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16

2015 개정 교육과정

새 교과서 반영
용 방법
학교시험 대비 활
를 확인한다.
우리학교 교과서
를 확인한다.
된 교과서 조견표
개념완성에 수록 ’로 공부한다.
법 노트 ’와‘모의 중간/기말고사
시험범위‘비



개념

개념 한

완성

완성

한국사영역 필수



필수 한국사
사 한국사영역

학교 시험 대비
필수
교재 구입 문의 | TEL 1588-1580 (상담시간 09:00~24:00)
교재 내용 문의 | 홈페이지(www.ebsi.co.kr)의 통합 Q&A 서비스를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EBS, All rights reserved.



“EBS” 는 EBS의 등록상표이며 본 교재의 저작권은 EBS에 있습니다. EBS의 사전 허락 없이 EBS
기본 개념부터 실전 연습, 수능 + 내신까지
의 등록상표를 이용하거나 본 교재를 복제·변형하여 판매·배포·전송하는 일체의 행위를 금하며, 이를 위반할 한 번에 다 끝낼 수 있는 한국사영역 기본서 “완벽한 학교시험을 위한
경우 상표법, 저작권법 등에 따라 처벌받을 수 있습니다. 특별한 준비”
저작권 침해 제보 1. |특별부록| 중간고사·기말고사

한국사
사이트 home.ebs.co.kr/copyright | 이메일 copyright@ebs.co.kr | 전화 1588-1580 대비 4회분
필수 범위별 비법 노트 + 모의 중간/기말고사 + 꼼꼼해설
2. 출판사별 교과서 조견표 수록
2015 개정 교육과정 적용 개념완성 필수 한국사

차례와 우리 학교 교과서 비교
대단원명 강명 쪽수

01 ‌고대 국가의 지배 체제~02 ‌고대 사회의 종교와 사상 14


03 ‌고려의 통치 체제와 국제 질서의 변동 24

전근대 한국사의 04 고려의 사회와 사상 30
이해
05 ‌조선 시대 세계관의 변화 36
06 ‌양반 신분제 사회와 상품 화폐 경제 46
01 ‌서구 열강의 접근과 조선의 대응 60
02 ‌동아시아의 변화와 근대적 개혁의 추진 66

근대 국민 국가 03 ‌근대 국민 국가 수립을 위한 노력 72
수립 운동
04 ‌일본의 침략 확대와 국권 수호 운동 84
05 ‌개항 이후 경제적 변화~06 ‌개항 이후 사회·문화적 변화 90
01 ‌일제의 식민지 지배 정책 108
02 ‌3·1 운동과 대한민국 임시 정부 114

일제 식민지 지배와 03 ‌다양한 민족 운동의 전개 120
민족 운동의 전개
04 ‌사회·문화의 변화와 사회 운동 132
05 ‌전시 동원 체제와 민중의 삶~06 ‌광복을 위한 노력 138
01 ‌8·15 광복과 통일 정부 수립을 위한 노력 156
02 대한민국 정부의 수립~03 6·25
‌ 전쟁과 남북 분단의 고착화 162
04 ‌4·19 혁명과 민주화를 위한 노력 168

대한민국의 발전 05 ‌경제 성장과 사회·문화의 변화 178
06 ‌6월 민주 항쟁과 민주주의의 발전
07 ‌외환위기와 사회·경제적 변화 184
08 ‌남북 화해와 동아시아 평화를 위한 노력

별책 부록 1·2학기 시험 대비 비법노트 및 중간·기말고사

정답과 해설

2020_EBS_개념완성_필수한국사_0부속(001-011).indd 2 2020. 2. 10. 오후 4:54


Contents
금성 두산 미래엔 비상 씨마스 지학사 천재 해냄에듀

10 ~ 35 10 ~ 29 10 ~ 34 10 ~ 33 12 ~ 37 12 ~ 37 10 ~ 37 10 ~ 35

36 ~ 49 30 ~ 39 35 ~ 46 34 ~ 45 38 ~ 49 38 ~ 53 38 ~ 51 36 ~ 43

50 ~ 59 40 ~ 49 47 ~ 54 46 ~ 55 50 ~ 61 54 ~ 61 52 ~ 61 44 ~ 57

60 ~ 75 50 ~ 61 55 ~ 68 56 ~ 69 62 ~ 75 62 ~ 73 62 ~ 75 58 ~ 73

76 ~ 85 62 ~ 73 69 ~ 79 70 ~ 83 76 ~ 89 74 ~ 87 76 ~ 87 74 ~ 81

90 ~ 97 78 ~ 85 84 ~ 92 88 ~ 95 94 ~ 103 92 ~ 101 94 ~ 103 88 ~ 99

98 ~ 111 86 ~ 97 93 ~ 106 96 ~ 107 104 ~ 115 102 ~ 113 104 ~ 115 100 ~ 111

112 ~ 127 98 ~ 109 107 ~ 122 108 ~ 121 116 ~ 131 114 ~ 125 116 ~ 129 112 ~ 125

128 ~ 143 110 ~ 123 123 ~ 136 122 ~ 135 132 ~ 143 126 ~ 137 130 ~ 143 126 ~ 143

144 ~ 161 124 ~ 139 137 ~ 149 136 ~ 155 144 ~ 159 138 ~ 155 144 ~ 161 144 ~ 151

166 ~ 173 144 ~ 153 154 ~ 164 160 ~ 169 164 ~ 175 160 ~ 169 168 ~ 177 158 ~ 167

174 ~ 183 154 ~ 163 165 ~ 176 170 ~ 179 176 ~ 183 170 ~ 179 178 ~ 187 168 ~ 177

184 ~ 199 164 ~ 175 177 ~ 194 180 ~ 191 184 ~ 199 180 ~ 191 188 ~ 201 178 ~ 191

200 ~ 215 176 ~ 187 195 ~ 206 192 ~ 207 200 ~ 209 192 ~ 201 202 ~ 213 192 ~ 205

216 ~ 235 188 ~ 209 207 ~ 225 208 ~ 227 210 ~ 233 202 ~ 225 214 ~ 231 206 ~ 227

240 ~ 247 214 ~ 225 230 ~ 239 232 ~ 241 238 ~ 249 230 ~ 237 238 ~ 245 232 ~ 241

248 ~ 261 226 ~ 245 240 ~ 254 242 ~ 255 250 ~ 267 238 ~ 251 246 ~ 269 242 ~ 261

262 ~ 275 246 ~ 255 255 ~ 268 256 ~ 267 268 ~ 281 252 ~ 263 270 ~ 279 262 ~ 277

276 ~ 283 270 ~ 285 269 ~ 276 268 ~ 279 282 ~ 293 264 ~ 273 280 ~ 293 278 ~ 283

256 ~ 269
284 ~ 311 277 ~ 307 280 ~ 309 294 ~ 323 274 ~ 305 294 ~ 313 284 ~ 315
286 ~ 303

2020_EBS_개념완성_필수한국사_0부속(001-011).indd 3 2020. 2. 10. 오후 4:54


개념완성 필수 한국사
소수림왕
사출도
고구려 옥저 동예 삼한 광개토 대왕
원효 의상
부여 고구려 장수왕
여러 나라의 근초고왕
성장 유교 백제 진출 방향
8조법 불교 율령
도교 성왕 법흥왕
순수비 백두산
화랑도
고조선 천신 신앙 진흥왕
신라
신문왕
초기 국가 삼국 통일 국내성
뗀석기
구석기 사상 가야 왕위 쟁탈전
고구려
고대 국가 금관가야 황초령비 마운령비
신석기 선사 대가야
농경 시작
고대 발해 해동성국
청동기
계급 발생 의정부 동 해
2성 6부
5도 양계 전근대 중앙
6조 평양

유학 통치 체제 한국사의 이해 3사
북한산비
8도
지방
의천 통치 체제 신라 실직
불교 사상 임진왜란 당항성 우산
고려 일본 황 해
지눌 조선 사대교린 웅진 단양 신라 적성비
여진 후금 청
대외 관계 무신 정변 사비 관산성
신분제 왕
거란 태종 6조 직계제 창녕비 금성
원 간섭기 정중부 백제
최충헌 양천제 반상제 세종 김해
몽골 의정부 서사제
여진 12p. Ⅰ. 전근대 한국사의 이해 15p. 빗살무늬 토기 22p. 신라의 영토 확장
탐라
반원 정책 상품 화폐 경제 성종

농업
경국대전 1-04
광업
공민왕 상업 수공업 강동 6주
귀주 대첩
1-01 중서문하성 (1019, 강감찬)
이부 거란
왕 병부 여진
도병마사
식목도감

상서성 호부 흥화진
형부 용주 철주 귀주
예부 통주 곽주 도련포
공부 안융진
중추원 서경 동해
황해 고려
어사대 서희의 외교
담판(993)
삼사
개경
1-02
23p. 강서대묘 현무도 24p. 고려의 중앙 정치 조직 26p. 거란의 침입
1-21
주요 봉기지

이조
의정부 6조
서경 호조
왕 국정 최고 기관 예조
만적(1198) 동해 병조
승정원 왕명 출납
개경 형조
의금부 특별 사법 기관 공조
황해
사헌부 감찰, 풍속 교정

