
A b d
<보기>
ㄱ. ㉠은 상염색체 유전 형질이다.
  
ㄴ. 구성원는 어머니이다.

ㄷ. 아버지와 어머니 사이에서 셋째인 남자아이가 태어
 

  날 때, 이 아이가 ㉠과 ㉡을 모두 가질 확률은  이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보기>에서 있는 대 다.
로 고른 것은?
것은? (단, 돌연변이와 교차는 고려하지 않 ㄱ ㄴ
는다.)
는다 .) ㄱ, ㄷ ㄴ, ㄷ
<보기> ㄱ, ㄴ, ㄷ
ㄱ. ㉠은 이다.
ㄴ.    이다.
B의 DNA 상대량
염색체 수
ㄷ. ∼ 중 세포 개당  은 가

가장 크다.
ㄱ ㄴ
ㄱ, ㄷ ㄴ, ㄷ
ㄱ, ㄴ, ㄷ
7. 그림은 철수네 가족에서 상염색체에 의해 유전 8. 그림 (가)는 유전자형이 AaBb인
인 어떤 사람의 체
개당 DNA 상대
zb7)
zb
zb
zb7)7)
7) zb8)
zb
zb
zb8)8)
8)

되는 가지 자료를, 표는 가지


가지 형질에 대한 자료를, 가지 형질 세포 분열 과정 중 일부에서 핵 개당
에 대한 대립 형질을 나타낸 것이다.
것이다. 량을,, (나)는 이 사람의 감수 분열 과정 중 일부에
량을
개당 DNA 상대량을 나타낸 것이다.
서 핵 개당 것이다.
t일 때 B의 DNA 상대량 t일 때 B의 DNA 상대량
t일 때 A의 DNA 상대량
 t일 때 A의 DNA 상대량

은 보다

작다. t 일 때 세포에는 유전자 A가


작다. 있다. A와
가 있다. 와 a
B 와 b는
는 각각 대립유전자이며,
대립유전자이며, 각 유전자는 서로
다른 상염색체에 있다.
있다.

머리카락
형질 미맹 귀지 상태
모양
곱슬머리, 마른 귀지,
대립 형질 미맹, 정상
직모 젖은 귀지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 보기>에서 있는 대
(가)에 해당하는 철수의 여동생이 태어날 확률은?
확률은? (단,
로 고른 것은?
것은? (단, 돌연변이와 교차는 고려하지 않
으며,, 유전자 A a B b 각각의 개당
개당 DNA 상대량
접합이고, 가지
직모의 유전자형은 열성 동형 접합이고, 가지 형질
으며
은 모두 독립적으로 유전된다.)
유전된다.)
은 이다
이다.)
이다 .)
 

 

<보기>
ㄱ. 세포의 핵상은 t 일 때와 t 일 때가 같다.
 

 
 ㄴ. 구간 과 에서 염색 분체가 분리된다.
상염색체 수
ㄷ. 세포 개당  는 t 일 때와 t 일 때가


 성염색체 수
같다.
ㄱ ㄷ
ㄱ, ㄴ ㄴ, ㄷ
ㄱ, ㄴ, ㄷ
9. zb9)
zb
zb
zb9)9)
9) 그림은 어떤 남자에서 G  기의 세포 로부터 정 10.zb10)
zb
zb
zb
10)
10)
10) 다음은 어떤 사람의 유전 형질 (가)와 (나)에 대
과정을, 표는 세포 ㉠~㉣의 세포 
자가 형성되는 과정을, 한 자료이다.
자료이다.
개당 유전자 A a B b D d의의 DNA 상대량을
(가)는 서로 다른 상염색체에 있는 쌍의 대립유전자
A와 a B 와 b에 의해 결정된다.
나타낸 것이다.
것이다. ㉠~㉣은 ∼ 를 순서 없이 나타
것이다.. A와
낸 것이다 와 a B 와 b D 와 d는
는 각각 대립유
(가)의 표현형은 유전자형에서 대문자로 표시되는 대
전자이다..
전자이다
립유전자의 수에 의해서만 결정되며, 이 대립유전자의
수가 다르면 (가)의 표현형이 서로 다르다.
(나)를 결정하는 유전자는 (가)를 결정하는 유전자와
서로 다른 상염색체에 존재한다. (나)는 쌍의 대립유
전자에 의해 결정되며, 대립유전자에는 D E F가
있다.
(나)의 표현형은 총 가지이며, 유전자형이 DD DE
인 경우 표현형이 같고 FF EF 인 경우 표현형이 같
다.
(가)와 (나)의 유전자형이 AaBbDF인 부모 사이에서
자손 ⓐ가 태어날 때, ⓐ에게서 나타날 수 있는 표현

DNA 상대량
형은 최대 ( ㉠ )가지이다.
세포
A a B b D d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보기>에서 있는 대

? ? ?
로 고른 것은?
것은? (단, 돌연변이와 교차는 고려하지 않
  
? ?
는다.)
는다 .)
  
