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7

2학년 전주서신중학교 2학기 기말고사

과학 내신코치에서는 전국 최신 기출문제를 완전무료로 제공합니다.

1. 그래프는 물과 에탄올의 혼합물을 가열했을 때


가열시간에 따른 온도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것이다.
zb
zb1)
zb
zb
1)
1)
1)

3. zb
zb3) 그림은 다양한 물질의 용해도 곡선을 나타낸 것
이다.
이다.
zb
zb 3)
3)
3)

구간 A ∼ D에
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것은?
혼합물의 질량이 증가하면 끓는점은 증가한다.
A구간에서는 물과 에탄올의 온도가 상승한다.
B구간에서는 에탄올과 물이 섞여 나온다.
C구간에서는 물이 주로 액체 상태로 존재한다.
D구간에서는 물이 분리된다.
다음 설명 중 <보기>
보기>에서 옳은 것을 모두 고르면?
고르면?
<보기>
. 위 물질들은 온도가 올라감에 따라 용해도가 전부 증
가한다.
2. 밀도 차를 이용해 혼합물을 분리할 때 사용하는 . ℃ 물 g에 질산 칼륨과 황산 구리  를 각
보기>에서 옳은 것을 모두 고르
방법에 대하여 <보기> 각 g씩 녹이고 ℃까지 냉각하면 질산 칼륨과
zb
zb2)
zb
zb
2)
2)
2)

면? 황산 구리  를 분리할 수 있다.

<보기> . 염화 칼륨과 염화 나트륨 혼합물을 분리할 때 재결정


의 방법을 사용하는 것은 적합하지 않다.
. 서로 섞이며 다른 밀도를 가진 두 액체 혼합물을 분
리할 때 분별 깔때기를 사용한다. . 재결정이 사용되는 예시로는 아스피린의 정제, 소금
물에서 소금과 물의 분리 등이 있다.
. 서로 다른 밀도를 가진 두 고체 혼합물을 분리 할 때
는 밀도가 두 고체의 중간 정도인 액체를 사용한다. , ,

. 서로 다른 밀도를 가진 두 고체 혼합물을 분리 할 때 , , , ,
사용하는 액체는 두 고체를 녹이지 않아야 한다. , , ,

, , 4. zb
zb4) 혼합물 A ∼ D를
를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그
림과 같이 분리하였다.
분리하였다.
zb
zb 4)
4)
4)

, ,

다음 설명에서 옳지 않은 것은?
것은?
A와 D에는 같은 종류의 물질이 들어있다. . 수자원 중 하천으로서의 기능을 유지하기 위해 필요
A에는 최소 개 이상의 물질이 들어있다. 한 물을 유지용수라고 한다.

B C D는 순물질로 예상할 수 있다. . 지하수가 담수에서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하므로 지


하수를 개발해야한다.
용매의 종류가 바뀌어도 같은 결과가 나온다.
크로마토그래피는 도핑테스트, 과학수사 등에 사용한
다. , ,
, ,
5. 표는 물질 A ∼ D의
의 특성을 나타낸 것이다.
것이다.
그림은 수온의 연직 분포 실험과정과 그 결과를
zb
zb5)
zb
zb
5)
5)
5)

8.
녹는점 끓는점 밀도
나타낸 것이다.
것이다.
zb
zb8)
zb
zb
8)
8)
8)

물질 용해도
℃ ℃ ( gcm  )
C 와 섞이지
A
않음
   

A 에 녹지 않음,
B
C 에 녹음
  

A 와 섞이지
C
않음.
   

