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22

제Ⅲ편

기업의 생산 , 비
용및 이윤
미시경제학 제 7 장 이영환
07
기업의 생산함수

미시경제학 제 7 장 이영환
생산함수

* 생산함수의 의의

- 생산함수 (production function) 는 기업의 효율적인 생


산계획 들을 모두 망라해서 요소투입과 생산물 간의 관계로
정리해 놓은 것이다 .

- 어떤 기업이나 자신의 생산함수를 가지고 있고 , 이에 근


거해 생산결정을 내린다고 본다 .

- 가장 간단한 생산함수는 생산요소가 한 가지인 경우로서


보통 q = f(L) 로 나타낸다 . 여기서 L 은 노동서비스라는 요
소의 투입을 나타낸다 .

미시경제학 제 7 장 이영환
생산함수

미시경제학 제 7 장 이영환
생산함수

- 가장 보편적인 생산함수는 생산요소로서 노동 (L) 과 자본


(K) 을 투입하는 경우이다 . 보통 q = f(L,K) 로 나타낸다 .
여기서  K = K0 와 같이 일정한 수준에 고정되어 있다고 가정하
면 단기생산함수이고 , 그렇지 않으면 장기생산함수이다 .

- 생산요소가 여럿인 경우 또는 생산물의 종류가 여럿인 경우


로 생산함수를 확대하는 데 아무런 문제가 없다 .

예 ) q = f(L,K,N,M,I) 여기서 N = 토지 , M = 원료 , I =
정보를 나타낸다 . 단 , 생산요소로 간주되기 위해서는 측정단위
와 단위당 가격이 분명해야 한다 .

미시경제학 제 7 장 이영환
생산함수

* 단기생산함수
- 단기란 생산요소를 고정요소 (fixed input) 와 가변요소
(variable input) 로 구분해야 하는 기간을 말한다 .

- 단기에는 자본은 고정요소 노동은 가변요소로 간주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

- 단기생산함수 q = f(L) 의 특징은 총생산 (TP), 평균생산


(AP), 한계생산 (MP) 의 움직임을 통해 쉽게 파악할 수 있다 .
TP =q =f(L)
q f(L)
AP = =
L L
∆q ∆f(L)
MP = =
∆L ∆L
미시경제학 제 7 장 이영환
생산함수

- 총생산곡선은 다양한 형태를 갖는데 , 다음은 대표적인 경우


들을 보여준다 .

미시경제학 제 7 장 이영환
생산함수

- 총생산곡선으로부터 평균생산곡선과 한계생산곡선이 유도된


다.

- AP 와 MP 간의 관계는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 「 AP 가


증가하고 있으면 MP 가 AP 보다 크고 , AP 가 감소하고 있으면
MP 가 AP 보다 작다 . AP 가 변하지 않으면 MP 도 변하지 않으
며 , 양자는 같다 . 」
미시경제학 제 7 장 이영환
생산함수

* 장기생산함수와 등량선
- 모든 생산요소의 투입이 가변적인 장기생산함수의 특징을
파악하는 가장 간단한 방법은 등량선 (isoquant) 을 이용하는
것이다 .

- 등량선은 일정한 수준의 생산을 가능케 하는 생산요소들의


조합을 모두 연결한 궤적이다 .

- 등량선의 성질과 무차별곡선의 성질은 대부분 일치한다 .


단 , 등량선의 위치는 정확하게 생산량의 수준을 나타낸다는
의미에서 무차별곡선과 다르다 .

- 전형적인 등량선은 원점에 대해 볼록하다 . 이것은 두 요


소 간의 대체가 가능하지만 불완전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 이
점은 무차별곡선과 마찬가지이다 .

미시경제학 제 7 장 이영환
생산함수

이런 경우에 해당하는 대표적


인 생산함수는 콥 - 더글라스
(Cobb- Douglas) 생산함
수로서 q = f(L,K) =
α
AL Kβ 와 같은 형태를 갖는
다.

- 무차별곡선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요소 간의 대체가 불가능하


거나 대체가 완전한 경우도 있다 .

미시경제학 제 7 장 이영환
생산함수

(a) 는 두 생산요소가 대체관계가 아니라 완전보완관계인 경우를 보여준다 .


