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13

<기말고사 정리>

1. 성과주의 인사
① 성과와 발휘능력 평가
② 객관적이고 투명한 평가
③ 직급파괴, 호봉제 폐지
④ 연봉제, 성과급제

2. 성과평가/관리목적
① 전략적 목적
② 관리적 목적
③ 개발적 목적

3. 다면평가 방식
① 여러 관점에서 판단하여 왜곡가능성이 적어 객관성 증대
② 상사의 평가비중이 줄어들어 상사의 책임감 상실
③ 상사의 평가에 대한 비교효과
④ 피평가자의 자기반성과 자기계발에 유용
⑤ 상사에 대한 인기투표적 성향을 띌 수 있으며, 상호담합 평가가능성 상존
⑥ 시간, 비용 많이 소요

4. 성과관리 대상
① 평가영역: 태도(행동), 능력(속성), 업적(결과)
② 역량모델링: 공통역량, 리더십역량, 직무역량

5. 성과관리 기법
① 평정척도법
② 순위결정법
③ 행동기준평가법
④ 체크리스트법
⑤ 중요사건서술법
⑥ 평가센터법

6. 순위결정법 4가지
① 단순서열화
② 교대서열법
③ 강제배분
④ 그룹 내 비교

7. 주요사건 접근법에 기초, 상과차원을 구체화하여 차원별 성과를 구체적 행동으로 묘사


답: 행위기준고과법
8. MBO란?
① 결과 및 과정을 동시에 관리하는 관리기법
② 동기부여를 통한 자기 관리 프로세스
③ 조직의 목적과 개인의 욕구 통합

9. 목표성장기준 SMARTS
① Specific: 구체적인 목표
② Measurable: 측정가능한 목표
③ Actionable or Attainable: 실행가능한 목표
④ Relevant or Result: 상위목표와 연관 있는 목표
⑤ Time-bound: 기간이 정해진 목표
⑥ Stretched: 도전적인 목표

10. MBO 제도 운영시 고려사항


① 엄격성과 유연성의 조화
② 업무특성을 고려한 목표관리
③ 인사제도 개선

11. 목표관리법 장점
① 자기관리에 기초
② 개인의 목표와 조직의 목표 일치
③ 불일치 가능성 제거

12. 목표관리법 단점
① 많은 시간 소요
② 관리적 비용 발생
③ 형식적, 단기적 목표

13. 역량구조
(1) 드러난 부분 ① skill
② knowledge
③ attitude
(2) 감춰진 부분 ① belief(신념)
② personality(성격)
③ motivation(동기)
④ values(가치관)
⑤ traits(특성)
⑥ mission(사명)
14. 역량의 3요소
① AT(분석적 사고)
② CT(개념적/전략적 사고)
③ INFO(정보지향)

15. 효과적인 성과측정을 위한 기준


① 전략과의 적합성
② 타당성
③ 신뢰성
④ 구체적 피드백
⑤ 수용성

16. 신뢰성의 4가지 요소


① 평가자간 신뢰도
② 내적 일관성
③ 시험-재시험 신뢰도
④ 유사평가표 신뢰성

17. 공정성 3유형


① 절차 공정성
② 인간관계 공정성
③ 결과 공정성

18. 평가자 선택에 있어 고려해야 할 3가지 특성


① 성과관찰 기회
② 관찰을 유용한 평가로 전환할 수 있는 능력
③ 유용한 평가를 하고자 하는 동기

19. 평가자 오류 및 편견
① 후광효과
② 범위제한의 오류 (관.엄.중)
③ 개인적 편견에 의한 오류
④ 기타오류 (유.시.대)

20. 범위제한 오류
① 관대화
② 엄격화
③ 중심화
21. 타인에 대한 평가가 그가 속한 사회적 집단에 대한 지각을 기초로 해서 이루어지는 것
답: 상동적 평가

