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9

기능형 콘센트의

시장 기술 보고서

2009. 10
기능형 콘센트의 시장․기술 보고서 (2009.10)

4. 국내외 시장동향

가. 산업특성과 환경

1) 산업개요

본 기술은 컴퓨터 및 모니터, 프린터, 모뎀, 스피커 등 주변기기의 전원을 자동으


로 On, Off 하는 기술로 이로 인해 컴퓨터 주변기기의 대기전력을 최소화하는 컴퓨
터 전용 멀티콘센트 관련 기술이다.
따라서 본 기술이 대상으로 하고 있는 산업은 멀티콘센트라는 기능적 측면에서
는 전기회로개폐, 보호 및 접속장치제조업에 속하는 것으로 볼 수 있고, 용도적 측
면에서는 컴퓨터 및 컴퓨터 주변기기 전용으로 사용되기 때문에 컴퓨터 주변기기산
업의 특성도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산업의 개요를 바탕으로 관련 산업과의 연관 체계도를 살펴보면
<그림 2-1>과 같으며, 본 기술이 포함된 산업의 전방산업으로는 본 기술이 컴퓨터
전용으로 사용되는 제품이므로 컴퓨터 및 프린터와 같은 컴퓨터주변기기 산업을 전
방산업으로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본 기술의 후방산업으로는 멀티탭을 구성하는
요소들인 PCB, 전원 및 USB 케이블, 케이스 소재 등의 산업을 설정할 수 있다.

2) 산업특성

컴퓨터용 멀티콘센트는 중소기업 중심의 산업으로 기술의존도보다는 노동집약적


산업이며, 시장은 이미 성숙기 산업이다.
주로 컴퓨터용에 사용되지만, 각종 전자 제품의 대기전력 차단이 가능하므로, 가
전 제품의 경기변동과 큰 관련이 있다.
하지만, 멀티콘센트 생산 업체는 대부분 영세한 중소기업으로 홍보나 마케팅,
A/S 부분에 취약하고, 시장규모 자체가 크지 않다. 또한, 이미 콘센트 관련 시장은
성숙기 산업으로 기술 변화 속도에 민감하지 않고, 소비자들의 저렴한 제품 선호하
는 인식도 큰 걸림돌이다. 하지만, 공공기관을 중심으로 대기전력 최소화 노력이 진
행되는 추세는 컴퓨터용 멀티콘센트의 성장 가능성 및 국가의 지원이 기대된다. 인
공지능 멀티콘센트의 기술력 확보를 통해 국내외 기술적 우위를 선도가 가능하여,
국외로의 제품 판매 및 기술 이전 가능성이 있다.
기능형 콘센트의 시장․기술 보고서 (2009.10)

나. 시장의 구조

1) 시장의 정의와 범위

컴퓨터용 멀티콘센트는 기본적으로 기업 및 가정에서 사용되는 컴퓨터에 사용되


는 제품으로, 최근 출시된 제품은 컴퓨터용과 일반 가전제품용 등 두 가지 기능이
가능한 제품으로 대기전력의 자동 최소화 시장으로 정의할 수 있다.
관련 제품 생산 기업은 일신전기산업, 두남, 두원, 웰바스, 위너스, 잉카솔류션 등
중소기업이며, 주 수요처는 가정, 기업, 공공기관 등이다.
특히, 정부의 전력감소 정책에 따라 대기전력 자동 최소화 기능이 있는 본 제품
은 초기에는 공공기관을 중심으로 사업 확장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멀티콘센트에 대한 정확한 통계수치 부족으로 통계청에서 제공하는 콘센트를 활
용하여 그 시장을 추정하기로 한다.

2) 시장의 특성 및 구조

현재 웰바스에서 출시된 하이세이버라는 멀티콘센트는 컴퓨터, 일반 가전제품 모


두 사용 가능한 자동 대기전력 차단 제품으로 시장을 콘센트 시장으로 해석하면,
국내 분류상 대분류로 기타 전기기계 및 전기변환장치 제조업, 세분류에 전기회로
개폐, 보호 및 접속장치 제조업에 속하는 품목이라 할수 잇다.

