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40

CHAPTER F I V E

5 국제무역론
12 판

요소부존량과 헥셔 - 오린 이론
Dominick Salvatore
John Wiley & Sons, Inc.

Salvatore: International Economics, 12th Edition © 2016 John Wiley & Sons, Inc.
학습목표 :

 국가간 요소 부존량의 차이 때문에 비교우위가 발생


 무역이 국가 내 그리고 국가간 생산요소의
상대가격에 미치는 효과
 무역이 숙련노동과 미숙련노동의 임금 격차에 큰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이유

Salvatore: International Economics, 12th Edition © 2016 John Wiley & Sons, Inc.
5.1 서론

 고전파 경제학자들은 비교우위를 노동생산성 의


격차만으로 설명 .

 헥셔 - 오린 이론은 다음 사항을 포괄하여 기초적


무역모형을 확장
 비교우위의 원인
 무역이 생산요소의 소득에 미치는 효과

Salvatore: International Economics, 12th Edition © 2016 John Wiley & Sons, Inc.
5.2 이론의 가정

 헥셔 - 오린 이론은 다음을 가정함 :


1. 2 국 , 2 개의 상품 및 2 개의 생산요소
2. 기술은 양국에서 동일
3. 양국에서 상품 X 는 노동집약적이고 , 상품 Y 는
자본집약적임
4. 양국에서 상품 X 와 Y 를 생산할 때 규모에 대한
보수가 일정
5. 양국의 생산에서 불완전 특화

Salvatore: International Economics, 12th Edition © 2016 John Wiley & Sons, Inc.
5.2 이론의 가정
 헥셔 - 오린 이론은 다음을 가정 ( 계속 )
6. 양국의 기호는 동일
7. 생산물과 생산요소는 완전경쟁시장에서 거래
8. 생산요소는 국내에서는 완벽하게
이동가능하지만 , 국제적으로는 이동 불가능
9. 수송비 , 관세 및 기타 무역에 대한 장애가
존재하지 않음
10. 양국에서 생산자원은 완전고용됨
11. 국제무역은 국가 간 균형상태에 있음

Salvatore: International Economics, 12th Edition © 2016 John Wiley & Sons, Inc.
5.3 요소집약도 , 요소의 풍부성 및
생산가능곡선의 모양

 요소집약도
 2 개의 상품 , 2 개의 생산요소가 존재하는 경우 , Y 를
생산할 때의 자본 - 노동 비율 (K/L) 이 X 를 생산할 때의
(K/L) 보다 크면 상품 Y 는 자본집약적 이라고 함 .
 자본집약도는 X 와 Y 를 생산할 때 이용되는 노동과
자본의 절대량에 결정되는 것이 아니라 노동 1 단위당
자본의 양 (K/L) 에 의해 결정 .
 마찬가지로 X 의 생산에 이용되는 K/L 이 Y 의 생산에
이용되는 K/L 보다 작으면 , 상품 X 는 노동집약적임

Salvatore: International Economics, 12th Edition © 2016 John Wiley & Sons, Inc.
그림 5-1 1 국과 2 국에서 상품 X 와 Y 에 대한 요소집약도

Salvatore: International Economics, 12th Edition © 2016 John Wiley & Sons, Inc.
5.3 요소집약도 , 요소의 풍부성 및
생산가능곡선의 모양

 요소의 풍부성
 물적단위로 정의하면 :
 2 국이 보유하고 있는 총자본 - 총노동
비율 (TK/TL) 이 1 국의 비율보다 높으면 2 국은
자본풍부국 .

 이 역시 각국이 보유하고 있는 생산요소의


절대량에 의해 결정되지 않고 , 총노동에 대한
총자본의 비율에 의해 결정

Salvatore: International Economics, 12th Edition © 2016 John Wiley & Sons, Inc.
5.3 요소집약도 , 요소의 풍부성 및
생산가능곡선의 모양

 요소의 풍부성
 상대적 요소가격에 의한 정의 :
 2 국에서 노동가격 ( 임금 ) 에 대한 자본가격 (
임대료 ) 의 비율이 (PK/PL) 이 1 국보다 낮으면 , 2
국은 자본 풍부국으로 정의
 자본의 임대가격은 보통 이자율 (r) 을 의미하며 ,
노동시간에 대한 가격은 임금 (w) 이므로 , PK/PL =
r/w.

