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18

3.

0 Welding Imperfections (용접불완전; 적당한 번역이 없어서 불완전이라고 사용하였음)

3.1 Definitions (정의)

Definitions (BS EN ISO 6520-1을 참조할 것)

Imperfection (불완전): 이상적인 용접과 비교하여 어떤 차이점


Defect (결함): 합격할 수 없는 불완전함

불완전한 용접에 대한 구분은 BS EN ISO 6520-1에 따른다.

이 기술표준은 용융용접의 경우에 형상에 따른 불완전함을 구별하고, 6개의 그룹으로 나눈다.

1) Cracks (균열)
2) Cavities (공동)
3) Solid inclusions (게재물 혼입)
4) Lack of fusion and penetration (용융과 용입부족)
5) Imperfect shape and dimension (불완전한 형상과 치수)
6) Miscellaneous imperfections (기타 불완전)

불완전함을 그 원인에 대해서 정확하게 구분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그리고 지속적인 발생을 예방


하도록 조치가 취해져야 한다.

3.2 Cracks

Definition (정의): 고체상태에서 부분적인 파열에 의해서 만들어진 불완전으로 냉각이나 응력의 효
과 때문에 발생된다. 균열은 다른 형태의 불완전보다 더욱 중요하다. 이런 형상은 아주 큰 응력을 균
열의 끝에서 집중시켜서 더욱 쉽게 파괴에 이르는 원인이 된다.

Types of cracks (균열의 형태):


- Longitudinal cracks (종균열)
- Transverse cracks (횡균열)
- Radiating cracks (방사상균열; 어떤 한 점에서 여러 방향으로 균열이 발생)
- Crater cracks (크레이트균열)
- Branching cracks (가지균열; 어떤 한 점에서 시작되어 연결된 균열의 그룹)

이런 균열은 다음의 부분에 일치될 수 있다.


- 용접금속에서
- HAZ (열영향부)에서
- 모재 부분에서
단, 크레이트균열은 용접금속에서 만 발생한다.

그 성질에 따라서 이런 균열들은 나누어진다.


- Hot cracks (i.e. solidification cracks, liquation cracks)
- Precipitation induced cracks (i.e. reheat cracks, present in creep resisting steels)
- Cold cracks (i.e. hydrogen induced cracks)
- Lamellar tearing

3.2.1 Hot Cracks (고온균열)

발생되는 위치나 발생의 원인에 따라서 고온균열은 다음과 같다.

- Solidification cracks: 용접금속에서(보통 용접의 중앙선을 따라서) 발생하고 응고과정의 결


과로 인해서 발생된다.
- Liquation cracks: 용융선의 주변에서 가열로 인한 모재의 온도상승은 입자경계 상에 저용
융점 구성물(low melting point constituents)이 자리를 잡을 수 있는 충분히 높은 온도에서 HAZ의
과대입자 (coarse grain)에서 발생한다.
3.2.2 Solidification Cracks (응고균열)

일반적으로 응고균열은
• 용접금속이 탄소함량이 높거나 불순물 (유황 등)이 함유되어 있을 때 발생한다.
• 응고되는 용접비드의 깊이 대 폭의 비율 (depth-to-width ratio)이 클 때 (deep & narrow)
발생한다.
• 열전도 조건에 교란 (disruption)이 생길 때, 예를 들어 중단하거나 시작 할 때 발생한다.

균열은 용접물의 표면에 수축으로 인한 틈새처럼 넓게 열릴 수 있고, 때로는 용접물 내부에 좁게 발


생할 수도 있다.

응고균열은 광범위한 냉각온도범위의 결과로 화학성분에 의해서 쉽게 일으날 수 있다. 강재에서는


이런 균열은 탄소함량이 일반적일 때보다 높은 경우에 일반적으로 만들어지고, 유황과 인과 같은 불
순물이 있을 때 만들어진다. 이런 요소들은 응고과정에서 분리 (segregate) 되어 용접물이 응고된
후에 입자간의 액체 필름으로 남아 있는다. 용접비드의 냉각으로 인한 열수축은 이런 것들이 파열되
도록 하여 균열을 형성한다.

용접사가 스케일이나 기름 또는 그리스로 오염된 모재에 용접을 하지 않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스


케일은 유황의 함량이 매우 높고, 기름과 그리스는 탄소와 유황을 공급해주는 원인이 된다. 구리, 주
석, 납 그리고 아연 같은 저융점 금속들은 오염을 피해야 한다.

