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40

KINGKONG

정리노트

수능 날 점심시간에 보는

19
+9









+




1 아


독해 기술 는


2 어

·

빈출 어법 문
·


3 정

구문 되새김

4
어휘 정리

킹콩T런치타임(내지).indd 1 2017. 11. 3. 오후 4:38


1 독해 기술

1 Paragraph

❶ 문단의 형태

주제문 X

단일 양강 단순 서술

❷ 주제문이란
주제는 1개이지만 주제문은 여러 개가 나올 수 있다. 여기서 주제는 ‘글에서 하고자 하는 말’로 모든 지문에
는 주제가 반드시 있다. 즉, 1개의 단락은 1가지 이야기(주제)를 한다. 이와 달리 주제문은 ‘주제를 표현한
문장’으로 지문에 주제문이 드러날 수도 있고 드러나지 않을 수도 있다. 주제문이 없을 경우, 글을 읽어 보
고 주제를 유추한다.

❸ 1단락 1주제 주제문 多


•주제문들은 서로 다른 단어를 통해 같은 의미를 전달한다. 같은 단어를 여러 번 반복하지 않는 게 좋은
글이기 때문에 같은 의미를 다른 어휘를 사용하여 표현한다. 눈으로 보기에 형태는 다르지만 의미가 같다는
것을 간파하는 것이 ‘수능’ 영어 실력이다! 예문 속에서 같은 말을 어떻게 계속 다르게 표현(paraphrasing)
하는지 파악한다.

❹ 주제문의 형태
마지막 문장 예문 앞 / 실험의 결과

•결국 주목해야 할 부분은 마지막 문장이다. •예문이 시작되기 전 문장이 주제문이다.


모든 주제문이 마지막 문장인 것은 아니지만 •실험은 무조건 결과만 보자.
글을 마무리 지어야 하기에 마지막 문장이 주 ① as a result 이하
제문이 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마지막 3개 ② find / show / indicate + that 절 이하
문장을 먼저 읽고 처음 문장, 혹은 형태적으 •예문의 결과도 주제문이다.
로 중요한 문장 순서로 읽는다.
의문문의 답
명령문
•How ~ ? They ~
•독자의 행동을 촉구 •What is ~ ? It is ~
•The answer is ~

2 • 수능 날 점심시간에 보는 Lunch Time

킹콩T런치타임(내지).indd 2 2017. 11. 3. 오후 4:38


Lunch Time

1
독해 기술
특수 구문 요약 / 정리 / 결과

•the 비교급 ~, the 비교급 ~ •in short / in summary


•only 부사구/절 V+S •therefore / thus / consequently
•it ~ that 강조 구문

빈출 어법
❺ 양강 구조 : 주제 VS 반주제

구문 되새김
모든 지문이 양강 구조는 아니다. 다만, 고난도 문제는 양강 구조가 많다.
ex) B rather than A : A와 B를 비교하면서 B를 강조한다.

• not only A but also B • B as well as A • although A, B


• despite A, B • not A but B • A. Rather, B • A. Instead, B

어휘 정리
4

❻ 중요한 것은 뒤에
•예문이 처음부터 나오면 맨 뒤부터 읽자. 예문의 결과부터 아는 것이 지문의 내용을 파악하는 데 도움이
된다.
•맨 마지막 문장이 A를 의미하고 맨 첫 문장이 A를 의미하면 그 문단에 속한 문장은 모두 한 가지 이야기
를 하고 있는 것이다.
•맨 마지막 문장이 A를 의미하고 맨 첫 문장이 B를 의미하면 그 문단의 주제문은 A이고, A와 B 사이에
역접의 연결사(however, on the other hand, but 등)가 있다.
•‘not A but B’, ‘between A and B’와 같은 표현은 뒤에 나오는 B를 더 중요하게 해석한다.

2 빈칸의 위치에 따른 문제풀이


① ② ③
① 지문의 앞쪽에 빈칸이 위치한 경우, 빈칸을 포함한 문장에
.
However, 역접의 연결사가 나올 때 빈칸 앞에 나온 문장에 반대되는 내
. Today In contrast,
.
용을 빈칸으로 내리면 답이다.
.
② 지문의 중간에 빈칸이 위치한 경우, 빈칸 앞에 역접의 내용
. 이 나오면 앞의 내용은 중요하지 않고 빈칸 뒤 문장과 같은
내용을 빈칸으로 올리면 답이다.

③ 지문의 뒤쪽에 빈칸이 위치한 경우, 빈칸 전 문장과 빈칸 다


음 문장을 통해 빈칸에 들어갈 내용이 주제인지 반주제인지
(양강 구조)를 체크해서 주제 또는 반주제를 찾아 빈칸으로
내리면 답이다.

•3

킹콩T런치타임(내지).indd 3 2017. 11. 3. 오후 4:38


빈칸 예 1) A A 글에 반전이 없이 처음부터 끝까지 같은 내용을 말하는 ‘단일’ 구조

● 2009년 시행 6월 평가원 26번 ●

01 다음 빈칸에 들어갈 말로 가장 적절한 것은?

When we have made an error, as for example in adding up a


column of figures, we have a tendency to repeat it again and again.
This phenomenon is known as the persistent error. The same thing
happens when we try to solve a problem; each time our thoughts take
a certain course, that course is more likely to be followed the next
time. The reason that we keep making the same error repeatedly is
that associations form between the ideas in the chain of thoughts and
become firmer each time they are used, until finally the connections
are so well established that . Thus, once we
have adopted an unprofitable line of thought, it is harder to adopt a
profitable line.

① the chain is very difficult to break


② persistent problems are solved automatically
③ the ideas lose their associations with one another
④ those connections become weaker as time goes by
⑤ the phenomenon will lead to a profitable line of thought

접근 Tip

문제를 읽기 전에 주요 연결사를 먼저 표시하면 어떤 종류의 지문인지 빠르게 파악 가능 → for example로 예시를


시작하고, 마지막 문장에서 Thus로 예시의 결과를 진술하고 있는 것에 주목 → 예시 부분은 훑어 읽고 예시의 앞 문
장과 결과 부분에서 답을 내야 함!
∴ 실험이나 연구, 예시가 나올 경우 결과 또는 결론을 빈칸으로 올릴 것!

4 • 수능 날 점심시간에 보는 Lunch Time

킹콩T런치타임(내지).indd 4 2017. 11. 3. 오후 4:38


Lunch Time

1
독해 기술
빈칸 예 2) B A 글의 흐름이 전환되는 ‘양강’ 구조

● 2015년 시행 7월 학평 31번 ●

02 다음 빈칸에 들어갈 말로 가장 적절한 것은?

빈출 어법
Customers’ needs are usually expressed as high-level descriptions
of the overall quality of a product or service. They are typically

구문 되새김
stated as adjectives and inherently do not imply a specific benefit to
the customer. For instance, customers commonly say they want a
product or service to be “reliable,” “effective,” “robust,” “dependable,”
or “resilient.” Razor users may want the product to be “durable and

어휘 정리
strong.” Although these simple statements provide some indication
as to what customers are looking for, they have one major drawback.
They are and present designers,
developers, and engineers with the impossible task of figuring out just
what customers really mean by “durable” or “strong.” If engineers
faced the task of making a razor more “durable,” would they try to
make the blade last longer, resist bending, or withstand constant
moisture? Would any of these actions satisfy the customer’s true
measure of “durable?” [3점]

① not appealing to female customers


② irrelevant to customers making purchases
③ preferable feedback for manufacturers only
④ ineffective in drawing consumers’ attention
⑤ imprecise statements open to interpretation

접근 Tip

But이나 However와 같은 역할을 하는 Although로 시작하는 양보절을 통해 흐름이 전환된다는 것을 파악할 것 →


문맥이 전환된 후의 내용을 통해 주제 파악 → 빈칸 주변 문장을 통해 빈칸이 주제·반주제가 들어갈 자리인지 확인
후 A(주제) or B(반주제) 넣기
∴ 역접의 연결사 등을 통해 글의 흐름이 바뀌는 부분부터 정독하면서 주제 찾기

•5

킹콩T런치타임(내지).indd 5 2017. 11. 3. 오후 4:38


빈칸 예 3) A B A B 대립되는 소재를 번갈아 언급하는 고난도 ‘소재 양강’ 구조

● 2017년 시행 6월 평가원 33번 ●

03 다음 빈칸에 들어갈 말로 가장 적절한 것은?

To make plans for the future, the brain must have an ability to take
certain elements of prior experiences and reconfigure them in a way
that does not copy any actual past experience or present reality exactly.
To accomplish that, the organism must go beyond the mere ability
to form internal representations, the models of the world outside. It
must acquire the ability to . We
can argue that tool-making, one of the fundamental distinguishing
features of primate cognition, depends on this ability, since a tool does
not exist in a ready-made form in the natural environment and has to
be imagined in order to be made. The neural machinery for creating
and holding ‘images of the future’ was a necessary prerequisite for
tool-making, and thus for launching human civilization. [3점]

① mirror accurate images of the world outside


② manipulate and transform these models
③ visualize the present reality as it is
④ bring the models back from memory
⑤ identify and reproduce past experiences faithfully

접근 Tip

지문 초반부에서 두 가지 대립하는 소재 AB를 파악 → 당위를 나타내는 표현(must, has to 등)을 통해 주제, 즉 필자


의 주장을 파악 → 빈칸 문장이 주제/반주제가 들어갈 자리인지 확인 후 A(주제) or B(반주제) 넣기!
∴ 지문 초반부에서 대립하는 소재 잡기 & 당위성을 나타내는 표현에 주목할 것!

