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136

행정안전부 고시 제2012-14호

승강기검사기준 해설서
[ 별표 1 ]

전기식 엘리베이터

- 1 -
1. 적용범위
이 해설서는 안전행정부 장관이 고시하는「승강기검사기준」별표 1(전기식 엘리베이터의 구조)을 해설한
것으로 엘리베이터 설계ㆍ설치ㆍ유지관리 및 검사를 업무로 하는 승강기 기술자와 엘리베이터의 기계실,
승강로 및 피트를 설계하거나 시공하는 건설 기술자를 위한 참고자료로만 활용되며, 주무부처인 안전
행정부의 유권해석 등에 따라 그 내용은 달라질 수 있다.
2. 인용표준
이 해설서에서 규정하거나 인용하는 한국산업표준(KS) 및 국제표준(ISO, IEC, EN...) 등은 가장 최근에
고시되거나 발행된 표준을 적용한다.
3. 용어의 정의
이 해설서에서 사용하는 용어는 「승강기시설 안전관리법」및「승강기검사기준」에서 사용하는 정의와 같다.
비고「건축법」, 「장애인ㆍ노인ㆍ임산부등의 편의증진보장에관한법률」 및 「교통약자의 이동편의 증진법」에서
사용하는 용어는 이 기준에서 사용하는 용어와 다를 수 있다.
4. 단위 및 기호
단위 및 기호는 SI 단위를 사용한다.
5. 승강로
일반사항
5.1
승강로는 1대 이상의 카와 균형추(또는 평형추)가 승강하는 엘리베이터 전용로(路)로서 벽, 바닥
및 천장으로 완전히 밀폐하거나 접근이 불가능하도록 충분한 공간을 두어 완전히 분리하여야 하며,
균형추(또는 평형추)는 해당 카와 동일한 승강로에 위치하도록 설치하여야 한다.(5.1.1, 5.1.2)
승강로에는 엘리베이터의 정상운행에 지장을 주거나 작업자의 안전을 저해하는 돌출물이 없어야 한다.
예를 들면, 콘크리트 거푸집의 잔재, 철근 및 철사 등에 의하여 케이블이 손상되거나 작업 중 안전사고의
위험이 없도록 돌출물을 제거하거나 필요한 보호조치를 하여야 한다.(5.1.3)
승강로에서 유지관리 및 구출운전 작업자가 해당 층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알 수 있도록 승강장문 등에
각 층을 정확하게 숫자 등으로 표기하여야 한다.(5.1.4)
승강로의 누수는 전기설비의 누전 등으로 인한 엘리베이터 이상 운행 및 기계설비의 부식 등으로 인해
엘리베이터 교체주기 단축 등의 원인이 되므로 누수가 없도록 시공하고 유지ㆍ관리하여야 한다.(5.1.5)

< 그림 1, 승강로 돌출물의 보호조치 >


준비서류

☞ 해당 없음
- 2 -
5.2 승강로의 구획
5.2.1 승강로의 구분
승강로는 허용되는 개구부(5.2.1.1 참조)를 제외하고 벽, 바닥 및 천장으로 완전히 둘러싸인 밀폐식
구조 또는 부분적으로 둘러싸인 반-밀폐식 구조(5.2.1.2 참조) 중 어느 하나에 의해 주위와 구분되도록
시공하여야 한다.
벽, 바닥 및 천장은 「건축법 시행령」제2조제7호 및 「건축물의 피난·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제3조에 따른 내화구조 또는 「건축법 시행령」제2조제10호 및 「건축물의 피난·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제6조에 따른 불연재료로 시공하여야 한다.
준비서류

☞ 공인기관의 내화구조 인정서 또는 불연재료 시험성적서


*「건축물의 피난·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제3조제1호부터 제7호에 따른 내화구조 또는 같은
규칙 제6조제1호에 따른 불연재료로 시공하는 경우에는 해당 없음.

내화구조의 성능기준은「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제3조제8호에 따른 별표 1의


벽/내벽/비내력/샤프트실 구획벽 란의 기준을 참고한다.
5.2.1.1 밀폐식 승강로
밀폐식 승강로는 엘리베이터 설비를 위해 허용된 개구부 즉, 승강장문의 설치를 위한 개구부, 점검문ㆍ
비상문의 설치를 위한 개구부, 화재 시 가스ㆍ연기의 배출 통풍구, 환기구, 승강로와 기계실ㆍ풀리실 사이의
개구부 및 2대 이상의 엘리베이터가 설치된 승강로에 엘리베이터와 다른 엘리베이터 사이에 설치된 칸막이
(5.6 참조)의 개구부를 제외하고 구멍이 없는 벽, 바닥 및 천장으로 완전히 둘러쌓아야 한다.

준비서류

☞승강로(구획) 설계도서 :엘리베이터 설치를 위한 승강로 도면(개구부가 있는 경우 해당 개구부 기재)


5.2.1.2 반 -밀폐식 승강로
건축법령에 따라 방화구획을 요구하지 않는 승강로, 갤러리ㆍ중앙 홀ㆍ타워 등에 전망을 목적으로
설치된 엘리베이터의 승강로 또는 외기에 직접 접하는 승강로는 부분적으로 둘러싸인 반-밀폐식으로
시공할 수 있다.
사람이 서있거나 이동할 수 있는 장소에는 엘리베이터의 움직이는 부품에 의한 위험한 상황 또는
엘리베이터 설비에 직접 손이 닿거나 물건이 닿아 엘리베이터의 안전운행을 방해하는 상황을 충분히
보호할 수 있도록 구멍이 없는 승강로 벽을 시공하여야 한다.
승강로 벽의 높이는 승강장문 측에서 3.5 m 이상, 다른 측면에서 2.5 m 이상으로 시공하여야 한다.
이는 사람이 서있는 상태에서 손을 들었을 때의 최소 높이인 2.5 m를 적용하고 사람이 빈번하게 접근
가능한 장소는 사람의 손뿐만이 아닌 휴대한 물건의 접촉을 고려하여 1.0 m의 여유를 더하는 개념을 적용
한 것이다.
승강장문 측을 제외하고 움직이는 부품까지의 수평거리가 0.5 m 이상인 경우에는 움직이는 부품과의
수평거리가 멀어져 접촉의 가능성 또한 줄어들기 때문에 승강로 벽의 높이는 아래 식으로 계산된 값으로
줄일 수 있으며 일반 건물의 난간 높이인 1.1 m까지 낮출 수 있다.
     ×     
기호는 < 그림 2 >를 참조한다.

- 3 -
복도, 계단 또는 플랫폼이 있는 경우에는 승강로 벽을 복도ㆍ계단ㆍ플랫폼의 가장자리로부터 최대 0.15 m
이내에 시공하여야 한다.
승강로 벽의 수직선상의 공간에는 엘리베이터와 관계없는 타 설비를 설치하지 않아야 한다.(5.8 참조)
외기에 직접 노출되어 눈ㆍ비 등 기후적ㆍ위치적인 환경에 영향을 받는 엘리베이터는 특별한 예방조치를
마련하여「승강기검사 및 관리에 관한 운용 요령」제8조부터 제10조까지의 규정에 따라 행정안전부
장관으로부터 특수구조승강기 검사특례 인정을 받아야 한다.

C카
H 부분적으로 둘러싸인 승강로 벽 높이
D 엘리베이터의 움직이는 부품까지의 거리
< 그림 2, 반-밀폐식 승강로 벽 >
준비서류

☞ 승강로(구획) 설계도서 : 반-밀폐식 승강로에 대한 설계도면(수치 기재 포함)


☞ 공인기관의 내화구조 인정서 또는 불연재료 시험성적서
*「건축물의 피난·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제3조제1호부터 제7호에 따른 내화구조 또는 같은
규칙 제6조제1호에 따른 불연재료로 시공하는 경우에는 해당 없음.

반-밀폐식 승강로의 벽은 건축 법령에 따라 방화구조 또는 내화구조가 요구되지 않더라도 불연재료 또는 내화


구조의 성능기준을 충족한 재질로 시공하여야 한다.
점검문 및 비상문
5.2.2
승강로에는 점검 등 유지관리 및 구출운전의 작업을 위해 [표 1]에 적합한 점검문 및 비상문을 설치할 수
있다. 문에는 전문가에 의해 이용자의 안전 및 유지관리 용도로만 사용되도록 열쇠로 잠금을 해제하고
다시 닫히면 자동으로 잠기는 잠금장치가 있어야 하며, 문은 열쇠가 없는 작업자가 갇히지 않도록 승강로
내부에서 손으로 열 수 있어야 한다.(5.2.2.1, 5.2.2.1.1, 5.2.2.2.1)

- 4 -
[ 표 1, 점검문 및 비상문의 크기 ]
구분 기준
일 반 폭 ≥ 0.6 m

점검문 높이 ≥ 1.4 m

트랩방식 폭 ≤ 0.5 m
높이 ≤ 0.5 m

비상문 폭 ≥ 0.35 m
높이 ≥ 1.8 m

점검문 및 비상문은 엘리베이터가 운행 중 간섭되지 않도록 승강로 외부로만 열려야 한다.(5.2.2.2)


점점문 및 비상문에는 승강장문과 같이 전기안전장치(도어스위치)를 설치하여 문이 열리면(도어스위치
OFF) 엘리베이터가 정지하여 작업자가 안전하게 출입할 수 있어야 하고, 문이 닫히면(도어스위치 ON)
자동으로 엘리베이터가 운행할 수 있어야 한다. 다만, 카가 최하층에 있을 때 가이드 슈, 에이프런 등을
포함한 카 및 카가 최상층에 있을 때 균형추(평형추)의 최하부와 피트 바닥 사이의 수직거리가 모두 2 m
이상인 경우에는 엘리베이터가 정상적으로 운행하더라도 피트에 있는 작업자는 안전한 작업공간을 확보할 수
있으므로 피트 출입문에는 전기안전장치를 설치하지 않아도 된다.(5.2.2.2.2)
점검문 및 비상문은 승강장문과 동일한 기계적 강도이어야 하며 구멍이 없어야 한다.(5.2.2.3)
비상문은 연속되는 승강장문의 문턱과 문턱사이의 거리가 11 m를 초과하는 경우에 설치하여야 한다.
다만, 전기적 비상운전(14.2.1.4 참조) 또는 2대 이상의 엘리베이터가 설치된 경우 서로 인접한 카로 출입
할 수 있는 카의 벽에 설치된 비상구출문(8.12.3 참조)이 있는 경우에는 설치하지 않아도 된다.(5.2.2.1.2)
비고 1. 비상문은 승강장문이 있는 방향으로 설치하여 비상 시 카 내에 갇힌 이용자를 쉽게 구출할 수
있어야 한다. 다만, 건축물의 구조상 승강장문이 있는 방향으로 설치가 불가능할 경우에는 승강장문
좌·우측 또는 배면(우면)에 비상문을 설치할 수 있다. 이 경우, 균형추 및 가이드레일 등이 위치
하지 않는 곳에 설치하여야 하며 비상문이 설치되는 방향으로 카 벽에 비상구출문(8.12.3, 8.12.4.1.2,
8.12.4.2 참조)의 추가설치를 권장한다. 카 측면에 비상구출문을 설치할 경우에는 비상구출 시 이용자가
추락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비상문과 비상구출문 문턱 사이의 거리를 좁히는 등의 조치를 하여야 한다.
2. 비상문을 설치할 경우에는 사람이 서 있을 수 있는 승강장 및 계단 또는 사다리 등을 설치하여 카 내에
갇힌 이용자를 안전한 장소(지면, 피난층 등)로 구출할 수 있어야 한다.

< 그림 3, 안전한 피트 작업공간 > < 그림 4, 비상문 설치 >

- 5 -
준비서류

승강로(개구부) 설계도서 : 승강장 문턱과 문턱사이의 거리에 대한 설계도면(수치 기재 포함)



☞ 점검문 설계도서(수치 기재 포함)
☞ 비상문 설계도서(수치 기재 포함)
* 비상문은 출입구 문턱간 거리가 11 m를 초과하는 경우에만 해당
☞ 비상구출문 설계도서 또는 전기적 비상운전 설계도서
* 출입구 문턱간 거리가 11 m를 초과하고 비상문이 없는 경우에만 해당
* 비상구출문은 하나의 승강로에 2대 이상의 카가 있는 경우에만 해당
☞ 점검문 및 비상문에 대한 기계적 강도 시험성적서
* 점검문/비상문을 설치하는 경우에만 해당
5.2.3 승강로의 환기
밀폐식 승강로에는 유지관리 작업자 또는 카에 탑승한 이용자를 위해 공기의 순환으로 신선한 공기가
승강로에 유입될 수 있도록 환기구 또는 환기장치를 설치하여야 한다. 환기구는 승강로 단면적의 1 % 이상
면적으로 승강로 꼭대기 부분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승강로의 환기구 또는 환기장치는 엘리베이터와 관계없는 타 설비 공간의 공기가 유입되지 않도록
겸용으로 설치하지 않아야 한다. 즉, 엘리베이터 전용으로 설치하여야 한다.
준비서류

☞ 승강로(환기구) 설계도서(수치 및 위치 기재 포함)


승강로의 벽 , 바닥 및 천장
5.3
건축업자는 최소한 구동기에 의한 하중, 비상정지장치 작동 순간의 가이드 레일, 카 내의 편심하중,
완충기의 작용, 튀어오름 방지장치의 작용 및 카에 출입하거나 하역작업으로 인한 부하를 지지할 수
있도록 「건축물의 구조 등에 관한 규칙」및 국토해양부 고시「건축구조기준」 등에 따라 승강로의 벽,
바닥 및 천장을 시공하여야 한다.
준비서류

승강로 구조 계산 설계도서 또는 승강로 구조안전 확인서


5.3.1 벽 강도
승강로 벽은 한 사람이 어느 지점에서나 양 손으로 힘껏 밀었을 때 약간의 탄성변형을 제외하고 영구
적인 변형 없이 견딜 수 있도록 시공하여야 한다. 기계적 강도는 5 ㎠의 면적의 원형이나 사각의 단면의
벽에 수직으로 균등하게 분산한 300 N의 힘을 가하여 시험하여야 하며, 이 시험결과 힘을 가한 부분은
영구적인 변형이 없어야 하고 15 ㎜를 초과하는 탄성변형이 없어야 한다.(5.3.1.1)
승강로 벽을 평면 또는 성형 유리판으로 시공할 경우 일반적으로 사람이 접근 가능한 부분(반-밀폐식의
승강로 벽 높이, 5.2.1.2 참조)은 한국산업표준에 적합한 접합유리(KS L 2004)를 사용하여야 하며, 나머지
부분은 강화유리(KS L 2002), 두께 16 ㎜ 이상인 복층유리(KS L 2003) 또는 망유리(KS L 2006)를 사용할
수 있다.(5.3.1.2)
준비서류

☞ 승강로 벽 강도에 대한 설계도서(강도 값 표기) 또는 시험성적서


☞ 승강로(구획) 설계도서(수치기재 포함)
* 승강로를 유리로 구획하는 경우에만 해당

- 6 -
☞ 공인기관의 유리 KS시험성적서
* 승강로를 유리로 구획하는 경우에만 해당

한 사람이 수평으로 힘을 가했을 때 정하중은 300 N, 동하중은 1,000 N으로 가정한다.(EN 81-1 0.3.9 참조)
피트 바닥 강도
5.3.2
피트 바닥은 가이드 레일의 중량과 비상정지장치가 작동한 순간의 반작용력을 더한 힘 즉, 각 가이드
레일의 하부에 작용하는 힘을 지지할 수 있고, 전 부하 상태의 카가 완충기에 충돌할 때 완충기 지지대
하부에 부과되는 힘을 지지할 수 있는 강도로 계산하여야 한다.(5.3.2.1, 5.3.2.2, 5.3.2.3)
승강기업자는 가이드 레일의 하부에 작용하는 힘과 완충기 지지대 하부에 부과되는 힘을 계산하여
건축업자에게 제공하여야 하며, 건축업자는 부과되는 힘을 견딜 수 있도록 피트 바닥을 시공하여야 한다.
준비서류

가이드 레일의 하부에 작용하는 힘 계산 설계도서



☞ 완충기 지지대의 하부에 부과되는 힘 계산 설계도서
☞ 피트 바닥 강도에 대한 설계도서(강도 값 표기)

5.3.3 천장 강도
일반적으로 천장의 강도는 별도 계산하지 않고 기계실이나 풀리실의 바닥 강도(6.3.2, 6.7.1.1 참조)를 계산
하여 승강로를 구획한다. 다만, 가이드 레일을 승강로 천장에 매달리게 설치(승강로 천장에 고정)할 경우에는
최소한 매달린 가이드 레일에 의해 추가로 부과되는 힘에 견디도록 기계실이나 풀리실 바닥을 시공하여야 한다.
승강기업자는 가이드 레일을 승강로 천장에 매달리게 설치하고자 할 경우에는 승강로 천장에 부과되는
힘을 계산(부속서 Ⅲ.5.1 참조)하여 건축업자에게 제공하여야 하며, 건축업자는 매달린 가이드 레일에 의해
추가적으로 부과되는 힘을 견딜 수 있도록 기계실 또는 풀리실 바닥을 시공하여야 한다.
준비서류
- 승강로 천장에 가이드 레일을 매다는 경우에만 해당
☞ 매달린 가이드 레일에 의해 승강로 천장에 부과되는 힘 계산 설계도서
☞ 승강로 천장 강도에 대한 설계도서(강도 값 기재 포함)

카 출입구와 마주하는 승강로 벽 및 승강장문의 구조 (승강장문의 문턱 아랫부분 )


5.4
카에 갇힌 이용자가 무리하게 탈출을 시도하다 승강로 벽이나 승강장문의 틈새에 끼이는 위험을 예방하기
위해 카 출입구와 마주하는 승강로 벽과 승강장문은 카 출입구 전체 폭에 걸쳐 구멍이 없는 표면으로 하여야
하며 승강로 전체 높이에 걸쳐 적용하여야 한다. 다만, 문이 작동하는 틈새는 제외할 수 있다.(5.4.1, 5.4.2)
특히, 카가 승강장 문턱에 정확히 도착하지 않고 문턱 아랫부분에 정지하여 문이 열리거나 열린 상태로
재-착상 운행을 할 때 카에서 내리는 이용자의 발이 승강장문 문턱에 걸리거나 끼이는 위험을 예방하기
위해 승강장문 문턱 아랫부분에는 금속판과 같이 구멍 없이 매끈하고 한 사람이 어느 지점에서나 손이나
발로 힘껏 밀었을 때 약간의 탄성변형을 제외하고 영구적인 변형 없이 견딜 수 있는 견고한 재질의
수직면을 설치하여야 한다. 수직면의 기계적 강도는 5 ㎠의 면적의 원형이나 사각의 단면에 수직으로 300 N의
힘을 가하여 시험하여야 하며, 이 시험결과, 힘을 가한 부분은 영구적인 변형이 없어야 하고 10 ㎜를
초과하는 탄성변형이 없어야 한다.[5.4.3나)]
수직면의 폭은 카에서 내리는 이용자를 보호하기 위해 카 출입구 폭에다 양쪽 모두 25 ㎜를 더한 값 이상
으로 하고, 높이는 끼일 수 있는 위험을 줄이기 위해 잠금해제구간의 1/2에 50 ㎜를 더한 값 이상으로
하여야 한다.[5.4.3가)]
- 7 -
수직면에 2 ㎜를 초과하는 돌출물은 수평면에 75°이상으로 모따기를 하여야 한다. 다만, 5 ㎜를 초과
하는 돌출물이 있는 수직면은 설치할 수 없다.[5.4.3다)]
승강로 전체에 걸쳐 수직면을 연속되는 다음 문의 상인방까지 직접 연결하는 방법 또는 수평면에 60°
이상으로 모따기하고 이 모따기의 투영이 20 ㎜ 이상 즉, 구부린 길이가 40 ㎜ 이상인 것을 사용하여
아랫방향으로 연장하는 방법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설치할 수 있다.[5.4.3라)]

< 그림 5, 모따기하고 아랫방향으로 연장하는 수직면 >


준비서류

☞ 승강로(수직면) 설계도서(수치 기재 포함)


☞ 수직면 강도 시험성적서

한 사람이 수평으로 힘을 가했을 때 정하중은 300 N, 동하중은 1,000 N으로 가정한다.(EN 81-1 0.3.9 참조)
카 , 균형추 또는 평형추 하부에 위치한 공간의 보호
5.5
엘리베이터 승강로는 지면 위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통로, 거실, 창고, 전기ㆍ기계실, 주차장
등 사람이 접근하거나 출입할 수 있는 공간 위에 승강로를 구획하는 경우에는 엘리베이터 설비가 낙하하여
피트가 무너져 하부 공간에 있는 사람이 위험에 노출되지 않도록 피트의 기초는 5,000 N/㎡ 이상의 부하를
견디도록 시공하여야 한다.
또한, 카 주행구간의 피트 바닥은 카가 자유 낙하 시 비상정지장치의 작동으로 감소된 충격하중을 충분히
견딜 수 있으나, 균형추(평형추) 주행구간의 피트 바닥은 균형추(평형추)가 자유 낙하할 경우에 그 충격
하중을 그대로 받아 무너질 위험이 있으므로 균형추(또는 평형추) 주행구간의 피트 직하부에 견고한 벽을
지면까지 연장하여 시공하거나 균형추(또는 평형추)에 비상정지장치를 설치하여 충격하중을 감소시켜야
한다.

- 8 -
< 그림 6, 승강로 하부에 위치한 공간에 대한 보호조치
- 균형추 하부 두꺼운벽 지면까지 연장 >

준비서류
- 승강로 하부에 공간이 위치한 경우에 해당
☞ 피트의 기초에 대한 계산서
☞ 승강로 하부에 위치한 공간의 보호조치에 대한 설계도서(두꺼운 벽-건축도면, 비상정지장치-기계도면)

카 비상정지장치의 작동 시 충격하중은 다음과 같다.



      
 
w : 전부하시 카의 총중량(㎏)
v : 충돌속도(m/s) (정격속도 × 비상정지장치 작동속도)
g : 중력가속도(9.8 ㎨)
S : 완충기 행정(m)
5.6 승강로 내에서 보호
5.6.1 균형추 또는 평형추의 주행구간 보호 칸막이
작업자가 피트에서 작업하는 중 움직이는 균형추(또는 평형추)에 의해 다칠 위험을 예방하기 위해 균형추
(또는 평형추)의 주행구간 전면에 균형추(또는 평형추)의 폭에다 각각 0.1 m를 더한 값 이상의 폭을 갖는 견고한
보호 칸막이를 피트 바닥으로부터 0.3 m 이하(균형체인ㆍ로프 간섭 등 부득이한 경우에는 완충기의 최저
이동 높이 이하로 한다)에서 피트 바닥으로부터 2.5 m 이상의 높이까지 연장된 견고한 칸막이로 보호되어야
한다. 다만, 균형체인ㆍ균형로프의 간섭 등 부득이한 경우에는 칸막이 하부의 설치 최저 높이를 완충기의 최저
이동 높이 이하로 할 수 있다.
칸막이에 구멍이 있는 경우에는 한국산업표준[KS B 6947(기계류의 안전 - 위험지역에 상체가 접근할 수
없도록 하기 위한 안전거리)]의 4.5.1에 따라 작업자를 보호할 수 있도록 설치하여야 한다.(5.6.1.1)
칸막이에는 현수로프가 늘어나 균형추(또는 평형추)가 완충기를 완전히 눌러 위험한 상황이 발생하지
않도록 작업자가 칸막이를 분리하지 않고 육안으로 쉽게 균형추(또는 평형추)와 완충기 사이의 틈새를 확인
할 수 있는 조치가 있어야 한다.(5.6.1.2)

- 9 -
그림 7, 균형추(평형추) 주행구간 칸막이>
< < 그림 8, 완충기와의 틈새 육안확인 조치 >
준비서류

☞ 보호 칸막이 설계도서(수치기재 포함)


☞ 구멍에 대한 안전조치(안전거리 확보 등) 설계도서
비고 보호 칸막이에 구멍이 있는 경우에 해당

KS B 6947, 4.5.1(14세 이상 사람들의 정상적인 개방)


표 4는 14세 이상 사람들의 정상적인 개방을 위한 안전거리 sf를 제공한다. 개방 e의 치수는 수직 열림의 측면 부,
원형 열림의 지름, 홈 열림의 가장 좁은 치수에 상당한다. 개방 > 20 ㎜ 이면 4.3에 따른 안전거리가 사용될 수 있다.
<표 4>
[단위 : ㎜]
신체분위 삽화 개방 홈
홈 수직 원형
e≤4 ≥2 ≥2 ≥2
손가락 끝
4<e≤6 ≥ 10 ≥5 ≥5
6<e≤8 ≥ 20 ≥ 15 ≥5
손가락 관절 8 < e ≤ 10 ≥ 80 ≥ 25 ≥ 20
위의 손가락
10 < e ≤ 12 ≥ 100 ≥ 80 ≥ 80
또는 손 12 <e ≤ 20 ≥ 120 ≥ 120 ≥ 120
20 <e ≤ 30 ≥ 850a ≥ 120 ≥ 120
어깨 접합점 30 < e ≤ 40 ≥ 850 ≥ 200 ≥ 120
위의 팔 40 < e ≤ 120 ≥ 850 ≥ 850 ≥ 850
a 혹 열림의 깊이가 ≤ 65 ㎜이면, 엄지손가락이 정지할 것이고 안전거리는 200 ㎜로 감소될 수 있다.

- 10 -
대 이상의 엘리베이터 사이의 보호 칸막이
5.6.2 2
승강로에 2대 이상의 엘리베이터가 설치된 경우에는 피트에 있는 작업자가 움직이는 다른 엘리베이터에 의해
다칠 위험을 예방하기 위해 서로 다른 엘리베이터의 움직이는 부품 사이에 카 또는 균형추(평형추) 주행로의
가장 낮은 지점에서부터 시작하여 최하층 승강장 바닥 위로 2.5 m 이상까지 연장되는 견고한 칸막이를 설치
하여야 하며, 칸막이에 구멍이 있는 경우에는 한국산업표준[KS B 6947(기계류의 안전 - 위험지역에
상체가 접근할 수 없도록 하기 위한 안전거리)]의 4.5.1에 따라 작업자를 보호할 수 있도록 설치하여야
한다.(5.6.2, 5.6.2.1)
칸막이의 폭은 작업자가 서로 다른 피트에서 피트로 출입을 방지할 수 있어야 한다. 다만, 카가 최하층에
있을 때 가이드 슈, 에이프런 등을 포함한 카 및 카가 최상층에 있을 때 균형추(평형추)의 최하부와 피트
바닥 사이의 수직거리가 모두 2 m 이상인 경우(5.2.2.2.2 참조)에는 규정하지 않는다.(5.6.2.1)
카 위의 작업자를 보호하기 위해 카 지붕의 모서리와 인접한 엘리베이터의 움직이는 부품(카, 균형추
또는 평형추) 사이의 수평거리가 0.5 m 미만인 경우에는 승강로 전체 높이에 걸쳐 칸막이를 설치하여야
하며, 칸막이의 폭은 움직이는 부품의 폭에 양쪽 모두 각각 0.1 m를 더한 값 이상으로 하여야 한다.(5.6.2.2)

카와 움직이는 부품 사이의 거리 ≥ 0.5 m 카와 움직이는 부품 사이의 거리 < 0.5 m


< 그림 9, 2대 이상의 엘리베이터 사이의 보호 칸막이 >

준비서류
- 하나의 승강로에 2대 이상의 카가 있는 경우에만 해당
☞ 보호 칸막이 설계도서(수치 기재 포함)
☞ 구멍에 대한 안전조치(안전거리 확보 등) 설계도서
* 보호 칸막이에 구멍이 있는 경우에만 해당
5.7 상부공간 및 피트
5.7.1 권상 구동식 엘리베이터의 상부틈새
엘리베이터 카가 어떠한 원인으로 계속 상승하여 균형추가 완충기를 완전히 압축시킬 때 승강로 상부는
카 위에서 작업하는 사람이 천장에 충돌하거나 끼이는 위험을 예방하기 위해 충분한 공간을 확보하여야
한다. 또한, 엘리베이터가 과속 상승하거나 하강방향으로 과속하여 승강로 천장 또는 피트에 충돌하더라도
가이드 레일로부터 이탈하지 않도록 카와 균형추의 가이드 레일은 충분한 여유거리가 있어야 한다.

- 11 -
승강기업자는 완충기 행정, 카 및 균형추(평형추)와 완충기 사이의 거리를 고려하여 정격속도에 따라
엘리베이터의 상부틈새를 [표 2]와 같이 계산하여 건축업자에게 제공하여야 하며, 건축업자는 충분한
상부틈새를 확보할 수 있도록 승강로를 구획하여야 한다.
[ 표 2, 권상 구동식 엘리베이터의 승강로 상부틈새 ]
구분 기준
사람이 서 있을 수 있는 부분의 상부틈새[5.7.1.1나)] ≥ 1.0 + 0.035v² m
카 위 고정설비의 상부틈새[5.7.1.1다)1)] ≥ 0.3 + 0.035v² m
가이드슈ㆍ롤러, 로프연결부및수직개폐식문헤더의상부틈새[5.7.1.1다)2)] ≥ 0.1 + 0.035v² m
작업자 피난 공간(장방형 블록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5.7.1.1라)] ≥ 0.5 m × 0.6 m × 0.8 m
* 직접 현수방식의 엘리베이터에 있어서 로프의 중심선이 블록의 수직 표면으로부터
0.15 m 이내에 있는 경우, 현수로프 및 그 부착물은 이 공간 내에 있을 수 있다.
비고 틈새는 상기의 가장 높은 부분과 승강로 천장 아래의 빔 등 돌출물을 포함하여 가장 낮은
부분 사이의 수직거리이다.
카 가이드 레일의 여유거리는 균형추가 완전히 압축된 완충기 위에 있을 때 0.1 + 0.035v² m 이상, 균형추 가이드
레일의 여유거리는 카가 완전히 압축된 완충기 위에 있을 때 0.1 + 0.035v² m 이상이어야 한다.[5.7.1.1가),
5.7.1.2]
엘리베이터의 감속을 감지하는 수단(12.8 참조)이 있는 경우에는 상기의 상부틈새 및 가이드 레일 여유거리
계산 시 정격속도 4 ㎧ 이하의 엘리베이터는 0.035v²의 값을 1/2로 줄여 계산할 수 있으나 이 값은 0.25 m
이상이어야 한다. 정격속도가 4 ㎧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1/3로 줄여 계산할 수 있으나 이 값은 0.28 m 이상
이어야 한다.(5.7.1.3)
튀어오름방지장치(제동 또는 록다운 장치)가 있는 인장 풀리를 균형로프에 설치한 경우에도 상기의 상부틈새
및 가이드 레일 여유거리 계산 시 0.035v²값을 아래와 같이 계산한 값으로 대체할 수 있다. 다만, 로프의
탄성을 고려하여 0.2 m 이상이어야 한다.(5.7.1.4)
카의 주행거리
0.035v2 =   풀리의 이동 가능 거리 [ m ]


비고 1. 0.035v2는 정격속도의 115%에 상응하는 중력 정지거리의 1/2를 나타낸다.


1/2 ×  


≈ 0.0337v2, 따라서 대략 0.035v2이다.
2. 사용된 로프에 따라 풀리의 이동 가능 거리를 적용하고 카의 주행거리는 전체 승강행정을 적용하여 계산한다.

1. 가이드 레일의 여유거리


2. 사람이 서 있을 수 있는 부분의 상부틈새
3. 가이드 슈ㆍ롤러, 로프 연결부 및 수직 개폐식 문
헤더의상부틈새
4. 카 위 고정설비의 상부틈새
5. 가이드 레일
6. 꼭대기 층 승강장 바닥
< 그림 10.1, 권상 구동식 엘리베이터의 상부틈새 >

- 12 -
준비서류

☞ 승강로(상부 틈새) 설계도서(수치 기재 포함)


☞ 대체 값 적용 승강로(상부 틈새) 설계도서(수치 기재 포함)
* 감속감지 시스템 적용 또는 튀어오름방지장치를 설치하는 경우에만 해당
5.7.2 포지티브 구동식 엘리베이터의 상부틈새
포지티브 구동식 엘리베이터 즉, 드럼과 로프 또는 스프라켓과 체인으로 운행되는 방식이며 정격속도 0.63 ㎧
이하에만 적용하는 엘리베이터로써 안전 측면에서 사람이 탑승하는 엘리베이터에는 바람직하지 않은 구동방식이다.
승강기업자는 5.7.1에 따른 권상 구동식 엘리베이터의 상부틈새 계산과 같이 완충기 행정, 카 및 평형추와
그 완충기 사이의 거리를 고려하여 정격속도에 따라 엘리베이터의 상부틈새를 [표 3]과 같이 계산하여 건축
업자에게 제공하여야 하며, 건축업자는 충분한 상부틈새를 확보할 수 있도록 승강로를 구획하여야 한다.
[ 표 3, 포지티브 구동식 엘리베이터의 승강로 상부틈새 ]
구분 기준
사람이 서 있을 수 있는 부분의 상부틈새[5.7.2.2가)] ≥ 1.0 m
카 위 고정설비의 상부틈새[5.7.2.2나)1)] ≥ 0.3 m
가이드 슈ㆍ롤러, 로프 연결부 및 수직 개폐식 문 헤더의 상부틈새[5.7.2.2나)2)] ≥ 0.1 m
작업자 피난 공간(장방형 블록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5.7.2.2다)] ≥ 0.5 m × 0.6 m × 0.8
* 직접 현수방식의 엘리베이터에 있어서 로프의 중심선이 블록의 수직 표면으로부터 0.15 m m
이내에 있는 경우, 현수로프 및 그 부착물은 이 공간 내에 있을 수 있다.
비고 틈새는 상기의 가장 높은 부분과 승강로 천장 아래의 빔 등 돌출물을 포함하여 가장 낮은 부분
사이의 수직거리이다.
카가 상부 완충기에 충돌하기 전까지 안내되는 카의 주행거리 즉, 카 가이드 레일의 여유거리는 최상층 승강장
바닥에서부터 0.5 m 이상이어야 한다. 또한, 카는 상부 완충기 행정의 한계까지 주행할 수 있어야 한다.(5.7.2.1)
평형추가 있는 경우에는 카가 완전히 압축된 완충기 위에 있을 때 평형추 가이드 레일의 여유거리는 0.3 m
이상이어야 한다.(5.7.2.3)
준비서류

☞ 승강로(상부 틈새) 설계도서(수치 기재 포함)


* 포지티브 구동방식인 경우에만 해당

< 그림 10.2, 포지티브 구동식 엘리베이터의 상부틈새 >

- 13 -
5.7.3 피트
5.7.3.1 피트 시공
승강로 하부는 피트로 구성하여야 하며, 피트 바닥은 완충기, 가이드 레일의 기초 및 배수장치를 위한
부분을 제외하고 매끄럽고 평탄하게 하여야 한다. 또한, 물의 침투 또는 누수는 전기설비의 누전 등으로
인한 엘리베이터 이상 운행, 기계설비의 부식 등으로 인한 엘리베이터의 교체주기 단축의 원인이 되므로
피트는 물이 침투되지 않고 누수도 없는 구조로 시공하여야 하며 유지ㆍ관리하여야 한다.
준비서류

☞ 해당 없음
5.7.3.2 피트 사다리 및 출입문
피트에는 작업자가 피트 바닥으로 안전하게 내려갈 수 있는 피트 사다리를 설치하여야 하며,
피트 사다리는 엘리베이터의 안전 운행을 방해하지 않도록 엘리베이터 설비의 주행구간으로 돌출시키지
않아야 한다.
피트 사다리는 사용 및 보관이 한 위치에서 이루어지는 고정식 수직 사다리(<그림 11.1> 참조), 사용 및
보관이 두 위치에서 이루어지며 사람이 손잡이에 힘을 가하여 사용위치로 고정하는 접이식 수직 사다리
(<그림 11.2> 참조), 보관을 위해 수직으로 세워져 있으며 수동으로 바닥 부분을 수평으로 이동하여 사용위치를
고정하는 경사형 접이식 사다리(<그림 11.3> 참조), 보관을 위해 수직으로 세워져 있으며 수동으로 경사지게
사용위치를 고정하는 수직보관 이동식 사다리(<그림 11.4> 참조), 보관을 위해 피트 바닥에 수평으로 있으며
경사진 사용위치를 수동으로 고정하는 수평보관 이동식 사다리(<그림 11.5> 참조) 또는 피트에 보관되고
위치하며 사다리를 펼쳐 승강장문 문턱에 거는 수평보관 경사형 폴딩 사다리(<그림 11.6> 참조)가 있다.
피트 사다리는 승강로에서 분리할 수 있으나 엘리베이터 이외의 다른 용도로 사용하지 않게 피트에
영구적으로 보관하여야 한다.
피트 사다리는 한 사람의 무게인 1,500 N을 견딜 수 있어야 하며 알루미늄 또는 철 재질로 만들어야 한다.
철로 만들어진 사다리는 부식을 방지할 수 있도록 조치하여야 한다. 목재 사다리는 사용할 수 없다.
사용 위치에 고정된 사다리의 높이는 승강장문 문턱 위로 1.1 m 이상으로 하여야 한다.
피트 사다리의 손잡이의 단면적은 사람이 안전하고 쉽게 잡을 수 있도록 폭 35 ㎜ 이하, 깊이 100 ㎜ 이하로
하여야 하며 손잡이 모양은 봉 모양이어야 한다.
피트 사다리는 사람이 안전하게 디딜 수 있도록 발판을 250 ㎜ ~ 300 ㎜ 사이의 간격으로 균일하게 배치
하여야 하며 발판의 모양은 원형 또는 4면 이상 다각형이어야 한다. 발판의 단면적은 폭을 280 ㎜ 이상,
깊이를 25 ㎜ 이상 35 ㎜ 이하로 하여야 한다.
이동식 또는 접이식 피트 사다리는 승강장문 문턱에서 쉽고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15 ㎏ 이하의 무게
이어야 하며, 사다리를 안전하게 사용하기 위해 승강장문 문턱, 피트 바닥 또는 승강로 벽에 있는 사다리
고정설비가 있어야 한다. 사람이 사다리에 서 있거나 승강장문 문턱 윗부분의 손잡이를 움켜잡을 때 사다리가
기울지 않게 손잡이의 하부 끝단에 적절한 수단이 있어야 한다. 또한, 삽입식 수직 사다리 및 접이식 사다리는
사람의 손 또는 피트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사다리를 사용위치에서 보관위치로 옮길 때 고정시킬 수 있는
수단이 있어야 한다.
승강장문 문턱에서부터 피트 사다리의 보관 위치까지의 거리는 800 ㎜ 미만이어야 하며, 쉽게 출입할 수
있도록 첫 번째 발판을 승강장문 문턱과 가능한 가까운 높이로 하고 승강장문 문턱 끝단에서부터 발판
중심부까지의 거리를 600 ㎜ 이하로 하여야 한다. 또한, 수직 사다리인 경우에는 발판과 승강로 벽 사이의
틈새를 200 ㎜ 이상으로 하여야 한다.
다만, 피트 깊이가 2.5 m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피트 출입문을 설치하여야 하며 점검문의 규정(5.2.2 참조)에
따라야 한다.(5.7.3.2)
- 14 -
피트에 고정(①)되고 사용위치 또한 항상 고정(②)된 고정식 피트에 고정(①)되고 사용위치로 이동(②)할 수 있는
수직 사다리 접이식 수직 사다리.
사람이 손잡이에 힘을 가할 때 사다리는 사용 위치로
고정된다.
“엘리베이터 주행구간에 돌출 금지”라는 경고문이
있어야 한다.
< 그림 11.1, 고정식 수직 사다리 > < 그림 11.2, 접이식 수직 사다리 >

철거
방지를
위한 체인
또는 로프

승강로에 걸려있고(①) 피트
에 고정되어 있으며
사용위치로 이동하여 고정
(②)하는 이동식 사다리
벽에 고정(①)되고 하부를 경사지게 사용위치로 옮겨
고정(②)하는 경사형 접이식 사다리. 기울어짐 방지를 위한 사다리
바닥 고정
< 그림 11.3, 접이식 경사형 사다리 > < 그림 11.4, 수직보관 이동식 사다리 >

철거
방지를 철거
위한 체인 방지를
또는 로프 위한 체인
또는 로프

피트에 묶여(①)있으며 사용위치로


이동하여 고정(②)하는 이동식 사다리
기울어짐 방지를 위한 피트에 고정되고(①)되고 사용위치에 고정(②)하는 접이식
사다리바닥 고정 사다리

< 그림 11.5, 수평보관 이동식 사다리 > < 그림 11.6, 폴딩 사다리 >

- 15 -
< 그림 12. 피트 출입문 >
준비서류

☞ 승강로(피트) 설계도서(수치 기재 포함)


☞ 피트 출입문 설계도서(수치 기재 포함)
* 출입문을 설치하는 경우에만 해당
☞ 피트 사다리 설계도서(수치 기재 포함)
* 사다리를 설치하는 경우에만 해당
☞ 피트 사다리 강도에 대한 설계도서(강도 값 기재 포함) 또는 시험성적서
* 사다리를 설치하는 경우에만 해당
5.7.3.3 피트 공간
엘리베이터 카가 어떠한 원인으로 계속 하강하여 카가 완충기를 완전히 압축시킬 때 피트는 작업자의
안전을 위하여 충분한 공간을 확보하여야 한다.
승강기업자는 완충기 행정, 카와 완충기 사이의 거리 및 정격속도 등을 고려하여 피트 공간을 [표 4]와
같이 계산하여 건축업자에게 제공하여야 하며, 건축업자는 충분한 피트 공간을 확보할 수 있도록 승강로를
구획하여야 한다.
[ 표 4, 피트 공간 ]
구분 기준
작업자 피난 공간(장방형 블록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5.7.3.3가)] ≥ 0.5 m × 0.6 m × 0.1
m
카의 가장 낮은 부품과 피트 바닥 사이의 틈새 ≥ 0.5 m
에이프런과 피트 바닥 사이의 틈새 ≥ 0.1 m
카의 가장 낮은 부품과 피트 고정 설비 사이의 틈새 ≥ 0.3 m
에이프런과 피트 바닥 사이의 틈새는 에이프런이나 수직 개폐식 카문과 인접한 벽 사이의 수평
거리 또는 카의 가장 낮은 부품과 가이드 레일 사이의 수평거리가 0.15 m 이내인 경우에 틈새를 최소
0.1 m 까지 감소시킬 수 있다. 이 수평거리가 0.15 m를 초과하면 틈새를 0.5 m 이상으로 하여야 한다.

- 16 -
1. 작업자 피난 공간 XH : 카의 가장 낮은 부품과 가이드 레일 사이의
2. 카의 가장 낮은 부품과 피트 바닥 사이의 틈새 수평거리
3. 에이프런과 피트 바닥사이의 틈새
4. 카의 가장 낮은 부품과 피트 고정 설비 사이의 틈새
5. 가이드 레일
6. 최하층 승강장 바닥
< 그림 13. 피트 공간 >

준비서류

☞승강로(피트 공간) 설계도서(수치 기재 포함)


5.7.3.4 피트 설비
피트에는 작업자가 안전하게 출입하고 작업할 수 있도록 정지장치(14.2.2 및 15.7 참조), 콘센트
(13.6.2 참조) 및 승강로 조명(5.9 참조) 점멸 수단을 설치하여야 한다.
정지장치는 작업자가 피트 출입문이나 피트 바닥에서 쉽게 조작할 수 있어야 하며, 승강로 조명 점멸
수단 또한 작업자가 최하층 승강장문을 포함한 피트 출입문을 열고 쉽게 조작할 수 있는 위치에 설치
하여야 한다.
준비서류

☞ 해당 없음
엘리베이터 승강로의 사용 제한
5.8
엘리베이터와 관계없는 배관, 전선 또는 장치 등이 엘리베이터와 공용으로 사용하기 위해 설치되거나
다른 용도로 승강로에 설치할 경우, 엘리베이터 전용이 아닌 다른 용도의 설비를 수리, 점검 등의 작업을
하기 위해 승강기 전문지식이 없는 사람이 승강장문, 점검문 또는 비상문을 열고 엘리베이터 승강로에
접근할 때 움직이는 엘리베이터 설비에 간섭되거나 승강로 아래로 추락하는 등의 위험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승강로에는 엘리베이터와 관련 없는 설비를 설치하지 않아야 한다.
다만, 다른 법령에서 규정하거나 엘리베이터 이용자의 편의를 위한 설비는 엘리베이터의 안전한 운행에
지장이 없다면 설치할 수 있다. 승강로에 설치할 수 있는 다른 용도의 설비는 증기난방 및 고압 온수난방을
제외한 승강로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는 냉ㆍ난방 설비(제어장치 및 조절장치는 승강로 외부에 있어야 한다.),
화재감지기 본체 및 비상방송용 스피커, 카내에 설치되는 CCTV의 전선 등 관련 설비 및 카 내에 설치되는
모니터의 전선 등 관련 설비로 제한한다.

- 17 -
벽이 없는 경우에는 엘리베이터가 운행하는 동안 움직이는 부품에서부터 수평거리가 1.5 m 이내인 공간을
승강로로 간주한다.
준비서류

☞ 해당 없음

카내에 CCTV 및 모니터를 설치할 경우에는 KS B 6948의 표 6의 8.1과 8.2 및 부속서 A의 A.6과
A.7에 적합하거나 동등 이상인 케이블(13.5.1.3 참조)을 사용하여야 한다.
승강로 조명
5.9
승강로에는 유지관리 작업자가 엘리베이터의 주기적인 점검 및 고장 수리 등의 작업에 지장이 없도록
적정한 밝기의 전기조명을 영구적으로 설치하여야 한다.
승강로의 천장 및 피트바닥에서 약 0.5 m 부근에 중간전구(들)과 함께 각각 1개의 전구로 구성된 조명을
설치한다. 전 운행구간에서 모든 문을 닫고 카 지붕 및 피트 바닥 위로 1 m 위치에서 조도를 측정할 때 50 lx
이상이어야 한다. 다만, 카 지붕에 전구를 포함한 50 lx 이상의 조명장치를 설치할 경우에는 중간 전구를
설치하지 않아도 된다.
승강로 벽이 일부 없는 경우(5.2.1.2 참조), 승강로 주변에 충분한 전기조명이 있고 그 조명이 50 lx
이상의 조도를 확보한다면 승강로에 조명을 설치하지 않을 수 있다.
비고 원활한 야간작업을 위하여 휴대용 전기조명장치를 비치해 두는 것을 권장한다.
준비서류

☞ 해당 없음
비상통화장치
5.10
카 상부에서 카를 운전하면서 작업하는 중 최상층 부근에서 카가 정지하는 고장으로 승강로 상부에 갇히
거나 피트에서 작업하는 중 최하층 부근에서 카가 정지하는 고장으로 피트에 갇히게 되어 카 비상구출문
또는 피트 출입문 등을 통해서 빠져나올 방법이 없는 위험이 존재하는 장소 즉, 카 상부 및 피트에는 외부와
통화할 수 있는 비상통화장치(14.2.3.2 및 14.2.3.3 참조)를 설치하여야 한다. 다만, 카 위에 비상구출문이
있거나 피트에 피트 출입문이 있는 경우 등에는 작업자가 승강로 밖으로 빠져나올 수 있는 방법이 있으
므로 각각의 경우를 만족하면 비상통화장치를 설치하지 않아도 된다.
준비서류

☞ 해당 없음
6. 구동기 공간 및 풀리 공간
일반사항
6.1
구동기 및 풀리는 유지보수, 점검 및 비상운전 등을 위해 출입할 수 있는 전용 공간에 설치하여야 한다.
구동기 및 풀리의 전용 공간은 환경적인 영향(눈ㆍ비의 침입, 온도 상승 등)을 고려하고 작업자가 유지관리
작업 등을 할 수 있도록 충분한 작업공간이 있도록 설계하여야 한다. 또한, 작업자 등 권한이 부여된 사람만이
접근하여 출입할 수 있도록 잠금장치가 있는 문을 설치하여야 한다.
비고 출입문의 열쇠는 일반인이 사용할 수 없도록 관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 18 -
1. 기계실 내부의 구동기(MR)
2. 승강로 내부의 구동기(MRL)
3. 승강로 외부의 구동기
< 그림 14, 구동기 공간 >

준비서류

☞ 구동기(설치공간 - 기계실, 승강로 내부 또는 승강로 외부) 설계도서


☞ 풀리실 설계도서

출입 통로
6.2
구동기 공간 및 풀리 공간의 출입통로에는 전기 조명장치를 영구적으로 설치하여 점검 및 비상구출
운전 등을 위해 출입하는 사람이 적절히 조명된 통로를 통해 신속하고 안전하게 출입문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이러한 공간의 출입통로는 거실, 사무실 및 잠금장치가 있는 창고 등 개인적인 공간에
들어가지 않고 어떠한 조건에서도 출입하는 사람이 출입문에 신속하고 안전하게 접근할 수 있도록 통로를
전체 경로에 걸쳐 유효하도록 설계하여야 한다. 또한, 통로 중간에 화물 등을 쌓아 놓아 접근에 지장을 초래
하지 않도록 유지관리 하여야 한다.(6.2.1)
비고 통로는 구동기 공간 및 풀리 공간의 출입 전용으로 설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출입 통로에 서로 다른 높이의 바닥이 있는 경우에는 계단을 설치하여야 한다. 다만, 수직 높이가 4 m
이하인 경우에는 [표 5]에 적합한 사다리를 설치할 수 있다. 계단을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다면 내구성 및
안전 확보를 위하여 사다리 보다는 계단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계단(사다리)을 포함한 출입 통로는
구동기 공간이나 풀리 공간의 출입문(6.3.4.1, 6.4.7.1, 및 6.7.1.3.1 참조) 크기(폭 × 높이) 이상의 공간을
확보할 수 있도록 설계하여야 하며 계단(사다리)에는 높이가 0.85 m 이상인 난간을 견고하게 설치하여야
한다.(6.2.2)
[ 표 5, 구동기 및 풀리 공간의 출입 사다리 ]

발판
사다리 설치가능 수평면에 폭 추락 보호
구 분 수직높이 대한 각도 조치 깊이 지지력 벽간거리 방지조치 미끄럼

경사형 ≤ 4.0 m 65°~ 75°


≥ 0.35
m
필요 ≥ 25 ㎜ ≥ 1,500 N 해당 없음 필요
수 직 ≺1.5 m ≻75° ≥ m0.35 필요 ≥ 25 ㎜ ≥ 1,500 N ≥ 0.15 m 필요
비고 추락보호조치 : 수평거리 1.5 m 이내 사다리 이상 높이

- 19 -
경사형 사다리 수직 사다리
< 그림 15, 구동기 및 풀리 공간의 출입 사다리 >

< 그림 16, 추락보호조치 >


준비서류

☞ 구동기 공간ㆍ풀리 공간의 출입 통로 설계도서(수치 기재 포함)


☞ 구동기 공간ㆍ풀리 공간의 출입 통로(난간) 설계도면(수치 기재 포함)
☞ 구동기 공간ㆍ풀리 공간의 출입 통로(사다리) 설계도면(수치 기재 포함)
* 사다리를 설치한 경우에만 해당
☞ 사다리 발판 강도에 대한 설계도서(강도 값 기재) 또는 시험성적서
* 사다리를 설치한 경우에만 해당
6.3 기계실 내부의 구동기 (MR)
6.3.1 일반사항

6.3.1.1 기계실 구획 및 사용제한


기계실은 환기구, 환기장치의 설치를 위한 개구부 및 출입문의 설치를 위한 개구부를 제외하고 구멍이
없는 벽, 바닥 및 천장으로 완전히 둘러쌓아야 한다.

