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54

철두철미 개념완성 1주차 추가 자료

연습_핵형의 일치 여부를 판단하시오. ※ 다운 증후군: 21번 염색체가 정상인보다 1개 더 많다.


※ 철수와 영수는 모두 정상 남자

1. 사람의 체세포 & 침팬지의 체세포 → Y or N

2. 남자의 체세포 & 여자의 체세포 → Y or N


3. 정상인의 체세포 & 다운 증후군의 체세포 → Y or N
4. 철수의 체세포 & 영수의 체세포 → Y or N

보충_유전자형

핵상이 2인 세포 (체세포) 핵상이 인 세포 (생식세포)

• 상동 염색체가 쌍으로 존재 • 상동 염색체가 쌍으로 존재 ×


• 대립유전자도 쌍으로 존재 (예외: 남자의 성염색체 유전자) • 대립유전자도 쌍으로 존재 ×
• 유전자형이 쌍으로 표시 • 유전자형이 쌍으로 표시 ×

▶ 2 세포의 유전자형 ▶  세포의 유전자형


→ 동형 접합성 or 이형 접합성 → 동형 접합성 or 이형 접합성

연습_DNA 복제

1
보충_세포 주기에서 각 시기의 상대적인 시간적 길이

• 관찰한 세포의 총 수: 120개


• 세포 주기 1회 소요 시간: 12시간

G1기 S기 G2기 M기
소요 시간(시간)
세포 수(개) 50 30 25 15

각 시기의 상대적인 시간 길이는 각 시기의 관찰된 세포 수에 비례

세포 주기 소요 시간 ∝ 관찰한 세포 수

2
보충_체세포 분열과 감수 분열의 비교

체세포 분열 감수 분열

•세포 시기
•핵상과 염색체 수
•핵 1개당 DNA 상대량
•대립유전자 구성
•유전자형

간기 분열기 간기 감수 1분열 감수 2분열


G1 S G2 전기 중기 후기 말기 G1 S G2 전기 중기 후기 말기 전기 중기 후기 말기
핵 4 핵 4
1 1
개 개
당 당
D D
N N
A 2 A 2
상 상
대 대 1
량 량

0 0

감수 분열
구분 체세포 분열
1분열 2분열
DNA 복제 간기(S기)에 1회 일어남
핵상 변화 2 → 2 2 →   → 
1회 2회
염색체 분리
염색 분체 분리 상동 염색체 분리 염색 분체 분리
모세포와 딸세포의
같음 다름 같음
유전적 구성
두 딸세포의 유전적 구성 같음 다름 같음

3
보충_생식세포의 유전적 다양성

1. 상동 염색체의 무작위적 배열

감수 1분열

감수 2분열

2. 교차
감수 분열 과정에서 형성된 2가 염색체가 꼬이면서 상동 염색체를 이루는 염색 분체 일부가 교환되어 새로운 유전자
조합을 가지는 염색체가 생기는 경우

4
08. 유전 정보와 염색체 [ 이론 ]

180p 탐구예제 1

1. (가) 2n=8, (나) 2n=8, (다) 2n=6, (라) n=4


2. (가), (나): Ⅰ의 세포, (다): Ⅱ의 세포
3.

A: 암컷, B, C: 수컷
4. B
5. 핵상이 2n인 세포가 핵상이 n인 세포의 2

182p 탐구예제 2

1. (나)가 (가)의 2배
2. 대립유전자의 수 대립유전자 DNA 상대량 ㉠의
구분
A a B b A a B b 유전자 가짓수
(가) 1 0 1 0 1 0 1 0 2
(나) 1 1 1 1 1 1 1 1 4

3. B
4. a

182p 탐구예제 3

1. (나)가 (가)의 2배
2. 대립유전자 DNA 상대량 유전자 유무 ㉠의
세포
A a B b A a B b 유전자 가짓수
(가) 1 0 1 0 ○ × ○ × 2
(나) 1 1 2 0 ○ ○ ○ × 3
(○: 있음, ×: 없음)
183p 탐구예제 4

1. ㉠: a, ㉡: d, ㉢: B
2. 대립유전자 DNA 상대량 유전자 유무 (가)의
세포
A a B b D d A a B b D d 유전자 가짓수
Ⅰ 1 1 2 0 1 1 ○ ○ ○ × ○ ○ 5
(○: 있음, ×: 없음)

184p 탐구예제 5

1. ㉠: a, ㉡: D, ㉢: b
2. 대립유전자 DNA 상대량 유전자 유무 (가)의 (가)의
세포
A a B b D d A a B b D d 유전자형 유전자 가짓수
Ⅰ 1 1 1 1 2 0 ○ ○ ○ ○ ○ × AaBbDD 5
Ⅱ 0 1 0 1 1 0 × ○ × ○ ○ × abD 3
(○: 있음, ×: 없음)

184p 탐구예제 6

1. Ⅱ
2. Ⅰ: 암컷, Ⅱ: 수컷
3. 세포 (가) (나) (다) (라)
핵상 2n 2n n n
㉠의 유전자형 AaBb Aabb aB Ab
㉠의 유전자 가짓수 4 3 2 2
개체 Ⅰ Ⅱ Ⅰ Ⅱ
185p 탐구예제 7

1. Ⅱ
2. Ⅰ: 수컷, Ⅱ: 암컷
3. 세포 (가) (나) (다) (라)
㉠의 유전자형 EeFf EeFf Ef ef
㉡의 유전자형 g Gg g
㉠의 유전자 가짓수 4 4 2 2
㉡의 유전자 가짓수 1 2 1 0
개체 Ⅰ Ⅱ Ⅱ Ⅰ