 한 국가가 자본 풍부국인지를 결정하는 것은 r 의


절대적 수준이 아니라 , r/w 임
Salvatore: International Economics, 12th Edition © 2016 John Wiley & Sons, Inc.
Nation 2 is K-abundant, and
commodity Y is K-intensive

Nation 1 is L-abundant, and


commodity X is L-intensive

그림 5-2 1 국과 2 국의 생산가능곡선의 모양 .

Salvatore: International Economics, 12th Edition © 2016 John Wiley & Sons, Inc.
5.4 요소부존량과 헥셔 - 오린 이론

 헥셔 - 오린 (H-O) 이론은 다음의 두 가지


정리를 기초로 함 (H-O 정리와 요소가격 균등화
정리 ):
1.T 헥셔 - 오린 정리
한 국가는 그 국가가 풍부하게 가진 생산요소를
집약적으로 이용하여 생산하는 상품을 수출하고
희소하게 가진 생산요소를 집약적으로 이용하는 상품을
수입한다 .

Salvatore: International Economics, 12th Edition © 2016 John Wiley & Sons, Inc.
5.4 요소부존량과 헥셔 - 오린 이론

헥셔 - 오린 정리는 다음을 의미 :
 상대적으로 노동이 풍부한 국가는 노동집약적 상품을
수출하고 자본집약적 상품을 수입 .
 상대적으로 자본이 풍부한 국가는 자본집약적 상품을
수출하고 노동집약적 상품을 수입 .
 따라서 헥셔 - 오린 이론은 비교우위를 가정하는 것이
아니라 설명한다 .
 요소부존량의 차이로 무역이전의 가격 차이와 무역패턴을
설명 .

Salvatore: International Economics, 12th Edition © 2016 John Wiley & Sons, Inc.
5.4 요소부존량과 헥셔 - 오린 이론

H-O 정리는 일반균형 모형이다 .


 기호와 소득분배가 상품에 대한 수요를 결정 .
 상품 수요가 이 상품을 생산하는 데 필요한 생산요소에 대한
유발수요를 결정 .
 생산요소에 대한 수요와 공급 ( 요소부존량 ) 이 생산요소의 가격 결정 .
 생산요소의 가격과 기술이 상품 공급을 결정 .
 상품에 대한 수요와 공급이 상품 가격을 결정 .
 상대가격의 차이가 무역패턴을 결정 ( 그림 5.3)

Salvatore: International Economics, 12th Edition © 2016 John Wiley & Sons, Inc.
그림 5-3 헥셔 - 오린 이론의 일반균형 틀 .

Salvatore: International Economics, 12th Edition © 2016 John Wiley & Sons, Inc.
5.4 요소부존량과 헥셔 - 오린 이론

H-O 모형의 예시 ( 그림 5.4)


 양국의 기호는 동일하므로 양국의 무차별곡선 역시
동일 . 그러나 PPFs 가 상이 하므로 자급자족을 할
때의 가격은 차이가 생김 ( 점 A 와 A’).
 무역을 하게 되면 , 가격은 세계가격선 PB 과 같아짐
 양국은 모두 더 상위의 무차별곡선에 도달 .
 각국이 동일한 무차별 곡선에서 시작하여 동일한
무차별곡선에 위치할 필요는 없음 ( 이 그림은 편의상
그렇게 그렸음 ).

Salvatore: International Economics, 12th Edition © 2016 John Wiley & Sons, Inc.
그림 5-4 헥셔 - 오린 모형 .

Salvatore: International Economics, 12th Edition © 2016 John Wiley & Sons, Inc.
요소가격 균등화와 소득분배

 H-O 이론의 기초가 되는 두 번째 정리는 :


2. 요소가격 균등화 정리
국제무역의 결과 동질적 생산요소에 대한 보수는
절대적으로나 상대적으로도 국가간에 균등화 .
 요약하면 , 특화와 무역이 발생한 다음에는 임금과

기타 생산요소의 가격은 국가간에 같아짐 .


 이 정리는 H-O 정리가 성립하는 경우에만 성립 .

Salvatore: International Economics, 12th Edition © 2016 John Wiley & Sons, Inc.
5.5 요소가격 균등화와 소득분배

 요소가격이 균등화되는 이유는 ?


 1 국이 X 의 생산을 증가시키고 ( 따라서 Y 의 생산을
감소시킴에 따라 ), 노동에 대한 수요는 자본에 대한
수요에 비교해 증가 .
 2 국이 Y 의 생산을 증가시키고 ( 따라서 X 의 생산을
감소시킴에 따라 ), 자본에 대한 수요는 노동에 대한
수요에 비교해 증가 .
 임금 (w) 은 ( 저임금 국가인 )1 국에서 상승하고 (
고임금국가인 ) 2 국에서 하락 .
 이자율 (r) 은 ( 자본이 비싼 국가인 ) 1 국에서 하락하고 , (
자본이 싼 국가인 )2 국에서 상승 .