망이·망소이 공주 효심(1193) 사간원 간언, 간쟁 3사


(1176) 동경 홍문관 왕의 자문 역할

담양 운문 초전 한성부 한성 행정 담당
합천
춘추관 역사 편찬
성균관 교육 기관
김사미(1193)
1-20
29p. 무신 정권 시기 하층민의 봉기
1-08 33p. 삼국사기 36p. 조선의 중앙 정치 조직

4 EBS 개념완성 필수 한국사

2020_EBS_개념완성_필수한국사_0부속(001-011).indd 4 2020. 2. 10. 오후 4:54


개념완성 필수 한국사 사용법

1 2 3
단원을 들어가기에 앞서 대단원 한눈 수업 전후에 핵심 개념 정리를 읽으면 중요하고 꼭 알아두어야 할 자료는 자료
에 보기 마인드맵을 보고 해당 단원의 서 중요 내용을 정리해 보세요. 보다 상 탐구에 정리하였습니다. 자료 분석을 읽
구성을 머릿속에 그려 보세요. 그리고 세한 설명이 필요한 부분에는 색표시하 으면서 해당 자료가 어떠한 의미가 있고,
단원 학습이 끝난 후 이 마인드맵을 통 여 친절한 설명을 덧붙였습니다. 또 자료를 통해 무엇을 알아야 하는지 꼭
해 학습한 내용들을 다시 한번 정리하 확인하세요. 그리고 확인 학습 문제를 통
세요. 해 마무리 하세요
자료
탐구

II 근대 국민 국가 수립 운동 핵심
개념 정리
01 고대 국가의 지배 체제 3 삼국사기와 삼국유사
『사기』의 기전체를 따라 본기, 지, 열전, 표로 구성되었고,
본기 28권, 지 9권, 표 3권, 열전 10권으로 이루어져 있음  (가)에 들어갈 내용을 쓰시오.

일연이지은『삼국유사』와이승휴가지은『제왕
운기』는모두우리민족의시조를 (가)
(으)로설정하였다.이것은몽골의침입을겪은
선사 문화의 전개와 초기 국가의 성장  주먹도끼
후우리의자주성을강조하기위해전개한노력
의산물이다.
⑴ 선사 문화의 전개 나무나 뼈에 꽂아 창처럼 사용
조·미 수호 통상 조약 정답과 해설 ▶ 무신 정변과 몽골의 침입을 겪으면서 자주
통리기무아문 별기군
▲ 삼국사기 ▲ 삼국유사 의식을 바탕으로 전통문화를 이해하려는 경향이 나타났
시대 구석기 시대 신석기 시대
다. 일연의 『삼국유사』와 이승휴의 『제왕운기』는 단군을 민
강화도 조약 위정척사 운동 분석 | 『삼국사기』는 김부식이 왕명을 받아 1145년에 편찬한 역사서로, 중국의 사마천
족의 시조로 내세워 우리 민족의 자주성을 드러냈다.
개화 정책 추진 주요 유적 경기 연천 전곡리 서울 강동 암사동 등 이 지은 『사기』의 체제인 기전체를 따랐다. 김부식은 『삼국사기』를 저술하며 괴
 단군
신미양요 임오군란 력난신(초자연적이고 신비한 것)은 서술하지 않는다는 원칙에 따라 최대한 객
갈등
불평등 조약 도구 뗀석기(주먹도끼, 슴베찌르개) 간석기, 토기(빗살무늬 토기) 관적이고 합리적인 서술을 추구하였다. 『삼국유사』는 충렬왕 때 승려 일연이 역
통상 수교 거부 정책 갑신정변 사적 사실뿐만 아니라 고대 설화 등을 기록한 역사서로, 왕력편·기이편·흥법
병인양요 주거 동굴, 바위 그늘, 강가의 막집 움집(강가나 바닷가) 구석기인들이 찍개를 손에 쥐기 쉽도록 형태를 다
편 등 총 5권 9편으로 구성되어 있다. 『삼국유사』는 ‘유사’라는 이름과 같이 ‘남
근대적 개혁의 추진 듬는 과정에서 주먹도끼가 제작된 것으로
겨진 일’을 기록한 역사서이다. 몽골 보인다.
침략의 위기를 겪은 뒤 편찬된 『삼국유사』
서구 열강의 접근 정착 생활(농경과 목축의 시작) 주먹도끼는 짐승을 사냥하는
는 단군을 데는시조의
비롯한 역대 물론신비스러운
사냥한 탄생과
짐 업적을 강조하였다.
제1차 봉기 생활 이동 생활(사냥, 채집, 어로)
경복궁 중건 원시적 수공업(가락바퀴, 뼈바늘) 승의 가죽을 벗기거나 땅을 파서 나무뿌리를 캐는
근대 국민 국가 동학 농민 운동
제2차 봉기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었다.
삼정 개혁 흥선 대원군의 수립 운동 실을 뽑는 데
개혁 사용된 도구
서원 정리
⑵ 청동기 시대와 고조선
근대 국민 국가
일본의 침략과 수립 노력 제1차 갑오개혁
①청동기시대 곡식의 이삭을 따는 데 이용된 도구
국권 수호 운동
갑오·을미개혁
제1차 한·일 협약
일본의 침략 •도구:청동기(비파형동검,거친무늬거울등),간석기(반달돌칼등)  움집  (가) 승려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제2차 갑오개혁
을사늑약
대한 제국
•생활:농경의확대,사유재산과계급의발생,군장의출현,고인돌축조
국권 수호 운동 독립 협회 을미개혁 (가) 은/는 불교계의 갈등을 해결하기

한·일 신협약 ②고조선의발전과변화 위해교종과선종을통합하려하였다.그는수


행방법으로이론의연마와실천을같이강조하
•건국이야기:농경사회,계급발생,제정일치지배자(단군왕검)등반영 는교관겸수를제시하였다.
4
광무개혁 의천은 교관겸수를 제시하여 불교 이론을 배우는 교(敎)와 깨달음을 얻기 위한
항일 의병 운동 애국 계몽 운동 관민 공동회 의천의 사상
만민 공동회 실천으로서 선(禪)을 함께 수행할 것을 주장함
•위만의집권:중국에서건너온위만이준왕을몰아내고왕위차지(기원 ①천태종을개창하였다.
2-01 교리(敎理)를배우는이는내적인것(마 ②불교대중화에힘썼다.
전194),철기문화의본격적수용,한반도남부의진과중국한사이에 음)을버리고외적인것을구하는일이많 ③세속오계를제시하였다.
서중계무역전개 고,참선(參禪)하는사람은밖의인연을 ④수선사결사를제창하였다.
▲ 움집터 잊고내적으로밝히기를좋아한다.이는 ⑤왕오천축국전을저술하였다.
•멸망:한무제의침략으로멸망(기원전108)→한이군현설치 다편벽된집착이고양극단에치우친것 정답과 해설 ▶ 제시된 자료에서 교종과 선종을 통합하려
신석기 시대에는 땅을 파낸 뒤 기둥을 세우고 지붕
58 이다. 하였다는 점, 수행 방법으로 교관겸수를 제시하였다는 점
EBS 개념완성 필수 한국사_Ⅱ. 근대 국민 국가 수립 운동
•사회:8조법중3개조항이전해짐→한군현설치이후법률증가 을 얹어 움집을 지었다. 집의 중앙에는 난방과 조리 을 통해 (가)는 의천임을 알 수 있다. ① 의천은 천태종을
 -『대각국사문집』-
고조선 사회가 사유 재산을 중시하고, 계급과 형벌이 있었음을 알 수 있음 를 위해 화덕을 설치하였다. 창시하여 교단 통합 운동을 벌였다.

⑶ 철기 문화의 수용과 여러 나라의 성장 ▲ 영통사 대각국사비(경기 개풍) ② 원효는 아미타 신앙을 내세워 불교 대중화에 힘썼다.
③ 원광은 화랑도의 행동 지침인 세속오계를 제시하였다.
분석 | 고려 전기에 의천은 천태종을 창시하여 교종을 중심으로 선종을 포섭하고자
①철기문화의수용 하였다. 이를 위해 교리 연구와 실천적 수행을 병행해야 한다고 주장하는 교관
④ 지눌은 승려 본연의 자세로 돌아가 독경, 참선, 노동에
힘쓸 것을 주장하였다. ⑤ 혜초는 인도에 다녀와 『왕오천

6 7 8
•도구:철제농기구와철제무기의보급으로농업생산력이증대되고정 겸수를 제창하였다. 축국전』을 저술하였다. ①

청동기를 제작하는 틀로, 우리나라에서 직접  세형 동검


복활동도활발히전개 청동기를 제작하였음을 알 수 있음
04 고려의 사회와 사상 33
•독자적청동기문화발전:세형동검,거푸집,잔무늬거울등
②여러나라의성장 며느리가 될 여자아이를 어릴 때 남자 집으로
데려와 어른이 되면 혼인하는 풍속

내신뿐만 아니라 수능까지도 대비할 1·2학기 중간·기말고사를 준비할 수


국가 부여 고구려 옥저와 동예 삼한 마지막으로 정답과 해설에서는 답지별로
2020_EBS_개념완성_필수한국사_1본문(013-057)11.indd 33 2020. 2. 4. 오후 6:26

연맹체 국가, 5부 연맹체, 군장(읍군, 삼로) 제정 분리


정치
수 있도록 수능열기 코너를 구성하였 있도록 범위별 비법노트와 시험문제를
생활
사출도

형사취수혼,
제가 회의 이 부족 지배
민며느리제(옥저),
(군장, 천군)
친절한 해설을 제공하였고, 틀린 사람을
주로 청천강 이남 지역에서 발견되고 있어 한국식
서옥제 소도 동검이라고도 불리며, 철기 시대에 한반도에서 독
모습 순장 책화(동예)
습니다. 난이도가 다소 높을 수 있지만 제공하였습니다. 시험 전에 진지하게 지배자가 죽으면 그를 따르는 사람들을 함께 묻는 풍속 위한 조언을 넣었습니다. 답지별 해설도
자적인 청동기 문화가 발달하였음을 보여 준다.