A 에 녹음,
D
C 에 녹지 않음
  

다음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것은?
각 혼합물을 분리하는 방법으로 옳지 않은 것은? 것은? (단,
각 물체는 상온 ℃ 에 놓여있다고 가정한다.)
가정한다.) 실험에서 태양은 가열 장치, 선풍기는 바다에 부는 바
람을 의미한다.
A와 B 혼합물 - 거름 장치 사용
실험에서 선풍기의 세기를 증가시키면 A층의 두께는
B와 C 혼합물 - 증류 장치 사용
두꺼워진다.
B와 D 혼합물 - 분별깔때기 사용
실험에서 가열 장치의 세기를 증가시키면 A층이 시작
C와 D 혼합물 - 거름 장치 사용
하는 온도가 증가한다.
C와 A 혼합물 - 분별깔때기 사용
실험에서 가열 장치의 세기를 증가시키면 B층의 깊이
에 따른 수온이 급격하게 감소한다.
실험에서 가열 장치를 끄면 C층의 온도는 감소한다.

6. zb
zb6)
zb
zb
6)
6)
6) 지구의 물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것은?

지구 표면은  이상 물로 덮여있다.


지구의 물은 대부분 바다에 존재한다. 9. zb
zb9) 그림은 위도가 다른 세 해역의 연직 수온 분포
이다.
이다.
9)
zb
zb9)
9)

우리가 가장 쉽게 이용할 수 있는 물은 하천수, 호수


이지만 그 양은 가장 적다.
지구온난화가 가속되면 빙하가 녹아 담수로 사용할 수
있다.
지하수는 주로 비나 눈이 지하로 스며들어 생긴다.

다음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것은?
7. 수자원에 대한 설명 중 <보기>
보기>에서 옳은 것을 (나)와 (다)에 있는 층상구조는 차례대로 혼합층, 수
모두 고르시오.
고르시오. 온약 층, 심해층이다.
zb
zb7)
zb
zb
7)
7)
7)

<보기> (가)는 표층수온이 낮아 층상구조가 거의 나타나지 않


는 고위도 지역이다.
. 우리나라에서는 수자원을 농업용수로 가장 많이 사용
하고 있다. (나)는 비교적 바람이 많이 부는 중위도 지역이다.
(다)는 세 해역 중 태양에너지를 가장 많이 흡수한다.
세 해역의 심해층의 수온 변화는 계절에는 영향을 받 조력발전소를 건설한다면 (가)지역에 건설해야 효율적
지만 위도에 따른 수온 변화는 없다. 이다.

10.
zb
zb10) 다음은 세 해역에서 수집한 바닷물의 표본에서 12.
zb
zb12) 그림은 우리나라 어느 지역에서 한 달 동안 해
순수한 물과 염류의 양을 나타낸 것이다.
것이다. 수면의 높이 변화를 측정한 결과이다.
결과이다.
zb
zb 10)
10)
10) zb
zb 12)
12)
12)

해역 순수한 물 g 염류 g


A  
B  
C  

다음 설명 중 <보기>
보기>에서 옳은 것을 모두 고르면?
고르면?

<보기> 다음 설명 중 <보기>
보기>에서 옳은 것을 모두 고르면?
고르면?
. 염분은 바닷물 kg에 포함되어있는 염류의 양을 g <보기>
수로 나타낸 것으로 단위는 psu이다. . a는 조금, b는 사리이다.
. 염분의 크기는 B  A  C이다. . a에서 c까지 걸린 시간은 약 일이다.
. 대서양과 태평양이 각각 A B 중 하나라면, B가 . b보다 a에서 조차의 크기가 크다.
대서양이다.
. 한 달 동안 사리와 조금은 각 번씩 일어난다.
, ,
, ,
, , ,
, ,
, ,

11. 그림은 우리나라 (가), (나), (다) 지역에서 하


13. 온도와 열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것은?
zb
zb11)

루 동안 관측된 시간에 따른 조위 변화를 나타낸


11)
zb
zb11)
11)

zb
zb13)
zb
zb 13)
13)
13)

것이다..
것이다 온도는 물체의 차갑고 뜨거운 정도를 숫자로 나타낸
것이다.
물체 온도가 높아지면, 물체를 구성하는 입자의 운동
이 활발해진다.
열은 온도가 높은 물체에서 온도가 낮은 물체로 이동
한다.
열의 전달로 온도가 높은 물체의 온도는 더욱 높아지
고 온도가 낮은 물체의 온도는 더욱 낮아진다.

