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75

<정답표>

[2024 개념 테스트 1회] 단원 : 01. 염색체와 세포 분열 (30문항)


1~12. 다음 괄호 안에 알맞은 것을 선택하거나 적으시오.
1. 염색사는 주로 분열기 때 관찰 가능한 구조이다. ( X )

2. 염색체(사)는 히스톤 단백질과 DNA로 구성되어 있다. ( O )

3. ( 뉴클레오솜 )은 염색사(체)의 기본 구조 단위이다.

4. 감수 1분열 : ( 상동 염색체 ) 분리 , 감수 2분열 : ( 염색 분체 ) 분리

5. 상동 염색체의 대립 유전자 구성은 항상 동일하다. ( X )

6. 남자의 X 염색체와 Y 염색체는 상동 염색체로 간주하며, 대립 유전자가 존재하지 않는다. ( O )

7. 2가 염색체는 감수 1분열 전기, 중기에 관찰할 수 있다. ( O )

8. 사람의 염색체는 44쌍의 상염색체와 2쌍의 성염색체로 나눌 수 있다. ( X )

9. 분열기에 핵막의 소실과 형성이 관찰된다. ( O )

10. 감수 1분열 중기 세포의 핵상은 ( 2n )이고, 감수 2분열 중기 세포의 핵상은 ( n ) 이다.

11. 방추사는 S기에 형성된다. ( X )

12. 사람의 감수 1분열 중기 세포의 2가 염색체 수는 ( 23 )개, 감수 2분열 중기 세포의 염색 분체 수는 ( 46 )개이다.

13~14. 그림은 동물 Ⅰ의 세포 P에 들어 있는 모든 염색체를 나타낸 것이다. Ⅰ의 특정 형질에 대한 유전

자형은 Aa이며, A와 a는 대립 유전자이다.

13. 이 세포의 핵상은 ( 2n ) = ( 8 )이고, 염색 분체 수는 ( 16 )개 이다.


14. ㉠은 대립 유전자 ( A ), ㉡은 대립 유전자 ( a )이다.

15~17. 그림은 어떤 동물의 체세포를 배양한 후 세포당 DNA양에 따른 세포 수를 나타낸 것이다.

15. M기의 세포는 구간 Ⅰ에 있다. ( O )


16. G2기는 G1기보다 주기가 길다. ( X )
17. 구간 Ⅰ에는 2가 염색체가 관찰되는 세포가 있다. ( X )

- 1 -
<정답표>
[2024 개념 테스트 1회] 단원 : 01. 염색체와 세포 분열 (30문항)
18~20. 그림은 세포 (가)~(다) 각각에 들어 있는 모든 염색체를 나타낸 것이며, 서로 다른 개체인 A와 B는 같

은 종이다. (가)는 A의 세포이고 (나)는 B의 세포이며 (다)는 A의 세포와 B의 세포 중 하나이다. A와 B의 성염색체는


수컷이 XY, 암컷이 XX이다. (단, 돌연변이는 고려하지 않는다.)

18. B는 ( 수컷 )이다.

19. (다)는 ( A )의 세포이다.

20. ㉠은 ( X ) 염색체이다.

21~23. 표는 사람의 세포 (가)~(라)가 갖는 유전자 A, a, B, b의 DNA 상대량을 나타낸 것이다. (가)~(라) 중 2개


는 남자Ⅰ의 세포이고, 나머지 2개는 여자Ⅱ의 세포이다. (단, 돌연변이는 고려하지 않는다.)

DNA 상대량
세포
A a B b 21. (다)와 (라)는 모두 Ⅰ의 세포이다. ( O )
(가) 1 0 0 1 22. (나)와 (다)의 핵상은 같다. ( O )
(나) 2 0 1 1 23. A(a)는 ( 성염색체 )에 존재하고,
(다) 0 1 2 0 B(b)는 ( 상염색체 )에 존재한다.
(라) 0 0 2 0

24~26. 그림은 유전자형이 EEFfGg인 동물의 세포 Ⅰ로부터 정자가 형성되는 과정을, 표는 세포 ㉠~㉣의

세포 1개당 대립 유전자 E, f, g의 DNA 상대량을 나타낸 것이다. F는 f와 대립 유전자이며, G는 g와 대립 유전


자이다. Ⅰ~Ⅳ는 각각 ㉠~㉣ 중 하나이다. (단, E, F, f, G, g 각각의 1개당 DNA 상대량은 같고, 돌연변이와 교
차는 고려하지 않는다.)

DNA 상대량
세포
E f g
㉠ ⓐ 0 2
㉡ 1 1 ⓑ
㉢ 2 ? 1
㉣ 1 ⓒ 1

24. Ⅰ~Ⅳ는 ㉠~㉣ 중 각각 무엇인지 적으시오.

Ⅰ - ㉢ Ⅱ - ㉠ Ⅲ - ㉣ Ⅳ - ㉡

25. ⓐ + ⓑ + ⓒ 의 값은? 답 : 2+0+0 = 2

g의 DNA 상대량 
26. Ⅲ에서 세포 1개당  의 값은? 답 : 
E의 DNA 상대량 F의 DNA 상대량 

- 2 -
<정답표>
[2024 개념 테스트 1회] 단원 : 01. 염색체와 세포 분열 (30문항)
27~29. 표는 사람 Ⅰ~Ⅱ의 세포 (가)~(라)에서 2쌍의 대립유전자 ㉠~㉣의 유무를 나타낸 것이다.
DNA 상대량
사람 세포
㉠ ㉡ ㉢ ㉣
(가) O X O X

(나) X O X O
(다) O O O X

(라) O X X X

27. 대립유전자를 찾으시오. ㉠, ㉡ / ㉢, ㉣

28. 각 세포의 핵상을 적으시오. (가)-n, (나)-n, (다)-2n, (라)-n

29. 사람 Ⅰ과 Ⅱ의 성별을 쓰시오. Ⅰ - 여자, Ⅱ - 남자

30. 그림은 어떤 사람의 G1기 세포 Ⅰ로부터 정자가 형성되는 과정을, 표는 세포 ㉠~㉣에 들어 있는 세포 1

개당 대립유전자 A와 B의 DNA 상대량을 더한 값을 나타낸 것이다. ㉠~㉣은 Ⅰ~Ⅳ를 순서 없이 나타낸 것이


다.

A와 B의 DNA
세포
상대량을 더한 값
㉠ 6

㉡ 4

㉢ 1

㉣ 3

30. ㉠~㉣은 각각 Ⅰ~Ⅳ 중 무엇인가?

㉠ - Ⅱ ㉡ - Ⅲ ㉢ - Ⅳ ㉣ - Ⅰ

- 3 -
[백호T] 2024 개념 완성 추가 문제 1회 정답 및 해설
단원명 : 01. 염색체와 세포 분열

1번 2번 3번 4번

ㄱ. A ㄱ. 23 ㄱ. 23 ㄱ. 성염색체
ㄴ. O ㄴ. X ㄴ. X ㄴ. 8
ㄷ. X ㄷ. O ㄷ. X ㄷ. O

5번 6번 7번 8번
ㄱ. 1
ㄱ. 암컷 ㄱ. 상염색체 ㄱ. 후
ㄴ. Ⅱ
ㄴ. X ㄴ. X ㄴ. O
ㄷ. X
ㄷ. O ㄷ. O ㄷ. O
ㄹ. X
9번 10번 11번 12번
ㄱ. B, A, A
ㄱ. 2 ㄱ. X ㄱ. 여자, 남자
ㄴ. O
ㄴ. 남자 ㄴ. O ㄴ. 성염색체
ㄷ. 4
ㄷ. 성염색체 ㄷ. X ㄷ. 2n
ㄹ. 4
13번 14번 15번 16번
ㄱ. 히스톤 ㄱ. 중
ㄱ. Ⅲ ㄱ. 2
ㄴ. X ㄴ. 88
ㄴ. O ㄴ. A
ㄷ. X 
ㄷ.  ㄷ. X ㄷ. O
ㄹ. X 
17번 18번 19번 20번
ㄱ. O
ㄱ. X ㄱ. 상염색체 ㄱ. A
ㄴ. O
ㄴ. 1 ㄴ. O ㄴ. O
ㄷ. X
ㄷ. B, A, D, C ㄷ. 3 ㄷ. 6
ㄹ. X
21번 22번
ㄱ. O ㄱ. O
ㄴ. O ㄴ. O
ㄷ. X ㄷ. X

- 1 -
[백호T] 2024 개념 완성 추가 문제 1회 정답 및 해설
단원명 : 01. 염색체와 세포 분열

01번 04번
[문제 분석] [문제 분석]
㉠은 염색체에서 유전자 위치, ㉡은 뉴클레오 (가)는 크기와 모양이 서로 다른 4개의 염색
솜, ㉢은 DNA이다. 체로 구성되며, 핵상은 n(n=4)이다. (나)와
[문제 풀이] (다)는 8개의 염색체로 구성되며 크기와 모양
ㄱ. ㉠은 염색 분체에서 A와 같은 위치에 존 이 동일한 염색체가 쌍을 이루고 있으므로 핵
재하는 유전자이다. 염색 분체의 유전자는 복 상이 2n(2n=8)인 체세포이다. 그런데 (다)에
제된 유전자이므로 A이다. 서 검정색 염색체 한 쌍은 서로 다른 형태를
ㄴ. 문제 분석을 참고하면, ㉡은 뉴클레오솜이다. 가지고 있으므로 성염색체이다.
ㄷ. 문제 분석을 참고하면, ㉢은 DNA이다. [문제 풀이]
ㄱ. 문제 분석을 참고하면, ㉠은 성염색체이다.
02번 ㄴ. 염색 분체는 DNA가 복제된 상태일 때의
[문제 분석] 염색체 한 가닥으로, (가)의 염색 분체 수는
상동 염색체를 이루는 두 염색체 중 하나는 8이다.
부계, 나머지 하나는 모계로부터 받은 것으로 ㄷ. 문제 분석을 참고하면, (나)와 (다)의 핵상
㉠과 ㉡은 상동 염색체 관계이다. 은 2n=8로 동일하다.
[문제 풀이]
ㄱ. (가)의 상동 염색체는 23쌍이다. 05번
ㄴ. 문제 분석을 참고하면, ㉠이 복제되어 ㉡ [문제 분석]
이 형성된 것이 아니다. (가), (나)에 들어 있는 염색체의 모양과 크기
ㄷ. (가)와 (나)의 핵상은 2n=46으로 서로 같다. 는 (다)와 다르다. 따라서 A, B는 같은 종, C
는 다른 종이다. (나)에서 검정색 상동 염색체
03번 쌍의 크기가 다른 것으로 보아 B는 수컷, A
[문제 분석] 는 암컷이다. (가), (나)가 모두 가지는 성염색
체세포는 상동 염색체 쌍이 들어 있어 핵상이 체 ㉠은 X 염색체이다.
2n이고, 생식 세포는 상동 염색체 쌍이 들어 [문제 풀이]
있지 않아 핵상이 n이다. 따라서 생식 세포의 ㄱ. 문제 분석을 참고하면, A는 암컷이다.
염색체의 수는 체세포의 절반이다. ㄴ. B가 속한 동물 종은 ㉠(X 염색체)이 아닌
[문제 풀이] Y 염색체에 의해 성별이 결정된다.
ㄱ. ㉠은 생식 세포(n)로 1개의 성염색체가 ㄷ. 문제 분석을 참고하면, B와 C는 서로 다
들어 있으므로 ㉠에 들어 있는 상염색체는 른 종이다.
23개이다.
ㄴ. 완두와 보리 체세포(2n)의 염색체 수는 06번
모두 14개이다. 그러나 이 둘은 서로 다른 종 [문제 분석]
이므로 염색체의 크기, 모양 등이 달라 핵형 체세포 분열 과정에서는 분열이 끝난 후 세포
이 다르다. 1개당 DNA 상대량의 변화가 없고, 감수 분
ㄷ. 쥐의 생식 세포(n)에 들어 있는 상염색체 열 과정에서는 분열이 끝난 후 세포 1개당
수는 22개이고, 토마토의 체세포에 들어 있는 DNA 상대량은 G1기에 비해 절반으로 감소한
염색체의 총 수는 24개로 서로 다르다. 다. Ⅰ은 DNA 복제가 일어나는 S기, Ⅱ는 감
수 1분열, Ⅲ은 감수 2분열 시기를 나타낸다.

- 2 -
[백호T] 2024 개념 완성 추가 문제 1회 정답 및 해설
단원명 : 01. 염색체와 세포 분열

[문제 풀이] 핵상은 2n이다. 대립 유전자끼리 DNA양이


ㄱ. (가)는 1번의 체세포 분열과 1번의 감수 같은데, (가)의 b의 DNA 상대량이 2이며, A
분열, 그리고 수정 과정을 나타내고 있다. 의 DNA 상대량은 1이므로 b는 쌍을 이루고
ㄴ. (나)는 상동 염색체가 분리되는 감수 1분 있는 상염색체에 존재하고 A는 성염색체에
열 후기의 세포로 구간 Ⅱ에서 관찰된다. 존재한다. 따라서 (가)는 남자, (나)는 여자의
ㄷ. 방추사는 M기에서 나타난다. 따라서 S기 체세포이다.
인 구간 Ⅰ에서는 방추사가 나타나지 않는다. [문제 풀이]
ㄹ. Ⅰ 시기의 핵상은 2n, Ⅲ 시기의 핵상은 ㄱ. 문제 분석을 참고하면, (나)는 여자의 체
n으로 서로 다르다. 세포이므로 A의 DNA 상대량이 1일 때, a는
1(㉠), b의 DNA 상대량이 1일 때, B는 1
07번 (㉡)이다. 따라서 ㉠+㉡=2이다.
[문제 분석] ㄴ. 문제 분석을 참고하면, (가)는 남자의 세
(가)는 남성, (나)는 여성이다. R와 r가 존재 포이다.
하는 염색체는 남성과 여성이 동일하게 가지 ㄷ. 문제 분석을 참고하면, 대립 유전자 A는
므로 상염색체, T와 t가 존재하는 염색체는 성염색체에 존재한다.
남성과 여성이 다르게 가지므로 성염색체 X이
다. 10번
[문제 풀이] [문제 분석]
ㄱ. 문제 분석을 참고하면, r는 상염색체에 존 그림 (가)는 체세포 분열을, (나)는 복제가 완
재한다. 료된 분열기의 세포를 나타낸 것이다.
ㄴ. 대립 유전자 R와 r는 감수 분열 과정에서 [문제 풀이]
분리되므로 생식 세포에 함께 존재하지 않는다. ㄱ. 구간 Ⅰ은 DNA가 복제되는 S기로 핵막
ㄷ. (가)는 딸에서 t를 주고 (나)는 딸에게 T 은 여전히 존재한다. 핵막은 M기 전기에 사
를 주므로 딸은 T와 t를 모두 갖는다. 라진다.
ㄴ. 구간 Ⅱ에는 염색 분체 분리가 일어나지
08번 않은 전기, 중기의 세포들이 포함된다.
[문제 분석] ㄷ. 문제 분석을 참고하면, (나)는 분열기의
세포 ⓐ는 중기, 세포 ⓑ는 후기, 세포 ⓒ는 세포이므로 구간 Ⅱ에서 관찰된다.
전기에 해당한다.
[문제 풀이] 11번
ㄱ. 문제 분석을 참고하면, ⓑ는 후기의 세포 [문제 분석]
이다. (가)는 크기와 모양이 모두 다른 4개의 염색
ㄴ. 체세포 분열이 일어나는 순서는 간기 → 체가 세포 가운데에 배열해 있는 감수 2분열
전기(ⓒ) → 중기(ⓐ) → 후기(ⓑ) → 말기 순 중기 세포, (나)는 2개의 2가 염색체가 세포
서이다. 가운에 배열해 있는 감수 1분열 중기 세포,
ㄷ. 체세포 분열 과정에서 핵상은 2n으로 모 (다)는 상동 염색체가 없으며 염색 분체가 분
두 같다. 리되고 있는 감수 2분열 후기 세포이다. (가)
는 크기와 모양이 모두 다른 4개의 염색체가
09번 있으므로 n=4인 B의 세포, (나)는 2쌍의 상
[문제 분석] 동 염색체가 있으므로 2n=4인 A의 세포이다.
체세포에는 상동 염색체가 모두 들어있으므로 n=2인 (다)는 A의 세포이다.

- 3 -
[백호T] 2024 개념 완성 추가 문제 1회 정답 및 해설
단원명 : 01. 염색체와 세포 분열

[문제 풀이] 감수 2분열에서 서로 분리된다. 참고로 감수


ㄱ. 문제 분석을 참고하면, (가)~(다)는 각각 1분열에서는 상동 염색체가 분리된다.
B, A, A의 세포이다.
ㄴ. 감수 1분열과 감수 2분열 결과 모두 핵상 14번
이 n=2인 딸세포가 만들어진다. [문제 풀이]
ㄷ. A의 감수 2분열 중기의 세포는 2개의 염 ㄱ. 핵형 분석은 체세포 분열 중기의 세포를
색체를 가지며 DNA가 복제된 상태이므로 염 이용한다.
색 분체는 4개이다. ㄴ. 상염색체 수는 44개이며 복제된 상태이므
ㄹ. B의 감수 1분열 중기의 세포는 8개의 염 로 상염색체의 염색 분체 수는 44×2=88이다.
색체를 가지며 2가 염색체 수는 4개이다. ㄷ. 영희의 동생이 여자일 확률과 남자일 확

률은 각각  이며, 영희와 핵형이 동일하기
12번 
[문제 분석] 위해서는 여동생이 태어나야 한다. 따라서 확
B의 경우 대립 유전자 R과 R*의 DNA 상대 
률은  이다.

량 합이 H와 H*의 DNA 상대량 합의 절반임
통해 H(H*)는 상염색체, R(R*)은 성염색체에
15번
존재하는 대립 유전자임을 알 수 있다. A는
[문제 분석]
HH*RR, B는 HHRY, C는 HHR*R*이고 Y 염
㉠, ㉡, ㉣ 모두 DNA 상대량이 0인 값이 있
색체가 없는 (가), (다)는 여자, Y 염색체를
으므로 세포 Ⅰ이 될 수 없다. 따라서 ㉢이
갖는 (나)는 남자이다.
세포 Ⅰ이다. DNA 상대량이 2인 값이 있는
[문제 풀이]
㉠은 복제된 상태이므로 세포 Ⅱ가 된다. 세
ㄱ. 문제 분석을 참고하면, (가)는 여자, (나)
포 Ⅱ는 D를 가지지 않으므로 세포 Ⅲ도 D를
는 남자이다.
갖지 않고 세포 Ⅳ는 D를 가져야 한다. 따라
ㄴ. 문제 분석을 참고하면, 대립 유전자 R는
서 세포 ㉡은 Ⅲ, ㉣은 Ⅳ이다. 세포 Ⅳ(㉣)는
성염색체에 존재한다.
b를 갖지 않으므로 세포 Ⅱ(㉠), Ⅲ(㉡)은 b를
ㄷ. A~C의 핵상은 모두 2n이다.
갖는다. 세포 Ⅱ(㉠)의 염색 분체가 분리되어
Ⅲ(㉡)이 생성되므로 ⓐ와 ⓑ는 1이다. 세포
13번
Ⅱ(㉠), Ⅲ(㉡)이 Abd를 가지므로 세포 Ⅳ(㉣)
[문제 분석]
는 aBD를 가지며 ⓒ는 0, ⓓ는 1이다.
염색체의 기본 단위인 뉴클레오솜은 히스톤
[문제 풀이]
(㉠)에 DNA가 감긴 구조이다. ㉡은 분열기에
ㄱ. 문제 분석을 참고하면, ㉡은 Ⅲ이다.
관찰할 수 있는 염색체이며, A와 B는 유전적
ㄴ. 문제 분석을 참고하면, ⓐ+ⓑ는 2, ⓒ+ⓓ
구성이 동일한 염색 분체이다.
는 1로 ⓐ+ⓑ가 ⓒ+ⓓ 보다 더 크다.
[문제 풀이]
ㄷ. ㉢의
ㄱ. 문제 분석을 참고하면, ㉠은 히스톤이다.
b 의 DNA 상대량
ㄴ. 문제 분석을 참고하면, ㉡은 2가 염색체  값은
A 의 DNA 상대량  d 의 DNA 상대량
가 아닌 복제된 상태의 염색체 하나이다.
   
ㄷ. A와 B는 염색 분체로 세포 분열 과정 중 =  =  , Ⅱ에서의 값은=  =  로 서
   
S기 때 복제된 상태이다. 따라서 A와 B는 부 로 같다.
모에게서 하나씩 물려받은 것이 아니다.
ㄹ. A와 B는 염색 분체로 체세포 분열 혹은

- 4 -
[백호T] 2024 개념 완성 추가 문제 1회 정답 및 해설
단원명 : 01. 염색체와 세포 분열

16번 18번
[문제 분석] [문제 분석]
ⓑ는 대립 유전자 R와 r를 모두 가지므로 핵 만약 H와 h가 성염색체에 존재한다고 가정하
상이 2n인 세포이고, ⓑ의 H와 h의 DNA 상 면, 오빠는 h만 가지고 있어야 하는데 H를
대량의 합은 R와 r의 DNA 상대량의 합의 절 가지므로 모순이다. 따라서 H(h)는 상염색체
반이므로 H(h)는 성염색체에 존재하며, ⓑ는 에 존재함을 알 수 있다. 아버지의 t DNA 상
수컷인 B의 세포이다. 문제 조건에서 A, B의 대량이 1이므로 T(t)는 성염색체에 존재함을
성별이 다르다고 하였으므로 A는 암컷이다. 알 수 있고, 오빠의 t의 DNA 상대량은 0이므
ⓐ를 보면 H와 h를 모두 지니므로 핵상이 로 T를 어머니로부터 받았음을 알 수 있다.
2n인 세포인데 r이 0이므로 R의 값(㉠)은 2 이를 정리하면 아버지는 HHtY, 어머니는
가 된다. ⓒ는 h를 가지고 있으므로 암컷의 hhTt, 영희는 Hhtt, 오빠는 HhTY임을 알 수
세포이며, 핵상은 n이다. 따라서 ㉡은 0이다. 있다. 따라서 ⓐ는 2, ⓑ는 1이다.
문제의 조건에 따라 ⓓ는 B의 세포가 된다. [문제 풀이]
[문제 풀이] ㄱ. 문제 분석을 참고하면, H와 h는 상염색체
ㄱ. 문제 분석을 참고하면, ㉠+㉡=2+0=2이다. 에 존재한다.
ㄴ. 문제 분석을 참고하면, ⓒ는 A의 세포이 ㄴ. 문제 분석을 참고하면, 어머니는 T와 t를
다. 모두 가지고 있다.
ㄷ. ⓓ는 B(수컷)의 세포이며, H가 있는 것으 ㄷ. 문제 분석을 참고하면, ⓐ는 2, ⓑ는 1이
로 보아 X 염색체를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 므로 ⓐ+ⓑ=3이다.
다. 따라서 ⓓ로부터 형성된 생식 세포와 암컷
의 생식 세포가 만나 태어난 자손은 모두 암컷 19번
(XX)이 된다. [문제 분석]
집단 A에서 구간 Ⅰ은 S기, Ⅱ는 G2기, M기
17번 의 세포이다. 집단 B에서 DNA양이 1과 2사
[문제 분석] 이에 머물러 있으므로 모든 세포들이 S기 상
세포 ㉠, ㉡의 세포 1개당 염색체 수는 6개, 태에 머물러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물질
㉢, ㉣의 염색체 수는 3개이다. ㉠에서 ㉡으 X는 DNA의 복제에 관여하는 단백질 Y의 기
로 되면서 복제가 일어나므로 ㉡의 DNA양이 능을 저해한다고 볼 수 있다.
㉠의 2배이다. 또한 ㉢에서 ㉣으로 되면서 염 [문제 풀이]
색 분체가 분리되므로 ㉣의 DNA양이 ㉢의 ㄱ. 구간 Ⅰ은 S기에 해당하므로 핵막을 가진
절반이다. 내용을 종합해 보면, ㉠은 B, ㉡은 세포가 존재한다.
A, ㉢은 D, ㉣은 C이다. ㄴ. 구간 Ⅱ에는 염색 분체 분리가 일어나는
[문제 풀이] 체세포 분열 후기 세포가 존재한다.
ㄱ. ㉠의 핵상은 2n, C의 핵상은 n이다. ㄷ. 방추사는 M기에 나타나므로 방추사가 나
ㄴ. D의 염색체 수는 3, 복제된 상태이므로 타난 세포 수는 구간 Ⅱ에서가 구간 Ⅰ에서보
염색 분체 수는 6개이다. 따라서 다 많다.
D 의 염색 분체 수  ㄹ. 문제 분석을 참고하면, 단백질 Y의 기능
 =  =1이다.
A 의 염색체 수  이 저해된 집단 B는 S기 상태에 머물러 있으
ㄷ. 문제 분석을 참고하면, ㉠은 B, ㉡은 A, 므로 G1기에서 S기로의 전환이 억제된 집단
㉢은 D, ㉣은 C이므로 세포 분열 과정을 순 이 아니다.
서대로 나열하면 B → A → D → C이다.

- 5 -
[백호T] 2024 개념 완성 추가 문제 1회 정답 및 해설
단원명 : 01. 염색체와 세포 분열

20번
[문제 분석]
(가)는 크기가 다른 1쌍의 염색체를 가지므로
수컷인 B의 세포이다. (가)와 (나)는 성염색체
를 제외한 나머지 염색체의 크기와 모양이 동
일하므로 B와 C는 같은 종이다. (다)는 (가),
(나)와는 크기와 모양이 다른 염색체를 가지
므로 A의 세포이고, (라)는 (가)와 크기가 동
일한 염색체를 가지므로 B의 세포이다.
[문제 풀이]
ㄱ. 문제 분석을 참고하면, (다)는 A의 세포이
다.
ㄴ. 문제 분석을 참고하면, (가)(B의 세포)와
(나)(C의 세포)는 같은 종의 세포이다.
다 의 염색 분체 수 
ㄷ.  =  =6이다.
라 의 상염색체 수 

21번
[문제 분석]
A+b+D는 Ⅲ이 Ⅰ보다 클 수 없고, Ⅲ의
A+b+D는 3보다 클 수 없다.
[문제 풀이]
ㄱ. Ⅱ의 A+b+D는 0이거나 짝수이므로 ㉠은
Ⅰ, ㉡은 Ⅱ, ㉢은 Ⅲ이다.
ㄴ. Ⅱ의 A+b+D가 4이므로 Ⅲ의 모세포는
A+b+D가 6이다. 따라서 ⓐ는 3이다.
ㄷ. Ⅱ에는 A+b+D 중 2가지가 있다.