⑷ 고대 국가(중앙 집권적 영역 국가)로의 발전


①고대국가의특징:왕권강화(왕위세습권확립),통치체제의정비(관
실제 수능에서는 어떻게 출제되는지 테스트에 임하여 실전 대비력을 강화하
등·공복마련,율령반포,신분제정비),불교의수용,활발한정복활동  서옥제
꼼꼼히 읽어서 해당 문항을 완벽한 내 것
혼인을 한 뒤 신랑이 처가에 살다가 자식이 자라면
②전개:부여와가야는연맹체국가단계에서멸망,고구려·백제·신라
수능에 대한 감(感)을 잡아 봅시다. 도록 합시다.
가고대국가로발전 으로 만들어 보세요.
신부와 함께 신랑 집으로 돌아가는 고구려의 혼인
풍속이다.

14 EBS 개념완성 필수 한국사_Ⅰ. 전근대 한국사의 이해

2학기 중간고사 비법노트 Ⅲ. 일제 식민지 지배와 민족 운동의 전개 | 05 전시 동원 체제와 민중의 삶~06 광복을 위한 노력 정답과 해설 34 쪽

고사구분 2학기 중간 한국사 학년


13
정답과 해설 27 쪽
황국 신민 서사
일제의 민족 말살 통치
암송 강요, 신사 참배와
14 1930년대 독립군의 한·중 연합 작전

일제는 1937년 중·일 전쟁 1930년대 초반 조선 혁명군 1930년대 한·중 연합


궁성 요배 강요 등 일제의
2020_EBS_개념완성_필수한국사_1본문(013-057)11.indd
을 일으키며 대외 침략을 확 민족 말살 통치14
내용은 다 같이 과 한국 독립군 등 만주에
작전을 펼쳤던 조선 혁명군과 1. 3. 다음 정책에 대한 학생들의 대화 내용으로 적절한 것은?
2020. 2. 4. 오후 6:26
밑줄 친 상황이 나타난 시기에 있었던 사실로 옳은 것만을
▶ 20580-0123 ▶ 20580-0125 한국 독립군의 활동 지역과 <보기>에서 고른 것은?
01 지도의 (가) 국가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03 지도의 (가), (나) 사건 대해나갔다. 그리고 국가 총 정리해 두는 것이 좋아. 그리고 서 활동한 독립군들은 항일
사이에 있었던 사실로 옳은 것은? 인적·물적 자원 수탈 사례들도
주요 전투를 잘 연결하여 정리해 •일제는 한국인에게도 지방 행정에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주
동원법과 황국 신민화 정책 중국군과 함께 한·중 연합 두어야 해. 그 부대를 이끌었던
잘 파악해 두도록 해. 나는 초대 조선 총독으로서 우리 겠다고 선전하여 도 평의회, 면 협의회 등을 확대하였다.
강화만 (가) 함대 침입 을 통해 한국인들을 전쟁에 작전을 전개하여 일본군을 지휘관도 파악해 두도록 해. 군대가 한반도의 주요 지점에 주 •일제는 조선 교육령을 개정하여 보통 학교의 교육 연한을 4년
강화성 강제로 동원하였다. 격퇴하였다. 둔하여 유사시의 변란에 대비하도 에서 6년으로 늘릴 수 있게 하고, ‘3면 1교’ 정책을 내세워 보
문수산성 공주 (나) 록 할 것이다. 헌병 경찰은 경성과
통 학교를 증설하였다.
용진진 옥천 국가 총동원법 황국 신민 서사 - 아동용
중국군과 독립군의 활동 지역 지방에서 치안에 종사하여 한국인
어재연의 분전 논산 동해
통진부 (가) 한국 독립군(지청천) 들을 통제한다.
정족산성 광성보 삼례 전주 제4조 정부는 전시에 국 1. 우리들은 대일본 제국의 신민 쌍성보 전투(1932. 9.) ① 통감부의 주도로 추진되었어.
한 행주산성 고부 일왕에 대한 충성 강요로 대전자령 전투(1933. 7.) 하얼빈
(삼랑성) 덕포진 강
덕진진
태인 가 총동원상 필요할 때 입니다. 전쟁에 한국인 동원 동경성 전투(1933. 7.) 무단장 쑤이펀허 ② 3·1 운동이 일어나는 배경이 되었어.
고창 정읍
초지진 황해 영광 장성 에는 칙령이 정하는 바 2. 우리들은 마음을 합하여 천황 신징
양화진 (창춘) 옌지
블라디보스토크
③ 만민 공동회가 개최되는 데 영향을 끼쳤어.
함평 나주 에 따라 제국 신민을 징 폐하에게 충의를 다합니다. 조선 혁명군(양세봉)
선양 백두산
부평현 영릉가 전투(1932. 3.) <보기> ④ 중·일 전쟁 이후 황국 신민화를 위해 추진되었어.
용하여 총동원 업무에 3. 우리들은 인고단련하여 훌륭 흥경성 전투(1933. 2.)
베이징 ㄱ. 정미 7조약이 체결되었다. ⑤ 일제가 이른바 문화 통치를 표방하면서 실시하였어.
제물포 제1차 봉기
종사하게 할 수 있다. 하고 강한 국민이 되겠습니다. 동해
톈진 다롄 평양 ㄴ. 시일야방성대곡이 발표되었다.
제2차 봉기
ㄷ. 경찰범 처벌 규칙이 마련되었다.
2-11
① 삼국 간섭을 주도하였다.
격전지
요것만은 꼭 체크! 요것만은 꼭 체크!
부록-14
ㄹ. 학교 교원도 제복과 칼을 착용하였다.
② 거문도를 불법 점령하였다. ① 독립문이 건립되었다.
2-12 일제는 1938년에 ①       을 공포하여 전쟁에 필요한 인력 1930년대 초반 만주의 독립군들은 항일 중국군과 함께 ① ·
과 자원을 수탈하였다. 또한 일제는 ②       암송 강요, 궁   작전을 펼쳐 일본군을 격퇴하였다. 그 중 ②      은 양 ① ㄱ, ㄴ ② ㄱ, ㄷ ③ ㄴ, ㄷ
③ 동학 농민 운동 때 조선에 출병하였다. ② 임오군란이 일어났다. 성 요배와 신사 참배 강요 등 황국 신민화 정책을 추진하였다. 세봉의 지휘로 영릉가 전투와 흥경성 전투에서 승리하였다. ④ ㄴ, ㄹ ⑤ ㄷ, ㄹ
정답 | ① 국가 총동원법 ② 황국 신민 서사 정답 | ① 한·중 연합 ② 조선 혁명군
④ 임오군란 때 흥선 대원군을 납치하였다. ③ 전주 화약이 체결되었다.
⑤ 제너럴 셔먼호 사건을 구실로 조선을 침입하였다. ④ 운요호 사건이 일어났다.
⑤ 관민 공동회가 개최되었다. 15 조선 의용대와 한국광복군 조선 의용대와 16 대한민국 임시 정부의 건국 준비 대한민국 임시
한국광복군은 1930년대
1938년에 창설된 조선 의용대 1940년 충칭에 정착한 대한민 정부가 1940년 충칭
후반 이후에 전개된 무장
는 김원봉을 총사령관으로 하 정착 이후에 건국 강령 발표,
투쟁에서 중요하게 여겨지는 국 임시 정부는 일제의 패망 이
대일 선전 포고 등 다양한
여 대일 항전을 전개하였다. 독립군이므로, 주요 활동 내용을 후를 대비하여 1941년에 건국
항일 투쟁 활동을 전개하였음을
한국광복군은 대한민국 임시 구분해서 정리해 두는 강령을 발표하였다. 4. (가) 정책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잘 기억해 두어야 해.
정부의 군대로 1940년에 결성 것이 좋아. 2. 다음 법령이 적용되던 시기에 있었던 사실로 옳은 것은?
▶ 20580-0126 제3장 건국 소위 (가) (이)라는 이름으로 수리 조합이 만들어지고 있
되었다.
▶ 20580-0124
04 다음 자료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2. 삼균 제도를 골자로 한 헌법을 실시하여 정치·경제·교육 제3조 100원 이하의 벌금 또는 과료를 언도받은 자가 그 언도 으나, 사실은 조합원들의 의사를 물어보지 않고 당국이 마음대

02 다음 개혁 정강이 발표된 시기를 연표에서 옳게 고른 한국광복군은 중화민국 국민과 합작하여 우리 두 나라의 독립 의 민주적 시설로 실제상 균형을 도모하며, 전국의 토지와 확정 후 5일 이내에 이를 완납하지 않은 경우, 검사 또 로 만든 것이다. 조합원들은 수리 조합 때문에 크게 고통을 당하