6 • 수능 날 점심시간에 보는 Lunch Time

킹콩T런치타임(내지).indd 6 2017. 11. 3. 오후 4:38


Lunch Time

1
순접/역접의 연결사 종류

독해 기술
인과 therefore, thus, so …
besides, furthermore, also, in addition, moreover, what is
부연/첨가

빈출 어법
more, what is worse …
예시 for example, for instance …
순접 유사한 대상 비교 similarly, likewise, in the same way …

구문 되새김
in short, in brief, in summary, to sum up, as a result,
마무리 요약/결론 therefore, in conclusion, hence, accordingly, thus,
consequently …

재진술 that is, in other words, to put it another way, indeed …

어휘 정리
however, nonetheless, otherwise, yet, still, instead,
역접 in contrast, on the other hand, unfortunately,
nevertheless …

Vertical Reading
① 마지막 3문장(last three sentences)을 읽고 주제 파악
② 밑에서 위로 독해!
③ 양강 구조: 주제 ↔ 반주제

3 주제, 제목, 요지 등 대의파악

❶ 역접어에 집중(however / but / not 등)


❷ Study shows that ~: 연구는 보여준다 → 전문가를 인용하여 주장 뒷받침
❸ it ~ that 강조구문: 주제를 강조하는 구문
❹ and 뒤 문장이 중요하다: ex) ~, ~ and ~ → 빈칸 출제 多
❺ therefore / not only A but also B → 주제를 나타내는 연결어
❻ must / should: ~ 해야만 한다 → 필자의 주장 표현!

•7

킹콩T런치타임(내지).indd 7 2017. 11. 3. 오후 4:38


제목 예 1) last 3 sentences 읽고 주제 파악!

● 2017년 시행 6월 평가원 23번 ●

01 다음 글의 제목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If you’ve ever seen the bank of flashing screens at a broker’s desk,


you have a sense of the information overload they are up against.
When deciding whether to invest in a company, for example, they may
take into account the people at the helm; the current and potential
size of its market; net profits; and its past, present, and future stock
value, among other pieces of information. Weighing all of these
factors can take up so much of your working memory that it becomes
overwhelmed. Think of having piles and piles of papers, sticky notes,
and spreadsheets strewn about your desk, and you get a picture of
what’s going on inside the brain. When information overloads working
memory this way, it can make brokers ― and the rest of us ― scrap all
the strategizing and analyses and go for emotional, or gut, decisions.
* at the helm : 실권을 가진 ** strewn : 표면을 뒤덮은

① How Information Overload Can Cloud Your Judgment


② Multitasking Increases Your Working Memory!
③ How to Prevent Information Flood
④ Do Flashing Screens Reduce Information Overload?
⑤ Emotional Judgment: The Secret of Successful Brokers

접근 Tip

마지막 세 문장(last 3 sentences)을 읽고 정보 과부하(information overload)의 단점이라는 주제 파악 → 나머지


문장들에서도 information overload라는 단어가 반복적으로 제시되고 정보 과부하의 결과가 다양하게 표현됨을 확
인(1단락 = 1주제)
∴ last 3 sentences를 읽고 주제 찾기

8 • 수능 날 점심시간에 보는 Lunch Time

킹콩T런치타임(내지).indd 8 2017. 11. 3. 오후 4:38


Lunch Time

1
독해 기술
제목 예 2) 예시 앞 문장이 주제!

● 2015년 시행 대수능 23번 ●

02 다음 글의 제목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빈출 어법
When we remark with surprise that someone “looks young” for his
or her chronological age, we are observing that we all age biologically

구문 되새김
at different rates. Scientists have good evidence that this apparent
difference is real. It is likely that age changes begin in different parts
of the body at different times and that the rate of annual change
varies among various cells, tissues, and organs, as well as from person

어휘 정리
to person. Unlike the passage of time, biological aging resists easy
measurement. What we would like to have is one or a few measurable
biological changes that mirror all other biological age changes without
reference to the passage of time, so that we could say, for example,
that someone who is chronologically eighty years old is biologically
sixty years old. This kind of measurement would help explain why
one eighty-year-old has so many more youthful qualities than does
another eighty-year-old, who may be biologically eighty or even ninety
years old.

① In Search of a Mirror Reflecting Biological Aging


② Reasons for Slow Aging in the Modern Era
③ A Few Tips to Guess Chronological Age
④ Secrets of Biological Aging Disclosed
⑤ Looking for the Fountain of Youth

접근 Tip

예시(for example) 앞 문장을 통해 생물학적 나이는 모두 다르고 이를 측정할 방법을 찾는다는 내용의 주제 파악 →
나머지 문장들에서도 생물학적 나이(biological aging)라는 소재와 주제가 다양하게 표현됨을 확인
(1단락 = 1주제)
∴ 예시가 나올 시 예시 앞 문장을 읽고 주제 찾기

•9

킹콩T런치타임(내지).indd 9 2017. 11. 3. 오후 4:38


오지선다 종류

① 반주제
② 같은 어휘를 사용한 상관없는 내용
③ 지문에서 말한 내용을 넘어서는 과도한 소재·주제 범위

4 순서

: 상자 문장의 뒷부분은 A, B, C 중 하나와 연결되어 다음 단락을 찾는 단서가 된다.


A) A, B, C들은 각각 앞/뒤 문장만 살펴서 서로 연결되는 것끼리 묶으면 된다.
B) * 글이 주는 힌트 : some, others → 순서 결정
C)
since 연도 → 연대기(시간의 흐름)에 따라 순서 찾기 가능
the → 앞에서 말한 을 다시 언급할 때 the 을 씀
this, these, those 등 지시대명사도 단서

순서 A, B, C의 앞/뒤 부분에서 연결고리를 찾아라!

● 2014년 시행 대수능 36번 ●

01 주어진 글 다음에 이어질 글의 순서로 가장 적절한 것은?

The impact of color has been studied for decades. For example,
in a factory, the temperature was maintained at 72˚F and the walls
were painted a cool blue-green. The employees complained of the
cold.

(A) The psychological effects of warm and cool hues seem to be used
effectively by the coaches of the Notre Dame football team. The
locker rooms used for half-time breaks were reportedly painted to
take advantage of the emotional impact of certain hues.

10 • 수능 날 점심시간에 보는 Lunch Time

킹콩T런치타임(내지).indd 10 2017. 11. 3. 오후 4:38


Lunch Time

1
(B) The home-team room was painted a bright red, which kept team

독해 기술
members excited or even angered. The visiting-team room was
painted a blue-green, which had a calming effect on the team
members. The success of this application of color can be noted in

빈출 어법
the records set by Notre Dame football teams.

(C) The temperature was maintained at the same level, but the walls

구문 되새김
were painted a warm coral. The employees stopped complaining
about the temperature and reported they were quite comfortable.
* hue : 색조, 색상

어휘 정리
① (A)-(C)-(B) ② (B)-(A)-(C) ③ (B)-(C)-(A)
④ (C)-(A)-(B) ⑤ (C)-(B)-(A)

접근 Tip

주어진 문장의 마지막 내용과 (A), (B), (C)의 각 첫 내용이 연결되는지를 확인 → (C)의 첫 문장과 주어진 문장의 마
지막 내용이 이어짐(같은 온도인 상황에서 파란색 벽과 빨간색 벽을 두고 직원들의 불평 정도가 상반되는 내용으
로 연결됨)을 확인한 후 (C)의 마지막 내용과 다른 문단 (A), (B)의 첫 내용이 같은 이야기로 이어지는지 확인 → (C)
의 마지막 문장에서 다음 단락에 대한 특별한 언급이 없는 경우, (A), (B) 단락의 처음과 마지막 내용을 살펴서 순서
잡기
∴ 상자 문장의 마지막 내용과, 각 (A), (B), (C) 문단의 앞·뒤 문장만 살펴서 서로 연결되는 순서로 묶기

5 글의 흐름(문장 삽입)
•주어진 문장에서 최대한 많은 단서를 잡아 내는 게 중요!


hint ① however, also, today 등이 나오면 새로운 이야기(글쓴이가 정말 말하고자 하는 이야기)가 나오는 문장들
② 앞에 주어진 문장을 삽입한다.

④ ② 지시어와 대명사, 관사(this, a, the 등), 단어 등을 통해 주어진 문장의 위치를 가늠한다. 주어진 문장에서

언급한 단어와 같은 단어를 쓰는 문장을 단락 내에서 찾는 것도 큰 도움이 된다.
•지문에서 내용의 흐름상 어색한 부분을 찾아 주어진 문장을 삽입한 후, 위의 두 힌트를 적용할 때 문맥상 자연스러
운지 확인하면 끝!

• 11

킹콩T런치타임(내지).indd 11 2017. 11. 3. 오후 4:38


글의 흐름 예 1) 글의 흐름이 전환되는 곳을 찾아라!

● 2017년 시행 9월 평가원 39번 ●

01 글의 흐름으로 보아, 주어진 문장이 들어가기에 가장 적절한 곳은?

But it is no light matter to quickly and correctly pen a long and


complicated composition.

There are many instances of rapid work on the part of the great
composers; and their facility and quickness of composition causes
great wonder and admiration. ( ① ) But our admiration is often
misdirected. ( ② ) When we hear of some of the speedy writing of great
works by Mozart or Mendelssohn, we might think that this speed was
of the composing power as well as of pen, but, in fact, such was seldom
the case. ( ③ ) These great musicians generally did their composition
mentally without reference to pen or piano, and simply postponed the
unpleasant manual labor of committing their music to paper until it
became absolutely necessary. ( ④ ) Then they got credit for incredible
rapidity of composition. ( ⑤ ) One has only to copy a piece of music or
to try to put into notes some piece of music previously memorized, to
realize this. [3점]

접근 Tip

주어진 문장에서 역접의 연결사 But과 부정을 나타내는 no를 통해 글의 흐름이 전환되는 곳에 주어진 문장이 들어
가야 함을 파악하기 → 지문을 빠르게 훑으며 글의 흐름이 전환되는 곳을 찾아 주어진 문장 넣기 → 주어진 문장의
앞·뒤 문장을 통해 글의 흐름이 자연스럽게 전환되고, 대명사 등도 문제없이 받아지는지 확인
∴ 주어진 문장을 읽고 답의 근거를 먼저 파악한 후에 지문을 빠르게 훑으며 글의 흐름이 전환되는 곳에 주어진 문
장 넣기

12 • 수능 날 점심시간에 보는 Lunch Time

킹콩T런치타임(내지).indd 12 2017. 11. 3. 오후 4:38


Lunch Time

1
독해 기술
글의 흐름 예 2) 글의 흐름이 전환되는 곳 찾기 + 주어진 문장의 선·후 관계 파악

● 2016년 시행 6월 평가원 39번 ●

02 글의 흐름으로 보아, 주어진 문장이 들어가기에 가장 적절한 곳은?

