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6

2학년 화홍중학교 2학기 기말고사

과학 내신코치에서는 전국 최신 기출문제를 완전무료로 제공합니다.

1. 사람의 호흡 기관 중 폐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것은?
zb
zb1)
zb
zb
1)
1)
1)

3. 그림은 사람의 배설 기관과 A의


의 일부를 나타낸
것이다.
것이다.
zb
zb3)
zb
zb
3)
3)
3)

<보기>
. 갈비뼈와 가로막으로 둘러싸여 있다.
. 근육이 발달되어 있어 스스로 운동을 한다.
. 여러 겹의 세포층으로 된 폐포로 이루어져 있다.

, ,
, ,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것은?
A는 혈액속의 노폐물을 걸러내어 오줌을 만든다.
B는 세뇨관으로 오줌이 방광으로 전달되는 관이다.
2. 그림은 폐포에서 일어나는 기체 교환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 C는 방광으로 오줌을 저장하는 부분이다.
zb
zb2)
zb
zb
2)
2)
2)

D는 요도로 오줌이 몸 밖으로 나가는 통로이다.


E F G를 합쳐 네프론이라고 한다.

4. 표는 건강한 사람의 콩팥 동맥 혈액,


혈액, 콩팥 여과
액, 오줌에 포함된 몇 가지 성분의 비율을 나타낸
zb
zb4)
zb
zb
4)
4)
4)

것이다.
것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
보기>에서 있는 대로
성분 콩팥 동맥 콩팥
고른 것은?
것은? 오줌
(단위:  ) 혈액 여과액
<보기> A   
. A는 폐정맥이고, B는 폐동맥이다. B   
. (가)는 이산화 탄소, (나)는 산소이다. C   
D
. (가), (나) 기체는 모두 확산 현상에 의해 이동한다.
  

A ∼ D중
중 단백질과 요소에 해당하는 것을 바르게 짝지
, , 은 것은?
것은?

, , 단백질 요소 단백질 요소
A D B C
C B D A
D C
7. 그래프는 여러 액체의 가열 시간에 따른 온도
그림은 소화,
소화, 순환,
순환, 호흡,
호흡, 배설의 유기적 관계를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것이다.
zb
zb7)
zb
zb
7)
7)
7)

5. zb
zb5)

나타낸 것이다.
것이다. (가)~(라
)~(라)에 해당하는 각 기관계
zb
zb 5)
5)
5)

의 명칭이 옳게 연결된 것은?


것은?

A ∼ D 중 같은 종류의 물질끼리 바르게 짝지은 것은?


것은?
A B A C
B C B D
(가) (나) (다) (라) C D
소화계 순환계 호흡계 배설계
소화계 호흡계 순환계 배설계
배설계 순환계 호흡계 소화계
배설계 호흡계 순환계 소화계
8. 표는 몇 가지 물질의 녹는점과 끓는점을 나타낸
순환계 소화계 배설계 호흡계
것이다.
것이다.
zb
zb8)
zb
zb
8)
8)
8)

물질 A B C D
끓는점 ℃     
녹는점 ℃      
6. 순물질과 혼합물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것은? 물질 A ∼ D 중 상온 ℃ 에서 고체 상태인 물질과
zb
zb6)
zb
zb
6)
6)
6)

기체 상태인 물질을 있는 대로 고른 것은? 것은?


<보기>
고체 상태 기체 상태 고체 상태 기체 상태
. 질소, 물, 철은 순물질이다.
A D A B D
. 암석, 흙탕물은 불균일 혼합물이다.
B C A D A
. 순물질은 한 종류의 원소로만 되어 있다.
D A B
. 혼합물은 성분 물질의 혼합 비율이 정해져 있다.
, ,
9. 그래프는 여러 물체의 질량과 부피의 측정값을
, , ,
나타낸 것이다.
것이다.
zb
zb9)
zb
zb 9)
9)
9)

, ,

물체의 밀도 크기를 비교한 것으로 옳은 것은?


것은?

AB AE
C E C D , ,
D E , , ,
10. 그림은 시험관에 탄산 음료를 넣은 것을 나타낸 , ,
것이다.
것이다.
zb
zb10)
zb
zb
10)
10)
10)

13. 그림은 혼합물을 분리하기 위한 장치를 나타낸


것이다.
것이다.
zb
zb13)
zb
zb
13)
13)
13)

이산화 탄소의 용해도가 가장 큰 시험관과 기포가 가장


많이 발생한 시험관을 순서대로 바르게 연결한 것은?
것은?

(가), (다) (가), (라)


(나), (다) (다), (나)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
보기>에서 있는 대로
(라), (가) 고른 것은?
것은?

<보기>
. 분별 깔때기를 이용한 분리법이다.
. 서로 섞이지 않는 액체 혼합물을 분리한다.
. 아래쪽에 있는 물질이 용해도가 더 큰 물질이다.
11. 용해도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것은?
. 물과 기름이 함께 있는 혼합물을 분리할 수 있다.
zb
zb11)
zb
zb
11)
11)
11)

용질의 종류에 따라 달라진다.


, ,
용매의 종류와 관계없이 일정하다.
, , ,
물질의 종류에 따라 다르므로 물질의 특성이다.
, , ,
대부분의 고체 물질은 온도가 높아질수록 커진다.
어떤 온도에서 용매 g에 최대로 녹을 수 있는 용
질의 g수이다.