을 회복하고자 공동의 적인 일본 제국주의자들을 타도하기 위 대생산 기관의 국유가 완성되고 전국의 학령 아동 전체가 는 즉결 관서의 책임자는 상황에 따라 이를 태형으로 대 고 있는데, 경기도의 부평 수리 조합의 경우에는 조합원들이 수
것은? 1. 외국인에게 의지하지 말고 관민이 합심하여 황제권을 체할 수 있다. 리 시설로 얻는 이익보다 조합비 부담액이 크다고 한다. 어떤 조
하여 연합군의 일원으로 항전을 계속한다. 고급 교육의 무상 교육이 완성되고 보통 선거 제도가 구속
공고히 할 것. 대일 선전 포고 이후 중국군,
- 한국광복군 선언문, 1940 - 없이 완전히 실시되어 …….
민주적 정치 제도의 제11조 태형은 감옥 또는 즉결 관서에서 비밀리에 집행한다. 합원들은 수리 조합이 만들어지기 전에 거두던 수확보다 열 배
영국군 등과 연합 활동 전개 도입 추구
제13조 본령은 조선인에 한하여 적용한다. 나 많은 조합비를 내고 있다고 한다. - 동아일보, 1926. 12. 6. -
1. 대원군을 가까운 시일 안에 돌아오게 하고, 청에 조공 2. 외국과의 이권에 관한 계약과 조약은 해당 부처의 대신
하는 허례를 폐지할 것. 과 중추원 의장이 함께 날인하여 시행할 것.
요것만은 꼭 체크! 요것만은 꼭 체크! ① 광업령이 공포되었다. ① 토지 조사령에 의거하여 추진되었다.
중국 관내에서 결성된 최초의 한인 무장 부대인 ①      는 대한민국 임시 정부는 일제의 패망에 대비하여 건국 강령을 발표하
2. 문벌을 폐지하여 인민 평등의 권리를 제정하고, 능력에 3. 재정은 탁지부에서 전담하여 맡고 예산과 결산을 국민 중국 ② 독립 협회가 결성되었다. ② 농촌 진흥 운동의 일환으로 시작되었다.
국민당 정부의 지원을 받아 항일 무장 투쟁을 전개하였다. 였다. 이 강령은 ①    이 주창한 삼균주의를 바탕으로 민주 공화
③ 방곡령 사건이 발생하였다. ③ 동양 척식 주식회사 설립의 배경이 되었다.
따라 관리를 임명할 것. 에게 공포할 것. ②     은 1940년 충칭에서 대한민국 임시 정부 산하의 군대로 국 건설, 토지와 중요 산업의 ②    , 무상 교육 실시 등을 담
결성되어 항일 전선에 참전하였다. 정답 | ① 조선 의용대 ② 한국광복군 았다. 정답 | ① 조소앙 ② 국유화 ④ 대한매일신보가 창간되었다. ④ 미곡 공출과 식량 배급제 실시 근거가 되었다.
12. 국가 재정은 호조에서 관할하고, 그 밖의 모든 재무 4. 중대한 범죄는 공판하고 피고의 인권을 존중할 것. ⑤ 일본에 조사 시찰단이 파견되었다. ⑤ 한국인들의 만주산 잡곡 소비 증가를 야기하였다.
관청은 폐지할 것. 5. 칙임관은 정부에 그 뜻을 물어 과반수가 동의하면 임명
13. 대신과 참찬은 합문 안의 의정소에서 매일 회의하여 할 것. 28 EBS 개념완성 필수 한국사 부록 2학기 중간고사 29
정사를 결정할 것. - 『갑신일록』 -

① 갑신정변에 영향을 주었다.


(가) (나) (다) (라) (마) ② 군국기무처에서 마련하였다.
병인양요 강화도 조약 임오군란 거문도 사건 동학 농민 아관 파천 ③ 관민 공동회에서 결의되었다.
발발 체결 발발 발발 운동
④ 독립 협회 창립의 계기가 되었다.
① (가) ② (나) ③ (다) ④ (라) ⑤ (마) ⑤ 을미의병이 일어나는 배경이 되었다.

2020_EBS_개념완성_필수한국사_0부속(001-011).indd 10 2020. 2. 10. 오후 4:54


104 EBS 개념완성 필수 한국사_Ⅱ. 근대 국민 국가 수립 운동
2015 개정 교육과정 적용 개념완성 필수 한국사

4 5
이제 개념 정리가 끝났다면 학습이 제대로 이루어졌는지 평가를 할 차례입니다. 첫 단원 학습이 끝나면 대단원 마무리 정리
번째 평가는 개념 체크를 통해 이루어집니다. 중단원마다 기본 실력을 점검할 수 있 를 통해 학습 내용을 정리해 보세요. 빈
도록 개념 체크 문항들을 넣었습니다. 1~3회 반복 체크하다보면 개념들이 머릿속으 칸에 주요 개념을 채워가며 앞서 학습한
로 쏙쏙 들어올 겁니다. 두 번째 평가는 기본 문제를 통해 이루어집니다. 틀린 문제 내용을 다시 한번 체크하고, 대단원 종합
가 있다면 꼭 다시 한번 풀어 주세요. 문제를 풀면서 마무리 하세요.

개념 체크 Tip 기본 문제 정답과 해설 18 쪽
저절로 암기 1회 ( / ) 2회 ( / ) 3회 ( / )

▶ 20580-0083 ▶ 20580-0085
01~09 다음 내용이 옳으면 ◯표, 틀리면 ×표 하시오. 10~18 다음 빈칸에 알맞은 말을 쓰시오. 01 밑줄 친 ‘이 문서’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03 (가) 기구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01 동학교도들은 교조 신원 운동을 전개하여 최제우의 억울함 10 전주 화약 체결 이후 전라도 각지에 설치된 이 문서는 전봉준을 비
그림은 (가) 의 회의
해소와 동학에 대한 탄압 중지를 호소하였다. ( ) 을/를 중심으로 동학 농민군은 각종 개혁을 실천하였다. 롯한 동학 간부들이 조
병갑 처형 등을 결의하 장면이다. 이 기구는 합의체
고 만든 것입니다. 의 형식으로 구성된 초정부
02 일본이 경복궁을 침범한 뒤 조선의 내정에 간섭하자 해산 11 동학 농민군은 전투에서 관군과 일본군을 상
적인 입법·정책 결정 기구
하였던 동학 농민군은 이에 반발하여 다시 봉기하였다. 대로 치열하게 싸웠지만 패하였다. 이다. 총재 1명, 부총재 1명,
( )
그리고 16명 내지 20명 미만
12 일본은 경복궁을 침범한 뒤 개혁을 강요하면서 김홍집을 의 회의원으로 구성되었는데, 총재는 영의정 김홍집이
03 제2차 갑오개혁에서는 궁내부 설치, 노비제 폐지, 중국 연 중심으로 하는 정부를 수립하고 을/를 설치 겸임하였다.
호 폐지, 독자적인 연호 사용 등이 이루어졌다. ( ) 하였다.
① 노비제를 폐지하였다.
04 김홍집 내각은 태양력 사용, 소학교 설치, 단발령 공포 등
13 일본이 랴오둥반도를 차지하자 은/는 프랑스,
① 독립신문에 게재되었다.
② 대한국 국제를 제정하였다.
을미개혁을 추진하였다. ( ) ② 고부 농민 봉기에 이용되었다.
독일과 함께 일본에 압력을 가하여 이를 돌려주도록 하 ③ 제물포 조약을 체결하였다.
③ 급진 개화파의 주장이 담겨 있다.
였다. ④ 조사 시찰단을 파견하였다.
05 을미사변으로 반일 감정이 격화된 상황에서 단발령이 공포 ④ 교조 최제우의 신원을 요구하였다.
⑤ 통리기무아문을 설치하였다.
되자 각지에서 개화파 주도로 항일 의병이 일어났다. ⑤ 집강소에서 개혁을 추진하면서 작성되었다.
14 고종이 러시아 공사관으로 처소를 옮기는 이/가
( )
단행되자 김홍집 내각은 붕괴되고 개혁은 중단되었다.

06 서재필을 비롯하여 정부 관료들은 독립문 건립을 위한 단


체로 독립 협회를 창립하였다. ( )
15 독립 협회는 1898년 3월부터 종로에서 을/를 ▶ 20580-0084
개최하여, 러시아의 내정 간섭과 이권 침탈을 규탄하였다. 02 밑줄 친 ‘나’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07 보수 세력은 독립 협회가 입헌 군주제를 시행하려 한다고
나는 고부에서 봉기를 일으켰다가
모함하였고, 이에 고종은 독립 협회의 해산을 명하였다. 16 독립 협회는 정부 대신들과 각계각층의 국민과 단체가 참
해산을 하였는데, 이후 안핵사 이용 ▶ 20580-0086
( ) 석한 을/를 열어 헌의 6조를 결의하였다. 태가 농민들을 대거 체포하여 살육
하였기에 다시 봉기를 일으켰다.
04 밑줄 친 ‘사건’이 끼친 영향으로 적절한 것은?
08 고종은 경운궁 안에 중추원을 설치하여 군 통수권을 직접 17 고종은 에서 황제 즉위식을 거행하고 이튿날 러시아가 삼국 간섭을 통해 일본의 랴오둥반도 점령을 저
장악하고 친위대를 증강하였다. ( ) 대한 제국이라는 새로운 국호를 선포하였다. 지하자, 조선은 친미·친러 성향의 인물들로 내각을 구성
하여 일본을 견제하고자 하였다. 이에 조선 공사로 부임
09 대한 제국은 근대적인 토지 제도와 지세 제도를 수립하고 18 고종은 국가 운영의 기본 원칙을 담은 을/를 한 미우라의 주도로 일본 군인과 낭인들이 명성 황후를
자 양지아문과 지계아문을 설치하였다. ( ) 제정·공포하여 대한 제국이 자주독립국임을 천명하였다. 시해한 사건이 일어났다.

