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3장지중송전선로

You might also like

You are on page 1of 47

제3장지중송전선로.

xls

제3장 지중 송전 선로
구 분 분류 no. 문제 회수 배점
시스유기 단심 케이블의 시스를 접지하는 이유를 설명하고, 접지방식 중 편단접지
1 95 25
전압 와 크로스 본드 접지에 대하여 그림을 그리고 이를 설명하시오.
최근 신기술 접지방식으로 실용화되고 있는 배전 CNCV 케이블 지중 배전
지중
선로 비일괄 공동접지 방식에 대해 설명 하시오
송전
시스유기 1) 개요
선로 2 93 25
전압 2) 공동접지 부적합시공(중성선 Floating)에 따른 문제점(부적합 시공
결선도 제시
3) 중성선 Floating 해소 대책(결선도 제시)
시스유기 154kV지중송전선로 XLPE 씨즈유기전압과 유기전압저감대책에 대해서 설 83 10
3
전압 명하시오.
시스유기전압 4 케이블 금속씨스(Sheath)유기전압 저감 대책을 기술하시오. 74 25
시스유기 지중선로 시공시 케이블 시스(Sheath)의 유기전압 저감대책으로 시행하
5 53 25
전압 는 접지방법에 대하여 기술하시오.
고장점검출 6 지중 전력 케이블의 고장점 검출 방법을 열거하여 설명하시오 92 10
고장점검출 7 지중케이블의 고장점 측정법을 설명하시오. 63 10
전압이 인가된 전력케이블의 열화진행 상태를 무정전 상황에서 알 수 있 90 25
열화검출 8
는 방법을 설명하시오.
손실 9 지중케이블의 각종 손실과 경감 대책에 대하여 논하시오. 84 25
지중 케이블의 송전용량을 증대시킬 수 있는 케이블 냉각 방식의 종류와 72 25
냉각방식 10
특징을 설명하시오.
케이블 6.6[㎸], 1000[㎾]인 고압전동기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케이블을 선정 81 10
12
선정 하는 경우 고려해야하는 사항을 열거하고 그 이유를 간단히 설명하시오.
굵기선정 13 전기사용 설비에서 케이블의 굵기 선정 방법에 대하여 기술하시오. 72 10
안전전류 14 케이블의 안전전류를 산출하는 요소와 안전전류 산출방법을 설명하시오. 68 10
시험방법 15 케이블의 시험에 대표적으로 적용되는 항목(8가지)을 서술하시오. 77 10
지중케이블 시공에 있어서 오프셑(off-set)에 대하여 그림과 함께 설명 75 10
off-set 16
하시오.
XLPE 케이블과 CN/CV-W케이블은 무엇의 약자인가 기술하고 그 특징을 간 72 10
XLPE 17
단히 설명하시오.
CNCV 18 CN/CV 케이블은 무엇의 약자인가 그를 기술하고 특징을 약술하시오. 68 10
CV케이블(가교 폴리에치렌 절연케이블)의 전기적 성능중에서 V-t 특성에 66 10
CV특성 19
대하여 설명하시오. (단, V; 電壓, t ; 절연파괴 시간)
CV특성 20 CV Cable의 열화원인(4가지이상) 및 그 대책을 기술하시오. 62 25
유전체 손실에 대하여 설명하고 sinδ대신에 tanδ를 사용하는 이유에 60 25
유전체손 21
대하여 설명하시오.
케이블 접속시 사용되는 직선접속, 스톱접속, 종단접속을 종류별로 기술 80 25
접속방식 22
하시오.
snake 11 지중송전선로 공사시 Snake 부설의 목적과 방법에 대해서 기술하시오. 87 10
전력구에 전력케이블 설치시 활락(滑落)이 발생하는 원인 및 이의 방지 78 10
활락 23
대책에 대하여 기술하시오.
재밍레이쇼 24 지중케이블 포설의용어,재밍레이쇼(Jamming Ratio)에 대하여설명하시오 69 10
전력구 전력구 화재에 대한 예방 및 방재 대책의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전력
감시 25 구를 감시하는 제어 시스템에 대하여 설명하고, 전력구내 사용하는 난연 95 25
시스템 케이블에 대하여 기술 하시오
개장규격 26 수저(水底) 케이블의 개장 규격중 TAWWA란 무엇인지 설명하시오. 61 10
케이블 22.9 KV-Y 계통에 적용되고 있는 CNCV 케이블의 단말(Cable Head)처리에
27 61 25
헤드 있어서 전기적 스트레스 완화(control) 방법을 설명하시오.
포설방식 28 초고압 CV케이블을 계통에 사용할 때 포설방식에 대해 논하시오. 55 25
지중전선로의 다음 사항을 기술하시오.
포설방식 29 가. 포설방식 나. 적용기준 다. 포설방식에 따른 장단점 62 25
라. 관련규정의 세부내용
현황 30 지중 송전선로의 현황에 대해서 설명하고 향후 추세에 관해 논하시오 59 20
구성방식 31 지중 송전계통의 구성 방식을 열거 하고 각각의 특징을 설명하시오 92 25
설계유의 32 지중 송전선로 설계시 검토해야 할 사항에 대하여 기술하시오. 52 25

47페이지 중 1페이지
제3장지중송전선로.xls
[지중 전선로]

1. 개요
지중 전선로는 공사비 많고 공사가 장기간이 소요 되므로 설계서, 관계법규 및 재규정을 준수
하고 장기계획등을 고려하여 신뢰성 및 경제적인 설계가 요구 된다.
2. 채용 이유
1) 도시의 미관을 중요시 하는 경우
2) 수용 밀도가 현저하게 높은 지역에 공급하는 경우
3) 뇌, 풍수해 등에 의한 사고에 대해서 높은 신뢰도가 요구되는 경우
4) 보안상의 제한 조건 등으로 가공 전선로를 건설할 수 없는 경우
3. 경과지 선정시 고려사항
1) 장래의 송전 계통 구성과 수요 분포의 동향
2) 타 지하 매설물의 현황 및 건설 계획
3) 도시 계획 및 도로 확장, 개설 계획
4) 공용용지의 효율적 이용
5) 운전 및 유지보수의 용이성, 안정성
6) 각종 재해의 영향 및 지역 환경과의 조화
4. 포설 방식의 종류
1) 직매식
(1) 케이블 보호를 위해 트로프(Trough)내에
케이블을 시설하는 방식
(2) 적용 대상
ㄱ. 케이블 2회선 이하의 발변전소
ㄴ. 케이블 헤드 부지, 수용가 구내등에서
장래 선로 증설 전망이 없을 경우
ㄷ. 추후 굴착이 곤란하지 않은 경우
ㄹ. 기타 여건상 부득이한 경우
2) 관로식
(1) 미리 관로(管路)와 맨홀(manhole)을
만든후, 관(管)내에 케이블을 설치하고,
맨홀내에서 케이블을 접속하는 방식
(2) 관(管)의 종류는 PE 파형관, PVC 직관,
강관, 흄관 등이 있으며, 한전에서는
주로 PE 파형관과 PVC 직관을 사용
(3) 적용대상
ㄱ. 직매식에 비해 케이블 증설 및 교체가
유리하고, 전력구식에 비해 건설비가
저렴하여 일반적으로 4회선(송전선로
기준)이하 규모에 적용하고 있다.
ㄴ. 장래 회선 증설이 예상되는 경우
ㄷ. 도로 예정 지역으로 도로 포장 계획이 있는 경우
ㄹ. 직매식이 불리한 경우
3) 전력구식

47페이지 중 2페이지
제3장지중송전선로.xls
(1) 사람이 통행할 수 있는 지하구조물내에 케이블
지지대를 설치하고, 그 위에 케이블을 설치하는 방식
(2) 적용 대상
ㄱ. 동일 경과지내에 관로식으로 설치할 수 있는
회선수를 초과한 경우
ㄴ. 도심지의 극심한 교통난으로 관로 시공이
불가능할 경우
ㄷ. 345KV 케이블이 수용되는 경우
ㄹ. 발변전소의 케이블 다회선 인출개소
(3) 사람이 순시, 점검할 수 있어 설비 운영에는
유리하나 타 부설방식에 비해 건설비가 많이
드는 단점이 있다.
4) 개거(DUCT)식
(1) duct를 만들고 케이블을 시설한 후 뚜껑을
덮는 방법으로 다른 부설방식과 달리
구조물을 지하에 매설하지는 않는다.
(2) 적용 대상
ㄱ. 발변전소 구내, 케이블 헤드 부지, 수용가
구내 등에서 중량물의 영향을 받지 않을 경우에 적용하고 개거의 뚜껑은 보통
무늬강판(check plate)이 사용된다.
5. 케이블 포설 방법
(1) 관로 포설
관로내 케이블을 부설하는 방법은 1공1조 부설과 1공3조 부설 방식이 있다.
부설시에는 마찰계수를 작게 하기 위해 케이블에 윤활제를 도포하는 경우도 있다.
부설이 완료되면 메거(Megger)로 방식층의 절연저항을 측정해 케이블 이상유무를 확인한다.

