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190

수능

특강
제2외국어&한문영역

프랑스어Ⅰ

집필진
김길수(경기여고)
김종남(미추홀외고)
박진형(용인한국외대부고)
박수정(명덕외고)
심지혜(대전외고)

검토진
김경석(충북대)
김새환(대전외고)
박현숙(군산영광중)
이송(부산대)
이수지(프리랜서)
이재호(한영외고)
주은경(과천외고)
최희경(수원외고)
Julien PAUL(대전외고)
Manuel Bailly(미추홀외고)
Regine Klinger(前수원외고)
Saison Eric Philippe(한국문학번역원)
Vincent Dubeau(명덕외고)
수능특강 프랑스어Ⅰ

강 제목 페이지
01강 Bonjour, tout le monde ! 1
02강 Tu es très gentil ! 10
03강 Où habitez-vous ? 19
04강 Il est comment ? 28
05강 J’aime bien sortir. 37
06강 Comme il fait beau ! 46
07강 C’est là-bas. 55
08강 Où allez-vous ? 64
09강 Quelle heure est-il ? 73
10강 On se voit où et à quelle heure ? 82
11강 Allô, Taxis rapides, bonjour ! 91
12강 Je voudrais un gâteau. 100
13강 On se met à table ? 109
14강 Qu’est-ce qu’elle en pense ? 118
15강 D’accord, c’est très gentil. 127
16강 Je suis quelqu’un de bien. 136
17강 Vous pouvez me conseiller ? 145
18강 Il est interdit de nager ici. 154
19강 Appelez le médecin. 163
20강 Où allez-vous en vacances ? 172
기본어휘표 181
정답과 해설

• 단어 앞의 *표시는 교육과정에서 선별한 기본 어휘가 아님을 나타냅니다.


• 각 강별 ‘의사소통 기본 표현’, ‘문법’, ‘문화’ 내용은 ‘찾아보기’에 있습니다.
찾아보기 수능특강 프랑스어Ⅰ

강 의사소통 기본 표현 문법 문화
01강 인사, 안부, 이름, 소개 발음, 연음, 명사 프랑스 교육 제도
축제의 나라, 프랑스
02강 감사, 사과, 유감 품질형용사, 수형용사
프랑스의 다양한 축제
국적, 출신지, 나이, 거주지, 프랑스어권 국제기구(OIF)
03강 지시형용사, 소유형용사
직업 세계 프랑코포니의 날 행사
주어 인칭대명사, 강세형
04강 사람 및 사물 묘사 프랑스의 역사적 인물
인칭대명사, 지시대명사
목적보어 인칭대명사, Belleville 공원 (Le parc de Belleville)
05강 기호 표현
중성대명사 프랑스의 명소들
부정관사, 부분관사, 정관사,
프랑스의 음악가들
06강 날씨, 기온 축약관사, 부정의 de,
프랑스의 화가들
관사의 생략
장소, 방향, 거리, 길 묻고 동사 현재변화, 조동사와 프랑스 문학
07강
알려주기 준조동사, 대명동사 20세기 프랑스 문학 작가와 작품
지각동사, 방임동사, 프랑스의 출산 장려 제도
08강 행선지, 교통수단
사역동사, 동사 구문 프랑스의 출산과 육아 정책
프랑스의 지형
09강 시간, 요일, 날짜, 달, 계절 부정문, 부정의 표현
프랑스의 지역과 대표 도시
프랑스와 치즈
10강 약속, 시간, 장소 정하기 복합과거
프랑스의 전통 음식
11강 전화하기 관련 표현 근접미래, 근접과거, 반과거 프랑스의 사회복지제도 및 의료 서비스
물건 요청, 가격, 지불액, 파리 해변(Paris Plage)에서의 여름휴가
12강 의문사, 의문문
지불 방법 묻기 프랑스인들의 바캉스 선호도
식탁으로 부르기, 음식 주문,
13강 명령법, 감탄문 프랑스의 사회단체
인원 말하기, 예약, 계산하기
의견 묻고 말하기, 프랑스 경제와 관광업
14강 부정형용사
동의하기, 반대하기 프랑스의 경제
프랑스 영화제
15강 제안, 권고, 승낙, 거절하기 부정대명사
대표적인 프랑스 뮤지컬
16강 편지쓰기 관련 표현 비교급, 최상급 프랑스의 (독특한) 박물관
프랑스 국제 만화 영상 단지
17강 명령, 충고, 부탁, 요청 주요 전치사와 전치사구
프랑스 만화 산업의 발전
프랑스의 전통 스포츠
18강 허락, 금지, 의무 비인칭 동사, 비인칭 구문
프랑스의 인기 스포츠대회
건강 상태, 아픈 곳 말하기, 프랑스의 영토
19강 부정법, 제롱디프(Gérondif)
축하, 기원, 격려하기 프랑스의 해외영토 (France d’outre-mer)
레지스탕스 (Résistance)
20강 계획, 희망 말하기 부사, 접속사
프랑스의 역사
01 Bonjour, tout le monde !
학습목표 l 인사를 하고 안부와 이름을 묻고 답하며, 소개를 할 수 있다.
l 프랑스 교육제도(초등, 중등, 고등)를 알고 설명할 수 있다.
l 철자의 조합에 따라 낱말을 발음하고, 연음 현상에 유의하여 문장을 읽을 수 있다.
l 명사의 성과 수를 이해하고 알맞게 사용할 수 있다.

1. 인사와 안부 묻기
Louise : Salut, Arthur ! Ça va ?
Arthur : Salut, Louise ! Ça va. Et toi ? Tu vas bien ?
Louise : Oui, je vais bien.
(La professeur de français arrive.)
La professeur : Bonjour, tout le monde !
Les élèves : Bonjour, madame !
La professeur : Louise, ça va ?
Louise : Ça va très bien, merci. Et vous, vous allez bien ?
La professeur : Oui, moi aussi, je vais très bien.

어휘 풀이

• salut : m. 안녕 • tout : 모든
• ça : 이것, 저것, 그것 • le(la, les) : 정관사
• aller : 가다, 지내다, 어울리다 • monde : m. 사람들
• toi : tu의 강세형 • madame : f. 부인
• bien : 잘, 매우 • très : 매우, 대단히
• professeur : n. 교사, 교수 • merci : m. 감사, 감사의 말
• français : 프랑스어 • vous : 당신(들), 너희들
• arriver : 도착하다 • moi : je의 강세형
• bonjour : m. 안녕(하세요) • aussi : 또한

표현 연구

1. 안부의 표현 : aller 동사를 사용한다.


Ça va bien ? / Tu vas bien ? / Vous allez bien ? 잘 지내(너 잘 지내니, 당신은 잘 지내세요)?
Comment allez-vous ? 당신 / 당신들(너희들)은 어떻게 지내세요(지내니)?
(Je vais / Ça va) Très bien. (나) 아주 잘 지내.
(Je ne vais) Pas mal. (난) 괜찮아(나쁘지 않아).
(Ça ne va) Pas très bien. 그다지 잘 지내지 못해.

2. La / Le professeur de français : 프랑스어 선생님


professeur d’anglais 영어 선생님 professeur de maths 수학 선생님
cf. professeur français 프랑스인 교사

3. Et vous ? : 당신은요? Moi aussi. : 나 역시.

EBS 수능특강 프랑스어 I • 1 • 01강 Bonjour, tout le monde !


본문 해석

Louise : 안녕, Arthur! 잘 지내?


Arthur : 안녕, Louise! 잘 지내. 너는? 잘 지내?
Louise : 응, 잘 지내.
(프랑스어 선생님이 오신다.)
선 생 님 : 모두 안녕!
학 생 들 : 안녕하세요, 선생님!
선 생 님 : Louise, 잘 지내니?
Louise : 네, 매우 잘 지내고 있어요, 감사합니다. 선생님께서는요, 안녕하시죠?
선 생 님 : 응, 나 역시, 매우 잘 지내.

의사소통 기본 표현

Bonjour ! 안녕(안녕하세요)! (낮)


인사 - 만날 때 Bonsoir ! 안녕(안녕하세요)! (저녁)
Salut ! 안녕! (친한 사이에 쓰임, 하루 중 아무 때나 사용)
Au revoir ! / Bonsoir ! 또 봐요! / 안녕히 계세요[가세요]! (저녁)
Salut ! 안녕! (친한 사이에 쓰임, 하루 중 아무 때나 사용)
인사 - 헤어질 때
À bientô
t ! / Bonne nuit !
̂ 곧 또 만나(요)! / 잘 자(요)!
À demain ! / À tout à l’heure ! 내일 봐(요)! / 좀 있다 또 보자(봐요)!
인사 - 처음 만났을 때 Enchanté(e). 만나서 반가워(반갑습니다).

Ça va ? / Comment ça va ? 잘 지내(요)? / 어떻게 지내(요)?


- Ça va (bien / très bien). - (아주) 잘 지내(요).
Comment allez-vous, monsieur ? 어떻게 지내세요, 선생님?
안부 묻고 답하기 Comment vas-tu, Jean ? Jean, 어떻게 지내니?
- Je vais bien. Et vous / toi ? - 잘 지내요. 당신은요? / 잘 지내. 너는?
Vous allez bien ? / Tu vas bien ? 잘 지내세요? / 잘 지내니?
- Oui, je vais bien. Et vous / toi ? - 네, 잘 지내요. 당신은요? / 응, 잘 지내. 너는?

Comment vous appelez-vous ? 성함이 어떻게 되시죠?


Comment t’appelles-tu ? 이름이 뭐니?
이름 묻고 답하기 Quel est votre nom ? 성함이 어떻게 되시나요?
Votre nom, s’il vous plaît. 성함, 부탁드립니다.
Je m’appelle Pascal Duval. Et vous ? 전 Pascal Duval입니다. 당신은요?

Voilà Madame Boulanger. Boulanger 부인이십니다.


소개하기 Je vous présente Monsieur Dupont, 학교장이신 Dupont 선생님을 소개해드립니다.
le directeur de l’école.

EBS 수능특강 프랑스어 I • 2 • 01강 Bonjour, tout le monde !


2. 이름 묻고 답하기

Samuel : Bonjour, ça va ? Je m’appelle Samuel. Et toi, tu t’appelles comment ?


Sarah : Bonjour, moi, c’est Sarah.
Samuel : Tu es nouvelle ? Viens, je te présente des copains !
Voici Sarah ! Voilà Arthur, et lui, c’est Louis.
Sarah : Bonjour, les garçons ! Enchantée.
Les copains : Bonjour, Sarah ! Enchantés.
Sarah : Et elle, qui est-ce ? Elle est très grande !
Samuel : C’est Louise. C’est une très bonne copine.

어휘 풀이

• s’appeler : 이름이 ~이다 • Voilà : 저기 ~이 있다


• être : ~이다 • garçon : m. 소년
• nouveau(nouvelle) : n. 신입생, 새로운 • enchanté(e) : 매우 기쁜
• venir : 오다 • elle : 그녀
• présenter : 소개하다 • qui : 누구
• copain(copine) : 친구, 동료 • grand(e) : 큰, 커다란
• Voici : 여기 ~이 있다 • bon(bonne) : 좋은, 훌륭한

표현 연구

1. Tu t’appelles comment ? : 너 이름이 뭐니?


* 이름 묻고 답하기 표현
Comment vous vous appelez ? = Vous vous appelez comment ?
= Comment vous appelez-vous ? = Quel est votre nom ? 당신의 성함은 무엇입니까?
Comment tu t’appelles ? = Tu t’appelles comment ?
= Comment t’appelles-tu ? = Quel est ton nom ? 네 이름은 뭐야?
- Je m’appelle Florent Rivière. = Je suis Florent Rivière. - 내 이름은 Florent Rivière야.

2. Qui est-ce ? : 누구니? / 저 사람은 누구입니까?


* 사람 확인하기 표현
Qui c’est ? = C’est qui ? 누구니?
C’est Camille, l’amie de Gabriel. Gabriel의 친구, Camille야.

3. Je te présente des copains. : 너에게 친구들을 소개해줄게.


* 소개하기 표현
Voilà / Voici / C’est Chloé. 이 사람은 Chloé입니다.
Je vous présente Madame Duval, la directrice de l’école. 학교장이신 Duval선생님을 소개합니다.

EBS 수능특강 프랑스어 I • 3 • 01강 Bonjour, tout le monde !


본문 해석

Samuel : 안녕, 잘 지내? 내 이름은 Samuel이야. 너는, 이름이 뭐니?


Sarah : 안녕, 나는 Sarah야.
Samuel : 너 새로 온 애니? 이리와, 너에게 친구들을 소개해 줄게!
여기 Sarah를 소개할게 ! 재는 Arthur, 그리고 얘는 Louis야.
Sarah : 안녕, 얘들아! 만나서 반가워.
친구들 : 안녕, Sarah! 만나서 반갑다.
Sarah : 저 여자애는 누구니? 키가 무척 크다!
Samuel : Louise야. 매우 좋은 친구야.

문화 프랑스의 교육 제도

프랑스의 교육 이념 : 프랑스의 교육은 교육의 자유, 무상교육, 정치적 중립, 종


교적 중립, 의무교육을 이념으로 하고 있다. 의무교육 연한은 6세부터 16세
까지이다. 1880년부터 학교와 관련된 자격과 학위는 국가가 관리하고 있다.
유치원 (3세~6세) : 3살이 되면 거의 모든 어린이들은 학교에 간다. 말하기 활
* obligatoire : 의무적인
동이 많고 사회화 과정에 필요한 기본적 가치를 익힌다. 가장 중요한 목표
는 초등학교(école élémentaire) 교육에 적응할 수 있도록 준비하는 것이다.
초등학교 (6세~11세) : 수업 연한은 5년으로 학년에 따라 준비반(CP), 기초반 1,
2(CE 1, CE 2), 중급반 1, 2(CM 1, CM 2)과정으로 나누어진다. 주로 읽기,
쓰기, 셈하기를 배운다.
* élémentaire : 초등의 중학교(11세~15세) : 수업 연한은 4년으로 sixième, cinquième, quatrième,
troisième로 상급 학년에 올라갈수록 숫자가 작아진다. 중학교 1학년은
고등학교 졸업까지 6년이 남았다고 해서 ‘sixième’라고 부른다.
고등학교 (15세~18세) : 수업 연한은 3년으로 seconde, première, terminale
(졸업반)으로 이루어진다. 1학년 때 문학, 경제-사회, 과학 등 계열을 선택
하고, 2학년 때 프랑스어 baccalauréat 시험을 보며, 졸업반 때 철학 등
나머지 과목들의 baccalauréat 시험을 본다.
대학 : 20점 만점에 10점 이상으로 baccalauréat를 통과한 학생 중 대학 입학
을 원하는 학생들은 2년제 기술 전문대학과 3~5년제 대학 중에 선택할 수
있다. 3년제 이상의 대학에서는 단계적으로 학사, 석사, 박사 학위를 취득할
수 있다.
그랑제콜(les grandes écoles) : 프랑스 고유의 엘리트 양성 교육기관이다. 그
랑제콜은 보통 5년제이며 일반 대학교보다 높은 수준의 지식 습득을 요구
하기 때문에 졸업자는 사회적으로 더 인정을 받는다. 대표적인 그랑제콜로
정부 고급관료 양성학교인 국립행정학교(ENA), 이공계 기술자 양성학교인
에콜 폴리테크니크(l’X), 고등사범학교(ENS) 등이 있다.

EBS 수능특강 프랑스어 I • 4 • 01강 Bonjour, tout le monde !


수능 문법 포인트

I. 발음
1. 모음
e é [e] danser, aéroport, appétit am an em [ ɑ̃ ] chambre, avant, sembler
e è ê adresse, frère, crêpe
[ɛ] im in impossible, internet
ai aî ei lait, fraîche, peine
ym yn sympathique, faim
u û [y] lune, rue, sûr [ɛ̃
] pain, plein
비 aim ain
ui [ɥi] pluie, suite, cuisine
모 ein
ô au eau [ɔ, o] tôt, automne, gâteau

ou oû [u] poulet, rouge, goût [ ɑ̃ ] attention, ensemble
en
oi [wa] froid, trois, pourquoi [ɛ̃
] chien, coréen, parisien
[ø] deux, européen, heureux om on [ɔ̃
] comprendre, pantalon
eu
[œ] couleur, heure, ordinateur oin [wɛ̃] loin, moins, besoin

2. 자음
(1) 자음의 발음
[k] carnet, contre, cuisine, croissant a, o, u, 자음 앞
c
[s] certain, cinéma, leçon e, i, y 앞 * ç 항상 [s]
[g] garçon, goûter, guide, grand a, o, u, 자음 앞
g
[ʒ] âge, agir, mangions e, i, y 앞
[z] chaise, magasin, président [s] ascenseur, descendre, piscine
s sc
[s] absent, caisse, dessin [sk] inscrire
[s] six, dix, soixante, Bruxelles ch [ʃ] blanche, chemise, douche
[z] dix-huit, dix-neuf ph [f] photo, pharmacie, téléphoner
x
[gz] exact, examen, exercice th [t] thé, théâtre, mathématiques
[ks] taxi, excuser, exprimer gn [ɲ] montagne, renseignement

(2) 낱말의 마지막 자음은 대부분 발음되지 않으나, ‘c, f, l, q, r’는 발음되는 경우가 많다.
-c avec, bac, sac, parc 예외) blanc -l hôtel, journal, mal, quel, seul
-f chef, neuf, œuf, soif -q cinq
-r car, fleur, jour, leur, super 예외) février, parler, premier

(3) 예외로 마지막 자음이 발음되는 낱말

- ch sandwich -m film - tch match


-d sud, week-end -s bus, mars, tennis -x six, dix
-k bifteck -t est (동쪽), foot, huit, sept, ouest

EBS 수능특강 프랑스어 I • 5 • 01강 Bonjour, tout le monde !


(4) 기타
[ij] fille, billet, juillet, famille, gentille
il ill
[il] avril, difficile, ville, million, tranquille 예외) gentil [ʒɑ̃
ti]

3. 기타
낱말 속 발음되지 않는 철자 fils [fis], automne [ɔ[o]tɔn], compter [kɔ̃
te], longtemps [lɔ̃
tɑ̃
]
eu [y], femme [fam], faisons [fəzɔ̃
], second [s(ə)gɔ̃
]
예외적인 발음의 낱말
monsieur [məsjø]
복수형의 발음이 다른 낱말 œil [œj] → yeux [jø], œuf [œf] → œufs [ø]

II. 연음
1. 연음하는 경우
주어인칭대명사 +(대명사) +동사 Elles‿arrivent. Nous‿y allons. Je vous‿aime.
관사 / (품질, 수, 소유, 지시)형용사 +명사 les‿amis, beaux‿arts, trois‿heures, vos‿enfants
전치사 +(관사) +(대)명사 Elle dort sous‿un‿arbre.
부사 +형용사 / 동사 C’est‿un‿élève beaucoup‿aimé.
관용구 Il va de mieux‿en mieux.

2. 연음 시 발음의 변화
d → [t] grand‿oiseau f → [v] neuf‿ans x → [z] vieux‿hommes

III. 명사
1. 명사의 성 : 남성명사와 여성명사로 분류된다.
남성명사 un père, un mari, un livre, un cahier
여성명사 une mère, une femme, une table, une baguette
남성명사 +e = 여성명사 un ami → une amie, un étudiant → une étudiante
남성명사가 e로 끝난 경우 (관사로 구분) un journaliste → une journaliste
남성명사가 en으로 끝나는 경우 un coréen → une coréenne, un lycéen → une lycéenne
un acteur → une actrice, un chanteur → une chanteuse
기타
un étranger → une étrangère

2. 명사의 복수 형태
단수 +s = 복수 un arbre → des arbres, une amie → des amies
단수가 s, x, z로 끝나는 경우 un pays → des pays, une voix → des voix
단수 = 복수 un nez → des nez
단수가 eau, eu로 끝난 경우, 단수 +x un bateau → des bateaux, un cheveu → des cheveux
단수가 al, ail로 끝난 경우, -aux로 un journal → des journaux, un travail → des travaux
전혀 다른 복수형태 un œil → des yeux, monsieur → messieurs

EBS 수능특강 프랑스어 I • 6 • 01강 Bonjour, tout le monde !


∙ 정답과 해설 1 ~ 2 쪽

1 밑줄 친 부분과 발음이 같은 것은? 3 밑줄 친 부분과 발음이 같은 것은?


① fleur Je vous présente ma
② léger famille. Nous sommes 4 :
③ janvier mon père, ma mère,

④ dernier mon petit frère et moi.

⑤ demander ① On est en avril.


② Soyons tranquille.
③ Chloé est gentille.
④ C’est facile à dire.
⑤ Je vous l’ai dit mille fois.

2 밑줄 친 부분과 발음이 다른 것은?

4 연음 표시가 모두 바르게 된 것은?


① J’ai une moto. ① Lui et‿elle sont‿heureux.
② C’est très haut. ② Deux‿hommes sont‿arrivés.
③ Il est bientôt midi. ③ Mais‿oui, les‿onze garçons !
④ De l’eau, s’il vous plaît. ④ On se voit tous les‿huit jours.
⑤ Mesdames et messieurs, bonjour ! ⑤ J’habite dans‿une maison‿ancienne.

EBS 수능특강 프랑스어 I • 7 • 01강 Bonjour, tout le monde !


5 빈칸에 들어갈 말로 알맞은 것은? 7 빈칸에 들어갈 말로 알맞은 것은?
A : Paul ne voit pas bien. A : Bonjour, tu vas bien ?
B : Pourquoi ? B : Très bien. Et toi ?
A : Parce qu’il a un problème aux A : Ça va bien.
. Et tes enfants, ?
B : Ah, c’est vrai ? B : Oui, eux aussi. Toute ma famille

① bras ② yeux ③ dents va très bien. Merci.

④ pieds ⑤ jambes ① pas bien


② ils vont bien
③ comment vas-tu
④ quel est leur nom
⑤ elles sont comment

6 빈칸에 들어갈 말로 알맞은 것만을 <보기>


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A : Bonjour monsieur. Vous êtes... ?


B : Je m’appelle Thomas Gusinova.
8 빈칸에 들어갈 말로 알맞은 것은?
A : Thomas Gusinova ? A : Chloé, j’ai une grande surprise pour
toi ! J’ai eu un petit garçon.
B : Thomas : T.H.O.M.A.S ; Il est né hier.
Gusinova : G.U.S.I.N.O.V.A B : Toutes mes félicitations !
A : Merci, monsieur. Bonne journée ! ?
B : À vous aussi ! A : Gabriel.
<보 기> B : C’est joli comme prénom.
a. Épelez, s’il vous plaît. ① Ça va bien
b. Vous écrivez ça comment ? ② Ton prénom
c. Comment vous appelez-vous ? ③ Tu es content
① a ② c ③ a, b ④ Comment est-il
④ b, c ⑤ a, b, c ⑤ Il s’appelle comment

EBS 수능특강 프랑스어 I • 8 • 01강 Bonjour, tout le monde !


9 빈칸에 들어갈 말로 알맞은 것은? 11 글의 내용으로 알 수 있는 것은?
A : Excusez-moi, Nicolas Bailly ? Léa : Qu’est-ce que tu as ?
B : Oui, c’est moi. Tu es malade ?
A : Bonjour Monsieur Bailly. Léo : Non, je suis trop fatigué à cause
Je suis Clara Duval. des cours.
B : Ah, bonjour, Madame Duval. Léa : Courage ! Bientôt les grandes
Enchanté. vacances.
A: à Paris ! Léo : Mais pendant les vacances, je
Vous avez fait bon voyage ? dois étudier.
B : Oui, merci. Léa : C’est vrai ! L’année prochaine,
tu vas passer le bac ! Moi, je
① Trop tard
suis en troisième. Alors j’ai le
② Bienvenue
③ Enchantée brevet !
* brevet : 중학교 졸업시험
④ Quoi donc
⑤ Ça fait longtemps ① Léo est lycéen.
② Léa est au lycée.
③ Léa passe le bac.
④ Léo a mal partout.
⑤ Léo s’intéresse aux cours.

12 글의 내용으로 알 수 없는 것은?
En France, les cours finissent fin
juin. Commencent alors les « grandes
10 밑줄 친 부분과 바꾸어 쓸 수 있는 말로 vacances » : deux mois de vacances
알맞은 것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d’été. Les élèves rentrent en classe

A : Louis, je te présente Louane en septembre : c’est « la rentrée ».

Emera. Elle est chanteuse. Si on compte toutes les petites

B : Enchanté, Louane ! vacances pendant l’année, on arrive

J’adore votre chanson : Maman. à deux mois de plus. Ça fait donc

C : Merci. Enchantée, monsieur ! beaucoup de vacances !

<보 기> ① 겨울방학이 가장 길다.

a. c’est b. voilà c. elle est ② 여름방학은 2달간이다.


③ 학기는 9월에 시작된다.
① a ② a, b ③ a, c ④ 수업은 6월 말에 끝난다.
④ b, c ⑤ a, b, c ⑤ 1년에 4달 정도 방학이 있다.

EBS 수능특강 프랑스어 I • 9 • 01강 Bonjour, tout le monde !


02 Tu es très gentil !
학습목표 l 감사와 사과 및 유감의 표현을 상황에 맞게 활용할 수 있다.
l 프랑스의 다양한 축제 문화를 알 수 있다.
l 품질형용사, 수형용사(기수, 서수)를 어법에 맞게 사용할 수 있다.

1. 감사하기

La mère : Paul ! Où es-tu ?


Paul : Je suis dans ma chambre. Pourquoi ?
La mère : Tu peux m’aider à déplacer cette table ?
Elle est trop lourde !
Paul : J’arrive, maman.
La mère : Merci. Tu es très gentil !
Paul : Je t’en prie.
* déplacer : 이동시키다, 옮기다

어휘 풀이

• où : 어디에, 어디로, 어디에서 • lourd(e) : 무거운


• dans : ~의 안에, ~에서 • arriver : 도착하다, 오다
• ma : 나의 • maman : f. (어린애말) 엄마
• chambre : f. 방 • merci : m. 감사, 감사의 말
• pourquoi : 왜 • gentil(gentille) : 친절한, 상냥한
• aider : 돕다 • prier : 간청하다, 부탁하다

표현 연구

1. Tu peux m’aider à déplacer cette table ? : 내가 이 테이블 옮기는 것을 도와줄 수 있니?


aider +사람 +à +부정법 : ~가 ~하는 것을 도와주다

2. Elle est trop lourde ! : 이것은 너무 무겁구나!


Elle(Il) est ~ : 이(저, 그)것은 ~이다

3. J’arrive, maman. : 금방 갈게요, 엄마.

4. Merci. Tu es très gentil ! : 고맙다. 넌 참 친절하구나!


Merci bien. / Merci beaucoup. 대단히 감사합니다.

5. Je t’en prie. : 천만에요.


= De rien. / (Il n’y a) pas de quoi. (감사에 대한 응답 표현)

EBS 수능특강 프랑스어 I • 10 • 02강 Tu es très gentil !


본문 해석

엄 마 : Paul! 너 어디 있니?
Paul : 저 제 방에 있어요. 왜요?
엄 마 : 테이블 옮기는 것 좀 도와줄 수 있겠니? 이게 너무 무겁구나!
Paul : 지금 가요, 엄마!
엄마 : 고맙다. 넌 참 친절하구나!
Paul : 천만에요.

문화 축제의 나라, 프랑스

프랑스는 1년 내내 축제가 끊이지 않는 나라다. 특히 여름철은 축제를 열기에 최적의 계절이어서,


해마다 약간의 날짜 변동은 있지만 매년 비슷한 시기에 개최되는 여름철 축제가 많은데 파리
‘뮤직 페스티발(Fête de la Musique)’, 연극 축제인 ‘아비뇽 페스티발(le festival d’Avignon)’,
몽펠리에의 ‘라디오-프랑스 페스티발(le festival de Radio France)’ 등이 매우 유명하다. 프랑
스는 서유럽문화의 집산지라고 할 만큼 다양한 문화가 모인 나라인 만큼 축제도 지방마다 특색이
있고 그 내용도 음악, 미술, 영화, 만화, 스포츠, 산업, 역사, 종교 등 매우 다양하다.

의사소통 기본 표현

Merci ! 감사합니다.
감사하기
Je vous remercie de votre invitation. 초대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Je vous en prie. 천만의 말씀입니다.


감사 말에
De rien. 천만의 말씀입니다.
답하기
(Il n’y a) pas de quoi. 천만의 말씀입니다.

Pardon, monsieur. 죄송합니다. 실례합니다.


Pardonnez­moi. 죄송합니다. 실례합니다.
사과하기
Je vous demande pardon. 죄송합니다. 실례합니다.
Excusez­moi. 죄송합니다. 실례합니다.

(Je suis) désolé(e). 미안합니다. 죄송합니다. 유감입니다.


유감 표현
C’est dommage. 유감스러운 일입니다.
하기
Je regrette. 유감스럽습니다. 죄송합니다.

Ce n’est rien. 괜찮습니다.


사과 말에
Ça ne fait rien. 괜찮습니다.
답하기
Ce n’est pas grave. 괜찮습니다.

EBS 수능특강 프랑스어 I • 11 • 02강 Tu es très gentil !


2. 사과와 유감 표현하기

Henri : Pardon, monsieur. Excusez-moi de vous déranger.


Le vendeur : Ce n’est rien. Je peux vous aider ?
Henri : Oui, je cherche un petit chien. Il a des poils blancs et longs.
Vous l’avez vu près d’ici ?
Le vendeur : Je suis désolé, mais je ne l’ai pas vu.
* déranger : 방해하다 * poil : (동물의) 털

어휘 풀이

• pardon : m. 용서 • chien : m. 개
• excuser : 용서하다 • voir : 보다
• rien : 아무것도 • près : 가까이에
• chercher : 찾으려 애쓰다, 구하다 • ici : 여기에(서)
• petit(e) : 작은, 어린 • désolé(e) : 유감스러운, 애석한

표현 연구

1. Pardon, monsieur . : 실례합니다(죄송합니다)!


= Pardonnez-moi, monsieur. / Je vous demande pardon, monsieur. /
Excusez-moi, monsieur.

2. Excusez-moi de vous déranger. : 방해해서 죄송합니다.


Excusez-moi de ~ : ~해서 죄송합니다

3. Ce n’est rien. : 괜찮습니다.


= Ça ne fait rien. / Ce n’est pas grave. (사과에 대한 응답 표현)

4. Je cherche un petit chien. : 강아지 한 마리를 찾고 있습니다.

5. Il a des poils blancs et longs. : 그는 희고 긴 털을 가지고 있습니다.


avoir : 가지다 (신체적 특징의 의미로)
Elle a les cheveux courts. 그녀는 머리가 짧다.

6. Vous l’avez vu près d’ici ? : 당신은 그것을 이 근처에서 보셨나요?


avoir vu : voir 동사의 복합과거 표현
près de ~ : ~ 가까이에 (공간・시간)

7. Je suis désolé. : 유감입니다(미안합니다, 죄송합니다).

EBS 수능특강 프랑스어 I • 12 • 02강 Tu es très gentil !


본문 해석

Henri : 실례합니다. 방해해서 죄송한데요.


판매원 : 괜찮습니다. 도와드릴까요?
Henri : 예, 제가 강아지 한 마리를 찾고 있습니다. 털이 하얗고 긴 개입니다.
이 근처에서 보신 적이 있나요?
판매원 : 유감스러운 일입니다만 저는 못 봤는데요.

문화 프랑스의 다양한 축제

Le Festival International de la Bande Dessinée d’Angoulême : 1974년


부터 남서부의 산업도시이자 오늘날 국제적인 만화 도시로 명성을 얻고 있는 앙굴
렘(Angoulême)에서 열리는 유명한 축제다. 매년 1월 말경 나흘 정도 개최되는데
시상식, 전시회, 비평회, 상영회, 강연회, 판매장, 출판 홍보행사 등이 공개적으로
열린다. 방문객들은 프랑스 국제 만화 영상 단지(Cité internationale de la bande
dessinée et de l’image)를 중심으로 조성된 다양한 만화 전시회에 참가할 수 있으
며 도서관, 체험관 등의 공간에서 자유롭게 만화를 읽거나 그릴 수 있다.

Le Carnaval de Nice : 이교도들의 축제가 기원인 니스 카니발은 사순절이 시작되


기 2주 전에 시작해서 재의 수요일 전 화요일(Mardi gras)까지 열린다. 금육제 기간
전에 열리는 마지막 축제이기 때문에 다소 과한 부분도 용납되는 기간이기도 하다. 벨
에포크(Belle Époque) 시대에 최고의 전성기를 맞이한 이 카니발은 1294년에 시작되
었다고 전해진다. 보름 동안 펼쳐지는 니스 카니발은 겨울 시즌 프랑스 남부에서 열리
는 가장 주요한 행사로 니스의 아티스트들이 직접 참여하고 있는 카니발 장식은 매우
화려하며, 생동감 넘치기로 유명하다.

La Fête du citron : 프랑스 남부 지중해변에 위치한 망통(Menton)에서 2월에


개최되는 축제다. 1929년 망통은 유럽 대륙에서 레몬 생산량이 1위인 도시였는
데, 한 숙박업자가 호텔에서 레몬과 꽃을 전시한 뒤 성공하자 1934년부터 레몬
축제가 열리게 되었다. 어린이들의 가장무도회로 시작하여 비오베스 공원
(Jardins Biovès)에는 해마다 하나의 주제를 선정하여 레몬(citron)과 오렌지로
만든 전시물들이 세워진다. 축제 기간이면 시내 곳곳에서 레몬과 오렌지로 장식
한 마차들과 전통의상을 입은 망통 주민들의 행진을 볼 수 있다. 축제 때마다
서로 다른 만화 주인공을 선정하여 30만t에 이르는 오렌지와 레몬으로 거대한
구조물을 설치한다.

La Fête du Beaujolais Nouveau : 프랑스 부르고뉴 주(州) 보졸레에서 매년


11월에 열리는 와인 축제로, 1951년부터 시작되었다. 보졸레에는 그 해에 갓
생산한 포도주를 바로 부어 마시는 전통이 있었는데, 이를 계승하여 발전하였
다. 보졸레에서 만들어지는 포도주인 보졸레 누보는 프랑스 정부에 의해 매년
11월 셋째 주 목요일 자정이 되어야만 판매를 개시할 수 있는데, 이 날 세계
각지의 수입업자들이 보졸레로 몰려든다. 축제에서는 수백여 통의 와인이 개봉
되고, 방문객들은 갓 나온 와인과 함께 음악 및 불꽃 축제를 즐길 수 있다.

EBS 수능특강 프랑스어 I • 13 • 02강 Tu es très gentil !


수능 문법 포인트

I. 품질형용사
1. 형용사의 여성형
(1) 남성형에 e를 붙여 만드는 것이 일반원칙이다. ex) prochain → prochaine (다음의)
(2) e로 끝난 형용사는 남성형과 여성형이 같다. ex) difficile → difficile (어려운)
(3) 그 밖의 유형

여성형 만들기 예시
-x → -se heureux → heureuse (행복한) 예외) vieux → vieille (늙은, 오래된)
-f → -ve neuf → neuve (새로운), sportif → sportive (운동의, 운동을 좋아하는)
-er → -ère étranger → étrangère (외국의), léger → légère (가벼운)
-on → -onne
bon → bonne (좋은), canadien → canadienne (캐나다의)
-en → -enne
-os → -osse
gros → grosse (두꺼운, 살찐), bas → basse (낮은)
-as → -asse
doux → douce (부드러운, 온화한), blanc → blanche (흰)
특수한 여성형
nouveau → nouvelle (새로운), frais → fraîche (서늘한)

2. 형용사의 복수형
(1) 단수형에 s를 붙여 만드는 것이 일반원칙이다.
bleu(e) → bleu(e)s (파란), grand(e) → grand(e)s (큰), gentil(le) → gentil(le)s (친절한)
(2) 예외적인 경우
–x, -s → 불변 : japonais → japonais (일본의) -al → aux : général → généraux (일반적인)
-eau → -eaux : nouveau → nouveaux (새로운)
* 남성 제2형 : 모음이나 무음 h로 시작하는 남성형 앞에서 사용 ex) un bel appartement (멋진 아파트)
남성 단수 남성 단수 제2형 여성 단수 남성 복수 여성 복수
beau (아름다운) bel belle beaux belles
nouveau (새로운) nouvel nouvelle nouveaux nouvelles
vieux (늙은, 오래된) vieil vieille vieux vieilles

3. 형용사의 일치 : 형용사는 수식하는 명사나 대명사의 성·수에 일치해야 한다.


Des histoires courtes 짧은 이야기들 La chaise est petite. 그 의자는 작다.

4. 형용사의 위치

명사 뒤 국적, 색깔, 형태, 긴 단어 chinois (중국의), gris (회색의), rond (둥근), formidable (엄청난)
명사 앞 짧고 자주 사용되는 단어 beau (멋진), joli (귀여운), mauvais (나쁜), vieux (늙은)

5. 형용사의 다른 용법
(1) 부사로도 사용되는 형용사
sentir bon (좋은 냄새가 나다), coûter cher (값이 비싸다), parler fort (크게 말하다), aller droit (직진하다)

EBS 수능특강 프랑스어 I • 14 • 02강 Tu es très gentil !


(2) 명사로 사용되는 경우
L’important est d’écouter. 중요한 것은 듣는 것이다.
Le jaune ne lui va pas. 노란색 옷은 그에게 어울리지 않는다.

II. 수형용사
1. 기수
0 zéro 10 dix 20 vingt 51 cinquante et un
1 un 11 onze 21 vingt et un 59 cinquante-neuf
2 deux 12 douze 22 vingt-deux 60 soixante
3 trois 13 treize 30 trente 70 soixante-dix
4 quatre 14 quatorze 31 trente et un 71 soixante et onze
5 cinq 15 quinze 33 trente-trois 80 quatre-vingts
6 six 16 seize 40 quarante 90 quatre-vingt-dix
7 sept 17 dix-sept 41 quarante et un 100 cent
8 huit 18 dix-huit 44 quarante-quatre 1 000 mille
9 neuf 19 dix-neuf 50 cinquante 1 000 000 un million
(1) 21, 31, 41, 51, 61, 71은 ‘et’로, 81, 91은 ‘-’로 연결한다. 여성명사 앞에서는 une가 됨.
Cet hôtel a trente et une chambres. 그 호텔은 31개의 방이 있습니다.
(2) vingt, cent은 복수인 경우에 ‘s’가 붙지만, 그 뒤에 다른 수형용사가 오면 ‘s’는 생략됨.
quatre-vingts, quatre-vingt-sept, quatre-vingt-dix-huit, huit cents, quatre cent neuf
(3) mille(천)은 복수가 되어도 불변이다. trois mille deux cents : 3 200
(4) 앞에 한정사가 올 수 있다.
Mettez les deux livres sur la table. 2권의 책을 탁자 위에 두세요.
Nous quatre ! 우리 4명!
Les trois derniers jours 마지막 사흘

2. 서수
1er, 1re premier/première 6e sixième 19e dix-neuvième
e d(e) e e
2 (2 ) deuxième/second(e) 7 septième 21 vingt et unième
e e e
3 troisième 8 huitième 100 centième
e e e
4 quatrième 9 neuvième 1 000 millième
e e
5 cinquième 10 dixième 마지막 dernier/dernière

(1) 형태 : 기수 뒤에 ième가 붙는다.


(2) 기수가 e로 끝나는 경우는 e를 빼고 ième를 붙인다. 예) quatrième, douzième
(3) 예외적인 형태 : cinq → cinquième, neuf → neuvième, quatre-vingts → quatre-vingtième
(4) 복합형은 마지막 숫자만 서수로 만든다. 마지막 수가 1인 경우 unième가 된다.
C’est le soixante et unième anniversaire de sa mère. 그의 어머니의 61번째 생신이다.
(5) 날짜는 1일만 서수를 쓰고, 2일부터는 기수로 표현한다.
C’est le 1er janvier. 1월 1일이다.
(6) 분수 읽기 : 분모는 서수, 분자는 기수로 읽는다.
1/6 : un sixième 예외) 1/4 : un quart, 1/2 : (un) demi

EBS 수능특강 프랑스어 I • 15 • 02강 Tu es très gentil !


∙ 정답과 해설 3 ~ 4 쪽

1 □에 들어갈 글자를 모두 조합하여 만들 수 3 빈칸에 들어갈 말로 알맞은 것은?


있는 낱말은?
A : Excusez-moi, vous pouvez me
prêter un stylo ?
B : Oui, bien sûr. Voilà, madame.
A: , monsieur !
MÊ▢E LE P▢ISSON B : Il n’y a pas de quoi.
DANS L’▢AU
① Au revoir
A TOUJOU▢S SOI▢. ② Encore une fois
③ Ce n’est pas grave
④ Ce n’est pas la peine
① ENVIE ② FORME
⑤ Je vous remercie beaucoup
③ MÈTRE ④ ONCLE
⑤ RADIO

4 빈칸에 들어갈 말로 알맞은 것은?


2 빈칸에 들어갈 말로 알맞은 것은? A : J’ai très faim !
Si on allait manger ?
B : Ce n’est pas possible...
Château de Gruyères
J’ai déjà un rendez-vous.

À pas d’ici Je suis désolée.


Ouvert tous les jours A: .
De novembre à mars, de 10 h à 16 h 30 Je vais appeler Anne.
D’avril à octobre, de 9 h à 18 h ① De rien
② Tu es gentil
① ancien ② autres ③ Pardonne-moi
③ certain ④ chaque ④ Je te remercie
⑤ quelques ⑤ Ça ne fait rien

EBS 수능특강 프랑스어 I • 16 • 02강 Tu es très gentil !


5 대화의 내용으로 알 수 없는 것은? 7 빈칸에 들어갈 말로 알맞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Jean : Salut, Édouard !
Merci de m’avoir invité. Voilà (Au grand magasin)
mon cadeau pour toi. A : Excusez-moi, je cherche les lunettes
Édouard : Merci, Jean. Tu es très gentil ! de soleil.
Jean : Tu connais le groupe Queen ? B : C’est au premier étage, à côté des
Édouard : Oui, je le connais très bien. chaussures. Vous pouvez monter
J’adore surtout Freddie par l’ascenseur, en face.
Mercury ! Il est l’un des plus A : Merci beaucoup, monsieur.
grands artistes de notre B: .
temps. <보 기>
Jean : Mon cadeau, c’est le dernier a. Avec plaisir b. Ce n’est rien
album de Queen. c. C’est dommage
Édouard : Vraiment ? Je suis très heureux ① a ② c ③ a, b
de ton cadeau ! ④ b, c ⑤ a, b, c
* artiste : 가수, 예술가
* album : 앨범

① 오늘은 Édouard의 생일이다.


② Édouard가 Jean을 초대했다.
③ Jean은 초대선물로 Queen의 앨범을 준비
했다.
④ Édouard는 Jean의 선물을 매우 마음에 들어
한다.
⑤ Édouard는 그룹 Queen의 멤버 Freddie
Mercury를 특히 좋아한다.
8 글의 내용으로 보아 알 수 없는 것은?

Le Carnaval de Nice en hiver, un des


plus grands du monde, propose un
6 글의 목적으로 알맞은 것은? programme magnifique du 11 au 25
Je suis désolée, mais je ne peux pas février 2017. Il y a des défilés sur la
aller avec toi au cinéma, ni vendredi, Place Masséna. On peut les voir de
ni samedi. En ce moment, je dois jour ou de nuit avec beaucoup de gens
travailler pour mon examen. On s’appelle venus de partout dans le monde.
la semaine prochaine. * carnaval : 카니발 * défilé : 행진, 행렬
À bientôt. ① 축제 지역 ② 프로그램
① 초대 ② 수락 ③ 거절 ③ 행사 장소 ④ 개최 날짜
④ 부탁 ⑤ 충고 ⑤ 참가 자격

EBS 수능특강 프랑스어 I • 17 • 02강 Tu es très gentil !


9 대화의 내용으로 보아 ‘Fête du Beaujolais 11 문장 표현이 옳은 것만을 모두 고른 것은?
Nouveau’에 대해 알 수 있는 것을 <보기>에서
고른 것은? a. J’habite au neuvième étage.
b. Louis quatorzième est mort à
A : Tu as oublié la fête du Beaujolais
Versailles.
Nouveau dans la région du Beaujolais ?
c. Le monde est entré dans le vingt
C’est la semaine prochaine, le 3ᵉ
et un siècle.
jeudi de novembre. Tu m’as promis
d’y aller avec moi ! J’ai déjà réservé ① a ② c ③ a, c
l’hôtel. ④ b, c ⑤ a, b, c
B : C’est vrai. Je me rappelle. Alors, on
doit partir mercredi prochain ?
A : Oui. On se voit à 9 h devant la gare
de Lyon.
B : D’accord. J’attends la fête avec
impatience !
A : On peut découvrir différents
programmes du 16 au 20.
* impatience : 성급함, 초조

<보 기>
a. 11월 셋째 주 목요일에 열린다.
b. 5일간 다양한 행사를 체험할 수 있다.
c. Lyon역에서도 관련 행사들을 진행한다.
d. 축제로 인해 당일 호텔 예약은 불가능
하다.

① a, b ② a, c ③ b, c
12 <보기>의 단어들을 모두 사용하여 문장을
완성할 때 (a)에 들어갈 말로 알맞은 것은?
④ b, d ⑤ c, d
A : Les enfants, vous vous souvenez
de Blanche Neige ?
B : Oui, madame.
A : Alors, comment est-elle ?

10 문장의 표현이 옳은 것만을 모두 고른 것은? B : Elle a une


.
(a)

a. Les vieux arbres restent là. * peau : 피부


b. Il y a quelque chose de bonne. <보 기>
c. Il me répond un non tout court. la peau neige comme blanche
① a ② b ③ a, c ① la ② peau ③ neige
④ b, c ⑤ a, b, c ④ comme ⑤ blanche

EBS 수능특강 프랑스어 I • 18 • 02강 Tu es très gentil !


03 Où habitez-vous ?
학습목표 l 기본적인 인적사항(국적, 출신지, 나이, 거주지, 직업 등)을 묻고 답할 수 있다.
l 프랑스어권 국제기구(OIF)와 프랑코포니 문화를 이해할 수 있다.
l 지시형용사와 소유형용사를 올바르게 사용할 수 있다.

1. 국적이나 출신지 묻기

Alain : Bonjour. Comment vous appelez-vous ?


Yuna : Je m’appelle Yuna.
Alain : Vous êtes japonaise ?
Yuna : Non, je ne suis pas japonaise.
Alain : Alors, quelle est votre nationalité ?
Yuna : Je suis coréenne.
Alain : Vous venez de Séoul ?
Yuna : Non, je ne viens pas de Séoul.
Alain : D’où venez-vous, alors ?
Yuna : Je viens de Yongin, près de Séoul.

어휘 풀이

• s’appeler : (라고) 불리다, 이름이 ~이다 • coréen(ne) : 한국(인)의


• japonais(e) : 일본(인)의 • venir : 오다, ~출신이다, (~에서) 유래하다
• quel(le) : 어느, 어떤, 무슨 (의문형용사) • où : 어디
• alors : 그러면, 그래서 • près (de) : ~ 근처에
• nationalité : f. 국적

표현 연구

1. 국적 묻고 답하기
Quelle est votre nationalité ? 국적은 무엇입니까?
- Je suis américain. - 저는 미국사람입니다.
Vous êtes (= venez) de quel pays ? 당신은 어느 나라 사람입니까?

2. 출신지 묻고 답하기
Vous venez (= êtes) de Paris ? 당신은 Paris에서 오셨습니까?
- Oui, je viens (= suis) de Paris. - 예, Paris 출신입니다.

3. près de + 공간, 시간, 정도 : ~ 가까이(에), 곧, 금방


Ma maison est près de mon lycée. 나의 집은 내 고등학교에서 가깝다.
Il est près de neuf heures. 아홉 시 가까이 되었다.
Le train est près de partir. 열차가 막 떠나려 한다.

EBS 수능특강 프랑스어 I • 19 • 03강 Où habitez-vous ?


본문 해석

Alain : 안녕하세요? 이름이 어떻게 되세요?


유 나 : 제 이름은 유나에요.
Alain : 일본인이세요?
유 나 : 아뇨, 일본인이 아니에요.
Alain : 그러면, 국적이 무엇인가요?
유 나 : 한국인이에요.
Alain : 서울에서 오셨나요?
유 나 : 아뇨. 서울에서 오지 않았어요.
Alain : 그럼 어디에서 오셨어요?
유 나 : 서울에서 가까운 용인에서 왔어요.

문화 프랑스어권 국제기구(OIF)

‘프랑스어권 국제기구(OIF: l’Organisation internationale de la Francophonie)’는 프랑스어를


모국어나 공용어로 쓰는 국가들로 구성된 국제기구다. 국제무대에서 프랑스어의 위상을 지키고
보급을 확대하기 위해 창설되었다. OIF 회원국들은 프랑스어 사용국가 및 과거 프랑스의 식민 지
배를 받은 국가가 주를 이루고 있으나, 일부 아랍 국가들과 기타 국가들도 포함되어 있다. 본부는
프랑스의 파리에 있으며, 2년마다 정상 회담을 개최한다. 2016년에 대한민국은 비프랑스어권 아
시아 국가로는 세 번째로 참관국가(pays observateur)로 OIF에 가입했다.

의사소통 기본 표현

Vous êtes français ? 당신은 프랑스인입니까?


국적이나 Vous êtes de quel pays ? 당신은 어느 나라 사람입니까?
출신지 Vous venez de quel pays ? 당신은 어느 나라에서 오셨습니까?
묻기 Tu es d’où ? 너는 어디 출신이니?
Tu viens d’où ? 너는 어디에서 왔니?

나이 Quel âge avez-vous ? 당신은 몇 살이십니까?


묻기 Tu as quel âge ? 너는 몇 살이니?
거주지 Où habitez-vous ? 당신은 어디 삽니까?
묻기 Tu habites où ? 너는 어디 사니?

Je suis journaliste. Et vous ? 저는 기자입니다. 당신은요?


직업
Qu’est-ce que vous faites dans la vie ? 직업이 무엇입니까?
묻기
Ton père, qu’est-ce qu’il fait ? 너의 아버지는 무슨 일을 하시니?

EBS 수능특강 프랑스어 I • 20 • 03강 Où habitez-vous ?


2. 나이, 거주지, 직업 묻기

Jean : Tu habites où en Corée ?


Miri : J’habite à Séoul.
Jean : Tu as quel âge ?
Miri : J’ai vingt-quatre ans.
Jean : Vingt-quatre ans ? Tu es étudiante ?
Miri : Non, je travaille.
Jean : Quelle est ta profession ?
Miri : Je suis employée de bureau.

어휘 풀이

• habiter : 살다, 거주하다 • étudiant(e) : n. (대학교) 학생


• avoir : 가지다, 소유하다 • travailler : 일하다
• âge : m. 나이, 시대 • profession : f. 직업
• vingt et un : 21 • employé(e) : n. 직원, 사무원
• an : m. ~살, 연, 해 • bureau : m. 사무실, 책상

표현 연구

1. 나이 묻고 답하기
avoir 동사를 사용하고, an은 앞에 오는 숫자가 복수면 ‘s’를 붙인다.
Quel âge avez-vous ? 몇 살이십니까?
- J’ai trente-deux ans. - 저는 서른 두 살입니다.

2. Tu es étudiante ? = Es-tu étudiante ? : 너는 대학생이니?


직업, 신분, 국적 등을 나타내는 명사가 속사로 쓰이면 관사를 붙이지 않는다.
그러나 주어가 ‘Ce’이거나 형용사 등으로 수식하는 경우는 관사를 붙인다.
C’est un nouveau professeur ? 저분이 새로 오신 선생님인가요?

3. 직업 묻고 답하기
Quelle est votre profession ? 당신의 직업은 무엇입니까?
- Je suis employée de banque. - 은행원입니다.
Quel est son métier ? 그녀의 직업은 무엇입니까?
- Elle ne travaille pas. - 그녀는 일을 하지 않습니다.
Qu’est-ce que vous faites dans la vie ? 당신의 직업은 무엇입니까?
- Je suis journaliste. - 저는 기자입니다.

EBS 수능특강 프랑스어 I • 21 • 03강 Où habitez-vous ?


본문 해석

Jean : 한국에서는 어디 살아?


미 리 : 서울에 살고 있어.
Jean : 몇 살이야?
미 리 : 스물네 살.
Jean : 스물네 살이라고? 대학생이야?
미 리 : 아니, 일해.
Jean : 직업이 뭐야?
미 리 : 사무원이야.

문화 세계 프랑코포니의 날 행사

세계 프랑코포니의 날은 해마다 3월 20일에 열리는 프랑스어권 국제기구의 세계적인 기념일이


자 전 세계의 프랑스어권 사람들이 프랑코포니의 가치를 서로 공유하고 연대하며 함께 어울려 살
아갈 열망을 표현하는 축제의 날이다. 우리나라에서 열린 2017년 프랑코포니 축제는 3월 20일
부터 31일까지 국내 주요 도시들에서 30여개의 행사들로 개최되었으며, 프랑스어를 진흥하고
프랑코포니를 경축하며 프랑스어권 문화의 다양성을 보여주었다. 포럼 «문화의 다양성과 다언어
구사 : 프랑코포니의 예»(3월 21일, 아주대학교), 프랑코포니 영화제(3월 23일~26일, 아트하우스
모모), 프랑스어권 샹송대회 및 프랑코포니 퀴즈대회(3월 25일, 서초문화예술회관)가 개최되었
다. 이 외에도 공연, 연극, 스포츠, 컨퍼런스 등 다양한 프랑코포니 축제 및 행사들이 진행되어
프랑코포니 문화를 가까이 느낄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였다.

EBS 수능특강 프랑스어 I • 22 • 03강 Où habitez-vous ?