22. 피드백 3가지 방식


① 관리자 주도
② 쌍방 참여
③ 문제 해결

23. BSC 4가지 관점


① 재무
② 고객
③ 내부프로세스
④ 학습과 성장

24. BSC의 유용성


① 지표의 균형성
② 전략과의 연계
③ 의사소통도구

25. 기본급 3구성


① 본인급
② 능력급
③ 근속급

26. 비금전적 보상
① 승진
② 경력관리
③ 이동관리
④ 교육훈련

27. 기본급 임금의 체제 유형

(능력, 성과기준)
② 직능급 ① 직무급
(인적, 연공) ④ 연공급 ③ 직종급 (직무, 직종)
(학력, 신분가치)

28. 직무를 수행하는데 요구되는 능력을 기준으로 임금결정


답: 직능급
29. 직능급의 장점
① 자기개발의 욕구충족 및 근로의욕 향상
② 경영성과의 증진 도모와 적재적소의 인력배치에 용이
③ 연공급, 직무급의 단점을 보완

30. 성과배분 전제조건 4가지


① 공개적인 기업 경영
② 인사제도의 정비
③ 사회적 임금수준의 유지
④ 기업풍토에 상응한 제도

31. 개인차원 성과급 3가지


① 기준시간제
② 판매 커미션
③ 상여금

32. 사회보험 4가지


① 의료보험
② 고용보험
③ 산재보험
④ 연금보험

33. 복리후생관리의 3원칙


① 협력성의 원칙
② 적정성의 원칙
③ 합리성의 원칙

34. 종업원 참여관리


① 분임조
② 제안제도
③ 이윤배분제도
④ 복수경영제도
⑤ 종업원지주제도
⑥ 권한위양과 조직활력화

35. 종업원지주제도 성공요건 4가지


① 경영이념(공존경영)
② 착실한 성장
③ 정보자료 공개
④ 경영참여
36. 인간을 통한 경쟁우위 극복을 위해 이해해야 할 3가지 요소
① 인간의 시간에 대한 이해
② 인간의 의미추구 이해
③ 인간의 정신/감정 요소에 대한 이해

37. Long Term Levers


① 리더십 개발
② 인력 개발
③ 조직 개발

38. Short Term Levers


① 채용/선발
② 목표 설정
③ 성과측정 체제/보상
④ 단기적 훈련

39. 3가지 정렬
① 수직적 정렬
② 수평적 정렬
③ 시간적 정렬

40. TBV = EC(Emotional Capital) × IC(Intellectual Capital) + BC(Business Capital)

41. 성과관리에서의 평가자 역할 [Not 사람에 대한 관리, 통제]


① Coach
② Mentor
③ Counselor

42. 기본급과 각종 수단을 포함한, 근로자에게 정기적으로 지급되는 임금은?


답: 통상 임금
<기말고사 족보>

1. 상사의 책임감에서 직속상사의 경우 자기 부하이기 때문에 책임감이 많은 성과방식은?


답: 상사평가방식

2. 상사에 대한 인기투표적 성향을 띌 수 있으며 동료간 상호담합 평가가능성이 상존하는 성


과평가 방식은?
답: 다면평가방식

3. 역량구조에서 감춰진 부분(내면)으로 개발이 어려운 것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답: 신념, 성격, 동기, 가치관, 특성, 사명은 감춰진 부분(내면)에 해당함. 이 외의 드러난 부분
(표면)에 해당하는 답안이 정답.

4. 효과적인 성과측정을 위한 기준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중복]


답: 전략과의 적합성, 타당성, 신뢰성, 수용성, 구체적 피드백 이외의 보기가 정답.

5. 공정성 유형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중복]


답: 절차 공정성, 인간관계 공정성, 결과 공정성 이외의 보기가 정답.

6. 성과측정을 위한 방법 중 비교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답: 단순서열화, 교대서열법, 강제배분, 그룹 내 비교 이외의 보기가 정답.

7. 주요사건 접근법에 기초하여 성과 차원을 구체화 하며 차원 별 성과를 구체적 행동으로 묘


사하는 행동은?
답: 행위기준 고과법

8. 관리자들에게 다양한 방식으로 종업원 행동의 구체적인 사례를 기록하게 하는 행동은?