다음 설명에서 옳지 않은 것은?
것은? 두 물체가 접촉해있을 때, 두 물체의 온도는 결국 같
아진다.
위 세 지역 모두 하루 동안 만조와 간조는 두 번씩 나
타났다.
T는 조차 주기라고 하며 약 시간 분이다.
각 지역의 시간에 따른 조위 변화에서 고점과 저점의
차이를 조차라고 한다.
(가), (나), (다) 지역이 각각 동해, 황해, 남해 중 하
나라면, (다)는 동해이다.
14.
zb
zb14) 그림은 물질 A와
와 물질 B가
가 서로 접촉한 후, 시 16.
zb
zb16) A집과
집과 B집은
집은 건물외벽에 단열재로써 각각 스타
간에 따른 온도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것이다. 이로폼 cm cm 를 붙였다.
붙였다. 기온이 낮은 겨울
zb
zb 14)
14)
14) zb
zb 16)
16)
16)

날 A집과
집과 B집은
집은 출력이 동일한 보일러를 같은 시
가동시켰다.. 보일러를 가동한 뒤 시간이 한
간동안 가동시켰다
참 흘렀을 때, A집과집과 B집에
집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것은 ? (단, A집과
집과 B집은
집은 외벽의 스타이로폼 두께
를 제외한 모든 조건은 동일하다고 가정한다 가정한다.)
.)

실내 온도는 B집이 더 높다.


두 집에서 여름에 동일한 조건으로 에어컨을 작동시키
면 A집이 더 시원하다.
두 집이 모두 지붕이 있다면, 지붕 위에 쌓인 눈이 잘
다음 설명 중 <보기>
보기>에서 옳은 것을 모두 고르면?
고르면? 녹는 집은 A집이다.
<보기> 두 집에서 동일하게 물을 끓인 후 분이 지났을 때,
. 물질 A와 물질 B가 접촉한 후, C구간에 도달할 때 물의 온도를 측정하면 B집의 물의 온도가 더 높다.
까지 열은 물질 A에서 물질 B로 이동한다. 두 집에서 실내온도를 동일하게 맞출 때, 더 많은 열
. C구간에서 물질 A와 물질 B를 구성하는 입자들은 이 필요한 집은 A집이다.
운동을 하지 않는다.
. 물질 A와 물질 B가 모두 고체라면, 열의 이동방법
은 대류이다.

17. 그림은 비커에 액체를 넣고 가열하면서 액체의


, ,
온도를 측정하는 실험이고,
실험이고, 표는 액체의 종류를
zb
zb17)
zb
zb
17)
17)
17)

, ,
A B C를
를 다르게 하였을 때 액체 A ∼ C의
의 질량,
질량,
온도,, 나중 온도를 나타낸 것이다.
처음 온도 것이다.

15.
zb
zb15) 일상생활에서 열의 이동 및 차단에 대해 잘못
설명하고 있는 것은?
것은?
15)
zb
zb15)
15)

전도 - 난로 위 주전자는 바닥부터 데워진 후 점차


주전자 표면 전체가 뜨거워진다.
처음 나중
복사 - 햇빛 아래에서 따뜻함을 느낀다. 액체 질량 g
온도 ℃ 온도 ℃
대류 - 난로를 켰더니 방 전체가 훈훈해졌다. A   
전도와 대류 - 보온병의 진공으로 된 이중벽이 음식 B   
물의 온도를 유지시켜준다. C   
전도 - 피자 배달 가방 속이 알루미늄 소재로 되어있
A B C가
가 흡수한 열량이 같다고 할 때, 액체의 비열
어 배달하는 동안 피자를 따뜻하게 유지시켜준다.
을 바르게 비교한 것은?
것은? (단, 흡수한 열량은 모두 액
체의 온도 변화에만 쓰였다.)
쓰였다.)
AB C AC B
B AC B C A
C AB
18.
zb
zb18) 일상생활에서 열팽창에 대한 학생들의 대화 중 21.
zb
zb21) 그림은 서로 다른 금속 A와
와 B를
를 붙여 놓은 장
옳은 대화를 하는 친구는?
친구는? 치이다.
치이다.
zb
zb 18)
18)
18) zb
zb 21)
21)
21)

다다 : 열팽창은 액체와 고체에서만 일어나!


