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13

2025학년도 주간지 ­ 1주차 (세포분열 Part 1.

과학탐구 영역 (생명 과학Ⅰ)


성명 수험번호 3 1
세포분열 – 하나의 감수분열 (DNA 상대량) 세포분열 – 하나의 감수분열 (DNA 상대량)
1. [2017년도 9월 평가원 8번 문항] 2. [2017년도 9월 평가원 8번 문항 ­ 심화 변형]
그림은 유전자형이 EEFfGg인 어떤 동물의 세포 Ⅰ로부터 정자가 형성되는 그림은 어떤 동물의 세포 Ⅰ로부터 정자가 형성되는 과정을, 표는 세포 ㉠~
과정을, 표는 세포 ㉠~㉣의 세포 1개당 대립유전자 E, f, g의 DNA 상대량을 ㉣의 세포 1개당 대립유전자 E, f, g의 DNA 상대량을 나타낸 것이다. E는 e
나타낸 것이다. F는 f와 대립유전자이며, G는 g와 대립유전자이다. Ⅰ~Ⅳ는 와 대립유전자이며, F는 f와 대립유전자이며, G는 g와 대립유전자이다. Ⅰ~
각각 ㉠~㉣ 중 하나이다. Ⅳ는 각각 ㉠~㉣ 중 하나이다. (단, E, e, F, f, G, g 각각의 1개당 DNA 상
대량은 같고, 돌연변이와 교차는 고려하지 않는다.)
DNA 상대량
세포
E f g DNA 상대량
세포
㉠ 2 ⓐ 1 E f g
㉡ 1 ⓑ 1 ㉠ ⓐ 1 ?
㉢ 1 1 ⓒ ㉡ 1 ⓑ 0
㉣ 2 ⓓ 2 ㉢ 1 ? ⓒ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단, E, ㉣ ? 0 2
F, f, G, g 각각의 1개당 DNA 상대량은 같고, 돌연변이와 교차는 고려하지 않 2-1)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있는 대로 고른 것은?
는다.)
ㄱ. ㉣은 Ⅲ이다.
<보기> ㄴ. ㉡은 Ⅰ이다.
ㄱ. ㉡은 Ⅲ이다. ㄷ. ⓑ<ⓒ이다.
ㄴ. ⓐ+ⓑ=ⓒ+ⓓ이다. ㄹ. 이 동물의 유전자형은 EeFfGg이다.
E의 DNA 상대량
ㄷ. 세포 1개당  은 ㉠이 Ⅳ의 2배이다.
F의 DN A 상대량  G의 DN A 상대량
2-2) 세포 ㉠에 대한 핵상을 판단하고 그 근거를 작성하시오.

2-3) ⓐ를 구하는 방법에 대해 서술하시오.

- 1 -
2 과학탐구 영역 (생명 과학Ⅰ)
━━━━━━━━━━━━━━━━━━━━━━━━━━━━━━━━━━━━━━━━━━━━━━━━━━━━━━━━━━━━━━━━━━━━━━
세포분열 – 하나의 감수분열 (DNA 상대량) 세포분열 – 하나의 감수분열 (DNA 상대량)
3. [2018년도 수능 12번 문항] 4. [2020년도 10월 교육청 8번 문항]
그림은 유전자형이 EeFFHh인 어떤 동물에서 G1기의 세포 Ⅰ로부터 정자가 형 사람의 유전 형질 (가)는 대립유전자 H와 h에 의해, (나)는 대립유전자 T와 t에
성되는 과정을, 표는 세포 ㉠~㉣의 세포 1개당 유전자 e, F, h의 DNA 상대량 의해 결정된다. 그림은 어떤 사람에서 G  기 세포 Ⅰ로부터 정자가 형성되는 과
을 나타낸 것이다. ㉠~㉣은Ⅰ~Ⅳ를 순서 없이 나타낸 것이고, E는 e와 대립유 정을, 표는 세포 ㉠~㉢이 갖는 H, h, T, t의 DNA 상대량을 나타낸 것이다.
전자이며, H는 h와 대립유전자이다. ㉠~㉢은 세포 Ⅰ~Ⅲ을 순서 없이 나타낸 것이다.
DNA 상대량 DNA 상대량
세포
e F h 세포
H h T t
㉠ ⓐ 1 1
㉡ 1 2 ⓑ ㉠ 2 ? 0 ⓐ

