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6

III.

생산요소와 국제무역 (1) : 특정요소 (Specific Factors) 모델

1. 경제구조와 PPF

두 재화 X, Y
X 재 생산을 위해 노동 , 자본의 생산 요소 필요 : X=F(L, K)
Y 재 생산을 위해 노동 , 토지의 생산 요소 필요 : Y=G(L, T)

노동은 양 산업간에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는 생산요소


자본은 Y 산업 , 토지는 X 산업에서만 사용되는 특정요소 한계생산체감의 법칙
( 수확체감의 법칙 )
X Y : 고정된 양의 생산요소 ( 자본
또는 토지 ) 에 노동의 투입을
추가적으로 증가시키는 경우
노동의 한계생산성 감소

𝐿𝑋 𝐿𝑌
PPF
Y 2 사 분면 : Y 산업 생산함수
4 사 분면 : X 산업 생산함수
a 3 사 분면 : 45 도선 += ( 노동완전고용 )
1 사 분면 : PPF

b 볼록한 PPF

X 재 1 단위 추가적 생산을 위해 필요한


𝐿𝑌 𝐿𝑎𝑌 𝐿𝑏𝑌 노동의 양은 계속 증가
X
 포기해야하는 Y 재의 양 , 계속 증가
45 도 선 𝐿𝑎𝑋 : 기회비용체증
+=

𝐿𝑏𝑋

𝐿𝑋
2. 자급자족경제 균형
Y 자급자족 균형점 A

국내가격 =
A
X 산업에서의 노동사용량 =

𝑃 Y 산업에서의 노동사용량은 𝐿𝑌
𝐿𝑌 𝐿𝑌 X

𝐿𝑋

𝐿𝑋
생산요소 가격의 결정

(, K)=(, K)= (X 산업 노동시장 균형조건 )


(, T)=(, T)= (Y 산업 노동시장 균형조건 )

(, K)= (, K)= < 생산요소시장의 균형 >


생산요소
( 자본시장 균형조건 )
가격

(, T)= (, T)=
( 토지시장 균형조건 )

VMP=PxMP
생산요소
수요곡선

생산요소
부존량 ( 공급 )
노동의 산업간 자유로운 이동 : X, Y 양산업의 임금이 일치해야함
양 산업의 노동시장을 하나의 그림으로
O 는 X 산업 노동시장 그림의 원점
A선 C선 B선 O’ 은 Y 산업 노동시장 그림의 원점
OO’ 길이는 총 노동부존량

X 산업에 노동공급량이 Y 산업에 노동공급량이


인 경우 (A 선이 노동공급선 )
’ a X 산업 노동시장균형점은 a, Y 산업
노동시장균형점은 B
c
𝑊 a’ ’
X 산업의 임금 =’ Y 산업의 임금 =’
X 산업 임금이 높으므로 노동은 Y 산업에서 X
산업으로 이동 노동공급선 우측으로 이동
𝑉𝑀𝑃 𝑌𝐿 b
𝑉𝑀𝑃 𝐿𝑋
노동공급선이 B 선이라면 , Y 산업에서의 임금이
O O’ 더 높으므로 노동은 Y 산업으로 이동 
노동공급선 좌측 이동
𝐿𝑋 ′ 𝐿𝑌 ′
균형 : 노동공급선 C 선 . 균형임금 =
생산요소 시장의 균형

(, K)=(, K)==(, T)=(, T)

(, K)=(, K)=

(, T)= (, T)=

재화의 가격이 결정되면 , W, , 값 결정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