수능 문법 포인트

1. 지시형용사
단 수 복 수
남성 남성 제2형 여성 남・여성
cet
(모음이나 무음 h로
ce cette ces
시작하는 형용사,
명사 앞에서)

(1) 명사 앞에 위치하며, 한정하여 가리키는 명사의 성과 수에 일치한다.


Je peux essayer ce pantalon ? 이 바지를 입어 봐도 될까요?
Cette maison est très belle. 이 집은 매우 아름답다.
Je voudrais ces livres. 저는 이 책들을 원합니다.

(2) 앞에서 이미 언급된 명사를 다시 말할 때 사용된다.


Cyrano rencontre Christian. Cet homme est jeune et beau.
Cyrano는 Christian을 만난다. 이 남자는 젊고 멋지다.

(3) 시간 명사 앞에서 현재 또는 현재와 가까운 때를 나타낸다.


Ce soir, je vais au cinéma. 오늘 저녁, 나는 영화관에 간다.
Je vais en France cet été. 이번 여름에 나는 프랑스에 간다.

(4) 모음 충돌을 피하기 위해 모음이나 무음 h로 시작하는 남성 단수명사나 형용사 앞에서 ce


대신에 cet를 사용한다.
ce arbre (×) → cet arbre (○) 이 나무
ce hôtel (×) → cet hôtel (○) 이 호텔
ce aimable garçon (×) → cet aimable garçon (○) 이 사랑스런 소년

(5) ‘지시형용사 +명사’ 뒤에 ‘-ci’나 ‘-là’를 붙여서 시간이나 공간에서 ‘가까운 것’과 ‘먼 것’을
구분하여 가리킨다.
Il fait chaud ces jours-ci. 요즘 날씨가 덥다.
Tu veux ce livre-ci ou ce livre-là ? 너는 이 책을 원해 아니면 저 책을 원해?
Ces maisons-ci sont bleues, mais ces maisons-là sont blanches.
이 집들은 파란데, 저 집들은 하얗다.

구어체에서는 원근에 상관없이 강조하기 위해 사용되는데, -ci 보다 -là가 많이 쓰인다.


Mon oncle va acheter cette maison-là. 내 삼촌은 이 집을 살 것이다.

EBS 수능특강 프랑스어 I • 23 • 03강 Où habitez-vous ?


2. 소유형용사
단수 복수
주어 인칭대명사 의미
남성 여성 남성・여성
je mon ma mes 나의
tu ton ta tes 너의
il / elle son sa ses 그의 / 그녀의
nous notre nos 우리들의
vous votre vos 당신의 / 당신들의 / 너희들의
ils / elles leur leurs 그들의 / 그녀들의

(1) 명사 앞에 위치하며, 소유되는 명사의 성과 수에 일치한다.


mon lycée 나의 고등학교 ta maison 너의 집 ses parents 그(녀)의 부모
votre livre 당신(들)의 책 notre voiture 우리 자동차 leurs amis 그(녀)들의 친구들

(2) 모음 충돌을 피하기 위해 모음이나 무음 h로 시작하는 여성 단수명사 앞에서 ma, ta, sa 대신


각각 mon, ton, son을 사용한다.
ma école (×) → mon école (○) 나의 학교
ta amie (×) → ton amie (○) 너의 여자 친구
sa heure (×) → son heure (○) 그(녀)의 시간

(3) 3인칭의 경우 소유주의 성・수와 소유되는 명사의 성・수를 혼동해서는 안 된다.


La mère parle à son fils et à sa fille. Elle parle à ses enfants.
어머니는 자신의 아들과 딸에게 말한다. 그녀는 자신의 자녀들에게 말한다.
Les parents parlent à leur fils et à leur fille. Ils parlent à leurs enfants.
부모는 자신들의 아들, 딸에게 말한다. 그들은 자신들의 자녀들에게 말한다.

(4) 소유자가 명백할 때 신체를 나타내는 명사는 일반적으로 소유형용사 대신에 정관사를 사용한다.
Marie a mal à la tête. Marie는 머리가 아프다.
Luc se lave les mains. Luc은 손을 씻는다.

(5) 부정대명사 on, chacun, aucun, personne 등은 소유형용사 son, sa, ses를 쓴다.
On doit faire ses devoirs. 자기의 숙제를 해야 한다.
Chacun son métier. 저마다 자기 직업이 있다.

EBS 수능특강 프랑스어 I • 24 • 03강 Où habitez-vous ?


∙ 정답과 해설 5 ~ 6 쪽

1 밑줄 친 부분과 같은 발음이 있는 것은? 3 빈칸에 들어갈 말로 알맞은 것은?

A: au
Sénégal ?
B : De Dakar, la capitale.
Et vous, vous venez d’où ?
A : Moi, de Lomé, la capitale du Togo.
C : Moi aussi, je suis du Togo.

① Qu’est-ce que vous faites


② De quelle ville venez-vous
① Bienvenue au Canada ! ③ De quel monde venez-vous
② On a un examen demain. ④ De quelle couleur êtes-vous
③ Merci de votre invitation. ⑤ Depuis quand y habitez-vous
④ Nous sommes européens.
⑤ Le client a toujours raison.

4 빈칸에 들어갈 말로 알맞은 것은?


A : C’est votre fils ?
B : Oui. Il s’appelle Nicolas.

2 빈칸에 들어갈 말로 알맞은 것은? A : Bonjour, Nicolas.


C : Bonjour, madame.
A : Quelle est votre ? A: ?
B : Je suis employée de banque. C : J’ai 9 ans et je suis en CE2 à
Et vous ? l’école Molière de Casablanca.
A : Je travaille dans un hôpital. * CE2 : 초등학교 3학년
B : Vous êtes médecin ?
① Tu es d’où
A : Oui, c’est ça.
② Quel âge as-tu
① envie ② chance ③ Qu’est-ce que tu as
③ piscine ④ adresse ④ Où est-ce que tu vas
⑤ profession ⑤ De quelle ville viens-tu

EBS 수능특강 프랑스어 I • 25 • 03강 Où habitez-vous ?


5 빈칸에 들어갈 말로 알맞은 것만을 <보기>에서 7 빈칸에 들어갈 말로 알맞은 것은?
있는 대로 고른 것은?
Réda : ?
Bình : ? Kamal : Je rêve d’être journaliste.
Aïcha : D’Algérie. Et vous ? Et toi, Réda ?
Bình : Du Vietnam. Réda : Mon rêve, c’est de devenir
<보 기> médecin. Et toi, Laïla ?
a. De quel pays êtes-vous Laïla : Moi, je n’ai pas encore décidé.
b. Vous venez de quel pays * rêver : 꿈꾸다
c. Vous sortez de quelle ville ① Est-ce que vous rêvez
d. Dans quel pays habitez-vous ② De quel pays rêvez-vous
① a ② a, b ③ c, d ③ Quel est le sport de vos rêves
④ b, c, d ⑤ a, b, c, d ④ Quel est le métier de vos rêves
⑤ Quelle est la profession de ta mère

8 포스터의 내용으로 알 수 없는 것은?

6 빈칸에 들어갈 말로 알맞은 것은?


A : C’est ton frère ?
B : Non, c’est mon ami. Il s’appelle Paul.
Il est français.
A : Enchanté, Paul.
C : Enchanté. Tu t’appelles comment ?
* Organisation internationale
A : Sami. ?
de la francophonie :
B : À Saint-Herblain près de Beauséjour. 프랑스어권 국제기구
① Tu es d’où ① 열두 번째 영화제다.
② D’où viens-tu ② 영화제는 무료입장이다.
③ Où habites-tu ③ 영화제는 한 달 넘게 진행된다.
④ Qu’est-ce que tu fais ④ 프랑코포니 영화제 안내 포스터다.
⑤ De quel pays viens-tu ⑤ 영화제는 Nicosie 대학교에서 열린다.

EBS 수능특강 프랑스어 I • 26 • 03강 Où habitez-vous ?


9 대화의 내용으로 보아 밑줄 친 부분의 의미로 11 밑줄 친 부분의 쓰임이 옳은 것만을 있는 대로
알맞은 것은? 고른 것은?

Mia : Je ne crois pas Marc. a. C’est leur amie.


Il promet plus de beurre que b. À chacun leur idée.
de pain. c. Ils parlent à leur enfants.
Sébine : Qu’est-ce que ça veut dire ? d. Les enfants font leurs devoirs.
Mia : Il promet beaucoup plus qu’il
① a, b ② a, d
ne veut ou qu’il ne peut tenir. ③ c, d ④ a, b, c
① 형편이 나아지고 있다 ⑤ b, c, d
② 버터 바른 빵을 좋아한다
③ 못 지킬 약속을 함부로 한다
④ 지나치게 먹는 것을 좋아한다
⑤ 자신의 이해관계에 약삭빠르다

12 빈칸 (a), (b)에 들어갈 말로 알맞은 것은?


A : C’est bientôt les vacances.
Tu vas aller où ?
10 빈칸에 들어갈 말로 알맞은 것은? B : Moi, (a) été, je vais aller à la
montagne pour passer (b)
A : Il est bien, bel hôtel ?
vacances avec mes parents.
B : Oui, il est magnifique. Il se trouve
Et toi ?
dans un beau quartier, non loin de
A : Comme chaque année, on part à
la tour Montparnasse. En plus, il
la mer.
est à moins de 50 minutes des
aéroports de Roissy et d’Orly. (a) (b) (a) (b)
A : Ah, c’est bien ! ① ce mon ② ce mes
① ce ② ces ③ cet ③ cet mon ④ cet mes
④ ses ⑤ cette ⑤ ces mes

EBS 수능특강 프랑스어 I • 27 • 03강 Où habitez-vous ?


04 Il est comment ?
학습목표 l 사람이나 사물을 묘사하고 설명할 수 있다.
l 프랑스의 역사적 인물을 알고 설명할 수 있다.
l 인칭대명사(주어, 강세형)와 지시대명사를 올바르게 사용할 수 있다.

1. 사람에 대해 묘사하기

Nathan : Est-ce que tu peux aller chercher mon frère à la gare ?


Laura : Oui, bien sûr. Mais il est comment ?
Nathan : Il est mince et blond.
Laura : D’accord. Autre chose ?
Nathan : Oui, il a des lunettes et il est grand.
Laura : Très grand ?
Nathan : Oui, il fait 1,90 m.

어휘 풀이

• pouvoir : 할 수 있다 • mince : 날씬한


• aller : 가다, (건강 상태가) ~하다 • blond(e) : 금발의
• chercher : 찾다 • autre : 다른, 별개의
• frère : m. 형제 • lunettes : f. pl. 안경
• gare : f. (기차의) 역 • grand(e) : 키가 큰

표현 연구

1. Est-ce que tu peux aller chercher ~ ? : ~을 데리러 갈 수 있겠니?


‘pouvoir 동사 +부정법’은 가능성(~을 할 수 있다)을 나타내며, ‘aller 동사 +부정법’은 ‘~하러
가다’의 의미를 나타낸다.
Je peux te voir tout de suite. 나는 잠시 후에 널 볼 수 있어.
Elle est allée se promener. 그녀는 산책하러 갔습니다.

2. Autre chose ? : 또 다른 것은? (= Est-ce qu’il y a autre chose ? )

3. Il a des lunettes. : 그는 안경을 쓰고 있어. (= Il porte des lunettes.)

4. Il fait 1, 90 m. : 그 사람의 키는 1미터 90이야.


faire 동사를 활용하여 길이, 무게, 치수 등을 표현할 수 있다.
Je fais du 41. 제 치수는 41입니다.
Cette valise fait bien vingt kilos. 이 가방의 무게는 20킬로나 됩니다.

EBS 수능특강 프랑스어 I • 28 • 04강 Il est comment ?


본문 해석

Nathan : 내 동생 데리러 역에 가줄래?


Laura : 그래, 물론이지. 그런데 어떻게 생겼어?
Nathan : 마르고 금발이야.
Laura : 알겠어. 또 다른 것은?
Nathan : 응, 안경을 쓰고 있고, 키가 커.
Laura : 아주 커?
Nathan : 응, 키가 1미터 90이야.

문화 프랑스의 역사적 인물 (1)

Blaise Pascal (1623~1662)


프랑스의 수학자, 물리학자, 철학자, 종교사상가. ‘파스칼의 정리’와 ‘파스칼의 원리’
등 수학과 물리학에 대한 글들을 발표하고 연구하였다. 또한 활발한 철학, 종교적
활동을 하였으며, 유고집으로『팡세 Pensées 』가 있다.

Louis Pasteur (1822~1895)


프랑스의 화학자・미생물학자. 입체화학의 기초를 구축하였으며, 세균학의 아버지로
불린다. 질병과 미생물을 최초로 연결해 전염성 질병의 원인이 병원성 미생물이
라는 학설을 완성하고, 저온살균법, 광견병, 닭 콜레라의 백신을 발명했다.

Gabrielle Chanel (1883~1971)


프랑스의 패션 디자이너. 간단하고 입기 편한 옷을 모토로 하는 디자인 활동을
시작하여 답답한 속옷이나 장식성이 많은 옷으로부터 여성을 해방하는 실마리를
만들며 20세기의 여성 패션의 혁신을 선도하였다.

의사소통 기본 표현

Il est comment ? 그 사람 어때?


사람에 대해 - Il est grand et blond. - 키가 크고 금발이야.
묘사하기 Il a les yeux bleus. 그는 눈이 푸른색이야.
Il est très gentil. 그는 매우 친절한 사람이야.
C’est une table ronde. 둥근 탁자야.
사물에 대해 Tu as perdu ton sac ? 너는 가방을 잃어버렸니?
묘사하기 Il est de quelle couleur ? 어떤 색깔이니?
- Il est noir. - 검은 색이야.

EBS 수능특강 프랑스어 I • 29 • 04강 Il est comment ?


2. 사물에 대해 묘사하기
Le guide : Nous prenons le bus jusqu’à votre hôtel, La Marianne.
C’est un hôtel à côté de la plage.
Timéo : Génial ! Et les chambres, comment sont-elles ?
Le guide : Elles sont grandes et elles donnent sur la mer.
Timéo : Et il y a une salle de bains dans la chambre ?
Le guide : Oui, bien sûr. Toutes les chambres ont une salle de bains, un frigo,
un téléphone et une télévision. Et en plus, dans l’hôtel, vous avez une piscine.
Timéo : Super ! On va passer de bonnes vacances.
* plage : 해변

어휘 풀이

• prendre : 타다, 잡다, 먹다 • mer : f. 바다


• jusque : ~ 까지 • bain : m. 목욕, 욕조
• (à) côté (de) : m. 측면, (~의) 옆에 • frigo : m. 냉장고
• génial(e) : 훌륭한, 멋진 • piscine : f. 수영장
• chambre : f. 방, 침실 • passer : (시간을) 보내다

표현 연구

1. Et les chambres, comment sont-elles ? : 그런데 방은 어떻게 생겼죠?


3인칭 주어 인칭대명사 ‘elles’은 사람은 물론 사물(les chambres)을 대신할 수 있으며,
사물의 모습이나 상태를 물어볼 때는 ‘comment(어떻게)’을 사용한다.

2. donner sur : ~을 향하다, ~로 통하다


Cette fenêtre donne sur la mer. 이 창문은 바다 쪽으로 나 있습니다.

3. Toutes les chambres ont une salle de bains, un frigo ~ : 모든 방에는 욕실, 냉장고, ~가 있다
‘tous / toutes +관사 / 지시・소유형용사 +명사’는 ‘모든 ~’을 의미한다.
Tous mes amis sont venus me voir. 내 친구들이 모두 나를 보러 왔다.

4. On va passer de bonnes vacances. : 즐거운 휴가를 보낼 수 있겠어요.


복수형용사가 명사 앞에 쓰일 경우 ‘des’는 ‘de’가 된다.
de beaux arbres 아름다운 나무들 de nouvelles voitures 새로운 자동차들
그러나 복수형용사가 명사 뒤에 올 경우, 또는 복합명사로 간주되는 경우는 변화하지 않는다.
des femmes heureuses 행복한 여인들 des jeunes filles 소녀들

EBS 수능특강 프랑스어 I • 30 • 04강 Il est comment ?


본문 해석

가이드 : 우리는 버스를 타고 여러분들이 묵을 호텔 La Marianne까지 가겠습니다.


바닷가에 있는 호텔입니다.
Timéo : 멋져요! 그런데, 방은 어때요?
가이드 : 크고 바다 쪽 방입니다.
Timéo : 그런데 방 안에 욕실은 있어요?
가이드 : 그럼요, 물론이지요. 모든 방에는 욕실, 냉장고, 전화, TV가 있어요.
게다가, 호텔에는 수영장이 있어요.
Timéo : 근사하네요! 즐거운 휴가를 보낼 수 있겠어요.

문화 프랑스의 역사적 인물 (2)

Louis Ⅸ (1214~1270)
프랑스 카페왕조의 왕(재위 1226~1270). ‘Saint Louis(聖王)’라고 불렸으며, 덕과
정치의 일치를 추구한 왕으로 모든 백성들의 사랑을 받았다. 국가 기관을 정비하여
중세 프랑스의 집권적 왕정을 완성하였으며, 대외적으로는 영국과의 싸움을 종결
시켰고, 여러 국왕과 제후 사이에서 평화를 수립하기 위해 노력하였다.

François Ier (1494~1547)


프랑스 카페왕조의 왕(재위 1515~1547). 프랑스 르네상스의 아버지로 일컬어지
며, 휴머니즘(인문주의)의 발전에 힘을 기울임으로써 프랑스에서 학문과 예술의
부흥을 가져왔다. ‘콜레주 드 프랑스(Collège de France)’라는 고등교육기관을
설립하여 교육에 힘썼다. 반면, 정치, 군사적인 측면에서 보면, 그의 재위 기간은
수많은 전쟁과 협정이나 조약과 같은 외교적인 사건으로 점철되어 있다.

Louis ⅩⅣ (1638~1715)
프랑스 부르봉왕조의 왕(재위 1643~1715). ‘태양왕’이라 불렸으며, 절대왕정의
대표적인 군주이다. 예술가와 작가들을 후원함으로써 프랑스를 유럽 예술의 중
심지로 만들었으나, 신교도 박해 및 이주로 인한 산업의 피폐, 베르사유 궁전 건
설로 인한 재정 결핍, 절대왕정의 모순 증대 등은 후에 프랑스혁명이 일어나는
한 원인이 되었다.

François Mitterrand (1916~1996)


프랑스의 정치가.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레지스탕스에 참가하였고, 종전 후에는
다양한 정치적인 역할(하원의원, 장관, 상원의원 등)을 수행하였다. 1981년과
1988년 두 차례에 걸쳐 프랑스 대통령으로 재임(1981~1995)하면서 프랑스와
서유럽의 정치・경제적인 통합을 추진하였다. 유럽연방, 독・프 통합군 창설 등을
구상하여 발표하고, 1993년 유럽연합 발족을 성사시켰다.

EBS 수능특강 프랑스어 I • 31 • 04강 Il est comment ?


수능 문법 포인트

I. 주어 인칭대명사
1. 형태
단수 복수
1인칭 je nous
2인칭 tu vous
3인칭 il / elle ils / elles

2. 용법
(1) 주어로 사용된다.
Je suis lycéen. 나는 고등학생이다.
(2) vous는 단수(존칭)로도 쓰일 수 있으며, tu와 vous는 친소나 위계 관계에 따라 선택한다.
Salut Théo, tu vas bien ? Théo야 안녕, (너) 잘 지내니?
Bonjour madame ! Vous allez en ville ? 선생님 안녕하세요! (당신) 시내에 가세요?
(3) 3인칭은 사람은 물론 사물을 대신할 수 있다.
Les élèves sont-ils dans la classe ? 학생들이 교실에 있습니까?
Regarde ces fleurs, elles sont vraiment jolies ! 이 꽃들 좀 봐, 정말 예쁘네!

II. 강세형 인칭대명사


1. 형태
단수 복수
1인칭 moi nous
2인칭 toi vous
3인칭 lui / elle eux / elles

2. 용법
(1) 주어를 강조할 때, 혹은 동사가 생략된 문장에서 쓰인다.
Moi, je suis de Lyon. Et toi ? 나, 나는 Lyon 출신이야. 그런데 너는?
- Moi aussi. - 나도 그래.
(2) 주어와 나란히 인칭대명사 주어를 덧붙이고자 할 때 사용된다.
Son frère et lui sont venus. 그와 그의 형이 왔습니다.
(3) c’est 다음에서 속사로 쓰인다.
C’est toi, Éric ? - Oui, c’est moi. 너 Éric이니? - 응, 나야.
(4) 전치사의 보어로 쓰인다.
Partez sans eux. 그들 없이 떠나세요.
(5) 비교 구문에서 que 다음에 쓰인다.
Tu es plus riche que lui. 너는 그 사람보다 더 부유해.

EBS 수능특강 프랑스어 I • 32 • 04강 Il est comment ?


Ⅲ. 지시대명사
1. 형태
(1) 변화하지 않는 지시대명사

단순형 ce (c’)

복합형 ceci cela (ça)

(2) 변화하는 지시대명사


남성 단수 남성 복수 여성 단수 여성 복수

단순형 celui ceux celle celles

복합형 celui­ci / celui­là ceux­ci / ceux­là celle­ci / celle­là celles­ci / celles­là

2. 용법
(1) 변화하지 않는 지시대명사
① ce : être 동사의 주어로 쓰인다.
C’est beau, Paris. 파리는 멋있다.
Qui est là ? - Ce sont mes amis. 누구시죠? - 제 친구들이에요.
Espérer, c’est choisir son rêve. 희망을 갖는다는 것은 꿈을 정하는 것이다.

② ceci / cela (ça) : ceci는 시・공간상 가까이 있는 것을, cela는 멀리 있는 것을 가리킨다.


ça는 일상어에서 cela 대신에 사용된다.
C’est ça. 그렇습니다.
Ça ne fait rien. 괜찮습니다.
Ceci est bon, cela est mauvais. 이것은 좋고, 저것은 나쁘다.

(2) 변화하는 지시대명사


① 단순형은 ‘전치사 de +명사’와 함께 쓰이거나 상황보어 등으로 한정된 것을 가리킬 때 쓰인다.
Ce sac n’est pas celui de Lola. 이 가방은 Lola의 것(가방)이 아닙니다.
On prend la rue de droite ou de gauche ? 오른쪽 길로 갈까, 아니면 왼쪽 길로 갈까?
- Prenons celle de gauche. - 왼쪽으로 가자.

② 복합형은 celui / ceux / celle / celles 뒤에 ci나 là를 붙여 –ci는 가까운 것(후자),
-là는 먼 것(전자)을 가리킨다.
Quelles chaussures préférez-vous, celles-ci ou celles-là ?
어떤 신발이 더 맘에 드세요? 이쪽에 있는 거요 아니면 저 쪽에 있는 거요?
N’achète pas ces crayons. Ceux-là sont plus jolis.
이 연필들을 사지 마. 저쪽의 것들이 더 예뻐.

EBS 수능특강 프랑스어 I • 33 • 04강 Il est comment ?


∙ 정답과 해설 7 ~ 8 쪽

1 ▢에 들어갈 글자를 모두 조합하여 만들 수 3 빈칸에 들어갈 말로 알맞은 것은?


있는 낱말은?
( Les élèves jouent dans la classe.)
La France c’est le p▢ys du fromage, A : Écoute bien ! Il est petit et très
du vin et des festivals. Il y a des fort. Et il est bon au foot.
festivals tou▢e l’année : festivals de ?
musique, de dan▢e, de cinéma, de B : Trop facile ! C’est Arthur.
t▢éâtre, de photos, etc. On ne peut A : Bravo !
pas co▢pter tous les festivals.
① Qui est-ce
② Il y va comment
③ Il coûte combien
④ Comment va-t-il
① chose ② heure ⑤ Qu’est-ce qu’il y a
③ maths ④ salut
⑤ temps

4 아파트에 대한 정보이다. 내용으로 알 수 없는


것은?

Monsieur,
L’immeuble est dans le centre de
Lille. C’est un immeuble ancien.
L’appartement est au 4e étage avec
2 빈칸에 들어갈 말로 알맞은 것만을 <보기>에서 ascenseur. Vous avez une cuisine,
모두 고른 것은?
une salle de bains avec douche, un
Le professeur : Ne (N’) pas salon et une chambre. Dans la
debout. chambre, il y a un lit et un bureau
Les élèves : Oui, madame. avec une chaise.
<보 기> Alain Duval
a. restez b. laissez
① 승강기가 있다.
c. attendez d. vous mettez
② 오래된 건물이다.
① a, c ② b, d ③ 도심의 주상복합 건물이다.
③ a, c, d ④ b, c, d ④ 샤워기가 딸린 욕실이 있다.
⑤ a, b, c, d ⑤ 책상과 침대가 구비되어 있다.

EBS 수능특강 프랑스어 I • 34 • 04강 Il est comment ?


5 대화의 내용으로 보아 Claudie의 모습으로 7 빈칸에 들어갈 말로 알맞은 것을 <보기>에서
알맞은 것은? 찾아 순서대로 바르게 배열한 것은?

A : Tu connais Claudie ? A : Je cherche mon sac.


B : Non, elle est comment ? B : Ton sac ?
A : Elle est petite aux cheveux courts. A : C’est un sac à main noir.
Elle porte une robe noire. B : Il n’est pas ici.
A:
① ② ③
B : Oui, si tu veux.
<보 기>
a. Il est comment ?
b. Tu ne l’as pas vu ?
c. Tu peux m’aider à le trouver ?

④ ⑤ ① a-b-c ② a-c-b
③ b-a–c ④ b-c-a
⑤ c-a–b

6 빈칸에 들어갈 말로 알맞은 것만을 <보기>에서 8 글의 내용으로 보아 빈칸에 들어갈 말로


고른 것은?
알맞은 것은?
A : J’ai acheté un pull hier.
En France, certains noms de rues,
B:
d’avenues ou de places sont des
A : Tiens, regarde !
noms de lieux. D’autres peuvent aussi
B : Ah oui, c’est un beau pull !
avoir le nom d’une personne :
<보 기> .
a. Tu vas très bien ! * lieu : 장소
b. Non ! Pas du tout !
① Rue de Paris
c. Il est comment ton pull ?
② Rue de la gare
d. De quelle couleur est-il ?
③ Place du Marché
① a, b ② a, c ③ a, d ④ Place Charles de Gaulle
④ b, c ⑤ c, d ⑤ Avenue des Champs-Élysées

EBS 수능특강 프랑스어 I • 35 • 04강 Il est comment ?


9 글의 내용으로 알 수 있는 것은? 11 빈칸에 들어갈 말로 알맞은 것은?
François ler est devenu Roi de France A : C’est la rue du Moulin ?
en 1515. Il a ouvert la France à la B : Non. , c’est la rue du
Renaissance. Il a fait venir beaucoup Four.
d’artistes et de savants italiens en A : Ah bon !
France comme Léonard de Vinci. Et
① Celle ② Celui
on lui doit aussi les châteaux de la
③ Celle-ci ④ Celui-ci
Loire comme celui de Chambord et
⑤ Celui-là
celui de Chenonceau.
* roi : 왕 * artiste : 예술가

① François 1세는 어린 나이에 왕이 되었다.


② François 1세는 Chambord 성(城)을 직접
설계하였다.
③ Léonard de Vinci는 Loire 지역의 성곽
들을 좋아했다.
④ François 1세는 프랑스에 학문과 예술의
부흥을 가져왔다.
⑤ 이탈리아의 학자들은 주로 프랑스에서
학문 활동을 하였다.

12 <보기>의 낱말을 모두 사용하여 대화를 완성할


때 빈칸 (a)에 들어갈 말로 알맞은 것은?

A : Je peux essayer ces robes ?


B : Oui, prenez d’abord (a)
10 문장 표현이 옳은 것만을 있는 대로 고른 . Je vous apporte
것은? après.
a. Cette lettre n’est pas à moi. A : Merci.
b. Il n’y a que lui dans la maison. <보 기>
c. Nous avons accepté, mais eux la(l’) en haut
ont refusé. autre celle

① a ② c ① la(l’) ② en
③ a, b ④ b, c ③ haut ④ autre
⑤ a, b, c ⑤ celle

EBS 수능특강 프랑스어 I • 36 • 04강 Il est comment ?


05 J’aime bien sortir.
학습목표 l 좋아하는 것과 좋아하지 않는 것에 대해 말할 수 있다.
l 프랑스 명소에 대하여 알고 설명할 수 있다.
l (직접, 간접)목적보어 인칭대명사 및 중성대명사의 용법을 이해하고 활용할 수 있다.

1. 좋아하는 것 말하기

Luc : Je vais voir un spectacle, ce soir. Ça t’intéresse ?


Émilie : Oui, j’aime bien sortir et aller voir des spectacles, surtout au théâtre.
Luc : C’est vrai ? Ça tombe bien ! C’est une pièce de théâtre.
Émilie : Ah bon ? C’est de qui ?
Luc : C’est de Molière. Tu l’aimes ?
Émilie : Oui, je l’adore. J’ai lu beaucoup de ses pièces.
Mais je n’en ai pas encore vu !
* spectacle : 공연

어휘 풀이

• voir : 보다 • tomber : 떨어지다, 넘어지다


• intéresser : 관심을 끌다 • pièce : f. 희곡, 방, 조각, 단편, 주화
• aimer : 좋아하다, 사랑하다 • théâtre : m. 연극, 극장
• sortir : 밖으로 나가다, 외출하다 • adorer : 아주 좋아하다
• vrai : 사실의, 진실한 • lire : 읽다

표현 연구

1. Je vais voir un spectacle. : 나 공연 보러 갈 거야.


aller +inf. : 곧 ~하다 (근접 미래), ~하러 가다
Tu vas préparer le dîner ? 네가 저녁 준비할 거야?
Il va aller chez ses parents. 그는 곧 부모님 댁에 갈 거다.

2. Ça t’intéresse ? : 너 관심 있니?
intéresser qn : ~의 관심을 불러일으키다
Votre offre m’intéresse. 당신 제안이 흥미롭군요.

3. J’aime bien sortir. : 나는 외출하기를 좋아한다.


aimer (adorer, préférer, détester) +inf. : ~하기를 좋아(매우 좋아, 더 좋아, 싫어)하다
aimer +정관사 +명사 : ~을 좋아하다
aimer mieux A que B / préférer A à B : B보다 A를 더 좋아하다
J’aime faire la cuisine. 나는 요리하는 것을 좋아한다.
Tu aimes le sport ? 너 운동 좋아하니?
Il aime mieux le tennis que le foot. 그는 축구보다 테니스를 더 좋아한다.
Je préfère la danse à la musique. 나는 음악보다 춤을 더 좋아한다.

4. Ça tombe bien ! : 마침 잘 됐다!

EBS 수능특강 프랑스어 I • 37 • 05강 J’aime bien sortir.


본문 해석

Luc : 나 오늘 저녁 공연 보러 가. 너 관심 있니?
Émilie : 응, 나 외출이나 공연 보러 가는 것 좋아해. 특히 연극 공연 보는 것 좋아해.
Luc : 정말이야? 마침 잘 됐네! 연극 공연이야.
Émilie : 그래? 누구 연극이야?
Luc : Molière 연극이야. 너 그를 좋아하니?
Émilie : 응, 아주 좋아해. 그의 작품 많이 읽었어. 하지만 아직 연극을 보지는 못했어.

문화 Belleville 공원 (Le parc de Belleville)

파리 20구에 자리하고 있는 공원이다. 1988년에 개장한 곳으


로 해발고도가 약 200m 이상인 높은 지대에 위치해 파리 시
내의 전망을 한눈에 내려다 볼 수 있다. 매우 깔끔하고 고전적
인 분위기의 공원으로 파리 시내의 도시적인 풍경과 큰 대조를
이룬다. 간단한 체육시설을 갖추고 있으며 종종 시민들을 위한
음악회 등의 소규모 문화 행사가 열리기도 한다.

의사소통 기본 표현

J’aime le cinéma. 나는 영화를 좋아해.


좋아하는 것 Il aime chanter. 그는 노래하는 걸 좋아해.
말하기 Mon père adore la cuisine française. 아버지는 프랑스 요리를 아주 좋아하셔.
Cette musique me plaît beaucoup. 나는 이 음악이 아주 맘에 들어.

더 좋아하는 Je préfère le théâtre au cinéma. 나는 영화보다 연극이 더 좋아.


것 말하기 J’aime mieux l’hiver que l’été. 나는 여름보다 겨울을 더 좋아해.

좋아하지 Je n’aime pas le sport. 나는 운동을 좋아하지 않아.


않는 것 Le sport, ça ne m’intéresse pas. 나는 스포츠에 흥미가 없어.
말하기 Je déteste les mathématiques. 나는 수학을 매우 싫어해.

EBS 수능특강 프랑스어 I • 38 • 05강 J’aime bien sortir.


2. 좋아하지 않는 것 말하기

Anne : On va au musée d’Orsay ?


Aujourd’hui, c’est le premier dimanche du mois. C’est gratuit.
François : Oui, mais je n’aime pas du tout faire la queue.
Hervé : Moi non plus. Je déteste ça. Mais j’aime me promener dans le parc.
On va au parc de Belleville ? On peut y voir tout Paris.
Anne : C’est une bonne idée !
* gratuit : 공짜의

어휘 풀이

• musée : m. 박물관, 미술관 • détester : 싫어하다


• aujourd’hui : 오늘 • se promener : 산책하다
• premier(ère) : 첫 번째의 • dans : ~ 안에
• dimanche : m. 일요일 • parc : m. 공원
• mois : m. 월, 한 달 • pouvoir : ~할 수 있다
• faire : 하다, 만들다 • tout(e) : 모든, 전체의
• queue : f. 줄, 꼬리 • idée : f. 생각

표현 연구

1. 기호의 정도 표현
J’aime un peu (beaucoup). / J’adore. 조금(많이) 좋아해요. / 무척 좋아해요.
Je n’aime pas. 좋아하지 않아요.
Je n’aime pas beaucoup. 별로 좋아하지 않아요.
Je n’aime pas du tout. 전혀 좋아하지 않아요.
Je déteste. 싫어해요.

2. faire la queue : 줄 서다

3. non plus : ~ 또한 아니다(부정문), 긍정문에서는 aussi를 쓴다.

4. Je déteste ça. : 나는 그것을 싫어해.


ça는 faire la queue를 대신하는 지시대명사이다.

5. On peut y voir tout Paris. : 거기에서는 파리 전체를 볼 수 있어.


y는 dans le parc de Belleville을 대신하는 ‘거기에서’라는 의미의 중성대명사이다.

EBS 수능특강 프랑스어 I • 39 • 05강 J’aime bien sortir.


본문 해석

Anne : 우리 Orsay 미술관에 갈까?


오늘 첫 번째 일요일이니까 공짜야.
François : 응, 하지만 난 줄 서는 거 정말 좋아하지 않아.
Hervé : 나도 그래, 그거 싫어. 근데 난 공원에서 산책하는 거 좋아해.
우리 Belleville 공원에 갈까? 거기서 파리 전체를 볼 수 있어.
Anne : 좋은 생각이다 !

문화 프랑스의 명소들

le Palais du Luxembourg : 파리 센 강 좌안의 6구에 위치하며, 앙리


4세의 왕비인 Marie de Médicis를 위하여 1615~25경에 건조된 궁전
이다. 현재는 프랑스 의회의 상원 건물로 쓰이고 있다. 궁전에 딸린
공원은 화단과 연못이 아름답고, 역대의 왕비, 저명한 예술가들의
조각이 많다. 대학가인 Quartier Latin과 인접하여 학생이나 어린이
동반 가족의 휴식장소이며, 작은 인형극장도 있다.

l’Arc de triomphe (개선문) : Napoléon 1세가 1806년 Austerlitz 전투


에서 승리한 뒤 프랑스 군대의 모든 승리를 기념하기 위해 만들었
다. 1920년 제1차 세계대전 휴전 기념일에 한 무명용사가 이곳에
안장된 후 통합과 화해의 상징이 되었다. 개선문 아래 ‘무명용사의
무덤’에는 두 번의 세계대전에서 전사한 무명의 용사들을 추모하는
불꽃이 1년 내내 타오르고 있다.

le mont Saint-Michel : 프랑스 서해안에 위치한 작은 바위산으로서,


만조 때가 되면 섬이 된다. 노르망디공 Richard 1세가 966년에 지은
수도원은 베네딕토회 수사들의 수도장으로서, 수세기에 걸쳐 증・개축
되어 대표적인 순례지로 발전했다. 1791년 혁명군이 감옥으로 사용
하였고, 1863년에는 폐쇄되었으나 현재는 다시 수도원으로 사용되고
있다. 1979년에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다.

le Palais des papes d’Avignon (아비뇽 교황청) : 1309년 교황


Clémence 5세가 정치적인 이유로 바티칸으로 가지 못하고 프랑스
Avignon에 머물면서 교황청으로 사용한 곳이다. 이후 1376년까지
7명의 교황이 이곳에 머물게 되는데 이를 아비뇽 유수라고 하며,
당시 교황권은 프랑스의 지배하에 놓이게 된다. 아비뇽 교황청은
성벽 높이 50m, 두께 4m의 거대한 요새와 같이 만들어졌으며, 견
고한 석조 건물로 14세기의 모습을 온전히 유지하고 있다.

EBS 수능특강 프랑스어 I • 40 • 05강 J’aime bien sortir.


수능 문법 포인트

I. 목적보어 인칭대명사
1. 형태
(1) 직접목적보어 인칭대명사 (2) 간접목적보어 인칭대명사
단수 복수 단수 복수
1인칭 me (m’) nous 1인칭 me (m’) nous
2인칭 te (t’) vous 2인칭 te (t’) vous
3인칭 le / la (l’) les 3인칭 lui leur

2. 위치와 용법
(1) 직접목적보어대명사 : 직접목적보어를 대신하며 동사 앞에 위치한다.
Tu aimes les chansons de Stromae ? 너 Stromae 노래 좋아해?
- Oui, je les adore. - 응, 아주 좋아해.
(2) 간접목적보어대명사 : 간접목적보어(à +사람)를 대신하며 동사 앞에 위치한다.
Vous téléphonez souvent à vos parents ? 부모님께 자주 전화하세요?
- Oui, je leur téléphone une fois par semaine. - 네, 1주일에 한 번 합니다.
(3) 동사가 <준조동사 +동사원형>의 경우, 동사원형 앞에 위치한다.
Jules et Jim ne sont pas en France ? Alors on ne peut pas les inviter !
Jules과 Jim이 프랑스에 없어? 그럼 우리 그들을 초대할 수 없네!

remercier (~에게 감사하다), appeler (~에게 전화하다)는 전치사 à를 동반하지 않고,


직접목적보어를 취하는 동사이다.
Je remercie Mme Perrod. - Moi aussi, je la remercie beaucoup.
Perrod 선생님께 감사한 마음이야. - 나도 그 선생님이 무척 고마워.
J’appelle à Marc. (×) → Je lui appelle. (×)
J’appelle Marc. (○) → Je l’appelle. (○) Marc에게 전화 건다.

3. 목적보어대명사들 간의 순서
간접 직접 간접 중성
me
le
주어 te lui 동사
la y en
nous leur
les
vous
Tu envoies ce cadeau à Cynthia ? 이 선물 Cynthia에게 보내는 거야?
- Oui, je le lui envoie. - 응, 그거 그녀에게 보내는 거야.
Tu peux montrer les cahiers aux amis ? 친구들에게 노트를 보여줄 수 있겠니?
- Oui, je vais les leur montrer. -네, 그것들을 그들에게 보여줄게요.
직접목적보어가 1, 2인칭일 경우 간접목적보어는 ‘à +강세형 인칭대명사’로 쓴다.
Je te présente à lui. 그에게 너를 소개할게.

EBS 수능특강 프랑스어 I • 41 • 05강 J’aime bien sortir.


II. 중성대명사
1. En
(1) ‘전치사 de +명사’를 대신한다.
Tu vas où, à la banque ? 너 어디 가, 은행에?
- Non, j’en viens. - 아니, 거기에서 오는 길이야.
Il parle trop de son travail. 그는 자기 일에 대해 너무 많이 얘기해.
- C’est vrai, il en parle beaucoup. - 사실이야, 그것에 대해 많이 말하지.

<de +사람>은 ‘de +강세형 인칭대명사’로 대신한다.


Vous parlez encore de son nouveau petit ami ?
너희 아직도 그녀의 새 남자친구에 대해 말하고 있어?
- Oui, nous parlons de lui. Il est sympa. - 응, 그에 대해 말하고 있어. 참 호감이 가.

(2) ‘부분관사 (du, de l’, de la) / 부정관사 (des) / 부정의 de +명사’를 대신한다.
Vous voulez de l’eau ? - Oui, j’en veux bien. 물 좀 드시겠어요? - 네, 좀 주세요.
(3) ‘수 또는 양을 나타내는 표현과 함께 쓰인 명사’를 대신한다. 수량 표현은 남긴다.
Vous avez des sœurs ? - Oui, j’en ai une. 자매가 있으세요? - 네, 한 명 있어요.

2. Y : ‘장소의 전치사(à, en, chez, dans, sur 등) +명사’, ‘전치사 à +사물명사’를 대신한다.
On va chez lui ? - D’accord, on y va ! 우리 그의 집에 갈까? - 좋아, 거기 가자.
Tu penses au bac ? 너 바칼로레아에 대해 생각하니?
- Oui, j’y pense et ça m’inquiète. - 응, 그것에 대해 생각해. 걱정이야.

< à +사람 >의 경우 간접목적보어대명사를 쓰지만 ‘penser + à +사람’은 ‘à +강세형 인칭


대명사’로 써야 한다.
Vous pensez à vos enfants ? 자식들 생각하시나요?
- Oui, je pense toujours à eux. - 네, 늘 애들 생각이죠.

3. Le
(1) ‘속사로 사용된 형용사 또는 무관사 명사’를 대신한다.
Si ma fille est heureuse, je le suis aussi. 내 딸이 행복하다면 나 역시 행복하다.
On ne naît pas femme : on le devient.
사람은 여자로 태어나는 것이 아니라 여자가 된다. (* 시몬느 드 보봐르의『제2의 성』에서)
(2) ‘부정법’을 대신한다.
Partez, il le faut. 떠나시오. 꼭 그래야 하오.
(3) ‘절’이나 ‘문장’을 대신한다.
Tu sais ? Paul et Marie vont se marier ! 너 알아? Paul과 Marie가 결혼한대!
- Oui, je le sais. - 응, 그거 알고 있어.
Catherine est malade, mais ses parents ne le savent pas encore.
Catherine가 아프지만 그녀의 부모는 아직도 그것을 모르고 있다.

EBS 수능특강 프랑스어 I • 42 • 05강 J’aime bien sortir.


∙ 정답과 해설 9 ~ 10 쪽

1 밑줄 친 부분과 같은 발음이 있는 낱말은? 3 빈칸에 들어갈 말로 알맞은 것은?


A : Tu aimes le sport ?
La raison du meilleur est B : Pas trop.
Mais .
toujours la plus forte.
A : Moi aussi, alors on va au parc
Victor Hugo cet après-midi ?
B : D’accord !
① zéro ② danse
① j’adore marcher
③ difficile ④ boisson
② je déteste sortir
⑤ semaine
③ je préfère dormir
④ je n’aime pas me promener
⑤ j’aime bien rester chez moi

4 빈칸에 들어갈 말로 알맞지 않은 것은?

▶ Qu’est-ce que vous préférez faire


le week-end ?

Moi, .

2 빈칸에 공통으로 들어갈 말로 알맞은 것은? ① j’aimerais prendre le plat du jour


② j’aime bien lire des livres chez moi
◦ Faites la devant la porte.
③ je m’intéresse aux musées, alors
◦ Le chien a son sourire dans sa
j’y vais souvent
.
④ j’adore préparer de bons petits plats
① main ② grève pour ma famille
③ queue ④ cuisine ⑤ je préfère me promener dans un
⑤ machine jardin près de chez moi

EBS 수능특강 프랑스어 I • 43 • 05강 J’aime bien sortir.


5 빈칸에 들어갈 말로 알맞은 것만을 <보기> 7 빈칸에 들어갈 말로 알맞은 것은?
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A : Regarde cette robe !
A : J’aime la musique classique, et toi ? B : Elle est jolie ! ?
B: parce que ça A : Oui, j’ai envie de l’acheter.
m’ennuie ! B : Alors, essaie-la !
A : Dommage. Alors je dois aller au
① Elle te plaît
concert de Sungjin Cho tout seul.
② Je la choisis
<보 기>
③ Ça me va bien
a. Je déteste ça
④ Tu veux la vendre
b. Non, pas vraiment
⑤ Qu’est-ce que tu préfères
c. Je n’aime pas du tout ça

① a ② c ③ a, b
④ b, c ⑤ a, b, c

8 글의 제목으로 알맞은 것은?


Qu’est-ce que vous voulez visiter à
Paris ? La tour Eiffel ou le Louvre ?
Il y a souvent trop de monde là-bas !
On doit attendre longtemps. Je vous

6 B가 좋아하는 것으로 언급한 것이 아닌 것은? conseille de vous promener dans des


parcs comme le parc des Buttes-
A : Qu’est-ce que vous aimez le plus Chaumont ou le jardin du Luxembourg.
dans la vie ? Si vous voulez voir tout Paris, allez
B : Moi, j’aime regarder la télé en au parc de Belleville ! Si vous aimez
mangeant de la glace, passer un les sciences, au parc de la Villette :
dimanche à ne rien faire, voir les c’est la Cité des sciences ! Il y a
gens sourire, et voir le soleil se beaucoup de parcs à Paris !
coucher. J’adore aussi écouter des * sciences : 과학
chansons françaises !
① Les parcs de Paris
① 일출 보기 ② La visite de la tour Eiffel
② 샹송 듣기 ③ Les sciences modernes françaises
③ 사람들이 미소 짓는 것 보기 ④ Les touristes au musée du Louvre
④ 아이스크림 먹으면서 텔레비전 보기 ⑤ Une promenade dans le parc de la
⑤ 일요일에 아무 것도 안하면서 보내기 Villette

EBS 수능특강 프랑스어 I • 44 • 05강 J’aime bien sortir.


9 글의 내용으로 보아 Carcassonne 중세도시에 11 밑줄 친 부분의 표현이 옳지 않은 것은?
대해 알 수 없는 것은?
A : Marie n’est pas encore arrivée ?
Appelle-la !
(a)
B : D’accord ! Ah lui voilà !
(b)
A : Alors on va chez Alain ?
B : On doit acheter quelque chose
avant d’y aller.
(c)
La cité médiévale de Carcassonne se
C : Le gâteau au chocolat de chez
trouve dans la ville de Carcassonne,
Guillaume ? Il l’adore.
dans le Midi. Elle compte un château,
(d)
une église, 52 tours et 3 km de remparts.
B : D’accord ! Moi aussi, je veux en
Des gens y habitent encore. On peut manger. (e)
visiter une grande partie de la Cité
① (a) ② (b) ③ (c)
médiévale librement jour et nuit.
④ (d) ⑤ (e)
* cité : 도시 * médiéval : 중세의
* rempart : 성벽

① 성과 탑들이 있다.
② 프랑스 남부에 있다.
③ 밤에도 입장이 가능하다.
④ 사람들이 아직도 살고 있다.
⑤ 중세 프랑스 왕의 휴양지였다.
12 빈칸 (a), (b), (c)에 들어갈 말로 알맞은
것은?

A : Maman, j’ai bien fini mes devoirs


de maths grâce à Guy.
B : Bien, tu (a) as remercié ?
10 <보기>의 단어들을 모두 사용하여 대화를 A : Bien sûr !
완성할 때 빈칸 (a)에 들어갈 말로 알맞은
B : Donne- (b) de l’aide quand il
것은?
(c) a besoin.
A : Sylvie, présente-moi ton frère !
(a) (b) (c)
B : Oui, (a) .
① l’ le y
<보 기> ② l’ lui y
je le te vais présenter ③ l’ lui en
① je ② le ③ te ④ lui le le
④ vais ⑤ présenter ⑤ lui lui en

EBS 수능특강 프랑스어 I • 45 • 05강 J’aime bien sortir.


06 Comme il fait beau !
학습목표 l 기상 관련 표현들을 익혀 상황에 맞게 활용할 수 있다.
l 프랑스 예술가와 작품 세계를 이해할 수 있다.
l 부정관사, 정관사, 부분관사 등의 용법을 이해하고 정확하게 사용할 수 있다.

1. 날씨 말하기

Sarah : Comme il fait beau, aujourd’hui ! Mais quel temps fait-il au Maroc ?
Loubna : En général, il fait chaud. Au Maroc, il y a la saison sèche et la saison des
pluies. De novembre à avril, comme c’est la saison des pluies, il pleut souvent.
Subin : En Corée, il y a quatre saisons. Il fait doux au printemps, trop chaud en été,
un peu frais en automne et très froid en hiver. Mais ces dernières années,
le printemps et l’automne deviennent de plus en plus courts.
Loubna : C’est vrai. Le climat change, chez moi aussi.
* sec(sèche) : 마른, 건조한 * climat : 기후

어휘 풀이
• général(e) : 일반적인 • printemps : m. 봄
• chaud(e) : 더운, m. 뜨거움 • été : m. 여름
• saison : f. 계절 • frais(fraîche) : 서늘한, 시원한
• pluie : f. 비 • froid(e) : 추운, m. 추위
• novembre : m. 11월 • hiver : m. 겨울
• souvent : 자주 • dernier(dernière) : 최근의, 지난
• doux(ce) : 온화한, 부드러운 • devenir : ~이 되다

표현 연구

1. 감탄 표현
comme / que(qu’est-ce que) +평서문
Comme il fait beau = Qu’il fait beau ! 날씨 참 좋다!
감탄형용사 +(형용사) +명사
Quel (beau) temps aujourd’hui ! 오늘 날씨 참 좋다!

2. 날씨 관련 표현
Quel temps fait-il ? 날씨 어때요?
- Il pleut / neige. - 비가 와요 / 눈이 와요.
- Il fait beau / chaud / froid. - 날씨가 좋아요 / 더워요 / 추워요.
- Il y a du soleil. - 해가 나요.
Quelle est la température ? = Quelle température fait-il ? 기온이 얼마나 되요?
- Il fait 24°(degrés) / moins 10°(degrés). - 24도예요 / 영하 10도예요.

EBS 수능특강 프랑스어 I • 46 • 06강 Comme il fait beau !


본문 해석

Sarah : 오늘 날씨 참 좋다! 그런데 모로코 날씨는 어때?


Loubna : 더운 편이야. 모로코에는, 건기와 우기가 있어. 11월부터 4월은 우기라서, 비가 자주와.
수 빈 : 한국에는, 사계절이 있어. 봄에는 날씨가 온화하고, 여름에는 너무 덥고, 가을에는
좀 서늘하고 겨울에는 매우 추워. 하지만 최근 들어, 봄과 가을이 점점 짧아지고 있어.
Loubna : 맞아. 기후가 변하고 있어, 우리나라 역시.

문화 프랑스의 음악가들

Claude Debussy (1862~1918) : 1884년 칸타타「방탕한 아들 L’Enfant prodigue」로


로마대상을 받았으며, 주요 작품으로 출세작「목신의 오후에의 전주곡 Prélude à
l’après-midi d’un faune」, 관현악을 위한「녹턴 Nocturnes」, 오페라「펠레아스와
멜리장드 Pelléas et Mélisande」등이 있다.

Louis-Hector Berlioz (1803~1869) : 프랑스의 대표적 교향곡 작곡가로 ‘표제음


악’이라는 극적 관현악곡 스타일을 창시하여 음악사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
였고, 그의 새로운 ‘관현악법’은 이후의 많은 작곡가에게 큰 영향을 끼쳤다. 자서전
『회상록 Mémoires』은 음악가가 쓴 전기문학 분야에서 걸작 중의 하나로 손꼽힌다.
주요 작품으로「환상교향곡 Symphonie fantastique」,「이탈리아의 해럴드 Harold
en Italie」,「레퀴엠 Requiem」등이 있다.

의사소통 기본 표현

Quel temps fait-il aujourd’hui ? 오늘 날씨가 어때?


- Il fait beau / mauvais. - 날씨가 좋아 / 나빠.
Il fait froid / chaud / frais / gris. 날씨가 추워 / 더워 / 선선해 / 흐려.
날씨 말하기
Il pleut. 비가 온다.
Il neige. 눈이 온다.
Il y a du soleil / du vent. 날씨가 맑다 / 바람이 분다.

기온 말하기 Il fait 20°(degrés) cet après-midi. 오늘 오후엔 20도야.

EBS 수능특강 프랑스어 I • 47 • 06강 Comme il fait beau !


2. 일기예보

Bonjour à tous ! Nous sommes le 23 avril. Voici le bulletin


météo. Aujourd’hui, le beau temps est au rendez-vous sur
le nord de la France. Quelques nuages le matin, puis du
soleil à partir de midi. Températures : 15°C à Paris, 13°C à
Strasbourg. Sur les montagnes, c’est différent. Il pleut et il
y a un vent fort. La nuit, les températures vont tomber
jusqu’à -2°C à Clermont-Ferrand et à Grenoble. Pas de
pluie sur le sud mais beaucoup de nuages vont rester toute
la journée. Il fait 16°C à Toulouse et 18°C à Marseille.
* bulletin : 예보 * nuage : 구름

어휘 풀이

• avril : m. 4월 • montagne : f. 산
• météo : f. 일기예보 • différent(e) : 다른
• temps : m. 시간, 날씨 • pleuvoir : 비가 오다
• rendez-vous : m. 약속 • fort(e) : 강한
• nord : m. 북쪽 • tomber : 떨어지다
• quelque : 약간의 • sud : m. 남쪽
• température : f. 기온, 온도 • rester : 남다, 머무르다

표현 연구

1. Nous sommes le 23 avril. : (오늘은) 4월 23일이다.


C’est le 1er mai. 5월 1일이다.
On est le 7 mai. 5월 7일이다.