가) 초절전형

기존의 멀티탭에서는 컴퓨터 및 TV등 가전제품을 사용하고 난 후에 사용자의


부주의로 기기의 전원을 완전히 OFF시키지 않는 경우(예”PC 본체의 전원은 끄고
모니터, 스피커, 프린터등의 전원은 끄지 않은 상태)가 많으며 이로 인하여 상당한
전기에너지가 소모되고 있다. 따라서 컴퓨터 자동 멀티탭은 이러한 기존 멀티탭의
단점을 완전히 개선하여 컴퓨터를 사용하고 난 후에 시스템의 본체 전원만 OFF시
키면 약 5∼10초후 인공지능회로가 작동하여 주변기기(모니터, 스피커, 프린터등)의
전원을 자동으로 OFF(플러그를 뽑은 상태와 동일)시킬 수 있다.. 그러므로 편리함은
물론 절전효과를 확실하게 발휘한다..

나) 안전형

전자파 차단 EMI마크 획득
기능형 콘센트의 시장․기술 보고서 (2009.10)

PC 오토탭은 기술표준원으로 부터 전자파 차단 EMI마크를 획득하였으며, 자체


전자파 발생을 차단시킴으로써 사용 중 전혀 해를 주지 않으므로 가정, 병원, 연
구실, 학교, 전산실등 컴퓨터를 사용하는 어떤 환경에서도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
다.

화재예방 효과

PC오토탭은 MAIN 전원을 OFF시 불필요한 전원(SUB측)을 자동으로 차단시켜


주기 때문에 전원을 끄지 않아 발생할 수 있는 화재위험을 사전에 예방한다.

과부하 자동 차단기 부착

과전류, 과전압 및 과부하에 대비하여 자동차단 브레이커를 장치함으로서 어떠한


이상 환경에서도 안전하게 사용 할 수 있다..

SURGE 차단 기능

외부의 순간적인 돌출 충격(낙뢰, surge등)으로부터 기기를 보호하기 위하여


surge 차단 기능을 부가하였다.

다) 주요기능

전원이 자동으로 OFF 됨

기존 멀티탭에서는 가전제품 및 컴퓨터를 사용하고 난 후 전원을 끌때는 각각


기기의 전원을 OFF시킨 후 끝으로 멀티탭의 스위치를 꺼 주어야 하는 불편함
(멀티탭이 책상 밑이나 손이 닿지 않는 곳에 있을 때는 더욱 불편하거나 또는 끄
기가 불가능함)이 있었으나 컴퓨터 자동 멀티탭에서는 PC본체 전원을 OFF시키면
모니터, 스피커, 프린터, 스캐너등 주변기기의 불필요한 전원이 자동으로 차단됨
으로써 컴퓨터 사용이 매우 편리하다. 때문에 일일이 손으로 꺼주어야 하는 기존
멀티탭의 불편함을 근본적으로 해결함은 물론 정돈된 사무실분위기를 위한 OA
사무환경에 적합한 혁신적인 제품이다.

전원이 자동으로 ON 됨
기능형 콘센트의 시장․기술 보고서 (2009.10)

전원을 켤 때는 컴퓨터 자동 멀티탭의 MAIN에 꽂혀있는 PC 본체의 전원만 ON


시키면 동시에 모니터, 프린터, 스피커등 주변기기의 전원이 자동으로 공급됨으로
서 일일이 개별적으로 ON 시켜야 하는 번거로움이 없어 매우 편리함. 또한 TV,
VIDEO와 같이 서로 종속관계에 있는 가전제품은 PC 사용법과 동일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일반용 전원(ALWAYS)

『일반용』전원 접속구에는 항상 전원이 공급됨으로 스탠드ㆍ휴대폰충전기ㆍ프


린터등 일반 전기제품을 꽂아 쓸 수 있으며 언제나 일반 콘센트와 같은 용도로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별도의 콘센트가 필요 없어 아주 편리하다.