빈출 어법
For example, the first step in servicing or installing

구문 되새김
equipment is talking with the clients to understand how they
used the equipment.

The customer service representatives in an electronics firm under

어휘 정리
major restructuring were told they had to begin selling service
contracts for their equipment in addition to installing and repairing
them. This generated a great deal of resistance. ( ① ) To the service
representatives, learning to sell was a very different game from
what they had been playing. ( ② ) But it turned out they already
knew a lot more about sales than they thought. ( ③ ) The same is
true in selling. ( ④ ) The salesperson first has to learn about the
customer’s needs. ( ⑤ ) The service representatives also had a great
deal of product knowledge and hands-on experience, which is
obviously important in sales.

접근 Tip

주어진 문장에서 답의 근거(예문, For example) 먼저 찾기 → 지문에서 형태적으로 글의 흐름이 전환되는 역접의
연결사 찾기 → 주제 파악 (역접의 연결어 But과 결과를 나타내는 turned out이라는 표현이 나오는 것으로 보아
그 문장이 주제문임을 알 수 있음) → 주어진 문장이 For example로 예시가 시작되므로 주제문 뒤에 넣기 → 주어
진 문장의 앞·뒤 문장의 흐름이 자연스럽고 대명사나 서로 같은 내용이 반복되는지 확인! (주어진 문장에서 직원
들이 알고 있다(understand)는 내용이 나오고 이후 learn, knowledge와 같은 단어로 반복되어 표현됨) 같은 말
을 다르게 표현하는 부분을 찾아내고, 주어진 문장과의 선·후 관계를 파악하면 끝!
∴ 주어진 문장을 읽고 답의 근거 파악! 지문을 빠르게 훑으며 글의 흐름이 전환되는 곳을 찾은 후 주어진 문장의
선·후 관계 파악

• 13

킹콩T런치타임(내지).indd 13 2017. 11. 3. 오후 4:38


6 전체 흐름(무관한 문장 찾기)

① ❶ : 글의 문두에서 글의 소재 및 글이 어떤 방향으로 전개될지 단서를 파악



❷ : 3번과 5번이 같은 말을 하고 있으면, 4번도 같은 말을 해야 한다. 아니면 4번이 답이다.


7 요약

: 결국 필자가 하고 싶은 말은 마지막 세 문장! 이걸 밑으로 내리면 요약 문제 clear!


: 양강으로 대비되는 지문의 경우 요약문의 구조는 주로 ‘Although / Whereas / While ~, SV ~’ 패턴이다.
(A)
(B)

8 장문(41~45)

❶ 장문 빈칸은 무조건 두 문단 이상으로 나뉜다. 빈칸이 있는 문단 이외는 중요하지 않다.


- 빈칸 문단은 빈칸 문제풀이와 동일
- 제목 문제는 대의 파악 문제 풀이와 동일
.

❷ 1 - 순서: 단문 순서와 같은 풀잇법을 적용하여 순서를 매긴다.


2 - 지칭: 순서에 맞추어 각 단락을 읽으면서 지칭이 다른 하나의 대상을 찾는다.
(A) (B) 3 - 불일치: 마지막으로 세부적으로 꼼꼼히 읽어가면서 불일치 문제를 푼다.

(C) (D)

14 • 수능 날 점심시간에 보는 Lunch Time

킹콩T런치타임(내지).indd 14 2017. 11. 3. 오후 4:38


2 빈출 어법 Lunch Time

독해 기술
1 that vs. what

2 관계 대명사 vs. 관계 부사

2
빈출 어법
3 준동사 vs. 동사

4 수 일치

5 병렬

구문 되새김
6 형용사 vs. 부사

어휘 정리
1 that vs. what

That vs. What

N( ) + that + 불완전한 문장 관계 대명사 N( ) + what + 불완전한 문장

N( ) + that + 완전한 문장 명사절 접속사 N( ) + what + 불완전한 문장

실전 적용 ❶ 2015년 시행 3월 학평 28번

I realized what / that I had wanted a reward: If I do this nice thing for you, you (or someone else) will do an
equally nice thing for me.
⇢ 선택지 앞에 명사가 없고 I had wanted a reward가 완전한 문장이므로 명사절 접속사 that이 정답이다.

나는 내가 보상을 원하고 있다는 사실을 깨달았다. 내가 당신에게 이런 친절을 베푼다면 당신(또는 다른 누군가)이 나에게 그만한 친절
을 베풀 것이라는 생각이었다.

실전 적용 ❷ 2014년 시행 대수능 30번


① ②
Joachim-Ernst Berendt points out that / what the ear is the only sense that / what fuses an ability to
measure with an ability to judge.
⇢ ①은 앞에 동사(points out)가 나오고 뒤에 완전한 구조(the ear is the only sense ~)로 연결되므로 명사절 접속사 that이 정답이다.
⇢ ②는 앞에 명사(sense)가 나오고 뒤에 주어 없이 동사(fuses)가 나오는 불완전한 구조로 연결되므로 관계 대명사 that이 정답이다.

Joachim-Ernst Berendt는 귀가 측정 능력을 판단 능력과 결합하는 유일한 감각 기관이라고 지적한다.

실전 적용 ❸ 2014년 시행 대수능 21번

The most normal and competent child encounters that / what seem like insurmountable problems in living.
⇢ 선택지는 동사 encounters의 목적어로 명사절을 이끄는데 뒤에 주어 없이 동사 seem이 나오는 불완전한 구조이므로 what이 정답이다.

가장 정상적이고 유능한 아이라 하더라도 살면서 극복할 수 없는 문제들처럼 보이는 것을 만난다.

킹콩 영어연구실 • 15

킹콩T런치타임(내지).indd 15 2017. 11. 3. 오후 4:38


1) 명사절을 이끄는‘접속사 that ’vs.‘관계 대명사 what ’

둘 다 선행사를 필요로 하지 않지만,


‘접속사 that’
은 명사절 접속사로 주어, 보어 및 동사의 목적어 역할을 하고 완전한 문장을 이끄는 반면,
‘관계 대명사 what’
은 불완전한 문장을 이끈다.
what은 앞에 명사가 있는지, what 절의 구조가 불완전한지 두 가지만 확인하면 된다.

유형 연습

1. 
Recent evidence suggests that / what the common ancestor of Neanderthals and
modern people, living about 400,000 years ago, may have already been using pretty
sophisticated language.
[정답] that
[해 설] 빈칸 앞에 명사가 없고 뒤에는 ‘the common ancestor ~ may have already been using
pretty sophisticated language’라는 완전한 구조가 나오므로 명사절 접속사 that이 정답이다. 이
that 절은 타동사 suggest의 목적어 역할을 한다.
[해 석] 최근의 증거는 약 400,000년 전에 살았던 네안데르탈인과 현대인의 공통 조상이 이미 아주 세
련된 언어를 사용하고 있었을지도 모른다는 점을 시사한다.

2. We know Mona Lisa Giaconda, the subject of the most famous portrait in the world,
through her mysterious smile; but we will never know that / what the entire person
was like.
[정답] what
[해 설] 빈칸 앞에 선행사가 없고 뒤에 전치사 like의 목적어가 없는 불완전한 구조가 연결되므로 what
을 쓰는 것이 적절하다. 이때 what 절은 타동사 know의 목적어 역할을 한다.
[해 석] 우리는 그 신비한 미소 때문에 세계에서 가장 유명한 초상화의 대상인 Mona Lisa Giaconda
를 알지만, 그 사람 전체가 어떤지에 대해서는 결코 알지 못할 것이다.

16 • 수능 날 점심시간에 보는 Lunch Time

킹콩T런치타임(내지).indd 16 2017. 11. 3. 오후 4:38


Lunch Time

2 관계 대명사 vs. 관계 부사

독해 기술
관계 대명사 vs. 관계 부사

2
빈출 어법
관계 대명사 + 불완전한 문장
관계 부사(= 전치사 + 관계 대명사) + 완전한 문장

실전 적용 ❶ 2013년 시행 6월 평가원 27번

구문 되새김
One domain which / where this is of considerable significance is music’s potentially damaging effects on
the ability to drive safely.
⇢ this is of considerable significance가 완전한 문장이므로 관계 부사 where이 정답이다. be동사 뒤에 전명구(of considerable
significance)가 보어 역할을 하고 있다.

어휘 정리
이것이 상당히 중요한 의미를 갖는 한 영역이 안전하게 운전하는 능력에 잠재적으로 해로울 수 있는 음악의 영향이다.

실전 적용 ❷ 2014년 시행 6월 평가원 39번

Create an environment which / in which your children know that you are with them in their efforts, rather
than looking to criticize them.
⇢ <주어(your children) + 동사(know) + 목적어(that you are with them in their efforts ~)>의 완전한 구조이므로 관계 부사처럼 쓰
일 수 있는 ‘전치사 + 관계 대명사’ 형태의 in which가 정답이다.

자녀를 비판하려고 하는 것이 아니라 그들이 노력할 때 여러분이 자녀와 함께 한다는 것을 자녀가 알게 되는 환경을 만들어라.

- 관계 대명사와 관계 부사를 구별하는 문제는 뒤에 나오는 문장 구조가 완전한지 불완전한지의 여부만 파악하면 된다.
- 관계 대명사는 불완전한 문장, 관계 부사는 완전한 문장을 이끈다.
문장이 완전한지 불완전한지는 문장의 주어, 목적어, 보어 역할을 하는 명사가 모두 있는지, 아니면 하나라도 빠져
있는지 여부로 확인한다.

1) 전치사 + 관계 대명사
-‘전치사 + 관계 대명사’는 관계 부사와 같다. 즉, 뒤에 완전한 문장이 나온다.