23번
[문제 분석]
이 사람의 대립 유전자는 ㉠, ㉣ / ㉡, ㉥ /
㉢, ㉤이다. 세포 Ⅰ, Ⅱ, Ⅳ의 핵상은 n이고,
세포 Ⅲ의 핵상은 2n이다.
[문제 풀이]
ㄱ. 문제 분석을 참고 하면 ㉢은 ㉤과 대립유
전자이다.
ㄴ. 문제 분석을 참고 하면 Ⅰ과 Ⅲ의 핵상은
서로 다르다.
ㄷ. ㉠과 ㉣은 서로 대립유전자이기 때문에
㉠, ㉢, ㉣의 유전자를 갖는 생식세포가 형성
될 확률은 0%이다.

- 6 -
<정답표>
[2024 백호T 개념 테스트 2회] 단원 : 02. 사람의 유전 (26문항)

1~4. 다음 문장의 옳고 그름을 판단하거나, 괄호 안에 알맞은 말을 선택하시오.


1. 한 형질을 나타내는 대립 유전자 쌍이 다른 경우를 ( 이형 )접합성이라고 한다.
2. 혈우병은 성염색체 열성 형질로 평균적으로 남자보다 여자에게 나타날 확률이 더 높다. ( X )
3. ABO식 혈액형과 같이 유전 형질을 결정하는 대립 유전자가 3개 이상인 유전을 다인자 유전이라고 한다.
( X )
4. 정상인 어머니와 적록 색맹인 아버지 사이에서 색맹인 아들이 태어난 것은 아들이 아버지로부터 색맹 유
전자를 받았기 때문이다. ( X )

5~6. 특정 형질의 유전자형이 RrYy인 개체가 있다. R과 r, Y와 y는 각각 대립 유전자이다.

5. 만일 R과 Y가 독립되어 있다면 만들어질 수 있는 생식세포의 유전자형은? 답 : RY, Ry, rY, ry


6. 만일 R과 y가 연관되어 있다면 만들어질 수 있는 생식세포의 유전자형은? 답 : Ry, rY

7~9. 사람의 형질 ㉠을 결정하는데 관여하는 3개의 유전자는 서로 다른 상염색체에 존재하며 각각 대립 유

전자 A와 a, B와 b, D와 d를 가진다. ㉠의 표현형은 유전자형에서 대문자로 표시되는 대립 유전자의 수에 의해


서만 결정되며, 대문자로 표시되는 대립 유전자가 많을수록 더 짙은 색을 나타낸다. (단, 돌연변이는 고려하지
않는다.)

7. 유전자형이 AaBbdd인 개체에서 형성될 수 있는 생식 세포의 유전자형은 최대 몇 가지인가?


(ABd, Abd, aBd, abd) 답 : 4 가지
8. 유전자형이 AaBbDd와 aabbdd인 부모 사이에서 태어난 자손(F1)이 가질 수 있는 ㉠에 대한 표현형은
최대 몇 가지인가?
(_a_b_d 미확정 자리수 3 + 1 → 4가지) 답 : 4 가지
9. 유전자형이 AaBbDd인 부모 사이에서 태어난 자손(F1)의 표현형이 부모보다 더 짙게 나타날 확률은?
 C  C  C   
大6+大5+大4=      =  =  답 : 
     

10~12. 몸 색은 상염색체에 있는 1쌍의 대립 유전자에 의해 결정된다. 대립 유전자에는 A(붉은색), B(검은

색), D(갈색)가 있고, 각 대립 유전자 사이의 우열 관계는 분명하다. 유전자형이 AB인 개체, AD인 개체, DD인
개체는 몸 색이 각각 서로 다르다. ㉠ 붉은색 몸 암컷과 ㉡ 검은색 몸 수컷을 교배하여 얻은 자손의 표현형에
따른 비는 붉은색 : 갈색:검은색 = ⓐ:1:ⓑ 이다. (단, 돌연변이는 고려하지 않는다.)

10. A, B, D의 우열 관계는? B(검) > A(붉) > D(갈)


11.  >1이다. ( X )

12. ㉠과 ㉡의 유전자형을 각각 쓰시오. ㉠ : AD , ㉡ : BD

- 1 -
<정답표>
[2024 백호T 개념 테스트 2회] 단원 : 02. 사람의 유전 (26문항)

13~16. 다음은 어떤 집안의 유전병 (가)에 대한 가계도이다. 유전병 (가)는 대립 유전자 A와 a에 의해 결정

되며, A는 a에 대해 완전 우성이다. (단, 돌연변이는 고려하지 않는다.)

13. 유전병 (가)는 우성인가? 열성인가? 답 : 열성

14. 유전병 (가)는 상염색체 유전인가? 성염색체 유전인가? 답 : 상염색체 유전

  
15. 3의 동생이 태어날 때, 유전병 (가)인 여동생일 확률은? 답 :  × 
  

16. 1과 2사이에서 아이가 태어날 때, 이 아이가 유전병 (가)에 대해 정상일 확률은?

   
(풀이 Tip : 생식세포 비율로 계산, 여사건 이용: 1 – 병병= 1-   ×     ) 답 : 
   

17~18. 다음은 어떤 두 집안의 유전 형질 (가)에 대한 자료이다. (가)는 대립 유전자 A와 A*에 의해 결정

되며, 각 대립 유전자 사이의 우열 관계는 분명하다. 표는 구성원 1~4의 체세포 1개당 A의 DNA 상대량을 나
타낸 것이다. (단, A, A* 각각의 1개당 DNA 상대량은 같고, 돌연변이는 고려하지 않는다.)

구성원 1 2 3 4
DNA
A ⓐ ⓑ 0 1
상대량

풀이Tip : 열무부자모순
(가)는 성 유전!

17. 유전 형질 (가)는 상염색체 유전인가? 성염색체 유전인가? 답 : 성염색체 유전

18. ⓐ+ⓑ의 값은? 답 : 1 + 1 = 2

- 2 -
<정답표>
[2024 백호T 개념 테스트 2회] 단원 : 02. 사람의 유전 (26문항)

19. 다음은 어떤 집안의 성염색체에 의해 유전되는 어떤 유전병에 대한 가계도이다. (단 돌연변이는 고려하

지 않는다.)

19. 이 유전병은 (우성 / 열성)이다.


(풀이 Tip : 성염색체 유전 확정 시,
모자 or 여부의 표현형이
서로 다르면, 여자의 표현형이
우성이다 → 모자여부 우 skill !)

20~21. 유전병 ㉡의 유전자는 ABO식 혈액형 유전자와 같은 염색체에 있다. 유전병 ㉡은 대립 유전자 H와

H*에 의해 결정되며, H는 H*에 대해 완전 우성이다. 1의 유전병 ㉡에 대한 유전자형은 이형 접합성이다. (단,


교차와 돌연변이는 고려하지 않는다.) (풀이 Tip 1: AH/BH*, 어머니: OH*/OH*, 2: AH/OH*, 3: BH*/OH*)

20. 2의 ABO식 혈액형 유전자 중 A는 H와 H* 중 무엇과


같은 염색체에 있는가?
답 : H

21. 3의 혈액형은 무엇인가? 답 : B형

- 3 -
<정답표>
[2024 백호T 개념 테스트 2회] 단원 : 02. 사람의 유전 (26문항)

22~24. 유전병 ㉠과 ㉡은 각각 대립 유전자 A와 A*, B와 B*에 의해 결정된다. 그림 (가)는 ㉠과 ㉡에 대한

가계도를, (나)는 (가)의 1~3에서 A*와 B*의 DNA 상대량을 나타낸 것이다. (단, 돌연변이는 고려하지 않는다.)

㉠풀이 Tip :
1은 정상인데 AA,
3은 ㉠발현.
1한테 A 하나 받고
유전자형 AA*
이므로 상유전!
유전병 ㉠ 우성!
(가) (나)

㉡풀이 Tip :
22. 유전병 ㉠은 상염색체 유전인가? 성염색체 유전인가? 답 : 상염색체 유전
1과 3은 B*이
23. 유전병 ㉡은 상염색체 유전인가? 성염색체 유전인가? 답 : 성염색체 유전 둘다 1
남녀유동우!
24. 유전병 ㉠은 ( 우성 / 열성 )이고, 유전병 ㉡은 ( 우성 / 열성 )이다. ㉡은 성유전,
정상이 우성!

25~26. 어떤 동물의 유전 형질 (가)는 대립유전자 A와 a에 의해, (나)는 대립유전자 B와 b에 의해 결정되

며, (가)와 (나)의 유전자는 서로 다른 상염색체에 있다. 유전자형이 AaBb인 암컷과 aabb인 수컷 사이에서 ⓐ가
태어날 때, ⓐ에게서 나타날 수 있는 표현형은 최대 4가지이고, 유전자형이 AaBB인 암컷과 ㉠AaBb인 수컷 사

이에서 ⓑ가 태어날 때, ⓑ의 표현형이 모두 ㉠과 같을 확률은  이다.

25. (가)와 (나)를 결정하는 대립유전자의 우열 관계를 각각 쓰시오. 답 : A>a, B=b

26. ⓑ에게서 나타날 수 있는 표현형은 최대 몇 가지인가? 답 : 2 x 2 = 4가지

3/8 = 3/4 x 1/2이므로


(가)는 완전 우성,
(나)는 불완전 우성!

- 4 -
[백호T] 2024 개념 완성 추가 문제 2회 정답 및 해설
단원명 : 02. 사람의 유전

1번 2번 3번 4번
ㄱ. 열성
ㄱ. 복대립 ㄱ. 성염색체 ㄱ. 열성, 우성
ㄴ. O
 ㄴ. O ㄴ. O
ㄴ.  ㄷ. X
  
ㄷ.   ㄷ. 
ㄷ. 6  ㄹ.  

5번 6번 7번 8번
ㄱ. 상염색체
ㄱ. 상염색체 ㄱ. A
ㄴ. 열성 ㄱ. 복대립
ㄴ. O ㄴ. O
ㄷ. O ㄴ. 회색
 
ㄷ.   ㄷ. 3 ㄷ. 
 ㄹ.  

9번 10번 11번 12번
ㄱ. 성염색체 ㄱ. 성염색체 ㄱ. 성염색체
ㄱ. O
ㄴ. A ㄴ. O ㄴ. O
ㄴ. 상염색체
  
ㄷ.  ㄷ. 6 ㄷ.  ㄷ. 
  
13번 14번 15번 16번
ㄱ. 2 ㄱ. 이형 접합성 ㄱ. 우성 ㄱ. 이형 접합성
ㄴ. 2 ㄴ. X ㄴ. X ㄴ. A
   
ㄷ.  ㄷ.  ㄷ.  ㄷ. 
   
17번 18번
ㄱ. 상염색체 ㄱ. X
ㄴ. O ㄴ. O
ㄷ. 4 ㄷ. 4
ㄹ. 1 ㄹ. 9

- 1 -
[백호T] 2024 개념 완성 추가 문제 2회 정답 및 해설
단원명 : 02. 사람의 유전

01번
[문제 분석]
㉠은 한 쌍의 대립 유전자에 의해 결정되고
대립 유전자가 3개이므로 단일 인자 유전, 복
대립 유전이고, ㉡은 우열이 분명한 한 쌍의 [문제 풀이]
대립 유전자에 의해 결정되고, 대립 유전자가 ㄱ. 문제 분석을 참고하면, 유전병 ㉠은 X 염
2개이므로 우열이 분명한 단일 인자 유전이 색체에 의해 유전되므로 성염색체에 의해 유
다. 문제 조건에서 대립 유전자의 우열이 분 전된다.
명하고, AB, BD의 표현형이 같으므로 B는 ㄴ. 문제 분석을 참고하면, 어머니의 유전자형
A, D에 대해 우성이다. AA, AD의 표현형이 은 DD*이므로 유전병 ㉠을 나타낸다.
같으므로 A는 D에 대해 우성이다. 따라서 ㉠ ㄷ. 아버지(D*Y)와 어머니(DD*) 사이에서 철
의 대립 유전자 우열 관계는 B>A>D이다. 수의 동생이 태어날 때, 가능한 유전자형은
[문제 풀이] DD*, D*D*, DY, D*Y이고 이 중 유전병 ㉠
ㄱ. 문제 분석을 참고하면, ㉠은 복대립 유전 
을 갖는 남동생은 D*Y로 확률은  이다.

이다.
ㄴ. ABHh 부모 사이에서 아이가 태어날 때,
㉠은 AA, AB, AB, BB가 가능하고 표현형이 03번
 [문제 분석]
[B]일 확률은  이다. ㉡은 HH, Hh, hH, hh
 4의 아버지는 4에게 유전병 (가) 대립 유전자
 를 주는데, 4는 정상 표현형을 나타내므로 정
가 가능하고 [H]일 확률은  이다. 따라서 자
 상이 우성이며 유전병 (가)는 열성이다. 이를
손에서 부모와 같은 표현형이 나타날 확률은 토대로 가계도를 작성하면 다음과 같다.

 이다.

ㄷ. ADHh, BDHh 부모 사이에서 아이가 태
어날 때 ㉠은 AB, AD, DB, DD로 나타날 수
있는 표현형은 3가지이다. ㉡은 HH, Hh,
Hh, hh로 나타날 수 있는 표현형은 2가지이
다. 따라서 나타날 수 있는 표현형은 최대 6 [문제 풀이]
가지이다. ㄱ. 문제 분석을 참고하면, (가)는 열성 형질
이다.
02번 ㄴ. 문제 분석을 참고하면, 1과 4의 유전자형
[문제 분석] 은 모두 AA*이므로 이형 접합성이다.
아버지와 여동생은 D* 유전자만 가지며 ㉠을 ㄷ. 문제 분석을 참고하면, 2는 A* 유전자를
나타낸다. 따라서 D*는 유전병 ㉠ 유전자이 갖지 않는다.
며, 문제의 조건에 따라 우성이다. 아버지와 ㄹ. 2(AY)와 3(A*A*) 사이에서 아이가 태어
철수의 DNA 상대량을 보면 D와 D*의 합이 날 때, 가능한 유전자형은 AA*, AA*, A*Y,
각각 1이고, 여동생의 D와 D*가 합이 2이므 A*Y이고, (가)를 나타낼 경우는 A*Y로 확률
로 ㉠은 X 염색체 유전이다. 철수의 D, 여동 
은  이다.
생의 D*는 어머니로부터 받았으므로 어머니의 
유전자형은 DD*이다. 이를 토대로 가계도를
작성하면 다음과 같다.

- 2 -
[백호T] 2024 개념 완성 추가 문제 2회 정답 및 해설
단원명 : 02. 사람의 유전

04번 ㄱ. 문제 분석을 참고하면, 유전병 대립 유전


[문제 분석] 자는 상염색체에 있다.
(가)가 X 염색체 유전이라면 6의 (가) 유전자 ㄴ. 문제 분석을 참고하면, 1과 2의 유전병
형이 동형 접합성이므로 9는 (가)를 발현해야 유전자형은 모두 이형 접합성이다.
하는데 그렇지 않으므로 (가)는 상염색체 유 ㄷ. 3(Aa)과 4(Aa) 사이에서 아이가 태어날
전 형질이다. 6이 9에게 (가) 유전자를 주었 때, 가능한 유전자형은 AA, Aa, Aa, aa이고
으나 정상 표현형을 나타내므로 (가)는 정상 이 중 유전자형이 aa일 때 유전병이 나타나므
에 대해 열성이다. 따라서 A는 정상 대립 유 
로 유전병이 나타날 확률은  이다. 아들이
전자, a는 (가) 대립 유전자이다. 1, 2는 (나) 
를 발현하는데 자손인 4가 정상이므로 (나) 
태어날 확률은  이므로 유전병을 나타내는

형질은 정상에 대해 우성이고 B는 (나) 대립
  
유전자, b는 정상 대립 유전자이다. 아들일 확률은  ×    이다.
  
[문제 풀이]
ㄱ. 문제 분석을 참고하면, (가)는 열성 형질,
06번
(나)는 우성 형질이다.
[문제 분석]
ㄴ. 2는 4에게 b를 주고 (나)를 발현하므로
유전병 ㉠을 나타내는 1과 2 사이에서 ㉠을
Bb, 7은 6에게 b를 받고 (나)를 발현하므로
나타내지 않는 5가 태어났으므로 ㉠은 정상
Bb이다. 따라서 2와 7의 (나)에 대한 유전자
에 대해 우성이다. 만약 유전병 ㉠이 X 염
형은 같다.
색체 위에 존재한다면, 1의 ㉠ 유전자가 5
ㄷ. 4(Aa, bY)와 7(Aa, Bb) 사이에서 아이가
에게 전달되어 5 역시 ㉠을 나타내야 하는
태어날 때, (가)에 대해 가능한 유전자형은
데 그렇지 않으므로 ㉠은 상염색체 유전이
AA, Aa, Aa, aa이고 이 중 (가)를 발현하는
다. 1이 5에게 ㉡ 유전자를 주었음에도 불

경우는 aa로  이다. (나)에 대해 가능한 유 구하고 5가 ㉡을 나타내지 않으므로 ㉡은

정상에 대해 열성이다.
전자형은 Bb, bb, BY, bY이고 이 중 (나)가
[문제 풀이]
 
발현된 딸일 경우는 Bb로  이다. 따라서  ㄱ. 문제 분석을 참고하면, ㉠은 상염색체에
 
  의해 유전된다.
×  =  이다.
  ㄴ. 문제 분석을 참고하면, ㉡은 정상에 대
해 열성이다.
05번 ㄷ. 2는 5에게 ㉠에 대해 정상 유전자를 주
[문제 분석] 면서 ㉠을 나타내므로 정상 유전자와 ㉠ 유
정상인 부모 3과 4 사이에서 유전병인 딸이 전자를 모두 가진 이형 접합성이다. 또한 6
태어났으므로 유전병은 정상에 대해 열성이 에게 ㉡ 유전자를 주면서 ㉡에 대해 정상이
다. 만약 유전병 유전자가 X 염색체에 있다면 므로 ㉡ 유전자와 정상 유전자를 모두 가진
3은 딸에게 정상 유전자를 주므로 딸 역시 정 이형 접합성이다.
상이어야 하는데 그렇지 않으므로 유전병 유 ㄹ. 3은 ㉠에 대해 정상, 정상 유전자를 가
전자는 상염색체에 있다. 정상 유전자를 A, 지며, 4는 ㉠에 대해 정상, ㉠ 유전자를 가
유전병 유전자를 a라고 하였을 때, 가계도에 진다. 따라서 8은 (정상, 정상), (정상, ㉠),
서 유전병을 나타내는 사람은 aa가 되고, 1, (정상, 정상), (정상, ㉠) 유전자형이 가능하
2, 3, 4는 모두 Aa가 된다. 며 이 중 ㉠을 나타내는 경우는 (정상, ㉠)
[문제 풀이]

- 3 -
[백호T] 2024 개념 완성 추가 문제 2회 정답 및 해설
단원명 : 02. 사람의 유전

 중 하나이다. 철수의 형제가 B형이므로 전자


으로 확률은  이다. 3은 ㉡에 대해 정상,
 의 경우에 해당하며, 철수의 ABO식 혈액형
Y를 가지며 4는 정상, ㉡ 유전자를 가진다. 유전자형은 AO이다.
따라서 (정상, 정상), (정상, ㉡), (정상, Y), ii) 영희네 가족 구성원
(㉡, Y)가 가능하며 이 중 ㉡을 나타내지 않 영희와 철수의 혈액형이 다르고, 영희의 가족
는 여자는 (정상, 정상), (정상, ㉡)으로 확률 구성원의 ABO식 혈액형 또한 모두 다르므로
    영희는 AB형, A형이 불가능하다. 아버지의
은  이다. 따라서  X  =  이다.
   
혈액형이 AB형이기 때문에 O형 역시 불가능
하므로 영희의 혈액형은 B형이다. 만약 영희
07번
의 ABO식 혈액형의 유전자형이 BB라 가정하
[문제 분석]
면 아버지, 어머니에게서 모두 B를 받아야
깃털 색은 1쌍의 대립 유전자에 의해
하는데 이때 어머니의 혈액형이 B형 혹은 AB
결정되고 대립 유전자가 3가지이므로 깃털 색
형이 되어야 하므로 모순이 생긴다. 따라서
유전은 복대립 유전이다. AB, BD 모두
영희의 ABO식 혈액형의 유전자형은 BO, 어
검은색이므로 B는 검은색 대립 유전자이고
머니는 AO와 OO가 가능하다.
B는 A, D에 대해 우성이다. AB 암컷과 AD
iii) 유전병 ㉠
수컷 사이에서 태어난 자손의 유전자형은
철수네 가족 구성원에서 정상 부모 사이에서
AA, AD, BA, BD인데 BB, BD는
㉠인 아들이 나타났으므로 ㉠은 열성 형질이
검은색이다. 이 사이에서 회색은 태어나지
다. 정상 유전자를 D, ㉠ 유전자를 d라고 한
않았으므로 AA, AD는 갈색이다. 따라서 A는
다면, 철수는 DY, 영희는 아버지로부터 d를
갈색 대립 유전자이고 D에 대해 우성이다.
받아 Dd이다.
남은 D는 회색 대립 유전자이고 B, A에 대해
[문제 풀이]
열성 이다.
ㄱ. 문제 분석을 참고하면, 철수의 혈액형은
[문제 풀이]
A형이다.
ㄱ. 문제 분석을 참고하면, 깃털 색 유전은
ㄴ. 문제 분석을 참고하면, 영희는 ㉠에 대한
복대립 유전이다.
유전자형은 Dd로 이형 접합성이다.
ㄴ. 문제 분석을 참고하면, D는 회색 대립
ㄷ. 철수(AO)와 영희(BO) 사이에서 아이가
유전자이므로 DD인 개체의 깃털 색은
태어날 때, A형일 확률은 AB, AO, BO, OO
회색이다.

ㄷ. ㉠(AD)과 BD를 교배하여 얻은 자손의 중 AO이므로  이다. ㉠을 나타내지 않을 확

유전자형은 AB, AD, BD, DD이고 AB, BD는 률은 DD, Dd, DY, dY 중 DD, Dd, DY이므
검은색, AD는 갈색, DD는 회색이다. 따라서 
로  이다. 따라서 이 아이가 A형이고 유전
자손의 표현형은 3가지이다. 
  
병 ㉠을 나타내지 않을 확률은  ×   
08번   
[문제 분석] 이다.
i) 철수네 가족 구성원
철수네 가족 구성원의 ABO식 혈액형이 모두
다르다고 하였으므로 부모가 AB형, O형일
때, 자손이 A형, B형인 경우와 부모가 A형과
B형일 때, 자손이 AB형, O형인 두 가지 경우

- 4 -
[백호T] 2024 개념 완성 추가 문제 2회 정답 및 해설
단원명 : 02. 사람의 유전

09번 수
[문제 분석] AA X AB = AA, AB로 2가지이다.
어머니와 아버지 모두 A*를 한 개씩 갖는데, ⅱ) G, D 대립 유전자가 만드는 유전자형 가지 수
유전병 유무가 다르므로 이 유전병은 성염색 GD X GD = GG, GD, DD로 3가지이다. 따
체에 의한 유전이다. 또한 이 유전병은 남녀 라서 2X3=6가지이다.
모두에서 나타나므로 Y 염색체가 아닌 X 염
색체에 의한 유전이다. 아버지(A*Y)는 A*만 11번
가지는데 유전병이 나타나므로 A*는 유전병 [문제 분석]
대립 유전자, A는 정상 대립 유전자이다. 또 형질 ㉠에 대해 분석해보면, 오빠와 영희의 R
한 어머니의 유전자형이 AA*인데 유전병이 대립 유전자 수가 1로 동일한데 오빠에게서는
나타나지 않으므로 유전병 유전자(A*)는 정상 형질 ㉠이 나타났고, 영희에게서는 나타나지
유전자(A)에 대해 열성이다. 않았으므로 형질 ㉠은 성염색체 유전이다. 또
[문제 풀이] 한, R(형질 ㉠)는 R*(정상)에 대해 열성이다.
ㄱ. 문제 분석을 참고하면, A는 성염색체에 형질 ㉡에 대해 분석해보면, 아버지의 T 대립
존재한다. 유전자 수가 2이고 형질 ㉡을 나타내므로 T
ㄴ. 철수(AY)는 어머니부터 A 유전자를 받는 는 ㉡ 대립 유전자이고, 상염색체 유전에 해
다. 당한다. 오빠의 T 유전자 수가 1이며, ㉡을
ㄷ. 여동생(A*A*)과 유전병을 나타내지 않는 나타내지 않으므로 T(형질 ㉡)는 T*(정상)에
남자(AY) 사이에서 아이가 태어날 때, 가능한 대해 열성이다. 이를 토대로 가계도를 작성하
유전자형은 A*A, A*Y, A*A, A*Y이고 이 중 면 다음과 같다.

유전병을 나타내는 경우는 A*Y로 확률은 

이다.