185p 탐구예제 8

1. 세포 핵상 염색체 수 ㉠의 유전자형 ㉡의 유전자형


(가) n 2 Ef g
(나) n 2 ef

2. Eeff g

185p 탐구예제 9

1. ㉠: a, ㉡: B, ㉢: b, ㉣: a, ㉤: A
2. 세포 Ⅰ Ⅱ Ⅲ Ⅳ
핵상과 염색체 수 2n=4 2n=4 2n=4 2n=4
염색 분체 수 4 8 4 4
세포 1개당 DNA 상대량 1 2 1 1
(가)의 유전자형 AaBb AaBb AaBb AaBb
A 1 2 1 1
대립유전자 a 1 2 1 1
DNA 상대량 B 1 2 1 1
b 1 2 1 1
(가)의 유전자 가짓수 4 4 4 4
190p 탐구예제 10

1. ⓐ: G2기, ⓑ: M기, ⓒ: G1기


2. ⓑ(M기)
3. ⓐ(G2기) 시기 세포가 ⓒ(G1기) 시기 세포의 2배

190p 탐구예제 11

1. Ⅰ: G1기, Ⅱ: S기, Ⅲ: G2기, M기


2. ㉠: G1기, ㉡: S기, ㉢: G2기
3. ⓐ

192p 탐구자료 3

1. B: X, C: Z, D: Y
2. C
3. D

193p 탐구예제 12

1. ⓐ: Ⅰ, ⓑ: Ⅲ
196p 탐구예제 13

세포 Ⅰ Ⅱ Ⅲ Ⅳ Ⅴ Ⅵ Ⅶ Ⅷ
핵상과 염색체 수 2n=2 n=1
염색 분체 수 2 4 2 2 1 1 1 1
세포 1개당 DNA 상대량 2 4 2 2 1 1 1 1
A 1 2 2 0 1 1 0 0
대립유전자 a 1 2 0 2 0 0 1 1
DNA 상대량 B 1 2 2 0 1 1 0 0
b 1 2 0 2 0 0 1 1
A ○ ○ ○ × ○ ○ × ×
a ○ ○ × ○ × × ○ ○
유전자 유무
B ○ ○ ○ × ○ ○ × ×
b ○ ○ × ○ × × ○ ○
(가)의 유전자형 AaBb AaBb AB ab AB AB ab ab
(가)의 유전자 가짓수 4 4 2 2 2 2 2 2
(○: 있음, ×: 없음)


1. 


2. 


3. 

4. 0
197p 탐구예제 14

대립유전자 DNA 상대량


구분 상염색체 X 염색체 Y 염색체
A a B b D d E e
G1 기 Ⅰ 1 1 2 0 1 1 0 0
M1 기 Ⅱ 2 2 4 0 2 2 0 0
Ⅲ 2 0 2 0 2 0 0 0
M2 기
Ⅳ 0 2 2 0 0 2 0 0
Ⅴ 1 0 1 0 1 0 0 0
생식
Ⅵ 0 1 1 0 0 1 0 0

세포 Ⅰ Ⅱ Ⅲ Ⅳ Ⅴ Ⅵ
시기 G1 기 M1 기 M2 기 M2 기 생식 생식
핵상과 염색체 수 2n=46 n=23
ⓐ ○ ○ ○ × ○ ×
ⓑ ○ ○ × ○ × ○
염색체 유무
ⓒ ○ ○ ○ × ○ ×
ⓓ ○ ○ × ○ × ○
A ○ ○ ○ × ○ ×
a ○ ○ × ○ × ○
B ○ ○ ○ ○ ○ ○
b × × × × × ×
유전자 유무
D ○ ○ ○ × ○ ×
d ○ ○ × ○ × ○
E × × × × × ×
e × × × × × ×
㉠, ㉡, ㉢의 유전자형 AaBBDd AaBBDd ABD aBd ABD aBd
㉠의 유전자 가짓수 3 3 2 2 2 2
㉡의 유전자 가짓수 2 2 1 1 1 1
㉢의 유전자 가짓수 0 0 0 0 0 0
(○: 있음, ×: 없음)
198p 탐구예제 15

대립유전자 DNA 상대량


구분 상염색체 X 염색체 Y 염색체
A a B b D d E e
G1 기 Ⅰ 1 1 2 0 1 0 1 0
M1 기 Ⅱ 2 2 4 0 2 0 2 0
Ⅲ 2 0 2 0 2 0 0 0
M2 기
Ⅳ 0 2 2 0 0 0 2 0
Ⅴ 1 0 1 0 1 0 0 0
생식
Ⅵ 0 1 1 0 0 0 1 0

198p 탐구예제 16

1. (가): 2n, (나): n, (다): n


2. aaBb
3. ⓐ와 ⓓ, ⓑ와 ⓒ
4. ⓐ: B, ⓑ: a, ⓒ: a, ⓓ: b

199p 탐구예제 17


1. 

2. 1

3. 


4. 

199p 탐구예제 18

1. (가): 감수 1분열 중기, (나): 체세포 분열 중기, (다): 감수 2분열 중기


200p 탐구예제 19

2n=46(46) G1 G1 2n=46(46)

2n=46(92) M 2 2 M1 2n=46(92)

2n=46(46) G1 1 1 1 1 M2 n=23(46)

0.5 0.5 0.5 0.5 생식 n=23(23)

201p 탐구예제 20

염색체 유무
구분 ㉠의 유전자형
ⓐ ⓑ ⓒ ⓓ
Ⅰ ○ ○ ○ ○ AaBb
Ⅱ ○ × ○ × AB
경우 1 Ⅲ × ○ × ○ ab
Ⅳ ○ × ○ × AB
Ⅴ × ○ × ○ ab
Ⅰ ○ ○ ○ ○ AaBb
Ⅱ ○ × × ○ Ab
경우 2 Ⅲ × ○ ○ × aB
Ⅳ ○ × × ○ Ab
Ⅴ × ○ ○ × aB
(○: 있음, ×: 없음)