Salvatore: International Economics, 12th Edition © 2016 John Wiley & Sons, Inc.
5.5 요소가격 균등화와 소득분배

 생산요소가 동질적이라면 , 임금과 자본에 대한


가격은 완벽하게 균등화됨 .
 상대적 요소가격의 차이가 존재하는 한 , 상품 가격의
차이가 존재하게 되고 이로 인해 무역이 발생 .
 무역의 확대로 인해 요소 가격의 격차 및 상품 가격의
격차가 감소 .
 상품가격이 균등화될 때까지 무역이 확대되고 , 그
결과 요소가격 역시 균등화됨 ( 그림 5.8)

Salvatore: International Economics, 12th Edition © 2016 John Wiley & Sons, Inc.
그림 5-5 상대적인 요소 가격 균등화 .
Salvatore: International Economics, 12th Edition © 2016 John Wiley & Sons, Inc.
5.5 요소가격 균등화와 소득분배

 H-O 모형의 모든 가정이 성립한다면 , 무역의 결과


생산요소의 가격은 절대적으로나 상대적으로 균등화됨 .

 무역은 자본과 노동의 국제적 이동 가능성을 대체하는


역할을 함 .
 생산요소가 이동가능하다면 , 노동은 고임금국가로
이동하며 자본 역시 이자율이 높은 국가로 이동 .
 따라서 ( 상품가격이 균등화되고 ) 요소가격이 균등화될
때가지 생산요소의 공급 이 조정 .
 무역은 생산요소에 대한 수요의 변화를 통하여 요소가격이
균등화되도록 작동

Salvatore: International Economics, 12th Edition © 2016 John Wiley & Sons, Inc.
5.5 요소가격 균등화와 소득분배

 무역의 결과 생산요소에 대한 보수가 변화하므로


소득분배 역시 변화함 .
 상대적으로 값비싼 ( 희소한 ) 생산요소로부터
상대적으로 저렴한 ( 풍부한 ) 생산요소로 소득이
재분배 .
 따라서 노동풍부국 ( 중국 , 인도 ) 에서는 노동이
이익을 얻는 반면 , 자본풍부국 ( 미국 , 독일 , 일본 )
에서는 자본이 이득을 얻음
 생산요소의 이동가능성은 장기에 더 크기 때문에 ,
이러한 효과는 장기적으로 더 크게 나타남

Salvatore: International Economics, 12th Edition © 2016 John Wiley & Sons, Inc.
5.5 요소가격 균등화와 소득분배

 특수요소 모형
 1 국내에서 노동은 이동 가능하지만 자본은
산업간에 이동 불가능한 것으로 가정 .
 무역이 시작되면 X 의 생산이 증가하고 임금은
상승 ( 노동은 산업간 이동가능하기 때문에 산업간
임금은 같음 ).
 실질 임금에 대한 효과는 명확하지 않음

Salvatore: International Economics, 12th Edition © 2016 John Wiley & Sons, Inc.
5.5 요소가격 균등화와 소득분배

 자본은 각 산업별로 고정되어 있으므로 , 무역을 해도


자본은 이동할 수 없음 .
 X 재 산업에서의 자본에 대한 보수는 증가 .
 Y 재 산업에서의 자본에 대한 보수는 감소
 따라서 전반적으로 무역의 결과 :
 이동 가능한 생산요소에 대한 효과는 불분명 ,
 수출재 부문에 고용된 이동 불가능한 생산요소는 이득
 수입재 부문에 고용된 이동 불가능한 생산요소는 손해

Salvatore: International Economics, 12th Edition © 2016 John Wiley & Sons, Inc.
5.5 요소가격 균등화와 소득분배

 무역으로 인해 동질적인 생산요소에 대한 보수가


균등화되었는가 ?
 보수의 격차가 해소되었다기 보다는 감소 . 이유 ?
 H-O 정리의 모든 가정이 성립하지는 않고 .
 기술변화와 같은 기타의 요인들이 요소가격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임 .
 그러나 요소가격균등화 정리가 1 인당 국민소득의
격차가 해소되거나 감소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음
 노동시장 참여율 , 부양률 및 미숙련노동에 대한
숙련노동의 비율과 같은 기타의 요인들이 국민소득에 더
큰 영향을 미침 .
Salvatore: International Economics, 12th Edition © 2016 John Wiley & Sons, Inc.
5.6 헥셔 - 오린 모형에 대한 실증연구

 실증연구의 어려운 점

 레온티에프 역설
 H-O 이론에 대한 1951 년의 실증연구
 수입품에 대한 데이타가 없었기 때문에 수입대체품에 대한
K/L 를 추정 .
 그 결과 무역 패턴이 헥셔 - 오린 정리의 결론과 일치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남 .
 미국의 수출품은 자본집약적이어야 함에도 불구하고
노동집약적인 것으로 나타남 .