2) 관계사의 생략
- 목적격 관계 대명사는 자유롭게 생략된다.
- 주격 관계 대명사의 경우 be 동사와 함께 생략한다.
- 관계 부사나 관계 부사의 선행사는 자유롭게 생략이 가능하다. 단, 관계 부사와 선행사를 동시에 생략할 수는 없다.

• 17

킹콩T런치타임(내지).indd 17 2017. 11. 3. 오후 4:38


유형 연습

1. While there are many places which / where this traditional view of a scientist still holds
true, labs aren’t the only place where science is at work.
[정답] where
[해설] 앞에 장소 선행사(places)가 있고 빈칸 뒤인 ‘this traditional view of a scientist still holds

true’는 완전한 구조이므로 관계 부사 where를 쓰는 것이 적절하다.


[해석] 이런 전통적인 모습의 과학자가 여전히 사실인 곳도 많이 있지만, 실험실이 과학이 작용하는 유
일한 공간은 아니다.

2. The cottage of a poor man named Nicholas happened to stand in a place which / where
was overgrown with wild bushes.
[정답] which
‌[해설] ‌선행사가 장소 명사(place)이지만 빈칸 뒤에 주어 없이 동사가 바로 나오는 불완전한 문장이 나
오므로 관계 대명사 which를 쓰는 것이 적절하다.
[해석] Nicholas라는 한 가난한 남자의 오두막이 야생 덤불이 무성하게 자란 곳에 있었다.

3 준동사 vs. 동사

준동사 vs. 동사
❖ 문장에 동사는 반드시 필요!
❖ 동사가 2개면 접속사는 1개 필요!
❖ 이미 동사가 2개인데 접속사가 2개이면 선택지는 동사 자리!
❖ 이미 동사가 2개인데 접속사가 1개이면 선택지는 준동사 자리!
❖ 눈에 보이는 접속사 외에 생략된 접속사를 파악할 수 있어야 한다!
(ex. 목적격 관계 대명사, 타동사의 목적어 역할을 하는 명사절 접속사)

실전 적용 ❶ 2014년 시행 대수능 28번

Furthermore, a general lack of knowledge and insufficient care being taken when fish pens were initially
constructed meaning / meant that pollution from excess feed and fish waste created huge barren
underwater deserts.
⇢ 동사는 were constructed, created 2개
접속사는 when, that 2개
따라서 준동사 meaning이 아닌 동사 meant가 정답이다.

더욱이, 수산 양식용 가두리가 처음 지어졌을 때 일반적인 지식의 부족과 불충분하게 행해지던 관리는 초과 사료와 어류 폐기물로부터
발생하는 오염이 거대한 불모의 해저 사막을 만들어 냈다는 것을 의미했다.

18 • 수능 날 점심시간에 보는 Lunch Time

킹콩T런치타임(내지).indd 18 2017. 11. 3. 오후 4:38


Lunch Time

실전 적용 ❷ 2014년 시행 대수능 21번

This may result in play that makes little sense to us at the moment, since we do not know the purposes it

독해 기술
to serve / serves .
⇢ 동사는 may result in, makes, do not know 3개
눈에 보이는 접속사는 that, since 2개

2
하지만 <~ we do not know the purposes (that/which) it ~>과 같이 중간에 목적격 관계 대명사가 생략되었기 때문에 it 뒤에는 동

빈출 어법
사 형태인 serves가 필요하다.

이것은 그 순간에는 우리가 거의 이해하지 못하는 놀이가 될 수 있는데, 우리가 그것이 기여하는 목적을 모르기 때문이다.

구문 되새김
유형 연습

To predict whether a person will meet a deadline, for example, knowing / knows something
about the situation may be more useful than knowing the person’s score on a measure of
conscientiousness.

어휘 정리
[정답] knowing
[해설] ‘To predict whether a person will meet a deadline’은 목적의 부사구이다. 문장 전체의 동사
는 may be이고 이 앞에 주어가 필요하므로 주어 역할을 할 수 있는 동명사 knowing을 쓰는 것이 적절
하다.
[해석] 예를 들어, 어떤 사람이 마감 기한을 맞출 것인지 예측하기 위해서는 성실성 측정에서 그 사람이 받
은 점수보다 (그 사람이 처한) 상황에 대해 무언가를 아는 것이 더 유용할 수 있다.

1) 명사를 수식하는 현재 분사(능동) vs. 과거 분사(수동)

- 분사가 명사 앞에서 꾸밀 때:
‘명사가 ~하다’
의 능동 관계이면 현재 분사를 쓰고,
‘명사가 ~되다’
의 수동 관계이면 과거 분사를 쓴다.

- 분사가 명사 뒤에서 꾸밀 때:
<N1 + ~ing + N2>와 같이 현재 분사 뒤에는 목적어가 필요하고,
<N + p.p. + 전명구/부사>와 같이 과거 분사 뒤에는 전명구나 부사가 나오게 된다.

유형 연습

During the Middle Ages, the Rhine River was a great European trade route protecting / protected
by the Holy Roman Empire.
[정답] protected
[해설] 빈칸 이하가 앞에 나온 명사 trade route를 꾸미는데 빈칸 뒤로 목적어 없이 전명구가 나오므로 수
동을 나타내는 과거 분사 protected를 쓰는 것이 적절하다.
[해석] 중세에 라인 강은 신성 로마 제국의 보호를 받는 유럽의 중요한 무역로였다.

• 19

킹콩T런치타임(내지).indd 19 2017. 11. 3. 오후 4:38


2) with 분사 구문: <with + 목적어 + 목적격 보어>
- 목적어와 목적격 보어의 관계가 능동이면 보어 자리에 현재 분사, 수동이면 과거 분사가 나온다.

유형 연습

1. 
We cannot read with our eyes immobilizing / immobilized and our mind asleep.
[정답] immobilized
[해설] <with + our eyes + ________ >는 ‘with 분사 구문’이다. 의미상 ‘눈’은 ‘움직이지 못하게 되는’
대상이므로 목적어와 목적격 보어는 수동 관계이다. 따라서 과거 분사인 immobilized를 쓰는 것이 적
절하다.
[해석] 우리는 눈은 움직이지 않고 마음은 잠들어 있는 상태에서 책을 읽을 수 없다.

4 수 일치

수 일치

주어 + 수식어(분사구, 전명구, to 부정사구, 관계절, 동격(구/절)) + 동사


문장에서 동사는 반드시 주어에 수를 일치시킨다.
따라서, 수식어를 제외한 주어를 잘 파악해야 한다.

실전 적용 ❶ 2014년 시행 6월 평가원 27번

At the beginning of the twenty-first century, the popularity of fine breads and pastries are / is growing even
faster than new chefs can be trained.
⇢ [주어(the popularity) + 수식어(of fine breads and pastries) + 동사(______)] 구조이므로, 단수 동사 is가 정답이다.

21세기 초에 고급 빵과 페이스트리의 인기는 새로운 요리사가 훈련될 수 있는 것보다 훨씬 더 빠르게 상승하고 있다.

실전 적용 ❷ 2015년 시행 6월 평가원 32번

Anyone who has ever rushed out of the house only to realize that their keys and wallet are sitting on the
kitchen table know / knows this only too well.
⇢ [주어(Anyone) + 수식어(who has ever rushed ~ on the kitchen table) + 동사(______)] 구조이므로, 단수 동사 knows가 정답이다.

급하게 집을 나가다가 결국 열쇠와 지갑을 식탁에 두고 온 것을 깨닫게 된 적이 있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이러한 것을 너무나도 잘 알고 있다.

20 • 수능 날 점심시간에 보는 Lunch Time

킹콩T런치타임(내지).indd 20 2017. 11. 3. 오후 4:38


Lunch Time

1) 주어와 동사의 수 일치: 주어부의 핵심 명사 파악 문제 → 형태로 풀기

독해 기술
- 주어가 단수면 단수 동사, 복수면 복수 동사
- 명사절(that 절, what 절 등), 명사구(to 부정사구, 동명사구)로 이루어진 주어는 단수 취급하므로 단수 동사와 연결

2
된다.

빈출 어법
- <주어부(핵심 명사) + (수식어구) + 동사>의 형태에서는 복잡해 보이는 긴 주어부의 핵심 명사를 찾아 그 명사에
맞게 단수 또는 복수 동사를 써야 한다.

유형 연습

구문 되새김
1. 
Investigators are not interested in leadership, and developing the interpersonal skills
necessary to fuel collaboration is / are a hurdle for many of them.
[정답] is

어휘 정리
[해 설] 등위 접속사 and 뒤의 주어는 동명사구(developing the interpersonal skills necessary

to fuel collaboration)이므로 동사 자리에는 단수형인 is를 쓰는 것이 적절하다.


[해 석] 조사자는 리더십에는 관심이 없으며 공동 작업을 촉진하는 데 필요한 대인 관계 기술을 발전시
키는 것은 그들 중 많은 사람에게 난관이다.

2. The edge of the door towards us look / looks wider than the edge hinged with the
frame.
[정답] looks
[해 설] 문장의 주어는 The edge이고 ‘of the door towards us’는 수식어 역할을 하는 전명구이다.
주어가 3인칭 단수형이므로 동사는 looks를 쓰는 것이 적절하다.
[해 석] 우리 쪽을 향한 문의 모서리는 문틀에 경첩을 단 모서리보다 더 넓게 보인다.

2) 대명사의 수 일치 : 대명사가 대신 받는 원래 명사의 수 파악 문제 → 문맥과 해석으로 풀기

- 문맥과 해석을 통해서 대명사가 어떤 명사를 가리키고 있는지 찾고, 원래 명사가 단수면 단수 대명사, 복수면 복수
대명사를 쓴다.