3.2.3 Hydrogen Induced Cracks (수소균열)


수소균열은 주로 HAZ의 입자가 큰 지역에서 발생하고, 저온균열, 지연균열 또는 언더비드/토우균열
로 알려져 있다. 언더비드 균열은 용융경계선에 평행하게 발생되고, 그 경로는 입자사이와 입자를 가
로질러서 발생한다. 토우균열에 대한 주요 잔류인장응력의 방향은 균열의 경로를 연속적으로 낮은
민감도의 부분으로 향하게 용융경계에서 수소균열로 멀어지도록성장시킨다. 수소균열이 발생되면
균열성장율은 감소되고 결국은 멈춘다.

세 요소의 조합은 HAZ 수소균열을 일으키는데 필수적이다.

덧붙여서 용접은 수소의 효과가 최대한에 있는 경우, 반드시 상온으로 가까이 천천히 냉각되어야 한
다. 만약이 어느 하나의 요소라고 만족하지 많으면 균열은 발생되지 않는다. 그러므로 균열은 이런
요소 중의 하나나 둘을 조절할 수 있으면 피할 수 있다.

• 예열 적용( 냉각속도를 낮추어서 미세조직의 형성을 억제한다)


• 규정된 층간온도를 유지 (예열과 같은 효과)
• 완성된 용접에 후열 적용 (용접된 구역에서 수소를 방출하도록 하여 수소함량을 줄인다)
• 후열처리 (PWHT; 잔류응력을 줄이고 미세구조를 제거한다)
• 적절한 용접기법과 용접재료를 사용하여 용접금속의 수소를 줄인다 (예를 들어 MMA 대신
TIG를 사용하고, 셀룰로스 피복대신 베이직피복을 사용한다)
• 단층용접(single-run)보다는 다층(multi-run)용접기술을 사용한다 (자가 뜨임효과 (self
tempering effect)를 얻을 수 있는 방법을 이용하므로 미세조직의 발생을 제거하고, 용접된 구역에
서 수소가 방출되어 수소함량을 줄인다)
• 뜨임비드 (temper bead)나 홧패스기술을 사용한다 (위와 같은 효과)
• 오스테나이트계나 니켈계의 용접재료를 사용한다 (미세조직의 형성을 피하고 예민한 부분
밖으로 수소가 확산되도록 한다)
• 습기가 없는 차폐가스를 사용 (수소함량을 줄인다)
• 개선면에 있는 녹을 잘 청소한다 (녹 안에 있는 습기로부터 수소오염을 피한다)
• 잔류응력을 줄인다
• 용접형상을 스무스하게 한다 (용접의 토우 부분에 응력이 집중되는 것을 줄인다)

3.2.4 Lamellar Tearing (라멜라 티어링)


라멜라 티어링은 압연강재 (주로 판재)에서 생기고, 구별할 수 있는 주된 형상은 계산형태
(terraced)을 갖고 있다.

이음에서 균열이 발생하는 곳은:


• 열수축 변형이 강재의 두께 방향으로 일어난다
• 비금속성 이물질이 아주 얇은 판형으로 존재하고, 그 주평면이 강재의 표면에 평행하다

평면형 비금속성 개재물에 놓여진 수축변형은 거친 직사각형 구멍의 연속적인 결합을 형성하도록 하
는 결과를 초래한다. 이런 직사각형의 구멍은 균열의 수평으로 판재의 표면에 평행하다. 변형이 더
심해지면주로 연성전단균열(ductile shear cracking)에 의해 균열의 수직 부분이 생긴다. 이런 두 단
계는 이런 균열을 계단형상으로 발전한다.

두가지 주요한 선택은 용접이음에서 라멜라 티어링을 일으킬 수 있는 문제를 조절할 수 있다.

• 두께 방향의 물성이 확인된 (Z grade) 강재를 사용


• 균열의 위험을 최소화하기 위한 이음설계, 구속의 조절 그리고 용접순서의 조합

3.3 Cavities (공동)


3.3.1 Gas Pores (가스 기공)

Surface breaking pores


Uniformly distributed porosity
(T fillet weld in primed plate)
용접금속 내에 갇혀진 구상의 가스 공동.
이런 가스 공동은 여러 가지 형태로 존재한다.
- 고립형 (isolated)
- 일정한 형태로 분포된 기공 (uniformly distributed porosity)
- 부분적으로 밀집된 기공 (clustered porosity)
- 선형 기공 (linear porosity)
- 길게 늘어진 공동 (elongated cavity)
- 표면 기공 (surface pore)

