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2

파우치 형 전지를 이용한 리튬공기전지의 대면적화

전공 : 에너지공학과(담당교수 : 선양국)
팀원 : 전창빈(2013016678) 서종민(2010001435) 송진웅(2010001468) 윤동한(2014009525) 마동혁(2014009434) 박상우(2014009452)
과제의 배경 및 필요성

• 리튬-공기전지는 높은 이론적 용량과 에너지밀도를 가지고 있어 전기자


동차 혹은 ESS 등 다양한 분야에 쓰일 차세대 이차전지로 주목되고 있다.
• 하지만 아직 상용화에 많은 문제가 있어, 이를 해결하기 위해 여러 연구
과제가 수행되고 있지만 아직까지는 실험실 크기의 연구만이 진행되고
있다.
결과2
• 본 연구는 실제 활용 가능한 크기의 파우치 형 전지를 제작, 이 전지를
구동할 때 나타나는 문제점을 파악하고 향후 연구방향을 제시한다. 결과2. 정전류 실험에서 파우치 형 리튬-공기전지의 사이클 구동 결
과. a) MnO2(nano)-CNTP cathodes, b) MnO2(micro)-CNTP cathodes,
c)CNTP 를 cathodes로 사용했다. 이 실험에서 최대 방전 용량은
30mAh(2.0 mAhcm−2)로 고정시켰다.
활용된 지식과 창의성
• MnO2 촉매를 사용하는 리튬-공기전지가 더 긴 사이클 수명을 나타냈
• 리튬-공기전지는 기본적으로 낮은 에너지 효율과 짧은 배터리 수명을 지만, MnO2 촉매 유무에 상관없이 수 차례 사이클 이후에 충전 전위에
문제점으로 가지고 있어, 이를 개선하기 위해 다양한 물질과 촉매를 서 노이즈를 보였다. 이 결과는 다음 결과3의 Li deposition과 관련이
활용하는 연구가 진행되었다. 있다.
• 기존 연구실 수준의 작은 사이즈 위주의 연구에서 벗어나 실제 산업에
사용될 수 있는 큰 사이즈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했다.
• 따라서 기존 연구실 수준의 전지보다 6-10배 큰 파우치 타입의 리튬-
공기전지를 제작, 이를 구동할 때 발생하는 문제점에 대해 파악하였다.

개념 설계 및 구현
결과3

a) 촉매를 포함하고 있는 유연하고 단일구조인 결과3. a, b)pristine, c)첫 방전 이후, d)첫 충전 이후 CNTP cathodes
CNTP(carbon nanotube paper)의 여과과정 의 SEM data. e)pristine, 첫 방전, 첫 충전 이후 CNTP cathodes의
b) 여과된 CNTP를 3*5 cm2 으로 자른 모습 XRD data
c) 기존의 Li-ion 배터리의 양극
d) 본 연구에 사용된 Li-O2 배터리의 양극 • SEM과 XRD 분석을 통해, 방전 생성물인 Li2O2 형성과 분해가 확인되
었음에도 불구하고, 전지는 23번째 사이클 이후 노이즈와 함께 수명을
다했다.
• 따라서, cathode는 큰 사이즈의 리튬-공기전지 성능저하의 주된 결함
• 기존의 Li-ion 배터리에 사용된 양극에는 Al foil 위에 Cathode active
이 아님을 알 수 있었다.
material을 사용한 반면에 본 연구에는 Al foil 대신 산소가 드나들 수
있는 Ni-mesh를 사용하였고 Cathode active material 대신 porous
carbon material인 CNTP를 사용했다.

결과 및 증명

결과4

결과4. 사이클 구동 중 전지의 성능이 저하 된 이후 수집한 Li anode와


분리막(Li anode 방향)의 XRD data와 SEM data

• Li metal 표면이 Li의 dendrite로 인해 완전히 변질되었다. Dendrite는


결과1 separator를 관통하여 short circuit을 유발하였다.
• 따라서, 큰 사이즈의 리튬-공기전지 성능저하의 주된 결함은 Li metal
결과1. 정전류 실험에서 리튬-공기전지의 첫 사이클에서의 전압 변화 anode이다.
를 나타내었다. 환원전극으로는 MnO2(nano)-CNTP, MnO2(micro)-
CNTP, and CNTP를 사용하였다. 전해질은 각각 1 M LiTFSI-TEGDME,
그리고 0.1 M TEMPO 1 M LiTFSI-TEGDME를 사용하였다. 그리고 전 결론 및 기대효과
류밀도를 0.2 mA cm−2(즉 cell 당 3.0mA와 30 mA g−1)로 했다.
• 기존에 연구되던 전지보다 6-10배 정도 큰 전극이 사용된 파우치 형
• ORR(Oxygen Reduction Reaction) 과 OER(Oxygen Evolution 리튬-공기전지를 연구했다.
Reaction)에 대한 고체 촉매 MnO2 의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 고체 촉매(nano-MnO2)와 용해성 촉매(TEMPO)의 중요성을 확인할 수
Nano-sized MnO2가 촉매 효과가 가장 좋았다. 있었다.
• 전해질 내에서 OER 촉매로서의 redox mediator (TEMPO)가 있으면, • Li anode에서 Li deposition이 일어날 때 불특정한 전류(Li ion) 흐름이,
충전 전위가 더 낮아짐을 확인했다. 높은 전류밀도와 용량을 갖는 파우치 형 리튬-공기전지의 중요한 문제
• 하지만 사이클 구동 중 고체 촉매 MnO2가 Li 삽입으로 인해 LixMnO2 점이라는 것을 밝혔다. 더 큰 규모에서는 심각한 Li metal 문제가 발생
로 변함을 확인했고, 방전 중 약 2.1V 에서 TEMPO의 부 반응으로 인 할 것이다. 따라서, 실용적인 리튬-공기전지를 제작하기 위해서는 Li
한 voltage plateau를 확인할 수 있었다. metal 보호와 Li ion의 흐름 조절이 필수적이다.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