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18

LED 동작 및 구동 개론

LED 동작 및 구동 개론

강의 노트

1회차
<LED 근본 작동 원리>

1
LED 동작 및 구동 개론

▣ 학습내용
1. LED 발광 원리

2. LED 구동 원리

3. LED 생산 과정

4. LED 방열 구조

▣ 학습목표
• LED의 발광 원리와 구동 원리를 이해하여 설계 시 반영할 수 있다.

• LED 생산 과정을 설명할 수 있다.

• LED 방열 구조의 필요성을 설명할 수 있다.

2
LED 동작 및 구동 개론

1. LED 발광 원리
1) 네온사인의 원리

- 전기 에너지에 의해 기체의 전자가 높은 에너지 레벨로 이동 후 낮은 에너지 레벨로 떨어짐


- 에너지 레벨의 차이만큼의 에너지가 방출됨
- 방출되는 에너지가 가시광 영역대의 에너지일 경우 해당 파장의 빛이 나오게 됨
- 다양한 색을 내는 네온사인을 만들려면 네온 이외의 다양한 가스를 섞어 사용

3
LED 동작 및 구동 개론

1. LED 발광 원리
2) LED의 발광 원리

- LED는 수천억 개의 원자가 응집한 고체를 이용하여 빛을 냄


- 수천억 개의 원자들이 응집된 만큼 더 이상 원자의 에너지 레벨은 존재하지 않음
- 고체 종류에 따라 원자들이 상호작용을 해서 에너지를 바꾸며 ‘에너지 밴드(Energy Band)’ 형성

<에너지 밴드와
밴드갭>

에너지 밴드

전자 전자
전자

에너지 밴드갭
원자핵
3eV

전자
전자 전자
제1궤도 : 10eV 제2궤도 : 7eV

→ 원자핵 주위의 전자들은 몇 개의 궤도 위에 존재하며, 각각의 궤도는 서로 다른 에너지를


가짐
→ 각 궤도별 전자들의 에너지량을 에너지 밴드라고 하고, 두 에너지 밴드 사이를
Ex
밴드갭이라고 함
- 제1궤도의 에너지 밴드가 10eV라면 이 궤도의 모든 전자들은 10eV의 에너지를
가짐

- 제2궤도의 에너지 밴드가 7eV라면 이 궤도의 모든 전자들은 7eV의 에너지를


가짐

- 제1궤도와 제2궤도의 에너지 갭은 10eV - 7eV = 3eV

4
LED 동작 및 구동 개론

1. LED 발광 원리
2) LED의 발광 원리

- 백색 LED의 원리 : 청색 LED 소자를 형광 물질로 덮어 청색과 노란색의 배합으로 백색광을 얻음

주로 청색 형광물질(Phosphor)
LED 소자 사용 로 청색 LED를 덮음

※ 출처 : 형광소재 및 도포핵심기술. 임승재

5
LED 동작 및 구동 개론

2. LED 구동 원리
1) LED는 P-N Junction으로 이루어지는 반도체

전기 회로의 구동 측면에서 보았을 때 반도체는 무엇일까?


- 1960년대 이전 : On/Off를 전기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진공관을 전자제품에 사용
- 1970년대 : 반도체가 전자제품에 대량 이용되기 시작함

- 즉, 반도체는 진공관과 같은 On/Off 스위치


- LED도 P-N Junction의 아주 기본적인 반도체

→ 정공의 에너지 + 전자의 에너지 > 전자정공쌍의 에너지


→ 남는 에너지가 빛의 형태로 발산됨

6
LED 동작 및 구동 개론

2. LED 구동 원리
1) LED는 P-N Junction으로 이루어지는 반도체

- 반도체의 기본 동작 곡선

다이오드에 흐르는 전류

0V
입력 전압

→ 정방향 전원을 입력한 상태


Forward
→ 그래프의 Vd(임계전압) 지점까지는 전류가 흐르지 않음(발광 X)
영역
→ Vd 이상의 전원이 인가되어야 전류가 급격히 흐르며 동작