[1공 1조 부설]

[1공 3조 부설]

47페이지 중 3페이지
제3장지중송전선로.xls
(2) 전력구내 포설
전력구내 케이블을 부설할 때에는 전동롤러(roller)로 케이블을 밀어 내면서 설치한다.
전력구내에서 전동롤러는 약 20m 간격으로 설치하며, 중간에는 케이블이 전력구면,
금구류 등에 접촉되거나 처지지 않도록 1.5~2m 간격으로 롤러를 설치한다

5. 포설 방식별 장단점

6. 관련 규정 내용
1) 지중 공급 대상 지역(한전 전기 공급 약관 제29조에 준함)
2) 지중 배전계통 구성
(1) 지중 공통 지역
(2) 지중화 확정 지역
(3) 지중 배전 지역
7. 지중 선로의 구성 방식
1) 개요
(1) 지중선은 가공선에 비해 사고 발생 빈도는 적은 편이지만 사고 발생시 사고 복구에 상당한
시간이 소요 되므로 계통구성은 공급신뢰도를 높이고 유지 보수 및 관리가 용이하게 구성
하여야 한다.
(2) 발.변전소 또는 송전선로에서 직접 수용가에 이르는 지중 전선로를 말한다.
(3) 최근 도심에는 지중 송배전이 보편화 되어 있다.
2) 구성 방식
(1) 유닛 방식
변압기 고압측의 차단기 및 모선을 생략하여 선로와 변압기를 직접 또는 개폐기를 통하여
접속하는 방식으로 다단자식으로 부르기도 한다.
변전소 면적을 대폭 줄일수 있고, 건설비가 저감되고, 용지 확보가 용이하다.

47페이지 중 4페이지
제3장지중송전선로.xls
송전선 또는 부하측 변압기 사고시 전원측과 변압기 2차측 차단기가 동작하여 사고분리
변전소 운전율은 변압기 1대가 정지되어도 부하 공급에 지장이 없도록 여유를 둘 것

[유닛 방식 송전 계통 구성]

[다단자 유닛 방식 계통 구성]
(2) 루프(환상)식
선로를 루프상으로 구성하는 것
선로 사고시 고장개소의 분리가 용이하고 고장구간 외에는 정상공급이 가능
양쪽으로 부터 전력이 공급되므로 전압강하, 전력 손실 및 플리커가 적음
수용가 밀집지역에 적용하면 경제적임
보호방식이 복잡하고, 설비구성 비용이 많음

(3) 방사상 방식
선로를 방사상으로 연결하는 방식
각 변전소 내 설비는 간단하게 된다.
지중 선로의 경과지가 각각 별도로 되기 때문에 공사비가 비싸고, 유지 보수면에서도
어려움이 있다.

47페이지 중 5페이지
제3장지중송전선로.xls

(4) 수지상 방식
나무 가지 모양으로 부하 분포에 따라 분기선을 연장하는 방식
선로 및 개폐기 등 설비비는 저렴하나 사고시 정전범위가 넓어진다.
부하의 증대에 따라 도중 분기선이 늘어나서 계통은 점점 복잡해지고, 보호방식도 복잡
현재에는 별로 사용하지 않는다.(가공 배전선에 주로 사용하는 방식)

8. 지중 전선로와 가공 전선로 비교

47페이지 중 6페이지
제3장지중송전선로.xls
[케이블 금속씨스(Sheath)유기전압 저감 대책을 기술하시오.]

1. 개요
1) 시스는 케이블의 방수 및 기계적, 화학적 보호를 목적으로 한 외장을 말하며 금속시스는
차폐 효과도 있다.
2) 케이블 시스에 전압이 유기되면 인체의 위험 및 시스 노출 부분에서 아크 발생으로 케이블
손상 위험이 있어, 시스 유기 전압을 저감시키기 위하여 시스 접지를 한다.
3) 시스 유기 전압 제한치는 인체의 안전확보 관점에서 결정되며 절연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2. 시스 유기 전압
1) 시스 유기전압은 케이블 배치 상태와 상호 이격거리 등에 따라 달라진다.
2) 다수 도체의 전류로 부터 전자 유도에 의해 금속시스에 유기되는 전압

Xmi : 도체와 씨스의 상호리액턴스(Ω/㎞) Ii : 전류(A)


3. 시스 유기 전압 저감 대책
1) 한전에서는 시스 전위를 전력구내 케이블은 50V이하, 전력구 외 설치 케이블은 100V 이하가
되로독 규정하고 있다.
2) 케이블의 적절한 배열
정삼각형 배열을 택하고 케이블 사이의 간격을 작게함으로써 시스 전위를 낮출수 있으나
시스의 와류손, 케이블의 허용 전류 등 관계를 검토 필요
3) 완전 접지(양단 접지 : Solid Bond) 방식
(1) 한전에서는 거의 사용하지 않는 방식임
(2) 케이블 시스를 2개소 이상에서 일괄 접지
(3) 시스 유기전압은 낮아지지만 장거리 선로에서는 시스 전류가 커져 시스 회로손이 커지
므로 다음과 같은 경우에 적용한다.
ㄱ. 허용 전류면에서 충분한 여유가 있고, 시스 회로손의 문제가 되지 않을 경우
ㄴ. 장거리 해저 케이블 등과 같이 시스 전압 저감 방식 적용이 어려운 경우

4) 편단 접지(Single Point Bond)


(1) 발변전소 인출용 선로와 같이 긍장이 짧은 단구간 케이블에 적용
(2) 케이블 편단에서 시스 접지하고 다른 단을 개방하여 시스 회로손을 0이 되게 한다.
(3) 양단을 접지하면 시슬 유기전압은 현저히 감소하나, 시스에 큰 전류가 흘러 시스 회로손
이 커지고 송전용량이 감소하므로 장거리 케이블에는 양단 접지 적용하지 않음

47페이지 중 7페이지
제3장지중송전선로.xls

5) 크로스본드 접지(Cross Bonding)


(1) 선로 긍장이 길어 편단접지로 효과가 없을 때 사용
(2) 본드선으로 3상은 연가한후 접지하는 방식
(3) 경제성, 보수면에서 유리 하므로 대규모 선로에 가장 많이 채용

6) 저저항 접지 장치
접지저항을 낮춤으로써 시스의 상시 유기전압을 낮출 수 있고 따라서 상시 시스 순환전류
를 줄일 수 있다.
4. 이상시 시스 전위
1) 이상시 시스 전위
(1) 크로스 본드점은 정상상태 유기전압은 저감시키지만 진행파에 대해서는 변이점이 된다.
(2) 급준파두의 서지가 침입할 때 침입파의 12~25% 정도가 시스와 대지간에 나타나고, 이의
2배 정도의 전압이 절연접속 상에 나타나므로 방식층의 절연 파괴 우려가 있다.
2) 이상시 시스 전압에 대한 대책
(1) 고주파 By-Pass 콘덴서
고주파 침입시 임피던가가 작아지는 콘덴서의 특성을 이용하여 Surge를 By-Pass

47페이지 중 8페이지
제3장지중송전선로.xls
시키도록하며 적정의 정전용량, 충분한 내전압 특성과 절연특성을 갖도록 선정함
(2) 방식층 보호 장치(CCPU(Cable Covering Protection Unit)
ZnO 피뢰기로써 시스와 대지간에 설치하여 방식층에 과도한 서지 전압이 인가되는
것을 방지

[154KV급 CCPU 피뢰기 요구 성능]


(3) 방식층 보호 장치의 적정 설치
방식층 보호장치로부터 접지점까지의 길이를 짧게하여 임피던스 전압강하를 작게
하므로서 CCPU 기능을 충분히 발휘하도록 설치에 주의
ㄱ. 대지간 방식(과거 한전 154KV에 사용 방법)
리드선 길이를 2m 이하로 제한함
ㄴ. 교락 접지 방식
과도전압 억제 효과는 대지간 접지방식보다 좋으나, 절연접속부 1Set당
2개의 피뢰기가 필요하여 비경제적

[대지간 방식] [교락 접지 방식]


ㄷ. 비접지 방식
과도전압 억제 효과가 뛰어나 현재 한전의 154㎸ 및 345㎸ 지중선로에 채용
또한 씨스와 대지간 써지 침입이 예상되는 선로에도 이 방식을 적용하는 것이 좋다.

5. 결론
시스 보호 대책에 의해 시스 충전부에 절연 및 접지를 충분히 하며 또한 시스 전압을 규제하는
것 보다는 보호대책을 강화하고, 작업환경을 개선하는 것이 합리적이라 생각됨

47페이지 중 9페이지
제3장지중송전선로.xls

47페이지 중 10페이지
제3장지중송전선로.xls

47페이지 중 11페이지
제3장지중송전선로.xls

47페이지 중 12페이지
제3장지중송전선로.xls

47페이지 중 13페이지
제3장지중송전선로.xls

47페이지 중 14페이지
제3장지중송전선로.xls
[지중 전력 케이블의 고장점 검출 방법을 열거하여 설명하시오]

1. 개요
1) 지중 케이블 고장점 검출 방법
(1) 선로 순시 방법
(2) 측정기에 의한 방법
2) 측정기에 의한 방법의 분류
(1) 단락 사고 측정 : 정전용량법, 펄스 레이다법
(1) 단락, 지락 사고 동시 측정 : 펄스 레이다법
(2) 1선 지락 및 선간 단락 측정
ㄱ. 저압 머레이 루프법(절연저항이 3㏀ 이하시)
ㄱ. 고압 머레이 루프법(절연저항이 3㏀ 이상시)
2. 머레이 루프법
1) 정의
(1) 휘스톤 브리지 원리를 이용하여 사고점까지의 거리를 측정
(2) 고압 머레이 루프법 : 전원전압이 수천볼트이상 사용 기타는 저압머레이 루프법
(3) 지락저항이 높으면(수 ㏁정도) 측정에 필요한 전류(10~50 mA)를 얻을 수 없으므로,
고전압을 인가하고 필요에 따라 속류를 크게 하여 고장점을 태운(Burning)후 측정한다
2) 측정 원리