원인 예방
젖은 플럭스/오염된 용접봉 (MMA) 용접봉은 잘 건조하여 사용한다
그리스/기름/물 등으로 오염된 개선면 용접될 표면은 청결하게 한다
차폐가스의 공기 혼입 (air entrapment)
호스의 연결을 확인한다
(MIG/MAG TIG)
용접전극, 용접재료 또는 모재에 대한 부정확하
산소가 충분히 제거된 전극을 사용한다
고 불충분한 산소제거
지나치게 높은 전압이나 아크 길이 전압과 아크 길이를 줄인다
프라이머 도장이나 표면처리로 인해서 발생되는 표면처리를 하기 전에 반응에 대한 위험성을 예
가스 지한다
지나치게 높은 차폐가스의 공급 유량으로 격한
적절한 가스 공급량
와류를 발생 (MIG/MAG TIG)

기공은 용접물에 부분적으로 위치할 수도 있고, 자그마하게 전체적으로 퍼질 수도 있다.

3.3.2 Worm Holes

용접금속이 응고되는 동안에 갇혀버린 가스에 의해서 형성된 길거나 원통형의 공동으로 단독으로 생
기거나 집단적으로 발생한다.

원인 예방
개선면의 전체적인 오염 용접 전 청결작업
라미네이션이 있는 공작물 표면 라미네이션이 없는 모재로 대체
이음 형상으로 발생된 공작물 표면의 균열 균열을 일으키는 이음형상을 제거

웜홀은 응고되는 금속 결정 (dendrites) 사이에서 연속적으로 가스가 갇히므로 발생한다. 이것은 원


형의 단면을 갖는 길게 늘어지는 기공의 형태로 만들어진다. 이렇게 길게 늘어진 기공들은 방사선탐
상에서 “herring-bone” (정어리뼈) 의 배열로 나타난다. 그리고 어떤 경우는 용접 표면으로도 나타난
다.

3.3.3 Surface Porosity (표면기공)

용접의 표면으로 노출된 기공

원인 예방
젖거나 오염된 모재 표면 또는 용접재료 모재표면을 청결하게 하고 용접재료를 건조
낮은 플럭싱 작용 (MIG/MAG) 높은 작용의 플럭스 사용
MnS를 만드는 망간 함량이 높은 재료를 사용한
이산화황을 만들 수 있는 지나치게 높은 유황성
다. 쾌삭강은 되도록이면 용접에 사용하지 않는
분 (대체로 쾌삭강)

아크길이가 길거나 강한 바람으로 인한 차폐가스 아크의 길이를 줄이고 바람을 막을 수 있는 방법
의 손실 을 개선
급격한 와류를 만드는 지나치게 높은 차폐가스
적절한 가스공급량
공급율 (MIG/MAG TIG)

표면기공의 원인은 일정하게 배열되는 기공과 유사하다.

3.3.4 Crater Pipe

용접의 패스의 끝에 생기는 수축 공동이다. 주요 원인은 응고하는 동안의 수축이다.

원인 예방
지나치게 높은 전류를 사용한 용접기법으로 인한
용접사를 재훈련 시킨다
용접사의 기량 부족
크래터를 충분히 채우지 않는다(Slope out)
적절하게 크래터를 채우는 기술을 사용한다
(TIG)
크래터를 채우는 것은 TIG용접의 낮은 입열량 때문에 발생하는 특별한 문제다. 이 기법을 이용하여
크래터를 채우는 것은 아크가 사라질 때까지 용접전류 (slope out)를 점차 단계적으로 낮추는 것은
필수적이다.

3.4 Solid Inclusions (개재물 혼입)

용접물 안에 고체로 된 이물질이 갇힌 것.

3.4.1 Slag Inclusions (슬랙 혼입)

용접 중에 슬래그가 갇힌 것. 일정하지 않는 형상을 가진 불완전으로 가스로 발생된 기공과는 그 모


양이 다르다.

원인 예방
다층 용접 중에 비드 표면에 있는 슬래그를 완전
비드 층간의 슬래그 제거방법을 개선한다
히 제거하지 않는다
슬래그를 조절할 수 있는 자세로 일을 한다. 용
슬래그가 아크의 앞쪽으로 넘쳐간다
접사는 적절한 용접봉의 각도를 유지해야 한다
용접 표면에 슬래그가 갇힌다 용접표면을 스무스하게 그라인딩한다

MMA기법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대체로 용접금속 내에 아주 작은 크기로 고루 퍼져 있을 수 있다. 이


런 불완전은 크기가 크거나 개재물의 끝이 날카로울 때 문제가 된다.