다. 시장 현황

1) 시장 동향
<표 4-1> 시장 동향

구분 제품 특징
시간조절전원, 전원타이머 원하는 시간대별로 on, off 조정

광도조절스위치 전등의 광도를 조절하여 전력소비 절약

전력조절 가정용 절전기, PC절전기 절전 안전 및 가전기기 수명을 늘리는 기능


절전장치 제공
절전형 AC드라이브(핀란 발전기 전자 모터 스피드 조절, 30%전력
드) 절감
개별접지멀티탭 각 구(hole)에 개별스위치 장착

2) 네덜란드

네덜란드 정부는 초고유가시대에 대처하고 대체에너지 개발을 위해 풍력 에너지


를 집중 육성코자 추진 중임
대표적인 프로젝트는 2030년 완공 목표하에 현재 법적 논의를 마친 북해연안
8000개의 풍력기 설치 계획으로, 네덜란드 정부 환경사업기관인 센터노벰 관리하에
다수의 기업이 콘소시엄 형태로 빠르면 내년 말부터 추진할 계획임.
기능형 콘센트의 시장․기술 보고서 (2009.10)

네덜란드는 EU 국가 중 환경문제에 능동적으로 대처하는 국가로 평가받고 있으


며, 현재 총 전력생산의 약 5%에 그치고 있는 신재생에너지를 2010까지 8.5%, 2020
년까지 17%까지 확대한다는 계획임. 각종 보조금제도 및 중장기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신재생에너지 개발프로그램 등 다양한 계획을 추진하고 있음.
에너지 절약 정책과 연계하여 2008년 2월 1일부로 에너지 소비수준에 따른 자동
차세 차등 할인세율 적용해서 CO₂배출량에 따른 도로세를 차등적용하고 있음
에너지 라벨에 따라 세율이 달라짐으로써 소비자들의 에너지 등급이 높은 자동
차 구매동기 부여

3) 덴마크

건물의 에너지 라벨링은 건물에너지 절감의 핵심정책으로 정부에 의해 추진되고


있으며 신축 및 기존 건물에 모두 적용되고 있음.
건물 에너지 라벨링은 면적 1500m²이상 건물에 적용되는 ELO Scheme과
1500m²미만 건물(독거인, 아파트, 기타 주택 등)에 적용되는 EM Scheme으로 구분
되며, 특히 공공건물에는 난방 등 에너지 다소비 기기에 대한 유지보수 규정을 따
로 두고 있음
민간부분에 대해서는 소비자 행태를 에너지 절약 방향으로 전환하도록 하기위해
플라스틱 봉지, 플라스틱 포장, 물, 자동차, 폐기물 등에 GreenFee를 부과
산업부분은 부과대상이 민간부분과는 약간 상이한데, 가장 큰 차이점이CO2 Fee
로써 석유·가스·난방 등 모든 에너지 관련 제품에 대해 부과하고 있으며, 물·폐수·
폐기물 등에도 Green Fee 부과
최근에는 에너지 절약 캠페인을 적극 추진하는 한편 에너지 절약 제품을 소비자
들에게 적극 홍보
에너지 절약 펌프, 전기절약 플러그 등 에너지 고효율제품 사용을 일반 국민들에
게 홍보하는 한편 정부가 에너지 절약상품에 대해 가격의 일부를 보조

4) 독일

독일의 에너지 정책은 장기간에 걸쳐 성공적으로 추진되어 왔으며, 최근에는 재


생에너지 확대, 주택 에너지 효율화, 배기가스 배출 억제에 초점을 맞추고 있음
특히 전체 에너지 소비의 30.1%를 차지하는 주거지 에너지 사용효율 개선을 위
해 주택용 친환경에너지 보급을 확대하고 있음
에너지 절약정책 지원방안으로 독일 가정에 에너지 소비 측정이 가능한 하이테
크 계량기를 보급할 예정으로 향후 약 40억 유로 정도까지 투자될 것으로 예상
기능형 콘센트의 시장․기술 보고서 (2009.10)

