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10

大 韓 土 木 學 會 論 文 集 地 盤 工 學

第30卷 第3C 號· 2010年 5月


pp. 149~158

변단면 단일 현장타설말뚝의 소성힌지 영향분석


Analysis of Plastic Hinge on Pile-Bent Structure with Varying Diameters

안상용*·정상섬**·김재영***
Ahn, Sangyong·Jeong, Sangseom·Kim, Jaeyoung

·····························································································································································································································

Abstract
In this study, the behavior of Pile-Bent structure with varying diameters subjected to lateral loads were evaluated by a load
transfer approach. An analytical method based on the beam-column model and nonlinear load transfer curve method was pro-
posed to consider material non-linearity (elastic, yielding) and P-∆ effect. For an effective analysis of behavior Pile-Bent struc-
ture, the bending moment and fracture lateral load of material were evaluated. And special attention was given to lateral behavior
of Pile-Bent structures depending on reinforcing effect of materials and ground conditions. Based on the parametric study, it is
shown that the maximum bending moment is located within a depth (plastic hinge) approximately 1~3D (D: pile diameter)
below ground surface when material non-linearity and P-∆ effect are considered . And distribution of the lateral deflections and
bending moments on a pile are highly influenced by the effect of yielding. It is also found that this method considering material
yielding behavior and P-∆ effect can be effectively used to perform the preliminary design of Pile-bent structures.
Keywords : Pile-bent structure, plastic hinge, yielding, lateral load

·····························································································································································································································

요 지
본 연구에서는 말뚝재료의 항복거동 및 기하학적 비선형 거동인 P-∆ 효과를 고려한 변단면 단일 현장타설말뚝의 거동특성
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실제 시공된 현장타설말뚝에 대한 말뚝재료의 균열 휨모멘트 및 균열 수평하중을 산정하였고,
국내·외에서 적용하고 있는 대표적인 수평변위 기준과의 비교분석을 수행하였다. 또한 구조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설계
자료를 토대로 재료 및 지반조건을 반영한 현장타설말뚝의 거동을 예측하여 변단면 설계의 타당성을 검토하였다. 분석 결과,
재료의 항복거동과 P-∆ 효과 고려시, 이를 고려하지 않는 경우와 비교하여 최대 모멘트가 지표면 부근에서 발생하여 소성힌
지 위치에 영향을 주는 것을 나타났으며, 말뚝의 재료파괴는 주로 기둥부의 단면적이 작은 말뚝-기둥 접합부에서 발생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주로 말뚝이 수평변위 기준에 도달하기 전에 재료의 파괴가 먼저 발생하기 때문에 말뚝의 항복효
과를 고려해야 함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 결과, 변단면 단일 현장타설말뚝의 설계 시 불확실성을 고려하여 지지력을 과소
평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말뚝재료의 항복거동 및 기하학적 비선형 거동인 P-∆ 효과를 고려한 해석기법을 통하여
거동특성을 정확히 예측한다면 경제적인 설계가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핵심용어 : 단일 현장타설말뚝, 소성힌지, 재료항복, 수평하중

·····························································································································································································································

1. 서 론 하고 있다.
단일 현장타설말뚝은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기둥-캡-말뚝의
최근 도심지 및 해상에 도로, 교량, 경전철 등의 시공이 3가지 요소로 구성되는 구조형식과는 달리 말뚝캡(pile cap)
빈번해지고 소음·진동 등에 따른 민원 증가로 기존 항타 없이 말뚝과 기둥을 단일부재로 사용하는 일체화된 기초이
말뚝 대신 현장타설 말뚝의 시공이 증가되고 있으며, 구조 다. 기존의 군말뚝기초공법에 비하여 말뚝 갯수가 줄어 시공
형식에 있어서도 상부구조와 하부기초의 일체화된 해석과 이 간편하고 공기 단축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교각과
설계가 국내·외적으로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경 기초의 철근배근 등 연결 상세에 따른 시공상의 문제점이
량하중을 받는 교각기초의 경우에는 기초하부에 말뚝캡이 발생하지 않으며, 횡방향 하중에 대하여 유연한 거동이 가능
없는 단일 현장타설말뚝(Pile-Bent, Single Column/Shaft, 하여 내진저항능력이 우수하다. 반면에 구조상 풍하중, 온도
Cast-In-Drilled-Hole Shaft/Column)으로 대체하는 방법이 하중, 충격하중, 지진하중 등에 의해 큰 수평하중을 받으면
최근에 연구되고 있으며 실구조물에 적용하는 사례가 증가 상당한 수평변위량이 예상되므로 단일 현장타설말뚝의 횡방

*정회원·(주)대우엔지니어링 인프라사업본부 상무 (E-mail : koen@dweng.co.kr)


**정회원·교신저자·연세대학교 사회환경시스템공학부 교수·공학박사 (E-mail : soj9081@yonsei.ac.kr)
***연세대학교 사회환경시스템공학부 박사과정 (E-mail : kiykiy222@yonsei.ac.kr)

