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6

3학년 보인중학교 2학기 기말고사

과학 내신코치에서는 전국 최신 기출문제를 완전무료로 제공합니다.

1. zb
zb1)
zb
zb
1)
1)
1) 유전 용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것은?

생물이 가지고 있는 고유한 특징을 유전이라고 한다.


3. 그림은 둥글고 노란색인 완두와 주름지고 초록
잡종 대에서 표현되지 않는 형질을 우성이라고 한다.
색인 완두를 교배한 결과이다.(
결과이다.(단
.(단, 둥근 모양 대립
zb
zb3)
zb
zb
3)
3)
3)

대립유전자는 한 형질에 대한 서로 다른 대립 형질을


유전자를 R 주름진 모양 대립 유전자를 r 노란
결정한다.
색 대립 유전자를 Y 초록색 대립유전자를 y로 로 나
둥근 것, 주름진 것과 같이 겉으로 드러나는 형질을 타내며,, R 와 Y 는 각각 r와
타내며 와 y에
에 대해 우성이다.)
우성이다.)
유전자형이라고 한다.
여러 세대를 자가 수분하여도 계속 같은 형질의 자손
만 나오는 개체를 잡종이라고 한다.

2. 그림은 둥근 완두의 자가 수분 결과를 나타낸


이를 설명한 것으로 옳은 것은?
것은?
zb
zb2)

것이다. (단, 둥근 모양 대립유전자는 R 주름진


것이다.
zb
zb 2)
2)
2)

모양 대립 유전자는 r로로 표시한다.)


표시한다.) a와 b의 유전자형은 다르다.
자손의 표현형의 비는        이다.
d는 대립유전자 R 와 Y 를 모두 가진다.
c에서 종류의 생식세포가 만들어진다.
c와 d를 교배하면 주름지고 초록색인 완두만 나온다.

4. zb
zb4) 그림은 어느 가족의 미맹 유전 가계도를 나타낸
것이다.
것이다.
zb
zb 4)
4)
4)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것은?
<보기>
. 자손에서 나타난 주름진 완두는 잡종이다.
. 둥근 완두는 주름진 완두에 대해 우성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
보기>에서 있는 대로
. 자손에서 우성 형질과 열성 형질은    의 비율로 고른 것은?
것은?
나타난다.
<보기>
. 부모의 미맹 유전자형은 같다.
, ,
. 미맹 유전자는 X 염색체에 존재한다.
, ,
. 이 부모에게서 태어난 딸은 반드시 미맹이다.

, ,
, ,
5. 그림은 어느 가족의 색맹 유전 가계도를 나타낸 7. 그림은 별 S와
와 태양 주위를 공전하는 지구를 나
것이다.
것이다. 타낸 것이다.
것이다.
zb
zb5)
zb
zb
5)
5)
5) zb
zb7)
zb
zb
7)
7)
7)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


보기>에서 있는 대로
이를 설명한 것으로 옳은 것은?
것은?
고른 것은?
것은?
과 의 유전자형은 다르다.
<보기>
의 유전자형을 알 수 없다.
. 별 S의 연주 시차는 이다.
의 색맹 대립유전자는 으로부터 물려받았다.
. 별 S와 지구 사이의 거리가 반으로 줄어들면 는 
색맹이 나타나는 빈도는 남녀에 따라 차이가 없다. 배로 커진다.
와 색맹인 여자가 결혼하면 색맹인 아들이 태어날 . 별 S의 연주 시차를 측정하려면 최소한 년의 관측
확률이 이다. 기간이 필요하다.

, ,
, ,

6. zb
zb6) 연주 시차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
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것은?
6)
zb
zb6)
6)

<보기>

. 단위는 초 이고,  는  이다.


 8. zb
zb8) 지구에서 관측한 어느 별 S의
의 연주 시차가 
일 때 연주 시차가  보다 작게 관측되는 경우
zb
zb 8)
8)
8)


. 연주 시차를 이용하여 비교적 가까운 별까지의 거리 를 <보기>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것은?
를 구할 수 있다.
<보기>
. 어떤 별에 대해 금성에서 측정한 연주 시차는 지구에
. 수성에서 별 S를 관측할 때
서 측정한 연주 시차보다 작다.
. 목성에서 별 S를 관측할 때
. 지구에서 별 S보다 가까운 거리에 있는 별을 관측
, ,
할때
, ,

, ,
, ,
9. 그림 (가)~(다
)~(다)는 지구에서 가까운 별 ~ 를 12. 표는 별 A ∼ C 의 겉보기 등급과 절대 등급을
나타낸 것이다.
것이다.
zb
zb9) zb
zb12)

개월 간격으로 나타낸 것이다.