- 20 -
기계실에는 엘리베이터 구동기 등 엘리베이터 관련 설비만 설치하여야 한다. 엘리베이터와 관계없는
배관, 전선 또는 장치 등이 설치될 경우에는 이러한 설비 및 장치의 고장수리 또는 점검 등의 작업을 위해
승강기 전문지식이 없는 사람이 출입하여 권상 도르래 등 움직이는 엘리베이터 설비에 간섭되거나 신체
일부가 말려 들어가는 등의 위험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엘리베이터와 관련 없는 다른 용도의 설비는
설치하지 않아야 한다. 즉, 기계실은 엘리베이터 전용으로만 사용하여야 한다. 다만, 덤웨이터 또는 에스
컬레이터 등 승강기의 구동기와 관련 설비, 증기난방 및 고압 온수난방을 제외한 기계실의 공조기
또는 냉·난방을 위한 설비, 환기를 위한 덕트 또는 소방 관련법령에 따라 기계실 천장에 설치되는 화재
감지기 본체, 비상용 스피커 및 가스계 소화설비(제어장치 제외)는 설치할 수 있다.
준비서류

☞ 해당 없음

< 소방방재청 소방제도팀-535(2008.02.04)호 >


건축물 최상층에 설치되는 승강기 기계실은 화재하중이 미미한 점과 스프링클러 헤드 설치 시 문제점
등을 감안하여 대체 소화설비인 가스계 소화설비(팩케이지형 등)를 설치할 경우 스프링클러 헤드를 제외
할 수 있습니다. 다만, 승강로가 불연재료로 된 구조가 아니거나 승강기 기계실을 다른 용도(사무실, 창고
등)와 겸용으로 사용하여 화재의 취약성이 있는 경우에는 스프링클러헤드를 설치하여야 합니다.
6.3.1.2 권상 도르래의 승강로 설치
권상 도르래는 점검 등의 유지관리를 위해 기계실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건축 구조의 한계로
인해 엘리베이터 설비의 설치 공간과 작업 공간의 확보를 위해 권상 도르래를 승강로에 설치할 수 있다.
다만, 권상 도르래를 승강로에 설치한 경우에는 유지관리 작업에 지장을 초래하지 않도록 하고, 기계실과
승강로 사이의 개구부를 작게 하는 등 발생 가능한 위험을 예방하도록 조치하여야 한다.
준비서류

☞ 해당 없음
6.3.2 기계적 강도 및 재질
건축업자는 엘리베이터 운행 및 유지관리를 위해 필요한 하중 및 힘에 견디도록 「건축물의 구조
등에 관한 규칙」 및 국토해양부 고시「건축구조기준」 등에 따라 기계실의 벽, 바닥 및 천장을 먼지
등이 발생하지 않는 내구성 재질로 시공하여야 한다.(6.3.2.1)
기계실 바닥은 콘크리트 또는 체크 플레이트 등의 미끄러지지 않는 재질로 마감하여야 한다.(6.3.2.2)
기계실은 「건축법 시행령」제2조제7호 및 「건축물의 피난·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제3조에
따른 내화구조 또는 「건축법 시행령」제2조제8호 및 「건축물의 피난·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제4조에 따른 방화구조로 시공하여 당해 건축물의 다른 부분과 구획하여야 한다. 기계실의 내장은 「건축법
시행령」제2조제11호 및 「건축물의 피난·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제7조에 따른 준불연재료 이상
으로 마감하여야 한다. 다만, 기계실 벽면이 외기에 직접 접하는 등 건축물 구조상 내화구조 또는 방화
구조로 구획할 필요가 없는 경우에는 「건축법 시행령」제2조제10호 및 「건축물의 피난·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제6조에 따른 불연재료를 사용하여 시공할 수 있다.(6.3.2.3)
비고 유리를 사용하여 기계실을 구획할 경우에는 상기의 규정을 모두 만족하도록 시공하여야 한다.
준비서류

☞ 기계실 구조 계산 설계도서
☞ 공인기관의 내화구조 또는 방화구조 인정서

- 21 -
*「건축물의 피난·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제3조제1호부터 제7호에 따른 내화구조 또는 같은
규칙 제4조제1호부터 제6호에 따른 방화구조로 시공하는 경우에는 해당 없음.
☞ 공인기관의 불연재료ㆍ준불연재료 시험성적서
*「건축물의 피난·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제6조제1호에 따른 불연재료로 시공하는 경우에는
해당 없음.

국토해양부 고시 - 내화구조 인정 및 관리기준


건축물의 피난·방화구조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별표1] 내화구조의 성능기준
KS F 2257-8에 적합한 내화구조인정서
치수
6.3.3
기계실 크기는 [표 6]와 같이 설계하여 작업자가 엘리베이터 설비, 특히 전기설비의 작업을 쉽고 안전하게
수행할 수 있는 작업공간과 이러한 작업공간으로 접근하는 이동통로를 충분히 확보하여야 한다.(6.3.3.1, 6.3.3.2.
6.3.3.3)

표 6, 기계실 작업공간의 크기 ]
[
구분 기준
작업 구역에서 유효 높이 ≥ 2.0 m

제어 패널‧캐비닛 폭 제어 패널‧캐비닛의 전체 폭이 0.5 m 이하인 경우 ≥ 0.5 m


전면의 제어 패널‧캐비닛의 전체 폭이 0.5 m 초과인 경우 ≥ 제어 패널‧캐비닛의 전체 폭
유효 수평면적 깊이(외함 표면에서 측정) ≥ 0.7 m
수동 비상운전 수단(12.5.1 참조)의 유지관리를 위한 유효 수평면적 ≥ 0.5 m × 0.6 m
폭 움직이는 부품이 있는 경우 ≥ 0.5 m
이동 통로 움직이는 부품이 없는 경우 ≥ 0.4 m
유효 높이(바닥에서부터 천장의 빔 하부까지) ≥ 1.8 m
구동기 회전부품 위로 유효 수직거리 ≥ 0.3 m

기계실 바닥에 0.5 m를 초과하는 단차가 있는 경우에는 보호난간이 있는 계단 또는 발판을 설치하여야 한다.
또한, 기계실 바닥에 폭 0.5 m 미만, 깊이 0.5 m를 초과하는 함몰 또는 덕트가 있는 경우에는 함몰부분이나
덕트를 방호하여 기계실에 출입하는 점검자 등의 안전을 확보하여야 한다.(6.3.3.4, 6.3.3.5)

< 그림 17, 기계실 작업공간의 크기 >

- 22 -
준비서류

☞ 기계실(작업공간의 크기) 설계도서(수치 기재 포함)


☞ 기계실(바닥 단차) 설계도서(수치 기재 포함)
☞ 기계실(계단/발판) 설계도서(수치 기재 포함)
☞ 기계실(함몰부분 방호) 설계도서(수치 기재 포함)

6.3.4 출입문
엘리베이터 기계실에는 사람이 안전하게 출입할 수 있도록 폭 0.7 m 이상, 높이 1.8 m 이상인 금속제
문을 설치하여야 하며, 이 출입문은 기계실 내부 방향으로는 열리지 않고 기계실 외부 방향으로 완전히
열리는 구조이어야 한다.(6.3.4.1)
이 출입문에는 점검 등 유지관리 및 비상 구출운전 등을 위하여 출입이 허가된 사람만 출입할 수
있도록 열쇠로 조작되는 잠금장치를 설치하여야 한다.(6.3.4.2)
기계실 출입문이 외기에 접하는 경우에는 빗물이 침입하지 않는 구조로 시공하여야 한다. 예를 들면,
기계실 출입문 위 부분에 처마를 설치하여 빗물의 침입을 막는 방법 등이 있다.(6.3.4.3)

외기에 접하는 기계실 출입문 보호 외부로 완전히 열리는 구조


< 그림 18, 기계실 출입문 >

준비서류

☞ 기계실(출입문) 설계도서(수치 기재 포함)


6.3.5 기타 개구부
기계실 바닥은 현수 수단 및 조속기 로프 등 반드시 바닥을 관통하는 필수 설비의 설치에 필요한 개구부를
제외하고 구멍이 없도록 시공하여야 한다. 개구부는 그 목적을 위해 치수를 최소로 하여야 한다. 개구부에는
전선을 포함한 물건이 승강로 아래로 떨어지는 위험이 없도록 금속 또는 플라스틱 재질의 덮개를 슬라브
또는 마감된 바닥 위로 50 ㎜ 이상 돌출하도록 설치하여야 한다.
비고 카가 최상층이나 최하층에 있을 때 현수로프가 관통 구에 간섭될 가능성이 높으므로 주의하여야 한다.

< 그림 19, 현수 로프가 개구부에 간섭되는 상황 >


준비서류

☞ 기계실(개구부 덮개) 설계도서

- 23 -
환기
6.3.6
기계실에는 기계실을 통한 승강로의 환기를 포함하여 외부의 신선한 공기가 유입되어 기계실이 환기
되도록 적절한 크기의 환기구를 두어야 한다. 기계실 환기구의 크기는 기계실 바닥면적의 1/20 이상으로
설계하는 것을 권장한다. 다만, 강제환기장치(환풍기 또는 공조기)를 설치할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한다.
환기구는 외기에 접하는 부분에 두는 것이 바람직하나 기계실이 건축물 내부에 있는 경우에는 다른
설비의 공간을 직접 관통하는 부분에는 두지 않아야 한다. 즉, 건축물의 다른 부분으로부터 신선하지 않은
공기가 기계실로 직접 유입되지 않도록 설계하여야 한다.
비고 기계실이 외기에 직접 접하는 벽면이 없고 건축물 내부에 있는 경우에는 환기구를 기계실 출입구가
있는 벽면에 두는 것을 권장한다.
환기구에는 유리창 또는 루버를 설치하여 눈ㆍ비가 기계실로 유입되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특히, 외기에
접하는 환기구에는 유리창과 루버를 동시에 설치하여야 한다. 다만, 건축물 내부에 사람이 접근할 수 없고
사람이 통과할 수 없는 크기의 환기구에는 유리창 또는 루버의 설치를 생략할 수 있다.
기계실은 엘리베이터 전동기 및 전기설비 등의 성능 저하를 예방하기 위하여 + 5 ℃에서 + 40 ℃ 사이
에서 실온이 유지되는 방법으로 시공하거나 냉ㆍ난방 설비를 설치하여 기계실 실온을 유지하도록 조치하여야
한다.
비고 열은 구동기의 전동기, 기동 저항기 및 제어 패널ㆍ캐비닛의 저항기 등으로부터 발생한다. 또한,
창이나 벽 등으로부터 전달되는 열도 있다. 기기의 발열량은 사용빈도에 따라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다음 식을 참조하여 계산한다.

적재하중   × 속도   ×   


< 그림 20, 루버 >


준비서류

☞ 기계실(실온 유지) 설계도서 또는 냉난방기 설계도서

일상 점검자는 수시로 환기창을 열어 공기를 순환하고 눈ㆍ비가 내릴 때는 환기창을 닫는 등 상시


기계실 온도 및 환경을 점검하면서 엘리베이터가 안전하게 운행되도록 유지 관리하여야 한다.
조명 및 콘센트
6.3.7
기계실에는 유지관리 작업 등을 위하여 바닥면 어느 곳에서나 200 lx 이상의 전기 조명장치를 설치하여야
한다. 조명장치에 공급되는 전원은 구동기에 공급되는 전원과는 독립적으로 다른 별도의 회로를 통해 또는
구동기의 주 개폐기나 엘리베이터 주 개폐기(13.4 참조)의 전원 공급 측을 통해 공급(13.6.1 참조)되도록 설계
하여야 한다.
조명 스위치는 점검자 등이 작업을 하기 위해 출입문을 열고 바로 켜고 작업이 끝나면 출입문을 나가기
바로 전에 끄는 등 쉽게 조명을 점멸할 수 있도록 출입문 근처의 벽면에 적절한 높이로 설치하여야 한다.
비고 조명 스위치의 높이는 사람이 서 있을 때 가슴 높이에서 어깨 높이 사이가 바람직하다.

- 24 -
또한, 점검 등 유지관리 작업을 위해 전기기기를 이용할 수 있도록 구동기의 전원공급과는 독립적으로
전원이 공급되는 1개 이상의 콘센트를 설치하여야 한다. 이 콘센트는 2P + PE, 250V로 직접 공급되거나
KS C IEC 60364-4-41에 따른 초저전압(SELV)로 공급(13.6.2 참조)되어야 한다.

준비서류

해당 없음

6.3.8 설비의 취급 (양중용 지지대 또는 양중 고리 )


구동기 또는 권상 도르래 등의 교체ㆍ수리 작업을 위해 무거운 설비를 양중할 수 있도록 1개 이상의
양중용 금속 지지대 또는 양중 고리를 기계실 천장 또는 천장에 위치한 보의 알맞은 위치에 설치하여야 한다.
양중용 금속 지지대 또는 양중 고리에는 안전하게 양중할 수 있는 최대 허용하중을 표시(15.4.5 참조)하여야
한다.
준비서류

☞ 해당 없음
6.4 승강로 내부의 구동기 (MRL)
6.4.1 일반사항
승강로 내부에 설치하는 구동기 지지대 및 작업구역은 필요로 하는 하중 및 힘에 충분히 견디도록
설계하고 금속 또는 철근콘크리트 구조로 시공하여야 한다.(6.4.1.1)
비고 플랫폼을 설치한 경우, 플랫폼의 기계적 강도는 6.4.5.3의 가)의 규정에 따라 설계하여야 한다.
승강로 상부에 설치하는 구동기 지지대의 기계적 강도는 가)와 나)를 더한 하중을 충분히 견디도록
설계하여야 한다.
가) 구동기 및 권상 도르래 등 지지대에 하중을 부과하는 모든 설비의 무게를 더한 하중(구동기
지지대에 부과되는 부분 하중이 있는 경우에는 부분 하중 포함)
나) 정격하중의 카에 의해 부과되는 모든 현수 로프의 장력을 더한 값의 2배
비고 현수 로프 장력은 가속 및 감속을 고려하여 2배로 계산된다.
승강로 측면 또는 하부에 설치하는 구동기 지지대는 구동기 및 권상 도르래 등 지지대에 하중을 부과
하는 모든 설비의 무게를 더한 하중을 충분히 견디도록 설계하여야 한다. 권상 도르래 지지대와 기초볼트는
구동기와 권상 도르래의 무게를 제외한 모든 현수 로프에 부과되는 장력에 의해 발생하는 수직력의 2배,
현수 로프의 장력에 의한 수평력이 발생할 경우에는 이 힘의 2배 그리고 현수 로프의 장력에 의한 전도력이
발생할 경우에도 이 힘의 2배를 충분히 견디도록 설계하여야 한다.
구동기, 권상 도르래 및 기계설비를 지지대에 고정하거나 지지대를 승강로 벽에 고정하는 볼트 등의
고정설비는 엘리베이터 운행 중에 부과하는 하중 및 힘에 의해 풀어지거나 변경되지 않도록 견고하게 설치
하여야 한다.
건축물 외부에 부분적으로 둘러싸인 승강로 즉, 반-밀폐식 승강로의 경우에는 눈이나 비 등 기후적ㆍ
위치적인 환경에 영향을 받는 구동기의 특별한 예방조치를 마련하여「승강기검사 및 관리에 관한 운용
요령」제8조부터 제10조까지의 규정에 따라 행정안전부 장관으로부터 특수구조승강기 검사특례 인정을
받아야 한다.(6.4.1.2)
승강로 내부에서 유지관리 작업을 위해 구동기 작업구역에서 다른 설비의 작업구역으로 이동하는
공간(이동 통로)의 유효 수직높이는 1.8 m 이상으로 설계하여야 한다.(6.4.1.3)

- 25 -
준비서류

☞ 구동기 지지대의 강도 계산 설계도서


☞ 구동기 지지대의 내력벽에 대한 구조기술사의 계산서
* 구동기를 승강로 측면에 직접 설치하는 경우에만 해당
☞ 구동기 공간(이동 공간) 설계도서(수치 기재 포함)

구동기 지지대 및 작업구역에 대한 기계적 강도 설계 및 볼트 등 고정설비와 고정방법에 관한 사항은


ASME A17.1/CSA B44 2.9(Machinery and sheave beam, supports, and foundations)를 참조한다.
승강로 내부 작업구역의 치수
6.4.2
승강로에 구동기(MRL)를 설치하는 경우에도 승강로 상부틈새에 관한 규정(5.7.7.1, 5.7.2.2 참조)을
준수하고 점검자 등이 쉽고 안전하게 작업할 수 있도록 승강로 내부의 작업구역 크기를 [표 7]과 같이
설계하여야 한다.(6.4.2.1, 6.4.2.2)
[ 표 7, 승강로 내부에 구동기를 설치한 경우, 작업공간의 크기 ]
구분 기준
작업 구역에서 유효 높이 ≥ 2.0 m
점검 등 유지관리를 위한 유효 수평면적 ≥ 0.5 m × 0.6 m

제어 패널‧캐비닛 폭 제어 패널‧캐비닛의 전체 폭이 0.5 m 이하인 경우 ≥ 0.5 m


전면의 제어 패널‧캐비닛의 전체 폭이 0.5 m 초과인 경우 ≥ 제어 패널‧캐비닛의 전체 폭
유효 수평면적 깊이(외함 표면에서 측정) ≥ 0.7 m
구동기 회전부품 위로 유효 수직거리 ≥ 0.3 m
비고 제어 패널 캐비닛을 승강로 외부에 설치할 경우 작업구역 및 이동통로의 크기는 6.4.6 참조
다만, 구동기 회전부품 위로 유효 수직거리가 0.3 m 미만으로 설계한 경우에는 구동기 회전부품으로
부터 보호할 수 있는 수단(9.7.1의 가) 참조)을 설치하여야 한다.(6.4.2.2)
준비서류

☞ 구동기 공간(승강로 내부의 작업구역) 설계도서(수치 기재 포함)


☞ 구동기 공간(회전부품 위 공간) 설계도서(수치 기재 포함)
☞ 보호 수단 설계도서 및 보호 수단의 구멍에 대한 안전조치 설계도서 또는 시험성적서
* 보호 수단을 설치하는 경우에만 해당
6.4.3 카 내부 또는 카 지붕의 작업구역
카 지붕 또는 카 벽에 설치된 점검문(6.4.3.3, 6.4.3.4 참조)을 통해 카 내부에서 승강로 상부 또는 측면에
설치된 구동기를 안전하게 유지관리할 수 있도록 카를 고정시키는 기계적인 장치와 카의 움직임을 보호하는
전기안전장치(14.1.2 참조)를 설치하여야 한다. 기계적인 장치가 작동하면 전기안전장치가 작동하여 구동기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고, 기계적인 장치가 작동위치에 있는 동안에는 전기안전장치에 의해 제어되지 않거나
예상하지 못한 움직임을 포함한 카의 모든 움직임을 방지하여 점검자 등이 안전하게 작업할 수 있도록
설계하여야 한다.(6.4.3.1)
비고 카를 고정시키는 기계적인 장치는 작업구역의 유효 높이(2 m 이상)를 확보한 위치에 설치하여야 한다.
예를 들면, 승강로 상부에 구동기가 있는 경우에는 카 지붕의 작업구역에서부터 승강로 천장(빔
포함)까지의 유효 수직거리가 2.0 m 이상 확보한 위치에 기계적인 장치를 설치하여야 한다.
- 26 -
카 내부에서 승강로에 설치된 구동기의 유지관리 작업을 하기 위하여 구멍이 없고 카 벽과 동일한 기계적
강도의 점검문(또는 점검 트랩문)을 카 벽에 설치할 수 있다. 이 경우, 점검문(또는 점검 트랩문)의 크기는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충분하여야 하나 승강로 아래로 추락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가능한 작게 설계
하여야 한다. 또한, 승강로 벽에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카 외부 방향으로는 열리지 않는 구조로
하여야 한다. 카 벽에 설치된 점검문 또는 점검 트랩문에는 열쇠로 조작되는 잠금장치 및 잠금 상태를 확인
하는 전기안전장치(14.1.2 참조)를 설치하여야 한다. 이 잠금장치는 열쇠를 사용하지 않고 다시 닫히고 잠길
수 있어야 한다.(6.4.3.3)
카 벽에 설치된 점검문(또는 점검 트랩문)이 열린 상태로 카 내부에서 카를 움직이면서 작업할 수
있도록 설계할 수 있다. 이 경우 점검운전 제어장치(14.2.1.3 참조)는 점검문(또는 점검 트랩문) 근처에서
이용할 수 있는 위치에 설치하여야 하고 점검운전 제어장치를 작동하면 점검문(또는 점검 트랩문)의 잠금
상태를 확인하는 전기안전장치[(6.4.3.3마) 참조]는 무효화되도록 설계하여야 한다. 또한, 카 내부의 점검
운전 제어장치는 잠금장치가 있는 박스 내부에 설치하는 등 권한이 있는 사람만이 접근할 수 있도록 설치하여야
하고, 카 지붕에 있는 점검운전 제어장치를 작동하면 카 내부의 점검운전 제어장치는 무효화되도록 설계
하여야 한다. 그리고 점검문(또는 점검 트랩문)의 설치를 위한 개구부의 작은 변의 치수가 0.2 m 를 초과하면
카 벽 개구부의 외측 끝 부분과 열린 개구부의 전면 승강로에 설치된 설비 사이의 수평거리는 0.3 m 이상이
되도록 설계하여야 한다.(6.4.3.4)
브레이크 작동시험, 권상능력 평가, 비상정지장치 작동시험, 완충기 충돌시험 및 카의 상승과속방지지수단
작동시험 등의 비상운전 및 작동시험을 위해 필요한 장치는 작업자가 승강로 외부에서 비상운전 및 작동
시험(6.6 참조)이 가능한 위치에 설치하여야 한다.(6.4.3.2)
준비서류

☞ 카(점검 개구부, 점검문 또는 점검 트랩문) 설계도서(수치 기재 포함)


☞ 카에 설치된 점검문 또는 점검 트랩문 강도 시험성적서

6.4.4 피트 내부의 작업구역


피트에 설치된 구동기의 유지관리 작업을 피트에서 안전하게 수행하고 예상하지 못한 카의 하강 움직임
으로부터 작업자를 보호하기 위하여 기계적인 장치를 영구적으로 설치하여야 한다. 이 기계적인 장치는 정격
하중을 싣고 어떤 속도(정격속도 까지)로 하강하는 카를 피트 작업구역의 바닥에서 카의 가장 낮은 부품
사이의 수직거리가 2 m 이상인 곳에서 정지시켜야 한다. 정격하중을 싣고 정격속도로 하강하는 카가 정지할 때
비상정지장치를 제외한 이 기계적인 장치의 감속도는 완충기에 의한 감속도(10.4 참조) 이하로 설계하여야
한다.[6.4.4.1의 가), 6.4.4.2]
비고 에이프런이나 수직 개폐식 카문과 인접한 승강로 벽 사이 또는 카의 가장 낮은 부품과 가이드 레일
사이의 공간은 측정위치에서 제외한다.
기계적인 장치는 카의 정지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충분한 기계적 강도를 갖도록 설계하고 이 장치에는
전기안전장치(14.1.2 참조)를 설치하여야 한다.[6.4.4.1의 나)와 바)]
기계적인 장치는 수동 또는 자동으로 작동하도록 설계하고, 기계적인 장치가 작동하면 전기안전장치가
작동하여 구동기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고, 기계적인 장치가 작동위치에 있는 동안에는 전기안전장치에
의해 제어되지 않거나 예상하지 못한 움직임을 포함한 카의 모든 움직임을 방지하여 작업자가 안전하게 작업
할 수 있도록 설계하여야 한다. 다만, 기계적인 장치의 작동에 의해 전기안전장치가 작동하더라도 점검운전
제어장치에 의해서는 카를 움직일 수 있도록 설계하여야 한다. 또한 피트에서 카의 점검운전을 할 수 있도록
점검운전 제어장치를 피트에 설치하여야 한다.[6.4.4.1의 다), 라), 바)와 사)]
기계적인 장치의 복귀 및 엘리베이터의 정상운행으로의 복귀는 전기적인 복귀 장치의 작동에 의해서만
가능하도록 설계하여야 한다. 이 전기적인 복귀 장치는 승강로 외부의 잠긴 캐비닛 내부에 설치하여 권한이
있는 사람만이 접근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6.4.4.1의 아)]
- 27 -
또한, 잠금장치가 있는 피트 출입문을 설치한 경우에는 피트 출입문을 개방하면 전기안전장치(14.1.2
참조)가 작동하여 엘리베이터가 더 이상 움직이지 않도록 보호하여야 한다.[6.4.4.1의 마)]
브레이크 작동시험, 권상능력 평가, 비상정지장치 작동시험, 완충기 충돌시험 및 카의 상승과속방지지
수단 작동시험 등의 비상운전 및 작동시험을 위해 필요한 장치는 작업자가 승강로 외부에서 비상운전
및 작동시험(6.6 참조)이 가능한 위치에 설치하여야 한다.(6.4.4.3)

( 가) 단면도 나 운행상태
( )

다 정지상태(완충기 미작동)
( ) 라 정지상태(완충기 작동)
( )

< 그림 21, 피트 작업구역의 기계적인 장치 >

- 28 -
준비서류
- 피트에 구동기를 설치한 경우에만 해당
☞ 구동기 공간(피트 작업자 보호) 설계도서(수치 기재 포함)
☞ 기계적인 장치의 감속도 및 기계적 강도에 대한 시험성적서
☞ 기계적인 장치(작동 및 복귀에 대한 설명) 설계도서

6.4.5 플랫폼 위의 작업구역


구동기의 유지관리 작업을 위한 플랫폼을 승강로 또는 피트에 영구적으로 설치할 수 있다. 이 경우 플랫폼은
엘리베이터가 정상운행 중일 때 카 또는 균형추(또는 평형추)의 주행로에 돌출하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다만,
엘리베이터가 운행 중일 때는 주행로 밖으로 집어넣고 작업할 때는 빼거나 펼치는 플랫폼을 설치할 수
있다.(6.4.5.1)
이 플랫폼은 두 사람 이상의 무게를 충분히 견딜 수 있는 강도로 설계하여야 하며, 어떤 플랫폼의
두 지점(0.2 m × 0.2 m)에 각각 1,000 N의 힘을 가하였을 때 영구적인 변형이 없어야 한다. 플랫폼에는 손잡이,
발 보호판(높이 0.1 m)과 중간 봉(보호난간의 1/2 지점)으로 구성되고 [표 8]에 적합한 보호난간(8.13.3 참조)을
설치하여야 한다. 출입구 측의 보호난간은 점검자 등 사람이 플랫폼으로 안전하고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조치(접이식 보호난간 설치 등)하여야 한다. 또한, 플랫폼 바닥과 출입문 바닥 사이의 발판 높이가 0.5 m를
초과하지 않고 플랫폼과 출입문 문턱사이의 틈새를 통해 지름 0.15 m의 구가 통과하지 않으며 승강로 아래로
추락하는 위험을 방지하는 추가적인 대비가 없다면 완전히 열린 승강장문 문짝과 플랫폼 가장자리 사이를 수평
으로 측정한 틈새는 0.15 m를 초과하지 않다는 조건을 모두 입증하는 수단을 설치하여야 한다.(6.4.5.3)
[ 표 8, 플랫폼 보호난간 ]
구분 기준
보호난간의 높이 보호난간의 손잡이 바깥쪽 끝 면과 0.3 m ≺ L ≤ 0.85 m ≥ 0.7 m
승강로 벽 사이의 수평거리 ≻ 0.85 m ≥ 1.1 m
손잡이 외측과 승강로 부품(균형추ㆍ평형추, 스위치, 레일ㆍ브라켓 등) 사이의 수평거리 ≥ 0.1 m
플랫폼 가장자리와 보호난간 사이의 수평거리(플랫폼 바닥에 설치하는 보호난간의 위치) ≤ 0.15 m
출입구 측의 보호난간은 플랫폼으로 안전하고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조치하여야 한다.
추가로, 집어넣을 수 있는 플랫폼에는 완전히 집어넣은 위치를 확인하는 전기안전장치(14.1.2 참조)
및 작업위치에서 플랫폼을 집어넣거나 뺄 수 있는 수단을 설치하여야 한다. 이 수단은 피트에서 접근
할 수 있도록 하거나 승강로 외부에 위치한 플랫폼 작동수단에 의해 동작되도록 설치하여야 한다.
또한, 권한이 있는 사람만이 이 수단에 접근할 수 있도록 조치하여야 한다. 승강장문을 통해 플랫폼에
접근할 수 없는 경우, 플랫폼이 작업 위치에 있지 않을 때 즉, 플랫폼이 완전히 펼쳐지지 않으면 출입
문이 열리지 않게 설계하거나 작업자가 승강로 아래로 추락하는 것을 방지하는 다른 방법의 수단을
설치하여야 한다.(6.4.5.4)
카 또는 균형추(또는 평형추)의 주행로에 위치한 플랫폼에서 구동기 등의 유지관리 작업을 안전하게
할 수 있도록 카를 고정시키는 기계적인 장치와 카의 움직임을 보호하는 전기안전장치(14.1.2 참조)를
설치하여야 한다.
기계적인 장치가 작동하면 전기안전장치가 작동하여 구동기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고, 기계적인 장치가
작동위치에 있는 동안에는 전기안전장치에 의해 제어되지 않거나 예상하지 못한 움직임을 포함한 카의 모든
움직임을 방지하도록 설계하여야 한다. 또한, 카를 움직이면서 작업할 때 카를 정지시키는 움직이는 멈춤 쇄기를
설치하여 카가 플랫폼을 향해 아랫방향으로 운행되는 경우에는 플랫폼 위에서 2 m 이상인 지점에 카를 정지시키고,
카가 플랫폼을 향해 위 방향으로 운행되는 경우에는 플랫폼 아래에서 움직이는 카를 권상 구동식 상부틈새
[5.7.1.1의 나), 다), 라) 및 표 1 참조]에 적합한 지점에 정지시키도록 설계하여야 한다.(6.4.5.2)

- 29 -
움직이는 멈춤 쇄기는 플랫폼이 내려질 때 자동으로 작동되도록 설계하여야 하며, 멈춤 쇄기에는 완충기(10.3,
10.4 참조)를 설치하고, 멈춤 쇄기가 완전히 집어넣은 위치에 있을 때 카의 움직임을 허용하는 전기안전장치
(14.1.2 참조) 및 멈춤 쇄기가 완전히 뻗은 위치에 있을 때 내려진 플랫폼과 함께 카의 움직임을 허용하는
전기안전장치(14.1.2 참조)를 설치하여야 한다.(6.4.5.5)
플랫폼에서 카를 움직이면서 점검할 수 있도록 점검운전 제어장치(14.2.1.3 참조)를 설치하여야 한다. 움직이는
멈춤 쇄기가 작동위치에 있을 때 점검운전 제어장치에 의해서만 카의 전기적인 움직임이 가능하도록 설계
하여야 한다.(6.4.5.6)
브레이크 작동시험, 권상능력 평가, 비상정지장치 작동시험, 완충기 충돌시험 및 카의 상승과속방지지수단
작동시험 등의 비상운전 및 작동시험을 위해 필요한 장치는 작업자가 승강로 외부에서 비상운전 및 작동
시험(6.6 참조)이 가능한 위치에 설치하여야 한다.(6.4.5.7)
준비서류

☞ 플랫폼(운행/정지) 설계도서
☞ 플랫폼 강도 시험성적서
☞ 플랫폼(보호난간) 설계도서(수치 기재 포함)
☞ 플랫폼과 승강장문 사이의 틈새와 이를 입증하는 수단에 대한 설계도서
☞ 기계적 고정 장치 및 움직이는 멈춤 쇄기에 대한 설계도서(수치 기재 포함)

6.4.6 승강로 외부의 작업구역


구동기는 승강로에 설치하고 승강로 외부의 작업구역에서 유지관리 작업을 수행하도록 설계할 수 있다.
이 경우, 작업구역의 크기 및 이동통로는 기계실의 작업구역 및 이동통로(6.3.3.1, 6.3.3.2 및 [표 5] 참조)의
치수와 동일하게 설계하여야 하며 승강로 외부의 작업구역에서 승강로 내부의 구동기 공간에 출입하는 문
(6.4.7.2 참조)을 설치하여야 한다.

준비서류

☞ 승강로 외부의 작업구역 설계도서(수치 기재 포함)


☞ 이동통로에 대한 설계도서(수치 기재 포함)

6.4.7 문
승강로에 설치된 구동기의 유지관리 작업을 위하여 승강로 내부의 작업구역에 쉽고 안전하게 출입할 수 있도록
구멍이 없고 승강장문과 동일한 기계적 강도의 문을 승강로 벽(개구부)에 설치하여야 한다. 출입문의 크기는
폭 0.6 m 이상, 높이 1.8 m 이상이어야 하며 승강로 내부 방향으로는 열리지 않는 구조이어야 한다. 출입문에는
유지관리 작업을 위하여 허가된 사람만 출입할 수 있도록 열쇠로 조작되는 잠금장치와 출입문의 닫힘 상태를
확인하는 전기안전장치(14.1.2 참조)를 설치하여야 한다. 또한, 열쇠 없이 다시 닫히고 잠길 수 있어야 하며
출입문이 잠겨있더라도 승강로 내부에서는 열쇠를 사용하지 않고 열 수 있는 구조이어야 한다. 다만, 승강장문을
통해 승강로 내부의 작업구역에 출입할 수 있다면 출입문은 설치하지 않아도 된다.(6.4.7.1)
승강로 외부의 작업구역에서 승강로 내부의 구동기 공간에 출입하는 문(6.4.6 참조)은 작업자가 승강로
아래로 추락하는 것을 막을 수 있도록 가능한 작게 설계하여야 한다. 다만, 작업자가 이 출입문을 통해
쉽고 안전하게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충분한 크기로 설계하여야 한다. 유지관리 작업을 위하여 허가된
사람만 출입할 수 있도록 열쇠로 조작되는 잠금장치와 출입문의 닫힘 상태를 확인하는 전기안전장치(14.1.2
참조)를 출입문에 설치하여야 한다. 출입문은 승강로 내부 방향으로는 열리지 않고 열쇠 없이 다시 닫히고 잠길 수
있어야 하며 출입문이 잠겨있더라도 승강로 내부에서는 열쇠를 사용하지 않고 열 수 있는 구조이어야 한다.
또한, 이 출입문은 구멍이 없고 승강장문과 동일한 기계적 강도를 가져야 한다.(6.4.7.2)

- 30 -
준비서류

☞ 승강로 작업구역의 출입문 설계도서(수치 기재 포함)


☞ 승강로 작업구역의 출입문 강도 시험성적서
☞ 승강로 외부의 작업구역에서 출입하는 문 설계도면(수치 기재 포함)
☞ 승강로 외부의 작업구역에서 출입하는 문 강도 시험성적서(업체 자체시험 인정)
☞ 공인기관의 방화문 인증서(시험성적서 포함)

방화등급이 요구되는 출입문의 경우에는 관련 법령에 따른다.(7.2.2 참조)


환기
6.4.8
구동기 공간에는 승강로의 환기를 포함하여 외부의 신선한 공기가 유입되어 구동기 공간이 환기
되도록 적절한 크기의 환기구를 두어야 한다.
구동기 공간의 환기구에는 기계실의 환기구(6.3.6 참조)에 설치하는 보호 수단과 같이 구동기(특히, 전기설비)
의 성능이 저하되지 않도록 먼지, 유해한 연기, 습도 및 눈ㆍ비의 유입을 막는 보호 수단을 설치하여야 한다.
승강로를 유리로 구획하는 등 직사광선의 직접적인 영향을 받는 구동기 공간에는 강제환기장치 또는
냉방장치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비고 승강로 내부의 구동기 공간의 환기구는 승강로의 환기구(5.2.3 참조)와 겸용으로 사용할 수 있다.
준비서류

☞ 구동기 공간(실온유지) 설계도서 또는 냉난방기 설계도서


6.4.9 조명 및 콘센트
구동기 공간 및 작업구역에는 유지관리 및 비상 구출운전 작업을 위하여 바닥면 어느 곳에서나 200 lx
이상 비추는 전기 조명장치를 설치하여야 한다. 이 조명장치는 승강로 조명으로 사용할 수 있다.
조명장치에 공급되는 전원은 구동기 공급전원과는 독립적으로 다른 별도의 회로를 통해 또는 구동기의 주
개폐기나 엘리베이터 주 개폐기(13.4 참조)의 전원 공급 측을 통해 공급(13.6.1 참조)되도록 설계하여야 한다.
조명 스위치는 작업자가 작업을 위해 출입문을 열고 바로 켜고, 작업이 끝나면 출입문을 나가기 바로
전에 끄는 등 쉽게 조명을 점멸할 수 있도록 출입문 근처의 벽면에 적절한 높이로 설치하여야 한다.
또한, 유지관리 작업을 위해 전기기기를 이용할 수 있도록 구동기의 전원공급과는 독립적으로 전원이 공급
되는 1개 이상의 콘센트를 설치하여야 한다. 이 콘센트는 2P + PE, 250V로 직접 공급되거나 한국산업표준
(KS C IEC 60364-4-41)에 따른 초저전압(SELV)으로 전원을 공급(13.6.2 참조)하도록 설계하여야 한다.

준비서류

☞ 해당 없음
6.4.10 설비의 취급 (양중용 지지대 또는 양중 고리 )
구동기 또는 권상 도르래 등의 교체ㆍ수리 작업을 위해 무거운 설비를 편리한 위치에서 양중할 수
있도록 1개 이상의 양중용 금속 지지대 또는 양중 고리를 구동기 공간의 알맞은 위치에 설치하여야 한다.
양중용 금속 지지대 양중 고리에는 안전하게 양중할 수 있는 최대 허용하중을 표시(15.4.5 참조)하여야 한다.
준비서류

☞ 해당 없음

- 31 -
6.5 승강로 외부의 구동기
6.5.1 일반사항
구동기를 기계실이 아닌 승강로 외부의 별도의 공간에 설치하는 경우 엘리베이터 운행 및 유지
관리를 위해 필요한 하중 및 힘에 견디도록 「건축물의 구조 등에 관한 규칙」 및 국토해양부 고시
「건축구조기준」 등에 따라 시공하여야 한다.

준비서류

구동기 지지대 강도 계산 설계도서


6.5.2 구동기 캐비닛


엘리베이터 구동기는 승강로 외부에 위치한 구동기 캐비닛에 설치하여야 한다. 구동기 캐비닛은 환기구,
엘리베이터 성능을 위한 승강로와 캐비닛 사이의 필요 개구부 및 화재 시 가스와 연기의 배출을 위한
통풍구를 제외하고 구멍이 없는 벽, 바닥 및 천장 그리고 문으로 완전히 둘러쌓아야 한다. 개구부에는
권한이 없는 사람이 접근할 때 보호할 수 있도록 KS B 6947(기계류의 안전 - 위험지역에 상체가 접근할 수
없도록 하기 위한 안전거리)의 표 5에 따른 안전거리 확보 및 전기설비의 접촉을 막는 IP 2X 이상의 등급
으로 보호조치 하여야 한다. 또한, 구동기 캐비닛에는 엘리베이터 구동기 등 엘리베이터 관련 설비만 설치
하여야 한다. 엘리베이터와 관계없는 배관, 전선 또는 장치 등이 설치될 경우에는 이러한 설비 및 장치의 고장
수리 등의 작업을 위해 승강기 전문지식이 없는 사람이 출입하여 권상 도르래 등 움직이는 엘리베이터
설비에 간섭되거나 신체 일부가 말려 들어가는 등의 위험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엘리베이터와 관련 없는
다른 용도의 설비는 설치하지 않아야 한다. 즉, 구동기 캐비닛은 엘리베이터 전용으로만 사용하여야
한다.(6.5.2.1, 6.5.2.2)
구동기 캐비닛에는 요구되는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충분한 크기의 문을 설치하여야 하며 이 문은
캐비닛 내부 방향으로는 열리지 않는 구조이어야 한다. 또한, 문에는 열쇠로 조작되는 잠금장치를
설치하여야 하며, 열쇠 없이 다시 닫히고 잠길 수 있는 구조이어야 한다.(6.5.2.3)
준비서류

☞ 구동기 캐비닛(구조) 설계도서


☞ 개구부 안전조치 설계도서 또는 시험성적서
☞ 개구부의 전기설비 접촉을 막는 IP 보호등급 시험성적서

KS B 6947, 4.5.2(3세 이상 사람들의 정상적인 개방)


표 5는 3세에서 14세까지의 사람들의 상부의 팔다리와 행동 두께의 보다 작은 치수들을 고려한다. 14세 이
상의 사람들도 이 표를 사용함으로써 보호될 수 있다. 개방 e의 치수는 수직 열림의 측면부, 원형 열림의
지름, 홈 열림의 가장 좁은 치수에 상당한다.
비고 교살에 대항한 어린이 보호 조치는 이 규격의 과제가 아니다. 개방 > 100 ㎜ 이면 4.3에 따른 안전거
리가 사용될 것이다.

- 32 -
<표5>
신체분위 삽화 개방 홈
홈 수직 원형
손가락 끝 e≤4 ≥2 ≥2 ≥2
4<e≤6 ≥20 ≥10 ≥10
손가락 관절 6<e≤8 ≥40 ≥30 ≥20
위의 손가락
8<e≤10 ≥80 ≥60 ≥60
또는 10<e≤12 ≥100 ≥80 ≥80
손 12<e≤20 ≥900a ≥120 ≥120
어깨 접합점 20<e≤30 ≥900 ≥550 ≥120
위의 팔
30<e≤100 ≥900 ≥900 ≥900
a 혹 열림의 깊이가 ≤40 ㎜이면, 엄지 손가락이 정지할 것이고 안전 거리는 120 ㎜로 감소될 수 있다.

구동기 캐비닛의 작업구역


6.5.3
구동기 캐비닛 전면의 작업구역의 치수는 승강로 내부 작업구역의 치수(6.4.2 참조)와 동일하게 설계
하여야 한다.
준비서류

☞ 구동기 캐비닛(작업구역의 크기) 설계도서(수치 기재 포함)


☞ 보호 수단 설계도서 및 보호 수단의 구멍에 대한 안전조치 설계도서 또는 시험성적서
* 보호 수단을 설치하는 경우에만 해당
6.5.4 환기
구동기 캐비닛은 기계실과 같이 외부의 신선한 공기가 유입되어 구동기 캐비닛이 적절하게 환기되도록
적절한 크기의 환기구를 두어야 한다.
구동기 캐비닛의 환기구에는 기계실의 환기구(6.3.6 참조)에 설치하는 보호 수단과 같이 구동기(특히, 전기설비)
의 성능이 저하되지 않도록 먼지, 유해한 연기, 습도 및 눈ㆍ비의 유입을 막는 보호 수단을 설치하여야 한다.
준비서류

☞ 구동기 캐비닛(실온유지) 설계도서 또는 냉난방기 설계도서


6.5.5 조명 및 콘센트
구동기 캐비닛에는 점검 등 유지관리 및 비상 구출운전 작업을 위하여 바닥면 어느 곳에서나 200 lx
이상 비추는 전기 조명장치를 설치하여야 한다.
이 조명장치에 공급되는 전원은 구동기의 공급전원과는 독립적으로 다른 별도의 회로를 통해 또는 구동기의
주 개폐기나 엘리베이터 주 개폐기(13.4 참조)의 전원 공급 측을 통해 공급(13.6.1 참조)되도록 설계하여야 한다.
조명 스위치는 작업자가 출입문을 열고 바로 켜고 작업이 끝나면 출입문을 나가기 바로 전에 끄는 등 쉽게
조명을 점멸할 수 있도록 출입문 근처의 벽면에 적절한 높이로 설치하여야 한다.
또한, 유지관리 작업을 위해 전기기기를 이용할 수 있도록 구동기의 전원공급과는 독립적으로 전원이
- 33 -
공급되는 1개 이상의 콘센트를 설치하여야 한다. 이 콘센트는 2P + PE, 250V로 직접 공급되거나 KS C
IEC 60364-4-41에 따른 초저전압(SELV)로 공급(13.6.2 참조)되어야 한다.

준비서류

☞ 해당 없음
비상운전 및 작동시험을 위한 운전
6.6
구동기가 승강로에 설치되어 카 내부 또는 카 지붕의 작업구역(6.4.3 참조), 피트 내부의 작업구역(6.4.4
참조) 및 플랫폼 위의 작업구역(6.4.5 참조)에서 유지관리 작업을 수행하는 경우에는 승강로 외부에서 모든
비상운전 및 엘리베이터의 필요한 작동시험을 수행하기 위한 적합한 패널을 설치하고, 이 비상운전 및 작동
시험 수단을 패널에 설치하여야 한다. 이 패널에는 열쇠로 조작되는 잠금장치를 설치하는 등 권한이 없는
사람이 접근할 수 없도록 조치하여야 한다. 또한, 이 수단은 유지관리 절차 상 카를 움직일 필요가 있고
승강로 내부의 작업구역에서 안전하게 작업할 수 없을 경우에는 유지관리를 위한 수단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 수단을 구동기 캐비닛 내부에 설치하지 않는 등 보호 수단이 없는 경우에는 승강로 내부 방향으로
열리지 않고 열쇠로 조작되는 잠금장치가 있으며 열쇠 없이 다시 닫히고 잠길 수 있는 보호 덮개로 둘러쌓아
보호하여야 한다.(6.6.1)
패널에는 내부통화 시스템 설비(14.2.3.4 참조)와 비상운전을 위한 장치(12.5 참조), 작동시험을 수행할 수
있는 제어 설비(6.4.3.2, 6.4.4.3, 6.4.5.7 참조) 그리고 카의 운행방향, 잠금해제구간의 도착 및 엘리베이터
카 속도를 나타내는 구동기의 방향 감시 또는 표시장치를 설치하여야 한다.(6.6.2)
비상운전 및 작동시험을 원활히 수행할 수 있도록 이 패널에 설치된 장비 및 설비를 50 lx 이상으로
비추는 전기 조명장치를 설치하여야 한다. 이 조명장치에 공급되는 전원은 구동기에 공급되는 전원과는
독립적으로 다른 별도의 회로를 통해 또는 구동기의 주 개폐기나 엘리베이터 주 개폐기(13.4 참조)의 전원
공급 측을 통해 공급(13.6.1 참조)되도록 설계하여야 한다. 조명 스위치는 쉽게 조명을 점멸할 수 있도록 패널
위 또는 패널 근처에 설치하여야 한다.(6.6.3)
비상운전 및 작동시험을 위한 패널은 [표 9]와 같은 크기의 작업구역이 확보된 경우에만 설치하여야
한다.(6.6.4)
[ 표 9, 비상운전 및 작동시험 패널의 설치를 위한 작업구역의 크기 ]
구분 기준
작업 구역에서 유효 높이 ≥ 2.0 m

제어 패널‧캐비닛 폭 제어 패널‧캐비닛의 전체 폭이 0.5 m 이하인 경우 ≥ 0.5 m


전면의 제어 패널‧캐비닛의 전체 폭이 0.5 m 초과인 경우 ≥ 제어 패널‧캐비닛의 전체 폭
유효 수평면적 깊이(외함 표면에서 측정) ≥ 0.7 m

준비서류

☞ 비상운전 및 작동시험 패널(작업구역) 설계도서(수치 기재 포함)


6.7 풀리 공간의 구조 및 설비
6.7.1 풀리실
승강로 외부의 풀리는 풀리실에 설치하여야 한다.
비고 풀리실은 구동기가 포함되지 않은 공간을 말하며, 조속기 및 전기장치가 포함될 수 있다.

- 34 -
준비서류

☞ 해당 없음
6.7.1.1 기계적 강도 및 재질
건축업자는 엘리베이터 운행 및 유지관리를 위해 필요한 하중 및 힘에 견디도록 「건축물의 구조
등에 관한 규칙」 및 국토해양부 고시「건축구조기준」 등에 따라 풀리실의 벽, 바닥 및 천장을 먼지 등이
발생하지 않는 내구성 재질로 시공하여야 한다.(6.7.1.1)
풀리실 바닥은 콘크리트 또는 체크 플레이트 등의 미끄러지지 않는 재질로 마감하여야 한다.(6.7.1.2)
준비서류

☞ 풀리실 구조 계산 설계도서 또는 구조안전 확인서


6.7.1.2 치수
풀리실의 크기는 [표 10]과 같이 설계하여 작업자가 모든 설비의 작업을 쉽고 안전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작업공간과 이러한 작업공간으로 접근하는 이동통로를 충분히 확보하여야 한다.(6.7.1.2.1, 6.7.1.2.2, 6.7.1.2.3)
[ 표 10, 풀리실 작업공간의 크기 ]
구분 기준
움직이는 부품의 점검 등의 유지관리를 위한 유효 수평면적 ≥ 0.5 m × 0.6 m
이동 통로 폭 움직이는 부품이 있는 경우
움직이는 부품이 없는 경우
≥ 0.5 m
≥ 0.4 m
천장 아래의 높이 ≥ 1.5 m
풀리 위로 유효 공간(수직거리) ≥ 0.3 m

풀리실에 제어 패널 및 캐비닛을 설치한 경우에는 전면에 유효 수평면적을 [표 11]과 같이 설계하여


쉽고 안전하게 작업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6.7.1.2.4)
[ 표 11, 풀리실에 제어 패널‧캐비닛을 설치한 경우, 작업공간의 크기 ]

구분 기준
제어 패널‧캐비닛 폭 제어패널‧캐비닛의전체폭이 0.5 m 이하인경우 ≥ 0.5 m
전면의 제어패널‧캐비닛의전체폭이 0.5 m 초과인경우 ≥ 제어 패널‧캐비닛의 전체 폭
유효 수평면적 깊이(외함 표면에서 측정) ≥ 0.7 m

움직이는 부품이 있는 경우 ≥ 0.5 m



이동통로 움직이는 부품이 없는 경우 ≥ 0.4 m

유효 높이(바닥에서부터 천장의 빔 하부까지) ≥ 1.8 m


준비서류

☞ 풀리실(작업구역의 크기/이동통로) 설계도서(수치 기재 포함)


6.7.1.3 문 및 트랩문
풀리실에는 사람이 안전하게 출입할 수 있도록 폭 0.6 m 이상, 높이 1.4 m 이상인 문을 설치하여야 한다.
출입문은 풀리실 내부 방향으로는 열리지 않고 풀리실 외부 방향으로 완전히 열리는 구조이어야 한다.(6.7.1.3.1)

- 35 -
트랩문을 설치한 경우에는 0.8 m × 0.8 m 이상의 유효통로를 확보하고 반대방향으로 균형을 이루어야
한다. 트랩문은 두 사람 이상의 무게를 충분히 견딜 수 있는 강도로 설계하여야 한다. 즉, 어떤 트랩문의
두 지점(0.2 m × 0.2 m)에 각각 1,000 N의 힘을 가해 시험한 결과 영구적인 변형이 없어야 한다. 트랩문을
집어넣을 수 있는 사다리와 연결하지 않을 경우에는 하강 방향으로 열리지 않도록 하고, 경첩이 있다면
그 경첩은 풀리지 않도록 설치하여야 한다. 트랩문에는 트랩문이 열린 상태로 있을 때 보호대 등의 사람의
추락을 막는 조치를 하여야 한다.(6.7.1.3.2)
풀리실의 문 및 트랩문에는 유지관리 작업을 위하여 출입이 허가된 사람만 출입할 수 있도록 열쇠로
조작되는 잠금장치를 설치하여야 하며, 작업자가 풀리실에 갇히는 위험을 예방하기 위해 풀리실 내부에서는
열쇠 없이 잠긴 문 및 트랩문을 열 수 있는 구조이어야 한다.(6.7.1.3.3)
준비서류

☞ 풀리실(문 또는 트랩문) 설계도서(수치 기재 포함)


☞ 풀리실(개구부) 설계도서(수치 기재 포함)
☞ 트랩문 강도에 대한 설계도서(강도 값 기재 포함) 또는 시험성적서

6.7.1.4 기타 개구부
풀리실 바닥을 관통하는 필수 설비의 설치에 필요한 개구부를 제외하고 구멍이 없도록 풀리실 바닥을
시공하여야 한다. 개구부는 그 목적을 위해 치수를 최소로 하여야 한다. 개구부에는 전선을 포함한 물건이
승강로 아래로 떨어지는 위험이 없도록 금속이나 플라스틱 재질의 덮개를 슬라브 또는 마감된 바닥 위로
50 ㎜ 이상 돌출하도록 설치하여야 한다.