E : 직류전압 G : 검류계 L : 케이블 길이(m) ℓ: 측정기측에서 고장점까지의 거리(m)


R : 지락저항(Ω) r1, r2 : Murrey loop 저항변(Ω)
3) 장점
(1) 측정의 정밀도가 높다.
(2) 측정 조작 및 측정기 운반이 용이
(3) 케이블 사고의 대부분이 1선 지락사고로 적용 범위가 넢고, 사용실적이 많음
4) 단점
(1) 단선 고장시는 측정할 수 없다.
(2) 지락저항이 높고 고압전원을 이용해도 고장점이 방전하는 경우 측정은 불가능하다.
3) 3상 동시 지락시와 같이 병행 건전상이 없을 경우에는 측정할 수 없다.
3. 펄스레이다법(Pulse Radar Method)
1) 정의
(1) 사고 케이블에 전압을 송출해서 건전 케이블과 다른 서지 임피던스를 가진 사고점에서
반사되는 펄스를 감자해서 펄스의 전파시간을 수정 후 사고점까지의 거리를 구하는 방식
(2) 분류

47페이지 중 15페이지
제3장지중송전선로.xls
ㄱ. 저압 펄스 레이다 : 전압 500V이하, 펄스폭 0.2~5㎲ 이용
ㄴ. 고압 펄스 레이다 : 수천 V이상, 펄스폭 수~수십㎲ 이용
2) 측정 원리

ℓ: 측정단에서 고장점까지의 거리(m) υ: 케이블내의 펄스 전파속도(m/㎲)


t : 펄스 진행시간(㎲) c : 빛의 전파속도(3×108m/s)
ε: 유전률

3) 장점
(1) 고장점에 습기가 많은 장소와 고장점과 대지간 저항이 작은 경우에 적용하며,
최근에 생산되는 측정기기들은 고장점까지의 거리를 자동 계산하여 알려주는
Program을 내장하고 있다.
(2) 지락, 단락, 단선 사고 어느 것에나 적용 가능
(3) 케이블 전장의 길이가 불분명하여도 측정 가능
4) 단점
(1) 측정의 정밀도라 머리이루프 보다 뒤진다(오차 2~5% 정도)
(2) 측정기의 조작, 펄스 판독에 숙련이 요구됨
4. 아크 반사법(Arc Reflection Method)
1) 개요
(1) 케이블의 고장점과 대지간 임피던스가 높은 경우(통상 100Ω이상)에는 펄스 반사가
미약하거나 전혀 없으므로 펄스레이다법으로 고장점 거리를 측정할 수 없게 된다.
(2) 아크 반사법은 이러한 경우에 TDR(Time Do- main Reflectmeter : 펄스 발생, 측정기기)
과 Surge 발생기기를 병행하여 고장점을 측정하는 방법이다.
(3) Surge 발생기로 고장점에 아크를 발생시키면 아크 발생 순간에 고장점의 임피던스는
낮아 진다. 이 때 임피던스가 변한 지점에서 반사된 펄스파의 진행시간을 측정하여
고장점 거리를 측정하는 방법
2) 측정 원리

47페이지 중 16페이지
제3장지중송전선로.xls

5. Decay법(Traveling Wave법)
1) 개요
(1) 아크반사법으로 고장점을 찾지 못할 경우 사용하는 방법으로, DC 내전압기를
이용하여 고장점에 Flashover를 일으켜, 이때 발생되는 과도 전압파형를 TDR로
포착, 분석하여 고장점 거리를 계산한다.
(2) 케이블 고장점을 태워(Burn- ing) 지락저항을 낮추는데도 이용되나, 저항값이 너무
낮아지면 고장점 측정이 곤란하므로 주의를 요한다.
2) 측정 원리

6. 정전용량에 의한 측정 방법

7. 고장점 정밀탐지법(Pinpointing)
1) 개요
(1) 머레이 루프, 펄스 레이다, 아크반사, Decay법, 정전용량법 등의 고장점 탐지법으로
개략적인 고장점 거리를 측정후, 정확한 고장위치를 찾기 위한 방법이다.
(2) 지금까지 개발되어 있는 고장점 정밀탐지법은 써지코일법, 방전탐지법, 음향법, 전위법

47페이지 중 17페이지
제3장지중송전선로.xls
등이 있으며, 이중 음향법이 가장 널리 이용되고 있다.
(3) 음향법은 Sugre를 고장 케이블에 보낸후, 고장점에서 flash over로 인한 방전음을
탐지하는 방법으로, 고장점에 가까울수록 방전음이 커진다.
2) 측정 원리

위 그림은 Surge pulse에 의한 자기장과 flash over 방전음간의 시차를 이용하여 고장점을 탐지
하는 방법이다. 자기장 감지시간은 케이블 전구간에서 동일하고, 음향 감지시간은 고장점에
가까울수록 짧으므로, 자기장 감지와 음향 감지시간차가 가장 짧은 위치가 고장점이 된다.

[케이블 열화 진단 방법]

1. 개요
1) CV 케이블을 지중에 설치한 후 6~8년이 경과하면 열화현상이 발생하며, 전력케이블의 열화
형태는 외적으로는 전혀 나타나지 않고 서서히 진행되어 열화 상태를 쉽게 예측 할 수없다.
2) 사고 발생시 부터 사고점 복구 후 송전까지 장시간이 소요되고 사고 자체가 계통에 미치는
영향이 대단히 크다.
2. CV 케이블의 V-t 특성
1) V-t 특성 곡선

2)

3) 정상적인 운전시 n=9 정도이고 t 2 > 30년 이므로, 자연열화에 의한 수명 감소는 거의 무시할
정도의 수준이다.
4) 실제 선로에서는 수년 ~ 10년 경과한 케이블에서 외적, 내적 요인에 의해 트리현상이 가속
화되어 수명 지수 n이 급격히 떨어진다.

47페이지 중 18페이지
제3장지중송전선로.xls
2. 열화의 원인과 형태

3. 전압 열화의 종류 및 특징
1) 전기 Tree
CV 케이블 절연체 내에 보이드, 이물질, 돌기 등으로 인해 국소 고전계에 의한 부분 방전으로
발생함
2) 수 Tree
(1) 케이블이 흡습된 물과 전계의 공존시 폴리에틸렌의 물리화학적 작용에 의해 저전계에서
발생하고 건조하면 없어지는 것이 전기 트리와 큰 차이 있음(저전계에서 부분방전)
(2) 내부 및 외부 수 Tree
ㄱ. 내부 및 외부 반도전층과 절연체의 경계점을 거점으로 해서 발생
ㄴ. 절연성능에 대한 영향이 크고, 수 Tree의 대부분을 차지함
(3) 보우 타이 Tree
내부 및 외부 반도전층 결합부에서 절연체의 보이드 이물질에 의해 양극으로
늘어 나는 현상
(4) Vented Tree
각 Tree가 진행되어 심선과 외부 반도전층이 연결된 트리
(5) 화학 Tree
화학 물질이 반도전층을 통과하여 동과 반응하여 생긴 트리

4. 사선 형태의 진단법
1) 직류 고전압 인가법
(1) 측정 방법
케이블에 직류 전압을 급격하게 인가했을 때의 전류-시간 특성, 전류-전압 특성을
을 보고 케이블의 절연 열화를 진단하는 방법, 측정 시간은 10분

47페이지 중 19페이지
제3장지중송전선로.xls

(2) 원리
Ia,Id,Ic가 결국 일정한 값으로 안정
되는 원리를 이용하여 누설전류의
크기로 절연상태를 판정
즉, IO = Ia + Id + Ic

(3) 현재 154KV급까지 적용, 열화 빛 보수 판정에 널리 채용


(4) 판정

2) 유전정접법(tanδ법)
(1) 측정 방법
절연물에 교류 전압을 인가했을 때의 tanδ값, tanδ-전압 특성, tanδ-온도 특성 등으로
부터 절연물의 흡습 보이드 등에 의한 절연 열화 정도를 조사하는 시험
(2) 원리

ㄱ. 유전 손실 = V I tanδ(≒ V I cosθ)로 계산되며, 측정 장치로는 가변저항 및 콘덴서


를 이용하는 쉐링브리지 회로가 사용된다.
ㄴ. 평형용 가변저항 R4 및 평형용 가변 콘덴서 C4를 조정하여 브리지 평형이 얻어졌을
때의 tanδ를 측정 한다.
ㄷ. 가장 정확한 시험이지만 시험설비의 대형활로 이동에 문제가 있어 케이블 제조사에
국한하여 사용됨.

47페이지 중 20페이지
제3장지중송전선로.xls
(3) 판정

3) 부분방전 시험
(1) 측정 방법
절연체에 상용주파 교류전압을 인가하여 절연체중 보이드, 이물질 흡입, 외상 등의
결함에서 발생하는 부분방전의 크기와 빈도를 측정하여 열화 분석
(2) 원리

ㄱ. 위 그림과 같이 Cb와 Cc의 직렬회로는 고전압을 인가시킬 때 Cb의 보이드 부분에서


절연파괴가 일어나 부분 방전이 발생한다.
ㄴ. 이부분 방전에 수반되는 전압 변화 ΔV로 검출

(3) 케이블 절연체의 Cc나 ΔV는 실제로 구하기 어렵다.