㉢ 2 ⓒ 0 ㉡ 0 ⓑ 1 0
㉣ ⓓ ? 2 ㉢ ? 0 ? 1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단, 돌 이에 대한 옳은 설명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단, 돌연변이와
연변이와 교차는 고려하지 않으며, E, e, F, H, h 각각의 1개당 DNA 상대량은 교차는 고려하지 않으며, H, h, T, t 각각의 1개당 DNA 상대량은 1이다.) [3
같다.) 점]

<보기> <보기>
ㄱ. ㉣은 Ⅲ이다. ㄱ. ㉢은 Ⅰ이다.
ㄴ. ⓐ+ⓑ+ⓒ+ⓓ=4이다. ㄴ. ⓐ+ⓑ=2이다.
 의  상대량 ㄷ. ㉠에서 H는 성염색체에 있다.
ㄷ. Ⅳ에서 세포 1개당  은 1이다.
 의  상대량   의  상대량

- 2 -
(생명 과학Ⅰ)
과학탐구 영역 3
━━━━━━━━━━━━━━━━━━━━━━━━━━━━━━━━━━━━━━━━━━━━━━━━━━━━━━━━━━━━━━━━━━━━━━
세포분열 – 하나의 감수분열 (DNA 상대량) 세포분열 – 감수분열 (DNA 상대량)
5. [2021년도 6월 평가원 19번 문항] 6. [자체제작 문항]
그림은 유전자형이 AaBbDD인 어떤 사람의 G  기 세포 Ⅰ로부터 생식세포가 형 그림은 어떤 동물(2n=ⓐ)의 G1기 세포 Ⅰ로부터 정자가 형성되는 과정을,
성되는 과정을, 표는 세포 (가)~(라)가 갖는 대립유전자 A, B, D의 DNA 상대 표는 세포 ㉠~㉣가 갖는 상염색체 수와 X 염색체 수, 대립 유전자 A의
량을 나타낸 것이다. (가)~(라)는 Ⅰ~Ⅳ를 순서 없이 나타낸 것이고, ㉠+㉡+㉢ DNA 상대량을 나타낸 것이다. ㉠~㉣은 Ⅰ~Ⅳ를 순서 없이 나타낸 것이다.
=4이다. 이 동물의 성염색체는 XY이다. ⓐ+ⓑ+ⓒ=8이다.
DNA 상대량 세 상염색체 X 염색체 A의 DNA
세포
A B D 포 수 수 상대량
(가) 2 ㉠ ?
㉠ ? 1 0
(나) 2 ㉡ ㉢
㉡ ? ? ⓑ
(다) ? 1 2
(라) ? 0 ? ㉢ 2 0 2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단, 돌연 ㉣ ? ⓒ ?
변이와 교차는 고려하지 않으며, A, a, B, b, D 각각의 1개당 DNA 상대량은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단, 돌연
1이다. Ⅱ와 Ⅲ은 중기의 세포이다.)
변이는 고려하지 않으며, A와 a 각각의 1개당 DNA 상대량은 1이다. Ⅱ와 Ⅲ
<보기> 은 중기의 세포이다.)
ㄱ. (가)는 Ⅱ이다.
ㄴ. ㉡은 2이다. <보기>
ㄷ. 세포 1개당 a의 DNA 상대량은 (다)와 (라)가 같다. ㄱ. ㉢은 Ⅲ이다.
ㄴ. 유전자 A와 a는 Y 염색체 위에 존재한다.
ㄷ. Ⅱ의 2가 염색체 수는 3이다.