준비서류

☞ 풀리실(개구부 덮개) 설계도서


6.7.1.5 정지장치
동력 작동식 문을 포함하여 엘리베이터를 정지시키고 움직이지 않도록 하는 정지장치(14.2.2.1 참조)는
풀리실 내부의 출입문 근처에 설치하여야 한다. 이 정지장치는 전기안전장치로 구성하고 상승 및 하강 방향
즉, 양방향 모두 정지시키고 의도되지 않은 작동으로부터 정상운전으로 복귀되지 않도록 설계(14.2.2.2 참조)
하여야 한다. 또한, 이 장치에 직접 또는 근처에 “정지”라는 글자를 표기하여야 한다.
준비서류

☞ 해당 없음
6.7.1.6 온도
풀리실은 서리가 끼고 물방울이 맺힐 위험이 없도록 시공하여야 한다. 만약 이러한 위험이 노출된
환경에 풀리실을 시공한 경우에는 설비를 보호할 수 있는 수단(방청조치 등)을 설치하여야 한다.
풀리실에 전기설비를 설치한 경우에는 풀리실을 전기설비의 성능 저하를 예방하기 위하여 기계
실과 같이 + 5 ℃에서 + 40 ℃ 사이의 실온이 유지되도록 시공하거나 냉ㆍ난방 설비를 설치하여 풀리실
실온을 유지하도록 조치하여야 한다.
준비서류

☞ 풀리실 실온유지 설계도서 또는 냉난방기 설계도서


6.7.1.7 조명 및 콘센트
풀리실에는 유지관리 작업을 위하여 어느 풀리에서나 100 lx 이상 비추는 전기 조명장치를 설치하여야 한다.
이 조명장치에 공급되는 전원은 구동기에 공급되는 전원과는 독립적으로 다른 별도의 회로를 통해 또는 구동기의
주 개폐기나 엘리베이터 주 개폐기(13.4 참조)의 전원 공급 측을 통해 공급(13.6.1 참조)되도록 설계하여야 한다.
- 36 -
조명 스위치는 작업자가 출입문을 열고 바로 켜고 작업이 끝나면 출입문을 나가기 바로 전에 끄는 등
쉽게 조명을 점멸할 수 있도록 출입문 근처의 벽면에 적절한 높이로 설치하여야 한다.
비고 조명 스위치의 높이는 사람이 서 있을 때 가슴 높이에서 어깨 높이 사이가 바람직하다.
또한, 유지관리 작업을 위해 전기기기를 이용할 수 있도록 구동기의 전원공급과는 독립적으로 전원이
공급되는 1개 이상의 콘센트를 설치하여야 한다. 이 콘센트는 2P + PE, 250V로 직접 공급되거나 KS C
IEC 60364-4-41에 따른 초저전압(SELV)로 공급(13.6.2 참조)되어야 한다.

준비서류

해당 없음

6.7.2 승강로 내부의 풀리


편향 풀리는 승강로 상부공간에 설치할 수 있다. 이 경우, 편향 풀리는 카 지붕의 투영면적 외부에
위치하고, 카 지붕, 카 내부(6.4.3 참조), 플랫폼(6.4.5 참조) 또는 승강로 외부에서 유지관리 작업을 안전
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다만, 작업자가 안전한 상태로 카 지붕이나 플랫폼에서 편향 풀리의
샤프트에 닿을 수 있다면 싱글 랩 또는 더블 랩 방식의 편향 풀리를 카 지붕에 설치할 수 있다.
준비서류

☞ 해당 없음
7. 승강장문
일반사항
7.1
건축업자는 카로 출입할 수 있는 모든 승강장마다 구멍이 없는 승강장문을 설치할 수 있도록 승강로
벽에 개구부를 두어야 한다.
엘리베이터 카로 출입할 수 있는 모든 승강로 개구부에는 문이 닫혔을 때 문짝과 문짝 사이, 문짝과 문설주
사이, 문짝과 인방 사이 및 문짝과 문턱 사이의 모든 틈새가 6 ㎜ 이하가 되도록 승강장문을 설치하여야 한다.
엘리베이터 사용으로 승강장문의 부품이 마모될 경우에는 상기의 틈새를 10 ㎜ 까지 허용할 수 있으며
움푹 들어간 부분이 있다면 그 부분의 안쪽을 측정하여야 한다. 다만, 승강장문 주위의 이용자 등 사람의 신체
일부가 틈새에 끼이는 위험을 줄이기 위해 틈새를 작게 유지ㆍ관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모 시 10 ㎜까지 허용
< 그림 22, 승강장문 틈새 >

- 37 -
준비서류

☞ 해당 없음
7.2 승강장문 및 문틀의 강도
7.2.1 재질의 내구성
승강장문과 문틀은 시간이 경과되어도 변형되지 않는 재질을 사용하여 설치하여야 한다. 이 기준에서
요구하는 강도를 만족하는 금속 재질로 만든 승강장문과 문틀의 사용을 권장한다.
준비서류

☞해당 없음
7.2.2 방화등급
건축업자는 승강장문을 건축법령에 따른 방화문으로 설치하여 해당 규정을 준수하고자 할 경우에는
승강기업자에게 정보를 제공하여야 하며, 승강기업자는 상기의 규정을 만족하는 승강장문을 설치하여야 한다.
비고 방화문의 시험기준은 국토해양부 고시「방화셔터 및 방화문의 기준」을 참조한다.
준비서류

☞ 공인기관의 방화문 인증서(시험성적서 포함)

「건축법 시행령」제64조(방화문의 구조)


방화문은 갑종 방화문 및 을종 방화문으로 구분하되, 그 기준은 국토해양부령으로 정한다.
「건축물의 피난·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제26조(방화문의 구조)
영 제64조의 규정에 의한 갑종방화문 및 을종방화문은 국토해양부장관이 정하여 고시하는 시험
기준에 따라 시험한 결과 각각 비차열 1시간 이상 및 비차열 30분 이상의 성능이 확보되어야 한다.
기계적 강도
7.2.3
승강장문은 승강장 주위의 사람이 손으로 힘을 가하거나 몸을 기대더라도 견딜 수 있어야 하며, 승강장문
이탈로 인한 승강로 추락 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중학생 두 명(약 60 ㎏)이 시속 10 ㎞로 충돌하더라도 승강장
문이 이탈하지 않도록 승강장문 조립체를 설치하여야 한다.
승강장문의 기계적 강도는 5 ㎠ 면적의 원형이나 사각 모양의 장비를 사용하여 승강장문을 닫고 잠금장치가
잠긴 상태의 문짝 어느 지점에 수직으로 300 N의 힘을 가하여 시험하여야 하며, 이 시험결과 영구적인 변형은
없어야 한다. 다만, 힘을 가한 부분의 탄성변형은 15 ㎜ 이하까지 허용한다. 또한, 시험 중이거나 시험이 끝난
후에도 문의 안전성능은 영향을 받지 않아야 한다.(7.2.3.1)
수평 개폐식 및 접이식 문의 경우에는 사람의 손(약 150 N의 힘)으로 닫힌 문을 강제로 열 때 문짝과 문짝
사이, 문짝과 문설주 사이, 문짝과 인방 사이 및 문짝과 문턱 사이의 틈새는 6 ㎜를 초과할 수 있다. 다만, 측면
개폐식문은 30 ㎜, 중앙 개폐식문은 45 ㎜를 초과할 수 없다.(7.2.3.2)
승강장문에 유리를 사용할 경우에는 한국산업표준에 적합한 접합유리(KS L 2004)를 사용하여야 하며
유리를 고정하는 설비를 설치하여 유리를 견고하게 고정하여야 한다. 또한, 유리가 내려앉거나 함몰되더라도 유리가
고정설비로부터 이탈되는 등의 위험이 없도록 문짝을 고정하여야 한다.(7.2.3.3, 7.2.3.4)
이용자 등이 유리에 대한 정보를 볼 수 있도록 유리판에 공급자명(제조사명 가능) 및 상표와 함께 접합
유리 표시를 하여야 한다.(7.2.3.5)
- 38 -
이용자가 문을 열기 전에 카의 유무를 확인할 수 있는 투명 전망창의 크기(7.6.2 참조)보다 큰 유리를
자동 동력작동 수평 개폐식 승강장문에 사용할 경우에는 손과 유리 사이의 마찰계수를 감소시키거나 유리를
1.1 m 높이까지 불투명하게 처리하여 어린이의 손이 틈새에 끌려들어가는 위험을 최소화 하여야 한다. 또는
손가락을 감지하는 수단이나 기타 동등 이상의 수단을 설치하여 위험을 방지할 수 있다.(7.2.3.6)
수직개폐식 승강장문을 제외한 모든 승강장문의 조립체는 450 J의 운동에너지로 충격을 가했을 때 승강장문이
이탈 없이 견디는 구조인지 공인기관에 시험을 받아야 하며, 적합한 경우에는 시험 시 제출된 설계구조와
동일한 구조로 설치하여야 한다. 다만, 유효 출입구 면적의 50 % 이상이 유리로 된 경우에는 308 J의 운동에너지를
적용하여 시험한다. 승강기 검사기관 등 공인기관은 승강기검사기준 부속서 Ⅴ 또는 KS B 8301에 따라 시험하여야
한다.(7.2.3.7)
[ 표 12, 충돌지점 ]
진자 충격 시험 연질 진자
충돌 지점 높이 1.0 m 유리 중심
유리창이 없는 문 <그림 23의 (가)> X
작은 유리창이 있는 문 <그림 23의 (나)와 (바)> X X
유리 문짝 또는 큰 유리창이 있는 문 <그림 23의 (라)> X
(유리 가격)
약 1.0 m 높이에 유리창이 시작하거나 끝인 문 <그림 23의 (마)> X X
약 1.0 m 높이에 유리창이 시작하거나끝인 문 <그림 23의 (바)> X
(유리 가격)
투명 전망창이 있는 문 (7.6.2 참조) X X

가) 전망창이 없는 문짝 나) 전망창이 있는 문짝 다 개 이상의 전망창이 있는


( )2
( (
문짝

라 전망창또는전체가유리인
( ) 마
( ) 1.0 m 위로전망창이있는 바
( ) 1.0 m 위로전망창이있는
문짝 문짝 문짝

- 39 -
( 사) 문짝으로 완전히 조립된 승강장문<(가)와 (나) 참조>
비고 1. (마)와 (바)는 대안적인 해결방안이다.
2. (다)의 시험은 전망창이 가장 나쁜 경우를 나타낸다.
기호
연질 진자 충격 시험 시 충돌 지점
1.0 m 까지 규정된 타격 지점의 허용오차는 ± 0.1 m 이다.
< 그림 23, 승강장문 조립체 진자 충격시험 - 충돌 지점 >
준비서류

☞ 승강장문 강도 시험성적서
☞ 공인기관의 유리 KS시험성적서
☞ 유리문 손 끌림방지수단에 대한 설계도서
☞ 공인기관의 승강장문 조립체 안전성평가서 또는 시험성적서

출입문의 높이 및 폭
7.3
승강장문이 완전히 열렸을 때 유효 출입구는 사람이 엘리베이터 카에 출입하거나 화물을 운반하는데
지장이 없도록 충분하여야 한다.
승강장문 유효 출입구의 높이는 2 m 이상으로 하여야 하며, 유효 출입구의 폭은 카 출입구의 폭 이상으로
하되 양쪽 측면 모두 카 출입구 측면의 폭보다 50 ㎜를 초과하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다만, 자동차용 엘리
베이터의 승강장문 유효 출입구의 높이는 규정하지 않는다.(7.3.1, 7.3.2)

( 가) 유효 출입구 높이 (나) 유효 출입구 폭


< 그림 24, 승강장문 유효 출입구의 크기 >

준비서류

☞ 승강장문 유효 출입구 설계도서(수치 기재 포함)

- 40 -
7.4 문턱 , 가이드 및 문의 현수
7.4.1 문턱
모든 승강장의 출입구에는 카에 출입하는 하중을 충분히 견디는 금속제 등의 문턱을 설치하여 엘리베이터
카가 승강장에 도착할 때 카 문턱과 승강장문 문턱의 사이의 높이 차(12.12 참조)가 없도록 하여 이용자가
걸려 넘어지는 등의 위험을 예방하여야 한다.
건설업자는 물 청소 및 스프링클러의 작동 등으로 물이 승강로에 들어가 부품이 부식되어 교체주기가
짧아지거나 전기설비의 누전 등으로 인한 위험이 발생하지 않도록 승강장문 문턱 부분의 바닥을 약간
높게 하여 경사지게 마감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 그림 25, 승강장 바닥 마감 >


준비서류

☞해당 없음
7.4.2 가이드
승강장문은 정상적으로 열리고 닫힐 때 기계적 끼임이 없고 행거롤러가 행거레일로부터 이탈되지 않는
구조로 하여야 한다. 또한 작동 경로의 끝단에 스토퍼 등을 설치하여 승강장문이 행거레일을 벗어나지 않도록
설치하여야 한다. 도어행거 롤러 또는 도어 가이드슈 등의 가이드가 마모, 부식 또는 화재로 인하여 사용
불능이 되더라도 승강장문이 도어행거 및 문턱 홈 등으로부터 이탈되지 않고 제 위치에서 견고하게 유지
되도록 비상 가이드 장치(리테이너)를 설치하여야 한다.(7.4.2.1)
수평 개폐식 승강장문은 상ㆍ하부에서 안내되고 수직 개폐식 승강장문은 양 측면에서 안내되도록 가이드를
설치하여 정상적으로 열리고 닫히게 하여야 한다.(7.4.2.2, 7.4.2.3)

- 41 -
< 그림 26, 승강장문 비상 가이드 장치 >
준비서류

☞ 승강장문(비상 가이드) 설계도서


7.4.3 수직 개폐식 문의 현수
수직 개폐식 승강장문의 문짝은 양 측면에 각각의 현수부품을 설치하여야 한다. 즉, 2개의 독립된 현수부품에
의해 문짝을 고정하여야 한다.(7.4.3.1)
현수부품이 문짝을 안전하게 현수할 수 있도록 로프, 체인 및 벨트의 안전율은 8 이상으로 하고, 로프
풀리의 피치 직경은 그 로프 직경의 25배 이상으로 하여야 한다.(7.4.3.2, 7.4.3.3)
현수 로프의 풀리 또는 체인의 스프라켓에는 로프 및 체인이 풀리 홈이나 스프라켓으로부터 이탈하지 않도록
하는 이탈방지조치를 하여야 한다.(7.4.3.4)

< 그림 27, 수직 개폐식 승강장문의 현수부품 >

- 42 -
준비서류

☞ 수직 개폐식 승강장문 현수수단(로프, 체인 또는 벨트) 설계도서


☞ 수직 개폐식 승강장문 현수수단 안전율 계산 설계도서
☞ 수직 개폐식 승강장문의 현수 로프와 풀리의 직경비 계산 설계도서

7.5 문 작동과 관련된 보호


7.5.1 일반사항
승강장문 문짝과 문짝 사이, 문짝과 문설주 사이, 문짝과 인방 사이 및 문짝과 문턱 사이 등 승강장문과
문 주위의 모든 틈새는 엘리베이터를 기다리는 이용자 또는 승강장문 주위를 지나는 사람의 신체 일부, 옷
또는 기타 물체가 끼이거나 말려 들어가지 않도록 그 틈새를 최소화하여 설계(7.1 참조)하고, 날카로운 끝
부분이나 모서리 부분은 모따기 등으로 처리하여 부상의 위험을 최소화 하여야 한다.
특히, 자동 동력 작동식 승강장문의 외부표면은 3 ㎜를 초과한 함몰 또는 돌출된 부분이 없도록 하고, 이러한
문의 모서리는 열리는 방향으로 둥글게 처리하여 문이 열리거나 닫히는 동안 전단의 위험이 없도록 하여야
한다. 다만, 잠금해제장치를 사용하기 위한 부분(부속서 Ⅱ 참조)은 이 규정을 적용하지 않는다.
준비서류

☞ 해당 없음
7.5.2 동력 작동식 문

7.5.2.1 수평 개폐식 문

7.5.2.1.1 자동 동력 작동식 문
수평개폐식의 자동 동력 작동식 승강장문은 문이 완전히 닫힐 때까지 닫힘 동작이 지속되므로 카에 출입하는
이용자가 닫히는 승강장문에 부딪히거나 압착되는 등의 위험이 있다. 이러한 위험을 방지하기 위하여 문이 닫히는
도중 닫힘 행정의 최초 1/3의 구간 까지를 제외한 나머지 구간에서 열리는 방향으로 힘(150 N 이하)을 가하면
문이 더 이상 닫히지 않도록 승강장문의 평균 닫힘 속도 및 운동에너지를 설계하여야 한다.(7.5.2.1.1.1)
승강장문 및 문에 견고하게 연결된 기계부품의 운동에너지는 10 J 이하로 설계하여야 한다. 문의 평균 닫힘 속도는
중앙 개폐식 문의 경우, 문이 닫히는 구간의 끝에서 25 ㎜를 제외한 닫힘 행정의 전체 구간에서, 측면 개폐식
문의 경우, 문이 닫히는 구간의 끝에서 50 ㎜를 제외한 닫힘 행정의 전체 구간에서 계산된 평균 속도로
한다.(7.5.2.1.1.2)
카문과 승강장문을 연동하게 설치하는 경우에도 상기의 규정(7.5.2.1.1.1, 7.5.2.1.1.2 참조)을 준수하여 설계
하여야 한다.(7.5.2.1.1.4)
사람의 손가락을 포함한 신체 일부 등이 닫히는 문 사이의 틈새에 끼인 채 엘리베이터가 운행되는 위험을
방지하기 위해 문이 닫히는 전 구간(마지막 15 ㎜ 구간 제외 가능)에서 신체 일부 등을 감지하여 닫히는 문을
자동으로 열리게 하는 문닫힘안전장치(세이프티 바와 같은 기계장치, 광전장치 및 초음파장치 등)를 설치하여야
한다. 문닫힘안전장치가 장시간 작동하여 엘리베이터의 정상운행을 방해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미리 설정된
시간이 지나면 문닫힘안전장치를 무효화 시켜 문을 닫히게 하는 시스템을 설치하는 경우에는 이 시스템이
작동하여 문이 닫힐 때 승강장문의 운동에너지(7.5.2.1.1.2 참조)를 4 J 이하로 설계하여야 하다. 이러한 문닫힘
안전장치는 카에 설치할 수 있다.(7.5.2.1.1.3)
접힌 문의 경우에는 접힌 문짝의 인접한 외측 모서리 또는 문틀에서 100 ㎜ 떨어진 접힌 문 등과 같은
동등한 곳에서 접힌 문이 열리는 방향으로 힘(150 N 이하)을 가하더라도 열리지 않아야 한다.(7.5.2.1.1.5)

- 43 -
가) 중앙 개폐식
( (나) 측면 개폐식
< 그림 28, 수평개폐식 자동 동력 작동식 승강장문의 닫힘 저지력 측정 >

< 그림 29, 문닫힘안전장치 >


준비서류

☞ 수평 개폐식의 자동 동력 작동식 승강장문의 닫힘력 계산 설계도서 또는 시험성적서


☞ 수평 개폐식의 자동 동력 작동식 승강장문의 운동에너지 계산 설계도서 또는 시험성적서
☞ 수평 개폐식의 자동 동력 작동식 승강장문의 열림 방지력 계산 설계도서 또는 시험성적서

7.5.2.1.2 반자동 동력 작동식 문


사용자에 의해 닫힘 버튼을 지속적으로 누르거나 이와 유사한 방법(hold-to-run control)으로 사용자에 의해
문이 닫히는 반자동 동력 작동식 승강장문의 경우, 문의 운동에너지는 문의 평균 닫힘 속도에서 계산하여
10 J 이하로 설계하거나 승강장문의 운동에너지가 10 J을 초과할 경우에는 가장 빠른 문짝의 평균 닫힘 속도를
0.3 ㎧로 제한하여 설계하여야 있다.

문의 평균 닫힘 속도는 중앙 개폐식 문의 경우 문이 닫히는 구간의 끝에서 25 ㎜를 제외한 닫힘 행정의


전체 구간에서, 측면 개폐식 문의 경우 문이 닫히는 구간의 끝에서 50 ㎜를 제외한 닫힘 행정의 전체
구간에서 계산한 평균 속도로 한다.
준비서류

☞ 수평 개폐식의 반자동 동력 작동식 승강장문의 운동에너지 계산 설계도서 또는 시험성적서

- 44 -
수직 개폐식 문
7.5.2.2
일반적으로 사람은 걷는 동안 바닥에 시선이 고정되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수직으로 내려오는 물체에는
주의를 기울이지 않으면 머리가 부딪히는 위험이 있다. 따라서 수직 개폐식 승강장문은 승객용에 사용을
금지하며 화물용에만 적용하여야 한다.
동력 작동식 승강장문은 문짝 평균 닫힘 속도를 0.3 ㎧로 제한하여 설계하고, 구멍이 없거나 구멍의
크기가 수평으로 10 ㎜ 이하, 수직으로 60 ㎜ 이하인 승강장문을 설치하여야 한다.
비고 수직 개폐식 승강장문의 경우, 승강장문이 닫히기 시작 전에 카문이 적어도 2/3는 닫히도록 설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준비서류

☞수직 개폐식 동력 작동 승강장문의 평균 닫힘 속도 설계도서 또는 시험성적서


☞ 수직 개폐식 동력 작동 승강장문의 구멍에 대한 설계도면(수치 기재 포함)

7.5.2.3 다른 형식의 문
승객용인 경우에는 수평 개폐식 문을, 화물용인 경우에는 수직 개폐식 문을 엘리베이터에 적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다만, 동력 작동 회전문과 같은 다른 형식의 문을 적용할 경우에는 문닫힘 저지력, 운동에너지,
평균 닫힘 속도 및 문닫힘안전장치에 대하여 동력 작동식 문(7.5.2.1.1, 7.5.2.1.2 참조)에서 기술한 것과 유사
하게 설계하여 사람이 부딪힐 위험이 없도록 예방하여야 한다.
준비서류

☞ 승강장문의 운동에너지 계산 설계도서 또는 시험성적서


☞ 승강장문의 평균 닫힘속도 시험성적서

7.6 승강장 조명 및 << 카 있음 >> 신호 표시


7.6.1 승강장 조명
엘리베이터 승강장에는 이용자가 승강장문 및 호출버튼의 위치 등을 알 수 있고 카 조명이 없더라도
카의 출입에 지장이 없도록 승강장 바닥을 50 lx 이상의 조도로 비출 수 있는 조명장치를 설치하여야 한다.
다만, 엘리베이터 승강장 전용이 아닌 다른 용도의 조명장치가 승강장 바닥을 50 lx 이상의 조도로 비출
수 있다면 설치하지 않을 수 있다.
준비서류

☞해당 없음
7.6.2 << 카 있음 >> 신호표시
수동 개폐식 승강장문의 경우에는 엘리베이터 이용자가 카가 없는 승강장에서 승강장문을 열고 들어가다
승강로 아래로 추락하는 위험을 방지하기 위해 카의 유무를 확인할 수 있는 1개 이상의 투명 전망창을 승강
장문에 두거나 <<카 있음>> 신호표시를 승강장에서 잘 보이는 위치에 설치하여야 한다.
1개 이상의 투명 전망창을 설치할 경우에는 다음과 같은 4가지 사항을 모두 만족하여야 한다.
가) 전망창의 기계적 강도는 5 ㎠ 면적의 원형이나 사각 모양의 장비를 사용하여 전망창의 어느 지점에
수직으로 300 N의 힘을 가하여 시험한 결과 영구적인 변형이 없어야 한다. 다만, 힘을 가한 부분의 탄성
변형은 15 ㎜ 이하까지 허용한다. 또한, 시험 중이거나 시험이 끝난 후에도 문의 안전성능은 영향을
받지 않아야 한다.(7.2.3.1 참조)
나) 전망창의 두께는 6 ㎜ 이상이어야 한다.
다) 전망창의 면적은 0.01 ㎡ 이상이어야 하고, 승강장문의 유리가 끼워진 면적은 0.015 ㎡ 이상이어야 한다.
- 45 -
라) 전망창의 폭은 60 ㎜ 이상 150 ㎜ 이하이어야 한다. 전망창의 폭이 80 ㎜를 초과하면 전망창의
하부 모서리를 바닥면에서부터 수직높이로 1 m 이상이 되도록 설치하여야 한다.
신호 표시를 설치할 경우에는 카가 목적 층에 정지하려는 시점이나 정지될 때만 켜지고 그 층에 정지하고
있는 동안에는 계속 켜지도록 설계하여야 한다.
준비서류

☞ 수동 개폐식 승강장문 투명 전망창 강도 시험성적서


☞ 수동 개폐식 승강장문 투명 전망창 설계도서(수치 기재 포함)

7.7 잠금 및 닫힌 승강장문의 확인
7.7.1 추락 위험에 대한 보호
엘리베이터의 정상운행 중, 카가 승강장에 정지하려는 시점에서는 승강장문 잠금장치(7.7.3 참조)의 작동이
무효화되어 승강장문을 강제로 열면 열리는 구간이 있다. 이 구간을 잠금해제구간이라 한다.
카가 없는 승강장에서 엘리베이터 이용자가 강제로 문을 개방하다 승강로 아래로 추락하는 위험을 방지
하기 위해 카가 잠금해제구간을 벗어나면 승강장문 잠금장치가 작동하여 승강장문이 열리지 않도록 설계
하여야 한다. 여러 문짝이 있는 승강장문의 경우에는 어떤 문짝도 열리지 않아야 한다.
잠금해제구간은 카가 승강장에 정지하고 있을 때 승강장 바닥의 위ㆍ아래로 각각 0.2 m 이하가 되도록
설계하여야 한다. 다만, 카문과 기계적으로 연동하여 동시에 작동하는 승강장문을 설치할 경우에는 승강장
바닥의 위ㆍ아래로 각각 0.35 m 이하가 되도록 설계할 수 있다.

< 그림 30, 승강장문 잠금해제구간 >


준비서류

☞승강장문(카문과 연동 여부) 설계도서


☞ 승강장문 잠금해제구간 설계도서(수치 기재 포함)

7.7.2 전단에 대한 보호
엘리베이터의 정상운행 중, 이용자의 신체 일부 등이 끼인 채 카가 운행되는 위험이 없도록 이 기준에서
허용하는 경우를 제외하고 승강장문이 열리거나 여러 문짝이 있는 경우에는 어떤 문짝이라도 열리면 카가 출발
하거나 계속 움직이지 않도록 설계하여야 한다. 다만, 카의 운행을 위한 예비 운전은 가능할 수 있다.(7.7.2.1)
이 기준에서 허용하는 경우(문이 열린 상태로 엘리베이터가 운행할 수 있는 구간)는 다음과 같다.(7.7.2.2)
가) 문이 개방된 상태의 착상 및 재-착상 제어에 대한 규정(14.2.1.2 참조)을 모두 만족하는 착상
또는 재-착상이 허용되는 잠금해제구간
나) 도킹운전 제어를 추가할 경우로 도킹운전 제어에 대한 규정(14.2.1.5 참조) 및 도킹운전 제어에 따른
에이프런의 수직 높이(8.4.3 참조)와 카 헤더(8.14 참조)에 대한 규정을 모두 만족하고 승강장문
- 46 -
헤더와 카 바닥 사이의 유효 높이가 2 m 이상이며 카가 허용 가능 구간에 있을 지라도 특별한
조작 없이 승강장문을 닫을 수 있을 때 카에 출입하거나 하역작업이 허용되는 구간(승강장 바닥 위로
최대 1.65 m 높이까지 연장된 구간)
준비서류

☞ 도킹운전(문 개방) 설계도서(수치 기재 포함)


* 도킹운전 제어가 있는 경우에만 해당
7.7.3 잠금 및 비상해제
엘리베이터의 모든 승강장문에는 추락 위험을 방지하는 잠금장치(7.7.1 참조)를 설치하여야 한다. 또한,
이 장치는 승강장에서 특수한 열쇠를 사용하여야만 승강장문을 개방할 수 있는 구조로 설계하여야 한다.
비고 승강장문의 잠금해제를 위한 구멍의 위치는 일반인이 쉽게 접근할 수 없는 위치로 사람 눈높이 보다
0.2 ~ 0.3 m 높은 위치에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준비서류

☞ 해당 없음
7.7.3.1 잠금
엘리베이터 카는 승강장문 잠금장치가 확실히 작동된 후에 출발하여야 한다. 즉, 전기안전장치(14.1.2
참조)에 의한 승강장문의 잠금 신호가 카의 운행 신호보다 우선되도록 전기회로를 설계하여야 한다. 다만,
카의 운행을 위한 예비운전은 발생될 수 있다.(7.7.3.1)
잠금 부품이 7 ㎜ 이상 물려 승강장문이 확실히 잠긴 후에 카가 출발하도록 전기안전장치를 설치하여야
한다.(7.7.3.1.1)
문짝의 잠금 상태를 입증하는 전기안전장치의 부품은 잠금 부품에 의한 어떤 중간 메커니즘 없이
확실하게 작동하도록 설계하여야 한다. 예를 들면, 전기안전장치의 부품(접점)을 잠금장치의 걸쇠 또는
걸쇠에 기계적으로 직접 연결된 기구에 설치하여 필요한 경우의 조정을 제외하고 오용될 수 없는 구조로
설계하여야 한다.(7.7.3.1.2)
비고 습기 또는 폭발의 위험에 대비한 특별한 보호가 요구되는 엘리베이터에 사용되는 잠금장치의 경우,
기계적인 잠금과 잠금 상태를 입증하는 전기안전장치 부품 사이의 연계가 확실하다면 잠금장치를
의도적으로 파손할 경우에만 그 연계의 차단이 가능할 수 있다.
회전문 등 경첩이 있는 승강장문의 경우, 문이 닫히는 수직방향 모서리에서 가능한 가까이에 잠금이
이루어지도록 잠금장치를 설치하여야 한다. 즉, 문이 닫히고 확실히 잠긴 상태에서 거의 유격이 없어야 한다.
또한, 문짝이 처지더라도 문은 잠긴 상태를 계속해서 유지할 수 있는 구조로 설치하여야 한다.(7.7.3.1.3)
잠금 부품 및 잠금 부품의 고정설비는 충격에 견딜 수 있도록 금속 또는 강화금속 재질로 견고하게 설치
하여야 한다.(7.7.3.1.4)
잠금 부품이 견디는 힘은 승강장문이 열리는 방향으로 300 N의 힘을 가할 때 잠금 효력이 감소되지
않도록 설계하여야 한다.(7.7.3.1.5)
승강장문의 잠금장치는 문이 잠겼을 때 열리는 방향으로 충격을 가할 때 영구적인 변형 없이 견딜 수
있는 구조로 설계하여야 한다. 이 경우, 개폐식 승강장문의 잠금장치는 문이 열리는 방향으로 1,000 N의
힘을 가하여 시험하고, 경첩이 있는 승강장문의 잠금장치는 3,000 N의 힘을 가하여 시험하여야 한다.(7.7.3.1.6)
잠금장치는 중력, 영구자석 또는 스프링에 의해 잠금 작용이 이루어지고 유지되도록 설계하여야 한다.
스프링은 압축에 의해 작용하고 잠금이 해제되는 순간 코일이 완전히 압축되어 탄성을 잃지 않도록 안내
되는 치수로 설계하여야 한다. 영구자석에 의해 잠금 작용이 이뤄지는 경우에는 잠금 부품이 잠금 위치를
유지하고 있을 때 열 또는 충격 등 간단한 방법에 의해 잠금 작용이 무효화되는 것은 불가능하도록
설계하여야 한다. 또한, 영구자석이나 스프링이 그 기능을 더 이상 발휘할 수 없을 때 중력에 의해 잠금이
- 47 -
해제되지 않도록 설계하여야 한다.(7.7.3.1.7)
잠금장치는 그 기능을 방해할 수 있는 먼지 축적에 의한 위험에 보호될 수 있는 구조로 설계하여야 한다.
예를 들면, 잠금장치 및 전기안전장치의 접점에 먼지 등 이물질이 들어가거나 쌓이지 않도록 잠금장치를
박스 내에 설치한 경우에는 보호 구조로 본다.(7.7.3.1.8)
잠금장치의 동작하는 부품의 유지관리 작업이 쉽도록 조치하여야 한다. 예를 들면, 잠금장치를 보호
하는 박스에 투명한 패널 등을 사용한다.(7.7.3.1.9)
잠금을 입증하는 전기안전장치의 접점을 박스 내에 설치한 경우에는 덮개를 열 때 덮개 또는 박스의
구멍에 나사가 남는 구속형 나사로 덮개를 고정하여야 한다.(7.7.3.1.10)

< 그림 31, 잠금 부품의 물림 >


준비서류

☞ 승강장문 잠금장치 KC인증서(설계도서 또는 시험성적서 포함)


7.7.3.2 비상 잠금 해제
엘리베이터의 모든 승강장문에는 승강장에서 특수한 열쇠를 사용하여 잠금을 해제할 수 있는 열쇠구멍을
두어야 한다. 이 열쇠구멍은 <그림 32>와 같이 설계하여야 한다.
승강장문의 잠금을 해제할 수 있는 열쇠는 상기의 열쇠구멍에 맞도록 제작하여야 하며 주의사항을
문자로 상세하게 설명한 사용지침을 이 열쇠에 부착하여야 한다.
사용지침에는 승강장문을 열고 다시 닫을 때 문이 확실하게 잠기지 않을 경우 발생할 수 있는 사고를
예방하기 위한 주의문을 반드시 포함하여야 한다. 또한, “이 열쇠는 책임 있는 사람만 사용하고 자물쇠가
있는 보관함에 넣고 관리하여야 한다.”는 내용을 포함하여야 한다. 이는 승강기 전문지식이 없는 사람이
열쇠를 사용하여 카가 없는 승강장문을 열다 실족하여 승강로 아래로 추락하는 사고를 예방하기 위함이다.
승강장문은 비상 잠금 해제 후 문을 다시 닫으면 닫힘과 함께 자동으로 잠금장치가 작동하여 잠겨야 한다.
카문과 연동되어 카문의 작동에 의해 승강장문이 개폐되는 경우, 승강장문에 추 또는 스프링 등을 설치
하여 카가 잠금해제구간을 벗어나면 어떤 이유라도 승강장문을 자동으로 닫히게 보장하여야 한다.

< 그림 32, 비상 잠금 해제를 위한 열쇠 구멍 >

- 48 -
무게 추 방식 스프링 방식
< 그림 33, 승강장문 자동 닫힘 보장 장치(도어 클로저) >

준비서류

☞ 해당 없음
7.7.3.3 (공 란)

7.7.4 승강장문의 닫힘을 입증하는 전기장치


모든 승강장문에는 문의 닫힘 상태를 입증하는 전기안전장치(14.1.2 참조)를 각각 설치하여 전단에 대해
보호(7.7.2 참조)하여야 한다. 이 전기안전장치는 접점(14.1.2.1.1 참조)으로 구성되어야 한다. 즉, 승강장문의
닫힘 상태는 접점에 의해 직접 입증할 수 있어야 한다. 여러 문짝이 있는 경우에는 문짝마다 전기안전장치를
설치하여야 한다. 다만, 기계적으로 직접 연결된 경우(7.7.6.1 참조)에는 하나의 문짝에만 설치할 수 있다.(7.7.4.1)
카문과 연결된 수평 개폐식 승강장문의 경우, 문의 닫힘 상태를 입증하는 전기안전장치는 이 장치가
승강장문의 확실한 닫힘을 입증할 수 있다면 문의 잠금 상태를 입증하는 전기안전장치(7.7.3.1 참조)와 겸용
으로 사용할 수 있다. 즉, 문의 닫힘 상태를 입증하는 전기안전장치로 문의 잠금 상태를 입증할 수 있도록
설계할 수 있다. 이 경우 1개의 접점으로 문의 닫힘과 잠금 상태를 모두 입증하는 것이 곤란한 경우에는
2개 이상의 접점으로 구성된 전기안전장치를 설치하여 각각의 접점에 의해 입증할 수 있다.(7.7.4.2)
회전문 등 경첩이 있는 승강장문의 경우, 전기안전장치를 문의 닫히는 모서리 근처 또는 문의 닫힘을 확인
하는 기계적 장치가 있는 경우에는 이 장치에 설치하여야 한다.(7.7.4.3)
준비서류

☞ 해당 없음
7.7.5 승강장문의 잠금 및 닫힘 상태를 입증하기 위한 장치에 대한 공통 요건
문의 잠금 상태를 입증하는 전기안전장치 및 닫힘 상태를 입증하는 전기안전장치는 시퀀스로 구성하여
어느 하나의 승강장문이 열리거나 잠기지 않은 상태에서 엘리베이터가 정상 운행되는 것이 불가능하도록
설계하여야 한다. 이 시퀀스는 문이 열린 상태에도 불구하고 전기안전장치가 단락되어 문의 닫힘 및 잠금
상태가 입증되더라도 단락(short circuit)을 감지하여 엘리베이터의 정상운행을 정지시키도록 설계하여야 한다.
또한, 승강장문이 열린 상태에서 전기안전장치를 인위적으로 단락시킬 수 없는 구조로 하여야 한다.(7.7.5.1)
릴레이 등 전기안전장치의 작동 상태를 입증하는 수단은 시퀀스에 따라 확실하게 작동하도록 설계하고
설치하여야 한다.(7.7.5.2)
준비서류

☞ 승강장문의 닫힘 상태 및 잠금 상태를 입증하는 전기안전장치에 대한 시퀀스(단락감지 포함)

- 49 -
7.7.6여러 문짝이 기계적으로 연결된 개폐식 문
기계적으로 직접 연결된 여러 문짝으로 이루어진 승강장문에는 문의 닫힘을 입증하는 전기안전장치
(7.7.4.1 또는 7.7.4.2 참조)를 하나의 문짝에만 설치할 수 있다. 다만, 문짝이 겹치는 승강장문의 경우에는
각각의 문짝에 전기안전장치를 설치하여야 하나 닫힌 위치에서 문짝 간의 걸림에 의해 다른 문짝의 열림을
방지할 수 있도록 설치한다면 하나의 문짝에만 설치할 수 있다.(7.7.6.1)
로프, 벨트 또는 체인 등에 의해 기계적으로 간접 연결된 여러 문짝으로 이뤄진 승강장문에는 각 문짝에
손잡이가 없고 문짝 하나의 잠금으로 다른 문짝의 열림을 방지할 수 있도록 설치한다면 잠금장치를 하나의
문짝에만 설치할 수 있다. 이 경우, 잠금장치를 설치하지 않는 다른 문짝에는 전기안전장치를 추가로 설치
하여 문짝의 닫힘 상태를 입증하도록 하여야 한다.(7.7.6.2)

< 그림 34, 여러 문짝이 기계적으로 직접 연결된 개폐식 문 >


준비서류

☞ 해당 없음
자동으로 작동하는 문의 닫힘
7.8
자동 동력 작동식 승강장문은 문이 열린 후 일정 시간이 지나면 자동으로 닫히도록 설계하여야 한다. 자동
닫힘 시간은 카의 운행 호출이 없는 상태에서 엘리베이터의 사용량 즉, 운행량에 따라 시간을 정하여 설계
하여야 한다.
준비서류

☞ 승강장문 닫힘 시간에 대한 설계도서 또는 시험성적서


8. 카, 균형추 및 평형추
카의 높이
8.1
엘리베이터 이용자가 카에 안전하게 출입하고 편안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카 내부 및 카 출입구의 유효
높이를 각각 2 m 이상으로 설계하여야 한다. 다만, 자동차용 엘리베이터는 카의 높이를 제한하지
않는다.(8.1.1, 8.1.2)
비고 자동차용 엘리베이터는 정격용량 등을 고려하고 소유자 등 승강기 관리주체와 협의하여 카 내부 및
카 출입구의 유효 높이를 설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준비서류

☞ 카 내부 및 카 출입구 설계도서(수치 기재 포함)

- 50 -
8.2 카의 유효 면적 , 정격하중 및 정원
8.2.1 일반사항
엘리베이터의 정격하중 및 카의 유효 면적은 사용 목적 즉, 용도를 고려하여 설계하여야 한다. 특히,
카의 과적재를 방지하기 위하여 정격하중에 따른 카의 유효 면적은 제한하여야 한다. 카의 과부하는
과부하감지장치(14.2.5 참조)에 의해 감지하도록 설계하여야 한다.
비고 카의 유효면적은 핸드레일 부분은 무시하고 엘리베이터의 운전 중에 승객 및 화물의 운송이 가능한 카
바닥 위로 1 m 높이에서 측정된 카의 면적을 말한다.
운구용 등으로 사용하기 위해 카의 별도 공간 및 기타 확장부분을 고려한 경우에는 이 공간을 높이 1 m 이하인
문으로 분리하더라도 이 공간을 더한 면적으로 정격하중을 계산하면 그 계산된 정격하중을 적용하여야 한다.
문이 닫혀 있을 때 카 출입구 부분에 사람이 서 있거나 화물을 적재할 수 있는 공간이 있는 경우에도 이
면적을 더한 면적으로 정격하중을 계산하여야 한다.
사람 운송을 주목적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즉, 승객용의 경우에는 카의 유효 면적을 계산한 후에 [표 13]
에서 규정하는 정격하중과 카의 최대 유효 면적 사이의 관계에 따라 최소 정격하중을 산정하여야 한다.
카의 유효 면적을 계산한 값이 없는 경우에는 선형보간법으로 최소 정격하중을 계산하여야 한다.
[ 표 13, 정격하중과 카의 최대 유효 면적 사이의 관계 ]
정격하중, 최대 카의 정격하중, 최대 카의 정격하중, 최대 카의 정격하중, 최대 카의
질량 유효 면적 질량 유효 면적 질량 유효 면적 질량 유효 면적
㎏ ㎡ ㎏ ㎡ ㎏ ㎡ ㎏ ㎡
1)
100 0.37 525 1.45 900 2.20 1,275 2.95
2)
180 0.58 600 1.60 975 2.35 1,350 3.10
225 0.70 630 1.66 1,000 2.40 1,425 3.25
300 0.90 675 1.75 1,050 2.50 1,500 3.40
375 1.10 750 1.90 1,125 2.65 1,600 3.56
400 1.17 800 2.00 1,200 2.80 2,000 4.20
3)
450 1.30 825 2.05 1,250 2.90 2,500 5.00
1인승 엘리베이터에 대한 최소
1)
2인승 엘리베이터에 대한 최소
2)
2,500 ㎏을 초과 시에는 추가되는 각 100 ㎏에 대하여 0.16 ㎡의 면적을 더한다.
3)
비고 수치 사이의 중간 하중에 대한 면적은 선형보간법으로 계산한다.
준비서류

☞ 카(내부) 설계도서 및 정격하중 계산 설계도서


최소 정격하중 및 선형 보간법 계산 예시
-
카의 크기는 폭 1.3 m 깊이 1.5 m이고 카 출입구에 사람이 서 있거나 화물을 적재할 수 있는 공간의
크기는 폭 0.9 m 깊이 0.08 m인 엘리베이터의 최소 정격하중 계산
① 카의 유효 면적 계산
⇒ 카의 유효 면적 = 카 면적(1.3 × 1.5) + 출입구 이용가능 공간의 면적(0.08 × 0.9) = 2.022 ㎡
② 정격하중과 카의 최대 유효 면적 사이의 관계에 따른 최소 정격하중 산정
⇒ [표 12]의 카의 최대 유효 면적 란에 계산된 면적과 일치하는 값이 없음.
③ 보간법으로 최소 정격하중 계산
⇒      
     
=  
   
, X = 811 ㎏
∴ 이 엘리베이터 정격하중은 811 ㎏ 이상으로 설계하여야 한다.
- 51 -
화물용
8.2.2
화물용 엘리베이터의 경우에는 카의 유효 면적을 계산한 후에 1 ㎡ 당 250 ㎏으로 계산한 값 이상을
정격하중으로 산정하여야 한다.
자동차용 엘리베이터의 경우에는 카의 유효 면적을 계산한 후에 1 ㎡ 당 150 ㎏으로 계산한 값 이상을
정격하중으로 산정하여야 한다.
준비서류

☞ 카(내부) 설계도서 및 정격하중 계산 설계도서


8.2.3 정원
사람의 운송을 주목적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정원은 정격하중(8.2.1 참조)을 65로 나누어 계산하여
소수점 이하를 버림한 값의 정수로 하고, [표 14]에서 규정하는 기준에 적합하게 산정하여야 한다.
[ 표 14, 정원과 카의 최소 유효 면적 사이의 관계 ]

최소카의 최소카의 최소카의 최소카의


정 원 유효면적 정 원 유효면적 정 원 유효면적 정 원 유효면적
㎡ ㎡ ㎡ ㎡
1 0.24 6 1.01 11 1.62 16 2.23
2 0.42 7 1.14 12 1.74 17 2.34
3 0.52 8 1.26 13 1.86 18 2.47
4 0.68 9 1.38 14 1.99 19 2.59
5 0.85 10 1.50 15 2.11 20 2.71
정원이 20명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추가 승객 당 0.10 ㎡의 면적을 더한다.
준비서류

☞ 정원 계산 설계도서

< 최대 정원 계산 예시 >
카의 크기는 폭 1.3 m 깊이 1.5 m이고 카 출입구에 사람이 서 있거나 화물을 적재할 수 있는 공간의
크기는 폭 0.9 m 깊이 0.08 m인 승객용 엘리베이터의 최대 정원 계산
① 카의 유효 면적 계산
⇒ 카의 유효 면적 = 카 면적(1.3 × 1.5) + 출입구 이용가능 공간의 면적(0.08 × 0.9) = 2.022 ㎡
② 정격하중과 카의 최대 유효 면적 사이의 관계에 따른 최소 정격하중 산정
⇒ [표 13]의 카의 최대 유효 면적 란에 계산된 면적과 일치하는 값이 없음.
③ 보간법으로 최소 정격하중 계산
⇒      
    
= 
   
   
, X = 811 ㎏
이에 정격하중을 820 ㎏으로 적용할 경우 정원은 ?
④ 정격하중을 65로 나누어 소수점 이하를 절하하여 정원 산출
⇒ 

= 12.615 ≒ 12
⑤ ①에서 계산한 카의 유효 면적이 ④에서 계산한 정원에 따른 카의 최소 유효면적보다 큰 값인지 확인
⇒ ①에서 계산한 카의 유효 면적(2.022 ㎡) > ④에서 계산한 정원에 따른 카의 최소 유효면적(1.74 ㎡)
①에서 계산한 카의 유효 면적이 ④에서 계산한 정원에 따른 카의 최소 유효면적보다 크므로 적합
∴ ①에서 계산한 카의 유효 면적이 ④에서 계산한 정원에 따른 카의 최소 유효면적보다 크므로 적합, 이에
정원을 12로 표기함.
- 52 -
8.3 카의 벽 , 바닥 및 지붕
8.3.1 카의 구획
엘리베이터 카는 엘리베이터 이용을 위해 허용된 개구부 즉, 이용자의 정상적인 출입을 위한 출입구, 비상
구출구 및 환기구를 제외하고 구멍이 없는 벽, 바닥 및 천장(지붕)으로 완전히 둘러쌓아야 한다.
준비서류

☞해당 없음
8.3.2 카의 벽 , 바닥 및 지붕의 기계적 강도
카의 벽, 바닥 및 지붕의 기계적 강도는 이 기준에서 적용하는 힘에 충분히 견디는 금속이나 유리 재질
등으로 설치하여야 하며, 카의 벽ㆍ바닥ㆍ천장, 슬링, 카문 조립체 및 가이드 슈로 구성된 카 케이지는
엘리베이터의 정상 운행뿐만 아니라 비상정지장치가 작동하거나 완충기에 충돌할 때 가해지는 힘 등에
견딜 수 있는 충분한 기계적 강도를 지니도록 조립하여야 한다.
엘리베이터 카에 탑승한 사람이 카 벽을 손으로 밀거나 몸을 기대더라도 충분히 견딜 수 있어야 한다.
카 벽의 기계적 강도는 5 ㎠ 면적의 원형이나 사각 모양의 장비를 사용하여 카 벽 어느 지점에 카 내부에서
외부 방향으로 300 N의 수직력을 가하여 시험하여야 하며, 이 시험결과 힘을 가한 부분은 영구적인 변형이
없어야 하고 15 ㎜를 초과하는 탄성변형이 없어야 한다.(8.3.2.1)
카에 유리를 사용한 경우에는 한국산업표준에 적합한 접합유리(KS L 2004)를 사용하여야 하며 유리를
고정하는 설비를 설치하여 유리를 견고하게 고정하여야 한다. 또한, 사람이나 물건이 카 벽에 충돌할 때
유리가 카 조립체로부터 이탈되어 발생하는 사고를 방지하기 위하여 연질진자 충격시험(부속서 Ⅴ 참조)을
하여야 한다. 이 시험결과 영구적인 변형이나 이탈 없이 안전성능에 영향이 없어야 한다.(8.3.2.2, 8.3.2.3)
바닥에서 수직으로 1.1 m 이하인 카 벽에 유리가 있는 경우에는 0.9 m와 1.1 m 사이에 유리와 독립적
으로 고정된 손잡이를 설치하여야 한다. 다만, 장애인용 엘리베이터의 경우에는 바닥면으로부터 0.8 m 이상
0.9 m 이하로 설치하여야 한다.(8.3.2.2)
이용자 등이 유리에 대한 정보를 알 수 있도록 유리판에 공급자명(제조사명 가능) 및 상표와 함께
접합유리 표시를 하여야 한다.(8.3.2.4)
비고 카 지붕과 관련된 사항은 8.13을 참조한다.
준비서류

☞카 케이지 강도 계산 설계도서
☞ 카 벽 강도 시험성적서
☞ 공인기관의 접합유리 KS시험성적서
☞ 공인기관의 카 벽 유리 충격시험 안전성평가서 또는 시험성적서

8.3.3 카의 벽 , 바닥 및 지붕의 불연재료


인테리어 목적으로 사용되는 카 내장재를 포함한 경미한 부분을 제외하고 카의 벽, 바닥 및 지붕은
불연재료를 사용하여 견고하게 조립하여야 한다. 다만, 카 조립체에 불연재료를 완전히 덮어씌우는
방법도 가능하다.
준비서류

☞ 공인기관의 불연재료 시험성적서


*「건축물의 피난·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제6조제1호에 따른 불연재료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해당 없음.