第30卷 第3C號 · 2010年 5月 − 149 −


향 거동에 관한 정밀한 검토가 필요하다. 안을 제안하였으며, 손혁수 등(2005)은 단일 현장타설말뚝의
기둥부와 말뚝부의 단면이 동일한 단일 현장타설말뚝은 말 횡구속 철근에 의한 최적 단일 현장타설말뚝의 설계법을 제
뚝부와 기둥부의 강성에 큰 차이가 없어 모멘트 분포가 완 안하였고, 정상섬 등(2006, 2008)은 단일 현장타설말뚝의 수
만하며 최대 휨모멘트 발생위치는 지표면에서 말뚝직경(D) 평거동특성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1~3배 정도 깊이 정도로 보고되고 있는데, 이와 같이 단면 본 연구에서는 십여 년의 연구성과를 토대로 p-y 해석기법
력이 일정한 경우 소성힌지(plastic hinge)의 발생위치는 최 을 기반으로 하는 새로운 단일 현장타설말뚝 해석프로그램
대 휨모멘트 발생위치가 된다. 그러나 이처럼 소성힌지가 지 인 PY-Shaft(정상섬 등, 2006)를 개발하였다. PY-Shaft는 지
중에 발생되는 경우 유지관리가 곤란하므로, 최근에는 소성 반의 비선형성뿐만 아니라 말뚝재료의 항복효과와 재료의 기
힌지를 지상부로 유도하기 위하여 지상부 기둥의 직경을 말 하학적인 변형을 나타내는 P-∆효과를 고려하였다. 말뚝재료
뚝 직경보다 작게 설계하여 지상부 기둥의 단면력을 작게 의 항복을 고려한 비선형 거동을 모사하기 위하여 휨 모멘트
하거나, 지중부 말뚝의 상단부위를 강관 등으로 보강하여 단 로 인한 일정한 곡률(κ)을 갖는 보 요소에 Hook 법칙과 보
면력을 증가시키는 단일 현장타설말뚝의 시공이 많이 이루 (beam) 이론을 적용하여 얻은 M/EI=κ 관계로부터 Moment-
어지고 있다. 이와 같은 변단면을 가지는 단일 현장타설말뚝 EI의 상관관계를 산정하였으며, 여기에 각각 콘크리트 및 철
은 휨모멘트의 변화로 인해 동일한 직경의 말뚝에 비해 소 근의 응력-변형률 관계곡선을 적용하였다.
성힌지의 형성길이가 상대적으로 짧아지고 그 결과 콘크리 교각에 수평하중이 작용하면 휨 모멘트 이외에 수평변위가
트의 압축파괴가 빨리 발생하여 소성회전 능력이 감소되며, 발생하여 수직하중에 의한 휨 모멘트가 추가적으로 발생하
소성변형이 발생하는 경우 연성능력이 감소되어 상대적으로 는데 이를 P-∆효과라 하며, 대부분의 설계기준에서는 장주에
취성적(brittle)인 거동과 큰 변위가 예상된다. 그러나 변곡점 대하여 모멘트 확대계수법 등을 적용하여 단기 극한하중에
의 유무나 변단면에 따른 소성힌지의 위치 변화에 대한 영 의한 P-∆ 효과를 고려하도록 제안하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향은 아직 의견이 분분한 상태(정상섬 등, 2007; 성철규, 설계기준은 수식이 간단하다는 장점이 있는 반면, 철근비, 편
2008)로서, 단일 현장타설말뚝의 소성힌지 발생지점에 대한 심 등 극한하중에 영향을 주는 요소들을 효과적으로 반영하
상세 검토가 필요한 실정이다. 지 못하고 과소 또는 과대평가하는 경향을 보이며, 이로 인
이에 본 연구에서는 단일 현장타설말뚝의 해석프로그램인 하여 실제 단일 현장타설말뚝의 비효율적인 설계가 이루어
PY-Shaft ver 1.0을 이용하여 변단면을 가지는 단일 현장타 질 가능성을 내재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그림 1과
설말뚝의 거동특성을 분석하고, 실제 시공이 이루어진 변단 같이 보-기둥 요소의 자유도와 부재력-변위관계로부터 P-∆
면을 가지는 단일 현장타설말뚝의 설계자료를 토대로 재료 효과를 고려할 수 있는 6×6 기하강성행렬을 구성하여 실제
및 지반조건을 반영한 거동을 예측하여 변단면 설계의 타당 거동과 유사한 형태의 기하학적인 비선형 거동을 분석하였
성을 검토하였다. 이를 위하여 말뚝재료의 균열 휨모멘트 및 다. 여기서 KE와 KG는 각각 탄성강성행렬과 P-∆효과를 나
균열 수평하중을 산정하였으며, 국내외에서 적용하고 있는 타내는 기하강성행렬이다.
대표적인 수평변위 기준과의 비교분석을 수행하였다. 그림 2는 본 연구에서 이용한 PY-Shaft의 해석 알고리즘(
정상섬 등, 2006)을 나타낸다. PY-Shaft는 크게 수직하중을
2. 단일 현장타설말뚝의 기존 연구 받는 말뚝의 해석부분과 수평하중을 받는 말뚝의 해석부분
으로 나눌 수 있다. 수직하중을 받는 말뚝의 해석에서는 처
지난 수 십년동안 단일 현장타설말뚝 구조물과 거동특성이 짐량과 말뚝의 내부부재력을 얻을 수 있으며, 이 때 계산된
유사한 단독말뚝과 군말뚝의 수평거동에 대해 많은 시험과 연 내부부재력은 횡하중을 받는 말뚝의 해석결과에 영향을 미
구가 있어 왔다. 수평하중을 받는 말뚝 거동에 대한 해석방법 치게 된다. 지반의 하중전이곡선은 선형 및 비선형을 모두
으로는 대표적으로 Broms법(Broms, 1964a and 1964b), 탄성 고려할 수 있으며 비선형인 경우 그림 2와 같이 변위가 수
법(Poulos 1971a and 1971b)과 p-y해석법(Matlock, 1970; 렴할 때까지 반복계산을 수행한다.
Reese, 1977; Murchison and O'Neill, 1984; 정상섬, 2001)
등이 있다. 이중 p-y해석법은 해석절차가 간편하여 수평하중을
받는 말뚝의 해석을 위해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상하부가 일체화된 단일 현장타설말뚝 형식의 교량 말뚝기
초를 모델링하는 방법으로 FHWA(1987)는 등가 캔틸레버
모델, 등가 스프링 모델, 등가 지반 스프링 모델의 3가지
방법을 제시하고 있으며, Caltrans Ver 1.4 (2006)에서는 지
진하중을 받는 교량 기초에 대한 기준을 제시하고 있다.
국내의 경우 교량에서 대구경 현장타설말뚝의 사용이 빈번
해지면서 실험적인 연구가 조성한(1999), 전경수(2000)등에
의해 수행되었으며, 함홍규(2002), 설훈일(2008) 등이 암반에
근입된 대구경 현장타설말뚝의 지지력에 대한 분석을 하였
다. 또한 이풍희(2003)는 단일 현장타설말뚝에 대한 설계방
그림 1. 보-기둥 요소의 자유도와 6×6 강성행렬