① 급진 개화파에 속하였다. ① 척화비가 건립되었다.


정답 01 ◯ 02 ◯ 03 × 04 ◯ 05 × 06 ◯ 07 × 08 × 09 ◯ 10 집강소 11 우금치 12 군국기무처 ② 위정척사 운동을 전개하였다. ② 을미의병이 일어났다.
13 러시아 14 아관 파천 15 만민 공동회 16 관민 공동회 17 환구단 18 대한국 국제

오답 체크
Tip EBS 스마트북 활용 안내
03 궁내부 설치, 노비제 폐지 등은 제1차 갑오개혁의 내용이다. 05 을미의병은 유생들이 주도하였다. 07 독립 협회가 공화
③ 동학 농민 운동을 주도하였다.
④ 단발령 시행에 반발하여 의병을 일으켰다.
⑤ 군국기무처를 중심으로 개혁을 추진하였다.
③ 갑신정변이 실패로 끝났다.
④ 흥선 대원군이 납치되었다.
⑤ 독립 협회가 해산을 당하였다.
제를 시행하려 한다고 모함하였다. 08 중추원이 아니라 원수부이다.
EBS 스마트북은 스마트폰으로 바로 찍어 해설 영상을 수강할 수 있고, 교재 문제를 파일(한글, 이미지)로 다운로드하여 쉽게 활용할 수 있습니다.
80 EBS 개념완성 필수 한국사_Ⅱ. 근대 국민 국가 수립 운동 03 근대 국민 국가 수립을 위한 노력 81
학생 모르는 문제, 찍어서 해설 강의 수강 교사 교재 문항을 한글(HWP)문서로 저장
[ 20580-0001 ] [ 20580-0001 ]
1. 윗글에 대해 이해한 내용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1. 윗글에 대해 이해한 내용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EBS 교재 문항을 한글(HWP)파일로
다운로드하여 이용할 수 있습니다
100 100
80 80
[ 20580-0001 ]
60 60
1. 윗글에 대해 이해한 내용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40 40
20 100 20 수학 영역
0 80 0
60
40

1 20
0
# 스마트폰 문제 촬영 1
2 찰칵! # 인공지능 단추 푸리봇 연결 2
1
다운로드
3 2 # 해설 강의 수강 3
3
4 4
4

※ EBSi 고교강의 앱 설치 후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 EBSi 홈페이지 및 앱 검색창에서 문항코드 입력으로도 확인이 가능합니다. ※ 교사지원센터(http://teacher.ebsi.co.kr) 접속 후 ‘교사 인증’을 통해 이용 가능

2020_EBS_개념완성_필수한국사_0부속(001-011).indd 11 2020. 2. 10. 오후 4:54


I 전근대 한국사의 이해

소수림왕
사출도
고구려 옥저 동예 삼한 광개토 대왕
원효 의상
부여 고구려 장수왕
여러 나라의 근초고왕
성장 유교 백제
8조법 불교 율령
도교 성왕 법흥왕
화랑도
고조선 천신 신앙 진흥왕
신라
신문왕
뗀석기 초기 국가 삼국 통일
구석기 사상 가야 왕위 쟁탈전
고대 국가 금관가야
신석기 선사 대가야
농경 시작
고대 발해 해동성국
청동기
계급 발생 의정부
2성 6부
5도 양계 전근대 중앙
6조

유학 통치 체제 한국사의 이해 3사
8도
지방
의천 통치 체제
불교 사상 임진왜란
고려 일본
지눌 조선 사대교린
여진 후금 청
대외 관계 무신 정변
신분제 왕
거란 태종 6조 직계제
원 간섭기 정중부
몽골 최충헌 양천제 반상제 세종 의정부 서사제
여진
반원 정책 상품 화폐 경제 성종
경국대전
농업 광업
공민왕 상업 수공업

1-01

12 EBS 개념완성 필수 한국사_Ⅰ. 전근대 한국사의 이해

2020_EBS_개념완성_필수한국사_1본문(012-057).indd 12 2020. 2. 11. 오후 3:52


01 고대 국가의 지배 체제 ~ 02 고대 사회의 종교와 사상
•고조선은 ① 을/를 만들어 사회 질서를 유지하였다.
•백제 성왕은 ② (으)로 천도하고 국호를 남부여로 바꿨다.
•신라 말에는 이론보다는 참선 수행을 중시하는 ③ 이/가 유행하였다.

03 고려의 통치 체제와 국제 질서의 변동


•고려 광종은 ④ 을/를 실시하여 유교적 소양을 갖춘 관리를 등용하였다.
•⑤ 은/는 고려의 독자적인 기구로, 중서문하성과 중추원의 고위 관리들이 국방 문제를 논의하였다.
•고려는 여진의 침입에 대비하여 윤관의 건의에 따라 ⑥ 을/를 편성하였다.
•고려 ⑦ 은/는 정방 폐지, 친원 세력 숙청 등 반원 정책을 추진하였다.

04 고려의 사회와 사상
•고려 시대 ⑧ · · 의 주민은 일반 군현민에 비해 많은 세금을 납부하고, 거주 이전의 제한을 받았다.
•고려 시대에는 최충의 9재 학당을 비롯한 ⑨ 이/가 성행하면서 관학이 위축되었다.
•고려는 충렬왕 때 안향의 소개로 ⑩ 을/를 수용하였다.
•지눌은 ⑪ 을/를 중심으로 결사 운동을 전개하며 수행 방법으로 돈오점수와 정혜쌍수를 강조하였다.

05 조선 시대 세계관의 변화
•조선은 전국을 ⑫ (으)로 나누고 도 아래 모든 군현에 지방관을 파견하였다.
•사림이 훈구의 비리와 부정을 강하게 비판하면서 훈구와 사림 간의 갈등이 심화되어 여러 차례 ⑬ 이/가 발생
하였다.
•조선은 일본에 대한 회유책으로 3포를 개방하였고, 강경책으로 세종 때 이종무가 ⑭ 을/를 토벌하였다.
•조선 ⑮ 은/는 임진왜란 이후 토지 대장을 정비하고 경기도에 대동법을 실시하였다.

06 양반 신분제 사회와 상품 화폐 경제
•조선 후기에는 ⑯ 와/과 기술직 중인이 차별과 관직 진출의 제한을 없앨 것을 요구하는 집단 상소를 올렸다.
•조선 후기에는 ⑰ 의 확산으로 노동력이 절감되고 벼와 보리의 이모작이 확대되었다.
•조선 후기에는 상업 유통이 활발해지면서 ⑱ 이/가 발행되어 전국적으로 유통되었다.
•임술 농민 봉기가 일어나자 정부는 삼정의 문란을 해결하기 위해 ⑲ 을/를 설치하였다.

정답 | ① 8조법 ② 사비 ③ 선종 ④ 과거제 ⑤ 도병마사 ⑥ 별무반 ⑦ 공민왕 ⑧ 향·부곡·소 ⑨ 사학 12도 ⑩ 성리학 ⑪ 수선사 ⑫ 8도 ⑬ 사화 ⑭ 쓰시마섬 ⑮ 광해군 ⑯ 서얼
⑰ 모내기법 ⑱ 상평통보 ⑲ 삼정이정청
대단원 한눈에 보기 13

2020_EBS_개념완성_필수한국사_1본문(012-057).indd 13 2020. 2. 11. 오후 3:52


핵심
개념 정리
01 고대 국가의 지배 체제

선사 문화의 전개와 초기 국가의 성장  주먹도끼

⑴ 선사 문화의 전개 나무나 뼈에 꽂아 창처럼 사용

시대 구석기 시대 신석기 시대

주요 유적 경기 연천 전곡리 서울 강동 암사동 등

도구 뗀석기(주먹도끼, 슴
 베찌르개) 간석기, 토기(빗살무늬 토기)

주거 동굴, 바위 그늘, 강가의 막집 움집(강가나 바닷가) 구석기인들이 찍개를 손에 쥐기 쉽도록 형태를 다


듬는 과정에서 주먹도끼가 제작된 것으로 보인다.
정착 생활(농경과 목축의 시작) 주먹도끼는 짐승을 사냥하는 데는 물론 사냥한 짐
생활 이동 생활(사냥, 채집, 어로)
원시적 수공업(가락바퀴, 뼈바늘) 승의 가죽을 벗기거나 땅을 파서 나무뿌리를 캐는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었다.
실을 뽑는 데
사용된 도구
⑵ 청동기 시대와 고조선
① 청동기 시대 곡식의 이삭을 따는 데 이용된 도구