비비 : 철근 콘크리트로 된 구조물에서 철근은 콘크리
트 보다 열팽창 정도가 커서 지진에 안정적이야!
루루 : 수온이 높아지면 바닷물의 부피가 늘어나 해수
면이 상승해!
슈슈 : 아파트 가스관은 여름에 길이가 변화해서 파손
될 위험이 있기 때문에, 직선으로 만들어야해!
다음 <보기>
보기>의 빈칸을 채우시오.
채우시오.
모모 : 치아 충전제는 열팽창 정도가 치아보다 커 치
<보기>
아에 잘 맞게 해줘!
(가) 상태의 장치를 가열 하였더니 (나) 상태와 같이 위
쪽으로 휘었다면, 열팽창 정도가 큰 금속은( )이며,
(나) 상태의 장치를 냉각 하였을 때 휘는 방향은 ( )이
다. 이러한 장치를 ( )라고 한다.
19.
zb
zb19)
zb
zb 19)
19)
19) 다음 <보기>
보기>의 빈칸을 채우시오.
채우시오.

<보기>

우리는 일상생활에서 혼합물을 분리할 때, 혼합물을 이


루는 각 물질의 특성을 이용한다. 예를 들어 바다에 유출
22. 표는 두 해역 A와
와 B에서
에서 채취한 바닷물 kg에

된 기름을 제거할 때에는 ( )차이를 이용한다. 두 번째
녹아있는 염류의 종류와 양을 나타낸 것이다.
것이다.
zb
zb22)
zb
zb
22)
22)
22)

로는 엽록소의 색소를 분리할 때에는 엽록소를 이루는 각


색소가 용매를 따라 이동하는 ( )차이를 이용한다. 마 A 지역 B 지역
염류의 종류
지막으로 조상들이 사용했던 소줏고리는 ( )차이를 이 염류의 양 g 염류의 양 g
용한 예이다.  
염화 마그네슘 
황산 마그네슘 

다음 물음에 답하시오.
답하시오.

(1) 에 해당하는 염류의 종류를 쓰시오.


20.
zb
zb20)
zb
zb 20)
20)
20) 다음 <보기>
보기>의 빈칸을 채우시오.
채우시오.

<보기> (2) 에 해당하는 A 해역의 염화 마그네슘의 양을 구하


북태평양 서쪽 해역에서 북상하는 난류인 ( )은/는 기 위한 비례식을 쓰시오.
우리나라 해류의 근원이 된다. 위 해류 중 일부가 제주도
남쪽에서 갈라져 동해안을 따라 북쪽으로 흐르면 ( ) (3) 에 해당하는 B 해역의 황산 마그네슘의 양을 구하
라고 하며, 이 해류는 북쪽에서 해안선을 따라 흘러 내려 기 위한 비례식을 쓰시오.
온 북한 한류와 만나 ( )을/를 형성한다.
(4) A 해역과 B 해역 중 적도 부근의 해역을 찾고 그
이유를 서술하시오. (단, 아래 조건을 만족하여 서술하
시오.)
<조건>
1. A 해역과 B 해역의 염분의 크기를 비교하시오.
2. 아래의 단어들을 한번 이상은 사용하여 이유를 서술하
시오.
염분, 강수량, 증발량

23. 그림은 붕산과 염화 나트륨의 용해도 곡선을 나


24. 그림 (가)는 물질 A B를
를 가열하는 실험이고,
실험이고,
타낸 것이다.
것이다.
zb
zb23)
zb
zb
23)
23)
23)

그림 (나)는 두 물질 A B에
zb
zb24)

에 가한 열량에 따른 온
24)
zb
zb24)
24)

도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것이다.