202p 탐구예제 21

1. P: EEFf, Q: EeF?
08. 유전 정보와 염색체 [ 킬러로직 ]

206p 탐구예제 1

Q1. (가): 2n, (나): n, (다): n, (라): 2n


Q2. (다)

207p 탐구예제 2

Q1. Ⅰ: ㉡, Ⅱ: ㉣, Ⅲ: ㉠, Ⅳ: ㉢
Q2. 4

209p 탐구예제 3

Q1. Ⅰ: ㉢, Ⅱ: ㉠, Ⅲ: ㉡, Ⅳ: ㉣
Q2. A/a: 상염색체, B/b: 성염색체

210p 탐구예제 4

Q1. Ⅰ: ㉢, Ⅱ: ㉠, Ⅲ: ㉣, Ⅳ: ㉡
Q2. Ⅱ=Ⅲ>Ⅰ>Ⅳ

211p 탐구예제 5

Q1. (가): 2n, (나): n, (다): n, (라): 2n


Q2. (가), (다)
Q3. HHTt
213p 탐구예제 6

Q1. AaBB
Q2. Ⅰ: ㉣, Ⅱ: ㉢, Ⅲ: ㉡, Ⅳ: ㉠
Q3. ⓐ: 4, ⓑ: 3

215p 탐구예제 1

Q1. Ⅰ: 남자, Ⅱ: 여자
Q2. ㉠
Q3. X 염색체

217p 탐구예제 2

Q1. ㉠과 ㉥, ㉡과 ㉣, ㉢과 ㉤
Q2. ㉠/㉥: X 염색체, ㉡/㉣: X 염색체, ㉢/㉤: 상염색체

219p 탐구예제 3

Q1. ㉡
Q2. HhRR
Q3. 8번 염색체
09. 사람의 유전 [ 이론 ]

223p 탐구예제 1

구분 (가) (나) (다) (라) (마) (바)


㉠의 유전자형 AA Aa aa AA Aa aa
㉠의 표현형 [A] [A] [a] [A] [A] [a]
㉡의 유전자형 bb BB Bb b B B
㉡의 표현형 [b] [B] [B] [b] [B] [B]

224p 탐구예제 2

1. 3가지
2. 3가지

(가)의 유전자형 AA Aa aa
(가)의 표현형 [A] [Aa] [a]

224p 탐구예제 3

1. 6가지
2. E=F>G

(나)의 표현형 [E] [F] [G]


(나)의 유전자형 EE, EG FF, FG GG
225p 탐구예제 4

1. P: 분리형, Q: 분리형
2. P) A:a=1:1, Q) A:a=1:1

3. 

4. 3가지
5. 2가지

6. 


7. 

8. 분리형:부착형=3:1

226p 탐구예제 5

1. A:a=1:1
2. B:b=1:1
3. [A]:[a]=3:1
4. [B]:[b]=3:1
5. AB:Ab:aB:ab=1:1:1:1
6. 4가지
7. [AB]:[Ab]:[aB]:[ab]=9:3:3:1
227p 탐구예제 6

연관
구분 독립
상인연관 상반연관
유전자형 AaBb AaDd AaDd
생식세포의 유전자형 AB Ab aB ab AD ad Ad aD
       
생식세포의 형성 확률        
       

228p 탐구예제 7

1. 5: Hh, 6: hh

2. 

228p 탐구예제 8

1. HhTt

2. 

229p 탐구예제 9

1. A>a, B=b
2. AaBb
230p 탐구예제 10

1. 1: AO, 2: BO, 3: AB, 4: OO, 5: AO



2. 


3. 

231p 탐구예제 11

1. P: XAY, Q: XAXa

2. 


3. 

4. 1

5. 

6. 1

7. 

8. [A]

232p 탐구예제 12

1. 2: (가) 발현, 6: (가) 발현


2. 1: h, 2: Hh, 3: hh, 4: H, 5: hh, 6: Hh
232p 탐구예제 13

1. 1: (나) 발현, 5: (나) 발현


2. 1: t, 2: Tt, 3: tt, 4: T, 5: t, 6: Tt

234p 탐구예제 14

1. 1: 적록 색맹 발현, 2: 정상
2. 1: r, 2: Rr, 3: Rr, 4: rr, 5: R, 6: r

3. 


4. 

5. 0

6. 

7. 0

235p 탐구예제 15

1. 1: H_, 2: hh, 3: Hh, 4: Hh, 5: hh

235p 탐구예제 16

1. 1: Rr, 2: rr, 3: rr, 4: Rr, 5: Rr, 6: rr


236p 탐구예제 17

1. 1: Tt, 2: tt, 3: tt, 4: Tt, 5: tt, 6: tt


2. 1: tt, 2: Tt, 3: T_, 4: tt, 5: Tt, 6: Tt

236p 탐구예제 18

1. 1: h, 2: Hh, 3: hh, 4: h

236p 탐구예제 19

1. 1: t, 2: Tt, 3: Tt, 4: tt

237p 탐구예제 20

1. 아버지: Ht, 어머니: hhTt, 자녀 1: Hhtt, 자녀 2, hT, 자녀 3: ht

237p 탐구자료 3

 
1. AA:  , Aa:  , aa: 0
 
 
2. A:  , a: 
 

3. 