3.4.2 Flux Inclusions (플럭스 혼입)

용접 중에 플럭스가 갇히는 것. 모양이 일정하지 않아서 기공과는 다르다. 이런 불완전은 용접기법


에 따라서 나타난다. (예를 들어 MMA, SAW and FCAW)

원인 예방
손상된 피복에 의해서 플럭스가 녹지 않는다 관리상태가 좋은 용접봉을 사용한다
플럭스나 와이어를 교체한다. 만족스런 용접조건
플럭스가 녹지 않아 용접물 중에 갇혀 버린다
을 얻기 위해서 전류, 전압 등의 용접변수를 조
(SAW 또는 FCAW)
정한다

3.4.3 Oxide Inclusions (산화물 혼입)

용접 중에 산화물이 갇히는 것. 모양이 일정하지 않아서 기공과는 다르다.

원인 예방
용접 개선면에 두꺼운 스케일이나 녹이 있다 용접 전에 표면을 그라인딩한다

산화물 혼입의 특별한 형태는 puckering (corrugations in metal parts resulting from pressing or drawing)이
다. 이런 결함은 특히 알루미늄 합금에서 발생된다. 전체적인 산화피막 (oxide film enfoldment)는
대기 중의 오염과 용접 용탕에서의 급격한 와류에 대한 만족스럽지 못한 보호막의 조합 때문으로 발
생될 수 있다.

3.4.4 Tungsten Inclusions (텅스텐 혼입)

텅스텐 입자가 TIG용접 중에 박혀 버릴 수 있다. 이런 불완전은 방사선탐상의 필름에서 밝게 나타는


부분이다. 텅스텐은 주변의 금속보다 밀도가 높아서 많은 양의 X선이나 감마선을 흡수한다.

원인 예방
텅스텐 전극을 용탕에서 일정하게 떨어지게 유지
용접전극의 끝이 용접 용탕에 닿았을 때
한다. HF 스타터를 사용
용접 용가재가 용접전극의 끝에 닿았을 때 용접전극과 용가재를 서로 닿지 않도록 한다
용접 전류를 줄이고, 차폐가스의 유량을 조정한
용탕에서 생기는 스패터로 용접전극이 오염

주어진 전극의 크기나 형태의 전류한계를 넘을 용접전류를 줄이고, 직경이 큰 용접전극으로 교
때 체한다
콜렛으로부터 일반적인 거리 이상의 전극의 연장
전극의 연장이나 용접전류를 줄인다
(electrode extension)으로 전극이 과열된다
부적절한 콜렛의 체결 콜렛을 다시 잘 체결한다
차폐가스의 유량을 조절하고, 용접장 내의 바람
전극의 끝을 산화시키는 부적절한 차폐가스의 유
을 차단하여 아크가 중지된 후 적어도 5초간 차
량이나 강한 바람
폐가스가 흐르도록 한다
정해진 용접전류에 맞는 크기의 텅스텐 전극으로
전극의 분리나 균열
교체한다
부적당한 차폐가스 (예를 들어 MAG 용접을 위한
적절한 혼합가스로 교체
알곤-산소 또는 알곤-이산화탄소 혼합가스)

3.5 Lack of Fusion and Penetration (불완전 용융과 용입)

3.5.1 Lack of Fusion (불완전용융, 용융부족)

용접금속과 모재 또는 용접금속과 다른 용접비드 간의 결합이 부족한 것.

3.5.1.1 Lack of Sidewall Fusion (개선면 용융부족)

용접금속과 모재의 결합이 용접개선면의 한쪽이나 양쪽에서 부족한 것.

원인 예방
용접아크의 전압과 전류를 증가시키고, 이송속도
낮은 용접 입열량
는 늦춘다
용접봉의 각도와 작업 자세를 개선하고, 이송속
용융금속이 아크를 넘어 앞선다
도를 빠르게 한다
용접될 표면에 산화물이나 스케일이 있다 개선가공 절차를 개선
MAG의 dip transfer welding의 경우 인덕턴스가
스패터가 많이 발생하면 인덕턴스를 줄인다
과도하다

용접 중에 용접 용탕이 모재와 용융되도록 충분한 가열이 있어야 한다.

3.5.1.2 Lack of Inter-run Fusion (층간 용융부족)


비드와 비드 사이의 용융선을 따라서 결합이 부족.