     <보기>
 ?   ㄱ. ㉠은 이다.
ㄴ. (가)는 다인자 유전 형질, (나)는 단일 인자 유전 형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
보기>에서 있는 대
질이다.
로 고른 것은
것은?? (단, 돌연변이와 교차는 고려하지 않
으며, 유전자 A a B b D d
으며, 개당 DNA
각각의 개당 ㄷ. ⓐ에서 (가)와 (나)의 표현형이 모두 부모와 다를 확
같다.)
상대량은 같다 .) 
률은  이다.

<보기>
ㄱ ㄷ
ㄱ.     이다.
ㄴ. ㉡에서 a와 B 는 서로 다른 성염색체에 있다.
ㄱ, ㄴ ㄴ, ㄷ

D의 DNA 상대량
ㄱ, ㄴ, ㄷ

a의 DNA 상대량 B의 DNA 상대량


ㄷ. 세포 개당 

은 G 기의 세포와 ㉠에서 같다.

ㄱ ㄷ
ㄱ, ㄴ ㄴ, ㄷ
ㄱ, ㄴ, ㄷ
11.zb11)
zb
zb
zb
11)
11)
11) 다음은 어떤 집안의 유전병 ㉠, ㉡과 ABO 식 혈 12.zb12)
zb
zb
zb
12)
12)
12) 다음은 사람의 유전병 ㉠과 ㉡에 대한 자료이다.
자료이다.

㉠은 대립유전자 A와 a에 의해, ㉡은 대립유전자 B


액형에 대한 자료이다.
자료이다.

㉠은 대립유전자 H와 h 에 의해 ㉡은 T와 t에 의해 와 b에 의해 결정되며, 각 대립유전자 사이의 우열 관


결정된다. H는 h 에 대해, T는 t에 대해 각각 완전 계는 분명하다.
우성이다. 그림은 어떤 가족의 가계도를 나타낸 것이다. 의 ㉠
ABO식은 각각 대립유전자 A B O에 의해 결정된 과 ㉡에 대한 표현형은 표시하지 않았다.
다.
㉠의 유전자와 ㉡의 유전자 중 하나는 ABO식 혈액
형 유전자와 연관되어 있고, 나머지 하나는 성염색체
에 있다.
에서 ㉠의 유전자형은 동형 접합이며 체세포 개당
t의 수는 이 보다 많다.

은 A와 B 만 가지며, 의 생식 세포 중 B 가 있는
생식 세포의 비율은 ⓐ이다.
과  사이에서 아들이 태어날 때, 이 아들이 ㉠에
대해 정상일 확률은 ⓐ이다.
의 유전자형은 AaBb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
보기>에서 있는 대
로 고른 것은?
것은? (단, 돌연변이는 고려하지 않는다.)
않는다.)

<보기>
ㄱ. 는 로부터 a와 B 를 모두 물려받았다.
ㄴ. ㉠과 ㉡은 모두 정상에 대해 열성 형질이다.
ㄷ. 와  사이에서 아이가 태어날 때, 이 아이에게서

 의 의  의 의

구분
㉠과 ㉡이 모두 나타날 확률은  이다.
적혈구 적혈구 적혈구 적혈구

항A
- ? + -
ㄱ ㄷ
혈청
항B
ㄱ, ㄴ ㄴ, ㄷ
- ? - +
혈청
ㄱ, ㄴ, ㄷ

(+: 응집됨, -: 응집되지 않음)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보기>에서 있는 대


로 고른 것은?
것은? (단, 돌연변이와 교차는 고려하지 않
는다.)
는다 .)

<보기>
ㄱ. 는 A와 t가 연관된 염색체를 가진다.
ㄴ. 의 ABO식 혈액형에 대한 응집 반응 결과는 과
같다.
ㄷ. 의 동생이 태어날 때, 이 아이에게서 ㉠과 ㉡이 모두

발현되고 ABO식 혈액형이 O형일 확률은  이다.




