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9

DX 시대의 사람과 기계의 협업 방식 , Operator 4.

[ 산업기술 애자일 ] KIAT 산업기술정책센터 정책기획실


(’21.09.14)

Industry 4.0 의 등장 이후 , 제조 현장에서의 지능화 · 자동화 ( 작업장의 디지털화 ) 를 위해 등장한 Operat

1. 배경

● (생산시스템의 변화) 디지털 기술의 발달로 인해 제조 공정의 자동화 수준은 높아지는


한편, 맞춤형 대량생산을 위한 복잡성도 증대

- (자동화) 사이버 물리 시스템(CPS), IoT, 로봇 공학, 스마트 센서, 빅데이터, 클라우드,


인지 컴퓨팅, 증강 현실(AR), 웨어러블 장치 등의 지속적인 혁신은 제조 시스템의
자동화를 촉진
* 사람과 CPS 의 결합을 의미하는 H-CPS(Human-Cyber-Physical Systems) 개념이
등장하였으며, 미래의 작업장은 자동화가 진전된 ‘지능형 공간’으로 변화 중

- (복잡성) 제조 시스템은 개인 맞춤형 대량생산으로 전환하면서 생산의 복잡성은


높아지고, 사람을 완전 대체할 수 없는 작업(수동 조립)의 복잡성도 동시에 증대할
전망
* 자동화로 비용절감과 생산성 향상을 달성할 수는 있지만 생산 공정의 필수 요소인 인력의
숙련도가 반드시 향상되지는 않음
* 자동차, 가전, 내연기관 및 항공 우주 등의 영역에서는 여전히 사람에 의한 조립 시스템이
중요하며, 복잡성을 관리하기 위한 협동 로봇, 증강 현실, 생체 추적 시스템 기술들이 도입 중

● (사람 중심의 생산시스템) 사람의 숙련도 향상을 위한 '사람-자동화 공생'을 목표로


하는 균형적 자동화 시스템*(Balanced Automation Systems) 개념 등장
* 균형적 자동화 시스템(BAS)은 자동화와 인간 작업의 올바른 조합을 달성하기 위한 시도로 '사람
중심적 생산 시스템'의 원칙과 제조 시스템에서 프로그래밍 가능한 자동화의 확장을 추구

- (적응형 자동화) 제조 및 조립 작업에 대한 제어의 작업 배분을 통해 노동자와 기계가


상호 적응하여 전체 생산 시스템을 최적화
* 적응형 자동화(Adaptive Automation)는 자동화 시스템으로 운영자를 모니터링하고 제어를 위해
사람의 입력을 받아 적절한 조치를 취하는 상호작용으로 즉, 사전 정의된 조건(중요 이벤트, 측정
모델링 기반)이 충족될 때마다 특정 기능의 제어를 전환하여 인간과 기계가 자동화 수준을 수정
(human
-in-the-loop)

[KIAT 애자일 2021 년 제 9 호] 1


KIAT [ 애자일 ] 2021 년 제 10 호DX 시대의 사람과 기계의 협업 방식 , Operator 4.0

- (직무 만족) 노동자 삶의 질 향상, 의미 있는 작업을 통한 직무 만족도 향상 등을


고려

- (인간 사이버-물리 시스템, H-CPS) 작업자의 인지 및 물리적 특성에 맞게 설계된


인간- 컴퓨터 상호 작용 기술을 사용하여 사이버 및 물리적 세계에서 기계와 동적으로
상호 작용 하는 인간의 능력을 향상시키도록 설계된 시스템 구축

2. Operator 4.0 의 개념

● (작업 방식의 변화) 노동자와 기계간의 상호작용을 4 단계로 구분하고 Operator 4.0 은
인간과 기계의 협력을 위해 설계된 HCPS(Human-Cyber-Physical Systems)에 기반
* 다양한 기술, 교육 수준 및 문화적 배경으로 구성된 Industry 4.0 시스템은 노동자의 통합이 중요한
과제로 노동자와 기계 간의 새로운 유형의 상호 작용 관계를 설정하기 위해 Operator 4.0 개념 등장