2. Aujourd’hui, le beau temps est au rendez-vous sur le nord de la France. :


오늘 프랑스 북쪽은 화창한 날씨가 되겠습니다.
sur (장소) ~에(서) : Il fait du vent sur Lille. Lille에 바람이 불고 있다.

3. toute la journée : 하루 종일
tout / toute +le/la +시간 단수명사 : ~ 내내 toute la nuit 밤새도록
tout / toute +le/la +일반 단수명사 : 전부 tout le pays 전국
tous / toutes +les +시간 복수명사 : ~ 마다 toutes les nuits 밤마다
tous / toutes +les +일반 복수명사 : 모든 tous les pays 모든 나라

EBS 수능특강 프랑스어 I • 48 • 06강 Comme il fait beau !


본문 해석

여러분 안녕하십니까! 4월 23일입니다. 일기예보를 말씀드리겠습니다. 오늘, 프랑스 북부지역은


날씨가 화창하겠습니다. 오전에 약간의 구름이 낀 다음, 정오부터 햇빛이 나겠습니다. 파리 기온은
15도, 스트라스부르는 13도입니다. 산악지역은 다른 날씨로, 비가 온 뒤 바람이 강하게 불겠습니
다. 클레르몽페랑과 그르노블의 밤 기온은 영하 2도까지 내려가겠습니다. 남부지역은 비가 내리지
않지만 하루 종일 구름이 많이 끼겠습니다. 툴루즈는 16도, 마르세유는 18도입니다.

문화 프랑스의 화가들

Gustave Courbet (1819~1877) : 사실주의 미술의 선구자. 농촌의 비참함을 적나라


하게 묘사한 작품들은 ‘사실주의 미술의 신호탄’으로 평가된다. 사실주의의 리더로
‘오르낭의 매장’에서 반아카데미즘의 태도를 표명하면서 물의를 일으켰지만, 인상주의
화가들은 큰 영향을 받았다. 대표작으로「쿠르베씨 안녕하십니까 Bonjour Monsieur
Courbet」,「센 강변의 아가씨들 Les Demoiselles des bords de la Seine」등이 있다.
Edouard Manet (1832~1883) : 프랑스의 화가. 인상주의의 아버지로 불린다. 세련
된 도시적 감각의 소유자로 주위의 활기 있는 현실을 예민하게 포착하는 필력에서
는 유례없는 화가였다. 종래의 어두운 화면에 밝음을 도입하는 등 전통과 혁신을
연결하는 중개 역을 수행한 점에서 공적이 크다. 대표작으로「풀밭 위의 점심Le
Déjeuner sur l’herbe」,「올랭피아Olympia」등이 있다.

Jules Bastien-Lepage (1848~1884) : 프랑스의 화가. 단비레에서 출생, 파리에서


사망. 정확하고 엄밀한 소묘력을 지녔으며 밀레와 쿠르베의 자연주의 영향을 받았
고, 때로는 마네의 예술과도 가깝게 보인다. 대표작으로「건초 Les Foins」,「잔다
르크Jeanne d’Arc」등이 있다.

Paul Gauguin (1848~1903) : 프랑스 후기인상파 화가. 문명세계에 대한 혐오감으로


남태평양의 타히티 섬으로 떠났고 원주민의 건강한 인간성과 열대의 밝고 강렬한
색채가 그의 예술을 완성시켰다. 그의 상징성과 내면성, 그리고 비(非)자연주의적
경향은 20세기 회화가 출현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 대표작으로「황색의 그
리스도 Le Christ jaune」,「타히티의 여인들Femmes de Tahiti」등이 있다.

Auguste Renoir (1841~1919) : 프랑스의 화가. 인상파 그룹의 한 사람으로서 빛나


는 색채표현을 전개했다. 이탈리아 여행 후 담백한 색조로 선과 형태를 명확하게 그려
화면구성에 깊은 의미를 쏟은 고전적인 경향을 띤 작품들을 그렸다. 그 후 인상파에서
이탈해 독자적인 풍부한 색채표현을 되찾아 원색대비에 의한 원숙한 작풍을 확립했다.
대표작으로「물랭 드 라 갈레트의 무도회 Bal du moulin de la Galette」,「샤투에서
뱃놀이를 하는 사람들 Les Canotiers à Chatou」등이 있다.

EBS 수능특강 프랑스어 I • 49 • 06강 Comme il fait beau !


수능 문법 포인트

1. 부정관사 : 정해지지 않은 사람이나 사물 명사 앞에서 사용된다.


남성 여성 J’ai rencontré une fille. 나는 어떤 소녀를 만났다.
단수 un une Voilà un cadeau pour toi. 이거 너를 위한 선물이야.
복수 des Ils ont des enfants. 그들은 아이들이 있다.
un, une는 ‘하나’라는 뜻도 있다.
Il a un petit frère et une grande sœur. 그는 남동생 한 명과 누나 한 명 있다.

2. 부분관사 : 정해지지 않은 셀 수 없는 물질명사 또는 추상명사 앞에서 쓰인다.


남성 여성 모음이나 무음 h로 시작하는 명사 앞에서는 de l’를 쓴다.
du de la du appétit → de l’appétit (식욕) du argent → de l’argent (돈, 은)
(de l’) (de l’) de la eau → de l’eau (물)
(1) 셀 수 없는 추상명사나 물질명사 앞에서 ‘약간의 분량’을 뜻한다.
On prend du poisson ou de la viande ? 생선 먹을까 고기 먹을까?
Ils ont de l’appétit. 그들은 식욕이 왕성하다.
Nous avons de la chance. 우리는 운이 좋다.
(2) faire 동사와 함께 관용적으로 쓰인다.
Elle fait de la confiture de fraises. 그녀는 딸기잼을 만든다.
Sa fille aime faire du sport. 그의 딸은 운동하는 것을 좋아한다.
Mon fils aime faire de la musique. 나의 아들은 음악을 하는 것을 좋아한다.
Aujourd’hui, il fait du vent. 오늘은 바람이 분다.

3. 정관사
남성 여성 모음이나 무음 h 앞에서 le와 la는 모음 생략 형태인 l’를 쓴다.
단수 le (l’) la (l’) le ami → l’ami (남자 친구) le homme → l’homme (사람, 남자)
복수 les la addition → l’addition (계산서) la heure → l’heure (시간)
(1) 앞서 언급되어 화자들이 이미 알고 있거나, 특정한 사람 또는 사물을 지칭한다.
Je connais le jeune homme. 나는 그 젊은이를 안다.
C’est la mère de Sophie. 저분은 Sophie의 어머니시다.
(2) 유일한 것을 가리킨다. (지구, 태양, 강, 국가, 방위, 산(맥) 등)
La Terre tourne autour du Soleil. 지구는 태양의 주위를 돈다.
Suivez la Seine. 센 강을 따라가세요.
La France est à l’ouest de l’Allemagne. 프랑스는 독일의 서쪽에 있다.
On adore faire du ski dans les Pyrénées. 우리는 피레네에서 스키 타는 것을 좋아한다.
(3) 총체적인 의미로 종류 전체를 가리키거나, 기호를 표현하는 동사와 함께 사용된다.
Le TGV est plus rapide que la voiture. 초고속 기차가 자동차보다 더 빠르다.
Tu aimes la cuisine coréenne ? 너 한국 음식 좋아하니?

EBS 수능특강 프랑스어 I • 50 • 06강 Comme il fait beau !


(4) 신체의 일부를 나타내는 명사 앞에 놓인다.
Ouvrez les yeux. 눈을 뜨세요.
Il lève la main gauche. 그는 왼쪽 손을 든다.
(5) 날짜, 계절 표현에 사용된다.
On est le ler mars. Enfin, c’est le printemps. 3월 1일이다. 드디어 봄이 왔다.
(6) 요일 앞에 놓여 ‘~마다’, 가격이나 속도의 단위 앞에 놓여 ‘~당’을 뜻한다.
Ce magasin ferme le dimanche. 이 상점은 일요일마다 문을 닫는다.
C’est combien le kilo ? 킬로그램 당 얼마에요?
(7) 사람의 성 앞에 les를 쓰면 부부 또는 가족, 작품을 뜻한다.
Les Dupont adorent les Raphaël. Dupont씨 부부(가족)는 Raphaël의 작품을 무척 좋아한다.

4. 축약관사 : 전치사 à, de 다음에 정관사 le / les가 오면 축약 형태인 au / aux, du / des로 전환된다.


le au Je vais au (= à +le) bureau en voiture. 나는 자동차로 출근한다.
à + →
les aux Les élèves vont aux (= à +les) toilettes. 학생들이 화장실에 간다.
le du C’est le livre du (= de +le) professeur. 이것은 선생님의 책이다.
de + →
les des Il est venu des (= de +les) Philippines. 그는 필리핀에서 왔다.

정관사 la나 l’는 축약되지 않는다.


Tu vas à la pharmacie ? 너 약국에 가니?
Paul est revenu de l’école. Paul이 학교에서 돌아왔다.
형태가 같은 축약관사와 부분관사에 주의한다.
Les gens mangent du pain. (부분관사) 사람들은 빵을 먹는다.
Ils viennent du (= de +le) Canada. (축약관사) 그들은 캐나다 출신이다.

5. 부정의 de : 부정문에서 직접목적보어의 부정/부분관사는 부정의 de(d’)로 바뀐다.


Il a un vélo / une maison / des amis. 그는 자전거 / 집 / 친구가 있다.
→ Il n’a pas de vélo / de maison / d’amis. 그는 자전거 / 집 / 친구가 없다.
cf. Il ne boit que du lait. 그는 우유만 마신다.

6. 관사의 생략 : 인명과 도시명을 제외한 모든 명사 앞에 관사가 오지만, 다음 경우는 생략한다.


(1) 국적, 신분, 직업 명사가 속사로 사용될 때 : Louis est français. Louis는 프랑스인이다. (국적)
Il est devenu médecin. 그는 의사가 되었다. (직업)
C’est un acteur. 이 사람은 배우다. (직업)
(2) ‘수량표현의 부사 +de’ 다음 : Elle a lu beaucoup de livres. 그녀는 많은 책을 읽었다.
(3) ‘avoir +명사’, ‘전치사 +명사’로 이루어진 관용어, 대조어 등에서
Marcos a faim / mal / peur / soif / tort / chaud / froid / raison / besoin d’aide.
Marcos는 배고프다 / 아프다 /무섭다 / 목마르다 / 그르다 / 덥다 / 춥다 / 옳다 / 도움이 필요하다.
à pied 걸어서 / en avion 비행기로 / sans accident 무사히 / de plus en plus 점점 더
(4) 요일, 달 앞 : C’est samedi. 토요일이다. Noël tombe en décembre. 성탄절은 12월이다.
Noël tombe un lundi cette année. 올해는 성탄절이 월요일이다.
(5) 명사의 한정어가 형용사처럼 쓰일 때 : C’est un lycée de filles. 여자고등학교이다.

EBS 수능특강 프랑스어 I • 51 • 06강 Comme il fait beau !


∙ 정답과 해설 11 ~ 12 쪽

1 받아쓰기에서 철자를 바르게 적은 것은? 3 일기예보에 대한 설명으로 알맞은 것은?


lundi mardi mercredi jeudi
(a) Tu a quel âge ? 22° 21° 27° 26°
(b) Il prend un desert.
(c) J’apprends le français.
(d) Comment appelles-tu ?
(e) Nous mangeons aux restaurant. ① Lundi, il y a du vent.
② Mercredi, il fait gris.
③ Mardi, il pleut beaucoup.
① (a) ② (b) ③ (c)
④ Jeudi, il va faire le plus chaud.
④ (d) ⑤ (e)
⑤ Lundi, le soleil est au rendez-vous.

4 빈칸에 들어갈 말로 알맞은 것은?


Bonjour ! Aujourd’hui, il pleut
sur Paris. Après la pluie, les
températures vont tomber.
2 빈칸에 들어갈 말로 알맞은 것은? Demain, à cause du vent très
fort du nord-est,
.
Très bonne journée à tous !

Au revoir au(à l’) de février !


① il va faire bon
Bienvenue au(à l’) de mars !
② il y a du soleil
C’est bientôt le printemps.
③ il va faire doux
① an ② jour ③ mois ④ il va faire chaud
④ hiver ⑤ samedi ⑤ il va faire plus froid

EBS 수능특강 프랑스어 I • 52 • 06강 Comme il fait beau !


5 빈칸에 들어갈 말로 알맞은 것은? 7 빈칸에 들어갈 말로 알맞은 것은?
A : Qu’il fait chaud ! A : Quel temps fait-il aujourd’hui ?
B : Oui, c’est vrai. Aujourd’hui, il fait Il pleut ?
un peu plus chaud qu’hier. B : Non, mais il fait gris.
A: ? .
B : Il fait 34 degrés. Mets un manteau et tes grosses

① Il fait combien chaussures.


* manteau : 외투, 망토
② Il fait mauvais
③ C’est le combien ① Il fait bon
④ Il neige beaucoup ② Il fait beau
⑤ La température est basse ③ Il y a du soleil
④ Mais il fait chaud
⑤ Il va peut-être neiger

8 Henri Matisse에 관한 글이다. 글의 내용과


일치하지 않는 것은?

En 1869, Henri Matisse est né dans


un petit village dans le nord de la
France. À l’école des Beaux-Arts de
Paris, Gustave Moreau lui a conseillé
6 빈칸에 들어갈 말로 알맞은 것은? de simplifier sa peinture. Il a fait des
peintures avec des lignes et formes
Je traverse une magnifique région de simples et des couleurs fortes. Il
montagnes. La nuit, je dors dans une était le chef du fauvisme. Les gens
cabane. C’est formidable ! Je suis très trouvent qu’il est un des peintres les
content de mon voyage. Un seul plus importants du 20e siècle. Comme
problème : . La peinture, il a fait La Danse et La
température peut descendre à -13°C, Femme au chapeau.
mais il y a aussi de belles journées * simplifier : 단순화하다 * peinture : 그림
de soleil. * fauvisme : 야수파 * peintre : 화가
* région : 지역 * cabane : 산장
① 프랑스 북부지방 출신이다.
① Il fait beau ② 20세기의 매우 중요한 화가이다.
② Il fait doux ③ 그의 그림은 선과 형태가 단순하다.
③ Il y a du soleil ④ Gustave Moreau에게 그림을 가르쳤다.
④ Il fait trop froid ⑤ 작품으로「춤」과「모자를 쓴 여인」이
⑤ Il y a du vent frais 있다.

EBS 수능특강 프랑스어 I • 53 • 06강 Comme il fait beau !


9 대화에서 언급하고 있는 작품은? 11 빈칸 (a), (b)에 들어갈 말로 알맞은 것은?
A : C’est quoi ? A : Tu connais (a) garçon à côté
B : Tu ne connais pas ce tableau ? de Wang Li ?
C’est Bonjour Monsieur Courbet. B : Oui, bien sûr. C’est Tom.
A : Il y a trois personnes. A : Il vient d’où ?
Qui est Monsieur Courbet ? B : Il est (b) États-Unis.
B : C’est l’homme à droite. C’est un Il est américain.
e
grand peintre français du 19 siècle.
(a)  (b) (a)  (b)
* tableau : 그림 * peintre : 화가
① le de ② le du
① ② ③ le des ④ un des
⑤ un de l’

③ ④

12 빈칸 (a), (b)에 들어갈 말로 알맞은 것은?


A : Regarde ! Aujourd’hui, c’est viande
et glace ! Génial !
B : Moi, je n’aime pas la viande.
10 문장 표현이 옳은 것만을 있는 대로 고른 것은? A : Viens, j’ai faim ! Moi, j’adore la
a. Il est un chanteur. glace (a) fraise. C’est trop bon !
b. Le bébé ne boit que du lait. B : Moi, je déteste (b) glaces !
c. Elle a besoin d’un pull chaud. (a)  (b) (a)  (b)
d. La Terre tourne autour de Soleil. ① au les ② à la les
① a, c ② b, c ③ b, d ③ du aux ④ à la des
④ a, b, d ⑤ a, c, d ⑤ de la des

EBS 수능특강 프랑스어 I • 54 • 06강 Comme il fait beau !


07 C’est là-bas.
학습목표 l 장소, 방향, 거리, 길을 묻고 답할 수 있다.
l 프랑스 문학작품을 알아보고 작가와 작품을 이해할 수 있다.
l 동사, 조동사, 대명동사의 사용을 이해하고 어법에 맞게 활용할 수 있다.

1. 장소 말하기

La vendeuse : Bonjour, monsieur ! Je peux vous aider ?


Le client : Bonjour ! Est-ce que vous avez des guides touristiques sur la Suisse ?
La vendeuse : Oui, c’est là-bas, au fond du magasin.
Le client : Merci, madame.
(...)
Le client : Excusez-moi, mais je ne peux pas les trouver.
La vendeuse : Vraiment ? Je vais regarder.
Les voilà, à côté des livres de cuisine.
Le client : Ah ! C’est au rayon cuisine !
* touristique : 관광의 * fond : 안쪽, 깊숙한 곳 * rayon : 매장, 코너

어휘 풀이

• guide : m. 안내서, 가이드 • vraiment : 정말로, 실제로


• Suisse : f. 스위스 • regarder : 바라보다
• là-bas : 저기에 • côté (à côté de) : m. 옆 (~ 옆에)
• magasin : m. 가게, 상점 • cuisine : f. 요리, 주방
• trouver : 발견하다, 찾아내다

표현 연구

1. Je peux vous aider ? : 도와드릴까요?

2. C’est là-bas, au fond du magasin. : 그것은 저쪽, 가게 안쪽에 있습니다.


au fond de : ~의 안쪽에, ~의 깊숙한 곳에

3. Je ne peux pas les trouver. : 나는 그것을 찾을 수가 없습니다.


les는 직접목적보어로 les guides touristiques sur la Suisse를 받고 있다.

4. Les voilà, à côté des livres de cuisine. : 여기, 요리책 옆에 있습니다.


voilà +명사 : (사람・물건의 제시) 여기(저기)에 ~이 있습니다
à côté de ~ : ~의 옆에 (à droite de ~ : ~의 우측에, à gauche de ~ : ~의 좌측에)

EBS 수능특강 프랑스어 I • 55 • 07강 C’est là-bas.


본문 해석

판매원 : 안녕하세요! 도와드릴까요?


손 님 : 안녕하세요! 스위스 가이드북 있나요?
판매원 : 예. 저쪽, 가게 안쪽에 있어요.
손 님 : 감사합니다.
(...)
손 님 : 죄송합니다만, 못 찾겠는데요.
판매원 : 그래요? 제가 볼게요.
여기, 요리책 옆에 있습니다.
손 님 : 아, 요리코너에 있군요.

문화 프랑스 문학

프랑스 문학의 특징은 그들의 국민성에서 비롯된다. 투철한 대화 정신을 바탕으로 이치를 따지기
좋아해 담론・비판을 즐기는 기질, 앙드레 지드가 지적했듯이 논리를 진리보다도 사랑하는 성향은
데카르트적인 사고의 합리성과 문체의 명석함을 낳아 조화로운 형식의 극치라 할 수 있는 고전
주의 문학을 싹트게 했다. 뿐만 아니라 모든 세기에 걸쳐 활발한 문학이론 논쟁을 통해 다양한
비평문학을 꽃피게 함으로써 프랑스 문학이 세계문학에서 새로운 사조를 이끌어내는 기수 노릇을
도맡아왔다. 이를테면 모순이나 갈등의 해결에 있어 대화를 통한 절도와 균형을 존중하는 가장
현실주의적인 문학이다. 현실주의적이라는 말은 인간의 조건에 충실하다는 뜻에서 인간적이라는
말과도 통한다. 즉 천사도 악마도 아닌 인간의 한계에 대한 인식에서 인간을 이해하려는 것이
문학이라면, 그러한 문명으로서의 문학을 높이 평가하는 국민 기질이 프랑스 문학의 풍성함을
낳았다.

의사소통 기본 표현

장소 Où est ma robe ? 내 드레스(원피스) 어디 있어?


말하기 - Elle est dans ta chambre. - 네 방에 있어.
방향 La gare Montparnasse est au sud de Montparnasse 역은 Paris의 남쪽에 있다.
말하기 Paris.
거리
L’école est à 2 km de la maison. 학교는 집에서 2킬로미터 떨어져 있다.
말하기
Où est la gare, s’il vous plaît ? 실례지만, 기차역이 어디 있나요?
- Allez tout droit et tournez à gauche. - 곧장 가다가 왼쪽으로 도세요.
길 묻고
Pour aller à la station de métro, 지하철역으로 가려고 하는데요?
알려주기
s’il vous plaît ?
- Prenez la première rue à droite. - 오른쪽 첫 번째 길로 가세요.

EBS 수능특강 프랑스어 I • 56 • 07강 C’est là-bas.


2. 길 묻고 알려주기
Anaïs : Pardon, monsieur. Vous savez où est le musée Rodin ?
Un passant : Oui, vous y allez à pied ?
Anaïs : Oui, c’est loin d’ici ?
Un passant : Non, ce n’est pas loin. C’est à 500 m.
En sortant d’ici, vous prenez la rue tout de suite à droite.
Vous marchez jusqu’au carrefour. Là, vous tournez à droite et vous continuez
environ sur 200 mètres. Le musée est sur votre gauche. Voilà.
Anaïs : Merci beaucoup monsieur ! Au revoir !
Un passant : Au revoir, madame !
* carrefour : 교차로 * environ : 대략, 약

어휘 풀이
• savoir : 알다 • marcher : 걷다, 나아가다
• musée : m. 박물관 • jusque (jusqu’à) : ~까지
• pied (à pied) : m. 발 (걸어서) • là : 거기, 거기에(서)
• loin (de) : (~로부터) 먼, 멀리 • tourner : (방향을) 바꾸다, (길을) 돌다
• ici : 여기에 • continuer : 계속하다
• sortir (de) : (~로부터) 나가다 • mètre : m. 미터
• prendre : (길・방향을) 접어들다 • gauche : f. 왼쪽
• suite (tout de suite) : f. 연속 (즉시, 곧) • voilà : ~라는 말입니다 (이야기의 마무리)
• droite : f. 오른쪽

표현 연구

1. Vous savez où est le musée Rodin ? : 로댕 박물관이 어디에 있는지 아세요?


savoir +간접의문문 : ~ 인지 알다

2. Vous y allez à pied ? : 걸어서 가시게요?


à pied : 걸어서, en +교통수단(taxi, bus, métro, train...) : ~을 타고

3. C’est à 500 m. : 그곳은 500미터 거리에 있습니다.

4. En sortant d’ici : 여기서 나가셔서


en sortant (제롱디프) : 동시성(~하면서)의 의미

5. 길 안내할 때 사용되는 표현
prendre la rue à droite(gauche) : 우(좌)측 길로 들어가다 / marcher jusqu’à ~ : ~까지 걸어가다
tourner à droite(gauche) : 우(좌)측으로 돌다 / continuer : 계속 가다

EBS 수능특강 프랑스어 I • 57 • 07강 C’est là-bas.


본문 해석

Anaïs : 실례합니다. 로댕 박물관이 어디에 있는지 아세요?


행 인 : 예, 걸어 가실건가요?
Anaïs : 예, 여기서 먼가요?
행 인 : 아니요, 멀진 않아요. 500m 거리에 있어요.
여기서 나가셔서, 곧장 우측 길로 들어가서 교차로까지 가세요. 거기서 우측으로
들어가셔서 대략 200미터 정도 계속 가시면 됩니다. 박물관은 당신의 좌측에 있습니다.
Anaïs : 감사합니다. 안녕히 가세요!
행 인 : 안녕히 가세요, 부인!

문화 20세기 프랑스 문학 작가와 작품

Marcel Proust (1871.07.10.~1922.11.18.)


20세기 전반의 소설 중 질과 양적인 면에서 최고로 평가되는『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 À la recherche du temps perdu』(1913∼1928)의 작가이다. 이 작품의
제1권『스완네 집 쪽으로 Du Côté de chez Swann』는 1911년경에 대체로 완성
을 보았으나 출판사를 구하지 못하여 1913년에 자비로 겨우 출판되었다. 제1차
세계대전의 영향으로 제2권『꽃피는 아가씨들의 그늘에 À l’Ombre des jeunes
filles en fleurs』는 1918년에 발간되어 이듬해에 공쿠르상을 수상하였다. Proust
는 이 외에 2권의 문집, 10여 권의 서간집과 미발표 원고를 남겼다.

Jean-Paul Sartre (1905.06.21.~1980.04.15.)


프랑스의 작가이자 사상가. 철학논문『존재와 무 L’Être et le Néant』(1943)는
무신론적 실존주의의 입장에서 전개한 존재론을 다룬 중요한 작업이었고, 세계적
으로 보아도 제2차 세계대전의 중반 이후에 걸친 그 시대의 사조를 대표하는 웅
대한 금자탑이라고 할 수 있는 역작이다. 사르트르의 발자취는 이른바 ‘사회참여’
사상으로 일관해왔으나, 1940년대부터 1950년대에 걸쳐 개인주의적인 실존주
의에 의한 사회참여의 한계를 인정하게 되었다. 1964년 노벨문학상 수상을 거부
하였다.

EBS 수능특강 프랑스어 I • 58 • 07강 C’est là-bas.


수능 문법 포인트

I. 동사 현재변화 : 1군, 2군 동사(규칙 변화)와 3군 동사(불규칙 변화)로 구분된다.


1군 동사(-er) 2군 동사(-ir) 3군 동사
je -e -is -s, -x
tu -es -is -s, -x
il / elle / on -e -it -d / -t
nous -ons -issons -ons
vous -ez -issez -ez
ils / elles -ent -issent -ent

1. 1군 동사 : 동사원형이 -er로 끝나고 어미가 규칙적으로 변화하는 동사


donner (주다) 동사 현재변화
je donne nous donnons
tu donnes vous donnez
il / elle / on donne ils / elles donnent
1군 변칙 동사 : 동사 변화할 때 어간의 철자에 변화가 생기는 동사
acheter manger préférer envoyer payer
(사다) (먹다) (더 좋아하다) (보내다) (지불하다)
je(j’) achète mange préfère envoie paye / paie
tu achètes manges préfères envoies payes / paies
il / elle / on achète mange préfère envoie paye / paie
nous achetons mangeons préférons envoyons payons
vous achetez mangez préférez envoyez payez
ils / elles achètent mangent préfèrent envoient payent / paient

2. 2군 동사 : 동사원형이 -ir로 끝나고 어미가 규칙적으로 변화하는 동사


réussir (성공하다) 동사 현재변화
je réussis nous réussissons
tu réussis vous réussissez
il / elle / on réussit ils / elles réussissent

3. 3군 동사 : 동사원형의 형태가 다양하고 어미변화가 불규칙한 동사


être (이다, 있다) avoir (가지다) faire (하다) aller (가다) pouvoir (할 수 있다)
je(j’) suis ai fais vais peux
tu es as fais vas peux
il / elle / on est a fait va peut
nous sommes avons faisons [ə] allons pouvons
vous êtes avez faites allez pouvez
ils / elles sont ont font vont peuvent

EBS 수능특강 프랑스어 I • 59 • 07강 C’est là-bas.


II. 조동사와 준조동사
1. 조동사 : 복합시제를 구성하는 동사로, avoir와 être 동사가 있다.
Elle a suivi cette rue. 그녀는 이 길을 따라 갔다.
Il est revenu de l’école. 그가 학교에서 돌아왔다.

2. 준조동사 : 동사원형 앞에 놓여 시제, 가능성, 희망, 의무 등의 의미를 나타낸다.


Je viens de lui parler. 내가 조금 전에 그에게 말했다.
Qui peut le savoir ? 누가 그것을 알 수 있겠는가?
Il veut acheter cette voiture. 그는 이 차를 사고 싶어 한다.
Sa fille sait lire et écrire. 그의 딸은 읽고 쓸 줄 안다.
Que devons-nous faire ? 우리는 무엇을 해야 하나요?

III. 대명동사 : 주어와 같은 인칭의 재귀대명사를 동반하는 동사를 말한다.


1. 형태
se moquer (놀리다) 동사 현재변화
je me moque nous nous moquons
tu te moques vous vous moquez
il / elle / on se moque ils / elles se moquent

2. 용법
(1) 재귀적인 대명동사 : 주어의 행동이 자신에게로 돌아오는 의미를 지닌 동사
Il s’habille en noir. 그는 검은 옷을 입는다.
Je me lave à l’eau froide. 나는 찬물로 씻는다.

(2) 상호적인 대명동사 : 주어의 행동이 상대방과 상호적으로 연계되는 동사


On se blesse l’un l’autre. 우리는 서로 감정을 상하게 한다.

(3) 수동적인 대명동사 : 수동적인 의미를 갖는 동사


Les fruits se vendent à la pièce. 과일은 낱개로 팔린다.

(4) 본질적인 대명동사 : 항상 대명동사 형태로만 쓰이거나 본동사와 다른 의미로 쓰이는 동사


Je me souviens de son prix. 나는 그것의 가격이 기억난다.
Elle s’occupe de mes enfants. 그녀가 내 아이들을 돌본다.

자주 사용되는 대명동사로는 se réveiller (잠에서 깨다), se lever (일어나다), s’asseoir (앉다),


se servir (사용하다), s’ennuyer (지루하다), se dépêcher (서두르다), se promener (산책하다),
se trouver (있다), se rappeler (기억하다) 등이 있다.

EBS 수능특강 프랑스어 I • 60 • 07강 C’est là-bas.


∙ 정답과 해설 13 ~ 14 쪽

1 밑줄 친 부분과 발음이 같은 것은? 3 빈칸에 들어갈 말로 알맞은 것은?


A : Excusez-moi, madame.
?
B : Tournez à gauche et continuez sur
100 mètres.
A : Merci, madame.
B : Je vous en prie.

① Je le connais mieux. ① Vous êtes d’ici


② Vous allez tout droit. ② Où est la station de métro
③ C’est un billet de train. ③ Vous faites quoi dans la vie
④ De quel pays êtes-vous ? ④ Pouvez-vous fermer la porte
⑤ Nous faisons des études à Nice. ⑤ Quand est-ce que vous partez

4 대화의 내용으로 보아 A가 가고자 하는 곳은?


A : Pardon, monsieur ! Pour aller à la
poste, s’il vous plaît ?
B : D’abord, vous allez tout droit et
2 표지판의 빈칸에 들어갈 말로 알맞은 것은? puis prenez la deuxième rue à
gauche. C’est sur votre gauche.
A : Merci beaucoup !

(a) (c)
(b)

(d) (e)


A
① AIMER ② TENIR
③ BLESSER ④ TOURNER ① (a) ② (b) ③ (c)
⑤ DÉCOUVRIR ④ (d) ⑤ (e)

EBS 수능특강 프랑스어 I • 61 • 07강 C’est là-bas.


5 빈칸에 들어갈 말로 알맞은 것은? 7 빈칸에 들어갈 말로 알맞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Dans l’école)
A : Paul, tu es libre ce soir ? A : Pardon madame, je cherche la rue
B : Oui, pourquoi ? Victor Hugo.
A : Il y a une petite soirée à 6 h chez B : Désolée, .
moi. Tu peux venir ? A : Bien. Merci madame, au revoir.
B : Avec plaisir ! <보 기>
Mais c’est loin d’ici ? a. aucune idée b. j’en viens
A : Non, . c. je ne suis pas du quartier

① j’en viens ① a ② a, b ③ a, c
② tourne à droite ④ b, c ⑤ a, b, c
③ on n’arrive pas à l’heure
④ c’est à 5 minutes de l’école
⑤ ce n’est pas près de la gare

8 글의 내용으로 보아 ‘Molière’에 대해 알 수
없는 것은?

Molière est un des auteurs français


6 대화의 내용으로 보아 Strasbourg의 위치로 de comédies les plus connus du 17ᵉ
알맞은 것은? siècle. Son vrai nom est Jean-
A : Où est Strasbourg ? Baptiste Poquelin. Il est né en 1622
B : C’est dans le Grand-Est. C’est le dans une maison près du Pont-Neuf,
centre économique et culturel de au centre de Paris. Quand il était
l’Alsace. C’est une ville au nord-est petit, son grand-père le conduisait
de la France. souvent au théâtre. À l’âge de
A : Ah, je connais cette ville grâce au dix-neuf ans, son père lui demande
roman La dernière classe d’Alphonse de travailler avec lui. Mais il ne
Daudet. s’intéresse pas au métier de son
* économique : 경제의 * culturel : 문화의 père. Chaque après-midi, il va voir
* roman : 소설 des pièces de théâtre.
* auteur : 작가, 저자
* comédie : 희곡, 희극
① (a)
② (b) ① Paris에서 태어났다.
③ (c) ② 연극 공연 관람을 좋아했다.
④ (d) ③ 본명은 Jean-Baptiste Poquelin이다.
⑤ (e) ④ 19살에 아버지와 같은 일을 시작했다.
⑤ 어릴 때 할아버지와 자주 극장에 갔다.

EBS 수능특강 프랑스어 I • 62 • 07강 C’est là-bas.


9 소설 ‘적과 흑’에 관한 글이다. 글의 내용과 일치 11 빈칸 (a), (b)에 들어갈 말로 알맞은 것은?
하지 않는 것은?
A : Le train (a) partir.
Le Rouge et le Noir Qu’est-ce qu’on (b) faire ?
est un roman écrit B : Ne vous inquiétez pas ! Dans 20
par Stendhal. On l’a minutes, il y a un autre train.
publié pour la
(a) (b)
première fois à Paris
① veut vient
chez Levasseur, le
② vient va
13 novembre 1830. C’est son deuxième
③ allait peut
roman, après Armance. Le roman est
④ est allé veut
en deux parties : la première partie
⑤ vient de doit
commence par l’entrée de Julien Sorel
chez les Rênal ; la seconde partie porte
sur sa vie à Paris comme secrétaire du
marquis de La Mole.
* roman : 소설 * publier : 출판(발행)하다
* marquis : 후작

① Stendhal의 처녀작이다.
② 1830년에 첫 출판이 되었다.
③ 소설의 후반부는 Paris가 배경이다.
④『적과 흑』소설은 2부로 구성되어 있다.
⑤ Rênal 씨 가족과의 삶이 소설의 전반부에
해당한다.

10 문장 표현이 옳은 것만을 있는 대로 고른 12 문장 표현이 옳은 것만을 있는 대로 고른


것은? 것은?

a. Il en veut acheter. a. Il s’occupe à son étude.


b. Je viens du prendre. b. Elle se sert de sa voiture.
c. Pourquoi faut-il le faire ? c. Je lave les mains avant le repas.
① a ② c ③ a, b ① a ② c ③ a, b
④ b, c ⑤ a, b, c ④ b, c ⑤ a, b, c

EBS 수능특강 프랑스어 I • 63 • 07강 C’est là-bas.


08 Où allez-vous ?
학습목표 l 행선지 및 교통수단과 관련한 표현을 활용할 수 있다.
l 프랑스의 사회보장제도(출산, 육아 정책)를 이해할 수 있다.
l 지각동사, 사역동사, 방임동사를 올바르게 사용할 수 있다.

1. 행선지 말하기

Francine : Bonjour.
Le chauffeur : Bonjour, madame. Vous allez où ?
Francine : À la Gare du Nord, s’il vous plaît.
Le chauffeur : Très bien, madame.
Francine : Il faut combien de temps pour y aller ?
Le chauffeur : Ça dépend.
Francine : J’ai un train à 16 h 45.
Le chauffeur : Si tout va bien, on va y être dans un quart d’heure.
Francine : D’accord.
* chauffeur : 운전자 * dépendre : ~에 달려 있다

어휘 풀이

• gare : f. (기차의) 정거장, 역 • train : m. 열차


• nord : m. 북쪽 • tout(e) : 모든, 모든 것, 모든 사람
• falloir : 필요하다 • aller : (일이) 잘 진행되다, 가다
• combien : 얼마만큼, 얼마나 • quart : m. 4분의 1, 15분
• temps : m. 시간, 날씨

표현 연구

1. 행선지 말하기 표현
Où allez-vous en mai ? 오월에 어디 가세요?
- Je vais à Londres. - 런던에 가요.

2. 소요 시간을 묻는 표현
Il faut combien de temps pour y aller ? 그곳까지 가는 데는 시간이 얼마나 걸립니까?
= Ça prend combien de temps pour y aller ?

3. 실현 가능한 가정
‘si +직설법 현재, 직설법 현재[명령법]’ : 만약 ~하다면, ~하다[하라]
Si ça marche bien, on va y être dans un quart d’heure.
길이 안 막히면, 15분 후면 도착합니다.
Si tu veux réussir, fais de ton mieux. 성공하고 싶으면, 최선을 다해라.

EBS 수능특강 프랑스어 I • 64 • 08강 Où allez-vous ?


본문 해석

Francine : 안녕하세요.
운전기사 : 안녕하세요, 부인, 어디로 모실까요?
Francine : Gare du Nord로 부탁해요.
운전기사 : 잘 알겠습니다, 부인.
Francine : 거기 가려면 얼마나 시간이 걸릴까요?
운전기사 : 상황에 따라 달라요.
Francine : 16시 45분에 열차를 타야 해요.
운전기사 : 막히지 않으면 15분 후면 도착합니다.
Francine : 좋아요.

문화 프랑스의 출산 장려 제도

프랑스는 국민들의 출산·육아를 효율적으로 지원하기 위해 ‘국립가족


수당기금(CNAF)’이라는 별도의 정부기관을 두는 등 출산·육아 관련
사회보장정책에 온 힘을 기울이고 있다. 이는 출산이 개인적인 문
제가 아니라 사회적인 문제라는 것을 제대로 인식한 결과에서 나온
것이다.
프랑스의 출산 장려 제도는 다음과 같은 바탕 위에서 잘 운영되고
있다.
• 아이는 여성이 낳지만 사회가 함께 키운다는 것으로 패러다임을
전환
• 가부장제에서 남녀의 가사분담 문화로 전환
• 출산 장려를 위해 마련된 풍부한 복지 기금
• 여성 일자리의 안정성을 뒷받침하는 탁아소제도
(출처: http://droit-finances.commentcamarche.net)

의사소통 기본 표현

행선지 Où allez-vous cet été ? 이번 여름에 어디 가세요?


말하기 - Je vais à Lyon. - Lyon에 가요.

Vous y allez comment ? 거기에 어떻게 가세요?


교통수단
- J’y vais à pied / à vélo / en train / en - 걸어서 / 자전거로 / 기차로 / 버스로/
말하기
bus / en voiture / en métro / en avion. 자동차로 / 지하철로 / 비행기로 가요.

EBS 수능특강 프랑스어 I • 65 • 08강 Où allez-vous ?


2. 교통수단 말하기

Sébine : Excusez-moi, comment est-ce que je peux aller à la tour Eiffel ?


Le passant : Vous pouvez y aller en bus ou en métro.
Sébine : Je préfère le métro.
Le passant : Alors pour y aller en métro, d’abord, prenez la ligne 5 en direction
de la Place d’Italie. Ensuite, changez à la Gare d’Austerlitz et puis,
prenez le RER, ligne C en direction de Saint-Quentin-en-Yvelines.
Enfin, descendez à la station Champ de Mars–Tour Eiffel.
Sébine : Ça prend combien de temps pour y aller ?
Le passant : À peu près 40 minutes.
Sébine : Merci beaucoup.
Le passant : Bonne visite. Au revoir !
* RER : 수도권 고속 전철(Réseau express régional)

어휘 풀이

• tour : f. 탑 m. 회전 • changer : 갈아타다, 바꾸다


• bus : m. 버스 • puis : 그러고 나서, 그 후에
• métro : m. 지하철 • enfin : 마침내, 결국
• d’abord : 우선, 먼저 • descendre : 내리다
• prendre : 타다, 사다, 가져가다 • station : f. 정거장, 지하철역
• ligne : f. 줄, 노선 • visite : f. 방문
• direction : f. 방향

표현 연구

1. 교통수단 말하기 표현
En bus ou en métro ? 버스로 혹은 지하철로 가시겠어요?
Je n’aime pas aller à Paris en voiture. 나는 자동차 타고 Paris에 가고 싶지 않다.

2. 지하철 이용 표현
prendre le métro, ligne 5 : 지하철 5호선을 타다
changer à la station ~ : ~역에서 갈아타다
descendre à la station ~ : ~역에서 내리다
en direction de(= dans la direction de) ~ : ~의 방향으로, ~행

3. à peu près : 거의, 대략


Ça prend à peu près 40 minutes. 대략 40분 정도 걸립니다.

EBS 수능특강 프랑스어 I • 66 • 08강 Où allez-vous ?


본문 해석

Sébine : 실례지만 Eiffel 탑에 가려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


행 인 : 거기에 버스나 지하철로 갈 수 있어요.
Sébine : 저는 지하철을 더 좋아해요.
행 인 : 자, 거기를 지하철로 가려면, 우선, Place d’Italie 방향으로 가는 지하철 5호선을
타세요. 그 다음에 Gare d’Austerlitz에서 Saint-Quentin-en-Yvelines 방향으로
가는 RER C호선으로 갈아타세요. 마지막으로 Champ de Mars–Tour Eiffel 역에서
내리면 됩니다.
Sébine : 거기 가려면 시간이 얼마나 걸리나요?
행 인 : 대략 40분 정도요.
Sébine : 매우 감사합니다.
행 인 : 구경 잘 하세요. 안녕히 가세요!

문화 프랑스의 출산과 육아 정책

프랑스의 출산과 육아 정책은 파격적이고 다양하다. 프랑스에서는 사회보장 기여금의 2/3를 기업이
부담하고, 가족지원 정책에 GDP 대비 3.8%의 예산을 쏟아 붓는다.
1. 가족 수당(allocations familiales)은 아이가 태어나기 이전부터 출산,
보육, 취학 등 자녀 양육에 필요한 거의 모든 시점에 맞춰 지급된다.
2. 신생아 출생, 입양 수당이 지급된다.
3. 신생아 기본 수당 : 자녀가 태어나서 3살이 될 때까지 국가에서 지원
한다.
4. 가족수당을 자녀의 수에 따라 차등지급한다. 16세 이하의 자녀가
두 명 이하인 경우, 2017년 기준 매달 129.86유로, 3자녀는 매달
296.24유로, 4자녀는 매달 462.62유로, 이후 자녀가 추가될
때마다 매달 166.38유로를 모든 가정에 매달 지급한다.
5. 집단적 보육정책 : 프랑스의 보육서비스는 모든 계층의 부모와
아동을 위한다는 것이 원칙이다.
6. 3세 미만의 아동 중 13%는 공인 가정 위탁소에서 돌본다.
7. 육아휴직 및 출산휴가 : 육아휴직은 3년까지 보장되며, 매달 보
조금을 받는다. 출산휴가는 자녀 두 명까지는 16주, 세 명부터는 26주를 보장한다.
8. 대가족 카드 : 세 자녀 이상인 경우 대가족 카드가 발급되어 각종 혜택이 주어진다.
(출처: http://droit-finances.commentcamarche.net,
『파리 다이어리-정착』,(HURRYTOR, 리디북스, 2017)

EBS 수능특강 프랑스어 I • 67 • 08강 Où allez-vous ?


수능 문법 포인트

1. 지각동사 voir, regarder, écouter, entendre


지각동사는 뒤에 부정법이 따라오는 구조를 취할 수 있다. 이때 부정법의 의미상의 주어인 목적보
어의 위치는 방임동사 laisser와 같이 부정법의 앞과 뒤가 모두 가능하다.
Je vois venir mon frère. = Je vois mon frère venir.
나는 동생이 오는 것을 본다.
Saïd écoute tomber la pluie. = Saïd écoute la pluie tomber.
Saïd는 비가 내리는 소리에 귀를 기울인다.
Mia regarde l’oiseau chanter. = Mia regarde chanter l’oiseau.
Mia는 새가 노래하는 것을 바라본다.
부정법이 타동사일 경우 지각동사 바로 뒤에 위치해야 한다.
Ils entendent leurs enfants chanter la Marseillaise.
그들은 그들의 아이들이 la Marseillaise를 노래하는 것을 듣는다.

2. 방임동사 laisser
laisser 동사 뒤에 부정법이 따라 올 때 laisser는 ‘~하게 내버려 두다’의 뜻으로 방임동사 역할을
한다. faire 사역동사 구문과 어순에서 차이가 있다.
(1) 목적보어가 부정법의 의미상의 주어인 경우 : 두 가지 어순이 모두 가능

laisser +목적보어 +부정법 / laisser +부정법 +목적보어

Il laisse sortir ses enfants. (○) 그는 아이들이 나가도록 내버려 둔다.


Il laisse ses enfants sortir. (○) ☞ 사역동사 faire 구문과 다른 점이다.
(2) 목적보어가 부정법의 의미상의 목적보어인 경우
laisser +의미상의 주어+부정법(타동사) +목적보어
laisser +부정법(타동사) +목적보어 +à / par +의미상의 주어

Il laisse son élève chanter la chanson. (○) 그는 학생이 그 노래를 부르도록 내버려 둔다.
Il laisse chanter la chanson à son frère. (○)
Il laisse chanter la chanson par son frère. (○)

3. 사역동사 faire
faire 동사는 뒤에 부정법을 동반할 때 ‘~하게 하다’의 뜻으로 사역동사 역할을 한다. 이때 faire
동사 뒤에 오는 동사의 특성에 따라 문장구조는 달라진다.
(1) 목적보어가 부정법의 의미상의 주어인 경우 : 보어가 부정법 앞에 위치할 수 없다.
faire +부정법 +목적보어
Rosa fait venir sa sœur. (○) Rosa는 언니를 오게 한다.
Rosa fait sa sœur venir. (×)

EBS 수능특강 프랑스어 I • 68 • 08강 Où allez-vous ?


(2) 목적보어가 부정법의 의미상의 목적보어인 경우

faire +부정법(타동사) +목적보어 +(à / par +부정법의 의미상의 주어)

Le professeur fait chanter une chanson. (○) 선생님은 노래를 부르게 한다.
Léa fait rendre le livre à son fils. (○) Léa는 아들로 하여금 그 책을 돌려주도록 한다.
Léa fait rendre le livre par son fils. (○)
Léa lui fait rendre le livre. (○)
☞ 사역동사와 부정법 사이에는 어떤 경우에도 부정법의 목적보어대명사가 들어갈 수 없다.

4. 동사 구문
(1) être +형용사

bon(ne) / mauvais(e) en ~에 능숙하다 / 서투르다


fort(e) en ~에 강하다
certain(e) de ~을 확신하다
content(e) de ~에 만족하다, 기쁘다
désolé(e) de ~을[에] 미안해하다, 유감이다
être +
différent(e) de ~와 다르다
enchanté(e) de ~에 기쁘다, 반갑다
plein(e) de ~로 가득 차다
sûr(e) de ~을 확신하다
prêt(e) à / pour +inf. ~할 준비가 되다

Manon est forte en maths. Manon은 수학에 강하다.


Sébastien est content de sa voiture. Sébastien은 자기 차에 만족한다.
Le jardin est plein de fleurs. 그 정원은 꽃이 가득하다.
Je suis prêt à sortir. 나는 외출할 준비가 되어 있다.

(2) avoir

faim / soif 배고프다 / 목마르다


raison / tort 옳다 / 틀리다
chaud / froid 덥다 / 춥다
avoir +
peur (de) 두렵다
besoin de ~이 필요하다
envie de ~하고 싶다

J’ai besoin de votre aide. 당신의 도움이 필요합니다.


Les enfants ont souvent faim. 아이들은 자주 배고파한다.
Mon frère a envie de sortir ce soir. 내 동생은 오늘 저녁 외출하고 싶어 한다.

EBS 수능특강 프랑스어 I • 69 • 08강 Où allez-vous ?


∙ 정답과 해설 15 ~ 16 쪽

1 받아쓰기가 올바르게 된 문장을 있는 대로 3 빈칸에 들어갈 말로 알맞은 것은?


고른 것은?
A : Papa, c’est un beau temps pour
faire du sport.
a. Mon fils a 8 ans. ?
b. Elle va à la farmacie. B : C’est une bonne idée.
c. Je voudrais un bifteck. A : Je suis prête.
d. Il fait un temps manifique. B : N’oublie pas de prendre ton
casque et tes lunettes de soleil !
① a ② a, c
* casque : (보호용) 헬멧
③ b, d ④ b, c, d
⑤ a, b, c, d ① Si on allait au marché à pied
② On va visiter le château en bus
③ Nous pouvons voyager en métro
④ On peut aller faire un tour à vélo
⑤ Nous partons en vacances en avion

4 대화의 내용으로 보아 알 수 없는 것은?


A : Bonjour monsieur. Le premier TGV
Paris-Bordeaux est à quelle heure,
s’il vous plaît ?
B : À 7 heures du matin.
Quel jour voulez-vous partir ?
A : Demain.
2 빈칸에 공통으로 들어갈 말로 알맞은 것은? B : En quelle classe ?
◦ Le temps est ici. A : En seconde, s’il vous plaît.
◦ Paul est comme l’œil. ① A는 Paris에 거주한다.
◦ Sylvie ne voyage pas à ses . ② A는 내일 출발하려 한다.
① doux ② gros ③ A는 2등석 표를 사려 한다.
③ frais ④ joyeux ④ A는 TGV를 이용할 계획이다.
⑤ mauvais ⑤ Bordeaux행 첫 열차는 오전 7시에 있다.

EBS 수능특강 프랑스어 I • 70 • 08강 Où allez-vous ?


5 빈칸에 들어갈 말로 알맞은 것은? 7 빈칸에 들어갈 말로 알맞은 것은?
A : Penses-tu voyager cet été ? A : Tiens, salut Étienne.
B : Oui, je pense aller en Provence en B : Salut, Pierre.
août. A: ?
A: ? B : Je vais à la maison,
B : En train. A : D’où viens-tu ?
A : Tes parents y vont-ils aussi ? B : Je viens du cinéma Gaumont.
B : Non, ils vont aller à l’étranger.
① Où vas-tu
① Tu vas où ② D’où es-tu
② Tu y vas quand ③ Où habites-tu
③ Pourquoi tu y vas ④ Comment es-tu
④ Avec qui tu y vas ⑤ Comment vas-tu
⑤ Tu y vas comment

8 대화의 중심 내용으로 알맞은 것은?


A : Les enfants ne
dorment pas avec
6 대화의 내용과 일치하지 않는 것은? leurs parents en
A : Excusez-moi, monsieur. France.
Pour aller à l’église Saint-Jean ? B : Ah bon ? En Corée, les enfants
B : Vous êtes en voiture ? dorment avec leurs parents.
A : Non, je suis à pied. A : En France, un enfant a son propre
B : C’est un peu loin. Il faut prendre lit et souvent sa propre chambre.
le bus. Vous pouvez prendre le B : Comment peut-on savoir s’il pleure ?
numéro 11. Vous descendez place A : Les parents utilisent un appareil
de l’Église et vous êtes arrivé. pour entendre l’enfant quand il
A : Merci beaucoup. pleure.
* propre : 자기 자신의
① A는 자동차로 이동 중이 아니다.
② Saint-Jean 교회는 가까이 있다. ① 프랑스의 유치원
③ A는 Saint-Jean 교회에 가고자 한다. ② 프랑스의 어린이집
④ Saint-Jean 교회는 Église 광장에 있다. ③ 프랑스의 가족 수당
⑤ 11번 버스를 타면 Saint-Jean 교회에 ④ 프랑스의 육아 방식
갈 수 있다. ⑤ 프랑스의 학교 급식

EBS 수능특강 프랑스어 I • 71 • 08강 Où allez-vous ?


9 다가족 카드에 대한 글이다. 글의 내용과 일치 11 문장 표현이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하지 않는 것은? 대로 고른 것은?

En France, vous pouvez demander une <보 기>


a. Laisse-moi regarder le film !
carte « famille nombreuse » si votre
b. Paul fait ses enfants chanter.
famille compte au moins trois enfants
c. Luc regarde les élèves sortir.
de moins de dix-huit ans. La carte «
d. Rosa lui fait rendre les livres.
famille nombreuse » vous permet de
voyager moins cher en train et ① a, d ② b, c
d’entrer moins cher dans les musées ③ b, d ④ a, b, c
et les cinémas. ⑤ a, c, d

* nombreux : 많은 수로 구성된, 수많은

① 비행기표 할인이 된다.


② 기차 여행에 할인이 된다.
③ 박물관과 영화관에서 할인된다.
④ 3명 이상 자녀가 있으면 발급 가능하다.
⑤ 자녀가 18세 미만인 경우에만 포함된다.
12 빈칸에 들어갈 말로 알맞은 것만을 <보기>
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A : Si on allait au concert de Stromae


ce vendredi ?
B : Bonne idée.
A : Je vais réserver deux places de
concert.
B : Mais qui va s’occuper des enfants ?
A : Je vais faire garder les enfants
Marie.
B : D’accord.
10 문장 표현이 옳지 않은 것은?
<보 기>
① Aïcha est prête à partir. (

a. à b. en c. par d. dans
② Manon est forte en maths.
③ Le jardin est plein de fleurs. ① a, c ② b, d
④ Sébastien est envie de sortir. ③ b, d ④ a, b, c
⑤ Lina est contente de sa voiture. ⑤ a, c, d

EBS 수능특강 프랑스어 I • 72 • 08강 Où allez-vous ?


09 Quelle heure est-il ?
학습목표 l 시간, 요일, 날짜를 묻고 답할 수 있다.
l 프랑스의 지형과 지역 및 주요 도시를 이해할 수 있다.
l 부정의 표현을 이해하고 활용할 수 있다.

1. 시간 말하기

Chloé : Tu as l’heure, s’il te plaît ?


Paul : Huit heures et demie.
Chloé : Et à Moscou, quelle heure est-il ?
Paul : Il est dix heures et demie, je crois.
Chloé : Alors, je vais appeler Julien. C’est son anniversaire !
Paul : Ah bon ? Téléphone-lui ! Maintenant, il est au bureau.