다음 물음에 답하시오.
답하시오.
다음 물음에 답하시오.
답하시오.
(1) 질량을 모르며 ℃ 물이 담긴 비커 A에 kcal 만
큼 열량을 가했을 때, 물의 온도는 ℃가 되었다. 비 (1) 위 실험에서 물질 A B의 질량이 같다면, 비열이 큰
커 A에 담긴 물의 질량을 구하고 그 풀이과정을 서술 물질은 A와 B 중 어느 것인가?
하시오. (단, 물의 비열은 kcalkg⋅℃이고, 가해
진 열량은 물에만 전달되었으며 온도가 상승할 때 물 (2) 위 실험에서 물질 A B가 비열이 같다면, 물질 A의
의 질량은 변화가 없다.) 질량 m A와 물질 B의 질량 m B 간의 비율 m A  m B를
구하고 그 풀이과정을 서술하시오. (단, 풀이과정은 아
(2) 다음 (1)에서 얻은 비커 A에 담긴 ℃ 물에 염화 래 조건을 만족하여 서술하시오.)
나트륨 g과 붕산 g을 용해시켜 용액을 만들
<조건>
었다. 이 용액을 ℃까지 냉각시켰을 때, 석출되는
1. 그림 (나)의 그래프를 바탕으로 설명하시오.
결정의 종류와 질량을 각각 적고 그 이유를 서술하시
오. (단, 석출되는 이유는 아래 조건을 만족하여 서술 2. 정확한 값을 이용해 풀이과정을 쓰시오.
하시오.)
<조건> (3) 위 실험을 마치고, 물질 A와 물질 B 비커를 접촉시
켰다. A가 얻은 열량이 kcal 라면, 물질 B의 온도
1. 용해도곡선에서 붕산과 염화 나트륨의 차이점에 대하
변화와 그 풀이과정을 서술하시오. (단, 물질 A의 비
여 서술하시오.
열은 kcalkg ℃, 물질 A의 질량은 kg이고, 물질
2. 석출되는 물질에 한해서만 석출되는 이유를 정확한 값
B의 비열은 kcalkg ℃, 물질 B의 질량은 kg이
을 이용해 서술하시오.
다. 또한 열교환은 물질 A와 B사이에서만 일어난다.)
3. 아래의 단어들을 한번 이상은 사용하여 이유를 서술하
시오.
온도, 용해도 차, 냉각
23) [특] (1) 150g, 가해진 열량은 비열×질량×온
도변화이므로 4.5kcal=kcalkg ℃ × ℃ ×m이
며 m=0.15kg=150g이다.
(2) ℃에서 염화나트륨과 붕산의 용해도는
35.9, 5이다. ℃ 물 150g에는 염화나트륨과
붕산이 각각 53.85g, 7.5g이 녹을 수 있을 때
온도에 따른 용해도 차이가 붕산이 크기 때문에
용액을 냉각하게 되면 용해도 이상으로 녹아있
는 붕산이 22.5g-7.5g=15g 석출된다.

24) [특] (1) A


1) [중] (2) 열량은 질량×비열×온도변화이다. 열량
4.5kcal를 가할 때 A와 B의 온도변화 비가 1:2
2) [중]
이다. 비열이 같을 때 질량과 온도변화는 반비
례 관계이므로 A와 B의 질량은 2:1이다.
3) [상]
(3) 열평형에 도달했을 때 A가 얻은 열량과 B
4) [중상] 가 잃은 열량은 같다. 물질 B가 얻은 열량이
1kcal일 때, 1kcal=kcalkg ℃ kg T이
5) [중상]
므로 온도변화는 ℃이다.
6) [중]

7) [중]

8) [중]

9) [중]

10) [중]

11) [중상]

12) [중]

13) [중]

14) [중상]

15) [중]

16) [특]

17) [중상]

18) [중]

19) [중] 밀도, 속도, 끓는점

20) [중] 쿠로시오해류, 동한난류, 조경수역

21) [중] B, B, 바이메탈

22) [특] (1) 염화나트륨


(2) g  g   g
(3) g  g  g 
(4) 적도 부근 해역은 증발량에 비해 강수량이
크므로 다른 해역에 비해 염분이 낮다. 따라서
염분이 작은 B 해역이 적도 해역이다.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