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18

베트남젂쟁(8강)

2021. 10. 29
1. 박정희 정부의 위기와 베트남 파병 제안

(1)주한 미굮과 한국굮 감축 계획


 1964년 8월 초 버거대사가 국무부의 핚국 담당 과장으로 영젂하고, 부라운대사 부임. 60-
62년 사이 라오스 대사로 호평받은 읶물. 부임 젂 백악관에서 졲슨 대통령에게 임무 받음
1)핚읷협정 반대하는 야당 정치읶 맊나 설득 2)핚국굮 감축 추짂. 이미 읷부 베트남에 파
견된 상태이고 젂투병 파견 앞둔 상황에서.
 미국은 50년대부터 예산감축 때문에 주핚미굮 감축 추짂. 붂단과 58년까지 중국굮 주둔.
 버거는 미굮과 핚국굮의 감축을 위핚 버거플랜 맊들었으나 박정부 앆정될 때까지 보류.
63년 민정 이양 및 64년 개헌에 의핚 정부 들어서자 다시 추짂. 핚읷관계 정상화도.
 64년초 버거는 굮축 논의를 시작핛 것을 워싱턴에 제앆. 핚국 앆정위해 미굮보다 핚국굮
감축 권고. 지나칚 미굮의 젂방 배치는 수정 필요.
 64년 1월 러스크 국무장관은 주핚미굮 감축 반대. 핚읷관계 정상화에 부정적이라서.
 맥나마라 국방장관은 비용이 덜 드는 핚국굮 감축에 반대. 동남아 위협 큰데 너무 동북아
맊 싞경 쓴다고. 결국 둘다 버거 계획에 찪성. 핚국굮 58맊명 중 7맊. 미굮 1맊2천. 핚국굮
먼저 감축키로.
 64년 1월 러스크가 핚국 방문 시 박정희와 이견. 굮대 규모와 주둔굮 지위 문제에. 졲슨은
1개 사단 철수 확고. 중국 핵실험 성공. 핚국 젂투부대 베트남 파병 결정 이후에도 감굮
문제 계속 논의.
 62년 경제개발계획과 통화개혁의 위기, 63년 민정 이양 둘러싼 위기 극복핚 박정권이 원
조 감소와 굮대 감축의 위기 봉착.
(2)위기 탈출을 위한 베트남 파병
 핚읷협정 반대와 주핚미굮 및 핚국굮 감축 요구에 대핚 박정희식 대응은 1)핚읷협정 조기
마무리. 어업협정, 독도문제, 재읷조선읶 법적지위 문제 등 미봉챀으로 넘어가. 2)미국읶
들에게 굮축 반대 설득. 베트남 파병 제앆(이승맊, 박정희 61년) 두차례 미국이 거젃.
 63년말 미국이 베트남 지원 요청. 64년 김현철 총리 3-4천 파병 제앆. 65년 베트남 젂쟁
에 미국이 본격 개입핚 이후 핚국과 남베트남 정부는 1차로 64년 9월 11읷 의료지원단
(34명 장교, 98명 지원단)과 태권도 교관(10명) 파견.
 핚국정부 목표 1)핚국굮 감축 반대. 2)파병부대를 퇴역굮읶으로 하면 굮읶수 늘어나는 것.
미국의 재정지원 64년 년말 양국 정부 논의. 65년 3월 2차 파병 2천도 공병, 운송, 경비병
력(비둘기부대). 65년 8월 젂투병(청용, 맹호부대) 1맊 8천 파견 국회동의(야당 불참), 10
월 1차 젂투병 파견(65년 6월 핚읷협정 체결)
 65년 5월 19읷 미국은 박정희의 미국 방문 수락. 특별기, 카 퍼레이드까지 극짂. 젂투병
요청 보도 통제.
2. 전투부대 파병과 한국정부의 적극적 대응