원인 예방
낮은 아크 전류로 인한 용접 용탕의 낮은 유동성 전류를 증가시킨다
이송속도가 지나치게 높다 이송속도를 늦춘다
부정확한 비드를 만든다 용접사를 다시 훈련시킨다

층간의 용융부족은 용접비드 사이에 틈새를 만들고, 부분적으로 슬래그를 끼이도록 한다.

3.5.1.3 Lack of Root Fusion

용접의 루트에서 발생되는 용접금속과 모재 사이의 용융부족.


원인 예방
용접전류와 전압을 증가시키고, 이송속도를 늦춘
낮은 입열량

모재의 두께에 따라서 올바른 인덕턴스를 사용한
MAG dip transfer 용접의 과도한 인덕턴스

하진용접 (vertical down welding) 을 사용 상진용접으로 절차서를 바꾼다
좁은 루트 간극 올바른 루트 간극을 유지한다
올바른 용접봉의 각도를 유지하고, 용접사이 기
부적당한 용접봉의 각도나 운봉법
량이 충분한지 검증은 되었는지 확인한다
루트에서의 과도한 단차 루트의 단차를 알맞게 맞춘다

3.5.2 Lack of Penetration


3.5.2.1 Incomplete Penetration (불완전 용입, 용입부족)

실제 용입(actual penetration)과 설계상의 용입(nominal penetration)이 다르다.

원인 예방
지나치게 넓은 루트면, 불충분한 루트간극이나 백가우징의 기술을 개선하고 승인된 WPS의 요구
백가우징 작업이 불충분한 경우 사항을 만족하는 개선면을 만든다
용접전류와 전압을 증가시키고, 이송속도를 낮춘
낮은 입열량

MAG dip transfer 용접의 과도한 인덕턴스와 용 전기 조건을 개선하고 가능하다면 spray arc
탕이 아크를 넘쳐가는 경우 transfer 모드로 변환한다
MMA 용접봉이 지나치고 굵다 (저전류밀도) 용접봉의 굵기를 줄인다
하진용접의 사용 상진용접으로 바꾼다

용접이음이 아주 중요한 경우가 아니라면, 예를 들어 요구되는 강도가 낮거나 피로균열이 쉽게 일어


나지 않는 경우 부분용입이 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런 경우 불완전루트용입은 이런 구조의 부분으로
고려되고 불완전(imperfection)은 아니다 (이것은 대체로 설계나 코드의 요구사항에 의해 결정된다).

3.5.2.2 incomplete Root Fusion (불완전 루트용융, 루트용융부족)

루트의 한쪽면이나 양쪽면이 모두 용융되지 않은 경우. 루트 쪽 면에서 검사를 할 때 한쪽이나 양쪽


모두 용융되지 않은 루트를 볼 수 있다.

원인과 예방
루트용입부족 (Lack of root penetration)과 동일
3.6 Imperfect Shape and Dimensions (형상과 치수 불완전)

3.6.1 Undercut (언더컷)

모재에서 비드의 토우에서나 이미 용접된 비드에서의 불규칙한 그루브. 그것은 깊이, 길이 그리고 날
카로운 정도에 의해서 특징지어진다.

원인 예방
높은 용접전류나 높은 이송속도로 인한 최고 높 자유끝단에서 쉽게 과열이 쉽게 일어나는 곳에서
은 모서리의 용융 (특히 자유 모서리) 전류를 줄인다
수평수직자세 (horizontal vertical position: PB) 아래보기 자세로 용접하거나 다층용접을 이용한
에서 9mm보다 큰 각장의 용접시도 다
지나치게 커고, 부적당한 위빙 위빙의 폭을 줄이거나 다층용접을 이용한다
부적당한 용접봉의 각도 두꺼운 부재용접에는 직접 아크 적용
부재의 재질과 두께에 알맞는 혼합가스 사용
부적당한 차폐가스 선택 (MAG)
(MAG)

언더컷을 수정할 때는 입열을 조절할 수 있도록 주의가 필요하다. 수정용접의 비드가 너무 작다면
다음 용접의 냉각속도가 지나치게 빨라지고 모재의 경도는 증가하게 된다. 그 용접은 수소균열이 쉬
워진다.

3.6.2 Excess Weld Metal

과잉용접여성고는 여분의 금속이다. 필렛용접의 과잉볼록비드, 맞대기용접에서는 모재의 철판보다 더


두꺼운 용접을 의미한다. 용접의 형상이 규정된 한계보다 더 높은 용접금속이 있을 때는 불완전으로
간주된다.