- (Operator 1.0) 수동 작동되는 공작 기계의 지원으로 수작업 육체노동을 수행하는


단계

- (Operator 2.0) NC 운영 체제(CNC 공작 기계), 기업 정보 시스템 등과 같은


컴퓨터 도구로 작업을 지원하는 인간 노동의 단계

- (Operator 3.0) 인간-로봇 협업(기계, 로봇, 컴퓨터 도구를 활용한 협력 작업)의 단계로
물리적·인지적 상호작용에 집중

- (Operator 4.0) 자동화 다음 단계의 작업 방식으로 인간의 물리적, 감각적, 인지적


능력의 향상을 목적으로 설정하고 ‘적응형 생산 시스템’을 위한 똑똑하고 숙련된
작업자를 가정

< Operator 의 변화 >

자료 : The Operator 4.0-Human Cyber-Physical System & Adaptive Automation towards Human-Automation Sym
biosis Work Systems(2016)

2
< Operator 4.0 과 제조혁신 > < Operator 4.0 과 자원 · 직무 관계 >

자료 : Production Innovation and Effective Dissemination of Information for Operator 4.0(2020)(좌), Enablin
g Technologies for Operator 4.0-A Survey(2018)(우)

3. Operator 4.0 의 운영 방식

● (Operator 4.0 의 유형) 새로운 제조 시스템에서의 노동자(작업자)는 빅데이터 분석,


디지털 세계와 물리적 세계의 연결, 기계와의 협업, 스마트공장 내외부의 디지털 연결
등을 담당
< Operator 4.0 의 구성요소 >
유형 내용 예시
Analytical ∙ 실시간 스마트제조를 위한 ∙ 유용한 정보 발견 및 관련
operator 빅데이터 분석 적용 이벤트 예측

∙ 증강 현실(AR) 기반의 스마트공장 ∙ 스마트폰을 RFID(Radio Freq


Augmented 환경 강화(디지털 세계와 현실 uency Identification) 리더기로
operator 사이의 정보 전송 개선) 사용

Collaborative ∙ 협동로봇(CoBot)은 노동자와 직접 ∙ Baxter 와 Sawyer 의 Rethink-


협력하여 반복적인 육체 작업을 Robotics 협동 로봇
operator
수행
∙ 웨어러블 트래커는 노동자의 ∙ Apple Watch, Fitbit 및 Android
Healthy 건강 관련 지표(활동, 스트레스, Wear 기반 솔루션
operator 심박수 등), GPS 위치 및 기타 ∙ 애플리케이션은 잠재적 문제가
개인 데이터를 발생하기 전에 예측
측정
Smarter ∙ 인공 지능을 활용하는 지능형 ∙ 작업자가 기계, 컴퓨터, DB
operator 개인 비서(IPA) 기반 솔루션. 및 기타 정보 시스템과 상호
작용
∙ E-SNS(Enterprise Social Net
working Services) 적용 ( ∙ 산업용 사물·소셜 인터넷은
Social
스마트공장, 물류 창고, 유통망, 의사 결정 지원을 위한 정보를
operator 상호 작용, 공유 및 생성
작업장의 스마트 오퍼레이터를
연결하는 협업 방법)

[KIAT 애자일 2021 년 제 9 호] 3


KIAT [ 애자일 ] 2021 년 제 10 호DX 시대의 사람과 기계의 협업 방식 , Operator 4.0

Super-strength ∙ 착용 가능한 가볍고 유연한 ∙ 손쉬운 수동 기능을 위해


operator 생체 역학 시스템 작업자의 힘을 증가시키는 동력
역학
∙ 가상 현실(VR)은 디자인,
조립, 제조 환경을 디지털 ∙ 사용자 자신이나 환경을 위험에
Virtual 방식으로 빠뜨리지 않고 의사 결정의
operator 복제하고 노동자가 가상 공간의 결과를 탐색할 수 있는 환경 제공
모든 존재와 상호작용할 수 있는 ∙ 가상현실(VR) 프로그램을 통해
몰입형 대화형 멀티미디어 및 실시간 피드백 제공
컴퓨터 시뮬레이션
자료 : Enabling Technologies for Operator 4.0-A Survey(2018)

