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41

KESSIA

ISSUE REPORT
스마트공장 현황 및 시사점
(표지와 동일한 디자인)
Contents

1. 배경 ············································································· 1

2. 스마트공장 개요 ························································ 7

3. 스마트공장 기반기술 ·············································· 23

4. 시사점 ······································································ 31

Korea Em bedded Softw are and


System Industry Association

KESSIA
ISSUE REPORT
KESSIA ISSUE REPORT
스마트공장 현황 및 시사점

1. 배경
KESSIA ISSUE REPORT
스마트공장 현황 및 시사점

1. 배경

■ 제조업은 우리나라 경제 발전을 견인해온 성장동력으로서 국가경제에 미치는 영향


이 매우 높아 제조업의 경쟁력이 매우 중요함

외환위기를 거치면서 제조업의 GDP(국민 총 생산) 대비 부가가치 비중이 31.1%까


지 확대되면서 국가 경제에 차지하는 비중이 세계에서 가장 높음

또한, 산출액 내 제조업 비중, 고용에서의 제조업 비중 등에서도 OECD 국가내 높은


수준을 보이고 있음

그림 1 한국 제조업 특징

* 출처 : 한국 제조업 First Mover 전략, 포스코경영연구원, 2015.4.29.

국내의 기계・제조・공정 분야 국가전략기술의 기술수준은 최고기술국대비 83.4%로


선도그룹에 속해있으며, 제조업 경쟁력은 중국, 미국에 이어 3번째로 조사됨

3
KESSIA ISSUE REPORT
스마트공장 현황 및 시사점

- 최고기술국 대비 주요 5개국의 기술수준은 미국 (100%) > EU (98.9%) > 일본 (97.1%) > 한국


(83.4%) > 중국 (72.3%) 순 (출처: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2015)
- 세계 주요국가 제조업 경쟁력 지수는 중국(96), 미국(100), 한국(102), 영국(109), 일본(111),
네덜란드(111), 독일(121), 이탈리아(123), 벨기에(123), 프랑스(124) 순 (출처: 보스턴컨설팅그
룹(BCG), 2014)

그림 2 제조업 경쟁력 상위 10개국 순위

* 출처 : 보스턴컨설팅그룹(BCG), 2014.4

■ 원가상승 및 대외환경 변화로 기존의 대기업 및 수출산업 중심의 제조업 성장 방식


은 한계에 다다르며 경영성과가 하락되고 있음

2010년 이후 국내 제조기업의 경영성과는 급격하게 하락한 반면, 미국과 일본 기업


은 상승세로 돌아섰음

<그림 3>과 같이 한국 경제를 지탱해오던 국내 제조 대기업의 경영실적 악화로 미래


경쟁력 강화에 필수적인 연구개발과 설비투자 여력이 약해지면 실적악화 → 투자부
진 → 경쟁력 약화 → 경영실적 악화의 악순환에 빠질 가능성이 있음

4
1. 배경

그림 3 2010년 이후 한국, 미국, 일본 제조기업의 경영성과 추이

* 출처: 한국 제조기업 경영성과 수준의 국제비교, LG경제연구소

2009년 외환위기 직후 17.2%(2010년)까지 상승했던 제조업 실질성장률은 2014년


4분기 2.4%까지 하락함

■ 양적투입 위주의 제조업 성장방식의 한계를 극복하고 부가가치 증대를 위한 제조업


과 IT・서비스를 융합한 스마트 산업혁명이 필요

제조업과 IT의 융합은 생산방식의 패러다임을 변화시키며 제조업 재도약의 핵심 요


소로 부각되고 있음

시장의 수요에 능동적으로 대응하고 부가가치를 높이기 위한 다품종 유연생산을 위


한 제조기술과 생산체계의 변화가 요구되고 있으며, 이를 위한 IT의 접목이 급속히
증가하고 있음

- 센서, 액추에이터, 제어기, 모바일 기기 등의 생산 장비와 재고관리, 고객관리, 생산관리 등의 생산


체계 서비스가 네트워크로 연결하기 위한 기술 등장

국내 제조업의 IT접목은 초기 단계인 반면, 독일, 미국 등 선진국에서는 제조장비의


자동화, 지능화에서부터 제품 생산 및 설비의 유지・보수에 이르는 전주기적 혁신기술
이 적용된 스마트공장 추진 중

5
KESSIA ISSUE REPORT
스마트공장 현황 및 시사점

2. 스마트공장 개요
KESSIA ISSUE REPORT
스마트공장 현황 및 시사점

2. 스마트공장 개요

스마트공장 정의

■ (정의) 제조공장의 인적・물적 자원을 최적화하여 제품의 기획, 제조, 유통 등 전과정


을 통합하고 고객의 요구에 기반한 제품 생산이 실시간으로 적용되는 공장

IoT, 센서, 클라우드, 빅데이터, 정밀 제어 등 다양한 기술 간의 융합을 통해 높은


수준의 자동화 서비스 및 지능화된 인프라 제공

생산성 향상, 에너지 절감, 안전한 생산환경을 구현하고, 다품종 복합생산이 가능한
유연한 생산체계 구축 가능

스마트 팩토리는 제조업 경쟁 심화, 다이버전스 산업으로의 변화에 의한 다양한 제품


군과 짧은 제품수명주기, 다변화된 시장요구 등 생산환경의 변화에 대비하기 위한 효
율적 환경 제공

스마트공장 구성

■ (감지-판단-수행의 기능구성) 생산과 관련된 환경정보를 감지하고, 감지된 정보에


의한 의사결정 판단 그리고, 판단된 결과가 생산현장에 반영되어 수행되는 3단계
기능으로 구성됨

(감지) 고객요구사항, 제품수명 등 시장환경과 생산조건, 실적정보, 재고현황 등 제품


환경 그리고, 생산 장비, 인력운용 등 생산환경과 관련된 다양한 정보들을 수집하는
기능

(판단) 생산 환경 정보와 생산 전략의 변화를 바탕으로 사전에 분석하고 정의된 기준


에 따라 생산 환경 및 전략을 수정하는 것을 결정하는 기능

9
KESSIA ISSUE REPORT
스마트공장 현황 및 시사점

(실행) 판단결과가 실시간으로 생산환경에 적용되기 위하여 네트워크를 통한 제어 및


생산 전략 변경을 수행하는 기능

그림 4 스마트공장의 기능요건 3가지

* 출처: 유연 생산 체계를 구현하는 Smart Factory, Deloitte Anjin Review

스마트공장 구분

■ 스마트공장의 IT 적용과 활용범위에 따라 4단계의 등급*으로 구분할 수 있음


* (기초) 일부공정 자동화, (중간1) IT기반 생산관리, (중간2) IT・SW기반 실시간 통합제어, (고도화) IoT기반 맞춤형
유연생산 (출처 : 제조업 혁신 3.0 전략)

