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5

마찰력 실험

2023년 4월 20일
남윤성 교수님

건축학부
제 2조
학번: 2023871004
이름: 김승훈
1. 실험 목적
뉴턴의 운동법칙을 이용하여 두 물체의 접촉면 사이에 작용하는 마찰력을 측정하고 측정 결과를
이용하여 물체의 질량, 접촉면의 면적 및 크기와 마찰계수의 관계성을 파악한다.

2. 이론
(1) 운동 마찰력
-물체의 상대적인 운동에서 두 물체가 마찰할 때 발생하는 마찰력이다.
-운동 마찰력의 크기는 수직항력과 운동마찰계수의 곱으로 나타난다.

(2) 정지 마찰력
-물체가 정지해 있는 동안에 받는 마찰력이다.
-외부의 힘이 최대 정지 마찰력을 초과하면, 물체는 운동한다.

3-1. 실험 장치

나무 블록 레일과 Motion Sensor 추와 추걸이

550 Interface PC 도르래와 실


3-2. 실험 절차

(1) PASCO Capstone 프로그램 설정


(a) PC에서 PASCO Capstone을 실행한다. Hardware Setup 탭의 반짝임을 통해 연결이 잘 되었는
지 확인한다.
(b) Hardware Setup 탭에서, Motion Sensor가 장착된 인터페이스 1, 2번을 클릭하여 “Motion
Sensor II”를 선택한다.
(c) 설정에서 “Zero sensor measurement at start” 박스를 체크한다.
(d) “Speed of sound”가 344m/s로 고정되어 있는지 확인한다.
(e) Motion Sensor의 Sample rate를 50hz로 설정한다.
(f) Graph와 Table을 각각 두 개씩 생성하고 X축은 모두 time으로, Y축 은 각각 position과
velocity로 설정한다.

(2) 나무 블록의 운동 측정
(a) 레일 다리의 나사를 조정하여 레일의 평형을 맞춘다.
(b) 센서와 나무 블록의 반사면이 평행이 되도록 조정한다.
(c) PC에서 record 버튼을 누른 뒤 추를 낙하시키고 다시 record 버튼을 눌러 녹화를 멈춘다.
(d) 매달린 추의 무게를 동일하게 하여 나무 블록의 A, B, C면 각각에 대해 5번 반복 측정한다.
(e) 이번에는 A면을 마찰면으로 고정하고, 나무 블록 위에 추를 올려 마찰하며 운동하는 물체의
무게를 변화시키며 측정한다.

4. 측정 결과

(1) 접촉 면적과 마찰계수의 관계


회 나무 블록 A면 (면적: 64.19cm2) 나무 블록 B면 (면적: 31.44cm2)
M(g) m(g) a(m/s2) μk M(g) m(g) a(m/s2) μk
1 123.530 55.780 1.012 0.286 123.530 55.780 1.242 0.253
2 0.956 0.289 1.277 0.255
3 0.960 0.293 1.248 0.256
4 0.913 0.290 1.252 0.249
5 0.951 0.289 1.259 0.256
평균 0.958 0.289 1.256 0.253
표준오차 0.016 0.003 0.006 0.004
(2) 마찰면의 거칠기와 마찰계수의 관계
회 나무 블록 A면 (면적: 64.19cm2) 나무 블록 C면 (면적: 64.19cm2)
M(g) m(g) a(m/s2) μk M(g) m(g) a(m/s2) μk
1 123.530 55.780 1.012 0.296 123.530 55.780 0.7123 0.388
2 0.956 0.300 0.432 0.391
3 0.960 0.289 0.523 0.385
4 0.913 0.294 0.475 0.392
5 0.951 0.297 0.474 0.389
평균 0.958 0.295 0.523 0.389
표준오차 0.016 0.003 0.049 0.006

(3) 수직항력과 마찰계수의 관계


회 나무 블록 A면 (면적: 64.19cm2) 나무 블록 A면 (면적: 64.19cm2)
M(g) m(g) a(m/s2) μk M(g) m(g) a(m/s2) μk
1 123.530 55.780 1.012 0.290 128.430 55.780 0.901 0.280
2 0.956 0.297 138.600 0.702 0.278
3 0.960 0.300 173.950 0.307 0.281
4 0.913 0.295 184.120 0.219 0.283
5 0.951 0.293 189.020 0.175 0.284
평균 0.958 0.298 0.461 0.282
표준오차 0.016 0.030 0.144 0.002

5. 고찰 사항
(1) A면과 B면에 대한 표 1의 실험 결과는 표면적이 다른 경우를 비교한 것이다. 실험 결과로부
터 접촉 단면적의 크기가 달라질 때 운동마찰계수가 어떻게 변하는가?
-A면 단면적은 B면 단면적의 약 2배이고, A면의 운동마찰계수는 B면의 운동마찰계수보다 약 0.05
크다. 이로부터 접촉 단면적이 증가할수록 운동마찰계수가 증가한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또한,
단면적 증가율에 비해 운동마찰계수 증가율이 크지 않으므로, 단면적과 운동마찰계수가 비례하지
는 않는다.

(2) A면과 C면은 표면적은 동일하지만 표면의 성질이 다른 경우이다. 실험 결과로부터 알 수 있


는 것은 무엇인가?
-A면에는 부직포가 붙어있고, C면에는 부직포가 붙어있지 않다. 실험 전에는 부직포가 붙어있지
않은 C면이 운동마찰계수가 작고 잘 미끄러질 것으로 예상했지만 실험 결과 부직포가 붙어있는
A면의 운동 마찰계수가 부직포가 붙어있는 C면에 비해 약 0.09만큼 낮았고, 더 잘 미끄러졌다. 이
를 통해 표면의 형태와 성질에 따라서도 운동마찰계수가 변화함을 알 수 있다.
(3) 실험절차의 (3)-(e) 실험 과정의 결과(표 2의 오른쪽 열)로부터 운동마찰계수에 영향을 주는
요소는 무엇이라고 결론지을 수 있는가?
-나무 블록 위에 추를 올려 무게를 달리 했을 때, 물체의 가속도는 큰 폭으로 변화하였지만,
물체의 운동마찰계수는 크게 변화하지 않았다. 이를 통해 운동마찰계수는 물체에 가해지는
수직항력이 아닌 물체의 마찰면적과 표면 거칠기 등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4) 다른 조건은 모두 동일하게 설정하고 매달린 추의 무게를 달리했을 때 어떤 결과를 얻을 것


이라고 예상하는가?
-추의 무게를 달리하면 마찰계수도 변화할 것 같다. 운동마찰계수를 계산하는 식은 uk=mg-
(M+m)a/M 인데, g>a 이므로 다른 조건의 변화 없이 추의 무게인 m 을 증가시킨다면
운동마찰계수의 값 역시 커질 것이다.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