어휘 풀이

• heure : f. 시간 • appeler : 부르다


• demi(e) : (절)반의 • anniversaire : m. 생일
• quel(le) : 어느, 어떤 • téléphoner : (~에게) 전화하다
• croire : 믿다, 생각하다 • bureau : m. 사무실

표현 연구

1. Tu as l’heure ? : 몇 시야? (= Il est quelle heure ?)

2. (Il est) Huit heures et demie. : 8시 반입니다.


Il est dix heures et quart. 10시 15분입니다.
midi[minuit] et demi. 낮 12시[밤 12시] 반입니다.
six heures moins le quart. 6시 15분 전입니다.

3. Je vais appeler Julien. : Julien에게 전화할거야.


‘aller +부정법’은 ‘~하려고 하다’의 의미로 근접미래를 표현한다.
appeler와 téléphoner 동사는 모두 ‘전화하다’의 의미를 지니고 있지만, ‘appeler qn’,
‘téléphoner à qn’과 같이 서로 다른 형태의 목적보어(대명사)를 취한다.
Je vais l’appeler. (= Je vais lui téléphoner.) 나는 그(그녀)에게 전화할 것이다.

4. Téléphone-lui ! : 그에게 전화해!


긍정명령문에서 간접보어대명사 ‘lui’는 동사 뒤에 위치한다. (me, te → moi, toi)
Rendez-moi mon livre. 나에게 내 책을 돌려줘.
Ne leur montre pas tes dessins. 그들에게 너의 그림을 보여주지 마.

EBS 수능특강 프랑스어 I • 73 • 09강 Quelle heure est-il ?


본문 해석

Chloé : 몇 시야?
Paul : 8시 반이야.
Chloé : 그러면, 모스크바는 몇 시지?
Paul : 내 생각으로는 10시 반일거야.
Chloé : 그러면 Julien에게 전화해봐야겠다. 걔 생일이거든.
Paul : 아 그래? 전화해 봐! 지금 사무실에 있을 거야.

문화 프랑스의 지형

프랑스는 약 551,000 km2의 면적으로 서유럽에서 가장


크다. 프랑스의 영토는 크게 북서부의 평야와 남동부의 산
악 지형으로 구분될 수 있다. 평야는 전 국토의 2/3를 차
지하는데, 그 중 파리 분지와 아키텐 분지가 가장 크다.
산악지형으로는 이탈리아·스위스와 국경을 이루는 알프스
산맥(les Alpes), 스페인과 국경을 이루는 피레네 산맥
(les Pyrénées) 이외에도, 서부의 아르모리크 산지(le
Massif armoricain), 동부의 보주 산지(le Massif des
Vosges), 중앙의 중앙 산지(le Massif Central)가 있다.
또한 센 강(la Seine), 루아르 강(la Loire), 가론 강(la
Garonne), 론 강(le Rhône), 라인 강(le Rhin)과 같은 5
개의 큰 강과 수많은 하천들이 있다.

의사소통 기본 표현

시간 Quelle heure est-il ? / Vous avez l’heure ? 몇 시입니까?


말하기 - Il est six heures et demie. - 6시 30분입니다.
Quel jour sommes-nous ? 무슨 요일입니까?
요일 Quel jour est-ce aujourd’hui ? 오늘은 무슨 요일입니까?
말하기 On est quel jour ? - Nous sommes mardi. 무슨 요일입니까? -화요일입니다.
/ C’est samedi. / On est vendredi. / 토요일입니다. / 금요일입니다.
C’est le combien aujourd’hui ? 오늘은 며칠입니까?
날짜
- C’est le 20 mars. - 3월 20일입니다.
말하기
On est le combien ? - On est le 20. 며칠입니까? - 20일입니다.
Cette année, Pâques tombe en mars. 올해 부활절은 3월에 있습니다.
달, 계절
C’est quelle saison à Marseille ? Marseille는 무슨 계절입니까?
말하기
- Nous sommes au printemps. / On est en été. - 봄입니다. / 여름입니다.

EBS 수능특강 프랑스어 I • 74 • 09강 Quelle heure est-il ?


2. 요일 및 날짜 말하기
Jade : Bonjour monsieur, je voudrais des billets pour Rouen, s’il vous plaît.
L’employé : Quand voulez-vous partir ?
Jade : Jeudi prochain, le 18.
L’employé : Voyons. Il y a un TGV à 9 h 10. Et il nous reste des places libres.
Jade : Bon alors, j’en voudrais deux.
L’employé : En première classe ou en seconde ?
Jade : En seconde, s’il vous plaît.

어휘 풀이

• vouloir : 원하다, 바라다 • rester : 남아있다


• billet : m. (철도, 극장) 표, 지폐 • place : f. 좌석
• partir : 출발하다, 떠나다 • libre : (자리가) 비어 있는, 자유로운
• jeudi : m. 목요일 • premier(ère) : 첫째의, 처음의
• prochain(e) : 다음의 • classe : f. 등급, 교실, 수업
• TGV : m. 고속 기차 (Train à Grande Vitesse) • second(e) : 둘째의

표현 연구

1. des billets pour Rouen : Rouen행 기차표


pour는 ‘~행의’, ‘~를 향해서’라는 뜻이다.
Thomas part pour Paris. Thomas는 파리를 향해 떠난다.

2. Quand voulez-vous partir ? : 언제 출발하기를 원하십니까?


= Vous voulez partir quand ?

3. Jeudi prochain, le 18. : 다음 목요일, 18일입니다.


prochain(e)는 ‘가까운, 임박한, 다음’의 뜻으로 쓰이며, 날짜는 정관사와 함께 쓴다.
Le 10 mai prochain, on va au concert. 돌아오는 5월 10일에 우리는 콘서트에 간다.

4. Il nous reste des places libres. : 빈자리는 있습니다.


‘Il reste qc/qn (à qn)’은 ‘(~에게) ~이 남아 있다’는 의미를 지닌 비인칭 구문이다.
Il lui reste encore du temps. 그(그녀)에게는 아직도 시간이 있다.

5. Bon alors, j’en voudrais deux. : 좋아요 그러면, 2장 주세요.(= je voudrais deux billets.)
중성대명사 en은 수나 양을 나타내는 표현과 함께 쓰인 명사를 대신한다.

EBS 수능특강 프랑스어 I • 75 • 09강 Quelle heure est-il ?


본문 해석

Jade : 안녕하세요, Rouen행 기차표 부탁드립니다.


직 원 : 언제 출발하기를 원하십니까?
Jade : 다음 주 목요일, 18일이에요.
직 원 : 자, 봅시다. 9시 10분에 TGV가 있어요. 그리고 좌석은 여유가 있습니다.
Jade : 좋아요 그러면, 2장 주세요.
직 원 : 1등석으로 드릴까요? 아니면 2등석으로 드릴까요?
Jade : 2등석으로 주세요.

문화 프랑스의 지역과 대표 도시

프랑스의 행정구역(2016년 1월 기준)은 18개의 Région


(지방)으로 나뉜다. 이 가운데 13개 지방은 프랑스 본토에
위치하며, 5개 지방은 해외영토에 위치한다. 각 지방은
다시 101개의 Département(도)으로 나뉜다.
주요 도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1. Paris : Île-de-France 지방에 위치하는 프랑스의 수도
로서 프랑스 정치, 경제, 학술, 교통, 문화의 중심지이다. 센
강(La Seine)을 중심으로 좌안과 우안으로 나뉜다.
2. Marseille : Provence-Alpes-Côte d’Azur 지방의 주도로
대도시 무역항이다. 북쪽 해안으로는 석유화학 공업 지
대가 형성되어 있으며, 항구 바깥에는 ‘몽테크리스토 백
작’으로 유명한 이프 성(城)(le château d’If)이 있다.
3. Lyon : 론 강(le Rhône)과 손 강(la Saône)의 합류 지점에 있는 Auvergne-Rhône-Alpes 지방의 주도
로서 여러 위성 도시를 거느린 상업도시이다. 교통 및 금융자본의 중심지이며, 특히 견직물로 유명하다.
4. Strasbourg : Grand-Est 지방의 주도로서 유럽의회의 소재지이며 국제통신 및 유럽 전체 육상・
수상 교통의 중심지이다.
5. Lille : Hauts-de-France 지방의 주도로서 유럽공동체 북쪽 가입국들을 잇는 교통의 요지이며,
직물산업을 위시한 프랑스 북부 공업지대의 중심도시이다.
6. Bordeaux : Nouvelle-Aquitaine 지방의 주도. 프랑스 유수의 농업지대를 이루는 가론 강(la
Garonne)을 끼고 있어 곡류, 채소, 과실 등의 생산이 풍부하고, 포도주는 세계적으로 유명하다.
7. Dijon : Bourgogne-Franche-Comté 지방의 주도. 관광・교통・통신의 중심지로서 프랑스에서
손꼽히는 미술도시이며, 겨자, 식초, 부르고뉴 포도주가 유명하다.
8. Orléans : Centre-Val de Loire의 주도로서 교통의 요충지이며 상업 중심지. 백년전쟁 때 영국
군의 포위를 물리친 잔다르크의 활약으로 유명함. 루아르 강을 경계로 남·북으로 나뉜다.
9. Rennes : Bretagne의 주도로서 1720년 대화재 때 거의 파괴된 이후 재건된 상업도시이다.
10. Rouen : Normandie의 주도로서 로마시대부터 있었던 역사적인 도시이다. 면직물, 제지 공업이
발달해 있으며, 고딕 양식 교회당인 루앙 대성당이 유명하다.

EBS 수능특강 프랑스어 I • 76 • 09강 Quelle heure est-il ?


수능 문법 포인트

I. 부정문
1. 부정문 만드는 법 : 동사나 조동사의 앞에 ne(n’)를, 뒤에 pas를 놓는다.
Tu ne sors pas ce soir ? 너는 오늘 저녁에 외출 안하니?
Je ne veux pas travailler. 나는 일하고 싶지 않아요.
Léa n’est pas partie. Léa는 떠나지 않았다.
Théo ne se lève pas avant 7 heures. Théo는 7시 전에는 일어나지 않는다.
단, 부정법에 대한 부정은 ne pas를 부정법 앞에 놓는다.
Ne pas prendre de photos. 사진 촬영 금지.
Nous avons décidé de ne pas accepter. 우리는 수락하지 않기로 결정하였다.

2. 부정의 de : 부정문에서 직접목적보어의 부정관사나 부분관사는 de로 바뀐다.


Désolée, je n’ai pas mis de sucre ! 미안해요, 제가 설탕을 안 넣었어요!
Fabrice n’a pas d’examens demain. Fabrice는 내일 시험이 없어요.

Ⅱ. 부정의 표현
1. ne ~ pas du tout : 전혀 ~하지 않다 (부정을 강조할 경우)
Elle ne travaille pas du tout. 그녀는 전혀 일을 하지 않는다.

2. ne ~ jamais : 결코 ~하지 않다
Tu vas souvent au concert ? 콘서트에 자주 가니?
- Non, je n’y vais jamais. - 아니, 난 전혀 안가.

3. ne ~ plus : 더 이상 ~하지 않다
Il pleut encore ? 아직도 비가 오나요?
- Non, il ne pleut plus. - 아니요, 더 이상은 안 옵니다.

4. ne ~ pas encore : 아직 ~하지 않다


Les invités sont déjà arrivés ? 손님들이 벌써 도착했나요?
- Non, ils ne sont pas encore arrivés. - 아니요, 아직 도착하지 않았어요.

5. ne ~ ni ~ ni : ~도 ~도 아니다 (= ne ~ pas ~ ni )
Ce garçon ne sait ni lire ni écrire. 이 소년은 읽을 줄도, 쓸 줄도 모른다.
Gabriel n’aime ni la pluie ni la neige. Gabriel은 비도, 눈도 안 좋아한다.
직접목적보어 앞에 붙는 부정관사나 부분관사는 생략되지만, ‘ne ~ pas ~ ni’ 구문에서는
부정의 de를 사용한다.
Lola ne prend ni viande ni poisson. Lola는 고기도, 생선도 먹지 않는다.
Lola ne prend pas de viande ni de poisson. Lola는 고기도, 생선도 먹지 않는다.

EBS 수능특강 프랑스어 I • 77 • 09강 Quelle heure est-il ?


6. ne ~ personne : 아무도 ~하지 않는다
Il ne croit personne. 그는 아무도 믿지 않는다.
Personne ne m’attend. 아무도 나를 기다리지 않는다.
Je n’ai vu personne. 나는 아무도 보지 못했다.

7. ne ~ rien : 아무 것도 ~하지 않는다


Je ne mange rien. 나는 아무 것도 먹지 않는다.
Rien ne le change. 아무 것도 그 사람을 바꿀 수는 없다.

부정법과 함께 놓일 때는 그 앞에 오고, 복합시제에서는 조동사와 과거분사 사이에 놓인다.


Qu’est-ce que tu bois ? 너 뭐 마실래?
- Je n’ai pas soif. Je ne vais rien prendre. - 난 목마르지 않아. 아무 것도 안 마실게.
Qu’est-ce que tu dis ? 너 무슨 말 하는 거니?
- Je n’ai rien dit. - 난 아무 말도 안 했어.

8. ne ~ aucun(e) : 어떠한 ~도 ~ 아니다


Il n’y avait aucun blessé. 부상자는 아무도 없었다.

9. sans + 명사 / 부정법 : ~ 없이 / ~ 함이 없이
Votre café, avec ou sans sucre ? 커피에 설탕을 타시겠어요? 안타시겠어요?
Partons sans plus attendre. 더 이상 기다리지 말고 떠납시다.

10. non plus : ~도 또한(~이 아니다)


Je ne sais pas, et lui non plus. 나도 모르는데, 그 사람도 역시 모른다.

si : (부정 물음에 대한 긍정의 답) 아니요(그렇습니다)


Inès n’est pas française ? Inès가 프랑스인 아닌가요?
- Mais si. - 아니요 (프랑스인이에요).

rien / personne / aucun(e)은 부정문에서 pas를 사용하지 않으나, plus나 jamais와는 함께


쓸 수 있다.
Il n’y a plus rien à boire. 마실 것이 이젠 하나도 없다.
Il n’y a plus personne. 이젠 아무도 없다.
Je n’ai plus aucune nouvelle de sa part. 이젠 그 여자에게서 소식이 없다.

ne ~ que 는 ‘오직( seulement)’의 뜻으로 긍정적인 의미이다. 따라서 이 표현 다음에 오는


목적보어의 부정관사나 부분관사는 de로 바뀌지 않는다.
Je n’ai qu’un livre. 나는 책이 한 권밖에 없다.
Il ne boit que de l’eau. 그는 물만 마신다.
Elle ne pense qu’à son avenir. 그녀는 자신의 미래만 생각한다.
Elle ne pense pas qu’à son avenir. 그녀는 자신의 미래만 생각하는 것이 아니다.

EBS 수능특강 프랑스어 I • 78 • 09강 Quelle heure est-il ?


∙ 정답과 해설 17 ~ 18 쪽

1 밑줄 친 부분과 같은 발음이 들어 있는 낱말은? 3 빈칸에 들어갈 말로 알맞은 것은?


A : Je prends le TGV pour aller
travailler.
① quai B : Tous les jours ?
② blanc A : Non, c’est seulement trois jours
③ leçon par semaine.
④ seconde B : Ces jours-là, ?
⑤ décembre A : Très tôt. À 6 h.

① tu vas bien
② tu as l’heure
* e-mail : 이메일 ③ on est quel jour
④ quel temps fait-il
⑤ tu pars à quelle heure

2 빈칸 (a), (b), (c)에 들어갈 말로 알맞은 것은?


Bonjour ! Vous écoutez Zoop
4 도서관 안내문이다. 글의 내용과 일치하는 것은?
Radio, c’est l’heure de « Tous
en forme » ! Vous aimez aller
La bibliothèque de Pélussin est
(a) Internet ? Vous adorez
ouverte tous les jours de 9 h 30 à
les chats ? Vous jouez (b)
12 h 30 et le mercredi après-midi
ligne avec vos copains ?
de 14 h à 18 h. Un dimanche par
Alors, vous passez des heures
mois, nous sommes ouverts en
(c) l’ordinateur, n’est-ce
journée continue.
pas ?
① Elle ouvre à 9 h le matin.
(a) (b) (c) ② Elle est ouverte tous les matins.
① en en sur ③ Elle ferme seulement le samedi.
② en par avant ④ Un dimanche sur deux elle est
③ par pour devant fermée.
④ sur en devant ⑤ Le mercredi elle est ouverte à l’heure
⑤ sur par avant du déjeuner.

EBS 수능특강 프랑스어 I • 79 • 09강 Quelle heure est-il ?


5 Claire의 하루 일과이다. 내용으로 알 수 있는 7 빈칸에 들어갈 말을 <보기>에서 찾아 순서대로
것은? 바르게 배열한 것은?

Bonjour ! Je suis Claire. À sept heures, A : J’espère que tu vas pouvoir venir
je me réveille mais je reste au lit à ma fête aujourd’hui !
quinze minutes de plus. Après, je B : Oui, moi aussi.
m’habille en cinq minutes. Avant le A : À partir de 17 heures, je pense.
petit déjeuner, je prépare mon sac.
Quand je pars au collège, il est huit B : Je ne sais pas.
heures moins vingt. À midi, je <보 기>
déjeune à la cantine. L’après-midi, à a. Ça va ?
cinq heures quand j’arrive à la b. Il est quelle heure ?
maison, je prends mon goûter. c. C’est à quelle heure ?

① 5분 만에 샤워를 끝낸다. ① a-b-c ② a-c-b ③ b-a–c


② 간식을 먹고 나서 숙제를 한다. ④ b-c-a ⑤ c-a–b
③ 학교에 도착하는 데 20분 걸린다.
④ 잠에서 깬 다음 즉시 일어나지 않는다.
⑤ 점심 식사 시간은 12시부터 1시까지이다.
8 Marseille를 소개하는 글이다. 내용으로 알 수
있는 것은?

Marseille
Ayez à la fois le plaisir de
la mer et celui d’une belle
ville. Découvrez ses petites rues.
Visitez le château d’If et la plage
du Prado. Et le soir, dînez dans
un restaurant pour y goûter la
6 빈칸에 들어갈 말로 알맞은 것은? bouillabaisse, une spécialité de la
ville. C’est un plat de fruits de
A : C’est bientôt Noël, n’est-ce pas ?
mer et de poissons. Prenez du
B : Oui, cette anné ?
bon temps à Marseille !
A : Attends. Je vais chercher.
C’est un lundi.
* spécialité : 대표 음식
B : Super ! Ça va être un long week-end.
① 좁은 골목길은 항구 쪽에 많다.
① quel temps fait-il ② If 성(城)은 가장 높은 곳에 위치한다.
② tu y vas quel jour ③ 요리법이 특별한 음식이 발달되어 있다.
③ ça tombe quel jour ④ 생선 해산물 요리가 대표적인 음식이다.
④ quelle saison tu préfères ⑤ Prado 해변 주변에는 향토 음식 전문
⑤ tu restes combien de jours 식당이 많다.

EBS 수능특강 프랑스어 I • 80 • 09강 Quelle heure est-il ?


9 글의 내용으로 알 수 있는 것은? 11 문장의 표현이 옳은 것만을 있는 대로 고른
것은?
En France, les montagnes anciennes ne
sont pas très hautes. C’est un paysage a. Il n’y a pas rien à boire.
de hautes collines. On compte le b. Plus personne ne fait ça !
Massif des Vosges à l’est et le Massif c. Ni lui ni toi ne pouvez le dire.
Central au centre. Mais les montagnes d. On ne mange pas que de fruits !
jeunes le sont. Alors l’hiver, les ① a, b ② a, d
Français et beaucoup d’Européens ③ b, c ④ a, c, d
viennent y faire du ski. Ce sont les ⑤ b, c, d
Pyrénées, les Alpes et le Jura.
* paysage : 풍경 * colline : 언덕

① De plus en plus de Français préfèrent


les basses montagnes.
② La France a le plus de montagnes
anciennes en Europe.
③ Il n’y a pas beaucoup de sites pour
les touristes dans le Jura.
④ Des Français partent surtout au Massif
central pour leurs vacances d’hiver.
⑤ Les Pyrénées, les Alpes et le Jura sont
les plus hautes montagnes en France.

10 빈칸에 공통으로 들어갈 말로 알맞은 것은? 12 빈칸에 들어갈 말로 알맞은 것을 <보기>에서


고른 것은?
A : Tu n’as pas de sac ?
B : Non, je l’ai oublié. A : Qui a fait les devoirs ? ?

A : Tu vas devoir étudier stylo. B : Si, moi, madame.

B : Oui, et pouvoir regarder <보 기>


dans le dictionnaire. a. Celui-là b. Rien d’autre
c. Personne d. Aucun élève
① ni ② rien
③ sans ④ aucun ① a, b ② a, c ③ a, d
⑤ autre ④ b, c ⑤ c, d

EBS 수능특강 프랑스어 I • 81 • 09강 Quelle heure est-il ?


10 On se voit où et à quelle heure ?
학습목표 l 약속(시간, 위치, 장소 등)을 정할 수 있다.
l 복합과거 용법을 이해하고 활용할 수 있다.
l 프랑스 음식문화를 이해할 수 있다.

1. 약속 정하기 (1)
Mathieu : Allô ! C’est toi, Mélanie ?
Mélanie : Oui.
Mathieu : C’est Mathieu. Tu es libre ce soir ?
Mélanie : Oui, pourquoi ?
Mathieu : Je vais au cinéma ce soir. Tu veux venir ?
Mélanie : Oui, je veux bien. Alors, on se voit où et à quelle heure ?
Mathieu : À 7 heures et demie devant l’entrée du cinéma, ça te va ?
Mélanie : D’accord ! À ce soir !

어휘 풀이

• allô : 여보세요 • alors : 그러면, 그래서


• libre : 자유로운, 한가한 • se voir : 만나다
• pourquoi : 왜 • heure : f. 시간
• cinéma : m. 영화, 극장 • demi(e) : 반의, 1/2
• vouloir : 원하다 • devant : ~의 앞에
• venir : 오다, 가다 • entrée : f. 입구, 전식

표현 연구

1. Tu es libre ce soir ? : 너 오늘 저녁 시간 있니?


지시형용사 ce(cet) / cette / ces가 시간 관련 명사와 함께 쓰이면 현재 시점을 나타낸다.
ce soir 오늘 저녁 cet été 올 여름 cette année 올 해

2. Alors on se voit où et à quelle heure ? : 그럼 어디서 몇 시에 만날까?


* 대명동사 se voir의 현재변화
je me vois nous nous voyons
tu te vois vous vous voyez
il/elle se voit ils se voient

3. ça te va ? : 그렇게 해도 괜찮겠니?
* aller 동사의 다양한 의미
Tu vas où ? 너 어디 가니? (가다)
Cette robe vous va bien. 이 원피스 당신에게 잘 어울립니다.
Tout va bien. 모든 것이 순조롭다. (진행되다)

EBS 수능특강 프랑스어 I • 82 • 10강 On se voit où et à quelle heure ?


본문 해석

Mathieu : 여보세요! 너, Mélanie니?


Mélanie : 응.
Mathieu : 나 Mathieu야. 너 오늘 저녁 시간 있니?
Mélanie : 응, 왜?
Mathieu : 오늘 저녁 영화관에 가려고. 너도 갈래?
Mélanie : 응, 좋아. 그럼 우리 어디서 몇 시에 볼까?
Mathieu : 7시 반에 영화관 입구 앞에서, 괜찮니?
Mélanie : 좋아! 저녁에 보자!

문화 프랑스와 치즈

‘치즈가 없는 식사는 한 눈 없는 미인과 같다’는 말이 있을 정도로 프랑스의 식탁과 식문화에서


치즈는 빠지지 않는 메뉴이다. 프랑스에서 치즈는 대단히 많이 소비되고 있는데, 1년에 한 사람
이 먹는 치즈 소비량이 평균 25.9kg(2013년)이다. 프랑스에는 400여종이 넘는 치즈가 있으며
요리나 디저트, 와인 안주에까지 폭넓게 사용되고 있다. ( 출처 : 숫자로 보는 유제품 경제, 2015년 판)

카망베르 치즈(camembert) : 프랑스의 노르망디 지방에서 생산되는 부드


러운 치즈이다. 카망베르 마을에서 처음 만들어져 그 이름을 땄다. 신
선할 때에는 부서지기 쉬운 성질을 가지고 있다. 하지만 오래될수록
더욱 물렁물렁해지며 맛이 강해진다. 보통 특유의 향을 즐기기 위해
조리하지 않고 빵 또는 비스킷 위에 얹어 먹는다.

브리 치즈(Brie) : 프랑스 브리 지방의 지명을 딴 젖소의 우유로 만든


부드러운 치즈이다. 1814년 빈 회의 연회 중 열린 유럽 각국의 대표
치즈 경선에서 ‘치즈의 왕(le roi des fromages)’으로 선정되며 국제
적인 유명세를 타게 되었다. 과일과 견과류, 빵을 곁들여 먹으며 샴페
인과 잘 어울린다.

의사소통 기본 표현

약속
Vous êtes libre ce soir ? 오늘 저녁 시간 있나요?
가능한지
On peut se voir samedi après-midi ? 토요일 오후에 만날까요?
묻기

시간 및 On se voit où et à quelle heure ? 어디서 몇 시에 만날까요?


장소 Rendez-vous à six heures au café de 평화 카페에서 6시에 만납시다,
정하기 la Paix, ça vous va ? 괜찮으세요?

EBS 수능특강 프랑스어 I • 83 • 10강 On se voit où et à quelle heure ?


2. 약속 정하기 (2)

Le client : Bonjour, je voudrais prendre rendez-vous avec monsieur Dematte.


La secrétaire : Oui, quand est-ce que vous voulez venir ?
Le client : Cette semaine, c’est possible ?
La secrétaire : Attendez.... Mercredi, c’est possible à 15 heures, ça vous va ?
Le client : Oui, très bien.
La secrétaire : Alors, je vais prendre votre nom.
Le client : Brière.
La secrétaire : Alors, je vous confirme. Monsieur Brière, votre rendez-vous est
mercredi à 15 h avec monsieur Dematte.
Le client : C’est parfait.
* confirmer : 확인하다 * parfait : 완벽한

어휘 풀이

• prendre : 잡다, 찍다, 취하다 • possible : 가능한


• rendez-vous : m. 약속 • attendre : 기다리다
• quand : 언제, ~할 때 • mercredi : m. 수요일
• semaine : f. 주, 일주일 • nom : m. 이름

표현 연구

1. prendre (un) rendez-vous avec qn : ~와 (만나기로) 약속을 하다


Je voudrais prendre rendez-vous avec monsieur Dematte.
Dematte 씨와 약속을 하고 싶습니다.
Je voudrais는 Je veux(vouloir 원하다)의 공손한 표현이다.

2. Quand est-ce que vous voulez venir ? : 언제 오시길 원하시나요?

3. Je vais prendre votre nom. : 그럼 성함을 말씀해 주세요.


= Quel est votre nom ?
= Votre nom, s’il vous plaît.

4. Votre rendez-vous est mercredi à 15 h avec monsieur Dematte. : Dematte 씨와의 약속은
수요일 15시입니다.

EBS 수능특강 프랑스어 I • 84 • 10강 On se voit où et à quelle heure ?


본문 해석

손님 : 안녕하세요, Dematte 씨와 약속을 잡고 싶은데요.


비서 : 네, 언제 오시길 원하시나요?
손님 : 이번 주요, 가능할까요?
비서 : 기다리세요... 수요일 15시에 가능합니다, 괜찮으세요?
손님 : 네, 아주 좋습니다.
비서 : 그럼, 성함을 말씀해 주세요.
손님 : Brière.
비서 : 자, 확인합니다. Brière 씨 수요일 15 시 Dematte 씨와 약속입니다.
손님 : 좋습니다.

문화 프랑스의 전통 음식

Bœuf bourguignon : 부르고뉴 지역의 소박한 가정 요리로 이 지역에서


생산되는 레드 와인에 쇠고기를 넣고 푹 끓인 후 마늘, 양파, 버섯, 부케
가르니(다양한 허브와 향신료를 묶어 만든 다발) 등으로 맛과 향을 더해
만든 스튜이다.

Fondue : 스위스 알프스 지역에서 시작된 음식으로, 한 입 크기로 썬


빵, 고기, 과일을 긴 꼬챙이에 끼워 치즈를 녹인 소스에 찍어먹는 알프스
지역 전통요리이다. fondue라는 이름은 프랑스어로 ‘녹이다’라는 뜻의
‘fondre’에서 유래했다.

Bouillabaisse : 지중해식 생선스튜로 프랑스 Marseille 지방의 전통 요리


이다. Marseille의 어부들이 상품가치가 떨어지거나 팔고 남은 생선을
모아 바닷물을 넣고 끓여 먹던 소박한 음식이었으나 오늘날에는 Marseille
를 비롯한 Provence의 지중해 연안 항구도시의 레스토랑에서 파는 고급
요리가 되었다.

Coq au vin : ‘포도주에 잠긴 수탉’이라는 뜻으로, 냄비에 닭고기와 각종


채소를 썰어 넣은 후 와인을 붓고 장시간 졸여서 포도주 향이 스며들도록
만든 음식이다. Coq au vin은 1607년부터 시작된 음식 문화로, 당시
국왕이었던 앙리 4세 시기 프랑스의 국고 상황이 좋아지고 국민들의 삶이
윤택해지면서 Coq au vin을 즐기는 문화가 생겨났다고 전해진다.

EBS 수능특강 프랑스어 I • 85 • 10강 On se voit où et à quelle heure ?


수능 문법 포인트

I. 복합과거
1. 형태 : 조동사(avoir, être)의 현재 +과거분사(p.p)

2. 용법 : 말하는 순간이나 그 이전에 완료된 일, 과거에 일어난 일, 경험, 행위 등을 나타낸다.


Avez-vous préparé la soirée ? 너희 파티 준비했어?
Ils sont partis pour la France hier matin. 그들은 어제 아침 프랑스로 떠났다.
J’ai vécu deux ans à Avignon. 나는 Avignon에서 2년 살았다.

3. 동사에 따른 조동사의 선택
조동사 해당 동사
avoir être를 조동사로 사용하는 동사를 제외한 동사

장소 이동 aller (가다), venir (오다) , partir (출발하다), arriver (도착하다),


monter (올라가다), descendre (내려오다), entrer (들어가다 / 들어오다),
또는
être rentrer (다시 들어오다), rester (남아있다), retourner (돌아가다),
상태 변화의
passer (지나가다), revenir (다시 오다), sortir (나가다), tomber (떨어지다),
일부 자동사 naître (태어나다), mourir (죽다), devenir (~가 되다)

대명동사 se laver, se lever 등 모든 대명동사

4. 과거분사의 형태
분류 과거분사 형태 해당 동사
1군 동사 -é parler → parlé 모든 1군 동사에 규칙적으로 적용
2군 동사 -i finir → fini 모든 2군 동사에 규칙적으로 적용
-é aller → allé être → été naître → né
-i sortir → sorti partir → parti servir → servi
-s mettre → mis permettre → permis prendre → pris
faire → fait écrire → écrit
-t dire → dit
ouvrir → ouvert mourir → mort
savoir → su lire → lu
3군 동사 pouvoir → pu boire → bu
venir → venu tenir → tenu
voir → vu avoir → eu devoir → dû
-u vivre → vécu connaître → connu
recevoir → reçu vouloir → voulu
plaire → plu pleuvoir → plu
attendre → attendu entendre → entendu
vendre → vendu
rendre → rendu descendre → descendu

EBS 수능특강 프랑스어 I • 86 • 10강 On se voit où et à quelle heure ?


5. 과거분사의 일치
(1) 조동사 être를 사용하는 경우, 과거분사는 주어의 성과 수에 일치시킨다.
Quand est-ce qu’elle est arrivée ? 그녀는 언제 도착했어?
Paul et Léa sont nés le même jour. Paul과 Léa는 같은 날 태어났다.

(2) être를 조동사로 사용하는 동사가 타동사로 쓰이면 조동사를 avoir로 취한다.

동사 예문
Il est rentré tard hier soir. 그는 어제 저녁 늦게 귀가했다.
(r)entrer
Il a rentré sa chemise dans son pantalon. 그는 셔츠를 그의 바지에 넣었다.
Je suis descendu de l’avion. 나는 비행기에서 내렸다.
descendre
J’ai descendu la montagne. 나는 산을 내려왔다.
Il est monté en haut d'une tour. 그는 탑 위로 올라갔다.
monter
Il a monté les marches. 그는 계단을 올라갔다.
Je suis passé chez lui. 나는 그의 집을 들렸다.
passer
J’ai passé l’examen. 나는 시험을 보았다.
Anne est retournée dans son pays. Anne는 그녀의 나라로 돌아갔다.
retourner
Anne a retourné la viande. Anne는 고기를 뒤집었다.
Éric est sorti avec ses amis. Éric은 친구들과 외출했다.
sortir
Éric a sorti des livres de son sac. Éric은 가방에서 책들을 꺼냈다.

(3) 조동사가 avoir일 때, 직접목적보어가 동사 앞에 오면 과거분사는 직접목적보어의 성과 수에


일치시킨다.
Où est Marie ? Tu l’as vue ? Marie 어디 있지? 너 걔 보았니?
Rémi et Léo, tu les as invités à la soirée ? 파티에 Rémi와 Léo 초대했어?

(4) 대명동사의 경우 재귀대명사가 직접목적보어이면 과거분사는 일치시키고, 간접목적보어이면


일치시키지 않는다.
Elle s’est lavée avant de se coucher. 그녀는 자기 전에 씻었다.
Les enfants se sont lavé les mains. 아이들이 손을 씻었다.

혼동하기 쉬운 동사들
Être Avoir
partir (출발하다) quitter (떠나다)
aller (가다), venir (오다) marcher (걷다), courir (달리다)
arriver (도착하다) 등 장소 이동 visiter (방문하다), voyager (여행하다)
rester (머물다), retourner (돌아오다) retourner (뒤집다), tourner (돌다)
naître (태어나다), mourir (죽다) vivre (살다), habiter (거주하다)
J’ai tourné à droite. 나는 오른쪽으로 돌았다.
Il a couru le plus vite. 그가 가장 빨리 달렸다.
Elle a voyagé en Europe pendant un mois. 그녀는 유럽에서 한 달 동안 여행했다.

EBS 수능특강 프랑스어 I • 87 • 10강 On se voit où et à quelle heure ?


∙ 정답과 해설 19 ~ 20 쪽

1 ▢에 들어갈 글자를 모두 조합하여 만들 수 있는 3 빈칸에 들어갈 말로 알맞은 것은?


낱말은?
A : Allô, Cynthia ! C’est Lisa. Écoute !
On a dû te di▢e qu’il fallait réussir Je vais au cours de danse.
▢ans la vie. Moi, je te dis qu’il faut Tu viens avec moi ?
vivre. C’est la plus gra▢de réussite du B: .
m▢nde. A : Alors je passe chez toi, d’accord ?
Jean Giono B : Oui, oui, ça va.
* réussite : 성공
① J’ai rendez-vous
① donc ② long ③ noir ② Oui, je veux bien
④ nord ⑤ tard ③ Désolée, je suis occupée
④ Non, je ne suis pas libre
⑤ Non, je dois aller chez mon oncle

4 공연 포스터의 내용과 일치하지 않는 것은?


Journée de la femme
Mercredi 8 Mars 2017

Rendez-vous
À 15 h 30 au Théâtre des variétés
7 Bd Montmartre
75002 Paris
2 빈칸에 들어갈 말로 알맞은 것은? Métro : Station Grands Boulevards (ligne 8)

A : On se promène ? * veiller : 밤샘하다


Aujourd’hui il fait !
① 공연은 오후에 한다.
B : C’est vrai. L’hiver est fini et voilà
② Simone Veille가 연출한다.
le printemps.
③ 여성의 날을 위한 공연이다.
① doux ② noir ③ froid ④ 공연은 Variétés 극장에서 한다.
④ lourd ⑤ mauvais ⑤ 극장에 전철 8호선으로 갈 수 있다.

EBS 수능특강 프랑스어 I • 88 • 10강 On se voit où et à quelle heure ?


5 빈칸에 들어갈 말로 알맞은 것은? 7 빈칸에 들어갈 말로 알맞은 것은?
A : Rémi, tu vas voir le match de foot

Éric, tu es où ? On se demain soir ?


voit devant le cinéma, B : Oui, et toi ?
non ? A : Moi aussi. On peut y aller ensemble,
si tu veux ?
B : Oui, ?
Attends-moi 5 minutes !
A : À la station de métro, à 5 heures.
B : D’accord !
① Oui, j’arrive. ① tu fais quoi
② Oui, j’y suis. ② tu as l’heure
③ Passe chez moi ! ③ tu es libre à quelle heure
④ Je ne peux plus y aller. ④ la station de métro, c’est où
⑤ Non, ce n’est pas là-bas. ⑤ on se voit où et à quelle heure

6 빈칸에 들어갈 말로 알맞은 것은?

Parents d’Anne Dubois, élève


de la classe 2 en seconde, nous
désirons vous rencontrer pour parler
de notre enfant.

Quand est-ce que nous


pouvons prendre rendez-vous avec
vous ? Nous sommes libres le
mercredi et le vendredi après-midi. 8 빈칸에 들어갈 말로 알맞은 것은?
En attendant votre réponse, En général, au , les
veuillez accepter, Madame Brière, nos Français boivent du café au lait ou
meilleures salutations. du chocolat chaud. Avec ça, ils

* salutation : 인사 mangent un croissant ou du pain,

① Lettre aux parents souvent un morceau de baguette

② Demande de rendez-vous avec du beurre et de la confiture.

③ Invitation chez madame Brière ① dîner ② goûter


④ Réponse pour le rendez-vous ③ dessert ④ plat du jour
⑤ Rendez-vous avec Anne Dubois ⑤ petit déjeuner

EBS 수능특강 프랑스어 I • 89 • 10강 On se voit où et à quelle heure ?


9 대화의 내용과 일치하지 않는 것은? 11 밑줄 친 부분의 표현이 옳지 않은 것은?
A : Les enfants, on est le 2 février. A : Tu étais à Nice le mois dernier ?
On fait des crêpes ? B : Oui, je suis partie pour Nice
B : Oui, maman. (a)
C : On a besoin de farine, de lait, avec ma mère pour une semaine.
d’œufs, de sel et de beurre ? Nous sommes arrivées lundi,
(b)
A : Oui, tu t’en souviens bien !
il faisait beau. Et ensuite,
C : Je vais en manger avec des fruits.
il a plu un peu. Mais l’hôtel
B : Moi, avec du chocolat.
(c)
A : Mais on n’en a pas. Va en acheter !
était bien. On a bien mangé.
B : D’accord ! (d)
* farine : 밀가루
A : Vous êtes bien passées de bonnes
① 집에 초콜릿이 없다. (e)
vacances là-bas !
② 오늘은 2월 2일이다.
③ 엄마와 아이들 사이 대화이다. ① (a) ② (b) ③ (c)
④ 크레이프 만드는 데 계란이 필요하다. ④ (d) ⑤ (e)
⑤ B는 크레이프에 과일을 얹어 먹고자 한다.

12 빈칸 (a), (b)에 들어갈 말로 알맞은 것은?


A : Tu sais ? Jérome et Hélène, ils
(a) au mois de mai.
10 문장 표현이 옳은 것만을 있는 대로 고른 B : Quoi ? Je ne le savais pas.
것은? A : Ils l’ont fait dans une petite
a. Vous vous êtes tous réveillés ? église et ils nous (b)
b. Tu as bien voyagé en Europe ? dans leur nouvelle maison.
c. Il a descendu de la montagne (a) (b)
hier. ① s’ont marié ont invité
d. Nous sommes marchés le long ② se sont marié ont invités
de la Seine. ③ se sont marié sont invités
① a, b ② c, d ③ a, b, c ④ se sont mariés ont invité
④ b, c, d ⑤ a, b, c, d ⑤ se sont mariés ont invités

EBS 수능특강 프랑스어 I • 90 • 10강 On se voit où et à quelle heure ?


11 Allô, Taxis rapides, bonjour !
학습목표 l 전화하기 관련 표현들을 학습하고 상황에 맞게 사용할 수 있다.
l 프랑스의 사회복지제도를 이해할 수 있다.
l 근접미래, 근접과거, 반과거 시제의 용법을 이해하고 정확하게 활용할 수 있다.

1. 전화로 택시 예약하기

Un employé : Allô, Taxis rapides, bonjour !


Collette : Bonjour, monsieur. Je voudrais réserver un taxi pour aller à l’aéroport,
s’il vous plaît.
Un employé : Pour quel jour et pour quelle heure ?
Collette : Pour vendredi 31, à 7 heures du matin.
Un employé : D’accord, madame. Quel est votre numéro de téléphone ?
Collette : C’est le 06 01 03 35 79.
Un employé : Quelle est votre adresse ?
Collette : 18, avenue Victor Hugo.
Un employé : Très bien. Votre numéro de réservation est le J 40 63.
Collette : Merci, monsieur, au revoir.
* réservation : 예약

어휘 풀이

• employé(e) : n. 직원, 사무원 • jour : m. 낮, 날


• allô : 여보세요 • heure : f. 시간
• rapide : 빠른, 신속한 • vendredi : m. 금요일
• vouloir : 원하다 • d’accord : 동감이야, 좋습니다
• réserver : 마련해 놓다, 예약하다 • numéro : m. 번호
• pour : ~을 위하여 • avenue : f. (도시의) 큰 길

표현 연구

1. Je voudrais réserver un taxi pour aller à l’aéroport. : 공항에 가기 위해 택시를 예약하고 싶습니다.
Je voudrais : Je veux(~ 하고 싶다)의 공손한 표현

2. Pour quel jour et pour quelle heure ? : 며칠 몇 시로 예약하시겠습니까?


pour : 예정된 시기를 나타낸다.
C’est pour quand, son départ ? 그(그녀)의 출발이 언제로 예정되어 있어요?
- Pour ce soir. - 오늘 저녁입니다.

3. Quel est votre numéro de téléphone ? : 전화번호가 어떻게 되세요?


C’est le +전화번호. 전화번호 앞에 정관사 le를 사용한다.
C’est le 01 53 08 72 95. 01 53 08 72 95번입니다.

EBS 수능특강 프랑스어 I • 91 • 11강 Allô, Taxis rapides, bonjour !


본문 해석

직 원 : 여보세요, Taxis rapides입니다. 안녕하세요!


Collette : 안녕하세요. 공항에 가기 위해 택시를 예약하고 싶습니다.
직 원 : 며칠 몇 시로 예약하시겠습니까?
Collette : 31일 금요일, 아침 7시예요.
직 원 : 알겠습니다, 부인. 전화번호가 어떻게 되시죠?
Collette : 06 01 03 35 79입니다.
직 원 : 주소는요?
Collette : Victor Hugo 대로 18번지입니다.
직 원 : 잘 알겠습니다. 당신의 예약번호는 J 40 63번입니다.
Collette : 고맙습니다, 안녕히 계세요.

의사소통 기본 표현

번호 Quel est ton numéro de téléphone ? 네 전화번호가 어떻게 되니?


말하기 - C’est le 01 35 80 27 59. - 01 35 80 27 59번이야(입니다).

Allô, c’est bien le 01 62 20 83 56 ? 여보세요, 01 62 20 83 56인가요?


번호 - Désolé, vous avez fait un mauvais - 미안합니다, 전화를 잘못 거셨습니다.
확인하기 numéro.
Je suis bien chez madame Lamour ? (전화상) Lamour 부인 댁인가요?

Je voudrais parler à monsieur Dupont, Dupont 씨와 통화하고 싶습니다.


s’il vous plaît.
대화 상대자 Jean est là ? Jean 있습니까?
요청하기 Je peux parler à monsieur Kim ? Kim 선생님과 통화할 수 있을까요?
- Non, il n’est pas là. Vous voulez - 아니오, 그는 부재중입니다. 메시지를
laisser un message ? 남기시겠습니까?

상대방의
Qui est à l’appareil ?
신원 전화거신 분 누구시죠?
확인하기 C’est de la part de qui ?

기다리라고
Ne quittez pas. Je vous passe Paul. 끊지 마세요. Paul 바꿔드리겠습니다.
하기

EBS 수능특강 프랑스어 I • 92 • 11강 Allô, Taxis rapides, bonjour !


2. 대화 상대자 요청하기
La mère de Léa : Allô, oui ?
Denis : Allô, c’est bien le 03 18 87 62 41 ?
La mère de Léa : Oui, qui demandes-tu ?
Denis : Bonjour, madame. C’est Denis, un copain de Léa.
La mère de Léa : Ah, bonjour, Denis ! Ça va ?
Denis : Oui. Excusez-moi, mais je voudrais parler à Léa, s’il vous plaît.
La mère de Léa : Désolée. Léa n’est pas là, elle est sortie.
Denis : Est-ce que je pourrais laisser un message ? C’est pour la fête.
La mère de Léa : Bien sûr !

어휘 풀이

• demander : 묻다, 요구하다 • sortir : 나가다, 외출하다


• excuser : 용서하다 • pouvoir : 할 수 있다
• parler : 말하다 • laisser : 남기다
• plaire : ~의 마음에 들다 • message : m. 메시지
• désolé(e) : 유감스러운, 애석한, 미안한 • fête : f. 축제

표현 연구

1. C’est bien le 03 18 87 62 41 ? : 03 18 87 62 41번 맞지요?


bien : 바로, 정말 (전화를 제대로 걸었는지 확인하기 위해 사용한다.)
Allô, c’est bien le(je suis bien au) 04 45 53 86 79 ? 여보세요, 04 45 53 86 79번인가요?
Allô ! Bonjour, je suis bien chez madame Martin ? 여보세요 ! 안녕하세요, Martin 부인 댁
맞나요?

2. Qui demandes-tu ? : 누구를 찾니?


demander : (사람・일자리 따위를) 찾다, 구하다, (면담 따위를) 신청하다
Il demande un médecin. 그는 의사와의 면담을 신청한다.
On vous demande. 면회입니다, 당신을 찾는 전화입니다.

3. 부드럽고 공손한 표현을 위해 조건법 현재 사용


Je voudrais parler à Léa, s’il vous plaît. 저 Léa와 통화하고 싶습니다.
Est-ce que je pourrais laisser un message ? 제가 메시지를 남겨도 될까요?

EBS 수능특강 프랑스어 I • 93 • 11강 Allô, Taxis rapides, bonjour !


본문 해석

Léa의 어머니 : 여보세요, 네?


Denis : 여보세요, 03 18 87 62 41번 맞지요?
Léa의 어머니 : 맞아, 누구 찾니?
Denis : 안녕하세요, 아주머니. 저 Léa 친구 Denis예요.
Léa의 어머니 : 아, 안녕, Denis! 잘 지내니?
Denis : 예, 잘 지내요. 죄송한데요, Léa와 통화하고 싶어요.
Léa의 어머니 : 미안해. Léa는 외출해서 없구나.
Denis : 제가 메시지를 남겨도 될까요? 축제에 관한 일이에요.
Léa의 어머니 : 물론이지!

문화 프랑스의 사회복지제도 및 의료 서비스

사회복지제도 : 프랑스는 1945년 샤를 드골(Charles de Gaulle, 1890년~


1970년)의 체제에서 전면적인 사회보장제도가 채택되어 모든 국민이
의료보험, 퇴직연금, 가족수당 등의 혜택을 받고 있다. 1945년 10월 4일
사회보장 설치령에 따르면, 사회보장(Sécurité sociale)은 ‘모든 상황에서
개인이 품위 있는 삶을 영위하는 데 필요한 수단을 가질 수 있도록 보장’
하는 것이라고 규정되었다. 사회복지 기금은 모든 소득에서 징수하는
확대 사회 보호세로 충당되며 프랑스 거주 모든 외국인들도 사회보장
혜택을 받을 수 있다.

의료보험카드 : 프랑스에는 우리나라 건강보험증에 해당하는 보험카드(la carte


vitale)가 있다. 신용 카드 크기로 초록색으로 만들어졌고 16세 이상의 프랑
스인과 프랑스 거주 외국인은 누구나 소유할 수 있다.

응급 의료 서비스
1. SOS médecins은 위급한 환자가 야간에 발생하는 경우, 또는 환자를 병원
으로 이송하기 어려운 경우, 의사가 환자를 방문하여 진찰하는 서비스이다.
2. SAMU (Service d’Aide Médicale d’Urgence)는 프랑스의 응급 의료서비
스를 맡고 있는 기관이다. ‘달리는 종합 병원’이라는 별명답게 응급 환자를
병원으로 옮기는 역할에 그치지 않고 구급차 안에서 종합 병원과 비슷한
수준의 진료 및 치료가 이루어진다.

프랑스의 유용한 전화번호 : SOS médecins은 36 24번, 프랑스의 응급의료


서비스(SAMU)는 15번, 경찰서는 17번, 소방서는 18번이다.

EBS 수능특강 프랑스어 I • 94 • 11강 Allô, Taxis rapides, bonjour !


수능 문법 포인트

I. 근접미래 : 가까운 미래의 사실을 가리킨다. 시간 표현과 함께 좀 먼 미래를 가리키기도 한다.


1. 형태 : aller + inf.
Aujourd’hui, il va pleuvoir. 오늘 비가 올 거다.
je vais nous allons
Je vais acheter un portable. 나는 곧 휴대전화를 살 거야.
tu vas vous allez
Mon oncle va partir en France dans deux jours.
il / elle va ils / elles vont
나의 삼촌은 2일 후에 프랑스로 떠날 것이다.
2. aller + inf. : ‘~하러 가다’로도 쓰이므로 문맥이나 상황에 따라 의미를 파악해야 한다.
Je vais voir un film. 나는 영화를 보러 간다. / 볼 것이다.
Il va chercher son client à l’aéroport. 그는 공항에 고객을 데리러 간다. / 데리러 갈 것이다.
3. aller의 반과거 + inf. : 과거에서의 근접미래를 의미한다.
Elle allait partir quand nous sommes arrivés. 그녀가 출발하려는 참에 우리가 도착했다.

II. 근접과거 : 가까운 과거 사실을 표현한다.


1. 형태 : venir de + inf.
Chloé est arrivée ? Chloé 왔니?
je viens nous venons
- Oui, elle vient d’arriver. - 응, 조금 전에 왔어.
tu viens vous venez
Tu lui as parlé ? 너 그(녀)에게 말했니?
il/elle vient ils/elles viennent
- Oui, je viens de lui parler. - 응, 방금 전에 말했어.
2. ‘venir + inf.’는 ‘~하러 오다’라는 의미이다.
Venez nous aider. 오셔서 우리를 도와주세요.
3. venir의 반과거 + de + inf. : 과거에서의 근접과거를 의미한다.
Quand ils sont arrivés, le train venait de partir. 그들이 도착했을 때, 기차가 막 떠났다.

III. 반과거
1. 형태 : 1인칭 복수(nous)의 현재어간 +반과거 어미(-ais, -ais, -ait, -ions, -iez, -aient)
부정법 nous의 현재변화형 반과거 어간 예문
Avant, nous jouions au tennis le lundi.
jouer nous jouons jou
예전에, 우리는 월요일마다 테니스를 쳤다.
Elle choisissait une cravate pour son mari.
choisir nous choisissons choisiss
그녀는 남편에게 줄 넥타이를 고르고 있었다.
Il avait une moto.
avoir nous avons av
그는 오토바이를 한 대 가지고 있었다.
Après la classe, on faisait du théâtre.
faire nous faisons fais [fəz]
방과 후에, 우리는 연극을 하곤 했다.
être nous sommes ét (예외) Ce n’était pas facile. 그것은 쉽지 않았다.

EBS 수능특강 프랑스어 I • 95 • 11강 Allô, Taxis rapides, bonjour !


2. 용법
(1) 과거의 상태나 지속적인 동작을 나타낸다.
Nous habitions aux États-Unis. 우리는 미국에 살고 있었다.
Les enfants couraient dans un parc. 아이들이 공원에서 뛰어다니고 있었다.
(2) 과거의 습관적 또는 반복적 행위를 나타낸다.
Quand Léa était petite, elle faisait du piano avec sa copine chaque mercredi.
Léa는 어렸을 때 수요일마다 친구와 피아노를 쳤다.
En ce temps-là, nous allions à l’église tous les dimanches.
그 당시에 우리는 일요일마다 교회에 갔다.
(3) 과거의 순간적 또는 계속적 행위와 동시에 이루어진 행위를 나타낸다.
Quand nous sommes sortis de chez nous, les gens se promenaient dans la rue et
les voitures passaient.
우리가 집에서 나갔을 때, 사람들이 길에서 산책하고 있었고 자동차들이 지나가고 있었다.
Ma fille dansait en écoutant de la musique quand je suis rentrée.
내가 귀가 했을 때 나의 딸은 음악을 들으며 춤추고 있었다.
(4) si와 함께 쓰여 제안의 의미를 나타낸다.
Si on allait voir un film français ce soir ?
우리 오늘 저녁 프랑스 영화 한 편 보러 갈까?
Si nous prenions plus le temps de jouer avec nos enfants ?
우리 아이들과 함께 놀아줄 시간을 좀 더 내는 게 어때요?

3. 복합과거와 반과거의 차이 :
(1) 반과거는 지속적인 행위 즉 상태, 묘사, 습관 등을 나타낸다면, 복합과거는 사건, 일시적 행위를
나타낸다.
Nathan nageait quand son père est arrivé à la piscine.
그의 아버지가 수영장에 도착했을 때 Nathan은 수영하고 있었다.
Avant, je n’avais pas de voiture. Un jour, j’ai acheté une voiture. J’ai beaucoup voyagé
depuis ce jour-là.
전에 나는 자동차가 없었다. 어느 날 자동차를 한 대 샀다. 그날 이후로 나는 여행을 많이
다녔다.
(2) 반과거는 기간이 막연한 경우에 사용하고 복합과거는 시작과 끝이 분명한 경우에 사용한다.
Quand Paul et Jean étaient petits, ils lisaient des livres à la bibliothèque.
Paul과 Jean이 어렸을 때, 그들은 도서관에서 책을 읽곤 했다.
Christophe a été joueur de foot entre 2002 et 2008. Et en ce temps-là, il était très
heureux.
Christophe는 2002과 2008년 사이에 축구선수였다. 그 당시에 그는 매우 행복했다.