10번 [문제 풀이]


[문제 분석] ㄱ. 문제 분석을 참고하면, R와 R*는 성염색
다인자 유전은 여러 쌍의 대립 유전자가 하나 체에 존재한다.
의 형질을 결정하고, 복대립 유전은 하나의 ㄴ. 문제 분석을 참고하면, 어머니는 ㉡을 나
형질에 대해 3개 이상의 대립 유전자를 가진 타내지 않는다.
다. C, E, F는 모두 같은 염색체의 동일한 위 ㄷ. 아버지(TT)와 어머니(TT*)사이에서 영희의
치에 있는 유전자이므로 복대립 유전 형질의 동생이 태어날 때 ㉡에 대해서 가능한 유전자
대립 유전자이고, (나)를 결정한다. 남은 A, 형은 TT, TT, TT*, TT*이고 이 중 ㉡(TT)을
B, D, G가 (가)를 결정한다. 
나타낼 확률은  이다.
[문제 풀이] 
ㄱ. 문제 분석을 참고하면, A는 (가)를 결정하
는 대립 유전자 중 하나이다. 12번
ㄴ. (나)를 결정하는 유전자 모두 여자와 남자 [문제 분석]
에서 크기와 모양이 동일한 염색체 위에 존재 ㉠에 대해 정상인 부모로부터 ㉠ 발현 자손이
하므로 (나)를 결정하는 유전자는 상염색체에 태어났으므로 ㉠은 정상에 대해 열성 형질이
존재한다. 며, 1은 A*를 갖고 있지 않으므로 A는 ㉠ 대
ㄷ. ⅰ) A, B 대립 유전자가 만드는 유전자형 가지 립 유전자, A*는 정상 대립 유전자이다. ㉠에

- 5 -
[백호T] 2024 개념 완성 추가 문제 2회 정답 및 해설
단원명 : 02. 사람의 유전

대해 정상인 아버지로부터 ㉠ 발현 딸이 태어 [문제 풀이]


났으므로 ㉠은 상염색체 유전이다. ㉡에 대해 ㄱ. 문제 분석을 참고하면, 검은색 : 회색 :
정상인 부모로부터 ㉡ 발현 자손이 태어났으 흰색= 3 : 1 : 0 = 6 : 2 : 0이므로 ⓐ+ⓑ
므로 ㉡은 정상에 대해 열성 형질이며, 1은 B 는 2이다.
를 갖고 있지 않으므로 B*는 정상 대립 유전 ㄴ. 문제 분석을 참고하면, F1에서 검은색 개
자, B는 ㉡ 대립 유전자이다. 만약 ㉡이 상염 체의 유전자형은 RRTT, RrTT로 최대 2가지이
*
색체 유전이라면 구성원 1은 B*B*이고 B 을 다.
받는 아들 역시 정상 표현형을 나타내야 하는 
ㄷ. ⅰ) ㉠이 RRTT인 경우(  )
데 그렇지 않으므로 ㉡은 성염색체 유전이다. 
이에 근거한 가계도 구성원의 유전자형은 다 ㉠이 자손에게 RT를 주므로 회색 털 자손은
음과 같다. 태어나지 못한다.

ⅱ) ㉠이 RrTT인 경우(  )


㉠은 자손에게 RT 혹은 rT를 각각  확률로

줄 수 있으며 rT를 주는 경우 회색 털 자손이

태어나므로 회색 털 자손이 태어날 확률은 

 
x  =  이다.
[문제 풀이]  
ㄱ. 문제 분석을 참고하면, ㉡을 결정하는 유
전자는 성염색체에 존재한다. 14번
ㄴ. 문제 분석을 참고하면, 이 가계도 구성원 [문제 분석]
은 모두 A를 가진다. 먼저 3의 가족을 분석해보면, 3은 AB형이고
ㄷ. 2의 어머니와 아버지 사이에서 태어난 아 3의 여자 형제는 O형이므로 1과 2의 ABO식
이의 ㉠에 대한 유전자형은 AA, AA*이고 이 혈액형의 유전자형은 각각 AO와 BO 중 하나
 이다. 4의 가족을 분석해보면, 아버지는 AB형
중 ㉠을 발현하는 경우는 AA로  이다. ㉡에
 이고 어머니는 O형으로 4의 ABO식 혈액형의
대해 가능한 유전자형은 BB*, B*B*, BY, B*Y 유전자형은 AO와 BO가 가능하다.
 [문제 풀이]
이고 이 중 ㉡을 발현하는 경우는 BY로  이
 ㄱ. 문제 분석을 참고하면, 4의 ABO식 혈액
   형의 유전자형은 AO 혹은 BO이므로 이형 접
다. 따라서  ×  =  이다.
  
합성이다.
ㄴ. 문제 분석을 참고하면, 1과 2의 혈액형은
13번
각각 A형과 B형 중 하나이므로, 1의 혈구와
[문제 분석]
2의 혈청을 섞으면 응집된다.
순종의 검은색 개체(RRTT)와 순종의 회색 개

체(rrTT)를 교배하여 나온 A와 B의 유전자형 ㄷ. ⅰ) 4가 AO(  )인 경우

은 모두 RrTT이므로 표현형은 검은색이다. A 3(AB)과 4(AO) 사이에서 아이가 태어날 때,
와 B를 교배하면 RRTT : RrTT : rrTT = 1 : 가능한 유전자형은 AA, AO, AB, BO이고 이
2 : 1의 비로 F1을 얻을 수 있고, 검은색 
중 A형인 경우는 AA, AO로 확률은  이다.
(RRTT, RrTT) : 회색(rrTT) : 흰색 = 3 : 1 : 
0이다.

- 6 -
[백호T] 2024 개념 완성 추가 문제 2회 정답 및 해설
단원명 : 02. 사람의 유전

 열성이다. 정상 대립 유전자를 T, (가) 대립


ⅱ) 4가 BO(  )인 경우
 유전자를 t라고 할 때 이에 근거한 가계도 구
3(AB)과 4(BO) 사이에서 아이가 태어날 때, 성원의 유전자형은 다음과 같다.
가능한 유전자형은 AB, AO, BB, BO이고 이

중 A형인 경우는 AO로 확률은  이다.

    
따라서 (  ×  )+(  ×  )=  이다.
    

15번 [문제 풀이]


[문제 분석] ㄱ. 문제 분석을 참고하면, 1의 (가) 유전자형
㉠을 발현하는 1과 2 사이에서 ㉠을 발현하 (Tt)은 이형 접합성이다.
지 않는 딸이 태어났으므로 ㉠은 우성 형질이 ㄴ. 문제 분석을 참고하면, 2는 A형이다.
다. 만약, ㉠에 대한 유전자가 X 염색체에 있 ㄷ. 3과 4 사이에서 태어난 아이의 유전자형
다면, 1은 딸에게 ㉠ 유전자를 주어 딸도 ㉠ 은 At-OT, At-Ot, Ot-OT, Ot-Ot가 가능하
을 나타내야 하는데 그렇지 않으므로 ㉠에 대 다. 이 중 O형이면서 (가)를 나타내는 경우는
한 유전자는 상염색체에 존재한다. ㉠과 ㉡은 
Ot-Ot로 확률은  이다.
같은 염색체에 존재하므로, ㉡ 또한 상염색체 
에 존재한다. 3의 부모는 ㉡이 나타내지 않지
만 아들은 ㉡을 나타내므로 ㉡은 열성 형질이 17번
다. 3의 오빠는 ab-ab이므로 3의 부모는 각 [문제 분석]
각 ab를 가지고 있으며, 아버지는 ab-aB, 어 (나)에서 3의 H* DNA 상대량이 2이므로 유
머니는 ab-AB이다. 3은 ㉠과 ㉡에 대해 모두 전병 ㉠은 상염색체 유전이고 H*H*을 갖는
정상이므로 어머니로부터 ab, 아버지로부터 3이 ㉠을 발현하므로 H*는 ㉠, H는 정상
aB를 받았다. 1과 2 사이에서 태어난 딸은 유전자이다. 이형 접합성인 1의 표현형이
ab-ab이므로 이 딸의 부모는 각각 ab를 가지 정상이므로 정상 대립 유전자 H는 우성, ㉠
고 있다. 2는 ㉠을 나타내고 ㉡을 나타내지 대립 유전자 H*은 열성이다. R*R*을 갖는 4
않으므로 AB-ab이다. 가 정상이므로 R*는 정상 유전자, R는 ㉡
[문제 풀이] 유전자이다. 이형 접합성인 2가 유전병 ㉡
ㄱ. 문제 분석을 참고하면, ㉠은 우성 형질이 을 발현하므로 ㉡ 대립 유전자 R은 우성,
다. 정상 대립 유전자 R*는 열성이다. 3이 유전
ㄴ. 문제 분석을 참고하면, 2(AB-ab)에서 a와 병 ㉡을 발현하려면 R을 가져야 하므로 3
B는 같은 염색체에 있지 않다. 은 RR*을 가지며, ㉡은 상염색체 유전이다.
ㄷ. 3의 동생이 태어날 때, 가능한 유전자형 (나)를 분석하면 1은 HH*RR*, 2는 HH*RR*,
은 ab-ab, ab-AB, aB-ab, aB-AB이고 이 중 3은 H*H*RR*, 4는 HH*R*R*이다. 9는 3으로
㉠과 ㉡이 모두 나타나지 않을 경우는 aB-ab 부터 H*를 받고 ㉠에 대해 정상 표현형을
 나타내므로 HH*이다.
로 확률은  이다.
 [문제 풀이]
16번 ㄱ. 문제 분석을 참고하면, R*는 상염색체에
[문제 분석] 존재한다.
형질 (가)를 나타내지 않는 2의 부모 사이에 ㄴ. 문제 분석을 참고하면, 4와 9 모두 ㉠
서 (가)를 나타내는 2가 태어났으므로 (가)는 에 대한 유전자형이 HH*로 동일하다.

- 7 -
[백호T] 2024 개념 완성 추가 문제 2회 정답 및 해설
단원명 : 02. 사람의 유전

ㄷ. H는 정상 유전자, R는 ㉡ 유전자로 H와
R을 모두 가진 구성원은 ㉠에 대해 정상이
며 ㉡을 나타낸다. ㉠에 대해 정상이며 ㉡
을 나타내는 구성원은 1, 2, 5, 6으로 총 4
명이다.
ㄹ. 7과 8은 유전자형이 모두 H*H*R*R*로
7과 8 사이에서 태어난 아이 모두
H*H*R*R* 유전자형을 가진다. 따라서 ㉠과
㉡ 중 ㉠만 발현될 확률은 1이다.

18번
[문제 분석]
㉡의 표현형은 4가지이며, 유전자형이 CC,
CD, CE인 사람의 표현형은 같다고 하였으
므로, C는 D와 E에 대해 완전 우성이며, D
와 E 사이의 우열 관계는 분명하지 않다.
유전자형이 AaCD인 아버지와 AaDE인 어머
니 사이에서 ⓐ가 태어날 때, ⓐ의 ㉠과 ㉡
의 표현형이 모두 어머니와 같을 확률은
  
[Aa]  x[DE]  =  이라고 하였으므로 ㉠과
  
㉡의 유전자는 서로 다른 상염색체에 있고,
A와 a 사이의 우열 관계는 분명하지 않다.

ㄱ. 문제 분석을 참고하면, 형질 ㉠과 ㉡의 대
립 유전자는 서로 다른 염색체에 존재한다.
ㄴ. 문제 분석을 참고하면, A와 a 사이의 우열
관계는 분명하지 않다.
ㄷ. 아버지에게서 형성될 수 있는 정자의 ㉠과
㉡의 유전자형은 최대 2x2=4가지이다.
ㄹ. ⓐ에게서 나타날 수 있는 ㉠과 ㉡의 표현형
은 최대 3x3=9가지이다.

- 8 -
<정답표>
[2024 백호T 개념 테스트 3회] 단원 : 03. 사람의 유전병 (19문항)

1~7. 괄호 안에 들어갈 말로 알맞은 것을 선택하거나 적으시오.


1. 고양이 울음 증후군은 ( 5 )번 염색체의 일부가 ( 결실 )되어 일어난다.

2. 전좌는 상동 염색체 사이에서 일어나는 돌연변이이다. ( X )

3. 다운 증후군을 나타내는 사람의 세포 1개당 상염색체 수는 ( 45 )개이다.

4. 터너 증후군을 나타내는 사람의 성염색체는 ( XO )이다.

5. 클라인펠터 증후군을 나타내는 사람의 성염색체는 ( XXY )이다.

6. 감수 분열 과정에서 염색체가 ( 비분리 )된 생식 세포가 수정되면 염색체 수 이상 돌연변이가 일어난다.

7. 정상 난자와 감수 1분열에서 성염색체 비분리가 일어난 정자가 수정될 때, 클라인펠터 증후군 자손이 태

어날 수 있다. ( O )

8~10. 그림은 어떤 집안의 유전 형질 ㉠에 대한 가계도를 나타낸 것이다. ㉠은 X 염색체에 있는 대립 유전

자 D와 d에 의해 결정되며, D는 d에 대해 완전 우성이다. 1과 2의 생식 세포 형성 과정 중 성염색체 비분리가


총 1회 일어났으며, 비분리가 일어난 생식 세포가 정상 생식 세포와 수정되어 3이 태어났다. 1과 2의 핵형은
정상이고 3은 클라인펠터 증후군이다. (단, 제시된 염색체 비분리 이외의 돌연변이는 고려하지 않는다.)

8. 유전 형질 ㉠은 ( 열성 ) 형질이다.

9. ( 감수 2분열 ) 비분리가 일어나 형성된 ( 난자 )와 정상 ( 정자 )가 수정되어

3이 태어났다.

10. 3의 동생이 정상적으로 태어날 때, 이 아이에게서 유전 형질 ㉠이 나타날


확률은  이다.

11. 다음은 여러 가지 돌연변이를 나열한 것이다. 핵형 분석을 통해 확인할 수 있는 돌연변이를 모두 고르시오.


터너 증후군, 낫 모양 적혈구 빈혈증, 적록 색맹, 고양이 울음 증후군,

다운 증후군, 클라인펠터 증후군, 페닐케톤뇨증, 알비노증

- 1 -
<정답표>
[2024 백호T 개념 테스트 3회] 단원 : 03. 사람의 유전병 (19문항)

12~15. 그림은 어떤 집안의 유전 형질 ㉠과 ㉡에 대한 가계도를, 표는 구성원 1~4의 체세포 1개당 A*와

B*의 DNA 상대량을 나타낸 것이다. ㉠은 대립 유전자 A와 A*에 의해, ㉡은 대립 유전자 B와 B*에 의해 결정되
며, ㉠과 ㉡의 유전자는 모두 X 염색체에 존재한다. 3이 태어날 때만 부모의 생식 세포 형성 과정에서 성염색체
비분리가 각각 1회씩 일어났다. 가계도 구성원의 핵형은 모두 정상이다. (단, 제시된 염색체 비분리 이외의 돌연
변이와 교차는 고려하지 않으며, A, A*, B, B* 각각의 1개당 DNA 상대량은 같다.)

구성원 1 2 3 4
DNA A* 2 0 ⓐ 1
상대량 B* 0 1 1 1

12. ㉠은 대립 유전자 ( A* )에 의해 발현되며, ( 열성 ) 형질이다.

13. ㉡은 대립 유전자 ( B* )에 의해 발현되며, ( 우성 ) 형질이다.

14. ⓐ의 값은? 답 : 0 1

15. 3이 태어날 때, 정자 형성 과정에서의 염색체 비분리는 ( 감수 1분열 )에서 일어났다.

16~19. 그림은 핵형이 정상인 어떤 남자의 G 기 세포 ㉠으로부터 정자가 형성되는 과정을, 표는 세포 ⓐ~ⓓ
1

가 갖는 대립 유전자 A, a, B, b의 DNA 상대량을 나타낸 것이다. ⓐ~ⓓ는 세포 ㉠~㉣을 순서 없이 나타낸 것


이며, 정자 형성 과정에서 염색체 비분리가 1회 일어났다. (단, ㉡은 중기의 세포이며, 제시된 염색체 비분리 이
외의 돌연변이는 고려하지 않는다.)

DNA 상대량
세포
A a B b
ⓐ 1 0 2 0
ⓑ 0 0 0 1
ⓒ 1 0 1 ㉮
ⓓ 2 0 2 0

16. ㉠~㉣은 ⓐ~ⓓ 중에 각각 ㉠ ⓒ , ㉡ ⓓ , ㉢ ⓐ , ㉣ ⓑ 에 해당한다.

17. A(a)는 ( 성 )염색체, B(b)는 ( 상 )염색체에 존재한다.

18. ㉮의 값은? 답 : 1

19. 염색체 비분리는 감수 ( 2 )분열에서 일어났다.

- 2 -
[백호T] 2024 개념 완성 추가 문제 3회 정답 및 해설
단원명 : 03. 사람의 유전병

1번 2번 3번 4번
ㄱ. 2 ㄱ. 성염색체 ㄱ. O
ㄱ. ㉡
ㄴ. 2 ㄴ. 우성 ㄴ. 감수 2분열
ㄴ. 45
ㄷ. 상염색체 ㄷ. O ㄷ. X
ㄷ. 0
ㄹ. O ㄹ. O ㄹ. O
5번 6번 7번 8번

ㄱ. O ㄱ. 상동 염색체
ㄱ. X ㄱ. 우성
ㄴ. 감수 1분열 염색 분체
ㄴ. 감수 1분열 ㄴ. O
 ㄴ. X
ㄷ. X ㄷ.  ㄷ. X
 ㄷ. X
9번 10번 11번 12번
ㄱ. ⓒ, ⓓ, ⓐ, ⓑ ㄱ. 열성
ㄱ. X ㄱ. X
ㄴ. 50 ㄴ. O
ㄴ. O ㄴ. 2
ㄷ. 21번 ㄷ. 감수 1분열
ㄷ. 감수 2분열 ㄷ. 감수 2분열
ㄹ. X ㄹ. O
13번 14번
ㄱ. X
ㄱ. X
ㄴ. 감수 2분열
ㄴ. 3

ㄷ.  ㄷ. O

- 1 -
[백호T] 2024 개념 완성 추가 문제 3회 정답 및 해설
단원명 : 03. 사람의 유전병

01번 [문제 풀이]


[문제 분석] ㄱ. 문제 분석을 참고하면, A와 a는 성염색체
세포 ㉢에 대립 유전자 B, b가 함께 있으므로 에 존재한다.
감수 1분열 비분리가 일어난 것이다. (가)에서 ㄴ. 문제 분석을 참고하면, 유전병 (가)는 우
검정색 상동 염색체의 크기가 다르므로 성염 성 형질이다.
색체이고, 나머지 염색체 쌍이 상염색체이다. ㄷ. 문제 분석을 참고하면, ⓐ에는 X 염색체
㉡으로 크기가 작은 성염색체와 상염색체 2개 가 존재하지 않는다.
가 이동하였으므로 ㉠은 상염색체를 갖지 않 ㄹ. 문제 분석을 참고하면, 어머니와 영희의
고 크기가 큰 성염색체를 가진다. 문제에서 (가)에 대한 유전자형은 aa로 동일하다.
염색체 비분리는 1회 일어났다하였으므로 ㉣
의 염색체 구성은 ㉢과 동일하다. 03번
[문제 풀이] [문제 분석]
ㄱ. 감수 1분열 과정에서 ㉡으로 상염색체가 세포 ㉠이 ㉢으로 될 때 염색 분체 분리가 일
모두 이동하였으므로 ㉠에는 1개의 성염색체 어나는 것이므로 유전자 구성이 동일하다. 따
가 존재한다. ㉠에 있는 염색체는 복제된 상 라서 ㉠은 ⓒ, ㉢은 ⓑ이다. 남은 ㉡은 ⓐ이
태로 염색 분체 수는 2개이다, 다. ㉡(ⓐ)의 A DNA 상대량이 2이므로 염색
ㄴ. ㉡의 3개 염색체 중 하나는 성염색체이므 체 비분리는 감수 2분열에서 일어난 것이고
로 ㉡의 상염색체 수는 2개이다. A(a)와 B(b)는 모두 1번 염색체에 있으므로
ㄷ. 문제 분석을 참고하면, (가)~㉢이 형성되 ㉡(ⓐ)의 B 혹은 b의 DNA 상대량은 2이다.
는 과정 중 감수 1분열에서 상염색체가 비분 [문제 풀이]
리 되었다. ㄱ. 문제 분석을 참고하면, ⓐ는 ㉡이다.
ㄹ. 문제 분석을 참고하면, ㉢과 ㉣의 염색체 ㄴ. ㉠의 총 염색체 수는 23, ⓑ(㉢)의 상염
구성이 동일하므로 ㉣은 대립 유전자 B를 갖 색체 수는 22이다. 따라서 둘의 합은 45이
는다. 다.
ㄷ. 문제 분석을 참고하면, 감수 2분열 비분
02번 리로 ㉡으로 A, B(b)가 있는 염색체가 모두
[문제 분석] 이동하였으므로 ㉣의 B DNA 상대량은 0이
어머니, 아버지는 각각 A와 a 중 한 종류만 다.
가지는데 만약 A(a)가 상염색체에 있다면 오
빠와 여동생의 (가)에 대한 유전자형은 Aa로 04번
표현형도 같아야 한다. 그러나 여동생은 (가) [문제 분석]
를 나타내고 오빠는 (가)를 나타내지 않으므 (가)는 감수 2분열 비분리에 의한 현상, (나)
로 A(a)는 X 염색체에 있고 (가)는 우성 형질 는 감수 1분열 비분리에 의한 현상을 나타낸
이다. 따라서 (가) 대립 유전자는 A, 정상 대 것이다.
립 유전자는 a이다. 아버지는 AY, 어머니는 [문제 풀이]
aa이다. 영희는 유전병을 나타내지 않으므로 ㄱ. 감수 1분열에서 접합해 있던 상동 염색체
아버지로부터 유전자 A를 받지 않고 어머니 가 분리될 때나 감수 2분열에서 염색 분체가
로부터 유전자 aa를 모두 받았다. 즉, 영희는 분리될 때 염색체 비분리 현상이 일어나면 염
X 염색체가 없는 ⓐ와 X 염색체가 2개 존재 색체 수 이상이 생길 수 있다.
하는 ⓑ의 수정에 의해 태어났다. ㄴ. (가)는 감수 2분열에서 염색체 비분리가
일어났다.

- 2 -
[백호T] 2024 개념 완성 추가 문제 3회 정답 및 해설
단원명 : 03. 사람의 유전병

ㄷ. (가)와 같이 감수 2분열에서 비분리가 1 07번


회 일어나면, 핵상이 n인 정상 생식 세포도 [문제 분석]
형성될 수 있다. 어머니는 H*H*, 누나는 H*H*, 여동생은
ㄹ. (나)는 감수 1분열 비분리로 상동 염색체 HH*, 철수는 H*Y를 가지므로 대립 유전자
의 비분리가 일어난다. H(H*)는 X 염색체에 존재한다. 따라서 아버지
는 HY를 가진다. H*H*인 어머니와 누나가
05번 (가)를 나타내므로 H*은 (가) 대립 유전자, H
[문제 분석] 는 정상 대립 유전자이다. 또한 이형 접합성
(나)는 B와 B*를 모두 가지므로 감수 1분열 인 여동생이 (가)를 발현하지 않으므로 (가)는
에서 염색체 비분리가 일어나 형성된 생식 세 정상에 대해 열성이다.
포이고, (다)는 A*을 가지는 염색체와 B*를 [문제 풀이]
가지는 염색체 사이에 전좌가 일어난 체세포 ㄱ. 문제 분석을 참고하면, H는 H*에 대해 우
이다. 성이다.
[문제 풀이] ㄴ. 문제 분석을 참고하면, 아버지는 HY로
ㄱ. A와 A*이 위치한 ㉠은 ㉡의 염색 분체가 H* 유전자를 가지고 있지 않다.
아닌 상동 염색체이다. ㄷ. 누나는 어머니로부터 H*H*을, 아버지로부
ㄴ. 문제 분석을 참고하면, (나)는 감수 1분열 터 성염색체가 없는 정자를 받아야하므로 정
에서 염색체 비분리가 일어나 형성된 것이다. 자와 난자 모두 염색체 비분리에 의해 만들어
ㄷ. 전좌는 비상동 염색체 사이에서 일어난다. 진 것이다.

06번 08번
[문제 분석] [문제 분석]
2는 DY, 3은 dd이다. 이 가족의 핵형은 모 정상 대립 유전자를 D, 적록 색맹 대립 유전
두 정상이므로 5는 DY이며, 3으로부터 성염 자를 d라고 하면, 철수는 ddY이다. 철수가
색체를 받지 않고 2로부터 X 염색체와 Y 염 ddY이려면 dd 난자와 Y 정자가 수정하거나
색체를 모두 받은 것이다. 2에서 형성된 생식 d 난자와 dY 정자가 수정되어야 한다. (나)에
세포에 X 염색체와 Y 염색체가 모두 존재하 서 성염색체 비분리가 1회 일어났고 Ⅳ, Ⅴ,
므로 감수 1분열에서 염색체 비분리가 일어났 Ⅵ의 핵상이 모두 다르므로 비분리는 감수 2
다. 분열에서 일어났고 Ⅳ와 Ⅴ 중 하나의 핵상은
[문제 풀이] n-1, 다른 하나는 n+1, Ⅵ는 n이다. 즉, 철수
ㄱ. 1과 4의 적록 색맹에 대한 유전자형은 는 d 난자 Ⅵ과 dY 정자 Ⅲ이 수정되어 태어
Dd로 동일하다. 난 것이므로 (가)는 감수 1분열에서 성염색체
ㄴ. 문제 분석을 참고하면, 2의 생식 세포 형 비분리가 일어났다.
성 시 감수 1분열 비분리에 의해 XY를 모두 [문제 풀이]
갖는 정자가 형성되었다. ㄱ. 문제 분석을 참고하면, (가)에서 감수 1분
ㄷ. 2(DY)와 3(dd) 사이에서 5의 동생이 태 열 비분리가 일어났으므로 상동 염색체 비분
어날 때, Dd, dY 유전자형이 가능하다. 이 리가 일어났고, (나)에서 감수 2분열 비분리가
 일어났으므로 염색 분체의 비분리가 일어났
중 적록 색맹을 나타내는 dY일 확률은  이
 다.
다. ㄴ. Ⅰ의 염색체 수는 22개, Ⅱ의 염색체 수
는 23개로 같지 않다.