238p 탐구자료 4

개체 Ⅰ Ⅱ Ⅲ
유전자형 AAbb AaBb AaBB
단일 인자 유전 [Ab] [AB] [AB]
표현형
다인자 유전 2 2 3

239p 탐구예제 21-1

1. 5가지
2. 3가지

239p 탐구예제 21-2

1. 7가지
2. 4가지

239p 탐구예제 22

세포 (가) (나) (다)


유전자형 AA Aa aa
대문자 대립유전자의 수로 변환 1/1 1/0 0/0
형성되는 생식세포의 종류 ◯
1 0 , ◯
◯ 1 ◯
0

형성되는 생식세포의 가짓수 1가지 2가지 1가지


240p 탐구예제 23

세포 (가) (나) (다) (라) (마) (바) (사)


유전자형 AaBb AABb aabb AaDd AaDd AADd aaDD
대문자 대립유전자의 1/0 1/1 0/0
2/0 1/1 2/1 1/1
수로 변환 1/0 1/0 0/0
형성되는 생식세포의 종류 0 ,◯
◯ 1 ,◯
2 1 ,◯
◯ 2 ◯
0 0 ,◯
◯ 2 ◯
1 1 ,◯
◯ 2 ◯
1

형성되는 생식세포의
3 2 1 2 1 2 1
가짓수

240p 탐구예제 24

개체 Ⅰ Ⅱ Ⅲ Ⅳ Ⅴ
유전자형 AABB aabb AABb Aabb AaBb
1/1 0/0 1/1 1/0 1/0
대문자 대립유전자의 수로 변환
1/1 0/0 1/0 0/0 1/0
독립
형성되는 생식세포의 종류 ◯
2 ◯
0 1 ,◯
◯ 2 0 ,◯
◯ 1 0 ,◯
◯ 1 ,◯
2

형성되는 생식세포의 가짓수 1 1 2 2 3


대문자 대립유전자의 수로 변환 2/2 0/0 2/1 1/0 2/0 1/1
연관 형성되는 생식세포의 종류 ◯
2 ◯
0 1 ,◯
◯ 2 0 ,◯
◯ 1 0 ,◯
◯ 2 ◯
1

형성되는 생식세포의 가짓수 1 1 2 2 2 1

241p 탐구예제 25

1. 1/0 1/0
2. 1/0 1/0 1/0 또는 2/0 1/0
09. 사람의 유전 [ 킬러로직 ]

244p 탐구예제 1

Q1. A: 붉은색, B: 갈색, D: 회색



Q2. 

245p 탐구예제 2

Q1. A: 검은색, B: 갈색, D: 붉은색, E: 회색



Q2. 

247p 탐구예제 3

Q1. 붉은색

Q2. 

249p 탐구예제 4

Q1. AE

Q2. 

251p 탐구예제 1

Q1. 4

Q2. 

252p 탐구예제 2

Q1. 12

Q2. 


252p 탐구예제 3

Q1. 6

Q2. 

252p 탐구예제 4

Q1. 12

Q2. 

253p 탐구예제 5


Q1. 


Q2. 


Q3. 


Q4. 

253p 탐구예제 6

Q1. 12

Q2. 

255p 탐구예제 1

표현형 2, 3, 4, 5, 6, 7
Q1.
비 1:5:10:10:5:1

표현형 0, 2, 4, 6, 8
Q2.
비 1:4:6:4:1

표현형 1, 2, 3, 4, 5, 6
Q3.
비 1:5:10:10:5:1

256p 탐구예제 2





261p 탐구예제 3

표현형 0, 1, 2, 3
Q1.
비 1:1:1:1

표현형 1, 2, 3, 4, 5
Q2.
비 1:2:2:2:1

표현형 2, 3, 4, 5, 6, 7
Q3.
비 1:3:4:4:3:1

표현형 2, 3, 4, 5, 6, 7
Q4.
비 1:2:1:1:2:1

263p 탐구예제 4

Q1. AaBbDD

Q2. 

263p 탐구예제 5

Q1. P: AaBbDd, Q: AaBbdd


Q2. 0

264p 탐구예제 6


12, 

264p 탐구예제 7


7, 

264p 탐구예제 8


13, 

265p 탐구예제 9


10, 

265p 탐구예제 10


10, 

266p 탐구예제 1

Q1. 2: tt, 4: Tt, 5: Tt, 7: tt


267p 탐구예제 2

Q1. 1: A(Y), 2: aa, 3: A(Y), 4: aa, 5: Aa, 6: a(Y), 7: Aa, 8: Aa

269p 탐구예제 3

Q1. (가): 열성 형질, (나): 우성 형질


Q2. (나)의 유전자
Q3. 1: aaB(Y), 2: Aabb, 3: AaB(Y), 4: aabb, 5: aab(Y), 6: AaBb, 7: aab(Y),
8: aaBb, 9: AaBb

270p 탐구예제 4

Q1. 1: a(Y), 2: Aa, 3: A(Y), 4: aa, 5: a(Y), 6: Aa, 7: a(Y), 8: Aa



Q2. 

271p 탐구예제 5

Q1. 1: A(Y), 2: A*A*, 3: A(Y), 4: A*A*, 5: A*(Y), 6: AA*, 7: A*(Y), 8: AA*



Q2. 

272p 탐구예제 6


Q1. 

273p 탐구예제 7

Q1. 1: A*(Y), 2: AA*, 3: A*(Y), 4: AA*, 5: A(Y), 6: A*A*, 7: A(Y), 8: AA*


Q2. 0
274p 탐구예제 8

Q1. 1: A*(Y), 2: AA*, 3: A*(Y), 4: AA, 5: A*(Y), 6: AA*, 7: A(Y), 8: AA*


Q2. ㉠: 4, ㉡: 3, ㉢: 8

Q3. 

275p 탐구예제 9

 
Q1. ⓐ:  , ⓑ: 
 

275p 탐구예제 10


Q1. 