− 150 − 大韓土木學會論文集
그림 2. PY-Shaft 해석 알고리즘(정상섬 등, 2006)

第30卷 第3C號 · 2010年 5月 − 151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지중부 말뚝에서 최대 휨모멘트가 발
생하는 지점과 기둥부-말뚝부 접합부에서 휨모멘트 변곡점이
발생하는 지점을 변단면을 가지는 단일 현장타설말뚝의 위
험단면으로 선정하여 해당 지점의 균열모멘트 및 균열하중
을 산정하였다. 이를 위하여 기둥단면 해석프로그램
“Response 2000”을 이용하여 균열모멘트를 산정하였으며 본
해석프그램인 PY-Shaft의 하중-모멘트 관계로부터 균열하중
을 계산하였다. 이를 위한 해석단계는 다음과 같다.
(1) Response 2000을 이용하여 시험말뚝의 재료물성을 토
대로 균열모멘트를 산정한다.
그림 3. 변단면 단일 현장타설말뚝의 깊이별 휨 모멘트 양상 (2) PY-Shaft를 이용하여 시험말뚝의 수평하중에 따른 깊
이별 모멘트를 산정한다.
3. 변단면을 가지는 단일 현장타설말뚝의 파괴특성 (3) (2)단계로부터 산정된 결과로부터 수평하중에 따른 최
대 휨모멘트(Mmax)를 구하고, 회귀분석을 통해 관계식을 산
3.1 말뚝 재료의 균열모멘트를 통한 균열수평하중 산정 정한다.
캘리포니아 연방도로국(California department of trans- (4) (3)단계에서 산정된 관계식과 (1)단계에서 계산된 균열
portation, Caltran)에서 작성된 seismic design criteria ver1.4 모멘트로부터 균열 수평하중을 계산한다.
(2006)에 따르면 변단면을 가지거나 말뚝 상부에 케이싱으로 변단면을 가지는 단일 현장타설말뚝의 수평변위 기준 적용
보강한 단일 현장타설말뚝의 경우 그림 3과 같이 말뚝-기둥 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경기도 인천 00지역에서 실제 설계·
의 강성 차이로 인하여 말뚝-기둥 접합부에 변곡점이 발생되 시공중인 변단면을 가지는 단일 현장타설말뚝 9본을 선정하
며, 소성힌지는 말뚝-기둥 접합부의 균열모멘트 감소에 따라 였다.
최대 휨모멘트가 발생하는 지중부 말뚝 상단부위가 아닌 지 본 연구에 사용된 단일 현장타설말뚝은 표 1에 나타난 바
상부 기둥 하단부위에서 발생한다고 보고되고 있다. 이는 앞 와 같이 말뚝직경이 2,000~2,500mm으로 대구경이고 말뚝길
서 기술한 바와 같이 소성힌지 부위가 지상부에 발생하므로 이(L)가 42~53m정도의 장대말뚝이다. 기둥부위의 직경은 말
눈으로 확인 가능하여 유지·보수가 용이한 반면, 소성힌지 뚝직경보다 작은 1,500~2,200mm이며, 길이는 8~12m 정도
의 형성 길이가 상대적으로 짧아져 콘크리트의 압축파괴가 이다. 본 연구에 적용된 변단면 단일 현장타설말뚝의 기둥
빨리 발생하여 소성능력이 감소되고 상대적으로 취성적 상부에 작용하는 설계하중(수직하중, 모멘트 하중, 수평하중)
(brittle)인 거동이 예상된다. 은 표 1에 요약하여 나타냈으며, 이와 함께 말뚝에 적용된

표 1. 해석에 사용된 말뚝 설계조건


말뚝부 기둥부 설계하중* 콘크리트 물성 철근 물성
Pile 압축 단위 탄성 피복 탄성 항복
No 직경 길이 직경 길이 수직 수평 모멘트 강도 중량 계수 주철근 두께 계수 강도
(mm) (m) (mm) (m) (kN) (kN) (kN·m)
(kPa) (kN/m3) (KPa) (mm) (kPa) (kPa)
1단: H32*37ea 125
P3 2,000 50.0 1,500 7.9 7754 492 9031 2.7E+04 24.5 2.5E+07 2.E+08 4.E+05
2단: H32*32ea 225
1단: H32*44ea 125
P4 2,500 46.5 2,200 8.7 4775 544 9986 2.7E+04 24.5 2.5E+07 2.E+08 4.E+05
2단: H32*38ea 225
1단: H32*44ea 125
P5 2,500 50.5 2,200 8.7 4775 544 9986 2.7E+04 24.5 2.5E+07 2.E+08 4.E+05
2단: H32*38ea 225
1단: H32*37ea 125
P10 2,500 53.2 1,700 11.8 7116 721 9295 2.7E+04 24.5 2.5E+07 2.E+08 4.E+05
2단: H32*32ea 225
1단: H32*37ea 125
P49 2,500 52.0 1,700 12.4 7754 491 8747 2.7E+04 24.5 2.5E+07 2.E+08 4.E+05
2단: H32*32ea 225
1단: H32*37ea 125
P79 2,500 43.0 1,700 11,8 4066 721 9295 2.7E+04 24.5 2.5E+07 2.E+08 4.E+05
2단: H32*32ea 225
1단: H32*37ea 125
P80 2,500 43.0 1,700 11,8 4066 721 9295 2.7E+04 24.5 2.5E+07 2.E+08 4.E+05
2단: H32*32ea 225
1단: H32*37ea 125
P102 2,500 42.5 1,700 11,8 4066 721 9295 2.7E+04 24.5 2.5E+07 2.E+08 4.E+05
2단: H32*32ea 225
1단: H32*37ea 125
P110 2,500 47.5 1,700 11,8 4066 721 9295 2.7E+04 24.5 2.5E+07 2.E+08 4.E+05
2단: H32*32ea 225

