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4

과학탐구 영역 (생명과학Ⅰ) 1

과학탐구 영역(생명과학Ⅰ)
2024년 완전무결 누적 TEST 6주차

제4교시 성명 수험 번호 제 [ ] 선택

1. 1)그림 (가)는 어떤 동물(2n=6)의 세포 P가 분열하는 동안


2. 2) [15년도 9월 모의평가 15번 변형]
핵 1개당 DNA 양을, (나)는 P의 분열 과정에서 관찰되는
세포를 나타낸 것이다. 어떤 동물에서 형질㉠은 한 쌍의 대립유전자에 의해. 형질 ㉡
은 세 쌍의 대립유전자에 의해 결정된다. 그림 (가)는 ㉠의,
(나)는 ㉡의 표현형에 따른 개체 수를 나타낸 것이다. ㉡의 표
현형은 유전자형에서 대문자로 표시되는 대립유전자의 수에
의해서만 결정되며. 이 대립유전자의 수가 다르면 ㉡의 표현형
이 다르다. A, E, F, G 유전자는 서로 다른 상염색체에 있다.

(가) (나)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단, 돌연변이와 교차는 고려하지 않는다.)

< 보 기 >
ㄱ. 구간 Ⅰ에서 DNA 복제가 일어난다.
ㄴ. (나)는 구간 Ⅱ에서 관찰되는 세포이다.
ㄷ. ⓐ와 ⓑ는 부모에게서 각각 하나씩 물려받은 것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르
시오. (단, 돌연변이와 교차는 없으며, 각 형질에서 그림에 나
타난 표현형만을 고려한다.)

< 보 기 >

ㄱ. ㉠에 대한 대립유전자 사이의 우열 관계는 분명하다.


ㄴ. ㉡의 유전은 다인자 유전이다.
ㄷ. (나)에서 ㉡은 환경의 영향을 받았다.
ㄹ. ㉡의 유전자형이 EeFfGg인 개체와 eeffgg인 개체 사이
에서 자손이 태어날 때, 이 자손에게서 유전자형이

EeFfgg일 확률은  이다.

2 (생명과학Ⅰ) 과학탐구 영역
3. 3) [17년도 9월 모의평가 17번] 4. 4) [24년도 11월 11번]

다음은 사람의 유전 형질 (가)에 대한 자료이다. 어떤 동물 종(2  =6)의 유전 형질 ㉠은 대립유전자 A와


a에 의해, ㉡은 대립유전자 B와 b에 의해, ㉢은 대립유
o (가)를 결정하는 데 관여하는 3 개의 유전자는 서로 다른
전자 D와 d에 의해 결정된다. ㉠~㉢의 유전자 중 2개
2 개의 상염색체에 있으며, 3 개의 유전자는 각각 대립
는 서로 다른 상염색체에, 나머지 1개는 X 염색체에 있
유전자 A 와 a, B와 b, D와 d를 갖는다.
다. 표는 이 동물 종의 개체 P와 Q의 세포 Ⅰ~Ⅳ에서
o (가)의 표현형은 유전자형에서 대문자로 표시되는 대립 유
전자의 수에 의해서만 결정되며, 대문자로 표시되는 대립 A, a, B, b, D, d의 DNA 상대량을, 그림은 세포 (가)와
유전자의 수가 다르면 (가)의 표현형이 다르다. (나) 각각에 들어 있는 모든 염색체를 나타낸 것이다.
o 가계도 구성원 1~6의 유전자형은 모두 AaBbDd이고, 가 (가)와 (나)는 각각 Ⅰ~Ⅳ 중 하나이다. P는 수컷이고
계도에는 (가)의 표현형은 나타내지 않았다. 성염색체는 XY이며, Q는 암컷이고 성염색체는 XX이다.

DNA 상대량
세포
A a B b D d
Ⅰ 0 ⓐ ? 2 4 0
Ⅱ 2 0 ⓑ 2 ? 2
Ⅲ 0 0 1 ? 1 ⓒ
o 5의 동생이 태어날 때, 이 아이에게서 나타날 수 있는 Ⅳ 0 2 ? 1 2 0
(가)의 표현형은 최대 7 가지이다.
o 6의 동생이 태어날 때, 이 아이에게서 나타날 수 있는
(가)의 표현형은 최대 3 가지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르


시오. (단, 돌연변이와 교차는 고려하지 않는다.)
(가) (나)
< 보 기 >

ㄱ. (가)의 유전은 복대립 유전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ㄴ. 6의 동생이 태어날 때, 이 아이의 (가)의 표현형이 6과 고른 것은? (단, 돌연변이와 교차는 고려하지 않으며,
 A, a, B, b, D, d 각각의 1개당 DNA 상대량은 1이다.)
다를 확률은  이다.

< 보 기 >
ㄷ. 5와 6 사이에서 아이가 태어날 때, 이 아이에게서 나타
날 수 있는 (가)의 표현형은 최대 5 가지이다. ㄱ. (가)는 Ⅰ이다.
ㄴ. Ⅳ는 Q의 세포이다.
ㄷ. ⓐ+ⓑ+ⓒ=6이다.
과학탐구 영역 (생명과학Ⅰ) 3
5. 5) [24년도 수특 p.149 4번]

다음은 사람의 유전 형질 (가)와 (나)에 대한 자료이다.

• (가)는 서로 다른 3개의 상염색체에 있는 3쌍의 대립


유전자 A와 a, B와 b, D와 d에 의해 결정된다.
• (가)의 표현형은 유전자형에서 대문자로 표시되는 대
립유전자의 수에 의해서만 결정되며, 이 대립유전6자
의 수가 다르면 표현형이 다르다.
• (나)는 대립유전자 E와 e에 의해 결정되며, 유전자형
이 다르면 표현형이 다르다.
• (나)의 유전자는 (가)의 유전자와 서로 다른 상염색체
에 있다.
• P의 유전자형은 AaBbDdEE이다.
• P와 Q는 (가)의 표현형은 서로 같고, (나)의 표현형은
서로 다르다.
• P와 Q 사이에서 ㉠이 태어날 때, ㉠의 (가)와 (나)의

표현형이 Q와 같을 확률은  이다.
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단, 돌연변이는 고려하지 않는다.)

< 보 기 >

ㄱ. (가)의 유전은 다인자 유전이다.


ㄴ. Q의 유전자형은 AaBbDdEe이다.
ㄷ. ㉠에게서 나타날 수 있는 (가)와 (나)의 표현형은
최대 12가지이다.
4 (생명과학Ⅰ) 과학탐구 영역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