•도구: 청동기(비파형 동검, 거친무늬 거울 등), 간석기(반달 돌칼등)  움집


•생활: 농경의 확대, 사유 재산과 계급의 발생, 군장의 출현, 고인돌 축조
② 고조선의 발전과 변화
•건국 이야기: 농경 사회, 계급 발생, 제정일치 지배자(단군왕검) 등 반영
•위만의 집권: 중국에서 건너온 위만이 준왕을 몰아내고 왕위 차지(기원
전 194), 철기 문화의 본격적 수용, 한반도 남부의 진과 중국 한 사이에
서 중계 무역 전개
▲ 움집터
•멸망: 한 무제의 침략으로 멸망(기원전 108) → 한이 군현 설치
신석기 시대에는 땅을 파낸 뒤 기둥을 세우고 지붕
•사회: 8조법중 3개 조항이 전해짐 → 한 군현 설치 이후 법률 증가 을 얹어 움집을 지었다. 집의 중앙에는 난방과 조리
고조선 사회가 사유 재산을 중시하고, 계급과 형벌이 있었음을 알 수 있음 를 위해 화덕을 설치하였다.
⑶ 철기 문화의 수용과 여러 나라의 성장
① 철기 문화의 수용
•도구: 철제 농기구와 철제 무기의 보급으로 농업 생산력이 증대되고 정
청동기를 제작하는 틀로, 우리나라에서 직접  세형 동검
복 활동도 활발히 전개 청동기를 제작하였음을 알 수 있음
•독자적 청동기 문화 발전: 세형 동검, 거푸집, 잔무늬 거울 등
② 여러 나라의 성장 며느리가 될 여자아이를 어릴 때 남자 집으로
데려와 어른이 되면 혼인하는 풍속

국가 부여 고구려 옥저와 동예 삼한

연맹체 국가, 5부 연맹체, 군장(읍군, 삼로) 제정 분리


정치
사출도 제가 회의 이 부족 지배 (군장, 천군)

생활 형사취수혼, 민며느리제(옥저), 주로 청천강 이남 지역에서 발견되고 있어 한국식


서옥제 소도 동검이라고도 불리며, 철기 시대에 한반도에서 독
모습 순장 책화(동예)
자적인 청동기 문화가 발달하였음을 보여 준다.
지배자가 죽으면 그를 따르는 사람들을 함께 묻는 풍속

⑷ 고대 국가(중앙 집권적 영역 국가)로의 발전


① ‌고대 국가의 특징: 왕권 강화(왕위 세습권 확립), 통치 체제의 정비(관
등·공복 마련, 율령 반포, 신분제 정비), 불교의 수용, 활발한 정복 활동  서옥제
혼인을 한 뒤 신랑이 처가에 살다가 자식이 자라면
② ‌전개: 부여와 가야는 연맹체 국가 단계에서 멸망, 고구려·백제·신라
신부와 함께 신랑 집으로 돌아가는 고구려의 혼인
가 고대 국가로 발전 풍속이다.

14 EBS 개념완성 필수 한국사_Ⅰ. 전근대 한국사의 이해

2020_EBS_개념완성_필수한국사_1본문(012-057).indd 14 2020. 2. 11. 오후 3:52


자료
탐구

1 신석기 시대의 도구 간석기


돌괭이·돌보습(농경용),
갈돌·갈판(조리용)
 다음 유물을 처음 사용한 시대의 생활 모습으로
옳은 것은?
빗살무늬 토기(음식물
토기
조리, 저장)
이 유물은 음식을 조리하거나 저장하
가락바퀴, 뼈바늘(원시
기타 는 데 사용되었습니다.
적 수공업)

▲ 빗살무늬 토기 ▲ 가락바퀴

분석 | 빗살무늬 토기는 토기의 표면을 새기개로 누르거나 그어서 빗살같이 길게 이어


진 선이나 점 등 기하학적 무늬를 새겼다. 섭씨 600~700°C 정도의 열을 가해
구워서 제작한 것으로 보이며 용도에 따라 토기의 크기를 달리하여 제작하
였다. 가락바퀴는 섬유를 꼬아 실을 만드는 도구로, 중앙의 둥근 구멍에 축이 ① 농경과 목축을 하였다.
될 막대를 넣어 고정시켜 사용하였다. 가락바퀴로 만든 실은 뼈바늘 등을 이용 ② 비파형 동검을 사용하였다.
하여 옷이나 그물을 제작하는 데 사용되었다. 가락바퀴를 통해 신석기 시대에 ③ 주먹도끼를 제작하기 시작하였다.
원시적 수공업 생산이 이루어졌음을 추정해 볼 수 있다.
④ 무리를 이루어 이동 생활을 하였다.
⑤ 지배자의 무덤으로 고인돌을 축조하였다.
정답과 해설 ▶ 제시된 유물은 빗살무늬 토기로 신석기 시
대에 제작되기 시작하였다. ① 신석기 시대에는 농경과 목
축이 시작되었다. 그러나 고기잡이와 사냥이 여전히 중요
한 식량 확보 수단이었다.
②, ⑤ 청동기 시대, ③, ④ 구석기 시대에 해당한다.
 ①

쑹화강 유역에서 성장, 3세기 말 선비족의 침략으로 위축, 5세기 말 고구려에 병합됨
 (가) 국가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2 부여의 정치
(가) 에서는 은력 정월에 하늘에 제사를
•‌장마와 가뭄이 연이어 오곡이 익지 않을 때, 그때마다 왕에게 허물을 지내며 나라에서 대회를 열어 연일 마시고 먹고
돌려서 ‘왕을 마땅히 바꾸어야 한다.’라거나 혹은 ‘왕을 죽여야 한다.’라 노래하고 춤추는데, 영고라고 한다.
고 하였다.
① 8조법을 제정하였다.
•‌나라에는 임금이 있었다. 모두 여섯 가지 가축 이름으로 관직명을 정하
② 순장의 풍습이 있었다.
였는데, 마가·우가·저가·구가·대사·대사자·사자였다. …… 이 여
③ 신분제로 골품제를 마련하였다.
러 가는 별도로 사출도를 다스렸는데, 큰 곳은 수천 집, 작은 곳은 수백 ④ 한 무제의 침략으로 멸망하였다.
집이었다. ⑤ 읍군, 삼로 등이 부족을 다스렸다.
정답과 해설 ▶ 제천 행사로 영고를 거행한 국가는 부여이
분석 | 첫 번째 자료는 흉년의 책임을 왕에게 묻는 내용으로, 부여가 왕이 존재하는 연 다. ② 부여에서는 왕이 죽으면 사람을 함께 묻는 순장의
맹체 국가라는 사실과 왕권이 상당히 미약했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두 번째 풍습이 있었다.
자료는 부여의 관직명과 사출도에 대한 것으로, 여러 가들이 자치권을 가지고 ①, ④ 고조선, ③ 신라, ⑤ 옥저와 동예에 대한 설명이다.
일정한 영역을 지배하였음을 알 수 있다.  ②

01 고대 국가의 지배 체제 15

2020_EBS_개념완성_필수한국사_1본문(012-057).indd 15 2020. 2. 11. 오후 3:52


개념 체크 Tip
저절로 암기 1회 ( / ) 2회 ( / ) 3회 ( / )

01~10 다음 내용이 옳으면 ◯표, 틀리면 ×표 하시오. 11~20 다음 빈칸에 알맞은 말을 쓰시오.

01 신석기 시대에는 주로 동굴이나 바위 그늘, 막집에서 생활 11 신석기 시대에는 곡물의 저장과 조리를 위해
하였다. ( ) 을/를 제작하여 사용하였다.

02 부여는 고구려의 압력을 받아 연맹체 국가로 발전하지 못 12 기원전 2세기경 이/가 준왕을 몰아내고 고조선

하였다.  ( ) 의 왕위를 차지하였다.

13 고구려에는 신랑이 일정 기간 처가에 살면서 일해 주는


03 삼한에서는 천군이 제사를 주관하였다.  ( )
의 풍습이 있었다.

04 신라는 법흥왕 때에 고구려 광개토 대왕의 도움으로 왜의


14 은/는 불교를 수용하고 태학을 설립하고 율령
침략을 물리쳤다.  ( )
을 반포하는 등 국가 발전의 기틀을 마련하였다.

05 김해 지역의 금관가야가 전기 가야 연맹을 주도하였다.  15 백제의 은/는 지방의 22담로에 왕족을 파견


 ( ) 하였다.

06 고구려의 을지문덕은 퇴각하는 수의 대군을 살수에서 크게 16 신라는 매소성과 에서 당의 군대를 격퇴하고


물리쳤다. ( ) 삼국 통일을 완성하였다.

07 발해는 당의 관제를 수용하여 3성 6부제를 마련하였다. 17 신라는 수도가 동남쪽에 치우친 것을 보완하기 위해 특별

 ( ) 행정 구역인 을/를 설치하였다.

18 고대 사회에서는 하늘의 신이 최고의 신이라고 믿는


08 원효는 아미타 신앙을 전파하여 불교 대중화에 기여하였다.
이/가 등장하였고, 초기 국가의 건국 이야기에
 ( )
반영되었다.

09 교리와 계율을 중시하는 선종과는 달리 교종은 참선 수행


19 고구려의 사신도, 백제의 산수무늬 벽돌, 백제 금동 대향로
을 강조하였다. ( )
등을 통해 삼국 시대에 이/가 유행하였음을 알
수 있다.
10 신라에서는 진흥왕 때 거칠부가 국사를 편찬하였다.
 ( ) 20 발해는 중앙 교육 기관으로 을/를 두었다.