원인 예방
과도한 아크 에너지 (MAG, SAW) 입열을 낮춘다
얕은 개선 개선을 깊게 한다
좋지 못한 용접 운봉이나 적층방법 용접사의 기량의 개선한다
부적절한 용접봉 크기 용접봉 크기를 줄인다
지나치게 느린 운봉속도 적절한 운봉속도를 유지한다
부적절한 용접봉 각도 적절한 용접봉의 각도를 유지한다
잘못된 전극의 사용 (용접봉의 전극 DC-VE) 적절한 전극의 사용 (DC+VE)

용접의 형상을 이름하는데 “reinforcement” 란 용어를 사용하는 것은 잘못된 것이다. 왜냐하면 과


잉용접금속은 일반적으로 보통의 강재의 맞대기용접에서 더 강한 용접을 만들지는 않는다. 이런 불
완전은 문제가 될 수 있다. 용접토우의 각도가 날카로와질 수 있고, 용접의 토우에서 응력이 집중되
어 증가하고 피로균열로 이어질 수 있다.

3.6.3 Excess Penetration (과잉용입)

규정된 값이 이상의 루트용입의 돌출은 국부적이거나 전체적으로 존재할 수 있다.

원인 예방
아크 전압과 용접전류를 낮추고 운봉속도를 증가
지나치게 높은 입열
시킨다
부적절한 개선, 예를 들어 과도한 루트간극, 얇은
용접개선면 준비을 개선한다
루트면, 백킹의 부족
용접자세에 적절하지 않은 용접봉의 사용 용접자세에 알맞는 용접봉을 사용한다
용접사의 기량 부족 용접사를 재훈련시킨다

특별히 파이프의 맞대기용접에서는 일정한 치수를 갖는 용입비드를 유지하는 것은 훌륭한 용접기량


을 요구한다. 만약 용접을 위한 접근이 쉽지 않거나 좁은 개선일 경우는 이것은 매우 어렵게 된다.
영구백킹이나 임시백킹재를 사용하는 것은 용입의 조절을 돕는데 아주 유용하다.

3.6.4 Overlap (오버랩)


용접의 토우에 발생되는 불완전으로 용접금속이 모재에 용융되지 않고 모재의 표면을 덮어 흘러서
생긴다.

원인 예방
좋지 못한 운봉법 (MMA) 용접사를 재교육 시킨다
필렛용접의 표면에 흐름을 일으키는 높은 입열과 입열을 줄이거나 다층용접을 이용하여 필렛용접
느린 운봉속도 의 크기를 9mm이하로 제한한다
부적절한 용접 자세 아래보기 자세로 바꾼다
용탕이 흘러 내리지 않고 빨리 응고될 수 있는
높은 유동성을 일으키는 잘못된 용접봉 피복
용접피복으로 바꾼다

필렛용접의 오버랩은 종종 언더컷을 동반한다. 용탕의 유동성이 지나쳐서 용접의 용탕이 흘러내러서
비드의 꼭대기에서는 언더컷이 발생되고, 아랫쪽의 모재에서는 오버랩이 발생된다. 수평-수직자세
(horizontal-vertical position; PB)의 필렛용접의 경우 용접의 용탕이 지나치게 크면 용접금속은 중
력에 의해서 무너져 내리고, 두가지 결함을 발생시킨다(꼭대기에서는 언더컷, 아래의 모재에서는 오
버랩). 이런 결함을 “sagging”이라고 부른다.

3.6.5 Linear Misalignment (선형단차)

평행하고 같은 평면에 있어야 하는 두 판재의 용접 사이에 있는 단차.

원인 예방
클램프와 쇄기를 이용하여 부재의 맞춤을 용접하
정확하지 않는 조립이나 용접으로 인한 변형
기 전에 확인한다
압연되어 나온 철판의 평면도가 지나치게 나쁘다 용접 전에 압연된 철판의 정밀도를 확인한다

단차는 용접 불완전은 아니다. 그러나 구조적인 준비의 문제다. 작은 단차라도 극적으로 이음에서 국
부적인 전단응력을 증가시킬 수 있고, 굽힘응력을 일으킨다.

3.6.6 Angular Misalignment (각단차)

용접된 두 부재의 표면이 서로 평행하지 않거나 의도된 각도의 값이 아니다.

Causes and Prevention (원인과 예방)


선형단차와 동일하다.
3.6.7 Incompletely Filled Groove (언더필)

용접표면에 용가재가 충분히 높아서 쌓이지 않은 부분적이거나 연속적으로 발생.