표 1 스마트공장의 수준별 구현 형태

기초 중간1 중간2 고도화


생산 이력 및 불량 실시간 생산 실시간 공장 설비 및 시스템의
공장운영
관리 정보수집 및 관리 자동제어 자율생산
다기능 지능화
바코드, RFID 등을 센서 등 활용 설비 PLC 등을 통한
자동화 설비 로봇과 시스템간
활용한 초기 자동화 관리 실시간 시스템연동
유무선 통신
기업수준 대다수 중소기업 선도 중소・중견기업 대기업 일부 대기업

10
2. 스마트공장 개요

대기업은 중간2 등급 이상의 스마트공장을 구현하고 있으나, 대다수 중소기업 들은


기초 이하의 수준에 머물고 있음

수요-공급기업간 연계가 강한 업종(자동차, 전자), 자동화 설비비중이 높은 연속공정


업종(철강, 화학) 등 산업특성에 따라 지능화 설비 적용 비중이 높으나, 소량 주문생
산방식(기계) 또는 수작업 중심의 공정 산업(뿌리산업)은 미흡함

스마트공장 필요성

가. 제조업의 패러다임 전환

■ (제조환경의 변화) 제조업 부가가치의 하락, 노동인구 부족, 노동력 가치상승 등의


다양한 원인으로 글로벌 생산기지가 유럽, 미국에서 신흥 개도국으로 이동하고 있음

선진국의 출산율 저하 및 제조업 기피 등으로 제조업 노동인구가 줄어드는 반면, 중


국, 인도 등 개도국의 제조업 생산 인구는 지속적으로 증가되고 있음

정보와 문화의 확산으로 저임금의 제조업 기피와 서비스업 선호 등의 산업구조의 변화


에 따라 서비스업 중심의 경제구조로 변화함에 따라 제조업의 선호도가 점점 낮아짐

제조업 노동가치의 정체로 산업경쟁력 확보를 위한 값싼 노동력을 찾아 제조업 기업


들의 개도국으로 이전이 진행됨에 따라 선진국의 제조업 공동화 현상이 가속됨

■ (가치창출의 변화) 제품 제조 단가의 최적화와 저렴한 인건비 등을 강점으로 제조


경쟁력을 강화하는 개도국에 대항하여, 선진국에서는 고급기술 개발, 지적재산권
판매, 서비스 연계 등의 고부가가치 제조 기술을 제조업에 접목시키고 있음

중국, 브라질, 인도 등 주요 개도국들은 저가 제품 제조와 저렴한 인건비, 선진국 기


술 활용 등으로 제조업 경쟁력을 강화하고 있음

기존의 제조 강국은 생산성과 기술력의 차이를 활용하여 지식재산권 및 기술 서비스


의 융합을 확대하여 기술 서비스 수출에 집중함

글로벌 제조거점의 확대로 낮은 인건비에 의존한 제조업은 갈수록 시장경쟁이 치열


해지고 있으며, 중국의 예와 같이 소비문화의 확산과 인건비의 증가 등으로 지속가능
한 성장동력의 한계가 나타나고 있음

11
KESSIA ISSUE REPORT
스마트공장 현황 및 시사점

■ (IT와의 융합확대) IT의 급속한 발전에 따라 전세계를 아우르는 제조 협력, 고객과


의 직접적인 연결, 부가가치의 공동 생성 및 공유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정보 처리
및 제어 기술의 발달로 다양한 제품들을 쉽게 제작하는 것이 가능해짐

과거 공급자 주도의 제조분야가 최근에는 다양한 소비자를 만족시키기 위한 수요자


주도형으로 전환됨에 따라 제품의 다양화를 위한 제조방식의 변화가 요구되고 있음

빅데이터, 클라우드 등 정보네트워크 및 처리기술의 발달로 공간과 국적에 상관없이


제조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는 생산 시스템의 재구성, 제품의 서비스의 일체화 등의
변화를 일으키고 있음

온라인상의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직접 3D 프린터를 이용하여 과거 기업이 수행


하던 제조를 개인이 수행하는 일이 가능해졌으며, 고객과의 직접적인 연결을 통한 소
비자 맞춤형 제품 생산 등이 마케팅의 중요한 요소로 자리함

과거에는 개별적으로 제공되던 제품들이 상호 연동되면서 기존에 없던 새로운 개념


의 서비스를 제공함에 따라 서비스와 제품 제조업이 상호 협력하여 부가가치를 높이
고, 공유하는 구조적 변화가 이루어짐

나. 제품의 변화

■ (고부가가치 제품으로 다양화) 제품의 특성이 하드웨어형에서 소프트웨어 내장형,


서비스 융합형, 고객 맞춤형으로 고도화 되고 있으며, 그에 따라 제품의 종류가 늘
어나고 있음

(하드웨어형) 용도에 따라 물질의 특성을 이용해 가치를 제공하는 제품으로 예로 1차


산업을 통하여 생산되는 제품들로 쌀, 고무, 철강제품 등이 있음

(소프트웨어 내장형) 단순제품에 목적에 따른 제어기능을 추가하여 제품의 쓰임새를


다양화함으로써 부가가치를 높인 제품들로 가전, 디지털 카메라, 자동차 등이 있음

(서비스 융합형) 개별적 제품들과 서비스의 융합을 통하여 기존에 없었던 기능을 수
행하고 부가가치를 생성하는 제품들로 스마트폰, 스마트 가전, 복합기 등이 있음