- 3 -
4 과학탐구 영역 (생명 과학Ⅰ)
━━━━━━━━━━━━━━━━━━━━━━━━━━━━━━━━━━━━━━━━━━━━━━━━━━━━━━━━━━━━━━━━━━━━━━
세포분열 – 감수분열 (DNA 상대량) 세포분열 – 감수분열 (DNA 상대량)
7. [자체제작 문항] Tip ①. 풀이 순서에 정답은 없다.
사람의 유전 형질 (가)는 3쌍의 대립 유전자 H와 h, R와 r, T와 t에 의해 [Example]
결정되며, (가)를 결정하는 3개의 유전자는 서로 다른 3개의 염색체에 있다. 해당 Print #1, #2를 비교해보자. #1은 풀이법에서 G1기 세포부터 발견하
그림은 어떤 사람의 G1기 세포 Ⅰ로부터 정자가 형성되는 과정을, 표는 세포 는 반면, #2은 핵상이 n인 세포를 먼저 발견하는 것부터 풀이가 시작된다.
㉠~㉣에 들어 있는 세포 1개당 유전자 H, h, R, r, T, t의 DNA 상대량을 이처럼 동일한 유형이라도 풀이 순서는 다를 수 있다.
나타낸 것이다. ㉠~㉣은 Ⅰ~Ⅳ를 순서 없이 나타낸 것이다. ⓐ+ⓑ+ⓒ+ⓓ
=4이다. 해당 유형에서 많이 사용되는 여러 가지 풀이법(solution)을 가지고 어떤
풀이법이 자주 사용되는지를 머릿속으로 인지하고 있다가, 해당 유형이 나온
DNA 상대량
세포 다면 해당 풀이를 위주로 사고하는 것이 수능 생명과학 Ⅰ의 핵심이라고 생
H h R r T t 각한다.
㉠ ? 0 ⓐ ? 1 0
㉡ 0 1 ? ⓑ ? 0 Tip ②. 감수분열 + DNA 상대량에서의 풀이!

㉢ ⓒ ? 2 ? ? ? 해당 유형에서 많이 사용되는 논리성은 다음과 같다.


① 시기별 특징
㉣ 1 ? ? ? 1 ⓓ
DNA 상대량이 0, 1, 2, 4 중 무엇인가에 따라 시기를 어느 정도 한정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단, 돌연 ② 종류적 관점
변이와 교차는 고려하지 않는다.) [3점] ③ DNA 보존 법칙

<보기>
N제 답
ㄱ. ⓐ+ⓑ=ⓒ+ⓓ
# 1.
ㄴ. 유전자 R과 r은 상염색체 위에 존재한다.
# 2.
 의  상대량
ㄷ. 세포 1개당  은 ㉣이 Ⅲ의 2배이다. # 3.
상염색체 수
# 4.
# 5.
# 6.
# 7.