이에 해당하는 생산함수는 q = min { L/a, K/b } 와 같은 레온티에프
(Leontief) 생산함수이다 . (b) 는 두 생산요소가 완전대체인 경우를 보여
준다 . 이에 해당하는 생산함수는 q = aL + bK 와 같이 선형 생산함수이
다.
미시경제학 제 7 장 이영환
한계기술대체율과 대체탄력성

* 한계기술대체율

- 한계기술대체율 (MRTS) 은 두 요소 간의 대체의 정도를 측정


해 준 다 . 무차별곡선의 경우 한계대체율과 동일한 개념으로서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  

∆K MP L
MRTS LK = − =
∆L MP K

미시경제학 제 7 장 이영환
한계기술대체율과 대체탄력성

- 등량선의 형태가 한계기술대체율의 크기와 추세를 결정한


다 . 원점에 대해 볼록한 등량선의 경우 한계기술대체율은 체감
한다 . 그렇지만 등량선이 직선인 경우 한계기술대체율은 일정
하다 .
미시경제학 제 7 장 이영환
한계기술대체율과 대체탄력성

* 대체탄력성
- 한계기술대체율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 . 요소 간의 대체
의 정도를 측정하는데 , 요소의 측정단위와 무관하다는 장점이
있다 .

- 대체탄력성 (σ) 은 한계기술대체율의 변화와 요소 간의 결합


비율 의 변화라는 두 개의 요인에 의해 결정된다 . 이것은 다음
과 같이 정의된다.K 
 의 변화율
L
σ=  
MRTS 의 변화율

- 이 기준에 의할 때 등량선이 직선인 선형 생산함수의 경우 항


상 σ = ∞ 이다 . 반면 레온티에프 생산함수의 경우 등량선은 L
자형이고 σ = 0 이다 . 일반적으로 등량선이 원점에 대해 볼록한
경우 대체탄력성은 0 < σ < ∞ 의 범위에 있다 .
미시경제학 제 7 장 이영환
한계기술대체율과 대체탄력성

미시경제학 제 7 장 이영환
생산함수의 응용

* 생산극대화의 의의
- 일정한 비용제약하에서 생산을 극대화하는 문제를 생각할 수
있다 . 이것은 예산제약하에서의 효용극대화와 전적으로 같은 문
제이다 . 단 , 기업의 경우 생산극대화가 궁극적인 목표가 아니
다.

- 생산극대화의 MPL 조건은


W 다음과 같다 .
MRTSLK = = ( w = 노동의 가격, v = 자본의 가격)
MPK V

→ 이 조건을 만족하도록 생산요소를 결합하면 생산의 극대화를


달성할 수 있다 .

- 비용제약이 변하면 생산을 극대화하는 요소의 결합도 달라진


다 . 이러한 최적점들을 연결한 궤적을 확장경로 (expansion
path) 라 부른다 .
미시경제학 제 7장 이영환
생산함수의 응용

미시경제학 제 7 장 이영환
생산함수의 응용

* 규모에 대한 수익 (returns to scale)

- 이것은 장기생산함수에만 적용되는 개념으로 , 모든 생산요소


들 을 일정한 비율로 변화시킬 때 생산량의 반응을 따지는 개념
이다 .

- 따라서 한 생산요소만을 변화시킬 때 예상되는 수확체감 ( 체


증 ) 의 법칙과는 전혀 다른 개념이다 .

- 규모에 대한 수익은 다음과 같이 세 가지로 분류된다 .


규모에 대한 수익체증 (IRS) : f(λL,λK) > λf(L,K) =
λq
  규모에 대한 수익불변 (CRS) : f(λL,λK) = λf(L,K) =
λq
  규모에 대한 수익체감 (DRS) : f(λL,λK) < λf(L,K)
미시경제학 제 7 장 이영환 =
생산함수의 응용

- 동차생산함수 (homogeneous production function) 는 규


모에 대한 수익 여부를 쉽게 판별할 수 있도록 해준다 . 이 함
수는 다음과 같은 성질을 만족한다 .

→ f(λL,λK) = λr f(L,K) = λr q 인 경우 r 차의 동차생산함


수라 고 부른다 .
예 ) q = ALαKβ 는 (α+β) 차의 동차생산함수이다 .
q = aL+bK 와 같은 선형 생산함수는 1 차 동차생산함수이
다.

- 동차성의 크기는 규모에 대한 수익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


다.
r > 1 → IRS
   r = 1 → CRS
   r < 1 → DRS
미시경제학 제 7 장 이영환
생산함수의 응용

미시경제학 제 7 장 이영환
생산함수의 응용

* 장 · 단기 생산함수 간의 관계

- 단기생산함수는 장기생산함수에 일정한 요소제약을 가한 것이


다.

- 따라서 기업의 기술적 특성에 관한 정보는 장기생산함수에 더


많이 내포되어 있다 . 

- 그렇지만 현실적으로는 단기생산함수의 개념이 더 쓸모가 있


다 . 왜냐하면 실질적인 생산결정은 단기생산함수에 기초하는 것
이 일반적이기 때문이다 .

- 두 생산함수 간의 관계는 다음과 같이 그래프로 묘사할 수 있


다.

미시경제학 제 7 장 이영환
생산함수의 응용

미시경제학 제 7 장 이영환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