- 3 -
[백호T] 2024 개념 완성 추가 문제 3회 정답 및 해설
단원명 : 03. 사람의 유전병

ㄷ. 문제 분석을 참고하면, (나)는 감수 2분열 난자와 수정하면 에드워드 증후군을 나타낸


비분리가 일어났으므로 Ⅳ와 Ⅴ는 각각 X 염 다.
색체를 2개, 0개(혹은 0개, 2개)를 가진다.
따라서 모두 X 염색체를 가지지 않는 것은 11번
아니다. [문제 분석]
정상 유전자를 D, 적록 색맹 유전자를 d라고
09번 가정하면, A는 적록 색맹을 나타내므로 dY,
[문제 풀이] B는 적록 색맹을 나타내지 않지만 적록 색맹
ㄱ. 상동 염색체는 모양과 크기가 같은 염색 유전자를 가진 생식 세포를 형성하므로 Dd이
체로 ㉠은 ㉡의 상동 염색체가 아니다. 다.
ㄴ. (나)에서는 상동 염색체가 아닌 WXYZ 염 감수 1분열 비분리가 일어난 난자 ㉠은 Dd,
색체와 PQRST 염색체 사이에 유전자 교환이 정자 ㉢은 dY이다. 난자 ㉡은 감수 2분열 비
일어났으므로 염색체 구조 이상인 전좌가 일 분리가 일어났고, 적록 색맹 유전자를 가지므
어났다. 로 dd이다. 정자 ㉣은 성염색체가 있지만 적
ㄷ. (다)에서 ㉡과 유전자가 동일한 염색체가 록 색맹 유전자를 가지지 않으므로 감수 2분
2개 존재하므로 감수 2분열에서 비분리가 일 열에서 비분리가 일어나 YY를 갖는다.
어났다. [문제 풀이]
ㄱ. 문제 분석을 참고하면, ㉠은 Dd, ㉤은 성
10번 염색체를 갖지 않으므로 ㉠과 ㉤이 수정되어
[문제 분석] 태어난 아이는 적록 색맹을 나타내지 않는다.
DNA 상대량이 1 : 1 : 1 : 1인 ⓒ 세포는 ㄴ. 문제 분석을 참고하면, ㉡은 dd, ㉢은 dY
㉠에 해당한다. S기를 거친 ㉡은 2 : 2 : 2 : 이므로 적록 색맹 유전자의 DNA 상대량은
2의 비율을 보이므로 ⓓ 세포이다. 따라서 ⓧ ㉡이 ㉢의 2배이다.
는 46, ⓨ와 ⓩ 모두 2이다. ㉢은 DNA가 복 ㄷ. 문제 분석을 참고하면, ㉣은 감수 2분열
제된 상태이므로 DNA 상대량 1을 가질 수 에서 비분리가 일어났다.
없으므로 ⓐ이며, 남은 ㉣은 ⓑ이다. 감수 1
분열 결과 생긴 세포 ㉢(ⓐ)은 B, b를 모두 12번
갖지 않으므로 B(b)의 비분리가 일어난 것이 [문제 분석]
고, B(b)는 18번 염색체에 존재한다. 따라서 아버지, 어머니의 T DNA 상대량이 같은데
남은 A(a)는 21번 염색체에 존재하고, 세포 유전병 (가)의 발현 여부에 차이가 있으므로
㉣(ⓑ)에는 21번 염색체 1개(a), 18번 염색체 (가) 결정 유전자는 성염색체 위에 있다. 아버
가 2개(B, b) 존재한다. 지(TY)가 유전병 (가)를 나타내므로 T는 (가)
[문제 풀이] 대립 유전자, T*은 정상 대립 유전자이다.
ㄱ. 문제 분석을 참고하면, ㉠은 ⓒ, ㉡은 ⓓ, (가)에 대한 유전자형이 이형 접합성인 어머
㉢은 ⓐ, ㉣은 ⓑ에 해당한다. 니가 (가)를 나타내지 않으므로 유전병 (가)는
ㄴ. 문제 분석을 참고하면, ⓧ는 46, ⓨ는 2, 정상에 대해 열성이다.
ⓩ는 2이므로 ⓧ+ⓨ+ⓩ=50이다. [문제 풀이]
ㄷ. 문제 분석을 참고하면, A와 a는 21번 염 ㄱ. 문제 분석을 참고하면, (가)는 열성 형질
색체에 존재한다. 이다.
ㄹ. 문제 분석을 참고하면, ㉣로부터 만들어진 ㄴ. 영희의 T DNA 상대량이 0인 것을 통해
정자는 18번 염색체가 2개 존재하므로 정상 ⓐ는 X 염색체가 존재하지 않는 정자임을 알

- 4 -
[백호T] 2024 개념 완성 추가 문제 3회 정답 및 해설
단원명 : 03. 사람의 유전병

수 있다. 이형 접합성인 2가 (나)를 나타내지 않으므로


ㄷ. 오빠는 정상 난자로부터 T를, 정자 ⓒ로 (나)는 정상에 대해 열성이다. 위 내용을 정리
부터 TY를 받는다. 따라서 ⓒ가 형성될 때 염 하여 이 집안의 가계도를 나타내면 다음과 같
색체 비분리는 감수 1분열에서 일어났다. 다.
ㄹ. 오빠는 어머니로부터 T가 있는 X 염색체,
아버지로부터 T가 있는 X 염색체와 Y 염색체
를 받으므로 클라인펠터 증후군을 나타낸다.

13번
[문제 분석]
정상 유전자를 D, 적록 색맹 대립 유전자를
d라고 하면, 아버지는 DY이고 적록 색맹인
철수가 태어났으므로 어머니는 적록 색맹 유 [문제 풀이]
전자를 가지고 있는 Dd이다. 철수는 적록 색 ㄱ. 문제 분석을 참고하면, (가)의 유전자는
맹이면서 클라인펠터 증후군이므로 ddY이다. 상염색체, (나)의 유전자는 성염색체에 있다.
[문제 풀이] ㄴ. 문제 분석을 참고하면, H와 T를 모두 가
ㄱ. 철수의 체세포 1개당 상염색체 수는 44 진 구성원은 3, 5, 6으로 3명이다.
개, 어머니의 체세포 1개당 총염색체 수는 ㄷ. 8(T*T*Y)은 감수 2분열 염색체 비분리가
46개로 같지 않다. 일어나 형성된 난자와 정상 정자가 수정되어
ㄴ. 철수는 적록 색맹 유전자 2개를 모두 어 태어난 것이다.
머니로부터 받아야 하므로, 감수 2분열 비분
리가 일어나 형성된 난자와 정상 정자가 수정
되어 태어난 것이다.
ㄷ. 철수의 동생의 유전자형은 DD, Dd, DY,
dY가 가능하며 이 중 적록 색맹이 나타나는

경우는 dY로 확률은  이다.

14번
[문제 분석]
2(H*H*)가 (가)를 나타내므로 H*은 (가) 대립
유전자, H는 정상 대립 유전자이다. 만약 유
전병 (가) 결정 유전자가 X 염색체에 있다면
7은 4에게 H만 물려받아 4와 7의 (가)에 대
한 표현형이 동일해야 하는데 그렇지 않으므
로 (가)는 상염색체 유전이다. 3(HH*)이 (가)
를 발현하므로 (가)는 정상에 대해 우성이다.
1, 2는 T* DNA 상대량이 동일한데 유전병
(나)의 표현형이 다르므로 (나)는 성염색체 유
전이다. 1(T*Y)이 (나)를 나타내므로 T*은
(나) 대립 유전자, T는 정상 대립 유전자이다.

- 5 -
<정답표>
[2024 백호T 개념 테스트 4회] 01. 생태계의 구성과 기능 ~ 02. 생물의 다양성과 보전 (18문항)

문제 정답
1. 영양 염류는 ( 생물적 요인 / 비생물적 요인 )이다. 비생물적 요인

2. 일정한 지역에서 같은 종의 개체들이 무리를 지어 생활하는 집단을 ( 개체군 / 군집 )


개체군
이라고 한다.

3. 세균과 곰팡이, 버섯은 모두 분해자에 속한다. ( O / X ) O

4. 주어진 환경 조건에서 서식할 수 있는 개체군의 최대 크기를 □□ □□□이라고 한다. 환경 수용력

5. 일정한 환경 조건에서 환경 저항은 개체군의 밀도가 커질수록 ( 증가 / 감소 )한다. 증가

6. ( 텃세 / 분서 )는 개체군 내의 상호 작용에 해당한다. 텃세

7. 군집 내에서 나타나는 각 개체군의 공간 지위와 먹이 지위를 생태적 지위라고 한다.


O
( O / X )

8. 콩과식물과 뿌리혹박테리아 사이의 상호 작용은 ( 편리 공생 / 상리 공생 )이다. 상리 공생

산불이
9. ( 용암 대지 / 산불이 일어난 지역 )에서 시작되는 천이는 2차 천이에 해당한다.
일어난 지역

10. 2차 천이의 개척자는 주로 지의류이다. ( O / X ) X

11. 생장량은 ( 총생산량 / 순생산량 )에서 피식량, 고사량, 낙엽량을 제외한 유기물의 양
순생산량
이다.

12. 순생산량은 생산자가 광합성을 통해 생산한 유기물의 총량을 의미한다. ( O / X ) X

13. 질소 고정 세균은 대기 중의 질소 기체를 ( 질산 이온 / 암모늄 이온 )으로


암모늄 이온
고정시킨다.

14. (탈질산화 세균 / 질산화 세균)에 의해 질산 이온이 질소로 환원된다. 탈질산화 세균

15. 생태계에서 ( 물질 / 에너지 )은(는) 순환하지 않고, 일방적으로 흐른다. 에너지

16. 어떤 생태계 내에 존재하는 생물 종의 다양한 정도를 ( 유전적 / 종 ) 다양성이라고



한다.
17. 유전적 다양성이 높은 종은 개체들의 형질이 다양하여 환경이 급격히 변하거나
O
전염병이 발생했을 때 멸종하지 않고 생존할 확률이 높다. ( O / X )

18. 생물 군집에서 종의 수가 많고 종의 비율이 고를수록 종 다양성이 높다. ( O / X ) O

- 1 -
[백호T] 2024 개념 완성 추가 문제 4회 정답 및 해설
단원명 : 01. 생태계의 구성과 기능 ~ 02. 생물의 다양성과 보전

1번 2번 3번 4번
ㄱ. 상호 작용, 작용 ㄱ. O
ㄱ. X ㄱ. X
ㄴ. O ㄴ. S
ㄴ. O ㄴ. ㉣
ㄷ. O ㄷ. O
ㄷ. X ㄷ. X
ㄹ. X ㄹ. X
5번 6번 7번 8번
ㄱ. 1차
ㄱ. O ㄱ. O ㄱ. O
ㄴ. X
ㄴ. X ㄴ. 12 ㄴ. X
ㄷ. 양수림, 음수림
ㄷ. O ㄷ. C ㄷ. X
ㄹ. X
9번 10번 11번 12번
ㄱ. 분해자, 소비자 ㄱ. 유전적 다양성,
ㄱ. 총생산량 ㄴ. O 생태계 다양성 ㄱ. t1, t2, t3
ㄴ. X ㄷ. O ㄴ. X ㄴ. X
ㄷ. X ㄹ. 탈질산화 세균, ㄷ. O ㄷ. t3, t2, t1
질산화 세균 ㄹ. X
13번 14번 15번 16번
ㄱ. Ⅰ형, Ⅲ형 ㄱ. O ㄱ. 피식자 ㄱ. 손해, 이익
ㄴ. X ㄴ. X ㄴ. O ㄴ. O
ㄷ. O ㄷ. X ㄷ. O ㄷ. X
17번 18번
ㄱ. 상리 공생,
ㄱ. O
텃세
ㄴ. X
ㄴ. O
ㄷ. O
ㄷ. O, O

- 1 -
[백호T] 2024 개념 완성 추가 문제 4회 정답 및 해설
단원명 : 01. 생태계의 구성과 기능 ~ 02. 생물의 다양성과 보전

01번 ㄴ. 공생은 개체군 사이의 상호 작용이므로


[문제 분석] ㉠의 예에는 공생이 있다.
Ÿ 광합성을 하지 못한다. - 버섯, 토끼 ㄷ. 지의류는 균류와 조류의 공생체로 생물
Ÿ 분해자에 해당한다. - 버섯 군집, 암석은 비생물적 환경 요인에 해당하므
한 생물의 특징에 해당하는 ㉠은 ‘분해자에 해 로 지의류에 의해 암석의 풍화가 촉진되어 토
당한다.’, 두 생물의 공통 특징인 ㉡은 ‘광합성 양이 형성되는 것은 ㉢(반작용)에 해당한다.
을 하지 못한다.’이다. 특징 ㉠을 갖는 A는 버 ㄹ. 하나의 개체군은 한 종으로 구성된다.
섯, 특징 ㉠과 ㉡을 모두 갖지 않는 B는 참나
무, 남은 C는 토끼이다.
04번
[문제 풀이]
[문제 분석]
ㄱ. A(버섯)는 생물 군집에 포함된다.
이론적인 생장 곡선이란 개체들이 생식 활동
ㄴ. B(참나무)는 광합성을 통해 무기물로부터
에 제약을 받지 않는 경우로 시간에 따라 기
유기물을 합성한다.
하급수적으로 증가하는 J자형 곡선을 나타낸
ㄷ. C(토끼)는 소비자로, 생물의 사체나 배설
다. 따라서 A는 이론적 생장 곡선, B는 실제
물을 분해하는 것은 분해자이다.
생장 곡선이다.
[문제 풀이]
02번
ㄱ. 문제 분석을 참고하면, A는 이론적 생장
[문제 분석]
곡선이다.
도로나 철도 건설로 인해 커다란 서식지가 단
ㄴ. B는 S자형 생장 곡선이다.
편화되면 서식지의 내부 면적은 감소하고 가
ㄷ. 개체수가 증가할수록 먹이, 서식 공간 등
장자리 면적은 증가한다.
의 경쟁이 심해져 환경 저항이 커진다. 따라
[문제 풀이]
서 B에서 환경 저항은 구간 Ⅰ에서보다 Ⅱ에
ㄱ. 문제 분석을 참고하면, 서식지 단편화 된
서 더 크다.
B에서 가장자리 면적이 증가, 내부 면적이 감
ㄹ. 구간 Ⅰ에서 B의 개체수는 증가하고 있으
가장자리 면적
소하므로  은 B에서가 A에서 므로 사망률보다 출생률이 더 크다.
내부 면적
보다 크다.
ㄴ. 서식지가 분할된 후 B에서 종 ㉣이 사라 05번

진 것으로 보아 ㉣이 서식지 분할로 인해 가 [문제 분석]

장 큰 피해를 입은 종임을 알 수 있다. 장일 식물은 연속적인 암기의 길이가 임계 암

ㄷ. 생물 다양성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대규모 기보다 짧을 때, 단일 식물은 연속적인 암기

의 서식지를 유지하는 것이 유리하다. 의 길이가 임계 암기보다 길 때 개화한다. 식


물 (가)는 A에서는 개화하지 않았지만, B에서

03번 는 개화한 것을 통해 장일 식물임을 알 수 있

[문제 분석] 다. 조건 C는 한계 암기보다 짧은 암기이므로

㉠은 개체군 사이의 상호 작용, ㉡은 비생물 ⓐ는 ‘O’이다. 식물 (나)는 A에서는 개화, B와

적 환경 요인이 생물 군집에 영향을 미치는 C에서는 개화하지 않았으므로 단일 식물임을

작용, ㉢은 반작용이다. 알 수 있다.

[문제 풀이] [문제 풀이]

ㄱ. 문제 분석을 참고하면, ㉠은 상호 작용, ㄱ. 문제 분석을 참고하면, ⓐ는 ‘O’이다.

㉡은 작용이다. ㄴ. 문제 분석을 참고하면, (나)는 단일 식물

- 2 -
[백호T] 2024 개념 완성 추가 문제 4회 정답 및 해설
단원명 : 01. 생태계의 구성과 기능 ~ 02. 생물의 다양성과 보전

로 연속적인 암기의 길이가 임계 암기보다 길 08번


때 개화한다. [문제 분석]
ㄷ. 일조 시간이 생물의 개화에 영향을 미치 (가)와 (나)의 그래프를 보면, 단독 배양 했을
는 것은 비생물적 환경 요인이 생물에 영향을 때보다 혼합 배양 했을 때 A와 B의 개체수가
주는 예이다. 모두 감소하였다.
[문제 풀이]
06번 ㄱ. (가)의 A는 t1에서보다 t2에서 개체수가
[문제 분석] 많으므로 환경 저항은 t1에서보다 t2에서 크
그림은 호수에서 시작되는 습성 천이에 해당 다.
하며, A는 초원, B는 양수림, C는 음수림에 ㄴ. B의 환경 수용력은 (가)가 (나)보다 크다.
해당한다. ㄷ. 편리 공생은 한쪽만 이익을 얻는 경우이
[문제 풀이] 다. A와 B를 혼합 배양 했을 때 A와 B의 개
ㄱ. 그림은 습성 천이로 1차 천이에 해당한 체수가 모두 감소하였으므로 편리 공생에 해
다. 당하지 않는다.
ㄴ. A(초원)의 우점종은 초본 식물이다.
ㄷ. 문제 분석을 참고하면, B는 양수림, C는 09번
음수림에 해당한다. [문제 분석]
ㄹ. 이 식물 군집은 B에서 극상을 이루지 않 A는 총생산량, B는 호흡량이다. A와 B의 차
는다. 는 순생산량에 해당한다.
[문제 풀이]
07번 ㄱ. 문제 분석을 참고하면, A는 총생산량이다.
[문제 풀이] ㄴ. 낙엽의 유기물량은 순생산량에 포함되며
ㄱ. A가 나타난 방형구 수는 9, B가 나타난 B(호흡량)에 포함되지 않는다.
방형구 수는 2, C가 나타난 방형구 수는 9이 ㄷ. 구간 Ⅰ에서 순생산량은 감소하며 B(호흡
다. 개체군의 상대 빈도는 순생산량
량)는 증가하므로  의 값은 시간에
B
특정한 종이 나타난 소방형구 수
 ×100이다. 따라 감소한다.
각 종이 나타난 소방형구 수 합
A와 C가 나타난 방형구 수는 9로 동일하므로
A와 C의 상대 빈도는 동일하다. 10번
ㄴ. 상대 밀도(%)는 [문제 분석]
특정한 종의 개체수 암모늄 이온이나 질산 이온은 생산자에 의해
 ×100이다. B의 상
조사한 모든 종의 개체수 흡수되어 질소 화합물로 합성되며, 사체나 배
 설물 속의 질소 화합물은 분해자에 의해 암모
대 밀도는  ×100 =12%이다.
    
늄 이온으로 분해되어 토양으로 돌아간다. 따
ㄷ. 우점종은 상대 밀도+상대 빈도+상대 피도
라서 A는 분해자, B는 소비자, C는 생산자이
의 값이 가장 큰 종으로 이 값이 가장 큰 C
다. 과정 ㉠은 대기 중의 질소를 암모늄 이온
가 우점종이다.
으로 고정하는 과정으로 질소 고정 세균에 의
해 일어난다. 과정 ㉡은 탈질산화 세균에 의
한 탈질산화 작용, ㉢은 질산화 세균에 의한
질산화 작용이다.

- 3 -
[백호T] 2024 개념 완성 추가 문제 4회 정답 및 해설
단원명 : 01. 생태계의 구성과 기능 ~ 02. 생물의 다양성과 보전

[문제 풀이]
ㄱ. 문제 분석을 참고하면, A는 분해자, B는 13번
소비자이다. [문제 분석]
ㄴ. A(분해자), B(소비자), C(생산자) 모두 세 생존 곡선 유형은 초기 사망률이 후기 사망률
포 호흡을 통해 유기물을 무기물로 분해한다. 보다 낮은 Ⅰ형, 일정한 사망률을 보이는 Ⅱ
ㄷ. 질소 고정 과정은 뿌리혹박테리아나 아조 형, 초기 사망률이 후기 사망률보다 높은 Ⅲ
토박터와 같은 질소 고정 세균에 의해 일어난 형이 있다. 사람은 대부분이 생리적 수명을
다. 다하므로 Ⅰ형, 굴은 출생 초기에 어린 개체
ㄹ. 문제 분석을 참고하면, ㉡은 탈질산화 세 의 대부분이 사망하고 소수만이 생리적 수명
균, ㉢은 질산화 세균이 관여한다. 을 다하므로 Ⅲ형에 해당한다. 따라서 ㉠과
㉡은 각각 Ⅰ형과 Ⅲ형이다.
11번 [정답 풀이]
[문제 분석] ㄱ. 문제 분석을 참고하면, ㉠은 Ⅰ형, ㉡은
A는 유전적 다양성, B는 생태계 다양성, C는 Ⅲ형이다.
종 다양성에 해당한다. ㄴ. 문제 분석을 참고하면, Ⅰ형에 속하는 개
[문제 풀이] 체군의 초기 사망률은 Ⅱ형보다 낮다.
ㄱ. 문제 분석을 참고하면, A는 유전적 다양 ㄷ. Ⅰ형에 해당하는 생물은 한 번에 상대적
성, B는 생태계 다양성이다. 으로 적은 수의 자손을 낳으며, Ⅲ형에 해당
ㄴ. 유전적 다양성은 모든 생물 종에서 나타 하는 생물은 한 번에 상대적으로 많은 수의
난다. 자손을 낳는다.
ㄷ. B(생태계 다양성)는 생물적 요소와 비생물
적 요소를 모두 포함하는 다양성이다. 14번
ㄹ. 사람마다 눈동자 색이 다른 것은 A(유전 [문제 분석]
적 다양성)에 해당한다. 한 식물 종의 서식 범위는 상호 작용하는 주
변 생물과 비생물적 환경 요인에 영향을 받는
12번 다. A는 단독으로 생존할 때와 B와 함께 생
[문제 분석] 존할 때 모두 일정 수심 이상에서 서식하지
t1~t3 모두 개체수 증가율이 0이상이므로 못하는데 이것은 B이외의 다른 환경 요인이
t1~t3의 개체수는 t1<t2<t3이고, 개체수 증가율 적절하지 않기 때문이다. B는 단독으로 생존
이 t2 시점을 기준으로 감소하고 있으므로 실 할 때 물 밖에서 서식할 수 있지만 A와 함께
제 생장 곡선(S자형 곡선)을 유추할 수 있다. 생존할 때는 서식하지 못하는데 이것은 A와
[문제 풀이] 의 경쟁에서 밀려났기 때문이다.
ㄱ. 개체수가 많을수록 환경 저항이 증가한다. [문제 풀이]
개체수는 t1<t2<t3이므로 환경 저항은 t1<t2<t3 ㄱ. A와 B 모두 수생 식물이므로 광합성을
이다. 통해 유기물을 생산하는 생산자이다.
ㄴ. 개체수가 증가하면 먹이, 서식 공간 등의 ㄴ. 문제 분석을 참고하면, A와 B 사이에는
경쟁이 심해지므로 t2일 때도 개체 사이의 경 경쟁이 일어난다. 텃세는 개체군 내의 상호
쟁이 일어난다. 작용이므로 A와 B 사이에서 일어났다고 볼
ㄷ. 개체수가 많을수록 개체군의 밀도는 커진 수 없다.
다. 개체수는 t1<t2<t3이므로 개체군의 밀도 ㄷ. A는 단독 배양 시에도 구간 Ⅱ에서 생존
역시 t3>t2>t1이다. 하지 못하므로 경쟁 배타가 일어난 것이 아니

- 4 -
[백호T] 2024 개념 완성 추가 문제 4회 정답 및 해설
단원명 : 01. 생태계의 구성과 기능 ~ 02. 생물의 다양성과 보전

다. (나)에서 경쟁 배타가 일어난 구간은 구간 두 가지 특성을 모두 가지는 A는 상리 공생


Ⅰ이다. 이고 ⓧ는 ‘O’이다. 특성을 모두 갖지 않는 B
는 텃세, 한 가지 특성을 가지는 C는 포식과
15번 피식이다. ⓨ는 ‘O’이다. A(상리 공생)만 가지
[문제 분석] 는 특성 ㉡은 ‘콩과식물과 뿌리혹박테리아 사
동일한 시간대에서 일반적으로 피식자의 개체 이의 상호 작용이다.’, 남은 ㉠은 ‘서로 다른
수는 포식자의 개체수보다 많고, 피식자의 크 종 간의 상호 작용이다.’ 이다.
기가 증가한 이후에 포식자의 크기가 증가하 [문제 풀이]
므로 ㉠은 피식자, ㉡은 포식자에 해당한다. ㄱ. 문제 분석을 참고하면, A는 상리 공생, B
[문제 풀이] 는 텃세이다.
ㄱ. 문제 분석을 참고하면, ㉠은 ㉡의 피식자 ㄴ. 문제 분석을 참고하면, ㉠은 ‘서로 다른
이다. 종 간의 상호 작용이다.’ 이다.
ㄴ. t1일 때 피식자인 ㉠의 개체수는 약 ㄷ. 문제 분석을 참고하면, ⓧ, ⓨ 모두 ‘O’이
40,000마리이며 ㉡의 개체수는 약 4,000마 다.
리이므로 ㉠의 개체수가 ㉡보다 많다.
ㄷ. ㉠(피식자)과 ㉡(포식자)의 상호 작용에 18번
의해 개체수가 주기적으로 변한다. [문제 분석]
㉠은 생산자의 호흡량, ㉡은 1차 소비자의 호
16번 흡량이다.
[문제 분석] [문제 풀이]
단독 배양했을 때보다 혼합 배양했을 때, A와 ㄱ. 총생산량은 생산자가 광합성을 통해 생성
B의 개체수가 모두 증가했으므로 A와 B 사이 한 유기물의 총량이다.
의 상호 작용은 상리 공생이다. 상리 공생의 ㄴ. ㉠은 생산자의 호흡량이다. 초식 동물은
경우 두 종이 모두 이익을 얻으며, 경쟁의 경 1차 소비자에 해당하므로, 초식 동물의 호흡
우 두 종 모두 손해를 본다. 따라서 ㉠은 상 량은 ㉡에 포함된다.
리 공생, ㉡은 경쟁이고, ⓐ는 손해, ⓑ는 이 ㄷ. 생산자의 피식량은 1차 소비자의 섭식량
익이다. 과 같다. 따라서 (가)의 피식량은 ㉡보다 크
[문제 풀이] 다.
ㄱ. 문제 분석을 참고하면, ⓐ는 손해, ⓑ는
이익이다.
ㄴ. 문제 분석을 참고하면, A와 B의 상호 작
용(상리 공생)은 ㉠에 해당한다.
ㄷ. 구간 Ⅰ에서 B는 환경 저항에 의해 개체
수 증가율이 감소하였다.