- 4 -
(생명 과학Ⅰ)
과학탐구 영역 5
━━━━━━━━━━━━━━━━━━━━━━━━━━━━━━━━━━━━━━━━━━━━━━━━━━━━━━━━━━━━━━━━━━━━━━
세포분열 – 하나의 감수분열 (DNA 상대량 합) 세포분열 – 하나의 감수분열 (DNA 상대량 합)
1. [2022년 4월 교육청 11번 문항] 2. [2021년도 9월 평가원 18번 문항]
사람의 유전 형질 ㉮는 2쌍의 대립유전자 A와 a, B.와 b에 의해 결정된다. 그 그림은 유전자형이 Aa인 어떤 동물(2 =?)의 G  기 세포 Ⅰ로부터 생식세포가
림은 어떤 사람의 G1기 세포 Ⅰ로부터 정자가 형성되는 과정을, 표는 이 과정 형성되는 과정을, 표는 세포 ㉠∼㉣의 상염색체 수와 대립유전자 A와 a의 DNA
에서 나타나는 세포 (가)와 (나)에서 대립유전자 A, B, ㉠, ㉡ 중 2개의 DNA 상대량을 더한 값을 나타낸 것이다. ㉠~㉣은 Ⅰ~Ⅳ를 순서 없이 나타낸 것이
상대량을 더한 값을 나타낸 것이다. (가)와 (나)는 Ⅱ와 Ⅲ을 순서 없이 나타낸 고, 이 동물의 성염색체는 XX이다.
것이고, ㉠과 ㉡은 a와 b를 순서 없이 나타낸 것이다.
상염색체 A와 a의 DNA
세포
수 상대량을 더한 값
DNA 상대량을 더한 값
세포 ㉠ 8 ?
A+B B+㉠ ㉠+㉡ ㉡ 4 2
(가) 0 2 2 ㉢ ⓐ ⓑ
㉣ ? 4
(나) ? 2 1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단, 돌연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단, 돌연 변이는 고려하지 않으며, A와 a 각각의 1개당 DNA 상대량은 1이다. Ⅱ와 Ⅲ
변이와 교차는 고려하지 않으며, A, a, B, b 각각의 1개당 DNA 상대량은 1이 은 중기의 세포이다.) [3점]
다.) [3점]
<보기>
<보기> ㄱ. ㉠은 Ⅰ이다.
ㄱ. (나)는 Ⅲ이다. ㄴ. ⓐ+ⓑ=5이다.
ㄴ. ㉠은 성염색체에 있다. ㄷ. Ⅱ의 2가 염색체 수는 5이다.
ㄷ. Ⅰ에서 A와 b의 DNA 상대량을 더한 값은 1이다.

‘㉠+㉡=n이다.’와 같은 정보가 주어진다면?

<Solution>
특수한 것부터 접근하자. 일반적인 것과 특수한 것이 있다면, 당연히 특수한
것부터 접근해야한다.
㉠+㉡=0이라면 ㉠=㉡=0이므로 특수
㉠+㉡=1이라면 ㉠과 ㉡은 각각 0과 1 중 하나이다. 특수 ­ 핵상이 n이라면
생식세포
㉠+㉡=2라면 ㉠과 ㉡은 모두 1일 수도 있고, ㉠과 ㉡은 각각 0과 2 중 하
나일 수 있다. 그러므로 일반적이다.

- 5 -
6 과학탐구 영역 (생명 과학Ⅰ)
━━━━━━━━━━━━━━━━━━━━━━━━━━━━━━━━━━━━━━━━━━━━━━━━━━━━━━━━━━━━━━━━━━━━━━
세포분열 – 하나의 감수분열 (DNA 상대량 합) 세포분열 – 하나의 감수분열 (DNA 상대량 합)
3. [2022년도 3월 교육청 14번 문항] 4. [2024년도 9월 평가원 11번 문항]
사람의 유전 형질 (가)는 대립유전자 A와 a에 의해 결정된다. 그림은 어떤 남 사람의 유전 형질 (가)는 대립유전자 A와 a에 의해, (나)는 대립유전자 B와 b
자의 G1기 세포 Ⅰ로부터 정자가 형성되는 과정을, 표는 세포 ㉠~㉢과 Ⅳ에서 에 의해 결정된다. (가)의 유전자와 (나)의 유전자느 서로 다른 염색체에 있다.
A와 a의 DNA 상대량을 더한 값을 나타낸 것이다. ㉠~㉢은 각각 Ⅰ~ Ⅲ 중 그림은 어떤 사람의 G1기 세포 Ⅰ로부터 정자가 형성되는 과정을, 표는 세포
하나이다. ㉠~㉣에서 A, a, B, b의 DNA 상대량을 더한 값(A+a+B+b)을 나타낸 것이다.
㉠~㉣은 Ⅰ~Ⅳ를 순서 없이 나타낸 것이고, ⓐ는 ⓑ보다 작다.
A와 a의 DNA
세포
상대량을 더한 값
세포 A+a+B+b
㉠ 1
㉡ 0 ㉠ ⓐ
㉢ 2 ㉡ ⓑ
Ⅳ ⓐ ㉢ 1
이에 대한 옳은 설명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단, 돌연변이와 ㉣ 4
교차는 고려하지 않으며, A와 a 각각의 1개당 DNA 상대량은 1이다. Ⅱ와 Ⅲ 이에 대한 옳은 설명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단, 돌연변이와
은 중기의 세포이다.) [3점] 교차는 고려하지 않으며, A, a, B, b 각각의 1개당 DNA 상대량은 1이다. Ⅱ
<보기> 와 Ⅲ은 중기의 세포이다.) [3점]
ㄱ. ㉡은 Ⅲ이다. <보기>
ㄴ. ⓐ는 1이다. ㄱ. ⓐ는 3이다.
ㄷ. (가)의 유전자는 상염색체에 있다. ㄴ. ㉡은 Ⅲ이다.
ㄷ. ㉣의 염색체 수는 46이다.