ㄱ ㄴ
ㄱ, ㄷ ㄴ, ㄷ
ㄱ, ㄴ, ㄷ
13. 그림은 어떤 생태계의 구성 요소를 나타낸 것이 15. 그림은 어떤 개체군의 생장 곡선을 나타낸 것이
다. A ∼ C 는 생산자,
zb13)
zb
zb
zb
13)
13)
13) zb15)
zb
zb
zb
15)
15)
15)

생산자, 소비자,
소비자, 분해자 중 하나이다.
하나이다. 다. ⓐ와 ⓑ는 각각 이론적 생장 곡선과 실제 생장
곡선 중 하나이다.
하나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


보기>에서 있는 대
로 고른 것은?
것은?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있는 대로 고르면?
고르면? <보기>

A는 유기물로부터 무기물을 합성한다.


ㄱ. ㉠은 개체군의 생장을 억제하는 요인인 환경 저항이

B 는 종속 영양 생물이다.
다.

C 에는 버섯과 광합성 세균이 있다.


ㄴ. ⓑ의 경우 (다) 구간에서는 환경 저항이 작용하지 않
는다.
두꺼비는 차 소비자이다. ㄷ. 실제 생장 곡선에서 개체간의 경쟁은 (가) 구간에서
나비의 계절형은 (가)의 예시에 해당한다. 보다 (나) 구간에서 더 심하다.
ㄱ ㄷ
ㄱ, ㄴ ㄴ, ㄷ
ㄱ, ㄴ, ㄷ

14.zb14)
zb
zb
zb
14)
14)
14) 다음은 초식 동물과 식물의 생태에 관한 설명이

16.
다.
zb16)
zb
zb
zb
16)
16)
16) 그림 (가)는 세 가지 유형의 생존 곡선을,
곡선을, 그림
토끼풀은 초식 동물의 먹이가 된다.
(나)는 (가)의 생존 곡선에 대한 사망률 곡선을 나
산딸기는 초식 동물을 방어하기 위한 가시가 발달되 것이다..
타낸 것이다
어 있다.
초식 동물이 미모사의 잎을 건드리면 미모사의 잎이
오므라든다.
이 자료에 공통으로 나타난 생태계 구성 요소 간의 관
계에 해당하는 사례로 옳은 것만을 <보기>
보기>에서 있는
것은?
대로 고른 것은 ?
<보기>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
보기>에서 있는 대
ㄱ. 눈신 토끼와 스라소니의 개체수는 주기적으로 변동 로 고른 것은?
것은?
한다. <보기>
ㄴ. 보리는 종자를 심은 후 일정 기간의 저온 상태를 거 ㄱ. ㉠은 한 개체로부터 한 번에 태어나는 자손의 수가
쳐야 종자를 맺는다. 가장 적다.
ㄷ. 외래 어종인 큰입 배스의 개체수가 증가하면 토종 ㄴ. B 의 사망률 곡선은 ㉡이다.
어류의 개체수가 감소한다.
ㄷ. ㉢은 어릴 때 부모의 보호를 받는 대형 포유류 개체
ㄱ ㄴ 군에서 주로 나타난다.
ㄱ, ㄷ ㄴ, ㄷ ㄱ ㄷ
ㄱ, ㄴ, ㄷ ㄱ, ㄴ ㄴ, ㄷ
ㄱ, ㄴ, ㄷ
17.zb17)
zb
zb
zb
17)
17)
17) 그림은 일정한 공간에 서식하는 어떤 개체군의 19.zb19)
zb
zb
zb
19)
19)
19) 다음은 어떤 집안의 유전병 ㉠과 ㉡에 대한 자
생장을 조사한 자료이다.
자료이다. 료이다.
료이다.

㉠과 ㉡을 결정하는 유전자는 같은 염색체에 존재한


다.
㉠과 ㉡은 각각 대립유전자 A와 a B 와 b에 의해
결정되며, A와 B 는 각각 a와 b에 대해 완전 우성이
다.
  는 각각 ㉡에 대한 대립유전자 B 와 b 중 한
종류만 가지고 있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


보기>에서 있는 대
로 고른 것은?
것은?
<보기>
ㄱ. 환경 저항은 (다) 구간부터 나타난다.
ㄴ. 개체수의 평균 증가율은 (나) 구간에서 가장 높다.
ㄷ. (가)에서 개체군의 생장은 사망률보다 출생률의 영향
을 더 크게 받는다.
ㄱ ㄷ
ㄱ, ㄴ ㄴ, ㄷ
(1) 유전병 ㉠과 ㉡이 우성 형질인지 열성 형질인지 쓰고
ㄱ, ㄴ, ㄷ
그렇게 판단한 근거를 서술하시오.

(2) 와 의 ㉠과 ㉡의 유전자형을 쓰고, 그 사이에서 아


이가 태어날 때 ㉠과 ㉡을 모두 가질 확률을 구하시

18.
오.
zb18)
zb
zb
zb 18)
18)
18) 그림은 식물 군집의 천이 과정 중 일부를 나타
낸 것이다.
것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


보기>에서 있는 대
로 고른 것은?
것은?