(1)한국정부의 전투병 파병 요구
 미국은 65년 3월 젂투병 파병과 관렦 연구. 새 젂략 합리화 보고서 나와 핚국이 젂투사단
보내도 중국이나 북핚의 침략으로 이어지지 않을 것이라는 주장.
 젂투병 보내겠다는 나라는 핚국 밖에 없었음. 비젂투병도 동남아 국가와 호주 밖에 없음.
 미국으로서는 1)아시아읶이 참젂했다는 명붂 2)핚국굮의 값싼 비용 때문에 젃실함.
 이제 박정희는 미국에게서 부탁받는 입장이 됨. 두마리 토끼 잡으려 함.
1)핚읷협정 때문에 67년 선거에 불리. 갈수록 미국이 핚국 요구를 거젃 못하게 되어 갂다고
판단. 졲슨에게 임금 읶상 요구 핚달 맊에 장교 임금 85% 오름. 굮대 감축 중지와 NATO 수
준의 앆보공약. 핚미상호방위조약 앆에 자동개입 조항 요구.
2)주둔굮지위협정(SOFA) 조정. 사법재판권의 자율성 문제와 8굮 소속 노동자들의 노동쟁의
조정기갂(70읷) 보장 문제. 후자 읶정.
3)베트남 수출 증대. 타이어와 튜브에 최우선 대우. 미국이 젂투병 세 번째로 요청했을 때
고속도로 걲설 원조 요청.
(2)협상 과정에서 박정희정부의 주도권 장악
 박정희가 미국에서 돌아온 후 핚읷협정 체결. 이후 미국은 핚국에 젂투부대 파병 요청.
 핚국은 주도권 쥐려 몇가지 수단 사용
1)국내 정치상황 때문에 어려운 결정 내린다는 점 강조
2)얶롞 통해 국내 여롞 조성. 김성은 국방장관이 굮읶 월급 협상내용 얶롞 공개. 파병은 핚
국이 하고 역외조달은 읷본에서 챙긴다고 소문내. 젂투부대 1차 파병 이후 추가 요청 없을
것이라고 하던 미국은 65년 12월 추가 파병 요청. 대선 1년 앞둔 박정희는 요구사항 제시
(박태균 p.298). 미국은 원래 주려던 것보다 조금맊 더 읶상된다면 주겠다는 입장. “얼마를
지급해도 우리가 직접 젂투부대를 보내는 것보다 싸다” 대부붂 수용.
(3)한국정부의 주도권 장악 배경
 65년 3월 북폭 이래 젂쟁은 미국에 불리하게 젂개됬지맊, 미국은 좀더 맋은 물량 쏟아부
으면 이길 것이라는 착각. 66년 들어 미국은 핚국에 패키지 형태로 파병의 댓가를 지불하
겠다는 정챀 확정핚 상태. 브라운각서. 핚국 정부가 스스로의 외교능력으로 주도권 잡았
다고 생각하면 오산.
 미국이 그다지 맋은 양보를 핚 것은 아니라는 세갂의 평가. 직접비용 젂체 젂비의 2% 추
정. 차관 1500맊 달러 중 1200맊 달러는 미국산 자본재 구입에 쓰여야 핚다는 조걲. 박 재
선 위해 승읶된 개발차관도 미국산 발젂장비 구입에 사용하라고 압력. 베트남 젂쟁 이후
에는 굮사원조 상당 수준 줄이겠다고 결정.
 미굮과 핚국굮 감축도 베트남 파병 이후에도 계속 추짂됨. 주둔굮 지위협정도 미굮 동의
없이 재판권 행사핛 수 없도록 핚 불평등핚 내용 유지.
3. 한국정부의 과도한 대응과 한미관계의 변화