정답 01 × 02 × 03 ◯ 04 × 05 ◯ 06 ◯ 07 ◯ 08 ◯ 09 × 10 ◯ 11 토기 12 위만 13 서옥제
14 소수림왕 15 무령왕 16 기벌포 17 5소경 18 천신 신앙 19 도교 20 주자감
Tip
오답 체크 01 신석기 시대에는 강가나 바닷가에 움집을 짓고 살았다. 02 옥저와 동예는 고구려의 압력을 받아 연맹체 국가로 발전하지
못하였다. 04 신라의 내물왕은 광개토 대왕의 도움으로 왜군을 격퇴하였다. 09 교종은 교리와 계율을 중시하고 선종은 참
선을 중시하였다.

20 EBS 개념완성 필수 한국사_Ⅰ. 전근대 한국사의 이해

2020_EBS_개념완성_필수한국사_1본문(012-057).indd 20 2020. 2. 11. 오후 3:52


기본 문제 정답과 해설 2 쪽

▶ 20580-0001 ▶ 20580-0003

01 (가)에 들어갈 내용으로 적절한 것은? 03 다음 풍습이 있었던 국가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초대장 『위략』에서 다음과 같이 전한다. 그 (나라의) 혼인하는 풍
속은 여자의 나이가 열 살이 되면 서로 혼인을 약속하고,
 시대 생활 체험전
신랑 집에서는 (그 여자를) 맞이하여 장성하도록 길러 아
토기를 사용하기 시작하면서 생활 모습이 크게 변화한  내로 삼는다. (여자가) 성인이 되면 다시 친정으로 돌아가
 시대의 생활을 체험해 볼 수 있는 기회입니다. 많은 참 게 한다. 여자의 친정에서는 돈을 요구하는데, (신랑 집에
여 부탁드립니다. 서) 돈을 지불한 후 다시 신랑 집으로 돌아온다.
•기간: 2020년 월 일 ~ 일  - 『삼국지』, 위서 동이전 -

•장소: 암사동 선사 유적지


•체험 활동: (가) ① 8조법이 시행되었다.
② 책화라는 풍습이 있었다.
① 주먹도끼 제작해보기 ③ 천군이 제사를 담당하였다.
② 고인돌 제작 체험하기 ④ 읍군과 삼로가 부족을 지배하였다.
③ 칠지도 모형 조립해보기 ⑤ 여러 가(加)들이 사출도를 다스렸다.
④ 거푸집으로 칼 만들어보기
⑤ 갈돌과 갈판으로 곡물 갈아보기
단답형 ▶ 20580-0004

04 (가), (나)에 들어갈 내용을 쓰시오.

귀신을 섬기기 때문에 국읍에 각각 한 사람씩을 세워서


천신의 제사를 주관토록 했는데, 이를 (가) (이)라
▶ 20580-0002
부른다. 또 여러 나라에는 각각 별읍이 있었는데 이를
02 다음 자료를 활용한 탐구 활동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나) (이)라고 한다. 그곳에 큰 나무를 세우고 방울
과 북을 매달고 귀신을 섬긴다.
상제 환인에게 서자가 있었는데, 환웅이라고 하였다. (환
인이 환웅에게) 이르기를 ‘내려가서 삼위태백에 이르러
널리 인간을 이롭게 하라.’라고 하였다. 이에 환웅이 천부
서술형 ▶ 20580-0005
인 3개를 받고 귀신 3,000을 이끌고 태백산 정상 신단수
아래로 내려오니, 그를 일러 단웅천왕이라고 하였다. 05 밑줄 친 ‘왕’의 명칭과 그의 업적을 서술하시오.

…… 단군은 조선 지역에 웅거하여 왕이 되었다.


2년 여름 6월, 전진의 부견이 사신과 승려 순도를 보내
 - 『제왕운기』 -
불상과 경전을 전하였다. 왕이 사신을 보내 회사하고
방물을 바쳤다. 태학을 세우고 자제를 교육시켰다.
① 백제의 건국 과정을 조사한다.
4년 승려 아도가 왔다.
② 천신 신앙이 반영된 사례를 찾아본다.
5년 봄 2월, 처음으로 초문사를 창건하고 순도를 두었
③ 삼국에 불교가 수용되는 과정을 살펴본다.
으며, 또한 이불란사를 창건하고 아도를 두니, 이것이
④ 중앙 집권적 영역 국가의 특징을 분석한다.
해동 불법의 시초였다.
⑤ 철기 문화를 바탕으로 건국된 국가를 파악한다.

01 고대 국가의 지배 체제 ~ 02 고대 사회의 종교와 사상 21

2020_EBS_개념완성_필수한국사_1본문(012-057).indd 21 2020. 2. 11. 오후 3:52


I 단원

01 고대 국가의 지배 체제
① 선사 문화의 발달과 국가의 출현
구석기 시대 뗀석기 사용, 사냥과 채집, 이동 생활

신석기 시대 농경과 목축의 시작, 간석기, 토기(빗살무늬 토기 등) 사용, 정착 생활


•청동기(비파형 동검 등) 사용, 사유 재산과 계급의 발생, 군장의 출현
청동기 시대
•최초의 국가인 ① 건국

② 고대 국가의 발전
•고구려: 소수림왕(태학 설립, 율령 반포, 불교 수용), 광개토 대왕(신라에 침입한 왜 격퇴), 장수왕(평양 천도)
삼국의 성립과 •백제: 근초고왕(평양성 공격), 성왕(사비 천도, 국호 - 남부여)
화랑을 우두머리로 한 청소년 수련 단체
발전 •신라: 법흥왕(율령 반포, 불교 공인), 진흥왕(화랑도개편)
•가야: 전기 가야 연맹(금관가야 주도), 후기 가야 연맹(대가야 주도)

신라의 •나·당 연합군 결성 → 백제, 고구려 멸망


삼국 통일 •나·당 전쟁: 매소성 전투, 기벌포 해전에서 당군 격퇴 → 삼국 통일 완성

통일 신라와 •통일 신라: 집


 사부중심, 9주 5소경, 신문왕(김흠돌의 난 진압, 국학 설립, 녹읍 폐지)
발해의 발전 •발해: 3성 6부, 5경 15부 62주, 해동성국이라 불림
왕명 출납과 국가 기밀 사무 담당 사신은 도교에서 동서남북을 수호하는
상상의 동물로, 청룡(동)·백호(서)·주작
02 고대 사회의 종교와 사상 (남)·현무(북)를 의미함

② 불교 도교와 풍수지리설 유학

•하늘을 최고의 신으로 믿는 •왕즉불 사상(왕권 강화) •도교: 귀족 사회 유행, 사


 신 •고구려(태학, 경당), 백제(오
신앙, 천신의 후손이라 믿음 •원효(아미타 신앙), 도·산수무늬 벽돌 등 경박사), 신라(임신서기석)
•건국 시조 신성화(지배 권 의상(화엄 사상) •풍수지리설: 신라 말 유행, •통일 신라(국학, 독서삼품
력 뒷받침) •신라 말 선종 유행 호족 세력 확장에 이용됨 과), 발해(주자감)

03 고려의 통치 체제와 국제 질서의 변동


본래 양인이었으나 불법으로 노비가 된 사람을
① 통치 구조와 정치 변동
조사하여 양인 신분을 회복시켜 준 정책 ② 대외 관계
•태조: 후삼국 통일, 사심관·기인 제도 송 경제·문화적 교류
•광종: 노비안검법, 과거제 실시
통치 체제 •1차 침입: ④ 획득(서희)
•성종: ③ 수용(유교 통치 이념, 12목
정비 거란(요) •2차 침입: 양규의 활약
설치, 지방관 파견)
•3차 침입: 귀주 대첩(강감찬, 1019)
•행정 조직: 중앙(2성 6부), 지방(5도 양계)

•문벌 사회 내부의 갈등: 이자겸의 난, 묘청의 서 •윤관: ⑤ 창설, 동북 9


경 천도 운동 여진(금) 성 설치
무신 정권
•무신 정변(1170), 농민과 천민의 봉기(망이·망소 •금의 사대 요구 수용(이자겸)
이의 난, 만적의 봉기 등)
•대몽 항쟁: 강화도 천도, 처인성 전
답 ① 고조선 원의 간섭 왕실의 호칭과 관제 격하, 인적·물적 수탈 투(김윤후) 등
몽골(원)
② 천신 신앙 고려 말의 •공민왕의 개혁 정치(친원 세력 숙청 등) •황룡사 9층 목탑 소실, 팔만대장경
③ 최승로의 시무 28조 신라 선덕 여왕이 주변 아홉 나라를
정치 변동 •신진 사대부의 성장 조판
물리치기 위해 세웠다는 목탑
④ 강동 6주
⑤ 별무반

52 EBS 개념완성 필수 한국사_Ⅰ. 전근대 한국사의 이해

2020_EBS_개념완성_필수한국사_1본문(012-057).indd 52 2020. 2. 11. 오후 3:52


Educational Broadcasting System

특수 행정 구역으로 향·부곡의 주민은 주로 농업에 종사,


04 고려의 사회와 사상 소의 주민은 수공업 제품 등을 생산함
① 신분 구조 ② 학문과 사상의 발전
•지배층: 문무 양반, 중간 계층(서리, 향리 등) •경학박사, 국자감
양인 유교
•피지배층: 농민, 수공업자, 향·부곡·소의 주민등 •성리학 수용