(고객 맞춤형) 융합제품의 특정 목적과 서비스에 특화한 가치만을 집중적으로 제공하


는 제품으로 다양한 웨어러블 기기, 음성통화폰 등 기능특화 제품 등이 있음

12
2. 스마트공장 개요

그림 5 제조업 제품의 변화

스마트공장 시장동향

■ 세계 스마트공장 시장은 2014년 413억 달러로 2020년까지 연평균 5.40% 증가하


여 566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전망됨

기술 분야별로는 통신기술이 8.13%로 성장률이 제일 높을 것으로 전망되며, 로직 제


어(PLC), 분산 제어시스템(DCS) 기술이 5.31%, 산업용 로봇시장이 5.19%, 센서와
작동부품 산업이 4.53% 증가할 것으로 전망됨

그림 6 2020년 스마트공장 세계시장 전망

* 출처 : MARKETSANDMARKETS, 2014.12

13
KESSIA ISSUE REPORT
스마트공장 현황 및 시사점

표 2 스마트공장 요소기술별 시장전망


(단위: 억달러)
2012 2013 2014 2015 2016 2018 2020 연평균
센서, 작동기(Actuator) 43 45 47 49 51 56 61 4.53%
통신기술 30 32 36 39 42 49 57 8.13%
산업용 로봇 2,608 2,783 2,958 3,133 3,308 3,658 4,008 5.19%
로직제어, 분산제어 30 33 34 36 38 42 47 5.31%
계 363 388 413 437 462 513 566 5.40%

■ 아시아의 2013년도 스마트공장 시장은 232억 달러로 한국은 아시아 시장의 22%
의 규모로 중국, 일본에 이어 3위의 시장을 형성하고 있음

전세계적으로 한국시장은 11.27%로 중국, 유럽, 일본, 미국에 이어 5번째로 큰 시장


을 형성하고 있음

그림 7 2013년 스마트공장 아시아-태평양 시장 규모

* 출처 : MARKETSANDMARKETS, 2014.12

14
2. 스마트공장 개요

그림 8 2013년 스마트공장 세계시장 점유율

* 출처 : MARKETSANDMARKETS, 2014.12

국내외 기업동향

가. 국내기업 동향

■ 국내 제조기업의 경우 대기업을 중심으로 ICT를 적용하여 제조현장을 혁신하고자


하는 시도가 일부 진행되고 있으나 외산 솔루션에 대한 의존도가 높고, 국내 기술로
는 한계가 있는 상황으로 스마트공장에 대한 민간투자는 이제 막 시작 단계임
- 대기업 관련 SI 기업들과 중소 제조기업에 대한 시스템 구축 기업이 대부분인 상황으로 핵심 요소
기술은 글로벌 선도 기업에게 크게 의존적인 상황
- 생태기반이 전체적으로 취약한 편이지만 외산 솔루션을 도입하여 시스템 통합을 하는 ICT 융복합
경험은 상대적으로 풍부한 편

(POSCO) RFID/GPS 기반 물류체계를 구축했으나 협력업체들의 비용 부담으로 인


해 전체 협력업체로의 확산은 부족한 상황이며 스마트팩토리 구축을 위한 ICT 요소
기술 적용 시도(빅데이터를 활용한 제품불량 및 압연기 고장 사전예측, 냉연・열연코
일, GPS, Bluetooth 및 센서를 활용한 작업자 안전관리, 공장 신설 및 증설 시 가상
현실을 통한 검증 등)

15
KESSIA ISSUE REPORT
스마트공장 현황 및 시사점

(LS 산전) 스마트 팩토리 시범사업을 통해 PLC 기반의 조립자동화 라인을 구축하여
자동화 수준을 86%에서 95%까지 끌어 올렸으며, APS 적용을 통해 SCM을 개선하
고 생산계획 수립 및 실적관리최적화

(현대기아차) 2019년까지 5년간 500억 원을 대・중소기업협력재단 출연하여 ICT 역


량이 부족한 중소 협력사의 공장 스마트화 적극 추진

(삼성전자) 2015년에 경북창조경제혁신센터와 함께 경북지역에 100개 스마트공장


구축을 시작으로 2017년까지 400개의 스마트공장을 육성할 계획이며, 이를 통해 경
북 지역 노후 제조설비의 첨단화 지원

(LG CNS) LG 그룹사 및 외부 IT 서비스 및 컨설팅 서비스 제공하고 있으며, 특히


MES와 같은 소프트웨어나 공정설계 서비스와 같이 공장 전반적인 솔루션 제공

(삼성 SDS) 삼성그룹 계열의 ICT 기업으로 미라콤아이앤씨를 인수하여 MES 뿐 아


니라 설비자동화, 공장모니터링, 제조품질관리, 생산스케쥴링 등 다양한 솔루션 제공

(포스코 ICT) 철강분야 시스템에 공정별 IT 설계 및 구축을 주로 수행하였으며 MES


뿐만이 아니라 HMI, 전기제어, 설비 등의 역량 보유

(에임시스템) 반도체, 태양광, 자동차/기계, 화학/전자재료 등 다양한 분야의 생산정


보시스템을 구축하였으며 공장・장비 자동화를 위한 MES 및 제어 솔루션을 보유

(에이시에스) 실시간 생산정보화를 위한 컨설팅 및 시스템 통합을 제공하며 MES 같


은 솔루션부터 IoT 센서 및 디바이스까지 공장 전반에 걸쳐 하드웨어, 미들웨어 및
IT 서비스를 폭넓게 제공

(엑센 솔루션) 자동차 부품, 반도체, 중공업, 기계, 식품, 제약 등 다양한 제조업을 대
상으로 MES Master Plan 컨설팅 서비스 및 제조 시스템 구축 서비스 제공

(신명정보통신) 주조, 사출 등 뿌리산업 위주로 센서, M2M 디바이스 및 정보통합 솔


루션 제공

(이도링크) IoT/M2M 관련 네트워크 장비, 개방형 플랫폼 및 미들웨어를 활용해서


응용서비스 개발. 특히 위치 기반 서비스 (LBS)를 활용한 서비스 구축에 집중

(이랜서) RFID 기반의 IT 아웃소싱, SI, 및 컨설팅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제조