- 53 -
에이프런
8.4
엘리베이터가 정전 등 어떠한 원인으로 인해 승강장문과 승강장문 사이 중간에 멈출 경우, 멈춘 엘리베
이터 카에 있는 이용자가 강제로 문을 열고 탈출을 시도하다 승강로 아래로 추락하는 사고를 예방하기 위하여
금속과 같은 기계적 강도가 충분한 재질로 만든 에이프런을 카 문턱에 견고하게 설치하여야 한다.
에이프런은 카 문턱에서 아랫방향을 향하고 승강장 유효 출입구 전폭에 걸친 크기의 수직면이어야 하며,
수직면의 끝 부분은 수평에 대해 60°이상으로 아랫방향을 향하도록 구부려야 한다. 또한, 구부러진 곳의
수평면에 대한 투영 길이는 20 ㎜ 이상으로 하여야 한다.(8.4.1)
에이프런의 수직 부분의 높이는 0.75 m 이상으로 하여야 한다. 다만, 도킹 운전(14.2.1.5 참조)이 있는
엘리베이터의 경우에는 카가 가장 높은 곳에서 타거나 내리는 위치(또는 화물을 하역하는 위치)에 있을 때
수직 부분의 높이를 승강장문 문턱 아래로 0.1 m 이상 연장하여야 한다.(8.4.2, 8.4.3)

에이프런이 없는 경우 에이프런이 있는 경우
< 그림 35, 에이프런 >

준비서류

☞ 에이프런 설계도서(수치 기재 포함)


8.5 카 출입구
카 출입구에는 반드시 문을 설치하여야 한다.(8.5.1)
2개 이상의 출입구를 두는 경우에는 문들이 동시에 열려 통로로 사용되지 않도록 설계하여야 한다.(8.5.2)
비고 1. 출입구의 수는 엘리베이터의 용도에 관계없이 1개의 카에 2개 이상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
동일 층에서 두 방향의 문이 동시에 개방되는 것은 불가하다. 더블데크 엘리베이터의 경우 특수구조승강기로
특례인정을받아야하는데이러한경우카가상하모두2개이므로각각에대하여상기규정이적용되어야한다.
2. 동일 층에서 출입문이 동시에 열려 통로로 사용될 경우, 가장 큰 위험 요소는 카 안으로 적재 가능한 용량
이상의 중량물인 운반기구(수레, 전동차 등)의 통과가 가능하게 되어 브레이크의 제동력 또는 도르래와 로프의
견인력 한계를 초과하는 경우가 발생되어 문이 열린 채 카가 미끄러지는 심각한 사고로 이어질 수 있다.
준비서류

☞ 해당 없음
8.6 카문
8.6.1 카문의 구조
엘리베이터 카 출입구에는 구멍이 없는 문을 설치하여야 한다. 다만, 화물용에는 수평으로 10 ㎜ 이하,
수직으로 60 ㎜ 이하의 구멍이 있는 수직 개폐식 카문을 설치할 수 있다.
준비서류
구멍이 있는 경우에만 해당
-
☞ 수직 개폐식 카문 설계도서(수치 기재 포함)

- 54 -
카문의 설치
8.6.2
카문은 닫혔을 때 문의 동작 또는 환기를 위한 틈새 등 필수적인 틈새를 제외하고 카 출입구를 완전히
막도록 설치하여야 한다.
준비서류

☞ 해당 없음
8.6.3 카문의 틈새
엘리베이터 카의 개구부에는 문이 닫혔을 때 문짝과 문짝 사이, 문짝과 문설주 사이, 문짝과 인방 사이 및
문짝과 문턱 사이의 모든 틈새가 6 ㎜ 이하가 되도록 카문을 설치하여야 한다.
엘리베이터 사용으로 카문의 부품이 마모될 경우에는 상기의 틈새를 10 ㎜ 까지 허용할 수 있으며 움푹
들어간 부분이 있다면 그 부분의 안쪽을 측정하여야 한다. 다만, 카문 주위의 이용자 등 사람의 신체 일부가
틈새에 끼이는 위험을 줄이기 위해 틈새를 작게 유지ㆍ관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준비서류

☞ 해당 없음
8.6.4 경첩이 있는 카문
경첩이 있는 카문에는 카문이 외부 방향으로 열리지 않도록 방지하는 걸리개 또는 정지장치를 설치
하여야 한다.
준비서류

☞ 해당 없음
8.6.5 카문의 전망창
수동 개폐식 승강장문에 전망창[7.6.2가) 참조]을 설치한 경우에는 카문에도 다음 4가지 사항을 모두
만족하고 카가 승강장에 정지하고 있을 때 승강장문의 전망창과 일치하는 위치에 전망창을 설치하여야
한다.
가) 전망창의 기계적 강도는 5 ㎠ 면적의 원형이나 사각 모양의 장비를 사용하여 전망창의 어느 지점에
수직으로 300 N의 힘을 가하여 시험한 결과 영구적인 변형이 없어야 한다. 다만, 힘을 가한 부분의 탄성
변형은 15 ㎜ 이하까지 허용한다. 또한, 시험 중이거나 시험이 끝난 후에도 문의 안전성능은 영향을 받지
않아야 한다.(7.2.3.1 참조)
나) 전망창의 두께는 6 ㎜ 이상이어야 한다.
다) 전망창의 면적은 0.01 ㎡ 이상이어야 하고, 카문의 유리가 끼워진 면적은 0.015 ㎡ 이상이어야 한다.
라) 전망창의 폭은 60 ㎜ 이상 150 ㎜ 이하이어야 한다. 전망창의 폭이 80 ㎜를 초과하면 전망창의
하부 모서리를 바닥면에서부터 수직높이로 1 m 이상이 되도록 설치하여야 한다.
준비서류

☞ 수동 개폐식 카문 투명 전망창 설계도서(수치 기재 포함)


☞ 수동 개폐식 카문 투명 전망창 강도 시험성적서

8.6.6 문턱, 가이드 및 문의 현수


카문의 문턱, 가이드 및 문의 현수는 승강장문의 문턱, 가이드 및 문의 현수(7.4 참조)와 같이 다음과
같이 설계ㆍ설치하여야 한다.
모든 카의 출입구에는 카에 출입하는 하중을 충분히 견디는 금속제 등의 문턱을 설치하여 엘리베이터
- 55 -
카가 승강장에 도착할 때 카 문턱과 승강장문 문턱의 사이의 높이 차(12.12 참조)가 없도록 하여 이용
자가 걸려 넘어지는 등의 위험을 예방하여야 한다.
카문은 정상적으로 열리고 닫힐 때 기계적 끼임이 없어야 하고 행거롤러가 행거레일로부터 이탈되지 않는
구조로 하여야 한다. 또한, 작동 경로의 끝단에 스토퍼 등을 설치하여 카문이 행거레일을 벗어나지 않도록
설치하여야 한다. 도어행거 롤러 또는 도어 가이드슈 등의 가이드가 마모, 부식 또는 화재로 인하여 사용
불능이 되더라도 카문이 도어행거 및 문턱 홈 등으로부터 이탈되지 않고 제 위치에서 견고하게 유지되도록
비상 가이드 장치(리테이너)를 설치하여야 한다.
수평 개폐식 카문은 상ㆍ하부에서 안내되고 수직 개폐식 카문은 양 측면에서 안내되도록 가이드를 설치
하여 정상적으로 열리고 닫히게 하여야 한다.
수직 개폐식 카문의 문짝은 양 측면에 각각의 현수부품을 설치하여야 한다. 즉, 2개의 독립된 현수부품에
의해 문짝을 고정하여야 한다. 현수부품이 문짝을 안전하게 현수할 수 있도록 로프, 체인 및 벨트의 안전율은
8 이상으로 하고, 로프 풀리의 피치 직경은 그 로프 직경의 25배 이상으로 하여야 한다. 현수 로프의 풀리
또는 체인의 스프라켓에는 로프 및 체인이 풀리 홈이나 스프라켓으로부터 이탈하지 않도록 하는 이탈방지
조치를 하여야 한다.
준비서류

☞카문(비상 가이드)에 대한 설계도서


☞ 수직 개폐식 카문의 현수 수단 설계도서
☞ 수직 개폐식 카문의 현수 수단(로프, 체인 및 벨트) 안전율 계산 설계도서
☞ 수직 개폐식 카문의 현수 로프와 풀리의 직경비 계산 설계도서

8.6.7 기계적 강도
카문의 기계적 강도는 5 ㎠ 면적의 원형이나 사각 모양의 장비를 사용하여 카문을 닫고 잠긴 상태의
문짝 어느 지점에 수직으로 300 N의 힘을 가하여 시험하여야 하며, 이 시험결과 영구적인 변형은 없어야 한다.
다만, 힘을 가한 부분의 탄성변형은 15 ㎜ 이하까지 허용한다. 또한, 시험 중이거나 시험이 끝난 후에도 문의
안전성능은 영향을 받지 않아야 한다.(8.6.7.1)
카문에 유리를 사용할 경우에는 한국산업표준에 적합한 접합유리(KS L 2004)를 사용하여야 하며
유리를 고정하는 설비를 설치하여 유리를 견고하게 고정하여야 한다. 또한, 유리가 내려앉거나 함몰되더
라도 유리가 고정설비로부터 이탈되는 등의 위험이 없도록 문짝을 고정하여야 한다.(8.6.7.2, 8.6.7.3)
이용자 등이 유리에 대한 정보를 볼 수 있도록 유리판에 공급자명(제조사명 가능) 및 상표와 함께 접합
유리 표시를 하여야 한다.(8.6.7.4)
이용자가 문을 열기 전에 카의 유무를 확인할 수 있는 투명 전망창의 크기(7.6.2 참조)보다 큰 유리를
자동 동력작동 수평 개폐식 카문에 사용할 경우에는 손과 유리 사이의 마찰계수를 감소시키거나 유리를
1.1 m 높이까지 불투명하게 처리하여 어린이의 손이 틈새에 끌려들어가는 위험을 최소화 하여야 한다.
또는 손가락을 감지하는 수단이나 기타 동등 이상의 수단을 설치하여 위험을 방지할 수 있다.(8.6.7.5)
준비서류

☞ 카문 강도 시험성적서
☞ 공인기관의 접합유리 KS시험성적서
☞ 유리문 손 끌림방지수단에 대한 설계도서

8.7 문의 작동과 관련된 보호

- 56 -
일반사항
8.7.1
카문의 문짝과 문짝 사이, 문짝과 문설주 사이, 문짝과 인방 사이 및 문짝과 문턱 사이 등 카문과 문 주
위의 모든 틈새는 카에 탑승한 이용자 또는 카문 주위를 지나는 사람의 신체 일부, 옷 또는 기타 물체가
끼이거나 말려 들어가지 않도록 그 틈새를 최소화하여 설계하고, 날카로운 끝부분이나 모서리 부분은 모따기
등으로 처리하여 부상의 위험을 최소화 하여야 한다.
특히, 자동 동력 작동식 카문의 외부표면은 3 ㎜를 초과한 함몰 또는 돌출된 부분이 없도록 하고, 이러한
문의 모서리는 열리는 방향으로 둥글게 처리하여 문이 열리거나 닫히는 동안 전단의 위험이 없도록 하여야
한다. 다만, 수직 개폐식 카문을 적용한 화물용(8.6.1 참조)에 따른 구멍이 있는 문에는 적용하지 않는다.
준비서류

☞ 해당 없음
8.7.2 동력 작동식 문
동력 작동식 카문은 사람이 문짝과 충돌하여 입게 되는 유해한 결과를 최소로 줄일 수 있도록 아래와 같이
설계 및 설치하여야 한다. 카문과 승강장문이 연동되어 동시에 작동하는 경우에는 결합된 문의 메커니즘에
대해 유효하도록 하여야 한다.
준비서류

☞ 해당 없음
8.7.2.1.1 자동 동력 작동식 문
수평개폐식의 자동 동력 작동식 카문은 문이 완전히 닫힐 때까지 닫힘 동작이 지속되므로 카에 출입하는
이용자가 닫히는 카문에 부딪히거나 압착되는 등의 위험이 있다. 이러한 위험을 방지하기 위하여 문이
닫히는 도중 닫힘 행정의 최초 1/3의 구간 까지를 제외한 나머지 구간에서 열리는 방향으로 힘(150 N 이하)을
가하면 문이 더 이상 닫히지 않도록 카문의 평균 닫힘 속도 및 운동에너지를 설계하여야 한다.(8.7.2.1.1.1)
카문 및 문에 견고하게 연결된 기계부품의 운동에너지는 10 J 이하로 설계하여야 한다. 문의 평균 닫힘
속도는 중앙 개폐식 문의 경우 문이 닫히는 구간의 끝에서 25 ㎜를 제외한 닫힘 행정의 전체 구간에서, 측면
개폐식 문의 경우 문이 닫히는 구간의 끝에서 50 ㎜를 제외한 닫힘 행정의 전체 구간에서 계산된 평균 속도로
한다.(8.7.2.1.1.2)
사람의 손가락을 포함한 신체 일부 등이 닫히는 문 사이의 틈새에 끼인 채 엘리베이터가 운행되는 위험을
방지하기 위해 문이 닫히는 전 구간(마지막 15 ㎜ 구간 제외 가능)에서 신체 일부 등을 감지하여 닫히는 문을
자동으로 열리게 하는 문닫힘안전장치(세이프티 바와 같은 기계장치, 광전장치 및 초음파장치 등)를 설치하여야
한다. 문닫힘안전장치가 장시간 작동하여 엘리베이터의 정상운행을 방해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미리 설정된
시간이 지나면 문닫힘안전장치를 무효화 시켜 문을 닫히게 하는 시스템을 설치하는 경우에는 이 시스템이
작동하여 문이 닫힐 때 카문의 운동에너지(8.7.2.1.1.2 참조)를 4 J 이하로 설계하여야 한다.(8.7.2.1.1.3)
접힌 문의 경우에는 접힌 문짝의 인접한 외측 모서리 또는 문틀에서 100 ㎜ 떨어진 접힌 문 등과 같은 동등한
곳에서 접힌 문이 열리는 방향으로 힘(150 N 이하)을 가하더라도 열리지 않아야 하며, 접힌 문이 우묵 들어간 부분
으로 들어가는 경우에는 문의 외측 모서리와 우묵 들어간 부분 사이의 거리를 15 ㎜ 이하가 되도록 설치하여야
한다.(8.7.2.1.1.4, 8.7.2.1.1.5)
준비서류

☞ 수평 개폐식의 자동 동력 작동식 카문의 닫힘력 계산 설계도서 또는 시험성적서


☞ 수평 개폐식의 자동 동력 작동식 카문의 운동에너지 계산 설계도서 또는 시험성적서
☞ 수평 개폐식의 자동 동력 작동식 카문(접힌 문) 설계도서(수치 기재 포함)

- 57 -
반자동 동력 작동식 문
8.7.2.1.2
사용자에 의해 닫힘 버튼을 지속적으로 누르거나 이와 유사한 방법(hold-to-run control)으로 사용자에
의해 문이 닫히는 반자동 동력 작동식 카문의 경우, 문의 운동에너지는 문의 평균 닫힘 속도에서 계산하여
10 J 이하로 설계하거나 카문의 운동에너지가 10 J을 초과할 경우에는 가장 빠른 문짝의 평균 닫힘 속도를
0.3 ㎧로 제한하여 설계하여야 한다.
문의 평균 닫힘 속도는 중앙 개폐식 문의 경우, 문이 닫히는 구간의 끝에서 25 ㎜를 제외한 닫힘 행정의
전체 구간에서, 측면 개폐식 문의 경우, 문이 닫히는 구간의 끝에서 50 ㎜를 제외한 닫힘 행정의 전체 구간
에서 계산한 평균 속도로 한다.
준비서류

☞수평 개폐식의 반자동 동력 작동식 카문의 운동에너지 계산 설계도서 또는 시험성적서


8.7.2.2 수직 개폐식 문
일반적으로 사람은 걷는 동안 바닥에 시선이 고정되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수직으로 내려오는 물체에는
주의를 기울이지 않으면 머리가 부딪히는 위험이 있다. 따라서 수직 개폐식 문은 승객용에 사용을 금지하며
화물용 엘리베이터(자동차용 엘리베이터 포함)에만 적용하여야 한다.
동력 작동식 카문은 문짝 평균 닫힘 속도를 0.3 ㎧로 제한하여 설계하고, 구멍이 없거나 구멍의 크기가
수평으로 10 ㎜ 이하, 수직으로 60 ㎜ 이하인 카문을 설치하여야 한다.
비고 수직 개폐식 문의 경우, 승강장문이 닫히기 시작 전에 카문이 적어도 2/3는 닫히도록 설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준비서류

☞ 수직 개폐식 동력 작동 카문의 평균 닫힘 속도 설계도서 또는 시험성적서


☞ 수직 개폐식 동력 작동 카문의 구멍에 대한 설계도서(수치 기재 포함)

문닫힘 동작의 반전
8.8
자동 동력 작동식 문이 설치된 엘리베이터의 카 내에는 닫힘 동작을 반전시키는 장치 즉, 열림 버튼을
설치하여야 한다. 이 장치는 등록 버튼 등 카의 다른 제어장치와 함께 위치하도록 하여야 한다.
비고 자동 동력 작동식 문은 설정된 시간 후에 자동으로 닫히도록 설계(7.8 참조)되므로 닫힘 버튼의 설치는
제외할 수 있다.
준비서류

☞ 해당 없음
카문의 닫힘을 입증하는 장치
8.9
엘리베이터의 정상운행 중, 이용자의 신체 일부 등이 끼인 채 카가 운행되는 위험이 없도록 이 기준
에서 허용하는 경우를 제외하고 카문이 열리거나, 여러 문짝이 있는 경우에는 어떤 문짝이라도 열리면 카가 출발
하거나 계속 움직이지 않도록 설계하여야 한다. 다만, 카의 운행을 위한 예비 운전은 가능할 수 있다.(8.9.1)
이 기준에서 허용하는 경우 즉, 문이 열린 상태로 엘리베이터가 운행할 수 있는 구간은 다음과 같다.(7.7.2.2 참조)
가) 문이 개방된 상태의 착상 및 재-착상 제어에 대한 규정(14.2.1.2 참조)을 모두 만족하는 착상 또는
재-착상이 허용되는 잠금해제구간
나) 도킹운전 제어를 추가할 경우로 도킹운전 제어에 대한 규정(14.2.1.5 참조) 및 도킹운전 제어에 따른 에이프런의
수직 높이(8.4.3 참조)와 카 헤더(8.14 참조)에 대한 규정을 모두 만족하고 승강장문 헤더와 카 바닥 사이의
유효 높이가 2 m 이상이며 카가 허용 가능 구간에 있을 지라도 특별한 조작 없이 승강장문을 닫을 수 있을 때
카에 출입하거나 하역작업이 허용되는 구간(승강장 바닥 위로 최대 1.65 m 높이까지 연장된 구간)
- 58 -
엘리베이터 카는 카문 잠금장치가 확실히 작동된 후에 출발하여야 한다. 즉, 전기안전장치(14.1.2 참조)에
의한 카문의 잠금 신호가 카의 운행 신호보다 우선되도록 회로를 설계하여야 한다. 다만, 카의 운행을 위한
예비운전은 발생될 수 있다.(8.9.2)
카문의 잠금장치는 승강장문의 잠금장치(7.7.3.1 참조)와 동일한 구조로 설계되어 작동되도록 설치하여야
하며, 승강로의 내측면과 카 문턱, 카 문틀 또는 카문의 닫히는 모서리 사이의 수평거리가 0.125 m를
초과하는 경우[11.2.1다) 참조]에 반드시 설치하여야 한다.(8.9.3)
준비서류

☞ 카문 잠금장치 KC인증서(설계도서 또는 시험성적서 포함)


여러 문짝이 기계적으로 연결된 개폐식 문
8.10
기계적으로 직접 연결된 여러 문짝으로 이루어진 카문에는 문의 닫힘을 입증하는 전기안전장치(8.9.2
참조)를 하나의 문짝에만 설치할 수 있다. 다만, 문짝이 겹치는 카문의 경우에는 각각의 문짝에 전기안전
장치를 설치하여야 하나 닫힌 위치에서 문짝 간의 걸림에 의해 다른 문짝의 열림을 방지할 수 있도록
설치한다면 하나의 문짝에만 설치할 수 있다.(8.10.1)
로프, 벨트 또는 체인 등에 의해 기계적으로 간접 연결된 여러 문짝으로 이루어진 카문에는 각 문짝에
손잡이가 없고 문짝 하나의 잠금으로 다른 문짝의 열림을 방지할 수 있도록 설치한다면 잠금장치를
하나의 문짝에만 설치할 수 있다. 이 경우, 잠금장치를 설치하지 않는 다른 문짝에는 전기안전장치를
추가로 설치하여 문짝의 닫힘 상태를 입증하도록 하여야 한다.(8.10.2)
준비서류

☞ 해당 없음
카문의 개방
8.11
엘리베이터가 정전 등 어떤 이유로 승강장 근처 즉, 잠금해제구간에서 정지할 때 카에 탑승한 이용자가
카에서 빠져나오도록 하기 위해 승강장에 있는 사람이 손으로 카문을 열거나 부분적으로 열기 위한 행동
또는 카 내에서 갇힌 이용자가 손으로 승강장문과 연동된 카문을 열거나 부분적으로 열기 위해 행동한다면
카는 정지되고 도어개폐장치의 전원은 차단되도록 설계하여야 한다.(8.11.1)
엘리베이터 카에 탑승한 이용자가 카에서 빠져 나오기 위해 카문을 개방하는 구간은 잠금해제구간에
서만 가능하고, 이용자가 쉽게 문을 개방할 수 있도록 문 개방에 필요한 힘은 300 N 이하로 설계하여야
한다. 또한, 카문에 잠금장치가 있는 엘리베이터의 경우에는 카가 잠금해제구간에 있을 때에만 카 내에서
카문의 개방이 가능하도록 설계하여야 한다.(8.11.2)
비고 한 사람이 수평으로 힘을 가했을 때 정하중은 300 N, 동하중은 1,000 N으로 가정한다.(EN 81-1 0.3.9 참조)
엘리베이터의 정상운행 중 카에 탑승한 이용자가 문을 강제로 여는 행동 등으로 카가 층과 층 사이에
정지하는 위험을 줄일 수 있도록 정격속도 1 ㎧를 초과하는 엘리베이터가 운행 중일 때 카문의 개방에
필요한 힘은 50 N 이상으로 설계하여야 한다. 다만, 잠금해제구간에서는 제외한다.(8.11.3)
준비서류

☞ 잠금해제구간에 정지한 카문의 개방력 계산 설계도서 또는 시험성적서


☞ 엘리베이터가 운행 중일 때 카문의 개방력 계산 설계도서 또는 시험성적서

비상구출문
8.12
엘리베이터 카에 갇힌 이용자의 구출을 위한 비상구출 운전(12.5 참조) 시에는 항상 카 밖에서 구출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는 구조로 설계하여야 한다.(8.12.1)

- 59 -
엘리베이터 카 천장에는 비상구출문의 설치를 위한 비상구출구를 둘 수 있으며, 이 비상구출구의 크기는
0.35 m × 0.5 m 이상으로 설계하여야 한다.(8.12.2)

2대 이상의 엘리베이터가 동일 승강로에 설치되고 서로 다른 카와 카사이의 수평거리가 0.75 m 이하인


경우에는 인접한 카에서 카에 갇힌 이용자를 구출할 수 있도록 카 벽에 폭 0.35 m 이상, 높이 1.8 m 이상인
비상구출문을 설치할 수 있다.(8.12.3, 8.12.4)
카에 설치하는 비상구출문은 카의 벽ㆍ바닥ㆍ천장의 강도(8.3.2 참조) 및 재질(8.3.3 참조)과 같이 불연재료로
하여야 하며, 기계적 강도는 5 ㎠ 면적의 원형이나 사각 모양의 장비를 사용하여 비상구출문의 어느 지점에
카 내부에서 외부 방향으로 300 N의 수직력을 가하여 시험하여야 하며, 이 시험결과 힘을 가한 부분은
영구적인 변형이 없고 15 ㎜를 초과하는 탄성변형이 없어야 한다. 비상구출문에 유리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한국산업표준에 적합한 접합유리(KS L 2004)를 사용하여야 하며 유리를 고정하는 설비를 설치하여 유리를
견고하게 고정하여야 한다.(8.12.4)
카 천장에 설치된 비상구출문은 신속한 구출작업을 위해 카 외부에서 간단한 조작으로 개방이 가능하고, 카
내부에서는 카에 갇힌 이용자가 임의로 탈출을 시도할 수 없도록 규정된 열쇠(부속서Ⅱ 참조)를 사용하여야만
개방이 가능한 구조로 설치하여야 한다. 또한, 비상구출문은 카 외부 방향으로만 열리고 완전히 열리면 카
천장의 가장자리를 벗어나지 않는 구조로 설치하여야 한다.(8.12.4.1.1)
카 벽에 설치된 비상구출문은 카 천장에 설치된 비상구출문과 같이 신속한 구출작업을 위해 카 외부에서
간단한 조작으로 개방이 가능하고, 카 내부에서는 카에 갇힌 이용자가 임의로 탈출을 시도할 수 없도록 규정된
열쇠를 사용하여야만 개방이 가능한 구조로 설치하여야 한다. 또한, 이 비상구출문은 카 천장에 설치된 비상
구출문과 달리 카 내부 방향으로만 열리는 구조로, 전방에 균형추(또는 평형추)의 주행로 또는 카에서 다른 카로
이동을 방해하는 장애물(다만, 카를 분리하는 중간 빔 제외)이 없는 위치에 설치하여야 한다.(8.12.4.1.2)
비상구출문에는 잠금 상태를 확인하는 전기안전장치(14.1.2 참조)를 설치하여 잠금이 이뤄지지 않는 경우에는
엘리베이터를 정지시키고 잠금 상태가 다시 확인된 경우에만 엘리베이터의 재-운행이 가능하도록 설계하여야
한다.(8.12.4.2)
준비서류
-카에 비상구출구를 설치한 경우에만 해당
☞ 카(비상구출구) 설계도서(수치 기재 포함)
☞ 카 비상구출문 강도 시험성적서
☞ 공인기관의 접합유리 KS시험성적서
* 비상구출문에 유리를 사용하는 경우에만 해당
☞ 공인기관의 불연재료 시험성적서
*「건축물의 피난·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제6조제1호에 따른 불연재료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해당 없음.
카 지붕
8.13
카 지붕은 두 사람 이상의 무게를 충분히 견딜 수 있는 기계적 강도로 설계하여야 한다. 이 시험은 카 지붕의
어떤 두 지점(0.2 m × 0.2 m)에 각각 1,000 N의 힘을 가하여 시험하여야 하며, 시험 결과 카 지붕은 영구적인
변형이 없어야 한다.(8.13.1)
카 지붕에는 작업자가 안전하게 서서 작업할 수 있도록 유효 면적을 0.12 ㎡ 이상으로 확보하고, 이 유효
면적의 작은 변의 길이는 0.25 m 이상으로 설계하여야 한다.(8.13.2)
카 지붕의 작업자가 승강로 아래로 추락하는 사고 등을 예방하기 위해 카 지붕의 바깥 쪽 가장자리에서
승강로 벽까지의 수평거리가 0.3 m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손잡이ㆍ높이 0.1 m의 발 보호판 및 보호난간의 1/2
높이 지점의 중간봉으로 구성된 보호난간을 카 지붕 가장자리에서 0.15 m 이내에 설치하여야 한다. 승강로

- 60 -
벽까지의 수평거리는 승강로 내 벽면까지 측정한다. 다만, 움푹 들어간 부분의 폭 또는 높이가 0.3 m 이하인
경우에는 측정부분에서 제외할 수 있다.(8.13.3, 8.13.3.1, 8.13.3.5)
비고 수평거리가 0.3 m 이하인 경우에는 높이 0.1 m의 발 보호판을 카 지붕 가장자리에서 0.15 m 이내에
설치하는 것을 권장한다.[prEN 81-20 5.4.7.2.1a)참조]
보호난간의 손잡이 바깥쪽 끝 면과 승강로 벽 사이의 수평거리가 0.3 m를 초과하고 0.85 m 이하인 경우에는
보호난간의 높이를 0.7 m 이상으로 하고, 이 수평거리가 0.85 m를 초과한 경우에는 보호난간의 높이를 1.1 m
이상으로 하여야 한다.(8.13.3.2)
비고 동일 승강로에 2대 이상의 카가 있는 경우에는 보호난간의 손잡이 바깥 쪽 끝 면과 인접한 다른
카사이의 수평거리가 아닌 승강로 벽 사이의 수평거리를 적용한다. 즉, 보호난간의 높이를 1.1 m 이상으로
하여야 한다. 다만, 승강로 전 구간에 걸쳐 칸막이가 설치된 경우에는 칸막이와의 거리를 적용한다.
보호난간 손잡이의 바깥쪽 모서리는 승강로에 있는 균형추(또는 평형추), 스위치, 가이드 레일 및 가이드
레일 브라켓 등의 부품 사이의 수평거리가 0.1 m 이상인 지점에 위치하여야 한다.(8.13.3.3)
출입구 측에 있는 보호난간은 카 지붕으로 안전하고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조치하여야 하며, 난간에 기대는
위험에 대한 경고표시 또는 주의 문을 보호난간의 적절한 위치에 부착하여야 한다.(8.13.3.4, 8.13.4)
카지붕에 유리를 사용한 경우에는 한국산업표준에 적합한 접합유리(KS L 2004)를 사용하여야 한다.(8.13.5)
카 지붕에 풀리 및 스프라켓을 설치하는 경우에는 작업자가 움직이는 풀리 및 스프라켓에 의해 다칠
위험을 예방하기 위해 견고한 보호 칸막이(9.7 참조)를 설치하여야 한다. 보호 칸막이에 구멍이 있는 경우
에는 KS B 6947(기계류의 안전 - 위험지역에 상체가 접근할 수 없도록 하기 위한 안전거리)의 4.5.1에 따라
작업자를 보호할 수 있도록 설치하여야 한다.(8.13.6)

0.3 m ≺ L' ≤ 0.85 m L' ≻ 0.85 m


< 그림 36, 카 지붕에 설치하는 보호난간 >
준비서류

☞ 카 지붕 강도 시험성적서
☞ 카 지붕 작업구역 설계도서
☞ 카 지붕 보호난간 설계도서(수치 기재 포함)

- 61 -
☞ 공인기관의 접합유리 KS시험성적서
* 카 지붕에 유리를 사용하는 경우에만 해당
☞ 풀리/스프라켓 보호 수단 설계도서
☞ 보호 수단 구멍 안전조치(안전거리 확보) 설계도서 또는 시험성적서
* 풀리/스프라켓 보호 수단에 구멍이 있는 경우에만 해당
카 헤더
8.14
승강장문이 열렸을 때 카 지붕과 승강장문의 헤더 사이에 틈새가 있는 경우에는 이 틈새를 채워 작업자가
끼이는 위험 등을 예방하기 위해 카 출입구의 윗부분에 승강장문의 전체 폭에 걸쳐 위로 연장되는 견고한
금속판을 설치하여야 한다. 특히, 이러한 가능성은 도킹 운전(14.2.1.5)이 있는 엘리베이터의 경우에 예상
하여야 한다.
준비서류

☞ 해당 없음
8.15카 상부의 설비
카 상부에는 작업자가 안전하게 출입하고 작업할 수 있도록 정지장치(14.2.2 및 15.3 참조), 콘센트
(13.6.2 참조) 및 점검운전을 위한 제어장치(14.2.1.3 참조)를 설치하여야 한다.

준비서류

☞ 해당 없음
환기
8.16
구멍이 없는 문이 설치된 카에는 카 내에 탑승한 이용자를 위해 신선한 공기가 카 내에 유입될 수 있도록
카의 위ㆍ아랫부분에 자연 환기구를 두어야 한다.(8.16.1)
카 윗부분에 위치한 자연 환기구의 유효면적은 카 유효면적의 1% 이상으로 설계하여야 하며, 카 아
랫부분의 환기구도 윗부분의 환기구와 동일하게 설계하여야 한다. 또한, 카문 주위에 있는 개구부 또는
틈새는 규정된 유효면적의 50 %까지 환기구의 면적에 포함하여 계산할 수 있다.(8.16.2)
자연 환기구는 10 ㎜의 곧은 막대 봉이 카 내부에서 통과할 수 없는 구조로 설계하여야 한다.(8.16.3)
준비서류

☞ 카 환기구 계산 설계도서(수치 기재 포함)


조명
8.17
엘리베이터 카에 탑승하는 이용자가 카 바닥을 안전하게 확인하고 등록 버튼 등의 조작 장치를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카 바닥 및 조작 장치를 50 lx 이상의 조도로 비출 수 있는 영구적인 조명장치를 카에 설치하여야 한다.(8.17.1)
카 조명에 백열등을 설치할 경우에는 2개 이상의 등을 병렬로 연결하여 1개의 등이 고장 나더라도 카 조명이
유지되도록 설계하여야 한다.(8.17.2)
카 조명은 엘리베이터가 정상 운행 중일 때 계속 유지되도록 설계하여야 한다. 다만, 카가 승강장에서
정지한 후 일정 시간이 지나면 자동으로 닫히는 자동 동력 작동식 문을 설치한 경우(7.8 참조)에는 문이
닫힌 채로 승강장에 정지하고 있을 때 조명 전원이 차단되도록 설계할 수 있다.(8.17.3)
정전 등으로 인해 정상 조명 전원이 차단되더라도 엘리베이터 카에 탑승한 이용자가 등록버튼 및 비상
통화장치 표시를 확인할 수 있는 비상조명 및 자동 재충전 예비전원공급장치를 설치하여야 한다. 자동 재
충전 예비전원공급장치는 2 lx 이상의 조도로 1시간 동안 전원을 공급할 수 있어야 한다. 비상조명은 정상
- 62 -
조명 전원이 차단되면 자동으로 즉시 점등되도록 설계하여야 한다. 비상조명의 조도는 램프 중심부로부터 2 m
떨어진 수직면상 및 등록버튼ㆍ비상통화장치 표시에서 측정하여야 한다.(8.17.4)
또한, 비상조명을 위한 예비전원공급장치를 비상통화장치(14.2.3 참조)의 전원공급장치로 겸용할 경우에는
비상조명과 비상통화장치가 동시에 작동될 수 있는 충분한 전원용량이 확보된 예비전원공급장치를 설치
하여야 한다.(8.17.5)
준비서류

☞ 자동 재충전 예비전원공급장치의 용량 계산 설계도서(품질보증서 또는 시험성적서 포함)


8.18 균형추 및 평형추
균형추 또는 평형추 틀에 무게추를 채우는 경우에는 무게추의 이동 또는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틀에
무게추를 안전하게 고정하여야 한다. 다만, 무게추가 금속으로 만들어지고 엘리베이터 정격속도가 1 ㎧
이하인 경우에는 2개 이상의 고정봉을 사용하여 무게추를 안전하게 고정할 수 있다.(8.18.1)
균형추 또는 평형추에 풀리 또는 스프라켓을 설치한 경우에는 작업자가 움직이는 풀리 또는 스프라켓에
간섭되는 등의 위험을 방지하기 위한 보호 칸막이를 견고하게 설치하여야 한다. 보호 칸막이에 구멍이 있는
경우에는 KS B 6947(기계류의 안전 - 위험지역에 상체가 접근할 수 없도록 하기 위한 안전거리)의
4.5.1에 따라 작업자를 보호할 수 있도록 설치하여야 한다.(8.18.2)

준비서류

☞ 풀리/스프라켓 보호 수단(칸막이) 설계도서


☞ 보호 수단 구멍 안전조치(안전거리 확보) 설계도서 또는 시험성적서
* 풀리/스프라켓 보호 수단(칸막이)에 구멍이 있는 경우에만 해당
9. 현수, 보상, 카의 상승과속 및 의도되지 않은 움직임의 보호
현수수단
9.1
엘리베이터 카와 균형추(또는 평형추)는 와이어로프, 롤러체인 또는 벨트와 같은 기타 수단에 의해
현수되도록 설치하여야 한다. 다만, 벨트와 같은 기타 수단은 안전성 확인을 위하여「승강기검사기준」
제20조의 규정에 의한 특수구조승강기 검사특례 인정을 받아야 한다.(9.1.1)
로프를 사용하여 현수할 경우에는 공칭 직경이 8 ㎜ 이상이고 한국산업표준에 적합한 엘리베이터용
강선 와이어로프(KS D ISO 4344)를 설치하여야 하며, 체인으로 현수할 경우에는 한국산업표준에 적합한
전동용 롤러체인(KS B 1407)을 설치하여야 한다.(9.1.2)
비고 엘리베이터용 와이어로프는「품질경영 및 공산품 안전관리법」에 따른 자율안전확인 대상 공산품
으로 KS보다 우선한다.
로프는 3가닥 이상으로 하여야 한다. 다만, 포지티브 구동식 엘리베이터의 경우에는 로프 및 체인을 2가닥
이상(9.4 참조)으로 할 수 있다. 로프 또는 체인의 가닥은 각각 독립적으로 설치하여야 하며, 구멍에 꿰어
매는 방식 즉, 쐐기식 등으로 고정하는 경우 고려되는 가닥 수는 내려지는 수가 아닌 로프 또는 체인의 수
이다.(9.1.3, 9.1.4)
로프의 마모 및 파손상태는 가장 심한 부분에서 점검하여 [표 15] 및 [표 16]에서 규정하는 기준에
적합한지 확인하여야 한다.(9.1.5)
비고 엘리베이터 카가 기준층에 정지하고 있을 때 권상 도르래와 로프의 접촉이 이뤄지는 부분에서 로프의 마모가
가장 심하게 진행되므로 로프의 마모 상태는 이 부분을 집중적으로 확인한다. 다만, 소선의 파단은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하므로 반드시 이 부분에서 많이 발생한다고 할 수는 없다. 오히려 전체 로프의 중간 부
- 63 -
분에서 파단이 집중되는 경우가 많다. 그 이유는 나선형으로 스트랜드가 꼬여있는 로프는 도르래와의
마찰에 의해 조금씩 회전하게 되어 중간 부분에 있는 로프가 도르래에 접촉할 때는 운행 시마다 접촉
면이 달라 질 수 있으므로 로프의 굽힘이 로프의 단말 부분에 가까운 부분보다 크게 되므로 소선 파단이
쉽게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에 로프의 파손상태 확인은 전 구간에 걸쳐 확인한다.
[ 표 15, 로프의 마모 및 파손상태에 대한 기준 ]
마모 및 파손상태 기준
소선의 파단이 균등하게 분포되어 있는 경우 1구성 꼬임(스트랜드)의 1꼬임 피치 내에서
파단 수 4 이하
파단 소선의 단면적이 원래의 소선 단면적의 1구성 꼬임(스트랜드)의 1꼬임 피치 내에서
70 % 이하로 되어 있는 경우 또는 녹이 심한 경우 파단 수 2 이하
소선의 파단이 1개소 또는 특정의 꼬임에 집중 소선의 파단총수가 1꼬임 피치 내에서 6꼬임 와이어
되어 있는 경우 로프이면 12 이하, 8꼬임 와이어로프이면 16 이하
마모부분의 와이어로프의 지름 마모되지 않은 부분의 와이어로프 직경의 90 % 이상
비고 파단 소선의 단면적이 원래의 소선 단면적의 70 % 이하인지 여부는 <그림 37>의 l1의 마모길이를
측정하여 [표 15]의 수치 이상인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

< 그림 37, 파단 소선의 단면적 마모 길이 >


[표 16, 마모 길이 ]
로프 직경 로프의 구성기호 및 마모길이(l ), 단위(㎜)
1

8 × S (19) 6 × W (19) 8 × Fi (25)


8 2.8 3.2 2.6
10 3.6 4.0 3.3
12 4.2 4.8 4.0
14 4.9 5.6 4.4
16 5.6 6.3 5.4
18 6.3 7.2 6.2
20 7.1 8.1 6.5

집중 파단 균등 파단
< 그림 38, 와이어 로프의 소선 파단 >

- 64 -
준비서류

☞ 와이어 로프 KC인증서(설계도서 또는 시험성적서 포함 - 가닥수, 직경, 호칭, 구성 및 파단하중 기재)


☞ 체인 KS시험성적서(가닥수, 직경, 호칭, 구성 및 파단하중 기재)
* 현수수단을 체인으로 하는 경우에만 해당

와이어 로프에 대한 자율안전확인이 유예되었기에 시행 이전 까지는 공인기관의 KS시험성적서를 준비


하여야 한다.
9.2 권상 도르래, 풀리 또는 드럼과 로프의 직경 비율 , 로프ㆍ체인의 단말처리
9.2.1 권상 도르래 , 풀리 또는 드럼과 로프의 직경 비율
권상 도르래, 풀리 또는 드럼은 로프의 스트랜드 수와 관계없이 공칭 직경(D)이 로프 공칭 직경(d)의 40배
이상인 것을 설치하여야 한다.
준비서류

☞ 권상 도르래, 풀리 또는 드럼의 공칭 직경과 로프의 공칭 직경 사이의 직경비 계산 설계도서

공칭 직경 사이의 비는 로프의 수명과 매우 밀접한 상관관계가 있으며 이 기준에서  ≥  으로 규정한


것은 로프가 천만 번의 굽힘과 펼침을 반복해도 안전성을 유지하기 위함이다. 이는 엘리베이터를 15년간
운행할 경우에 해당하는 정도의 수명에 해당된다.
현수로프 및 현수체인의 안전율
9.2.2, 9.2.4
현수로프의 안전율은 규정된 공식(부속서 Ⅸ 참조)에 따라 계산하여 어떠한 경우라도 12 이상이 되도록
설계하여야 한다. 이 안전율은 엘리베이터 카가 정격하중을 싣고 최하층에 정지하고 있을 때 로프 1가닥의
최소 파단하중(N)과 이 로프에 걸리는 최대 힘(N) 사이의 비율이다.(9.2.2)
현수체인의 안전율 또한 10 이상이 되도록 설계하여야 한다.(9.2.4)
준비서류

☞ 현수로프 또는 현수체인의 안전율 계산 설계도서

엘리베이터용 와이어로프의 선정에 있어서는 단순히 안전율 외에도 굴곡특성 등도 고려할 필요가 있다.
굴곡특성은 반복적인 휨을 받아도 소선이 파단나지 않도록 강선속의 탄소량을 다른 로프보다 적게 하여
유연성을 부여하게 한 것이다. 이러한 이유로 소선의 경도와 파단강도는 일반 로프보다 낮다. 초고층
엘리베이터에는 로프의 무게가 크기 때문에 파단강도를 특별히 높여서 150 ㎏/㎟(일반적인 로프의 파
단강도는 135㎏/㎟)의 소선을 사용하는 경우가 있다.
현수로프 및 현수체인의 단말처리
9.2.3, 9.2.5
로프는 금속 또는 수지로 채워진 소켓 (바빗식 로프소켓) 또는 자체 조임 쐐기형식의 소켓(쐐기식 로프
소켓)에 로프 단말을 처리하여 카와 균형추(또는 평형추) 또는 현수되는 지점에 고정하여야 한다. 이 경우 로프의
최소 파단하중의 80 % 이상을 견디도록 로프 단말을 로프 소켓에 연결하여야 한다. 다만, 드럼과 로프를
사용한 포지티브 구동식 엘리베이터의 경우에는 쐐기로 막는 시스템을 사용하거나 2개 이상의 클램프에
로프 단말을 처리하여 고정하여야 한다.(9.2.3, 9.2.3.1, 9.2.3.2)
- 65 -
참고로, 쐐기식 로프소켓에서 U 볼트형 고정클립은 로프를 직접 조이는 특성상 강하게 조이면 로프에
손상을 주고 이로 인해 로프의 강도가 감소되므로 사용하지 않은 것이 바람직하다.
체인은 적절한 단말처리에 의해 카와 균형추(또는 평형추) 또는 현수되는 지점에 고정하여야 한다. 이 경우
에는 체인의 최소 파단하중의 80 % 이상을 견디도록 체인 단말을 단말처리수단에 연결하여야 한다.(9.2.5)

쐐기식 로프소켓 바빗식 로프소켓


< 그림 39, 현수로프의 단말처리 로프소켓 >

준비서류

☞ 소켓 등 단말처리수단의 체결력 계산 설계도서 또는 시험성적서

현수로프는 사용함에 따라 마모 및 소선파단 등으로 인해 강도가 필시 저하되기 때문에 이러한 상황을


고려하여 안전율은 여유 값을 반영하는 데 로프소켓은 최초 상태에서 강도 저하가 거의 진행하지 않
으므로 로프의 80 % 효율 이상만 유지할 수 있으면 안전상에는 지장이 없기 때문에 로프소켓의 체결
효율은 로프의 최소 파단하중의 100 %를 요구하지 않고 80 % 이상을 요구한다.
로프 권상
9.3
엘리베이터 카에 정격하중의 125 %의 부하를 실었을 때 권상도르래와 현수로프 사이의 마찰 즉, 견인력에
의해 카는 승강장 바닥 높이에서 미끄러짐 없이 유지되도록 설계하여야 한다.
브레이크 시스템이 작동하는 비상 제동 시에는 로프의 미끄러짐으로 인해 무부하 또는 정격하중의 카가
행정거리가 작아진 완충기를 포함하여 완충기의 설정 값을 초과하여 감속하지 않도록 설계하여야 한다. 또한,
권상도르래와 현수로프의 마찰에 의해 균형추가 완충기 위에 정지하고 있고 구동기가 “상승” 방향으로
회전하고 있을 때, 권상도르래의 회전으로 현수로프가 상승 방향으로 견인되어 빈 카를 들어 올리는 것은
불가능 하도록 설계하여야 한다.
상기의 로프 권상 즉, 권상도르래와 로프의 마찰에 의한 견인력 설계 및 설계에 고려되는 사항은
기술서류작성 가이드(부속서 Ⅷ 참조)를 참조한다.
권상도르래 홈의 마모는 로프 견인력을 감소시킬 수 있으므로 설계자는 엘리베이터의 안전한 운행을 위하여
작업자가 홈 바닥 직경을 확인하고 권상도르래의 교체시기를 파악할 수 있도록 허용 가능한 최소 홈 바닥 직경을
권상도르래에 영구적으로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비고 로프의 지나친 윤활 또한 로프 견인력을 감소시킬 수 있으므로 주의하여야 한다.
빈 카를 상승방향으로 정상 운행시킨 후 주개폐기를 작동시켜 카를 정지시키면서 권상도르래에서 미끄
러지는 로프의 슬립거리를 관찰하여 로프 권상을 점검하여야 하며, 권상도르래의 홈 바닥 직경, 홈에
감긴 로프 가닥끼리의 높이차 및 로프에 의한 홈의 마모(로프 자국)상태 등을 확인하여 권상도르래의 교체
시기를 결정하여야 한다.
비고 홈의 언더컷 잔 여량이 1 ㎜ 이하이거나 홈에 감긴 로프 가닥끼리의 높이차(홈의 편마모)가 2 ㎜ 이상인
경우에는 권상도르래를 교체하여야 한다.

- 66 -
< 그림 40, 권상 도르래의 마모된 홈 >
준비서류

☞ 로프 권상능력(평가) 계산 설계도서

권상도르래에서 로프의 미끄러짐은 카와 균형추(또는 평형추) 사이의 무게차로 인한 로프 크리핑과


권상도르래의 마모 및 로프의 과다 윤할 등으로 인한 로프 슬립이다.
크리핑은 카 또는 균형추 중 어느 한쪽이 무거운 상태에서 도르래 마찰에 따라 로프가 조금씩 기어가는
현상이고, 슬립은 로프가 도르래에서 미끄러져 홈의 마멸(마모)을 일으키는 현상이다.
엘리베이터 1회 왕복 시 권상도르래와 로프의 주행 편차를 측정하여 로프가 권상도르래에서 미끄러진
거리가 일반적으로 승강 행정거리 30 m 이내에서는 20 ㎜, 50 m 이내에서는 30 ㎜, 80 m 이내에서는
40 ㎜, 130 m 이내에서는 50 ㎜를 초과할 경우에는 로프 견인력이 저하되는 것으로 본다.
9.4포지티브 구동식 엘리베이터의 로프 감김
드럼에 로프가 감기는 포지티브 구동식 엘리베이터를 설치할 경우에는 나선형의 홈이 있는 드럼을 사용
하여야 하고 그 홈에 적합한 로프가 드럼에 한 겹으로만 감기도록 설치하여야 한다.(9.4.1, 9.4.3)
로프의 한 끝부분이 드럼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다음과 같은 위험을 방지하기 위해 카가 완전히 압축된
완충기에 정지하고 있을 때 드럼 홈에는 1+(1/2)권의 로프가 남도록 로프를 설치하여야 한다.(9.4.2)
가) 카가 최상층을 통과하고도 로프가 계속해서 감겨 승강로 천장에 충돌하는 위험
나) 카가 최하층을 지나쳐 계속 하강하여 카가 완충기에 충돌 시점에 감긴 여유가 없다면, 로프가 드럼에서
완전히 풀리는 순간 로프 장력이 급격하게 증가하여 그 충격이 카에 전달되고 심할 경우에는 로프 끝
부분의 고정부가 이탈될 수 있는 위험
다) 카가 최하층을 통과하고도 로프가 계속 풀리면 다시 역으로 감겨서 드럼의 덮개 또는 고정물에
간섭되어 로프가 파손되는 위험
드럼 홈에 로프가 감길 때 드럼 홈 방향과 로프 방향 사이의 편향 각(후미 각)은 4°이하가 되도록 하고,
드럼의 중심을 연결하는 선과 드럼 홈에 감긴 로프가 드럼의 말단까지 이동하였을 때 이루는 최대 각
즉, 편각(fleet angle)은 2°이하로 설계하여야 한다.(9.4.4)
비고 편각(fleet angle)이 2°를 초과할 경우에는 드럼과 로프의 마모가 심하게 된다.
드럼에 감기는 로프는 1가닥이 파단 되더라도 다른 1 가닥의 로프가 안전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2가닥(9.1.3 참조)으로 설치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비고 로프를 3가닥 이상으로 설치할 경우에는 드럼의 리드 각이 증가하여 로프 가닥끼리 간섭될 우려가 있고
드럼의 길이를 길게 하거나 직경을 지나치게 크게 설계하여야하는 구조적 문제점이 있다.