17번
[문제 분석]
Ÿ 서로 다른 종 간의 상호 작용이다. - 상리
공생, 포식과 피식
Ÿ 콩과식물과 뿌리혹박테리아 사이의 상호
작용이다. - 상리 공생

- 5 -
<정답표>
[2024 백호T 개념 테스트 5회] 단원 : 01. 탐구 방법과 생물의 특성 (20문항)

문제 정답
1. □□□ 탐구 방법은 자연 현상을 관찰하여 얻은 자료를 종합하고 분석한 후 일반적인
귀납적
원리를 도출해내는 것을 뜻한다.

2. □□□ 탐구 방법에서 가설은 잠정적 결론을 뜻한다. 연역적

3. □□군은 변인을 조작하지 않은, 실험의 비교 기준이 되는 집단이며, □□군은 특정


대조, 실험
조건을 조작한 집단이다.

4. □□ 변인은 조작 변인의 영향으로 나타난 실험의 결과이다. 종속


5. 푸른곰팡이에서 세균의 증식을 억제하는 물질이 생성될 것이라는 가설을 검증하기
실험군,
위한 탐구에서 푸른곰팡이를 접종하고 세균을 배양한 접시는 (실험군/대조군)이고,
대조군
푸른곰팡이를 접종하지 않고 세균을 배양한 접시는 (실험군/대조군)이다.
6. □□□□는 생명을 유지하기 위해 생물체에서 일어나는 모든 화학 반응이다. 물질대사

7. □□는 생명체의 구조적·기능적 기본 단위이다. 세포

8. 생물체 내에서 일어나는 물질대사에는 화학 반응을 촉매하는 □□가 관여한다. 효소

9. 외부 환경의 변화에 관계없이 체내 상태를 항상 일정하게 유지하려는 생명 현상의


항상성
특성을 □□□이라고 한다.

10. 어버이의 형질이 다음 세대로 전해지는 현상을 □□이라고 한다. 유전

11. 오랜 시간 동안 새로운 환경에 맞춰 몸의 구조, 기능, 행동 등을 변화시키는 현상을


적응, 진화
□□, 세대를 거듭하여 유전자 구성까지 변화시키는 현상을 □□라 한다.

12~15. 다음은 생물의 특성을 나열한 것이다.

• 물질대사 • 생식 • 유전 • 발생
• 항상성 • 적응과 진화 • 자극에 대한 반응

다음 설명에 해당하는 생물의 특성을 위에서 골라 쓰시오.


12. 효모는 포도당을 분해하여 에너지를 얻는다. ( 물질대사 )
13. 어머니가 색맹이면 아들도 색맹이다. ( 유전 )
14. 선인장의 가시는 잎이 변한 것이다. ( 적응과 진화 )
15. 개구리 알은 올챙이를 거쳐 개구리가 된다. ( 발생 )

16. 바이러스는 □□□껍질 속에 유전 물질인 □□이 들어 있는 구조이다. 단백질, 핵산

17. 바이러스는 독립 생활이 불가능하며, 항상 숙주에 기생해야 한다. ( O / X ) O

18. 바이러스는 세균보다 크기가 크다. ( O / X ) X

19. 바이러스는 세포 구조이며, 세포 분열을 통해 증식된다. ( O / X ) X

20. 바이킹호 실험의 전제는 ‘모든 생물은 물질대사를 한다.’이다. ( O / X ) O

- 1 -
[백호T] 2024 개념 완성 추가 문제 5회 정답 및 해설
단원명 : 01. 탐구 방법과 생물의 특성

1번 2번 3번 4번
ㄱ. 대조군 ㄱ. 연역적 ㄱ. O ㄱ. ㉠
ㄴ. O ㄴ. X ㄴ. 실험 ㄴ. O
ㄷ. X ㄷ. X ㄷ. X ㄷ. X
5번 6번 7번 8번
ㄱ. O ㄱ. ②
ㄱ. O ㄱ. O
ㄴ. X ㄴ. 발생과 생장
ㄴ. O ㄴ. X
ㄷ. O ㄷ. 물질대사
ㄷ. X ㄷ. X
ㄹ. O ㄹ. 항상성 유지
9번 10번

ㄱ. O ㄱ. O
ㄴ. O ㄴ. X
ㄷ. X ㄷ. O

- 1 -
[백호T] 2024 개념 완성 추가 문제 5회 정답 및 해설
단원명 : 01. 탐구 방법과 생물의 특성

01번 04번
[문제 풀이] [문제 분석]
ㄱ. A는 현재 대기 조건에서 초파리를 사육한 거미가 진동을 감지하여 먹이로 다가가는 ㉠
그룹으로 아무 요인(변인)도 변화시키지 않은 은 자극에 대한 반응, 연어가 민물에 있을 때
자연 그대로의 상태로 진행되고 있으므로 대 묽은 오줌을 다량 배설하고, 부족한 염분을
조군에 해당한다. 아가미로 흡수하는 ㉡은 항상성 유지에 해당
ㄴ. 이 실험에서 종속변인은 초파리의 체중이 한다.
다. [문제 풀이]
ㄷ. 실험 결과 그래프를 해석했을 때 초파리 ㄱ. 신 음식을 먹으면 입안에 침이 고이는 것
의 체중은 암컷이 수컷보다 크지만, 이 실험 은 자극에 대한 반응에 해당하며, ㉠에 나타
에서 알아보고자 한 내용은 암컷과 수컷 사이 난 생명 현상의 특성의 예가 될 수 있다.
의 체중 차이가 아니다. ㄴ. 연어가 민물에 있을 때에는 체내로 물이
많이 들어와 삼투압이 낮아지므로 묽은 오줌
02번 을 다량 배설하고 부족한 염분을 흡수하여 체
[문제 분석] 액의 삼투압을 높인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가설 설정 단계가 있는 (가)는 연역적 탐구 체액의 삼투압을 일정한 수준으로 유지하려고
방법이고, (나)는 귀납적 탐구 방법이다. 한다.
[문제 풀이] ㄷ. O형의 부모로부터 O형의 아이가 태어나
ㄱ. 문제 분석을 참고하면, (가)는 연역적 탐 는 것은 생식과 유전으로 ㉡에 나타난 생명
구 방법이다. 현상의 특성의 예가 될 수 없다.
ㄴ. 대조 실험은 (가)(연역적 탐구 방법)의 탐
구 설계 및 수행 단계에서 실시한다. 05번
ㄷ. (가)(연역적 탐구 방법)에서 탐구 결과와 [문제 분석]
가설의 일치 여부는 자료를 해석한 이후 하는 환경의 변화에 따라 핀치새의 평균 부리 크기
것이므로, 경로 A를 통해 가설을 재설정하는 가 증가한 것은 적응과 진화에 해당한다.
것은 적절하지 않다. [문제 풀이]
ㄱ. 건조한 환경에 적응하여 선인장의 잎이
03번 가시 모양으로 변한 것은 적응과 진화에 해당
[문제 분석] 한다.
불가사리가 제거된 지역 A에서 종 다양성이 ㄴ. 사막 지역에 사는 여우는 더운 곳에 살기
증가하였으므로 가설과 일치하는 탐구 결과가 때문에 열 발산량을 높이는 방향으로, 북극
나왔다. 지역에 사는 여우는 추운 곳에 살기 때문에
[문제 풀이] 열 발산량을 줄이는 방향으로 진화하였으며,
ㄱ. (가)는 영희가 불가사리와 갯바위 생태계의 이는 적응과 진화에 해당한다.
종 다양성의 관계에 대해 잠정적으로 결론을 ㄷ. 지렁이에게 빛을 비추면 어두운 곳으로
내리는 가설 설정 단계이다. 이동하는 것은 자극에 대한 반응에 해당한다.
ㄴ. A는 인위적으로 불가사리를 제거하였으므
로 실험군에 해당한다. 06번
ㄷ. 문제 분석을 참고하면, 탐구 결과가 가설과 [문제 분석]
일치하므로 가설을 재설정하지 않아도 된다. 환경의 변화에 따라 몸의 구조가 변화하는 ㉠
은 적응과 진화, 외부 자극에 대해 반응하는

- 2 -
[백호T] 2024 개념 완성 추가 문제 5회 정답 및 해설
단원명 : 01. 탐구 방법과 생물의 특성

㉡은 자극에 대한 반응에 해당한다. 09번


[문제 풀이] [문제 분석]
ㄱ. 문제 분석을 참고하면, ㉠은 적응과 진화 박테리오파지는 세균을 숙주로 하는 바이러스
에 해당한다. 이다. 바이러스는 세포에 기생하지 않을 때는
ㄴ. 문제 분석을 참고하면, ㉡은 자극에 대한 유전 물질인 핵산이 단백질 껍질에 둘러싸인
반응에 해당한다. 결정체로 존재하며, 독립적으로 물질대사를
ㄷ. 파리지옥과 끈끈이주걱은 식물이므로 광 할 수 없다. 이에 반해 짚신벌레는 핵산이 있
합성이나 세포 호흡과 같은 물질대사를 한다. 고 독립적으로 물질대사를 할 수 있다. 따라
ㄹ. 파리지옥과 끈끈이주걱은 식물이므로 모 서 특징 ㉠과 ㉡ 중 하나만 나타나는 B는 박
두 세포로 되어 있다. 테리오파지이고, 둘 다 나타나는 A는 짚신벌
레이다. ㉡은 바이러스에서도 나타나는 특징
07번 인 ‘핵산을 가지고 있다.’이고, ㉠은 ‘독립적으
[문제 분석] 로 물질대사를 한다.’이다.
(가)는 식물 세포에서 일어나는 광합성과 세 [문제 풀이]
포 호흡으로 물질대사에 해당한다. ㄱ. 문제 분석을 참고하면, A는 짚신벌레이다.
[문제 풀이] ㄴ.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역시 핵산과 단백질
ㄱ, ㄷ. 뿌리혹박테리아가 공기 중의 질소(N2) 껍질을 가지므로 특징 ㉡(핵산을 가지고 있
를 이용하여 질소 화합물을 합성하는 것은 물 다.)을 가진다.
질대사이므로 (가)와 가장 관련이 깊은 생명 ㄷ. B(박테리오파지)는 세포 구조가 아니므로
현상의 특성에 대한 예는 ②이다. 세포 분열을 통해 스스로 증식한다고 할 수
ㄴ. 장구벌레가 모기가 되는 것은 발생과 생 없다.
장에 해당한다.
ㄹ. 혈당량을 유지하는 것은 항상성 유지에 10번
해당한다. [문제 분석]
(나)(대장균)와 (다)(동물 세포)는 세포이며,
08번 (가)(박테리오파지)는 세포 구조가 아니다.
[문제 분석] [문제 풀이]
(나)에서 A는 박테리오파지, B는 대장균이다. ㄱ. (가)~(다)는 모두 유전 물질을 가진다.
[문제 풀이] ㄴ. 문제 분석을 참고하면, (가)(박테리오파지)
ㄱ. 문제 분석을 참고하면, A는 박테리오파지 는 세포 구조가 아니므로 세포막 역시 가지지
이다. 않는다.
ㄴ. 대장균과 박테리오파지 모두 단백질과 핵 ㄷ. (나)(대장균)와 (다)(동물 세포)는 자신의
산을 가지므로 ‘단백질과 핵산을 가진다.’는 ㉡ 효소를 이용하여 물질대사를 한다.
에 해당한다.
ㄷ. 대장균은 세포로 구성되어 있으나, 박테리
오파지는 세포 구조가 아니므로 ‘세포 분열을
통해 증식한다.’는 대장균만 가지는 특징이다.
따라서 ㉠에 해당한다.

- 3 -
<정답표>
[2024 백호T 개념 테스트 6회] 단원 : 01. 생명 활동과 에너지 (27문항)

문제 정답
1. 광합성을 통해 □ 에너지가 □□ 에너지로 전환된다. 빛, 화학

2. 동화 작용은 ( 생성 / 반응 )물보다 ( 생성 / 반응 )물이 가진 에너지양이 더 많다. 반응, 생성

3. 뉴클레오타이드가 DNA가 되는 과정은 ( 동화 / 이화 ) 작용이다. 동화

4. 단백질이 아미노산으로 되는 과정은 ( 동화 / 이화 ) 작용이다. 이화

5. 포도당이 세포 호흡에 사용된 결과 생성되는 노폐물에는 암모니아가 있다. ( O / X ) X

6. 세포 호흡에 의해 포도당의 화학 에너지는 모두 ATP의 화학 에너지로 저장된다.


X
( O / X )
7. 세포 호흡에서는 효소가 필요하며 에너지가 단계적으로 방출된다. ( O / X ) O

8. 그림은 세포에서 일어나는 ATP의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가)와 (나) 중 어느 과정에서

에너지가 방출되는가?

(가)

9. 세포 소기관 중 □□□□□□에서 세포 호흡이 일어나며, 생성된 에너지 중 일부는 미토콘드리아,


□□□에 저장되어 생명 활동에 직접적으로 이용된다. ATP

10. ( 알코올 발효 / 젖산 발효 )는 효모에 의해 일어나며 이산화 탄소가 생성된다. 알코올 발효

11. 효모의 무산소 호흡에 관한 실험에서 KOH(수산화칼륨) 수용액을 넣으면 맹관부 위쪽의
CO2, 높아진다.
기체인 ( O2 / CO2 )가 KOH 용액에 흡수되어 수면의 높이가 ( 높아진다 / 낮아진다. ).

12. 음식물이 소화 기관을 거치는 동안 녹말은 □□□으로, 단백질은 □□□□으로 최종


포도당, 아미노산
분해된다.

13. 심장에서 나가는 혈관은 □□이고, 심장으로 들어오는 혈관은 □□이다. 동맥, 정맥

14. 식사 후 혈당량이 높아지면, 기관 중 □에서 포도당이 글리코젠으로 전환된다. 간

15. 혈액의 단위 부피당 O2의 양은 대정맥에서가 폐정맥에서보다 ( 많다. / 적다. ) 적다

16. 혈액의 단위 부피당 요소의 양은 콩팥 정맥에서가 콩팥 동맥에서보다 ( 많다. / 적다. ) 적다

17. 폐포에서 폐포 모세 혈관으로의 산소의 이동에는 ATP가 사용된다. ( O / X ) X

- 1 -
<정답표>
[2024 백호T 개념 테스트 6회] 단원 : 01. 생명 활동과 에너지 (27문항)
문제 정답
18. 독성이 강한 암모니아는 콩팥에서 요소로 전환되어 배설된다. ( O / X ) X

19. 세포 호흡 결과 발생한 노폐물 중 물은 호흡계와 배설계를 통해 체외로 방출된다. ( O / X ) O

20. 대변을 배출하는 대장은 배설 기관이다. ( O / X ) X

21. BTB 용액은 수용액의 pH에 따라 산성에서는 ( )색, 중성에서는 ( )색, 염기성
노란, 초록, 파란
에서는 ( )색을 나타낸다.

22. 콩즙은 ( 산성 / 염기성 )을 나타내고, 암모니아는 ( 산성 / 염기성 )을 나타낸다. 산성, 염기성

23. 간의 역할에는 혈당량 조절, 요소 합성, 체온 상승 등이 있다. ( O / X ) O

24. 그림은 사람의 기관계 (가)~(라)의 작용을 나 (가) : 소화계


타낸 것이다. (가)~(라)는 소화계, 배설계, 순환 (나) : 호흡계
계, 호흡계를 순서 없이 나타낸 것이다. (가)~ (다) : 순환계
(라)의 명칭을 쓰시오. (라) : 배설계

25. 간은 소화계에 속하는 기관이다. ( O / X ) O

26. 생명 활동을 유지하는데 필요한 최소한의 에너지양을 □□ □□□이라고 하며, 공부


기초 대사량
나 운동 등 다양한 신체 활동을 하는 데 소모되는 에너지양을 □□ □□□이라고 한
활동 대사량
다.

27. 물질대사(에너지 대사)에 이상이 생겨 발생하는 질환을 □□□ □□이라고 한다. 대사성 질환

- 2 -
[백호T] 2024 개념 완성 추가 문제 6회 정답 및 해설
단원명 : 01. 생명 활동과 에너지

1번 2번 3번 4번
ㄱ. O ㄱ. X
ㄱ. C ㄱ. O2
ㄴ. 미토콘드리아 ㄴ. O
ㄴ. CO2 ㄴ. O
ㄷ. O ㄷ. O
ㄷ. O ㄷ. X
ㄹ. O ㄹ. O
5번 6번 7번 8번

ㄱ. O2 ㄱ. O ㄱ. O ㄱ. X
ㄴ. X ㄴ. X ㄴ. O ㄴ. O
ㄷ. O ㄷ. O ㄷ. X ㄷ. X

9번 10번 11번 12번

ㄱ. 배설 ㄱ. O ㄱ. X ㄱ. X
ㄴ. ㉡ ㄴ. O ㄴ. 물 ㄴ. O
ㄷ. O ㄷ. X ㄷ. O ㄷ. X

13번 14번 15번 16번

ㄱ. O ㄱ. O ㄱ. O ㄱ. 포도당
ㄴ. X ㄴ. O ㄴ. X ㄴ. O
ㄷ. O ㄷ. X ㄷ. O ㄷ. 소화, 배설

17번 18번
ㄱ. 포도당,
ㄱ. O
글리코젠
ㄴ. O
ㄴ. O
ㄷ. O
ㄷ. X

- 1 -
[백호T] 2024 개념 완성 추가 문제 6회 정답 및 해설
단원명 : 01. 생명 활동과 에너지

01번 [문제 풀이]


[문제 분석] ㄱ. 문제 분석을 참고하면, ㉠은 O2이다.
효모는 무산소 호흡을 통해 포도당을 분해하 ㄴ. (가)는 미토콘드리아에서 일어난다.
여 에탄올과 CO2를 생성한다. 포도당의 농도 ㄷ. 포도당에서 방출된 에너지 중 일부는
가 높을수록 CO2 발생량이 많으므로 발효관 ATP로 저장되고 나머지는 열에너지로 방출된
Ⅱ는 A, Ⅲ은 B이고, 효모액을 첨가하지 않은 다.
Ⅰ은 C이다.
[문제 풀이] 04번
ㄱ. 문제 분석을 참고하면, Ⅰ은 C에 해당한 [문제 풀이]
다. ㄱ. 저장된 에너지양은 A(ADP)보다 B(ATP)
ㄴ. 문제 분석을 참고하면, 효모는 포도당을 가 더 많다.
분해하여 에탄올과 CO2를 생성하므로 ⓐ는 ㄴ. 미토콘드리아에서 세포 호흡을 통해 ATP
CO2이다. 를 합성하므로 ㉠ 반응이 일어난다.
ㄷ. CO2 기체는 KOH 수용액에 흡수된다. ㄷ. 근육 수축 과정에는 ATP를 분해하여 방
출된 에너지가 사용되므로 ㉡에서 방출된 에
02번 너지가 사용된다.
[문제 분석] ㄹ. 식물 세포의 미토콘드리아에서 ATP가 합
(가)는 빛에너지를 이용하여 CO2와 H2O를 성되는 ㉠ 반응이 일어나고, ATP가 사용되는
O2와 포도당으로 전환시키는 광합성이다. ㉡ 반응 역시 일어난다.
(나)는 O2와 포도당을 CO2와 H2O로 전환시
키면서 ATP와 열에너지를 발생하므로 세포 05번
호흡이다. [문제 분석]
[문제 풀이] A는 엽록체, B는 미토콘드리아, ⓐ는 O2이다.
ㄱ. (가)(광합성)에서 동화 작용이 일어난다. [문제 풀이]
ㄴ. (나)(세포 호흡)는 미토콘드리아에서 일어 ㄱ. 문제 분석을 참고하면, ⓐ는 O2이다.
난다. ㄴ. A는 엽록체로 세포 호흡이 일어나지 않으
ㄷ. 식물에서 (가)(광합성)와 (나)(세포 호흡) 며, B(미토콘드리아)에서 세포 호흡이 일어난
가 모두 일어난다. 다.
ㄹ. 광합성과 세포 호흡은 생명체 내에서 일 ㄷ. B에서 세포 호흡 결과 발생한 에너지의
어나는 물질대사 과정으로 모두 효소가 이용 일부는 ADP를 ATP로 합성하는데 사용되며,
된다. 이때 고에너지 인산 결합의 형태로 저장된다.

03번
[문제 분석] 06번
그림은 O2(㉠)를 이용하여 포도당을 CO2(㉡) [문제 분석]
와 H2O로 최종 분해하고 생명 활동에 필요한 (가)는 이산화 탄소와 물, 빛에너지를 이용하
에너지(ATP)를 얻는 세포 호흡 과정이다. 여 포도당과 산소를 만들어내는 광합성, (나)
ATP는 ADP와 Pi로 분해되는 과정에서 에너 는 단백질이 아미노산으로 분해되는 소화 과
지를 방출하고, 이 에너지는 생명 활동에 이 정, (다)는 포도당과 산소를 이용하여 이산화
용된다. 탄소와 물, 에너지를 만들어내는 세포 호흡에
해당한다.

- 2 -
[백호T] 2024 개념 완성 추가 문제 6회 정답 및 해설
단원명 : 01. 생명 활동과 에너지

[문제 풀이] 09번


ㄱ. 광합성이 일어날 때, 빛에너지가 화학 에 [문제 분석]
너지로 전환된다. Ÿ 콩팥, 방광 등으로 이루어져 있는가?-배설계
ㄴ. (나)는 단백질이 아미노산으로 분해되는 Ÿ 영양소의 소화와 흡수가 일어나는가?-소화계
반응으로 이화 작용이다. Ÿ 세포 호흡 결과 발생한 산물을 몸 밖으로
ㄷ. (가)~(다)는 모두 생물체 내에서 일어나는 내보내는가?-배설계, 호흡계
물질대사 반응으로 모두 효소가 관여한다. 따라서 구분 기준 ㉠은 ‘세포 호흡 결과 발생
한 산물을 몸 밖으로 내보내는가?’, ㉡은 ‘콩
07번 팥, 방광 등으로 이루어져 있는가?’, ㉢은 ‘영
[문제 분석] 양소의 소화와 흡수가 일어나는가?’ 이다. A
㉠은 소화계에서 조직 세포로 이동하는 포도 는 배설계, B는 호흡계, C는 소화계이다.
당, ㉡은 호흡계에서 조직 세포로 이동하는 [문제 풀이]
산소이다. ㄱ. 문제 분석을 참고하면, A는 배설계이다.
[문제 풀이] ㄴ. 문제 분석을 참고하면, ‘콩팥, 방광 등으로
ㄱ. 소화계에서 큰 영양소를 작은 단위로 분 이루어져 있는가?’는 ㉡이다.
해하는 이화 작용이 일어난다. ㄷ. 간은 C(소화계)에 속한다.
ㄴ. ㉠(포도당)이 분해되어 ATP와 열이 발생
하며, 이 열에너지는 체온 유지에 이용된다. 10번
ㄷ. 폐로 들어가는 폐동맥은 산소를 받기 전 [문제 분석]
이므로 산소의 농도가 폐를 지나고 난 뒤 심 (가)는 호흡계, (나)는 소화계, (다)는 배설계,
장에서 나가는 대동맥보다 낮다. 따라서 혈액 (라)는 순환계이다.
의 단위 부피당 ㉡(산소)의 농도는 폐동맥에 [문제 풀이]
서보다 대동맥에서 높다. ㄱ. (가)(호흡계)를 통해 흡수한 산소는 (라)
(순환계)를 통해 조직 세포로 이동한다.
08번 ㄴ. (나)(소화계)에 요소 생성 기관인 간이 있다.
[문제 분석] ㄷ. 대장은 (나)(소화계)에 속한다.
A는 폐, B는 간, C는 소장이다.
[문제 풀이] 11번
ㄱ. A(폐)는 호흡계, B(간)는 소화계에 속한 [문제 분석]
다. ㉠은 폐로만 배출되는 CO2, ㉡은 폐와 콩팥
ㄴ. C(소장)에서 영양소의 소화와 흡수가 일 으로 배출되는 물, ㉢은 암모니아가 전환되어
어나므로 C(소장)에서 아미노산이 흡수된다. 생성되며 콩팥으로만 배출되는 요소이다.
ㄷ. 단위 부피당 요소의 양은 콩팥을 지나면서 [문제 풀이]
감소하므로 ㉠의 혈액보다 ㉡의 혈액에서 더 ㄱ. 폐포의 모세 혈관에서 폐포로 ㉠(CO2)이
많다. 이동하는 과정은 분압차에 의한 확산으로
ATP가 소모되지 않는다.
ㄴ. 문제 분석을 참고하면, ㉡은 물이다.
ㄷ. 암모니아가 ㉢(요소)으로 전환되는 과정은
간에서 일어나며 쓸개즙은 간에서 생성되므로
옳은 설명이다.

