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12

정답친해 65쪽

•ABO식 혈액형의 응집원과 응집소

혈액형 ( 1 )형 ( 2 )형 ( 3 )형 ( 4 )형
응집원(적혈구) A B A, B 없음
응집소(혈장) β α 없음 α, β

•ABO식 혈액형 판정: 항 A 혈청에만 응집하면 ( 5 )형, 항 B 혈청에만 응집하면 ( 6 )형, 두 혈


청에 모두 응집하면 AB형, 두 혈청에 모두 응집하지 않으면 O형이다.
•Rh식 혈액형 판정: 항 Rh 혈청에 응집하면 ( 7 )형, 응집하지 않으면 ( 8 )형이다.

1 혈액의 응집 반응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옳지 4 표는 (가) ̄(라) 네 사람의 ABO식 혈액형 판정 실험 결


않은 것은 ×로 표시하시오. 과를 나타낸 것이다.

⑴ 일종의 항원 항체 반응이다. ( ) 사람 (가) (나) (다) (라)


⑵ 적혈구 세포막에 있는 응집소가 항원으로 작용하고, 혈 항 A 혈청 ◯ ◯ × ×
장에 있는 응집원이 항체로 작용한다. ( ) 항 B 혈청 ◯ × ◯ ×

⑶ 응집소는 특정 응집원하고만 결합하여 응집 반응을 일 (◯: 응집됨, ×: 응집 안 됨)

으킨다. ( ) (가) ̄(라)의 혈액형을 모두 쓰시오.

5 Rh식 혈액형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옳지 않은


것은 ×로 표시하시오.
2 표는 ABO식 혈액형의 응집원과 응집소를 나타낸 것이다.
⑴ Rh 응집원의 유무에 따라 Rh+형과 Rh-형으로 구분
( ) 안에 알맞은 기호나 말을 쓰시오.
한다. ( )
혈액형 A형 B형 AB형 O형 ⑵ Rh+형인 사람의 혈액 속에 Rh 응집원이 들어오면
응집원 A B ㉠( ) ㉡( ) Rh 응집소가 생성된다. ( )
응집소 ㉢ ( ) ㉣( ) ㉤( ) ㉥( ) ⑶ 수혈받은 적이 없는 Rh-형인 사람의 혈액에는 Rh 응
집원과 Rh 응집소가 모두 없다. ( )

6 다음은 ABO식 혈액형의 수혈 관계에 대한 설명이다.


3 그림은 어떤 사람의 ABO식 혈액형 판정 실험 결과를 ( ) 안에 알맞은 말을 고르시오.
나타낸 것이다.
⑴ ( AB형, O형 )인 사람은 다른 모든 ABO식 혈액형의
항 A 혈청 항 B 혈청
혈액을 소량 수혈받을 수 있다.
⑵ O형의 혈액은 ( 응집원, 응집소 )이 없어 ABO식 혈액
+ -
형이 다른 모든 사람에게 소량 수혈할 수 있다.
( +: 응집됨, -: 응집 안 됨)
⑶ 소량 수혈은 주는 혈액의 ㉠( 응집원, 응집소 )과 받는
이 사람의 적혈구 세포막에 있는 응집원과 혈장에 있는 응집 혈액의 ㉡( 응집원, 응집소 ) 사이에 응집 반응이 일어
소를 각각 쓰시오. 나지 않아야 가능하다.

164 III - 3. 방어 작용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