<보기>
ㄱ. A는 B 에 비해 종 구성의 변화가 빠르다.
ㄴ. B 의 우점종은 C 의 우점종보다 보상점이 높다.
ㄷ. B 에 산불이 발생하면 차 천이가 나타난다.
ㄱ ㄷ
ㄱ, ㄴ ㄴ, ㄷ
ㄱ, ㄴ, ㄷ
20. 사람의 유전 형질 쌍의 대립유전자 H와
는 쌍의 와 21. 그림은 피라미를 먹이로 하는 은어의 텃세권 크
h T와
와 t에 결정되며, H와와 h 는 상염색체에,
zb20)
zb
zb
zb
20)
20)
20) zb21)
zb
zb
zb
21)
21)
21)

에 의해 결정되며, 상염색체에, 기와 에너지 관계를 나타낸 것이다.


것이다.
T와와 t는 는 성염색체에 존재한다.
존재한다. 표 (가)는 사람
∼ 의 세포 ㉮~㉱에서 유전자 ㉠~㉣의 유무를, 유무를,
(나)는 세포 ⓐ~ⓒ 각각에서 세포 개당 개당 대립유전
자 H와 와 t의의 DNA 상대량을 더한 값 H t 과 대립
유전자 h 와 T의 의 DNA 상대량을 더한 값 h  T 을
나타낸 것이다 것이다.. ㉮와 ㉯는 각각 세포이고,, ㉰
의 세포이고
와 ㉱는 의 세포와 의 세포를 순서 없이 나타
것이며,, ㉠~㉣은 H h T t를
낸 것이며 를 순서 없이 나타
것이다.. ⓐ~ⓒ는 각각
낸 것이다 ∼ 의 체세포이고
체세포이고,,
여자이다.. (단, 돌연변이와 교차는 고려하지
은 여자이다
않으며,, H h T t 각각의 개당
않으며 개당 DNA 상대량은
이다
이다.)
이다 .) (가) 곡선은 은어가 자신의 텃세권 안에서 피라미를

세포
섭취함으로써 얻는 에너지의 양이다.

유전자 (나) 곡선은 은어가 자신의 텃세권 안에 다른 은어가


들어오지 못하도록 방어하는 데 소모되는 에너지의
? ? 양이다.
* 텃세권 : 한 개체가 차지하는 생활공간으로, 포식 또
는 생식을 위하여 다른 개체의 침입을 허락하지 않는
(가) 구역.
A ∼ E 중 은어의 텃세권으로 가장 적합한 크기의 기
DNA 상대량을 더한 값
세포
호를 쓰고,
쓰고, 그 이유를 에너지 관계를 이용하여 설명
Ht h T 하시오..
하시오
? 
 
 ?
(나)
22.
(1) 유전자 T와 t의 염색체의 위치를 쓰고, 그렇게 판단
zb22)
zb
zb
zb
22)
22)
22) 그림은 식물 군집의 생태 분포를 나타낸 것이다.
것이다.
㉠~㉣은 많음,
많음, 적음,
적음, 높음,
높음, 낮음을 순서 없이 나타
한 근거를 서술하시오. 것이다..
낸 것이다

(2) 사람 ∼ 의 유전자형을 모두 쓰시오.

(1) ㉠~㉣에 맞는 단어를 쓰시오.

(2) (가)~(다) 중 삼림의 층상 구조가 나타나는 지역의 기


호와 명칭을 쓰시오.
h, T, t 중 단 한 종류의 유전자만 가진다면 T
와 t는 Y염색체에 존재한다. (2) : hhXX , :
HhXY t , : HHXX

21) [중] (가)-(나)의 값이 가장 큰 C가 가장 적합하


다.

22) [중] (1) 낮음, 높음, 많음, 적음


(2) (가) 열대우림

1) [상] , ,

2) [중] ,

3) [중]

4) [중]

5) [상]

6) [상]

7) [중]

8) [중상]

9) [상]

10) [중]

11) [상]

12) [특]

13) [중] ,

14) [중]

15) [중]

16) [중]

17) [중]

18) [중]

19) [중상] (1) 이 미발현된 3과 4로부터 이


발현된 6이 나왔으므로 은 열성 형질이다. 동
형 접합자인 부모 1, 2로부터 나온 딸들만 을
발현하였으므로 은 우성 형질이다. (2)
A a a
X b X B 인 5와 X B Y 인 6으로부터 과 을 모

두 갖는 아이가 나올 확률은  이다.



20) [상] (1) 와 중 하나가 여성인 인데 H,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