● (H-CPPS 의 구축) 작업자(노동자) 역량 제고를 위한 H-CPPS(Human-Cyber-Physic


al Production System) 구축

- 노동자와 기계가 상호 적응하여 전체 제조 시스템을 최적화하는 ‘적응형 자동화’를 통해


작업자의 활동과 관련된 모든 데이터를 측정, 변환, 분석하고 실행 가능한 지식으로
변환 하여 작업자에게 피드백

- 작업 내용을 컴퓨터가 이해할 수 있는 형태로 변환해야 하기 때문에 작업자의 암묵지 분석이


중요
∙ 암묵지(중요 정보와 모범 사례)를 유지하기 위해서 센서와 3D 스캐너를 활용하여 작업
내용을 측정(캡처)하고 로봇 프로그램으로 전환(물리적 현실을 모델링하고 이를 CPS 로
구현)

- 오퍼레이터 4.0 솔루션이 작업자의 인지 상태를 추론하기 위해 작업자의 동작, 감각


데이터와 심리-생리학적 신호를 정확한 측정하여 로봇과의 동기화에 필요한 상황별
작업을 분석

4. Operator 4.0 을 작업장 구축

● (Operator 4.0 과 지능형 작업장) 현장 작업자의 작업 정보를 작업에 필요한 자원(


부품, 도구 등)과 함께 생산 시스템으로 실시간 전송하는 대화형 인간-기계 시스템
구축

- Operator 4.0 체제에서는 사람과 모바일 로봇의 가상 및 물리적 지원을 위해


지능형 공간 시스템이 설계(예시 : iSpace, 도쿄대)가 필요
∙ iSpace(Intelligent Space)는 다수의 네트워크 센서로 구성된 분산 지능형 네트워크
장치 (Distributed Intelligent Network Device, DIND)에 의해 지속적으로 모니터링
* DIND 는 인간과 작업공간의 물리적, 심리적 상호작용을 통한 공간 지능화를 구현하고자 네트워크 센서
인식 공간을 구축하고 영상 데이터 처리 및 정보 네트워크 기능을 갖춘 다수의 카메라를 공간에 분산
배치하는 기술 시스템을 의미

∙ DIND 는 물리적 공간의 움직임을 해석하고 물리적 장치(마이크, 디스플레이 등)를


사용하여 운영자에게 피드백 정보를 제공

4
∙ iSpace 는 클라우드 컴퓨팅을 통해 공급자 및 고객과도 연결되며 주문형 확장
가능한 네트워크를 구현

< Operator 4.0 작업장 예시 : iSpace >

자료 : Enabling Technologies for Operator 4.0-A Survey(2018)

● (작업자의 물리적 작업 활동 지원) 작업자의 모든 신체 움직임 정보를 수집하여


작업자의 물리적 기능·활동 효율성 증대

- 일상 업무에 필요한 신체 활동(들어 올리기, 걷기, 조작 및 조립 능력)과 비기능적 속성


(속도, 힘, 정확성 및 손동작), 기술 숙련도 및 전문성 등을 측정·평가
∙ Operator 4.0 체제에서는 내부화된 암묵적 지식(노하우)과 운영 개선을 위한 자율성을
실 시간으로 평가하고 작업자의 신체적 능력과 작업의 물리적 수준에 맞춰 업무를 할당

- 작업자가 현장에서 도움이 필요한 상황을 능동적으로 결정하고, 적절한 유형 및 수준의


물리적 (보조) 기능을 제공하여 작업자가 최적의 역량을 발휘할 수 있도록 유도
∙ 수집된 정보에 의해 직무 할당 및 훈련 필요 사항(자세 교정 및 처리 방법)을 결정하고
피로로 인한 사고 또는 반복적인 변형, 또는 오류 및 재작업을 줄여 제품 품질 향상으로
연결