것이다.
9) 12)
zb
zb9)
9) zb
zb12)
12)

개월

별 A B C
겉보기 등급   
절대 등급     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


보기>에서 있는 대로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것은?
고른 것은?
것은?
<보기>
<보기>
. 가장 밝게 보이는 별은 B 이다.
. 지구에서 가장 가까운 별은 이다.
. 실제로 가장 어두운 별은 B 이다.
. 지구에서 가장 먼 별은 이다.
. 지구로부터의 거리는 B  C  A이다.
. 별의 위치가 달라지는 것은 지구의 공전 때문이다.

, ,
, ,
, ,
, ,

13. 밤하늘에 떠 있는 북극성의 절대 등급은  등



10. 별의 밝기와 등급을 설명한 내용으로 옳은 것만
zb
zb13)

급, 겉보기 등급은 등급이다


등급이다.
등급이다. 지구에서 북극성
13)
zb
zb13)
13)

을 <보기>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것은?
zb
zb10)
zb
zb
10)
10)
10)

까지의 거리가 지금의  로 줄어든다고 할 때,



<보기> 
. 등급은 등급보다 배 어둡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보기>
>에서 있
것은?
는 대로 고른 것은 ?
. 등급 차이마다 밝기는 약 배의 차이가 있다.
. 어느 별까지의 거리가 배 멀어진다면 그 별의 밝 <보기>
. 절대 등급은  등급이다.
기는  배가 된다.

. 겉보기 등급은  등급이다.

. 겉보기 등급보다 절대 등급이 더 크다.


, ,
, , , ,
, ,

11. zb
zb11) 지구로부터 pc의
의 거리에 겉보기 등급이 인

별 S가 있다. 별 S를
가 있다. 를 pc에서
에서 pc까지
까지 이동시켰
zb
zb 11)
11)
11)

을 때 달라진 별의 밝기를 옳게 짝지은 것은? 것은?

겉보기 등급 절대 등급 겉보기 등급 절대 등급
   
   
 
, ,

14. 표는 별 A ∼ C 의 겉보기 등급,


등급, 절대 등급,
등급, 연주 16. 성운과 성단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
시차,
시차, 색을 나타낸 것이다.
것이다.
zb
zb14)
zb
zb
14)
14)
14)

zb
zb16)

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것은?
zb
zb 16)
16)
16)

별 A B C <보기>
겉보기 등급   ? . 성단은 별이 모여 있는 집단이다.
절대 등급   ?  . 성운은 성간 물질이 모여 있는 천체이다.
연주 시차 ?   . 우리은하에도 성운과 성단이 분포하고 있다.
색 청색 백색 주황색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


보기>에서 있는 대로 , ,
고른 것은?
것은? , ,
<보기>
. 표면 온도는 A  B 이다.
. 절대 등급은 B  C 이다.
. 연주 시차는 C  A이다.
17. 그림은 별들로 이루어진 서로 다른 천체의 모습
을 나타낸 것이다.
것이다.
zb
zb17)
zb
zb
17)
17)
17)

, ,
, ,

15. 그림은 별 A B 를 개월


개월 간격으로 관측한 것이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 표는 두 별의 겉보기 등급과 색깔을 나타낸 것 고른 것은?
것은?
zb
zb15)
zb
zb
15)
15)
15)

이다..
이다 <보기>
. (가)는 산개 성단, (나)는 구상 성단이다.
. (가)보다 (나)에 더 많은 별들이 모여 있다.
. (가)는 주로 적색, (나)는 주로 청색을 띠는 별들로 이
루어져 있다.

, ,
구분 A B
, ,
겉보기 등급  
색깔 청색 황색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것은?
18. 우리은하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
보기>
<보기>
zb
zb18)

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것은?
zb
zb 18)
18)
18)

. 절대 등급은 A  B 이다.
<보기>
. 표면 온도는 A  B 이다.
. 지름이 약 만 광년이다.
. 지구로부터의 거리는 A  B 이다.
. 태양계는 우리은하의 중심에 위치한다.
. 겨울에는 여름보다 은하수가 더 두껍게 관측된다.
, ,
, ,
, ,

19. 그림은 외부 은하를 A ∼ D 집단으로 구분하여


나타낸 것이다.
것이다.
zb
zb19)
zb
zb
19)
19)
19)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것은?
<보기>
. A는 불규칙 은하이다.
. B 와 C 는 모두 나선팔을 가지는 은하이다.
. A ∼ D는 은하의 질량에 따라 구분한 것이다.

, ,
, ,

20.
zb
zb20) 빅뱅 이론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
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것은?
zb
zb 20)
20)
20)

<보기>
. 빅뱅은 약 억 년 전에 일어났다.
. 우주는 한 점에서 대폭발이 일어나 만들어졌다.
. 빅뱅 이후 우주의 온도와 밀도는 점점 낮아지고 있
다.

, ,
, ,
1) [중]

2) [중]

3) [중상]

4) [중]

5) [중상]

6) [중상]

7) [중]

8) [상]

9) [중상]

10) [중]

11) [중]

12) [중]

13) [상]

14) [특]

15) [중상]

16) [중]

17) [중]

18) [중]

19) [중]

20) [중]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