(4) 일반적으로 교정기를 사용하여 방전전하를 구하는 방법을 많이 적용하고, 쉴드 룸
에서의 시험이 요구 된다.
4) 절연저항법
1) 측정 방법
절연저항계로 절연체와 쉴드간의 절연 저항을 측정하여 판정
2) 판정
ㄱ. 도체 ↔ 대지 : 500㏁ 이상
ㄴ. 쉴드 ↔ 대지 : 2,000㏁ 이상
(3) 측정이 간단하고 일반적인 양부 판정은 가능하나, 전압의 한계가 있고 정밀 분석 미흡
5. 활선 상태의 진단법
1) 수트리 진단법(직류 성분법)
(1) 측정 방법
사용 중인 케이블에서 수트리가 발생하면 정류 작용에 의해 직류 성분의 전류가 발생한다.
이 직류 성분의 정도를 측정하여 열화를 판정한다.
(2) 원리

47페이지 중 21페이지
제3장지중송전선로.xls

케이블 쉴드 접지선에 흐르는 누설전류를 검출하여 직류 성분으로 분석하므로


케이블 열화 정도를 측정 한다.

(3) 판정

2) 활선 tanδ법
(1) 측정 방법
고압 배전선으로부터 분압기를 통해서 전압원을 검출하고 CT를 이용하여 케이블 접지선
에 흐르는 전류를 측정한 후 그 위상차로 부터 tanδ를 측정하여 열화 판정
(2) 원리

47페이지 중 22페이지
제3장지중송전선로.xls
고압선을 직접 연결시켜야 하므로 위험성이 내포되어 감전 주의가 필요함
(3) 판정
A급(양호) : tanδ 0.1%이하
B급(상태 감시) : tanδ 0.1 ~ 0.15%이하
C급(교체) : tanδ 0.15%초과
3) 직류 전압 중첩법(비접지 방식에 주로 사용)
(1) 측정 방법
GPT 중성점에서 선로에 50V 직류 전압을 중첩시켜 활선 상태에서 절연체에 흐르는
누설 전류를 측정하여 열화 진단하며, 대한전선에서 OLCM(On Line Cable
Monitoring) 시스템으로 사용되고 있다.
(2) 원리

ㄱ. 전원 공급 설비가 커서 운반용으로는 부적합 하지만 하나의 설비로 많은 케이블을


동시에 측정, 분석할수 있는 이점이 있다.
ㄴ. 측정시 직류 중첩에 의한 전압이 다른 기기나 변전소의 보호계전기나 반도체소자에
악영향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ㄷ. 절연저항 으로 측정하므로 판정이 용이하나 장비의 현장 적용이 부적합하다.
(3) 판정
5,000㏁이상(양호), 100㏁이하(교체)
4) 저주파 중첩법
(1) 측정 방법 및 원리
ㄱ. 직류 전압 중첩법의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교류 저전압인 10V, 저주파수 5~10
Hz인 저주파수 전압을 케이블에 인가하여 측정한다.
ㄴ. 케이블 접지선에 흐르는 저주파수 전류를 검출, 절연저항으로 환산하여 판정
(2) 특징
ㄱ. 진단법으로는 이상적이지만 저주파 발생부의 대형화로 이동 측정이 어렵기 때문에
현장 적용이 난해하다.
ㄴ. 현재 국내에는 적용하고 있지 않으며 상용화에는 장시간 소요될 것으로 예상됨
6. 열화 대책
1) 케이블 제작 공법을 건식 공법으로 하고 절연층을 균질성 있게 제작
2) 도체와 절연체 사이의 경계면을 매끄럽게 제작
3) 케이블에 물이 침입하지 않도록 컴파운드 충진
4) 절연체에 Voltage Stabilizer등으 첨가제를 혼입 전계 집중 방지
5) 케이블 단말처리 철저 및 말단을 통한 습기 침투 방지
6) 케이블의 반도천증을 균일하게 배치
7) 케이블 포설시 기계적 스트레스에 유의

47페이지 중 23페이지
제3장지중송전선로.xls
8) 열화 진단법을 적절히 활용하여 사고 미연에 방지

[케이블 온도 측정법]

1. 광 파이버 분포 온도 측정 시스템
1. 개요
전력구내 온도를 감지하여 케이블 고장위치나 화재 위치를 찾아내고, 선로를 적정 부하로
운전하기 위하여 케이블 상시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시스템을 말한다
2. 구성도

(1) 광섬유 : 온도감지선


(2) 레이저부 : 광 펄스 생산
(3) 신호처리부 : 산란광을 수신하여 분석하는 신호 처리부
3. 온도 측정 원리
(1) 광파이버 구성 물질 분자는 항상 분자 운동을 하고 있고, 온도 상승된 지점에서는
분자 운동이 강해진다.
(2) 펄스광을 투사하면 펄스광으로부터 에너지를 받아 분자운동이 강해진다.
(3) 펄스광이 지나가고 나면 분자운동은 중단되고 에너지는 방출된다.
(4) 투사된 펄스광의 대부분은 전방으로 진행하나 일부 산란된 광은 되돌아온다.
이러한 원리로 광파이버를 따라 분포된 온도를 측정할 수 있는데, 되돌아오는 산란광의
종류에는 탄성충돌에 의한 Rayleigh 산란과 비탄성충돌에 의한 Raman 산란의 두 가지가 있다.
Rayleigh 산란은 광강도가 큰 반면 입사광의 파장과 동일하고 온도 의존성이 약해 온도
측정에 부적합하며, Raman 산란은 Stokes와 Anti-stokes의 두 성분으로 나뉘어지는데
광강도가 Rayleigh 산란광에 비해 약 10-3배 정도로 약하나 온도에 대한 의존성이 매우
강하고 입사광의 파장에 대한 파수의 변화가 ±400Cm-1정도로 분리 검출이 쉬워
온도측정에 적합하다.
거리측정원리는 광파이버(optical fiber)를 통해 입사된 펄스광이 어떤 지점에서 산란되어
되돌아 올 때 그 시간을 측정하여 거리는 산출한다.
χ = υ․t/2
χ : 원점으로부터의 거리 υ : 광파이버 내에서의 빛의 속도 t : 시간

47페이지 중 24페이지
제3장지중송전선로.xls

2. 정온식 감지선형 감지기


1. 개요
강선 위에 민감한 절연체로 피복한 감지선을 서로 꼬아 놓은 것으로서, 감지선에 열이
가해지면 절연피복이 녹으면서 두 강선이 단락(회로구성)되어 신호를 보내는 방식의
화재감지기이다.
2. 개요도

3. 구성 설비
(1) 화재 감지선
(2) 화재감시 제어반
(3) 종단 저항함
(4) 감지선 연결함
(5) 접속재
4. 특징
감지 신뢰성이 높고 화재발생 위치(거리) 표시가 가능하다. 또한 습기⋅분진 등에 강하여
전력구의 화재 감시에 사용하고 있으며, 전력구의 온도를 감안하여 65℃~75℃에서
동작되는 감지선을 사용하고 있다.

47페이지 중 25페이지
제3장지중송전선로.xls
[지중케이블의 각종 손실과 경감 대책에 대하여 논하시오]

1. 개요
케이블의 손실은 도체손, 유전체손, 연피손
(시스손)으로 구분 된다

2. 도체손(저항손)
1) 개요 : 케이블의 도체에서 발생되는 손실이며 전력 손실중 가장 크다

2) 저감대책 : 도전율이 좋고, 단면적이 큰 도체 사용


3. 유전체손
1) 개요
케이블의 유전체에서 발생하는 손실로서, 절연체 전극 간에
교류 전압을 인가했을 경우, 발생하는 손실을 말한다.
즉, 전압인가 → 정전용량 C 발생 → 충전전류 I C = ωCE발생,
절연열화 IR
케이블에 전압을 인가했을 때 흐르는 전류는 유전체의
정전용량에 의한 충전전류 IC와 전압과 동상분으로 누설 저항
에 의한 IR로 구성된다.
즉,

2) 유전체 손실

3) 저감 대책
Wd ∝ tanδ 이므로 절연물의 절연성이 우수하여 I R을 줄일 수 있는 물질 사용
4. 연피손
1) 개요
연피 및 알루미늄피 등 도전성의 외피를 갖는 케이블의 경우 발생한다.
2) 연피손의 종류 및 발생 원인
(1) 와전류손 : 시스에 근접 효과 때문에 발생하는 손실

47페이지 중 26페이지
제3장지중송전선로.xls
(2) 시스 회로손 : 케이블 도체 전류에서의 전자 유도 작용에 의해 시스를 접지함에 따라
시스에 전류가 흐르고 시스 저항에 의해 발생하는 손실

(3) 시스의 저항율이 적을수록, 전류의 크기나 주파수가 클수록, 단심 케이블의 이격거리가
클수록 크게 나타난다.
3) 저감 대책
(1) 연가
(2) 시스 자체를 접지(편단, 크로스 본드) → 전위와 전류를 최소화 할 수 있는 방법 강구
(최근 한전 신기술로 지정된 비 일괄 공동 접지 활용)
(3)케이블의 근접 시공

[지중 케이블의 송전용량을 증대시킬 수 있는 케이블 냉각 방식의 종류와 특징을 설명하시오.]