기업을 대상으로 ICT를 적용하고 있음

16
2. 스마트공장 개요

나. 해외기업 현황

전통적인 전문분야를 기반으로 하드웨어는 상위 응용영역까지, 소프트웨어는 IoT,


클라우드 등을 접목한 신규 비즈니스 영역으로 확장하는 추세이며, 글로벌 시장지배
력을 무기로 하여 글로벌 선도 기업들의 독점이 점차 강화되고 있음

(Siemens) 생산설비, 제어시스템 및 산업용 소프트웨어 등 거의 모든 산업분야의 제


조 및 공정자동화 솔루션을 보유하고 있으며 자동화, 디지털화 영역에 핵심 역량 집중

(Rockwell Automation) 센서 장비, 제어 장비와 같은 하드웨어에서 네트워크 기술


및 소프트웨어와 같은 인프라 및 응용프로그램까지 산업 전 분야에 걸친 자동화와
정보 솔루션 제공

(Mitsubishi Electric) 로봇, 제어기, PLC 등 공장자동화와 관련된 다양한 기기 및


제어 솔루션을 보유하고 있으며 공장 전체를 커버하는 패키지형 솔루션으로 확대

(Schneider Electric) 에너지 관리 분야 글로벌 기업으로 빌딩자동화, 제어 및 전력


모니터링 기술을 바탕으로 공장, 주택, 빌딩의 에너지 인프라와 데이터 및 네트워크
솔루션 제공

(Honeywell) 자동화기기, 제어기기, 전자통신 제조업체로 대형 전자장치에서 소형


온도조절기까지 다양한 제품을 공급하고 있으며 데이터 처리 시스템과 산업용 애플
리케이션 등 소프트웨어 솔루션으로 사업 영역 확대

(SAP) 시스템, 애플리케이션, 데이터 처리 등의 IT 기술을 바탕으로 ERP와 같이 기


업의 사업운영 및 고객관계를 관리하는 기업용 소프트웨어 제공

(Oracle) 소프트웨어, 서버, 네트워크, 스토리지 부문 전문기업으로 데이터베이스


관리시스템, ERP, CRM 및 공급망 관리 시스템인 SCM 소프트웨어 제공

(AutoDesk) 건축, 엔지니어링, 건설, 제도 등 다양한 분야의 소프트웨어를 제공하며


클라우드 서비스, 캐드 기반 솔루션, 3D 솔루션 보유

(Dassault Systemes) 3D 캐드, 3D 디지털 목업, 기업 간 협업 솔루션, 제조 인텔리


전스 솔루션, PLM 솔루션을 자동차 및 항공 등 다양한 제조기업에 제공

(PTC) 3D 캐드 기반의 PLM 및 서비스관리 솔루션을 보유하고 있으며 엔지니어링


분야의 수치해석 기반 솔루션 제공

(Cisco) 네트워크 전문기업으로 스위치, 클라우드, 스토리지 네트워킹, 라우터, 소프


트웨어 등 다양한 통신관련 제품을 보유하고 있으며 엔터프라이즈 네트워크 서비스,
클라우드 서비스, 통합 컴퓨팅 서비스 등을 제공

17
KESSIA ISSUE REPORT
스마트공장 현황 및 시사점

스마트공장 산업경쟁력

가. 기술경쟁력

■ 기술 수준 비교

스마트공장을 구성하는 요소의 기술경쟁력은 전반적으로 해외 선진기업 대비 낮은


수준이나, 네트워크 장비, PLC 등 일부 품목의 경우 대등한 수준 확보
* CAD, SCADA, 이미지센싱 등의 경우 전량 해외 제품・솔루션에 의존

그림 9 주요 핵심 요소제품의 기술수준

* 출처: 전자부품연구원 & 대한상의(스마트공장 전문가 회의, 2014.12)

나. 특허경쟁력

■ 특허 동향

스마트공장 관련 기술은 산업용 디바이스기술, 네트워크기술, 플랫폼 기술(IoT, 빅데


이터, 클라우드), 센서기술, 센서의 컨트롤기술, M2M기술, 보안기술 등 수많은 기술
이 융합된 복합 기술임

특허를 주도하고 있는 미국과 유럽의 기업들은 컴퓨팅 기술(G06F) 분야 및 그 시스


템 분야(G06Q)에, 특히 경영/관리/재무/상업/행정 등의 특수한 용도에 적합한 컴퓨
팅 기술에 출원이 집중되어 있으며, 이를 제외하면 반도체 부품(H01L), 성형 가공/제

18
2. 스마트공장 개요

조 장비(B29C), 제조 및 시험 기술(G05B), 물리 화학적 측정 및 시험(G01N), 디지


털 통신(H04L), 문자, 지문, 홍채 인식 등 보안 관련 기술(G06K)에 출원 등 전체적
으로 관련 요소 기술에 출원이 골고루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보임

- 특허출원은 Rockwell Automation, IBM이 가장 많으며 그 외 Oracle, Hewlett Packard,


Intel, Siemens, GE 등이 많은 관련 특허를 출원하거나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보임

일본이나 국내의 경우 부품 및 제어 장치에 출원이 많으며, 그 외 컴퓨팅 기술 분야,


보안 기술, 영상 처리, 기계 가공, 공작 기계 등 하드웨어적인 장비와 요소기술에 출
원이 편중되어 있어 해외 선진 기업들이 플랫폼이나 소프트웨어에 치중하고 있는데
반해 일본 및 국내는 제조기술 등 하드웨어에 편중된 상태로 보임

- 일본의 경우 Matsushita, Hitachi, Toshiba, Canon, Epson, Toyota, Sony, Mitsubishi 등


많은 기업들이 고른 출원을 보이고 있는 반면, 국내의 경우 현대 자동차가 가장 많은 출원을 보이
고 있고, 그 뒤를 이어 삼성전자, 포스코가 출원을 하고 있으나, 해외 기업들에 비해 출원이 저조함