- 67 -
드럼 홈에 감기는 로프 카가 완충기 위에 있을 때 로프 감김
< 그림 41, 포지티브 구동식 엘리베이터의 로프 감김 >

편향 각 편각(fleet angle)
< 그림 42, 드럼 홈과 로프의 편향 각 >

< 그림 43, 드럼에 로프 감김 여유가 없는 경우 발생 가능한 위험 >


준비서류

☞ 드럼 홈(홈 직경 포함)에 대한 설계도서


☞ 드럼 홈 방향과 로프 방향 사이의 편향 각에 대한 설계도서
☞ 드럼의 중심을 연결하는 선과 드럼 홈에 감긴 로프가 드럼의 말단까지 이동하였을 때 이루는 최대 각
(편각)에 대한 설계도서

로프와 로프 사이 또는 체인과 체인 사이의 하중 분산


9.5
현수로프 또는 현수체인의 장력이 불균등하면 권상도르래의 홈, 드럼의 홈 또는 스프라켓의 마모가 급속히
진행되어 로프 또는 체인이 미끄러지고 로프 권상 즉, 견인력이 저하되는 원인이 되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해
스프링 등 현수로프 또는 현수체인의 장력을 자동으로 균등하게 하는 장치(장력균등장치)를 로프 또는 체인의
끝부분에 설치하여야 한다.(9.5.1)
스프라켓에 체인을 감을 경우에는 카에 고정된 체인의 끝부분뿐만 아닌 평형추에 고정된 체인의 끝부분
에도 장력균등장치를 설치하여야 한다. 동일 축에 여러 개의 회전 스프라켓에 체인을 감을 경우에는 이러한
스프라켓은 독립적으로 회전이 가능하도록 설치하여야 한다.(9.5.1.1, 9.5.1.2)

- 68 -
장력균등장치로 스프링을 사용할 경우에는 이 스프링이 압축되면서 자동으로 현수로프 또는 체인의 장력을
균등하게 할 수 있도록 설치하여야 한다.(9.5.2)
포지티브 구동식 엘리베이터에서 2 가닥의 로프 또는 체인을 설치할 경우에는 1 가닥의 로프 또는 체인이
비정상적으로 늘어나면 엘리베이터를 정지시키는 전기안전장치(14.1.2 참조)를 설치하여야 한다.(9.5.3)
로프 또는 체인의 길이를 조정하는 장치는 조정 후에 이 장치가 자체적으로 로프 또는 체인을 느슨하게
만들지 못하도록 설치하여야 한다. 현수로프와 카 또는 균형추(평형추)를 연결하기 위해 사용하는 섀클로드
(shackle rod)는 그 끝단을 이중너트로 하여 견고하게 조이고 동시에 분할 핀을 체결하여 이중너트가 풀리
더라도 너트가 섀클로드에서 완전히 빠지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현수로프를 지지하는 로프 고정부 즉,
로프소켓과 섀클로드는 일체형과 분리형 모두 설치할 수 있다. 분리형을 설치할 경우에는 로프소켓과
섀클로드 사이의 고정구를 견고하게 설치하여 엘리베이터 운행의 모든 조건에서도 분리되지 않도록
하여야 하며 분할 핀을 조립하여야 한다. 또한, 로프소켓과 섀클로드의 연결을 나사로 할 경우에는 섀클
로드가 로프소켓에 물리는 나사부의 길이를 로드 나사 골지름의 1.5배 이상으로 하여야 하고 소켓 안에서의
로드 회전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여야 하며 정상 운행에서 연결부분의 나사가 풀리지 않도록 분할핀 등으로
보호조치를 하여야 한다.(9.5.4)
준비서류

☞ 해당 없음
로프에 의한 보상
9.6
엘리베이터의 운행거리가 길어지면 카가 최상층에 있을 때와 최하층에 있을 때의 트랙션비는 큰 차이가
발생한다. 트랙션비의 계산 값이 큰 상태에서 로프의 미끄러짐이 발생하지 않도록 트랙션 능력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권상도르래의 홈에 상당히 큰 폭의 언더컷을 필요로 하는데 이는 로프의 수명을 단축시키는 원인이
된다. 따라서 트랙션비를 작게 하기 위하여 카와 균형추 하부에 균형로프를 달아 무게를 보상할 수 있다.
균형로프를 사용할 경우에는 균형로프가 중력에 의해 인장되고 균형로프를 감을 수 있는 인장
풀리를 피트에 설치하여야 한다. 인장 풀리의 피치직경과 균형로프의 공칭직경 사이의 비는 30 이상
으로 하고, 균형로프가 늘어나거나 설치상태의 불량 등을 감지하는 전기안전장치(14.1.2 참조)를 설치하여
인장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여야 한다. 또한, 로프가 느슨해지면서 인장 풀리에서 벗어나거나 로프와
인장 풀리 사이에 물체 등이 유입되지 않도록 보호 수단(9.7 참조)을 설치하여야 하며 회전하는 인장 풀리의
부품이 보이는 구조로 점검 등 유지관리 작업에 방해되지 않고 필요한 경우에는 떼어낼 수 있어야 한다.
보호 수단에 구멍이 있는 경우에는 한국산업표준[KS B 6947(기계류의 안전-위험지역에 상체가 접근할
수 없도록 하기 위한 안전거리)]의 표 4에 따라 작업자를 보호할 수 있도록 설치하여야 한다.(9.6.1)
정격속도가 3.5 ㎧를 초과하는 엘리베이터에는 비상정지장치가 작동할 때 튀어 오르는 인장풀리로 인하여
균형로프가 상당히 늘어나 승강로의 설치물에 걸리거나 심한 손상 또는 파손되는 위험을 예방하기 위해
튀어오름방지장치(전기안전장치 포함)를 추가로 설치하여야 한다. 이 튀어오름방지장치가 작동하면 전기안전
장치(14.1.2 참조)에 의해 구동기가 정지되도록 설계하여야 한다.(9.6.2)
비고 정격속도가 2.5 ㎧를 초과하는 엘리베이터에도 튀어오름방지장치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준비서류

☞ 균형로프의 공칭직경과 인장 풀리의 피치직경 사이의 직경비 계산 설계도서


☞ 풀리 보호 수단 설치도서
☞ 보호 수단 구멍 안전조치(안전거리 확보) 설계도서 또는 시험성적서
* 풀리/스프라켓 보호 수단(칸막이)에 구멍이 있는 경우에만 해당

- 69 -
권상도르래 , 풀리 및 스프라켓의 보호 수단
9.7
권상도르래, 풀리 및 스프라켓에는 인체의 부상, 로프ㆍ체인이 느슨해지면서 로프ㆍ체인이 풀리ㆍ스프라켓에서
벗어나거나 로프와 풀리 또는 체인과 스프라켓 사이에 물체가 유입되는 위험을 방지하기 위해 [표 17]에 따라
보호 수단을 설치하여야 한다.(9.7.1)
보호 수단은 회전하는 부품이 보이고 유지관리 작업에 방해가 되지 않는 구조로 설치하여야 하며 로프ㆍ체인의
교체, 풀리ㆍ스프라켓의 교체, 홈의 재-가공 또는 유지관리 작업에 필요한 경우에 떼어낼 수 있는 구조이어야 한다.
보호 수단에 구멍이 있는 경우에는 한국산업표준[KS B 6947(기계류의 안전-위험지역에 상체가 접근할 수
없도록 하기 위한 안전거리)]의 표 4에 따라 작업자를 보호할 수 있도록 설치하여야 한다.(9.7.2)
[ 표 17, 권상도르래, 풀리 및 스프라켓의 보호 수단 ]
9.7.1에 따른 위험
권상도르래, 풀리 및 스프라켓의 위치 가) 나) 다)
카 카 지붕 X X X
카 바닥 아래 X X
균형추/평형추 X X
기계실 X
2)
X X
1)

풀리실 X

상부공간 카위 X X
승강 카옆 X
로 피트와 상부공간 사이 X X1)

피트 X X X
조속기 및 조속기 인장 풀리 X X
1)

비고
가) 인체의 부상
나) 로프ㆍ체인이 느슨해지는 경우, 로프ㆍ체인이 풀리ㆍ스프라켓에서 벗어남
다) 로프와 풀리 또는 체인과 스프라켓 사이에 물체 유입
X 고려되는 위험
1) 로프ㆍ체인이 권상도르래 또는 풀리ㆍ스프라켓에 수평 또는 최대 90°까지 수평의 어떤
각도로 들어가고 있는 경우에만 요구
2) 최소한 물려 들어가는 것에 대한 보호
준비서류

☞ 권상도르래/풀리/스프라켓 보호 수단 설계도서
☞ 보호 수단 구멍 안전조치(안전거리 확보) 설계도서 또는 시험성적서
* 풀리/스프라켓 보호 수단(칸막이)에 구멍이 있는 경우에만 해당
9.8 비상정지장치
9.8.1 일반사항
사람이 탑승하는 엘리베이터 카에는 현수 수단의 파손 즉, 현수 로프가 끊어지더라도 가이드 레일을 잡아
추락하는 정격하중의 카를 정지시킬 수 있는 비상정지장치를 설치하여야 한다. 비상정지장치는 조속기 작동
속도(9.9.1 참조)에서 하강방향으로 작동하여야 한다. 이 장치는 카가 상승방향으로 과속하는 카를 정지시키는
상승과속방지장치(9.10 참조)로 사용될 수 있다.(9.8.1.1)
비고 가이드 레일을 잡는 비상정지장치의 정지장치는 카 하부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 70 -
피트 하부에 접근할 수 있는 공간이 있고 균형추(또는 평형추) 하부의 공간에서 지면까지 연장된 두꺼운
벽을 시공하지 않을 경우(5.5 참조)에는 추락하는 균형추(또는 평형추)를 정지시킬 수 있는 비상정지장치를
균형추(또는 평형추)에 설치하여야 한다. 균형추(또는 평형추)의 비상정지장치는 조속기 작동속도(9.9.3 참조)
에서 하강방향으로 작동하여야 한다. 다만, 정격속도가 1 ㎧ 이하인 경우에는 조속기를 설치하지 않고 현수
수단(기어)의 파손 또는 안전로프에 의해(9.8.3.1 참조) 비상정지장치가 작동되도록 할 수 있다.(9.8.1.2)
준비서류

☞ 비상정지장치 KC인증서(설계도서 또는 시험성적서 포함)


9.8.2 다른 형식의 비상정지장치에 대한 사용조건
비상정지장치는 즉시 작동형, 완충효과가 있는 즉시 작동형 및 점차 작동형이 있으며, 엘리베이터 정격
속도에 따라 규정에 적합한 형식의 비상정지장치를 카 또는 균형추(또는 평형추)에 설치하여야 한다.
엘리베이터 정격속도에 따른 비상정지장치의 설치는 [표 18]에 따라야 한다.(9.8.2.1, 9.8.2.2, 9.8.2.3)
[ 표 18, 정격속도에 따른 비상정지장치의 설치 ]
설치장소 정격속도 비상정지장치의 형식
≻ 1 ㎧ 점차 작동형 비상정지장치
카 0.63 ㎧ ≺  ≤ 1 ㎧ 완충효과가 있는 즉시 작동형 비상정지장치
 ≤ 0.63 ㎧ 즉시 작동형 비상정지장치
균형추 또는 평형추  ≻≤ 11 ㎧㎧ 점차 작동형 비상정지장치
즉시 작동형 비상정지장치
카에 여러 개의 비상정지장치를 설치할 경우에는 모두 점차 작동형 비상정지장치로 설치하여야 한다.

플랙시블 가이드 클램프 형 플랙시블 웨지 클램프 형


< 그림 44, 점차 작동형 비상정지장치의 종류 >

준비서류

☞ 비상정지장치 KC인증서(설계도서 또는 시험성적서 포함)

점차 작동형 비상정지장치는 두 종류가 있다. 하나는 카가 정지할 때까지 가이드 레일을 죄는 힘이


동작 시부터 정지 시까지 일정한 플랙시블 가이드 클램프(Flexible Guide Clamp-F.G.C)형이고, 다른
하나는 처음에는 약하게 그리고 하강함에 따라서 강해지다가 얼마 후 일정 값으로 도달하는 플랙시블
웨지 클램프(Flexible Wedge Clamp_F.W.C)형이 있다. 구조가 간단하고 공간을 차지하지도 않으며 복구
또한 쉬운 F.G.C형이 주로 사용된다.

- 71 -
비상정지장치의 작동방법
9.8.3
카 또는 균형추(또는 평형추)에 설치된 비상정지장치는 각각의 자체 조속기에 의해 작동되도록 설치하여야
한다. 다만, 정격속도가 1 ㎧ 이하인 경우의 균형추(또는 평형추)에 설치된 비상정지장치는 조속기가 아닌
현수수단(기어)의 파손이나 안전로프에 의해 작동될 수 있도록 설치할 수 있다.(9.8.3.1)
비상정지장치는 기계적인 연결 장치에 작동하도록 설치하여야 하며, 전기식, 유압식 또는 공압식으로
동작되는 장치에 의해서는 작동되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9.8.3.2)
준비서류

☞ 비상정지장치 KC인증서(설계도서 또는 시험성적서 포함)


9.8.4 비상정지장치의 평균 감속도
현수로프의 파손이나 브레이크 고장 등으로 인해 엘리베이터 카가 자유낙하하거나 과속 하강할 때 비상
정지장치가 작동하여 카를 즉시 정지시키면 카에 탑승한 이용자가 순간적인 정지로 인해 발생하는 충격에
의해 부상을 입을 염려가 있으므로 감속에 따른 정지거리를 길게 하여 충격을 완화시켜야 하지만 정지
거리를 무한정 길게 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점차 작동형 비상정지장치의 평균 감속도는 0.2 g 과 1 g 사이에 있도록 설계하여야 하며, 측정 시험은
n n

정격하중의 카를 4회에 걸쳐 자유낙하 시키면서 비상정지장치가 작동하는 감속도를 측정한 후 그 값의


평균값을 기록한다.
준비서류

☞ 비상정지장치 KC인증서(설계도서 또는 시험성적서 포함)

점차 작동형 비상정지장치의 작동 및 평균 감속도는 가이드 레일의 표면 조건과 윤활 상태에 따라


크게 달라질 수 있다. 안전한 유지관리를 위해 설계서 또는 인증서 등에 가이드 레일의 표면 조건과
윤활 상태(주유되었다면 윤활유의 범주와 사양)를 기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비상정지장치의 복귀
9.8.5
비상정지장치는 정상 운행이 아닌 어떠한 원인으로 인해 카가 과속 하강 운행할 때 작동하는 안전장치
이다. 따라서 승강기 전문가가 비상정지장치의 작동 원인을 파악하고 수리하는 등의 작업을 완료한 후에만
정상 복귀되도록 설계하여야 한다.
또한, 카 또는 균형추(또는 평형추)에 부착된 비상정지장치는 작동 상태인 전기안전장치(9.8.8)를 무효화
시키고 균형추(또는 평형추)를 들어 올리는 즉, 상승 방향으로만 운행할 때 복귀되고 자동 재설정이 가능
하도록 설계하여야 한다.
참고로, 비상정지장치가 작동하면 조속기 로프 및 그 연결기구, 전기안전장치 등은 강한 응력이 발생
하여 손상 및 변형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설비 및 장치의 손상과 변형에 의해 비상정지장치의
작동이 불가능하거나 복귀가 안 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유지관리 작업자는 이에 대한 확인이
필요하다. 특히, 비상정지장치의 마찰 부품(쐐기)은 작동 시험 시 강하게 물릴 경우 완전히 복귀되지 않
거나 파손 또는 손상이 발생할 가능성이 크기 때문에 면밀히 확인하여야 한다. 비상정지장치가 완전히
복귀되지 않을 경우에는 운행 중 가이드 레일과 마찰요소의 마찰로 인하여 의도하지 않은 물림으로 카가
급정지할 수 있으므로 주의하여야 한다.
준비서류

☞ 해당 없음

- 72 -
9.8.6구조적 조건
비상정지장치의 죠(jaw) 또는 블록이 가이드 슈로 사용되지 않도록 하여야 하며 비상정지장치의 부품 중
일부분 또한 운행 중 가이드 레일에 간섭되지 않도록 설치하여야 한다.(9.8.6.1)
비고 비상정지장치의 마찰 부품이 가이드 슈보다 레일 쪽으로 가까이 돌출될 경우에는 마찰 부품이 마모
되어 비상 시 제 기능을 못하거나 오작동을 일으킬 수 있으므로 비상정지장치의 마찰 부품은 가이드
슈의 마찰 부분 보다 안쪽에 위치하여야 한다.
완충효과가 있는 즉시 작동형 비상정지장치의 완충 시스템은 완충된 복귀 움직임을 갖는 완충기
(10.4.2 참조) 또는 에너지 분산형 완충기(10.4.3)의 규정에 적합하도록 설계하여야 한다.(9.8.6.2)
비상정지장치의 작동 등으로 최종 설정이 변경되거나 인위적인 조정으로 비상정지장치의 성능이 저하될
우려가 있으므로 조정이 가능한 비상정지장치에는 최종 설정을 봉인(붉은 색으로 표시)하여야 한다. (9.8.6.3)

< 그림 45, 비상정지장치의 구조 >


준비서류

☞ 비상정지장치 KC인증서(설계도서 또는 시험성적서 포함)


9.8.7 카 바닥의 기울기
비상정지장치가 좌ㆍ우 가이드 레일에 불균등하게 작동될 경우에는 엘리베이터 카가 기울어지면서 한 쪽
가이드 레일에 강한 편하중이 부과되어 그 레일이 휘어지고 반대 쪽 가이드 레일의 가이드 슈가 이탈되는
위험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비상정지장치는 좌ㆍ우 가이드 레일에 균등하게 작동하도록 설치하여야 한다.
시험은 무부하 또는 부하가 균일하게 분포된 카에 비상정지장치를 작동 시킨 후 카 바닥의 기울기를
측정한다. 시험 결과 카 바닥의 기울기는 정상적인 위치에서 5 %(1/20)를 초과하지 않아야 한다.

< 그림 46, 비상정지장치가 불균형하게 작동될 때 위험한 상황 >


준비서류

☞ 해당 없음

- 73 -
전기적 확인
9.8.8
카의 비상정지장치가 작동할 때 안전회로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여 구동기를 정지시키는 전기안전
장치(14.1.2 참조)를 카에 설치하여야 한다. 이 전기안전장치는 비상정지장치의 작동순간(작동순간의
직전 포함)에 작동하여 구동기를 정지시키도록 설계하여야 한다.
준비서류

☞ 해당 없음
9.9 조속기
9.9.1 카 측 조속기 작동속도
카에 설치된 비상정지장치를 작동시키는 조속기는 [표 19]에서 규정하는 작동속도의 범위에서 작동
하도록 설계하여야 한다.
[ 표 19, 조속기 작동속도 ]
비상정지장치의 형식 조속기 작동 속도( )

고정된 롤러 형식 제외   ㎧ ≤  ≺ 0.8 ㎧


즉시 작동형 고정된 롤러 형식    ㎧ ≤  ≺ 1.0 ㎧


완충효과가 있는 형식   ㎧ ≤  ≺ 1.5 ㎧


정격속도() ≤ 1 ㎧    ㎧ ≤  ≺ 1.5 ㎧


점차 작동형
정격속도() ≻ 1 ㎧  
  ㎧ ≤  ≺     ㎧

비고 정격속도가 1 ㎧를 초과하는 엘리베이터에 대해, 가능한   



㎧로 계산한
속도에 가까운 작동속도의 선택을 추천한다. 

준비서류

☞조속기 KC인증서(설계도서 또는 시험성적서 포함)


9.9.2 대용량 또는 저속 운행의 엘리베이터 카 측 조속기 작동속도
정격속도가 매우 낮거나 정격하중이 매우 큰 엘리베이터 카에 설치하는 조속기는 특별하게 설계하여야 하며,
카 측 조속기 작동속도(9.9.1 참조)보다 더 낮은 한계 값에 가장 가까운 작동속도로 설계하는 것을 추천한다.
준비서류

☞조속기 KC인증서(설계도서 또는 시험성적서 포함)


9.9.3 균형추 (또는 평형추 ) 측 조속기 작동속도
균형추(또는 평형추)에 설치된 비상정지장치를 작동시키는 조속기는 상기의 [표 18]과 같은 카 측 조속기
작동속도보다 높은 작동속도에서 작동하도록 설계하여야 한다. 다만, 이 작동속도는 카 측 조속기 작동
속도의 110 %를 초과하지 않아야 한다.
준비서류

☞ 조속기 KC인증서(설계도서 또는 시험성적서 포함)

- 74 -
조속기 로프의 인장력
9.9.4
조속기가 작동할 때 조속기에 의해 생성되는 조속기 로프의 인장력은 최소한 비상정지장치가 물리는데
필요한 값의 2배 이상이 되도록 설계하여야 한다. 다만, 이 힘은 300 N 이상이 되도록 하여야 한다.
조속기가 인장력을 생성하기 위해 견인에만 의존할 경우에는 조속기에 추가적인 경화공정을 거친 홈
또는 언더컷이 있는 홈(Ⅷ.2.2.1 참조)이 있어야 한다.
준비서류

☞ 조속기 KC인증서(설계도서 또는 시험성적서 포함)


9.9.5 회전방향 표시
작업자가 조속기 및 비상정지장치에 대한 유지관리 작업을 할 때 조속기 회전방향을 몰라 발생할
수 있는 위험을 예방하기 위해 비상정지장치의 작동과 일치하는 회전방향을 조속기에 표기하여야
한다.
준비서류

☞ 해당 없음
9.9.6 조속기 로프
조속기를 구동시키는 와이어로프는 공칭직경이 6 ㎜ 이상인 조속기 전용으로 설계된 와이어로프를
설치하여야 한다.(9.9.6.1, 9.9.6.3)
비고 1. 조속기 로프는 KS D ISO 4344에 적합한 엘리베이터용 와이어로프를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비고 2. 엘리베이터용 와이어로프는「품질경영 및 공산품 안전관리법」에 따른 자율안전확인 대상 공산품
으로 KS보다 우선한다.
풀리의 피치 직경이 조속기 전용으로 설계된 와이어로프 즉, 조속기 로프의 공칭 직경보다 30 배 이상인
인장 풀리를 설치하여 조속기 로프를 인장하고 안내하도록 하여야 한다.(9.9.6.4, 9.9.6.5)
조속기 로프의 안전율은 조속기가 작동될 때 조속기에 대한 최대 마찰 계수(0.2)를 고려하여 조속기
로프의 최소 파단하중에 대해 조속기 로프에 생성되는 인장력 사이의 관계를 계산하여 8 이상으로
설계하여야 한다.(9.9.6.2)
조속기 로프 및 관련 부속부품은 비상정지장치의 정상 작동뿐만 아니라 제동거리가 정상적일 때 보다
더 길더라도 손상되지 않도록 설치하여야 한다.(9.9.6.6)
또한, 조속기 로프는 비상정지장치로부터 쉽게 분리할 수 있도록 설치하여야 한다.(9.9.6.7)
조속기 로프의 마모 및 파손상태는 가장 심한 부분에서 점검하여 [표 14] 및 [표 15]의 규정(9.1.5
참조)에 적합한지 확인하여야 한다.(9.9.6.8)
준비서류

☞ 와이어 로프 KC인증서(설계도서 또는 시험성적서 포함 - 가닥수, 직경, 호칭, 구성 및 파단하중 기재)


☞ 조속기 로프의 공칭직경과 인장 풀리의 피치 직경 사이의 직경비 계산 설계도서
☞ 조속기 로프의 안전율 계산 설계도서

와이어 로프에 대한 자율안전확인이 유예되었기에 시행 이전 까지는 공인기관의 KS시험성적서를 준비


하여야 한다.

- 75 -
반응시간
9.9.7
비상정지장치를 작동시키기 위한 조속기의 반응시간은 비상정지장치가 작동되기 전에 위험속도에
도달하지 않도록 충분히 짧게 설계하여야 한다.
비고 반응시간의 설계는 KS B EN 81-1의 부속서 F.3.2.4.1을 참조한다.
준비서류

☞ 조속기 KC인증서(설계도서 또는 시험성적서 포함) 또는 반응시간에 대한 계산서


9.9.8 접근성
비상정지장치를 작동시키는 조속기는 유지관리 작업을 위해 작업자의 접근이 용이하고 손이 닿을 수
있는 위치에 설치하여야 한다.(9.9.8.1)
조속기를 승강로에 설치할 경우에는 별도의 점검문을 통해 승강로 밖에서 작업자의 접근이 가능하고 손이
닿을 수 있는 위치에 설치하여야 한다. 다만, 이 규정을 적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다음 3가지 사항을 모두
만족하도록 조속기를 설치하여야 한다. 전기적인 부품은 승강로 밖의 원격제어에 의해 정상위치로 복귀될
수 있으며 원격 제어는 조속기의 정상적인 기능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설계하여야 한다.(9.9.8.2, 9.9.8.3)
가) 조속기에 의한 비상정지장치를 작동 시키는 시험(9.9.9 참조)중 의도되지 않은 작동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고, 승강로 밖에서 무선방식을 제외한 원격 제어수단에 의해 조속기가 작동되도록 설계하여야 한다.
이 경우 원격제어를 위한 조작 장치는 권한이 없는 사람이 접근할 수 없도록 조치하여야 한다.
나) 유지관리 작업을 위해 점검자가 카 지붕 또는 피트의 작업공간으로부터 접근이 가능하고 손이 닿을 수
있는 위치에 조속기를 설치하여야 한다.
다) 조속기가 작동한 후에는 카, 균형추 또는 평형추를 상승방향으로 움직여서 조속기가 자동으로
정상 위치로 복귀되도록 설계하여야 한다.
준비서류

☞ 해당 없음
9.9.9 조속기 작동 시험
조속기는 조속기 작동속도(9.9.1 참조)보다 작은 속도에서 안전하게 조속기를 작동시켜 비상정지장치의
작동 시험이 가능하도록 설계하여야 한다. 즉, 조속기에는 정격속도에서 비상정지장치의 작동 시험이 가능한
별도의 트립 장치가 반드시 있어야 한다.
시험방법은 엘리베이터 카를 정격속도로 하강시킨 후 점검자가 조속기 작동시키는 트립 장치를 조작
하고 조속기의 작동에 의해 비상정지장치가 정상적으로 작동하는 지 확인하여야 한다.
준비서류

☞ 해당 없음
9.9.10 봉인 조치
조속기의 작동 등으로 최종 설정이 변경되거나 인위적인 조정으로 조속기의 성능이 저하될 우려가
있으므로 조정이 가능한 조속기에는 최종 설정을 봉인(붉은 색으로 표시)하여야 한다.
준비서류

☞ 해당 없음
9.9.11 전기적 확인
조속기 또는 조속기와 유사한 다른 장치에는 상승 또는 하강하는 카의 속도가 비상정지장치를 작동시키는
- 76 -
조속기 작동속도에 도달하기 전에 구동기를 정지시키는 전기안전장치(14.1.2 참조)를 설치하여야 한다. 다만,
정격속도가 1 ㎧ 이하인 경우에는 이 전기안전장치가 늦어도 조속기 작동속도에 도달하는 순간 작동할
수 있다.(9.9.11.1)
비상정지장치의 복귀(9.8.5.2 참조) 후에 조속기가 자동으로 재설정되지 않는다면 전기안전장치는 조속기가
재설정 위치로 복귀될 때까지 지속적으로 구동기 전원을 차단하여 엘리베이터 카가 출발되지 않도록 설계
하여야 한다. 다만, 전기적 비상운전 스위치(14.2.1.4)가 작동되면 이 전기안전장치는 무효화되도록 설계하여야
한다.(9.9.11.2)
또한, 조속기 로프가 파손되거나 과도하게 늘어나면 구동기를 정지시키는 전기안전장치(14.1.2 참조)를
조속기 인장 풀리 등에 설치하여야 한다.(9.9.11.3)
준비서류

☞ 해당 없음
9.10카의 상승과속방지수단
권상 구동식 엘리베이터에는 카의 상승과속방지수단을 설치하여야 한다.
속도감지 부품 및 감속ㆍ정지 부품으로 구성된 상승과속방지수단은 정격속도의 115 % 이상부터 균형추
(또는 평형추) 측 조속기 작동속도(9.9.3 참조) 이하까지의 속도 범위 내에서 상승 과속하는 카의 움직임을 감지
하여 카를 정지시키거나 균형추 완충기에 대해 설계된 속도로 감속하도록 설계하여야 한다.(9.10.1)
상승과속방지수단은 정상운행 동안 속도를 제어하거나 감속, 카를 정지시키거나 정지 상태를 유지시키는
엘리베이터 부품의 지원 없이 독립적으로 상승 과속하는 카를 감지하여 정지시키도록 설계하여야 한다. 다만,
모든 기계적인 부품이 2세트로 구성된 구동기 브레이크(12.4.2 참조) 등과 같이 본래 이중(redundancy)의
부품인 경우에는 지원이 가능하다. 또한, 카의 기계적인 연동장치는 주 용도가 카의 상승과속방지가 아니
더라도 이 수행을 지원하도록 설계할 수 있다.(9.10.2)
상승과속방지수단은 무부하 상태의 카를 정지시키는 전 구간에 걸쳐 감속도가 1 g 를 초과하지 않도록
n

설계하여야 한다.(9.10.3)
상승과속방지수단은 카, 균형추, 로프 시스템(현수 로프 또는 보상 로프) 또는 권상 도르래(도르래에 직접
또는 도르래에 바로 인접한 동일 축 등) 중 어느 하나에 작동하도록 설치하여야 한다.(9.10.4)
비고 일반적으로, 카 또는 균형추에 작동하는 수단은 상승방향으로 작동되는 비상정지장치를 설치하고 로프
시스템에 작동에 작동하는 수단은 로프 브레이크를 설치하며, 권상 도르래에 작동하는 수단은 이중
브레이크를 설치한다. 또한, 권상 도르래에 직접 작동하는 수단을 설치하는 경우도 있다.
상승과속방지수단에는 이 수단이 작동할 때 안전회로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여 구동기를 정지시키는
전기안전장치(14.1.2 참조)를 설치하여야 한다.(9.10.5)
상승과속방지수단은 제어시스템, 브레이크 시스템 또는 카의 속도와 관련된 부품의 고장 등으로 인해
카가 과속 상승 운행할 때 작동하는 안전장치이다. 따라서 승강기 전문가가 상승과속방지수단의 작동 원인을
파악하고 수리하는 등의 작업을 완료한 후에만 정상 복귀되도록 설계하여야 한다.(9.10.6)
또한, 작업자가 상승과속방지수단의 복귀를 위해 카 또는 균형추에 접근하는 일이 없도록 설치하여야 한다.(9.10.7)
상승과속방지수단이 정상 복귀되면 엘리베이터가 정상 운행되고 이 장치 또한 카의 상승과속을 감지하여
작동하기 위한 상태가 되도록 설계하여야 한다.(9.10.8)
상승과속방지수단을 작동하기 위해 별도의 외부 에너지 공급 장치(비상전원장치 등)를 설치한 경우에는
에너지가 없으면 엘리베이터가 정지되고 정지 상태가 유지되도록 설계하여야 한다. 다만, 안내를 위한 압축된
스프링에는 적용하지 않는다.(9.10.9)

- 77 -
상승과속방지수단의 속도감지 부품은 조속기(9.9 참조) 또는 조속기와 동등한 성능이 보장되는 장치
기어드 vs 기어레스 엘리베이터
기어드
(9.9.1, 9.9.2, 9.9.3, 9.9.7, 9.9.8.1, vs 기어레스
9.9.9, 9.9.11.2에 적합하고 9.9.4,엘리베이터
9.9.6.1, 9.9.6.2, 9.9.6.5, 9.9.10 및 9.9.11.3
참조) 중 어느 하나이어야 기어드 한다 .(9.10.10)
구동기 기어레스 구동기
기어레스 구동기
기어드 구동기 기어레스브레이크
구동기
브레이크
브레이크
브레이크
브레이크
브레이크 도르래
도르래 도르래 슈

슈 브레이크
브레이크 도르래
도르래 도르래 슈

전동기
전동기 기어박스 전동기
전동기
전동기
전동기 기어박스 전동기
전동기

브레이
브레이 브레이
브레이
크 드럼
드럼 크 드럼
드럼
브레이 브레이
크 드럼
드럼 크 드럼
드럼

• 그러므로
• 그러므로 개문출발방지를
개문출발방지를 위한브레이크는
위한 구동 구동 브레이크는
기어레스
기어레스 구동기에만
구동기에만 적용 적용

- 78 -
수단의 작동시험은 카에 정격하중의 100%까지 싣고 시험한다.(9.11.2, 9.11.5)
[ 표 20, 개문출발방지수단의 정지거리 ]
구분 정지거리
승강장문 문턱과 카문의 문턱 사이의 수직거리 ≤ 1.2 m
승강장문 문턱과 카 에이프런(가장 낮은 부분) 사이의 수직거리 ≤ 200 ㎜
카 문턱과 승강장문 인방 사이의 수직거리 또는
승강장문 문턱과 카문 인방 사이의 수직거리 ≥ 1.0 m

개문출발방지수단은 정상운행 동안 속도 또는 감속을 제어하거나 카의 정지 또는 정지 상태를 유지시키는


엘리베이터 부품의 지원 없이 독립적으로 카의 개문출발을 감지하여 정지시키도록 설계하여야 한다. 다만,
모든 기계적인 부품이 2세트로 구성된 구동기 브레이크(12.4.2 참조) 등과 같이 본래 이중(redundancy)의 부품
이고 정확한 작동을 자체적으로 감지하는 수단이 있는 경우에는 지원이 가능하다. 즉, 2세트로 구성된 구동기
브레이크(이중 브레이크)에 각 세트의 기계 메커니즘의 정확한 열림이나 닫힘의 입증 또는 제동력을 입증하는
자체-감지수단을 설치한 경우에는 개문출발방지수단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 이중 브레이크 중 어느 한
세트의 고장이 감지되면 다음 엘리베이터의 정상출발을 방지되도록 설계하여야 한다.(9.11.3)
개문출발방지수단의 정지부품은 카, 균형추, 로프 시스템(현수 로프 또는 보상 로프) 또는 권상 도르래
(도르래에 직접 또는 도르래에 바로 인접한 동일 축 등) 중 어느 하나에 작동하도록 설치하여야 하며
비상정지장치(9.8 참조) 또는 상승과속방지장치(9.10 참조)와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다.(9.11.4)
비고 일반적으로, 카 또는 균형추에 작동하는 수단은 상승방향으로 작동되는 비상정지장치를 설치하고 로
프시스템에 작동에 작동하는 수단은 로프 브레이크를 설치하며, 권상 도르래에 작동하는 수단은
이중 브레이크를 설치한다. 또한, 권상 도르래에 직접 작동하는 수단을 설치하는 경우도 있다.
카가 개문 출발하여 잠금해제구간에서 또는 늦어도 카가 잠금해제구간을 벗어날 때 카의 의도되지 않은
움직임을 감지하는 1개 이상의 스위치를 설치하여야 하며, 이러한 스위치는 안전 접점(14.1.2.2 참조) 또는
안전회로(14.1.2.3 참조)에 연결하거나 안전관련 응용 프로그램 작동 전자시스템(14.1.2.6 참조)의 규정을 만족
하도록 설계하여야 한다.(9.11.7)
개문출발방지수단에는 이 수단이 작동하면 구동기 전원을 차단하는 전기안전장치(14.1.2 참조)를 설치하여야
하며, 이 전기안전장치는 카의 의도되지 않은 움직임을 감지하는 스위치(9.11.7 참조)와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다.(9.11.8)
개문출발방지수단은 구동기 및 제어시스템의 고장으로 인해 카가 개문 출발할 때 작동하는 안전장치이다.
따라서 승강기 전문가가 개문출발방지수단의 작동 원인을 파악하고 수리하는 등의 작업을 완료한 후에만 정상
복귀되도록 설계하여야 한다.(9.11.9)
또한, 작업자가 개문출발방지수단의 복귀를 위해 카 또는 균형추에 접근하는 일이 없도록 설치하여야
한다.(9.11.10)
개문출발방지수단이 복귀되면 정상적으로 작동하기 위한 상태가 되어야하고 엘리베이터 또한 정상 운행
되도록 설계하여야 한다.(9.11.11)
개문출발방지수단을 작동하기 위해 비상전원공급장치 등 별도의 외부 에너지 공급 장치를 설치한 경우
에는 에너지가 없으면 엘리베이터가 정지되고 정지 상태가 유지되도록 설계하여야 한다. 다만, 안내를 위한
압축된 스프링에는 적용하지 않는다.(9.11.12)

- 79 -
카가 하강방향으로 정지할 때 카가 상승방향으로 정지할 때
< 그림 49, 개문출발방지수단의 정지거리 >

제어시스템 고장으로 브레이크 시스템이 자체-감지수단에 의해 이중 브레이크 한


작동하여 1.2 m 이내에서 카 정지 세트 고장 감지 - 다음 출발 방지
< 그림 50, 개문출발방지수단 - 자체-감지수단이 설치된 이중 브레이크의 작동 원리 >

준비서류

☞ 공인기관의 개문출발방지수단 안전성평가서 또는 시험성적서


10. 가이드 레일, 완충기 및 파이널 리미트 스위치
10.1 가이드 레일 관련 일반사항
10.1.1 가이드 레일의 강도
가이드 레일, 가이드 레일의 연결부품 및 부속부품은 다음 사항을 고려하여 부과되는 하중 및 힘에 충분히
견디도록 설계하여 엘리베이터의 안전한 운행을 보장하여야 한다.
가) 카와 균형추 또는 평형추의 안내의 보증
나) 의도되지 않게 문의 잠금이 해제되지 않고 안전장치의 작동에 영향을 주지 않으며 움직이는 부품이 다른
부품과 충돌할 가능이 없는 범위까지의 휨
또한, 응력 결정은 특별한 사용조건(계약 등) 및 정격하중의 분포를 고려하여 제한하여야 한다.
준비서류

☞ 가이드 레일 강도 계산 설계도서(제품 설명서 포함)

- 80 -
가이드 레일의 허용 응력 및 휨(처짐)
10.1.2
가이드 레일의 허용 응력은 다음 식에 따라 결정하여야 하며 안전율은 [표 21]을 참조한다. 다만, 8 % 미만의
연신율을 갖는 재료는 취약성이 매우 높으므로 사용하지 않아야 한다. 한국산업표준(KS B ISO 7465)에 적합한
가이드 레일은 [표 22]에 따른 안전율을 사용하여 허용 응력을 결정할 수 있다.(10.1.2.1)

   여기서,

    = 허용응력(N/㎟)
 = 인장강도(N/㎟)
 = 안전율
[ 표 21, 가이드 레일에 대한 안전율 ]
하중 연신율(A ) 5 안전율
정상 사용 하중 A5 ≥ 12%
8% ≤ A5 ≤ 12%
2.25
3.75

비상정지장치 작동 A5 ≥ 12%
8% ≤ A5 ≤ 12%
1.8
3.0

표 22, 한국산업표준(KS B ISO 7465)에 적합한 가이드 레일에 대한 허용응력 ]


[
[ 단위 : N/㎟ ]

하중 370
R
440 520
m

정상 사용 하중 165 195 230


비상정지장치 작동 205 244 290

T형 가이드 레일의 경우, 비상정지장치가 작동하는 카와 균형추 또는 평형추의 가이드 레일은 허용 휨이


양방향으로 5 ㎜ 이하로 증명된 것을 설치하고 비상정지장치가 없는 균형추 또는 평형추의 가이드 레일은 허용
휨이 양방향으로 10 ㎜ 이하로 증명된 것을 설치하여야 한다.(10.1.2.2)
비고 가이드 레일의 증명은 승강기검사기준 [별표 1] 부속서 Ⅲ에 따른다.
준비서류

☞ 가이드 레일의 허용 응력에 대한 계산 설계도서


☞ 가이드 레일의 휨에 대한 계산서
☞ 공인기관의 가이드 레일 KS시험성적서
* KS에 적합한 가이드 레일을 사용하여 인장강도(Rm) 값을 적용한 경우에만 해당
10.1.3 가이드 레일의 고정
가이드 레일 및 가이드 레일의 브래킷은 건축물의 정상적인 정착 또는 콘크리트의 수축에 기인한 효과의
보상이 허용되지 않도록 건축물에 고정시켜야 한다. 또한, 가이드 레일이 해제되는 경우에도 부속부품이
회전하지 않도록 설치하여야 한다.
준비서류

☞ 해당 없음

- 81 -
카 , 균형추 또는 평형추의 가이드
10.2
카와 균형추 또는 평형추를 각각 안내하는 2개 이상의 금속제 가이드 레일을 견고하게 설치하여야 한다.(10.2.1)
정격속도가 0.4 ㎧를 초과하거나 속도에 관계없이 점차 작동형 비상정지장치가 작동되는 금속제 가이드 레일은
압연강으로 만들거나 마찰 면을 기계 가공한 것을 사용하여야 한다. 다만, 비상정지장치가 없는 균형추 또는 평
형추의 가이드 레일은 부식으로부터 보호되는 성형된 금속판으로 만든 것을 사용할 수 있다.(10.2.2, 10.2.3)
준비서류

☞ 가이드 레일(재질) 설계도서, 품질보증서 또는 공인기관의 KS시험성적서


카 및 균형추 완충기
10.3
엘리베이터 카와 균형추의 주행로 하부 끝에는 각각 완충기를 설치하여야 한다. 완충기가 카에 부착
된 경우에는 카 투영면적 아래의 완충기 작용점에 받침대 등 장애물을 어떤 높이로 설치하여 카가
완충기를 완전히 압축할 때 피트 공간(5.7.3.3)을 확보할 수 있어야 한다. 승강로 벽을 제외한 가이드
레일 및 이와 유사한 고정된 장치로부터 수평거리가 0.15 m 이하인 지점에 작용면적의 중심이 있는
완충기의 경우에는 이러한 장치를 피트 공간 확보 수단의 장애물로 간주한다.(10.3.1)
포지티브 구동식 엘리베이터의 경우에는 카의 주행로 상부 끝단에서 완충 작용하도록 카 상부에
완충기를 추가로 설치하여야 한다.(10.3.2)
정격속도가 1 ㎧ 이하인 경우에는 선형 또는 비선형 특성을 갖는 에너지 축적형 완충기를 설치하고,
정격속도가 1.6 ㎧ 이하인 경우에는 완충된 복귀 움직임을 갖는 에너지 축적형 완충기를 설치하여야 한다.
다만, 에너지 분산형 완충기는 정격속도와 관계없이 어떤 경우라도 설치할 수 있다.(10.3.3, 10.3.4, 10.3.5)

< 그림 51, 가이드 레일과 0.15 m 이내의 수평거리에 완충기를 설치한 경우 >
준비서류

☞ 완충기 KC인증서(설계도서 또는 시험성적서 포함)


카 및 균형추 완충기의 행정
10.4
완충기에 필요한 행정은 아래의 형식에 따른 각각의 기준에 따라 설계하고, [표 23]에서 설명하는
그래프에 적합한지 확인하여야 한다.

- 82 -
[ 표 23, 완충기에 대해 요구되는 행정을 설명하는 그래프 ]

s 완충기 행정 (3)행정 감소 없이 에너지 분산 (10.4.3.1)


v 정격속도 감소의 에너지 분산 [10.4.3.2가)]
(4) 0.5
(1)에너지 축적(10.4.1.1) 감소의 에너지 분산 [10.4.3.2나)]
(5) 0.33
(2)완충된 복귀 움직임을 갖는 에너지 축적 (6)굵은선 - 유리한것이 10.4.3에서모든가능성중
(10.4.2) 에서 취해졌을 때 가능한 최소 행정
10.4.1 에너지 축적형 완충기
10.4.1.1 선형 특성을 갖는 완충기
선형 특성을 갖는 에너지 축적형 완충기의 가능한 총 행정은 정격속도의 115 %에 상응하는 중력 정지
거리의 2배 즉, 다음과 같은 식에 따라 계산된 값 이상으로 설계하여야 한다. 다만, 그 값이 65 ㎜ 미만인
경우에는 완충기의 행정을 65 ㎜ 이상으로 설계하여야 한다.(10.4.1.1.1)
    [㎜]

- 83 -
또한, 카측 완충기는 카 자중과 정격하중을 더한 값(균형추측 완충기 행정의 경우에는 균형추 무게)의
2.5배와 4배 사이의 정하중으로 상기의 행정이 적용되도록 설계하여야 한다.(10.4.1.1.2)

준비서류

☞ 완충기 KC인증서(설계도서 또는 시험성적서 포함)

   은    
  
   의 값을 반올림한 값이다.

비선형 특성을 갖는 완충기


10.4.1.2
비선형 특성을 갖는 에너지 축적형 완충기는 엘리베이터 카가 자유 낙하하여 완충기에 충돌할 때 발생하는 순간
적인 충격으로 카에 탑승한 이용자가 부상을 입는 위험을 방지하기 위해 다음과 같이 설계하여야 한다.(10.4.1.2.1)
가) 정격하중을 실은 카가 정격속도의 115 %의 속도로 자유 낙하하여 카 완충기에 충돌할 때의 평균
감속도는 1g 이하이어야 한다. n

나) 2.5 g 를 초과하는 감속도는 0.04초 이하로 짧아야 한다.


n

다) 카의 복귀속도는 1 ㎧ 이하이어야 한다.


라) 작동 후에는 영구적인 변형이 없어야 한다.
비선형 특성을 갖는 에너지 축적형 완충기의 경우, 권상 구동식 엘리베이터의 상부틈새(5.7.1.1, 5.7.1.2 참조),
포지티브 구동식 엘리베이터의 상부틈새(5.7.2.2, 5.7.2.3 참조) 및 피트 공간(5.7.3.3 참조) 설계 시 완충기 행정
부분을 설치된 완충기 높이의 10 % 값으로 계산하여야 한다.(10.4.1.2.2)
비고 승강기검사기준에서 기술된 “완전히 압축된” 용어는 설치된 완충기 높이의 90 % 압축을 의미한다.
준비서류

☞ 완충기 KC인증서(설계도서 또는 시험성적서 포함)


☞ 상부틈새 및 피트 공간 계산 설계도서(설치된 완충기 높이의 90% 압축 적용 기재 포함)

10.4.2 완충된 복귀 움직임을 갖는 에너지 축적형 완충기


완충된 복귀 움직임을 갖는 선형 특성의 에너지 축적형 완충기의 가능한 총 행정은 정격속도의 115 %에
상응하는 중력 정지거리의 2배 즉, 다음 식에 따라 계산된 값 이상으로 설계하여야 한다. 다만, 그 값이 65 ㎜
미만인 경우에는 완충기의 행정을 65 ㎜ 이상으로 설계하여야 한다. 또한, 카측 완충기의 행정은 카 자중과
정격하중을 더한 값(균형추측 완충기 행정의 경우에는 균형추 무게)의 2.5배와 4배 사이의 정하중으로 적용
되도록 설계하여야 한다.
    [㎜]

완충된 복귀 움직임을 갖는 비선형 특성의 에너지 축적형 완충기는 카가 자유 낙하하여 완충기에 충돌할
때 발생하는 순간적인 충격으로 카에 탑승한 이용자가 부상 입는 등의 위험을 방지하기 위해 다음과 같이
설계하여하여야 한다.
가) 정격하중을 실은 카가 정격속도의 115 %의 속도로 자유 낙하하여 완충기에 충돌할 때의 평균
감속도는 1g 이하이어야 한다. n

나) 2.5 g 를 초과하는 감속도는 0.04초 이하로 짧아야 한다.


n

다) 카의 복귀속도는 1 ㎧ 이하이어야 한다.


라) 작동 후에는 영구적인 변형이 없어야 한다.

- 84 -
또한, 완충된 복귀 움직임을 갖는 비선형 특성의 에너지 축적형 완충기의 경우, 권상 구동식 엘리베이
터의 상부틈새(5.7.1.1, 5.7.1.2 참조), 포지티브 구동식 엘리베이터의 상부틈새(5.7.2.2, 5.7.2.3 참조) 및 피트
공간(5.7.3.3 참조) 설계 시 완충기 행정부분을 설치된 완충기 높이의 10 % 값을 대신하여 계산하여야 한다.
비고 승강기검사기준에서 기술된 “완전히 압축된” 용어는 설치된 완충기 높이의 90 % 압축을 의미한다.
준비서류

☞ 완충기 KC인증서(설계도서 또는 시험성적서 포함)


☞ 상부틈새 및 피트 공간 계산 설계도서(설치된 완충기 높이의 90% 압축 적용 기재 포함)

10.4.3 에너지 분산형 완충기


에너지 분산형 완충기의 가능한 총 행정은 정격속도의 115 %에 상응하는 중력 정지거리 즉, 다음 식에
따라 계산된 값 이상으로 설계하여야 한다.(10.4.3.1)
    [㎜]

다만, 엘리베이터 승강로 끝에서 구동기 정상 감속 감지(12.8 참조)에 따라 완충기의 행정을 계산할 경우
에는 카(또는 균형추)가 완충기와 충돌할 때의 속도를 정격속도 대신에 사용하여 계산할 수 있으나 그
행정은 다음과 같이 설계하여야 한다.(10.4.3.2)
가) 정격속도 4 ㎧ 이하인 경우, 상기의 계산식에 따라 계산된 행정의 1/2 이상. 다만, 그 값이 0.42 m
미만인 경우에는 행정을 0.42 m 이상으로 설계
나) 정격속도 4 ㎧ 초과인 경우, 상기의 계산식에 따라 계산된 행정의 1/3 이상. 다만, 그 값이 0.54 m
미만인 경우에는 행정을 0.54 m 이상으로 설계
또한, 에너지 분산형 완충기는 카가 자유 낙하하여 완충기에 충돌할 때 발생하는 순간적인 충격으로 카에
탑승한 이용자가 부상 입는 등의 위험을 방지하기 위해 다음과 같이 설계하여야 한다.(10.4.3.3)
가) 정격하중을 실은 카가 정격속도의 115 %의 속도로 자유 낙하하여 완충기에 충돌할 때의 평균
감속도는 1g 이하이어야 한다.
n

나) 2.5 g 를 초과하는 감속도는 0.04초 이하로 짧아야 한다.


n

다) 작동 후에는 영구적인 변형이 없어야 한다.


에너지 분산형 완충기에는 완충기의 정상 복귀를 확인하는 전기안전장치(14.1.2 참조)를 설치하여 완충기가
작동 후 정상 위치로 복귀되어야만 엘리베이터가 정상 운행되도록 설계하여야 한다.(10.4.3.4)
유압식 완충기는 작업자가 유체의 바닥 수준을 쉽게 확인할 수 있는 구조로 설계하여야 한다.(10.4.3.5)
준비서류

☞ 완충기 KC인증서(설계도서 또는 시험성적서 포함)


☞ 상부틈새 및 피트 공간 계산 설계도서(설치된 완충기 높이의 90% 압축 적용 기재 포함)

10.5 파이널 리미트 스위치


10.5.1 일반사항
엘리베이터가 제어 시스템의 고장 등 어떤 이상 원인으로 최상층 및 최하층을 지나쳐 운행할 때 우발적인
작동의 위험 없이 가능한 최상층 및 최하층에 근접하여 카를 정지시킬 수 있도록 승강로 상부와 하부에
파이널 리미트 스위치를 설치하여야 한다. 이러한 파이널 리미트 스위치는 카 또는 균형추가 완충기에 충돌
하기 전에 작동되어 완충기가 압축되어 있는 동안 에는 작동이 유지되도록 설계하여야 한다. 예를 들면,
파이널 리미트 스위치를 작동시키는 캠의 길이로 이 기준을 만족시키는 방법이 있다.