1. 개요
1) 송전용량(허용전류)을 증대시키기 위해서 냉각물질을 사용하여 케이블의 온도 상승을
억제하는 것을 케이블 냉각이라 한다.
2) 냉각방식별로 간접냉각, 직접냉각 및 도체냉각 등이 있으며, 냉각매체별로 풍냉, 수냉
및 유냉방식 등이 있다.
2. 간접 냉각 방식
외부냉각이라고도 하며 케이블 주변의 토양이나 공기 등을 냉각하여 케이블 온도를
저하시키는 방식이다. 동일 장소에 다수의 케이블을 동시에 냉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1) 관로 간접냉각 : 냉각관을 직접 땅 속에 케이블과 병렬로 매설하여 냉각하는 방식

2) 전력구 간접냉각 : 전력구 천장 또는 방재트로프내에 냉각관을 설치하여 냉각하는


방법으로 냉수 제조설비, 냉각수 순환설비 및 감시설비 등으로 구성된다.

47페이지 중 27페이지
제3장지중송전선로.xls

3. 직접냉각방식
표면냉각방식이라고도 불리우는 이 방식은 케이블 외경보다 큰 냉각관안에 케이블을
설치하여 케이블 표면을 직접 냉각하는 방식으로 도체냉각 방식 다음으로 냉각효과가 높다.
1) 관로 및 전력구 직접냉각 : 냉각관을 땅속 또는 전력구내에 설치하고 그 안에 케이블을
설치한후 냉매(주로 물)를 순환시켜 케이블을 냉각하는 방식

2) POF케이블 유순환 방식 : 강관안에 설치된 케이블을 충전된 절연유를 순환시켜 케이블을


냉각하는 방식
3) 전력구 풍냉 : 냉각팬으로 전력구내 공기를 순환시켜 케이블을 냉각하는 방식으로서 보통
타 냉각방식과 병행하여 사용된다
4. 도체냉각
케이블 도체 내부에 냉각통로를 설치하고 냉매를 유통시켜 케이블을 냉각하는 방법으로
냉각효과는 매우 크지만 부속장치가 많이 필요하고 접속함 등의 설계가 매우 복잡하고 어렵다.
5. 히트파이프 냉각
온도 차이가 발생시 증발과 응축 등의 열싸이클 변화를 하는 냉매를 밀폐된 파이프내에 넣고
파이프를 케이블 근처에 설치하여 냉각하는 방식이다. 케이블에서 발생되는 열의 일부를
파이프내로 흡수하고, 흡수된 열을 토양 또는 공기중으로 이동ㆍ발산시켜 케이블의 온도
상승을 억제한다. 이 방식은 변전소 인출부 등 국부적인 장소의 온도 강하에 이용하고 있다.

47페이지 중 28페이지
제3장지중송전선로.xls
[케이블 굵기 선정]

1. 개요
케이블 굵기를 산정하는데는 허용전류, 전압강하, 기계적 강도, 고조파등에 의해 결정 된다.
2. 허용 전류
1) 상시 허용 전류
(1) 정의 : 상시 허용전류는 장시간에 걸쳐서 통전할 수 있는 전류이며, 주위 조건이 완전히
포화 안정되어 있다고 생각하고 구한다.
(2) 식

2) 단락시 허용 전류
(1) 정의
ㄱ. 단락 사고시 등 매우 짧은 시간에 큰 전류가 흐르게 되는바, 이것에 대한 허용 전류
를 말한다.
ㄴ. 단락, 지락등의 고장 전류가 흐르는 시간이 2초 이하로 매우 짧은 시간인 경우이며,
이전류에 의한 열은 모두 도체 속에 축적되어 절연체에는 지장이 없다고 보고 다음
식에 의해 구할 수 있다.
(2) 식

(3) 단락시 허용 전류 계산 간략식(절연체-CV일 경우)


ㄱ.

ㄴ.

3. 단시간 허용 전류(순시 허용 전류)


1) 정의 : 일반적으로 짧은 시간 동안 부득이 연속 허용 전류 이상의 과부하 전류를 통전하는
경우 또는 전동기의 기동시 등의 시동 전류와 같이 단시간 과부하 전류를 통전시 고려
2) 식

47페이지 중 29페이지
제3장지중송전선로.xls

4. 간헐 부하 허용 전류
1) 정의 : 일시적으로 통전하고 정지하는 싸이클을 반복할 때 도체가 발열하며 이를
고려한 허용 전류
2) 식

3. 전압강하
1) 정의
전선에 전류를 흐르게 하면 전선의 임피던스로 인하여 전원측 전압보다 부하측 전압이
낮아진다. 전압강하는 전선 단면적에 반비례하므로 전선을 굵게 하면 해결 되지만
경제적인 면에서 적정한 굵기를 선택한다.

2) 전압강하 계산법

47페이지 중 30페이지
제3장지중송전선로.xls
4. 기계적 강도
1) 단락의 경우
(1) 열적 용량
충전에 의해 도체에 발생된 줄열은 도체의 온도를 상승시킴과 동시에 외기 온도와의
차이는 절연물을 통해서 외부로 발산된다. 그러나 수초 이하의 단락 전류는 모두
도체 온도를 상승시키는데 소비 된다.
(2) 단락 전자력

즉, 두 개의 도체에 전류가 흐르면 전자력에 의하여 상호 힘을 작용하여, 전류가 같은


방향으로 흐르면 흡입력, 반대 방향이면 반발력이다.
2) 신축
(1) 케이블에 전류라 흐르면 도체는 발열하여 팽창 계수에 따른 신축이 생긴다.
(2) 이 현상은 케이블 피복 마모와 접속부의 이완 등을 초래할 수 있으며, 지중전선로에
서는 활락 현상 등을 초래 할 수 있다. 대책으로는 스네이크 포설, 오프셋 등
3) 진동
4) 자중
5) 발열 : 지지 금구류 및 케이블 근접 부재의 발열
5. 기타
(1) 장래의 증설 부하의 여유율
(2) 고조파 전류 함유분
(3) 연결점의 허용 온도
(4) 부하의 수용율
(5) 열방산 조건 등

[케이블의 대표적인 시험]


1. 인장강도 시험 : 잡아당겨 어느정도의 하중에서 끊어지는가
2. 트위스트시험 : 어느정도 구부렸다 폈다 반복하여 몇번반복하여 끊어지는가
3. 충격시험 : 떨어뜨리거나 외부에서의 충격을 가하여 찌그러지거나 피복손상여부
4. 방수시험  : 피복내부로 물 침투여부
5. 절연저항시험 
6. 고유저항값 측정
7. 내압시험   

47페이지 중 31페이지
제3장지중송전선로.xls
[XLPE 케이블과 CN/CV-W케이블은 무엇의 약자인가 기술하고 그 특징을 간단히 설명하시오]

1. 개요
케이블 변천 과정
CV → CN/CV → CN/CV-W → FR-CN/CO-W → 초전도 케이블
2. CV(XLPE) 케이블(가교폴리에틸렌절연 비닐외장 케이블)
CV 케이블은 Cross Linked Polyetnlene Insulated PVC Power Cable의 약어로, 폴리 에틸렌을
가교해 분자를 입체만 구조로 만들어, 폴리에틸렌의 결점인 열 연화성을 개선한 가교 폴리
에틸렌 케이블이다.
(1) 구조

(2) 특징
(1) 내열성이 우수하다.(송전 용량 증개 가능)
ㄱ. 도체 최고 허용 온도 : 90℃
ㄴ. 단시간 허용 온도 : 105℃
ㄷ. 단락시 허용 온도 : 230℃

(2) 내수성 및 내약품성이 우수하다


(3) 유전체 손실이 작다
(4) 보수 및 고장 복구가 용이하다.
(5) 가요성이 우수하여 굴곡 지역의 통과가 쉽다.
(6) 접속 공사가 간단하다.
(7) 제조 기술의 정밀화가 필요하다(보이드, 돌기, 이물질)
(8) Tree가 발생한다.
3. CN/CV 케이블
1) XLPE Insulated, Concentric Neutral Concuctor With Water Blocking Tapes And Sheathed Cable
2) CV 케이블의 절연체 외부에 동심 중성선을 갖는 구조로서 22.9KV 다중 접지계통의 지락 전류
(5,000A 정도)를 흘릴 수 있는 통전 능력을 갖도록 한 것
3) CN/CV-W(수밀형)은 도체 사이에 물이 쉽게 침투 하지 못하도록 수밀 컴파운드 충진한 것
* 물 침투 우려가 큰 지중 선로구간에서 케이블 내 물 침투 방지
4) FR CNCO-W(동심 중성선 수밀형 무독성 난연 전력 케이블)
시스에 저독성 난연 폴리 올레핀 처리하여 화재시 독성 가스 발생량 대폭 감소
5) TR CNCV-W(동심 중성선 수트리 억제형 전력 케이블)

47페이지 중 32페이지
제3장지중송전선로.xls
수트리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XLPE를 TR-XLPE로 변경

6) 특성 및 구조 기능
(1) 수밀층 : 물이 침투하지 않도록 수밀 컴파운드를 충진
(2) 내부 반도전층
ㄱ. 도체면의 전하 분포를 고르게 하여 절연체의 절연내력 향상
ㄴ. 도체와 절연체 간의 간극 형성 방지(코로나 방지, 이온화 방지)
ㄷ. 케이블 제조시 절연물의 도체내 침투 방지
(3) 절연층
고밀도 가교 폴리에틸렌 을 사용하며 전기적, 기계적, 성질이 극히 우수하고 가요성,
내마모성, 내오존성, 내열성 및 내약품성이 뛰어나 250℃에서 변형되지 않고, 연속
사용온도는 90℃까지 가능하다.
(4) 외부 반도전층
절연층과 중성선 사이의 전기력선 분포 개선, 절연체의 절연내력 향상
폴리에틸렌 계통의 절연체에 카본블랙을 섞은 재로로 만든 것 0.5mm 두께
(5) 부풀음 테이프(중성선 수밀층)
발포성 차수 테이프, 수분과 접촉시 수분을 흡수하여 부푼다.
(6) 중성선
ㄱ. 일반적으로 중성선의 단면적은 도체 단면적의 1/3 정도
ㄴ. 다중 접지 계통에서 발생할 수 있는 고장 전류를 흘릴수 있독록 제작한다.