■ 특허 분쟁 동향

관련 특허분쟁은 I/O 제어기 분야에서 Rockwell Automation이 독일 Wago를 상


대로 6건의 미국특허를 기초로 소송을 진행한 바 있으며, 소프트웨어/플랫폼 분야에
서는 Oracle이 Lodsys란 트롤과 분쟁을 한 적이 있으나, 스마트공장 관련 핵심기술
은 최근에 개발된 기술이고, 특허분쟁의 주 무대인 미국은 생산 기반이 약하여 관련
특허분쟁은 아직 미미함

다. 표준화 현황

■ 국제 표준화 현황

IEC는 SMB 내 전략그룹(SG8, Industry 4.0 - Smart Manufacturing) 결성

- ’14년 6월 생성되었으며 Convener는 독일과 미국에서 공동으로 수행하고 ’16년 6월 ISO, ITU,
IEEE와 협업하여 주요 결과물 도출 예정
- 9개국 15명으로 구성되었고 한국은 한양대학교, LS산전이 대표로 참여하고 있음

주요 결과물은 기능별 도메인 정의, 도메인 내에서 기능별 use case 도출, use case
에 해당하는 기술위원회 확인, 해당 기술위원회에서 개발/또는 개발 중인 표준 확인,
use case와 표준에 대한 gap 분석, 향후 표준 개발 방향 제시 등을 포함

19
KESSIA ISSUE REPORT
스마트공장 현황 및 시사점

<최근 스마트 제조 주요 국제표준화 동향>

(2013.10) 제148차 IEC SMB 회의 시 독일 대표가 Industry 4.0에 대한 발표와 함께 표준화 필요성을
제기하고, 표준화 필요성에 대한 타당성 검토를 위하여 ahG 49를 결성

(2014.06) 제150차 IEC SMB회의 시 ahG 49의 보고에 따라 표준화 작업구체화를 위한 Strategy Group
8을 결성
* Convener는 독일, 한국을 비롯한 10개국과 ISO, ITU, IEEE가 참여

(2014.11) 제151차 회의에서 각 국에서 추천한 전문가를 승인하고 본격적인 표준화 작업을 위한 1차
Kick-off 미팅 진행

(2015.03) SG8 2차 회의를 실시하고 주요 결과물을 정의

■ 국내 표준화 현황

국가기술표준원 주도로 IEC SG8 대응을 위한 스마트제조 표준기술연구회 결성하여


학계, 산업계, 연구계를 대표하는 14명이 운영 중이며, ‘15년 2월 Kick-off 미팅을
시작으로 ’15년 4월 2차 회의 진행

스마트 제조 표준화 비전, 전략 뷰 및 운영 뷰 관점의 표준화 프레임워크를 작성・보


급함으로써, 스마트 제조 상호운용성 확보 및 스마트 제조 보급 확산 촉진 계획 수립

그림 10 스마트 제조 표준화 프레임워크 개발 협업

국가기술표준원

국가표준화 공적
관계부처 국제표준화 기구
(산업부, 미래부 등)
표준화 (IEC, ISO, JTC 1)
현안대응

스마트 제조 표준화 제
프레임워크 표

개발 협업 화

대학, 산업계, 국내 표준화


국내 R&D 국제표준화 기구
표준화 단체 (IEEE, ETSI 등 )

국내 영역 국내연구기관 국제 영역
(ETRI 등)

20
2. 스마트공장 개요

스마트 제조 표준화 프레임워크 작성을 통해 향후 가시화 할 스마트 제조 구성요소


(시스템, 장비)들 간의 상호운용성을 보장하고자 함

제조 솔루션, 디바이스, 서비스 개발・유통을 위한 합의된 표준화 플랫폼 규격 마련과


활용을 촉진하여 스마트 제조의 보급・확산에 기여할 예정

국가기술표준원(KATS)의 표준화 프레임워크 5가지 관점 중 전략 뷰와 운영 뷰 관점


으로 스마트 제조 생태계를 구성하고 표준화 프레임워크 작성

- (전략 뷰 관점) 스마트 제조 표준화 관련 중점 비전 및 전략을 제시하고 Overall View 형태의


다이어그램 도출
- (운영 뷰 관점) 스마트제조 비즈니스 생태계를 구성하는 도메인을 정의하고 각 도메인의 다이어그
램 도출

21
KESSIA ISSUE REPORT
스마트공장 현황 및 시사점

3. 스마트공장 기반기술
KESSIA ISSUE REPORT
스마트공장 현황 및 시사점

3. 스마트공장 기반기술

스마트공장 요소기술

■ (IT와 생산제조기술의 융합) 스마트공장은 기존 제조기술에 IT를 접목하여 센서기술,


정밀제어 기술, 네트워크 기술 그리고 데이터 수집 및 분석 기술 등 다양한 기술이
융합되어 서비스를 구성하고 있음

요소기술은 그 성격과 분야에 따라 크게 센서 디바이스 및 정밀제어기기, 네트워크


플랫폼, 제조환경 어플리케이션으로 구분할 수 있음

(센서/제어 기기) 스마트공장의 감지와 수행기능을 수행하는 기기들을 위한 센싱기술


과 제어기술을 의미하며, 생산환경 변화, 제품 및 제고 현황 등 제조생산과 관련된
정보를 감지하여 애플리케이션에 전달하고 이로부터 분석되어 결정된 결과를 제조현
장에 반영하여 수행

(네트워크 플랫폼) 센서 디바이스, 정밀제어기기와 애플리케이션을 이어주는 역할로


IoT, 빅데이터, 클라우드 플랫폼을 포함하며, 디바이스와 애플리케이션 간의 안전하
고 효율적인 데이터 채널 제공

(제조 애플리케이션) MES, ERP, PLM, SCM 등 IT 플랫폼을 기반으로 제조 실행에


직접적으로 관여하거나 현장 디바이스로부터 수집된 데이터를 분석하고 정해진 규칙
에 따라 판단할 수 있는 시스템

25
KESSIA ISSUE REPORT
스마트공장 현황 및 시사점

그림 11 스마트공장 기술 로드맵

* 출처 : 스마트공장 기술로드맵, 산업통상자원부, 2015.11

국내기술 현안

■ 각 분야에서 외산 제품 및 솔루션들이 대부분이며 국내업체들은 주로 이러한 제품


과 솔루션들을 도입하는 실정임
* 제조 분야 외산 솔루션 도입비율 : 90% (한국 IT서비스관리 포럼 조사, 2011)