276p 탐구예제 11

Q1. 우성 형질
Q2. 1: Ah/Oh, 2: Ah/BH, 3: Ah/Bh, 4: OH/Oh, 5: Oh/Ah, 6: Bh/OH,
7: Ah/Oh, 8: Oh/OH

277p 탐구예제 12

Q1. 1: AT/OT, 2: Bt/Ot, 3: At/Bt, 4: Bt/OT, 5: OT/Ot, 6: AT/Ot,


7: At/Bt, 8: At/OT

Q2. 

10. 사람의 유전병 [ 이론 ]

282p 탐구예제 1

1. 아버지: AA, 어머니: Aa, 자녀 1: AA, 자녀 2: aa


2. 자녀 2
3. 아버지
4. ㉠: A, ㉡: a

282p 탐구예제 2

1. 3
2. ㉠: R, ㉡: r

284p 탐구예제 3

1. ㉡: 결실, ㉢: 중복, ㉣: 전좌, ㉤: 전좌

284p 탐구예제 4

1. 결실
2.
세포 ㉠ 세포 ㉡
구분
A a B b A a B b
G1 기 Ⅰ 1 1 1 1 0 1 1 1
M1 기 Ⅱ 2 2 2 2 0 2 2 2
Ⅲ 0 2 2 0 0 2 2 0
M2 기
Ⅳ 2 0 0 2 0 0 0 2
Ⅴ 0 1 1 0 0 1 1 0
생식
Ⅵ 1 0 0 1 0 0 0 1
285p 탐구예제 5

1. ㉢: 중복, ㉣: 전좌
2.
세포 ㉢ 세포 ㉣
구분
A a B b A a B b
G1 기 Ⅰ 2 1 1 1 1 1 1 1
M1 기 Ⅱ 4 2 2 2 2 2 2 2
Ⅲ 0 2 2 0 2 2 2 0
M2 기
Ⅳ 4 0 0 2 0 0 0 2
Ⅴ 0 1 1 0 1 1 1 0
생식
Ⅵ 2 0 0 1 0 0 0 1

285p 탐구예제 6

1. 3
2. 1

286p 탐구예제 7

1. 아버지: At/OT, 어머니: BT/Ot, 자녀 1: OT/Ot, 자녀 2: At/Ot, 자녀 3: At/B


2. 어머니

286p 탐구예제 8

1. 7번 염색체
2. 아버지
3. AAaBb
287p 탐구예제 9

1. 자녀 3
2. 아버지

287p 탐구예제 10

1. Ⅰ: 2n, Ⅱ: n, Ⅲ: n
2. ⓐ: h, ⓑ: H, ⓒ: R, ⓓ: R
3. ㉮: Ⅲ, ㉠: H

288p 탐구예제 11

1. 아버지
2. b
3. 정자: Ab, 난자: aB

290p 탐구예제 12

구분 Ⅰ Ⅱ Ⅲ Ⅳ Ⅴ Ⅵ
핵상 2n 2n n+1 n-1 n+1 n-1
감수 1분열 21번 염색체 2 2 2 0 2 0
염색체 상염색체 44 44 23 21 23 21
비분리 염색체 수
성염색체 2 2 1 1 1 1
총 염색체 46 46 24 22 24 22
핵상 2n 2n n n n n-1
감수 2분열 21번 염색체 2 2 1 1 1 0
염색체 상염색체 44 44 22 22 22 21
비분리 염색체 수
성염색체 2 2 1 1 1 1
총 염색체 46 46 23 23 23 22
291p 탐구예제 13

구분 Ⅰ Ⅱ Ⅲ Ⅳ Ⅴ Ⅵ
핵상 2n 2n n+1 n-1 n+1 n-1
감수 1분열 상염색체 44 44 22 22 22 22
염색체 X 염색체 1 1 1 0 1 0
비분리 염색체 수
Y 염색체 1 1 1 0 1 0
총 염색체 46 46 24 22 24 22
핵상 2n 2n n n n+1 n
감수 2분열 상염색체 44 44 22 22 22 22
X 염색체 X 염색체 1 1 1 0 2 0
비분리 염색체 수
Y 염색체 1 1 0 1 0 1
총 염색체 46 46 23 23 24 23
핵상 2n 2n n n n n+1
감수 2분열 상염색체 44 44 22 22 22 22
Y 염색체 X 염색체 1 1 1 0 1 0
비분리 염색체 수
Y 염색체 1 1 0 1 0 2
총 염색체 46 46 23 23 23 24

292p 탐구예제 14

1. 감수 2분열
2. ㉠: Ⅳ, ㉡: Ⅰ, ㉢: Ⅲ, ㉣: Ⅱ
3. 염색체 유무 DNA 상대량
세포 핵상
ⓐ ⓑ F f
㉠(Ⅳ) n+1 ○ × 2 0
㉡(Ⅰ) 2n ○ ○ 1 1
㉢(Ⅲ) n ○ × 2 0
㉣(Ⅱ) 2n ○ ○ 2 2
(○: 있음, ×: 없음)
293p 탐구예제 15

1. ㉠: Ⅱ, ㉡: Ⅲ
2. 감수 1분열
3. 아버지: Aabb, 어머니: AABb

294p 탐구예제 16

유전자형 염색체 비분리


구성원 적록 색맹 유전병
체세포 정자 난자 생식세포 시기
r r
자녀 1 ○ 터너 증후군 X - X 정자 M1 or M2
r r r r
자녀 2 ○ X X (Y) (Y) XX 난자 M2
자녀 3 × 클라인펠터 XRXR(Y) XR(Y) XR 정자 M1
자녀 4 × 증후군 XRXr(Y) (Y) XRXr M1
R R R R 난자
자녀 5 × X X (Y) (Y) XX M2
R R r R R r
자녀 6 × XXX XX X 정자 M2
초여성 증후군
자녀 7 × XRXRXr XR XRXr 난자 M1
자녀 8 ○ 초남성 증후군 Xr(YY) (YY) Xr 정자 M2
(○: 발현됨, ×: 발현 안 됨)