47페이지 중 33페이지
제3장지중송전선로.xls
(7) 시스
금속 시스와 비금속 시스가 있다.
금속 시스는 차폐기능을 가지고 있으므로 차폐층이라고 한다.
비금속 시스는 외장이라고 부르는데 금속시스의 부식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므로
방식층이라고도 한다.

[케이블 접속시 사용되는 직선접속, 스톱접속, 종단접속을 종류별로 기술하시오.]

1. 직선 접속(直線接續, Straight Joint)


직선접속은 동종의 케이블을 서로 직선적으로 접속하는 것으로 다음 2가지 종류가 있다
1) 보통접속(NJ : normal straight joint)
케이블 상호간을 단순히 접속하는 것으로서 도체, Sheath가 모두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접속한 것이다. 이 때 사용하는 접속함을 보통접속함이라 한다.
2) 절연접속(IJ : insulated joint)
단심 케이블에서 도체는 연결하고 양측 케이블의 금속씨스(sheath)상호간은 절연해서
Sheath 전위상승 및 씨스손을 저감하는 목적으로 접속하는 방식으로 절연접속함을
사용한다. 침입써지(surge) 등으로 씨스전압이 이상적으로 상승될 우려가 있는 개소에는
방식층을 전기적으로 보호하기 위해 절연통 보호장치를 설치한다.
2. 유지접속(油止接續, SJ : Stop Joint)
OF 또는 POF 선로에서 선로길이, 압력 등의 문제로 급유구간(給油區間)을 별도로 분할할
필요가 있을 때 사용하는 접속방식이다. 즉, 절연유 통로는 차단하고, 도체는 접속시키는
방법을 말한다.
1) 유지접속(oil stop joint)
장거리 OF 선로에서 급유구간을 분할하고자 할 때 사용하는 접속방법이다. 즉, 양측
케이블의 절연유 통로는 차단시키고 도체는 전기적으로 접속한 것이다. 이 때 사용하는
접속함으로써 금속씨스 상호간을 연결할 경우에는 유지(油止)접속함(SJ)을 사용하고,
금속씨스 상호간을 절연할 경우에는 유지절연접속함(SIJ)을 사용한다.
2) 준유지접속(semi oil stop joint)
POF 케이블에서 급유구간을 분할하는 접속방법으로, 절연유는 상시에 양측 케이블의
접속부에 설치된 바이패스(by pass)파이프로 유통된다. 절연유를 차단할 필요가 있을
때는 케이블 선심에 장착된 패킹(packing)을 이용하여 유통로를 차단하나 완전히
차단되지는 않는다.
3. 종단접속 (Termination, Sealing End, End Box)
케이블과 옥내배선, 케이블과 가공선 또는 전기기기 등을 접속하는 것을 말한다. 즉 케이블과
타설비와의 접속을 말하며 접속된 상태를 케이블 헤드(C/H : Cable Head), 실링엔드(S/E :
Sealing End) , 종단함 등으로 부르며 케이블과 접속될 설비의 종류에 따라 접속방법이
기중종단접속, 가스중종단접속, 유중종단접속 등으로 구분한다.
1) 기중종단접속함(EBA : End Box in Air)
대기중에서 케이블과 타설비(보통 가공선로)을 접속하는 접속함을 말한다. 외부절연물로
유침지 케이블(OF 케이블 등)은 자기제 애관을 사용하고, 고무플라스틱 케이블(XLPE 등)은
자기제애관, 에폭시 수지제 애관 등을 사용한다.

47페이지 중 34페이지
제3장지중송전선로.xls
2) 가스중종단접속함(EBG : End Box in Gas)
GIS와 케이블을 접속할 때 사용하는 접속함을 말한다. 일반적으로 외부절연물로 애폭시
수지제 애관이 사용되고 있다.
3) 유중접속함(EBO : End Box in Oil)
케이블과 유입 변압기를 접속할 때 사용하는 접속함을 말한다.

47페이지 중 35페이지
제3장지중송전선로.xls
[지중송전선로 공사시 Snake 부설의 목적과 방법에 대해서 기술하시오.]

1. 개요
전력구에서는 케이블을 행거나 방재트로프내에 설치한다. 이경우 케이블에 대하여 구속력이
작기 때문에 관로에 설치할 때와 같이 열신축량이 크고, 경사지에는 활락현상이 발생하기 쉽다.
특히 케이블 경과지중 곡선부에서의 케이블의 이동이 심하고, 그 부분에 신축이 집중되어
케이블이 극단적으로 구부러진다. 이러한 현상을 “free snake현상”이라 부른다. 이러한 현상을
완하하기 위하여, 전력구내에 케이블을 설치할 때에는 뱀이 기어가는 것과 같이 케이블을
꾸불꾸불하게 설치하는 것을 스네이크(snake)부설이라 한다.
2. 개요도

3. 특징
1) 열신축은 snake형상의 변화에 따라서 흡수되기 때문에 맨홀에서의 케이블 신축은 현저히
감소되고, off-set 길이를 줄일 수 있다.
2) snake의 변곡점 또는 끝부분을 cleat로 고정하면 직선적으로 설치할 때 보다 훨씬 작은
구속력으로 고정할 수 있고, 크리트 구조도 간단하게 된다.
3) 금속씨스에 발생하는 형태 변화는 케이블 전구간에 걸쳐서 분산되어 off-set 부분만에
집중되지 않는다.
4) 케이블을 크리트로 고정하기 때문에 프리 스네이크(free snake)현상이 발생하지 않는다.
5) 경사지에서는 크리트에 요구되는 구속력이 현저히 감소되고, 간단히 고정할 수 있다.
4. 한전 규격

[전력구에 전력케이블 설치시 활락(滑落)이 발생하는 원인 및 이의 방지대책에


대하여 기술하시오]

1. 개요
케이블의 온도가 변화면 선팽창에 의해 내부응력이나 신축(伸縮)을 일으켜, 경사지에서는
케이블이 아래쪽으로 미끄러지게 되는데, 이러한 현상을 활락이라 한다. 이 활락현상은
관로의 경사각, 케이블의 길이, 부하변동의 크기, 케이블에 가해지는 반항력 등에 따라

47페이지 중 36페이지
제3장지중송전선로.xls
영향을 받는다.
2. 방지 대책
1) 스토퍼(Stopper)방식
경사지 상단측 케이블에 스토퍼를 설치하는 방식으로 케이블이 팽창할 때에는
구속(拘束)되지 않으나, 케이블이 줄어들 경우 축소량이 팽창량보다 크면 스토퍼가
관로구에 닿아서 활락을 방지하는 방식이다.
2) 상단고정방식
경사지의 상단측 관로구에서만 케이블을 완전히 고정하는 방식으로서 상단이 종단함이
경우는 적절하지만 하단의 이동량이 큰 것이 결점이다.
3) 중간고정방식
맨홀과 맨홀 중간에 핸드홀 등을 설치하여 케이블을 완전히 고정하는 방식으로
구속력, 이동량이 대단히 작다.
4) 스프링(Spring)방식
스토퍼방식에서 스토퍼와 관로구 사이에 스프링을 설치하여 케이블에는 항상
윗방향으로 힘이 작용하도록 한 방식이다. 이 방식은 스토퍼방식에 비해서 필요한
구속력을 대단히 작게 할 수 있다.

[지중케이블 포설의용어,재밍레이쇼(Jamming Ratio)에 대하여설명하시오]

1. 개요
케이블을 1공3조로 관로에 설치시 케이블이 관로에 끼어 부설이 불가능한 상태가 되는
케이블 외경대 관로내경의 범위를 jamming ratio라고 한다.
2. 개요도

3. 대책
Jamming Ratio는 일반적으로 관로내경이 2.85d~3.15d 정도일 때 발생하며, 케이블
배열을 유지하면서 부설하기 위하여는 2.16d+30㎜≤관내경(D)≤2.85d 또는 D≥3.15d를
만족하는 관을 선정하는 것이 좋다.