● (작업자의 감각 기능 지원) 작업자의 감지 능력을 평가하고 최적의 감지 역량을 발휘할


수 있도록 자동화 지원

- 감각적 능력은 작업자의 일상 업무에서 방향 및 의사 결정에 필요한 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첫 번째 단계로서 ‘물리적 감각’과 ‘선택적 인식 능력’으로 구성

∙ ‘물리적 감각’은 시각, 냄새, 소리, 촉각, 진동 등을 통해 작업 환경에서 발생하는


정보를 수집하는 능력을 의미하며, ‘선택적 인식 능력’은 작업자가 주관적으로
중요하지 않다고 생각하는 정보를 의식적·무의식적으로 선별하는 능력을 의미(어떤
데이터가 분석 및 의사 결정에 유용한지를 선택적으로 인식)

[KIAT 애자일 2021 년 제 9 호] 5


KIAT [ 애자일 ] 2021 년 제 10 호DX 시대의 사람과 기계의 협업 방식 , Operator 4.0

- 작업자의 감각 기관이 느끼지 못하는 물리적 정보(시각, 냄새, 소리, 촉각, 온도, 진동
등)를 센서를 통해 수집, 변환, 집계하여 디지털 신호로 전환하여 전송
* 온도를 가시적 색상으로 변환한다거나, 진동을 가청 스펙트럼 사운드로 변환하는 방식으로 정보를
디지털화

- 선택적 인식 능력은 작업자의 경험과 성격에 따라 상이하기 때문에 작업자에게


요구되는 업무에 맞춰 현장 상황을 추론(지능화)하여 작업자가 인식하지 못한 정보를
적시에 제공 하여 업무를 지원
∙ 작업자가 정보를 선택적으로 선별하는 과정에서 누락되는 정보를 AI(머신러닝) 기술을 적용하여
필터링하여 ‘확대’하고 의사결정 상황에 확대된 정보를 작업자에게 도움이 필요한 시점에
능동적으로 제공하여 인간과 기계의 협력이 가능한 현장 환경을 조성

● (작업자의 인지능력 지원) 특정 작업 환경에서 필요한 정신적 인지 활동(지각, 기억,


추론, 결정, 운동 반응 등)과 관련된 능력을 지원

- 인지 능력은 으로 정신노동, 의사 결정, 숙련된 수행, 인간-컴퓨터 상호 작용, 수행의


신뢰성 유지, 직장 내에서의 스트레스 처리 등과 같은 작업자의 인지 활동 '결정'을 지원

- 인지 보조 장치(AR 기술, '지능적' 인간-기계 인터페이스)를 통해 인지 작업(진단, 상황


인식, 의사 결정, 기획 등) 부담을 경감하고 작업자의 복지와 생산 시스템의 성능을
모두 고려하여 작업에서 인간의 신뢰성을 제고

5. 시사점

● 기업은 첨단기술 개발뿐만 아니라 생산성·효율성 제고를 위한 스마트공장 구현과


작업장 에서의 디지털화하는 과제에 직면

- 디지털 전환, 4 차 산업혁명과 관련된 기존 논의가 첨단기술 개발을 통한 생산성·


효율성 제고 관점에서 추진되었다면 지금은 첨단기술의 현장 적용 방법에 대한
논의로 확장 중

- 물리적 공간과 사이버 공간의 결합 과정에서 사람(노동자, 작업자)과 기계의 협업이


보다 중요해 졌으며, 작업자들의 복지는 생산 공정에서 중심을 차지하게 되었음

● 기업이 스마트공장을 효과적으로 운영하기 위해서는 Operator 4.0 관점에서 새로운


직무를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새로운 엔지니어 육성이 필요

- Operator 4.0 이 지향하는 ‘적응형 공장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해서는 디지털화된