EBS 수능특강 프랑스어 I • 96 • 11강 Allô, Taxis rapides, bonjour !


∙ 정답과 해설 21 ~ 22 쪽

1 밑줄 친 부분과 같은 발음이 있는 낱말은? 3 빈칸에 들어갈 말로 알맞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① rue
A : Allô ? ?
② œuf
B : Désolé, vous avez fait un mauvais
③ sympa
numéro.
④ couleur
J’ai eu mon bac ! ⑤ histoire
A : Oh, pardon !
B : Je vous en prie.
<보 기>
a. C’est de la part de qui
b. C’est bien le 02 25 17 30 94
c. Je suis bien chez monsieur Duval
d. Est-ce que Léo est là, s’il vous plaît

① a, d ② c, d ③ a, b, c
④ b, c, d ⑤ a, b, c, d

4 빈칸에 들어갈 말로 알맞은 것은?

A : Allô ? Bonsoir, madame.


Est-ce que je peux parler à Félix ?
B : Ah ! Bonsoir, Hugo. C’est dommage,

2 빈칸에 공통으로 들어갈 말로 알맞은 것은? il est sorti il y a cinq minutes.


?
A : Alors, quoi avons-nous besoin ? A : Non, merci. Ce n’est pas la peine.
B : Il nous faut trois ordinateurs, et il Je vais le rappeler.
faut aussi ouvrir un site Internet. ① Qui est là
A : Tu as raison. Je vais téléphoner à ② Tu vas l’appeler
Hugo. Il a promis nous aider. ③ Qui répond au téléphone
① à ② de ③ par ④ Tu as le numéro de Félix

④ avec ⑤ pour ⑤ Tu veux laisser un message

EBS 수능특강 프랑스어 I • 97 • 11강 Allô, Taxis rapides, bonjour !


5 빈칸에 들어갈 말로 알맞은 것은? 7 빈칸에 들어갈 말로 알맞은 것은?
A : Allô ? C’est toi, Rose ? A : Allô ? C’est bien le 01 46 52 03 71 ?
B : Non, c’est sa mère. Je voudrais parler à Mme Rodin.
? C’est Mme Durand.
A : Excusez-moi, madame. B : Bonjour madame, c’est son mari.
C’est Antoine, un ami de Rose.
Elle est là, s’il vous plaît ? Je vous la passe.
B : Oui, elle est là. Ne quitte pas.
① Ne quittez pas.
① C’est Antoine ② C’est dommage.
② Qui attendez-vous ③ Qui demandez-vous ?
③ Qui est à l’appareil ④ Non, elle n’est pas là.
④ Vous pourriez répéter ⑤ Rappelez-la, s’il vous plaît !
⑤ Tu m’entends très mal

8 글의 중심내용으로 알맞은 것은?


6 빈칸에 들어갈 말로 알맞은 것을 <보기>에서
찾아 순서대로 바르게 배열한 것은?

A : Oui, allô ?
B : Bonjour, madame !

A:
Je peux prendre un message ? Avant, les Français allaient souvent
B : Oui, je suis Julien, un copain chez leur médecin. Mais de plus en plus,
d’université. Est-ce que Léo peut les Français se soignent eux-mêmes.
me rappeler sur mon portable ? Ils ne vont plus aussi souvent chez le
A: médecin. Surtout quand ils ont mal à
B : Oui ! la tête, ils achètent des médicaments à
<보 기> la pharmacie sans aller chez le médecin.
a. Il a votre numéro ? ① 음식조절의 중요성
b. Je suis désolée, il vient de sortir. ② 의사처방의 의무화
c. Est-ce que je pourrais parler à Léo ? ③ 반려 동물 관리 방법
① a-b-c ② a-c-b ③ b-a-c ④ 건강관리 방식의 변화
④ b-c-a ⑤ c-b-a ⑤ 규칙적인 운동의 필요성

EBS 수능특강 프랑스어 I • 98 • 11강 Allô, Taxis rapides, bonjour !


9 빈칸에 들어갈 말로 알맞은 것은? 11 빈칸 (a), (b)에 들어갈 말로 알맞은 것은?
Quand il y a un gros problème, Il (a)
? Son manteau de pluie
Parce qu’il (b)
- On vous a volé votre voiture.
Et il est parti
Appelez le 17.
Sous la pluie
- Il y a le feu dans votre immeuble.
* manteau : 외투, 망토
Appelez le 18. (Jacques Prévert의 Déjeuner du matin 중에서)
- Vous observez un accident et des
(a)  (b)
personnes sont blessées.
① met pleut
Appelez le 15 ou le 18.
② a mis a plu
* voler : 훔치다
③ a mis pleuvait
① que dire ④ va mettre va pleuvoir
② que faire ⑤ va mettre vient de pleuvoir
③ qui chante
④ quoi de neuf
⑤ qui commence

10 밑줄 친 부분이 옳지 않은 것은? 12 빈칸에 들어갈 말로 알맞은 것만을 <보기>


C’était jeudi, et il y avait beaucoup 에서 고른 것은?
(a) (b)
A : Joëlle n’est pas encore arrivée ?
de monde chez Maxime. Vers 22
B : Si, .
heures, deux hommes sont entrés.
Elle est dans sa chambre.
(c)
Ils ont assis à une table réservée. <보 기>
(d) a. elle arrivait
Ils ont mangé avec beaucoup d’appétit. b. elle va arriver
(e) c. elle est arrivée
* vers : ~경, 무렵 d. elle vient d’arriver

① (a) ② (b) ③ (c) ① a, b ② a, c ③ a, d


④ (d) ⑤ (e) ④ b, c ⑤ c, d

EBS 수능특강 프랑스어 I • 99 • 11강 Allô, Taxis rapides, bonjour !


12 Je voudrais un gâteau.
학습목표 l 물건을 구매할 때 사용하는 표현들을 활용할 수 있다.
l 프랑스인들의 여가 활동 및 바캉스 문화를 이해할 수 있다.
l 의문문의 용법을 이해하고 상황에 맞게 의문사를 활용할 수 있다.

1. 물건사기

(Charlotte est dans une boulangerie.)


Le vendeur : Bonjour, madame !
Charlotte : Bonjour, monsieur ! Je voudrais un gâteau d’anniversaire pour ma mère.
Le vendeur : Qu’est-ce qu’elle préfère comme gâteau ?
Charlotte : Elle adore le chocolat.
Le vendeur : Alors, prenez ce gâteau au chocolat, il est très bon !
Charlotte : Oh, il me plaît beaucoup ! Je vais le prendre, monsieur.
Vous avez des bougies ?
Le vendeur : Oui. Combien de bougies d’anniversaire vous faut-il ?
Charlotte : Cinquante-trois, s’il vous plaît.
* bougie : 초, 양초

어휘 풀이

• boulangerie : f. 빵가게, 빵집 • chocolat : m. 초콜릿


• gâteau : m. 케이크, 과자 • bon(ne) : 좋은, 맛있는
• anniversaire : m. 생일 • plaire : ~의 마음에 들다
• mère : f. 어머니 • combien (de) : (수량이) 얼마만큼, 얼마나
• préférer : 선호하다 • falloir (+명사) : 필요하다
• adorer : 매우 좋아하다

표현 연구

1. Qu’est-ce qu’elle préfère comme gâteau ? : 그녀는 어떤 케이크를 선호하세요?


comme +무관사 명사 : ~로(서)
Qu’est-ce que vous aimez comme sport ? 운동으로 무엇을 좋아하세요?

2. Il me plaît beaucoup ! : 그것은 무척 제 마음에 드네요!


plaire à +사람 : ~의 마음에 들다

3. Combien de bougies d’anniversaire vous faut-il ? : 생일초가 몇 개나 필요하세요?


Il +간·목(vous) + faut +직·목(combien de bougies d’anniversaire) : ~에게 ~이 필요하다
combien de +무관사 명사 : 얼마만큼, 얼마나 (수량을 묻는 표현)

EBS 수능특강 프랑스어 I • 100 • 12강 Je voudrais un gâteau.


본문 해석

(Charlotte는 빵집에 있다.)


판 매 원 : 안녕하세요, 부인!
Charlotte : 안녕하세요! 제 어머니를 위한 생일 케이크를 원하는데요.
판 매 원 : 그녀는 어떤 케이크를 선호하세요?
Charlotte : 그녀는 초콜릿을 무척 좋아하세요.
판 매 원 : 그러면, 이 초콜릿 케이크를 사세요, 아주 맛있어요.
Charlotte : 오, 무척 제 마음에 드네요! 그것을 살게요. 생일 초는 파시나요?
판 매 원 : 예. 생일 초는 몇 개 필요하세요?
Charlotte : 53개 주세요.

문화 파리 해변(Paris Plage)에서의 여름휴가

여름은 프랑스인들에게 바캉스의 계절이다. 매해 7~8월이면 파리 시민


들은 바캉스를 떠나고 파리는 관광객들로 가득 찬다. 그러나 최근에는
어려운 경제난으로 인해 휴가를 떠나지 못하는 사람들이 많아졌다. 이
들의 일상에 즐거움을 주기 위해 2002년 파리 시장에 의해 센 강변에
인공해변을 설치하는 ‘Paris Plage’가 기획되었다. 여기서 제공하는
다양한 무료 문화 프로그램과 놀이 공간, 쉼터 등은 바캉스를 떠나지
못한 파리 시민들과 파리 관광객들에게 바캉스 기분을 즐길 수 있게
해준다.

의사소통 기본 표현

Je voudrais un kilo de pommes. 사과 1킬로 주세요.


물건 요청
Un carnet, s’il vous plaît. 카르네(승차권 10장 묶음) 하나 주세요.
Ça coûte combien ? 얼마입니까?
가격 묻기
C’est combien (le kilo) ? (킬로에) 얼마입니까?

Ça fait combien ? 얼마입니까?


지불액 묻기
Je vous dois combien ? 얼마 드려야 하나요?

Je peux payer par carte ? 카드로 지불해도 되나요?


지불 방법 묻기
Vous acceptez la carte ? 카드 받으시나요?

EBS 수능특강 프랑스어 I • 101 • 12강 Je voudrais un gâteau.


2. 지불 방법 묻기

Le client : Bonjour ! je voudrais m’inscrire au cours de natation.


L’employée : Bonjour, monsieur ! Vous voulez venir quel jour ?
Vous pouvez choisir entre lundi-mercredi et mardi-jeudi.
Le client : Euh, mardi-jeudi, s’il vous plaît.
L’employée : Très bien. Alors... c’est 60 euros pour trois mois, 2 heures par semaine
avec un professeur. Les cours sont de 18 h à 19 h, à la piscine
au premier sous-sol.
Le client : D’accord. Je peux payer par carte ?
L’employée : Bien sûr.
* natation : 수영 * sous-sol : 지하층

어휘 풀이

• client(e) : n. 손님, 고객 • mardi : m. 화요일


• s’inscrire : 등록하다, 가입하다 • jeudi : m. 목요일
• quel(le) : 어느, 어떤, 무슨 • mois : m. 달, 월
• jour : m. 날짜, 요일 • par : (단위) ~마다
• choisir : 고르다, 선택하다 • semaine : f. 주, 1주간
• entre : ~사이에 • piscine : f. 수영장
• lundi : m. 월요일 • payer : 지불하다
• mercredi : m. 수요일 • carte : f. 카드, 지도

표현 연구

1. Vous voulez quel jour ? : 어느 요일을 원하세요?


의문 형용사 quel(le)과 명사를 함께 사용한 의문문
Tu aimes quel sport ? 어떤 운동을 좋아하세요?
Quelle heure est-il ? 몇 시입니까?

2. Vous pouvez choisir entre A et B : A와 B 사이에서 선택할 수 있습니다.


entre A et B : A와 B 사이에

3. 가격 말하기
C’est(Ça fait / Ça coûte) 40 euros. 40유로입니다.

4. 2 heures par semaine : 주당 2시간


par heure 시간당 / par jour 하루에 / par mois 한 달에 / par an 1년에, 연간

5. Je peux payer par carte ? : 카드로 지불해도 되나요?


= Vous acceptez la carte ?

EBS 수능특강 프랑스어 I • 102 • 12강 Je voudrais un gâteau.


본문 해석

손 님 : 안녕하세요! 수영 강좌에 등록하고 싶은데요.


직 원 : 안녕하세요! 무슨 요일을 원하세요?
월-수와 화-목 강좌 중에 선택하실 수 있어요.
손 님 : 글쎄요, 화-목으로 해주세요.
직 원 : 알겠습니다. 그러면 한 분의 선생님과 함께 일주일에 두 시간 수업 받으시는 것으로
3개월 요금이 60유로입니다. 수업은 지하 1층 수영장에서, 저녁 6시부터 7시까지입니다.
손 님 : 알겠습니다. 카드로 지불해도 될까요?
직 원 : 물론이죠.

문화 프랑스인들의 바캉스 선호도

◈ ‘Vacances 2016 – 프랑스인들은 어느 정도의 예산을 가지고


어디로 떠날 것인가?’라는 주제로 여행사 lastminute.com에서
조사한 통계자료

1. 프랑스인이 선호하는 여행지 Top 5


(1) France (58,7%)
(2) Italie (16,4%)
(3) Portugal (10,3%)
(4) Royaume-Uni (10,1%)
(5) Espagne (8,9%)
2. 바캉스에서 계획한 활동 Top 5
(1) 현지의 음식 경험하기 (54,8%)
(2) 일광욕하기 (51,6%)
(3) 문화 여행 (45,1%)
(4) 스파 (31,7%)
(5) 산악자전거 타기 (18,10%)
3. 바캉스 예산
(1) 유럽 평균 : 2,267 €
(2) 프랑스 : 2,199 €
(3) 독일 : 2,519 €
(4) 스페인 : 2,311 €
<2015.12. 28.~ 2016.01.08., 온라인으로 실행된 조사 결과>

EBS 수능특강 프랑스어 I • 103 • 12강 Je voudrais un gâteau.


수능 문법 포인트

I. 의문사
1. 의문형용사 : 명사 앞에서 꾸며주거나 속사로 사용되어 의문을 나타낸다.
남성 단수 여성 단수 남성 복수 여성 복수
quel quelle quels quelles
Quel est le prix ? 얼마입니까?
Quelle est votre profession ? 당신의 직업은 무엇입니까?
Quels livres achètes-tu ? 어떤 책들을 사니?
Quelles fleurs aimez-vous ? 당신은 어떤 꽃들을 좋아하십니까?

2. 의문대명사 : 주어나 직접목적보어, 속사, 간접목적보어, 상황보어의 기능을 한다. 의문사 다음에
est-ce que를 사용하면 주어와 동사가 도치되지 않는다.
주어 직접목적보어, 속사 간접목적보어, 상황보어
Qui Qui 전치사 +qui
사람
Qui est-ce qui Qui est-ce que 전치사 +qui est-ce que
Que 전치사 +quoi
사물 Qu’est-ce qui
Qu’est-ce que 전치사 +quoi est-ce que
Qui vous l’a dit ? = Qui est-ce qui vous l’a dit ? 누가 당신에게 그 이야기를 했습니까?
Qu’est-ce qui ne va pas ? 무슨 고민이 있니? / 뭐가 문제니?
Qui rencontrez-vous ? = Qui est-ce que vous rencontrez ? 누구를 만나십니까?
Que fais-tu ici ? = Qu’est-ce que tu fais ici ? 여기서 뭐해?
À qui pensez-vous ? = Vous pensez à qui ? = À qui est-ce que vous pensez ?
누구를 생각하고 있습니까?
À quoi réponds-tu ? = Tu réponds à quoi ? = À quoi est-ce que tu réponds ?
무엇에 대답한 거니?
Avec qui voyage-t-il ? = Il voyage avec qui ? 그는 누구와 여행하고 있습니까?
De quoi avez-vous besoin ? = Vous avez besoin de quoi ? 무엇이 필요합니까?

3. 의문부사
종류 용법 예문
Où allez-vous ?
où 장소 (어디) 어디에 가세요?
Où est-ce que vous allez ?
Quand vient-il ?
quand 시간 (언제) 그는 언제 옵니까?
Quand est-ce qu’il vient ?
Comment le trouvez-vous ?
comment 방법 (어떻게) 그것을 어떻게 생각하세요?
Comment est-ce que vous le trouvez ?
Combien sommes-nous ?
combien 수량 (얼마나) 우리는 몇 명인가요?
Combien est-ce que nous sommes ?
Pourquoi es-tu triste ?
pourquoi 이유 (왜) 너는 왜 슬프니?
Pourquoi est-ce que tu es triste ?

EBS 수능특강 프랑스어 I • 104 • 12강 Je voudrais un gâteau.


Ⅱ. 의문문
1. 직접의문문
(1) 평서문에 의문부호를 붙여 만든다.
Vous êtes professeur ? 선생님이세요?
- Oui, je suis professeur. - 예, 교사입니다.
- Non, je ne suis pas professeur. - 아니오. 교사가 아닙니다.
Il arrive toujours à cinq heures ? 그는 언제나 5시에 옵니까?
- Non. -(전체 부정) 아니오.
- Pas toujours. -(부분 부정) 늘 그런 것은 아닙니다.

(2) 주어(대명사)와 동사의 순서를 바꾸어 의문문을 만든다. 동사와 주어 사이에는 ‘-’를 사용한다.
Est-il japonais ? 그는 일본인입니까?
- Oui, il est japonais. - 예, 그는 일본인입니다.
- Non, il est chinois. - 아니오, 그는 중국인입니다.

명사 주어는 직접 동사와 순서를 바꿀 수 없고, 대명사를 사용해 동사 뒤에 위치시킨다.


Marie est-elle là ? Marie 있습니까?
주어가 3인칭 단수이고 동사의 어미가 모음으로 끝나는 경우, ‘-t-’를 동사와 대명사 주어
사이에 넣는다.
Habite-t-il dans un appartement ? 그는 아파트에 삽니까?
Y a-t-il un café près d’ici ? 이 근처에 카페가 있습니까?

(3) 평서문 앞에 ‘est-ce que’를 붙인다.


est-ce que 다음에 모음이나 무음 h가 오면 qu’로 축약한다.
Est-ce qu’il part pour Paris ? 그는 파리로 떠납니까?

(4) 부정의문문 : 대답의 내용이 긍정일 경우 si, 부정일 경우 non으로 대답한다.


Vous n’êtes pas prêt ? = N’êtes-vous pas prêt ? 준비 안 되셨나요?
- Si, je suis prêt. - 아니오, 준비 됐습니다.
- Non, je ne suis pas prêt. - 네, 준비되지 않았습니다.

2. 간접의문문 : 주절 동사의 직접목적보어로서, 간접적으로 의문을 나타내는 문장을 말한다.

‘주절(주어 +동사) + si 또는 의문사 +주어 +동사

Il demande quand tu rentres chez toi. 그는 언제 네가 귀가하는지 묻는다.


Elle demande si tu as raison. 그녀는 네가 옳은지를 묻는다.
※ 접속사 que는 간접의문문을 이끌지 않는다.
Je sais que vous êtes malade. 난 당신이 아프다는 것을 알고 있습니다.

EBS 수능특강 프랑스어 I • 105 • 12강 Je voudrais un gâteau.


∙ 정답과 해설 23 ~ 24 쪽

1 받아쓰기에서 철자를 바르게 적은 것은? 3 빈칸에 들어갈 말로 알맞은 것은?


A : Donnez-moi trois pains au chocolat,
(a) Parle-t-il français ?
s’il vous plaît.
(b) Commbien sont-ils ?
B: ?
(c) À quoi penses-vous ?
A : Oui, merci.
(d) Que est-ce que tu fais ?
B : Ça fait 6 euros, monsieur.
(e) Quand est-ce que elle part ?
① Très bien
① (a) ② (b) ③ (c) ② C’est tout
④ (d) ⑤ (e) ③ Êtes-vous prêt
④ Est-ce qu’il va bien
⑤ Qu’est-ce que vous voulez

4 다음 대화의 장소로 알맞은 것은?


A : Bonjour, monsieur. Je voudrais une
entrée adulte et une entrée au
tarif étudiant.
B : Vous avez votre carte d’étudiant ?
A : Je ne l’ai pas sur moi.
Je l’ai oubliée à la maison.
B : Je suis désolé, madame, mais vous
ne pouvez pas avoir de réduction.
A : Alors deux entrées adultes, s’il vous
2 빈칸에 들어갈 말로 알맞은 것은? plaît.
A : Où est-ce que je peux payer ? B : Ça fait 17 euros, madame.
B : Là-bas, à la , s’il vous * adulte : 성인 * tarif : 요금, 가격
plaît. * réduction : 가격 할인
A : Merci. ① À l’hôtel
B : De rien. ② Au musée
① bise ② tour ③ Au marché
③ caisse ④ peine ④ À l’aéroport
⑤ direction ⑤ Au grand magaisn

EBS 수능특강 프랑스어 I • 106 • 12강 Je voudrais un gâteau.


5 빈칸에 들어갈 말로 알맞은 것은? 7 빈칸에 들어갈 말로 알맞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A : Bonjour, je voudrais un ticket de
métro pour la journée, s’il vous A : Bonjour, ?
plaît. B : Je voudrais une crêpe à la confiture.
B : Pour quelles zones ? A : Sur place ou à emporter ?
A : Et bien, je ne sais pas... C’est pour B : Sur place.
rester dans le centre de Paris. A : Ça vous fait 6 € 40.
B : Alors, c’est un ticket zones 1 et 2. * emporter : 가지고 가다

A: ? <보 기>
B : Ça fait 5 euros 30. a. tout est prêt
A : Voilà. Merci beaucoup. Au revoir. b. que désirez-vous
B : Au revoir et bonne journée ! c. qu’est-ce que vous voulez
* zone : 구역 ① a ② c ③ a, b
① C’est le combien ④ b, c ⑤ a, b, c
② Vous êtes combien
③ Je vous dois combien
④ Il y a combien de pièces
8 2016년도 프랑스인의 여가시간에 관한 통계
자료다. 내용과 일치하지 않는 것은?
⑤ Combien de tickets avez-vous
Combien de temps consacrez-vous
par semaine à vos loisirs ?

3 h 00 Temps
et moins
moyen

9 h 46
NSP
6 빈칸에 들어갈 말로 알맞은 것은? plus de
9 % 22 % entre
30 % 22 % 3 h 01 et par
10 h 00 6 h 00
A : Bonjour, monsieur. semaine
17 %
B : Bonjour, madame. 2015

. entre 2016
6 h 01 et
A : Vous pensez rester combien de
10 h 00 -0 h 44
nuits ?
B : Je vais rester deux nuits. * consacrer : 할애하다
A : Très bien. C’est 98 euros. * loisirs : 여가활동, 취미 * moyen : 평균의

① J’ai déjà réservé ① 3시간 이하 활동 비율은 31%다.


② Il me reste une chambre ② 주당 여가 시간을 조사한 자료다.
③ C’est bien l’adresse de l’hôtel ③ 10시간 초과 할애하는 비율이 가장 높다.
④ Je veux prendre le petit déjeuner ④ 2015년 평균 여가 시간은 10시간 30분이다.
⑤ Je voudrais une chambre, s’il vous plaît ⑤ 6시간 이상 여가활동을 하는 비율은 47%다.

EBS 수능특강 프랑스어 I • 107 • 12강 Je voudrais un gâteau.


9 프랑스 학교 방학 일정표이다. 내용과 일치하지 11 <보기>의 단어들을 모두 사용하여 문장을
않는 것은? 완성할 때 (a)에 들어갈 말로 알맞은 것은?

ZONE A ZONE B ZONE C A : Henri, tu


(a) cours de danse ?
Rentrée
Lundi 4 Septembre 2017 B : Non.
2017
A : Pourquoi ?
Toussaint Du Samedi 21 Octobre B : Ça ne me dit rien.
2017 au Lundi 06 Novembre
<보 기>
Noël Du Samedi 23 Décembre
-

2017 au Lundi 08 Janvier au te(t’) ne(n’)


Du 10 Du 24 Du 17 pas inscris
Hiver
Février au Février au Février au
2018 ① au ② te(t’) ③ ne(n’)
26 Février 12 Mars 05 Mars
④ pas ⑤ inscris
Printemps Du 07 Avril Du 21 Avril Du 14 Avril
2018 au 23 Avril au 07 Mai au 30 Avril

Vacances
le Samedi 07 Juillet 2018
d’été
• Zone A : Besançon, Bordeaux, Dijon, ...
• Zone B : Lille, Nice, Strasbourg, ...
• Zone C : Montpellier, Paris, Toulouse, ...

* Toussaint : 만성절 * Noël : 크리스마스


* zone : 구역
① 개학은 9월 4일 월요일이다.
② 크리스마스 방학은 전 구역 동일하다.
③ Toulouse가 겨울방학을 가장 늦게 한다.
④ 여름방학은 전 구역에서 7월에 시작된다.
⑤ Paris는 봄방학 기간이 4월 14일부터 4월
30일까지다.

10 빈칸에 들어갈 말로 알맞은 것은?


(Au téléphone)
A : On joue au tennis la semaine
12 문장 표현이 옳은 것만을 있는 대로 고른
것은?
prochaine ?
B: ? Mardi ? a. Je demande si tout est prêt.
A : Oui, bonne idée. À mardi. b. Il demande qu’elle est coréenne.
c. Elle demande pourquoi il revient là.
① Où ② Quoi
③ Quand ④ Comment ① a ② b ③ a, c
⑤ Pourquoi ④ b, c ⑤ a, b, c

EBS 수능특강 프랑스어 I • 108 • 12강 Je voudrais un gâteau.


13 On se met à table ?
학습목표 l 음식, 식사, 식당 이용에 관한 표현을 이해하고 활용할 수 있다.
l 프랑스 사회단체를 이해할 수 있다.
l 명령법과 감탄문을 올바르게 사용할 수 있다.

1. 음식 주문하기

La serveuse : Bonjour, monsieur, une table pour une personne ?


Le client : Oui, s’il vous plaît.
La serveuse : Je vous apporte la carte tout de suite.
Le client : Ce n’est pas la peine. Je voudrais seulement le plat du jour.
La serveuse : Je suis désolée, mais il n’y en a plus. Voici notre carte.
Qu’est-ce que vous désirez ?
Le client : Je vais prendre un bifteck bien cuit.
La serveuse : Tout de suite, monsieur.
* serveur(euse) : (식당・카페 등의) 종업원
* cuit : 익힌

어휘 풀이

• table : f. 식탁, 탁자 • peine : f. 벌, 고통, 수고


• personne : f. 사람 • seulement : 단지, 오직, 그저
• apporter : 가져오다 • plat : m. 접시, 요리
• carte : f. 메뉴판, 카드 • prendre : 사다, 먹다, 가지다
• suite (tout de suite) : f. 연속 (곧, 당장) • bifteck : m. 비프스테이크

표현 연구

1. Une table pour une personne ? : 1인용 식탁을 원하세요? (= 혼자 오셨나요?)


Il y a quatre personnes à table. 식탁에는 네 명이 있다.

2. 음식 주문하기 표현
Qu’est-ce que vous voulez (= désirez) ? 무엇을 드시겠습니까?
- Je voudrais le plat du jour. - 오늘의 요리로 주세요.
- Je vais prendre un bifteck. - 비프스테이크를 먹겠습니다.

3. Ce n’est pas la peine. : 그럴 필요 없어요.


Ce n’est pas la peine de s’inquiéter pour cela. 그것에 대해 걱정할 필요 없어요.

4. Il n’y en a plus. : 그건 더 이상 없습니다.


중성대명사 en은 ‘de +명사 / 부분관사[부정관사] +명사’를 대신한다.
Il n’y a plus de plat du jour. → Il n’y en a plus.

EBS 수능특강 프랑스어 I • 109 • 13강 On se met à table ?


본문 해석

종업원 : 안녕하세요, 손님, 혼자 오셨나요?


손 님 : 네, 부탁합니다.
종업원 : 메뉴판 금방 갖다 드리겠습니다.
손 님 : 그럴 필요 없어요. 그냥 오늘의 요리 주세요.
종업원 : 미안합니다만, 그건 더 이상 없습니다. 여기 우리 메뉴판입니다.
무엇을 드시겠습니까?
손 님 : 잘 구워진 비프스테이크를 먹겠습니다.
종업원 : 즉시 갖다드리겠습니다, 손님.

문화 프랑스의 사회단체 (1)

마음의 식당 (Restaurants du cœur)


1985년 12월 인기 코미디언이었던 콜뤼슈(Coluche)와 연예인들에 의해 시작
된 가난한 이들을 위한 식당이다. 가난한 사람들에게 따뜻한 식사를 제공하고,
헐벗은 가정에 균형 잡힌 식료품을 제공하는 것이 설립 취지이자 목적이다.
소외계층에 대한 존중과 연대의식을 지닌 약 6만여 명의 자원봉사자가 약
2,100개의 센터에서 봉사하고 있다. 매년 말 가수들이 하는 자선쇼의 이익금,
정부 및 공공기관 보조금, 유럽연합 보조금, 기업, 사회단체, 개인 후원금이 더
해져 운영이 된다.

의사소통 기본 표현

식탁으로 À table ! 식탁에 앉으세요!


부르기 On se met à table ? 식탁에 앉을까요?
Que désirez-vous ? / 무엇을 드시겠습니까? /
음식 Qu’est-ce que vous voulez ? 무엇을 드시겠습니까?
주문하기 - Je voudrais un bifteck, s’il vous plaît. - 비프스테이크 주세요.
Qu’est-ce que vous avez comme dessert ? 후식으로 어떤 것들이 있나요?
Vous êtes combien ? 몇 분이신가요?
인원
- Nous sommes trois. - 세 명입니다.
말하기
- On est trois. - 세 명입니다.
Je voudrais réserver une table pour demain 내일 저녁 식사를 예약하고
예약하기 soir. 싶습니다.
- Pour combien de personnes, monsieur ? - 몇 분이신가요?

계산하기 L’addition, s’il vous plaît. 계산서를 부탁드립니다.

EBS 수능특강 프랑스어 I • 110 • 13강 On se met à table ?


2. 식당 예약하기

L’employée : Allô. Restaurant La Place, bonjour.


M. Joinau : Allô. Bonjour, je voudrais réserver une table pour demain soir.
L’employée : Bien sûr, monsieur. Pour combien de personnes ?
M. Joinau : Nous sommes quatre.
L’employée : C’est à quel nom ?
M. Joinau : Joinau, J, O, I, N, A, U.
L’employée : Joinau, pour quatre personnes. À quelle heure pensez-vous venir ?
M. Joinau : À 20 h.
L’employée : Très bien. À demain, monsieur.
M. Joinau : Merci beaucoup. Au revoir.

어휘 풀이

• place : f. 장소, 자리, 위치, 광장 • nom : m. 성, 이름


• quel(le) : 어느, 어떤, 무슨, 굉장한 • penser : 생각하다

표현 연구

1. 관공서나 상점 등 사무실에서 전화 받기 표현
관공서나 상점 등 사무실에서 전화 받을 때에는 ‘Allô. 기관명, (bonjour[j’écoute]).’라고 한다.
Allô. SNCF, bonjour. 여보세요, 안녕하세요, SNCF입니다.
Allô. Air France, j’écoute. 여보세요, 안녕하세요, Air France입니다.

2. 예약하기 및 인원 말하기 표현
Je voudrais réserver une table pour ce soir. 오늘 저녁 식사를 예약하고 싶습니다.
Pour combien de personnes ? 몇 분이시죠?
- Nous sommes deux. / Pour deux. - 두 명입니다.
C’est à quel nom ? 어느 분 성함으로 예약할까요?
- Leroy, L, E, R, O, Y. - Leroy, L, E, R, O, Y입니다.
J’ai réservé une table au nom de Jean. Jean의 이름으로 한 테이블 예약했습니다.

3. À quelle heure pensez-vous venir ? : 몇 시에 오실 생각입니까?


penser +부정법 : ⓐ ~할 생각[의도]이다 (= penser à +부정법)
ⓑ ~라고 생각하다
Je pense (à) aller la voir demain. 내일 그녀를 만나보러 갈 생각이다.
Je pense être libre demain. 내일은 한가할 것이라고 생각한다.

EBS 수능특강 프랑스어 I • 111 • 13강 On se met à table ?


본문 해석

종 업 원 : 여보세요, 안녕하세요, « La Place » 식당입니다.


M. Joinau : 여보세요, 안녕하세요, 내일 저녁 테이블 하나 예약하고자 합니다.
종 업 원 : 물론이죠, 손님. 몇 분이십니까?
M. Joinau : 네 명입니다.
종 업 원 : 어느 분 성함으로 예약할까요?
M. Joinau : Joinau, J, O, I, N, A, U입니다.
종 업 원 : Joinau로 네 분입니다. 몇 시에 오실 생각입니까?
M. Joinau : 20시입니다.
종 업 원 : 좋습니다. 내일 뵙겠습니다.
M. Joinau : 매우 고맙습니다. 안녕히 계십시오.

문화 프랑스의 사회단체 (2)

돈키호테의 아이들 (Les Enfants de Don Quichotte)


돈키호테의 아이들은 프랑스의 노숙자 지원 단체이다. Jean Baptiste
Legrand과 Augustin Legrand 형제가 시작하였으며, 생마르탱 운하
(Canal Saint-Martin) 부근에 텐트를 설치하고, 2006년 크리스마스에
파리 시민을 초청하여 텐트 생활을 경험하는 것을 계기로 운동이 펼쳐
졌다. 파리의 노숙자들이 여기에 텐트를 치고 살며 정부가 모든 노숙자
들에게 음식을 지원해 줄 것을 요청했다.

국경없는 의사회 (Médecins sans frontières)


1971년 파리에서 의사와 언론인들이 모여 결성한 단체로 현재 2만 5천
명의 의료진이 세계 80개국의 사람들에게 의료지원을 펼치고 있고, 전
세계 3백만 명의 사람들이 국경없는 의사회의 민간구호 활동에 경제적
으로 후원하고 있다. 세계 어느 지역이든 의사의 구조를 필요로 하는
상황이 발생하면 국경을 넘어서라도 구호에 임한다는 활동 대원칙을
견지하고 있다. 북한에서 구호활동을 펼친 공로로 1997년 서울특별시
로부터 서울평화상을 받았으며 1999년에는 노벨 평화상을 수상했다.

유산 보전 단체 연합 (Union Rempart)
1966년 설립된 Union Rempart는 170개의 프랑스 비영리단체(NPO)가
함께하는 유산 보전 단체의 연합체로 Rempart 연합체에 소속된 기관
및 단체들은 역사적인 건물 재건을 위한 프로젝트를 운영하고 있으며
이 프로젝트들은 프랑스 문화, 청소년, 교육, 환경, 사회, 외교 사무처 장관
및 지방 지역 당국에 의하여 공공사업으로 인정받아 진행되고 있다.

EBS 수능특강 프랑스어 I • 112 • 13강 On se met à table ?


수능 문법 포인트

I. 명령법
1. 형태 : 2인칭 단수·복수, 1인칭 복수 3가지 형태만 갖는다.
(1) 직설법 현재 활용과 형태가 똑같지만, 주어를 생략한다.
Tu finis → Finis ! 끝내라!
Nous partons → Partons ! 떠납시다!
Vous regardez → Regardez ! 보세요!

(2) 2인칭 단수가 es로 끝나는 1군 동사와 ouvrir, aller 동사에서 s를 생략한다.
Tu parles en français. → Parle en français ! 프랑스어로 말해라!
Tu ouvres la porte. → Ouvre la porte ! 문 열어라!
Tu vas à l’école. → Va à l’école ! 학교에 가라!
2인칭 단수 명령문 다음에 대명사 en이나 y가 오면 연독하기 위해 s를 생략하지 않는다.
Parles-en ! 그것에 대해 말해라! Vas-y ! 거기로 가라!

(3) 특수한 명령형


avoir être savoir vouloir
(tu) aie sois sache veuille
(nous) ayons soyons sachons veuillons
(vous) ayez soyez sachez veuillez
vouloir의 경우 공손한 표현에 많이 사용된다.

(4) 명령문에서 대명사의 위치 : 긍정인 경우 동사 뒤에 ‘–’과 함께 ‘직접 +간접 +y +en’ 순으로


놓인다. 부정인 경우 일반적인 대명사 위치(41쪽 참고)에 따라 동사 앞에 놓인다.
Parle-m’en ! 그것에 대해 내게 말해! Ne m’en parle pas ! 그것에 대해 내게 말하지 마.
Dépêchons-nous ! 서두르자! Ne nous dépêchons pas ! 서두르지 말자!
Allez-vous-en ! 가세요! Ne vous en allez pas ! 가지 마세요!

2. 용법
(1) 명령, 요구, 금지를 나타낸다.
Asseyez-vous à côté de moi ! 내 곁에 앉으세요!
Donnez-nous un peu de chocolat ! 우리에게 초콜릿 좀 주세요!
Ne sois pas triste ! 슬퍼하지 마!

(2) 기원을 나타낸다.


Passez un bon week-end ! 좋은 주말 보내세요!

EBS 수능특강 프랑스어 I • 113 • 13강 On se met à table ?


II. 감탄문
1. 감탄사가 있는 경우
(1) Quel +(형용사) +명사
Quelles fleurs ! 꽃들이 정말 굉장하다!
Quel beau temps ! 참으로 좋은 날씨다!

(2) Que / Comme +주어 +동사


Qu’elle est belle ! 그녀는 정말 아름답다!
Qu’il fait chaud aujourd’hui ! 오늘 날씨가 정말 덥다!
Comme c’est difficile ! 정말 어렵구나!
Comme vous êtes gentil ! 참으로 친절하시군요!
구어체에서는 que 대신에 ce que나 qu’est-ce que가 쓰인다.
Ce qu’il fait beau ! 날씨가 참 좋다!

(3) Combien +주어 +동사 / Combien +de +명사


Combien elle a changé ! 그녀는 너무나 많이 변했다!
Combien de fois ne te l’ai-je pas répété ! 얼마나 많이 내가 네게 그걸 반복해 말했던가!

(4) Que de +명사


Que de monde ! 사람들이 정말 많다!
= Qu’est-ce qu’il y a comme monde !

2. 감탄사가 없는 경우
(1) 억양 : 억양만으로도 감탄의 뜻을 나타낼 수 있으며, 때로는 한 단어가 감탄문이 되기도 한다.
On a gagné ! 우리가 이겼다!
Est-ce que vous partez ! 당신이 가다니!
Ce n’est pas vrai ! 말도 안 돼!
Il est encore trop tôt pour se coucher ! 잠자리에 들기에는 아직 너무 이르다!
Formidable ! 굉장하다!
구어체에서는 다음과 같은 다양한 감탄의 표현이 사용된다.
Dis donc ! 이봐!(야!)
Ça alors ! 아, 저런! 그래서!
Bon, allez-y ! 자, 어서!

(2) 간투사
Ah ! 아! Allons ! 자! Bravo ! 잘한다, 좋다!
Quoi ! 뭐라고! Ah bon ! 아 그래요! Oh là là ! 저런, 아이고!

EBS 수능특강 프랑스어 I • 114 • 13강 On se met à table ?


∙ 정답과 해설 25 ~ 26 쪽

1 밑줄 친 부분과 같은 발음이 없는 낱말은? 3 빈칸에 들어갈 말로 알맞은 것은?


A : On a très bien mangé ici.

B : Voilà, monsieur.
A : Voyons, je n’ai pas mes lunettes,
ça fait combien ?
B : Vingt-neuf euros.
① station ② attention A : Vous acceptez la carte ?
③ question ④ direction B : Bien sûr, monsieur.
⑤ conversation ① On est au dessert ?
② La cuisine est très sale.
③ L’addition, s’il vous plaît.
④ Donnez-moi de la confiture.
⑤ Le plat du jour, s’il vous plaît.

4 빈칸에 들어갈 말로 알맞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A : Je voudrais réserver une table


pour ce soir.
B : Oui, madame.
?
2 빈칸에 공통으로 들어갈 말로 알맞은 것은? A : Quatre.
◦ J’habite en de l’église. <보 기>
◦ Les choses ont beaucoup changé a. Ça coûte combien
de(d’) . b. Vous êtes combien
◦ Luc tombe la(l’) contre c. Pour combien de personnes
terre. d. Vous êtes combien de personnes

① face ② part ① a, b ② b, c
③ tête ④ forme ③ a, b, d ④ a, c, d
⑤ histoire ⑤ b, c, d

EBS 수능특강 프랑스어 I • 115 • 13강 On se met à table ?


5 빈칸에 들어갈 말로 알맞은 것은? 7 빈칸에 공통으로 들어갈 말로 알맞은 것은?
A : Qu’est-ce que tu veux manger ? A : On se met à table ?
Tu veux du poisson ? B, C : Oui.
B : Je n’aime pas beaucoup le poisson. C : Ça semble délicieux.
Je veux du bœuf. A : Ce n’est pas grand chose.
A : Bon. ? B : Comment ça, pas grand chose ?
B : Oui, je veux bien du riz. C’est formidable !
Est-ce qu’il y a de la soupe ? A : Merci. !
A : Il y a de la soupe aux légumes. B, C : !

① Tu veux de la salade ① Bonne nuit


② Veux-tu boire de l’eau ② Bonne idée
③ As-tu mangé du riz au lait ③ Bon appétit
④ Est-ce que tu veux du riz avec ④ Bonne journée
⑤ Tu aimes le riz long ou le riz rond ⑤ Bon après-midi

8 대화의 내용으로 보아 밑줄 친 부분의 의미로


6 빈칸에 들어갈 말로 알맞은 것만을 <보기>에서 알맞은 것은?
있는 대로 고른 것은? Sabah : Hier soir, mes grands-parents
A : Bonjour, madame, vous désirez ? sont arrivés comme un cheveu
B : Je vais prendre un sandwich au sur la soupe quand je faisais
fromage. une fête avec mes amis.
A : Et ? Jane : Qu’est-ce que ça veut dire ?
B : De l’eau, s’il vous plaît. Sabah : Ça veut dire qu’ils nous ont
<보 기> rendu une visite surprise au
a. comme entrée mauvais moment. Ils ne m’ont
b. comme boisson même pas téléphoné.
c. pour le dessert ① 격에 맞다
d. quelque chose à boire ② 가까이 오다
① a, b ② a, c ③ 결론에 이르다
③ b, d ④ a, c, d ④ 목적을 달성하다
⑤ b, c, d ⑤ 갑자기 들이닥치다

EBS 수능특강 프랑스어 I • 116 • 13강 On se met à table ?


9 대화의 내용으로 보아 밑줄 친 단체에 대해 11 빈칸에 들어갈 말로 알맞은 것만을 <보기>
알 수 있는 것은? 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A : Je donne tous les mois 5 euros à A: il fait beau aujourd’hui !


Médecins sans frontières. B : Oui, le temps est très beau.
B : C’est quoi, Médecins sans
<보 기>
frontières ?
a. Qu’ b. Quel
A : En fait, c’est une organisation pour
c. Comme d. Ce qu’
aider et soigner des gens malades
① a, b ② b, c
ou blessés dans le monde.
③ c, d ④ a, b, d
B : Ah bon !
* Médecins sans frontières : ⑤ a, c, d
국경없는 의사회
* organisation : 단체, 기구

① 창설자 ② 가입 방법
③ 본부 주소 ④ 주요 활동
⑤ 후원 회원수

12 <보기>의 낱말을 모두 사용하여 대화를


완성할 때, 빈칸 (a)에 들어갈 말로 알맞은
것은?

A : On va manger.
Tu t’es lavé les mains ?
B : Non, pas encore.
A : Va te les mains
te (a) table.

10 문장의 표현이 옳지 않은 것은? B : Oui, maman.


<보 기>
① Vas-y !
à de avant
② Allez-vous-en !
laver mettre
③ Ne soyez pas triste !
④ Parles-moi de ton école ! ① à ② de ③ avant
⑤ Veuillez faire plus attention ! ④ laver ⑤ mettre

EBS 수능특강 프랑스어 I • 117 • 13강 On se met à table ?


14 Qu’est-ce qu’elle en pense ?
학습목표 l 의견 묻기와 말하기, 동의 및 반대하기와 관련된 표현을 이해하고 활용할 수 있다.
l 프랑스 경제의 다양한 면모를 이해할 수 있다.
l 부정형용사의 형태와 쓰임을 이해하고 활용할 수 있다.

1. 의견 묻고 말하기

Raphaël : Je vais partir à la campagne.


Alice : Mais je ne comprends pas. Pourquoi ?
Raphaël : Parce qu’à Paris, il y a trop de bruit. Je n’aime pas ça.
Aice : Moi, la ville, je trouve ça pas mal. À Paris, je peux aller au cinéma et
au théâtre le week-end. Et des magasins sont aussi ouverts le dimanche.
Raphaël : À la campagne aussi, il y a des choses à faire.
Alice : Oui, mais vraiment pas beaucoup. Et Coline, ta femme, qu’est-ce qu’elle en pense ?
Raphaël : Elle aussi, elle préfère partir.

어휘 풀이

• campagne : f. 시골 • magasin : m. 상점, 가게


• comprendre : 이해하다 • ouvert(e) : 열려 있는
• trop : 과도하게, 지나치게 • chose : f. 어떤 것
• bruit : m. 소리, 소음 • vraiment : 정말로, 실제로
• trouver : (~라고) 생각하다, 찾다 • femme : f. 여자, 아내

표현 연구

1. Parce qu’à Paris, il y a trop de bruit. : Paris는 너무 소란스럽기 때문이야.


‘trop de +무관사 명사’는 ‘과도한 ~, 지나치게 많은 ~’의 의미가 있다.

2. Moi, la ville, je trouve ça pas mal. : 난 도시가 괜찮다고 생각해.


‘trouver qn /qch +속사’는 ‘qn /qch 이(가) ~하다고 생각하다’의 의미이다.
견해나 의견을 표명하는 동사로는, ‘je crois / pense / trouve (que ...) (~라고 생각하다)’ 같은
표현들이 있다. 동사 표현 이외에도, ‘d’après moi, à mon avis, pour moi, pour ma part’와
같은 표현을 사용하여 견해나 의견을 나타낼 수 있다.
Je pense que c’est bon marché. 나는 그것이 저렴하다고 생각해.
Pour ma part, il a raison. 내가 보기에는 그가 옳아.

3. Qu’est-ce qu’elle en pense ? : 그녀는 그것에 대해서 어떻게 생각해?


= Qu’est-ce qu’elle pense de ça ?
penser 동사를 사용하여 의견을 물어볼 경우, 사물에 대해서는 ‘en’을 쓰고, 사람에 대해서는
‘de lui (elle, moi, Pierre ...)’를 사용한다.

EBS 수능특강 프랑스어 I • 118 • 14강 Qu’est-ce qu’elle en pense ?


본문 해석

Raphaël : 난 시골로 떠나려고 해.


Alice : 하지만 난 이해가 안 가는데 왜지?
Raphaël : 파리는 너무 소란해. 난 그게 싫어.
Alice : 난 도시가 괜찮다고 생각해. 파리에서는 주말에 영화관과 극장에 갈 수 있어.
그리고 가게들도 일요일에 문을 열어.
Raphaël : 시골에서도 할 거리는 있어.
Alice : 그렇지, 하지만 그리 많지는 않아. 네 아내 Coline의 생각은 어떤데?
Raphaël : Coline도 떠나는 걸 더 좋아해.

문화 프랑스 경제와 관광업

관광업은 프랑스 GNP의 7.3%를 차지할 정도로 프랑스 경제에 중요한 역


할을 한다. 프랑스는 외국인 관광객 수 8,450만 명으로 전 세계 관광객들이
가장 많이 방문하는 나라(2015년 기준, https://www.entreprises.gouv.fr)로 알
려져 있다. 관광객 유치의 이유로는 다양한 경치, 역사·문화·예술적인 문화
유산의 풍부함, 온화한 기후, 편리한 교통시설 등의 요인을 꼽을 수 있다.
이러한 관광업은 프랑스 경제에 긍정적인 효과를 내고 있지만, 환경오염
(파괴)의 문제가 제기되기도 한다.

의사소통 기본 표현

Qu’en pensez-vous ? / 그것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의견
Qu’est-ce que vous en pensez ?
묻기
Quel est votre avis ? 당신의 의견은 무엇입니까?

À mon avis, ce n’est pas une bonne idée. 제 견해로는, 좋은 생각이 아닙니다.
의견
Je crois que vous avez tort. 제가 보기에는 당신이 틀리셨습니다.
말하기
Je pense qu’il a raison. 저는 그의 말이 옳다고 생각합니다.

D’accord ! / Je suis d’accord avec vous. 동의해요! / 당신의 견해에 동의합니다.


동의 Je suis de votre avis. 저도 당신과 같은 의견입니다.
하기 Tout à fait ! / Bien sûr ! 전적으로 동의합니다! / 물론입니다!
Tu as raison. 네 말이 맞아.

Je ne suis pas d’accord avec vous. 저는 당신에게 동의하지 않습니다.


반대
Je ne pense pas comme vous. 저는 당신처럼 생각하지 않습니다.
하기
Je pense que ce n’est pas bien. 그건 좋지 않다고 생각합니다.

EBS 수능특강 프랑스어 I • 119 • 14강 Qu’est-ce qu’elle en pense ?


2. 동의하기와 반대하기
Mère : Nous allons partir à Arcachon. Vous êtes tous pour ?
Lucas : Tout à fait. On va à la plage, on mange des glaces, on se repose ...
Moi, je trouve que c’est une bonne idée.
Inès : Mais moi, je ne pense pas comme toi.
La plage, je déteste ça. Il fait trop chaud et il y a beaucoup de monde !
Lucas : Ah bon ? Tu as peut-être raison. Alors, partons à la montagne !
Inès : Ah ! Ça oui ! Je suis d’accord.
* plage : 해변, 바닷가 * se reposer : 쉬다, 휴식을 취하다

어휘 풀이

• pour : ~을 찬성하여 • chaud(e) : (날씨가) 더운, 뜨거운


• manger : 먹다 • monde : m. 세상, 사람들
• glace: f. 아이스크림 • peut-être : 아마도, 어쩌면
• détester : 싫어하다 • montagne : f. 산

표현 연구

1. Vous êtes tous pour ? : 너희들 모두 찬성이야?


‘tous’는 대명사로서 ‘모든 사람’을 가리키며, 이 경우 발음은 [tus]이다.
Vous êtes pour ou contre ? 당신은 찬성하세요 아니면 반대하세요?

2. Mais moi, je ne pense pas comme toi. : 그런데 난 너처럼 생각하지 않아.
Je ne suis pas d’accord. 나는 동의하지 않는다.
Je crois que non. 나는 아니라고 생각한다.
Tu as tort. 네가 틀렸어.

3. La plage, je déteste ça. : 난 바닷가를 싫어해.


일상 회화에서는 ‘cela’ 대신 ‘ça’가 주로 쓰인다.
Donnez-moi ça(= cela). 이것을 내게 주세요.
Qu’est-ce que ça(= cela) veut dire ? 이것이 무엇을 의미하나요?

4. Je suis d’accord. : 나는 동의해.


동의 표명은 그 정도에 따라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
- 전적인 동의 : tout à fait, bien entendu, vous avez raison, bien sûr que oui 등
- 부분적인 동의 : c’est possible, peut-être, si vous voulez, si tu le dis 등

EBS 수능특강 프랑스어 I • 120 • 14강 Qu’est-ce qu’elle en pense ?


본문 해석

엄마 : 우리 Arcachon으로 가려고 해. 너희들 모두 찬성하지?


Lucas : 그럼요. 바닷가에 가서, 아이스크림도 먹고, 휴식도 취하고 ...
난 좋은 생각인 것 같아요.
Inès : 그런데 난 너처럼 생각하지 않아.
난 바닷가를 싫어해. 날씨도 엄청 덥고 사람들도 많고!
Lucas : 아 그래? 그럴 수도 있겠다. 그러면 산으로 가자!
Inès : 아! 그래 그러자! 난 찬성이야.

문화 프랑스의 경제

프랑스는 세계 5위(2016년 기준)의 경제대국이다. 주요 분야를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1. 농업과 어업

농업에 종사하는 인구는 노동인구의 7% 미만으로 비교적 적으나,


프랑스는 유럽연합 제1의 농업국이며, 세계적으로는 제2의 농산물
수출국이다. 북쪽 지방은 곡물, 서쪽은 목축업, 남쪽은 채소, 과일,
야채가 큰 비중을 차지한다. 포도재배와 포도주는 랑그독(Languedoc), 노르망디 지방의 경작지

보르도(Bordeaux), 론 강(le Rhône) 유역, 루와르 강(la Loire) 유역에


집중되어 있다. 북해, 영국해협, 대서양, 지중해와 같은 4개의 바다와
5,500 Km에 달하는 긴 해안선과 더불어 많은 항구를 갖고 있으나,
프랑스의 어업은 비교적 소규모 산업에 머무르고 있다. 목축업

2. 공업

자동차, 화학·약품, 전자·통신, 에너지, 직물·의류업, 우주 항공 산업과


같은 분야가 중요한 산업으로 부각되고 있다. 프랑스는 민간 및 군사
항공 분야(EADS 그룹의 Airbus)와 우주 산업(Arianespace)의 선두
이다. Renault, Peugeot, Citroën과 같은 자동차 회사들은 생산량의 Airbus 380
절반을 유럽과 전 세계에 수출하고 있으며, TGV, 트램과 같은 대중
교통수단을 개발하여 보급하고 있다. 또한 농산물 가공업(유제품
등), 향수, 보석, 가방, 오트 쿠튀르(la haute couture) 분야도 전 세계
적으로 유명하다. Arianespace

3. 서비스업
프랑스에서는 다양한 서비스업(3차 산업)이 총고용의 2/3, GDP의 60% 이상을 차지하며, 대표
적인 서비스 분야로는 은행과 보험 분야를 들 수 있다.