(센서/제어 기기) 단순 자동화에서 벗어나 센서를 통해 다양한 정보를 수집・전송하


고, 실시간 피드백을 통해 제어에 반영할 수 있는 다양한 디바이스 출시

- HW 공급에서 벗어나 연계된 SW나 인프라를 패키지로 제공하여 제어에서 MES 영역으로 확장하
거나 제어기와 클라우드 연계 확대
- 국내 HW 공급 분야에서도 역량강화를 통해 신뢰성을 높이는 것은 물론 IT 융합을 통한 SW 공급
분야와의 협력 및 기술 개발 필요

(네트워크 플랫폼) 네트워크, 빅데이터, 클라우드 등 제조업 이외의 영역에서 서비스


하던 업체들의 제조영역으로 진출 활발

- 제조 기업들에게 플랫폼 제공을 하거나 디바이스 업체들과의 협력을 통해서 각자의 플랫폼 사업
영역 구축

26
3. 스마트공장 기반기술

- 국내 플랫폼업체들의 서비스 영역은 통신망이나 빅데이터 분야가 주를 이루고 있기 때문에 애플리


케이션 영역으로의 진출은 활발
- 국내 산업용 디바이스/네트워크 업체들이 쉽게 접근할 수 있는 IoT, 빅데이터 플랫폼 서비스와
같이 국내 플랫폼업체들의 제조업 지원 서비스 영역확대가 필요

(제조 애플리케이션) 기존의 제조 엔지니어링 SW 공급 기업들과 비즈니스 솔루션 공


급 기업들도 서비스하던 솔루션의 영역을 넓혀가는 상황이며, 애플리케이션의 수평
적・수직적 통합 이슈가 화두

- 애플리케이션 공급 기업들은 자사 솔루션의 영향력을 늘리기 위해서 각자의 플랫폼을 제공함으로


써 하위 컴포넌트 연계성 강화
- 애플리케이션 영역에서 서비스하는 업체는 많지만 시스템통합에 주로 편중되어 있어 시스템의 구
성요소인 핵심 SW 개발 성과는 낮은 편으로 제조 엔지니어링 SW 공급 역량 강화가 필요

(원천 기술 개발 필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를 구성하는 기초 부품・컴포넌트 연구


나 IT 원천기술 개발은 취약

- 통신망과 같은 인프라를 서비스 하는 기업을 제외하고 플랫폼 서비스 측면에서는 하드웨어나 소프


트웨어 핵심기술이 상대적으로 취약
-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나 하드웨어 디바이스 개발 위주로 역량이 편중되어 있어서 이들을 구성
하고 있는 핵심소재부품 개발이나 소프트웨어 플랫폼 개발에도 역량 투입이 필요
- 스마트공장 분야에서도 크게 성장하고 있는 중국시장 (Markets & Markets, 2014) 및 이머징
국가 시장에도 원천기술개발을 통해서 스마트공장 기술 공급시장에 진출할 필요가 있음

정부의 기술개발 투자방향

■ (제조혁신 3.0을 통한 스마트공장 확산지원) 정부는 ‘제조혁신 3.0 전략‘을 발표하고,


개인맞춤형 유연생산을 위한 스마트공장 고도화와 융합신제품 생산에 필요한 8대
스마트 제조기술* 개발 추진 (2015.3, 산업부・미래부 합동)
* CPS, 에너지절감, 스마트센서, 3D프린팅, IoT, 클라우드, 빅데이터, 홀로그램

8대 스마트 제조기술간 유기적 연계와 전략적 투자를 촉진하기 위한 ‘스마트 제조


R&D 중장기 로드맵’을 수립하고, 그간 산발적으로 투입되어 온 정부 R&D자금을 전
략적 ・효율적으로 투자할 예정

제조업 주기에 맞춰 스마트 제조기술별 수요연계형 기술개발 추진

- (서비스・제품) 소비자 요구를 반영한 맞춤형 제품 설계・생산, 개인맞춤형 서비스 및 비즈니스 창


출이 가능한 기술개발 (예: 빅데이터, 클라우드, 홀로그램 등)

27
KESSIA ISSUE REPORT
스마트공장 현황 및 시사점

- (생산공정) 제조공정의 가상화, 제조설비-시스템간 연동 등을 통한 최적화 생산・제어 및 에너지


절감 기술개발 (예: 홀로그램, CPS, 에너지 절감, 3D 프린팅 등)
- (네트워크 연결 디바이스) 제조공정 디바이스간 자율협업, 공장-설비-제품-소비자의 네트워크 연
결 및 통합관리가 가능한 기술개발 (예: 스마트센서, IoT, 3D 프린팅 등)

■ (산업부 R&BD 투자방향) 산업부는 2016년 산업기술 R&BD 전략을 통하여 스마트
공장 핵심 투자대상을 선정함

표 3 산업부 스마트공장 R&BD 투자대상

R&BD 투자대상 개요
◦ 수요자 중심의 생산방식, 유통을 체계적으로 가능하게 하는 수요
수요자 중심의 맞춤형 공정 및 운영
자 중심의 맞춤형 생산공정 및 운영 최적화 기술 등 제조업의 서
최적화 기술
비스화 기술
◦ 스마트공장 내 작업자의 안전사고 예방 및 생산성 향상을 위한
스마트공장 내 안전한 작업환경 구
인간공학 측면에서의 작업자 지원 및 작업장 안전 관리 기술 등
축을 위한 인간중심 Safety 기술
스마트공장 Safety 기술
◦ 다품종 생산 시스템 기반 스마트공장 시스템에서의 효율적인 원
스마트공장용 활성화를 위한 조달/
료, 중간재 및 최종 물품의 재고 관리를 위한 가변 가능한 지능화
물류 기술
된, 고효율 조달/물류 기술