 유형 연습

One wonders whether our children’s inherent capacity to recognize, classify, and order
information about their environment ― abilities once essential to our very survival ― is
slowly devolving to facilitate life in its / their increasingly virtualized world.
[정답] their
[해설] our children을 가리키는 복수형의 소유격으로서 their가 적절하다.
[해석] 사람들은 우리 아이들이 자신들의 환경에 대한 정보를 인식하고, 분류하며, 체계화할 내재적 능
력, 즉, 한때 바로 우리의 생존에 필수적이었던 능력이 서서히 퇴화하여 점점 더 가상화된 세계에서의 삶을
촉진하는지 궁금해한다.

• 21

킹콩T런치타임(내지).indd 21 2017. 11. 3. 오후 4:38


5 병렬

병렬

등위 접속사(and, but, yet, or)는 앞뒤로 같은 구조를 가지므로,


등위 접속사 뒤에 선택지가 나오면 선택지가 앞의 어떤 어구와
대응되는지 구조 분석과 해석을 통해 파악해야 한다.

실전 적용 ❶ 2013년 시행 6월 평가원 20번

Tory Higgins and his colleagues had university students read a personality description of someone and then
summarize / summarized it for someone else who was believed either to like or to dislike this person.
⇢ <had + 목적어(university students) + 목적격 보어1(read) ~ and + 목적격 보어2(______)>의 구조로, 여기서 목적어인‘대학
은 성격 기술을 읽고 요약하는 행위의 주체이다. 따라서 선택지에는 원형 부정사인 read와 대응되는 summarize가 필요하다.
생’

Tory Higgins와 그의 동료들은 대학생들에게 어떤 사람의 성격을 기술한 내용을 읽게 하고, 그다음 이 사람을 좋아하거나 싫어한다고
여겨지는 어떤 다른 사람을 위해 그것을 요약하게 시켰다.

실전 적용 ❷ 2013년 시행 대수능 36번

It does this by overvaluing evidence that confirms what we already think or feel and undervaluing or simply
disregard / disregarding evidence that refutes it.
⇢ <It does this by overvaluing ~ and undervaluing or simply ~>과 같이 <by ~ing(~함으로써)> 형태가 병렬 구조로
연결되므로 동명사 disregarding이 정답이다.

그것은 우리가 이미 생각하거나 느끼는 것을 확인시켜 주는 증거를 과대평가하고 그것에 반대되는 증거를 평가절하하거나 또는 단순히
무시함으로써 그러한 일을 수행한다.

22 • 수능 날 점심시간에 보는 Lunch Time

킹콩T런치타임(내지).indd 22 2017. 11. 3. 오후 4:38


Lunch Time

6 형용사 vs. 부사

독해 기술
1) 형용사는 <1. 명사 수식 2. 보어 역할>을 한다.

2
특히, 2형식 동사 뒤 주격 보어 자리와 5형식 동사의 목적격 보어 자리에 형용사를 묻는 문제가 빈출된다.

빈출 어법
형용사는 명사와 마찬가지로 보어 역할을 할 수 있지만 부사는 절대 보어의 역할을 할 수 없다.

* 주요 2형식 동사
look, sound, smell, taste, feel

구문 되새김
seem, appear, look(~인 것처럼 보이다) + 형용사
remain, stay(~인 상태로 남아 있다)
become, turn, grow, go, come(~이 되다)

어휘 정리
* 주요 5형식 동사
keep, find, make, consider, call, leave + 목적어 + 형용사

2) 부사는 명사를 제외한 나머지 품사를 모두 수식한다.


즉, 동사, 형용사, 다른 부사(구, 절), 모든 준동사(준동사도 동사의 성질을 지니므로 부사가 수식), 문장 전체를 수식한다.

유형 연습

1. Some plants taste good and are easily / easy to digest, while others are slightly so.
[정답] easy
[해설] be 동사인 are의 주격 보어 자리이므로 형용사인 easy가 적절하다.
[해석] 어떤 식물은 맛이 좋고 소화가 쉬운 반면 다른 것들은 약간만 그렇다.

2. We can thus preserve the need to fix noon as the time when the sun is highest in the sky
for each country, and also make it easily / easy to understand times between different
zones.
[정답] easy
[해설] <make + 가목적어(it) + 목적격 보어( ________ ) + 진목적어(to understand ~)>의 5형식 구조이므
로 빈칸에는 형용사인 easy가 적절하다.
[해석] 그래서 우리는 각 국가마다 태양이 하늘의 가장 높은 지점에 있을 때를 정오로 고정할 필요를 유지할
수 있고, 또한 다른 시간대 사이의 시간을 이해하는 것이 쉬워졌다.

3. His subconscious would not easily / easy welcome a warlike image.


[정답] easily
[해설] 빈칸은 동사 welcome을 꾸미는 자리이므로 부사 easily를 쓰는 것이 적절하다.
[해석] 그의 잠재의식은 전투적인 이미지를 쉽게 받아들이려 하지 않았다.

• 23

킹콩T런치타임(내지).indd 23 2017. 11. 3. 오후 4:38


3 구문 되새김

중요 구문 개념
<원급 비교> 비교되는 두 개의 대상이 대등함을 나타내는 원급 비교는「~와 마찬가지로 ~하다」는 뜻을
가지는데 그 형태는 다음과 같다.

as + 형용사 원급 + (관사 + 명사) + as ~: ~만큼 형용사하다


as + 부사 원급 + as ~: ~만큼 부사하다
The dinner was as good as I had expected. 식사는 기대했던 것만큼 훌륭했다.
긍정
배수사 + as + 형용사/부사 + as ~: ~보다 몇 배 형용사/부사하다
This new download program is three times as fast as my previous one.
이 새 다운로드 프로그램은 내가 쓰던 것보다 세배가 빠르다.

not + as[so] + 형용사 원급 + (명사) + as ~: ~만큼 형용사하지 않다


부정 not + as[so] + 부사 원급 + as ~: ~만큼 부사하지 않다
I haven’t got as much money as I thought. 생각했던 것만큼 많은 돈을 받지 못했다.

<조건의 부사절>
■ if + 절 (만약 ~라면)
■ unless + 절 (만약 ~하지 않으면)
■ in case (that) + 절 (~인 경우를 대비해)
■ as long as + 절 (~하는 한)
■ provided[providing] (that) + 절 (만일 ~라면, ~라는 조건하에)

<주의해야 할 접속사>
■ in that + S + V (~라는 점에서)
■ seeing that + S + V (~이니까)
■ insofar as + S + V (~하는 한)
■ (just) as A so B (A하듯이 B하다)

<상관 접속사 수 일치>


■ no only A but (also) B / not A but B → B에 수 일치
■ either A or B / neither A nor B → B에 수 일치
■ A rather than B / A as well as B → A에 수 일치

24 • 수능 날 점심시간에 보는 Lunch Time

킹콩T런치타임(내지).indd 24 2017. 11. 3. 오후 4:38


Lunch Time

<도치>

독해 기술
■ Here/There 도치 구문
■ 부정어가 문두에 오는 경우
■ only + 부사구[절]

빈출 어법
■ 장소나 방향을 나타내는 부사구로 시작하는 문장
■ 주어가 길거나 보어를 강조할 때

3
■ so/such 도치

구문 되새김
so + 형용사 + be동사 + 주어 + that절
너무 ~해서 -하다
such + (관사 + 명사) + be동사 + 주어 + that절

■ 기타 도치 (as + be동사/did/do/does + 주어 (앞서 ~한 것과 같이), 비교급 + than + do + 주어,

어휘 정리
So/Neither, Nor + 조동사 + 주어 (역시 ~하다/또한 ~하지 않다)) 등

※ 목적어가 문두에 나오는 경우는 도치 X

• 25

킹콩T런치타임(내지).indd 25 2017. 11. 3. 오후 4:38


4 44 4 44 4 44

2017년 시행 주요 문장 분석

3월 학평 33번

If you are taking a ①highly specialized or vocational degree, / you may well know
② what career you are aiming for even before you get to university, / but for most
science and technology undergraduates university is an adventure in itself; /
ideas about a career may be ③in your thoughts, but ③not completely fixed.

① 부사 highly는 형용사 specialized or vocational을 꾸민다. highly는 여기서 ‘매우’라는 뜻의 강조 부사로


very와 동의어이다.
② 타동사 know의 목적어는 ‘what career you are aiming for’이다. what은 의문형용사로서 명사 career를
꾸미며 명사절 접속사 기능이다.
③ be동사의 보어는 전명구인 in your thoughts이다. ‘not completely’는 ‘완전히 ~는 아닌’이라는 뜻으로 부분
부정을 나타낸다.

해석

만약 여러분이 매우 전문적이거나 직업과 관련된 학위를 취득하고 있다면, 대학교에 가기도 전에 어떤 직업을 목표로 하고 있는가를 당연
히 알겠지만, 대부분의 과학 기술 학부생들에게 대학교는 그 자체로 모험이다. 즉 어떤 직업에 대한 생각이 머릿속에 있을 수는 있지만, 완
전히 확정된 것은 아니다.

3월 학평 38번

Even though ①well over a billion dollars is spent every year on promoting new
movies, / ②people talking to people is ③what really counts.

① ‘well over a billion dollars is spent’에서 부사 well은 전명구를 강조한다. 또한 주어가 a billion dollars와 같
이 복수 명사이지만 집합적 개념으로 단수 취급해서 동사에 is가 나온다.
② 주절의 주어는 people talking to people이다. 동명사구 주어(talking to people) 앞에 의미상 주어(people)가
삽입되었다.
③ is의 보어는 ‘what really counts’이다. what은 ‘~하는 것’이라는 의미로 what 뒤에 주어가 없는 불완전한 절
이 나온다.

해석

10억 달러가 훨씬 넘는 돈이 매년 새 영화를 홍보하는 데 쓰이지만, 사람들이 사람들에게 말하는 것이 정말로 중요한 것이다.

26 • 수능 날 점심시간에 보는 Lunch Time

킹콩T런치타임(내지).indd 26 2017. 11. 3. 오후 4:38


Lunch Time

독해 기술
4월 학평 28번

It was only in 1837, with the invention of the electric telegraph, ②that the

빈출 어법

traditional link between transport and the communication of messages was


broken.