- 85 -
< 그림 52-1, 권상 구동식 파이널 리미트 스위치 >

< 그림 52-2, 포지티브 구동식 파이널 리미트 스위치 >


준비서류

☞ 해당 없음

- 86 -
파이널 리미트 스위치의 작동
10.5.2
파이널 리미트 스위치는 최상층 및 최하층을 지나치는 카를 1차적으로 정지시키는 일반 종단정지장치의
작동과는 독립적으로 작동되도록 설계하여야 한다.(10.5.2.1)
비고 일반 종단정지장치는 카의 진행 방향에서만 카를 제어하고 반대 방향으로는 제어하지 않는다.
포지티브 구동식 엘리베이터의 경우, 파이널 리미트 스위치는 구동기의 움직임에 연결된 장치에 의해
작동되도록 설치하거나, 평형추가 있는 경우에는 승강로 상부에서 카 및 평형추에 의해 또는 평형추가
없는 경우에는 승강로 상부 및 하부에서 카에 의해 작동되도록 설치하여야 한다.(10.5.2.2)
권상 구동식 엘리베이터의 경우, 파이널 리미트 스위치는 승강로 상부 및 하부에서 직접 카에 의해
또는 카에 간접적으로 연결된 로프, 벨트 또는 체인 등의 장치에 의해 작동되도록 설치하여야 한다.
간접 연결된 장치에 의해 작동되도록 설치한 경우에는 전기안전장치(14.1.2 참조)를 설치하여 이 장치가
파손되거나 늘어나면 구동기를 정지시키도록 설계하여야 한다.(10.5.2.3)
준비서류

☞해당 없음
10.5.3 파이널 리미트 스위치의 작동방법
파이널 리미트 스위치는 구동방식 및 제어방식에 따라 다음과 같이 설계하여야 한다.
가) 포지티브 구동식 엘리베이터 : 전동기가 발전기로 기능할 때 구동 전동기에 의한 회생전력이 브레
이크를 작동하는 전기장치에 공급되지 않도록 설계된 브레이크 개방회로(12.4.2.3.2 참조)의 규정에
따른 전동기 및 브레이크에 공급되는 전원회로의 확실한 기계적 분리에 의해 직접 개방
나) 1단 또는 2단 속도의 권상 구동식 엘리베이터 : 상기의 가)와 같이 확실한 기계적 분리에 의해 회로를
직접 개방 또는 브레이크(12.4.2.3.1 참조), 전동기(12.7.1 참조) 및구동기(13.2.1.1 참조)의 전원공급 회로에
대한 규정에 따른 2개의 접촉기 코일에 직접 전원을 공급하는 전기안전장치에 의해 개방
다) 가변전압 또는 가변속도의 엘리베이터 : 구동기를 즉시 정지
준비서류

☞ 구동방식 및 제어방식에 따른 파이널 리미트 스위치의 작동방법에 대한 설계도서


11. 카와 카 출입구를 마주하는 벽 사이 및 카와 균형추 또는 평형추 사이의 틈새
일반사항
11.1
이 기준에서 규정하는 틈새는 엘리베이터 사용 전의 완성검사뿐만 아니라 유지관리 작업을 통해
엘리베이터의 전체 수명에 걸쳐 규정에 적합하도록 유지하여야 한다.
준비서류

☞ 해당 없음
카와 카 출입구를 마주하는 벽 사이의 틈새
11.2
엘리베이터가 정전 또는 고장으로 운행 중 층과 층 사이에 정지할 때 카에 탑승한 이용자가 무리하게
카문을 열고 탈출하는 과정에서 승강로 아래로 추락하는 위험을 방지하기 위하여 승강로 벽(내측면)과
카 문턱, 카 문틀 또는 카문의 닫히는 모서리 사이의 수평거리를 0.125 m 이하가 되도록 설계하여야 한다.
다만, 승강로 내측면의 수직거리가 0.5 m 이하인 지점 및 수직 개폐식 승강장문이 설치된 화물용 엘리베
이터(자동차용 엘리베이터 포함)의 경우에는 이 수평거리를 0.15 m 이하로 설계할 수 있다. 또한, 카에
탑승한 이용자가 카 내부에서 카문을 열지 못하도록 잠금해제구간에서만 열리는 기계적 잠금장치를 카문에

- 87 -
설치한 경우에는 이 수평거리는 제한하지 않는다. 카문에 기계적 잠금장치를 설치한 경우에는 문이 열린
상태로 엘리베이터 운행이 허용되는 경우(7.7.2.2 참조)를 제외하고 카문이 잠기고 전기안전장치(14.1.2
참조)에 의해 잠금이 입증될 때 엘리베이터가 자동으로 운행되도록 설계하여야 한다.(11.2.1)
비고 카와 승강로 벽까지의 수평거리가 과도하거나 승강로 벽(내측면)이 불규칙하여 이 수평거리를 0.125 m
이하로 줄이는 방법이 없거나 곤란한 경우에는 카문에 기계적 잠금장치를 설치한다.
엘리베이터 카에 출입하는 이용자의 발 또는 휠체어나 유모차 등의 바퀴가 카 문턱과 승강장 문턱 사이의
틈새에 빠지는 위험 및 물건이 이 틈새로 빠져 승강로에 설치된 설비의 성능을 저하시키는 위험을 최소화
하기 위해 카 문턱과 승강장문 문턱 사이의 수평거리를 35 ㎜ 이하로 설치하여야 한다.(11.2.2)
비고 카 문턱과 승강장 문턱 사이의 틈새를 35 ㎜ 이하로 설치하는 또 다른 이유는 카에 출입하는 이용자의
심리적 안정감을 주기 위함이다.
카문과 닫힌 승강장문 사이의 수평거리 또는 문이 정상적으로 작동하는 동안 문 사이의 접근거리는 0.12 m
이하로 설계하여야 한다.(11.2.3)
경첩이 있는 승강장문과 접히는 카문의 조합인 경우에는 닫힌 문 사이의 틈새를 최소로 설계하고, 이러한
틈새에 직경 0.15 m의 구가 통과되는 틈새는 없도록 하여야 한다.(11.2.4)

< 그림 53, 카와카출입구를마주하는벽사이의틈새 > < 그림 54, 경첩달린승강장문과접힌카문의틈새 >


준비서류

☞ 카와 승강로 벽(내측면) 사이의 수평거리에 대한 설계도서(수치 기재 포함)


☞ 카 문턱과 승강장 문턱 사이의 수평거리에 대한 설계도서(수치 기재 포함)
☞ 카문과 닫힌 승강장문 사이의 수평거리 또는 문이 정상 작동하는 동안 문 사이의 접근거리에 대한
설계도서(수치 기재 포함)
☞ 닫힌 문 사이의 틈새에 대한 설계도면(수치 기재 포함)
* 경첩이 있는 승강장문과 접히는 카문의 조합인 경우에만 해당
☞ 카문 잠금장치 KC인증서(설계도서 또는 시험성적서 포함)
* 수평거리가 0.125 m를 초과하여 카문에 기계적 잠금장치를 설치한 경우에만 해당
카 , 균형추 또는 평형추 사이의 틈새
11.3
엘리베이터가 운행 중일 때 카(부속부품 포함)가 균형추 또는 평형추(부속부품 포함)에 간섭되거나
충돌하는 위험이 없도록 해당 관련부품을 포함한 카와 균형추(또는 평형추) 사이의 수평거리는 50 ㎜ 이상
으로 설계하여야 한다.
준비서류

☞ 카와 균형추(평형추) 틈새에 대한 설계도서

- 88 -
12. 엘리베이터 구동기
12.1 일반사항
각 엘리베이터에는 카를 운행시키는 자체 구동기를 1개 이상 설치하여야 한다.
비고 카 면적의 변경 등으로 인해 기 설치된 구동기의 용량이 충분하지 않을 경우에는 1개 이상의 구동기를
추가로 설치하여 엘리베이터를 구동시킬 수 있다.

웜 기어 구동기 헬리컬 기어 구동기

기어레스 구동기 포지티브 구동식(드럼) 구동기


< 그림 55, 엘리베이터 구동기 >

카 및 균형추(또는 평형추)의 구동
12.2
엘리베이터는 도르래와 로프를 사용하는 권상 구동식 또는 드럼과 로프를 사용하거나 스프라켓과 체인을
사용하는 포지티브 구동식으로 설치하여야 한다. 또한, 엘리베이터의 구동부품은 카 또는 균형추가 완충기 위에
있을 가능성을 고려하여 설계하여야 한다. 포지티브 구동방식은 엘리베이터 정격속도가 0.63 ㎧ 이하일 때만
설치할 수 있으며 균형추가 아닌 평형추를 사용하여야 한다.(12.2.1)
전자-기계 브레이크(12.4.1.2 참조)의 작동에 관련된 부품에 전동기를 연결하기 위해 벨트를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 벨트는 2개 이상이어야 한다.(12.2.2)

- 89 -
권상 구동식(도르래와 로프) 포지티브 구동식(드럼과 로프)
< 그림 56, 엘리베이터 구동방식>

준비서류

☞ 해당 없음
상부에 매단 도르래 또는 스프라켓의 이용
12.3
상부에 매단 도르래 또는 스프라켓에는 인체의 부상, 로프ㆍ체인이 느슨해지면서 로프ㆍ체인이 도르래 또는
스프라켓에서 벗어나거나 로프와 도르래 또는 체인과 스프라켓 사이에 물체가 유입되는 위험을 방지하기 위해
보호 수단(9.7.1 참조)을 설치하여야 한다.
보호 수단은 회전하는 부품이 보이고 유지관리 작업에 방해가 되지 않는 구조로 설치하여야 하며 로프ㆍ체인의
교체, 도르래ㆍ스프라켓의 교체, 홈의 재-가공 또는 유지관리 작업에 필요한 경우에 떼어낼 수 있는 구조이어야
한다. 보호 수단에 구멍이 있는 경우에는 한국산업표준[KS B 6947(기계류의 안전 - 위험지역에 상체가 접근
할 수 없도록 하기 위한 안전거리)]의 표 4에 따라 작업자를 보호(9.7.2 참조)할 수 있도록 설치하여야 한다.
준비서류

☞ 도르래/스프라켓 보호 수단 설계도서
☞ 보호 수단 구멍 안전조치(안전거리 확보) 설계도서 또는 시험성적서
* 풀리/스프라켓 보호 수단(칸막이)에 구멍이 있는 경우에만 해당
12.4 브레이크 시스템
12.4.1 일반사항
엘리베이터를 정지시키는 브레이크 시스템은 주동력 전원공급이 차단되는 경우 또는 제어회로에 전원공급이
차단되는 경우에 자동으로 작동하도록 설계하여야 한다.(12.4.1.1)
브레이크 시스템은 마찰 형식의 전자-기계 브레이크로 구성하여야 한다. 다만, 전기적 방식 등 다른 브레
이크 수단은 추가로 구성할 수 있다.(12.4.1.2)
준비서류

☞ 브레이크 제어회로에 대한 설계도면


- 90 -
전자-기계 브레이크
12.4.2
전자-기계 브레이크는 정격하중의 125 %를 싣고 정격속도로 하강 운행하는 엘리베이터의 구동기를 정지
시키고, 이 조건에서 카의 감속도는 비상정지장치가 작동하거나 카가 완충기에 정지할 때 발생하는 감속도를
초과하지 않도록 설계하여야 한다. 드럼 또는 디스크의 제동 작용에 관여하는 모든 브레이크의 기계적인 부품은
2세트로 구성하여 1세트의 부품이 정격하중을 싣고 정격속도로 하강 운행하는 카를 감속하는데 충분한 제동
력을 발휘하지 못하면 나머지 다른 1세트가 작동되어 계속 제동하도록 설치하여야 한다. 솔레노이드 플런
저는 기계적인 부품으로 간주되지만 솔레노이드 코일은 그렇지 않다.(12.4.2.1)
브레이크 작동과 관련된 부품은 권상 도르래, 드럼 또는 스프라켓에 직접적이고 확실한 수단에 의해
연결하여야 한다.(12.4.2.2)
엘리베이터의 정상운행에서 브레이크의 개방은 지속적인 전류의 공급에 의해 이루어지고 2개 이상의 독립
적인 전기장치(접촉기)에 의해 전류가 차단되도록 설계하여야 한다. 또한, 엘리베이터가 정지하고 있는 동안
에는 접촉기 중 어느 하나가 주 접점을 개방하지 않으면 늦어도 다음 운전 지시에 카는 더 이상 운행되지
않도록 설계하여야 한다.(12.4.2.3, 12.4.2.3.1)
엘리베이터의 전동기가 발전기로 기능하면 구동 전동기에 의한 회생전력이 브레이크를 작동하는 전기장치에
공급되지 않도록 설계하여야 한다.(12.4.2.3.2)
브레이크의 제동은 개방 회로의 차단 후에 추가적인 지연 없이 유효하도록 설계하여야 한다. 브레이크
코일단말에 직접 연결된 다이오드 또는 캐패시터의 사용은 지연수단으로 간주하지 않는다.(12.4.2.3.3)
수동 비상운전 수단(12.5.1 참조)이 있는 구동기의 경우, 브레이크는 작업자가 손으로 개방할 수 있고 개방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일정한 힘이 요구되도록 설계하여야 한다.(12.4.2.3.4)
브레이크 슈 또는 패드의 압력은 압축 스프링 또는 추에 의해 발휘되도록 설계하여야 한다.(12.4.2.3.5)
브레이크 라이닝은 불연재료를 사용하여야 한다.(12.4.2.3.7)
밴드 브레이크는 엘리베이터 브레이크로 사용하지 않아야 한다.(12.4.2.3.6)
비고 밴드 브레이크는 지속적으로 작동될 경우 마찰에 의한 발열에 의해 제동력을 발휘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
하기 때문에 엘리베이터의 브레이크로는 부적합하다.

< 그림 57, 전자-기계 브레이크 >


준비서류

☞ 권상기용 제동장치 KC인증서(설계도서 또는 시험성적서 포함)


☞ 브레이크 제어회로 설계도서

엘리베이터 권상기용 제동장치에 대한 자율안전확인이 유예되었기에 시행 이전까지는 자체 설계도서


또는 시험성적서를 준비하여야 한다.

- 91 -
12.5 비상운전
정상 운행 중인 엘리베이터 카가 정전 등의 원인으로 갑자기 정지하여 카에 탑승한 이용자가 갇힐 경우
에는 수동 운전 또는 전기적인 비상운전 수단에 의해 카를 가까운 승강장으로 운행시킨 후 잠금해제구간
내에서 카에 갇힌 이용자를 안전하게 구출할 수 있도록 설계하여야 한다.
브레이크를 인위적으로 개방한 후 사람이 400 N 이하의 힘으로 정격하중의 카를 상승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는 경우에는 구동기에 수동 비상운전 수단 즉, 부드럽고 바퀴살이 없는 휠을 설치하여야 한다.(12.5.1)
탈부착 방식의 수동 비상운전 수단을 설치한 경우에는 구동기 공간의 쉽게 접근할 수 있는 장소에
이 수단을 위치하고 사용에 대한 혼란의 위험이 있다면 적절한 표시를 부착하여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탈부착 방식이 아닌 수동 비상운전 수단을 설치한 경우에는 전기안전장치(14.1.2
참조)를 설치하여 이 수단이 구동기에서 제거되거나 연결이 풀리면 전기안전장치가 작동하여 늦어도
이 수단이 구동기에 연결될 때까지 구동기가 정지되도록 설계하여야 한다.(12.5.1.1)
구동기에 수동 비상운전 수단을 설치한 경우에는 카가 잠금해제구간에 있는지 쉽게 확인이 가능하도록
현수로프 또는 조속기로프에 표시하는 등의 조치를 하여야 한다.(12.5.1.2)
브레이크를 인위적으로 개방한 후 사람이 400 N 이하의 힘으로 정격하중의 카를 상승방향으로 움직
일 수 없는 경우 즉, 카를 움직이는데 필요한 힘이 400 N을 초과할 경우에는 전기적인 비상운전 수단
(14.2.1.4 참조)을 기계실, 구동기 캐비닛 또는 비상 및 작동시험을 위한 패널에 설치하여야 한다.(12.5.2)
비고 구동기를 승강로에 설치한 경우(MRL 엘리베이터)에는 전기적인 비상운전 수단을 반드시 설치하여야 한다.
비상발전기 등 예비전원을 확보하지 않은 건물로서 근린생활시설 등 엘리베이터 이용자가 많은 시설의
경우에는 정전으로 엘리베이터 카가 정지하면 자동으로 가까운 승강장으로 운행시키는 자동착상장치(Automatic
landing for power failure)의 설치를 권장한다.

준비서류

☞ 수동방식 비상운전 시험성적서 또는 전기적 비상운전 설계도서


12.6속도
정격 주파수로 전원이 공급되고 전동기 전압이 엘리베이터 정격전압과 같을 때 모든 가속 및 감속구간을
제외하고 정격하중의 50 %를 실고 하강 운행하는 카의 주행로 중간에서 속도를 측정하여 그 속도가 정격속도의
92 % 이상, 105 % 이하가 되도록 설계 및 유지ㆍ관리하여야 한다.
또한, 착상, 재-착상, 점검운전, 전기적 비상운전 및 도킹운전의 경우에도 카의 속도를 측정하여 그 속도가
[표 24]에 따른 설계속도의 92 % 이상, 105 % 이하가 되도록 설계 및 유지ㆍ관리하여야 한다.

[ 표 24 , 제어방식에 따른 기준속도 ]
구 분 기준속도 구 분 기준속도
착상[14.2.1.2나)] ≤ 0.8 ㎧ 전기적 비상운전[14.2.1.4마)] ≤ 0.63 ㎧
재-착상[14.2.1.2다)] ≤ 0.3 ㎧ 도킹운전[14.2.1.5다)] ≤ 0.3 ㎧
점검운전[14.2.1.3라)] ≤ 0.63 ㎧

준비서류

☞ 해당 없음
12.7구동기 정지 및 정지 상태 확인
전기안전장치(14.1.2 참조)에 의한 구동기의 정지는 다음과 같이 제어되도록 설계하여야 한다.

- 92 -
교류 또는 직류 전동기
12.7.1
2개의 독립된 접촉기에 의해 전동기에 공급되는 전원이 차단되도록 설계하여야 한다. 또한, 접점은 전원
공급회로에서 직렬로 연결하고 엘리베이터가 정지하고 있는 동안에는 접촉기 중 어느 하나가 주 접점을
개방하지 않으면 늦어도 카의 운전방향 전환 시 더 이상 운행되지 않도록 설계하여야 한다.
준비서류

☞ 전동기 회로(전기장치) 설계도서


12.7.2 “워드 레오나드” 방식을 사용하는 구동
비고 워드 레오나드 방식은 직류 전동기의 속도 제어방식의 일종으로 주 전동기는 타려식이고 이 전동기의
전원으로 타려식의 가감전압 직류 발전기를 장치한다. 주 전동기의 여자 전류를 최대로 하고 발전기의
단자전압을 0에서 서서히 상승시키면 주 전동기는 기동저항 없이 조용히 기동한다. 발전기의 단자전압의
제어에 의해서 주 전동기의 속도를 단계 없이 제어할 수 있다. 주 전동기의 역전은 발전기 단자전압의
극성을 반대로 함으로써 할 수 있다.
12.7.2.1 고전 소자에 의해 공급되는 발전기의 여자
2개의 독립된 접촉기에 의해 전동발전기 폐회로, 발전기의 여자 또는 발전기의 폐회로·발전기의 여자 중
어느 하나를 차단하여 전동기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도록 설계하여야 한다. 또한, 엘리베이터가 정지하고
있는 동안에는 접촉기 중의 어느 하나가 주 접점을 개방하지 않으면 늦어도 카의 운전방향 전환 시 더 이상
운행되지 않도록 설계하여야 한다.
발전기의 여자 및 발전기의 폐회로·발전기의 여자를 차단하는 경우에 발전기 내가 잔류 자계라면 자기
감쇄 회로 등 전동기 회전을 방지하는 효과적인 예방조치를 취해야 한다.
비고 잔류 자계(Residual Field)는 자계를 제거해도 시험 체에 잔존하는 자기. 강자성체를 자화한 후 자계를
제거해도 자화는 되지 않고 자속이 남는다. 이와 같이 자계를 하여도 남는 자기는 잔류 자기라 한다.
준비서류

☞ 전동기 회로(전기장치) 설계도서


12.7.2.2 정지 소자에 의해 공급되고 제어되는 발전기의 여자
다음 중 어느 하나의 방법으로 설계하여야 한다.
가) 2개의 독립된 접촉기에 의해 전동발전기 폐회로, 발전기의 여자 또는 발전기의 폐회로·발전기의 여자 중
어느 하나를 차단하여 전동기에 공급되는 전원이 차단되도록 설계하여야 한다. 또한, 엘리베이터가 정지하고 있는
동안에는 접촉기 중의 어느 하나가 주 접점을 개방하지 않으면 늦어도 카의 운전방향 전환 시 더 이상 운행되지
않도록 설계하여야 한다. 발전기의 여자 및 발전기의 폐회로·발전기의 여자를 차단하는 경우, 발전기
내가 잔류 자계인 경우에는 자기감쇄 회로 등 전동기 회전을 방지하는 효과적인 예방조치를 취해야 한다.
나) 발전기의 여자 또는 전동발전기 폐회로를 차단하는 접촉기에 의해 전동기에 공급되는 전원이 차단되고
접촉기의 코일은 최소한 각 운전지시의 변경 전에 개방되며 접촉기가 개방되지 않을 경우에는 엘리베이터가
더 이상 움직이지 않도록 설계하여야 한다. 또한, 정지 소자 내의 에너지 흐름을 막는 제어장치 및 엘리베이터가
정지하는 각 시간에 에너지 흐름을 막는 것을 검증하는 감시 장치를 설치하여야 한다. 정상 정지구간 중에 정지
소자에 의해 에너지 흐름을 막지 않는다면 감시 장치는 접촉기를 개방하여 엘리베이터가 더 이상 움직이지
않도록 설계하여야 한다. 발전기의 여자 또는 전동발전기의 폐회로를 차단하는 경우에 발전기 내가 잔류
자계라면 자기감쇄 회로 등 전동기 회전을 방지하는 효과적인 예방조치를 취해야 한다.
준비서류

☞ 전동기 회로(전기장치) 설계도서

- 93 -
정지 소자에 의해 공급되고 제어되는 교류 또는 직류 전동기
12.7.3
다음 중 어느 하나의 방법으로 설계하여야 한다.
가) 2개의 독립된 접촉기에 의해 전동기에 공급되는 전원이 차단되도록 설계하여야 한다. 또한, 엘리베이터가
정지하고 있는 동안에는 접촉기 중 어느 하나가 주 접점을 개방하지 않으면 늦어도 다음 운전 지시에
카는 더 이상 운행되지 않도록 설계하여야 한다.
나) 모든 극에 전류를 차단하는 접촉기에 의해 전동기에 공급되는 전원이 차단되고 접촉기의 코일은 최소한
각 운전지시의 변경 전에 개방되며 접촉기가 개방되지 않을 경우에는 엘리베이터가 더 이상 운행되지
않도록 설계하여야 한다. 또한, 정지소자 내의 에너지 흐름을 막는 제어장치 및 엘리베이터가 정지하는
각 시간에 에너지 흐름을 막는 것을 검증하는 감지장치를 설치하여야 한다. 정상 정지구간 중에 정지
소자에 의해 에너지 흐름을 막지 않는다면 감지장치는 접촉기를 개방하여 엘리베이터가 더 이상 움직이지
않도록 설계하여야 한다.
준비서류

☞ 전동기 회로(전기장치/감지장치) 설계도서


12.7.4 에너지 흐름을 막는 제어장치 및 감시 장치
정지 소자 내의 에너지 흐름을 막는 제어장치[12.7.2.2나)2), 12.7.3나)2) 참조] 및 에너지 흐름을 막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검증하는 감시 장치[12.7.2.2나)3), 12.7.3나)3)]는 안전회로(14.1.2.3 참조)에 구성할
필요는 없다. 이러한 장치는 고장 분석(14.1.1 참조)을 통해 정지 소자에 의해 공급되고 제어되는 교류
또는 직류 전동기에 공급되는 전원을 2개의 독립된 접촉기에 의해 차단되는 방식과 비교하여 충족되는
경우에만 설치하여야 한다.
준비서류

☞ 안전회로 설계도서
감소된 완충기 행정의 경우에 구동기의 정상 감속 감시
12.8
엘리베이터 주행로 끝에서 카의 속도를 감속시키는 방법에 의해 완충기 행정을 감소하여 계산할 경우에는
카가 최상층 및 최하층에 도착하기 전에 감속되는지 확인하는 장치를 설치하여야 한다.(12.8.1)
엘리베이터 카가 감속되지 않는다면 감속을 확인하는 장치가 카 또는 균형추가 충돌할 때 설계된 완충기의
충돌속도를 초과하지 않게 카 속도를 줄일 수 있도록 설계하여야 한다.(12.8.2)
감속을 확인하는 장치가 운행 방향에 대해 독립적이지 않을 경우에는 카의 움직임이 의도된 방향에 있는지를
확인하는 장치를 설치하여야 한다.(12.8.3)
감속을 확인하는 장치 또는 이 장치의 일부가 기계실에 있는 경우에는 카에 직접 연결된 장치에 의해 작동
되고, 카 위치에 관련된 정보는 마찰에 의해 구동되는 장치 또는 동기식 전동기에 의해 구동되는 장치에
의존하지 않으며, 카의 위치를 기계실에 전달하는데 테이프, 체인 또는 로프에 의한 연결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이러한 연결이 파손되거나 늘어지면 전기안전장치(14.1.2 참조)의 작동에 의해 구동기가 정지되도록 설계하여야
한다.(12.8.4)
감속을 확인하는 장치의 제어 및 기능은 감속제어시스템(14.1.2 참조)의 결과로 나타나는 정상 속도조절
시스템과 함께 설계하여야 한다.(12.8.5)
준비서류

☞ 구동기 감속확인장치 설계도서


☞ 구동기 감속확인장치(감속도) 설계도서 또는 시험성적서

- 94 -
로프이완 또는 체인이완 안전장치
12.9
포지티브 구동식 엘리베이터에는 로프 또는 체인이 이완되면 전기안전장치(14.1.2 참조)가 작동하여
구동기 전원을 차단하는 안전장치를 설치하여야 한다. 이 안전장치는 로프와 로프 사이 또는 체인과 체인의
하중 분산에서 로프 또는 체인이 비정상적으로 늘어나면 엘리베이터를 정지시키는 전기안전장치(9.5.3
참조)와 같을 수 있다.
준비서류

☞ 해당 없음
전동기 구동시간 제한장치
12.10
권상 구동식 엘리베이터에는 엘리베이터가 기동하는 시점에서 구동기가 회전하지 않을 경우 또는 현수
로프가 권상도르래에서 미끄러져 카 또는 균형추가 하강방향 운행상태로 정지할 경우에 구동기의 전원을
차단하고 차단상태를 유지하는 전동기 구동시간 제한장치를 설치하여야 한다.(12.10.1)
전동기 구동시간 제한장치는 엘리베이터가 기동하는 시점에서 구동기가 회전하지 않을 경우에는 45초
이내에서 작동되고, 현수로프가 권상도르래에서 미끄러져 카 또는 균형추가 하강방향 운행상태로 정지할
경우에는 전체 주행로를 운행하는데 걸리는 시간에 10초를 더한 시간(계산한 시간이 20초 미만인 경우에는
20초 이상으로 한다) 이내에서 작동되도록 설계하여야 한다.(12.10.2)

엘리베이터의 정상운행 복귀는 작업자가 재설정할 경우에만 가능하도록 설계하여야 한다. 다만, 전원공급
차단 후 동력이 복원될 때 구동기가 정지된 위치를 유지할 필요는 없다.(12.10.3)
전동기 구동시간 제한장치는 점검운전 또는 전기적 비상운전 시 카의 움직임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즉, 점검운전 및 전기적 비상운전 제어가 전동기 구동시간 제한장치의 작동보다 우선되도록 설계하여야
한다.(12.10.4)
준비서류

☞ 전동기 구동시간 제한장치 설계도서


구동기의 보호
12.11
작업자가 구동기의 회전하는 부품에 간섭되는 위험 등을 방지할 수 있도록 작업자의 접근이 가능하고
위험한 회전부품은 효과적으로 보호하여야 한다. 특히, 키ㆍ스크류, 테이프ㆍ체인ㆍ벨트, 기어ㆍ스프라켓, 돌
출된 전동기 샤프트 및 플라이-볼 형식의 조속기는 위험한 부품이다. 보호 수단이 설치된 권상도르래를
제외하고 수동핸들, 브레이크 드럼 및 이와 유사한 매끄럽고 둥근 부품은 작업자가 위험을 감지할 수 있도록
노란색으로 페인트칠을 하여야 한다.
준비서류

☞ 해당 없음
카의 정상 착상 및 재-착상의 정확성
12.12
엘리베이터 카 문턱과 승강장문 문턱 사이의 높이 차로 인해 카에 출입하는 이용자가 걸려 넘어지는 등의 위험을
방지하기 위해 카는 승강장에 정확히 착상하여야 한다. 카의 착상 정확도는 승강장문 문턱에서 ± 10 ㎜로
설계하여야 한다.
카에 이용자가 출입하거나 하역하는 동안 순간적으로 로프가 늘어나거나 수축되어도 카는 승강장문
문턱에서 ± 20 ㎜ 이내로 유지되고, ± 20 ㎜의 값이 초과될 경우에는 재-착상 운전에 의해 보정되도록
설계하여야 한다.

- 95 -
준비서류

☞ 카의 착상장치 설계도서 또는 시험성적서(수치 기재 포함)


☞ 카의 재-착상 보정장치 설계도서(수치 기재 포함)

13. 전기설비 및 전기기구


13.1 일반사항
13.1.1 적용 제한
엘리베이터는 구동기에 전기설비가 내장된 하나의 전체 시스템으로 간주하여 동력회로의 주전원 스위치
및 카 조명 스위치와 관련된 회로에 설치하는 모든 전기설비 및 전기기구는 이 승강기검사기준에 따라 설치
하여야 한다.(13.1.1.1)
비고 전원공급회로에 관련된 규정은 스위치 입력단자까지 적용한다. 전원공급회로는 구동기 공간, 풀리 공간,
승강로 및 피트의 전체 조명 및 콘센트에 적용한다.
엘리베이터 전기설비 및 전기기구가 「전기용품 안전관리법」에 따른 안전인증 및 자율안전확인 대상
전기용품인 경우에는 해당 규정(KC)에 따라야 한다. 또한, 이 기준에서 기술하는 한국산업표준(KS) 또는
국제전기표준(IEC)에 따라 국가공인기관으로부터 품질시험을 통과한 전기용품을 설치하여야 한다. 다만,
KS 또는 IEC 표준이 제정되어 있지 않거나 국가공인기관으로부터 인증 또는 시험을 받을 수 없는 전기
용품은 유럽전기표준(CENELEC)에 따라 품질시험을 통과한 전기용품을 설치할 수 있다.
즉, 국내에서 유통되는 엘리베이터 전기설비 및 전기기구는 국가공인기관으로부터 KC, KS 또는 IEC
인증(또는 시험)을 받은 전기용품을 설치하여야 한다. 다만, KC, KS 또는 IEC 인증(또는 시험)을 받을 수
없는 경우에는 CE 인증을 받은 전기용품을 사용할 수 있다.(13.1.1.2)
엘리베이터 전기설비 및 전기기구는 한국산업표준(KS B 6945 및 KS B 6955)에 따른 전자기적 적합성
시험을 국가공인기관으로부터 받아야 한다.(13.1.1.3)
비고 승강기는「전파법」에 따라 방송통신기자재와 전자파장해를 주거나 전자파로부터 영향을 받는 기자재로
적합성평가를 받아야 하며 KS보다 우선한다.
준비서류

☞전자파 적합인증서(시험성적서 또는 설계도서 요약본 첨부)


13.1.2 전기설비의 보호등급
구동기/풀리 공간에서 직접 접촉하는 전기설비의 외함은 IP 2X 이상의 보호등급으로 설치하여야
한다.(13.1.1.4)
비고 IP 2X 보호등급은 손가락이 위험 부분으로 접근하는 것에 대한 보호로 지름이 12 ㎜이고 길이가 80 ㎜인
접촉 시험 핑거는 위험부분과 적당한 공간 거리를 두어야 한다.
준비서류

☞ 해당 없음

IP 등급에 관한 표기, 정의 및 시험방법 등의 세부적인 내용은 한국산업표준 KS C IEC 60529를 참조한다.

- 96 -
전기설비의 절연저항
13.1.3
전기설비 및 배선은 엘리베이터 특성에 적합한 절연재료를 사용하여 보호하여야 한다. 배선은 케이블이나
코드와 같은 형태로 싸 넣는 등 절연이 양호하게 유지되도록 설치하여야 하며, 전원과 부하가 있고 그 사이를
전선로로 연결한 경우에는 전원 → 부하 → 전선을 지나는 전류만을 흐르게 하고 두 가닥의 선 사이는 전기가
통하지 않는 재료, 즉 절연재료로 채워 선로 사이에 흐르는 전류를 제거하여야 한다.
절연파괴의 원인은 기계적 성질의 열화, 취급불량에 의한 절연피복의 손상 및 절연거리의 감소와 같은
기계적인 원인과 이상전압의 발생에 의한 절연피복이나 허용전류를 초과하는 전류로 인한 과열에 의해 절연
피복의 열화 등의 전기적 원인이 있다. 즉, 전기설비가 견디는 전압은 공칭 회로전압의 수배로 정해져
있지만 여러 가지 원인에 의해 그 절연이 점점 나빠져 결국은 절연파괴를 일으킨다.
절연이 나빠지면 절연저항이 저하되고 누설전류가 증가하여 목적하는 부하에 효율적으로 전원을 공급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누설전류로 인해 화재 등 각종 사고를 일으킬 수 있다.
절연저항은 엘리베이터 설치를 완료한 후 또는 점검하는 동안 각각의 전기가 통하는 전도체와 접지 사이
에서 측정하여 [표 25]에서 규정하는 기준에 적합하여야 한다. 회로가 전자부품을 포함하고 있는 경우에는
절연저항을 측정하는 동안 각 상 및 중성선은 함께 연결하여야 한다.
[ 표 25, 절연저항 ]
공칭 회로전압 시험전압(직류) 절연 저항
SELV 250 V ≥ 0.25 ㏁
≤ 500 500 V ≥ 0.5 ㏁
≻ 500 1,000 V ≥ 1.0 ㏁

비고 SELV(Safety Extra Low Voltage, 안전초저압) : 정상상태에서 또는 다른 회로에 있어서 지락고장을


포함한 단일고장상태에서 인가되는 전압이 초저전압을 초과하지 않는 전기시스템(첨두치 42.4 V, 직류
60 V 이하)을 말한다. 또한, 감전을 보호하는 방법(IEC 60364 참조) 중 하나 이며 직접 및 간접 접촉을
동시에 보호하는 안전한 특별 저전압에 의한 보호회로(비접지회로)이다.

< 그림 58, 전동기 절연저항 측정 >


준비서류

☞ 절연보호 설계도면 또는 절연저항 시험성적서

절연저항 측정 범위는 동력회로, 안전회로, 신호회로 및 조명회로이다. 다만, 안전회로 및 신호회로의 절연저항
측정은 부품 손상의 우려가 매우 크므로 제조사의 측정방법 및 절차에 따라 신중하여야 한다.

- 97 -
제어회로 및 안전회로의 전압
13.1.4
제어회로 및 안전회로에서 전도체와 전도체 사이 또는 전도체와 접지 사이의 직류 전압 평균값 및 교류
전압 실효값은 250 V 이하가 되도록 설계하여야 한다.
준비서류

☞ 제어회로 및 안전회로 설계도서(정격전압 표시 포함)


13.1.5 중성선과 접지선
중성선과 접지선은 항상 분리되도록 설계 및 유지 관리하여야 한다.
준비서류

☞ 전기회로(중성선과 접지선) 설계도서


13.2 접촉기 , 릴레이 -접촉기 및 안전회로 부품
13.2.1 접촉기 및 릴레이 -접촉기
구동기의 정지 및 정지 상태를 확인하는데 사용하는 접촉기 즉, 주 접촉기는 한국산업표준(KS C IEC
60947-4-1)에서 규정한 범주에 속한 접촉기를 설치하여야 한다. 이 접촉기의 범주는 교류 전동기용인 경우
에는 AC-3, 직류 동력용인 경우에는 DC-3이다. 또한, 이러한 접촉기가 추가로 기동 운전의 10%를 조금씩
움직이는 것은 허용한다.(13.2.1.1)
비고 전자 개폐기는「전기용품 안전관리법」에 따른 안전인증 대상 전기용품으로 KS보다 우선한다.
주 접촉기의 작동을 위해 동력을 전달하는 것은 한국산업표준(KS C IEC 60947-5-1)에서 규정한 범주에
속한 릴레이-접촉기를 사용하여야 한다. 이 릴레이-접촉기의 범주는 교류 전자석 제어인 경우에는 AC-15, 직류
전자석 제어인 경우에는 DC-13이다.(13.2.1.2)
상기에서 기술한 주 접촉기 및 릴레이-접촉기는 엘리베이터의 예상되는 고장(14.1.1.1 참조)에 의해
오동작하지 않도록 브레이크 접점(B 접점) 중 1개가 닫히면 모든 메이크 접점(A 접점)은 개방되고 메이크
접점 중 1개가 닫히면 모든 브레이크 접점은 개방되도록 설계하여야 한다.(13.2.1.3)
준비서류

☞ 전자 개폐기 KC인증서
☞ 공인기관의 릴레이-접촉기에 대한 KS시험성적서
☞ 주 접촉기 및 릴레이-접촉기의 작동에 대한 설계도서

주 접촉기(전자 개폐기)는 「전기용품 안전관리법」에 따른 안전인증 대상 전기용품(K60974-4-1)이다.


안전회로 부품
13.2.2
안전회로에 계전기로 사용하는 릴레이-접촉기(13.2.1.2 참조)는 구동기의 정지 및 정지 상태를 확인
하는 주 접촉기와 릴레이-접촉기의 작동(13.2.1.3 참조)과 같이 엘리베이터의 예상되는 고장(14.1.1.1 참조)에
의해 오 동작되지 않도록 브레이크 접점(B 접점) 중 1개가 닫히면 모든 메이크 접점(A 접점)은 개방
되고, 메이크 접점 중 1개가 닫히면 모든 브레이크 접점은 개방되도록 설계하여야 한다.(13.2.2.1)
어떤 전기자의 위치에서 브레이크 접점과 메이크 접점이 동시에 닫히지 않는 릴레이를 사용한 경우
에는 접촉기 또는 전기자의 부분적인 당김력(릴레이의 움직이는 전기자의 접점력 부재 또는 불완전한
접점력)의 가능성[14.1.1.1바) 참조]은 무시하고 설계할 수 있다.(13.2.2.2)
- 98 -
전기안전장치 뒤에 장치를 연결한 경우, 그 장치는 접점이 분리된 후 공극은 3 ㎜ 이상으로 하고 연면거리는
보호 등급이 IP 4X 미만인 경우에는 4 ㎜ 이상, 보호 등급이 IP 4X 이상인 경우에는 3 ㎜ 이상(14.1.2.2.3
참조)으로 설계하여야 한다. 다만, 구동기의 정지 및 정지 상태를 확인하는데 사용하는 주 접촉기(13.2.1.1
참조), 주 접촉기의 작동을 위해 동력을 전달하는 릴레이-접촉기(13.2.1.2) 및 안전회로에 계전기로 사용하는
릴레이-접촉기(13.2.2.1 참조) 그리고 한국산업표준에 적합한 접촉기(KS C IEC 60947-4-1)와 릴레이-접촉기
(KS C IEC 60947-5-1)를 이 장치로 설치한 경우에는 연면거리 및 공극에 대한 규정은 적용하지 않는다.
또한, 인쇄회로기판은 단락 또는 회로 개방, 저항, 캐패시터, 트랜지스터 및 램프 등과 같은 전자부품의
값과 기능의 변화[14.1.1.1마) 참조]와 같이 예상되는 전자부품의 고장 배제(부속서 Ⅳ 참조)에 따라 설계
하여야 한다.(13.2.2.3)
준비서류

☞ 공인기관의 릴레이-접촉기 KS시험성적서


* 안전회로에 계전기로 사용하는 경우에만 해당
☞ IP 보호등급과 공극 및 연면거리에 대한 설계도서
* 전기안전장치 위에 장치를 연결한 경우에만 해당
☞ 인쇄회로기판 KC인증서(설계도서 또는 시험성적서 포함)

13.3전동기 또는 다른 전기설비의 보호
주 전원에 직접 연결한 전동기는 단락에 대해 보호되도록 설계하여야 한다.(13.3.1)
모든 전도체에서 전동기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시키는 자동 회로차단기를 설치하여야 한다. 다만, 주 전원에
직접 연결된 전동기 권선의 온도 상승에 의해 전동기의 과부하 감지장치가 작동하여 전원 공급을 차단시킨 후
엘리베이터의 정상운행으로의 자동 복귀는 충분한 냉각이 이루어진 후에만 가능하도록 하는 온도감지장치(13.3.3
및 13.3.6 참조)가 설치된 경우에는 제외한다.(13.3.2)
모든 전동기(문의 개폐를 위한 전동기 제외)에는 온도감지장치를 설치하여 전동기 권선의 온도 상승에 의해
전동기의 과부하 감지장치가 작동될 때 전동기에 공급되는 전원은 온도감지장치의 작동에 의해서만 차단
되도록 설계하여야 한다.(13.3.3)
상기의 자동 회로차단기 및 온도감지장치에 대한 규정은 다른 회로에 의해 전원을 공급받는 권선이 있는
전동기의 경우에는 각 권선에 적용하여 설계 및 설치하여야 한다.(13.3.4)
전동기에 의해 구동되는 직류 발전기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때 그 전동기는 과부하로부터 보호되도록
설계하여야 한다.(13.3.5)
온도감지장치가 설치된 엘리베이터 전동기 및 전기설비의 설계온도가 초과되어 엘리베이터가 계속 운행
하지 못하면 이용자가 카에서 내릴 수 있는 승강장에 카를 정지시키고, 정상운행으로의 자동 복귀는 충분한
냉각이 이루어진 후에만 가능하도록 설계하여야 한다.(13.3.6)
비고 온도 상승에 의해 성능이 저하되는 인버터에는 온도감지장치를 설치하여야 한다.
준비서류

☞ 전동기 회로 및 온도감지장치 설계도서


주 개폐기
13.4
각 엘리베이터에는 엘리베이터에 공급되는 모든 전도체의 전원을 차단할 수 있는 주 개폐기를 [표 26]에 따른
장소에 설치하여야 하며, 이 개폐기는 엘리베이터의 정상적인 운행조건에 포함된 가장 높은 전류를 차단할 수
있는 용량이어야 한다. 다만, 카 조명, 환기장치, 카 지붕의 콘센트, 구동기ㆍ풀리 공간의 조명, 구동기ㆍ풀리
공간ㆍ피트의 콘센트, 승강로 조명 및 비상통화장치에 공급되는 전원은 차단하지 않아야 하다.(13.4.1)
- 99 -
표 26, 주 개폐기 설치장소 ]
[
구분 주 개폐기 설치장소
기계실이 있는 경우 기계실
승강로
이외 장소 제어 캐비닛
기계실이 캐비닛의 제어 비상운전 및 작동시험을 위한 패널, 비상운전을 위한 패널이
없는 경우 위치 승강로 작동시험을 위한 패널과 떨어져 있는 경우에는 비상운전을
위한 패널에 설치하여야 한다.
제어 캐비닛에서 주 개폐기에 접근이 쉽지 않은 경우에는 구분개폐기
(13.4.2 참조)를 캐비닛에 설치하여야 한다.

주 개폐기는 안전하게 개폐되고 의도되지 않은 조작이 없도록 잠금장치를 사용하여 개방 위치에서


잠기도록 설치하여야 하다.(13.4.2)
주 개폐기가 기계실에 있는 경우에는 기계실을 출입하는 작업자가 출입문을 열고 쉽고 신속하게 개폐
할 수 있도록 출입구 근처에 주 개폐기 조작 장치가 위치하여야 하며, 여러 대의 엘리베이터를 설치한
경우에는 주 개폐기 조작 장치마다 해당되는 엘리베이터를 쉽게 구분할 수 있는 표시를 부착하여야
한다.(13.4.2)
기계실에 여러 개의 출입문이 있는 경우 또는 동일한 엘리베이터에 출입문이 각각 있는 여러 개의 기계
실이 있는 경우에는 회로차단기 1개만 설치할 수 있다. 이 경우 회로차단기의 개방은 회로차단기 코일의
전원 공급회로에 삽입된 전기안전장치(14.1.2 참조)에 의해 제어되도록 설계하여야 한다. 회로차단기를 개방
시키는 장치에 의한 것을 제외하고 어떠한 경우에도 회로차단기의 재-물림이 없도록 하여야 한다. 또한,
회로차단기는 수동으로 조작되는 구분개폐기와 함께 사용되도록 설치하여야 한다.(13.4.2)
비고 구분개폐기 - 전기회로를 구분하기 위해 사용하는 개폐기
군 관리 엘리베이터의 경우, 1 대의 엘리베이터에 대한 주 개폐기의 개방 후 운전회로의 부품이 여전히
통전되면 이러한 운전회로는 군 관리 내의 모든 엘리베이터에 공급되는 전원을 각각 차단할 수 있고 필요한
경우에는 동시에 차단할 수 있도록 설계하여야 한다.(13.4.3)
역률향상을 위한 캐패시터는 동력회로의 주 개폐기 앞에 연결하여야 하며, 매우 긴 케이블에 의해 전동기가
연결될 때 등 과전압의 위험이 있는 경우에는 동력회로의 개폐기 또한 캐패시터의 연결을 차단하도록 설계
하여야 한다.(13.4.4)
준비서류

☞ 주 개폐기 회로 설계도서
☞ 캐패시터 연결 회로 설계도서

13.5 전기배선
13.5.1 전기배선의 선택
엘리베이터 기계실, 풀리실 및 승강로의 전도체 및 케이블(이동 케이블은 제외)은 한국산업표준에 적합한
배선용 절연전선(KS C IEC 60227-3) 또는 고무코드ㆍ유연성 케이블(KS C IEC 60245-4)을 선택하여야 한다.
다만, 이와 다른 전도체 및 케이블을 사용한 경우에는 한국산업표준에 의해 표준화된 것(KS C IEC
60227-4, KS C IEC 60227-5, KS C IEC 60227-6, KS C IEC 60227-7, KS C IEC 60228, KS C IEC 60245-3, KS C
등)을 선택하여야 한다.(13.5.1)
IEC 60245-4, KS C IEC 60245-5, KS C IEC 60245-6
비고 전도체 및 케이블은「전기용품 안전관리법」에 따른 안전인증 대상 전기용품으로 KS보다 우선한다. 안전

- 100 -
인증 대상 케이블은 아래 표와 같다.
인증기준 전도체 및 케이블 명
K60227-3 정격전압 450/750V이하의 염화비닐 절연케이블 - 고정배선용시스없는케이블
K60227-4 정격전압 450/750V이하의 염화비닐 절연케이블 - 고정배선용시스케이블
K60227-5 정격전압 450/750V이하의 염화비닐 절연케이블 - 플렉시블케이블
K60227-6 정격전압 450/750V이하의 염화비닐절연케이블 - 리프트 케이블과 연결용 유연성케이블
K60227-7 폴리염화비닐절연케이블 - 2개 이상의 도체유연성 케이블
K60228-0 절연케이블용 도체
K60245-3 정격전압 450/750V이하의 고무절연케이블 - 내연실리콘고무절연케이블
K60245-4 정격전압 450/750V 이하 고무절연케이블 - 코드 및 가요 케이블
K60245-5 정격전압 450/750V 이하 고무절연케이블 - 리프트 케이블
K60245-6 정격전압 450/750V 이하 고무절연케이블 - 아크 용접용 케이블
배선용 절연전선 또는 이와 동등 이상의 케이블은 금속이나 플라스틱 재질의 전선관에 설치하거나 기타
동등한 방법으로 설치하여야 한다.(13.5.1.1)
비고 기타 동등한 방법으로 설치한 경우에는 자체적으로 위험성 평가를 실시한 후 전선관에 설치하는 것과
동등 이상의 안전성을 확보한다는 기술서류를 검사기관에 제출하여야 한다.
단단한 케이블은 승강로벽 또는 기계실에 보이도록 설치한 설치대에 고정하거나 덕트, 플라스틱 케이스
또는 이와 유사한 고정설비에 설치하여야 한다.(13.5.1.2)
보통의 가요성 케이블은 덕트, 플라스틱 케이스 또는 이와 동등한 고정설비에 설치하여야 하다. 두꺼운 가요성
케이블은 단단한 케이블의 설치 조건(13.2.1.2 참조)을 만족하고 움직이는 기구(카에 연결된 이동케이블은 제
외)를 위해 또는 가요성 케이블이 진동을 받는 경우에는 단단한 케이블처럼 사용할 수 있다.(13.5.1.3)
카에 연결을 위한 이동케이블은 한국산업표준(KS B 6948 또는 KS B 6949)에 적합하거나 동등 이상인
케이블을 선택하여야 하며, 선택된 이동케이블은 모든 경우에 동등 이상의 품질을 확보하여야 한다. 다만,
카 내에 설치되는 CCTV의 전선 및 카 내에 설치되는 모니터의 전선은 한국산업표준에서 규정하는 일부 요건
(KS B 6948의 표 6의 8.1과 8.2 및 부속서 A의 A.6과 A.7)에 적합하거나 이와 동등 이상인 케이블을
선택하여야 한다.(13.5.1.3)
비고 1. KS B 6948 : 엘리베이터용 유연케이블
2. KS B 6949 :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엘리베이터용 원형 고무절연 케이블
전도체 또는 케이블이 100 VA 이하의 정격출력을 받거나 극과 극 사이(또는 상과 상 사이) 또는 극(또는 상의
하나)과 접지 사이에서 정상적으로 받는 전압이 50 V 이하인 승강장문의 전기안전장치에 연결된 전도체 또는
케이블 그리고 캐비닛 또는 패널에 있는 전기설비의 서로 다른 부품 사이 또는 이러한 설비의 부품과 연결단자
사이의 배선은 한국산업표준 또는 이와 동등 이상인 제품(13.5.1.1, 13.5.1.2, 13.5.1.3 참조)을 선택하지 않아도
된다. 다만, 이러한 전도체ㆍ케이블 또는 배선은 단락, 누전 및 절연파괴 등의 위험이 없도록 안전한 방법으로
설치하여야 한다.(13.5.1.4)
준비서류

☞ 전도체 및 케이블 KC인증서


☞ 공인기관의 이동케이블 KS시험성적서
☞ 공인기관의 CCTV 및 모니터 전선 KS시험성적서
☞ 캐비닛 또는 패널의 배선에 대한 배치도

- 101 -
전도체 및 케이블은 전기용품 안전관리법에 따른 안전인증 대상 전기용품이다.
전도체의 단면적
13.5.2
문의 전기안전장치에 연결된 케이블(전도체)의 단면적은 기계적 강도를 제공하기 위해 0.75 ㎟ 이상으로
설계하여야 한다.
준비서류

☞ 문의 전기안전장치에 연결된 케이블(전도체)의 단면적에 대한 설계도서(수치 기재 포함)


13.5.3 설치방법
전기설비에는 작업자가 쉽게 이해할 수 있는 설치 및 유지관리에 관한 지침서를 비치하여야 하며, 작업자는
지침서에 따라 전기설비를 설치하고 유지관리 작업을 하여야 한다.(13.5.3.1)
캐비닛, 박스 또는 패널에 결선(부), 결선단자 및 결선장치를 설치하여야 한다. 다만, 구동기ㆍ풀리 공간에서
IP 2X 이상의 보호등급으로 마련한 전기설비의 외함 등 보호 수단(13.1.2 참조)은 제외한다.(13.5.3.2)
엘리베이터의 주 개폐기 또는 차단기의 개방 후에도 결선단자에 여전히 전류가 통하는 단자는 통하지 않는
단자와 확실히 분리하여 설치하고 전압이 50 V를 초과하면 적절한 표시를 쉽게 보이는 곳에 부착하여 작업자
등을 보호하여야 한다.(13.5.3.3)
결선단자는 오 결선으로 인해 엘리베이터의 위험한 움직임을 초래할 수 없도록 조치하여야 한다. 다만,
오 결선으로 인한 위험을 제거하는 방법이 없는 경우에는 결선단자를 확실하게 분리하여야 한다.(13.5.3.4)
전도체 및 케이블의 보호 피복은 스위치 및 기구의 케이스에 완전히 들어가게 설치하거나 적절하게 만들어진 마개로
단말 처리하여 기계적인 보호의 연속성을 보장하여야 한다. 다만, 부품이 움직이거나 프레임 자체의 날카로운 모서리로
인해 기계적인 손상의 위험이 있다면 전기안전장치에 연결된 전도체는 기계적으로 보호하여야 한다.(13.5.3.5)
비고 승강장문 및 카문의 둘러싸인 프레임은 기구의 케이스로 간주된다.
동일한 덕트 또는 케이블이 서로 다른 전압을 갖는 전도체를 포함하는 경우에는 모든 전도체 또는 케이블은
가장 높은 전압에 대한 절연을 갖는 특별한 절연물로 보호하여야 한다.(13.5.3.6)
준비서류