− 152 − 大韓土木學會論文集
표 2. 해석에 사용된 지반물성 콘크리트의 일축압축강도, 단위중량, 탄성계수와 철근 종류,
심도 γt c φ Kh 탄성계수, 항복강도, 배근량을 함께 나타내었다. 이중 시험말
No 지 층 N치
(m) (kN/m3) (kN/m2) (deg) (kN/m3)
뚝 P110은 희생강관을 적용하였다.
모래 0.0~12.5 2 19 0 30 73,458
변단면을 가지는 단일 현장타설말뚝들은 점토 및 사질토
실트 12.5~27.5 5 18 100 15 21,939
지반의 상부토층을 지나 표준관입시험(SPT) N치 100이상의
모래 27.5~30.5 23 19 0 30 73,458
P3 단단한 풍화암 혹은 연암층에 근입되어 있다. 본 연구 및
실트 30.5~34.5 46 18 100 15 21,939
풍화토 34.5~44.0 100 19 15 30 276,191 실제 설계에서 사용된 각 지층별 심도 및 층후, SPT (N),
풍화암 44.0~ 100 20 30 31 592,026 단위중량, 점착력(c), 내부마찰각(φ), 수평지반반력계수(Kh) 등
모래 0.0~4.0 17 19 0 30 62,695 의 입력값들은 표 2에 나타내었다. 물성 산정을 위하여 지
점토 4.0~14.0 2 18 70 0 18,724 반조사자료 및 기존문헌에 제시된 일반적인 지반물성을 비
점토 14.0~38.0 13 18 100 0 18,724 교 분석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지반의 최대 및 최소범위의
P4 점토 38.0~40.0 22 18 100 0 18,724 물성을 통해 평균값을 적용하였다.
풍화토 40.0~42.0 45 19 15 30 235,723
풍화암 42.0~44.0 100 20 30 31 505,283 3.2 해석 결과 및 분석
연암 44.0~ 100 23 100 33 1,083,099
본 연구에서는 변단면을 가지는 9본 시험말뚝(단일 현장타
모래 0.0~3.6 14 19 0 30 62,695
설말뚝)의 재료 및 지반조건을 반영하여 말뚝-기둥 접합부와
실트 3.6~22.0 5 18 80 15 18,724
지중부 말뚝의 최대 휨모멘트가 발생하는 소성힌지 예상지
P5 점토 22.~33.7 12 18 100 0 18,724
점에서의 균열 휨모멘트 및 균열 수평하중을 산정하고
풍화토 33.7~45.7 28 19 15 30 235,723
(Response 2000 이용) 지표면 변위가 직경의 1%일 때와
풍화암 45.7~ 100 20 30 31 505,283
모래 0.0~3.6 14 19 0 30 62,695 38mm일 때의 휨모멘트와 하중 예측값을 계산하여(PY-Shaft
실트 3.6~22.0 5 18 80 15 18,724 이용) 표 3에 비교하여 나타내었다.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이
P10 점토 22.0~33.7 12 18 100 0 18,724 변단면을 가지는 단일 현장타설말뚝은 소성힌지를 최대 휨
풍화토 33.7~45.7 28 19 15 30 235,723 모멘트가 발생하는 지중부 말뚝이 아닌 지상부 기둥 하단부
풍화암 45.7~ 100 20 30 31 505,283 위로 유도하기 위한 구조이므로 이를 구분하여 균열 모멘트
모래 0.0~0.5 2 19 0 30 62,695 및 균열 수평하중을 산정하였다.
점토 4.0~18.0 3 18 56 0 18,724 해석결과, 총 9본의 단일 현장타설말뚝 중에서 5본의 말뚝
점토 18.0~33.5 16 18 100 0 18,724
(P10, P49, P79, P80, P110)은 말뚝-기둥 접합부의 균열수
P49
실트 33.5~41.5 44 18 100 15 18,724
평하중이 지중부 말뚝의 균열수평하중보다 작게 나타나 소
점토 41.5~44.5 43 18 100 0 18,724
성힌지의 지상부 유도가 적절히 이루어진 것으로 나타났으
풍화암 44.5~ 100 20 30 31 505,283
나, 나머지 4본의 말뚝(P3, P4, P5, P102)은 접합부의 균열
모래 0.0~0.5 2 19 0 30 62,695
수평하중이 지중부 말뚝의 값보다 커서 만약 파괴가 발생한
점토 0.5~14.0 4 18 50 0 18,724
점토 14.0~21.0 4 18 79 0 18,724 다면 지중부 말뚝에서 먼저 파괴가 일어나는 것으로 예측되
P79 었다. 이는 표 3과 같이 변단면을 가지는 모든 단일 현장타
실트 21.0~24.0 24 18 94 15 18,724
풍화토 24.0~35.5 30 19 15 30 235,723 설말뚝은 기둥부의 단면적이 말뚝부보다 작아 균열모멘트가
풍화암 35.5~ 100 20 30 31 505,283 기둥-말뚝 접합부에서 작게 나타나지만, 기둥부의 발생 휨모
모래 0.0~10.0 5 19 0 30 62,695 멘트가 균열모멘트에 도달하기 전 지중부 말뚝의 발생 휨모
모래 0.5~16.0 20 19 0 30 62,695 멘트가 균열모멘트에 먼저 도달하여 파괴가 발생하기 때문
모래 14.0~19.0 5 19 0 30 62,695 이다. 이와 같은 현상은 기둥부에 발생하는 휨모멘트에 비해
P80
모래 21.0~30.0 27 19 0 30 62,695 기둥부의 단면적이 상대적으로 크기 때문에 발생하며, 기둥
풍화토 24.0~35.5 50 19 15 30 235,723
의 발생 휨모멘트가 균열모멘트에 먼저 도달하도록 기둥과
풍화암 35.5~ 100 20 30 31 505,283
지중부 말뚝의 단면비를 적절하게 적용할 경우 소성힌지를
모래 0.0~7.0 2 19 0 30 62,695
지상으로 유도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실트 7.0~11.0 3 18 55 15 18,724
그림 4와 그림 5는 단일 현장타설말뚝 중에서 P5, P10
모래 11.0~17.0 15 19 0 30 62,695
P102 말뚝의 하중별 수평변위 및 휨모멘트 관계를 나타낸다. 이
점토 17.0~24.0 6 18 88 0 18,724
풍화토 24.0~35.0 30 19 15 30 235,723 때, 말뚝단면해석 프로그램인 Response 2000으로 산정된
풍화암 35.5~ 100 20 30 31 505,283 P5의 기둥(Dc=2,200mm) 및 말뚝부(Ds=2,500mm)의 균열모
실트 5.3~12.3 3 19 55 15 18,724 멘트는 각각 20,800kN-m, 22,100kN-m정도이며, P10의 기
점토 12.3~18.3 10 18 94 0 18,724 둥(Dc=1,700mm) 및 말뚝부(Ds=2,500mm)의 균열모멘트는
실트 18.3~24.3 26 18 100 15 18,724 각각 11,600kN-m, 15,600kN-m정도이다. 변단면을 가지는
P110
실트 24.3~31.3 18 18 100 15 18,724 단일 현장타설말뚝 P5의 경우 그림 4와 같이 설계하중(PL=
풍화토 31.3~45.3 50 19 15 30 235,723 544kN, PA=4,775kN, M=9,986kN-m)하에서 재료의 균열하
풍화암 45.3~ 100 20 30 31 505,283 중과 지표면 수평변위 허용 기준값을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