47페이지 중 37페이지
제3장지중송전선로.xls
[전력구 화재에 대한 예방 및 방재 대책의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전력구를 감시하는
제어 시스템에 대하여 설명하고, 전력구내 사용하는 난연 케이블에 대하여 기술 하시오]

1. 전력구 감시제어 시스템이란


전력구내에서 발생하는 각종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고, 사고 발생시 신속한 대처가
가능하도록 구축한 시스템을 말한다.
1) 주요 기능
(1) 전력구내 출입자, 침수, 가스, 환경, 화재 등 상시 전력구의 운전상태 감시
(2) 케이블 표면온도 측정
(3) 펌프, 환풍기 등의 원방 제어
2) 시스템의 구성
(1) 주국(MS : Mster station) : 컴퓨터, 프린터, 제어정치, 무정전접속장치
(2) 자국(LS : Local station) : 광다중전송장치, 광접속함
(3) 전송로 : 광케이블
(4) 센 서
ㄱ) 출입자 감시 : 근접센서, 적외선센서, ITV
ㄴ) 침수 감시 : 수위센서
ㄷ) 화재 감시 : 분포온도장치, 정온식감지선
ㄹ) 환경 감시 : 산소, 메탄, 가연성가스 등

【그림 58】 전력구 감시시스템 구성도


2. 난연성 케이블이란
1) 난연성 : 불꽃, 아크 또는 높은 열에 의하여 쉽게 불이 붙지 않거나 또는 불이 붙어도 잘 연소
되지 않는 성지로 일반 가연 물질보다 불에 타지 않고 연소 속도가 상대적으로 느린 경우에
사용 되는 용어, 불이 붙어도 불꽃 등 화원을 제거 하면 자기소화하는 성질이 있어 자연 소화
되는 특성(연피케이블과 알루미늄피 케이블은 난연 케이블에 해당함)
2) 난연 케이블의 종류
(1) 일반 난연 케이블 : FR-CV, FR-CVV
(2) 할로겐 프리 난연 케이블 HF-CV, HF-CCO
3) 용도

47페이지 중 38페이지
제3장지중송전선로.xls
(1) 일반 난연 케이블 : 일반 산업용(특히 석유화학 단지와 같은 인화성 물질 다량 사용 장소)
(2) 할로겐 프리 난연 케이블 : 백화점, 영화관, 전차 등 다중이용 전기시설
4) 할로겐 Acid Gas 비율
CV : FR-CV : HF-CO = 38% : 27% : 0.5%
5) 케이블의 난연성 시험 방법
(1) 시험방법
수직트레이 연소시험 장치에 2.4m의 시료를 1/2D(D: 케이블 직경)의 간격으로
150mm이상의 폭에 취부한다. 버너는 바닥으로부터 600mm 위치에 설치하고 815℃의
불꽃(길이 380mm)을 20분간 연소시킨다. 이때 불꽃의 온도,꺼진후의 잔염 시간, 씨스
및 절연체의 소손거리를 측정한다.
(2) 평가방법
ㄱ) 케이블은 전소 되지 않아여 한다.
ㄴ) 버너 화염을 제거했을 때 자기소화성을 가져야 한다.
(3) 소방법에는 전력구내 설치하는 케이블은 연소방지제를 도로 하도록 규정하고 있음

[수직 트레이 난연 시험법 개요도]

47페이지 중 39페이지
제3장지중송전선로.xls
[수저(水底) 케이블의 개장 규격중 TAWWA란 무엇인지 설명하시오.]

1. 개요
Tape Armoured Wire Armoured의 약자이며 Copper Tape Armoured Duble Layer of Steel
Wire Armoured로 강대 이중 철선 개장 해저 케이블
2. TAWWA의 특징과 기타 해저 케이블의 종류
1) 장점 : 앵커 등의 중량물 등에 의한 외상에 강하다.
2) 단점 : 고가, 바늘형 어구에 대해 다소 문제점이 있다.
3) 기타 해저 케이블의 종류 : FRP 개장, 동선 개장, 알루미늄선 개장, 1중 철선 개장(WA),
2중 철선 개장(WWA)
3. 해저 케이블의 개장 구비 조건
1) 해저면에서 케이블 외부에 발생되는 각종 물리적 요소(자갈과의 마찰, 조류에 의한 마모,
저인망 어선의 갈고리 작업 등) 에 충분히 견디는 개장일 것
2) 케이블 보호와 동시에 부식에 견딜 것
3) 해협 포설이므로 지자기의 수직분력과 조류에 의한 유도 전류가 개장선에 흐르므로 이에
의한 전식에도 견딜 것
4) 케이블 포설시의 잘력에 충분히 견딜 것
4. 구조도

[케이블의 시험에 대표적으로 적용되는 항목(8가지)을 서술하시오.]

1. 절연 파괴 시험
시험전압을 점차로 상승시켜 시료가 파괴될 때의 최소 절연파괴 전압을 구하는 시험이다.
일반적으로 절연물 고유의 값으로 일정한 파괴전압을 얻는 것은 곤란하다. 이의 원인으로
는 코로나 방전 등에 의하여 절연물이 파괴되기 이전에 열화작용을 하기 때문에 고유의
파괴강도 보다 낮은 전압에서 파괴된다. 따라서 시험방법의 조건에 따라 다늘 결과가 나온다.
① 전압을 0.5 ~ 1.0 배의 비율로 올리고, 파괴하기까지 전압을 상승시킨다.
② ①에서 얻어진 전압의 약 1/2을 인가하고, 파괴전압의 1/20이하인 전압마다 계단적으로

47페이지 중 40페이지
제3장지중송전선로.xls
상승시키고 일정한 전압을 유지하여 파괴하지 않는 경우 다음 단계의 전압으로 상승시켜
파괴 전압을 구한다.
2. 충격 전압 시험
1) 변압기, 애자 등 고전압기기의 절연이 그 기기에 가해질 것으로 예상되는 충격전압에
견디는 정도를 측정하기 위한 시험
2) 내충격 전압의 기준 : BIL(기준충격절연강도)를 사용하여 이는 표준 파형 충격전압으로
표현되는 절연 수준이다.
3) BIL을 결정하는 방법(직류회전기, 건식변압기, 정류기는 제외)
(1) 절연계급(E) = 최고공칭전압/1.1(예:154KV경우 154/1.1=140호)
(2) 적용 BIL = 140 * 5 + 50 = 750KV(BIL = 5E + 50)
유효접지에서 BIL 적용은 1단 저감이므로 650KV 적용
(3) 345KV 에서 BIL = 5 * 345/1.1 + 50 = 1,550KV
유효접지에서 BIL 적용은 2단 저감이므로 1,050KV 적용
(4) 모든 설비는 그 절연수준이 주어진 BIL과 같거나 높아야 한다.
3. 절연 저항 시험
비파괴 시험의 한 종류로서 저전압 시험으로 절연 불량이나 사용 중의 열화 검출 시험방법
1) 메거를 통한 양부의 정도 파악
2) 500V 메거로는 저압 기기 측정
3) 1,000V 메거로는 고압 기기 측정
4) 측정값은 절연거리, 구조, 치수, 형상에 따라 다르므로 신뢰성이 떨어진다.
4. 직류 시험
1) 절연물에 DC 인가시 흡수 전류, 누설전류, 변위 전류가 흐른다.
2) 이중 흡수 전류와 누설전류를 측정하여 절연의 양부를 판정한다.
3) 정격전압의 교류 파고치 또는 그 이상의 DC 전압으로 수분~10분 정도 인가하여
i - t 또는 v - t 변화를 측정한다.
4) 판정 기준으로 성극지수(성극비) 사용
성극비(성극지수) = 전압인가 1분 후의 전류 / 전압인가 10분 후의 전류
5) 절연저항은 저전압에서는 거의 일정, 파괴전압에 근접할수록 저하하는 특성을 이용하여
절연의 양부 판단
5. 유전 정접 시험
1) 절연물의 유전체 손실에 의한 손실각 tanδ를 측정
2) 측정시 주의사항
(1) 측정값은 온도나 습도의 환경조건에 영향을 받는다.
(2) tanδ계 사용시 계기를 고압측으로 넣을 것(전원변압기나 계기의 리스크 방지를 위해)
(3) 통상 부분 방전 시험과 합새서 판단한다.
6. 코로나 시험(부분방전 시험)
절연물내의 보이드나 크랙을 검지하여 절연의 양.부를 판단
펄스 전류 측정 또는 다른 측정 방법
7. 기타
1) 크로로프렌 고무 혼합물 및 크로로설폰화 폴리에틸렌 고무 혼합물 내연성 시험
2) 비닐혼합물 및 내연성폴리에틸렌 혼합물 또는 저독성난연폴리올레핀 혼합물의 내연성시험
3) 저독성 난연 폴리 올레핀 외장 케이블의 내연성 시험
4) 불꽃시험

47페이지 중 41페이지
제3장지중송전선로.xls
불꽃 시험은 20분간 실시하여 시험중 불꽃 침범 부분의 온도와 버너의 불꽃을 제거 하였을
때 연소가 계속되는 시간, 탄화된 부분의 길이 및 절연체가 손상된 길이를 기록한다.

[22.9 KV-Y 계통에 적용되고 있는 CNCV 케이블의 단말(Cable Head)처리에 있어서 전기적
스트레스 완화(control) 방법을 설명하시오]

1. 개요
케이블의 단말부분에서는 케이블 내에서 나타나는 균등한 전기력선 분포가 크게 밀집되어
나타나게된다. 이러한 전기력선의 밀집 분포를 완화하여 전기적 특성을 개선하기 위해서
케이블 단말처리를 할 때 스트레스콘을 사용하거나 전계완화용 튜브 및 테이프등을 사용한다.
스트레스콘은 절연을 보강하는원리이고, 전계완화용 튜브나 테이프는 유전체의 경계조건을
이용한 전기적 스트레스 완화방법이다.
2. 스트레스콘 사용전.후 전계 분포도

3. 단말 처리재 종류 및 특성
1) 조립형
몰드형 점속재로서 내부와 외부표면은 도전성 고무 재질이고 그 가운데 층이 절연층이다.
내부 표면의 도전층은 도체 슬리브 압축에 의한 공극의 코로나 방지 효과가 있고 외부
도전층은 접속재의 전위를 대지 전위로 낮추기 위한 것이다.
조립형 접속재는 시공이 간편하나 케이블 외부 반도전층 겹침길이가 정확하게 유지
되어야 하고, 접소재 표면의 접지 구멍에 반드시 접지선을 연결하여야 한다.
2) 열 수축형
Thermo Plastic의 기본인 C3H6의 폴리에틸렌에 높은 에너지의 방사선을 조사(가교)하면
수소원자가 수소가스로 방출되고 탄소원자 사이에 상호결합되어 이를 가열하면 고무와
같은 탄성을 갖고 가교 상태로 환원되는 기억 특성을 갖게 된다.
열 수축관은 용도에 따라서 전계완화용, 절연용으로 제작되어, 시공이 불을 사용하여
가열하는 관계로 열수축관이 타거나 가열이 안되어 완전히 수축되지 않는 경우가 없도록
불꽃의 세기를 적당히 조절하는 등 세심한 주의가 필요하다.
3) 테이프 레진형
케이블 구성요소를 이루는 형태별로 반도전 테이프, 절연 테이프, 차폐용 동테이프 등 각종
테이르를 겹쳐감고 그 위에 에폭시 레진으로 보강하여 케이블을 접속하는 형식이다.