노비: 천인의 대다수 차지, 재산으로 취급(매매, 상 •의천: ① 창시


천인 불교
속, 증여 가능) •지눌: 수선사 결사
•정호: 특정한 직역을 담당 도교 초제(초례) 거행
정호와
•백정: 직역을 갖지 않은 평민, 조세·공납·역의 •신라 말 부터 유행
백정 ②
의무 •묘청의 서경 천도 운동에 영향
묘청은 서경이 풍수지리설에서 말
하는 명당임을 내세워 서경으로의
05 조선 시대 세계관의 변화 천도를 주장함
① 정치 운영의 변화
통치 체제 정비 붕당 정치 탕평 정치 세도 정치

• ③ : 태종, 세조 •붕당 간 비판과 견제 •영조: 탕평파 육성, 서원 정리 •일부 가문이 권력 독점, 부정


•의정부 서사제: 세종 •변질: 예송, 환국 •정조: 규장각 육성, 초계문신 부패 만연
제 실시, 장용영 설치 •삼정의 문란

② 대외 관계와 세계관의 변화
조선 전기의 대외 관계 •여진: 4군 6진 지역 개척, 무역소 설치 •일본: 이종무의 쓰시마섬 토벌, 3포개방

•일본의 침략으로 시작 부산포, 제포(창원), 염포(울산)

임진왜란(1592〜1598) •수군(이순신), 의병의 활약, 명의 원군 파병, 휴전 협상


•정유재란(1597), 일본군 철수

•정묘호란(1627): 후금의 침략, 화친(형제 관계)


호란의 발생
•병자호란(1636〜1637): 청의 침략, 주화론과 척화론 대립, 인조가 남한산성에서 항전, 삼전도에서 항복

•청: 북벌 운동, 북학론 대두


조선 후기의 대외 관계
•일본: 임진왜란 이후 에도 막부의 요청으로 국교 재개, 통신사 파견
청을 정벌하자는 운동으로 효종 때 가장 왕성하게 추진됨

06 양반 신분제 사회와 상품 화폐 경제 발달 수공업자가 공인이나 상인에게 물품을


제조할 자금과 원료를 미리 받고 물품
① 신분 구조 ② 조선 후기 상품 화폐 경제 을 제작, 공급하는 방식

양반 문·무반(관료 계층) 농업 모내기법의 확대 → 광작

양인 중인 기술관, 향리, 서리, 서얼 수공업 민영 수공업 발달, 선대제

상민 농민, 수공업자, 상인 광업 민영 광산 확대, ④ (전문 경영인) 등장

천인 천민 공·사노비가 대다수 차지 상업 사상(송상, 만상 등) 성장, 대외 무역: 개시, 후시

③ 농민 봉기의 발생
답 ① 천태종
② 풍수지리설 ⑤ (1811) •평안도 지역에 대한 차별 등에 반발 •청천강 이북 지역 장악, 관군에 진압
③ 6조 직계제
④ 덕대 임술 농민 봉기(1862) •경상 우병사 백낙신의 횡포에 반발 •진주 농민 봉기를 통해 전국 확산 → 삼정이정청 설치
⑤ 홍경래의 난

대단원 마무리 정리 53

2020_EBS_개념완성_필수한국사_1본문(012-057).indd 53 2020. 2. 11. 오후 3:52


대단원 종합 문제
▶ 20580-0054 서술형 ▶ 20580-0056

01 (가) 시대의 생활 모습으로 적절한 것은? 03 다음 문서를 제작한 목적을 서술하시오.


이것은 서울 암사동 유적에서 출토된 빗살무늬 토기입
니다. (가) 시대에 처음 제작된 이 토기는 식
량을 저장하거나 조리하는 데 사용되었다고 합니다.

1933년 일본 쇼소인에서 발견된 통일 신라 때의 문서로


사해점촌을 포함한 서원경(충북 청주)과 그 부근 4개 촌
락의 경제 상황을 기록하였다.

▶ 20580-0057

① 세형 동검을 제작하였다. 04 다음 봉기가 일어난 시기의 상황으로 옳은 것은?

② 철제 농기구를 사용하였다.
공주 명학소 사람 망이·망소이 등이 무리를 불러 모아 공
③ 무천이라는 제천 행사를 열었다.
주를 공격하여 무너뜨렸다. …… 망이의 고향인 명학소를
④ 대부분 무리지어 이동 생활을 하였다.
승격하여 충순현으로 삼았다.
⑤ 갈돌과 갈판 등의 간석기를 사용하였다.

① 북벌 운동이 추진되었다.
② 홍경래의 난이 일어났다.
③ 무신 집권자가 정국을 주도하였다.
▶ 20580-0055 ④ 진골 귀족들의 왕위 쟁탈전이 벌어졌다.
02 (가) 국가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⑤ 원의 내정 간섭으로 관제가 격하되었다.

‌이 사진은 경주에서 출토 ▶ 20580-0058

된 호우명 그릇이다. 그릇 05 (가) 국왕의 업적으로 옳은 것은?


의 바닥에 ‘을묘년 국강상
광개토지호태왕 호우십’이 < (가) 의 정책>
라는 글자가 새겨져 있어 - 쌍성총관부를 공격하여 영토 회복
당시 신라와 (가) - 왕실 호칭과 관제 복구
의 관계를 알 수 있다. - 신돈 등용 및 전민변정도감 설치

① 8조법을 시행하였다. ① 탕평비를 건립하였다.


② 과거제를 실시하였다. ② 수원 화성을 건설하였다.
③ 국호를 남부여로 바꾸었다. ③ 노비안검법을 실시하였다.
④ 신라를 도와 왜를 격퇴하였다. ④ 기철 등 친원 세력을 숙청하였다.
⑤ 화랑도를 국가적인 조직으로 운영하였다. ⑤ 12목을 설치하고 지방관을 파견하였다.

54 EBS 개념완성 필수 한국사_Ⅰ. 전근대 한국사의 이해

2020_EBS_개념완성_필수한국사_1본문(012-057).indd 54 2020. 2. 11. 오후 3:52


정답과 해설 14 쪽

▶ 20580-0063 ▶ 20580-0065

01 (가) 시대의 생활 모습으로 옳은 것은? 03 다음 자료에 나타난 시기의 사회 모습으로 옳은 것은?

(가) 시대 체험 교실 •‌나라 안의 모든 주군에서 공물과 세금을 보내지 않아 창


고가 비고 나라 재정이 궁핍하였다. 왕이 사신을 보내
무리 지어 이동 생활을 하며 주로 동굴에 거주했던
독촉하니 곳곳에서 도적이 벌 떼처럼 일어났다. 이때
(가) 시대 사람들의 생활을 체험하는 기회가 되시
원종과 애노 등이 사벌주를 근거지로 반란을 일으켰다.
길 바랍니다.
•‌도적이 나라의 서남쪽에서 일어났다. 붉은 바지를 입어
•기간: 2020년 5월 일 ~ 일 구분하니, 사람들이 적고적이라 하였다.
•장소: 경기도 연천 전곡리 유적 체험 학습장
•체험 프로그램 ① 만적이 봉기를 모의하였다.
- 주먹도끼 모형 제작하기 ② 사화가 여러 차례 발생하였다.
- 찍개로 고기 자르기 ③ 권문세족이 대농장을 소유하였다.
④ 지방에서 호족 세력이 성장하였다.
① 토기를 제작하였다. ⑤ 공명첩의 발행으로 신분제가 동요되었다.
② 8조법을 시행하였다.
③ 철제 농기구를 활용하였다.
④ 권력을 가진 지배자가 사용하였다.
⑤ 사냥과 채집을 통해 식량을 얻었다.

▶ 20580-0066

04 다음 명령을 내린 국왕의 업적으로 옳은 것은?

▶ 20580-0064
항복한 경순왕 김부를 경주의 사심관으로 임명하여
02 (가), (나) 국왕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지역의 민심을 수습하고 지방 세력을 회유하게 하라.

삼국은 중앙 집권 국가로 발전하는 과정에서 율령을 반포


하고 불교를 수용하여 중앙 집권 국가의 기틀을 마련하였
다. 고구려의 (가) , 신라의 (나) 은/는 율령
을 반포하여 통치 체제를 정비하고 불교를 수용하여 사상
을 통일하고자 하였다. 중앙 집권 국가의 기틀을 마련하
였다.

① (가) - 평양으로 천도하였다. ① 훈요 10조를 남겼다.


② (가) - 강감찬을 보내 거란을 격퇴하였다. ② 청해진을 설치하였다.
③ (나) - 금관가야를 복속하였다. ③ 독서삼품과를 시행하였다.
④ (나) - 북한산 순수비를 건립하였다. ④ 12목에 지방관을 파견하였다.
⑤ (가), (나) - 백제의 왕을 전사시켰다. ⑤ 쌍기의 건의로 과거제를 도입하였다.

56 EBS 개념완성 필수 한국사_Ⅰ. 전근대 한국사의 이해

2020_EBS_개념완성_필수한국사_1본문(012-057).indd 56 2020. 2. 11. 오후 3:52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