- 6 -
(생명 과학Ⅰ)
과학탐구 영역 7
━━━━━━━━━━━━━━━━━━━━━━━━━━━━━━━━━━━━━━━━━━━━━━━━━━━━━━━━━━━━━━━━━━━━━━
세포분열 – 하나의 감수분열 (DNA 상대량 합) 세포분열 – 하나의 감수분열 (DNA 상대량 합)
5. [자체제작 문항] Tip ①. 하나의 감수분열 + DNA 상대량 합에서의 풀이!
그림은 어떤 동물의 G1기 세포 Ⅰ로부터 생식세포가 형성되는 과정을, 표는 세 해당 유형에서 많이 사용되는 논리성은 다음과 같다.
포 ㉠~㉣의 염색체 수와 A와 B의 DNA 상대량을 더한 값을 나타낸 것이다. ① 대립유전자 쌍의 DNA 상대량 합 (기본 Base)
㉠~㉣은 Ⅰ~Ⅳ를 순서 없이 나타낸 것이고 ⓑ<ⓒ이다. 이 동물의 성염색체는 - 대립유전자를 쌍으로 제시하였을 때 주로 출제
XX이다. ② A+B와 같이 대립유전자 아닌 것을 출제한다면 분리하여 사고한 후 시기
별 특징으로 사고하자.
A와 B의 DNA
세포 염색체 수
상대량을 더한 값
* 대립유전자 쌍의 DNA 상대량 합의 구성
㉠ 4 ⓑ
대립유전자 쌍의 DNA 상대량 합
㉡ ? 1
Case 1 Case 2 Case 3
㉢ ⓐ ⓒ G,기 2 1 0
㉣ ? 4 M1기 4 2 0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르시오. (단, 돌연변 M2기 2 0 or 2 0
생식세포 1 0 or 1 0
이는 고려하지 않으며, A, a, B, b 각각의 1개당 DNA 상대량은 1이다. Ⅱ는
상염색체, 여자의
중기의 세포이다.) 남자의 X, Y 여자의 Y
X
<보기>
ㄱ. ⓐ는 2이다.
N제 답
ㄴ. ㉣은 Ⅱ이다.
# 1.
ㄷ. 이 동물의 감수 2분열 중기의 세포 1개당 상염색체 수는 3이다.
# 2.
# 3.
# 4.
# 5.