第30卷 第3C號 · 2010年 5月 − 153 −


났으나, 그림 4b와 같이 설계하중을 초과하여 하중이 증가한 타나 소성힌지의 지상부 유도가 이루어지지 않는 것으로 나
다면 수평하중 약 1,900kN 부근에서 지중부 말뚝에서 휨모 타났다. 따라서 소성힌지의 지상부 유도를 위해서는 지상부
멘트가 균열모멘트(22,100kN-m)에 도달하여 재료의 파괴가 기둥의 단면적을 감소시키거나 지중부 말뚝부의 보강이 필
지상부 기둥보다 지중부 말뚝에서 먼저 발생하는 것으로 나 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P10의 경우 그림 5에서 알 수 있듯

표 3. 해석결과

설계하중시 지표면 변위가 직경 1% 일때 지표면 변위가 38mm 일때


Pile 균열모멘트 균열하중
No. 구조 (kN·m) (kN) 지표면 변위 하중 모멘트 하중 모멘트 비고
(mm) (kN) (kN·m) 판정 (kN) (kN·m) 판정

접합부 9,500 1,100 8,531 OK 10,449 NG


P3 6.0 1,000 1,200
말뚝 10,700 900 11,968 NG 14,621 NG
접합부 20,800 2,300 12,433 OK 14,277 OK
P4 4.3 1,500 1,700 -
말뚝 22,100 1,820 15,585 OK 19,305 OK
접합부 20,800 2,300 14,267 OK 16,117 OK
P5 4.3 1,600 1,850 -
말뚝 22,100 1,790 19,723 OK 22,268 NG
접합부 11,600 910 15,019 NG 15,019 NG 최대변위
P10 8.4 >1,170 >1,170
말뚝 15,600 950 19,195 NG 19,195 NG 22.3mm