Reverse → 역방향 전원을 입력한 상태


영역 → 전압을 가해도 전류가 흐르지 않음 → 다이오드 동작 X

→ 역방향 전원을 한계치 이상으로 강하게 거는 경우, 항복사태가


발생해
Breakdown
영역 역방향 전압을 걸었음에도 전류가 흐름

→ 정방향 전원과는 전류의 흐름이 반대 방향


→ 다이오드 내 전류는 흐르지만, LED의 경우 빛은 나지 않고
파괴됨

7
LED 동작 및 구동 개론

2. LED 구동 원리
1) LED는 P-N Junction으로 이루어지는 반도체

- LED 발광을 위한 전자 정공의 에너지 밴드

→ P type 반도체와 N type 반도체는 각각의 도핑된 불순물로 인해 페르미 레벨이 변함

→ 이 상태에서 P-N접합하는 경우, 페르미 레벨이 일치하게 에너지 밴드가 구부러짐

→ P-N접합상태에 전원을 인가하면 페르미 레벨이 어긋나면서 전자가 이동해 정공과


결합함

→ 결합 과정에서 전자의 에너지 밴드가 떨어지고, 그 갭만큼의 남는 에너지가 외부로


방출됨
: 외부로 방출되는 에너지가 빛의 형태로 나타나는 경우가 LED

→ 떨어지는 에너지의
에너지갭 좁음밴드갭이 좁느냐,에너지갭
넓으냐에중간
따라 방출되는 빛의 파장이
에너지갭 넓음바뀜

8
LED 동작 및 구동 개론

2. LED 구동 원리
2) LED 구성 원리

- LED Chip : LED를 PCB에 납땜해 쓸 수 있도록 Package로 만드는 것


- LED Die가 열전도가 잘되는 Heat Sink 위에 위치하고 Wire Bonding으로 연결되어 있음

※ 출처 : www.electronicsweekly.com

9
LED 동작 및 구동 개론

2. LED 구동 원리
3) 정전류 / 정전압 구동의 사용

- 일반적인 전기 저항의 I-V 특성 : 전류와 전압 비례함


- LED의 I-V 특성 : 약간의 전압차이 만으로도 상당히 큰 전류가 증가함
- LED의 안정적인 구동을 위해 정전류 혹은 정전압 구동이 필요함

10
LED 동작 및 구동 개론

3. LED 생산 과정
1) LED의 역사

- 초기 형태의 LED : Epoxy로 Package 된 형태이며 주로 전자부품의 표시광원으로 사용되었음


- LED의 광원의 역사

1990년대 중반
 Blue에서 Green LED :
InGaN

1980년대 중반  백색 LED : 형광체 이용

1970년대  True Red LED


 물질 : AlGaAs 3 원계
 IR에 가까운 Red LED
 물질 : GaAs

1990년대 초반
1970년대 후반
 Yellow에서 Red LED
 Yellow-Green LED
 물질 : AlInGaP 4 원계
 반도체 물질 : GaP

11
LED 동작 및 구동 개론

3. LED 생산 과정
2) LED를 만드는 공정

※ 출처 : Illustration : Yole Developpement

1. LED 소자가 만들어지면 일반적으로 Au-Sn 합금의 메탈이 Bonding 됨

2. 사파이어 기판을 보통 Laser Cutting으로 분리

3. 전체 기판에 증착된 LED 소자가 전체 Wafer 면적에 Uniform 하게 되었는지 확인

4. 각각의 LED Die 검사

5. LED 소자를 약 0.1 mm by 0.1 mm 크기로 자름

6. 각각 성능이 다른 Die를 비슷한 종류끼리 분류(Binning)

7. LED Die를 LED Package에 붙임

8. LED Die에 Wire Bonding

9. 백색광을 내기 위해 형광체를 덮음( ※ 봉지 : 수분 및 산소의 침투 차단)

10. 렌즈를 덮고 Packaging

11. 완성된 LED Package Chip을 검사하고 분류

12
LED 동작 및 구동 개론

3. LED 생산 과정
3) LED 소자의 생산

- LED는 실제로 높은 효율을 위해 Quantum Well이라는 복잡한 구조를 가짐


- Quantum Well은 MOCVD라는 장비에서, 보통 4” wafer 크기로 만들어짐

13
LED 동작 및 구동 개론

4. LED 방열 구조
1) LED의 온도에 대한 영향

- LED die 밑에는 열전도가 좋은 물질로 되어 방열구조를 가짐


- 방열구조인 LED chip 역시 조명제품을 만들 경우 LED chip으로부터 열을 잘 빼주는 구조를
가짐

※ 출처 : www.electronics-cooling.com / www.news.panasonic.net

14
LED 동작 및 구동 개론

4. LED 방열 구조
1) LED의 온도에 대한 영향

- LED 의 수명 : 높은 온도에서 급격하게 수명 감소

15
LED 동작 및 구동 개론

4. LED 방열 구조
1) LED의 온도에 대한 영향

- LED 온도에 따른 빛 발광 효율 변화 : LED가 열을 많이 받을수록 소자의 발광 성능 감소

→ Blue LED : 열에 가장 우수한 성질을 가짐

→ Red LED : 발광 물질의 열적 안전성이 떨어짐

16
LED 동작 및 구동 개론

▣ 정리하기
☞ LED 발광 원리

 LED : 반도체로 일정 전압 이상을 걸어줄 경우 빛을 냄

 LED가 빛을 내는 이유 : 반도체의 Band Gap이 해당 빛의 에너지 색깔에 해당하기 때문

 백색광 : Red · Blue · Green 혼합

 백색 LED : 주로 Blue LED에 Yellow 형광물질을 적용해 연출

 LED의 최소 단위 : LED Die

☞ LED 구동 원리

 LED는 반도체 P-N Junction Diode의 전형적인 I-V 특성을 가지고 있음

 전류는 전압 지수에 비례하므로 작은 전압의 변화에도 큰 전류의 변화 발생

 LED 구동 시 정전류 혹은 정전압 구동 사용

☞ LED 생산 과정

17
LED 동작 및 구동 개론

▣ 정리하기
☞ LED 방열 구조

 LED는 열에 약한 반도체

 수명, 발광 효율 등이 열에 의해 급격히 감소함

 LED 응용 시 가장 중요한 요건 : LED 구동 기술 · 방열 기술

10

18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