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8

2.

8 함수로서 도함수
도함수

함수 𝑓(𝑥)에 대하여
𝑓 𝑎 + ℎ − 𝑓(𝑎)
𝑓′(𝑎) = lim : 𝑎에서 함수 𝑓의 미분계수(derivative)
ℎ→0 ℎ

𝑓 𝑥 + ℎ − 𝑓(𝑥)
𝑓′(𝑥) = lim : 함수 𝑓의 도함수
ℎ→0 ℎ
예제1 주어진 함수 𝑓의 그래프를 보고 도함수 𝑓′의 그래프의 개형을 그려라.

Sol)
예제2 𝑎 𝑓 𝑥 = 𝑥 3 − 𝑥일 때 𝑓′(𝑥)를 구하여라.
𝑏 𝑓와 𝑓′의 그래프를 비교하여 설명하여라.
Sol)

예제3 𝑓 𝑥 = 𝑥일 때 𝑓의 도함수를 구하고 𝑓′의 정의역을 말하여라.

Sol)
1−𝑥
예제4 𝑓 𝑥 = 일 때 𝑓′을 구하여라.
2+𝑥
Sol)

다른 기호

𝑑𝑦 𝑑𝑓 𝑑
𝑓′ 𝑥 = 𝑦′ = = = 𝑓 𝑥 = 𝐷𝑓 𝑥 = 𝐷𝑥 𝑓(𝑥)
𝑑𝑥 𝑑𝑥 𝑑𝑥
𝑑
𝐷, : 미분연산자
𝑑𝑥
𝑑𝑦 𝑑𝑦
𝑓′ 𝑎 = ቤ = ቉
𝑑𝑥 𝑥=𝑎 𝑑𝑥 𝑥=𝑎
정의
𝑓가 𝑎에서 미분가능하다 𝑓′(𝑎)가 존재할 때
(differentiable)

예제4 함수 𝑓 𝑥 = |𝑥|는 어디서 미분가능한가?

Sol)
정리 𝑓 가 𝑎에서 미분가능이면 𝑓는 𝑎에서 연속이다

Pf)

함수는 언제 미분가능하지 않는가?

lim 𝑓′(𝑥) = ∞ : 𝑥 = 𝑎에서 수직접선을 갖는다


𝑥→𝑎
고계도함수
𝑑 𝑑𝑦 𝑑2𝑦
𝑓의 이계도함수 : 𝑓 ′ ′
= 𝑓′′ = 2 (라이프니츠 기호를 사용)
𝑑𝑥 𝑑𝑥 𝑑𝑥
물리학적 관점 물체의 위치함수 𝑠 = 𝑠(𝑡)


𝑑𝑠
𝑣 𝑡 =𝑠 𝑡 = : 속도
𝑑𝑡
𝑑𝑣 𝑑 2 𝑠
𝑎 𝑡 =𝑎= = : 가속도
𝑑𝑡 𝑑𝑡 2

예제6 𝑓 𝑥 = 𝑥 3 − 𝑥일 때 𝑓′′(𝑥)를 구하고 이를 설명하여라.

Sol)
′ ′
𝑑 𝑑2𝑦 𝑑3𝑦
𝑓의 삼계도함수 : 𝑓 ′ = 𝑓′′′ = 3 (라이프니츠 기호를 사용)
𝑑𝑥 𝑑𝑥 2 𝑑𝑥

물리학적 관점 물체의 위치함수 𝑠 = 𝑠(𝑡)

𝑑𝑎 𝑑 3 𝑠
𝑗= = : 가속도함수의 도함수, 저크(jerk)라고 함
𝑑𝑡 𝑑𝑡 3

예제7 𝑓 𝑥 = 𝑥 3 − 𝑥일 때 𝑓′′′(𝑥)와 𝑓 4 (𝑥)를 구하여라.

Sol)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