- 7 -
8 과학탐구 영역 (생명 과학Ⅰ)
━━━━━━━━━━━━━━━━━━━━━━━━━━━━━━━━━━━━━━━━━━━━━━━━━━━━━━━━━━━━━━━━━━━━━━
세포분열 – 하나의 감수분열 (복합적 관점) 세포분열 – 하나의 감수분열 (복합적 관점)
1. [2020년도 수능 7번 문항] 2. [2023년도 수능 7번 문항]
사람의 유전 형질 ⓐ는 2쌍의 대립유전자 H와 h, T와 t에 의해 결정된다. 표는 사람의 유전 형질 ㉮는 2쌍의 대립유전자 A와 a, B와 b에 의해 결정된다. 그
어떤 사람의 난자 형성 과정에서 나타나는 세포 (가)~(다)에서 유전자 ㉠~㉢의 림은 사람 P의 G1기 세포 Ⅰ로부터 정자가 형성되는 과정을, 표는 세포 (가)∼
유무를, 그림은 (가)~(다)가 갖는 H와 t의 DNA 상대량을 나타낸 것이다. (라)에서 대립유전자 ㉠∼㉢의 유무와 a와 B의 DNA 상대량을 나타낸 것이다.
(가)~(다)는 중기의 세포이고, ㉠~㉢은 h, T, t를 순서 없이 나타낸 것이다. (가)∼(라)는 Ⅰ∼Ⅳ를 순서 없이 나타낸 것이고, ㉠∼㉢은 A, a, b를 순서 없
이 나타낸 것이다.
세포
유전자
(가) (나) (다) 대립유전자 DNA 상대량
세포
㉠ ○ ○ × ㉠ ㉡ ㉢ a B
㉡ ○ × ○ (가) × × ○ ? 2
㉢ × ? × (나) ○ ? ○ 2 ?
(○: 있음, ×: 없음) (다) ? ? × 1 1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단, 돌연 (라) ○ ? ? 1 ?
변이와 교차는 고려하지 않으며, H, h, T, t 각각의 1개당 DNA 상대량은 1이 (○: 있음, ×: 없음)
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단, 돌연
<보기> 변이와 교차는 고려하지 않으며, A, a, B, b 각각의 1개당 DNA 상대량은 1이
ㄱ. ㉡은 T이다. 다. Ⅱ와 Ⅲ은 중기의 세포이다.) [3점]
ㄴ. (나)와 (다)의 핵상은 같다. <보기>
ㄷ. 이 사람의 ⓐ에 대한 유전자형은 HhTt이다. ㄱ. Ⅳ에 ㉠이 있다.
ㄴ. (나)의 핵상은 2  이다.
ㄷ. P의 유전자형은 AaBb이다.

- 8 -
(생명 과학Ⅰ)
과학탐구 영역 9
━━━━━━━━━━━━━━━━━━━━━━━━━━━━━━━━━━━━━━━━━━━━━━━━━━━━━━━━━━━━━━━━━━━━━━
세포분열 – 감수분열 (복합적 관점)
Tip ①. 하나의 감수분열 + 복합적 관점에서의 풀이!
① 복합적 관점이라면 2가지 이상의 정보를 함께 제시한다. 그렇다면 풀이는
다음과 같다.
* 독립적인 2개의 문항이라고 먼저 생각하고 한 쪽을 먼저 풀이하고 나머지
반대쪽을 풀이하라. 그 다음 두 정보를 복합적으로 함께 사고하는 것이 좋다.

N제 답
# 1.
# 2.