답: 주요사건 방법

9. 평가자는 스트레스 하에서의 의사결정능력, 조직능력, 기억력 그리고 권한위양을 관찰하는


것은?
답: in-basket 연습

10. 타인에 대한 평가가 그가 속한 사회적 집단에 대한 지각을 기초로 해서 이루어지는 성과


관리에서의 오류 유형은?
답: 상동적 평가

11. 피평가자에 대한 평가결과의 분포가 평가척도상의 중심점에 집중하는 경향을 말하는 평가


분포 관련 오류에 해당하는 것은?
답: 중심화 오류
12. 5% 조직만이 조직의 비전과 전략을 이해하고 있는 것은?
답: vision barrier

13. BSC 유용성의 네 가지 관점의 관리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중복]


답: 재무, 고객, 내부 프로세스, 학습과 성장 이외의 보기가 정답.

14. 비금전적 보상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중복]


답: 승진, 경력관리, 이동관리, 교육훈련 이외의 보기가 정답.

15. 조직 내 주어지는 전형적인 보상들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답: 금전적 보상, 복리후생, 신분상징, 사회적 및 인간적 보상, 자연적인 보상, 자기보상 이외
의 보기가 정답.

16. 자기개발의 욕구충족 및 근로의욕을 향상시키고 경영성과의 증진 조모와 적재적소의 인력


배치에 용이한 장점을 가진 기본급 체계는?
답: 직능급

17. 성과 배분제도 도입의 전제조건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중복]


답: 공개적인 기업경영, 인사제도의 정비, 사회적 임금수준의 유지, 기업풍토에 상응한 제도
이외의 보기가 정답.

18. 성과급의 유형 중 개인차원의 성과급이 아닌 것은? [중복]


답: 기준시간제, 판매커미션, 상여금 이외의 보기가 정답.

19. 사회보험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중복]


답: 의료보험, 연금보험, 산재보험, 고용보험 이외의 보기가 정답. [Not 교육보험]

20. 복리후생의 기능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답: 생산적, 근로조건적, 생활적, 문화적, 교육적 기능 이외의 보기가 정답.

21. 기업의 복리후생시설이나 국가나 지역사회에서 실시하는 복리후생 시설과 서로 중복되거


나 혹은 관련성이 결여되는 일이 없도록 조정, 관리되어야 하는 원칙은?
답: 합리성의 원칙

22. 종업원 참여관리가 아닌 것은? [중복]


답: 권한위양과 조직활력화, 분임조, 제안제도, 이윤배분제도, 종업원 지주제도, 복수경영제도
이외의 보기가 정답.

23. 종업원 지주제도의 성공요건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Not 권한위임] [중복]


답: 경영이념, 착실한 성장, 정보자료의 공개, 경영참여 이외의 보기가 정답.
24. 인간을 통한 경쟁우위를 구축하기 위해 이해해야 할 세 가지 요소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답: 시간 framework, 의미추구, 정신/감정 요소 이외의 보기가 정답. [중복]

25. 성과관리의 핵심축 2가지


① 성과(result)
② 역량(competency)

26. 성과주의가 아닌 것은?


답: 호봉제

27. 전통적 인사고과와 다른 것들


답: 어떻게 하면 개인의 성과를 향상시켜 조직에 기여하도록 할 것인가?, 직원의 강점은 무엇
이고 육성시켜야 할 점은 무엇인가?

28. 기업의 복지후생시설이 다수 종업원에게 혜택이 가면서도 기업의 경비부담 능력에 적당하
며, 그 지역의 산업 또는 동정 타 기업과 비교하여 큰 차이가 나지 않도록 실시되어야 하는
복리후생관리의 원칙은 무슨 원칙인가?
답: 적정성의 원칙

29. 조직 내에서 주어지는 전형적인 보상들이 아닌 것은? [Not 교육훈련] [중복]


답: 금전적 보상, 복리후생, 신분상징, 사회적 및 인간적 보상, 자연적인 보상, 자기보상
<중간고사 족보>

1. Principles of High-Performance Work System이 아닌 것은?


답: 정보공유, 평등주의, 지식개발, 성과-보상연계 이외의 보기가 정답.