EBS 수능특강 프랑스어 I • 121 • 14강 Qu’est-ce qu’elle en pense ?


수능 문법 포인트

I. 부정형용사
성질, 수량, 유사성, 차이 등을 막연하게 나타내는 형용사로서, 몇 가지 경우를 제외하면 명사
앞에 온다. 대다수의 부정형용사는 그대로 부정대명사로도 쓰인다.

단수 복수

남성 여성 남성 여성

aucun aucune - -

autre autres

certain certaine certains certaines

chaque - -

même mêmes

pas un pas une - -

- plusieurs

quelque quelques

tout toute tous toutes

1. Aucun(e) : 어떠한, 하나도, 조금도 (~가 아니다)


pas 없이 ne와 함께 부정문을 만든다.
Aucun homme ne me regarde. 나를 쳐다보는 사람이 아무도 없다.
Je n’en ai aucune idée. 나는 그것에 관해 의견이 전혀 없다.

2. Autre(s) : 별개의, 그 밖의
속사나 부가형용사로 쓰인다.
Mon avis est autre. 나의 의견은 다르다.
Est-ce que vous avez d’autres couleurs ? 다른 색깔을 가지고 계세요?

3. Certain(e)(s) : 어떤, 약간의


단수로는 성질이나 정도(‘어느’, ‘어떤’)를, 복수로는 수(‘몇몇’)를 막연히 나타낸다.
Il est venu souvent pendant un certain temps. 그는 한동안 자주 왔다.
Je ne comprends pas certaines questions. 나는 몇몇 질문들을 이해하지 못한다.

EBS 수능특강 프랑스어 I • 122 • 14강 Qu’est-ce qu’elle en pense ?


4. Chaque : 각각의
항상 단수로 쓰인다.
Chaque livre coûte sept euros. 각 권당 7유로이다.
Le train s’est arrêté à chaque gare. 열차는 역마다 정차했다.

5. Même : 같은, ~자신(바로 그것, 그 자체)


J’ai vu le même film que toi. 나는 너와 같은 영화를 보았다.
Il quitte l’hôtel le jour même de son arrivée. 그(그녀)가 도착하는 바로 그 날에 그는
호텔을 떠난다.

6. Pas un(e) : 하나(한 사람)도 ~이 아니다


Pas un homme n’est sorti. 한 사람도 나가지 않았다.
Il n’y a pas une minute à perdre. 일 분 일 초가 아쉽다.

7. Plusieurs : 몇몇의
항상 복수형으로 쓰이며, 관사 등의 한정사 없이 사용한다.
Ce mot a plusieurs sens. 이 낱말에는 여러 의미가 있다.
Plusieurs élèves sont arrivés très tard. 몇몇 학생들이 매우 늦게 도착했다.

8. Quelque(s) : (단수 명사 수식) 어떤, 약간의 , (복수 명사 수식) 몇몇의, 약간의


Cela me rappelle quelque chose. 그것을 보니 뭔가 생각나는 것이 있다.
Quelques jours après, il est mort, 며칠 후에 그는 죽었다.

9. Tout, Toute, Tous, Toutes : 모든, 전체의


관사, 지시형용사, 소유형용사와 같은 한정사와 함께 쓰인다.
Le chat a mangé tout le fromage. 고양이가 그 치즈를 다 먹었다.
Tous ses amis vont venir demain. 그의 친구들은 모두 내일 올 것이다.
Toute ma famille habite près de Lyon. 나의 가족 모두는 Lyon 근처에 살고 있다.

‘tous (toutes) + les +수사 +명사’는 ‘~마다’라는 뜻을 지닌다.


Il y a un train toutes les deux heures. 두 시간마다 기차가 있다.

EBS 수능특강 프랑스어 I • 123 • 14강 Qu’est-ce qu’elle en pense ?


∙ 정답과 해설 27 ~ 28 쪽

1 밑줄 친 부분의 철자가 옳지 않은 것은? 3 빈칸에 들어갈 말로 알맞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Madame, A : Je pense que Romain Bardet va
Nous vous remercions de votre gagner le prochain Tour de France.
lettre du 15 mars. Nous avons un Et toi ?
(a) B:
appartement à louer. Il est au
Il est le meilleur.
(b)
cinquième. Son prix est de 930 euros <보 기>
par mois. Si vous êtes intérressée, a. Tu as tort.
(c) b. Tout à fait !
donnez-nous votre réponse
c. Bien sûr que non.
(d)
rapidement si possible. d. Je suis d’accord avec toi.
(e) ① a, c ② b, d
le directeur
③ a, b, d ④ a, c, d
* louer : 세놓다 ⑤ b, c, d
① (a) ② (b) ③ (c)
④ (d) ⑤ (e)

4 대화의 내용으로 보아 축제에 관한 의견이


다른 사람은?

Qu’est-ce que vous pensez


Léa On fait
de ce festival ? la cuisine ?

Je pense que c’est magnifique. Théo


J’ai de la peine à
faire
2 빈칸에 공통으로 들어갈 말로 알맞은 것은? Oui, c’est pas mal du tout.
la cuisine. Emma

PourJe
moi, il y a pas
n’aime trop du
de tout
monde.
A : Hier, j’ai vu un accident. Lola
Vousㅇfaire
n’êtes la
pascuisine.
d’accord ?
B : Ah bon ? C’était où ?
Si, c’est vrai, mais c’est bien.
A : Au rouge près de l’école. La cuisine, pour moi Léo
B : C’était grave ? c’estavis, c’est
À mon facileformidable
et !
amusant. Timéo
A : Oui, la voiture était en .

① feu ② jeu ① Léo ② Emma


③ rêve ④ guichet ③ Lola ④ Théo
⑤ drapeau ⑤ Timéo

EBS 수능특강 프랑스어 I • 124 • 14강 Qu’est-ce qu’elle en pense ?


5 빈칸에 들어갈 말로 알맞은 것만을 <보기>에서 7 빈칸에 들어갈 말을 <보기>에서 찾아 순서대로
고른 것은? 바르게 배열한 것은?

A : Je cherche un pantalon. A : Tu n’aimes pas ce cours ?


B : Ah, je vois, madame. B: Ce n’est pas amusant.
Quelle taille faites-vous ? A: Mais à mon avis, le
A : Je fais du 38. professeur est sympa quand même.
B : Essayez celui-ci. B: Il est très gentil.
A: . Mais je m’ennuie dans son cours.
Mais j’aimerais en essayer un autre. <보 기>
* taille : 치수 a. Tu trouves ? b. Pas du tout !
<보 기> c. Tu as raison.
a. L’autre est mieux ① a-b-c ② a-c-b
b. Je trouve que ça va ③ b-a–c ④ b-c-a
c. Il me plaît beaucoup ⑤ c-b–a
d. C’est trop long pour moi

① a, b ② a, c
③ a, d ④ b, c
⑤ c, d

8 글의 제목으로 알맞은 것은?

Les Français travaillent à peu près


39,1 heures par semaine. Bien sûr,
6 빈칸에 들어갈 말로 알맞지 않은 것은? c’est différent selon le métier : les
médecins travaillent plus longtemps
A : Alors, que les employés ; les agriculteurs
B : Je le trouve grand et clair. travaillent deux heures de plus que
Il est bien ! les habitants des villes.
A : Bon, alors, on l’achète. * selon : ~에 따라 * agriculteur : 농부
① ça te plaît ? ① Le temps de travail
② quel est ton avis ? ② Les métiers des jeunes
③ j’aimerais avoir ton avis. ③ Travailler à plein temps
④ qui est-ce qui le trouve ? ④ Trouver un premier travail
⑤ qu’est-ce que tu en penses ? ⑤ Les différentes formes de travail

EBS 수능특강 프랑스어 I • 125 • 14강 Qu’est-ce qu’elle en pense ?


9 글의 내용으로 알 수 있는 것은? 11 문장의 표현이 옳은 것만을 있는 대로 고른
것은?
La France est la 5e économie dans
le monde derrière les États-Unis, la a. De plusieurs personnes sont très
Chine, le Japon et l’Allemagne. Pour malades.
l’économie française, le tourisme est b. M. Bernard est un homme d’un
très important. Elle a le plus de certain âge.
touristes au monde. 84,5 millions de c. Réservez le jour même jusqu’à la
personnes ont visité la France en dernière minute.
2015. Le tourisme permet à beaucoup d. Une aucune autre personne ne
de villes de garder et de faire vivre chante mieux qu’elle.
leur patrimoine. ① a, b ② b, c
* économie : 경제 ③ c, d ④ a, b, c
* tourisme : 여행(관광)(업) ⑤ b, c, d
* patrimoine : 자산, 유산

① 관광객들은 파리 방문을 선호한다.


② 관광업은 프랑스 경제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③ 독일의 경제력은 2015년 기준으로 한
단계 추락하였다.
④ 프랑스의 문화유산을 보존하는 방법은
도시마다 다르다.
⑤ 미국은 프랑스 다음으로 관광객이 가장
많이 찾는 나라이다.
12 <보기>의 낱말을 모두 사용하여 대화를
완성할 때, 빈칸 (a)에 들어갈 말로 알맞은
것은?

A : Dans ma chambre, mon bureau


est très petit.
B : Comment tu fais pour étudier ?
10 빈칸에 들어갈 말로 알맞은 것은? A : J’utilise
A : On va au cinéma samedi soir ? (a) .
B : Ah, j’ai rendez-vous avec Léa. <보 기>
A : Tu la vois les samedis ? de(d’) une autre
B : Non, pas toujours. celui pièce

① tous ② autres ① de(d’) ② une


③ mêmes ④ plusieurs ③ autre ④ celui
⑤ quelques ⑤ pièce

EBS 수능특강 프랑스어 I • 126 • 14강 Qu’est-ce qu’elle en pense ?


15 D’accord, c’est très gentil.
학습목표 l 제안, 권고, 승낙, 거절 등의 표현을 할 수 있다.
l 프랑스 영화와 뮤지컬에 대하여 알아보고 이해할 수 있다.
l 부정대명사를 이해하고 활용할 수 있다.

1. 제안하기 - 승낙하기

Minju : J’aimerais bien visiter les châteaux de la Loire. Tu viens avec moi ?
Greg : Oui, si tu veux. Je peux t’emmener voir le château de Chambord.
Minju : Chambord ?
Greg : Oui, c’est un très grand château. Je suis sûr que ça va te plaire.
Minju : D’accord, c’est très gentil.
Greg : On peut en visiter deux dans la journée. Il y a le château de Cheverny pas très loin.
Minju : Cheverny ? C’est le château de Tintin, n’est-ce pas ?
Greg : Oui, tout à fait. Hergé s’est inspiré de ce château. En plus, si tu aimes Tintin,
tu peux y acheter quelques souvenirs très sympas.
* emmener : 데려 가다 * s’inspirer : 영감을 얻다

어휘 풀이

• visiter : 방문하다 • tout à fait : 완전히


• château : m. 성(城) • en plus [plys] : 게다가
• sûr(e) : 확신하는, 틀림없는 • acheter : 사다
• gentil(gentille) : 친절한 • quelques : 몇몇
• journée : f. 하루, 낮 동안 • souvenir : 기억하다 m. 기념품
• loin : 멀리 • sympa(sympathique) : 호감을 주는, 상냥한

표현 연구

1. J’aimerais bien visiter les châteaux de la Loire. : Loire 강의 성(城)들을 방문하고 싶어.
J’aimerais는 J’aime의 완곡한 표현으로 희망을 나타낸다.

2. si tu veux : 네가 원한다면
si vous voulez : 당신이 원하신다면

3. Je suis sûr que ça va te plaire. : 그것이 네 마음에 들 거라고 확신해.


être sûr que +절 : que 이하를 확신하다

4. On peut en visiter deux dans la journée. : 우리는 한 나절에 두 곳 방문할 수 있어.


en은 수사 deux 다음의 châteaux를 대신하는 중성대명사이다.

EBS 수능특강 프랑스어 I • 127 • 15강 D’accord, c’est très gentil.


본문 해석

민 주 : Loire 강의 성(城)들을 방문하고 싶어. 너 나와 함께 갈래?


Greg : 그래, 네가 원한다면. Chambord 성에 데려갈 수 있어.
민 주 : Chambord?
Greg : 응, 매우 큰 성이야. 네 마음에 들 거라고 확신해.
민 주 : 좋아, 고마워.
Greg : 우리 한 나절에 두 곳 방문할 수 있어. 그리 멀지 않은 곳에 Cheverny 성이 있어.
민 주 : Cheverny? Tintin의 성이지, 아냐?
Greg : 응, 맞아. Hergé가 이 성에서 영감을 얻었대. 게다가 네가 Tintin을 좋아하면
거기서 아주 괜찮은 기념품 몇 개도 살 수 있어.

문화 프랑스 영화제
세자르 영화제 : 프랑스 최고의 국내 영화제로 1976년 첫 회가 시작되어 지금
까지 이어오고 있다. 각 부문별 최고의 영화를 선정, 프랑스 영화계의 발전과
공헌에 기여한 이들을 시상하고 격려한다. 트로피를 직접 제작한 조각가 세자르
발다치니의 이름을 따서 ‘세자르 영화제’로 공식 명명되었다.

도빌 아시아 영화제 : 외과의사 알랭 파텔이 아시아 영화를 유럽인들에게 알리


려는 취지에서 1999년 시작되었으며 유럽에서 유일하게 아시아 영화만을
모아 상영하는 국제 영화제이다. 2001년 제3회 영화제에서 박찬욱 감독의
‘공동경비구역 JSA’가 대상·남우주연상·인기상 등 3개 부문을 수상했다.

클레르몽페랑 단편영화제 : 1979년 프랑스 중부의 작은 도시 클레르몽페랑


에서 열리는 국제 단편영화제로 ‘단편영화의 칸’이라고 불린다. 매년 1월 말
에서 2월 초에 열리며 핀란드의 탐페레 영화제, 독일의 오버하우젠 영화제와
함께 세계 3대 단편영화제로 꼽힌다.

의사소통 기본 표현

Si on allait au restaurant ? 식당에 갈까요?


제안
On va au cinéma ? 영화관에 갈까요?
혹은
Je peux vous aider ? 도와드릴까요?
권하기
Vous avez besoin d’aide ? 도움이 필요하십니까?
D’accord ! 찬성입니다! / 좋습니다!
승낙
C’est une bonne idée. 좋은 생각입니다.
하기
Avec plaisir. 기꺼이 (승낙합니다).
Non, merci. 사양합니다.
거절 Je suis désolé. Je ne peux pas. 미안합니다. 할 수 없습니다.
하기 C’est gentil / Je veux bien, mais je suis 감사하지만 / 그러고 싶지만, 이미 약속이
déjà pris. 있습니다.

EBS 수능특강 프랑스어 I • 128 • 15강 D’accord, c’est très gentil.


2. 제안하기-거절하기

Emma : Je vais retrouver Charles dans un café de Montmartre. Tu viens avec moi ?
Alice : Désolée, je ne peux pas. J’ai un rendez-vous dans 20 minutes.
Emma : C’est dommage ! Et demain, tu fais quoi ? Tu viens dîner chez moi ?
Alice : Demain, ce n’est pas possible. Je dîne chez mes parents.
C’est l’anniversaire de mon père.
Emma : Je comprends. Et dimanche ? Je vais faire une promenade dans le parc avec Lise.
Viens avec nous. Il va faire très beau !
Alice : Oui, dimanche je suis libre. Je vais y aller avec plaisir.

어휘 풀이

• retrouver : 다시 발견하다, 만나다 • parents : m. pl. 부모


• désolé(e) : 유감스러운, 미안한 • anniversaire : m. 생일, 기념일
• rendez-vous : m. 약속 • comprendre : 이해하다
• dommage : m. 손해, 유감스러운 일 • dimanche : m. 일요일
• demain : 내일 • promenade : f. 산책
• dîner : 저녁식사를 하다 m. 저녁식사 • parc : m. 공원
• chez : ~의 집에 • libre : 자유로운, 한가한
• possible : 가능한 • plaisir : m. 기쁨, 즐거움

표현 연구

1. Désolée, je ne peux pas. : 미안해, 할(갈) 수 없어.


je ne peux pas는 거부의 표현으로 ce n’est pas possible로 바꿔 쓸 수 있다.

2. C’est dommage. : 유감이네.

3. il va faire très beau ! : 날씨가 매우 좋을 거야!


aller +inf. : [근접미래] 곧 ~ 할 거야
Elle boit du café. 그녀는 커피를 마신다.
Elle va boire du café. 그녀는 커피를 마실 것이다.

4. Je vais y aller avec plaisir. : 기꺼이 갈게.


y는 dans le parc를 대신하는 중성대명사이다.
승낙의 표현으로 avec plaisir, volontiers, d’accord 등이 있다.

EBS 수능특강 프랑스어 I • 129 • 15강 D’accord, c’est très gentil.


본문 해석

Emma : Montmartre의 한 카페에서 Charles를 볼 거야. 너 나와 함께 갈래?


Alice : 미안해, 그럴 수 없어. 20분 후에 약속이 있어.
Emma : 유감이네. 내일 너 뭐해? 우리 집에 저녁 먹으러 올래?
Alice : 내일도 어려워. 부모님 댁에서 저녁 먹어. 아버지 생신이야.
Emma : 알겠어. 그럼 일요일은? 나 Lise와 공원에서 산책할 거야. 우리와 함께 가자.
날씨가 매우 좋을 거야!
Alice : 그래, 일요일은 나 한가해. 기꺼이 갈게.

문화 대표적인 프랑스 뮤지컬

Notre-Dame de Paris : Victor Hugo의 동명 소설을 바탕으로 만든


뮤지컬이다. 1998년 파리에서 초연한 이래 지금까지 3백만 명 이상의
관객을 동원해 프랑스의 ‘국민 뮤지컬’로 불릴 만큼 많은 사랑을
받았다. 이 뮤지컬의 가장 큰 특징은 대사 없이 ‘Le Temps des
Cathédrales’와 ‘Belle’ 같은 54곡의 아름다운 노래로만 구성된 것
이다.

Les Dix Commandements (십계) : 모세가 이집트의 왕 람세스로


부터 히브리민족을 해방시키고 약속의 땅으로 인도한다는 성경 출애
굽기의 내용을 바탕으로 한 뮤지컬로 2000년 크리스마스 시즌에
초연한 후 4년 간 2백만 명의 관객을 동원하면서 4백만 장의 음반
판매를 기록했다. 특히 사랑받은 곡이 ‘L’envie d’aimer’인데, 이곡은
2001년 ‘프랑스의 노래’로 선정되는 영광까지 누렸다.

Roméo et Juliette : 셰익스피어의 희곡 ‘로미오와 줄리엣’을 원작


으로 한 뮤지컬로 2001년 프랑스 초연 후 매년 상연하는 극장마다
매진할 정도로 큰 반향을 일으켰다. 프랑스 뮤지컬 특유의 곡예와
브레이크 댄스, 재즈 댄스, 왈츠 등 다양한 장르의 춤을 선보였다.
노래 ‘Aimer’, ‘Les Rois du Monde’는 2001년 유럽 지역 인기
음반에 주어지는 플래티넘 어워드를 수상했다.

Mozart, l’opéra Rock : 영화 ‘아마데우스’에서 영감을 받아 2009년


제작된 것으로 Palais des Sports de Paris에서 초연되었다. 모차
르트를 ‘시대를 거스른 최초의 록 스타’라는 색다른 관점에서 접근해
록 음악으로 구성한 것이 특징이다. 2010년 유럽 최고의 권위를
자랑하는 ‘NRJ 뮤직 어워즈’에서 3관왕(올해의 그룹상, 신인상, 노래
상)을 석권했다.

EBS 수능특강 프랑스어 I • 130 • 15강 D’accord, c’est très gentil.


수능 문법 포인트

I. 부정대명사
종류 의미 용법

사람이나 사물을 가리키며, ne와 함께 쓰이고 pas는 쓰이지


aucun(e) 아무도, 아무 것도
않는다. 일반적으로 ‘de +명사 / 대명사’에 의해 한정된다.

autre(s) 다른 것, 다른 사람 한정사(관사, 지시・소유・부정형용사) 뒤에 쓰인다.

l’un(e), 단독 혹은 접속사 et, ou 등과 함께 쓰이며, l’un, l’une는


les un(e)s 한 쪽(사람, 사물) ‘한 개, 한 쪽, 한 명’, l’autre는 ‘다른 쪽’의 의미로 쓰이고,
(autre와 함께 쓰임) l’un l’autre는 ‘서로’를 의미한다.

chacun(e) 각각, 각자 사람과 사물에 쓰이며 단수로만 쓰인다.

한 사람도, 아무도
pas un(e) 사람과 사물을 가리키며 부정문에서 ne와 함께 쓰인다.
어느 것도

quelqu’un 어떤 사람 : 단수
quelque chose 어떤 것 : 단수 quelques-un(e)s은 사람과 사물을 지칭한다.
quelques-un(e)s 사람, 사물 : 복수

quelqu’un의 부정형 대명사. 단독으로 쓰이거나, ne와


personne 아무도 (~않다)
짝을 이루어 부정문을 만들며 pas는 쓰일 수 없다.

quelque chose의 부정형 대명사. 단독으로 쓰이거나,


rien 아무것도 (~않다)
ne와 짝을 이루어 부정문을 만들며 pas는 쓰일 수 없다.

certain(e)s 어떤 사람(것)들 단수형은 없고 복수의 형태로만 쓰인다.

명사를 대신하는 경우: 남성, 여성 구별 없이 항상 복수형으로 쓰이며 앞에 관사 등


몇몇 사람, 여러 개 한정사 없이 사용된다.
plusieurs
명사처럼 쓰는 경우 : 앞에 나온 명사를 대신하거나 한정보어와 함께 사용되며
몇몇 사람 명사처럼 쓰는 경우는 항상 사람을 가리킨다.

le même
같은 것(들) 문맥이나 상황으로 확인된 (대)명사와 동일한 것을
la même
같은 사람(들) 의미한다.
les mêmes
단수 : 모든 것
(어떤 것의 전체)
tout는 사물을 지칭하며, 여성 단수형은 없다.
tout, tous, 복수 : 모두들, 모든
tous는 [tus], toutes는 [tut]로 발음한다.
toutes 것들(앞에 나온, 혹은
주어나 목적보어와 함께 사용하면 강조의 의미이다.
같은 문장 속 명사
대신)

EBS 수능특강 프랑스어 I • 131 • 15강 D’accord, c’est très gentil.


1. Aucun(e)
Je n’ai parlé à aucune d’entre elles. 나는 그 여자들 중 아무에게도 말하지 않았다.

2. Autre, Autres
Donnez-m’en un autre. 그것 하나 더 주세요.
Elle veut toujours aider les autres. 그녀는 늘 다른 사람들을 돕고 싶어 한다.
3. L’un(e), les uns
Les uns jouent, les autres travaillent. 한쪽 사람들은 놀고, 다른 한쪽 사람들은 일한다.
Ils s’asseyent l’un à côté de l’autre. 그들은 서로 나란히 앉는다.

4. Chacun(e)
Chacun a ses idées. 각기 자기 생각이 있다.
Ces chemises coûtent 20 euros chacune. 이 셔츠들은 각각 20유로이다.

5. Pas un(e) : Pas un n’est venu. 한 사람도 오지 않았다.


6. Quelqu’un, quelque chose
Quelqu’un t’a cherché ce matin. 오늘 아침에 어떤 사람이 너를 찾았어.
Avez-vous quelque chose à dire ? 무슨 할 말이 있습니까?
- Non, je n’ai rien à dire. - 아뇨, 할 말 없습니다.
7. Personne
Le temps n’attend personne. 시간은 아무도 기다리지 않는다.
Personne n’a répondu. 아무도 대답하지 않았다.
8. Rien
Je ne veux rien manger. 나는 아무 것도 먹고 싶지 않다.
Rien ne va plus. 모든 것은 끝장났다.
9. Certain(e)s
Parmi nous, certains sont d’accord. 우리 중 어떤 사람들은 찬성한다.

10. Plusieurs
Plusieurs d’entre eux sont partis. 그들 중 몇 사람은 떠났다.
Ils sont plusieurs à le penser. 그렇게 생각하는 사람이 여럿이다.
11. Même
Il n’est plus le même. 그 사람은 예전의 그가 아니다.
Tous les parents sont les mêmes. 모든 부모들은 똑같다.

12. Tout
Il a tout mangé. 그는 다 먹었다.
Regardez ces arbres : tous sont en fleurs. 저 나무들 좀 보시오. 모두 꽃이 피어 있소.
Nous vivons tous ensemble. 우리는 모두 함께 산다.
Elles sont toutes chez Hélène. 그녀들은 모두 Hélène 집에 있다.

EBS 수능특강 프랑스어 I • 132 • 15강 D’accord, c’est très gentil.


∙ 정답과 해설 29 ~ 30 쪽

1 밑줄 친 부분과 같은 발음이 있는 낱말은? 3 빈칸에 들어갈 말로 알맞은 것은?


D’où venons-nous ? Que sommes-nous ? A : Tiens ! Je t’offre un verre.
Où allons-nous ? B:
A : C’est dommage !
Alors à la prochaine fois !

① D’accord !
② Avec plaisir !
③ Pourquoi pas !
① août ② quoi ④ Oui, si tu veux.
③ réussir ④ cuisine ⑤ C’est gentil, mais j’ai du travail.
⑤ automne

4 빈칸에 들어갈 말로 알맞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A : Est-ce que tu es libre samedi


soir ?
B : Oui, pourquoi ?
A : C’est mon anniversaire. Je le fête
au restaurant, tu veux venir ?
B: !
A : Alors viens samedi à 19 h au resto
Arirang.

2 빈칸에 공통으로 들어갈 말로 알맞은 것은? * fêter : 축하하다

<보 기>
◦ Pierre vite. a. Volontiers
◦ Paris vingt arrondissements. b. Je suis vraiment désolé
① a ② va c. Génial ! Ça me fait plaisir
③ tient ④ court ① a ② b ③ a, c
⑤ comprend ④ b, c ⑤ a, b, c

EBS 수능특강 프랑스어 I • 133 • 15강 D’accord, c’est très gentil.


5 빈칸에 들어갈 말로 알맞은 것만을 <보기>에서 7 빈칸에 들어갈 말로 알맞지 않은 것은?
있는 대로 고른 것은?

A : Tu as fini tes devoirs de maths ? On fait


J’ai deux entrées la le
pour cuisine ?
concert
B : Non, pas encore. C’est dur ! de K-pop
J’ai ce
de soir.
la peine à ?
A: ? faire
B : Oui, c’est très sympa. Je n’aime pas du tout
faire la cuisine.
Bien sûr ! On se voit où ?
<보 기> La cuisine, pour moi
a. Je peux t’aider c’est facile et
b. On travaille ensemble ① On y va
c. Tu as besoin de mon aide ② Ça te dit
① a ② b ③ a, c ③ Si on y allait
④ b, c ⑤ a, b, c ④ Tu es occupé
⑤ Tu veux venir avec moi

8 뮤지컬 Notre-Dame de Paris에 대해 알 수


없는 것은?

Gilles Maheu a monté pour la


première fois la comédie musicale
6 빈칸에 들어갈 말로 알맞은 것을 <보기>에서 Notre-Dame de Paris, en 1998 à Paris
찾아 순서대로 바르게 배열한 것은?
au Palais des Congrès. C’est fait
A: ? d’après un roman de Victor Hugo, avec
B : Non, il y a une grande grève ! plus de 50 chansons. Cette comédie
A: ? musicale a eu un beau succès dans
B: ? beaucoup de pays du monde. Plus de
A : À Passy 3 millions de personnes l’ont vue en
B : Ma femme vient me chercher en France. Gilles Maheu est parti de
voiture. On peut vous aider. nouveau en tournée dans toute la
A : C’est vrai ? C’est très gentil de France à partir d’avril 2017.
votre part. * comédie musicale : 뮤지컬
<보 기> * roman : 소설
a. Vous devez aller où ① 1998년 초연되었다.
b. Il n’y a pas de bus aujourd’hui ② 50곡 이상의 노래로 구성되었다.
c. Alors, comment je peux aller chez ③ Victor Hugo의 소설에 기초하였다.
mon ami, moi ④ 프랑스에서 300만 명 이상 관람했다.
① a-b-c ② b-a-c ③ b-c-a ⑤ 2017년 1월부터 프랑스 전 지역을 다시
④ c-a-b ⑤ c-b-a 순회 공연했다.

EBS 수능특강 프랑스어 I • 134 • 15강 D’accord, c’est très gentil.


9 포스터와 대화의 내용으로 보아 알 수 없는 11 밑줄 친 부분의 쓰임이 옳지 않은 것은?
것은? ① Je l’ai fait moi-même.
② Ils restent les mêmes.
③ Je l’ai rencontré ici même.
④ Lui et moi, nous avons les mêmes
goûts.
⑤ Votre robe est belle et ma sœur a
A : Je vais à Cannes ce week-end, tu le même.
viens avec moi ?
B : Pour voir le festival ? Oui, je veux
bien. Mais ça se trouve où, Cannes ?
A : Dans le Sud, près de Nice. Cette
année, c’est le 70e festival, alors il
va y avoir beaucoup d’acteurs connus
partout dans le monde !
B : Ah bon ? Moi, je voudrais voir le
film coréen Okja.

① Okja est un film coréen.


② Cannes est dans le Sud de la France.
③ Le festival de Cannes est au printemps.
④ Beaucoup d’acteurs connus viennent
au festival de Cannes.
⑤ Le festival de Cannes est le premier
festival de film du monde.

12 빈칸에 들어갈 말로 알맞은 것만을 <보기>


10 빈칸 (a), (b)에 들어갈 말로 알맞은 것은? 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Être heureux ce n’est pas avoir Le professeur a demandé à tous

(a) , c’est n’avoir besoin de (b) ses élèves, mais n’a su


répondre.
d’autre.
<보 기>
(a) (b)
a. aucun b. pas un
① rien tout
c. personne d. quelqu’un
② rien aucun
③ tout rien ① a, d ② b, d
④ tout quelque chose ③ a, b, c ④ b, c, d
⑤ quelque chose tout ⑤ a, b, c, d

EBS 수능특강 프랑스어 I • 135 • 15강 D’accord, c’est très gentil.


16 Je suis quelqu’un de bien.
학습목표 l 편지쓰기와 관련된 표현들을 활용하여 상황에 맞게 사용할 수 있다.
l 다양한 프랑스 박물관에 대해 알 수 있다.
l 비교급과 최상급의 용법을 이해하고 정확하게 사용할 수 있다.

1. 편지쓰기

Londres, le 8 mars 2018


Chère Madame,
Je suis une amie de Karine Potter. Elle a logé chez vous l’an dernier pendant
trois mois. Et elle m’a donné votre adresse.
Je dois travailler à Paris de septembre à novembre prochain. Alors, je souhaiterais
savoir si vous accepteriez de me louer une chambre.
Je suis quelqu’un de bien. Et je n’ai pas dans l’idée d’inviter souvent des amis.
En attendant une réponse de votre part, je vous prie de recevoir, chère Madame,
mes meilleures salutations.

* loger : 묵다 * louer : 세놓다, 임대하다 * salutation : 인사

어휘 풀이
• cher(ère) : 친애하는, 소중한, 비싼 • accepter : 받아들이다
• dernier(ère) : 마지막의, 지난 • quelqu’un(e) : 어떤 사람, 누군가
• pendant : ~동안에 • souvent : 자주
• travailler : 일하다, 공부하다 • réponse : f. 답장, 대답
• prochain(e) : 다음의 • prier : 기도하다, 간청하다
• souhaiter : 바라다, 소망하다 • recevoir : 받다, 맞이하다
• savoir : 알다 • meilleur(e) : 더 좋은

표현 연구

1. Londres, le 8 mars 2018 : 편지의 우측 상단에 편지를 쓴 도시와 날짜를 표기한다.

2. Je souhaiterais savoir si vous accepteriez de me louer une chambre. : 저는 방을 제게 임대


해주실 수 있는지 알고 싶습니다.
souhaiterais와 accepteriez는 각각 souhaiter와 accepter 동사의 조건법 현재로 어조의 완화로
쓰였다.

3. Je n’ai pas dans l’idée d’inviter souvent des amis. : 저는 친구들을 자주 초대할 생각이
없습니다.
avoir dans l’idée de +inf. : ~할 생각이다

4. Je vous prie de recevoir mes meilleures salutations. : 마음으로부터 드리는 가장 경애하는 저의


인사말씀을 받아주십시오. 편지글의 끝맺기에 쓰는 관용표현이다.

EBS 수능특강 프랑스어 I • 136 • 16강 Je suis quelqu’un de bien.


본문 해석

2018년 3월 8일 Londres에서
사모님께,
저는 Karine Potter의 친구입니다. 그녀는 지난해 귀댁에서 3개월간 거주하였습니다. 그리고
그녀가 제게 귀댁의 주소를 알려주었습니다.
저는 다음 9월부터 11월까지 Paris에서 일을 해야 합니다. 그래서 방을 제게 세놓으실 수 있
는지 알고 싶습니다.
저는 반듯한 사람입니다. 친구들을 자주 초대하지는 않을 것입니다.
소식을 기다리겠습니다. 부디 안녕히 계십시오.

문화 프랑스의 박물관

Le musée Rodin : 파리에 있는 로댕미술관은 로댕이 1916년 자신이 소장


한 모든 작품과 함께 기증한 것이다. 광대한 정원도 훌륭하며「지옥의 문
La Porte de l’Enfer」,「생각하는 사람 Le Penseur」,「칼레의 시민들 Les
Bourgeois de Calais」등이 적소에 배치되어 있다. 로댕의 전 작품 외에도
그가 평생에 걸쳐 수집한 고대부터 현대까지의 뛰어난 미술작품과 방대한
자료가 소장 전시되고 있다.

Le musée de l’Orangerie : 1853년 나폴레옹 3세에 의해 튈르리 정원의


온실로 지어진 것이 1921년 국립박물관이 되었다. 1922년 모네가 기증한
작품의 전시를 시작으로 2006년「수련 Les Nymphéas」연작을 자연의 빛을
통해 감상할 수 있도록 새롭게 설계하였다. 또한 19세기 말부터 20세기
초의 세계적인 화가들의 그림을 한눈에 볼 수 있게 전시해 그림애호가들이
즐겨 찾는 세계적인 박물관이 되었다.

의사소통 기본 표현

주소 쓰기 22, rue de Seine, 75006 Paris, France 프랑스 파리 Seine 가 22번지

전자우편
jeandupont@orange.fr
주소 쓰기
Cher Paul / Chère Catherine 사랑하는 Paul / 친애하는 Catherine
서두 Chers papa et maman 사랑하는 아빠 엄마께
및 Monsieur le Président 회장님께
끝맺기 Bises 뽀뽀 (친한 사이 끝맺을 때)
Bien à vous 안녕히
Je t’embrasse 안아줄게 (키스를 보낸다)

EBS 수능특강 프랑스어 I • 137 • 16강 Je suis quelqu’un de bien.


2. 인터넷 상의 개인 일기 쓰기

Voilà ! Je m’appelle Jade. J’ai 14 ans et demi. Je vais au collège. J’aime


écouter de la musique. Dans ma classe, tout le monde tient son blog. Moi
aussi. J’ai plein de choses dans la tête, plein de questions. Je parle avec mes
copines mais quand j’écris, ce n’est pas comme quand je parle. Je peux mieux
décrire mes pensées à l’écrit. Mais les gens vont me lire, et est-ce qu’ils
vont m’aimer ? J’ai peur. Mais bon, en ce moment, je dois travailler. La
semaine prochaine, il y a un examen de maths. Je déteste les maths.

* blog : 블로그

어휘 풀이

• s’appeler : 이름이 ~이다 • quand : 언제, ~할 때


• demi(e) : (절)반의 • décrire : 묘사하다
• écouter : 듣다 • gens : m. pl. 사람들
• monde : m. 세계, 지구, 사람들 • lire : 읽다
• tenir : 잡다, 지니다, 쓰다 • peur : f. 공포, 두려움
• plein(e) : 가득 찬, 충만한 • moment : m. 순간, 잠시 en ce moment 지금
• chose : f. 것, 일, 물건 • semaine : f. 주, 일주일
• copain(copine) : n. 친구, 동료 • détester : 미워하다, 몹시 싫어하다

표현 연구

1. J’ai plein de choses dans la tête, plein de questions. : 머릿속이 가득 차 있고 의문이 많다.
* 수량을 나타내는 부사구 뒤에서 관사는 생략된다.
Ils ont trop de travail. 그들은 일이 너무 많다.
Il dit beaucoup en peu de mots. 그는 한두 마디로 많은 것을 말한다.
cf. Bien des gens vont venir lui rendre visite. 많은 사람들이 그를 방문하러 올 것이다.
‘bien de(많은 ~)’는 예외적으로 관사를 동반한다.

2. Quand j’écris, ce n’est pas comme quand je parle. : 나는 글을 쓸 때 말할 때와 같지 않다.


Il écrit comme il parle. 그는 말하듯이 글을 쓴다.

3. Mais les gens vont me lire, et est-ce qu’ils vont m’aimer ? : 하지만 사람들이 내 글을 읽고
나를 사랑해 줄까요?

EBS 수능특강 프랑스어 I • 138 • 16강 Je suis quelqu’un de bien.


본문 해석

자! 제 이름은 Jade에요. 저는 14살 반입니다. 중학교에 다녀요. 음악 듣기를 좋아해요. 저의 반


모든 애들은 자기 블로그를 가지고 있어요. 저도요. 제 머릿속에 뭔가 가득하고, 질문도 많아요.
제 친구들과 이야기를 하지만 글을 쓸 때는 말할 때와 같지 않아요. 저는 제 생각들을 글로 더
잘 표현할 수 있어요. 하지만 사람들이 제 글을 읽고 저를 좋아할까요? 저는 두려워요. 어쨌든
지금은 공부를 해야 해요. 다음 주에 수학시험이 있어요. 저는 수학을 매우 싫어해요.

문화 프랑스의 독특한 박물관

Le musée national du Moyen Âge : 1843년 중세문화 애호가의 소장품


덕택에 설립된 박물관으로 갈로・로마(gallo-romain) 문화에서 16세기 초
까지 골(Gaule)지방의 역사와 예술을 한눈에 볼 수 있게 전시해 놓고 있다.
6개의 태피스트리 연작인「유니콘과 함께 있는 귀부인 La Dame à la
licorne」등이 유명하다. 지하에 있는 온천은 갈리아지방에 보존된 갈로·
로마 유적 중에서 가장 눈길을 끈다.

Le musée de l’imprimerie de Nantes : Lyon 인쇄 박물관과 함께 프랑스의


주요 인쇄 박물관으로 꼽힌다. 15세기 중반 Johannes Gutenberg의 금속
활자로 대중화되기 시작한 서양 인쇄술의 발달사를 보여주는 문헌자료,
그림, 사진, 유물 등을 풍부하게 전시하고 있다. 나무, 금속 등 다양한 재질과
형태로 만들어진 18~20세기 인쇄 기계들이 전시관 안을 가득 채우고 있다.

Le musée du parfum : 파리 9구 스크리브 거리(rue Scribe)에 자리하고


있는 독특한 파리 박물관 중 하나로 나폴레옹 3세의 저택을 박물관 건물로
사용하고 있다. 1983년 향수 제조사 프라고나르 회사에 의해 세워져
‘Musée du Parfum Fragonard’로 불리기도 한다. 예술작품 같은 향수병
에 담긴 향수들을 시대별로 각각의 분위기에 어울리는 가구와 함께 전시
하고 있다.

Le musée de l’automobile Henri-Malartre : 리옹 아프리카 박물관, 리옹


인쇄 박물관과 함께 지역의 흥미로운 전시관으로 꼽힌다. 자동차 수집가인
Henri Malartre가 설립했으며 1972년 리옹 시가 인수하고, 19세기부터
오늘날까지 자동차, 오토바이, 전차, 자전거 등 교통수단의 역사와 관련된
다양한 자료들을 전시하고 있다. 1890년대에 만들어진 증기 자동차, 고가의
스포츠카, 시대별로 기능이 발전하는 엔진들도 인상적이다.

EBS 수능특강 프랑스어 I • 139 • 16강 Je suis quelqu’un de bien.


수능 문법 포인트

I. 비교급
1. 형용사와 부사의 비교
우등비교 (~보다 더) plus
동등비교 (~과 같은) aussi + 형용사 / 부사 + que
열등비교 (~보다 덜) moins

aussi ~ que는 부정문에서 si ~ que로 쓸 수도 있다.

(1) 형용사 비교 : 형용사는 수식하는 명사의 성과 수에 일치시킨다.


Vincent est plus fort que Julien. Vincent이 Julien보다 힘이 더 세다.
Audrey est aussi mince que sa sœur. Audrey는 언니만큼 날씬하다.
Cette pièce n’est pas si claire que les autres. 이 방은 다른 방들만큼 밝지 않다.
Elles sont moins gentilles qu’eux. 그녀들은 그들보다 덜 친절하다.

(2) 부사 비교 : 부사의 형태는 변화하지 않는다.


Jade habite plus loin de chez moi que Tom. Jade는 Tom보다 나의 집에서 더 멀리 산다.
Rose marche aussi vite qu’Enzo. Rose는 Enzo만큼 빨리 걷는다.
Ce vin coûte moins cher que l’eau. 이 포도주는 물보다 덜 비싸다.

(3) 특수 형태의 비교 : bon(s) / bonne(s)와 bien의 우등비교는 별도의 형태이다.


plus bon (×) → meilleur plus bonne (×) → meilleure
plus bons (×) → meilleurs plus bonnes (×) → meilleures
plus bien (×) → mieux
Sylvie est meilleure que Marc en anglais. Sylvie는 Marc보다 영어를 잘한다.
Louise chante mieux que Gabriel. Louise는 Gabriel보다 노래를 잘한다.
Hugo est moins bon en maths que Lucie. Hugo는 Lucie보다 수학을 덜 잘한다.
Théo comprend aussi bien que Zoé. Théo는 Zoé만큼 이해력이 있다.

2. 동사의 비교

plus
동사 + + que
moins

Anna travaille plus que Jules. Anna는 Jules보다 많이 일한다.


Les gens lisent moins qu’avant ? 사람들이 예전보다 책을 덜 읽나요?
Il a moins neigé qu’hier. 어제보다 눈이 덜 왔다.
préférer A à B = aimer mieux A que B : B보다 A를 더 좋아하다
Je préfère le sel au sucre. = J’aime mieux le sel que le sucre.
나는 설탕보다 소금을 더 좋아한다.

EBS 수능특강 프랑스어 I • 140 • 16강 Je suis quelqu’un de bien.


3. 명사의 비교

plus de
동사 + + 명사 + que
moins de

Emma a plus d’idées qu’Adam. Emma가 Adam보다 아이디어가 많다.


Ici, il y a plus de choses à voir que là. 이곳은 저곳보다 볼거리가 많이 있다.
Grâce à ce médicament, j’ai moins de maux de tête qu’hier.
이 약 덕분에, 나는 어제보다 머리가 덜 아프다.

Ⅱ. 최상급
1. 형용사, 부사, 명사, 동사의 최상급

우등 le / la / les + plus +형용사


형용사
열등 le / la / les + moins +형용사
우등 le plus +부사
부사
열등 le moins +부사
+ (de + 비교대상)
우등 le plus de +명사
명사
열등 le moins de +명사
우등 동사 le plus
동사
열등 동사 le moins

(1) 형용사의 최상급에서 정관사는 수식하는 명사의 성과 수에 따라 변화한다.


Alice est la plus grande de toute sa famille. Alice는 그녀 가족 중 가장 키가 크다.
Ce billet d’avion est le moins cher. 이 비행기 표가 가장 덜 비싸다 (가장 싸다.)
Voici les deux garçons les plus sympas. 여기 가장 호감이 가는 두 소년이 있다.
정관사 대신 소유형용사를 사용하여 최상급을 표현하기도 한다.
Mon plus grand plaisir est de te voir. 나의 가장 큰 즐거움은 너를 보는 것이다.

(2) 부사, 명사, 동사의 최상급에서 정관사는 항상 le이다.


Léo court le plus vite des cinq. Léo가 다섯 중에서 가장 빠르게 달린다.
Gabin a le moins de livres dans la classe. Gabin이 반에서 책을 가장 적게 가지고 있다.
Ce journal se vend le plus. 이 신문이 가장 많이 팔린다.

2. bon, bien의 최상급


우등 le / la / les + meilleur / meilleure / meilleur(e)s
bon
열등 le / la / les + moins bon / bonne / bon(ne)s
우등 le mieux
bien
열등 le moins bien
Ma voiture est la meilleure de mon village. 내 자동차가 마을에서 가장 좋다.
C’est ce livre que j’aime le mieux. 내가 가장 좋아하는 책이 이 책이다.

EBS 수능특강 프랑스어 I • 141 • 16강 Je suis quelqu’un de bien.


∙ 정답과 해설 31 ~ 32 쪽

1 ▢에 들어갈 글자를 모두 조합하여 만들 수 3 메시지를 보낸 목적으로 알맞은 것은?


있는 낱말은?
Salut Inès,
A : Qu’est-ce qu’on p▢end ? On fait la cuisine
Je suis désolée. Je voudrais bien
B : Il faut des p▢mmes de terre, des
venir. J’ai
Maisdelela15peine
juin, à j’ai un
lé▢umes, une boute▢lle de vin... examen faireimportant. Alors le 14
A : On achète des ▢raises ? juin, jeJedois
n’aime pas du
travailler.
B : Bonne idée, les enfants adorent ça. tout
Grosse bise,
La cuisine, pour
① avril ② bruit ③ frigo Camille
moi c’est facile et
④ guide ⑤ libre ① 감사 ② 거절 ③ 부탁
④ 사과 ⑤ 허락

4 전자 우편의 내용으로 알맞은 것은?

Salut Julien,
Tu es libre dimanche ? Il y a un
nouveau restaurant coréen à côté de
ma maison : il est très bon ! Pour y
aller, c’est très simple : tu descends
à l’arrêt de bus “rue Tiran”. Le
restaurant est en face d’un petit
jardin. Nous allons voir un film après
le dîner ?
Appelle-moi pour me dire si tu es
d’accord avec ce programme.
À bientôt.
Sarah

2 빈칸에 공통으로 들어갈 말로 알맞은 것은? ① Julien écrit à Sarah.


② Le rendez-vous est le matin.
○ S’il te plaît, -moi tranquille ! ③ Sarah demande une réponse par
○ Les enfants, je vous choisir téléphone.
vos crêpes. ④ Pour aller au restaurant, il faut prendre
① donne ② ferme le métro.
③ invite ④ laisse ⑤ Après le repas, Sarah propose d’aller
⑤ prends au théâtre.

EBS 수능특강 프랑스어 I • 142 • 16강 Je suis quelqu’un de bien.


5 빈칸에 들어갈 말로 알맞은 것은? 7 빈칸에 들어갈 말로 알맞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J’ai un examenOn d’anglais dans ?3


fait la cuisine
jours. Tu peux m’aider ?
J’ai de la peine à
Imaginez l’avenue la plus belle du faire
monde. Imaginez les restaurants : Je n’aime pas du !
tout Je veux bien t’aider.
toutes les cuisines du monde ! J’adore
La cuisine, pour moi
cette ville ! Je marche beaucoup et c’est facile et
visite les musées. Je me promène
<보 기>
à Central Park. Je visite Chinatown
a. Bien sûr
tout à l’heure !
b. Pas de problème
À bientôt, avec les photos.
c. Tu as de la chance
Bises,
Lila ① a ② c ③ a, b
④ b, c ⑤ a, b, c
① Salut Antoine !
② Cher Monsieur,
③ Ma chère maman,
④ Bonjour les filles !
⑤ Madame la directrice,

6 밑줄 친 부분을 통해 알 수 있는 것은? 8 포스터의 내용으로 보아 행사에 대해 알


수 없는 것은?

Bonjour ! Moi, c’est Souleymane. J’ai


treize ans. J’aime lire et m’intéresse
aux grands problèmes du monde. Je
suis jeune mais j’aime observer tout Du 28 janvier au 11 juin 2017
De 10 h à 17 h
pour changer le monde en bien. Je
Ouvert à tous
suis des cours de français dans mon
Entrée 10 €
collège. Je voudrais être journaliste Fermé le dernier lundi de chaque mois
plus tard.
① 휴관일 ② 개관 시간
① 국적 ② 기호 ③ 성격 ③ 관람 대상 ④ 전시 장소
④ 신분 ⑤ 장래 희망 ⑤ 전시 주제

EBS 수능특강 프랑스어 I • 143 • 16강 Je suis quelqu’un de bien.


9 오르세 미술관(Le musée d’Orsay)에 관한 11 표의 내용으로 보아 알 수 없는 것은 ?
글이다. 글의 내용과 일치하지 않는 것은?
Heures travaillées par semaine
C’est un grand musée ouvert en 1986.
Thomas 38 heures
Il se trouve dans le 7e arrondissement
de Paris. Avant, c’était une gare. Marie 35 heures
Victor Laloux l’a construite de 1898 à Clément 35 heures
1900. Aujourd’hui, il est l’un des plus
Adrien 20 heures
grands musées d’Europe. Le musée a
le plus de peintures impressionnistes. ① Adrien travaille le moins.
* peinture : 그림 ② Thomas travaille le plus.
* impressionniste : 인상파 화가 ③ Clément travaille aussi bien que
Marie.
① 1986년에 개관하였다.
④ Marie a moins de temps de travail
② Paris 7구에 위치하고 있다.
que Thomas.
③ Victor Laloux가 건축한 기차역이었다.
⑤ Clément a plus de temps de travail
④ 전 세계에서 가장 큰 미술관 중 하나다.
qu’Adrien.
⑤ 인상파 화가들의 그림을 많이 소장하고
있다.

10 빈칸에 들어갈 말로 알맞은 것은?


A : Tu as fait bon voyage ?
Tu n’es pas trop fatiguée ?
B : Merci, ça va. dur, 12 문장 표현이 옳은 것만을 있는 대로 고른
c’est le métro à Paris. Même 것은?
avec mes parents, j’ai toujours a. Ces fruits sont les meilleurs.
peur de prendre la mauvaise b. Marie, elle parle la plus mal.
direction. Alors, toute seule, tu c. Rose nettoie le mieux de sa classe.
imagines ! d. C’est le plus mauvais restaurant de
la ville.
① Le plus ② Le moins
③ Le mieux ④ La meilleure ① a, b ② a, c ③ b, d
⑤ Le moins bien ④ a, c, d ⑤ b, c, d

EBS 수능특강 프랑스어 I • 144 • 16강 Je suis quelqu’un de bien.


17 Vous pouvez me conseiller ?
학습목표 l 명령이나 충고, 부탁이나 요청에 대한 표현을 할 수 있다.
l 프랑스어권 만화에 대해 알아보고 그 특징을 이해할 수 있다.
l 전치사와 전치사구의 쓰임을 이해하고 활용할 수 있다.

1. 충고하기

Le vendeur : Bonjour, je peux vous aider ?


Le client : Oui, merci. Je cherche un CD pour offrir à une copine, mais je ne
sais pas quoi choisir. Est-ce que vous pouvez me conseiller ?
Le vendeur : Oui, bien sûr. Alors, votre amie aime quel type de musique ?
Le client : Je ne sais pas trop. Elle aime la musique moderne et elle adore danser.
Le vendeur : Je vous conseille la nouvelle compile électro-dance.
Il y a des DJs américains, anglais, français...
Le client : Non, elle déteste ça. Je suis désolé, mais je pense que je vais plutôt
revenir un autre jour.
Le vendeur : D’accord ! À la prochaine fois, monsieur !
* type : 유형, 종류 * compile électro-dance : 일렉트로 댄스 모음
* DJ : 디스크 자키

어휘 풀이

• aider : 돕다, 도움이 되다 • musique : f. 음악


• chercher : 찾다 • moderne : 현대의, 최신의
• offrir : 주다, 제공하다 • détester : 몹시 싫어하다
• quoi (+동사) : 무엇을, 어떻게 • autre : 다른, 어느
• choisir : 고르다, 선택하다 • prochain(e) : 다음의, 가까운
• conseiller : 충고하다, 권하다

표현 연구

1. Je ne sais pas quoi choisir. : 저는 무엇을 골라야 할지 모르겠습니다.


quoi +부정법(dire, faire, répondre...) : 무엇을 (말해야, 해야, 대답해야...) 할지

2. Est-ce que vous pouvez me conseiller ? : 저에게 조언해주시겠습니까?


conseiller +qc +à +사람 : ~에게 ~을 충고(조언)하다
conseiller +à +사람 +de +부정법 : ~에게 ~하라고 충고(조언)하다

3. un autre jour : 뒷날, 추후, 후일

4. À la prochaine fois ! : 다음에 또 오세요!

EBS 수능특강 프랑스어 I • 145 • 17강 Vous pouvez me conseiller ?


본문 해석

판매원 : 안녕하세요, 도와드릴까요?


손 님 : 예, 감사합니다. 여자 친구에게 줄 CD 하나를 찾고 있는데요.
무엇을 골라야할 지를 잘 모르겠어요. 저에게 조언 좀 해주시겠습니까?
판매원 : 예, 물론이죠. 그런데 당신 친구는 어떤 종류의 음악을 좋아하시나요?
손 님 : 잘 모르겠습니다. 그녀는 최신 음악을 좋아하고 춤추는 것을 매우 좋아해요.
판매원 : 손님께 새로 나온 일렉트로-댄스 모음곡을 추천하고 싶어요.
미국, 영국, 프랑스 등 각지의 디제이들이 있습니다.
손 님 : 아니요, 그녀는 그것을 싫어해요. 죄송하지만 추후에 다시 오겠습니다.
판매원 : 그러세요! 다음에 또 오세요!