295p 탐구예제 17

1. 1: R(Y), 2: rr, 3: R(Y), 4: RR, 5: rr


2. 정자: XRY(M1 비분리), 난자: -
3. 정자: XRXR(M2 비분리), 난자: -
4. 정자: -, 난자: XrXr
10. 사람의 유전병 [ 킬러로직 ]

298p 탐구예제 1

DNA 상대량
세포
H h T t
Ⅰ 1 1 1 1
Ⅱ 2 2 2 2
Ⅲ 0 0 0 2
Ⅳ 1 1 1 0

298p 탐구예제 2

DNA 상대량
세포
H h T t
㉠(Ⅱ) 2 0 2 0
㉡(Ⅰ) 1 1 2 0
㉢(Ⅳ) 0 1 1 0
㉣(Ⅲ) 1 0 0 0

299p 탐구예제 3

DNA 상대량
세포
H h T t
Ⅰ 1 1 1 0
Ⅱ 2 2 2 0
Ⅲ 2 0 0 0
Ⅳ 0 0 1 0

299p 탐구예제 4

DNA 상대량
세포
H h T t
㉠(Ⅳ) 2 0 1 0
㉡(Ⅱ) 0 0 0 2
㉢(Ⅰ) 1 0 1 1
㉣(Ⅲ) 0 0 0 1
301p 탐구예제 5

Q1. Ⅰ: ㉡, Ⅱ: ㉣

303p 탐구예제 6

Q1. X
Q2. O
Q3. O

304p 탐구예제 7

Q1. O
Q2. X

307p 탐구예제 1

Q1. DNA 상대량


세포
A a B b
㉠(Ⅲ) 0 2 2 0
㉡(Ⅰ) 2 1 1 1
㉢(Ⅳ) 2 0 0 2
㉣(Ⅱ) 4 2 2 2

Q2. A

311p 탐구예제 2

Q1. DNA 상대량


세포
A a B b
㉠(Ⅲ) 2 0 2 0
㉡(Ⅰ) 1 1 2 0
㉢(Ⅳ) 0 0 2 0
㉣(Ⅱ) 2 2 4 0

Q2. a
314p 탐구예제 3

DNA 상대량
세포
A a B b
㉠(Ⅲ) 0 1 2 2
㉡(Ⅳ) 1 1 0 0
㉢(Ⅱ) 2 1 0 0
㉣(Ⅰ) 1 1 1 1

315p 탐구예제

Q1. 아버지: Ah/Oh, 어머니: BH/OH, 자녀 1: Ah/OH, 자녀 2: BH/Oh, 자녀 3: Ah/Bh


08 유전 정보와 염색체 킬러로직 정리


1 DNA 상대량

학습 목표
1. 감수 분열 시 각 시기별 유전자의 DNA 상대량
2. 유전자의 DNA 상대량이 가지는 기본 특징
3. 상염색체 유전자와 성염색체 유전자의 구분
4. 유전자들의 DNA 상대량을 더한 값(합)

출제 유형 시작점 & 문풀 루틴
1. 세포와 유전자의 DNA 상대량 ① 개체 수 파악에 따른 시작점 결정
② 유전자의 DNA 상대량 이용
∙ 세포 시기 결정
∙ 유전자의 상/성 결정

대립유전자 1쌍의
- ‘DNA 상대량 패턴’ 이용
- ‘DNA 상대량을 더한 값(합)’ 이용

∙ 개체의 유전자형 파악


2 유전자 유무

학습 목표
1. 유전자를 미지의 기호로 제시한 경우 대처법
2. 유전자 유무 표 분석 방법
3. 염색체를 미지의 기호로 제시한 경우 대처법
4. 염색체 유무 표 분석 방법

출제 유형 시작점 & 문풀 루틴
1. 유전자를 미지의 기호로 제시 ① 유전자 유무 이용 → 유전자 가짓수 파악
② 유전자 가짓수 이용 → 핵상, 상/성
③ (핵상 인 세포들에서) 대립유전자 짝 결정

2. 염색체를 미지의 기호로 제시 ① 세포 정보 이용 → 세포의 핵상 결정


② 핵상 인 세포들 이용 → 상동 짝 결정 & 대립 짝 결정
③ 염색체 유무와 유전자 유무 일치성 이용 → 유전자 위치 결정
철두철미 개념완성 4주차 추가 자료

연습_생식세포 형성 확률

1. 생식세포가 A를 가질 확률은 얼마인가? 2. 생식세포가 B를 가질 확률은 얼마인가?

3. 생식세포가 b를 가질 확률은 얼마인가?

4. 생식세포가 A, B, D를 모두 가질 확률은 얼마인가? 5. 생식세포가 A, B, D, e를 모두 가질 확률은 얼마인가?

1
보충_연관 형태 (대립 3쌍 AaBbDd)

연관

구분 모두 독립 2연관 1독립 3연관

상인연관 상반연관 상인연관 상반연관

세포

유전자형

생식세포의
유전자형

생식세포의
형성 확률

2
철두철미 개념완성 6주차 추가 자료

보충_다인자 유전의 기본

① AaBb 표 2 ② AaBBDd 표 4 다인자 문풀의 시작점 및 POINT

A a ▷ 대립유전자 χ쌍 → 표현형의 범위: 0~2χ, 생식세포의 범위: 0~χ


2/1
A a 1/0 B B
1/0 ▷ 생식세포의 최솟값과 최댓값의 합 = 개체의 표현형
B b 1/0 D d
↓ ↓ ▷ 생식세포의 가짓수, 형성 비 → 독립/연관 추론
생식세포 ◯
0 ◯
1 ◯
2 생식세포 ◯
1 ◯
2 ③
1 : 2 : 1 1 : 2 : 1
4 = 22 4 = 22