3
구문 되새김
① ‘It was only in 1837 ~ that ~’은 ‘it that 강조구문’이다. 강조어구가 부사구이므로 that 뒤에 완전한 절이 나온다.
② that절 이하의 주어는 ‘the traditional link’이고‘between transport and the communication of messages’는
수식어구이다. 주어가 단수형이므로 동사도 단수 취급(was)했다.

어휘 정리
해석

운송과 메시지 연락 사이의 전통적인 관계가 깨진 것은 바로 1837년 전기 전신의 발명으로 인해서였다.

4월 학평 31번

In psychology, / a ‘model’ of something should never ②be taken as an exact copy


of the thing ①[being described], but rather as a representation of it.

① [being described]는 the thing을 꾸미는 분사이다. ‘설명되고 있는’과 같이 진행 중인 상황을 강조하므로
being을 생략하지 않는다.
② ‘take A as B(A를 B로 간주하다)’ 구문이 수동태로 쓰였다. 여기서는 ‘A ~ never be taken as B1, but rather
as B2’로 변형되었다.

해석

심리학에서 어떤 것의 ‘모델’은 설명되고 있는 그것의 정확한 복제로 결코 간주되어서는 안 되고, 오히려 그것의 표상으로 간주되어야 한다.

• 27

킹콩T런치타임(내지).indd 27 2017. 11. 3. 오후 4:38


4 44 4 44 4 44

2017년 시행 주요 문장 분석

4월 학평 36번

This effect is not compensated by the opposite effect in the southern hemisphere /
because ①most of the land mass is north of the equator.

① ‘most of the land mass is ~’는 ‘most of the 불가산 명사 + 단수 동사’ 패턴이다. 추가로, ‘most of the 가산
복수 명사 + 복수 동사’ 패턴도 기억해 둔다.

해석

이런 효과는 대륙의 대부분이 북반구에 있기 때문에 남반구의 반대 효과에 의해 상쇄되지 않는다.

4월 학평 41~42번

①② As remarkable as our ③ability to see or hear is our capacity to disregard.

① 문장의 주어는 ‘our capacity to disregard’이고 동사는 is이며 ‘as remarkable as our ability to see or hear’
는 주격 보어이다. 보어가 강조되어 문두로 이동하며 주어와 동사의 어순이 도치되었다.
② ‘as 형용사/부사 as’ 원급 구문에서 is의 보어 역할이므로 형용사 remarkable이 쓰였다.
③ ability to R과 capacity to R은 모두 ‘~할 수 있는 능력’이라는 뜻이다.

해석

보거나 듣는 우리의 능력만큼 놀라운 것이 우리의 무시하는 능력이다.

28 • 수능 날 점심시간에 보는 Lunch Time

킹콩T런치타임(내지).indd 28 2017. 11. 3. 오후 4:38


Lunch Time

독해 기술
6월 평가원 33번

Later came the spinning jenny, the water frame, and Crompton’s mule ―

빈출 어법

spinning machines ②[that became symbols of the Industrial Revolution].

3
① <부사(Later) + 동사(came) + 주어(the spinning jenny, the water frame, and Crompton’s mule)>와 같이

구문 되새김
주어와 동사가 도치된 어순이다.
② [that became symbols of the Industrial Revolution]은 spinning machines를 꾸미는 관계절이다.

어휘 정리
해석

그 후에 다축 방적기, 수력 방적기, Crompton의 뮬 정방기(精紡機)가 출현했는데, 이것들은 산업혁명 시대의 상징이 된 방적기들이었다.

6월 평가원 34번

① As improbable as this may seem, / the bodily fluids of aquatic animals show
a strong similarity to oceans, / ②and indeed, most studies of ion balance in
freshwater physiology document the complex regulatory mechanisms ③[by which
fish, amphibians and invertebrates attempt to maintain an inner ocean in spite of
surrounding fresh water].

① ‘As improbable as this may seem’은 ‘Although it may seem improbable’의 의미로 볼 수 있다. 2형식 동사
seem의 보어 역할이므로 형용사 improbable이 쓰였다.
② 등위접속사 and는 두 개의 주절을 병렬로 연결한다.
③ [by which fish, amphibians and invertebrates attempt to maintain an inner ocean in spite of
surrounding fresh water]는 complex regulatory mechanisms를 꾸미는 관계절이다. ‘전치사 + 관계대명사’
뒤에는 완전한 절이 나온다.

해석

이것이 있을 법하지 않게 보일지는 모르지만, 수중 동물의 체액은 바다와의 강한 유사성을 보여주고 있으며, 실제로 담수 생리의 이온 균형
에 관한 대부분의 연구는 어류, 양서류, 무척추동물이 주변의 담수에도 불구하고 내부의 바닷물 상태를 유지하려고 하는 복잡한 조절 기제
를 상세히 기록하고 있다.

• 29

킹콩T런치타임(내지).indd 29 2017. 11. 3. 오후 4:38


4 44 4 44 4 44

2017년 시행 주요 문장 분석

6월 평가원 34번

① The idea of a fish in a freshwater lake ②struggling to accumulate salts inside


its body to mimic the ocean reminds one of the other great contradiction of the
biosphere: ③plants are bathed in an atmosphere ④[composed of roughly three-
quarters nitrogen], yet their growth is frequently restricted by lack of nitrogen.

① <주어(The idea ~) + 동사(reminds) + 목적어(one) + 전명구(of the other great contradiction ~)>의 구조이다.
‘remind A of B’는 ‘A에게 B에 대해 상기시키다’라는 뜻이다.

② of의 목적어는 동명사구인 ‘struggling ~’ 이하이고, a fish는 동명사의 의미상 주어이다.


③ ‘the other great contradiction of the biosphere’와 콜론(:) 이하는 동격 관계이다.
④ [composed of roughly three-quarters nitrogen]은 an atmosphere를 꾸미는 분사구이다.

해석

담수호에 있는 물고기가 바다를 흉내 내려고 자기 몸속에 염분을 축적하려고 애쓰고 있다는 생각은 우리에게 생물권의 또 다른 거대한 모
순, 곧 식물은 대략 3/4에 이르는 질소로 구성된 환경 속에 감싸여 있지만, 그들의 성장은 질소 부족에 의해 제한되는 경우가 빈번하다는 것
을 상기시킨다.

7월 학평 37번

This phenomenon, [known as the Hawthorne effect,] ①makes it difficult to


determine ②whether the observed behavior is a product of the stimulus ③[being
introduced] or merely a product of the experimental situation itself.

① <주어(This phenomenon ~) + 동사(makes) + 가목적어(it) + 목적격 보어(difficult) + 진목적어(to determine


~)>의 5형식 어순이다. 동사 make는 목적격 보어에 형용사가 나온다.
② determine의 목적어는 ‘whether ~ itself’라는 명사절이다. 여기서 whether는 명사절 접속사로 ‘~인지’라는
뜻이다.
③ [being introduced]는 the stimulus를 꾸민다.

해석

‘Hawthorne effect’라고 알려진 이 현상은 그 관찰된 행동이 도입되고 있는 자극의 결과인지 아니면 단지 실험 상황 그 자체의 결과인지 결
정하는 것을 어렵게 만든다.

30 • 수능 날 점심시간에 보는 Lunch Time

킹콩T런치타임(내지).indd 30 2017. 11. 3. 오후 4:38


Lunch Time

독해 기술
7월 학평 39번

At the opposite end of the spectrum are those ②[who want to assign an exact

빈출 어법

figure to everything].

3
① <부사구(At the opposite end of the spectrum) + 동사(are) + 주어(those ~)>와 같이 부사구가 문두에

구문 되새김
오면서 주어와 동사의 어순이 도치되었다.
② [who want to assign an exact figure to everything]은 지시대명사 those를 꾸미는 관계절이다.

어휘 정리
해석

그 스펙트럼의 정반대쪽 끝에는 모든 것에 정확한 숫자를 부여하기를 원하는 사람들이 있다.

9월 평가원 31번

The thing about creativity is ①that at the outset, you can’t tell ②which ideas will
succeed and which will fail.

① is의 보어는 that이 이끄는 명사절이다. 명사절 접속사 that 뒤에는 완전한 절이 나온다.
② 타동사 tell의 목적어는 ‘which ideas will succeed and which will fail’이다. 첫 번째 which는 ideas를 꾸미
는 의문형용사이고, 두 번째 which는 의문대명사이다. 공통적으로 명사절 접속사 기능이다.

해석

창의성에 관한 중요한 것은, 처음에는 여러분이 어떤 아이디어가 성공하고 어떤 아이디어가 실패할 것인지를 알 수 없다는 것이다.

• 31

킹콩T런치타임(내지).indd 31 2017. 11. 3. 오후 4:38


4 44 4 44 4 44

2017년 시행 주요 문장 분석

9월 평가원 33번

To ①help the child to develop a new story, / the counsellor and child search for
times ②[when the problem has not influenced the child or the child’s life] and
focus on the different ways ③[the child thought, felt and behaved].

① <help + the child + to develop>은 5형식 구조이다. 동사 help는 목적격 보어에 to 부정사가 나오거나, 경우
에 따라 to가 생략된 원형부정사가 나온다.
② [when the problem has not influenced the child or the child’s life]는 times를 꾸미는 관계절이다. when은
시간을 선행사로 하는 관계부사이다.
③ [the child thought, felt and behaved]는 ways를 꾸미는 관계절이다.

해석

아이가 새로운 이야기를 전개하는 것을 돕기 위해, 상담사와 아이는 그 문제가 아이와 아이의 삶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던 시간을 찾아내어
아이가 생각하고, 느끼고, 행동했던 다른 방식에 초점을 둔다.

9월 평가원 34번

People ①[rooted in landscape] may feel close ties to other community members
and may resent the incursion of outsiders ②[who they believe are different and
challenge their common identity].

① [rooted in landscape]은 People을 꾸미는 분사구이다.


② [who they believe are different and challenge their common identity]는 outsiders를 꾸미는 관계절이다.
관계대명사 who 뒤에 나오는 they believe는 삽입절로 생략이 가능하다.