문화 프랑스 국제 만화 영상 단지 (Cité internationale de la bande dessinée et de l’image)

프랑스 남서부의 산업도시이자 20세기 이후에는 국제적인 만화 도시로 변모


하고 있는 Angoulême에 있는 유명 전시관이다. Angoulême 종이 박물관
(Musée du papier d’Angoulême), Angoulême Saint-Pierre 대성당
(Cathédrale Saint-Pierre d’Angoulême) 등과 함께 이 지역의 주요 관광명
소로 꼽힌다. “프랑스 국제 만화 영상 단지(Cité internationale de la
bande dessinée et de l’image)”가 정식 명칭이지만 Angoulême 만화 박
물관(Musée de la bande dessinée), 프랑스 국립 만화 영상 센터(Centre
national de la bande dessinée et de l’image) 등으로도 불린다.

의사소통 기본 표현

Entrez ! 들어오세요!
명령하기 Écoutez-moi ! 제 말 좀 들어보세요!
Ne faites pas de bruit ! 소리 내지 마세요!

Je vous conseille de lire ce livre. 당신께 이 책의 독서를 권합니다.


충고하기 Fais attention aux voitures. 자동차들을 조심해라.
Tu dois m’écouter. 너는 내 말을 들어야 해.

Pouvez-vous répéter, s’il vous plaît ? 반복해 주실 수 있나요?


Encore une fois, s’il vous plaît. 한 번 더 부탁합니다.
부탁이나
Pardon, vous pouvez me passer le sel, 실례지만, 저에게 소금을 건네주시겠
요청하기
s’il vous plaît ? 어요?
Veux-tu m’apporter de l’eau, s’il te plaît ? 물 좀 가져다줄래?

EBS 수능특강 프랑스어 I • 146 • 17강 Vous pouvez me conseiller ?


2. 부탁이나 요청하기

Pierre,

J’ai appris que nous sommes dans le même hôtel. Je suis ici avec ma famille.
Je suis dans la chambre 27 et je reste encore deux nuits.
Si tu veux, on peut se voir. Tu manques à mes parents.
Peux-tu m’appeler (06 15 23 17 67) ou me laisser un message à la réception,
s’il te plaît ?
À plus tard.
Michel
* réception : 접수처

어휘 풀이

• apprendre : (들어서, 배워서) 알다, 배우다 • nuit : f. 밤, 일박


• même : 같은 • se voir : 만나다
• hôtel : m. 호텔 • manquer : 보고 싶다, 부족하다, 없다
• ici : 여기에 • appeler : 부르다, 전화 걸다
• famille : f. 가족 • laisser : 남기다, 맡기다
• chambre : f. 방 • message : m. 메시지
• rester : 체류하다, 남다 • tard : 늦게, 나중에

표현 연구

1. J’ai appris que ~ : ~라는 것을 알았다(배웠다)


J’ai appris que la vie n’était pas facile. 나는 인생이 쉽지 않다는 것을 배웠다.

2. Je reste encore deux nuits. : 나는 이틀을 더 머무를 거다.


nuit(s) : 숙박 일수를 말할 때 사용

3. Si tu veux, on peut se voir. : 네가 괜찮으면, 우리는 만날 수 있다.


Si tu(vous) veux(voulez) : 좋(으시)다면, 괜찮(으시)다면

4. Tu manques à mes parents. : 우리 부모님은 너를 보고 싶어 하신다.


A manque à B(사람) : B는 A를 보고 싶어 하다(그리워하다)

5. laisser un message : 메시지를 남기다


laisser un bon souvenir : 좋은 추억을 남기다

EBS 수능특강 프랑스어 I • 147 • 17강 Vous pouvez me conseiller ?


본문 해석

Pierre
우리가 같은 호텔에 있다는 것을 알게 됐어. 나는 가족과 함께 이곳에 있어.
나는 27호 방에 있고 이틀을 더 머무를 거야.
네가 괜찮으면, 우리는 만날 수 있어. 우리 부모님께서 너를 보고 싶어 하셔.
나에게 전화(06 15 23 17 67)해주거나 접수처에 메시지 남겨주겠니?
나중에 보자.
Michel

문화 프랑스 만화 산업의 발전

○ 만화 출판, 1987년 621편에서 2007년 4313편으로 최근 20년간


7배 증가
○ 1992년 일본만화 수입 및 1999년 미국 만화소설(Graphic novel)
흥행을 발단으로 만화관련 전시 및 행사 등 지속 성행
- 땡땡(Tintin), 블레이크와 모티머(Blake et Mortimer), 고양이(르
샤 : Le chat) 등 프랑스-벨기에 만화가 인기를 얻으면서 자서전·
여행기 등 다양한 장르의 만화 등장
○ 만화는 프랑스 출판 산업 매출액의 6.5%를 차지할 정도로 비중이
높음.
○ 프랑스 만화산업의 활성화 주요인
- 작품 및 작가의 다양성
- 유럽과 미국, 그리고 일본과 한국을 포함한 아시아와의 교류 증대
○ 일본 만화와 미국 코믹스를 제외한 신간 만화의 82.66%는 앨범
형태의 만화
- 장르별로는 유머가 324개(전체의 31.92%)로 상승 중
- 역사물은 196개(전체의 19.31%)로 증가
- 판타지는 233개(전체의 22.96%)로 2006년(242개, 23.16%)대비
감소
- 스릴러도 182개(전체의 17.93%)로 2006년(210개, 20.09%)대비
감소
- 어린이 만화는 80개(전체의 7.88%)로 2006년(102개, 9.78%)대비
감소
○ 신간 만화 외 새로운 형태의 앨범만화 출판
- 새로운 규격 또는 모델(전집 및 고급판)로 재편집, 출판된 만화는
712편으로 2006년 대비 100편(16.34%) 증가

EBS 수능특강 프랑스어 I • 148 • 17강 Vous pouvez me conseiller ?


수능 문법 포인트

I. 주요 전치사
1. à
시간 : À lundi ! 월요일에 봅시다!
장소 : Il est au cinéma. 그는 영화관에 있다.
부여 : Salut à tous ! 여러분 모두 안녕!
소유 : Il est à elle. 그것은 그녀의 것이다.
수단 : Comment vous y allez ? - J’y vais à pied. 거기 어떻게 가세요? - 걸어서 가요.

2. en
장소 : Tu es en Italie ? 너는 이탈리아에 있니?
상태 : C’est un arbre en fleurs. 꽃이 만발한 나무다.
수단 : Elle va à l’école en métro. 그녀는 지하철로 학교에 간다.
시간 : Il est arrivé en pleine nuit. 그는 한밤중에 도착했다.
Je suis née en 1976. 나는 1976년에 태어났다.

aller à / aller en 구분하기


à +도시 Je vais à Montpellier. 나는 Montpellier에 간다.
au (à +le) +남성국가 Habites-tu au Japon ? 너는 일본에 사니?
aux (à +les) +복수국가 Il est allé aux Pays-Bas. 그는 네덜란드에 갔다.
Nous sommes en France. 우리는 프랑스에 있다.
en +여성국가, 지방,
On est en Normandie. 우리는 Normandie 지방에 있다.
모음으로 시작하는 남성국가
Vous êtes en Iran ? 당신은 이란에 계십니까?

aller à / aller chez 구분하기


à +장소 Elle va à la poste. 그녀는 우체국에 간다.
Il est resté chez moi. 그는 나의 집에 머물렀다.
chez +사람, 직업인
Hier, il est allé chez le boulanger. 어제 그는 빵집에 갔다.

3. de
출신 : Il est d’Allemagne. Elle est du Japon. 그는 독일 출신이다. 그녀는 일본 출신이다.
소유 : C’est le fils de Catherine. 그는 Catherine의 아들이다.
시간 : Je travaille de 8 h à 21 h. 나는 8시부터 21시까지 일한다.
내용 : Elle boit un verre d’eau. 그녀는 물을 한잔 마신다.
수단 : Il vit de ses loyers. 그는 임대료로 살아간다.

4. pour
목적 : Il faut partir pour arriver à l’heure. 제 시간에 도착하기 위해 출발해야 한다.
시간 : Je suis en vacances pour trois jours. 나는 사흘간 휴가다.
찬성 : Elle est pour mon idée. 그녀는 내 생각에 찬성한다.

EBS 수능특강 프랑스어 I • 149 • 17강 Vous pouvez me conseiller ?


II. 시간 전치사와 전치사구
avant ~전에 (이야기, 사건 기준) après ~후에 (이야기, 사건 기준)
il y a ~전에 (발화점 기준) dans ~후에 (발화점 기준)
pendant ~동안 depuis ~전부터
jusqu’à ~까지 à partir de ~부터
de ~ à ~ ~부터 ~까지 au milieu de (시간의) 한가운데
Il rentre avant 8 heures du soir. 그는 저녁 8시 전에 귀가한다.
Elle l’a reçu il y a deux mois. 그녀는 두 달 전에 그것을 받았다.
Je dois le voir après le déjeuner. 나는 점심식사 후에 그를 만나야 한다.
Il va partir dans cinq jours. 그는 5일 후에 떠날 것이다.
Depuis combien de temps êtes-vous à Paris ? 언제부터 Paris에 계십니까?
On est parti en vacances au milieu de l’été. 우리는 여름이 한창일 때 휴가를 떠났다.

III. 장소 전치사와 전치사구


à gauche de ~ 왼쪽에 à côté de ~ 옆에
loin de ~에서 멀리 sous ~ 아래에
au milieu de ~ 가운데에 derrière ~ 뒤에
entre A et B A와 B 사이에 chez ~ 집에
près de ~ 가까이에 sur ~ 위에
en face de ~ 맞은편에 devant ~ 앞에
à droite de ~ 오른쪽에 dans ~ 안에
autour de ~ 둘레에 au sud(nord) de ~의 남(북)쪽에
Le magasin est à côté de chez lui. 그 가게는 그의 집 옆에 있다.
Je dîne entre 6 h et 7 h. 나는 6시와 7시 사이에 저녁을 먹는다.
Nous vivons au milieu du bruit. 우리는 소음 속에서 생활한다.
Elle habite près de la gare. 그녀는 역 가까이에 산다.

IV. 기타
avec ~와 함께, ~을 가지고 sans ~ 없이
par ~으로, ~마다 malgré ~의 뜻에 반하여, ~에도 불구하고
entre ~ 중에서 parmi ~ 중에서(셋 이상의 복수명사와 함께)
grâce à ~ 덕분에 à cause de ~ 때문에
Je suis d’accord avec toi. 나는 너와 의견이 일치한다.
Sans toi, il ne peut pas le faire. 네가 없다면, 그는 그것을 할 수 없다.
Il faut entrer par ici. 이쪽으로 들어와야만 한다.
Elle réussit malgré tout. 어떤 일이 있어도, 그녀는 성공한다.
Grâce à vous, il a pu passer l’examen. 당신 덕분에, 그가 시험을 치를 수 있었다.
Il est absent à cause d’un accident. 사고 때문에 그는 참석하지 못한다.

EBS 수능특강 프랑스어 I • 150 • 17강 Vous pouvez me conseiller ?


∙ 정답과 해설 33 ~ 34 쪽

1 밑줄 친 부분과 발음이 같은 것은? 3 빈칸에 들어갈 말로 알맞은 것은?


A : Cabinet Legendre, bonjour.
B : Bonjour, je voudrais prendre
rendez-vous avec monsieur Marc
Duchamp.
A : Oui, pour quand ?
B : Cette semaine, c’est possible ?
A : Cette semaine ? Attendez, je vérifie
① C’est génial. son emploi du temps... Mercredi,
② Elle est grande. c’est possible, l’après midi... après
③ Je peux goûter ? 15 heures.
④ Il mange une glace. B : Alors, .
⑤ Vous avez la grâce. A : Oui, très bien.
* cabinet : 사무실 * vérifier : 확인하다
* emploi du temps : 시간표

① à 16 h, s’il vous plaît


② c’est difficile pour moi
③ je vais prendre votre nom
④ encore une fois, s’il vous plaît
⑤ je vais vous proposer vendredi

4 빈칸에 들어갈 말로 알맞은 것은?

A : Bonjour, je voudrais parler à


monsieur Bernard.
B : Désolé, madame. Il est en réunion.
?
2 빈칸에 공통으로 들어갈 말로 알맞은 것은? A : Oui, pouvez-vous lui dire que
Sophie a appelé ?
Il y a une à
B : Oui. madame.
EN la SNCF le jeudi 02
A : Merci, au revoir.
juin. Alors c’est mieux B : Au revoir.
de prendre le bus * réunion : 회의
aujourd’hui.
* SNCF : 프랑스 철도공사 ① Il n’est pas là
② Vous avez l’heure
① grève ② sortie ③ Vous êtes en retard
③ entrée ④ arrivée ④ Vous attendez depuis quand
⑤ annonce ⑤ Voulez-vous laisser un message

EBS 수능특강 프랑스어 I • 151 • 17강 Vous pouvez me conseiller ?


5 빈칸에 들어갈 말로 알맞은 것만을 <보기> 7 글의 내용으로 보아 A가 전화를 건 목적으로
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알맞은 것은?

A : Salut ! Ça va ? A : Allô ? Bonjour, c’est Lydia à


B : Salut ! Moi, ça ne va pas. l’appareil.
Je ne suis pas en forme. B : Bonjour, ma chèrie.
A : Pourquoi ? Comment ça va ?
B : J’ai mal aux yeux. A : Pas très bien...
B : Qu’est-ce qui ne va pas ?
A : Oh là là, .
A : Je voudrais sortir aujourd’hui.
B : Merci. À demain !
Mais maman n’est pas d’accord.
<보 기> Qu’est-ce que je dois faire ?
a. rentre vite chez toi B : Je peux parler à ta mère.
b. je ne suis pas d’accord A : Oh ! Merci, papa. Je t’embrasse
c. tu dois aller chez le médecin très fort.
① a ② b ③ a, c ① 거절 ② 부탁 ③ 수락
④ b, c ⑤ a, b, c ④ 초대 ⑤ 홍보

8 글의 내용을 잘못 설명한 것은?


A : Qu’est-ce qu’on fait ce soir ?
On va au cinéma ?
6 빈칸에 들어갈 말로 알맞은 것은? B : D’accord. Qu’est-ce qu’on va voir ?
A : On dit du bien Des Dalton.
A : On va préparer la fête ensemble.
B : Je connais les BD de René Goscinny
B, C : D’accord !
et Morris. J’aime beaucoup.
A: .
A : Alors, on va voir ça ?
Toi, Sabrina, qu’est-ce que tu veux B : Bien. À quelle heure est la séance ?
apporter ? A : À 19 h 30. On peut se voir à 19 h ?
B : Un gâteau. B : Très bien. À tout à l’heure.
A : Et toi, Paul ? * BD : 연재만화 * séance : 상영(시간)
C : Des boissons, ça va ?
A : Très bien. Moi, pour la musique,
je vais apporter des CD.

① Vous n’êtes pas d’accord ① 영화의 원작은 만화였다.


② Il faut apporter quelque chose ② 영화 제목은 ‘Les Dalton’이다.
③ Je vais vous appeler plus tard ③ A는 원작 만화를 매우 좋아한다.
④ Ça fait trois jours qu’on fait la fête ④ 영화 상영 시간은 저녁 7시 30분이다.
⑤ Si on allait partir en vacances demain ⑤ 둘은 오늘 저녁 영화관에 가기로 했다.

EBS 수능특강 프랑스어 I • 152 • 17강 Vous pouvez me conseiller ?


9 만화(BD) 축제에 관한 것이다. 글과 그림의 11 문장의 표현이 옳은 것만을 있는 대로 고른
내용으로 알 수 없는 것은? 것은?

a. J’essaie de l’aider jusqu’à ici.


b. Il y a une place à libre.
26 / 27 / 28
Août 2016
c. Elle vient un jour sur deux.
Solliès-Ville
① a ② c ③ a, b
④ b, c ⑤ a, b, c

Au festival Solliès-Ville, vous pouvez


rencontrer beaucoup d’auteurs de BD.
Et puis, il y a un stage BD gratuit
pour les jeunes de 10 à 20 ans.
* auteur : 작가, 저자 * stage : 연수
* gratuit : 무료의

① 2016년 8월에 열린다.


② Solliès-Ville에서 열린다.
③ 많은 만화 작가들을 만날 수 있다. 12 <보기>의 단어들을 모두 사용하여 대화를
④ 이 축제는 2016년에 28번째로 열린다. 완성할 때 (a)에 들어갈 말로 알맞은 것은?
⑤ 전 참가자에게 무료 만화 연수를 제공한다. A : Je viens d’apprendre la bonne
nouvelle. Tu as résussi l’examen ?
Super !
B : Merci beaucoup.
A : As-tu des projets pour l’anneé
prochaine ?
B : Je ne sais pas.
10 빈칸 (a), (b)에 들어갈 말로 알맞은 것은? (a) ça.
* projet : 계획
A : Tu vas dîner (a) toi ?
B : Non, je veux dîner (b) ville. <보 기>
J(j)e P(p)our V(v)ois
(a) (b) (a) (b)
A(a)près V(v)acances
① à de ② de à
③ en dans ④ chez en ① je ② pour ③ vois
⑤ pour de ④ après ⑤ vacances

EBS 수능특강 프랑스어 I • 153 • 17강 Vous pouvez me conseiller ?


18 Il est interdit de nager ici.
학습목표 l 허락, 금지, 의무와 관련된 표현을 이해하고 활용할 수 있다.
l 프랑스인들의 스포츠 활동을 이해할 수 있다.
l 비인칭 동사 및 비인칭 구문의 형태와 쓰임을 이해하고 활용할 수 있다.

1. 허락하기, 금지하기

Jean-Paul : Excusez-moi, monsieur. Je peux nager ici ?


Le gardien : Non, je regrette. Il est interdit de nager ici.
Jean-Paul : Pourquoi ?
Le gardien : Parce que l’eau est froide et le lac est profond.
Jean-Paul : Ah bon ?
Le gardien : Oui. C’est pourquoi on ne doit pas nager ici.
Jean-Paul : D’accord.
Le gardien : Au revoir, monsieur !
* gardien : 경비원 * lac : 호수 * profond(e) : 깊은

어휘 풀이

• nager : 수영하다 • parce que : 왜냐하면


• regretter : 후회하다 • eau : f. 물, (강・호수・바다 등의) 물
• interdit(e) : 금지된 • froid(e) : 추운 m. 추위
• pourquoi : 왜, 무엇 때문에

표현 연구

1. Je peux nager ici ? : 여기서 수영할 수 있을까요?


= Vous me permettez de nager ici ?
Je peux ~ ? / Vous permettez ~ ? : 의문문 형식으로, 허락을 받는 표현으로 쓰인다.

2. Il est interdit de nager ici. : 여기서 수영하는 것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C’est interdit. 그것은 금지되어 있다.
Il est interdit de faire du bruit. 소음을 내는 것은 금지되어 있다.
Interdit de fumer. 금연.
Il ne faut pas manger ici. 여기서 먹으면 안 된다.
Tu ne peux pas partir en voyage seul(e). 너는 혼자서 여행을 떠날 수 없다.

3. C’est pourquoi : 그래서, 그렇기 때문에


Alain a marché longtemps, c’est pourquoi il est si fatigué.
Alain은 오랫동안 걸어서, 매우 피곤하다.

EBS 수능특강 프랑스어 I • 154 • 18강 Il est interdit de nager ici.


본문 해석

Jean-Paul : 실례합니다. 여기서 수영할 수 있을까요?


경 비 원 : 안 됩니다. 유감입니다. 여기서 수영하는 것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Jean-Paul : 왜요?
경 비 원 : 왜냐하면 물이 차고 호수는 깊기 때문입니다.
Jean-Paul : 아 그래요?
경 비 원 : 예. 그래서 여기서 수영하지 말아야 합니다.
Jean-Paul : 알겠습니다.
경 비 원 : 안녕히 가세요!

문화 프랑스의 전통 스포츠

페탕크 (La pétanque)


프랑스 남부지방에서 유래한 것으로 쇠공을 사용하는 운동경기이다. 지면에
선을 그어 기점을 정하고 작은 나무 공을 던져 목표물로 삼는다. 그런
다음 각자 공을 그 목표물에 근접하도록 던지는데 상대의 공보다 나무
공에 가까이 있으면 점수를 따는 스포츠이다. 코트는 폭이 4m, 길이
15m 정도의 넓이로 마련하며 지면이 고르지 않은 곳에서도 할 수 있다.
공은 쇠나 스테인리스로 만든다. 공은 상대방의 공과 구별될 수 있도록
홈이 새겨져 있거나 색이 칠해져 있다. 목표가 되는 공을 코쇼네(le
cochonnet)라 한다.

의사소통 기본 표현

Vous permettez ? 허락하시겠습니까?


허락받기 Je peux ... ? 내가 ~해도 될까?
On peut téléphoner ? 전화해도 될까요?

Tu ne peux pas sortir ce soir. 너는 오늘 저녁에 외출할 수 없어.


Il est interdit de fumer. 담배 피우는 것은 금지에요.
금지하기
Interdit de fumer. 금연
Il ne faut pas faire trop de bruit. 지나친 소음을 내서는 안 됩니다.

Tu dois terminer ce travail aujourd’hui. 이 일을 오늘까지 끝내야 한다.


의무 말하기 On est obligé de faire la queue. 줄을 설 수밖에 없어요.
Il faut venir à 8 heures. 8시에 와야 합니다.

EBS 수능특강 프랑스어 I • 155 • 18강 Il est interdit de nager ici.


2. 의무 말하기

François : Tu peux me donner un renseignement ?


Bernard : Oui, bien sûr.
François : Qu’est-ce que je dois faire pour avoir un visa pour les États-Unis ?
Bernard : Tu dois aller à l’ambassade des États-Unis avec les papiers nécessaires.
François : Quels papiers est-ce que je dois apporter ?
Bernard : Je ne sais pas. Tu dois téléphoner à l’ambassade.
François : Il faut un visa pour aller des États-Unis au Canada ?
Bernard : Je ne crois pas. Tu dois demander à l’ambassade ou chercher l’information
sur internet.
* visa : 비자, 사증 * ambassade : 대사관

어휘 풀이

• renseignement : m. 정보, 자료 • téléphoner : 전화하다


• papier : m. 종이, 서류 • croire : 믿다, 확신하다
• nécessaire : 필요한, 불가피한 • demander : 묻다, 요구하다
• apporter : 가져오다

표현 연구

1. Tu peux me donner un renseignement ? : 뭐 좀 물어 봐도 될까?


donner un renseignement : 정보를 주다
demander un renseignement : 문의하다
Pourriez-vous me donner un renseignement ? 문의 드려도 될까요?
Puis-je vous demander un renseignement ? 문의 드려도 될까요?

2. 의무 말하기 표현
Tu dois finir tes devoirs pour demain. 너는 내일 제출할 숙제를 끝내야만 한다.
On est obligés de payer le prix. 대가를 치러야 한다.
Il faut faire attention à sa ligne. 몸매 관리에 주의해야만 해.

3. 동사 devoir
devoir는 의무, 필연・숙명, 예정・미래, 추측・가능성 등 다양한 뜻을 가지고 있다.
Je dois rentrer chez moi. 나 집에 가야 된다.
Zoé ne doit pas sortir ce soir. Zoé는 오늘 저녁 외출하지 말아야 한다.
L’avion doit arriver dans 30 minutes. 비행기는 30분 후에 도착할 예정이다.
Mia doit être grande maintenant. Mia는 지금쯤 많이 자랐을 것이다.
Karim me doit dix euros. Karim은 내게 10유로 빚이 있다.

EBS 수능특강 프랑스어 I • 156 • 18강 Il est interdit de nager ici.


본문 해석

François : 뭐 좀 물어 봐도 될까?
Bernard : 응, 물론이지.
François : 미국 비자를 얻으려면 무엇을 해야 해?
Bernard : 미국 대사관에 필요한 서류를 들고 가야 해.
François : 어떤 서류를 가져가야 해?
Bernard : 모르겠어. 대사관에 전화해 봐.
François : 미국에서 캐나다 가려면 비자가 필요해?
Bernard : 그렇다고 생각하지는 않아. 대사관에 문의해 보거나 인터넷에서 정보를 찾아봐.

문화 프랑스의 인기 스포츠대회

투르 드 프랑스 (Le Tour de France)


1903년에 창설된 프랑스 일주 사이클 대회로, 세계 최고의 권위를 자랑
하는 사이클 경기 대회다. 매년 7월 약 3주간 프랑스 전역과 인접 국가를
일주한다. 장기 경주인데다가 난코스가 많아 ‘지옥의 경주’로도 불린다.
투르 드 프랑스는 구간 경기이다. 거리는 대략 4000 km로 1개의 프롤
로그와 대략 20개의 구간으로 이루어지며, 하루에 한 구간을 달린다.
파리 서쪽의 한 도시에서 시작하여 반시계방향으로 프랑스를 일주한 뒤
파리의 샹젤리제 거리에 입성한다.

르망 24시 (Les 24 heures du Mans)


Le Mans 24시는 스포츠 자동차 내구력(endurance) 시험 경주이다. 내
구력 비교를 목적으로 하는 경주인만큼 24시간 동안 누가 더 멀리 갔는
지를 가리는 시합이다. 프랑스 자동차 협회인 Automobile Club de
L’Ouest(ACO)가 주관하고 매년 6월 Le Mans에서 가까운 Circuit de
la Sarthe에서 개최된다. 6월은 1년 중 24번째 주가 들어있는 달이라
상징성을 띤다. 1923년 5월 26일과 27일 첫 회 Le Mans 24시 대회가
개최된 후로 몇 회를 제외하고 매년 6월에 대회가 개최된다.

프랑스 오픈 테니스 선수권 대회 (Roland-Garros)


프랑스 오픈 테니스 선수권 대회(Les Internationaux de France 혹은
Tournoi de Roland-Garros)는 프랑스 파리에서 5월 말부터 6월 초에
걸쳐 2주간 열리는 테니스 대회이다. 4대 그랜드 슬램 대회 중 하나로서
호주 오픈 다음에 연중 두 번째로 열리며, 세계에서 가장 권위 있는 클
레이 코트 대회이기도 하다. 그랜드 슬램 중 클레이 코트에서 열리는 대
회는 프랑스 오픈이 유일하며, 봄철 클레이 코트(court en terre battue)
시즌의 마지막 대회이다. 테니스 대회 중 전 세계 가장 많은 지역에 중계
되는 대회이다.

EBS 수능특강 프랑스어 I • 157 • 18강 Il est interdit de nager ici.


수능 문법 포인트

1. 비인칭 동사
비인칭 동사 : 비인칭 주어 인칭대명사 il과 함께 쓰이며 3인칭 단수로만 쓰이는 동사
(1) 날씨를 나타내는 동사들 : pleuvoir (비가 오다), neiger (눈이 오다)
Il pleut toute la journée. 하루 종일 비가 온다.
Il neige souvent en hiver. 겨울에는 눈이 자주 온다.

(2) falloir 동사
Il faut +부정법 / 명사 : ~해야 한다 / ~가 필요하다
Il faut être à l’heure. 제 시각에 와야 한다.
Il faut trente minutes pour y aller. 거기에 가려면 30분이 필요하다.

2. 비인칭 구문
(1) Il y a : ~이 있다
Il y a beaucoup de monde à la gare. 기차역에 사람들이 많이 있다.
Il y a un chat dans ma chambre. 내 방 안에 고양이 한 마리가 있다.

(2) 날씨 표현 : Il fait +형용사 / 명사


Il fait beau / mauvais. 날씨가 좋다 / 나쁘다.
Il fait chaud / froid. 날씨가 덥다 / 춥다.
Il fait bon / doux. 날씨가 쾌적하다 / 온화하다.
Il fait un temps magnifique. 기막히게 좋은 날씨다.
Il fait nuit / jour. 밤이 되다 / 날이 밝다.
Il fait 25°C. 섭씨 25도다.

(3) 시각을 나타내는 구문


Il est trois heures. 3시다.
Il est trois heures trente / et demie. 3시 반이다.
Il est trois heures quinze / et quart. 3시 15분이다.
Il est trois heures moins le quart. 3시 되기 15분 전이다.
Il est midi / minuit. 정오다 / 자정이다.
Il est tôt / tard. 이르다 / 늦다.

(4) Être 동사와 함께 쓰이는 구문들


Il est temps (= l’heure) de +부정법 : ~할 시간이다
Il est temps de partir. 떠나야 할 때이다.
Il est l’heure de monter dans le train. 열차에 타야 할 시간입니다.

EBS 수능특강 프랑스어 I • 158 • 18강 Il est interdit de nager ici.


(5) Il est +형용사 +de +부정법
Il est impossible d’y aller. 거기 가는 것은 불가능하다.
Il est possible de payer avec une carte. 카드로 지불하는 것은 가능하다.
Il est nécessaire de boire de l’eau. 물을 마시는 것이 필수적이다.
Il est facile de répondre à la question. 그 질문에 답하는 것은 쉽다.
구어체에서는 Il est 대신에 C’est가 쓰이기도 한다.
C’est difficile de changer d’avis. 의견을 바꾸는 것은 어렵다.
형용사의 성격에 따라 비인칭 구문이 불가능한 경우도 있다.
Il est heureux de te voir. 그는 너를 보아서 행복하다.

(6) Il arrive ~ : 일어나다


Qu’est-il arrivé à tes enfants ? 네 아이들에게 무슨 일이 일어났어?
Il lui est arrivé un problème. 그(녀)에게 문제가 생겼다.
Il m’est arrivé la même chose. 내게도 똑같은 일이 생겼다.

(7) Il manque ~ : ~가 부족하다


Il lui manque de bons amis. 그(녀)에게 좋은 친구들이 없다.
Il manque deux pages à ce livre. 이 책은 두 페이지가 누락되어 있다.

(8) Il reste ~ : ~이 남아있다


Il nous reste assez de temps. 우리에게 충분한 시간이 남아 있다.
Il ne me reste que quelques minutes. 나에게는 몇 분밖에 남아 있지 않다.
Il te reste beaucoup à faire. 너에게는 해야 할 일이 많이 남아 있다.

(9) Il semble ~ : ~ 같다, ~인 듯하다


Il lui semble la connaître déjà. 그는 이미 그녀를 알고 있는 듯하다.
Il me semble que c’est assez facile. 내게는 그것이 꽤 쉬워 보인다.
Il nous semble bon de venir tôt. 우리가 일찍 오는 것은 좋은 것 같다.
Il semble sûr que c’est important. 그것이 중요한 것은 확실한 것 같다.
Elle est déjà partie, semble-t-il. 그녀는 이미 떠난 것 같다.

(10) Il vient ~ : (생각・감정 따위가) 떠오르다, 생기다


Il me vient l’envie d’aller voir un film. 영화를 보러가고 싶은 생각이 든다.
Il ne me vient pas de bonne idée. 좋은 생각이 떠오르지 않는다.

(11) Il y va de +명사 / 대명사 : ~에 관계되다, (의) 문제이다


Il y va de votre avenir. 당신의 미래가 달린 일이다.

EBS 수능특강 프랑스어 I • 159 • 18강 Il est interdit de nager ici.


∙ 정답과 해설 35 ~ 36 쪽

1 ▢에 들어갈 글자를 모두 조합하여 만들 수 3 빈칸에 들어갈 말로 알맞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낱말은? 있는 대로 고른 것은?

A : Bonjour, madame. A : Excusez-moi, madame.


Puis-je vous aider ? attendre votre
B : Oui, merc▢. Je voudrais s▢voir tour.
qu▢l est le prix d▢ pantalon, s’il B : Vraiment ? Pardon, je ne le savais
vous plaît. pas.
A : Il c▢ûte 100 euros. A : Ça ne fait rien.
B : Est-ce que je peux l’essayer ? <보 기>
A : Oui, bien ▢ûr ! a. Il faut
① devoir ② droite b. Vous devez
③ oiseau ④ pauvre c. Vous êtes obligée d’
⑤ savoir d. Vous ne pouvez pas

① a, b ② a, c
③ b, d ④ a, b, c
⑤ b, c, d

4 그림과 설명이 일치하지 않는 것은?


① ②

Il faut faire Il faut aller


attention. tout droit.
③ ④

2 빈칸에 공통으로 들어갈 말로 알맞은 것은?


◦ Jérôme la tête. Il faut tourner Il ne faut pas
à droite. faire de moto.
◦ Laïla se coucher.

◦ Manon chez le dentiste.

① rend ② revient
③ retourne ④ retrouve Il ne faut pas
⑤ reconnaît aller à gauche.

EBS 수능특강 프랑스어 I • 160 • 18강 Il est interdit de nager ici.


5 빈칸에 들어갈 말로 알맞은 것은? 7 빈칸에 들어갈 말로 알맞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A : Pardon, madame. vous ne pouvez
pas utiliser votre portable. A : Excusez-moi, monsieur.
B : Mais ! fumer dans ce restaurant ?
C’est très important ! B : Je suis désolé, madame. Mais il est
A : Non madame, je suis désolée. interdit de fumer ici.
Ce n’est pas possible dans l’avion. A : Ah bon ? Où est-ce que je peux
Téléphonez-lui à l’aéroport, à fumer, alors ?
l’arrivée ! B : Vous pouvez fumer sur la terrasse.
Là-bas, c’est possible.
① mon mari peut me téléphoner
* terrasse : 테라스
② je dois téléphoner à mon mari
<보 기>
③ mon mari a le droit de téléphoner
a. Puis-je b. Faut-il
④ je ne peux téléphoner à mon mari
c. On peut d. Je dois
⑤ ce n’est pas la peine de téléphoner
① a, b ② a, c
③ b, d ④ a, b, c
⑤ b, c, d

6 빈칸에 들어갈 말로 알맞은 것은?


A : Je voudrais une chambre, s’il vous
8 대화의 중심 소재로 알맞은 것은?
plaît. Pour une personne. A : Les Jeux olympiques d’hiver étaient
B : Pour une personne... D’accord. formidables ! Tu es allé voir des
Ah ! Vous avez un chien ? matchs à Pyeongchang ?
A : Oui. B : Oui, je suis allé en voir plusieurs.
B : Je suis désolée, monsieur. Et toi ?
Mais prendre A : Moi non. J’ai regardé les Jeux
votre chien avec vous dans la olympiques à la télé.
chambre. B : Tu sais que la Corée a déjà
A : Mais comment ça ? organisé les Jeux olympiques d’été
B : Je regrette, monsieur. en 1988 ?

① ça ne fait rien A : Non, je ne savais pas.


* Jeux olympiques : 올림픽 경기
② ce n’est pas grave
* organiser : 조직하다, 개최하다
③ ce n’est pas la peine
④ ce n’est pas interdit de ① 문학 ② 미술 ③ 영화
⑤ ce n’est pas possible de ④ 음악 ⑤ 스포츠

EBS 수능특강 프랑스어 I • 161 • 18강 Il est interdit de nager ici.


9 대화의 내용으로 보아 밑줄 친 대회에 대해 11 문장 표현이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알 수 없는 것은? 대로 고른 것은?
<보 기>
A : Mon père va réserver des billets
a. Il est temps de partir.
pour Roland-Garros.
b. Qu’est-il arrivé à tes enfants ?
B : Roland-Garros, c’est quoi ?
c. Il est nécessaire à boire de l’eau.
A : C’est un tournoi de tennis à Paris.
d. Faut-il trente minutes pour y aller ?
B : Ah bon !
A : Il y a lieu depuis 1928. Chaque ① a, b ② a, c
année, c’est de la dernière semaine ③ c, d ④ a, b, d
de mai à la première semaine de ⑤ b, c, d
juin. C’est l’un des quatre tournois
du Grand Chelem.
* tournoi : 대회
* avoir lieu : 개최되다

① 매년 파리에서 개최된다.
② 4대 그랜드 슬램 대회 중 하나이다.
③ 제1회 대회는 1928년에 개최되었다.
④ 입장권은 1년 전부터 예약이 가능하다.
⑤ 5월 마지막 주부터 6월 첫째 주까지
진행된다.

12 <보기>의 낱말을 모두 사용하여 대화를


완성할 때 빈칸 (a)에 들어갈 말로 알맞은
것은?

A : Je n’arrive pas à apprendre ma


leçon.
B : Et tu ne sais pas pourquoi ?
A : Non. Pourquoi ?
B : D’abord, (a)
!
A : Ah... tu crois ?
10 밑줄 친 부분을 Jean으로 바꾸어 쓸 수 있는 B : Oui, après, il faut rester assis,
것은? tranquille.
① Il ne manque de rien.
<보 기>
② Il y va de votre avenir.
il la faut télé arrêter
③ Il te reste beaucoup à faire.
④ Il lui semble la connaître déjà. ① il ② la ③ faut
④ télé ⑤ arrêter
⑤ Il me vient l’envie d’aller le voir.

EBS 수능특강 프랑스어 I • 162 • 18강 Il est interdit de nager ici.


19 Appelez le médecin.
학습목표 l 건강 상태를 묻고, 아픈 곳을 말하고 축하의 표현을 활용할 수 있다.
l 프랑스의 영토 및 해외영토에 대하여 이해할 수 있다.
l 부정법 및 제롱디프의 용법을 이해하고 활용할 수 있다.

1. 건강 상태 묻기, 아픈 곳 말하기

Mme Rémy : Votre fille, comment va-t-elle en ce moment ?


Mme Lucet : Je m’inquiète. Hier soir, elle est rentrée de l’école avec un mal de tête.
Elle n’a pas voulu manger et elle n’a pas bien dormi.
Mme Rémy : Ce n’est peut-être rien de grave.
Mme Lucet : Mais j’ai toujours peur pour sa santé.
Mme Rémy : Alors, appelez le médecin. Vous avez le numéro de téléphone de M. Roux ?
C’est un bon médecin.

어휘 풀이

• moment : m. 잠깐, 시기, 때 • toujours : 늘, 항상


• s’inquiéter : 걱정하다, 불안해하다 • peur : f. 두려움, 겁
• rentrer : 돌아오다 • santé : f. 건강
• mal : m. 질병, 악 , 고통 • appeler : 부르다, 전화하다
• rien : 아무 것도 • numéro : m. 번호
• grave : 중대한, 심각한

표현 연구

1. en ce moment : 요즈음

2. Elle est rentrée de l’école avec un mal de tête. : 그녀는 두통을 느끼며 학교에서 돌아왔다.
‘rentrer(돌아오다)’는 복합과거 시제에서 ‘être’ 동사를 조동사로 취하며, 주어의 성・수에 따라
과거분사를 일치(rentrée)한다.
‘mal de tête’는 ‘두통’을 의미한다.

3. Elle n’a pas voulu manger et elle n’a pas bien dormi. : 그녀는 먹고 싶어 하지 않았고,
밤에는 잠을 잘 못 잤다.
복합과거의 부정형은 조동사의 앞에 ‘ne’, 뒤에 ‘pas’를 놓는다. 또한 복합시제에서 부사 bien은
조동사와 과거분사 사이에 놓는 것이 보통이다.

4. Ce n’est peut-être rien de grave. : 아마 심각한 일은 아닐 거예요.


부정대명사 rien을 수식할 때는 ‘de +남성 단수 형용사’ 또는 ‘à +동사’의 형태를 취한다.
Il n’y a rien de mieux à faire. 그게 할 수 있는 최선의 일이다.

EBS 수능특강 프랑스어 I • 163 • 19강 Appelez le médecin.


본문 해석

Mme Rémy : 댁의 딸이 지금은 어떻게 지내나요?


Mme Lucet : 걱정이에요. 어제 저녁, 두통을 느끼며 학교에서 돌아왔어요.
먹고 싶어 하지 않았고, 밤에는 잠을 잘 못 잤어요.
Mme Rémy : 아마 심각한 일은 아닐 거예요.
Mme Lucet : 그런데 저는 늘 딸의 건강이 걱정이에요.
Mme Rémy : 그러면 의사한테 전화해 보세요. Roux 선생님의 전화번호 갖고 계시죠?
그 분은 훌륭한 의사예요.

문화 프랑스의 영토

프랑스는 유럽에 있는 영토 이외에 다른 대륙에도 영토가 있다. 유럽에 있는 프랑스 본토만을 지칭


하여 ‘France métropolitaine’ 또는 Métropole(본국)’이라고 하며, 그 이외의 다른 지역을 ‘France
d’outre-mer(프랑스의 해외영토)’라고 부른다.

의사소통 기본 표현

Qu’est­ce que tu as ? 무슨 일이야 ?


건강 상태
Qu’est­ce qui ne va pas ? 어디 안 좋아?
묻기
Qu’est­ce qu’il y a ? 무슨 일 있니?

J’ai mal à la tête. 난 머리가 아파.


아픈 곳
Je suis malade. J’ai attrapé la grippe. 난 아파. 독감에 걸렸어.
말하기
Il s’est cassé la jambe. 그는 다리가 부러졌어.

Bon anniversaire ! / Joyeux anniversaire ! 생일 축하해! (생신 축하합니다!)


축하하기
Bravo ! / Félicitations ! 브라보! / 축하해! (축하합니다!)

Je vous souhaite une bonne année. 새해 복 많이 받으시길 기원합니다.


Joyeux Noël et bonne année ! 즐거운 성탄절 되고 새해 복 많이 받아!
기원이나 (받으세요!)
격려하기 Bon voyage ! 여행 잘 해! (잘 하세요!)
Bonnes vacances ! 멋진 휴가 보내세요! (되세요!)
Bonne chance ! 행운이 함께 하길! (하시길!)

EBS 수능특강 프랑스어 I • 164 • 19강 Appelez le médecin.


2. 축하하기

Lina : Lucas, ça y est, j’ai le bac !


Lucas : C’est vrai ? Bravo pour ton bac !
Lina : Merci. J’ai eu de la chance.
Lucas : Mais non ! Tu as passé des semaines à étudier.
Tu as même passé des nuits blanches ! Alors, qu’est-ce que tu vas faire ?
Lina : Je vais d’abord me reposer... Et toi ?
Lucas : Moi, j’ai trouvé un petit travail. Je commence à travailler la semaine prochaine.

어휘 풀이

• bac : m. 대학 입학 자격(시험) • même : ~조차, ~마저도


• bravo : 잘한다, 좋다 • faire : 하다
• chance : f. 행운 • se reposer : 쉬다, 휴식을 취하다
• passer : (시간을) 보내다 • trouver : 구하다, 얻다
• semaine : f. 주 • travail : m. 일(자리), 직업
• étudier : 공부하다 • commencer : 시작하다

표현 연구

1. Ça y est, j’ai le bac. : 됐어, 나 대학 입학 자격시험 통과했어.


‘ça y est’는 ‘됐다, 좋아, 그거야’의 의미이다.
‘j’ai le bac’은 ‘대학 입학 자격시험에 통과하다’라는 뜻으로 ‘j’ai réussi au bac’의 의미이다.

2. Bravo pour ton bac ! : (대학 입학 자격시험 통과한 것) 축하해!


* 축하의 표현 : Toutes mes félicitations ! / Je suis content(e) pour toi. /
Tu dois être content(e).

3. Tu as passé des semaines à étudier. : 넌 몇 주간을 공부하면서 보냈잖아.


‘passer qc à +inf. ’는 ‘ ~하면서 시간을 보내다’의 의미를 지니며, passer가 타동사의 기능을
할 때는 복합과거에서 avoir 동사를 조동사로 취한다.

4. Tu as même passé des nuits blanches ! : 심지어 며칠 밤을 새웠잖아!


‘passer une nuit blanche’는 ‘밤을 새우다’의 뜻이다.
même는 부사로서 ‘~조차’, ‘~마저도’의 의미를 지닌다.

5. Qu’est-ce que tu vas faire ? : 너는 뭐 할 거야? [aller +inf. : 근접미래]

6. Je commence à travailler la semaine prochaine. : 나는 다음 주에 일하기 시작해.


‘commencer à +부정법’은 ‘ ~ 하기를 시작하다’의 의미이다.

EBS 수능특강 프랑스어 I • 165 • 19강 Appelez le médecin.


본문 해석

Lina : Lucas, 됐어, 나 대학 입학 자격시험 통과했어!


Lucas : 정말이야? 축하해!
Lina : 고마워. 내가 운이 좋았어.
Lucas : 그렇지 않아! 넌 몇 주간을 공부하면서 보냈잖아. 심지어 며칠 밤을 새웠잖아!
그런데, 이제는 뭐 할 거야?
Lina : 우선은 좀 쉬려고... 그런데, 너는?
Lucas : 나는 아르바이트를 찾았어. 다음 주에 일하기 시작해.

문화 프랑스의 해외영토 (France d’outre-mer)

프랑스의 해외영토란 유럽 대륙 밖에
위치한 프랑스의 영토로서 DROM-COM
(départements et régions et collectivités
d’outre-mer), DOM-TOM(départements
et territoires d’outre-mer)이라고 한
다. 다음과 같은 12개 영토에 대략
270만 명의 주민들이 거주하고 있다.

위상 이름 주도 인구(명)
과들루프 (Guadeloupe) 바스테르 (Basse-Terre) 399,000
본토
프랑스령 기아나 (Guyane française) 카옌 (Cayenne) 260,000
행정구역
(départements 마르티니크 (Martinique) 포르드프랑스 (Fort-de-France) 400,404
et régions
레위니옹 (Réunion) 생드니 (Saint-Denis) 845,000
d’outre-mer)
마요트 (Mayotte) 자우지 (Dzaoudzi) 212,645

프랑스령 폴리네시아 (Polynésie française) 파피테 (Papeete) 272,800

생바르텔레미 (Saint-Barthélemy) 구스타비아 (Gustavia) 9,417


해외공동체
(collectivités 생마르텡 (Saint-Martin) 마리고 (Marigot) 36,407
d’outre-mer)
생피에르에미클롱 (Saint-Pierre-et-Miquelon) 생피에르 (Saint-Pierre) 6,057

왈리스에퓌튀나 (Wallis-et-Futuna) 마타우투 (Mata-Utu) 12,197


특별공동체
(collectivité 누벨칼레도니 (Nouvelle-Calédonie) 누메아 (Nouméa) 268,767
sui generis)
기타 남극과 남극 대륙의 프랑스령 (les T.A.A.F.) 레위니옹의 생피에르에서 관리 196

(출처 : https://fr.wikipedia.org, http://www.outre-mer.gouv.fr)

EBS 수능특강 프랑스어 I • 166 • 19강 Appelez le médecin.


수능 문법 포인트

I. 부정법(infinitif, 줄여서 inf.)


동사의 원형으로서, 동사가 지니는 의미를 나타내면서 동사의 기능과 명사의 기능을 동시에 갖는다.

1. 주어, 속사로 쓰인다.


Vivre, c’est agir. 산다는 것은 행동하는 것이다.

2. 동사의 보어로 쓰인다.


(1) 전치사 없이 부정법을 취하는 동사
aimer 좋아하다 devoir 해야 한다 pouvoir 할 수 있다
aller ~하러 가다 espérer 희망하다 préférer 더 좋아하다
compter ~할 셈이다 falloir 해야 한다 savoir 알다
désirer 바라다 penser 생각하다 vouloir 원하다
Tu sais faire la cuisine ? 너 요리할 줄 아니?
Je pense être libre demain. 내일 나는 한가할 것이라고 생각한다.

(2) ‘de +부정법’을 취하는 동사


accepter 받아들이다 essayer 노력하다 refuser 거절하다
arrêter 중지하다 finir 마치다 se dépêcher 서두르다
décider 결정하다 oublier 잊다
Nous essayons de finir nos devoirs. 우리는 숙제를 끝내려고 노력하고 있어요.
N’oubliez pas de prendre votre parapluie. 우산 갖고 가는 것을 잊지 마세요.

(3) ‘à +부정법’을 취하는 동사


apprendre 배우다 commencer 시작하다 réussir 성공하다
chercher 찾다, ~하려고 애쓰다 continuer 계속하다 se mettre 시작하다
Il se met à pleuvoir. 비가 오기 시작한다.
Les élèves cherchent à comprendre. 학생들은 이해하려고 애쓰고 있습니다.

(4) ‘à +사람 +de +부정법’을 취하는 동사


conseiller 충고하다 dire 말하다 proposer 제안하다
demander 요청하다 permettre 허락하다
Il a dit à Lola de venir dîner chez lui. 그는 Lola에게 자기 집에 저녁 먹으러 오라고 말했다.
J’ai conseillé à Paul de voir le médecin. 나는 Paul에게 병원에 가보라고 충고했다.

(5) ‘사람 +à +부정법’을 취하는 동사 : aider (돕다)


Tu peux aider Hugo à préparer son voyage ? 너 Hugo가 여행 준비하는 것을 도와줄 수 있니?

EBS 수능특강 프랑스어 I • 167 • 19강 Appelez le médecin.


(6) ‘사람 +de+부정법’을 취하는 동사 : prier (간청하다), remercier (감사하다)
Alice a prié le médecin de venir. Alice는 의사에게 와 달라고 요청했다.
Timéo a remercié son ami d’être venu. Timéo는 그의 친구에게 와 준 것에 대해 고마워했다.

3. 형용사의 보어로 쓰인다.


Nous sommes prêts à partir. 우리는 떠날 준비가 되어 있다.
Je suis content de vous voir. 당신을 만나 뵙게 되어 반갑습니다.

4. 독립절에서 동사의 용법으로 사용된다.


Comment faire ? 어떻게 해야 하나?
Ne pas prendre de photos. 사진 촬영 금지.

Ⅱ. 제롱디프(Gérondif)
1. 형태 : en + 현재분사
현재분사형 : 직설법 현재 1인칭 복수 어간 (어미 ‘ons’를 뺀 부분) + ant

직설법 현재 1인칭 복수 현재분사 직설법 현재 1인칭 복수 현재분사


(nous) regardons regardant (nous) finissons finissant

예외) avoir → ayant être → étant savoir → sachant

2. 용법
(1) 동시성
J’ai pris froid en attendant un taxi. 나는 택시를 기다리다가 감기에 걸렸다.
= Pendant que j’attendais un taxi, j’ai pris froid.

(2) 원인・이유
En courant trop vite, il est tombé. 그는 너무 빨리 달렸기 때문에 넘어졌다.
= Comme il courait trop vite, il est tombé.

(3) 수단・방법
On gagne sa vie en travaillant. 사람은 일을 함으로써 생계를 유지한다.

(4) 조건
On va arriver à l’heure, en prenant le métro. 지하철을 탄다면 정시에 도착할 것입니다.
= Si on prend le métro, on va arriver à l’heure.

(5) 양보・대립
(Tout) en étant fatiguée, elle a continué à travailler.
그녀는 피곤했지만 계속 일을 했다.
= Même si elle était fatiguée, elle a continué à travailler.

EBS 수능특강 프랑스어 I • 168 • 19강 Appelez le médecin.


∙ 정답과 해설 37 ~ 38 쪽

1 밑줄 친 부분과 같은 발음이 들어 있는 낱말은? 3 빈칸에 들어갈 말로 알맞은 것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A : Qu’est-ce qui ne va pas ?


B : J’ai attrapé la grippe.
① tomate ② prénom A : Oh là là, c’est grave ?
③ automne ④ monsieur B : Non, .
⑤ dictionnaire
<보 기>
a. ça va aller
b. j’appelle un médecin
c. je me sens déjà mieux
d. je vais vite être en forme

① a, c ② b, d
③ a, b, d ④ a, c, d
⑤ a, b, c, d

4 빈칸에 들어갈 말로 알맞은 것은?

Bonjour, j’aimerais savoir comment

Lola faire pour .

2 빈칸에 들어갈 말로 알맞은 것은? C’est simple ! Voilà 3 conseils :


D’abord, lève-toi toujours à la
Loilou
même heure. Et puis, le soir, ne
te couche pas tout de suite après
avoir mangé. Attends 1 h ou 2 h.
Enfin, fais de l’exercice tous les
jours.
* conseil : 충고, 조언
① bien dormir
② avoir un bon lit
① Si ② Fort ③ arriver à l’heure
③ Très ④ Assez ④ en manger à tout prix
⑤ Encore ⑤ acheter à manger par Internet

EBS 수능특강 프랑스어 I • 169 • 19강 Appelez le médecin.


5 빈칸에 들어갈 말을 <보기>에서 찾아 순서대로 7 빈칸에 들어갈 말로 알맞은 것은?
바르게 배열한 것은?
A : Ton fils a passé le bac cet été, non ?
A : Julien, viens, s’il te plaît. B : Oui, il l’a eu et il s’est inscrit à
? l’université.
B: ? A:
A : Elle est tombée malade. B : Merci beaucoup.
B: ?
① Avec plaisir !
A : Ça, je ne peux pas te le dire.
② Félicitations !
<보 기>
③ Ça va passer.
a. C’est grave
④ Pourquoi pas ?
b. Qu’est-ce qui lui arrive
⑤ Il ne fallait pas.
c. Tu peux aller chez Lily

① a-b-c ② a-c-b
③ b-a–c ④ b-c-a
⑤ c-b–a

8 DROM에 관한 대화이다. 내용으로 알 수 있는


것은?

A : La France, c’est aussi les DROM.


B : Les DROM ? C’est quoi ?
A : C’est la France d’outre-mer. La
6 빈칸에 들어갈 말로 알맞은 것만을 <보기>에서 France n’est pas qu’en Europe
있는 대로 고른 것은?
mais aussi dans d’autres parties
A : Je ne sais pas trop quoi faire. du monde. On compte cinq DROM :
B: ? la Guadeloupe, la Martinique, la
A : Ces jours-ci, je n’ai pas d’appétit. Guyane, la Réunion et Mayotte.
B : Pourquoi ? B : Alors, les DROM font partie de
<보 기> l’Union européenne ?
a. Tu penses A : Bien sûr !
b. Ça ne va pas * outre-mer : 바다 저편, 해외
c. Qu’est-ce que tu as ① 유럽연합에 속한다.
d. Comment tu le trouves
② 주력 산업은 어업이다.
① a, b ② b, c ③ 일부는 유럽에 위치한다.
③ c, d ④ a, b, c ④ Guadeloupe가 제일 먼저 편성되었다.
⑤ b, c, d ⑤ 프랑스 영토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미미하다.