③ AaBbDd 표 3

2연관 1독립 3연관


모두 독립
상인연관 상반연관 상인연관 상반연관

A a A a A a a A
A a 1/0 A a A a B b B b b B B b
2/0 1/1
B b 1/0 B b b B D d d D D d D d
1/0 1/0
D d 1/0 D d D d 3/0 2/1
↓ ↓ ↓ ↓ ↓
생식세포 ◯
0 ◯
1 ◯
2 ③ 생식세포 ◯
0 ◯
1 ◯
2 ③ 생식세포 ◯
1 ◯
2 생식세포 ◯
0 ③ 생식세포 ◯
1 ◯
2

1 : 3 : 3 : 1 1 : 1 : 1 : 1 1 : 1 1 : 1 1 : 1
3 2 1 1
8 = 2 4 = 2 2 = 2 2 = 2 2 = 21

1
우성 표현형의 부모 사이에서 태어난 아이의 표현형이 부모와 같을 확률
[조건] 대문자로 표시되는 대립유전자가 소문자로 표시되는 대립유전자에 대해 완전 우성이다.

유전자형 자손의 표현형이 자손의 유전자형에서


아버지 어머니 모두 우성일 확률 이형 접합성의 수와 확률

수 1
 (예) Aa
Aa Aa [A]= 
 
확률 

수 2
 (예) AaBb
AB/ab AB/ab [AB]= 
 
확률 

수 2
 (예) AaBb
Ab/aB Ab/aB [AB]= 
 
확률 

수 1

AB/ab Ab/aB [AB]=  (예) AABb

확률 1
수 3
 (예) AaBbDd
ABD/abd ABD/abd [ABD]= 
 
확률 

수 3
 (예) AaBbDd
ABd/abD ABd/abD [ABD]= 
 
확률 

수 2 1
 (예) AaBbDD AABBDd
ABD/abd ABd/abD [ABD]= 
  
확률  
 
수 2 1
 (예) AABbDd AaBBdd
ABd/abD AbD/aBd [ABD]= 
  
확률  
 

2
[예제]

사람의 유전 형질 (가)는 대립유전자 A와 a에 의해, (나)는 대립유전자 B와 b에 의해, (다)는 D와 d에 의해


결정된다. A는 a에 대해, B는 b에 대해, D는 d에 대해 각각 완전 우성이다. (가), (나), (다)의 유전자는
7번 염색체에 있다.

1. 표는 Ⅰ~Ⅲ에서 아버지와 어머니의 (가)와 (나)의 유전자형을 나타낸 것이다.

유전자형 표현형 아이의 (가)와 (나)의 표현형이


구분
아버지 어머니 아버지 어머니 모두 부모와 같을 확률

Ⅰ AABB AaBb

Ⅱ AABb AaBB

Ⅲ AABb AaBb

Q. 표의 빈칸을 채우시오.

2. 표는 Ⅳ~Ⅶ에서 아버지와 어머니의 (가)~(다)의 유전자형과 연관 형태를 나타낸 것이다.

유전자형 표현형 아이의 (가)~(다)의 표현형이


구분
아버지 어머니 아버지 어머니 모두 부모와 같을 확률

AABbDD AaBBDd

(ABD/AbD) (ABd/aBD)

AABbDd AaBbDd

(ABD/Abd) (aBD/Abd)

AABbDd AaBbDd

(ABd/AbD) (ABd/abD)

AABbDd AaBbDd

(ABD/Abd) (ABd/abD)

Q. 표의 빈칸을 채우시오.

3
2023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9번

4
4
 N

 𝑥 : 0 2𝑥 , :0 𝑥

 , /

1/0 1/0 1/0


0/0 1/1 2/2

1:1 1:1 1:1


21 21 21

1
1 1 3 (1 ) 1 1 3 (1 )

1/0 2/1 3/2 × Q × Q × Q


1/0 1/0 1/0
1/0 1/0 2/1 1/0 3/2 1/0

1:2:1 1:2:1 1:2:1 1:2:1 1:2:1 1:2:1


4 22 4 22 4 22 4 22 4 22 4 22

1 1 1 4 (1 ) 1 1 1 4 (1 )

1/0 2/1 3/2 × Q × Q


1/0 1/0 1/0
1/0 1/0 1/0 1/0 1/0 1/0 1/0
1/0 0/0 1/0 1/1
0/0 0/0 1/1 0/0

1:3:3:1 1:3:3:1 1:3:3:1


23 23 23 1:3:3:1 1:3:3:1
23 23

2
1 1 1 1 5 (1 ) 1 1 1 1 5 (1 )

1/0 2/1 2/1 × Q


× Q × Q
1/0 1/0 2/1 1/0 2/1
1/0 1/0 1/0 1/0 1/0 2/1 1/0 1/0
1/0
1/0 1/0 1/0 1/0 1/0 1/1 0/0
1/0 1/0

1:4: :4:1 1:4: :4:1 1:4: :4:1 1:4: :4:1 1:4: :4:1 1:4: :4:1

1 24 1 24 1 24 1 24 1 24 1 24

1 1 1 1 1 (1 ) 1 1 1 1 1 (1 )

1/0 2/1 3/2 × Q × Q


1/0 1/0 2/1
1/0 1/0 1/0 1/0 1/0 2/1 1/0
1/0 1/0 1/0 1/0 1/0 1/0 1/0
1/0 1/0 1/0 1/0 0/0 1/0 1/1

1 : 5 : 10 : 10 : 5 : 1 1 : 5 : 10 : 10 : 5 : 1 1 : 5 : 10 : 10 : 5 : 1 1 : 5 : 10 : 10 : 5 : 1 1 : 5 : 10 : 10 : 5 : 1