수요자 중심의 맞춤형 공정 및 운영 최적화 기술

투자대상명 수요자 중심의 맞춤형 공정 및 운영 최적화 기술


◦ 생산자 중심의 제조업시장에서 수요자 중심의 사용자 맞춤형 중심으로의 변화로, 수요
투자대상 개요
자 중심의 생산방식과 유통을 체계적으로 가능하게 하는 수요자 중심의 맞춤형 생산공
및 주요 내용
정 및 운영 최적화 기술

투 자 전 략 ◦ 제조업의 경쟁격화에 따른 수익성 악화와 고객 니즈의 다양성 증가에 대응하는 수요자


부 합 성 중심의 맞춤형 생산공정 및 운영 최적화 기술개발로 제조업에서의 서비스화를 촉진
◦ (시장 니즈) 사회 이슈의 빠른 변화로 인해, 수요 발생 주기 역시 빨라지며, 이에 따른
빠른 대응을 위해 수요자가 직접 가공디자인 및 시스템 운용에 참가할 수 있는 방안 요구
◦ (기술 니즈) 수요자 중심의 공정 및 운영 설계, 공정 최적 운영환경 서비스 등 제조업의
서비스화 기술 제공을 요구, 사물통신환경을 기반으로 데이터를 수집・분석・활용하여
정 부 투 자
공장의 개선 방향을 찾아내고 개선 요구
당 위 성
◦ (정책 니즈) 미국, 유럽의 기술 선진국에서는 이미 제조업 경쟁력을 위하여 제조 서비
스화를 진행하고 있으나, 국내는 주로 양산에 초점을 맞추고 있어 제조업의 서비스화
를 통한 창조산업 기반의 조성, 제조기술의 고도화 및 ICT와의 융합을 통해 공정시스
템 성능을 극대화하고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전략 필요
◦ 모델링&시뮬레이션 기반 수요자 중심 맞춤형 공정 및 생산 설비운영을 위한 컴퓨팅
기술
핵 심 기 술
◦ 제품의 품질 보증을 위한 산업인터넷 기반 제조정보 가시화 기술
◦ 운영최적화와 맞춤 생산을 위한 생산공정별 모듈화, 인터페이스 표준화 기술(표준화연계)

28
3. 스마트공장 기반기술

스마트공장 내 안전한 작업환경 구축을 위한 인간중심 Safety 기술

투자대상명 스마트공장 내 안전한 작업환경 구축을 위한 인간중심 Safety 기술


투자대상 개요 ◦ 스마트공장 내 작업자의 안전사고 예방 및 생산성 향상을 위한 인간공학 측면에서의
및 주요 내용 작업자 지원 및 작업장 안전 관리 기술 등 스마트공장 Safety 기술
◦ 작업장 내 재난/안전사고 예방 및 신속한 조치로 경제적/사회적 비용이 감소하고 인간
투 자 전 략
공학 및 증강현실 기반 작업자 지원 시스템 제공으로 노동생산력을 향상시켜 인간중심
부 합 성
생산성 증대 토대 제공
◦ (시장 니즈) 안전보건공단에서 제공하는 2012년 사고 부상자 현황을 살펴보면 졸음으
로 인한 사고, 무리한 동작이나 불균형 동작으로 넘어짐 등을 확인 할 수 있으며, 이러한
안전사고를 해결하여 경제적 사회적 비용 및 노동생산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방안 필요
◦ (기술 니즈) 작업장 내 안전사고 예방 및 작업자 지원을 통한 생산력 증대를 위해 지능
정 부 투 자
형 산업현장 안전관리 기술 및 인간 공학 및 증강현실 기반 작업자 지원 시스템 기술
당 위 성
제공 필요
◦ (정책 니즈) 인간공학, 웨어러블 디바이스, 모션인식 등 소재・부품・ICT 융복합을 통한
인간중심 스마트공장 가치 창출 및 육성 지원, 대규모 작업장 위주가 아닌 중소기업
작업장에서의 효율적인 안전 관리 체계 구축의 필요
◦ 공장 내 실시간 유해환경 모니터링, 분석 및 이상상황 감지 기술
핵 심 기 술 ◦ 웨어러블 인간공학 및 증강현실 기반 작업자 안전지원 가시화 기술 개발
◦ 산업현장의 재난/안전 조기 대응을 위한 지능형 안전관리 기술

스마트공장 활성화를 위한 조달/물류 효율화 기술

투자대상명 스마트공장 활성화를 위한 조달/물류 기술


◦ 사용자의 다양한 요구에 따른 End-to-End 엔지니어링이 가능한 다품종 복합 생산 시
투자대상 개요
스템 기반의 스마트공장을 위한 원료, 중간재 및 최종 물품의 재고 등의 효율적 관리를
및 주요 내용
위해 가변 가능한 지능화된, 고효율 조달/물류 기술
◦ 글로벌화의 가속화와 다품종 제품의 주목받는 현재의 제조환경에서 부품공급 단절이
투 자 전 략
나 급격한 수요변동, 물류체계의 복잡성으로 인한 경쟁력 약화 등 제조업의 조달/물류
부 합 성
리스크 차단 체계 제공
◦ (시장 니즈) 조달/물류 체계의 효율화를 위해 숙련되지 않은 작업자라도 직관적인 형
태로 제공되는 정보에 의해 효율적인 작업이 가능할 뿐 아니라 입고에서 출고까지 일
관 작업이 가능한 조달/물류 체계가 필요
◦ (기술 니즈) 고정밀 위치기반 정보를 기반으로 이동경로(Navigation), 상품의 적재위
치, 형태 등 웨어러블 스마트 안경 상에 가상・증강현실로 제공되도록 함으로써, 숙련
정 부 투 자
되지 않은 작업자라도 직관적인 형태로 제공되는 정보에 의해 효율적인 작업이 가능할
당 위 성
뿐 아니라 입고에서 출고까지 일관 작업이 가능한 기술이 요구됨
◦ (정책 니즈) 스마트공장에서의 맞춤 생산을 지원하기 위해 고객 주문과 연계된 조달/
유통을 효율적으로 제공함으로써 스마트공장의 효율적인 확산 및 육성 지원. 기업 물
류의 효율화가 기업의 경쟁력 제고뿐만 아니라 국가 산업전체 효율화를 위한 필수 요
소로 인식
◦ 웨어러블 증강현실 기반의 스마트공장 물류 관리 기술
핵 심 기 술 ◦ 데이터 기반 공급망 위험 사전 감지 기술
◦ 품질관리를 위한 포장설계 시뮬레이션 기술

