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21

폭설

1302 김지훈 1306 박서연 1311 이지민 1316 조수목


폭설의 발생원인
발생 원인

서울 내륙지방
서울 내륙 지방에 내리는 폭설은 남쪽으로 확장한 시베리아
고기압과 남쪽에서 남서풍을 타고 올라오는 온난 습윤한 공기
덩어리가 만나 내리는 경우가 많음
발생 원인
서해안 지방
겨울철에 시베리아 고기압으로부터 확장해 온 찬 공기가
상대적으로 따뜻한 서해의 해수면 위를 지나오면 눈구름이
발달하여 많은 눈이 내리게 됨
발생 원인
동해안 지방
동해안에 내리는 폭설은 북고남저형 기압
배치가 나타나면서 북쪽의 찬 공기가 남하하면
상대적으로 차가운 공기가 따뜻한 해수면 위를
통과하면서 해수면 온도 차에 의해 불안정해져
눈구름이 크게 발달한다 . 여기에 북동기류가
유입되면 이 눈구름이 태백산맥에 부딪혀
상승하게 되는데 , 이러한 지형적 원인 등으로
폭설이 발생한다 .
발생 원인

울릉도 지방
울릉도는 북동풍의 영향과 함께 동해안의 수증기가 편서풍을
타고 이동해 와 성인종에 부딫혀 눈구름이 발달한다 .
폭설의 피해양상
1. 적설 피해

눈이 많이 쌓여 발생한 피해

적설로 인한 찻길 막힘 적설로 인한 활주로 막힘


2. 설압 피해

눈이 쌓여 생긴 압력에 의한 피해

설압으로 인한 비닐하우스 붕괴 설압으로 인한 공장 붕괴


3. 눈사태 피해

쌓인 눈이 가파른 경사면에서 미끄러져 발생한 피해

눈사태로 인한 주변 마을의 피해 눈사태로 인한 관광지 ( 호텔 ) 피해


4. 착설 피해

젖은 눈이 전선이나 기타 가설물에 부착되어 발생한 피해

애자 위 착설로 인한 피해 전선 위 착설로 인한 피해
5. 교통사고 피해

도로 빙판화에 의한 자동차 접촉사고 등의 피해

눈길 자동차 접촉사고 눈길 고속도로 다중추돌사고


6. 빙판길 낙상 골절

빙판길 위에서 미끄러져 발생한 피해

빙판길 미끄러짐에 의한 외상
+ 의외의 장점

산불 방지 대기질 개선 수자원 확보 가뭄 피해 감소
폭설 피해를 최소화하는 방법
1. 대중교통 이용

개인 차량 이용을 자제하고
대중교통을 이용한다 . 개인
차량을 이용하지 않고 대중교통을
이용함으로써 도로 위에 존재하는
차량의 수를 줄일 수 있다 .
2. 안전 제동거리 유지

차량 운행시 저속 운행하고 , 평소보다


더 먼 안전거리를 확보함으로써 빙판길
위에서의 교통사고를 줄일 수 있다 .
빙판화 된 도로는 평상 시 도로보다
마찰력이 작게 작용하기 때문에
제동거리가 늘어나게 된다 .
3. 제설제

제설제로 사용되는 물질로는 소금 , 염화나트륨 ,


염화칼슘 .

제설제의 원리 :
눈은 얼음과 물이 섞여 있는데 눈에 있는 물이
얼음이 되면서 만든 응고열을 제설제가 빼앗아
가는 것이다 . 눈의 어는점을 낮춰 눈이 얼지 않고
녹아버리도록 한다 .
4. 스노우 체인달기

스노우 체인

마찰력을 높이는 끈적이는


물질같은 스프레이 등으로
마찰력을 높여준다 .
5. 스노우멜팅 시스템

겨울철 강설 및 결빙 시 경사구간이나
곡선구간 , 터널 , 주차장 , 지하차도 , 교량
등 교통사고의 발생이 예상되는 지역에 교통
안전을 확보하는 수단

포장면 아래 일정 깊이에 탄소섬유


발열선을 매설 · 시공하여 온도 및 습도 ,
눈을 자동감지하여 노면의 결빙과 같은
취약지점에 발생되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는 효율적인 제설 시스템
지금까지 들어주셔서 감사합니다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