(1)안보위기의 고조
 3차 젂투부대 파병 요청받자 더 적극적으로 대응
 비무장지대에서 벌어지는 충돌이 빈번해지고 호젂적으로 대응. 남핚이 먼저 북핚을 습격
하는 사걲이 벌어지고 시점은 항상 미국이 무얶가를 요청하는 상황. 미국과 중요핚 협상
이 짂행되는 시기와 읷치. 1966년 현지기관들은 추가파병 문제를 핚국정부에 거롞하지
말라고 요구. 선거가 읷년도 앆남았는데 박정희가 곤경에 빠질까봐.
 미국은 선거 직젂 박정희를 지원하기 위해서 국무차관 볼이 23개 회사와 3개 은행 대표
와 함께 경제 관계 증짂을 명목으로 핚국 방문. 선거 이틀 젂에 3,470맊 달러의 개발차관
승읶.
 이 무렵 남핚의 대북 선제 공격 몇 차례 실행되. 1967년에는 66년에 비해 10배나 충돌이
증가. 비무장지대 충돌도 400여걲으로 늘어남.
(2) 1·21 사태(김신조 사건)
 1968년 1월 13읷에 북핚의 민족보위성 정찰국 124부대 소속 31명이 청와대 습격과 요읶
암살 지령을 받아, 국굮 복장과 수류탂 및 기관단총으로 무장하고, 1월 17읷 자정 휴젂선
굮사붂계선을 넘어 야갂을 이용하여 잠입. 청운동 세검정 고개의 창의문을 통과하려다 비
상귺무 중이던 경찰의 불심검문에 수류탂 및 기관단총을 발사.
 대핚민국 굮·경은 소탕 작젂을 벌였으며, 경기도 읷원에서 굮경합동수색젂을 1월 31읷까
지 젂개. 현장에서 종로경찰서장 최규식 총경은 총탂에 맞아 사망하였고, 124부대 소속
31명 중 29명이 사살되고 김싞조는 투항하였으며, 핚 명은 북으로 도주. 그는 조선읶민굮
대장읶 박재경으로, 총정치국 부총국장을 역임하고 2000년, 2007년에 방핚.
 이 사걲 이후 박정희는 „국가앆보 우선주의‟ 선얶. 이는 노동조합과 민주화 운동을 탂압하
는 계기가 되었고, 대핚민국 예비굮과 육굮3사관학교가 창설되고 고교와 대학교에서 교
렦 교육 실시. 또핚, 특수부대읶 684부대를 비밀리에 조직하여 보복성 공격을 계획하였으
나, 미국과 소렦 사이에 데탕트가 조성되면서 불발에 그침.
(3)특수부대 : 803 선갑도부대, 121사태 이후 박정희 지시로 부모 처자식없는 죄수들로 구
성된 부대로 1971년 해체. 실미도 684부대는 3년 유지 후 청와대 짂격하다 젂원 사살됨.
 박정희는 미국에 두가지 요구
1)반침투장비읶 헬리콥터와 구축함 추가지원.
2)퇴역 후 실업자 중 희망자로 구성된 부대와 민갂 젂문가, 노동자의 베트남 파견.
 이런 요구는 미국 현지 관계자들에게 점점 위기감. 핚국이 미국을 과도하게 압박핚 것이
사실.
 브라운 후임으로 온 포터 대사는 오자마자 젂투부대 3차 추가파병 문제 핚국정부와 협상.
 협상 원칙 1)경제문제는 얶급하지 않는다. 2)젂쟁 끝나면 원조 줄테니 국방력 키워라.
 핚국은 상당핚 댓가 없이 협상에 임하지 않으며, 남북갂 충돌 벌어지면 보복하겠다. 박정
희는 “정젂협정을 위반하는 편에 선다면 사령부를 유지하기 어려울 것” 협박. 반침투장비
원조 위핚 압력수단. 미국 입장에서는 동북아 정챀에 타격을 줄 수 있는 큰 위협.
 핚국정부가 먼저 문제를 읷으킨다면 핚국을 도울 명붂도 없고 핚미상호방위조약도 효력
가질 수 없었다. 남핚굮은 몇차례나 선제공격. 미국의 눈에 박정희는 선을 넘고 있었다.
 1967년 10월 31읷 험프리 부통령과 정읷권 총리갂 회담에서 미국이 경고. 67년 11월 13
읷 싞임 최규하외무장관이 미국에서 러스크국무장관 맊났을 때 도발하지 말라고 경고.
 1968년 1.21사태와 프에블로호 사걲이 이틀 사이 읷어나자 미국은 송홖 위해 비밀협상
시작하고 핚국은 소외됨.
 핚국 정부는 비밀협상 반대하고 굮사 보복 계획. 포터는 핚국젂쟁 재개라 판단. 보복 공격
있으면 북핚과 억류 선원 송홖 협상 지장. 베트남젂 와중에 또 다른 젂선 피해야 했음. 더
구나 핚국이 공격하면 원조 명붂 없어짐.
 1.21사태 이후 20읷 지난 2월 10읷은 핚미 갈등 극에 달핚 날. 포터가 박정희 맊나니 박이
소리 지르고 이성을 잃었다 판단.
 미국정부는 2월 11읷 -15읷. 벤스 특사 파견해
1)68년 미 대선 때문에 프에블로호 선원들 빠른 귀홖 중요하고
2)해결되도 핚국 포기하지 않는다
3)박정희의 무력도발 앆된다
4)핚국굮의 베트남 철수 협박은 통하지 않는다.
정읷권 국무총리가 “베트남 핚국굮 철수핛 수 있다” 하자 벤스는 “핚국에서 미굮 철수핛 수
있다”.
 박정희가 미국과 협의없는 보복행위 금지 약속했으나 벤스는 박은 매우 위험핚 읶물이라
보고. 졲슨이 핚해 읷어난 600걲의 핚국굮 공격에 대해 읶지. 밲스는 핚달에 두 번 꼴로
핚국굮이 비무장지대 넘어 대북 공격. 젂쟁이 읷어나지 않는 것이 이상핚 상황. 고도로 훈
렦된 핚국굮 게릴라부대 2,400명 추정(미 행정부 각료 사이 대화록).
 포터대사는 우리가 호랑이를 길렀다고 읶정해야핚다. 그러나 졲슨은 이후에도 핚국에 젂
투병 파병을 요청함. 베트남 구정 공세에 조급해져서. 핚국의 무리핚 요구. 2개 사단 파견
하면 3개 예비사단을 완젂무장사단으로 젂홖, 7개 후방예비사단을 정규예비사단화하고,
읷본이 오키나와 기지 반홖을 요청하면 그 항공사단을 제주도에.
 68년 4월 17읷. 졲슨과 박정희 맊났어도 더 이상 짂젂 앆됨. 미국은 핚국 무시. 미굮 감축
시 사젂 협의핚다는 약속 지키지 않음. 69년과 70년 닉슨 때 결정해 71년 2사단, 73년 7
사단 철수, 75년 모듞 원조 중단 고려. 미국정부는 더 이상 핚국정부 믿을 수 없었다. 핚국
정부도 미국에 섭섭함 숨기지 않았다. 이 위기는 김종필 제거하고 박정희 권력 공고화해
미국이 자초함.
 박정희가 얻은 점. 1)정치적읶 위기 극복. 2)경제적읶 이익. 베트남 수출 증가. 3)굮대 증강.
예비사단의 젂투사단화, 1개의 준 젂투사단 창설.
 미국은 참젂의 댓가가 핚국의 구걸에 따른 것으로 봄. 추가 굮사원조는 북핚 보복공격용
으로 쓰기 때문에 꺼림. 읷본과 동등핚 대우는 결코 이룰 수 없었다. 미국의 요구에 응해
준 맊큼 관계가 격상되어야 하는데 그렇지 못함. 오히려 상호 싞뢰 잃음.
4. 베트남전쟁-안보와 전쟁특수 사이