29
KESSIA ISSUE REPORT
스마트공장 현황 및 시사점

4. 시사점
KESSIA ISSUE REPORT
스마트공장 현황 및 시사점

4. 시사점

■ (스마트공장은 선택이 아닌 필수) 양적 성장의 한계에 다다른 우리나라는 제조업은


성장동력을 이어가기 위한 고부가가치 기술 중심의 체질개선이 필요함

우리나라 제조업은 양적 성장의 정점에서 제조 원가의 상승 등으로 저가인력을 앞세


운 중국, 인도와 같은 개도국과 고부가가치 핵심기술을 보유하고 있는 선진국 사이에
서 어려움을 겪고 있음

타 선진국의 사례를 볼 때 금융・서비스 산업으로의 산업구조 개편은 근본적인 해결


책이 될 수 없으며, 수출경제에 의존도가 높은 우리나라로써는 제조업의 경쟁력 강화
가 필수적으로 요구됨

■ (임베디드시스템 기업의 역할 중요) 시장의 수요와 요구에 따라 다품종 대량생산이


가능한 유연생산체계를 구축하기 위해서는 센서 디바이스, 정밀 제어기기 등 임베
디드시스템 기반기술의 역할이 중요

센서, 제어기기, IoT 디바이스 등 스마트공장을 구성하는 다양한 기기에 적용가능한


임베디드시스템은 시장형성단계부터 필요한 핵심기술로서 정부의 스마트공장 산업
육성에 많은 혜택이 예상됨

기존 기술의 단순한 응용이 아니라, 스마트공장의 철학에 맞춰 생산 효율성 및 생산


안전성을 높이고, 재활용/재구성을 이용한 친환경 구조구성 등을 지원하기 위한 기술
간 융합이 반드시 필요

■ (기술간 연계를 위한 플랫폼 개발 및 적용모델 필요) 스마트공장은 기존의 생산설비의


고도화와 스마트 제조기술과의 융합이 매우 중요하며, 기술간 연계를 위한 참조 모
델 구축이 중요함

현장에 즉시 적용 가능한 스마트공장 기술개발과 중장기적 고도화 기술개발이 동시


에 진행되고 있는 점을 감안하여 기능의 확장 및 기존 서비스(어플리케이션)와의 연
동을 고려한 시스템설계 및 연동 인터페이스 구축이 필요함

33
KESSIA ISSUE REPORT
스마트공장 현황 및 시사점

정부의 산업확산 정책은 모델 공장을 중심으로 다양한 기술이 융합되고 체계화 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관련 기술 및 정보를 IT・제조기업이 공유하고 활용할 수 있는
기반구축이 필요함

참고 자료

[1] 2016년 산업기술 R&BD전략 - 스마트공장,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2015.09)


[2] 제조업 혁신 3.0 전략 실행대책, 관계부처합동 (2015.03)
[3] 한국 제조업 First Mover 전략, POSRI (2015.04)
[4] 인더스트리 4.0과 제조업 창조경제 전략, 한국정보화진흥원 (2014.05)
[5] 컨버전스의 시대 다이버전스의 귀환, LG경제연구원 (2010.03)
[6] 일본의 차세대 제조업 구축을 위한 기반기술과 플랫폼 통합 전략, 한국산업기술진흥원 (2015.05)
[7] 미국 스마트 제조 및 연구동향, 한국산업기술진흥원 (2014.06)
[8] 한국 제조기업의 경영성과 수준과 특징, LG경제연구원 (2014.12)
[9] 유연 생산 체계를 구현하는 Smart Factory: 생산 전략의 효과적 운용방안, 딜로이트 (2015.01)
[10] 스마트 ICT와 제조업의 결합, 독일의 인더스트리 4.0 정책, 정보통신산업진흥원 (2014.02)
[11] 스마트팩토리 시장의 현황과 전망, 융합연구정책센터 (2015.10)
[12] SMART FACTORY MARKET GLOBAL FORECAST TO 2020, MARKETSANDMARKETS
(2014.12)
[13] KB 지식 비타민: 한국 GDP 구성의 특징과 과제, KB경영연구소 (2014.02)
[14] 관련기사
- BCG "한국 제조업 경쟁력 지속 약화, 원가 상승이 원인“, 아주경제 (2014.04)
- ‘스마트팩토리’의 중심은 'ICT 기술‘이 아닌 ’사람‘, 매일경제 (2015.10)
- “韓→中 ‘제조업 이전’ 현실화…시장점유율 역전, 세계일보 (2015.01)

34
저 자

고재진 전자부품연구원 센터장


□ 주요 활동 사항
・ (현) 전자부품연구원 소프트웨어디바이스연구센서 센터장
・ SW산업발전유공 정부포상/국무총리표창(2012.11)
・ 광운대학교 컴퓨터공학과(공학박사)

이규택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PD
□ 주요 활동 사항
・ (현)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임베디드SW PD실 PD
・ (주)인터브로 대표
・ (주)이피지 대표
・ (주)디지털앤디지털 대표
・ 대우전자 IMM팀장/책임연구원
본 Issue Report에 대한 자세한 문의사항은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문의 : 임베디드소프트웨어‧시스템산업협회 신성훈 선임연구원
T) 02-2132-0756 F) 02-782-1266 E-mail) ssh@fkii.org
※ 보고서의 내용을 인용할 때에는 출처를 밝혀 주십시오.
KESSIA ISSUE REPORT

발행처 :
서울시 마포구 상암동 1605 누리꿈스퀘어 비즈니스타워 8층
발행인 : 민 경 오
편집인 : 박 우 건
발행일 : 2015년 11월
전 화 : 02-2132-0756 팩스 : 02-782-1266
http://www.kessia.kr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