- 9 -
10 과학탐구 영역 (생명 과학Ⅰ)
━━━━━━━━━━━━━━━━━━━━━━━━━━━━━━━━━━━━━━━━━━━━━━━━━━━━━━━━━━━━━━━━━━━━━━
세포분열 – 하나의 개체 (DNA 상대량) 세포분열 – 하나의 개체 (복합적 관점)
1. [2020년도 9월 평가원 3번 문항] 2. [2021년도 수능 10번 문항]
어떤 동물 종(2n=6)의 특정 형질은 2쌍의 대립 유전자 H와 h, T와 t에 의해 사람의 유전 형질 ⓐ는 3쌍의 대립유전자 H와 h, R와 r, T와 t에 의해 결정되
결정된다. 표는 이 동물 종의 개체 Ⅰ의 세포 ㉠~㉣이 갖는 H, h, T, t의 며, ⓐ의 유전자는 서로 다른 3개의 상염색체에 있다. 표는 사람 (가)의 세포
DNA 상대량을, 그림은 Ⅰ의 세포 P를 나타낸 것이다. P는 ㉠~㉣ 중 하나이다. Ⅰ~Ⅲ에서 h, R, t의 유무를, 그림은 세포 ㉠~㉢의 세포 1개당 H와 T의 DNA
세 DNA 상대량 상대량을 더한 값(H+T)을 각각 나타낸 것이다. ㉠~㉢은 Ⅰ~Ⅲ을 순서 없이 나
타낸 것이다.
포 H h T t
㉠ 1 ? 1 1 DNA 상대량
㉡ 2 2 ⓐ 2 세포
㉢ 2 0 0 ? h R t
㉣ 1 ⓑ 1 0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단, 돌연 Ⅰ ? ○ ⨯
변이와 교차는 고려하지 않으며, H, h, T, t 각각의 1개당 DNA 상대량은 같 Ⅱ ○ ⨯ ?
다.)
Ⅲ ⨯ ⨯ ?
<보기>
ㄱ. P는 ㉢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단, 돌연
ㄴ. ⓐ+ⓑ=3이다. 변이는 고려하지 않으며, H, h, R, r, T, t 각각의 1개당 DNA 상대량은 1이
ㄷ. Ⅰ의 감수 1분열 중기 세포 1개당 염색 분체 수는 12이다. 다.) [3점]
<보기>
이 문항을 통해 개체 setting과 감수분열 setting의 차이점을 인지하고 앞 ㄱ. (가)에는 h, R, t를 모두 갖는 세포가 있다.
으로 문항을 바라볼 때 관점을 가지길 바란다. ㄴ. Ⅱ는 ㉠이다.
T 의DN A상대량
ㄷ. Ⅲ의 
H 의DNA 상대량  r의DN A상대량
=1이다.

- 10 -
(생명 과학Ⅰ)
과학탐구 영역 11
━━━━━━━━━━━━━━━━━━━━━━━━━━━━━━━━━━━━━━━━━━━━━━━━━━━━━━━━━━━━━━━━━━━━━━
세포분열 – 하나의 개체 (복합적 관점) 세포분열 – 하나의 개체 (유전자 유무)
3. [2021년 3월 교육청 12번 문항] 4. [2021년 3월 교육청 12번 문항]
사람의 유전 형질 ㉠은 서로 다른 상염색체에 있는 3쌍의 대립유전자 E와 e, 다음은 사람 P의 세포 (가)~(다)에 대한 자료이다.
F와 f, G와 g에 의해 결정된다. 표는 어떤 사람의 세포 Ⅰ~Ⅲ에서 E, f, g의 ○ 유전 형질 ⓐ는 2쌍의 대립유전자 H와 h, T와 t에 의해 결정되며, ⓐ의
유무와 F와 G의 DNA 상대량을 더한 값(F+G)을 나타낸 것이다. 유전자는 서로 다른 2개의 염색체에 있다.
대립유전자 ○ (가)~(다)는 생식세포 형성 과정에서 나타나는 중기의 세포이다. (가)~
세포 F+G (다) 중 2개는 G1기 세포 Ⅰ로부터 형성되었고, 나머지 1개는 G1기 세포
E f g
Ⅱ로부터 형성되었다.
Ⅰ × ○ × 2 ○ 표는 (가)∼(다)에서 대립유전자 ㉠∼㉣의 유무를 나타낸 것이다. ㉠∼㉣
Ⅱ ○ ○ ○ 1 은 H, h, T, t를 순서 없이 나타낸 것이다.