47페이지 중 42페이지
제3장지중송전선로.xls
시공자의 테이프 감는 능력에 따라 접속의 질이 크게 좌우되고 감는 테이프의 수량이 많아
접속작업 시간이 대단히 긴 단점이 있다.
4. 단말처리 완료 상태
1) 평일 산업 조립형

① 터미널 러그 ② 레인 캡 ③ 하우징(스트레스콘) ④ 브라켓


2) 남해전기(열수축형)

[케이블 종류]

1. OF 케이블(Oil Filled Cable)


Sheath 내부에 유통로를 두고, 외부에 설치한 유조(oil tank)에서 상시 대기압이상의 압력을
가하여 절연지에 절연유를 공급함으로써 높은 절연내력을 유지할 수 있게 한 케이블이다.
따라서 높은 전위경도에서도 절연체의 두께를 줄일 수 있어 XLPE 케입블에 비해 외경이 작은
반면에 별도의 급유설비을 필요로 한다.
이 OF 케이블은 장기간 성능 시험으로 신뢰성이 우수한 케이블로 66kV이상 송전선로에 많이
사용되고 있다. 현재 한전 지중송전 케이블로 가장 많이 설치되어 있으나, XLPE 케이블 확대
사용으로 감소 추세에 있다.

47페이지 중 43페이지
제3장지중송전선로.xls
2. POF 케이블(Pipe Type Oil Filled Cable)
세가닥의 지절연 도체를 강관내에 설치하고, 절연유로 충전하여 항상 고압을 유지하면서
운전하는 케이블을 말한다.
이 케이블 도체 위에 카본지(내부반도전층)와 절연지를 감고 그 위에 폴리에틸렌씨스(외부반도
전층)를 입힌후 연동테이프 등으로 보강하고 스키드와이어(skid wire)라고 부르는 반원 형의
금속선을 나선형으로 감아 케이블을 강관내에 인입할때 마찰저항을 작게 한 구조로 되어 있다.

부속설비로는 절연유를 공급하기 위한 급유조(oil tank), 강관내 절연유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한 급유펌프, 유압계, 유압기록기, 전식을 방지하기 위한 설비 등이 있다.
이 POF 케이블은 주로 북미, 구 소련 등에서 주로 사용되고 있으며, 우리나라에서는 1970년대
154kV용으로 일부 설치하여 운전중에 있으나, 현재 신설 선로에는 사용하지 않고 있다.
3. 직류해저케이블(MI Cable : Mass Impregnated Cable)
장거리용 고압직류(HVDC : High Voltage DC Current) 해저케이블(Submarine Cable)은 현재 사
용중인 급유조로는 케이블 절연을 위한 압력유지가 불가능하므로 OF Cable이나 Gas Press- ure
Cable은 사용할 수 없다. 또한 XLPE Cable은 장거리 케이블 제작 자체가 불가능하기 때문에
현재까지는 장거리 HVDC 해저케이블에 사용한 실적이 없다.
따라서 장거리 고압직류 해저케이블로는 Solid Ca -ble인 MI(Mass Impregnated) Cable을 사용

Yarn : 실, 방적사
4. GIL(Gas Insulated Transmission Line)
압력형 상분리 모선을 기반으로 개발된 GIL은 파이프 모양의 금속 씨스내에 파이프 모양의
도체(주로 AL 사용)를 에폭시 수지제의 절연 스페이서로 절연시킨후 씨스와 도체간에 절연
특성이 우수한 SF6 가스를 충전한 송전선로이다. 이 것은

47페이지 중 44페이지
제3장지중송전선로.xls
1) 가공 송전선과 같은 정도로 송전용량이 높다.
2) OF 케이블에 비해 동일 송전용량에서 충전전류가 적다.
등의 장점이 있으나 제조 단위길이가 한정되어(약 12~14m) 현장 접속이 많고, 접속 및 유지
보수가 어려워 발전소 인출 등 대용량(보통 4000~8000A)이 필요한 단거리 선로에 사용됨

[초전도 케이블]

1. 개요
초전도란 어떤 물질이 일정온도 이하에서 갑자기 전기저항이 없어지는 현상으로서 Nb₃Sn
, NbTi 및 Nb₃Al 등의 저온 초전도 도체(10K 이하에서 전기저항=0)와 YBCO, Bi-2223,
Ti-12 23 및 Hg 등의 고온 초전도 도체(108K 이하에서 전기저항=0)로 분류된다. 초전도
케이블은 관로내의 초전도 도체를 냉매로 함침한 복합 절연방식으로 절연한 후 냉매를
이용하여 전기저항이 “0”이 되도록 한 케이블로서 저손실, 대용량의 송전이 가능한 차세대
케이블이다. 초전도 케이블은 70년대 말부터 80년대 중반까지는 저온 초전도 케이블(4.2。K인
액체 헬륨을 냉매로 이용) 개발연구가 이루어 졌으나 90년대 이후부터 저온 초전도 케이블의
설계 결과를 기초로 하여 고온 초전도 케이블(77。K인 액체 헬륨을 냉매로 이용)이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2. 구성
초전도 케이블의 구성은 크게 케이블 코어와 케이블 코어를 저온으로 유지시켜 주는 극저온
관로로 구성되어 있다.

47페이지 중 45페이지
제3장지중송전선로.xls
3. 특징
1) 대용량 저손실 : 송전용량 현재보다 수배증가 전력손실 기존 케이블의 1/20
2) 저전압 송전가능 : 22.9KV로 수용가까지 저전압.대전류 송전 가능
3) 송전비용 절감
(1) 지중계통 전압등급의 균일화가 가능하고, 도심의 초고압 변전소(345/154KV 변전소) 생략
이 가능하여 송전 비용을 줄일 수 있다.
(2) 절연 레벨의 감소로 송.변전기기의 컴팩트화 및 전력기기 가격의 저하 가능
(3) 저전압화에 의해 케이블의 충전전류가 감소하기 때문에 보상용 리액터를 경감하여
계통 전체에 걸쳐 송전 비용을 줄이는 것이 가능
(4) 케이블의 소형화
(5) 케이블 관로의 소형화
(6) 장거리 송전 가능
4. 우리나라 개발 현황
1) 이천 변전소내 초전도 케이블 설치 단선도

47페이지 중 46페이지
제3장지중송전선로.xls

[초전도 케이블 냉각시스템]

[초전도 케이블 과 기존 케이블 접속 사진]

이천변전소에서 22.9kV 배전용 초전도 전력설비 실계통 운전에 들어간다고 29일 밝혔다.
이로써 우리나라는 미국에 이어 세계 2번째로 실제 전력망에 초전도 케이블 기술을 적용한
나라가 됐다
이 사업은 지식경제부와 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이 주관하고 한전과 LS전선이 참여했다.
한전은 초전도 전력시스템의 계통 연계 및 운전, 시스템 해석 및 보호를, LS전선은 초전도
케이블의 제작 및 설치를 담당했다. 이번 성과는 초전도 현상이 발견된 지 100년, 고온 초전도
물질이 발견된 지 25년만에 우리나라가 일구어낸 쾌거로, 선진국들도 20년에 걸쳐 개발 성공한
것을 단 10년만에 달성하여 명실공히 전력 선진국임을 입증했다.
이 사업은 크게 초전도 케이블과 초전도 한류기의 설치 및 계통 운영으로 구분된다. 여기에
사용된 초전도 케이블 시스템은 410m 규모로 배전용 케이블로는 세계 최장 길이며 초전도
한류기 시스템은 정격전류 630A 이다.
초전도 케이블의 본격적인 전력망 적용을 위해서는 경제성 확보와 대용량 냉각시스템, 케이블
설치경로의 고저차 극복, 중간접속 등 장거리 송전기술이 필요하다. 이번 실계통에 적용된
케이블은 기존 초전도 케이블과 달리 중간접속함(Joint Box)을 포함한 세계 유일의 초전도
선로이므로 향후 초전도 케이블을 이용한 장거리 송전과 초전도 케이블 상용화에 한 걸음
더 다가서게 됐다.
초전도 배전 케이블은 저항이 없는 초전도 특성을 사용, 대용량 전력전송이 가능해져 기존
송전용 케이블의 영역을 일부 대체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번 실계통 운전을 위해
개발된 기술과 노하우는 2013년 경 제주도에 구축 예정인 송전급(80kV 직류, 154kV 교류)
초전도 케이블 시스템 실증 사업에 활용 가능하다.
2011년 9월 30일 기사
Nb₃Sn : 니오븀 주석합금, NbTi : 니오브티타늄, Nb₃Al : 니오븀 알루미늄합금

YBCO : 이트륨 바륨 구리 산화물, Bi-2223 : 비스무트-2223, Ti-12 23 : 티타늄-12 23, Hg:수은

47페이지 중 47페이지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