2. The McKinsey 7S diagram이 아닌 것은?


답: Strategy, Structire, Systems, Superordinate Goals(Values), Staff, Skills, Style 이
외의 보기가 정답.

3. 인적자원의 차별화 전략 (Ulrich, 1998)

low
① 유지형(bind) ② 육성형(build)
인력의

대체성
③ 차용형(borrow) ④ 구입형(buy)
high

low 업무의 전문성 high

4. The Michigan Model 중 Business Partner 특성


① Mission Oriented
② Strategic Planner
③ Systems Innovator
④ Understands Team
⑤ Behavior

5. Thinking from the customer back to the organization- “think from the outside
in”
답: Strategic

6. Looking for problems to solve and helping set the agenda


답: proactive
7. 미래 HR Jobs
① CFO for HR
② Self-Service leader
③ Internal consultant
④ Vender manager
⑤ Talent manager

8. Performance Outcomes
① Ability
② Motivation
③ Opportunity

9. 직무분석
① 직무내용
② 직무특성
③ 직무부하
④ 직무요건

10. 지식, 업무기술, 능력 등 인적 요건 중심으로 기록, 정리한 것


답: 직무 명세서

11. 직무체계 수립 프로세스


답: 직무분석 -> 직무분류 -> 직무기술서 작성

12. 직무평가 방법
① 서열법
② 분류법
③ 점수법
④ 요소비교법

13. Richard Hackman과 Greg Oldham의 직무 특성화 모델의 핵심요소


① 기술 다양성
② 과업 정체성
③ 과업 중요성
④ 자율성
⑤ 피드백

14. 동기부여적 직무설계의 개인수준


① 직무순환
② 직무확대
③ 직무충실화
15. 인력수요의 예측
정의: 해당 기업이 제품을 생산하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 얼마나 많은 인력을 필요로 하
는가
① 추세분석
② 비율분석
③ 판단예측
=> 추세분석, 명목집단기법, 델파이기법, 회귀분석

16. 인력공급의 예측
① 기술목록
② 마코브 분석
③ 대체도
④ 후계자계획

17. 인력 과잉의 파악 [Not 외주]


① 직무분할제
② 조기퇴직제도
③ 다운사이징
④ 정리해고

18. 선발 방법에 대한 평가 기준 [Not 유연성]


① 신뢰성
② 타당성
③ 일반화 능력
④ 유용성
⑤ 합법성

19. 선발도구의 개인자질 직접 측정 중 성과테스트를 통한 측정 [Not 구조화된 면접]


① 작업 표본 테스트
② 종합평가센터 테스트
③ 인턴사원제

20. The Bog Five Personality Factors [Not Hardiness]


① Adjustment(Emotional stability)
② Sociability(Extroversion)
③ Conscientiousness
④ Intellectual openness
21. 여러 명 평가자들이 해당 직무에 대한 기준을 가지고 하루 혹은 이틀 동안 몇 가지 과제
이용하여 지원자가 하는 행동을 관찰하고 평가 내리는 것
답: Assessment Center
장점: 예측기준치와 성과관계 간 타당도가 높음, 전체적 선발과정에 효율화 기여
단점: 비용 소모가 큼

22. 면접의 종류
① 구조화: 구조적 면접, 반구조적 면접, 비구조적 면접
② 참가자수: 집단면접, 위원회 면접
③ 기타: 강압적 면접, 순차적 면접

23. 과거의 상황에 대처하는 과정에서 지원자가 어떤 행동을 했는지 설명하며, 면접의 타당성
이 가장 높은 면접은?
답: 행위 기술 면접

24. 면접 진행 시 왜곡요인
① 인상효과
② 후광효과
③ 비일관적인 질문
④ 면접자의 편견
⑤ 대비효과

25. 채용환경 변화
답: 소수채용 -> 대규모채용

26. 배치
답: 연공서열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