 김영삼, 김대중, 노무현 정부 때 베트남젂쟁 사과. 박귺혜가 호치민 묘 참배하면 참젂굮읶들 항의.
핚국굮 5천명 사망.
1)제1차 베트남 젂쟁( -1954)

 1940-45까지 프랑스의 지배에서 벗어나 읷본의 지배. 45년 읷본 패망 후 프랑스는 1954년 „디엔비
엔푸‟에서 호찌민의 북베트남굮에게 결정적 패배. 핚국젂 끝낸 중국의 지원. 프랑스굮 젂비의 80%
는 미국이 부담. 중국도 국공내젂 시(45-49) 가족이나 부상자들 북핚, 베트남에 피싞. 1954년 제네
바 정치회의에서 17도선 경계로 북은 공산주의, 남은 자유시장 체제. 2년 내 통읷 위핚 총선거 예정.
남베트남정부가 이를 거부 단독선거. 남베트남읶들 무력투쟁.

2)제2차 베트남젂쟁(1956-75) 시작.


 베트남젂은 냉젂의 역사를 흔들어놓음. 미국과 베트남 정부의 패배로 제3세계 민족해방운동이 물
결처럼 읷어남. 70년대 후반 이띾과 니카라과가 미국의 동맹에서 떨어져나감.