원인 예방
불충분한 용접금속 용접 패스의 수를 증가한다
불규칙한 용접비드 표면 용접사를 재교육 시킨다

언더필은 언더컷과는 구별된다. 언더필은 용접물이 하중을 받아서 견디는 힘이 줄어들고, 언더컷은
용접의 끝단에서 응력집중되는 날카로운 노치를 만든다.

3.6.8 Irregular Width (불균일비드폭)

지나치게 일정하지 않는 비드폭

원인 예방
DC전기를 AC로 바꾸고, 아크의 길이는 최대한
심한 아크 블로우
짧게 한다
불규칙한 용접비드 표면 용접사를 재교육 시킨다

이 불완전은 완성된 용접의 형상으로 영향을 미치지 않는지만, HAZ의 폭에 영향을 미치고, 이음의
하중을 견디는 능력을 줄일 수 있다 (작은 입자의 구조용강의 경우). 또는 부식 저항력에 영향을 미
칠 수 있다 (듀플렉스 스텐레스강의 경우).

3.6.9 Root Concavity (오목루트, Suck-back)

얕은(shallow) 그루브는 맞대기용접의 루트에서 수축에 의해서 발생한다.


원인 예방
볼록비드를 만들 수 있는 아크 힘이 부족 아크의 에너지를 증가한다
과도한 백킹가스 압력 (TIG) 가스의 압력을 줄인다
용접사의 기량부족 용접사를 재교육 시킨다
슬래그가 백킹재료의 그루브에 차고 들어감 제품을 기울려서 슬래그가 들어가지 않게 한다

백킹재료를 사용하는 것은 루트비드의 확장을 조절할 수 있다.

3.6.10 Burn Through

용접 용탕이 루트를 함몰시켜서 용접에 구멍을 만든 것.

원인 예방
부적절한 운봉속도 운봉속도를 증가한다
과도한 용접전류 용접전류를 낮춘다
용접사의 기량부족 용접사를 재교육 시킨다
과도한 루트면의 그라인딩 용접사를 재교육시켜 더욱 주의하도록 한다
과도한 루트간극 적절하게 취부를 한다

이것은 총체적인 불완전으로, 기본적으로 용접사의 기량부족이다. 수정용접은 브릿징으로 간극을 채


운다. 그러나 아주 주의해야 한다.

3.7 Miscellaneous Imperfections (기타 불완전)

3.7.1 Stray Arc/Arc Strike (아크스트라이크)

용접부 주변의 모재의 부분적인 손상으로 용접그루브 바깥에서 불필요한 아크의 발생으로 인해서 생
긴다. 이런 결과는 용접봉, 홀더, 어스 클램프 등이 모재와 접촉하면서 발생된다.

원인 예방
부주의한 작업 작업방법을 개선(조립순서를 개선)한다
용접봉의 홀더나 토치에 절연물이 손상 용접봉의 홀더나 토치를 정기적으로 점검한다
용접작업이 중지되었을 때 홀더나 토치를 내려두 토치를 임시로 내려두는 곳의 절연을 개선한다
는 곳이 절연되지 않는다
어스 클램프의 느슨한 체결 어스 클램프의 체결 상태를 정기적으로 확인한다
고립된 용접전류가 없도록 와이어피드(MAG)를
용접사를 재교육 시킨다
조절

아크 스트라이크는 경도가 높은 HAZ에 발생되면 균열을 일으킬 수 있다. 이런 균열은 운전 중에 심


각한 균열로 발전될 수 있다. 이런 아크스트라이크는 수정용접보다는 그라인딩으로 제거하는 것이
더 좋다.

3.7.2 Spatter (스패터)

용접 중에 용접금속이나 용가재에서 방출된 용접 방울이고, 응고된 용접비드나 모재의 표면에 부착


된다.

원인 예방
높은 아크 전류 아크 전류를 낮춘다
전자기로 인해서 발생하는 아크 블로우 아크 길이를 줄이거나 전원을 AC로 바꾼다
전기적인 세팅을 수정한다 (그러나 완전한 용융
GMAW 의 경우 잘못된 장비 세팅
을 유지하도록 주의해야 한다)
젖은 용접봉 잘 건조된 용접봉을 사용한다
가능하다면 알곤의 양을 늘린다. 그렇지만 알곤
잘못 선택한 차폐가스 (100% CO2) 의 함량을 지나치게 높이면 용입부족이 일어날
수 있다

스패터 그 자체는 미관상의 불완전이지 용접의 성질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그렇지만 과도한
용접전류에 의해 발생하는 만큼 용접조건이 이상적이지 않다는 뜻이다. 그리고 구조적인 면, 즉
높은 입열량 등에서 다른 문제들을 수반한다. 스패터는 항상 공기 중에서 아크로 소모되는 용접
봉을 가진 용접기법에서 항상 발생한다. 안티스패터 (anti-spatter)재료는 스패터가 모재에 붙는
것을 줄이는데 사용하고, 스패터는 스크래퍼로 제거될 수 있다.

