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8

I.

일반적 국제무역 모델 (General Model)

1. 생산과 소비 균형

(1) 생산 균형

생산가능곡선 (Production Possibility Curve: PPC) ( 생산가능변경 (Production Possibility Frontier: PPF)
: 자국의 생산 자원을 완전히 활용해서 최대한 생산할 수 있는 두 재화 (X, Y 재 ) 의 다양한 조합을
나타내는 궤적
Y
- a, b, c 점은 생산자원이 완전히 사용된 상태에서
(X, Y) 의 생산점 들 . 이러한 무수히 많은 생산점들이 존재 .
이러한 점들을 연결한 궤적이 PPF.
a d
- PPF 는 당연히 우하향 할 것 . X(Y) 재 생산을 더 많이 하기
b 위해서는 Y(X) 재 생산을 줄여야
- d 점은 이 나라의 생산자원 부족으로 생산 불가능한 점
e - e 점은 생산가능하나 자원이 완전히 활용되지 않은 상태
c - PPF + PPF 안의 영역 : 생산가능영역

X
PPF 의 전형적인 모양 : 볼록한 (convex) PPF - 기회비용체증경제

X 재 생산을 한 단위씩 증가
-0 에서 1 로 증가할때 Y 생산은 ab 만큼 감소
a -1 에서 2 로 증가할때 Y 생산은 bc 만큼 감소
b
c -2 에서 3 으로 증가할때 Y 생산은 cd 만큼 감소
d -3 에서 4 로 증가할때 Y 생산은 de 만큼 감소 . . .
e
ab < bc < cd <de < ef < fo
f
기회비용체증 : X 생산을 추가적으로 증가시킬 때 포기
해야 하는 Y 의 양은 증가
Y 재 단위로 표시한 X 재의 한계비용 체증
o 한계비용체증의 법칙하에서 PPF 는 볼록한 모습
1 2 3 4 5 6
PPF 의 구체적 모양을 결정하는 것은 ? 생산기술과 생산자원의 양

X 재의 생산함수 : X=F(Rx) Rx 는 X 생산에 투입된 생산자원 F 는 X 산업의 생산기술


Y 재의 생산함수 : Y=G(RY) RY 는 Y 생산에 투입된 생산자원 G 는 Y 산업의 생산기술

RX + RY =F-1(X) +G-1(Y) = R ( 총 생산자원 ) ( 완전고용상태이므로 )

PPF 는 F-1(X) +G-1(Y) = R, 각 산업의 생산기술과 생산자원의 양을 반영

( 예 ) X=RX1/2 Y=RY1/2 ( 생산함수는 한계생산체감 , 비용함수는 한계비용체증 ), R=100


PPF 는 X2 + 4Y2 =100 ( 타원형 )

10
X 재의 절대가격 =PX Y 재의 절대가격 =PY
X 재 생산을 ΔX 만큼 증가 ( 매우 적은 양 ), 이를 위해 Y 생산을 줄여야 , ΔY 만큼 ( 아래 그림 )

현재 생산점 A
X 생산 ΔX 만큼 증가 . 기회비용은 ΔY
A ΔX 만큼 X 생산증대시 생산자 수입은
ΔY PX ·ΔX 만큼 증가
ΔX 대신 Y 생산을 통해 얻을 수 있는 수입 PY ·ΔY 만큼 희생

PX ·ΔX > PY ·ΔY 라면 Y 생산을 X 생산으로 전환 , X↑ Y↓


반대로 PX ·ΔX < PY ·ΔY 인 경우 , X 생산을 Y 생산으로 전환
X↓ Y↑

A 점이 생산균형점이 되기 위한 조건은 ?
A 점에서 PX ΔX = PY ΔY
즉 PX/PY = ΔY/ ΔX
생산균형조건

PX/PY = ΔY/ ΔX

PX/PY =p =X 재의 상대가격 (Y 재 단위로 표시한 X 재 가격 )

ΔY/ ΔX = A 점에서 PPF 의 접선의 기울기

A X 재의 상대가격이 p 일때 생산균형점은
ΔY PPF 의 접선기울기가 p 인 점 , 즉 A
ΔX
PPF 의 각 점에서의 접선의 기울기 ΔY/ ΔX
= 한계변환율 (Marginal Rate of Transformation: MRT)
PX/PY : Y 재 단위로 표시한 X 재의 한계기회비용

생산균형조건의 경제적 의미
Y 재 단위로 표시한 X 재의 가격 =Y 재 단위로 표시한
X 재의 한계비용 ,
즉 가격과 한계비용의 일치 (p=MC) ( 단지 Y 재 단위로
표시했을 뿐 )
(2) 소비균형

가격선 ( 예산제약선 )

PXX+PYY=I I= 국민총소득
국가의 총소득이 두 재화의 소비에 모두 사용되는 경우 최대한 소비할 수 있는 두 재화의
소비량의 다양한 조합들을 연결한 궤적

Y
가격선과 그 안의 삼각형 영역 =
이 국가의 소비가능영역
I/PY
가격선의 기울기 =X 재의 상대가격

← 기울기 =PX/ PY=P

X
I/PX
사회효용 함수 U=U(X, Y) ( 사회후생 함수 W=W(X, Y) )
사회 전체의 X, Y 재화의 소비량에 따라 나타나는 사회 효용 ( 후생 ) 수준

사회무차별곡선 (Social Indifference Curve):=U(X, Y)


일정한 사회효용 수준을 가져다주는 두 재화 사회 소비량의 다양한 조합들의 궤적

개인 소비자의 무차별곡선과 동일한 성격


Y
사회 구성원 각 개인의 선호도는 같다고
( 즉 무차별곡선의 모양은 같다고 ) 전제
→ 사회무차별곡선의 모양도 동일

사회무차별곡선 각 점에서의 접선의 기울기


= 한계대체율 (MRS:Marginal Rate of Substitution)
==

X
소비균형

소비균형점 B

사회무차별곡선의 접선의 기울기


= 가격선의 기울기

즉 MRS=PX/PY=P

B 각 소비자들은 개인의 MRS 와 P 를 일치


( 효용극대화조건 ). 사회 전체적으로도
MRS 와 P 가 일치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