12. 그래프는 어떤 두 액체 혼합물의 가열 곡선이 14.


zb
zb14) ℃의 에 고체인 A 물질 g을
의 물 g에 을 녹였더
다. 이 녹지 않고 남았다.
니 g이 남았다. ℃에서
에서 물에 대한
14)
zb
zb12)
zb
zb
12)
12)
12) zb
zb14)
14)

A의
의 용해도는?
용해도는?
 
 
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것은?
<보기>
. 두 물질의 끓는점이 다르다.
. (가)구간에서 끓는점이 낮은 물질이 끓어 나온다.
. (나)구간에서는 아무 물질도 끓어 나오지 않는다.
. (라)구간에서 끓는점이 높은 물질이 끓어 나온다.
18. 우리나라의 용도별 수자원 이용에 대한 설명으
그래프는 여러 고체 물질의 용해도 곡선이다.
곡선이다. 로 옳은 것만을 <보기>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
zb
zb18)
zb
zb
18)
18)
18)

15.
zb
zb15)

은?
zb
zb 15)
15)
15)

<보기>
. 농업용수로 가장 많이 이용한다.
. 하천의 기능을 유지하기 위해서도 이용한다.
. 생활용수는 일상생활에서 먹거나 씻는데 이용한다.

, ,
, ,

의 물 g에
℃의 에 각 물질을 녹여 포화 용액을 만든
로 냉각하였을 때 결정이 가장 많이 석출되
후 ℃로 19. 그림은 지구의 물의 분포를 나타낸 것이다.
것이다.
는 것과 가장 적게 석출되는 물질을 순서대로 연결
zb
zb19)
zb
zb
19)
19)
19)

것은?
한 것은 ?

(가)와 (나) (가)와 (다)


(가)와 (라) (나)와 (다)
(나)와 (라)

A B C에
에 해당하는 것으로 옳은 것은?
것은?
A B C
  
16.
zb
zb16) 크로마토그래피에 대한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 빙하 지하수 해수
은?
zb
zb 16)
16)
16)

빙하 해수 지하수
양이 많아야 분리할 수 있다. 해수 빙하 지하수
한 번에 여러 성분을 분리할 수 있다. 해수 지하수 빙하
특성이 비슷한 혼합물도 분리할 수 있다. 지하수 해수 빙하
같은 물질이라도 용매에 따라 이동 속도가 다르다.
물질마다 용매를 따라 이동하는 속도의 차이를 이용한
다.

17.
zb
zb17) 혼합물의 분리에 이용되는 물질의 특성이 다른
하나는
하나는?
zb
zb 17)
17)
17)

원유 소금물
물과 에탄올 간장과 참기름
소줏고리로 소주 얻기
(가) > (나) > (다) (가) > (다) > (나)
(나) > (가) > (다) (나) > (다) > (가)
(다) > (나) > (가)
23. 해류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
보기>에서
20. 그림은 어느 해역에서 측정한 깊이에 따른 수온
있는 대로 고른 것은?
것은?
zb
zb23)
zb
zb
23)
23)
23)

zb
zb20)

분포이다.
분포이다.
zb
zb 20)
20)
20)

<보기>
. 일정한 방향으로 지속적으로 흐르는 해수의 흐름이
다.
. 난류와 한류가 만나는 해역에서는 좋은 어장이 형성
된다.
. 한류는 저위도에서 고위도로 흐르며, 난류는 고위도
에서 저위도로 흐른다.

, ,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
보기>에서 있는 대로
, ,
고른 것은?
것은?
<보기>
. A는 바람이 약할수록 두껍게 형성된다.
. B는 해수의 대류 운동이 가장 활발한 층이다.
. C는 계절에 따른 수온 변화가 거의 없다. 24. 그림은 어느 날 하루 동안 해수면의 높이 변화
를 나타낸 것이다.
것이다.
zb
zb24)
zb
zb
24)
24)
24)

, ,
, ,

21. 염분과 염류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것은? A ∼ D에
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
보기>에서 있
는 대로 고른 것은?
것은?
zb
zb21)
zb
zb 21)
21)
21)

염분은 지역에 관계없이 항상 일정하다.


<보기>
전 세계 바다의 평균 염분은 psu이다.
. A는 밀물 때이다.
강수량이 증발량보다 많은 바다는 표층 염분이 높다.
. B는 해수면이 가장 높아진 때인 간조이다.
염류 중 가장 많은 양을 차지하는 것은 염화 마그네슘
. C는 썰물 때이다.
이다.
. B에서 D까지 걸린 시간을 조석 주기라고 한다.
염분은 바닷물 kg에 녹아 있는 염류의 총량을 g수로
나타낸 것이다. , ,
, ,
22.
zb
zb22) 표는 서로 다른 지역에서 채취한 해수 (가), ,
(나), (다)의 양과 그 속에 녹아 있는 염류의 양을
zb
zb 22)
22)
22)

나타낸 것이다.
것이다.

해수 해수의 양 g 염류의 양 g


(가)  
(나)  
(다)  

해수 (가), (나), (다)를 염분이 높은 것부터 순서대로 나


열한 것은?
것은?
1) [중]

2) [중]

3) [중]

4) [중상]

5) [중]

6) [중]

7) [중]

8) [중상]

9) [중]

10) [중]

11) [중]

12) [중]

13) [중]

14) [중상]

15) [중]

16) [중]

17) [중]

18) [중]

19) [하]

20) [중]

21) [중]

22) [중상]

23) [중]

24) [중]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