EBS 수능특강 프랑스어 I • 170 • 19강 Appelez le médecin.


9 Guyane에 관한 글이다. 글의 내용과 일치 11 빈칸에 들어갈 말로 알맞은 것만을 <보기>
하지 않는 것은? 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La Guyane est au nord-est de A : J’ai trouvé un billet de 10 euros


l’Amérique du Sud, près du Brésil. La dans la rue.
forêt de l’Amazone occupe une grande B : Ah bon ? Quelle chance !
partie du pays. Avec 244 118 habitants,
<보 기>
la Guyane est la deuxième plus a. courant b. tout neuf
grande région de France, mais c’est
c. en marchant d. si tout va bien
celle avec le moins d’habitants après
Mayotte. Près de la ville de Kourou, ① a ② b, c
se trouve le site des fusées ③ c, d ④ a, b, c
européennes Ariane. ⑤ b, c, d
* forêt : 숲
* région : 지방 (프랑스의 행정단위)
* fusée : 로켓

① 브라질의 북동쪽에 위치한다.


② 프랑스에서 두 번째로 넓은 지방이다.
③ 국토의 많은 부분이 숲으로 덮여 있다.
④ Kourou 근처에는 아리안 로켓 지구가
있다.
⑤ 프랑스에서 Mayotte 다음으로 주민들의
수가 적은 지방이다. 12 <보기>의 낱말을 모두 사용하여 포스터의
빈칸을 완성할 때, (a)에 들어갈 말로 알맞은
것은?

Merci (a)
10 빈칸에 들어갈 말이 같은 것끼리 짝지어진 les toilettes.
것은?
① de
② ne
Tu t’intéresses (a) tourner
③ dans
un film et tu as envie (b)
④ rien
découvrir un parc en Afrique ? Alors,
⑤ jeter
je te propose (c) partir avec moi en
Namibie. Je vais t’aider (d) préparer
ce voyage.
<보 기>
① (a), (b) ② (a), (c)
de ne dans
③ (a), (d) ④ (b), (d)
rien jeter
⑤ (c), (d)

EBS 수능특강 프랑스어 I • 171 • 19강 Appelez le médecin.


20 Où allez-vous en vacances ?
학습목표 l 계획이나 희망에 대해 말할 수 있다.
l 프랑스 역사에 대해 알 수 있다.
l 부사와 접속사의 어법을 이해하고 활용할 수 있다.

1. 계획 말하기

Où allez-vous en vacances ?

Moi, j’aime aller à la mer. J’y vais presque tous les ans.
Cette année, je vais partir en voiture avec des copains. On
va y rester tout le mois d’août ! J’adore faire du surf. Le
soir, on va aller danser et faire la fête. Je pense que nous
allons passer des vacances vraiment super et revenir en
forme.
* presque : 거의 * surf : 서핑, 파도타기

어휘 풀이

• vacances : f. pl. 방학, 휴가 • août : m. 8월


• mer : f. 바다 • adorer : ~을 아주 좋아하다
• voiture : f. 자동차 • vraiment : 정말로
• copain(copine) : n. 친구 • super : 훌륭한, 멋진 (성・수 불변)
• rester : 남다, 머무르다 • revenir : 돌아오다
• mois : m. 월, 한 달 • forme : f. 심신의 (좋은) 상태, 컨디션

표현 연구

1. J’y vais presque tous les ans. : 나는 거기에 거의 매년 가.


y는 à la mer를 대신하는 중성대명사이다.
형용사 tout의 복수가 시간 명사 앞에 놓이면 ‘~마다’의 의미로 쓰인다.
tous les jours : 매일 tous les deux ans : 2년마다

2. On va y rester pendant tout le mois d’août ! : 8월 내내 거기에 있을 거야!


형용사 tout의 단수가 시간 명사 앞에 놓이면 ‘~내내’의 의미로 쓰인다.
toute l’année : 1년 내내 toute la journée : 하루 종일

3. nous allons passer des vacances vraiment super et revenir en forme. : 우리는 정말 멋진
바캉스를 보내고 건강해져서 돌아올 거야.
en forme : 건강(컨디션)이 좋은

EBS 수능특강 프랑스어 I • 172 • 20강 Où allez-vous en vacances ?


본문 해석

방학에 어디 가시나요?
저는 바다에 가는 것을 좋아합니다. 거의 매년 바다에 갑니다. 올 해는 친구들과 자동차로 가려고
합니다. 거기에서 8월 내내 머물 예정입니다! 저는 서핑하는 것을 아주 좋아합니다. 저녁마다 춤
추러 가고 파티를 할 겁니다. 저는 우리가 정말 멋진 바캉스를 보내고 건강해져서 돌아오리라고
생각합니다.

문화 레지스탕스 (Résistance)

레지스탕스는 ‘저항’이라는 뜻으로 제2차 세계대전 중인 1940년 6월 프랑스가 항복한 후에 런던


으로 도피한 드골이 BBC방송을 통해 프랑스 국민에게 호소한 ‘프랑스의 레지스탕스의 불길은
꺼져서는 안 되고, 또 꺼지는 일도 없을 것이다.’라는 말로 인해 일반화되었다. 당초 드골은 피해가
적었던 해군과 해외 식민지 주둔군대를 기반으로 한 저항을 호소한 것이었으나, 비시 정권하의
프랑스 내에서도 국민들의 저항은 계속되어 이 용어는 프랑스 국민들의 저항의 상징이 되었다.
레지스탕스에는 군인들뿐만 아니라 일반시민들도 대거 참여하여 다양한 활동을 펼쳤다. 이러한
반독일 저항운동은 독일에 의해 점령된 다른 유럽 국가들에서도 전개되었으며 이는 연합군의
승리에도 큰 기여를 하게 된다. 특히 프랑스의 저항운동은 광범위한 통일전선을 이루어 진행되
었으며, 이 통일전선을 기초로 하여 전후 신정부가 설립된다.
(출처 : 시사상식사전)

의사소통 기본 표현

Qu’est-ce que tu vas faire pendant les 너는 방학 동안에 무엇을 할 거니?


vacances ?
계획
- Je vais voyager en Afrique. -아프리카를 여행하려고 해.
말하기
Que voulez-vous faire après vos études ? 졸업하면 무슨 일을 하고 싶으세요?
- Je voudrais devenir professeur. -선생님이 되고 싶어요.

희망 J’aimerais visiter la France. 저는 프랑스를 방문하고 싶어요.


표현하기 Je voudrais être journaliste. 저는 (신문, 잡지, 방송)기자가 되고 싶어요.

EBS 수능특강 프랑스어 I • 173 • 20강 Où allez-vous en vacances ?


2. 계획・희망 말하기

Julien : Il faut penser à travailler un jour. Qu’est-ce que vous allez faire plus tard
dans la vie, vous autres ? Moi, je ne sais pas trop.
Paul : Tu n’as pas d’ambition, Julien ? Moi, je vais être médecin.
Daniel : Médecin ? C’est dur ! Moi, je voudrais être journaliste.
Les journalistes ont une vie intéressante, je pense.
Magalie : Moi, je voudrais travailler comme interprète. Donc, je dois étudier beaucoup
l’anglais.
* ambition : 열망, 야망 * interprète : 통역사

어휘 풀이

• falloir : ~해야 한다, ~이 필요하다 • journaliste : n. 기자


• penser : 생각하다 • intéressant(e) : 재미있는, 흥미로운
• tard : 늦게 • comme : ~로서, ~이기 때문에
• vie : f. 삶, 인생 • donc : 따라서, 그러므로
• autre : 다른, 다른 사람(것) • devoir : ~해야 한다
• savoir : 알다 • étudier : 연구하다, 공부하다
• médecin : m. 의사 • anglais(e) : 영국의 n. 영국사람 m. 영어
• dur(e) : 힘든, 어려운

표현 연구

1. Il faut penser à travailler un jour. : 장차 할 일에 대해 생각해야 해.


falloir +명사 : ~가 필요하다
Il faut du travail dans la vie. 살아가는 데 일이 필요하다.
falloir +동사원형 : ~해야 한다
Il faut se coucher tôt pour se lever tôt. 일찍 일어나려면 일찍 자야 한다.

2. Moi, je voudrais travailler comme interprète. : 나는 통역사로 일하고 싶어.


je voudrais는 je veux의 완곡한 표현이다.
comme : ~로서
Je l’ai choisie comme secrétaire. 나는 비서로 그녀를 뽑았다.

3. Donc, je dois étudier beaucoup l’anglais. : 따라서 나는 영어 공부를 많이 해야 한다.


devoir +동사원형 : ~해야 한다

EBS 수능특강 프랑스어 I • 174 • 20강 Où allez-vous en vacances ?


본문 해석

Julien : 장차 할 일에 대해 생각해야 해.
너희들 나중에 뭐 할 생각이야? 나는 잘 모르겠어.
Paul : Julien , 너는 야망이 없어? 나는 의사가 될 거야.
Daniel : 의사? 그건 힘들어! 난 기자가 되고 싶어.
내 생각에 기자들의 삶이 흥미진진한 것 같아.
Magalie : 나는 통역사로 일하고 싶어. 그래서 영어 공부를 많이 해야 해.

문화 프랑스의 역사

백년전쟁 (La guerre de Cent Ans) : 영국과 프랑스 사이에 백여 년간


(1337~1453) 벌어진 전쟁으로 프랑스의 왕위 계승 문제와 플랑드르
지방의 양모 공업을 둘러싼 이해관계가 얽혀 영국군이 침입함으로써
발단되었다. 전쟁 초기에는 영국이 우세하였으나 잔다르크의 활약에
힘입은 프랑스가 승리하여 잃었던 영토를 회복하였으며, 귀족이 몰락
하고 중앙 집권적 통일 국가가 들어서는 계기가 되었다.

낭트칙령 (L’édit de Nantes) : 앙리 4세가 1598년 36년간(1562~1598)


의 종교 내전을 종결지으면서 낭트에서 공포한 칙령이다. 이 칙령에
의해 신교도들도 가톨릭교도들처럼 신앙의 자유가 허락되었으며, 가톨
릭교도와 동등하게 공직 참여가 허용되었다. 하지만 종교적 갈등의
임시변통이었던 낭트칙령은 1685년 루이 14세에 의해 종료되었다.

드레퓌스 사건 (L’affaire Dreyfus) : 1894년 프랑스 군법 회의는 독일


군에 넘겨지려던 비밀 서류의 필적이 유태계 드레퓌스 대위의 것과
비슷하다는 이유로 간첩으로 몰아 종신형을 선고했다. 후에 범인이
밝혀졌지만 군부는 실수를 인정하지 않고 진범 에스테라지 소령에게
무죄 선고를 내려 여론은 ‘군의 명예와 국가 질서’를 내세운 반 드레
퓌스파와 진실·정의·인권 옹호를 부르짖는 드레퓌스 지지파 둘로 갈
라졌다. 격렬한 논쟁 속에 소설가 에밀 졸라가 ‘나는 고발한다
(J’accuse)’라는 제목의 신문 기고문으로 군부를 고발해 큰 반향을
일으키자 여론은 ‘무죄’로 돌아섰고, 1906년 드레퓌스는 무죄로 확정
되어 군에 복귀했다.

EBS 수능특강 프랑스어 I • 175 • 20강 Où allez-vous en vacances ?


수능 문법 포인트

I. 부사
1. 부사의 종류
(1) 시간 : maintenant (지금), déjà (벌써), enfin (드디어, 마침내), alors (그러면, 그 당시),
demain (내일), aujourd’hui (오늘), longtemps (오랫동안), tôt (일찍), tard (늦게) 등
Tu es où maintenant ? 너 지금 어디 있어?
(2) 장소 : ici (여기), là (저기, 여기), là-bas (저기에, 그곳에), partout (곳곳에) 등
Regarde ce garçon là-bas ! 저기 저 남자애 좀 봐!
(3) 수량 : assez (충분히), beaucoup (많이), peu (조금), trop (너무) 등
Il boit trop. 그는 (술을) 너무 마신다.
(4) 기타 : bien (잘), mal (나쁘게), surtout (특히), tout (아주), très (매우), vite (빨리) 등
Johanne habite toute seule. Johanne은 혼자 산다.

2. 부사의 용법
(1) 동사 수식
Il marche vite. 그는 빨리 걷는다.
(2) 형용사 수식
Elle est assez jolie. 그 여자는 꽤 예쁘다.
(3) 부사 수식
Je vais très bien. 저는 매우 잘 지냅니다.
(4) 문장 전체 수식
Heureusement, ma fille a réussi son bac. 다행히 내 딸이 바칼로레아에 합격했다.

3. 부사 만들기
(1) 형용사의 여성형 +ment
exact → exactement (정확하게) doux → doucement (부드럽게)
heureux → heureusement (행복하게)
(2) 모음으로 끝난 형용사
joli → joliment (예쁘게) poli → poliment (예의바르게) vrai → vraiment (정말로)
gentil → gentiment (친절하게)

4. 부사의 위치
(1) 동사를 수식하는 경우 뒤, 형용사나 부사를 수식하는 경우 앞에 위치하여 의미를 강조한다.
Elle parle vite. 그녀는 말이 빠르다.
C’est si bon. 참 맛있습니다.
Tu as bien travaillé. (복합시제에서는 조동사 뒤) 너 일 잘 했어.
(2) 문장 전체를 수식하는 경우 문장 앞이나 뒤에 위치한다.
Enfin, on a fini ce travail ! 마침내 이 일을 끝냈구나!

EBS 수능특강 프랑스어 I • 176 • 20강 Où allez-vous en vacances ?


5. 일부 남성 단수 형용사는 부사로도 쓰인다. : bas, blanc, clair, dur, fort, haut, léger, lourd 등
On doit manger léger. 우리는 가볍게 먹어야 한다.
Je ne vois pas clair sans mes lunettes. 나는 안경 없으면 선명하게 보지 못한다.
Parlez plus bas / fort. 더 작게 / 크게 말해 주세요.

6. 기타 부사구
d’abord 우선 à l’heure 정각에 de bonne heure 일찍
tout de suite 즉시 peut-être 아마도 tout à fait 완전히
de nouveau 다시 à peine 겨우 à peu près 거의
On se voit de nouveau lundi prochain. 우리는 다음 주 월요일에 다시 만난다.
C’est à peu près la même chose. 거의 같은 것이다.
Je suis tout à fait d’accord avec vous. 당신의 의견에 전적으로 찬성합니다.

II. 접속사
1. 대등 접속사
alors 그러면, 그래서 ni ~도 (아니다)
car 왜냐하면, ~이니까 ou 또는, 그렇지 않으면
donc 그러므로, 따라서, 그래서 puis 그러고 나서, 그 후에, 이어서
et 그리고, ~와 sinon 그렇지 않으면, ~을 제외하고는
mais 그러나, 그런데
Je pense, donc je suis. 나는 생각한다, 고로 나는 존재한다.
Il n’y a pas de bus, alors je suis venu à pied. 버스가 없어. 그래서 나는 걸어서 왔어.

2. 종속 접속사
comme ~이기 때문에, ~처럼 quand ~할 때, ~할 때마다
lorsque ~할 때, ~인데도 que ~를
parce que 왜냐하면, ~이기 때문에 si ~라면
puisque ~이기 때문에
Je crois qu’il est parti. 나는 그가 출발했다고 생각한다.
Je ne sors pas s’il pleut. 비가 오면 나는 외출하지 않을래.
car와 parce que, puisque, comme는 모두 이유를 나타내지만,
(1) car절은 문장의 앞부분에 쓰지 않는다.
Sors avec ton pull car il fait froid. (○) 날씨가 추우니 스웨터를 입고 나가라.
Car il fait froid, sors avec ton pull. (×)
(2) parce que는 pourquoi에 대한 답과, 단순한 이유 설명에 쓰며, c’est ~ que 강조문에도 쓴다.
C’est parce qu’il veut voir Marie qu’il vient ce soir.
오늘 저녁 그가 오는 것은 Marie를 보고 싶기 때문이야.
(3) puisque는 알고 있는 사실을 말하는 경우, comme는 주절에 선행하여 원인을 강조할 때 쓴다.
Puisqu’il pleut, on ne peut pas sortir. 비가 와서 우리는 외출할 수가 없다.
Comme il est gentil, il va t’aider. 그는 친절하니까 너를 도와줄 거야.

EBS 수능특강 프랑스어 I • 177 • 20강 Où allez-vous en vacances ?


∙ 정답과 해설 39 ~ 40 쪽

1 받아쓰기에서 밑줄 친 부분의 철자를 바르게 쓴 3 빈칸에 들어갈 말로 알맞은 것은?


것은?
A: ?
B : Je vais rester chez moi et lire des
Franck es français. Il abite en Italie livres. Et toi ?
    (a) (b) A : Moi, je vais aller en Tunisie avec
avec sa famme Véronique. mon mari.
(c)
B : J’ai très envie d’y aller un jour.
Franck et Véronique aiment le théâtre.
Ils bon souvent à l’opéra. ① Qu’est-ce que tu as
(d) (e) ② Où se trouve la Tunisie
③ Quand vas-tu partir en vacances
① (a) ② (b) ③ (c) ④ Tu as passé tes vacances avec qui
④ (d) ⑤ (e) ⑤ Qu’est-ce que tu vas faire pendant les
vacances

4 Sabine에 대해 알 수 없는 것은?

Après les examens,


je vais faire un stage
d’informatique. Ça va
m’aider à trouver un
travail.
2 빈칸에 들어갈 말로 알맞은 것만을 <보기>에서 Je vais voyager beaucoup partout en
있는 대로 고른 것은?
Europe, je parle déjà quatre langues :
A : Madame, pourriez-vous parler plus français, anglais, allemand et italien.
? Je vais chercher du travail en Europe
B : Oh pardon ! comme guide.
<보 기> * stage : 연수
a. bas b. fort
① 여행을 많이 할 것이다.
c. haut d. lent
② 4개 언어를 말할 수 있다.
① a, c ② b, d ③ 유럽에서 일을 구할 것이다.
③ a, b, c ④ a, b, d ④ 가이드 시험을 준비 중이다.
⑤ a, b, c, d ⑤ 컴퓨터 연수를 받을 계획이다.

EBS 수능특강 프랑스어 I • 178 • 20강 Où allez-vous en vacances ?


5 빈칸에 들어갈 말로 알맞은 것만을 <보기> 7 빈칸에 들어갈 말로 알맞은 것은?
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A: ?
A : Qu’est-ce que tu veux faire plus B : Je ne sais pas encore.
tard ? Je n’ai pas envie de sortir.
B: . A : Si on mangeait un morceau et
A : C’est vrai ? Moi aussi. prenait un verre ? Amusons-nous !
<보 기>
① Tu as faim
a. Je veux devenir cuisinier
② Tu es malade
b. J’aimerais faire le tour du monde
③ Où vas-tu cet été
c. Je voudrais travailler dans un hôtel
④ Qu’est-ce qu’il y a
① a ② c ③ a, b ⑤ Qu’est-ce que tu fais ce soir
④ b, c ⑤ a, b, c

6 B의 계획이 아닌 것은?
A : Qu’est-ce que tu vas faire après
le bac ? 8 글의 내용으로 보아 프랑스 역사박물관에
B : Je vais partir en France. Je voudrais 대해 알 수 없는 것은?
aller dans une école de langue à A : Je dois écrire un papier sur Henri
Bordeaux. Je vais étudier la langue IV. Comment faire ?
française pendant 3 mois et passer B : Va au château de Versailles ! On
un examen pour entrer à l’université. peut y connaître l’histoire française
A : Qu’est-ce que tu veux étudier en à partir d’Henri IV !
France ? A : Comment ? C’est le château de
B : Je voudrais étudier l’histoire de l’art. Louis XIV, n’est-ce pas ?
Je compte aussi faire le tour de B : Oui, mais le roi Louis-Philippe y
l’Europe pour voir les musées et a fait le musée de l’histoire de
pour visiter beaucoup de villes. France en 1837.
A : Bon courage ! * roi : 왕
① 예술사 공부 ① 1837년에 세워졌다.
② 유럽 박물관 방문 ② Versailles 궁에 있다.
③ 프랑스 대학 입학 ③ Louis-Philippe이 세웠다.
④ 유럽 국제기구에 취직 ④ 프랑스 혁명까지 기록되었다.
⑤ 3달 동안 프랑스어 어학연수 ⑤ Henri IV 이후 프랑스 역사를 알 수 있다.

EBS 수능특강 프랑스어 I • 179 • 20강 Où allez-vous en vacances ?


9 Belle Époque에 관한 글이다. 글의 내용으로 11 빈칸에 들어갈 말로 알맞은 것만을 <보기>
알 수 있는 것은? 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Depuis les années 1870 jusqu’à la Le soir, mes enfants font leurs
Première Guerre mondiale en 1914, devoirs mon mari et
on voit beaucoup de progrès dans la moi, nous préparons le repas.
vie des Français. On appelle ces <보 기>
années « la Belle époque » depuis la a. quand b. lorsque
Première guerre mondiale. c. alors que d. pendant que
* Première Guerre mondiale :
① a, d ② b, d ③ a, b, c
1차 세계 대전
* époque : 시대 ④ b, c, d ⑤ a, b, c, d

① 20세기 말까지를 가리킨다.


② 미인대회가 처음으로 생겼다.
③ 1차 세계 대전 이후의 시기를 말한다.
④ 이 시기에 프랑스에 많은 발전이 있었다.
⑤ 세계 대전 후 성공적인 복구를 의미한다.

12 밑줄 친 부분의 쓰임이 바르지 않은 것은?


Ce matin, je me suis réveillé
de bonne heure pour finir mon travail.
(a)
D’abord, j’ai pris du café au lait avec
  (b)
du pain. Je me suis à peine lavé.
        (c)
10 문장의 표현이 옳지 않은 것은? Je suis parti tout à fait à 7 heures.
① Ma fille travaille dur.          (d)
② On doit manger léger. Et puis, j’ai pris le métro de 7 h 10.
③ Cette fleur sent bon ! (e)
④ Cette valise est trop lourd. ① (a) ② (b) ③ (c)
⑤ On vend cher dans ce magasin. ④ (d) ⑤ (e)

EBS 수능특강 프랑스어 I • 180 • 20강 Où allez-vous en vacances ?


기본 어휘표

anniversaire : m. 생일, 기념일


2009 개정 교육과정 기본 어휘표 annonce : f. 알림, 안내, 광고
août : m. 8월
◦ 이 표에 제시된 기본 어휘는 사용을 권장한다. appareil : m. 기계, 기구
◦ 문법어를 제외한 동사, 명사, 형용사, 부사는 그 대표형만을 제시한다. appartement : m. 아파트
따라서, 다음과 같은 단어는 그 단어의 변화형도 아울러 포함하는 appeler (s’) : 부르다, 전화하다,
것으로 해석한다. 이름이 ~이다
∙ rentrer (rentré(e), rentrais, rentrerai, rentrant) appétit : m. 식욕
∙ œil (yeux), journal (journaux) apporter : 가져오다
∙ seul (seulement), vrai (vraiment) 등 apprendre : 배우다
◦ 문법 기능상 혹은 의미상 차이가 있더라도 형태가 동일한 단어는 개별 après : ~후에
적인 단어로 산정하지 않는다. après-midi : m. 오후
∙ le, la, les (관사 혹은 직접목적어대명사) arbre : m. 나무
∙ rentrée (rentrer 동사의 과거분사 여성형 혹은 명사) argent : m. 돈, 은
◦ 축약관사 au, aux, du, des는 전치사와 관사의 결합이므로 별개의 단어로 arrêter (s’) : 가로막다, 멈춰서다
제시하지 않는다. arriver : 도착하다
◦ ‘- (연결 부호)’로 연결된 복합어 중 그것을 구성하는 단어들로부터 arrondissement : m. 도시의 구(區)
의미를 쉽게 알 수 있는 복합어는 그 대표형만을 개별적인 단어로 art : m. 예술
제시하고 대표형만을 개별 단어로 산정한다. ascenseur : m. 엘리베이터
∙ dix (dix-sept, dix-huit, dix-neuf) asseoir (s’) : 앉다
∙ moi (moi-même), celle (celle-ci, celle-là) assez : 충분히, 꽤
◦ ‘- (연결 부호)’로 연결된 복합어 중 그 의미가 그것을 구성하는 단어들의 attendre : 기다리다

의미와 다른 복합어는 개별 단어로 산정한다. attention : f. 주의, 조심


attraper : 잡다, 붙잡다
∙ grand-père, grand-mère, peut-être
aucun(e) : 어떠한, 하나도
◦ (i)ème가 붙는 서수형용사는 개별 단어로 산정하지 않는다.
aujourd’hui : 오늘
◦ non plus, pas du tout, tout à fait, tout le monde 등과 같이 복합된
aussi : 또한
관용적 표현은 개별적인 단어로 취급하지 않는다.
automne : m. 가을
◦ 인명, 지명 등의 고유 명사나 상표명으로 사용된 단어는 새로운 단어로
autour : ~의 주위에
간주하지 않는다.
autre : 다른, 별개의
avant : ~전에, ~보다 먼저
* 낱말의 의미는 대표적인 의미를 agir : 행동하다, 처신하다 avec : ~와 함께
중심으로 수록함. ah : 아, 어, 야 (놀람・기쁨・감탄・ avenir : m. 미래
연민・불만 등을 나타내는 소리) avenue : f. (도시의) 큰 길
A aider : 돕다 avion : m. 비행기
à : ~에, ~에게, ~쪽으로 aimer : 사랑하다 avis : m. 의견, 견해
abord (d’) : 먼저 allemand(e) : 독일인, 독일의 avoir : 가지다
absent(e) : 결석한, 부재중인 aller, s’en aller : 가다, 가버리다 avril : m. 4월
accepter : 승낙하다, 받아들이다 allô : 여보세요
accident : m. 사고 alors : 그러면, 그래서 B
accord (d’) : 동감이야, 좋습니다 américain(e) : 미국인, 미국의 bac(baccalauréat) : m. 대학입학 자격
acheter : 사다 ami(e) : n. 친구 시험
acteur(actrice) : n. 배우 amuser (s’) : 즐겁게 하다, 즐기다 baguette : f. 바게트(막대기 빵)
addition : f. 계산서 an : m. 해, 연 (pl.) 젓가락
adorer : 매우 좋아하다 ancien(ne) : 오래전부터의, 이전의 bain : m. 목욕, 욕조
adresse : f. 주소 anglais(e) : 영국인, 영국의 banane : f. 바나나
aéroport : m. 공항 animal : m. 동물 banque : f. 은행
âge : m. 나이 année : f. 해, 연 bas(se) : 낮은, 낮게

EBS 수능특강 프랑스어 I • 181 • 부록 : 기본 어휘표


bateau : m. 배 ce (cet, cette, ces) : 이것, 저것, 그것 comprendre : 이해하다
beau(belle) : 잘생긴, 아름다운 ceci : 이것 compter : 세다, 고려하다
beaucoup : 많이, 대단히 cela : 저것, 그것 concert : m. 음악회, 연주회
belge : 벨기에인, 벨기에의 celle (celui, ceux, celles) : 그 사람, conduire : 운전하다
besoin : m. 필요, 요구 그 것 confiture : f. (과일) 잼
beurre : m. 버터 cent (centime) : 100, m. 상팀, (화폐) connaître : 알다
bibliothèque : f. 도서관 센트, 한 푼, 푼돈 conseiller : 권고하다, 충고하다
bien : 잘, 매우 centre : m. 중심, 중심지 construire : 건축하다
bientôt : 곧, 오래지 않아 certain(e) : 확실한, 어떤 content(e) : 만족한, 기뻐하는
bienvenue : f. 환영, 환대 chacun(e) : (전체 중의) 각각 continuer : 계속하다
bifteck : m. 비프스테이크 chaise : f. (팔걸이 없는) 의자 contre : ~에 기대어, ~에 반하여
billet : m. (철도, 극장) 표, 지폐 chambre : f. 방, 침실 conversation : f. 대화
bise : f. 뽀뽀, 볼에 하는 키스 chance : f. 운, 행운, 기회 copain(copine) : n. 친구, 동료
blanc(blanche) : m. 흰색, 흰색의 changer : 바꾸다, 교환하다 coréen(ne) : 한국인, 한국의
blesser (se) : 상처를 입다, 상처를 입히다 chanson : f. 노래 côté (à côté de) : m. 옆 (~옆에)
bleu(e) : 파란색의 chanter : 노래하다 coucher (se) : 재우다, 자다
blond(e) : 금발의 chanteur(chanteuse) : n. 가수 couleur : f. 색깔
boire : 마시다 chapeau : m. 모자 couper : 자르다
boisson : f. 음료수 chaque : 각각의, 각자의 courage : m. 용기
boîte : f. 상자, 케이스 chat(te) : n. 고양이 courir : 달리다
bon(bonne) : 좋은, 훌륭한 château : m. 성, (왕족·귀족의) 저택 courriel : m. 전자우편, 이메일
bonjour : m. 안녕하세요(낮 인사) chaud(e) : 더운, m. 뜨거움 cours : m. 강의, 수업
bonsoir : m. 안녕하세요(저녁인사) chaussure : f. 신발 court(e) : 짧은
boulangerie : f. 빵집, 제과점 chef : m. 우두머리, 책임자, 지휘자 cousin(e) : n. 사촌
bouteille : f. 병, 술병 chemise : f. 와이셔츠, 블라우스 coûter : 값이 ~이다
bras : m. 팔 cher(ère) : 친애하는, 사랑하는 cravate : f. 넥타이
bravo : 잘한다, 좋다 chercher : 찾다 crayon : m. 연필
bruit : m. 소리, 소음 cheveu : m. 머리털 crêpe : f. 크레이프
brun(e) : m. 갈색, 갈색의 chez : ~집에 croire : 믿다, 확신하다
bureau : m. 사무실, (사무용) 책상 chien(ne) : n. 개 croissant : m. 크루아상
bus : m. 버스 chinois(e) : 중국인, 중국의 cuisine : f. 주방, 요리
chocolat : m. 초콜릿 cuisinier(ère) : n. 요리사
C choisir : 선택하다, 고르다
ça : 이것, 저것, 그것 chose : f. 것, 일, 물건 D
cacher : 감추다, 숨기다 cinéma : m. 영화, 영화관 dame : f. 부인, 여성
cadeau : m. 선물 cinq : 5 dans : ~ 안에
café : m. 커피, 카페 cinquante : 50 danse : f. 춤
cahier : m. 공책 clair(e) : 맑은, 깨끗한, 분명한 danser : 춤추다
caisse : f. 계산대 classe : f. 교실, 수업 date : f. 날짜
campagne : f. 시골, 전원 classique : 고전의 de : ~의, ~부터, ~출신의
canadien(ne) : 캐나다인, 캐나다의 client(e) : n. 손님, 고객 debout : 서 있는 상태로
cantine : f. 급식실, 구내식당 collège : m. 중학교 décembre : m. 12월
capitale : f. 수도 combien : 얼마나 décider : 결정하다
car : 왜냐하면 commander : 지시하다, 주문하다 découvrir : 발견하다, 찾아내다
carnet : m. (쿠폰식) 승차권 comme : ~처럼 décrire : 묘사하다
carte : f. 카드, 우편엽서, 지도 commencer : 시작하다 degré : m. (기온) 도
casser (se) : 부수다, 깨어지다 comment : 어떻게 déjà : 이미, 벌써
cause (à cause de) : f. 이유 (~때문에) comparer : 비교하다, 대조하다 déjeuner : m. 점심식사, 점심 식사하다

EBS 수능특강 프랑스어 I • 182 • 부록 : 기본 어휘표


délicieux(se) : 맛있는, 감미로운 école : f. 학교 face (en face de) : f. 얼굴, 정면
demain : 내일 écouter : 듣다 (~의 맞은편에)
demander : 묻다, 요구하다 écrire : 쓰다 facile : 쉬운
demi(e) : (절)반의 église : f. 교회 faim : f. 굶주림, 허기
dentiste : n. 치과의사 élève : n. 학생, 제자 faire : 만들다, 하다
départ : m. 출발 elle (la, lui) : 그녀(그녀를, 그녀에게) falloir : 필요하다, ~해야만 하다
dépêcher (se) : 서두르다 elles (les, leur) : 그녀들(그녀들을, famille : f. 가족
depuis : ~이래, ~이래로 그녀들에게) fatigué(e) : 피곤한
dernier(ère) : 마지막의, 지난 embrasser : 껴안다 félicitation : f. (pl.) 축하
derrière : ~뒤에 employé(e) : n. 직원, 사무원 femme : f. 여자, 아내
descendre : 내려가다, 내리다 en : ~에(서), 그것의 fenêtre : f. 창, 창문
désirer : 원하다, 바라다 encore : 여전히, 아직도 fermer : 닫다
désolé(e) : 유감스러운, 애석한, 미안한 enchanté(e) : 매우 기쁜 festival : m. 음악(영화, 연극, 예술)제
dessert : m. 후식 enfant : n. 어린이 fête : f. 축제
dessin : m. 데생, 그림 enfin : 마침내, 겨우 feu : m. 불, 신호등
détester : 미워하다, 몹시 싫어하다 enlever : 없애다, 치우다 février : m. 2월
deux : 2 ennuyer (s’) : 지루하다 fille : f. 소녀, 딸
devant : ~앞에 ensemble : 함께 film : m. 영화
devenir : ~이 되다 ensuite : 그런 후, 곧이어 fils : m. 아들
devoir : m. 숙제, 의무 entendre : 듣다, 들리다 finir : 끝내다, 마치다
~해야 한다 entre : ~사이에 fleur : f. 꽃
dictionnaire : m. 사전 entrer : 들어가다(오다) fois : f. 번, 회
différent(e) : 다른 envie : f. 부러움, 질투, 욕망 foot(football) : m. 축구
difficile : 어려운 envoyer : 보내다 forme : f. 형태, 모양
dimanche : m. 일요일 épeler : 철자를 말하다 formidable : 놀라운, 엄청난
dîner : m. 저녁식사, 저녁 식사하다 espagnol(e) : 스페인인, 스페인의 fort(e) : 힘이 센, 강한
dire : 말하다 espérer : 기대하다, 희망하다 frais(fraîche) : 서늘한, 시원한 m. 비용
directeur(directrice) : n. (조직의) 장 essayer : 시도하다, 노력하다 fraise : f. 딸기
direction : f. 지도, 방향 est : m. 동쪽 français(e) : 프랑스인, 프랑스의
dix : 10 et : 그리고, 및 frère : m. 남자 형제
dommage : m. 손해, 유감스러운 일 étage : m. 층 frigo : m. 냉장고
donc : 그래서, 그러므로 été : m. 여름 froid(e) : 추운, m. 추위
donner : 주다 étranger(ère) : n. 외국인, 외국의 fromage : m. 치즈
dont : de에 의해 유도되는 보어를 être : ~이다, ~있다 fruit : m. 과일
대리하는 관계대명사 étude : f. 공부, 연구 futur : m. 미래
dormir : 잠자다 étudiant(e) : n. 대학생
douche : f. 샤워 étudier : 공부하다, 연구하다 G
doux(ce) : 부드러운, 달콤한, 온화한 euro : m. 유로 (화폐단위) gagner : (돈을) 벌다, 이기다
douze : 12 européen(ne) : 유럽의, 유럽인 garçon : m. 소년
drapeau : m. 깃발, 국기 exact(e) : 정확한 garder : 보살피다, 지키다, 간직하다
droit : m. 권리, 법, 법률 examen : m. 시험 gare : f. (기차의) 정거장, 역
바른, 곧은, 오른쪽의 excuser : 용서하다 gâteau : m. 과자, 케이크
droite : f. 오른쪽 exemple : m. 예, 본보기 gauche : f. 왼쪽, 왼쪽의
du : (부분관사 남성) 약간의 exercice : m. 연습, 훈련, 연습문제 général(e) : 일반적인
dur(e) : 단단한, 거친, 견디기 힘든 expliquer : 설명하다 génial(e) : 뛰어난, 훌륭한
exprimer : 표현하다 gens : m. pl. 사람들
E gentil(le) : 친절한
eau : f. 물 F glace : f. 얼음, 아이스크림, 거울

EBS 수능특강 프랑스어 I • 183 • 부록 : 기본 어휘표


gourmand(e) : 식도락을 즐기는, interdire : 막다, 금지하다 lent(e) : 느린, 천천히
n. 미식가 intéresser (s’) : ~에 관심을 갖다 lettre : f. 편지
goût : m. 맛, 기호, 취미 internet : m. 인터넷 leur (leurs) : 그(녀)들의
goûter : 맛을 보다 invitation : f. 초대 lever (se) : (물건을) 들다, 일어나다
grâce (à) : f. 은혜, 호의 (~덕분에) inviter : 초대하다 librairie : f. 서점
grand(e) : 큰, 커다란 italien(ne) : 이탈리아인, 이탈리아의 libre : 자유로운, 시간이 있는,
grand-mère : f. 할머니 비어있는
grand-père : m. 할아버지 J ligne : f. 선, 전선, 줄
grands-parents : m. pl. 조부모님 jamais : 결코 ~ 않다 lire : 읽다
grave : 심각한 jambe : f. (사람의) 다리 lit : m. 침대
grève : f. 파업 janvier : m. 1월 livre : m. 책
grippe : f. 유행성 감기 japonais(e) : 일본인, 일본의 loin (de) : ~에서 멀리
gris(e) : m. 회색, 회색의 jardin : m. 정원 long(ue) : 긴
gros(se) : 굵은, 두꺼운, 뚱뚱한 jaune : m. 노란색, 노란색의 longtemps : 오랫동안 m. 긴 시간
groupe : m. 무리, 그룹, 단체 je (me, moi) : 나 (나를, 나에게) lorsque : ~할 때
guichet : m. (매표소의) 창구 jeter : 던지다 lourd(e) : 무거운
guide : m. 안내인, 가이드 jeu : m. 놀이, 게임 lundi : m. 월요일
jeudi : m. 목요일 lune : f. 달
H jeune : 젊은 lunette : f. (pl.) 안경
habiller (s’) : (옷을) 입히다, 입다 joli(e) : 귀여운 lycée : m. 고등학교
habiter : 살다, 거주하다 jouer : 놀다, (놀이·게임) 하다, 연주 lycéen(ne) : n. 고등학생
haut(e) : 높은, 높게 하다
heure : f. 시간 joueur(joueuse) : n. 선수 M
heureux(se) : 행복한 jour : m. 낮, 날 machine : f. 기계, 기구
hier : 어제 journal : m. 신문, 일기, 뉴스, 신문사 madame : f. 부인
histoire : f. 역사, 이야기 journaliste : n. 기자 mademoiselle : f. 아가씨
hiver : m. 겨울 journée : f. 하루, 낮 동안 magasin : m. 상점, 백화점
homme : m. 사람, 남자 joyeux(se) : 즐거운 magnifique : 멋진, 굉장한
hôpital : m. 병원 juillet : m. 7월 mai : m. 5월
hôtel : m. 호텔 juin : m. 6월 main : f. 손
huit : 8 jupe : f. 치마 maintenant : 지금
jusque (jusqu’à) : ~까지 mais : 그러나
I maison : f. 집
ici : 여기에 K mal : m. 악, 어려움, 나쁜, 나쁘게
idée : f. 생각 kilo(kilogramme) : m. 킬로그램 malade : 아픈 n. 환자
il (le, lui) : 그 (그를, 그에게) kilomètre : m. 킬로미터 malgré : ~임에도 불구하고
île : f. 섬 maman : f. 엄마
ils (les, leur, eux) : 그 (그들을, L manger : 먹다
그들에게, 그들) là : 저기, 여기, 이곳에, 저곳에 manquer : 부족하다, 몹시 그립다
imaginer : 상상하다 là-bas : 저기에(서), 그곳에(서) marché : m. 시장, 장터
immeuble : m. 건물, 빌딩, 아파트 laisser : 남기다, 내버려 두다 marcher : 걷다, (기계가) 작동하다
important(e) : 중요한 lait : m. 우유 mardi : m. 화요일
impossible : 불가능한 langue : f. 언어, 혀 mari : m. 남편
information : f. 정보 laver (se) : 세탁하다, 씻다 marier (se) : 결혼시키다, 결혼하다
informatique : f. 정보과학 le (la, les) : 그를 (그녀를, 그들을) mars : m. 3월
ingénieur : n. 기술자, 엔지니어 leçon : f. 수업, (교과서의) 과, 교훈 match : m. 게임, 경기
inquiéter (s’) : 걱정하다 léger(ère) : 가벼운 maths(mathématiques) : f. (pl.) 수학
inscrire (s’) : 등록하다 légume : m. 야채, 채소 matin : m. 아침, 오전

EBS 수능특강 프랑스어 I • 184 • 부록 : 기본 어휘표


mauvais(e) : 나쁜 nationalité : f. 국적 par : ~을 통해서, ~에 의해
méchant(e) : 불친절한, 심술궂은 ne : (부정의 부사와 함께) ~가 아니다 parapluie : m. 우산
médecin : n. 의사 nécessaire : 필요한, 불가피한 parc : m. 공원
médicament : m. 약 neiger : 눈이 오다 parce que : 왜냐하면
meilleur(e) : 더 좋은, 더 맛있는 nettoyer : 청소하다 pardon : m. 용서
même : 같은, ~조차, ~마저 neuf : 9, 9의, 새로운 pardonner : 용서하다
menu : m. 메뉴, 식단 ni : (ne와 함께) ~도 아니다 parents : m. (pl.) 부모님
mer : f. 바다 noir(e) : m. 검은색, 검은색의 parisien(ne) : n. 파리사람
merci : m. 감사, 감사의 말 nom : m. 성, 이름 parler : 말하다
mercredi : m. 수요일 non : 아니오 parmi : ~중에(서)
mère : f. 어머니 nord : m. 북쪽 part : f. 몫, 부분
message : m. 메시지 notre (nos) : 우리의 partir : 떠나다, 출발하다
météo : f. 일기예보 nous : 우리(우리를, 우리에게) partout : 도처에, 사방에
métier : m. 직업, 일 nouveau(nouvelle) : 새로운 pas : (ne와 함께) ~아니다
mètre : m. 미터 novembre : m. 11월 passer : 지나가다, 들르다, 보내다
métro : m. 지하철 nuit : f. 밤 통과하다, 바꿔주다
mettre (se) : 놓다, 두다, 몸을 두다 numéro : m. 번호 pauvre : 가난한, 불쌍한
midi : m. 정오, 낮12시 payer : 지불하다, 치르다
mieux : 더 잘, 더 나은 O pays : m. 나라
milieu (au milieu de) : m. 한 가운데 obliger : 의무를 지우다, 강제하다 peine : f. 벌, 고통, 수고
(~의 중간에, ~의 한가운데에) observer : 준수하다, 관찰하다, pendant : ~동안에
mille : 천의 m. 천(1000) 조심하다 penser : 생각하다
million : m. 백만, 다수 occuper, s’occuper (de) : 차지하다, perdre : 잃다, 상실하다
mince : 날씬한 돌보다 père : m. 아버지
minuit : m. 한밤, 자정 octobre : m. 10월 permettre : 허락하다, 승인하다
minute : f. 분, 잠시 œil : m. 눈 (pl. yeux) personne : 아무도 f. 사람
moderne : 현대의, 최신의 œuf : m. 계란 petit(e) : 작은, 어린
moins : 덜, 더 적게 offrir : 제공하다, 주다 peu : 조금
mois : m. 월, 한 달 oh : 오오, 저런, 어머나 peur : f. 공포, 두려움
moment : m. 순간, 잠시 oiseau : m. 새 peut-être : 아마도
mon (ma, mes) : 나의 on (se, soi) : 일반 사람들, 우리 pharmacie : f. 약국
monde : m. 세계, 지구, 사람들 oncle : m. 삼촌, 숙부, 백부 photo : f. 사진
monsieur : m. ~씨(남성 존칭어) onze : 11 piano : m. 피아노
montagne : f. 산 opéra : m. 오페라, 가극 pièce : f. 조각, 단편, 주화, 희곡, 방
monter : 오르다 ordinateur : m. 컴퓨터 pied : m. 발
montre : f. 손목시계 ou : 또는, 혹은 piscine : f. 수영장
montrer : 보게 하다, 보여주다 où : 어디, 어디에 pizza : f. 피자
moquer (se) : 놀리다, 비웃다 oublier : 잊어버리다 place : f. 장소, 자리, 위치, 광장
morceau : m. 한 조각, 덩어리 ouest : m. 서쪽 plaire : ~의 마음에 들다
mot : m. 낱말, 단어 oui : 네, 예 plaisir : m. 기쁨, 즐거움
moto : f. 오토바이 ouvrir : 열다 plat : m. 접시, 요리
mourir : 죽다 plein(e) : 가득 찬, 충만한
musée : m. 박물관, 미술관 P pleurer : 울다
musique : f. 음악 page : f. 페이지, 쪽 pleuvoir : 비가 오다
pain : m. 빵 pluie : f. 비
N pantalon : m. 바지 plus : 더, 이상의, (부정어와 함께)
nager : 수영하다 papa : m. 아빠 더 이상 ~않다, 이제는 ~않다
naître : 태어나다 papier : m. 종이, 서류 plusieurs : 몇몇의, 여러

EBS 수능특강 프랑스어 I • 185 • 부록 : 기본 어휘표


poisson : m. 물고기, 생선 quatorze : 14 riche : 부유한
poli(e) : 정중한, 예의바른 quatre : 4 rien : 아무것도
pomme : f. 사과 que : 무엇을 riz : m. 쌀, 밥
pomme de terre : f. 감자 quel(le) : 어느, 어떤 robe : f. 원피스, 드레스
portable : m. 휴대전화, 노트북 quelque : 어떤, 약간의 rond(e) : 둥근
porte : f. 문 quelque chose : 어떤 것, 무엇인가 rouge : m. 빨간색, 빨간색의
porter : 들다, 입다, 가지고 있다 quelqu’un(e) : 어떤 사람, 누군가 rue : f. 거리, 길
possible : 가능한 question : f. 질문
poste : f. 우체국, m. 직위 queue : f. 꼬리, 후미, 줄 S
poulet : m. 닭, 닭고기 qui : 누가 sac : m. 가방
pour : ~ 위하여 quinze : 15, 15의 saison : f. 계절
pourquoi : 왜, 무엇 때문에 quitter : 떠나다, (전화) 끊다 salade : f. 샐러드
pouvoir : 할 수 있다 quoi : 무엇 sale : 더러운
préférer : 더 좋아하다 salle : f. 방, 홀
premier(ère) : 처음의, 첫 번째의 R salon : m. 거실
prendre : 잡다, 먹다, (탈 것을) 타다 raconter : 이야기하다, 말하다 salut : 안녕 m. 인사
prénom : m. 이름 radio : f. 라디오 samedi : m. 토요일
préparer : 준비하다 raison : f. 이성, 이유 sandwich : m. 샌드위치
près (de) : ~ 근처에 rapide : 빠른, 신속한 sans : ~없이
présent(e) : 있는, 출석한 rappeler (se) : 다시 부르다, 기억하다 santé : f. 건강
présenter : 소개하다 recette : f. 조리법 savoir : 알다
président(e) : n. 대통령, 회장 recevoir : 받다, 맞이하다 second(e) : 둘째의, 제2의
pressé(e) : 압축된, 바쁜 reconnaître : 알아보다, 알게 되다 secrétaire : n. 비서, 보좌관
prêt(e) : 준비된 réfléchir : 숙고하다, 곰곰이 생각하다 seize : 16
prêter : 빌려주다 refuser : 거부하다, 거절하다 sel : m. 소금
prier : 기도하다, 간청하다 regarder : 보다, 바라보다 semaine : f. 주, 일주일
printemps : m. 봄 regretter : 후회하다 sembler : ~처럼 보이다
prix : m. 값, 가격표, 상 remercier : 감사하다 sentir (se) : 느끼다, 느껴지다
problème : m. 문제, 문제점, 어려움 rencontrer : 만나다, 마주치다 sept : 7
prochain(e) : 다음의 rendez-vous : m. 약속 septembre : m. 9월
professeur : n. 교사, 교수 rendre : 반환하다, 돌려주다 servir (se) : 대접하다, (음식을) 덜어서
profession : f. 직업 renseignement : m. 정보, 자료 먹다
programme : m. 프로그램 rentrer : 귀가하다, 돌아오다 seul(e) : 혼자인, 유일한
progrès : m. 발전, 진보 repas : m. 식사 si : 만일 ~하면, 그렇게도, (부정 질문의
promenade : f. 산책 répéter : 반복하다 긍정대답) 아니오
promener (se) : 산책시키다, 산책하다 répondre : 대답하다 siècle : m. 세기, 백년
promettre : 약속하다 réponse : f. 대답 silence : m. 침묵, 고요
proposer : 제안하다 réserver : 마련해 놓다, 예약하다 simple : 단순한, 간단한
puis : 그리고, 그 후에 resto(restaurant) : m. 식당 sinon : 그렇지 않으면
puisque : ~이니까, ~이므로 rester : 남다, 머무르다 site : m. 경관, (인터넷) 사이트
pull : m. 스웨터 retourner : 뒤집다, 돌리다, 돌아오다 six : 6
retrouver : 다시 발견하다 ski : m. 스키
Q réussir : 성공하다, 합격하다 sœur : f. 자매, 누이
quai : m. 강둑, 부두, 플랫폼 rêve : m. 꿈, 희망 soif : f. 목마름, 갈증
quand : 언제, ~할 때 réveiller (se) : 잠을 깨우다, 잠에서 깨다 soigner (se) : 보살피다, 자신을 돌보다
quarante : 40 revenir : 돌아오다 soir : m. 저녁
quart : m. 4분의 1, 15분 revoir (au revoir) : 다시 보다, 다시 보자 soirée : f. 저녁(시간), 파티, 밤 공연
quartier : m. (도시의) 구역, 동네 rez-de-chaussée : m. (건물의) 1층 soixante : 60

EBS 수능특강 프랑스어 I • 186 • 부록 : 기본 어휘표


soleil : m. 해, 태양 ton (ta, tes) : 너의, 그대의, 당신의 vingt : 20
son (sa, ses) : 자신의, 그의, 그녀의 tort : m. 잘못, 틀림 visite : f. 방문, 관람, 견학
sortir : 나가다, 외출하다 tôt : 일찍이, 빨리 visiter : 방문하다, 관람하다
souhaiter : 바라다, 소망하다 toujours : 언제나, 항상 vite : 빨리
soupe : f. 수프 tour : m. 한 바퀴, 순서, f. 탑 vivre : 살다
sourire : m. 미소, 방긋 웃다 touriste : n. 관광객 voici : 여기 ~있다
sous : ~아래에 tourner : 돌다, 휘젓다 voilà : 거기 ~있다
souvenir (se) : 회상하다, 기억하다 tout(e) : 모든, 완전한, 매우, 모든 것, voir : 보다
souvent : 자주 모든 사람 voisin(e) : n. 이웃
sport : m. 스포츠, 운동 train : m. 기차 voiture : f. 자동차
station : f. 정류장, 역 tranquille : 고요한 voix : f. 목소리, 음성
stylo : m. 펜, 만년필 travail : m. 일, 작업 volontiers : 기꺼이, 쾌히
succès : m. 성공 travailler : 일하다, 공부하다 votre (vos) : 당신(들)의, 너희들의
sucre : m. 설탕 traverser : 가로지르다, 횡단하다 vouloir : 원하다
sud : m. 남쪽, 남쪽의 treize : 13 vous : 당신(들), 너희들, 당신(들)을,
suisse : 스위스인, 스위스의 trente : 30 너희들을, 당신(들)에게,
suite (tout de suite) : f. 연속 très : 매우 너희들에게
(곧, 당장) triste : 슬픈 voyage : m. 여행
suivre : 뒤따라가다, 쫒아가다 trois : 3 voyager : 여행하다
super : 멋진, 훌륭한 trop : 너무, 지나치게 vrai(e) : 참된, 실제의
supermarché : m. 슈퍼마켓 trouver (se) : 발견하다, 생각하다,
sur : ~위에 ~에 있다 W
sûr(e) : 확신하는, 확실한 tu (te, toi) : 너, (너를/너에게) week-end : m. 주말
surprise : f. 놀라움, (뜻밖의) 선물
surtout : 특별히 U Y
sympa(sympathique) : 호감을 주는, un (une, des) : 1, 하나의 / 몇몇의 y : 거기에
상냥한 université : f. 대학교
utiliser : 사용하다 Z
T zéro : m. 없음, 0
table : f. 탁자, 식탁 V
tante : f. 이모, 고모, 백모, 숙모 vacances : f. (pl.) 방학, 휴가
tard : 늦게, 나중에 valise : f. (여행용) 가방
taxi : m. 택시 vélo : m. 자전거
télé(télévision) : f. 텔레비전 vendeur(vendeuse) : n. 판매인, 점원
téléphone : m. 전화 vendre : 팔다
téléphoner : 전화하다 vendredi : m. 금요일
température : f. 기온, 온도 venir : 오다
temps : m. 시간, 날씨 vent : m. 바람
tenir : 잡다, 쥐다, (약속)지키다 vérifier : 확인하다, 검사하다
tennis : m. 테니스 verre : m. (사기, 유리)잔, 유리
terminer : 끝마치다, 완료하다 vert(e) : m. 녹색, 녹색의
tête : f. 머리 vêtement : m. 옷, 의류
thé : m. 차, 홍차 viande : f. 고기
théâtre : m. 연극, 극장 vie : f. 삶, 인생
ticket : m. 표 vieux(vieille) : 늙은, 낡은
toilette : f. 화장, 세면, (pl.) 화장실 village : m. 마을, 동네
tomate : f. 토마토 ville : f. 도시, 시내
tomber : 넘어지다, 떨어지다 vin : m. 포도주

EBS 수능특강 프랑스어 I • 187 • 부록 : 기본 어휘표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