접합부 11,400 850 15,417 NG 15,417 NG 최대변위


P49 5.3 >1,100 >1,100
말뚝 15,100 880 19,336 NG 19,336 NG 21.1mm

접합부 12,100 980 14,053 NG 14,053 NG 최대변위


P79 7.5 >1,120 >1,120
말뚝 17,400 1,130 17,312 OK 17,312 OK 19.6mm

접합부 12,100 980 14,399 NG 14,399 NG 최대변위


P80 6.9 >1,145 >1,145
말뚝 17,400 1,130 17,729 NG 17,729 NG 20.9mm

접합부 12,100 980 14,401 NG 14,401 NG 최대변위


P102 7.2 >1,145 >1,145
말뚝 17,400 810 17,693 NG 17,693 NG 20.9mm

접합부 12,100 970 10,420 OK 13,100 NG


P110 12.7 840 1,040 -
말뚝 17,400 1,150 12,395 OK 15,559 OK

그림 4. 변단면 단일 현장타설말뚝(P5)의 수평거동 그림 5. 변단면 단일 현장타설말뚝(P10)의 수평거동

− 154 − 大韓土木學會論文集
이 설계수평하중(PL=721kN) 작용시 단일 현장타설말뚝 P10 으로 케이싱 보강 및 기둥-말뚝 직경 조건에 대한 매개변수
에 발생하는 휨모멘트는 기둥부와 말뚝부의 균열모멘트 이 연구(parametric study)를 수행하여 이에 대한 거동을 분석
내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지표면 변위 역시 수평변위기 하였다.
준(직경 1% 이내)을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본 단
일 현장타설말뚝의 경우, 수평하중(PL)이 증가함에 따라 수 4.1 케이싱 보강효과
평하중 약 1,000kN 정도에서 기둥-말뚝 접합부에서 기둥의 단일 현장타설말뚝의 경우 대부분 상하부 동일한 단면 형
균열모멘트를 넘는 휨모멘트가 발생하여 지중부 말뚝이 아 태를 이루는데 일반적인 현장타설말뚝의 경우 공벽붕괴 방
닌 지표면에서 재료의 균열발생이 예상되므로 소성힌지의 지 지용으로 강관 케이싱을 그대로 두고 시공하는 경우도 빈번
상부 유도가 적절히 이루어졌다고 판단되며, 이때(PL= 하며, 소성힌지의 지상부 유도를 위하여 지중부 말뚝 상단부
1,000kN) 발생된 최대 휨모멘트는 지중부 말뚝의 균열모멘 에 강관을 보강하는 사례도 다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트에 근접하는 것으로 나타나 경제적인 단면 설계가 되었음 그림 6과 같이 내경 2,000mm의 철근 콘크리트 말뚝에
을 알 수 있다. 20mm 두께의 케이싱을 압입심도에 따라 말뚝직경(D) 1배,
또한 본 연구의 PY-Shaft를 이용하여 소성힌지 발생이 가 3배, 5배로 분류하였으며, 대상 말뚝은 구조물 기초설계기준
능한 2개 지점에서 지표면 변위가 직경 1%일 때의 휨모멘 (2009)에서 제시한 장주를 기준으로 보강된 단일 현장타설말
트와 수평하중을 구한 결과(표 3 참조), 말뚝 3본(P4, P5, 뚝에 대한 해석을 수행하여 케이싱 보강에 따른 거동특성을
P110)의 경우에는 Response 2000으로부터 산정된 균열 모 분석하였다. 본 해석시 적용된 지반 및 말뚝재료의 입력 물
멘트와 균열하중 이내에 있어 재료의 파괴가 일어나지 않는 성값은 각각 표 4 및 표 5와 같다.
것으로 나타났으나 말뚝 6본(P3 P10, P49, P79, P80, 본 해석의 경우 말뚝의 구간별 크기 및 탄성계수가 다를
P102)의 경우에는 말뚝-기둥 접합 부위 혹은 말뚝(P3)에서 경우 각각의 단면적, 단면 2차 모멘트 및 탄성계수를 다르
균열하중을 초과하여 수평변위 기준값에 도달하기 전에 말 게 적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등가 탄성계수의 경우 탄성해
뚝재료가 파괴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변위 38mm기준 석시 식 (2)와 같이 각 재료의 탄성계수를 면적비로 적용하
으로는 P4말뚝을 제외한 모든 말뚝에서 지반파괴보다는 재 였으며, 비탄성해석시 각 재료별 응력-변형률 선도를 이용(케
료파괴가 일어나는 것으로 예측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이싱의 경우 철근의 응력-변형률 선도사용)하여 그림 6과 같
수행한 바와 같이 말뚝재료의 비선형성을 고려하여 말뚝의 이 각 단면을 분할하여 곡률에 의한 M-EI 산정법을 이용하
소성힌지 발생지점에서의 휨모멘트를 산정하고 말뚝의 재료 였다.
파괴 가능성을 파악하지 않고, 탄성해석과 수평변위 기준만
E c Ac + Er Ar + E s A s
으로 변단면 단일 현장타설말뚝을 설계한다면 위험소지가 있 E = --------------------------------------------
Ac + Ar + As
(2)
는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본 연구의 PY-Shaft를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설계하 여기서, Ec, Er, Es = 콘크리트의 탄성계수, 철근의 탄성계수,
중이 재하하였을 경우 예상되는 수평변위는 약 4.3~12.7mm 케이싱의 탄성계수
정도로 현재 국내에서 적용되고 있는 말뚝직경(D) 1% 이내 Ac, Ar, As = 콘크리트의 단면적, 철근의 단면적, 케
허용기준을 모두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중 P110를 이싱의 단면적
제외한 나머지 단일 현장타설말뚝들의 경우, 설계하중에 의 케이싱 보강심도에 따른 지표면 및 교각 상부에서의 수평
해 발생되는 수평변위 예측값이 D 1% 수평변위(20~25mm)
을 기준으로 약 20~35%정도에 불과하다. 이는 변단면을 가
지는 단일 현장타설말뚝의 설계상 불확실성을 고려하여 지
지력을 너무 과소평가하고 있는 것으로 유추할 수 있다. 따
라서 단일 현장타설말뚝의 거동특성을 이해하고 이를 정확
히 예측할 수 있도록 설계 능력을 향상한다면 공기 및 비용
을 크게 단축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4. 변단면을 가지는 단일 현장타설말뚝의 수평거동


특성

본 연구에서는 변단면을 가지는 단일 현장타설말뚝을 대상 그림 6. 케이싱으로 보강된 단일 현장타설말뚝 및 지반조건

표 4. 해석에 사용된 지반 물성값


지반조건 하중전이 γ(kN/m3) c(kPa) φ(o) Kh(kPa/m) ε50 qu(kPa)
Soft Clay Reese 17.6 40 - 27,000 0.01 -
Loose Sand Reese 18.1 - 32 10,000 - -
Weathered Rock Bi-linear 20.9 - - 373,026 - 6,000
Hard Rock Bi-linear 22.6 - - 2,108,410 - 25,000

第30卷 第3C號 · 2010年 5月 − 155 −


표 5. 해석에 사용된 말뚝재료 물성값
단일 현장타설말뚝
구 분
concrete steel casing
Young's Moulus (kPa) 2.3×107 2×108 2×108
일축압축강도 (kPa) 27,600 414,000 414,000
Rebar 면적 (mm2) - 철근비 1% -
피복두께 (mm) 75 - -
두께 (mm) - - 20mm