Salvatore: International Economics, 12th Edition © 2016 John Wiley & Sons, Inc.
헥셔 - 오린 모형에 대한 실증연구

 레온티에프 역설이 나타날 수 있는 이유


 2 개의 생산요소를 가정하였기 때문에 노동과 자본의
개념을 명확히 할 수 있는 가정이 필요 .
 미국에서 집중적으로 보호받는 산업은 노동집약적이기
때문에 , 노동집약적 상품의 수입이 감소하고 국내 생산이
증가했을 가능성이 있음 .
 자본의 개념에 인적 자본 ( 교육 , 직업훈련 및 기술 ) 을
무시하고 물적 자본만을 포함시킴 .

 그 후의 연구들은 대체로 헥셔 - 오린 이론을 뒷받침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 실증연구는 아직도 문제점이 있음 .

Salvatore: International Economics, 12th Edition © 2016 John Wiley & Sons, Inc.
헥셔 - 오린 모형에 대한 실증연구

 요소집약도의 역전
 어떤 상품이 노동풍부국에서는 노동집약적이고
자본풍부국에서는 자본집약적임 .
 대체탄력성이란 어떤 상품을 생산할 때 생산요소 사이의
대체가능성의 용이성을 측정 .
 두 산업간 대체탄력성의 차이가 크면 , 요소집약도의 역전이
발생할 가능성이 커짐 .
 요소집약도의 역전이 발생하면 , 헥셔 - 오린 이론과
요소가격 균등화 정리는 더 이상 성립하지 않음 .
 현실세계에서는 드물게 발생하며 , 한 산업에서 천연자원을
상당히 많이 이용할 때 보통 발생함 .

Salvatore: International Economics, 12th Edition © 2016 John Wiley & Sons, Inc.
사례연구 5-1 각 국의 상대적 자원 부존량

Salvatore: International Economics, 12th Edition © 2016 John Wiley & Sons, Inc.
사례연구 5-2 각국의 자본 - 노동 비율

Salvatore: International Economics, 12th Edition © 2016 John Wiley & Sons, Inc.
사례연구 5-3 주요 제품의 요소집약도에 따른 분류

Salvatore: International Economics, 12th Edition © 2016 John Wiley & Sons, Inc.
사례연구 5-5 국제무역으로 인해 미국의 임금
불평등은 확대되었는가 ?

Salvatore: International Economics, 12th Edition © 2016 John Wiley & Sons, Inc.
사례연구 5-6 산업국가 간 실질임금의 수렴

Salvatore: International Economics, 12th Edition © 2016 John Wiley & Sons, Inc.
사례연구 5-7 미국 무역에서의 노동 및 자본 투입량

Salvatore: International Economics, 12th Edition © 2016 John Wiley & Sons, Inc.
사례연구 5-8 숙련노동과 토지가 존재하는 경우의
H-O 모형

Salvatore: International Economics, 12th Edition © 2016 John Wiley & Sons, Inc.
5 장 부록

 1 국과 2 국의 에지워드 상자–재론
 요소가격 균등화 정리에 대한 정형화된 증명
 특수요소 모형
 요소집약도의 역전

Salvatore: International Economics, 12th Edition © 2016 John Wiley & Sons, Inc.
그림 5-7 1 국과 2 국의 에지워드 상자–재론

Salvatore: International Economics, 12th Edition © 2016 John Wiley & Sons, Inc.
그림 5-8 요소가격 균등화 정리에 대한 정형화된 증명

Salvatore: International Economics, 12th Edition © 2016 John Wiley & Sons, Inc.
그림 5-9 특수요소 모형 .
Salvatore: International Economics, 12th Edition © 2016 John Wiley & Sons, Inc.
그림 5-10 요소집약도의 역전 .
Salvatore: International Economics, 12th Edition © 2016 John Wiley & Sons, Inc.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