☞ 특별한 절연에 대한 설계도서


* 동일한 덕트 또는 케이블이 서로 다른 전압을 갖는 전도체를 포함한 경우에만 해당
13.5.4 결선장치
안전회로에 있는 플러그 형식의 결선장치는 오 결선으로 인해 엘리베이터의 위험한 오동작을 유발하지
않도록 조치하여야 하며, 결선장치를 분리할 때 도구가 불필요한 경우에는 플러그를 재결합할 때 오 결선
하지 않도록 설계하고 배치하여야 한다.
준비서류

☞ 해당 없음
13.6 조명 및 콘센트

13.6.1 전기조명의 전원공급 회로


카, 승강로, 구동기ㆍ풀리 공간 및 비상운전ㆍ작동시험을 위한 패널(6.6. 참조)에 설치하는 전기조명은 다른
회로를 통해서 공급되거나 구동기의 주 개폐기 또는 주 개폐기(13.4 참조)의 전원공급 측에 연결을 통해 공급
되는 전원이 구동기에 공급되는 전원과는 독립적으로 설계하여야 한다.
- 102 -
준비서류

☞전기조명의 전원공급 회로 설계도서


13.6.2 콘센트의 전원공급 회로
카 지붕, 구동기ㆍ풀리 공간 및 피트에 설치하는 콘센트는 전기조명의 공급전원 회로(13.6.1 참조)에서 2P + PE,
250 V 전압으로 직접 또는 한국산업표준(KS C IEC 60364-4-41)에 따른 안전 초저전압(SELV)으로 전원을 공급
하도록 설계하여야 한다.
상기의 콘센트의 사용은 전원공급 케이블 콘센트가 정격전류에 상응하는 단면적을 갖는다는 것을 의미하지
않는다. 또한, 전도체의 단면적은 전도체가 과전류에 대비하여 정확하게 보호된 경우에는 더 작을 수 있다.
준비서류

☞콘센트의 전원공급 회로 설계도서


13.6.3 조명 및 콘센트의 전원공급 제어
카의 조명 및 콘센트의 전원공급을 제어하는 차단기를 주 개폐기의 가까운 곳에 설치하여야 한다. 기계실에
여러 대의 구동기가 설치된 경우에는 카마다 차단기를 각각의 주 개폐기의 가까운 곳에 설치하여야 한다.(13.6.3.1)
구동기 공간의 조명을 제어하는 차단기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6.3.7, 6.4.9, 6.5.5 참조)는 구동기 공간의
출입구 가까이에 설치하여야 하며, 승강로 조명 차단기는 피트와 주 개폐기의 가까운 곳에 설치하여 차단기가
설치된 각각의 위치에서 승강로 조명의 전원공급을 제어하여야 한다.(13.6.3.2)
상기의 차단기에 의해 조작되는 각 회로는 자체적으로 단락이 보호되도록 설계하여야 한다.(13.6.3.3)
준비서류

☞ 전기조명ㆍ콘센트의 전원공급 회로의 자체 단락보호에 대한 설계도서


14. 전기고장에 대한 보호 ; 제어 ; 우선순위
14.1 고장 분석 및 전기안전장치
14.1.1 고장 분석
엘리베이터 전기설비에 다음과 같이 예상되는 고장 중 어떤 하나의 고장이 그 자체로 인해 엘리베이터의
위험한 오동작을 발생시키는 원인이 되지 않도록 설계하여야 한다. 다만, 전자부품-고장배제(부속서 Ⅳ 참조)에
대한 설계지침에 따라 고장이 배제될 수 있도록 설계할 수 있다. 또한, 안전접점(14.1.2.2 참조)에 관해서는
접점의 개로 불능을 고려할 필요는 없다.(14.1.1, 14.1.1.1, 14.1.1.2)
가) 전압부재
나) 전압강하
다) 단선
라) 누전
마) 단락 또는 회로개방, 저항, 캐패시터, 트랜지스터, 램프 등과 같은 전기부품의 값 및 기능의 변화
바) 접촉기 또는 릴레이의 움직이는 전기자의 접점력 부재 또는 불완전한 접점력
사) 접촉기 또는 릴레이의 움직이는 전기자의 미분리
아) 접점의 개로 불능
자) 접점의 폐로 불능
차) 역상
비고 안전회로에 대한 설계는 14.1.2.3을 참조한다.
- 103 -
전기안전장치(14.1.2 참조)의 금속부분이나 회로접지에 지락이 발생하면 구동기를 즉시 정지시키거나 첫 번째
정상 정지 후 즉, 엘리베이터가 운행 중이라면 등록된 가장 가까운 층에 카를 정지시킨 후 구동기의 재-기동을
방지하도록 설계하여야 한다. 또한, 정상 운행으로의 복귀는 작업자가 원인을 파악하여 조지한 후에만 가능
하도록 설계하여야 한다.(14.1.1.3)
준비서류

☞ 엘리베이터 전기설비에 대한 설계도서


☞ 전자부품-고장배제에 대한 설계도서
☞ 전기안전장치에 대한 설계도서

14.1.2 전기안전장치

14.1.2.1 일반사항
아래의 [표 27]에 따른 전기안전장치 중에 어느 하나가 작동하는 동안에는 구동기의 움직임을 방지하거나
구동기를 즉시 정지(14.1.2.4 참조)시키도록 설계하여야 한다. 전기안전장치는 접촉기 또는 릴레이-접촉기
(12.7 참조)에 공급되는 전원을 직접 차단하는 1개 이상의 안전접점(14.1.2.2 참조) 또는 다음 중 1개 또는 2개
이상의 조합으로 구성된 안전회로(14.1.2.3 참조)로 구성하여야 한다.(14.1.2.1.1)
가) 접촉기또는릴레이-접촉기(12.7 참조)에공급되는전원을직접차단하지않는 1개이상의안전접점(14.1.2.2 참조)
나) 안전접점(14.1.2.2 참조)에 대한 규정을 만족하지 않는 접점
다) 전자부품-고장배제(부속서 Ⅳ 참조)에 대한 설계지침에 따라 고장이 배제될 수 있도록 설계된 부품
라) 안전관련 응용 프로그램 작동 전자시스템(14.1.2.3 참조)
모든 전기설비는 이 기준에서 허용하는 것 즉, 문이 개방된 상태의 착상 및 재-착상운전 제어(14.2.1.2 참조),
전기적 비상운전 제어(14.2.1.4 참조) 및 도킹운전 제어(14.2.1.5 참조)를 제외하고 전기안전장치와 직렬로
연결하여야 한다. 다만, 안전회로에 대한 규정(14.1.2.3 참조)을 만족하는 정보가 모이는 장치를 사용할 경우에는
전기안전회로의 다른 접점에 연결할 수 있다.(14.1.2.1.3)
내ㆍ외부의 유도 작용 또는 축전효과로 인해 전기안전장치의 고장이 발생되지 않도록 설계하여야 하며, 다른
전기장치로부터 나오는 외부 신호가 전기안전장치로부터 나오는 출력 신호를 교란하여 위험한 상황이 발생되지
않도록 실드(shield)하여야 한다. (14.1.2.1.4, 14.1.2.1.5)
비고 실드란 신호에 나쁜 영향을 미치는 전파나 자기 등을 막아주는 것을 실드라고 하며, ‘차폐’라고도 한다. 회로나
신호를 무방비상태로 방치하면 방송파(라디오 전파)나 다른 전자 회로(컴퓨터 등)에서 발생되는 전기적 노이즈,
전등선의 험 노이즈 등이 생길 경우가 있다. 이것을 방지하기 위해 회로나 전송선을 금속 도체로 감싸고, 도체를
접지하여 외래 노이즈를 어스로 보내어, 목적하는 신호를 지키는 것을 일컬어 ‘실드’ 또는 ‘실드한다’라고 한다.
실드는 전파나 험을 막는 ‘정전 실드’와 모터나 트랜스 등의 자력선을 막는 ‘자기 실드’로 나누고 있다. 또한,
기기 자체에서 이런 유해한 전자파를 나오지 않도록 실드를 하고 있다.
안전회로가 2개 이상의 병렬 채널로 구성된 경우에는 패리티 검사를 위해 요구되는 것을 제외한 모든 정보는
1개의 채널에서만 받도록 설계하여야 한다.(14.1.2.1.6)
비고 패리티 검사는 데이터의 저장과 전송의 정확성을 유지하기 위해 검사 비트를 이용하는 자동 오류 검사
방법을 말한다.
신호를 저장하거나 지연시키는 회로는 고장이 발생하더라도 전기안전장치의 작동을 통한 구동기의 정지를 방해
하거나 상당한 지연이 없도록 즉, 시스템에 적합한 가장 짧은 정지시간에 정지되도록 설계하여야 한다.(14.1.2.1.7)
내부 전원공급장치는 스위칭 효과로 인해 전기안전장치의 출력에 잘못된 신호가 출현하는 것을
막는 구조로 설치하여야 한다.(14.1.2.1.8)

- 104 -
[ 표 27, 전기안전장치의 목록 ]
항목 확인장치 항목 확인장치
5.2.2.2.2 점검문 및 비상문의 닫힌 위치 확인 9.9.11.1 카 과속방지수단 작동 없는 과속감지

5.7.3.4 ) 피트의 정지장치 9.9.11.1 카 과속방지수단 작동 있는 과속감지
6.4.3.1나) 기계적 장치의 정지 위치 확인 9.9.11.2 조속기 작동 확인
6.4.3.3마) 카의 점검문의 닫힌 위치 9.9.11.3 조속기로프 장력 확인
6.4.4.1마) 피트출입문의열쇠사용에의한열림확인 9.10.5 카의 과속방지수단 확인
6.4.4.1바) 기계적 장치의 정지 위치 확인 9.11.7 카 개문출발 감지
6.4.4.1사) 기계적 장치의 정지 위치 확인 9.11.8 카 개문출발방지수단 작동확인
6.4.5.4가) 집어넣을 수 있는 플랫폼의 완전히 10.4.3.4 완충기 정상위치 복귀 확인
집어넣은 상태 확인

6.4.5.5 ) 움직일 수 있는 멈춤 쐐기의 완전히 10.5.2.3나) 카 위치전송 장치(파이널리미트스위치)
들어간 위치 확인 에서 전압 확인

6.4.5.5 ) 움직일 수 있는 멈춤 쐐기의 완전히 10.5.3.1나2) 권상 구동 엘리베이터 파이널리미트
뻗은 위치 확인 스위치

6.4.7.1 ) 출입문의 닫힌 위치 확인 11.2.1다) 카문의 잠금 확인
6.4.7.2마) 출입문의 닫힌 위치 확인 12.5.1.1 제거할 수 있는 휠의 위치 확인
6.7.1.5 풀리실 정지장치 12.8.4다) 카위치전송장치(감속확인장치)에서
전압 확인
7.7.3.1 승강장문의 잠금 확인 12.8.5 감소된 완충기 행정의 경우 감속 확인
- 7.7.4.2에따른자동개폐식 승강장문
- 수동 작동 승강장문

7.7.4.1 승강장문 닫힌 위치 확인 12.9 포지티브 구동 엘리베이터의 로프


또는 체인 늘어짐 확인
7.7.6.2 잠금장치가 없는 문짝의 닫힌 위치 확인 13.4.2 회로차단 접촉기에 의한 주개폐기 조작
8.9.2 카문의 닫힌 위치 확인 14.2.1.2가2) 착상 및 재-착상 확인

8.12.4.2 카의 비상문의 잠금 확인 14.2.1.2가3) 카위치전송장치(착상및재-착상)의


전압 확인

8.15 ) 카 지붕 정지장치 14.2.1.3다) 점검운전 정지장치

9.5.3 2가닥의 로프 또는 체인의 경우 로프 14.2.1.5나) 도킹운전을 갖는 카의 움직임 제한


또는 체인의 비정상적인 늘어짐 확인

9.6.1 ) 보상로프 장력 확인 14.2.1.5자) 도킹운전 정지장치

9.6.2 튀어오름 방지장치 확인 14.2.2.1바) 엘리베이터 구동기 정지장치

9.8.8 비상정지장치 작동 확인 14.2.2.1사) 비상운전ㆍ작동시험 패널의 정지장치

준비서류

☞ 엘리베이터 고장분석 설계도서


☞ 전기안전장치 설계도서

- 105 -
안전접점
14.1.2.2
안전접점은 회로차단장치의 확실한 분리에 의해 작동되고 접점이 서로 용착되는 경우에도 확실히 분리되도록
설계하여야 한다. 또한, 부품 고장으로 인한 단락의 위험을 최소화 하도록 설계하여야 한다.(14.1.2.2.1)
비고 모든 접점-차단 부품이 개방위치가 되었을 때 및 운행의 중요한 부품의 가동접점과 작동력이 작용하는
액추에이터 부품 사이에 탄성부품(스프링 등)이 없을 때 확실한 개방이 이루어진다.
안전접점은 한국산업표준(KS C IEC 60947-5-1)에서 규정하는 것과 같이 교류회로의 경우에는 AC-15, 직류
회로의 경우에는 DC-13 범주에 포함되고, 외함이 IP 4X 이상의 보호등급인 경우에는 정격 절연전압을 250 V
이상, 외함이 IP 4X 미만의 보호등급인 경우에는 정격 절연전압을 500 V 이상으로 설계하여야 한다.(14.1.2.2.2)
IP 4X 미만의 보호등급인 경우에는 접점이 분리된 후 공극은 3 ㎜ 이상, 연면거리는 4 ㎜ 이상, 접점
(B 접점)의 분리된 거리는 4 ㎜ 이상으로 설계하여야 한다. 다만, IP 4X 이상의 보호등급인 경우에는
연면거리를 3 ㎜ 이상으로 설계할 수 있으며, 다수의 브레이크 접점의 경우에는 접점이 분리된 후 접점
사이의 거리를 2 ㎜ 이상으로 설계하여야 한다.(14.1.2.2.3, 14.1.2.2.4)
또한, 전도체 재질이 마모되더라도 접점의 단락은 발생하지 않도록 설계하여야 한다.(14.1.2.2.5)
준비서류

☞ 외함의 IP 보호등급이 기재된 서류


☞ 공인기관의 전기안전장치 안전접점 KS시험성적서

14.1.2.3 안전회로
안전회로는 고장분석에 대한 규정(14.1.1 참조)에 따르고 <그림 59>에서 설명하는 것과 같이 설계하여야
한다.(14.1.2.3.1, 14.1.2.3.2)
2차 고장과 결합된 1개의 고장이 위험한 상황을 초래할 때 엘리베이터는 늦어도 1차 고장요소가 관여된 다음
작동 순서에서 정지되고 이 고장이 지속되는 동안에는 엘리베이터의 모든 추가적인 운행은 불가능하도록
설계하여야 한다. 다만, 1차 고장 이후 엘리베이터가 이 순서에 의해 정지되기 전까지 2차 고장 발생의
가능성은 고려하지 않는다.(14.1.2.3.2.1)
2개의 고장이 그 자체에 의해 위험한 상황을 초래하지 않는다면 3차 고장과 결합된 고장이 위험한 상황을
초래할 때 엘리베이터는 늦어도 고장 요소의 하나가 관여된 다음 작동순서에서 정지되도록 설계하여야 한다.
다만, 엘리베이터가 이 순서에 의해 정지되기 전까지 3차 고장의 가능성은 고려하지 않는다.(14.1.2.3.2.2)
3개 이상의 고장이 결합될 때에는 안전회로를 여러 개의 회로로 구성하고 동등한 상태를 확인하는 감시회로를
두어 서로 다른 상태가 감시되면 엘리베이터가 정지되도록 설계하여야 한다. 안전회로가 2개의 회로로 구성된
경우에는 감시회로에 의해 늦어도 엘리베이터가 재-기동하기 전에 확인하고, 확인되지 않을 경우 즉, 고장인
경우에는 엘리베이터의 재-기동이 불가능하도록 설계하여야 한다.(14.1.2.3.2.3)
연결이 끊어진 후 즉, 안전회로가 개회로(開回路) 된 이후 전원공급이 복구되는 중에 안전회로의 평가에 따른
작동(14.1.2.3.2.1, 14.1.2.3.2.2, 14.1.2.3.2.3 참조)이 적용되어 엘리베이터가 다시 정지된다면 엘리베이터는 정지된
위치에서 유지되도록 설계할 필요는 없다.(14.1.2.3.2.4)
한 가지 원인으로 2개 이상의 회로에서 동시에 발생되는 결함의 위험이 가능한 제한될 수 있도록 안전회로를
이중계 회로로 설계하여야 한다.(14.1.2.3.2.5)

- 106 -
< 그림 59, 안전회로의 평가 도표 >
준비서류

☞ 안전회로 고장처리 설계도서


14.1.2.4 전기안전장치의 운용
전기안전장치가 작동되면 안전을 보장하기 위해 구동기의 운전 설정을 막거나 구동기를 즉시 정지시키도록
하고 브레이크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도록 설계하여야 한다.
전기안전장치는 구동기에 공급되는 전원을 제어하는 접촉기(12.7 참조)에 직접 작동되도록 설계하여야 한다.
릴레이-접촉기가 구동기로 전송되는 동력을 제어하는 경우에는 구동기의 기동 및 정지를 위해 전원공급을
직접 제어하는 장치로 고려하여 설계하여야 한다.
준비서류

☞ 전기안전장치 설계도서
14.1.2.5 전기안전장치의 작동
스위치 등 전기안전장치를 작동시키는 부품은 지속적인 정상운행으로 발생하는 기계적인 응력 조건하에
적절히 성능을 발휘하도록 설치하여야 한다.
전기안전장치를 작동시키는 장치에 사람이 접근할 수 있는 경우에는 전기안전장치가 간단한 수단에 의해
작동 불능 상태가 되지 않도록 설치하여야 한다.
비고 마그네트 또는 브리지 편은 간단한 수단으로 고려되지 않는다.
이중계 안전회로는 전송부품을 기계적 또는 기하학적으로 배열하여 기계적 고장이 이중계 손실의 원인이
되지 않도록 설계하여야 한다.

- 107 -
안전회로의 전송부품은 다음 시험에 적합하도록 설계하여야 하며, 이 시험 후 공극 및 연면거리는 최소
허용치보다 작아지지 않아야 한다.
가) 한국산업표준(KS C 0240, 표 C.2)에서 정하는 스위핑에 의한 내구성
진폭 0.35 ㎜ 또는 5 g , 주파수 범위 (10-55)Hz, 각 축에서 20 스위핑 사이클;
n

나) 한국산업표준(KS C 0241, 표 1)에서 규정하는 펄스의 가속도 및 지속시간


아래와 같은 조합
- 첨두 가속도 294 ㎨ 또는 30g n

- 11 ms에 상응하는 펄스의 지속시간, 그리고


- 2.1 ㎧ 반 정현에 상응하는 속도 변화
비고 전송부품용 충격 흡수기가 설치된 경우, 충격 흡수기는 전송부품의 일부로 간주된다.
준비서류

☞ 전기안전장치 설계도서
☞ 전송부품 시험성적서
14.1.2.6 안전관련 응용 프로그램 작동 전자시스템(PESSRAL)
안전관련 응용 프로그램 작동 전자시스템(PESSRAL)을 적용할 경우에는 안전 무결성 기준(SIL)이 적용되도록
설계하여야 한다.(부속서 Ⅻ 참조)
준비서류

☞ 공인기관의 PESSRAL 인증서(설계도서 또는 시험성적서 포함)


* CE 인증서 제출 가능
14.2 제어
14.2.1 엘리베이터 운전제어
엘리베이터 운전제어는 전기적으로 유효하도록 설계하여야 한다. 즉, 엘리베이터 모든 운전은 전기적인
신호에 의해 제어되어 엘리베이터가 운행되고 정지되어야 한다.
준비서류

☞ 해당 없음
14.2.1.1 정상운전의 제어
엘리베이터 정상운전의 제어는 버튼, 접촉조작, 마그네틱 카드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에 의해 이루어지도록
설계하여야 한다. 이러한 버튼 등의 장치 즉, 호출버튼 및 등록버튼 등의 장치는 전기가 통하지 않는 부품을
사용하고 박스 내에 위치하여야 한다.
비고 "이와 유사한 장치"란 센서, 유 무선 통신(로봇의 무선 통신 제어를 포함한다)제어로 엘리베이터 카를
승강장으로 호출하는 제어시스템을 말하며, 완성검사를 받기 전에 한국승강기안전공단의 안전성 평가를
받아야 한다.
준비서류

☞ 해당 없음
14.2.1.2 문이 개방된 상태로 착상 및 재-착상하는 제어
문이 개방된 상태로 착상 및 재-착상하는 제어는 다음과 같이 설계하여야 한다.
가) 카의 움직임은 잠금해제구간으로 제한한다.(7.7.1 참조)
- 108 -
잠금해제구간 밖의 모든 카의 움직임은 문 및 잠금 전기안전장치의 브리지나 션트에 설치된 1개
1)
이상의 스위칭 장치에 의해 방지되어야 한다.
2) 스위칭 장치는 안전접점(14.1.2.2 참조)이거나 안전회로(14.1.2.3)의 규정을 만족시키는 방법으로 연결
되어야 한다.
3) 스위치의 작동이 카에 기계적으로 간접 연결된 장치(로프, 벨트 또는 체인 등)에 좌우되는 경우에는
그 연결이 파손되거나 늘어지면 전기안전장치(14.1.2 참조)가 작동되어 구동기가 정지되어야 한다.
4) 착상운전 중, 전기안전장치를 무효화시키는 수단은 해당 승강장에 대한 정지신호가 주어진 경우
에만 작동되어야 한다.
나) 착상속도는 0.8 ㎧ 이하이어야 한다. 또한, 수동으로 조작되는 승강장문이 있는 엘리베이터의 경우에는
1) 최대 회전속도가 전원의 고정 주파수에 의해 결정되는 구동기의 경우, 저속 운전 제어회로에만 전원이
공급되어야 한다.
2) 기타 다른 구동기의 경우, 잠금해제구간 도달 순간의 속도는 0.8 ㎧ 이하이어야 한다.
다) 재-착상 속도는 0.3 ㎧ 이하이어야 하며, 다음 사항이 확인되어야 한다.
1) 최대 회전속도가 전원의 고정 주파수에 의해 결정되는 구동기의 경우, 저속 운전 제어회로에만 전원이
공급되어야 한다.
2) 정지(전력)변환장치로부터 전원이 공급되는 구동기의 경우, 재-착상 속도는 0.3 ㎧ 이하이어야 한다.

준비서류

☞ 문이 개방 상태의 착상 및 재-착상 제어시스템 설계도서


☞ 문이 개방 상태의 착상 및 재-착상 속도 설계도서 또는 시험성적서(수치 기재 포함)

14.2.1.3 점검운전 제어
점검운전 제어장치는 작업자가 쉽게 접근하여 유지관리 작업을 쉽게 할 수 있도록 카 지붕에 설치하여야 한다.
점검운전 제어장치는 전기안전장치(14.1.2 참조)의 규정을 만족하는 스위치에 의해 작동되도록 설계하여야 한다.
점검운전 제어장치를 작동시키는 스위치 즉, 점검운전 스위치는 양방향성으로 하고 의도되지 않은 작동에
보호되며 점검운전 제어장치의 작동을 위하여 다음 사항이 동시에 만족하도록 설계하여야 한다.
가) 점검운전으로 전환은 다음 작동을 무효화하여야 한다.
1) 자동 동력 작동식 문의 작동을 포함한 정상운전 제어
2) 전기적 비상운전(14.2.1.4)
3) 도킹운전(14.2.1.5)
엘리베이터의 정상운전으로의 복귀는 점검운전 스위치의 전환에 의해서만 유효하여야 한다.
상기의 무효화를 위해 사용된 스위치가 점검운전 스위치 메커니즘에 있는 필수 안전접점이 아니라면 엘리
베이터에 예상되는 고장(14.1.1.1 참조) 중 어느 하나가 회로에 나타날 경우에는 모든 의도되지 않은 카의
움직임을 막는 예방조치가 취해져야 한다.
나) 카의 움직임은 우발적인 작동에 대해 보호되고 움직이는 방향이 분명하게 표시된 푸시 버튼을 계속 누르고
있을 때에만 가능하여야 한다.
다) 점검운전 제어장치에는 정지장치(14.2.2 참조)가 포함되어야 한다.
라) 카 속도는 0.63 ㎧ 이하이어야 한다.
마) 정상운전 상태에서 카의 운행 한계를 초과하여 운행되지 않아야 한다.
바) 엘리베이터의 운행은 안전장치에 좌우되어야 한다.
점검운전 제어장치에는 카 지붕으로부터 문의 메커니즘을 제어하는 동안 우발적인 작동에 대해 보호되는
특별한 스위치가 추가로 포함될 수 있다.
두 번째 점검운전 제어장치가 카(6.4.3.4 참조), 피트(6.4.4.1 참조) 또는 플랫폼(6.4.5.6 참조)에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2개의 점검운전 제어장치가 설치된 경우에는 인터록 시스템이 다음 사항을 보장하도록 설계하여야 한다.

- 109 -
다만, 모든 점검운전 제어장치는 2개 이하로 설치하여야 한다.
가) 하나의 점검운전 조작설비가 “점검” 위치로 조작되면 엘리베이터는 점검운전 조작설비의 푸시
버튼을 누르고 있을 때 움직일 수 있다.
나) 2개의 점검운전 제어장치가 “점검” 위치로 조작되면 다음 중 어느 하나와 같아야 한다.
1) 카가 움직이는 것은 가능하지 않아야 한다.
2) 2명 이상의 작업자가 동시에 작업할 경우에는 작업자간의 의사소통이 가능한 적절한 수단이 확보
되어 있고 2개의 점검운전 제어장치에 있는 푸시 버튼이 동시에 작동될 때 카의 움직임이 가능
하여야 한다.
준비서류

☞ 점검운전 제어시스템 설계도서


☞ 점검운전 속도 설계도서 또는 시험성적서

14.2.1.4 전기적 비상운전 제어


전기적 비상운전 수단이 요구되는 경우(12.5.2 참조)에는 전기안전장치(14.1.2 참조)에 적합한 전기적 비상운전
스위치를 설치하여야 하고, 구동기는 정상적인 주 전원 또는 예비전원(비상 발전기, 비상 배터리 등)에
의해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어야 한다. 또한, 다음 사항을 동시에 만족하도록 설계하여야 한다.
가) 전기적 비상운전 스위치의 작동은 우발적 작동에 대해 보호되는 버튼의 지속적인 누름에 의해 카가 움직이는
제어를 허용하여야 한다.
나) 전기적 비상운전 스위치의 작동 후, 이 스위치에 의해 제어되는 것을 제외하고 카의 모든 움직임은 방지
되어야 한다. 전기적 비상운전의 기능은 점검운전의 스위치 조작에 의해 무시되어야 한다. 즉, 점검운전
제어가 전기적 비상운전 제어보다 더 우선되어야 한다.
다) 전기적 비상운전 스위치는 그 자체에 의해 또는 전기안전장치(14.1.2 참조)에 적합한 다른 스위치를 통해
비상정지장치에 설치된 전기장치(9.8.8 참조), 조속기에 설치된 전기안전장치9.9.11.1, 9.9.11.2 참조), 카의
상승과속방지수단에 설치된 전기안전장치(9.10.5 참조), 완충기에 설치된 전기안전장치(10.4.3.4 참조) 및
파이널 리미트 스위치(10.5 참조)를 무효화 시켜야 한다.
라) 전기적 비상운전 스위치 및 이 스위치의 푸시 버튼은 구동기를 직접 확인할 수 있거나 표시장치[6.6.2다)]에
의해서 확인할 수 있는 위치에 설치되어야 한다.
마) 카 속도는 0.63 ㎧ 이하이어야 한다.
비고 1. 예비전원은 정격하중의 카를 상승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는 충분한 용량을 가져야 한다. 다만, 정전 시
비상 배터리에 의해 전원을 공급받아 카와 균형추 사이의 무게 차로 카를 가까운 층으로 운전하는 제어
방식으로 설계되고 카와 균형추 사이의 무게 균형 등으로 인해 카가 움직일 수 없는 상황을 대비한
별도의 수단이 추가 구비된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한다.
2. 비고 1의 단서에 따른 제어방식은 5.2.2.1.2의 나)에 따른 전기적 비상운전으로 적용할 수 없다.
준비서류

☞ 전기적 비상운전 제어시스템 설계도서


☞ 전기적 비상운전 속도 설계도서 또는 시험성적서
☞ 카와 균형추 사이의 무게 균형 등으로 인해 카가 움직일 수 없는 상황을 대비한 추가 구출수단
설계도서(배터리에 의해 전원을 공급받는 경우만 해당)
14.2.1.5 도킹운전 제어
문이 열린 상태로 엘리베이터 카에 출입하거나 하역을 허용하는 도킹운전 제어[7.7.2.2.나) 참조]는 다음
조건을 만족하도록 설계하여야 한다.
가) 카의 움직임은 승강장 바닥 위로 1.65 m를 초과하지 않는 구간에서만 가능하여야 한다.
- 110 -
나) 카의 움직임은 전기안전장치(14.1.2 참조)에 의해 제한되어야 한다.
다) 속도는 0.3 ㎧ 이하이어야 한다.
라) 승강장문 및 카문은 도킹 측에서만 개방되어야 한다.
마) 움직이는 구간은 도킹운전 제어 위치로부터 분명하게 보여야 한다.
바) 도킹운전은 열쇠로 조작되는 안전접점의 작동 후에만 가능하여야 하고, 이 열쇠는 도킹 운전이 중단되는
위치일 때만 제거될 수 있다. 이 형식의 열쇠는 사용하는데 있어 발생할 수 있는 위험에 대한 주의사항이
문자로 된 지침서와 함께 권한이 있는 사람(관리자 등)에게만 주어져야 한다.
사) 안전접점을 작동하는 열쇠의 조작은 다음과 같아야 한다.
1) 정상운전 제어의 효력을 무효화시켜야 한다.
사용된 개폐장치가 접점 메커니즘에 있는 필수 안전접점이 아니라면, 14.1.1.1에 목록 된 고장 중 어느
하나가 회로에 나타날 경우 모든 의도되지 않은 카의 움직임을 방지하는 예방조치가 취해져야 한다.
2) 카의 움직임은 푸시 버튼을 계속 누르고 있을 때에만 허용되어야 한다. 움직임의 방향은 분명하게 표시
되어야 한다.
3) 그 자체에 의해 또는 전기안전장치(14.1.2 참조)에 적합한 다른 스위치를 통해 승강장문의 잠금과
관련된 전기안전장치, 승강장문의 닫힘 입증과 관련된 전기안전장치 및 도킹 출입구에서 카문의
닫힘을 입증하는 전기안전장치를 무효화 시켜야 한다.
아) 도킹운전의 효력은 점검운전의 작동에 의해 무시되어야 한다. 즉, 점검운전 제어가 도킹운전 제어보다
더 우선되어야 한다.
자) 카에 정지장치[14.2.2.1마) 참조]가 있어야 한다.
준비서류

☞ 도킹운전 제어시스템 설계도서


☞ 도킹운전 속도 설계도서 또는 시험성적서

14.2.2 정지장치
동력 작동식 문을 포함하여 엘리베이터를 정지시키고 움직이지 않도록 하는 정지장치는 다음과 같은
장소에 설치하여야 한다.(14.2.2.1)
가) 피트[5.7.3.4가) 참조]
나) 풀리실(6.7.1.5 참조)
다) 카 지붕(8.15 참조)
작업자가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입구에서 1 m 이내에 설치하여야 한다. 다만 이 장치가 입구에서 1 m
이내에 설치하지 않을 경우에는 점검운전 제어장치 옆에 설치할 수 있다.
라) 점검운전 장치[14.2.1.3다) 참조]
마) 도킹운전이 있는 엘리베이터의 카내[14.2.1.5자) 참조]
도킹운전이 있는 출입구로부터 1 m 이내에 설치되어야 하고 분명하게 표시되어야 한다.(15.2.3.1)
바) 구동기
구동기로부터 1 m 이내에 직접 접근이 가능한 주개폐기 또는 다른 정지장치가 없다면 구동기 근처에
설치하여야 한다.
사) 작동시험을 위한 패널(6.6)
패널로부터 1 m 이내에 직접 접근이 가능한 주개폐기 또는 다른 정지장치가 없다면 패널 근처에
설치하여야 한다.
정지장치는 전기안전장치(14.1.2 참조)로 구성하여 쌍안정으로 양방향 모두 정지되고 의도되지 않은 작동
으로부터 정상운전으로 복귀되지 않도록 설계하여야 한다.(14.2.2.2)
카 내의 정지장치는 도킹운전 제어에 의해 카를 움직이는 경우를 제외하고 사용되지 않도록 설치하여야
- 111 -
한다.(14.2.2.3 참조)
준비서류

☞ 정지장치(설치 위치) 설계도서(수치 기재 포함)


14.2.3 비상통화장치
카에 탑승한 이용자가 외부로 도움을 요청하기 위한 비상통화장치는 쉽게 식별이 가능하고 접근할 수
있는 위치에 설치하여야 한다. 이 장치는 비상조명 전원공급장치 또는 이와 동등한 비상전원공급장치로부터
전원이 공급되도록 설계하여야 한다. 다만, 일반전화 네트워크에 연결한 경우에는 제외한다. 또한, 이 장치는
구출활동 중에 지속적으로 통화할 수 있는 양방향 음성통신으로 통신시스템이 연결된 후에는 카에 갇힌
이용자가 추가로 조작하지 않아도 통화가 가능하여야 한다.(14.2.3.1, 14.2.3.2, 14.2.3.3)
기계실 또는 비상구출운전을 위한 장소에는 정전 시에도 카내와 통화할 수 있도록 비상전원공급장치
(8.17.4 참조)에 의해 전원을 공급받는 내부통화 시스템 또는 유사한 장치를 설치하여야 한다. 카 내와 비상통화를
연결하는 외부 통화장치는 당해 시설물의 관리 인력이 상주하는 장소(경비실, 전기실, 중앙관리실 등)에
이중으로 설치하여야 한다. 다만, 관리 인력이 상주하는 별도의 장소가 2개소 미만인 시설물의 경우에는 하나만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시설물 내부의 외부 통화장치에 의해 비상통화가 연결되지 않는 상황을 대비해 승강기
유지관리업체 또는 자체 점검자에게로 자동 통화 연결되어 신속한 구조 요청이 이루어질 수 있는 통화
장치를 추가로 설치하여야 한다.(14.2.3.4, 14.2.3.5)

< 그림 60, 비상통화장치 >


준비서류

☞ 비상통화장치(전원공급) 설계도서
14.2.4 우선순위 및 표시
수동 작동식 문이 설치된 엘리베이터의 경우에는 엘리베이터가 정지한 후 2초 이상 카가 승강장을 출발
하는 것을 방지하는 수단을 갖추어야 한다. 즉, 엘리베이터가 정지하면 카 내 탑승한 이용자가 문 개폐 등을
하기 위한 시간을 고려하여 2초 이내에 카가 출발하지 않도록 설계하여야 한다.(14.2.4.1)
엘리베이터는 문이 닫힌 후, 카 내 탑승한 이용자가 버튼등록 등을 하기 위한 시간을 고려하여 2초 이내에
외부 호출버튼이 등록되더라도 운행되지 않도록 설계하여야 한다. 다만, 집중제어(collective control) 엘리베
이터의 경우에는 적용할 필요는 없다.(14.2.4.2)
- 112 -
집중제어(collective control) 엘리베이터의 승강장 조명신호는 승강장에서 분명하게 보이고 해당 승강장
에서 기다리는 엘리베이터 이용자에게 카의 다음 운행방향을 알려주도록 설치하여야 한다. 군 관리 엘리베이
터의 경우에는 가청신호에 의해 카의 도착을 예고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승강장에 있는 위치표시기는
부적절하다.(14.2.4.3)
비고 집중제어(collective control)는 승합제어라고도 한다.
준비서류

☞해당 없음
14.2.5 부하제어
엘리베이터 카에 과부하가 발생하면 재-착상을 포함한 엘리베이터의 정상운행을 방지하는 장치 즉, 과부하
감지장치를 설치하여야 한다.(14.2.5.1)
과부하감지장치는 최소 65 ㎏으로 계산하여 정격하중의 10 %를 초과하기 전에 과부하를 검출하도록
설치하여야 한다.(14.2.5.2)
과부하감지장치가 작동되면 엘리베이터 카에 탑승한 이용자에게 과부하를 알리는 가청신호 또는 시각적인
신호가 작동되도록 설계하여야 한다. 또한, 자동 동력 작동식 문은 완전히 개방되어야 하고, 수동 작동식
문은 잠금해제 상태가 유지되어야 하며, 카의 운행을 위한 예비운전(7.7.2.1, 7.7.3.1 참조)은 무효화되도록
설계하여야 한다.(14.2.5.3)
준비서류

☞ 해당 없음
파킹운전
14.2.6
엘리베이터를 주기적으로 사용하고 정지하기 위해 파킹운전 장치를 설치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엘리베이터
운전의 “휴지” 조작과 “재-운전” 조작이 가능한 파킹 스위치를 승강장, 중앙관리실 또는 경비실 등에
설치하여야 하며, 파킹 스위치를 “휴지” 상태로 조작하면 카가 자동으로 지정된 층으로 운행하고 지정된 층에
도착하면 카의 정상운전 제어는 무효화되도록 설계하여야 한다.
비고 주기적으로 휴지 및 재-운전 조작을 하는 경우에는 관리자 등의 안전을 위하여 파킹운전 스위치를 설치하여 엘리
베이터를 관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준비서류

☞ 해당 없음
15. 경고 및 표시
일반사항
15.1
엘리베이터를 이용하거나 유지관리 작업을 하는 동안 발생할 수 있는 위험에 대한 경고, 주의표시 및 제원
등을 기재한 표시 및 라벨 등은 한글로 기재(필요시 다른 언어 병기 가능)하고, 기호 등을 사용하여 누구나 읽기
쉽고 손쉽게 이해할 수 있으며, 지울 수 없도록 제작하여 잘 보이는 장소에 영구적으로 부착하여야 한다.
이러한 경고, 표시 및 라벨 등은 찢어지지 않는 내구성의 재질을 사용하여야 한다.
준비서류

☞ 해당 없음

- 113 -
15.2 카 내부
엘리베이터의 정격하중(8.2.1 참조) 및 정원(8.2.3 참조)을 카 내부에 표기하여야 한다. 표기 방법은
“ ... ㎏ ...인승 ”으로 하고 글자 크기의 높이는 한글, 영문대문자 및 숫자의 경우에는 10 ㎜ 이상
으로 영문소문자의 경우에는 7 ㎜ 이상으로 하여야 한다.(15.2.1)
또한, 용도 및 제조업체명(또는 로고)을 카 내부에 표기하여야 한다.(15.2.2)
카 내부에 설치한 경보(통화) 스위치 버튼은 황색으로 하고 벨 기호를 버튼 위에 표기하여야 한다.
정지장치의 조작 장치를 카 내부에 설치한 경우에는 “정지”라는 글자를 조작 장치 위에 적색으로 표기
하여야 한다. 이러한 황색 및 적색은 “호출 등록” 및 전광신호를 위해 사용하는 경우를 제외하고 경보
스위치와 정지장치의 조작 장치의 버튼에만 사용하여야 한다.(15.2.3.1)
카 내부의 등록 버튼 및 문의 재-열림 버튼 등의 조작 장치에는 그 기능에 따라 분명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적절한 기호 등을 표기하여야 한다. 이 경우, 등록 버튼은 층을 표시할 수 있는 숫자로 표기하고
문의 재-열림 버튼은 문 열림 기호로 표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15.2.3.2)
엘리베이터의 안전한 이용을 보장하기 위하여 아래와 같은 경우에 해당되는 지침을 카 내부에 각각
비치하여야 한다.(15.2.4)
가) 도킹운전이 있는 경우 : 이 운전을 위한 특별한 지침
나) 전화 또는 내부통화 시스템을 쉽게 알 수 없는 경우 : 전화 또는 내부통화 시스템 사용지침
다) 이용자가 버튼을 지속적으로 누를 때에만 운행되는 경우 : 엘리베이터 이용 후에는 문을 닫을
필요가 있다는 내용의 지침

... -2, -1, 1, 2, 3, ... ◁ | ▷

경보(통화) 스위치의 벨 기호 등록 버튼 식별 표시 문 열림 기호
< 그림 61, 카 내부의 표시 및 기호 >

준비서류

☞ 해당 없음
15.3 카 지붕
카 지붕에 위치한 장치 및 설비에는 다음과 같은 정보를 표기하여야 한다.
가) 정지장치에는 “정지”라는 글자
나) 점검운전 스위치에는(또는 바로 근처) “정상” 및 “점검”이라는 글자
다) 점검운전 버튼에는(또는 바로 근처) 운행 방향 표시(기호)
라) 보호난간에는 경고문 또는 주의표시
준비서류

☞ 해당 없음
15.4 구동기 공간 및 풀리공간
구동기 공간 및 풀리 공간의 출입문 외부에는 다음과 같은 경고문을 출입문에 표기하여야 한다. 다만,
승강장문과 비상운전 및 작동시험을 위한 패널의 문은 제외한다.(15.4.1)

- 114 -
엘리베이터 기계실 - 위험 엘리베이터 구동기 - 위험
관계자 외 접근금지 또는 관계자 외 접근금지
구동기 공간 및 풀리 공간의 출입문이 트랩 방식의 문일 경우에는 다음과 같은 경고문을 트랩문에
표기하여야 한다.(15.4.1)
추락위험 - 문을 닫으시오 !
주 개폐기 및 조명 스위치에는 쉽게 식별할 수 있는 표시를 부착하여야 한다. 또한, 주 개폐기 개방 후에도
전기가 통하는 부품(엘리베이터 간 상호결선, 조명 등)이 있는 경우에는 이 위험을 알리는 표시를 부착하여야
한다.(15.4.2)
기계실(6.3 참조), 구동기 캐비닛(6.5.2 참조) 또는 비상운전 및 작동시험을 위한 패널(6.6 참조)에는 엘리베이터
고장 발생 시에 따라야 할 지침 특히, 수동ㆍ전기적 비상운전에 대한 장치 및 승강장문에 대한 비상 열쇠의
사용에 대한 상세한 지침을 비치하여야 한다. 손으로 돌리는 휠에 가까운 구동기에는 카의 운행방향을 명확
하게 표시하여야 하며 휠이 고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휠 자체에 표시할 수 있다. 전기적 비상운전 버튼이 있는
경우에는 버튼이나 버튼 근처에 운행방향과 일치하는 방향표시를 표기하여야 한다.(15.4.3, 15.4.3.1, 15.4.3.2)
풀리실이 있는 경우에는 “정지”라는 글자를 풀리실의 정지장치 위 또는 근처에 표기하여야 한다.(15.4.4)
구동기 공간 또는 풀리 공간에 설치한 빔 또는 양중 고리(6.3.8, 6.4.10 참조)에는 양중할 수 있는
최대 허용하중을 표기하여야 한다.(15.4.5)
플랫폼이 있는 경우(6.4.5.3 참조)에는 플랫폼에 최대 허용하중을 표기하여야 한다.(15.4.6)
준비서류

☞ 해당 없음
15.5 승강로
승강로의 점검문 또는 출입문(승강장문 제외) 근처 승강로 외부에 다음과 같은 경고문을 표기하여야
한다.(15.5.1)
엘리베이터 승강로 - 위험
관계자 외 접근금지
수동으로 개방되는 승강장문 근처에 승강장 문과 혼동되는 다른 용도의 문이 있는 경우에는
“엘리베이터”라는 글자를 승강장문에 표기하여야 한다.(15.5.2)

화물용 엘리베이터의 경우에는 정격하중을 정차 적재구역(승강장 등)으로부터 항상 보이는 장소에


표기하여야 한다.(15.5.3)
집어넣을 수 있는 플랫폼(6.4.5 참조), 움직일 수 있는 멈춤 쇄기[6.4.5.2의 나) 참조] 및 수동 작동
기계장치(6.4.3.1, 6.4.4.1 참조)를 설치한 경우에는 필요한 운전지침이 있는 경고문을 승강로의 적절한
위치에 표기하여야 한다.(15.5.4)
준비서류

☞ 해당 없음
15.6 조속기
다음과 같은 정보가 모두 표기된 명판을 조속기에 부착하여야 한다.
가) 제조업체명
- 115 -
나) 안전인증 표시
다) 조정을 위한 실제 작동 속도
준비서류

☞ 해당 없음
15.7 피트
피트에 설치된 정지스위치 위 또는 근처에 “정지”라는 글자를 표기하여야 한다.
준비서류

☞ 해당 없음
15.8 완충기
다음과 같은 정보가 모두 표기된 명판을 완충기에 부착하여야 한다. 에너지 축적형 완충기는 이 기준에
따라 명판 부착을 제외할 수 있으나 「품질경영 및 공산품안전관리법」에 따라 안전인증의 표시를 하여야 한다.
가) 제조업체명
나) 안전인증 표시
준비서류

☞ 해당 없음
15.9 승강장 식별
카 내에 탑승한 사람이 어느 층에 엘리베이터가 정지하는지 알 수 있도록 시각적인 표시장치 또는
신호 장치를 카 내부에 설치하여야 한다.
준비서류

☞ 해당 없음
15.10 전기적 식별
제어 패널에 설치한 접촉기, 릴레이, 퓨즈 및 연결 스트립은 배선도에 따른 표시를 하여야 한다. 퓨즈의
정격 값 또는 형식과 같은 필요한 사항은 퓨즈나 퓨즈홀더 위에 또는 그 근처에 표시하여야 한다. 전선용 다중
연결 장치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전선에 표시하지 않고 연결 장치에만 식별표시를 하여야 한다.
준비서류

☞ 해당 없음
15.11 승강장문을 여는 열쇠
승강장문의 잠금을 해제하는 비상열쇠를 사용하면서 발생할 수 있는 위험에 대한 주의사항과 문이
닫힌 후에는 문이 잠겼는지 확인해야 한다는 문구 및 그림이 있는 라벨을 비상열쇠에 부착하여야 한다.
준비서류

☞ 해당 없음
15.12 비상통화장치
카 내부에 설치한 경보(통화) 스위치(벨 또는 장치)는 작동이 되는지 확인할 수 있는 수단이 있어야 하며,
카에서 도움을 요청하는 사람과 통화할 수 있는 외부 통화 장치는 비상통화 호출이 있는 동안 “비상통화”
라는 글자가 분명하게 표기되도록 설계하여야 한다. 여러 대의 엘리베이터가 있는 경우에는 외부 통화
- 116 -
장치에 도움을 요청한 카의 식별이 가능하도록 설계하여야 한다.
준비서류

☞ 해당 없음

카에 탑승한 이용자가 비상통화 벨을 누를 경우 비상통화장치가 발신되고 외부와 연결 중임을 알 수


있도록 카 내부의 비상통화장치를 다음과 같이 설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EN 81-28 및 EN 81-70)
- 비상통화가 발신 중임을 나타내는 노란색 표시 및 음성신호
- 비상통화가 통화연결 중임을 나타내는 녹색 표시 및 음성신호

< 그림 62, 카 내부 비상통화장치 >

15.13잠금장치
다음과 같은 정보가 모두 표기된 명판을 승강장문 잠금장치에 부착하여야 한다.
가) 제조업체명
나) 안전인증 표시
준비서류

☞ 해당 없음
15.14비상정지장치
다음과 같은 정보가 모두 표기된 명판을 비상정지장치에 부착하여야 한다.
가) 제조업체명
나) 안전인증 표시
준비서류

☞ 해당 없음
군 관리 제어 엘리베이터
15.15
기계실 또는 풀리실에 서로 다른 엘리베이터의 부품을 설치한 경우에는 해당 엘리베이터의 부품을 식별할
수 있도록 숫자 또는 글자로 된 기호를 일관되게 사용하여 구동기, 제어기, 조속기, 스위치 등 모든 부품에
표기를 하여야 한다. 또한, 유지관리 작업을 쉽게 할 수 있도록 카 지붕 위, 피트 내부 또는 필요한 다른
장소에 있는 모든 엘리베이터의 부품에도 동일한 식별 기호를 표기하여야 한다.

- 117 -
준비서류

☞ 해당 없음
15.16 카의 상승과속 보호 수단
다음과 같은 정보가 모두 표기된 명판을 카의 상승과속 보호 수단에 부착하여야 한다.
가) 제조업체명
나) 안전인증 표시
준비서류

해당 없음

15.17 카의 의도되지 않은 움직임 보호 수단
다음과 같은 정보가 모두 표기된 명판을 카의 의도되지 않은 움직임 보호 수단에 부착하여야 한
다. 카의 상승과속 보호 수단과 공용으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각각 부착하여야 한다.
가) 제조업체명
나) 안전인증 또는 안전성평가 승인 표시
준비서류

☞ 해당 없음
15.18 승강장문 조립체 충격시험
다음과 같은 정보가 모두 표기된 명판을 승강장문 조립체에 부착하여야 한다.
가) 제조업체명
나) 안전인증 또는 안전성평가 승인 표시
다) 승강장문 가이드 슈의 묻힘 깊이
준비서류

☞ 해당 없음
15.19 승강기 번호
승강기 번호판을 승강장문 근처 및 카 내부에 부착하여야 한다.
준비서류

☞ 해당 없음
16. 장애인용 및 비상용 엘리베이터의 추가요건
16.1 장애인용 엘리베이터에 대한 추가요건
16.1.1 장애인용 엘리베이터 시설기준
장애인용 엘리베이터는「장애인·노인·임산부 등의 편의증진보장에 관한 법률」 또는 「교통약자의
이동편의 증진법」등 개별법령에서 규정하고 있는 시설기준을 충족하도록 설치하여야 한다.
비고 각 법령에서 규정하는 시설기준은 가장 최근에 공포된 시설기준에 따른다.
준비서류

☞ 장애인용 엘리베이터 시설기준 적용을 위한 건축물 용도를 확인할 수 있는 서류


- 118 -
장애인용 엘리베이터 문의 열림 대기 시간
16.1.2
장애인용 엘리베이터는 호출버튼 또는 등록버튼에 의하여 카가 정지하면 10초 이상 문이 열린 채로
대기하도록 설계하여야 한다. 장애인용 엘리베이터의 문 열림 대기시간을 10초 이상을 규정하는 것은
시각장애인 및 휠체어 사용자의 승하차 시 충분한 시간을 주기 위한 것이다. 다만, 엘리베이터의 전체
수송 효율을 고려할 경우 전체 서비스 효율이 저하되는 것은 분명하다.
비고 엘리베이터 서비스 효율을 고려하여 닫힘 버튼의 기능이 유효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준비서류

☞ 승강장문 닫힘 시간 계산 설계도서 또는 시험성적서


<< 「 장애인·노인·임산부 등의 편의증진보장에 관한 법률」 시행규칙 별표 1 >>
장애인용 승강기 (엘리베이터 )
9.

가. 설치장소 및 활동공간
(1) 장애인용 승강기(엘리베이터)는 장애인 등의 접근이 가능한 통로에 연결하여 설치하되, 가급적 건축물
출입구와 가까운 위치에 설치하여야 한다.
(2) 승강기(승강장문)의 전면에는 1.4 m × 1.4 m 이상의 활동공간을 확보하여야 한다.
(3) 승강장바닥(승강장문의 문턱)과 승강기바닥(카문의 문턱)의 틈은 3 ㎝ 이하로 하여야 한다.