생산 공정 전반을 관리는 ‘중간 관리자’와 ‘스마트하고 숙련된 실무 작업자’의
육성이 중요

6
- 디지털화된 제조 현장을 효율적으로 운영하기 위한 ‘중간 관리자’로서 ①디지털 트윈
엔지니어, ② 공급 네트워크 예측 분석가, ③ 로봇 코디네이터, ④ 디지털 오퍼링
관리자,
⑤ 스마트 공장 매니저 등의 새로운 엔지니어가 필요(Deloitte Insights, 2021)

- 디지털 생산 공정 전반을 이해하고 디지털 설비에 적응 가능한 산업현장 인력에 대한


(재)교육 프로그램 설계가 필요
∙ 기업의 디지털 전환을 위한 인재육성 방향 제시뿐만 아니라 또한 제조 현장에서 IT 를
활용 하여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인재를 육성하기 위한 세부 프로그램 개발도 필요
* 일본(경제단체총연합회성)은 산업기술 환경의 급격한 변화 속에서 혁신을 창출할 수 있는 인재를
육성 하기 위한 기업 차원의 방안은 제시
* 고성능 디지털 교육 생태계를 개발과 디지털 기술과 디지털 전환을 위한 역량을 강화할 수 있는
현장 인력에 대한 구체적인 (재)교육 프로그램 설계

< Society 5.0 시대의 인재 육성을 위한 기업의 역할 >


분야 내용
∙ 디지털 전환기에 대응할 수 있는 기업 비전 제시 및 노사
의식과 조직 합의의 인재육성 방안 확립
∙ 역동적 혁신을 창출할 수 있는 조직 문화 조성을 위한 기업
문화의 변화
내외부 인력이 참여하는 ‘열린 조직 문화’ 방침 정립
∙ 직원의 권환 확대 및 실패 용인 문화 조성
∙ 최고 경영자와 관리자 계층에서의 메시지 전달
재직자의 자율적인 ∙ 직원들의 의사에 입각한 인사이동 제도(사내 공모 제도, 유학,
경력개발 지원 파견, 사내 인턴십 등) 실시
∙ 효과적인 OJT 를 위한 커뮤니케이션 강화
디지털 혁신 역량 ∙ 디지털 전력 제시 및 역량 개발 지원
개발 ∙ 외부 기관과 연계한 재교육 강화
자료 : Society 5.0 時代を切り拓く人材の育成(Society 5.0 시대를 개척하는 인재 육성)(일본 경제단체총엽합회, 2020)

< IT 활용 인재 육성을 위한 커리큘럼 방향 >


목적 주요 내용
∙ 제조 현장의 과제 해결을 위한 기초지식
공정 파악
- 현장의 개선인 생산성 및 품질에 끼치는 효과, 제조현장에서
과제 개선 절차, 과제 추출 시 착안점 등에 관한 지식
【객관적 관점으로 비효율성을 찾아내는 능력과 원인-가설 구축 능력】
∙ 공정 파악 · 분석 능력
과제 발굴 - 자사 생산 공정을 파악하여 작업, 설비, 시스템 상 과제(후보)
를 추출하는 능력
∙ 과제의 원인규명을 위한 가설 구축 능력
- 추출한 과제를 대상으로 각 과제의 해결에 기여하는 요인을
가정하고 선택하여 이들의 관계를 가설로서 제시할 수 있는
능력

[KIAT 애자일 2021 년 제 9 호] 7


KIAT [ 애자일 ] 2021 년 제 10 호DX 시대의 사람과 기계의 협업 방식 , Operator 4.0

목적 주요 내용
【 필요 데이터 및 Tool(도구) 선택 능력 】
원인분석에 ∙ 가시화가 필요한 데이터를 선정하는 능력
필요한 - 상기 가설을 반영하여 과제의 심각성 파악, 개선 효과의
데이터 가시화에 필요한 데이터를 선별하는 능력
검토 수집 ∙ 데이터 수집을 위한 IT Tool 을 선택할 수 있는 능력
IT - 필요한 정밀도와 비용의 균형을 반영, 데이터 수집 방법을 검토하기
활용 위한 IT Tool(센서, 계측기기 등)을 선택할 수 있는 능력