해석

풍경에 뿌리를 둔 사람들은 공동체의 다른 일원들과 강한 유대감을 느낄 수 있으며, 자신들과는 다른 그리고 자신들의 공통된 정체성에 도
전한다고 여겨지는 외부인이 몰려드는 것에 분개할 수도 있다.

32 • 수능 날 점심시간에 보는 Lunch Time

킹콩T런치타임(내지).indd 32 2017. 11. 3. 오후 4:38


Lunch Time

독해 기술
9월 평가원 37번

In contrast to the diversity ②[it is applied to], / the meaning of this term

빈출 어법

continues to ③be mostly based on Western views and values.

3
① ‘in contrast to’는 ‘~와 대조로’라는 뜻의 전치사구이다.

구문 되새김
② [it is applied to]는 the diversity를 꾸미는 관계절이며, 목적격 관계대명사는 생략되었다.
③ ‘be based on’은 ‘~에 기반을 두다, 근거를 두다’라는 뜻이다.

어휘 정리
해석

그것이 적용되는 다양성과는 대조적으로 이 용어의 의미는 대체로 서양의 관점과 가치에 계속해서 기반을 두고 있다.

10월 학평 34번

①Key to this process is a search within one’s own mind for a model ②[according to
which reformed practice can be organized].

① <보어(Key to this process) + 동사(is) + 주어(a search ~)>의 2형식 구문으로, 주격보어가 문두에 나와 주어와
동사가 도치된 어순이다.
② [according to which reformed practice can be organized]는 a model을 꾸미는 관계절이며, ‘전치사(구)
(according to) + 관계대명사(which)’ 뒤에는 완전한 절이 나온다.

해석

이 과정의 핵심은 개혁된 관행이 구성될 수 있는 모형에 대한 마음속 탐색이다.

• 33

킹콩T런치타임(내지).indd 33 2017. 11. 3. 오후 4:38


4 44 4 44 4 44

2017년 시행 주요 문장 분석

10월 학평 34번

It is a structure ①[thought to provide access ②as close to the first principles of


architecture as it is possible to get], / ③yet traces of this structure exist nowhere
④ other than in the mind’s eye of the architect searching for it.

① [thought to provide access as close to the first principles of architecture as it is possible to get]은 명사
a structure를 꾸미는 분사구이다.
② ‘as close ~ as ~’는 원급 구문이다. 명사 access를 꾸미는 역할이므로 형용사 close가 쓰였다.
③ yet은 등위접속사 but과 동의어이다.
④ ‘other than’은 ‘~을 제외하고’라는 뜻의 전치사구이다.

해석

그것은 건축의 제1원리들에 가능한 한 가까운 접근을 제공하는 것으로 여겨지는 구조물이지만, 이 구조물에 대한 흔적은 그것을 찾는 건축
가의 마음의 눈을 제외하고는 어디에도 존재하지 않는다.

10월 학평 34번

Even though it is impossible to get there / ①returning to paradise nonetheless


remains a reasonable destination for the memory, / ②still able, by way of example,
to fulfill its promise to the here and now.

① 문장의 주어는 ‘returning to paradise’라는 동명사구이고 동사는 remains이다.


② 주절 뒤에 나온 ‘still able ~ to’는 형용사구로 주절을 부연하며, 앞에 ‘which is’가 생략된 구조로 볼 수 있다.
‘able to R’ 사이에 전명구인 ‘by way of example’이 삽입되었다.

해석

그곳에 도달하는 것은 불가능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낙원으로 되돌아가는 것은 여전히 기억에게는 합당한 목표로 남아 있으며, 여전히
사례를 통해 지금 여기에 그 약속을 지킬 수 있다.

34 • 수능 날 점심시간에 보는 Lunch Time

킹콩T런치타임(내지).indd 34 2017. 11. 3. 오후 4:38


Lunch Time

독해 기술
10월 학평 39번

Should two ideas directly contradict one another, / “resistance occurs” and

빈출 어법

“concepts become forces / when they resist ②one another.”

3
① ‘Should two ideas directly contradict one another’는 ‘If two ideas should directly contradict one

구문 되새김
another’라는 가정법 미래 구문에서 if가 생략되고 주어와 조동사가 도치된 어순이다.
② ‘one another’는 ‘서로’라는 뜻의 상호대명사로, 각각 타동사인 contradict와 resist의 공동 목적어 역할을 한다.

어휘 정리
해석

두 생각이 서로와 직접적으로 모순될 경우에는 ‘저항이 발생하고’ ‘서로에 저항할 때 개념은 힘이 된다.’

10월 학평 39번

They repel one another with an energy ①[that propels one of them beyond
consciousness, into a place ②{that Herbart ③referred to as “a state of tendency”};
and {we now know as “the unconscious.”}]

① [that propels ~ “the unconscious”]는 an energy를 꾸미는 관계절이다.


② {that Herbart referred to as “a state of tendency”} and {we now know as “the unconscious”}는 a place를
꾸미는 관계절이다. ‘beyond consciousness’와 뒤에 나온 콤마와 세미콜론 이하는 모두 동격 관계이다.
③ ‘refer to A as B’는 ‘A를 B라고 부르다’라는 뜻이다.

해석

그것들은 그것 중 하나를 의식 너머로, 즉 Herbart가 ‘성향의 상태’라고 지칭했고, 우리가 지금은 ‘무의식’으로 알고 있는 곳으로 몰아내는 힘
으로 서로를 밀어낸다.

• 35

킹콩T런치타임(내지).indd 35 2017. 11. 3. 오후 4:38


4 어휘 정리
주요 다의어 LIST 다의어 : 의미가 여러 개인 단어

■ accommodate : ➊ 수용하다 ➋ 공간을 제공하다 ➌ (환경에) 맞추다 ■ firm : ➊ 단단한, 딱딱한 ➋ (뜻이) 확고한 ➌ 회사

■ account : ➊ 계좌 ➋ 설명, 이야기 ➌ 설명하다, 차지하다(for) ■ hold : ➊ 쥐다, 잡다 ➋ 보유하다 ➌ 생각하다, 믿다

■ address : ➊ (문제를) 해결하다 ➋ (이름 등을) 부르다 ➌ 연설하다 ➍ 주소 ■ meet : ➊ 만나다 ➋ (요구 등을) 충족시키다

■ appreciate : ➊ 감사하다 ➋ 감상하다 ➌ 진가를 알다 ➍ 평가하다 ■ minute : ➊ 사소한, 적은 ➋ (시계의) 분

■ attend : ➊ 참석하다 ➋ 시중들다 ➌ 주의를 기울이다(to) ■ performance : ➊ 공연 ➋ 수행 ➌ 성과 ➍ 성능

■ breed : ➊ (동물이) 새끼를 낳다 ➋ 양육하다 ➌ (동물의) 품종 ■ present : ➊ 출석한 ➋ 현재의 ➌ 제시하다 ➍ 선물

■ challenge : ➊ 도전 ➋ 어려운 과제 ➌ 이의를 제기하다 ➍ (시합을) 걸다 ■ promote : ➊ 촉진하다 ➋ 승진하다 ➌ 홍보하다

■ commit : ➊ 전념하다 ➋ (범죄 등을) 저지르다 ■ property : ➊ 재산 ➋ 부동산 ➌ 특성

■ company : ➊ 회사 ➋ 단체 ➌ 동행, 함께 있음 ■ raise : ➊ 올리다 ➋ (기금을) 모으다 ➌ (아이를) 기르다 ➍ (임금) 상승

■ contract : ➊ 계약하다 ➋ 수축하다 ➌ (병에) 걸리다 ➍ 계약(서) ■ relative : ➊ 상대적인 ➋ 관련된 ➌ 비례하는 ➍ 친척

■ deliberate : ➊ 의도적인 ➋ 신중한 ➌ 심사숙고하다 ■ sense : ➊ 감각 ➋ 분별 ➌ 깨닫다 ➍ (단어 등의) 의미, 뜻

■ deliver : ➊ 배달하다 ➋ 출산하다 ➌ (말로) 전달하다 ■ subject : ➊ 실험 대상자 ➋ 과목 ➌ ~을 받기 쉬운 (to)

■ due : ➊ 마감인 ➋ ~ 때문에 (to) ➌ 정당한 ■ suit : ➊ 적합한 ➋ 어울리다, 딱 맞다 ➌ 정장 ➍ 소송

■ exhaust : ➊ 기진맥진하게 하다 ➋ 소모시키다 ➌ 배기가스 ■ term : ➊ 학기 ➋ 용어 ➌ 임기, 기간 ➍ (계약 등의) 조건(terms)

■ favor : ➊ 호의 ➋ 부탁 ➌ 지지하다 ➍ 편애하다 ➎ 호의를 보이다, 찬성하다 ■ yield : ➊ 생산하다 ➋ 항복하다 ➌ 양도하다 ➍ 산출량

주요 유의어 LIST 유의어(동의어) : 주요한 뜻이 서로 같거나 비슷한 단어

■ considerable : 상당한, 많은 ■ evade : 피하다, (법망을) 빠져나가다 ■ praise : 칭찬하다, 찬사


■ significant : 상당한, 유의미한 ■ avoid : 피하다, 회피하다 ■ compliment : 칭찬하다, 찬사

■ extend : 확장하다, 연장하다 ■ alienation : 소외, (관계의) 소원 ■ restriction : 규제, 제한


■ expand : 확장하다, 확대하다 ■ isolation : 소외, 격리 ■ regulation : 규제, 법규

■ intentional : 의도적인, 고의로 한 ■ sympathy : 공감, 연민 ■ essential : 필수의, 본질적인


■ deliberate : 의도적인, 신중한 ■ empathy : 공감, 감정 이입 ■ vital : 필수의, 생명과 관련된

■ flourish : 번창하다, 잘 자라다 ■ refuse : 거절하다, 거부하다 ■ weaken : 약화시키다, 무력해지다


■ prosper : 번창하다, 번영하다 ■ decline : 거절하다, (수가) 줄어들다 ■ undermine : (기반을) 약화시키다

■ preserve : 보존하다, 보호하다 ■ automatically : 무의식적으로, 자동적으로 ■ ambiguous : 모호한, 중의적인


■ conserve : 보존하다, 아껴 쓰다 ■ unconsciously : 무의식적으로, 무심결에 ■ vague : 모호한, 희미한

■ inclined : ~하는 경향이 있는(to), 기울어진 ■ discourage : 낙담시키다, 말리다 ■ provoke : (감정을) 유발하다, 화나게 하다
■ likely : ~할 것 같은(to), 가능성 있는 ■ demoralize : 낙담시키다, 사기를 꺾다 ■ evoke : (감정을) 유발하다, 자아내다