32 25 32 25 32 25 32 25 32 25

3
1 1 1 1 1 1 7 (1 ) 1 1 1 1 1 1 7 (1 )

1/0 2/1 × Q × Q
1/0 1/0 1/0 1/0 1/0 2/1
1/0 1/0 1/0 1/0 1/0 1/0
1/0 1/0 1/0 1/0 1/0 1/0
1/0 1/0
1/0 1/0
1: : 15 : 20 : 15 : :1 1: : 15 : 20 : 15 : :1

1: : 15 : 20 : 15 : :1 1: : 15 : 20 : 15 : :1 4 2 4 2

4 2 4 2

2 2 3 (2 ) 2 2 3 (2 )

2/0 3/1 × Q × Q
2/0 2/0 2/0 2/0 2/0 2/0
1/1 0/0

1:2:1 1:2:1
1:2:1 1:2:1
4 22 4 22
4 22 4 22

4
2 2 2 4 (2 ) 2 2 2 4 (2 )

2/0 3/1 3/1 × Q × Q


2/0 2/0 3/1
2/0 2/0 2/0 2/0 2/0 2/0
2/0
2/0 0/0 2/0 1/1

1:3:3:1 1:3:3:1 1:3:3:1 1:3:3:1 1:3:3:1


23 23 23 23 23

3 3 3 (3 ) 3 3 3 (3 )

3/0 4/1 × Q
3/0 3/0 3/0 3/0

1:2:1 1:2:1 1:2:1


4 22 4 22 4 22

5
2 1 4 (1 ) 2 1 4 (1 )

2/0 2/0 3/1 × Q × Q × Q


1/0 2/1 1/0 2/0 2/1
2/0 1/0 3/1 1/0
1/1 0/0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4 22 4 22 4 22
4 22 4 22 4 22

2 1 1 5 (1 ) 2 1 1 5 (1 )

2/0 2/0 3/1


2/1 × Q × Q
1/0 2/1
1/0 1/0 1/0 2/0 1/0 2/0 1/0
1/0 0/0 1/0 1/1

1:2:2:2:1 1:2:2:2:1 1:2:2:2:1


1:2:2:2:1 1:2:2:2:1
23 23 23
23 23

6
2 2 1 (1 ) 2 2 1 (1 )

2/0 3/1 × Q × Q × Q
2/0 2/0 2/0 2/0 2/0 2/0 3/1 2/0
1/0 1/0 1/0 0/0 1/0 1/1 1/0 1/1

1 :1:2:2:1 :1 1 :1:2:2:1 :1 1 :1:2:2:1 :1 1 :1:2:2:1 :1 1 :1:2:2:1 :1


23 23 23 23 23

2 1 1 1 (1 ) 2 1 1 1 (1 )

2/0 2/0 3/1


× Q × Q
1/0 2/1 2/1
1/0 1/0 1/0 2/0 1/0 2/0 2/1
1/0 1/0 1/0 1/0 1/0 1/0 1/0

1:3:4:4:3:1 1:3:4:4:3:1 1:3:4:4:3:1 1:3:4:4:3:1


1:3:4:4:3:1
1 24 1 24 1 24 1 24
1 24

7
2 2 1 1 7 (1 ) 2 2 1 1 7 (1 )

2/0 3/1 × Q × Q
2/0 2/0
1/0 1/0 2/0 2/0 2/0 2/1
1/0 1/0 1/0 1/0 2/0 1/0

1 :2:3:4:3:2:1 1 :2:3:4:3:2:1 1 :2:3:4:3:2:1 1 :2:3:4:3:2:1

1 24 1 24 1 24 1 24

8
철두철미 개념완성 8주차 추가 자료

2018학년도 9월 모의평가 17번


철두철미 개념완성 13주차 추가 자료

항이뇨 호르몬(ADH) 관련 선지 표현 정리

항이뇨 호르몬(ADH)
콩팥에서 수분 재흡수 촉진 ⇨ 콩팥에서 단위 시간당 수분 재흡수량은 혈중 ADH 농도에 비례하여 변한다.

혈중 ADH 농도 ∝ 콩팥에서 단위 시간당 수분 재흡수량


1 혈장 삼투압에 따른 혈중 ADH 농도

1. 혈장 삼투압이 정상 범위보다 높을 때

예 소금물 섭취 시, 땀을 많이 흘렸을 때

• 혈장 삼투압 ↓
소금물 섭취 → 혈장 삼투압 ↑ → ADH 분비 ↑ → • 오줌량 ↓, 오줌 삼투압 ↑
(소량의 진한 오줌)

• 혈장 삼투압 ↓
땀 많이 흘림 → 혈장 삼투압 ↑ → ADH 분비 ↑ → • 오줌량 ↓, 오줌 삼투압 ↑
(소량의 진한 오줌)

2. 혈장 삼투압이 정상 범위보다 낮을 때

예 물 섭취 시

• 혈장 삼투압 ↑
물 섭취 → 혈장 삼투압 ↓ → ADH 분비 ↓ → • 오줌량 ↑, 오줌 삼투압 ↓
(다량의 묽은 오줌)

1

2 전체 혈액량에 따른 혈중 ADH 농도

1. 전체 혈액량이 정상 범위보다 감소한 상태일 때



예 출혈 과다

• 혈액량(혈압) ↑
출혈 과다 → 혈액량(혈압) ↓ → ADH 분비 ↑ →
• 오줌량 ↓, 오줌 삼투압 ↑

2. 전체 혈액량이 정상 범위보다 증가한 상태일 때



예 물 섭취 시

• 혈액량(혈압) ↓
물 섭취 → 혈액량(혈압) ↑ → ADH 분비 ↓ →
• 오줌량 ↑, 오줌 삼투압 ↓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