태양광산업은 2007년에 독일의 선구사업으로 자리매김을 했으며 매출이 바이오


기술을 넘어섰으며 향후 7년 안에 항공 우주산업도 넘어설 전망임.
지난 5년 동안 태양광발전 생산업체들의 매출이 55억 유로로 10배 이상 증가했
으며, 2010년까지 다시 2배로 늘어날 것으로 예상되며, 독일 태양광산업에 대한 투
자증가로 센주(Sachsen), 작센-안할트주(Sachsen-Anhalt),튀링엔주(Thueringen)베를린
-브란덴부르크주(Berlin-Brandenburg)등에 태양광 클러스터가 탄생

5) 미국

미국은 세계에서 에너지를 가장 많이 소비하는 국가이자, 중국과 함께 온실가스


CO₂를 가장 많이 배출해 국제적인 원성을 사고 있기도 함. 과거 발표된 미국의
에너지 절약정책은 이러한 국가적 상황에 비해 관대한 편이었으며 에너지 절약보다
는 환경보호 측면에 초점이 더 맞춰져 있었음
그러나 2004년부터 지속된 고유가가 거듭 최고치를 경신하면서 그 경제적 영향
이 막대해지자 2006년 4월, 부시 대통령은 가격질서 정착, 자동차연비 향상, 원유
및 휘발유 공급 확대, 대체연료 개발 가속화 등을 내용으로 하는 고유가 대책을 발
표한 바 있음
고유가에 이어 2008년 더욱 심화되고 있는 미 경기 불황에 정부와 소비자는 더
욱 진지한 에너지 인식을 갖게 됐으며 에너지 절약의 필요성을 체감하고 있음
2007년 말에는 에너지 안보, 경제 안정 도모, 환경 편익을 위해 신규에너지 법안
을 발표했음. 동 법안은 에너지 규제 기준을 크게 높이는 한 편, 주별로 제각각인
기준을 통일하고 일원화하는 내용을 담고 있음
신규 에너지 법안은 장기적으로 미국 가전제품과 전기 관련제품, 자동차시장에
이르기까지 큰 변화를 예고하고 있음. 관련 제품을 생산하는 제조업체들은 차세대
제품에 따라 특정기일 이후부터는 법으로 정한에너지 효율 기준에 부합하는 제품만
생산·유통시킬 수 있음

6) 벨기에

에너지절약을 유도하기 위해 벨기에 정부는 특히 건물의 에너지 절약에 중점을


두고 건축자재 절연재 사용을 장려금을 통해 적극 유도하고 있음.
벨기에 정부(연방정부와 지방정부)는 기존 주택의 열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지
반, 벽, 바닥 등에 특수 건축자재를 사용해 공사할 때 건축자재를 비롯해 고효율 가
전제품, 난방시설, 태양열판 등의 구매 및 설치 비용의 일부 보조하고 있음
◦ 주택 건축허가나 매매에 에너지 효율 서류첨부 의무화 조치
기능형 콘센트의 시장․기술 보고서 (2009.10)

- 벨기에 왈로니아 지방정부 의회는 4월 18일 건물의 에너지 효율을 장려하기


위한 ‘건물 에너지법’을 채택했음.
- 동법의 시행령은 금년 중 제정되어 시행될 예정으로 이 일정에 따르면 2009년
부터 건물을 건축, 매매, 임대시 에너지 관리 행정기관으로부터 발부받은 건물 에너
지 효율 수준이 표시된 증명서를 첨부해야 하며 첨부하지 않으면 관련 당국은 건축
허가를 발급하지 않을 수 있으며, 벌금이 부과될 수 있음