표 6. 케이싱 심도에 따른 수평변위 감소율


pile top pier top
구분
보강심도 w/o with w/o with
P-∆ P-∆
yielding yielding yielding yielding
무보강 수평변위(m) 0.0189 0.0549 0.0707 0.213 0.784 1.010
수평변위(m) 0.0179 0.0367 0.0374 0.210 0.435 0.451
1D
감소율 5% 33% 47% 2% 45% 55%
수평변위(m) 0.0167 0.0181 0.0180 0.190 0.298 0.314
3D
감소율 12% 67% 75% 11% 62% 69%
수평변위(m) 0.0143 0.0125 0.0123 0.178 0.271 0.287
5D
감소율 24% 77% 83% 16% 65% 72%

그림 9. 케이싱 보강(3D)에 따른 수평변위 비교


그림 7. 케이싱 보강에 따른 교각상부의 수평변위

그림 10. 케이싱 보강(3D)에 따른 모멘트 비교


그림 8. 케이싱 보강에 따른 지표면의 수평변위
4.2 말뚝직경의 영향
변위를 그림 7과 그림 8에 도시하였으며, 표 6과 같이 케이 전술한 바와 같이 지상부 기둥의 직경을 말뚝 직경보다
싱이 없는 경우를 기준으로 하여 각각 수평변위의 감소율을 작게 설계하여 지상부 단면적을 작게하는 단일 현장타설말
나타내었다. 수평변위는 무보강에서 1D로 될 때 가장 큰 감 뚝의 시공이 최근 많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는 소성힌지의
소율을 보였으며 3D에서 5D일 때는 작은 감소율을 보였다. 형성 길이가 상대적으로 짧아져 콘크리트의 압축파괴가 빨
따라서 케이싱으로 보강할 때는 보강심도가 3D일 때 가장 리 발생하여 소성능력이 감소되고 상대적으로 취성적(brittle)
효율이 좋은 것으로 판단된다. 그림 9와 그림 10은 케이싱 인 거동이 예상되나, 소성힌지 부위가 지상부에서 발생하므
의 압입심도 3D일 때 수평거동을 나타낸다. 로 눈으로 확인 가능하기 때문에 유지·보수가 용이하다. 그

− 156 − 大韓土木學會論文集
러나 기둥/말뚝의 직경을 포함한 단면설계가 적절히 이루어
지지 않는다면 지상부 기둥의 단면력이 충분히 작아지지 않
아 소성힌지의 지상부 유도가 이루어지지 않을 수도 있으며,
지중부 말뚝의 직경이 필요 이상으로 설계될 수 있는 소지
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수평하중 500kN, 수직하중
1000kN의 하중을 동시에 받는 단일 현장타설말뚝을 대상으
로 해석을 수행하여 기둥 및 말뚝 직경에 따른 거동특성을
분석하였다. 본 해석에 적용된 단일 현장타설말뚝은 기둥길
이 10m, 말뚝길이 20m이며, 느슨한 사질토 지반에 근입되
어 있다. 지반물성 및 말뚝재료 물성은 각각 표 4 및 표 5
와 같다.
그림 11는 지상부 기둥과 지중부 말뚝의 직경이 동일한
단일 현장타설말뚝의 심도별 수평변위 및 휨모멘트(bending
moment)를 나타낸다. 해석결과, 단일 현장타설말뚝의 수평변
위는 말뚝직경이 증가함에 따라 크게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
났으나. 휨모멘트는 지중부 말뚝에서 다소 차이가 있으나 기
둥부에서는 동일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말뚝직경 변화에
따른 약간의 휨모멘트 값의 차이는 말뚝-지반 강성차에 의해
발생되는데, 이는 앞서 검토한 하중, 지반, 세장비 등의 영
향과 비교하였을 때 그 차이가 매우 미미한 것으로 나타났
다. 따라서 동일한 하중 하에서 재료의 항복이 이루어지지

그림 12. 변단면 단일 현장타설말뚝의 기둥 직경(Dc)에 따른 거동


변화 (말뚝직경 2,000mm 일정)

그림 11. 단일 현장타설말뚝의 말뚝-기둥 직경에 따른 거동변화 그림 13. 변단면 단일 현장타설말뚝의 말뚝 직경(Ds)에 따른 거동


(Ds=Dc) 변화 (기둥직경 2,000mm 일정)