【데이터를 종합적으로 읽어낸 분석력과 해결방안을 제시하는 능력】


수집 ∙ 데이터를 읽어내는 분석력
데이터를
- 기존 정보와의 조합과 ②에서 추출한 문제와 가설 등을
활용한
원인분석, 종합하여 상황을 판단하고 원인을 찾아내는 능력
대응방안 ∙ 과제해결방안을 마련하는 능력
검토 - 분석 결과를 반영하여 현장 전체를 새롭게 관찰하고 필요에
따라 기업 내외부 관계자로부터 의견을 듣는 등 적절한 평가를
하면서
과제 해결을 위한 현실적 방안을 마련하는 능력
【 비용 대비 효과를 검토하여 제안하고 설명하는 능력 】
∙ 비용 대비 효과를 포함하여 검토할 수 있는 지식
- 비용 대 효과 산출 방식, 경영능력, 설비·기기 능력 그리고
대응방안 실현을
기존 작업의 변혁에 대한 현장의 수용성 및 사업화 비용(
위한 광범위한
가격·설치기간·설비 가동중단 등에 따른 대체 비용 및 손익,
검토
수명·유지보수 비용) 등을 반영하여 광범위하게 검토 하는 능력
∙ 개선방안 수행능력
- 상기 내용을 반영하여 개선방안의 실행에 있어 그 필요성을
필요한 부서, 벤더 등에 적절히 설명할 수 있는 발표(
프레젠테이션) 능력 및
협상 능력
과제 해결 실현 -
자료 : 「IT ものづくりブリッジ⼈材」 育成に係る事業(IT-제조 브릿지(Bridge) 인재 육성 사업)

● 작업자(노동자)의 신체적, 감각적, 인지적 측면 모두를 지원할 수 있는 협동 로봇, AR,


외골격·생체 추적 시스템 등에 대한 기술개발과 산업 현장 적용을 위한 테스트베드 구축
필요

- 작업자(노동자)의 생체정보를 이용한 암묵지의 형식지 전환과 작업방식의 디지털화를


위해서는 각종 디지털 웨어러블 기기 개발과 관련된 추가적인 기술 개발이 필요한
시점

- 다양한 제조 현장에서 활용될 협업 로봇, AR 기기 등의 적용 방식을 구체화하기 위한


테스트 베드 구축도 병행되어야 함

- 디지털 작업 현장에 대한 적절한 인식, 기계와의 협업을 위한 노동 정책의 변화,


작업자 (노동자)의 개인(생체)정보 활용을 위한 법`·제도 정비 등도 필요

8
[ 참고자료 ]
다중이동물체 인식을 위한 분산형 지능형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구현된 공간지능화 , 한국 해양정보통신학회 , 2007.
흥원 , 디지털 전환 시대 , 일본의 기업중심 인재 육성방안 , 2021( 일본 경제단체총엽합회 ,
を切り拓く人材の育成 )
흥원 , 제조업 재직자 IT 역량 강화를 위한 ‘일본 IT- 제조 브릿지 (Bridge) 인재 육성 사업 , 2021.
AST-BERGLUNDa and Dan PAULIN, ‘Production nn I ovation and Effective DisseminationofInformationfor Opera
Peter Bernus, Ovidiu Noran, Johan Stahre, Asa Fast-Berglund, ‘The
uman Cyber-Physical System & Adaptive Automation towards Human-AutomationSymbiosi
The future of work in manufacturing-What will jobs look like in the
1.
Szilárd Jaskó, Tibor Holczinger and János Abonyi. ‘Enabling Technologies forOperator 4.0: ASurvey’, 2018.

※ 한국산업기술진흥원 산업기술정책센터 정책기획실 박형민 책임연구원 / hmpark@kiat@.or.kr


※ 본 자료에 수록된 내용은 작성자의 개인의견으로 기관의 공식 견해가 아님을 밝힙니다.

[KIAT 애자일 2021 년 제 9 호] 9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