- 3 -
[백호T] 2024 개념 완성 추가 문제 6회 정답 및 해설
단원명 : 01. 생명 활동과 에너지

12번 15번
[문제 분석] [문제 분석]
(가)는 순환계, (나)는 호흡계, (다)는 소화계, (가)는 흡수되지 않은 물질이 배출되므로 소
(라)는 배설계에 해당한다. 화계, (나)는 외부 물질 출입이 존재하지 않으
[문제 풀이] 므로 순환계이다. 남은 배설계, 호흡계 중
ㄱ. 오줌관은 (라)(배설계)에 속하는 기관이다. (다)는 출입하는 물질과 배출되는 물질이 모
ㄴ. 폐포는 폐의 기본 단위로 (나)(호흡계)를 두 존재하므로 호흡계, (라)는 배설계이다. ㉠
구성한다. 은 단백질, ㉡은 질소 노폐물, ㉢은 물, ㉣은
ㄷ. (다)(소화계)에서 흡수되지 못한 영양소는 이산화 탄소, ㉤은 산소이다.
소화계 통해 밖으로 배출된다. [문제 풀이]
ㄱ. 소장은 (가)(소화계)에 속하는 기관이다.
13번 ㄴ. 문제 분석을 참고하면, ㉡은 질소 노폐물
[문제 분석] 이다.
(가)는 순환계, (나)는 배설계이다. ㄷ. (다)(호흡계)로 들어온 ㉤(산소)은 분압 차
[문제 풀이] 이에 의해 순환계로 이동한다.
ㄱ. ⓐ는 소화계에서 순환계로의 이동을 의미
한다. 소화계에 속하는 간에서 합성된 요소는 16번
혈액을 통해 순환계로 이동한다. ⓑ는 조직 [문제 분석]
세포에서 순환계로의 이동을 의미한다. 조직 소화계, 배설계, 순환계 중 O2를 조직 세포에
세포의 세포 호흡 결과 발생한 노폐물인 암모 공급하는데 관여하는 기관계는 순환계이고,
니아는 혈액을 통해 순환계로 이동한다. 포도당을 조직 세포에 공급하는데 관여하는
ㄴ. 기관지는 호흡계에 속한다. 기관계는 소화계, 순환계이다. 2가지 기관계
ㄷ. (나)(배설계)는 여러 기관들로 구성되며 가 관여하여 ㉠이 조직 세포에 공급되므로 ㉠
각 기관은 조직, 조직은 세포로 구성된다. 모 은 포도당, A와 B는 소화계, 순환계 중 하나,
든 세포는 세포 호흡을 통해 에너지를 얻으 C는 배설계이다. 소화계, 배설계, 순환계 중
며, 물질의 합성과 분해가 일어나므로 물질대 물질을 체외로 내보내는 기관이 존재하는 기
사가 일어난다. 관계는 소화계, 배설계이므로 B는 소화계, 남
은 A는 순환계이다.
14번 [문제 풀이]
[문제 분석] ㄱ. 문제 분석을 참고하면, ㉠은 포도당이다.
지방으로부터 만들어지는 노폐물은 H2O와 ㄴ. 대동맥은 A(순환계)에 속하는 기관이다.
CO2로 ⓐ는 H2O, ⓑ는 암모니아이다. 탄수화 ㄷ. 문제 분석을 참고하면, B는 소화계, C는
물로부터 만들어지는 노폐물은 H2O, CO2, 단 배설계이다.
백질로부터 만들어지는 노폐물은 H2O, CO2,
암모니아이므로 ㉠은 탄수화물, ㉡은 단백질 17번
이다. [문제 분석]
[문제 풀이] Ⅰ은 배설계, Ⅱ는 호흡계, Ⅲ은 소화계이고,
ㄱ. ㉡(단백질)의 구성 원소에는 질소(N)가 포 ⓐ는 대정맥, ⓑ는 이자이다.
함된다. [문제 풀이]
ㄴ. ⓐ는 H2O이다. ㄱ. 문제 분석을 참고하면, ⓐ는 대정맥이다.
ㄷ. ⓑ(암모니아)는 간에서 요소로 전환된다. ㄴ. Ⅱ(호흡계)를 통해 CO2가 배출된다.

- 4 -
[백호T] 2024 개념 완성 추가 문제 6회 정답 및 해설
단원명 : 01. 생명 활동과 에너지

ㄷ. Ⅲ(소화계)의 간에서 요소가 생성되므로


Ⅲ(소화계)에서 순환계로 이동하는 물질에는
요소가 포함된다.

18번
[문제 분석]
ⓐ는 포도당, ⓑ는 글리코젠, ⓒ는 물이며, A
는 포도당이 글리코젠으로 합성되는 반응, B
는 포도당이 세포 호흡에 이용되어 물과 이산
화 탄소로 분해되는 반응이다.
[문제 풀이]
ㄱ. 문제 분석을 참고하면, ⓐ는 포도당, ⓑ는
글리코젠이다.
ㄴ. 포도당이 글리코젠으로 합성되는 반응은
간에서 일어난다.
ㄷ. B에서 발생하는 에너지의 일부는 열에너
지로 방출된다.

- 5 -
<정답표>
[2024 백호T 개념 테스트 7회] 단원 : 01. 자극의 전달과 근수축 (38문항)
문제 정답
A : 구심성 뉴런
1. 그림은 기능이 다른 뉴런의 연
(감각 뉴런)
결을 나타낸 것이다. 뉴런 A~C
B : 연합 뉴런
의 명칭을 쓰시오.
C : 원심성 뉴런
(운동 뉴런)

2. 말이집 없이 축삭돌기가 노출된 부분을 □□□ □□이라고 한다. 랑비에 결절

3. ( 민말이집 / 말이집 ) 신경에서 흥분의 이동은 도약 전도를 통해 일어난다. 말이집

4. 흥분의 전달은 시냅스 소포가 있는 □□돌기 말단에서 다음 뉴런의 □□돌기쪽으로만


축삭, 가지
이루어진다.

5. 뉴런에 역치 이상의 자극이 주어지면, ( Na+ / K+ )가 세포 안으로 확산되며 활동 전위가


Na+
발생한다.
6. Na+-K+ 펌프를 통해 Na+은 □개씩 세포 밖으로 방출, K+은 □개씩 세포 안으로 유입
3, 2
된다.
7. 흥분의 이동 속도는 신경 섬유가 굵으면 느리다. ( O / X ) X

8. 그림은 뇌의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A : 대뇌
A~E 각 부분의 명칭을 쓰시오.
B : 간뇌
C : 중간뇌
D : 소뇌
E : 연수

9. 대뇌의 겉질과 척수의 속질은 모두 신경 세포체가 많이 모여 있는 회색질이다. ( O / X ) O

10. 연수는 뇌줄기에 포함된다. ( O / X ) O

11. 척수의 등쪽으로 나온 운동 신경 다발이 후근을 이룬다. ( O / X ) X

12. 동공 반사의 중추는 중간뇌이고, 무릎 반사의 중추는 척수이다. ( O / X ) O

13. ( 중추 / 말초 ) 신경계는 위치에 따라 뇌신경과 척수 신경으로 분류할 수 있다. 말초

14. 교감 신경과 부교감 신경은 모두 말초 신경계에 속한다. ( O / X ) O

15. 교감 신경의 신경절 이후 뉴런에서는 노르에피네프린이 분비된다. ( O / X ) O

16. 뇌신경은 □쌍, 척수 신경은 □쌍으로 구성된다. 12, 31

17. 자율 신경 중 ( )신경은 신경절 이전 뉴런이 길고, 신경절 이후 뉴런이 짧다. 부교감

18. 교감 신경의 신경절 이전 뉴런들의 신경 세포체는 모두 척수에 있다. ( O / X ) O

19. 골격근의 근육 원섬유는 여러 개의 핵을 가진 세포이다. ( O / X ) X


가로무늬근,
20. 골격근은 ( 가로무늬근 / 민무늬근 )이며, ( 체성 / 자율 ) 신경이 연결되어 있다.
체성

- 1 -
<정답표>
[2024 백호T 개념 테스트 7회] 단원 : 01. 자극의 전달과 근수축 (38문항)

21~23. 다음 그림은 활동 전위가 발생한 신경에서의 막전위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21. 구간 Ⅰ에서 세포막을 통한 이온의 이동은 없다. ( X )

22. t1일 때 Na+의 농도는 세포 밖에서가 세포 안에서보다 ( 높다 ).

K  의 막투과도
23.  는 t1일 때가 t2일 때보다 크다. ( X )
Na  의 막투과도

24~25. 표 (가)는 중추 신경계를 구성하는 구조 A~D에서 특징 ㉠~㉢의 유무를, (나)는 ㉠~㉢을 순서 없

이 나타낸 것이다. A~D는 각각 연수, 소뇌, 척수, 중간뇌 중 하나이다.

특징
㉠ ㉡ ㉢ 특징 (㉠~㉢)
구조
A X X O · 동공 반사의 중추이다.
B O ? O · 뇌줄기를 구성한다.
C X X ?
· 부교감 신경이 나온다.
D X O O

(O : 있음, X : 없음)
(가) (나)

24. A~D는 각각 무엇인가 ? A: 척수 B: 중간뇌 C: 소뇌 D: 연수

25. ㉢은 무엇인가? ㉢ : 부교감 신경이 나온다.

26~28. 그림은 중추 신경계로부터 자율 신경을 통해 위와 방광에 연결된 경로를 나타낸 것이다.

26. ㉠은 ( 말초 ) 신경계에 속한다.


27. ㉢과 ㉣의 말단에서 분비되는 신경 전달 물질은 같다. ( X )
28. ㉡과 ㉣의 신경 세포체는 모두 척수에 존재한다. ( O )

- 2 -
<정답표>
[2024 백호T 개념 테스트 7회] 단원 : 01. 자극의 전달과 근수축 (38문항)

29. 다음은 교감 신경과 부교감 신경이 흥분 했을 때 각 기관에 작용하는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빈칸에 알맞은 말에 O 표시 하세요.

심장 박동 호흡 운동 동공 방광 소화 운동
교감 신경 ( 촉진 ) ? ? ( 이완 ) ?
부교감 신경 ? ( 억제 ) ( 축소 ) ? ( 촉진 )

30~32. 그림은 근육 원섬유 마디 X를 나타낸 것이고, 표는 골격근 수축 과정의 두 시점 t1과 t2일 때

근육 원섬유 마디 X와 ㉡, ㉢의 길이를 나타낸 것이다.

시점 X의 길이 ㉡의 길이 ㉢의 길이
t1 3.2 ⓐ 0.8
t2 2.8 0.4 ⓑ
(단위 : ㎛)
30. t1일 때, ㉠의 길이는? 답 : 1.0 ㎛

31. t2일 때, A대의 길이는 ? 답 : 1.2 ㎛

32. ⓐ+ⓑ의 값은? 답 : 0.2 + 0.4 = 0.6 ㎛

33~35. 다음은 민말이집 신경 A와 B의 흥분 전도에 대한 자료이다. (단, 휴지 전위는 –70mV이다.)


Ÿ 그림은 민말이집 신경 A와 B를, 표는 A와 B의 P 지점에 역치 이상의 자극을 1회 주고 경과된 시간이 t1일
때, 두 지점 Q1과 Q2에서 측정한 막전위를 나타낸 것이다. Ⅰ과 Ⅱ는 각각 Q1과 Q2에서 측정한 막전위 중
하나이다.

t1일 때 측정한 막전위(mV)


신경
Ⅰ Ⅱ
A -55 -80
B +20 -60

Ÿ A와 B 각각에서 활동 전위가 발생하였을 때, 각 지점에서의 막전위 변화는


다음과 같다.

33. Ⅰ은 ( Q2 )에서, Ⅱ는 ( Q1 )에서 측정한 막전위이다.

34. t1일 때, B의 Q1에서 탈분극이 일어나고 있다. ( X )

35. 흥분의 전도 속도는 A에서가 B에서보다 빠르다. ( O )

- 3 -
<정답표>
[2024 백호T 개념 테스트 7회] 단원 : 01. 자극의 전달과 근수축 (38문항)

36~38. 그림은 민말이집 신경 A와 B의 P지점으로부터  ~  까지의 거리를, 표는 A와 B의 P지점에 역

치 이상의 자극을 동시에 1회 주고 경과된 시간이 6ms일 때  ~  에서 각각 측정한 막전위를 나타낸 것이


다. A와 B에서 흥분의 전도는 각각 1회 일어났고, A와 B의 막전위 변화는 그래프와 같다.
(단, 휴지 전위는 –70mV이다.)

36. 흥분의 전도 속도는 A= ( 2cm/ms ), B=( 3cm/ms )이다.

37. 6ms일 때, A의  에서 ( 탈분극 )이 일어나고 있다.

A 의 막전위
38. 7ms일 때,  에서  의 값은 1보다 작다. ( O )
B의 막전위

- 4 -
[백호T] 2024 개념 완성 추가 문제 7회 정답 및 해설
단원명 : 01. 자극의 전달과 근수축

1번 2번 3번 4번

ㄱ. O ㄱ. X ㄱ. O ㄱ. O
ㄴ. X ㄴ. O ㄴ. X ㄴ. O
ㄷ. X ㄷ. O ㄷ. X ㄷ. X
5번 6번 7번 8번
ㄱ. +30, -60
ㄱ. X ㄱ. Ⅳ, Ⅱ, Ⅲ ㄱ. O
ㄴ. 탈분극
ㄴ. O ㄴ. X ㄴ. O
ㄷ. 재분극
ㄷ. O ㄷ. X ㄷ. O
ㄹ. O
9번 10번 11번 12번
ㄱ. (나), (다), (가)
ㄱ. O ㄱ. 2, 1 ㄱ. O
ㄴ. -70
ㄴ. O ㄴ. X ㄴ. X
ㄷ. O
ㄷ. O ㄷ. X ㄷ. O
ㄹ. X
13번 14번 15번 16번
ㄱ. 겉질 ㄱ. X
ㄱ. 중추 ㄱ. X
ㄴ. O ㄴ. O
ㄴ. O ㄴ. O
ㄷ. O ㄷ. O
ㄷ. X ㄷ. X
ㄹ. O ㄹ. X
17번 18번 19번 20번
ㄱ. X
ㄱ. O ㄱ. 척수 ㄱ. O
ㄴ. X
ㄴ. 0.2 ㄴ. O ㄴ. 연수
ㄷ. O
ㄷ. 16 ㄷ. 노르에피네프린 ㄷ. O
ㄹ. 이완
21번 22번 23번 24번

ㄱ. X ㄱ. 말이집 ㄱ. X ㄱ. 간뇌, 척수
ㄴ. 1.6 ㄴ. X ㄴ. O ㄴ. X
ㄷ. X ㄷ. O ㄷ. O ㄷ. B
25번 26번 27번
ㄱ. A, I, H
ㄱ. 0.8, 0.5 ㄱ. O
ㄴ. O
ㄴ. X ㄴ. X
ㄷ. 1.2
ㄷ. O ㄷ. X
ㄹ. X

- 1 -
[백호T] 2024 개념 완성 추가 문제 7회 정답 및 해설
단원명 : 01. 자극의 전달과 근수축

1번 에서 (나)로 전달된다.
[문제 분석] ㄴ. 문제 분석을 참고하면, 신경 전달 물질은
A는 구심성 뉴런, B는 연합 뉴런, C는 원심 시냅스 후 뉴런(뉴런 (나))의 수용체와 결합하
성 뉴런이다. 는 것이고, (나)로 유입되지는 않는다.
[문제 풀이] ㄷ. 신경 전달 물질의 분비를 차단하면 시냅
ㄱ. 문제 분석을 참고하면, A는 구심성 뉴런 스 후 뉴런에서 탈분극이 일어나지 않는다.
이다.
ㄴ. 신경의 전달은 축삭 돌기에서 가지 돌기 4번
방향으로만 진행되므로 A로 흥분이 전달되지 [문제 분석]
않는다. (가)에서는 자극을 주었을 때 Na+의 확산이
ㄷ. ⓐ 지점에서 B는 축삭 돌기 말단, C는 가 일어나 탈분극 되고 K+의 확산이 일어나 재분
지 돌기이므로 시냅스 소포는 B에 많다. 극 되었으나, (나)에서는 재분극이 제대로 일
어나지 않으므로 물질 X는 K+의 이동을 억제
2번 하는 물질이다. (다)에서는 탈분극이 제대로
[문제 분석] 일어나지 않으므로 물질 Y는 Na+의 확산을
Na+-K+ 펌프의 작용 결과, Na+은 세포 밖으 억제하는 물질이다.
+
로 이동하고, K 은 세포 안으로 이동한다. 따 [문제 풀이]
라서 ㉠은 세포 바깥쪽, ㉡은 세포 안쪽이다. ㄱ. 문제 분석을 참고하면, X는 K+ 통로를 통
[문제 풀이] 한 K+의 이동을 억제한다.
ㄱ. 활동 전위의 크기는 휴지 전위와 막전위 ㄴ. 문제 분석을 참고하면, Na+ 통로를 억제
최고점 사이의 값으로, (나)에서는 약 100mV 한 결과는 (다)이고, 막전위 변화량이 감소한
이다. 것을 확인할 수 있다.
+ +
ㄴ. Na -K 펌프는 분극, 재분극, 탈분극 상 ㄷ. 문제 분석을 참고하면, Na+ 통로를 억제
태에서 항상 작동한다. 따라서 t1일 때에도 한 결과는 (다)이고, (다)의 휴지 전위는 (가)
+ + +
Na - K 펌프를 통한 K 의 이동이 일어나고 와 동일한 ­70mV임을 확인할 수 있다.
있다.
ㄷ. t2는 재분극 시기로 K+이 ⓑ(K+ 통로)를 5번
통해 ㉡(세포 안)에서 ㉠(세포 밖)으로 확산된 [문제 분석]
다. A와 D는 랑비에 결절, C는 말이집이다. 구간
Ⅰ은 아직 자극이 도달하지 않은 휴지 전위
3번 상태로 Na+-K+ 펌프가 작동한다.
[문제 분석] [문제 풀이]
시냅스 전 뉴런(뉴런 (가))에서 활동 전위가 ㄱ. 문제 분석을 참고하면, 구간 Ⅰ은 Na+-K+
축삭 돌기를 따라 말단까지 전도되면 축삭 돌 펌프가 작동하므로 Na+의 이동이 있다.
기 말단의 시냅스 소포가 세포막과 융합되면 ㄴ. 신경의 전달은 축삭 돌기에서 가지 돌기
서 신경 전달 물질이 시냅스 틈으로 분비된 방향으로만 진행되므로 B에 역치 이상의 자극
다. 이 신경 전달 물질이 시냅스 후 뉴런(뉴 을 주어도 A에서 (나)와 같은 막전위 변화가
+
런 (나))의 수용체와 결합하면 Na 통로가 열 나타나지 않는다. C 역시 절연체 역할을 하는
+
리면서 Na 이 유입되어 흥분이 전달된다. 말이집 부위로 (나)와 같은 막전위 변화가 나
[문제 풀이] 타나지 않는다.
ㄱ. 문제 분석을 참고하면, 흥분은 뉴런 (가) ㄷ. t1일 때는 탈분극이 일어나는 중이므로

- 2 -
[백호T] 2024 개념 완성 추가 문제 7회 정답 및 해설
단원명 : 01. 자극의 전달과 근수축

Na+의 막투과도가 높고 K+의 막투과도는 낮 8번


다. t2일 때는 재분극이 일어나는 중이므로 t1 [문제 분석]
+ +
일 때보다 K 의 막투과도가 높고 Na 의 막투 자극 지점과 가장 가까운 d1에서 막전위 변화
K  의 막투과도 시간이 가장 길기 때문에 ㉢은 ­80이다. A와
과도는 낮다. 따라서  는 t1
Na  의 막투과도 B의 d1 지점을 비교하면 B가 막전위 변화 시
일 때가 t2일 때보다 작다. 간을 더 오래 거쳤으므로, 그만큼 전도되는
데 걸린 시간이 짧음을 알 수 있다. 흥분의
6번 전도 속도는 A보다 B가 빠르다. B에서 d3보
[문제 분석] 다 d2의 막전위 변화 시간이 더 길기 때문에
㉡에 자극을 주었을 때 ㉠에서 활동 전위가 d2 지점은 재분극이 일어나고 있음을 알 수
발생하므로 ㉡은 Ⅱ, ㉠은 Ⅳ이다. 남은 ㉢은 있다.
Ⅲ이다. A의 d1~d3 중 d1에서 막전위 변화 시간이 가
[문제 풀이] 장 길기 때문에 d1 지점은 재분극이 일어나고
ㄱ. 문제 분석을 참고하면, ㉠은 Ⅳ, ㉡은 Ⅱ, 있음을 알 수 있고, 막전위값이 ­60인 지점은
㉢은 Ⅲ이다. 탈분극이 일어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과
ㄴ. 신경의 전달은 축삭 돌기에서 가지 돌기 ㉡은 각각 +30과 ­60 중 하나인데 (가)의 d3
방향으로만 진행되므로 ㉡(Ⅱ)에 역치 이상의 보다 d2의 막전위 변화시간이 더 길기 때문에
자극을 가해도 Ⅰ에 탈분극이 일어나지 않는다. d2의 막전위인 ㉠이 +30, 남은 ㉡이 ­60이
ㄷ. 신경의 전달은 축삭 돌기에서 가지 돌기 다.
방향으로만 진행되므로 ㉢(Ⅲ)에 역치 이상의 [문제 풀이]
자극을 가해도 ㉡(Ⅱ)에 활동 전위가 발생되 ㄱ. 문제 분석을 참고하면, ㉠은 +30, ㉡은
지 않는다. 따라서 ⓐ는 ‘-’ 이다. -60이다.
ㄴ. 문제 분석을 참고하면, t일 때 A의 d3에
7번 서 탈분극이 일어나고 있다.
[문제 분석] ㄷ. 문제 분석을 참고하면, t일 때 B의 d2에
+
(가)의 t1은 재분극 시기를, (나)는 X에서 Na 서 재분극이 일어나고 있다.
+
통로를 통한 Na 의 이동을 나타낸다. 탈분극 ㄹ. Na+-K+ 펌프는 분극, 재분극, 탈분극 상
시기에 Na+은 Na+ 통로를 통해 세포 밖에서 태에서 항상 작동한다. 따라서 t일 때 B의 d1
안으로 유입되므로 ㉠이 세포 밖, ㉡이 세포 에서도 Na+-K+ 펌프가 작동한다.
안이다.
[문제 풀이] 9번
+ +
ㄱ. 구간 Ⅰ에서는 Na -K 펌프가 작동해 [문제 분석]
+ +
Na 은 세포 외부로 유출되며 K 은 세포 내부 (가)는 시냅스가 있는 민말이집 신경, (나)는
로 유입된다. 이 과정에서 ATP가 사용된다. 말이집 신경, (다)는 민말이집 신경이다. 흥분
+
ㄴ. Na 통로를 통한 이동은 확산이다. 의 전달은 축삭 돌기에서 가지 돌기 방향으로
+ +
ㄷ. t1은 재분극 시점이므로 K 은 K 통로를 만 진행되므로, (가)의 Q 지점은 막전위 변화
통해 ㉡(세포 안)에서 ㉠(세포 밖)으로 이동한 가 생기지 않는다. 막전위 변화가 생기는 A,
다. B는 (가)가 될 수 없으므로 C가 (가)이고 ⓧ
는 ­70이다. 민말이집 신경보다 말이집 신경
에서 전도 속도가 빠르므로 +30에 먼저 도달
한 A는 (나), 남은 (다)는 B이다.

- 3 -
[백호T] 2024 개념 완성 추가 문제 7회 정답 및 해설
단원명 : 01. 자극의 전달과 근수축

[문제 풀이] 11번


ㄱ. 문제 분석을 참고하면, A는 (나), B는 [문제 분석]
(다), C는 (가)이다. A의 d2에서 전체 시간은 5ms이고, 막전위
ㄴ. 문제 분석을 참고하면, ⓧ는 ­70이다. 변화 시간은 3ms이므로 전도 시간은 2ms가
+
ㄷ. Na 농도는 항상 세포 밖이 세포 안보다 된다. P에서 d2까지 거리는 4cm이므로 A의
세포 안의 농도 cm
높다. 따라서 Na+의  는 1보 흥분의 전도 속도는  =2cm/ms이다.
세포 밖의 농도 ms
다 작다. B의 d1에서 전체 시간은 5ms이고, 막전위 변
+
ㄹ. K 농도는 항상 세포 안이 세포 밖보다 화 시간은 3ms이므로 전도 시간은 2ms가 된
+
높다. 따라서 K 은 세포 안으로 확산되지 않 다. P에서 d1까지 거리는 2cm이므로 B의 흥
는다. cm
분의 전도 속도는  =1cm/ms이다.
ms
10번 [문제 풀이]
[문제 분석] ㄱ. 문제 분석을 참고하면, A의 흥분 전도 속
+
역치 이상의 자극을 받으면 Na 통로가 먼저 도는 2cm/ms, B의 흥분 전도 속도는
+
열려 Na 이 세포 밖에서 안으로 확산되어 탈 1cm/ms이다.
+ +
분극이 일어난다. 이후 K 통로가 열려 K 이 ㄴ. A의 d1에서 전도 시간이 1ms, 막전위 변
세포 안에서 밖으로 확산되면서 재분극이 일 화 시간이 2ms이므로, 재분극이 일어나고 있
어난다. 따라서 막 투과도가 먼저 높아진 ㉠이 다.
+ + +
Na , ㉡은 K 이다. 분극 상태일 때 Na 의 농 ㄷ. B의 d2에서 전도 시간이 4ms, 막전위 변
도는 세포 밖에서가 세포 안에서보다 높고, 화 시간이 1ms이므로 ⓐ는 +10이 아닌 약
+
K 의 농도는 세포 안에서가 세포 밖에서보다 -60이 된다.
높다. 따라서 ⓐ는 세포 안, ⓑ는 세포 밖이
다. 12번
[문제 풀이] [문제 분석] A와 B에서 흥분 전도 속도가 동
+ +
ㄱ. Na -K 펌프는 분극, 재분극, 탈분극 상 일하므로, 시냅스 이전까지는 각 지점에서 막
태에서 항상 작동한다. 따라서 t1일 때에도 전위 값이 동일해야 한다. 즉, 막전위가 같은
+ +
Na -K 펌프에 의해 ⓐ(세포 안)에서 ⓑ(세포 지점이 Ⅲ 하나 밖에 없으므로 시냅스는 ㉠과
+
밖)로 이동하는 ㉠(Na )이 존재한다. ㉡사이에 존재한다.
+
ㄴ. ㉡(K )의 농도는 항상 ⓐ(세포 안)에서가 또한, B 신경에서 측정한 막전위를 보면, 흥
ⓑ(세포 밖)에서보다 높다. 분 전도의 순서는 Ⅲ(㉠→)Ⅰ(㉡)→Ⅱ(㉢ )임
+ +
ㄷ. t1일 때는 Na 의 막투과도가 크고 K 의 을 알 수 있고, A와 B의 Ⅰ에서 측정한 막전
+
막투과도가 작으며, t2일 때는 Na 의 막투과 위 값을 비교해보면, B에서 흥분 이동 속도가
+
도가 상대적으로 작고 K 의 막투과도가 높으 더 빠르므로 시냅스는 A에 있음을 알 수 있

Na 의 막투과도 다.
므로  는 t1일 때가 t2일 때
K  의 막투과도 ㄷ. (시냅스는 A에 있으므로) ㉢까지 흥분의
보다 크다. 전도(전달)는(은) B에서 더 빠르다. 즉, A의
-20mV는 B의 +10mV보다 흥분의 전도(전
달)가(이) 덜 된 상태여야 한다. 따라서 t1일
때 A의 ㉢에서 탈분극이 일어나고 있다.