第30卷 第3C號 · 2010年 5月 − 157 −


않는다면, 단일 현장타설말뚝의 휨모멘트 거동에는 직경의 없으며, 말뚝직경에 따른 영향이 다소 있으나 그 크기는
영향이 크게 작용하지 않는다고 판단된다. 크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상부 기둥직경 변화에 따른 단일 현장타설말뚝의 거동을 4. 변단면을 가지는 단일 현장타설말뚝의 설계시 불확실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지중부 말뚝직경을 2,000mm로 일정하게 고려하여 지지력을 크게 과소평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
하고 기둥부 직경(Dc)을 달리하여 해석을 수행하였으며, 이 났으며, 따라서 말뚝재료의 항복거동 및 P-∆ 효과를 고려
를 그림 12와 같이 심도별 수평변위 및 휨모멘트(bending 한 경제적인 설계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moment)로 나타내었다. 그림 12a에서 알 수 있듯이 기둥직
경이 감소함에 따라 기둥두부의 변위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 참고문헌
타났으나 지표면변위(말뚝두부)는 동일하고, 그림 12b와 같
이 심도별 휨모멘트의 변화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설훈일(2007) Load Transfer Analysis of Rock-Socketed Drilled
재료의 항복(균열)이 일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기둥부 직경 Shafts by considering Coupled Soil Resistance. 박사학위논
문, 연세대학교.
의 변화는 단일 현장타설말뚝의 거동에 영향이 크지 않는
성철규(2008) 변단면 파일벤트 구조의 수평거동 분석. 석사학위논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그림 13과 같이 지중부 말뚝직경의 문, 연세대학교.
변화에 따른 단일 현장타설말뚝의 심도별 수평변위 및 휨모 손혁수, 최인기, 강동옥, 양종호(2005) 인천대교 고가교 단일 현
멘트거동을 분석한 결과, 말뚝의 직경이 감소함에 따라 지표 장타설말뚝 기초의 설계. 대한토목학회 2005년도 학술발표회
논문집, 대한토목학회.
면 변위가 증가하고 휨모멘트가 다소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 손혁수, 서석구, 송종영, 이완수(2005) 횡방향철근의 구속효과를
났으며 이는 그림 11에 나타난 변단면이 아닌 단일 현장타 고려한 현장타설콘크리트 말뚝 설계. 대한토목학회 2005년도
설말뚝의 직경 변화에 따른 거동과 동일함을 알 수 있었다. 학술발표회 논문집, 대한토목학회.
따라서 단일 현장타설말뚝의 수평거동은 지상부 기둥보다는 이풍희, 김종흔, 전경수(2003) 단일 현장타설말뚝 기초의 설계방
안 수립. 2003 가을학술발표회 논문집, 한국지반공학회.
지중부 말뚝에 의해 지배됨을 확인하였다. 전경수(2000) 풍화암에 근입된 현장타설말뚝의 연직 및 횡방향
지지거동 분석, 박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5. 결 론 정상섬, 곽동옥, 안상용, 이준규(2006) P-∆ 효과를 고려한 Pile-
Bent 구조물의 수평거동 연구. 한국지반공학회 논문집, 한국
지반공학회, 제22권 제8호, pp. 1-12.
본 연구에서는 말뚝재료의 항복거동 및 기하학적 비선형 정상섬, 정상훈, 원진오(2001) Analysis of Pile - Cap Interaction
거동인 P-∆ 효과를 고려한 단일 현장타설말뚝의 해석기법을 by Load Transfer Approach, 한국지반공학회 논문집, 한국지반
토대로 변단면을 가지는 단일 현장타설말뚝의 거동특성을 분 공학회, 제17권 제3호, pp. 95-102.
조성한(1997), 풍화암에 근입된 현장타설말뚝의 하중전이에 관한
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실제 설계자료를 토대로 변단면을 가
연구. 박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지는 단일 현장타설말뚝의 균열모멘트 및 균열하중을 산정 함홍규(2002) Soil nail로 보강된 현장타설말뚝의 하중전이 분석,
하여 소성힌지를 예측하고 파괴형태를 분석하였다. 또한 구 석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조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케이싱 보강 조건, 기둥직경, Broms, B. (1964a) Lateral Resistance of Piles in Cohesive Soils.
Journal of Geotechnical and Geoenvirment Engineering.,
말뚝직경조건에 따른 변수연구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를 통 ASCE, Vol. 90, No. 4, pp. 27-63.
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Broms, B. (1964b) Lateral Resistance of Piles in Cohesive Soils.
1. 실제 시공이 이루어진 변단면을 가지는 단일 현장타설말 Journal of Geotechnical and Geoenvirment Engineering.,
ASCE, Vol. 90, No. 4, pp. 123-156.
뚝의 균열 휨모멘트 및 균열 수평하중을 산정하고 국내·
California Department of Transportation Division of Engineering
외 수평변위 기준(말뚝직경 1%, 38mm)의 타당성을 검토 Services (2006). CALTRANS SEISMIC DESIGN CRITE-
한 결과, 말뚝의 재료파괴는 주로 기둥부의 단면적이 작 RIA(VERSION 1.4).
은 말뚝-기둥 접합 부위에서 발생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FHWA (1987) Drilled Shaft, National Highway Institute.
Matlock, H. (1970) Correlation for design of laterally loaded piles
. 그러나 일부 말뚝에서는 기둥 단면력 감소에 따른 소성
in soft clay. The second annual offshore technology confer-
힌지의 지상부 유도가 적절히 이루어지지 않아 파괴시에 ence, Houston, TX, pp .577-607.
지중부 말뚝에서 파괴가 먼저 일어나는 것으로 나타나 이 Poulos, H.G. (1971a) Behavior of Laterally Loaded Piles : Part 1 -
에 대한 세심한 주의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Single Piles. Journal of Soil Mechanics and foundation Div.,
ASCE, Vol. 97, No. 5, pp. 771-731.
2. 또한, 총 9본의 말뚝 중 6본의 말뚝이 수평변위(말뚝직경
Poulos, H.G. (1971b) Behavior of Laterally Loaded Piles : Part 2 -
1%) 기준에 도달하기 전에 재료의 파괴가 먼저 발생하는 Group piles. Journal of Soil Mechanics and foundation Div.,
것으로 나타나 균열 모멘트 및 균열하중을 산정하여 말뚝 ASCE, Vol. 97, No. 5, pp. 733-751.
항복효과를 고려하지 않고, 탄성해석과 수평변위 기준만 PY-Shaft, User's manual (2009), 포스코건설(주).
Reese, L. C. and Wright, W. (1977) Drilled Shaft Manual, U. S.
으로 변단면 단일 현장타설말뚝을 설계한다면 위험소지가
Department of Transportation.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Response 2000, User's manual (2000), University of Toronto.
3. 동일 하중하에서 재료의 항복이 이루어지지 않는다면 단
일 현장타설말뚝의 휨모멘트 거동은 기둥직경의 영향이 (접수일: 2010.3.8/심사일: 2010.4.14/심사완료일: 2010.4.14)

− 158 − 大韓土木學會論文集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