준비서류

장애인용 엘리베이터 설치 설계도서



☞ 장애인용 엘리베이터 승강장 전면의 활동공간에 대한 설계도서(수치 기재 포함)
☞ 승강장문의 문턱과 카문의 문턱 사이의 간격에 대한 설계도서(수치 기재 포함)

나. 크기
(1) 승강기내부의 유효바닥면적(카의 유효면적)은 폭 1.1 m 이상, 깊이 1.35 m 이상으로 하여야 한다.
다만, 신축하는 건물의 경우에는 폭을 1.6 m 이상으로 하여야 한다.
(2) 출입문의 통과 유효폭은 0.8 m 이상으로 하되, 신축한 건물의 경우에는 출입문의 통과 유효폭을 0.9 m
이상으로 할 수 있다.
준비서류

☞ 장애인용 엘리베이터 카 유효면적 및 출입문 통과 유효 폭에 대한 설계도서(수치 기재 포함)

< 보건복지부 유권해석 >


1. 나.(1) 관련
(1) “신축한 건물” 적용은 증축건물(층수변경), 용도변경에도 적용해야 하는지 ?
⇒ “신축한 건물”이란 기존 건물과 독립되어 새로 증축된 건물과 기존 건물을 완전히 철거하고
그 규모범위 내에서 새로 개축 및 재축한 건물, 그리고 신축건물에 설치되는 대상 엘리베이터를
의미함. 따라서 층수변경만으로 이루어지는 증축과 단순 용도변경은 해당하지 않음.
2. 나.(2) 관련
(1) “0.9 m 이상으로 할 수 있다.”는 강제규정 사항인지 ?
⇒ 강제규정으로는 볼 수 없으며, 신축 건물의 출입문이 0.8 m 이상으로 설치되었다면 이 규정에
저촉되지 않음.
- 119 -
다. 이용자 조작설비
(1) 호출버튼·조작반·통화장치 등 승강기의 안팎에 설치되는 모든 스위치의 높이는 바닥면으로부터
0.8 m 이상 1.2 m 이하로 설치하여야 한다. 다만, 스위치는 수가 많아 1.2 m 이내에 설치하는 것이
곤란한 경우에는 1.4 m 이하까지 완화할 수 있다.
(2) 승강기내부(카)의 휠체어사용자용 조작반은 진입방향 우측면에 가로형으로 설치하고, 그 높이는
바닥면으로부터 0.85 m 내외로 하여야 한다. 다만, 승강기(카)의 유효바닥면적이 1.4 m × 1.4 m
이상인 경우에는 진입방향 좌측면에 설치할 수 있다.
(3) 조작설비의 형태는 버튼식으로 하되, 시각장애인 등이 감지할 수 있도록 층수 등을 점자로 표시하여야 한다.
(4) 조작반·통화장치 등에는 점자표지판을 부착하여야 한다.

준비서류

☞ 장애인용 엘리베이터 호출버튼ㆍ조작반ㆍ통화장치 등 승강기의 안팎(카 및 승강장)에 설치되는


모든 스위치의 높이에 대한 설계도서(수치 기재 포함)
☞ 장애인용 엘리베이터 카의 휠체어사용자를 위한 조작반의 위치에 대한 설계도서(수치 기재 포함)

< 보건복지부 장애인권익지원과-1193(2010.06.16) >


1. 다.(1) 관련
(1) 주 조작반의 경우 “엘리베이터(승강기)의 안팎에 설치되는 모든 스위치”에 포함이 되는지 ?
⇒ 주 조작반(일반 이용자 및 시각장애인이 이용하는 조작반)은 상기 스위치에 포함되지 않으므로
이 규정을 적용할 수 없음.
(2) Ten-Key(0~9번) 호출방식의 적용이 가능한지 ?
⇒ 시각장애인이 사용 가능하도록 음성서비스(버튼을 누를 때 음성으로 번호를 알려주는 방식) 등을
제공할 경우 Ten-Key(0~9번) 호출방식이 설치가 가능하며, 키보드 숫자 배열방식 보다는 전화다이얼
배열방식을 권장함. 또한, 번호를 잘못 누를 경우를 대비해 정정 취소 버튼이 있어야 하며, 다른 방식의
호출방식에도 수정 기능이 있어야 함. 또한, 모든 Ten-Key버튼에 점자표시가 필요함.
2. 다.(2) 관련
(1) 0.85 m 내외에 대한 적용기준은 ?
⇒ 조작반 스위치의 높이가 0.8 ~1.2 m사이에 있도록 설치하여야 한다는 규정이며, 조작반 자체
의 높이는 조작반 중심선을 기준으로 0.85 m 내외가 되도록 설치하여야 한다는 규정임.
(2) 관통형의 경우 진입방향 양측 모두 적용해야 하는지 ?
⇒ 내부에서 휠체어가 회전 가능한 경우를 제외한 나머지는 진입 방향의 양쪽으로 설치해야 함.
(3) 휠체어조작반이 반드시 가로형으로 설치되어야 하는지 여부 ?
⇒ 가로형조작반은 휠체어를 사용하는 사람이 그 높이뿐만 아니라 그 설치위치에 있어서도 이용
의 편리함을 추구하기 위한 규정이므로 세로형은 불가함.
3. 다.(3), (4) 관련
(1) 0~9번으로만 구성된 형태인 경우 5번에만 점자 표시를 할 경우 상기 검사기준에 저촉되는지 ?
⇒ 조작버튼은 푸시버튼 형태로 0~9번 등 모든 버튼에 점자 표시를 하여야 함.
(터치버튼 적용 불가 : 시각장애인 이용불가)
(2) 휠체어조작반에도 점자표시를 하여야 하는지 ?
⇒ 주 조작반에 점자표시가 있는 경우 휠체어조작반에는 점자표시 부착이 의무는 아니나 통상적으로
장애인이 이용하는 조작반으로 인식되는 바 점자표시 부착을 권장함.
라. 기타 설비
(1) 승강기의 내부(카)에는 수평손잡이를 바닥에서 0.8 m 이상 0.9 m 이하의 위치에 연속하여 설치하거나,

- 120 -
수평손잡이 사이에 3 ㎝ 이내의 간격을 두고 측면과 후면에 각각 설치하되, 손잡이에 관한 세부
기준은 제7호의 복도의 손잡이에 관한 규정을 적용한다.
비고 제7호의 복도의 손잡이에 관한 규정
(가) 통로의 측면에는 손잡이를 연속하여 설치하여야 한다. 다만, 구조물ㆍ방화문 등의 설치로
손잡이를 연속하여 설치할 수 없는 경우에는 구조물ㆍ방화문 등의 설치에 소요되는 부분에
한하여 손잡이를 설치하지 아니할 수 있다.(검사제외 대상)
(나) 손잡이의 높이는 바닥면으로부터 0.8 m 이상 0.9 m 이하로 하여야 하며, 2중으로 설치
하는 경우에는 위쪽 손잡이는 0.85 m 내외, 아래쪽 손잡이는 0.65 m 내외로 하여야 한다.
(다) 손잡이의 지름은 3.2 ㎝ 이상 3.8 ㎝ 이하로 하여야 한다.
(라) 손잡이를 벽에 설치하는 경우에는 벽과 손잡이의 간격은 5 ㎝ 내외로 하여야 한다.
(마) 손잡이의 양끝부분 및 굴절부분에는 점자표지판을 부착하여야한다.(검사제외 대상)

< 그림 63, 승강기의 내부(카) 수평손잡이 >


(2) 승강기내부(카)의 후면에는 내부에서 휠체어가 180도 회전이 불가능할 경우에는 휠체어가 후진하여
문의 개폐여부를 확인하거나 내릴 수 있도록 승강기(카) 후면의 0.6 m 이상의 높이에 견고한 재질의
거울을 설치하여야 한다.
(3) 각 층의 승강장에는 승강기(카)의 도착여부를 표시하는 점멸등 및 음향신호장치를 설치하여야 하며,
승강기의 내부(카)에는 도착층 및 운행상황을 표시하는 점멸등 및 음성신호장치를 설치하여야 한다.
(4) 광감지식개폐장치를 설치하는 경우에는 바닥면으로부터 0.3 m에서 1.4 m 이내의 물체를 감지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5) 사람이나 물체가 승강기문(카문 및 승강장문)의 중간에 끼었을 경우 문의 작동이 자동적으로 멈추고
다시 열리는 되열림장치(문닫힘 안전장치)를 설치하여야 한다.
(6) 각 층의 장애인용 승강기(승강장)의 호출버튼의 0.3 m 전면에는 점형블록을 설치하거나 시각장애인이
감지할 수 있도록 바닥재의 질감 등을 달리하여야 한다.
(7) 승강기 내부(카 내부)의 상황을 외부에서 알 수 있도록 승강기전면(문)의 일부에 유리를 사용할 수 있다.
(8) 승강기 내부(카 내부)의 층수 선택버튼을 누르면 점멸등이 켜짐과 동시에 음성으로 선택된 층수를
안내해주어야 한다. 또한, 층수선택버튼이 토글방식인 경우에는 처음 눌렀을 때에는 점멸등이 켜지면서
선택한 층수에 대한 음성안내가, 두 번째 눌렀을 때에는 점멸등이 꺼지면서 취소라는 음성안내가
나오도록 하여야 한다.
(9) 층별로 출입구가 다른 경우에는 반드시 음성으로 출입구의 방향을 알려주어야 한다.
(10) 출입구(승강장문 문턱), 승강대(카 바닥), 조작기(조작장치)의 조도는 저시력인 등 장애인의 안전을
위하여 최소 150 lx 이상으로 하여야 한다.
준비서류

☞ 장애인용 엘리베이터 카의 수평 손잡이에 대한 설계도서(수치 기재 포함)


☞ 장애인용 엘리베이터 카 내부 후면 거울 설치에 대한 설계도서(수치 기재 포함)
☞ 장애인용 엘리베이터 승강장문 전면의 점형블록 또는 바닥재의 질감 등에 대한 설계도서(수치 기재 포함)

- 121 -
< 보건복지부 장애인권익지원과-1193(2010.06.16), 2034(2010.08.12) >
1. 라.(1) 관련
(1) 0.85내외 및 0.65내외의 기준은 ?
⇒ 본 조항은 오차 허용 범위에 관한 것으로 통상적으로 건축법에서 쓰이는 3% 이내로 정함.
(2) 손잡이 세부기준 제7호 (마)항에서 “손잡이 양끝부분 및 굴절부분에는 점자표지판을 부착하여야
한다.”의 적용이 엘리베이터 손잡이에도 적용을 해야 하는지?
⇒ 손잡이 세부기준 제7호 (마)항은 계단에 설치되어 있는 손잡이 설치기준으로 엘리베이터 손잡이에는
적용되지 않음.
2. 라.(2) 관련
(1) “내부에서 휠체어가 180도 회전이 불가능할 경우”란 다.(2)항에 규정되어 있는 유효바닥면적
1.4 m × 1.4 m 미만인 경우로 판단해도 되는지 ?
⇒ 내부에서 휠체어가 회전 불가능한 경우란 다.(2)항에 규정되어 있는 유효바닥면적 1.4 m × 1.4 m
미만인 경우를 의미하고, 신축한 건물의 유효바닥면적 1.6 m × 1.35 m인 엘리베이터의 경우에
도 내부에서 휠체어가 180도 회전이 가능한 엘리베이터로 간주.
(2) “견고한 재질의 거울”이란 유리의 재질에 대한 기준인지, 설치상태에 대한 기준인지 ?
⇒ “견고한 재질의 거울”의 의미는 거울에 관한 재질의 견고함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설치상태
가 견고하고 확실하게 고정되어 있는 상태를 의미. 단, 거울 상태가 충분히 제 기능을 발휘할
수 있게 설치·관리되고 있어야 함.
3. 라.(3) 관련
(1) 군관리방식 또는 군승합방식 적용 가능한지?
⇒ 군관리 방식은 독립적으로 운행되는 장애인전용엘리베이터를 확보할 경우 허용될 수 있음. 다만, 승강기
가 2대일 경우 군관리방식(또는 군승합방식)을 적용하고자 한다면 승강기 두 대가 모두에 장애인용
승강기 기준을충족해야함. 격층운행은불가함. 단, 구조적으로 승강기가분리될경우(지상층과지하층의
분리)라도연결이 되어 있어 건물 전층간 이동이 가능해야 함. 승강기가 2대일 경우 군관리방식을 적용하
고자 한다면 승강기 두 대가 모두에 장애인용 승강기 기준을 충족해야 하나 호출 버턴은 두 대의 승강기
중앙에 1개만 설치해도 허용 가능함. 3대 이상의 승강기를 운행할 때는 어느 승강기가 호출될지를 예측할
수 없으므로 군관리 방식을 적용할 수 없고, 적어도 하나의 승강기를 독립적으로 전층 운행해야 함.
(2) 격층 운행도 가능여부 ?
⇒ 격층 운행은 불가함. 단, 구조적으로 엘리베이터가 분리될 경우(지상층과 지하층의 분리)라도
연결이 되어 있어 건물 전 층간 이동이 가능해야 함
4. 라.(4) 관련
(1) “광감지식개폐장치”를 비접촉 방식으로 해석해도 되는지?
⇒ 기존 검사기준 적용시 “광감지식개폐장치”와 비접촉 방식은 사실상 같은 의미로 해석되어
적용되었으므로 비접촉식으로 해석해도 가능하다고 판단됨.
(2) 세이프티슈 방식(접촉 방식) 적용시 일정 부분에 비접촉식 센스 추가 설치된 경우 적용되는지?
⇒ 세이프티슈의 특정 부분에 센스가 추가 설치된 경우 센스에 의한 동작이 이루어지지 않아도
상기 규정에 저촉되지 않음.

- 122 -
<< 「 교통약자의 이동편의증진법」 시행규칙 별표 1 >>
바 . 승강기 (엘리베이터 )
(1) 설치장소 및 활동공간
(가) 승강기(엘리베이터)는 장애인 등의 접근이 가능한 통로에 연결하여 설치하되, 가급적 여객시설
주출입구와 가까운 위치에 설치하여야 한다.
(나) 지상에서 대합실까지는 도로 양측에 1개소씩 설치하되, 지상 횡단이 가능한 곳에서는 도로편측에
1개소만 설치할 수 있다.
(다) 승강장이 양방향식인 경우에는 대합실에서 승강장까지 각각의 승강장에 1개소씩 설치하되, 승강장이
중앙식인 경우에는 대합실에서 승강장까지 1개소만 설치할 수 있다.
(라) 승강기(승강장문)의 전면에는 1.5 m × 1.5 m 이상의 활동공간을 확보하여야 한다.
(마) 승강장 바닥(승강장문의 문턱)과 승강기 바닥(카문의 문턱)의 간격은 3 ㎝ 이하로 하여야 한다.

준비서류

☞ 장애인용 엘리베이터 설치 설계도서


☞ 장애인용 엘리베이터 승강장 전면의 활동공간에 대한 설계도서(수치 기재 포함)
☞ 승강장문의 문턱과 카문의 문턱 사이의 간격에 대한 설계도서(수치 기재 포함)

(2) 크기
(가) 수송능력 및 규격은 15인승 이상을 기준으로 한다. 다만, 건축물의 위치ㆍ구조 등의 이유로 설치가
불가능한 경우에는 9인승까지 완화할 수 있다.
(나) 승강기 내부(카)의 유효바닥면적은 폭 1.1 m 이상, 깊이 1.4 m 이상으로 하여야 한다.
(다) 출입문의 통과유효폭은 0.8 m 이상으로 하여야 한다.

준비서류

☞ 장애인용 엘리베이터 인승에 대한 설계도서(수치 기재 포함)


☞ 장애인용 엘리베이터 카 바닥면적에 대한 설계도서(수치 기재 포함)
☞ 장애인용 엘리베이터 출입문의 통과 유효 폭에 대한 설계도서(수치 기재 포함)

(3) 이용자 조작설비


(가) 호출버튼ㆍ조작반ㆍ통화장치 등 승강기의 안팎(카 및 승강장)에 설치되는 모든 스위치의 높이는
바닥면으로부터 0.8 m 이상 1.2 m 이하로 설치하여야 한다. 다만, 스위치의 수가 많아 1.2 m
이하에 설치하는 것이 곤란한 경우에는 1.4 m 이하까지 완화할 수 있다.
(나) 승강기 내부(카)의 휠체어사용자를 위한 조작반은 진입방향 우측면에 가로형으로 설치하고,
그 높이는 바닥면으로부터 0.85 m 내외로 하여야 한다. 다만, 승강기 내부(카)의 유효바닥면적이
- 123 -
이상인 경우에는 진입방향 좌측면에 설치할 수 있다.
1.4 m × 1.4 m
(다) 조작설비의 형태는 버튼식으로 할 수 있다.
(라) 조작반ㆍ통화장치 등에는 점자표지판을 부착하여야 한다.

준비서류

☞ 장애인용 엘리베이터 호출버튼ㆍ조작반ㆍ통화장치 등 승강기의 안팎(카 및 승강장)에 설치되는


모든 스위치의 높이에 대한 설계도서(수치 기재 포함)
☞ 장애인용 엘리베이터 카의 휠체어사용자를 위한 조작반의 위치에 대한 설계도서(수치 기재 포함)

(4) 기타 시설
(가) 승강기의 내부(카)에는 수평손잡이를 연속하여 설치하되, 손잡이에 관한 세부기준은 라목(3)의
손잡이에 관한 규정을 적용한다.
비고 라목의 (3) 손잡이에 관한 규정(<그림 63> 참조)
(가) 통로의 측면에는 손잡이를 연속하여 설치하여야 한다. 다만, 구조물ㆍ방화문 등의 설치로
손잡이를 연속하여 설치할 수 없는 경우에는 구조물ㆍ방화문 등의 설치에 소요되는 부분에
한하여 손잡이를 설치하지 아니할 수 있다.
(나) 손잡이의 높이는 바닥면으로부터 0.8 m 이상 0.9 m 이하로 하여야 하며, 2중으로 설치하는
경우에는 위쪽 손잡이는 0.85 m 내외, 아래쪽 손잡이는 0.65 m 내외로 하여야 한다.
(다) 손잡이의 지름은 3.2 ㎝ 이상 3.8 ㎝ 이하로 하여야 한다.
(라) 손잡이를 벽에 설치하는 경우에는 벽과 손잡이의 간격은 5 ㎝ 내외로 하여야 한다.
(마) 손잡이의 양끝부분 및 굴절부분에는 점자표지판을 부착하여야한다.(검사제외 대상)
(나) 승강기 내부(카)의 후면에는 출입문의 개폐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견고한 재질의 거울 등을 부착하여야
한다. 다만, 승강기 내부(카)의 유효 바닥면적이 1.4 m × 1.4 m 이상인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다) 각 층의 승강장에는 승강기(카)의 도착여부를 표시하는 점멸등 및 음향신호장치를 설치하여야 하며,
승강기의 내부(카)에는 도착층 및 운행상황을 표시하는 점멸등 및 음성신호장치를 설치하여야 한다.
(라) 광감지식개폐장치를 설치하는 경우에는 바닥면으로부터 0.3 m에서 1.4 m 이내의 물체를 감지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마) 사람이나 물체가 승강기문(카문 및 승강장문)의 중간에 끼인 경우 문의 작동이 자동적으로 멈추고
다시 열리는 되열림장치를 설치하여야 한다.
(바) 각 층의 승강기(승강장)의 호출버튼의 0.3 m 전면에는 점형블록을 설치하거나 시각장애인이 감지할 수
있도록 바닥재의 질감 등을 달리하여야 한다.
(사) 승강기(카) 내부의 상황을 외부에서 알 수 있도록 승강기(카문 및 승강장문) 전면의 일부에 유리를
사용할 수 있다.
준비서류

☞ 장애인용 엘리베이터 카의 수평 손잡이에 대한 설계도면(수치 기재 포함)


☞ 장애인용 엘리베이터 승강장문 전면의 점형블록 또는 바닥재의 질감 등에 대한 설계도면(수치 기재 포함)

16.2 비상용 엘리베이터에 대한 추가요건


16.2.1 환경 /건축물 요건
비상용 엘리베이터는 모든 승강장문 전면의 방화 구획된 로비가 있는 승강로에 설치하여야 한다. 각각의
방화 구획된 로비 구역은 <그림 64>을 참조한다.
비고 주변 환경의 벽 및 문의 내화수준은 건축법령에 의해 규정된다.
비상용 엘리베이터는 고층 건물에 화재가 발생할 때 고가 사다리가 닿지 않는 층에 대한 소화활동 및
구출작업 등에 사용할 목적으로 설치되기 때문에 안전한 운행 환경을 확보하기 위해 승강로는 당해
- 124 -
건축물과 내화구조 구획하고 승강장 로비는 방화 구획하여야 한다. 또한, 다수(공용)의 승강로에 있는
비상용 엘리베이터는 일반 엘리베이터의 승강로 및 기계실과 구분하기 위한 중간 방화벽(내화구조)을
설치하여야 한다. 다만, 공용 승강로에 비상용 엘리베이터를 다른 엘리베이터와 구분시키기 위한
중간 방화벽(내화구조)이 없는 경우에는 비상용 엘리베이터의 정확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모든 엘리
베이터 및 전기장치는 비상용 엘리베이터에 적용되는 방화관련 규정에 적합하도록 설계 및 설치하여야
하며 공용 승강로는 내화구조로 구획하여야 한다.(16.2.1.1)
비상용 엘리베이터는 다음 조건에 따라 정확하게 운전되도록 설계하여야 한다.(16.2.1.2)
가) 전기/전자적 조작 장치 및 표시기는 2시간 이상 동안 0 ℃에서 65 ℃까지의 주위 온도 범위에서
작동될 때 카가 위치한 곳을 감지할 수 있도록 기능이 지속되어야 한다.
나) 방화구획 된 로비가 아닌 곳에서 비상용 엘리베이터의 모든 다른 전기/전자 부품은 0 ℃에서 40 ℃
까지의 주위 온도 범위에서 정확하게 기능이 유지되어야 한다.
다) 엘리베이터 제어의 정확한 기능은 2시간 이상 동안에 연기가 가득 찬 승강로와 기계실에서 보장되어야
한다.
방화 목적으로 사용된 각 승강장 출입구 전면은 방화구조로 구획하여야 하며, 비상용 엘리베이터에 2개의
카 출입구가 있는 경우 소방관이 사용하지 않는 승강장문은 65 ℃를 초과하는 온도에 노출되지 않도록 보호
(<그림 63> 참조)하여야 한다.(16.2.1.3, 16.2.1.4)
보조 전원공급장치는 방화구획 된 장소에 설치하여야 하며, 비상용 엘리베이터의 주 전원공급 및 보조
전원공급의 전선은 화재로부터 보호되고 서로 구분되도록 조치하여야 하며, 다른 전원공급장치와도 구분
되도록 설치하여야 한다.(16.2.1.5, 16.2.1.6)

1. 방화 구획된 로비 1. 방화 구획된 로비
2. 비상용 엘리베이터 2. 비상용 엘리베이터
3. 일반 엘리베이터
4. 중간 방화벽
< 그림 64.1, 단독 비상용 엘리베이터 방화 구획된 < 그림 64.2 다수의 승강로에 있는 비상용
로비> 엘리베이터 방화 구획된 로비 >

- 125 -
1. 방화 구획된 로비
2. 비상용 엘리베이터
3. 일반 엘리베이터
4. 중간 방화벽
5. 방화구획된 로비
6. 퇴로
< 그림 64.3, 다수의 승강로에 있는 이중 출입 비상용 엘리베이터 방화 구획된 로비 >

1. 엘리베이터 승강로 : 모든 승강장 바닥에서 단독으로 구분된 방화구획으로 구성


2. 계단(피난 통로) : 모든 승강장 바닥에서 단독으로 구분된 방화구획으로 구성
3. 방화구획 된 로비 : 각 승강장 바닥 위에 구분된 방화구획으로 각각 구성
4. 유용 구역 : 각 승강장 바닥 위에 1개 이상의 구분된 방화구획 포함, 구분된 화재구역으로 구성된
방화구획 된 로비를 통해서만 비상용 엘리베이터에 연결될 것이다.
5. 기계실 : 상기 그림에서는 나타나 있지 않지만, 일반적으로 엘리베이터 승강로와 동일한 방화
구획에 속한다.
< 그림 65, 방화구획의 개념 >

준비서류

☞ 방화구획 설계도서 또는 내화구조 인정서


☞ 전기·전자 부품 내열 시험성적서
☞ 소방관이 사용하지 않는 승강장문의 보호조치에 대한 설계도서
☞ 주 전원공급 및 보조 전원공급 전선의 화재보호(방화구획)에 대한 설계도서
☞ 전원공급 전선 설계도서

- 126 -
비상용 엘리베이터의 기본요건
16.2.2
비상용 엘리베이터는 이 기준에서 규정하는 추가요건(16.2.1에서부터 16.2.11까지)에 적합하도록 설계ㆍ
설치하고, 건축물에 화재가 발생하는 등 비상상황에서 소방관의 직접적인 조작에 의해서 사용되어
해당 건축물의 전 층을 운행할 수 있도록 설계하여야 한다. 또한, 비상용 엘리베이터에 필요한 보호조치,
비상용 엘리베이터를 운행하기 위한 제어 및 신호를 추가하여야 한다.(16.2.2.1, 16.2.2.2)
비상용 엘리베이터는 한국산업표준(KS B ISO 4190-1)에 따라 정격하중을 630 ㎏ 이상, 출입구 유효
폭을 800 ㎜ 이상, 카의 면적을 폭 1,100 ㎜ 이상, 깊이 1,400 ㎜ 이상으로 설계하여야 한다. 침대 등을
수용하거나 2개의 출입구로 설계할 경우 또는 피난용도로 사용할 경우에는 정격하중을 1,000 ㎏ 이상,
카의 면적을 폭 1,100 ㎜ 이상, 깊이 2,100 ㎜ 이상으로 설계하여야 한다.(16.2.2.3)
비상용 엘리베이터의 운행속도는 소방관이 조작하여 엘리베이터 문이 닫힌 이후부터 60초 이내에 가장 먼 층
(최상층)에 도착할 수 있는 속도로 설계하여야 한다. 다만, 그 운행속도는 1 ㎧ 이상이어야 한다.(16.2.2.4)

준비서류

☞ 비상용 엘리베이터 정격하중, 카 면적 및 출입구 크기에 대한 설계도서(수치기재 포함)


16.2.3 전기장치의 물에 대한 보호
승강로 및 카 상부에 설치된 비상용 엘리베이터의 전기장치는 승강장문과 승강로 벽으로부터 1 m 이내에
설치할 경우에는 떨어지는 물과 튀는 물로부터 보호되도록 IPX3 이상의 등급으로 보호하여야 하며, 피트
바닥 위로 1 m 이내에 설치할 경우에는 IP67로 보호하여야 한다. 콘센트 및 승강로에서 가장 낮은 조명 전구는
허용 가능한 피트 내부의 최대 누수 수준 위로 0.5 m 이상인 높이에 설치하여야 한다.(16.2.3.1, 16.2.3.2)
승강로 외부 구동기 공간 및 피트에 있는 전기장치는 물로 인한 고장으로부터 보호되도록 조치하고,
피트가 침수되더라도 침수된 물이 비상용 엘리베이터의 고장을 유발시킬 수 있는 장치에 도달되지
않도록 배수펌프 등과 같은 침수방지수단을 설치하여야 한다. 또한, 완전히 압축된 카 완충기 위로 물이
올라가지 않도록 하는 보호 수단을 설치하여야 한다.(16.2.3.3, 16.2.3.4, 16.2.3.5)

1.비상용 엘리베이터 카
2. 화재 승강장 바닥
3. 교두보(브리지헤드)
4. 화재 층 승강장 바닥으로부터 누수
5. 승강로 내부 및 카 상부의 방수 구역
6. 피트 내부의 최대 누수 수준(완충기가
완전히 압축된 수준)
< 그림 66, 전기장치의 물에 대한 보호 >

- 127 -
준비서류

☞ 승강로 내부, 카위, 피트 전기장치의 IP 보호등급 시험성적서


☞ 허용 가능한 피트 최대 누수수준에 대한 설계도서
☞ 피트 전기장치의 방적처리에 대한 설계도서
☞ 피트침수 방지수단(배수펌프 또는 배수구 등)에 대한 설계도서

16.2.4 엘리베이터 카에 갇힌 소방관의 구출


비상용 엘리베이터의 경우에는 카에 갇힌 소방관을 구출하기 위한 목적으로 카 지붕에 0.5 m × 0.7 m
이상인 비상구출문을 설치하여야 한다. 다만, 정격용량이 630 kg인 엘리베이터의 비상구출문은 0.4 m × 0.5 m
이상으로 설치할 수 있다.(16.2.4.1)
비상용 엘리베이터의 비상구출문은 승객용 엘리베이터의 비상구출문에 대한 규정(8.12 참조)을 만족하고,
소방관이 카 지붕에서 특별한 도구를 사용하지 않고 쉽게 열거나 떼어낼 수 있도록 있고 이 비상구출구를
통해 카 내부로 출입할 때는 고정설비 또는 조명장치에 의해 간섭되거나 방해를 받지 않는 구조로 설치
하여야 한다. 또한, 비상구출문의 열리는 지점은 카 내부에서 식별되도록 설치하여야 한다.(16.2.4.2)
카 외부에서 카에 갇힌 소방관(또는 엘리베이터 이용자)을 구출하기 위한 수단 즉, 카 외부로부터 구출수단은
고정 사다리, 휴대용 사다리, 로프 사다리 또는 안전 로프 시스템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하여 접근할 수 있는 가장
가까운 승강장문을 통해 카 지붕으로 안전하게 도달할 수 있도록 설계하여야 하며, 이러한 구출수단을 각
승강장문 근처에 고정시키는 조치를 하여야 한다. 고정 사다리의 경우에는 다음 조건을 모두 만족하도록 설치
하여야 한다.(16.2.4.3)
가) 사다리의 꼭대기 끝부분은 승강장 출입구 문턱 위로 0.75 m 이내에 위치하고 쉽게 닿을 수 있는 1개
이상의 손잡이가 있어야 한다.
나) 승강장 출입구의 문턱에서 카 지붕까지의 수직 높이가 1.5 m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수평면에 대해
65°와 75° 사이의 각도로 경사지게 고정할 수 있어야 한다. 다만, 수직높이가 1.5 m 미만의 경우에는
수직으로 고정할 수 있다.(6.2.2 참조)
카에 갇힌 소방관이 스스로 빠져나올 수 있는 수단 즉, 카 내부로부터 자체 탈출은 소방관이 카 내부에
설치된 높이 0.4 m 이하인 적절한 발판 등을 이용하여 비상구출문을 완전히 열고 빠져나올 수 있도록 설
계하여야 하며 카 내부에 설치된 발판은 1,200 N의 하중을 견딜 수 있어야 한다. 카 내부로부터 자체 탈출
수단으로 사다리를 사용할 경우에는 카의 안전한 장소에 사다리가 위치하고 사다리의 발판과 수직 벽 사이의
유효 수평거리가 0.1 m 이상으로 보관되도록 설계하여야 한다. 사다리와 결합된 비상구출문의 크기 및 위치는
소방관이 통과할 수 있도록 설계하여야 한다. 승강로 내부의 각 승강장문 잠금장치 근처에는 승강장문의 잠금
해제방법을 보여주는 간단한 다이어그램 또는 심볼을 분명하게 표시하여야 한다.(16.2.4.4)
소방관이 승강장문을 열고 정지된 카의 지붕으로 진입하여 비상구출문을 통해 카에 갇힌 사람을 구출할
수 있도록 이동이 가능한 견고한 사다리를 작업자가 유지관리 작업을 하는 동안 헛디디거나 걸려 넘어질
위험이 없는 카 외부의 장소에 사다리를 부착하여 보관하여야 한다. 이 사다리가 부착된 위치에서 제거
되면 전기안전장치(14.1.2 참조)가 작동되어 구동기가 정지되도록 설계하여야 한다.(16.2.4.5, 16.2.4.6)
사다리는 카문의 문턱과 승강장문의 문턱이 같은 높이에 있을 때 직상부층의 승강장문 잠금장치까지
도달할 수 길이로 설치하여야 한다. 다만, 승강장문 잠금장치까지 도달할 수 없다면 승강로에 영구적으로
고정된 사다리로 도달할 수 있도록 조치하여야 한다.(16.2.4.7)

- 128 -
외부구출절차
소방관이 정지된 카 위에서
승강장문을 열고 카 지붕으로
들어간다.
카지붕에있는소방관이
비상구출문을 열고 카에
부착된 사다리(위치 a)를 당긴
후 카 내부(위치 b)로 옮긴다.
갇힌 사람이 사다리를 타고
올라온다.
소방관과 갇힌 사람이 열린
승강장문을 통해 탈출한다.
필요한 경우, 사다리(위치 c)
이용
1. 비상구출문
2. 카에 부착된 휴대용 사다리

< 그림 67, 카에 부착된 휴대용 사다리를 이용하여 승강로 밖으로 구출 >

자체구출절차
갇힌 소방관이
비상구출문을 연다.
갇힌소방관이카에있는
발판을이용하여카지붕으로
올라온다.
갇힌 소방관이 승강로
내부에서 승강장문 잠금을
해제하기위해 카에 부착된
휴대용 사다리를
이용(필요한 경우)하고
탈출한다.
2. 카에 부착된 휴대용 사다리
3. 승강장문 잠금장치
4. 발판

이 개념은 승강장문턱과 문턱사이의 거리가 사다리의 길이에 맞을 때에만 사용될 수


있다.
< 그림 68, 카에 부착된 휴대용 사다리를 이용한 자체-구출(탈출) >

- 129 -
자체구출절차
갇힌 소방관이 캐비닛 문을
열고 캐비닛에 보관된
사다리(위치 a)를 제거한다.
갇힌소방관이비상구출문을연다.
갇힌 소방관이 사다리(위치 b)를
이용하여 카 지붕에 올라온다.
갇힌 소방관이 승강로 내부의
승강장문 잠금을 해제하기 위해
사다리(위치 c)를 이용(필요한
경우)하고 탈출한다.

1. 비상구출문
3. 승강장문 잠금장치
5. 카 캐비닛에 보관된 휴대용 사다리
이 개념은 승강장문턱과 문턱사이의 거리가 사다리의 길이에 맞을 때에만 사용
될 수 있다.
< 그림 69, 카 내부 캐비닛에 보관된 휴대용 사다리를 이용한 자체-구출(탈출) >
준비서류

☞ 발판 강도에 대한 시험성적서
16.2.5 카문 및 승강장문
비상용 엘리베이터에는 카문과 승강장문이 연동되는 자동 수평 개폐식 문을 설치하여야 한다.
준비서류

☞ 해당 없음
16.2.6 엘리베이터 구동기 및 관련 설비
구동기 및 관련설비의 설치공간은 내화구조로 보호하여야 한다.
준비서류

☞ 공인기관의 내화구조 인정서


16.2.7 제어시스템

16.2.7.1 소방운전 스위치 및 알림 표지의 위치


소방운전 스위치는 소방관이 접근할 수 있는 지정된 로비(피난층 또는 대피층)의 승강장문 끝부분에서
수평으로 2m 이내, 승강장 바닥 위로 1.8 m부터 2.1 m 이내인 장소에 설치하여야 한다. 또한, <그림 70>에
따른 비상용 엘리베이터 알림 표지를 소방운전 스위치 바로 근처에 부착하여야 한다.(16.2.7.1)
비고 카 내에도 등록버튼 위 또는 근처에 비상용 엘리베이터 알림 표지를 부착하여야 한다.(16.2.10.4 참조)

- 130 -
구분 기준
색상 바탕 적색
그림 흰색
크기 카 승강장
조작패널 20 ㎜×20 ㎜
100 ㎜×100 ㎜ 이상
< 그림 70, 비상용 엘리베이터의 알림표지 >
준비서류

☞ 해당 없음
16.2.7.2 소방운전 스위치의 조작위치 및 1단계 운전 중 외부 제어·입력의 무효화
소방운전 스위치는 비상 잠금해제 열쇠구멍(7.7.3.2, 부속서 Ⅱ 참조)에 적합하게 설계하고 조작위치는 쌍안정
으로 하며 ‘1’과 ‘0’이 되도록 명확하게 표시하여야 한다. 소방운전은 ‘1’의 위치에서 시작되고 다음과
같이 2단계를 갖도록 설계하여야 한다. 비상용 엘리베이터가 자동으로 소방관 접근 지정 층으로 복귀하고
그 층에서 문이 열린 상태로 있는 경우에만 추가적인 외부 제어 또는 입력이 가능하도록 즉, 소방운전이
시작되어 지정층으로 복귀하여 문이 완전히 열리기 전(1단계 운전 완료 전)에는 버튼 등록 등 외부 제어 및
입력은 무효화되도록 설계하여야 한다. 또한, 소방운전 스위치는 1단계 운전을 완료하기 위해서는 ‘1’의
위치에서만 계속 작동되도록 설계하여야 한다.(16.2.7.2)
가) 1단계(16.2.7.7 참조) : 비상용 엘리베이터에 대한 우선호출
나) 2단계(16.2.7.8 참조) : 소방운전 제어 조건아래에서 엘리베이터의 이용
준비서류

☞ 소방운전 제어에 대한 설계도서


16.2.7.3 소방운전 중 문닫힘안전장치의 무효화
소방운전 스위치가 작동되어 엘리베이터가 소방운전(1단계 및 2단계 조건)으로 운행되면 연기나 열에 의해
영향을 받는 문닫힘안전장치[16.2.7.7다), 16.2.7.8바) 참조]를 제외하고 모든 엘리베이터의 전기적 및 기계적인
안전장치는 유효하도록 설계하여야 한다.(16.2.7.3)
비고 열이나 연기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는 기계적인 방식의 문닫힘안전장치는 유효하여야 한다.
준비서류

☞ 소방운전 제어에 대한 설계도서


16.2.7.4 소방운전의 우선순위
소방운전 스위치는 점검운전 제어(14.2.1.3 참조), 정지장치(14.2.2 참조) 또는 전기적 비상운전 제어
(14.2.1.4 참조)보다 우선되지 않도록 설계하여야 한다. 즉, 소방운전 중 점검운전 제어, 정지장치 또는
전기적 비상운전 제어로 전환시키면 소방운전은 무효화되어야 한다.(16.2.7.4)
준비서류

☞ 소방운전 제어에 대한 설계도서

- 131 -
소방운전의 독립성
16.2.7.5
소방운전 중일 때 비상용 엘리베이터의 기능은 승강장 호출 제어 또는 승강로 외부에 위치한 엘리
베이터 제어시스템의 다른 부품의 전기적 고장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도록 설계하여야 한다. 또한, 비상용
엘리베이터와 같은 그룹운전에 있는 다른 엘리베이터의 전기적 고장은 비상용 엘리베이터의 운전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설계하여야 한다.(16.2.7.5)
준비서류

☞ 소방운전 제어에 대한 설계도서


16.2.7.6 소방운전(1단계) 시 경보음
1단계 소방운전 중에는 소방관의 엘리베이터 조작이 과도하게 지연되지 않도록 보장하기 위해 작동
문의 휴지시간이 2분을 초과하면 카 내부에서 경보음이 울리도록 설계하여야 한다. 이 시간 후에는 문이
감소된 동력 조건아래에서 닫히기 시작하고 문이 완전히 닫히면 경보음이 취소되도록 설계하여야 한다.
또한, 경보음은 35 dB(A)와 65 dB(A) 사이에서 조정이 가능하고 55 dB(A)에서 설정하여야 하며 다른 엘리
베이터의 가청신호와는 구별되도록 하여야 한다.(16.2.7.6)
준비서류

☞ 해당 없음

음악 측정의 단위(dB)
사람의 귀로 들을 수 있는 음의 크기를 주파수에 대한 가중치 필터를 적용하여 상대적 단위(dB)로 나타낸 값.
가중치 필터로는 A형, B형, C형이 있으며, dB(A), dB(B), dB(C)형이라고 표기한다.
dB(A) : 사람의 귀는 주파수 1,000 Hz 이하의 조용한 소리에서는 주파수가 낮아질수록 덜 민감하게
느끼기 때문에 실제로는 시끄러워도 주파수가 낮으면 조용하게 느끼는데 이러한 특성을 반영한
것이며, 평가 데시벨(deciBell Adjusted)이라고도 한다.
dB(B) : dB(A)와 dB(C)의 중간형으로 거의 사용되지 않는다.
dB(C) : 컴퓨터 냉각용 팬의 소음 크기를 나타내는 등 여러 방면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큰 소리는
주파수에 따라 느끼는 정도가 거의 평탄하기 때문에 이러한 특성을 표현한 것이다.
16.2.7.7 1단계 : 비상용 엘리베이터에 대한 우선 호출
1단계는 수동 또는 자동으로 시작되고 다음 사항을 만족하도록 설계하여야 한다.
가) 모든 승강장 제어 및 비상용 엘리베이터 카 내의 제어는 작동되지 않아야 하고 미리 등록된 호출은
취소되어야 한다.
나) 문 열림 및 비상 경고 버튼은 작동이 가능한 상태이어야 한다.
다) 연기나 열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는 비상용 엘리베이터의 문닫힘안전장치는 문이 닫히도록 허용
하기 위해 무효화되어야 한다.
라) 그룹운전에서 비상용 엘리베이터는 다른 모든 엘리베이터와 독립적으로 기능되어야 한다.
마) 소방관 접근 지정 층에 있는 비상용 엘리베이터의 카문 및 승강장문은 열린 상태로 계속 유지되어야 한다.
바) 소방 활동 통화시스템(16.2.11 참조)은 작동되어야 한다.
사) 경보음(16.2.7.6 참조)은 엘리베이터가 점검운전 제어 조건 아래에 있을 때 1단계 시작과 동시에 울려야
한다. 내부통화시스템(14.2.3.4 참조)이 설치된 경우에는 내부통화 시스템이 작동되어야 한다. 경보음은
비상용 엘리베이터가 “점검운전 제어”로부터 해제되면 멈춰야 한다.
아) 소방관 접근 지정 층을 벗어나 운행 중인 비상용 엘리베이터는 가장 가까운 정지 가능한 층에 정지한
후 문을 개방하지 않고 지정 층으로 복귀되어야 한다.
자) 승강로 및 기계실 조명은 소방운전 스위치가 조작되면 자동으로 조명되어야 한다.
- 132 -
준비서류

☞ 소방운전 제어(1단계)에 대한 설계도서


16.2.7.8 2단계 : 소방운전 조건아래에서 엘리베이터의 이용
비상용 엘리베이터는 문이 열린 상태로 소방관 접근 지정 층에 정지하고 있을 때 카 조작패널에서만
운전되고 다음 사항을 만족하도록 설계하여야 한다.
가) 외부 신호(중앙관리실에서의 조작 등)에 의해 1단계가 시작되는 경우에는 소방운전 스위치
(16.2.7.1 참조)가 조작되기 전까지 비상용 엘리베이터는 운전되지 않아야 한다.
나) 2개 이상의 카 운행 층이 동시에 등록되지 않아야 한다.
다) 카가 움직이고 있는 동안에는 카 내부에서 새로운 층의 등록이 가능하고 미리 등록된 층은 취소
되어야 하며 카는 새롭게 등록된 층으로 빠른 시간에 운행되어야 한다.
라) 카는 등록된 층으로 운행되어 그 층에 도착하면 문이 닫힌 상태로 정지되어야 한다.
마) 문이 닫힌 상태로 정지된 카에서 카 내의 ‘문 열림’ 버튼을 지속적으로 누르고 있을 때(압력을
가할 때)에만 문이 열려야 하고 문이 완전히 열리기 전에 손을 떼면(압력을 가하지 않을 때) 문은
자동으로 다시 닫혀야 한다. 문이 완전히 열리면 카 조작패널에 새로운 층이 등록되기 전까지는
문이 열린 상태로 있어야 한다.
바) 문닫힘안전장치[16.2.7.7다) 제외] 및 문 열림 버튼은 1단계에서처럼 작동이 가능한 상태이어야 한다.
사) 비상용 엘리베이터는 소방운전 스위치를 ‘1’에서 ‘0’으로 전환(최대 5초 동안)되면 소방관 접근
지정 층으로 복귀되어야 한다. 그리고 다시 ‘1’ 로 전환되면 1단계가 반복되어야 한다. 다만, 카에
소방운전용 키 스위치가 있는 경우[16.2.7.8 아) 참조]에는 적용하지 않는다.
아) 추가적으로 소방운전용 키 스위치가 카에 설치된 경우에는 ‘0’ 및 ‘1’ 이 명확하게 표시되어야
하며, 소방운전 스위치에 의해 소방운전 제어조건 아래에 있을 때 소방운전용 키 스위치에 의해 ‘1’
위치로 전환되어야만 카가 운행되고 엘리베이터가 소방관 접근 지정 층이 아닌 다른 층에 도착하여 ‘0’
위치로 전환되면 카는 더 이상 움직이지 않고 문은 열린 상태로 있어야 한다. 소방운전용 키 스위치는
‘0’의 위치에서만 제거되어야 한다.
자) 카 조작패널의 등록된 층 버튼은 시각적으로 표시되어야 한다.
차) 정상 또는 비상 전원공급이 유효할 때 카 내부 및 소방관 접근 지정 층의 승강장에는 카의 위치가
시각적으로 표시되어야 한다.
카) 카는 운행 층이 다시 등록되기 전까지는 목적 층(소방관이 등록한 층)에서 대기하고 있어야 한다.
타) 소방 활동 통화시스템(16.2.11 참조)은 2단계 동안 작동 상태이어야 한다.
파) 소방운전 스위치가 ‘0’으로 다시 전환되면 비상용 엘리베이터 제어시스템은 엘리베이터가 소방관
접근 지정 층으로 복귀될 때에만 정상운전 상태로 되돌아 갈 수 있어야 한다.
준비서류

☞ 소방운전 제어(2단계)에 대한 설계도서


출입구가 2개 이상인 비상용 엘리베이터의 추가사항
16.2.7.9
비상용 엘리베이터가 2개의 출입구를 갖고 보호된 경우, 비상용 엘리베이터의 로비는 소방관 접근 층의
로비와 같은 측면에 모두 위치되고 다음과 같은 추가 사항을 만족하도록 설계하여야 한다.
가) 카 조작패널은 각각의 카문 근처에 있고 이 중 하나는 승객용으로 사용된다. 방화구획 된 로비에
인접한 화재 비상용도의 조작패널(소방용 조작패널)은 소방관만 사용하고 <그림 70>의 비상용 엘리베이터
알림 표시가 있어야 한다.
나) 승객용 조작패널의 버튼은 1단계가 시작될 때 “문 열림” 버튼 및 “비상통화” 버튼을 제외하고
모두 무효화되어야 한다.

- 133 -
다) 보호된 비상용 엘리베이터에 인접한 비상용 조작패널은 2단계 시작과 동시에 작동된다.
라) 비상용으로 의도되지 않은 승강장문은 엘리베이터가 정상 운전으로 복귀되기 전까지 모든 층에서
닫힌 상태로 있어야 한다.
마) 보호된 비상용 엘리베이터 로비의 승강장문은 엘리베이터가 정상 운전으로 복귀되기 전까지 모든
층에서 작동상태가 되어야 한다.
준비서류

☞ 해당 없음
16.2.8 비상용 엘리베이터의 전원공급
엘리베이터 및 조명의 전원공급시스템은 주 전원공급장치 및 보조(비상, 대기 또는 대체) 전원공급장치로 구성
(<그림 71> 참조)하고 방화등급은 엘리베이터 승강로에 주어진 등급과 동등 이상으로 하여야 한다.(16.2.8.1)

보조 전원공급장치는 소방관이 조작하여 엘리베이터 문이 닫힌 이후부터 60초 이내에 가장 먼 층에


도착(16.2.2.4 참조)하고 정격하중의 비상용 엘리베이터가 주행하는데 충분하여야 한다.(16.2.8.2)
보조 전원공급장치는 자가발전기에 교류예비전원으로서 다른 용도의 급전용량과는 별도로 비상용
엘리베이터의 전 대수를 동시에 운행시킬 수 있는 충분한 용량을 확보하여야 한다. 다만, 2곳 이상의
변전소(전기설비기술기준에관한규칙 제2조제2호의 규정에 의한 변전소)로부터 전력을 동시에 공급받는
경우 또는 1곳의 변전소로부터 전력의 공급이 중단될 때 자동으로 다른 변전소의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되어 있는 경우, 이 전력용량이 비상용 엘리베이터의 전부를 동시에 운행시킬 수 있도록 충분히
공급된다면 자가발전기는 설치하지 않을 수 있다.(16.2.8.2.1)
공동주택단지에 있어서 단지 내 비상용 엘리베이터의 전 대수를 동시에 운행시킬 수 있는 충분한
전력용량을 확보하기 어려운 경우에는 각 동마다 설치된 비상용 엘리베이터의 전 대수를 동시에 운행
시킬 수 있는 충분한 전력용량을 다른 용도의 급전용량과는 별도로 확보하여야 하며, 각 동마다 개별
급전이 가능하도록 절환장치를 설치하여야 한다.(16.2.8.2.2)
정전 시에는 보조 전원공급장치에 의해 60초 이내에 엘리베이터 운행에 필요한 전력용량을 자동으로
발생시켜 2시간 이상 운행시킬 수 있어야 한다. 또한, 수동으로도 전원(전력용량)을 작동시킬 수 있어야
한다. 즉, 수동 절환스위치를 설치하여야 한다.(16.2.8.2.3)

화재에 대해 보호된 전원공급


일반 전원공급
< 그림 71, 비상용 엘리베이터의 전원공급에 대한 예시 >

준비서류

☞ 비상용 엘리베이터 전원공급에 대한 설계도서


☞ 보조 전원공급 장치의 전원용량에 대한 계산 설계도서

- 134 -
전기적 전원공급의 변환
16.2.9
전기적 전원공급의 변환은 다음과 같이 적용하여 설계할 수 있다.
가) 교정운전(수정작업)은 필요하지 않아야 한다.
나) 전원공급이 다시 안정되면 엘리베이터의 운행은 가능하여야 한다. 만약 엘리베이터가 위치를 인식하기
위해 움직일 필요가 있다면 그 위치를 표시하고 소방관 접근 지정 층 방향으로 2개 층 이상 움직이지
않아야 한다.
준비서류

☞ 해당 없음
카 및 승강장 제어
16.2.10
카와 승강장의 제어 및 관련 제어시스템은 열, 연기 및 습기의 영향으로부터 잘못된 신호가 등록되지
않도록 설계하여야 한다.(16.2.10.1)
카와 승강장의 제어, 카와 승강장의 표시기 패널 및 소방운전 스위치는 IP X3 이상의 등급으로 보호하여야
한다. 승강장 조작패널은 전기적으로 소방운전 스위치의 시작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면 IP X3 이상의
등급으로 보호하여야 한다.(16.2.10.2)
2단계 소방운전 중에 비상용 엘리베이터의 운전은 카에 있는 모든 푸시 버튼에 의해 이루어지고 다른
운전시스템은 무효화되도록 설계하여야 한다.(16.2.10.3)
비상용 엘리베이터 카 내부 등록버튼 위 또는 근처에 <그림 70>에 따른 비상용 엘리베이터 알림 표지를
선명하게 표시하여야 한다.(16.2.10.4)
준비서류

☞ 카·승강장의 제어, 카·승강장의 표시기·패널 및 소방운전 스위치에 대한 IP 보호등급 시험성적서


16.2.11 소방 활동 통화시스템
비상용 엘리베이터에는 1단계 및 2단계 소방운전 중일 때 비상용 엘리베이터 카와 소방관 접근 지정 층
및 기계실이나 비상운전 패널(MRL 엘리베이터) 사이에서 양방향 음성 통화를 위한 내부통화 시스템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를 설치하여야 한다. 기계실에 있는 통화 장치는 조작 버튼을 눌러야만 작동되는 마이크
로폰을 설치하여야 한다.(16.2.11.1)
엘리베이터 카와 소방관 접근 지정 층에 있는 통화 장치는 마이크로폰 및 스피커가 내장되어 있어야하고,
전화 송수화기는 설치할 수 없다.(16.2.11.2)
통신시스템 배선은 엘리베이터 승강로에 설치하여야 한다.(16.2.11.3)
준비서류

☞ 해당 없음

- 135 -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