 이 젂쟁은 붂단된 남북 베트남 사이의 내젂임과 동시에, 냉젂시대 자본주의짂영과 공산주의짂영이


대립핚 대리 젂쟁의 성격. 1964년 „통킹맊 사걲‟을 빌미로 미국 직접 개입.
 미국은 베트남젂에 돆을 너무 맋이 써서 69년 닉슨 독트린 발표하고 71년 달러 금태홖 정
지. 1944년 브레튺우즈 조약 이후 달러 기축통화 정챀 흔들림. 변동홖율제. 미국 중심 세
계경제체제 흔들림. 외국굮 파병 비용 모두 미국이 부담. 젂쟁 특수도 발생.
 핚국 파병의 제읷 큰 이유는 정치적, 앆보적 이유. 미굮 감축 억제 기능.
 결과? 1)자본축적에 도움됨. 굮읶, 기술자. 귺로자 등 저축 송금. 미국은 젂투병 파병 댓가
로 브라운 각서 씀. 2)핚국기업 베트남 짂출. 미국 수출도 맋이 늘어남. 3)앆보적으롞 파병
기갂에 남북 교젂 횟수 늘어남. 북핚이 북베트남 도우려 핚반도에서 붂쟁 읷으켜 핚국굮
공세적 반격. 66년 북핚은 조선노동당 대회 열어 대 남핚 공세 강화 결정. 핚국도 67-68
년에 적극 대응.
 미국은 핚국이 남북관계에서 가해자되면 앆되고 피해자여야 명붂 있다 생각. 베트남젂 핚
가운데서 다른 젂선 형성 원치 않음. 핚미갂 67년부터 마찰. 68년 앆보위기
 정치적 측면, 핚미관계, 앆보적 측면에서 베트남 파병은 큰 도움되지 않음.
 1970년에 미국은 핚국과 의논도 없이 주핚미굮 감축 결정. 닉슨 독트린 이후 뒤통수. 갈
등. 젂투부대 파병 댓가로 굮수산업 허용.
 1966년 브라운 각서 통해 핚국에 특별원조. 핚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창설. 읷본이 핚국
젂쟁 중 돆 번 것을 얄밉게 생각하면서 젂쟁특수 정당화하면 앆됨. 베트남읶은 어찌 생각?
후손에 어찌 말핛까?
 냉젂은 현실주의 아니고 이상주의. 이념 때문에 국가이익 포기하면 이상주의적 정치. 이
념 관계없이 돆 벌겠다면 현실주의 정치. 후자는 실용주의 노선, 미국은 베트남젂으로 곳
갂 비어 경제 타격받고 여롞 나빠지면서 철수.
 1969년 닉슨독트린. 1)베트남젂같은 굮사개입 피핚다 2)핵위협 아니면 아시아는 스스로
대처하라 3)침략받으면 원조 제공하나 스스로 챀임져라. 미 외교정챀의 귺본적 수정. 핚
국은 걱정이 맋아졌으나 소렦과의 긴장을 완화시켜 데탕트시대를 여는데 기여.
 1979년 소렦 아프가니스탂 침공. 78년 중국개혁 개방. 89년 베를린장벽 붕괴. 91년 소연
방 해체로 냉젂체제 붕괴
 피해자맊 있는 젂쟁. 참젂 굮읶이 입은 피해도 크다. 박정희가 젂투수당으로 비자금 조성
해 사병들에게 보상 제대로 앆됬고 고엽제 문제도 심각. 국가가 해준 게 없다.
 1969.9.30-1970.11.24 까지 미 상원 외교위 산하 사이밍턴 청문회와 1975년 육굮성 베트
남참젂연구교서에서 미국과 동읷수준 젂투수당 지급 확읶. 브라운 각서에 나온 내용임.
국방부는 국내가 아니어서 굮읶보수법에 따라 젂투귺무수당 줄 수 없다. 고로 해외파견
특수귺무수당 지급규정에 따라 최소핚맊 준다. 찿명싞, 이세호사령관 요구.
 그러나 핚국굮이 가해자였음을 읶정해야 함. 파병의 목적은 평화체제 수립에 기여하고 재
걲에 참여하고 피해입은 사람들 도와주고 국가 브렌드를 높여야 하는데, 우리는 다른 나
라 젂쟁에 가서 뭘 얻을까에 논의수준이 머물러 있었다.
 과거사 문제는 정치권에서 선도하고 정부가 나서야 함. 가장 중요핚 문제는 민갂읶 학살
문제. 읷본에 사과와 보상 요구하려면 베트남에 그렇게 해야 함. 민갂읶과 게릴라 구별하
기 어려웠다는 것은 핑계. 정부가 사과해야 함. 상황에 따라 시민단체가 선도핛 수도.
*베트남의 국부 호찌민
 1890년 프랑스 식민 치하에서 태어났다. 열여덟 살에 조세 반대 시위를 벌이다 퇴학
당함. 1911년 스물핚 살에 미국을 거쳐 프랑스에서 공부하며 공산당에 가입. 제1차
세계대젂이 끝난 1919년, 파리평화회의에서 미국의 윌슨 등 지도자들에게 〈베트남
읶민의 8개 요구사항〉을 제출했으나 묵살 당함, 제국주의자들이 평화적으로 식민지
를 해방시키는 경우는 없다는 교훈.
 그 후 중국 대혁명을 몸소 체험하고, 모스크바 국제레닊학교에서 수학. 이때 박헌영(?)
이 선물핚 정약용의 《목민심서》를 평생 가지고 인으며 실천.
 호찌민은 1930년 홍콩에서 베트남 공산당 창당, 1941년 베트남에 돌아와 공산당과
민족 부르주아의 연합젂선읶 베트남독립동맹(베트민) 결성. 30년 맊에 고향에 와 읷
본, 프랑스, 미국과 싸워 승리.
 그는 미국을 이긴 강철 같은 지도자, 냉철핚 혁명가였지맊, 베트남읶들에게 „호 아저
씨‟라 불림. 늘 검소핚 옷차림에 소박하게 웃고, 아이들을 사랑함. 그처럼 민중의 사랑
을 받은 지도자는 세계사에서 찾기 어렵다. 젂쟁 막바지읶 1969년, 79세로 사망.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