7) 캐나다

캐나다는 에너지 절약정책은 에너지 절약과 환경보전이라는 두가지 목표를 병행


하고 있으며 중장기적인 에너지 절약 및 온실가스 규제에 역점을 두고 연방 및 주
정부, 주요 에너지 관계사 그리고 환경단체들을 중심으로 홍보 및 실현에 노력 중
연방정부의 자연자원부(Natural Resource Canada)는 지난 2007년 4월 1일부터
‘ecoEnergy’ 프로그램을 시행 중
이 프로그램은 일반주택소유자, 상가 소유자, 중소 산업시설 보유자들이 에너지
절약 및 온실가스 배출감소를 위한 건물 업그레이드 시 5000 캐나다달러의 금융지
원 혜택
2011년 3월 31일까지 유효하며, 이 종료기간까지 개별 건물 업그레이드 시 받을
수 있는 총 금액은 최대 50만 캐나다달러에 달함
각 주정부는 자체적으로 에너지 절약을 위한 인센티브 제공 프로그램을 운영 중
이며, 주로 가정용 전기기기의 Energy Star 인증제품 구매와 에너지 효율 주택 업그
레이드를 지원하고 있음

8) 핀란드

핀란드의 에너지 절약 정책은 2000년에 발표된 “에너지 효율 증대를 위한 실천


계획”, 2001년에 발표된 “에너지와 기후에 관한 국가 전략” 등을 기초로 수립됨.
주무부서처는 고용경제부이며, 모티바(Motiva)라는 정부출자기업을 통해 에너지
절약정책을 집행
고용경제부는 1997년부터 핀란드 산업연합, 에너지산업협회 등 각 산업계 협의체
들과 자발적인 에너지 절감을 위한 자발적협약(VA)를 체결해 오고 있으며 산업, 발
전, 지역난방, 빌딩, 주거, 운송 등 대부분의 에너지 소비부문에서 이를 실천하고 있

2003년 건물단열 관련 규제는 에너지 절약 및 CO₂배출 감소를 목표로 강화되
었으며, 1985년에 비해 단열효과를 20~30% 더 향상시키도록 규제함
기능형 콘센트의 시장․기술 보고서 (2009.10)

2007년에는 건물 외벽과 바닥, 천장 등의 U-밸류(온도가 1도 변할 때마다 m²당


얼마나 많은 열이 방출되는 지를 측정하는 지표)를 설정해 창문표면의 U-밸류를 바
닥의 15%, 외벽의 50%로 규제
또한 건물의 열손실 최대치를 설정해 열회수 환기장치를 설치하거나 일정치의
기밀도를 유지하도록 규제함
냉장고, 냉동고, 전기오븐, 에어컨, 식기세척기, 램프, 세탁기, 건조기 등의 가전제
품에 에너지 소비 효율 등급표시 제도 실시. A에서 G까지의 등급이 있음. 2004년 7
월 부터는 A+, A++ 등급이 도입돼 A 등급 제품전력 소모의 25%, 40%씩을 감소시
킬 때 부여

9) 한국

전기회로 개폐, 보호 및 접속장치의 2006년도 사업체수는 946개소로 2005년도의


935개소와 비교하여 증가, 2006년도 월평균 종사자수는 25,313명으로, 2005년도의
24,424명과 비교하여 증가하였다.
2006년도 1인당 월평균 급여액은 190만원으로, 2005년도의 179만원에 비해 증가,
2006년도 출하액은 54,946억원으로, 2005년도의 47,355억원에 비해 16.03% 증가하는
등 지속적인 성장추세이다.

국내 콘센트의 시장현황을 살펴보기 위해 통계청의 “광업․제조업통계조사 보고


서[품목편]”를 분석한 결과는 아래와 같다.

<표 2-2> 국내 콘센트 시장현황


전년대비
품 목 구 분 2003 2004 2005 2006 증감율
사업체수(개소) 55 48 47 44 -6.4%

콘센트 생산액(백만원) 78,768 99,826 88,742 87,554 -1.3%

출하액(백만원) 78,495 99,195 88,445 88,726 0.3%

자료출처 : 통계청, “광업․제조업통계조사 보고서[품목편]”, 2008. 1.

국내 콘센트의 2006년도 사업체수는 44개소, 2006년도 생산액은 876억원, 출하액


은 887억원으로 감소 추세로 분석되어 국내 콘센트 시장은 하향 산업으로 추정된
다.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