- 4 -
[백호T] 2024 개념 완성 추가 문제 7회 정답 및 해설
단원명 : 01. 자극의 전달과 근수축

13번 연수, 척수 꼬리 부분에 있다.


[문제 분석] ㄷ. B(부교감 신경)는 자율 신경계에 해당하므
A는 대뇌, B는 간뇌, C는 중간뇌, D는 연수, 로 골격근의 수축에는 관여하지 않는다. 골격
E는 척수에 각각 해당한다. 근의 수축은 체성 운동 신경이 관여한다.
[문제 풀이]
ㄱ. A(대뇌)의 겉질은 회색질, 속질은 백색질 16번
이다. [문제 분석]
ㄴ. B(간뇌)에는 시상과 시상 하부가 존재한 A는 연수, B는 중간뇌, C는 척수이다. 심장
다. 박동을 억제하는 ? 는 부교감 신경, 방광
ㄷ. C(중간뇌)와 D(연수)는 모두 뇌줄기에 속
을 이완시키는 ㉠은 교감 신경이다.
한다.
[문제 풀이]
ㄹ. E(척수)는 무릎 반사의 중추이다.
ㄱ. 혈당량 조절 중추는 간뇌이다.
ㄴ. 뇌줄기에는 중간뇌, 뇌교, 연수가 포함된
14번
다. 따라서 B(중간뇌)는 뇌줄기에 속한다.
[문제 분석]
ㄷ. C(척수)의 속질은 회색질이며 이곳에는
중추 신경계는 뇌와 척수로, 말초 신경계는
신경 세포체가 모여 있다.
뇌신경과 척수 신경으로 구분된다. 따라서 뇌
ㄹ. ㉠(교감 신경)은 자율 신경에 속한다.
를 포함하는 (가)는 중추 신경계이고 ㉠은 척
수이다. (나)와 ㉡은 각각 말초 신경계와 척수
17번
신경이다.
[문제 분석]
[문제 풀이]
신경 세포체가 축삭 중간에 돌출된 A는 구심
ㄱ. 문제 분석을 참고하면, (가)는 중추 신경
성 뉴런, 골격근에 자극을 전달하는 C는 원심
계이다.
성 뉴런이다. 이를 연결하는 B는 연합 뉴런이
ㄴ. ㉠(척수)은 회피 반사의 중추이다.
다.
ㄷ. 문제 분석을 참고하면, ㉡은 척수 신경으
[문제 풀이]
로 31쌍이다.
ㄱ. A(구심성 뉴런)는 후근을 통해 척수와 연
결된다.
15번
ㄴ. B는 연합 뉴런으로 중추 신경에 속한다.
[문제 분석]
ㄷ. A(구심성 뉴런), C(원심성 뉴런) 모두 말
부교감 신경은 신경절 이전 뉴런이 길고, 신
초 신경계에 속한다.
경절 이후 뉴런이 짧다. 반대로 교감 신경은
ㄹ. ⓐ는 다리가 올라가는 상태로 위쪽 근육
신경절 이전 뉴런이 짧고, 신경절 이후 뉴런
은 수축되고 아래쪽 근육(㉠)은 이완된다.
이 길다. 따라서 A는 교감 신경, B는 부교감
신경이다.
18번
[문제 풀이]
[문제 분석]
ㄱ. 구심성 신경, 교감 신경, 부교감 신경 모
ⓐ의 길이는 X가 수축되면 감소하고, 이완되
두 말초 신경계에 속하므로 ‘중추 신경계에 속
면 증가하므로 t1일 때는 수축, t2일 때는 이
하는가?’는 구분 기준 (가)가 될 수 없다.
완된 상태이다. ⓐ의 길이가 0.4㎛ 증가하였
ㄴ. A(교감 신경)의 신경절 이전 뉴런의 신경
으므로, 전체 길이는 t1일 때보다 t2일 때 0.8
세포체는 척수에 있다. 참고로 부교감 신경의
㎛ 길다. 따라서 t2일 때, X의 길이는 3.2㎛
신경절 이전 뉴런의 신경 세포체는 중간뇌,
이다. t1일 때 A대의 길이는 (X의 길이-2ⓐ의

- 5 -
[백호T] 2024 개념 완성 추가 문제 7회 정답 및 해설
단원명 : 01. 자극의 전달과 근수축

길이)=1.4㎛이다. t2일 때 H대의 길이가 1.0 ㄴ. Y(부교감 신경)의 신경절 이전 뉴런의 신


㎛라고 하였으므로 ⓑ의 길이를 구해보면, 경 세포체는 연수에 있다. 참고로 X(교감 신
A 대의 길이  H 대의 길이 경)의 신경절 이전 뉴런의 신경 세포체는 척
 =0.2㎛가 되며,
 수에 있다.
t1에서 H대의 길이는 0.2㎛이다. ㄷ. X(교감 신경)와 Y(부교감 신경)는 자율
[문제 풀이] 신경으로 모두 말초 신경계에 속한다.
ㄱ. 골격근의 ㉠(근육 섬유)은 여러 개의 핵을
가진 세포이다. 21번
ㄴ. 문제 분석을 참고하면, t1일 때 H대의 길 [문제 분석]
이는 0.2㎛이다. ⓐ는 H대, ⓑ는 A대이다. ⓐ의 길이는 t1에서
ㄷ. 문제 분석을 참고하면, t2일 때 X의 길이 보다 t2에서 0.4㎛ 증가하였으므로 t1은 수축,
는 3.2㎛, ⓑ의 길이는 0.2㎛이므로 t2는 이완된 상태이다. ⓑ의 길이는 수축과 이
X의 길이 완 시 변화가 없으므로 t1에서 ⓑ의 길이는
 =16이다.
ⓑ의 길이
1.6㎛이다.
[문제 풀이]
19번
ㄱ. 문제 분석을 참고하면, t1은 수축된 상태,
[문제 분석]
t2는 이완된 상태이므로 X의 길이는 t1일 때
신경 A는 신경절 이전 뉴런이 신경절 이후
보다 t2일 때 더 길다.
뉴런보다 더 길게 나타나므로 부교감 신경,
ㄴ. 문제 분석을 참고하면, t1일 때 ⓑ의 길이
신경 B는 신경절 이전 뉴런이 신경절 이후 뉴
는 1.6㎛이다.
런보다 더 짧으므로 교감 신경에 해당한다.
ㄷ. 근육 섬유가 근육 원섬유로 구성된다.
[문제 풀이]
ㄱ. ㉠은 교감 신경의 신경절 이전 뉴런이므
22번
로 ㉠의 신경 세포체는 척수에 있다. 참고로,
[문제 풀이]
A의 신경절 이전 뉴런의 신경 세포체는 연수
ㄱ. ㉢에 작용하는 신경은 구심성 신경으로
에 있다.
말이집 신경이다.
ㄴ. A(부교감 신경)가 흥분하면 위의 소화 운
ㄴ. 교감 신경은 모두 척수와 연결되어 있으
동이 촉진된다.
므로, A → ㉠ → 뇌 → ㉡ → B가 될 수 없
ㄷ. B(교감 신경)의 신경절 이후 뉴런의 축삭
다.
돌기 말단에서는 노르에피네프린이 분비된다.
ㄷ. 무릎 반사는 뇌를 경유하지 않고 일어나
므로 경로는 C → ㉢ → 척수 → ㉣ → D에
20번
해당한다.
[문제 분석]
(가)에서 X를 자극한 뒤 심장 박동이 빨라졌
23번
으므로 X는 교감 신경, (나)에서 Y를 자극한
[문제 분석]
뒤 심장 박동이 느려졌으므로 Y는 부교감 신
(가)를 보면, 랑비에 결절(Ⅰ)에서는 비교적
경이다.
짧은 거리를 이동하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되
[문제 풀이]
지만, 말이집(Ⅱ)에서는 비교적 긴 거리를 이
ㄱ. X(교감 신경)의 신경절 이전 뉴런은 말이
동하는데 적은 시간이 소요된다. 이는 흥분의
집 신경으로 흥분의 이동은 도약 전도를 통해
전도 속도가 랑비에 결절(Ⅰ)에서보다 말이집
일어난다.
(Ⅱ) 부위에서 더 빠르다는 것을 의미한다.

- 6 -
[백호T] 2024 개념 완성 추가 문제 7회 정답 및 해설
단원명 : 01. 자극의 전달과 근수축

[문제 풀이] X의 길이  A 대의 길이   


 = =0.8㎛
ㄱ. 부교감 신경의 신경절 이후 뉴런은 민말  
이집 신경으로, (나)와 같은 구조를 가지지 않 이다. ⓐ일 때 ㉡의 길이=액틴 필라멘트 절반
는다. 참고로 부교감 신경의 신경절 이전 뉴 의 길이-㉠의 길이=1-0.8=0.2㎛인데, ⓑ일
런이 (나)와 같은 구조를 가진다. 때 ㉡의 길이는 0.3㎛ 증가하므로 0.5㎛이다.
ㄴ. 슈반 세포는 말이집(Ⅱ)을 구성하는 세포 ㄴ. 근육의 수축과 이완 시 마이오신 필라멘
로, 랑비에 결절(Ⅰ)에는 존재하지 않는다. 트의 길이에는 변화가 없다.
ㄷ. 문제 분석을 참고하면, 흥분의 전도 속도 ㄷ. 근육이 수축하면 H대의 길이는 감소하고
는 랑비에 결절(Ⅰ)에서보다 말이집(Ⅱ) 부위 H 대의 길이
㉡의 길이는 증가하므로  는 ⓐ일
㉡의 길이
에서 더 빠르다.
때보다 ⓑ일 때가 더 작다.

24번
26번
[문제 분석]
[문제 분석]
Ÿ 부교감 신경이 나온다. - 척수, 중간뇌
H대는 마이오신 필라멘트만, I대는 액틴 필라
Ÿ 항이뇨 호르몬의 분비 조절 중추이다. -
멘트만, A대는 액틴 필라멘트와 마이오신 필
간뇌
라멘트가 모두 있다. 그림은 마이오신 필라멘
Ÿ 배뇨 반사의 중추이다. - 척수
트와 액틴 필라멘트가 모두 있으므로 ⓐ는 A
C는 특징 ㉡, ㉢을 모두 가지므로 척수다.
대이다. ⓒ에 마이오신 필라멘트가 있으므로
㉠~㉢ 중 척수만 가지는 특징 ㉢은 ‘배뇨 반
ⓒ는 H대, 남은 ⓑ는 I대이다. 골격근이 수축
사의 중추이다.’이고, 척수가 가지지 않는 특
또는 이완되더라도 A대의 길이는 변하지 않
징 ㉠은 ‘항이뇨 호르몬의 분비 조절 중추이
으므로, t1일 때 ⓐ의 길이는 1.6㎛이다. 골격
다.’이다. 남은 ㉡은 ‘부교감 신경이 나온다.’이
근이 수축되면 I대의 길이와 H대의 길이가 모
다. ‘항이뇨 호르몬의 분비 조절 중추이다.’의
두 감소하는데 I대(ⓑ)의 길이는 t1일 때보다
특징 ㉠이 있는 A는 간뇌이고 B는 중간뇌이
t2일 때 짧으므로 H대의 길이도 짧아진다.
다.
[문제 풀이]
[문제 풀이]
ㄱ. 문제 분석을 참고하면, ⓐ는 A대, ⓑ는 I
ㄱ. 문제 분석을 참고하면, A는 간뇌, C는 척
대, ⓒ는 H대이다.
수이다.
ㄴ. t1에서 t2가 되는 것은 근육이 수축하는
ㄴ. 문제 분석을 참고하면, ㉠은 ‘항이뇨 호르
과정으로 ATP가 소모된다.
몬의 분비 조절 중추이다.’이다.
ㄷ. t1일 때, ⓐ에서 단면이 그림과 같은 부분
ㄷ. 동공 반사의 중추는 B(중간뇌)이다.
의 전체 길이는 (A대의 길이-H대의 길이)이
므로 1.6-0.4=1.2㎛이다.
25번
ㄹ. 근육이 수축할 때 ⓑ의 길이와 ⓒ의 길이
[문제 분석]
는 모두 짧아지고, ⓐ의 길이는 동일하므로
시점 ⓑ일 때가 ⓐ일 때보다 X의 길이가 더
ⓑ의 길이  ⓒ의 길이
짧으므로 ⓑ는 수축 상태, ⓐ는 이완 상태이  는 t2일 때가 t1일 때
ⓐ의 길이
다.
보다 작다.
[문제 풀이]
ㄱ. 근육의 수축과 이완 시 A대의 길이에는
변화가 없으므로, ⓐ일 때 ㉠의 길이=

- 7 -
[백호T] 2024 개념 완성 추가 문제 7회 정답 및 해설
단원명 : 01. 자극의 전달과 근수축

27번
[문제 분석]
이 문제를 풀이하기 위한 Tip으로 3가지를 알
고 가자.
첫째로, 근육의 수축 과정에서 A대의 길이는
변하지 않는다는 것, 둘째로 H대의 길이는 A
대의 길이를 초과할 수 없다는 것, 셋째로 근
육 원섬유 마디 X의 길이는 A대+I대라는 것
이다.

1) ㉠이 A대라면, t1일 때 ㉠의 길이는 1.2이


므로, I대의 길이는 2.0이다. → ㉢이 H대가
되면 모순(A대 1.2보다 H대 1.8이 더 클 수
없음)

2) ㉡이 A대라면, t1일 때 ㉡의 길이는 0.6이


므로 I대의 길이는 2.6이다. → 마찬가지로 ㉢
이 H대가 되면 모순(A대 0.6보다 H대 1.8이
더 클 수 없음)

3) 1), 2)에 의해 ㉢은 A대 확정, t1일 때, I


대의 길이는 1.4이다.
-㉠이 I대라면, ㉡은 H대이므로 ⓐ의 길이는
0.8이 된다. (참)
-㉡이 I대라면, ㉠(H대)의 길이가 2.0이 되므
로 모순. (A대 1.8보다 H대의 길이가 클 수
없으므로)

[문제 풀이]
ㄱ. ㉠은 I대, ㉡은 H대, ㉢은 A대이다.
ㄴ. ⓐ는 0.8이다.
ㄷ. t2일 때 X의 길이는 3.0㎛이다.

- 8 -
<정답표>
[2024 백호T 개념 테스트 8회] 단원 : 02. 호르몬과 항상성 (27문항)
문제 정답
1. 항이뇨 호르몬(ADH)은 뇌하수체 ( 전엽 / 후엽 )에서 분비된다. 후엽

2. 혈당량, 삼투압 등의 체내 항상성 유지 조절 중추는 □□이다. 간뇌

3. 호르몬은 내분비샘에서 생성되어 분비관을 통해 온몸으로 이동한다. ( O / X ) X

에피네프린
4. 부신 속질에서 분비되는 호르몬인 □□□□□은 혈당량을 증가시킨다.
(아드레날린)

5. 추울 때 □□□에서 티록신이 분비되며, 열 발생량을 ( 증가 / 감소 )시킨다. 갑상샘, 증가

6. 체내 혈액량이 정상보다 증가하면 항이뇨 호르몬의 농도는 ( 증가 / 감소 )한다. 감소

7. 자율 신경에 의해 조절되는 호르몬 샘에는 이자와 부신 속질이 있다. ( O / X ) O

8. 추울 때 ( 교감 / 부교감 )신경에 의해 털세움근이 ( 수축 / 이완 )한다. 교감, 수축

9. 콩팥은 항이뇨 호르몬의 표적 기관이다. ( O / X ) O

10. 부신 ( 겉질 / 속질 ) 에서는 무기질코르티코이드가 분비되어 Na+ 재흡수를 촉진한


겉질
다.
11. 당뇨병은 이자의 인슐린 생성 부족 또는 세포의 인슐린 수용체 이상으로 인해 나타
O
나는 질환이다. ( O / X )

12. 체온이 떨어지면, 교감 신경이 작용하여 피부의 모세혈관이 이완(확장)된다. ( O / X ) X

13. 갑상샘은 ( 티록신 / TSH ) 의 표적 기관이다. TSH

14. 인슐린은 근육 세포로의 포도당 흡수를 촉진한다. ( O / X ) O

15~17. 그림은 어떤 사람의 시상 하부에서 감지하는 온도 변화에 따른 열 발산량과 열 발생량을 나타낸


것이다. ㉠과 ㉡은 각각 열 발생량과 열 발산량 중 하나이며, T2는 T1보다 높은 온도이다.

15. ㉠은 열 ( 발생량 )이다.

16. 피부 근처로 흐르는 혈액의 양은 T1일 때가 T2일 때보다

( 적다 ).

17. 티록신 분비량은 T1일 때가 T2일 때보다 ( 많다 ).

- 1 -
<정답표>
[2024 백호T 개념 테스트 8회] 단원 : 02. 호르몬과 항상성 (27문항)

18~20. 그림은 티록신의 분비 조절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단, 아이오딘(I)은 티록신의 구성 물질이다.)

18. 내분비샘 ㉠은 ( 뇌하수체 전엽 )이다.

19. 체내 티록신의 분비가 증가하면 TSH의 분비는 ( 감소 ) 한다.

20. 아이오딘(I)의 섭취가 부족할 경우 피드백에 의해 TRH의 분비가 ( 증가 )한다.

21~23. 그림은 정상인의 혈중 포도당 농도에 따른 호르몬 ㉠과 ㉡의 혈


중 농도를 나타낸 것이다. ㉠과 ㉡은 인슐린과 글루카곤 중 하나이다.

21. ㉠은 ( 글루카곤 )이고, ㉡은 ( 인슐린 )이다.

22. ㉠은 이자의 ( α )세포에서, ㉡은 이자의 ( β )세포에서 분비된다.

23. 이자에 연결된 ( 부교감 ) 신경은 ㉡의 분비를 촉진한다.

24~27. 그림 (가)는 정상인의 혈장 삼투압에 따른 호르몬 X의 혈중 농도를, (나)는 이 사람이 1L의 물을

섭취한 후 시간에 따른 혈장과 오줌의 삼투압을 나타낸 것이다. X는 뇌하수체 후엽에서 분비된다.

24. 연수는 X의 분비를 조절한다. ( X )

25. 오줌의 삼투압은 P1일 때가 P2일 때보다 ( 낮다 ).

26. P1일 때 땀을 많이 흘리면, 혈중 X 농도는 ( 증가 ) 한다.

27. 생성되는 오줌의 양은 구간 I에서보다 구간 Ⅱ에서 ( 적다 ).

- 2 -
[백호T] 2024 개념 완성 추가 문제 8회 정답 및 해설
단원명 : 02. 호르몬과 항상성

1번 2번 3번 4번
ㄱ. O
ㄱ. O ㄱ. O ㄱ. O
ㄴ. O
ㄴ. X ㄴ. A ㄴ. X
ㄷ. 민무늬근
ㄷ. O ㄷ. X ㄷ. O
ㄹ. O
5번 6번 7번 8번
ㄱ. O
ㄱ. 열 발생량 ㄱ. 교감, 교감 ㄱ. O
ㄴ. O
ㄴ. X ㄴ. X ㄴ. O
ㄷ. O
ㄷ. O ㄷ. X ㄷ. X
ㄹ. O
9번 10번 11번 12번
ㄱ. O ㄱ. O ㄱ. X ㄱ. 후엽
ㄴ. O ㄴ. 전체 혈액량 ㄴ. O ㄴ. O
ㄷ. 감소 ㄷ. O ㄷ. O ㄷ. O
13번 14번 15번
ㄱ. β ㄱ. β ㄱ. X
ㄴ. O ㄴ. 부교감 ㄴ. O
ㄷ. O ㄷ. O ㄷ. X

- 1 -
[백호T] 2024 개념 완성 추가 문제 8회 정답 및 해설
단원명 : 02. 호르몬과 항상성

01번 이다.
[문제 분석] [문제 풀이]
A는 작용 범위가 넓고, B는 작용 범위가 좁 ㄱ. 문제 분석을 참고하면 ㉠은 뇌하수체 전
으므로 A는 호르몬에 의한 작용, B는 신경에 엽이다.
의한 작용이다. ㄴ. 문제 분석을 참고하면 (가)는 TRH이다.
[문제 풀이] ㄷ. 티록신의 분비는 음성 피드백에 의해 조
ㄱ. 문제 분석을 참고하면, A는 호르몬에 의 절된다.
한 작용이다.
ㄴ. 전달 속도는 A(호르몬에 의한 작용)보다 04번
B(신경에 의한 작용)가 더 빠르다. [문제 분석]
ㄷ. A(호르몬에 의한 작용)는 혈액, B(신경에 (가)는 간, (나)는 위이다.
의한 작용)는 뉴런을 통해 전달된다. [문제 풀이]
ㄱ. (가)(간)는 인슐린의 표적 기관으로, 인슐
02번 린은 (가)(간)에서 포도당이 글리코젠으로 합
[문제 분석] 성되는 반응을 촉진한다.
A는 뇌하수체에 이상이 생긴 쥐로 뇌하수체 ㄴ. 교감 신경이 작용하면 (가)에서 글리코젠
전엽에서 갑상샘 자극 호르몬(TSH)이 과다 분 분해가 촉진되어 혈당량이 높아진다.
비되어 혈중 티록신 농도가 높다. C는 갑상샘 ㄷ. (나)(위)를 구성하는 근육은 내장근으로,
이 제거되어 티록신을 제대로 생산하지 못해 민무늬근에 해당한다.
혈중 티록신 농도가 매우 낮다. 따라서 C는 ㄹ. (나)(위)는 교감 신경의 조절을 받는다.
음성 피드백 과정에 의해 갑상샘 자극 호르몬
(TSH)의 분비가 정상 쥐보다 높을 것이다. 05번
[문제 풀이] [문제 분석]
ㄱ. 문제 분석을 참고하면, A는 갑상샘 자극 시상 하부는 체온 조절의 중추로 시상 하부
호르몬(TSH)이 과다 분비되지만, B는 아무 처 온도가 높아지면 열 발산량은 증가하고 열 발
리 하지 않은 쥐로 갑상샘 자극 호르몬(TSH) 생량은 감소한다. 따라서 ㉠은 열 발생량, ㉡
은 정상적으로 분비된다. 따라서 갑상샘 자극 은 열 발산량이다.
호르몬(TSH)의 혈중 농도는 A가 B보다 높다. [문제 풀이]
ㄴ. 티록신은 물질대사를 촉진하므로 (나)에서 ㄱ. 문제 분석을 참고하면, ㉠은 열 발생량이
물질대사가 가장 활발한 쥐는 혈중 티록신 농 다.
도가 가장 높은 A이다. ㄴ. 티록신은 물질대사를 촉진시키므로 티록
ㄷ. 티록신은 갑상샘에서 생산된다. C의 경우 신이 많이 분비되면 체온이 올라간다. T1일
갑상샘 자체가 제거되었기 때문에 티록신의 때가 T2일 때보다 열 발생량이 높으므로 티록
분비가 낮은 것이지 갑상샘 자극 호르몬(TSH) 신 분비량은 T1일 때가 T2일 때보다 많다.
의 분비량이 낮기 때문은 아니다. ㄷ. 피부 근처 혈관의 확장은 체표면을 통한
열 발산량 증가에 관여한다. 따라서 피부 근
03번 처 혈관이 확장되면 ㉡(열 발산량)이 증가한
[문제 분석] 다.
시상하부에서 분비되는 (가)는 TRH이며, 뇌하
수체 전엽에서 TSH의 분비를 촉진한다. 따라
서 내분비샘 ㉠은 뇌하수체 전엽, (나)는 TSH

- 2 -
[백호T] 2024 개념 완성 추가 문제 8회 정답 및 해설
단원명 : 02. 호르몬과 항상성

06번 [문제 풀이]


[문제 분석] ㄱ. 문제 분석을 참고하면, X는 항이뇨 호르
‘혈당량을 증가시키는가?’에 해당하는 호르몬 몬(ADH)이다.
은 글루카곤, 에피네프린(아드레날린)이므로 ㄴ. 물을 섭취한 이후인 구간 Ⅰ에서의 오줌
A는 에피네프린(아드레날린), B는 인슐린이 생성량이 물을 섭취한 시점에서보다 많으므
다. 로, 혈중 X(ADH)의 농도는 물 섭취 시점에서
[문제 풀이] 가 구간 Ⅰ에서보다 더 높다.
ㄱ. 글루카곤은 이자에서 분비되고, A(에피네 ㄷ. 구간 Ⅰ에서는 물 섭취 후 체액의 농도가
프린)는 부신 속질에서 분비되므로 ‘이자에서 낮아진 상태이기 때문에 오줌 생성량이 많다.
분비되는가?’는 (가)에 해당한다. 오줌으로 체내 수분을 배출하여 오줌 생성량
ㄴ. A(에피네프린)는 간에서 글리코젠 분해를 이 줄어든 구간 Ⅱ는 체액 농도가 정상으로
촉진시킨다. 돌아온 상태이다. 따라서 혈장 삼투압(체액의
ㄷ. B(인슐린)는 호르몬이므로 순환계를 통해 농도)은 구간 Ⅱ에서 더 높다.
표적 기관으로 운반된다.
ㄹ. B(인슐린)는 근육 세포에서 포도당 흡수를 09번
촉진한다. [문제 분석]
체온 변화 감지와 조절 중추는 간뇌의 시상
07번 하부이며, 자율 신경과 호르몬의 작용으로 체
[문제 분석] 온을 일정하게 유지시킨다. 추울 때 체온을
저온 자극 시 열 발생을 촉진하고, 열 발산을 상승시키기 위해 열 발산량은 감소, 열 발생
억제한다. 교감 신경이 털세움근에 작용하여 량은 증가시킨다.
털세움근을 수축시켜 열 발산을 억제하고, 부 [문제 풀이]
신 속질에 작용하면 에피네프린(아드레날린)이 ㄱ. ㉠ 과정에서 TSH, ㉡ 과정에서 티록신이
분비되어 혈당량을 증가시키고 심장 박동을 분비된다.
촉진시키는 역할을 한다. ㄴ. 저온 자극 시 자율 신경 중 교감 신경에
[문제 풀이] 의해 피부 근처 혈관이 수축된다.
ㄱ. 저온 자극 시 교감 신경이 작용한다. 따라 ㄷ. 문제 분석을 참고하면, ㉣ 과정 결과 열
서 신경 (가)와 (나)는 모두 교감 신경이다. 발산량이 감소한다.
ㄴ. (가)(교감 신경)의 자극으로 털세움근이
수축하면 열 발산은 억제된다. 10번
ㄷ. 부신 속질에 연결되어 있는 (나)(교감 신 [문제 분석]
경)가 자극되면 에피네프린(아드레날린)이 분 항이뇨 호르몬(ADH)은 콩팥에서 수분 재흡수
비되어 혈당량이 증가한다. 당질 코르티코이 를 촉진시키는 호르몬으로 체내 혈액량이 많
드는 부신 겉질에서 분비된다. 을 때는 그 양이 감소하고, 체내 삼투압이 높
을 때는 수분을 재흡수해 삼투압을 정상으로
08번 낮춘다. 따라서 혈액량과는 반비례, 삼투압과
[문제 분석] 는 비례하는 관계로 (가)는 혈장 삼투압, (나)
X는 항이뇨 호르몬(ADH)으로 콩팥에서 수분 는 전체 혈액량에 해당한다.
의 재흡수를 촉진하여 혈장 삼투압을 낮추고 [문제 풀이]
혈액량을 증가시키며 오줌의 생성량을 감소시 ㄱ. 시상 하부는 삼투압 유지의 중추로 항이
킨다. 뇨 호르몬(ADH)의 분비를 조절한다.