■ follow : (규칙을) 지키다, 뒤따라가다 ■ neglect : 무시하다, 방치하다 ■ resistance : 내성, 저항


■ observe : (규칙을) 지키다, 관찰하다 ■ ignore : 무시하다, 못 본 척하다 ■ tolerance : 내성, 관용

36 • 수능 날 점심시간에 보는 Lunch Time

킹콩T런치타임(내지).indd 36 2017. 11. 3. 오후 4:38


Lunch Time

독해 기술
주요 혼동어휘 LIST 혼동어휘 : 철자가 유사하지만 의미가 다른 단어

■ abroad : 해외로 ■ precede : 선행하다, 앞서가다 ■ respective : 각각의 ■ awe : 경외감, 경외하다
■ aboard : 탑승하여 ■ proceed : 나아가다, 진행하다 ■ respectful : 존경하는 ■ owe : 빚지다, 신세 지다

빈출 어법
■ arise : (문제 등이) 발생하다 ■ content : 만족한, 만족시키다 ■ hardness : 단단함 ■ comparable : 비슷한
■ arouse : (느낌을) 불러 일으키다 ■ contents : 내용, 목차 ■ hardship : 고난 ■ comparative : 상대적인

■ banish : 추방하다 ■ adopt : 채택하다, 입양하다 ■ remain : 남아 있다 ■ moral : 도덕적인, 도덕률


vanish : 사라지다 adapt : 적응하다 remains : 유물, 유적 morale : 사기, 의욕

구문 되새김
■ ■ ■ ■

■ attention : 주의, 관심 ■ considerable : 상당한 ■ literate : 읽고 쓸 줄 아는 ■ dominate : 지배하다


■ intention : 의도 ■ considerate : 사려 깊은 ■ liberate : 자유롭게 하다 ■ domestic : 국내의, 가정의

4
■ desirous : 열망하는 ■ hostile : 적대적인 ■ optimal : 최적의 ■ good : 선, 이익

어휘 정리
■ desirable : 바람직한 ■ hospitable : 친절한, 공손한 ■ optional : 선택적인 ■ goods : 상품, 재화

■ complement : 보충하다 ■ artificial : 인공적인 ■ spontaneously : 자발적으로 ■ industrial : 산업의


■ compliment : 칭찬하다 ■ artistic : 예술적인 ■ simultaneously : 동시에 ■ industrious : 근면한

■ diary : 일기 ■ imaginative : 상상력이 풍부한 ■ file : 서류 ■ successful : 성공적인


■ dairy : 낙농업의 ■ imaginary : 가상의 ■ pile : 더미 ■ successive : 연속적인

■ celebrity : 명성, 유명 인사 ■ jealous : 질투심 많은 ■ momentous : 중대한 ■ ingenious : 기발한, 독창적인


■ celebration : 축하, 기념 행사 ■ zealous : 열광적인 ■ momentary : 순간적인 ■ indigenous : 원산의[토착의]

주요 반의어 LIST 반의어 : 뜻이 서로 반대되는 단어

■ wither : 시들다 ■ vulnerable : 취약한, 연약한 ■ convergence : 수렴 ■ drawback : 단점


■ prosper : 번영하다, 번성하다 ■ immune : 면역이 된 ■ divergence : 확산 ■ advantage : 이점, 유리

■ below : ~의 아래에 ■ absence : 부재 ■ exceed : 초과하다 ■ rise : 오르다


■ above : ~의 위에 ■ presence : 존재 ■ fall behind : 뒤떨어지다 ■ fall : 떨어지다

■ criticize : 비판하다 ■ altruism : 이타주의 ■ undermine : 약화시키다 ■ follow : 뒤따르다


■ compliment : 칭찬하다 ■ selfishness : 이기심 ■ strengthen : 강화하다 ■ precede : 앞서가다

■ poverty : 가난 ■ shallow : 얕은 ■ compatible : 양립 가능한 ■ hostile : 적대적인


■ wealth : 풍요 ■ deep : 깊은 ■ incompatible : 양립 불가한 ■ favorable : 호의적인

■ crude : 정제되지 않은 ■ preserve : 보존하다 ■ maximum : 최대 ■ abundant : 풍부한


■ sophisticated : 세련된 ■ abandon : 버리다 ■ minimum : 최소 ■ insufficient : 불충분한

■ conventional : 통상적인 ■ predator : 포식자 ■ scatter : 흩어지다, 흩뿌리다 ■ willing : 기꺼이 하는


■ unusual : 흔치 않은, 드문 ■ prey : 먹이 ■ focus : 집중시키다 ■ reluctant : 꺼리는, 주저하는

■ victim : 피해자, 희생자 ■ curable : 치료 가능한 ■ attach : 붙이다 ■ patient : 인내심 있는


■ offender : 가해자, 범죄자 ■ incurable : 불치의 ■ detach : 분리시키다, 떼다 ■ impatient : 안달이 난

■ restore : 복구하다 ■ prospect : 전망 ■ universal : 보편적인 ■ frequently : 자주


■ destroy : 파괴하다 ■ retrospect : 회상 ■ specific : 구체적인, 특정한 ■ rarely : 드물게

• 37

킹콩T런치타임(내지).indd 37 2017. 11. 3. 오후 4:38


2010-2017 대수능∥9평∥6평 반의어
2017년 시행 9월 평가원 2017년 시행 6월 평가원

(A) disappointed (실망한) satisfied (만족해 하는) denying (부정하다) rationalizing (합리화하다)

(B) artistic (예술의) real (실제의) physical (신체적인) mental (정신적인)

(C) free (자유로운) inseparable (분리할 수 없는) early (초기에) later (나중에)

2016년 시행 대수능 2016년 시행 9월 평가원 2016년 시행 6월 평가원


based (기반한) concentrated (집중된) preset (미리 정해진)
(A)
lost (잃어버린) limited (제한된) self-selected (자기가 선택한)

allows (허용하다) blended (조합된) automatically (무의식적으로)


(B)
forbids (금지하다) subdivided (세분된) intentionally (의도적으로)

mostly (대개) resistant (저항하는) consistency (일관성)


(C)
never (절대 ~ 않다) responsive (호응하는) variation (변화)

2015년 시행 대수능 2015년 시행 6월 평가원

(A) accommodation (수용) destruction (파괴) solitary (혼자 지내는) social (사회적인)

(B) lacked (부족했다) supported (지지했다) insufficient (불충분한) abundant (풍부한)

(C) competing (경쟁하는) cooperating (협력하는) overwhelm (압도하다) overestimate (과대평가하다)

2014년 시행 대수능 2014년 시행 6월 평가원

(A) fuses (결합하다) replaces (대체하다) increasing (늘어나는) decreasing (줄어드는)

(B) diversity (다양성) precision (정확성) promote (장려하다) regulate (규제하다)

(C) underlies (~의 근원이 되다) undermines (기반을 약화시키다) rejected (거부했다) signed (서명했다)

2013년 시행 대수능 A형 2013년 시행 6월 평가원 A, B 공통

(A) frequently (자주) rarely (드물게) false (잘못된) valid (타당한)

(B) attractions (매력적인 요소) distractions (집중을 방해하는 것) dependence (의존) restriction (제한)

(C) decrease (감소하다) increase (증가하다) abundant (풍부한) scarce (드문)

38 • 수능 날 점심시간에 보는 Lunch Time

킹콩T런치타임(내지).indd 38 2017. 11. 3. 오후 4:38


Lunch Time

독해 기술
2012년 시행 대수능 2012년 시행 9월 평가원 2012년 시행 6월 평가원

disastrous (파괴적인) consistently (지속적으로) addiction (중독)


(A)
constructive (건설적인) occasionally (때때로) adaptation (적응)

빈출 어법
inferior (더 못한) originates (비롯되다) wither (시들다)
(B)
superior (더 나은) separates (분리하다) prosper (번성하다)

prone (~하기 쉬운) appealing (매력적인) limited (제한된)

구문 되새김
(C)
resistant (저항하는) misleading (오해의 소지가 있는) accustomed (익숙해진)

4
2011년 시행 대수능 2011년 시행 9월 평가원 2011년 시행 6월 평가원

어휘 정리
evoke (불러일으키다) Altruism (이타주의) complaints (불평)
(A)
erase (지우다) Selfishness (이기심) compliments (칭찬)

impractical (비실용적인) share (공유하다) turned down (소리 등을 낮추었다)


(B)
brand-new (신품의) dominate (지배하다) slowed down (느려지게 했다)

rescued (구제된) conscious (의식적인) triggered (촉발시켰다)


(C)
forgotten (잊힌) unintentional (의도하지 않은) solved (해결했다)

2010년 시행 대수능 2010년 시행 9월 평가원 2010년 시행 6월 평가원

attain (얻다) vulnerable (취약한) beneficial (이로운)


(A)
avoid (피하다) immune (면역이 된) disastrous (해로운)

optimal (최적의) dense (빽빽한) reduced (줄어든)


(B)
minimal (최소의) deficient (결핍된) increased (늘어난)

uncomplicated (복잡하지 않은) greedily (탐욕스럽게) poverty (가난)


(C)
intricate (복잡한) moderately (적당히) wealth (풍요)

• 39

킹콩T런치타임(내지).indd 39 2017. 11. 3. 오후 4:38


MEMO

킹콩T런치타임(내지).indd 40 2017. 11. 3. 오후 4:38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