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1

<역사> 학습지(04차시 ) 10학년 ( ) 반 ( ) 번 이름 ( )

단원 Ⅱ-2 동아시아의 변혁과 근대적 개혁의 추진 교과서 : 101-103쪽


학 습 ·개항 이후에 추진된 개화 정책과 그에 대한 반발에 대해서 파악한다.
목 표 ·임오군란이 일어난 원인과 전개 과정을 정리한다.
3 개화 정책을 둘러싸고 갈등이 일어나다

1. 개화 정책의 추진 (101쪽)

배경 강화도 조약 이후 일본에 ( ) 파견 → 개화 정책의 필요성 인식


개혁 기구 설치: ( ) → 개화 정책을 총괄하는 핵심 기구
군사 제도: 5군영을 2영(무위영, 장어영)으로 통합 → 신식 군대인 ( ) 창설(일본인 교관 초빙)
시찰단 파견
추진
- 조사 시찰단: 박정양 등을 일본에 파견 → 일본의 제도, 법률, 공장 등 견학
-( ): 김윤식 등을 청에 파견 → 무기, 화약, 기계 제조법 등 학습 → 이후 ( ) 설치
- 보빙사: 미국과 수교 이후 답례 사절단으로 파견

2. ( ) 운동의 전개(102쪽)

목적 ( )적인 사회 질서(정)를 호위(위)하고 사악한 ( )(사)을 배척(척)


구분 상황 주장 내용
1860년대 서양의 통상 요구 척화 주전론 통상 수교 거부 정책 지지
전개
1870년대 일본의 개항 요구 ( ) 일본의 개항 요구 반대
1880년대 개화 정책 추진, "조선책략" 유포 개화 반대 개화 정책 추진 반대

3. ( )(103쪽)

개항 이후 사회 불안: 백성 생활 파탄(일본으로의 곡물 유출), 개화 정책 추진을 위해 세금 증가


배경
→ 일반 백성의 불만 고조
구식 군인에 대한 차별 및 급여 미지급 → 13개월만에 지급된 급여(쌀)에 겨와 모래를 섞어줌
→ 분노한 구식 군인의 폭발(임오군란의 시작) → 정부 고관 및 일본인 교관 살해, 일본 공사관 공격
전개
→ 왕비 피신 → 흥선 대원군 재집권 → 개화 정책 중단(별기군 해산 등)
→ 청 군대의 개입 → 흥선 대원군을 청으로 납치 → 구식 군인을 무력으로 진압

4. 청의 내정 간섭

배경 임오군란 진압 이후 조선을 식민지로 만들려는 의도


( ) 체결: 청이 조선의 종주국임을 강요, 조선에 대한 경제적 침투 허용
내용 군사적 간섭: ( ), 마건상을 군사 고문으로 파견
외교적 간섭: 묄렌도르프를 외교 고문으로 파견

* 일본과의 관계 변화
- 배경: 일본 공사관 공격을 구실로 ( ) 체결 강요
- 내용: 일본에 막대한 배상금 지불, 일본 공사관 호위를 명목으로 ( ) 허용

§ 문제 풀이
1. 위정척사 운동의 의미에서 "정"에 해당하는 것과 "사"에 해당하는 것을 적으시오.
"정": "사":
2. 임오군란 이후 조선에서 언제든지 청-일본 사이의 전쟁이 벌어질 수 있게 된 이유를 서술하시오.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