3.7.3 Torn Surface (표면 손상)

임시로 용접된 부착물의 파손으로 발생된 표면 손상. 손상된 부분은 그라인더로 제거되고, 액체탐상
이나 자기탐상으로 검사를 하고, 승인된 용접절차서에 따라서 원래의 형상대로 복원되어야 한다. 어
떤 경우는 모재 위의 표면에 표면용접 (overly weld)이 되어서는 안 되는 경우가 있다.

3.7.4 Additional Imperfections (부가적인 불완전)

Grinding Mark (그라인딩 자국)


그라인딩으로 인한 부분적인 손상

Chipping Mark (치핑 자국)


줄(chisel)이나 다른 공구의 사용으로 생긴 부분적인 손상

Underflushing (평면그라인딩, 플루쉬그라인딩)


과도한 그라인딩으로 모재의 두께가 줄어드는 경우

Misalignment of opposite runs


용접이음의 반대편에서 만들어진 두 패스의 중심선의 불일치

Temper colour (visible oxide film) –root oxidation (루트산화)


용접부의 가볍게 산화된 표면. 보통 스텐레스강의 경우에 발생한다.

3.8 Acceptance Standards (합격기준에 관한 기술표준서)

용접 불완전은 용접구조물의 안전성을 심각하게 영향을 미칠 수 있다. 그러므로 용접구조물을 사용


하기 전에 불완전부에 비파괴검사를 수행하고, 그 심각한 정도를 평가하여 재발을 방지하기 위해서
조치를 취해야 한다.

주어진 구조물에 대해서 결함의 크기와 형태에 대한 합격기준은 일반적으로 기술표준서에 기술하고
있다. 이런 것은 적용해야 할 표준서나 시방서에 언급되어 있다.
모든 일반적인 용접 불완전에 대한 합격기준에 대한 표준서들은 전체적으로 균열은 불합격으로 처리
하고 있다. 그렇지만 예외적인 환경에서는 모든 당사자들의 동의 하에 균열은 그 균열이 파괴로 이
어지지 않는다는 것을 증명하여 보여주는 조건으로 허용할 수 있다. 이런 경우는 일반적으로 수반되
는 파괴기작에 대한 측정과 계산을 수행하는 것이 어렵다.

검사의 합격기준의 수준 (levels of acceptability)을 두는 것은 중요하다. 서로 다른 적용하는 경우


와 같은 적용에 대한 서로 다른 기술표준 때문이다. 결론적으로 서로 다른 공사에 검사가 될 때 계
약에 따른 적용할 기술표준서나 시방서를 사용하는 것이 중요하다.

불합격 판정이 된 용접불완전이 발견되면 그 결함은 제거되어야 한다. 용접불완전이 표면에 있다면
첫번째 고려해야 할 사항은 형태가 어떻는가를 살펴야 한다. 대체로 표면적인 그라인딩에 의해 수정
가능한 얕은 경우가 많다. 표면적이라고 함은 결함을 제거한 후에 남아 있는 모재의 두께가 추가적
인 용접을 필요로 하지 않는 정도로 충분한 경우를 의미한다.

만약 결함이 매우 깊다면 결함이 제거되고 설계 상에서 필요로하는 최소한의 두께를 만족할 수 있는


만큼의 새로운 용접을 추가해야 한다.

제거된 금속이나 수정용접을 다시 한 경우 (파낸 곳을 다시 채우거나 용접이음을 다시 할 때)는 승


인된 용접절차서에 따라서 시행한다. 승인된 절차서에 따르는 것은 수행하는 공사에 적용할 기술표
준서에 따른다. 어떤 경우는 결함을 제거한 부분을 채우거나 새로운 이음을 만들거나 승인된 절차서
를 사용할 수 있다. 요구되는 품질의 수준이 높은 경우는 결함을 제거하고 새로이 수정하는 용접에
대해서 용접절차서검증을 요구하기도 한다. 어떤 경우이든지 절차서검증과 시험은 적용할 기술표준
서에 따라서 수행되어야 한다.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