- 3 -
[백호T] 2024 개념 완성 추가 문제 8회 정답 및 해설
단원명 : 02. 호르몬과 항상성

ㄴ. 문제 분석을 참고하면, (나)는 전체 혈액 13번


량이다. [문제 분석]
ㄷ. 왼쪽 그림에서 t1일 때가 안정 상태일 때 A는 인슐린, B는 글루카곤이다.
보다 혈장 삼투압이 높으며, ADH가 많이 분 [문제 풀이]
비되어 콩팥에서 물의 재흡수를 촉진하므로 ㄱ. A(인슐린)는 이자의 β 세포에서 분비된다.
진한 오줌을 소량 배설한다. 따라서 오줌의 ㄴ. B(글루카곤)는 혈당량이 낮을 때 분비되어
삼투압은 t1일 때가 안정 상태일 때보다 높다. 혈당량을 높이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B의 분
비량은 t1일 때 보다 t2일 때가 많다.
11번 ㄷ. 구간 Ⅰ에서 혈당량이 감소하고 있으므로
[문제 분석] 간에서 포도당을 글리코젠으로 전환하는 반응
혈당량을 증가시키는 ㉠은 에피네프린, ㉡은 이 활발하게 일어난다.
인슐린이다.
[문제 풀이]
ㄱ. ㉠(에피네프린)은 부신 속질에서 분비된 14번
다. [문제 분석]
ㄴ. ㉡(인슐린)은 간에서 포도당을 글리코젠으 포도당을 투여하면 혈당량이 증가하므로 항상
로 합성하는 작용을 촉진한다. 성 유지를 위해 혈당량을 낮추는 호르몬 분비
ㄷ. ADH는 콩팥에 작용하여 수분 재흡수를 가 증가한다. 따라서 이자에서 분비되는 호르
촉진하는 호르몬이다. 몬 A는 인슐린이다.
[문제 풀이]
12번 ㄱ. A(인슐린)는 이자의 β 세포에서 분비된다.
[문제 분석] ㄴ. 이자의 β 세포에서 분비되는 인슐린은 혈
ADH 주입 시 수분 재흡수량이 증가하여 오 당량을 감소시키는 호르몬으로 부교감 신경의
줌의 생성량은 줄어들고, 오줌의 삼투압은 증 흥분에 의해 분비량이 증가한다.
가한다. 따라서 A는 오줌의 삼투압, B는 오줌 ㄷ. 혈당량이 높을 때 A(인슐린)의 분비가 촉
의 생성량이다. 진되어 혈당량이 낮아지며, 그 후 혈당량이
[문제 풀이] 낮아짐에 따라 A(인슐린)의 분비가 감소하므
ㄱ. ADH는 뇌하수체 후엽에서 분비된다. 로 A(인슐린)의 분비는 음성 피드백으로 조절
ㄴ. 문제 분석을 참고하면, B는 오줌의 생성 된다.
량이다.
ㄷ. 물을 섭취한 이후인 구간 Ⅰ에서 혈중 15번
ADH 농도는 물을 섭취하기 이전보다 감소하 [문제 분석]
고 오줌 생성량이 증가한 상황이므로 뇌하수체의 조절을 받는 (가)는 부신 겉질, 교
오줌 생성량 감 신경의 조절을 받는 (나)는 부신 속질이다.
 의 값은 평상시보다 증가한
혈중 ADH 농도 저혈당일 때 (가)는 당질 코르티코이드, (나)
다. 구간 Ⅱ의 경우 오줌으로 배설된 이후 다 는 에피네프린을 분비하여 혈당량을 증가시킨
시 물을 섭취하기 전과 동일한 혈장 삼투압, 다.
오줌 생성량 [문제 풀이]
오줌 삼투압을 가지므로  의
혈중 ADH 농도
ㄱ. A를 통한 자극 전달은 호르몬에 의해 이
값은 구간 Ⅰ에서가 구간 Ⅱ에서보다 크다.
루어지므로 교감 신경을 통한 자극 전달 속도
보다 느리다.

- 4 -
[백호T] 2024 개념 완성 추가 문제 8회 정답 및 해설
단원명 : 02. 호르몬과 항상성

ㄴ. 문제 분석을 참고하면, (가)는 당질 코르


티코이드를 분비한다.
ㄷ. 문제 분석을 참고하면, (나)에서 에피네프
린이 분비되어 혈당량이 증가한다.

- 5 -
<정답표>
[2024 백호T 개념 테스트 9회] 단원 : 03. 방어작용
문제 정답
1. ( 홍역 / 파상풍 )을 일으키는 병원체는 핵막이 없는 세포로 되어있다. 파상풍

2. 결핵 치료 시에는 항생제가 사용된다. ( O / X ) O

3. 무좀은 ( 세균 / 곰팡이 / 원생 생물 )에 의해 발생하는 감염성 질병이다. 곰팡이

4. 염증 반응이나 백혈구의 식균 작용은 ( 특이적 / 비특이적 ) 방어 작용에 해당한다. 비특이적

5. 항원의 1차 침입 시 보조 T 림프구의 도움을 받은 B 림프구는 기억 세포와 형질 세포로


O
분화된다. ( O / X )

6. ( 체액성 / 세포성 ) 면역은 활성화된 세포 독성 T 림프구가 병원체에 감염된 세포를


세포성
제거하는 면역 반응이다.

7. 혈청에는 ( 항체 / 기억 세포 )가 존재한다. 항체

8. 예방 백신에는 약화시킨 항원이 들어있어 주사 후 면역력을 얻을 수 있다. ( O / X ) O

9. ( Rh+ / Rh- )형의 적혈구에는 Rh 응집원이 존재한다. Rh+


10. 세포 독성 T 림프구는 ( 골수 / 가슴샘 )에서, B 림프구는 ( 골수 / 가슴샘 )에서 성숙된
가슴샘, 골수
다.
11. 특정 항원에 대해 과도하게 민감한 체내 면역 반응을 □□□□라고 한다. 알레르기

12. 후천성 면역 결핍증(AIDS)은 대표적인 자가 면역 질환이다. ( O / X ) X

13. 항 A 혈청에는 응집소 ( α / β ), 항 B 혈청에는 응집소 ( α / β )가 들어있다. α, β

14~15. 다음 그림은 항원 X와 Y에 대한 항체 농도를 시간에 따라 나타낸 것이다.


14. 구간 Ⅰ에서 항원 X에 대한 체액성 면역이 일어나고 있다. ( O )

15. 구간 Ⅱ에서 항원 Y에 대한 형질 세포가 기억 세포로 분화한다. ( X )

- 1 -
<정답표>
[2024 백호T 개념 테스트 9회] 단원 : 03. 방어작용
16~18. 표는 100명의 학생 집단을 대상으로 ABO식 혈액형에 대한 응집원 ㉠과 응집소 ㉡의 유무를 조
사한 것이다. 이 집단에는 A, B, AB, O형이 모두 있고, B형인 학생 수가 O형인 학생 수보다 많다.
구분 학생 수
응집원 ㉠을 가진 학생 45
응집소 ㉡을 가진 학생 62
응집원 ㉠과 응집소 ㉡을 모두 가진 학생 34

16. B형 학생은 응집소 ㉡을 가지고 있다. ( O )

17. A형의 학생이 가장 적다. ( X )

18. 이 집단에서 항 A 혈청에 응집되는 혈액을 가진 학생은 총 38 명이다.

19~20. 다음은 항원 X에 대한 생쥐의 방어 작용 실험을 간략히 나타낸 것이다.


- 유전적으로 동일하고 X에 노출된 적이 없는 생쥐 A와 B에게 ㉠과 ㉡을 각각 주사하고 일정 시간 후 X를
주사하여 X에 대한 항체의 농도 변화를 관찰하였다. (단, ㉠과 ㉡은 각각 X에 대한 기억 세포와 혈청 중
하나이다.)

19. ㉠에는 형질 세포가 들어 있다. ( X )

20. 구간 ( Ⅱ )에서 X에 대한 2차 면역 반응이 일어났다.

- 2 -
[백호T] 2024 개념 완성 추가 문제 9회 정답 및 해설
단원명 : 03. 방어 작용

1번 2번 3번 4번
ㄱ. 대식 세포,
ㄱ. O ㄱ. 광우병, 홍역 ㄱ. X 보조 T 림프구
ㄴ. O ㄴ. O, O ㄴ. O ㄴ. X
ㄷ. O ㄷ. X ㄷ. X ㄷ. X
ㄹ. O
5번 6번 7번 8번
ㄱ. B 림프구
ㄱ. 비특이적 ㄱ. O ㄱ. 적혈구
ㄴ. O
ㄴ. O ㄴ. O ㄴ. O
ㄷ. O
ㄷ. O ㄷ. X ㄷ. X
ㄹ. 골수
9번 10번 11번 12번
ㄱ. X ㄱ. 보조 T 림프구, ㄱ. HIV 항체 농도,
ㄱ. X
ㄴ. ㉡ B 림프구 HIV 수
ㄴ. X
ㄷ. X ㄴ. X ㄴ. O
ㄷ. (가), (다), (나)
ㄹ. X ㄷ. O ㄷ. O
13번 14번 15번 16번
ㄱ. O ㄱ. O ㄱ. O ㄱ. X
ㄴ. 2 ㄴ. X ㄴ. O ㄴ. O
ㄷ. O ㄷ. O ㄷ. O ㄷ. 골수
17번 18번 19번
ㄱ. O ㄱ. X ㄱ. X1
ㄴ. X ㄴ. O ㄴ. P
ㄷ. X ㄷ. X ㄷ. X

- 1 -
[백호T] 2024 개념 완성 추가 문제 9회 정답 및 해설
단원명 : 03. 방어 작용

01번 03번
[문제 분석] [문제 분석]
탄저병은 세균에 의한 감염성 질병, 독감은 (가)는 병원체가 원생생물인 감염성 질병,
바이러스에 의한 감염성 질병이다. 혈우병의 (나)는 비감염성 질병, (다)는 병원체가 곰팡
경우 비감염성 질병이다. 탄저병의 병원체는 이인 감염성 질병이다.
세균으로 세포 분열을 통해 증식이 가능하나, [문제 풀이]
독감의 병원체는 비세포 구조로 세포 분열을 ㄱ. (가)의 질병을 일으키는 원생생물은 핵막
통해 증식할 수 없다. 이 있는 세포로 되어 있다.
[문제 분석] ㄴ. (나)의 질병은 비감염성 질병이므로 타인
ㄱ. 문제 분석을 참고하면, 탄저병과 독감은 에게 전염되지 않는다.
감염성 질병, 혈우병은 비감염성 질병이므로 ㄷ. 항생제는 병원체가 세균인 질병을 치료한
‘감염성 질병인가?’는 A에 해당한다. 다. (다)는 병원체가 곰팡이이므로 항생제로
ㄴ. 문제 분석을 참고하면, ‘병원체가 세포 분 치료할 수 없다.
열을 통해 증식하는가?’는 탄저병과 독감의
구분 기준이 될 수 있다. 04번
ㄷ. 독감의 병원체는 바이러스이므로 치료 시 [문제 분석]
항바이러스제를 사용한다. ⓐ는 대식 세포, ⓑ는 보조 T 림프구, ⓒ는
형질 세포이다.
02번 [문제 풀이]
[문제 분석] ㄱ. 문제 분석을 참고하면, ⓐ는 대식 세포,
광우병은 변형된 프라이온, 홍역은 바이러스, ⓑ는 보조 T 림프구이다.
세균성 식중독은 세균에 의해 생긴다. ㄴ. 세포성 면역은 특이적 면역 반응 중 세포
Ÿ 핵막이 없는 세포 구조로 되어 있음 ­ 세 독성 T 림프구에 의한 면역으로 ⓐ(대식 세
균성 식중독 포)에 의한 식균 작용은 해당하지 않는다.
Ÿ 핵산을 가짐 ­ 홍역, 세균성 식중독 ㄷ. 세균 X에 감염된 세포와 특이적으로 결합
두 가지 특성을 모두 나타내지 않는 (가)는 하여 세포를 제거하는 림프구는 세포 독성 T
광우병 병원체, 한 가지 특성만 나타내는 (다) 림프구이다.
는 홍역 병원체이다. 남은 (나)는 세균성 식중 ㄹ. ⓒ(형질 세포)에서 항체를 생성한다.
독 병원체이고, ㉠과 ㉡ 모두 ‘O’이다.
[문제 풀이] 05번
ㄱ. 문제 분석을 참고하면, (가)는 광우병을 [문제 분석]
일으키는 병원체, (다)는 홍역을 일으키는 병 ⓐ는 B 림프구, ⓑ는 형질 세포이다.
원체이다. [문제 풀이]
ㄴ. 문제 분석을 참고하면, ㉠과 ㉡은 모두 ㄱ. 문제 분석을 참고하면, ⓐ는 B 림프구이
‘O’이다. 다.
ㄷ. (다)를 일으키는 병원체는 바이러스로 ㄴ. B 림프구가 형질 세포와 기억 세포로 분
(나)를 일으키는 병원체(세균) 보다 크기가 작 화하는 과정에는 보조 T 림프구가 관여하므로
다. 과정 A에 T 림프구가 관여한다고 할 수 있다.
ㄷ. ⓑ(형질 세포)는 병원체 침입 시 항체를
생성하므로 체액성 면역 반응에 관여한다.
ㄹ. ⓐ(B 림프구)는 골수에서 성숙한다.

- 2 -
[백호T] 2024 개념 완성 추가 문제 9회 정답 및 해설
단원명 : 03. 방어 작용

06번 09번
[문제 풀이] [문제 분석]
ㄱ. 피부는 물리적 장벽이며 비특이적 방어 체내 병원체가 처음 침입하였을 때 나타나는
작용에 관여한다. 림프구의 면역 반응을 1차 면역 반응, 기억
ㄴ. 히스타민은 상처 부위의 모세 혈관을 확 세포가 관여하여 다량의 항체를 신속하게 만
장시켜 백혈구를 상처 부위로 유인한다. 드는 반응을 2차 면역 반응이라고 한다. 생쥐
ㄷ. 백혈구의 식균 작용은 비특이적 방어작용 ㉡이 ㉢보다 더 많은 농도의 항체가 급격하게
이다. 생성되므로 생쥐 ㉡에는 기억 세포, ㉢에는
혈청이 주사된 것이다.
07번 [문제 풀이]
[문제 분석] ㄱ. ⓐ(혈청)에는 형질 세포가 존재하지 않는
항원 A에 의해 항체 a가, 항원 B에 의해 항 다.
체 b가 생성되었다. 항원 A를 2차 주사했을 ㄴ. 문제 분석을 참고하면, 기억 세포를 주사
때 2차 면역 반응이 일어났다. 한 생쥐는 ㉡이다.
[문제 풀이] ㄷ. 구간 Ⅰ에서는 혈청이 주사되어 A에 대한
ㄱ. 항원 A를 1차 주사했을 때 B 림프구는 항체의 농도가 올라간 것이며, A에 대한 기억
형질 세포와 기억 세포로 분화된다. 따라서 세포가 형질 세포로 분화되지는 않는다.
구간 Ⅰ에서 항원 A에 대한 기억 세포가 생 ㄹ. 구간 Ⅰ에서는 아직 항원 A가 주입되지
성되었다. 않았으므로 A에 대한 항원 항체 반응이 일어
ㄴ. 구간 Ⅱ에서 대식 세포에 의해 항원 B에 나지 않는다.
대한 식균 작용이 일어났다.
ㄷ. 형질 세포는 한 종류의 항체를 만들어낸 10번
다. 따라서 항체 a와 항체 b는 서로 다른 형 [문제 분석]
질 세포에서 생성된다. ⓐ는 보조 T 림프구, ⓑ는 B 림프구, ⓒ는 비
만 세포이다.
08번 [문제 풀이]
[문제 분석] ㄱ. 문제 분석을 참고하면, ⓐ는 보조 T 림프
붉은털원숭이의 적혈구에는 Rh 응집원이 존 구, ⓑ는 B 림프구이다.
재한다. 적혈구를 추출하여 토끼에게 주입하 ㄴ. ⓒ에서는 화학 물질(히스타민)이 분비되며
면 토끼의 체내에 Rh 응집소가 생성되며, 이 항체는 생성되지 않는다.
것은 항체의 일종으로 Rh식 혈액형의 판정에 ㄷ. 화학 물질(히스타민)에 의해 모세혈관이
이용된다. 따라서 ⓐ는 적혈구, ⓑ는 혈청이 확장되고 물질 투과성이 증가되면서 알레르기
다. 반응이 일어나게 된다.
[문제 풀이]
ㄱ. 문제 분석을 참고하면, ⓐ는 적혈구이다. 11번
ㄴ. ⓐ에는 Rh 응집원, ⓑ에는 Rh 응집소가 [문제 풀이]
존재하므로 ⓐ와 ⓑ를 섞으면 응집 반응이 일 ㄱ. 손상된 조직 세포에서 생성되어 모세 혈
어난다. 관을 확장시키는 화학 물질은 히스타민이다.
+
ㄷ. Rh 형인 사람의 적혈구에 Rh 응집원이 ㄴ. ㉡(식균 작용)은 특이성이 없는 비특이적
존재하며 혈청에는 Rh 응집원이 존재하지 않 면역 반응이다.
는다. ㄷ. 염증 반응이 일어나는 과정은 (가) →

- 3 -
[백호T] 2024 개념 완성 추가 문제 9회 정답 및 해설
단원명 : 03. 방어 작용

(다) → (나)이다. 않는다. 따라서 생쥐 Ⅰ은 항체를 받지 못하


였으므로 X를 감염시켰을 때 생존하지 못한
12번 것이다.
[문제 분석] [문제 풀이]
㉠은 HIV 항체 농도, ㉡은 HIV 수, ㉢은 보조 ㄱ. 토끼 B에게 죽은 X를 주사하였을 때 항체
T 림프구의 수이다. 가 생성되는 것으로 보아 특이적 면역 반응이
[문제 풀이] 일어났음을 알 수 있다.
ㄱ. 문제 분석을 참고하면, ㉠은 HIV 항체 농 ㄴ. 혈청에는 형질 세포와 같은 혈구 세포가
도, ㉡은 HIV 수이다. 존재하지 않는다.
ㄴ. 구간 Ⅰ에서 ㉠(HIV 항체 농도)이 증가하 ㄷ. 문제 분석을 참고하면, (마)의 Ⅱ에서는
고 ㉡(HIV 수)은 낮은 수를 유지하므로 항원 혈청 ⓑ에 포함된 항체에 의한 항원 항체 반
항체 반응이 일어나는 구간으로 볼 수 있다. 응이 일어났다.
ㄷ. 감염 전보다 구간 Ⅱ에서 ㉢(보조 T 림프
구 수)이 감소했다. 따라서 감염 전보다 구간 15번
Ⅱ에서 감염성 질병에 감염될 확률이 높다. [문제 분석]
㉠는 시간이 지날수록 세균 X의 수가 기하급
13번 수적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보아 대식 세포가
[문제 분석] 결핍되어 특이적, 비특이적 방어 모두 제대로
+
Rh식 혈액형은 아버지와 영희는 Rh , 어머니 일어나지 않은 생쥐이다. ㉡은 보조 T 림프구
-
와 철수는 Rh 이다. ABO식 혈액형은 아버지 가 결핍되어 비특이적 방어는 일어나지만, 특
는 AB형, 어머니는 B형, 영희는 A형, 철수는 이적 방어는 제대로 일어나지 않는 생쥐이다.
B형이다. C는 특이적, 비특이적 방어가 정상적으로 일
[문제 풀이] 어나는 생쥐이다.
ㄱ. 아버지의 혈액은 항 Rh 혈청에 응집하므 [문제 풀이]
로 Rh 응집원을 가지고 있다. ㄱ. 문제 분석을 참고하면, ㉠은 대식 세포가
ㄴ. 영희의 가족 중 응집소 α를 가지고 있는 결핍된 생쥐이다.
혈액형(B형 ,O형)은 어머니, 철수 2명이다. ㄴ. ㉡과 ㉢은 대식 세포가 존재하므로 X에
ㄷ. 철수의 혈장에 응집소 α, 영희의 혈구에는 대한 식균 작용이 일어난다.
응집원 A가 존재하므로 응집 반응이 일어난 ㄷ. ㉡은 보조 T 림프구가 결핍된 생쥐이므로
다. B 림프구가 형질 세포로 분화되는 작용 역시
억제된다. 따라서 구간 Ⅱ에서 항체의 양은
14번 ㉡에서보다 ㉢에서 많다.
[문제 분석]
토끼 B에 죽은 X를 주사한 뒤 추출한 혈청을 16번
생쥐 Ⅱ에 주입하였을 때 항체가 존재하였다. [문제 분석]
이를 통해 토끼 B의 체내에는 X에 대한 항체 ⓐ는 T 림프구(세포 독성 T 림프구), ⓑ는 T
를 생성하는 형질 세포가 형성되었다는 것을 림프구(보조 T 림프구), ⓒ는 B 림프구이다.
알 수 있다. 생쥐 Ⅱ는 혈청 ⓑ에 포함된 항 [문제 풀이]
체에 의해 X에 대한 항원 항체 반응이 일어 ㄱ. ⓐ(T 림프구)에 의한 방어 작용은 특이적
나 생존하였다. 토끼 A는 생리 식염수를 주사 방어 작용이다.
한 대조군으로 혈청 ⓐ에는 항체가 존재하지 ㄴ. 대식 세포는 식세포 작용으로 침입한 항

- 4 -
[백호T] 2024 개념 완성 추가 문제 9회 정답 및 해설
단원명 : 03. 방어 작용

원을 분해한 후 대식 세포 표면에 항원 정보 다.
를 제시하여 ⓑ(T 림프구)가 특정 항원을 인 ㄴ. 문제 분석을 참고하면, Ⅱ의 혈액형은 O
식할 수 있도록 돕는다. 형이다.
ㄷ. ⓒ(B 림프구)는 골수에서 성숙된다. ㄷ. 아버지의 혈액형은 B형이고, 어머니의 혈
액형은 A형이다. 따라서 동일한 종류의 응집
17번 원을 갖지 않는다.
[문제 분석]
항 A 혈청에는 응집소 α가 들어있으며 응집 19번
원 A와 응집한다. 영희의 혈구와 항 A 혈청 [문제 분석]
이 응집하지 않았으므로 영희의 혈액형으로 B 병원체 B가 침입한 이후에 항체 ㉠은 2차 면
형과 O형이 가능하며, 혈장 ㉡과 영희의 혈구 역 반응, 항체 ㉡은 1차 면역 반응에 의해 생
가 응집하였으므로 영희의 혈액형은 B형이고 성된 것이고, 2가지 종류의 항체가 생성되었
ⓐ에는 응집원 B, ㉠에는 응집소 α가 들어있 으므로 병원체 B는 X2이고 A는 X1이다. 따라
다. 철수의 혈구와 항 A 혈청이 응집하였으므 서 항체 ㉠은 항원 Q, 항체 ㉡은 항원 P에
로 철수의 혈액형으로는 A형과 AB형이 가능 대한 항체이다.
하다. AB형의 혈장에는 응집소가 존재하지 않 [문제 풀이]
는데 혈장 ㉡과 혈구 ⓐ가 응집하였으므로 철 ㄱ. 문제 분석을 참고하면, 병원체 A는 X1이
수의 혈액형은 A형이 된다. 따라서 ⓑ에는 응 다.
집원 A, ㉡에는 응집소 β가 들어있다. ㄴ. 문제 분석을 참고하면, 항체 ㉡은 항원 P
[문제 풀이] 에 대한 항체이므로 병원체 B(X2)가 침입하면
ㄱ. 문제 분석을 참고하면, 영희의 혈액형은 P는 ㉡과 항원 항체 반응한다.
B형이므로 항 B 혈청에 응집된다. ㄷ. 구간 Ⅰ에서 항체 ㉠의 농도가 급격하게
ㄴ. 문제 분석을 참고하면, ㉠에는 응집소 α 증가하고 있으므로 항원 P가 아닌 항원 Q에
가, ⓑ에는 응집원 A가 존재하므로 응집이 일 대한 2차 면역 반응이 일어난 것이다.
어난다.
ㄷ. 문제 분석을 참고하면, 응집원 A는 혈구
부분인 ⓑ에 존재한다.

18번
[문제 분석]
어머니의 혈액에는 응집원 A와 응집소 β가
모두 있으므로 A형이다. 아버지와 어머니는
각각 혈구와 혈청에 대해 상호 응집하므로 아
버지의 혈액형이 B형이 된다. Ⅰ의 혈장은 다
른 모든 혈구와 응집하지 않고 혈구는 다른
모든 혈장과 응집하므로 AB형, Ⅱ의 혈장은
다른 모든 혈구와 응집하고 혈구는 다른 모든
혈장과 응집하지 않으므로 O형이다.
[문제 풀이]
ㄱ. 문제 분석을 참고하면, Ⅰ은 AB형으로 응
집원 B는 가지지만 응집소 α는 가지지 않는

- 5 -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