Ⅲ ○ ○ × 1 세포
대립유전자
(가) (나) (다)
(○: 있음, ×: 없음) ㉠ × × ○
이에 대한 옳은 설명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단, 돌연변이와 ㉡ ○ ○ ×
교차는 고려하지 않으며, E, e, F, f, G, g 각각의 1개당 DNA 상대량은 1이 ㉢ × × ×
다.) [3점] ㉣ × ○ ○
(○: 있음, ×: 없음)
<보기>
ㄱ. 이 사람의 ㉠에 대한 유전자형은 EeffGg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ㄴ. Ⅰ에서 e의 DNA 상대량은 1이다. (단, 돌연변이와 교차는 고려하지 않는다.) [3점]
ㄷ. Ⅱ와 Ⅲ의 핵상은 같다. <보기>
ㄱ. P에게서 ㉠과 ㉢을 모두 갖는 생식세포가 형성될 수 있다.
ㄴ. (가)와 (다)의 핵상은 같다.
ㄷ. Ⅰ로부터 (나)가 형성되었다.

- 11 -
12 과학탐구 영역 (생명 과학Ⅰ)
━━━━━━━━━━━━━━━━━━━━━━━━━━━━━━━━━━━━━━━━━━━━━━━━━━━━━━━━━━━━━━━━━━━━━━
세포분열 – 하나의 개체 (DNA 상대량) 세포분열 – 하나의 개체 (염색체 관점)
5. [자체제작 문항] 6. [2022년도 수능 7번 문항] (어려움 주의!!)
사람의 유전 형질 (가)는 대립유전자 E와 e에 의해, (나)는 대립유전자 F와 f에 사람의 유전 형질 (가)는 2쌍의 대립유전자 H와 h, R와 r에 의해 결정되며,
의해, (다)는 G와 g에 의해 결정된다. 표는 어떤 사람의 세포 ㉠~㉣이 갖는 유 (가)의 유전자는 7번 염색체와 8번 염색체에 있다. 그림은 어떤 사람의 7번 염
전자 E, e, F, f, G, g의 DNA 상대량을 나타낸 것이다. 색체와 8번 염색체를, 표는 이 사람의 세포 Ⅰ~Ⅳ에서 염색체 ㉠~㉢의 유무와
DNA 상대량 H와 r의 DNA 상대량을 나타낸 것이다. ㉠~㉢은 염색체 ⓐ∼ⓒ를 순서 없이
세포 나타낸 것이다.
E e F f G g
㉠ ? ? 0 ? ⓐ ?
㉡ ? ⓑ 1 ? 0 0
㉢ 0 ⓒ 2 ? ? 2
㉣ ? 2 ? 0 ? 1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단, 돌연변이와 교차는 고려하지 않으며, E, e, F, f, G, g 각각의 1개당 DNA
상대량은 같다.)

<보기>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단, 돌연
ㄱ. 이 사람의 성염색체는 XY이다.
변이와 교차는 고려하지 않으며, H, h, R, r 각각의 1개당 DNA 상대량은 1이
ㄴ. ⓐ + ⓑ + ⓒ = 5이다.
다.) [3점]
ㄷ. 세포 ㉢에서 F와 g는 하나의 염색체에 존재한다.
<보기>
ㄱ. Ⅰ과 Ⅱ의 핵상은 같다.
ㄴ. ㉡과 ㉢은 모두 7번 염색체이다.
ㄷ. 이 사람의 유전자형은 HhRr이다.

- 12 -
(생명 과학Ⅰ)
과학탐구 영역 13
━━━━━━━━━━━━━━━━━━━━━━━━━━━━━━━━━━━━━━━━━━━━━━━━━━━━━━━━━━━━━━━━━━━━━━
세포분열 – 하나의 개체
Tip ①. 하나의 개체의 풀이
① 제시 방식은 감수분열 때와 동일하지만 개체 setting이므로 DNA 보존
법칙을 사용하지 못한다는 것을 머릿속으로 생각하고 가는 것이 바람직하다.

N제 답
# 1.
# 2.
# 3.
# 4.
# 5.
# 6.

- 13 -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