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83

강구조공학 연습문제 풀이 | 1

제1장 서론

1.1 강구조의 주요 장점과 적용 시 유의하여야 할 점에 대해 기술하시오.

풀이

교재의 1.1절 참조

제2장 강재

2.1 폭 25mm, 두께 3.0mm이고 표점간 거리가 하중(  ) 변위(mm) 하중(  ) 변위(mm)


50mm인 강재 시편의 인장시험으로부터 하 0.0 0.0 (계속)
3581.5 0.01137 26964.8 0.6088
중-변위 관계가 다음과 같이 얻어졌다(전체
7438.6 0.02361 28445.6 0.9124
데이터 중 일부 발췌한 것임). 응력-변형률 10916.8 0.03466 29375.4 1.2239
선도를 작성하고 탄성계수(  ), 항복강도 14567.2 0.04625 30064.2 1.5275
18252.0 0.05794 30477.4 1.8311
( ), 인장강도( )를 구하시오.
21179.2 0.06724 30684.1 2.1222
24485.3 0.07773 30856.2 2.4243
27688.0 0.1017 30959.6 2.7373
27481.3 0.1111 30925.1 3.0425
26207.1 0.1236 30856.2 3.3445
25656.1 0.1330 30787.4 3.6372
25484.0 0.1659 30580.7 3.9502
25208.5 0.2035 30201.9 4.2554
25380.6 0.2473 29685.4 4.5575
25587.3 0.3052 28790.0 4.8595
25587.3 0.3803 27274.7 5.1663
25449.5 0.4570 25966.1 5.3009
26241.6 0.5306 24106.44 5.4292

풀이

응력은 하중을 단면적으로 나누고, 변형률은 표점간 변위를 50mm로 나누면 다음과 같은 응력-변형률
관계가 얻어진다.
2 | 강구조공학 연습문제 풀이

stress (MPa) strain stress (MPa) strain


0 0 (계속)
47.75371 0.000227 359.5304 0.012176
99.18079 0.000472 379.2747 0.018249
145.557 0.000693 391.6723 0.024478
194.2291 0.000925 400.8557 0.03055
243.3603 0.001159 406.3658 0.036623
282.3898 0.001345 409.1208 0.042445
326.4701 0.001555 411.4167 0.048486
369.173 0.002035 412.7941 0.054746
366.4179 0.002222 412.335 0.06085
349.4287 0.002473 411.4167 0.066891
342.0819 0.002661 410.4983 0.072744
339.7861 0.003318 407.7433 0.079004
336.1127 0.004069 402.6924 0.085108
338.4086 0.004946 395.8048 0.091149
341.1636 0.006104 383.8664 0.097191
341.1636 0.007606 363.6629 0.103326
339.3269 0.00914 346.2144 0.106017
349.8878 0.010611 321.4193 0.108584

직선부의 기울기를 구하면     가 얻어진다. (주 : 직선부의     가 되도록 데이
터를 가공하였음)
하항복점응력(항복강도)은 약 336 MPa, 최대응력(인장강도)은 412.8 MPa이 구해진다.
강구조공학 연습문제 풀이 | 3

제3장 설계방법, 하중

3.1 한계상태설계법의 개념 및 하중조합 종류에 대해 각각 간략히 기술하시오.

풀이

교재의 3.2.3 및 3.6.2 참조

제4장 인장부재

4.1 다음 그림과 같이 SM 355강재인 ㄱ형강 120×120×8(Ag=1876 mm2) 2개가 M16 고장력볼트로 연결된
인장부재에 고정하중 100kN과 활하중 200kN이 작용한 경우(ㄱ형강 1개당 ), 강교 설계기준에 따라
이 부재가 충분한 설계인장강도를 가지고 있는지 검토하라. 유효순단면적은 순단면적의 85%라고 가
정한다.

문제 4.1

풀이

1) 총단면이 항복하는 경우
∅  ∅   ×  ×  ×     

2) 순단면이 파단 되는 경우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따라서,   ∅ 이므로 충분한 설계인장강도를 가진다.


4 | 강구조공학 연습문제 풀이

4.2 다음 그림과 같이 SM 355강재인 H형강 400×300×10×16이 M24 고장력볼트로 플랜지와 연결된 경


우, 강구조 연결 설계기준에 따라 이 부재가 가지는 설계인장강도를 결정하라.

문제 4.2

풀이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3 다음 그림과 같이 SM 355강재인 평판 PL-10×200에 M24 고장력볼트가 5개 연결된 경우, 강교 설계


기준에 따라 이 부재의 설계인장강도를 결정하라.

문제 4.3

풀이

1) 총단면이 항복하는 경우:


∅   ×  ×  ×    
강구조공학 연습문제 풀이 | 5

2) 순단면이 파단되는 경우:


(a)    ×    

(b)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따라서, ∅   

4.4 다음 그림과 같이 SM 355강재인 ㄱ형강 120×120×8(Ag=1876 mm2)이 M16 고장력볼트로 연결된 경


우, 강구조 연결 설계기준에 따라 이 부재의 설계인장강도를 결정하라.

문제 4.4

풀이

1) 총단면이 항복하는 경우:


∅  ∅ ×  ×    ×  ×  ×    

2) 순단면이 파단되는 경우:


  계산
(a)      ×    
 
(b)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6 | 강구조공학 연습문제 풀이

4.5 다음 그림과 같이 SM 355 강재인 ㄱ형강 100×100×10이 M16


고장력볼트로 두께 12mm 거셋 플레이트에 연결된 경우, 강교
설계기준에 따라 인장부재의 블록 전단 파괴강도를 결정하라.

문제 4.5

풀이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블록전단파괴강도  

4.6 다음 그림과 같이 SM 355강재인 평판 PL-10×160이 M16 고


장력볼트로 두께 12mm 거셋 플레이트에 연결된 경우, 강구조
연결 설계기준에 따라 인장부재의 블록 전단 파괴강도를 결정
하라.

문제 4.6

풀이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강구조공학 연습문제 풀이 | 7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블록전단파괴강도  

4.7 다음 그림과 같이 SM 355강재인 ㄱ형강 1개에 M24 고장력볼


트가 두 줄로 연결된 인장부재에 고정하중 125kN과 활하중
355kN이 작용한다. 인장부재의 길이는 3m이며, 볼트는 각각
의 줄에서 4개가 설치된다. 강구조 연결 설계기준에 따라 이때
적합한 인장부재의 규격을 결정하라.

문제 4.7

풀이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a)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b)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블록전단파괴 검토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므로  ×  ×  O.K.


8 | 강구조공학 연습문제 풀이

제5장 압축부재

5.1 다음 압축부재들의 국부좌굴 여부를 검토하고 극한한계상태 설계압축강도를 구하라. 사용강재는


SM355이다.

문제 5.1(a) 문제 5.1(b) 문제 5.1(c)

5.1(a) 풀이

(1) 단면치수 및 성질
폭     , 형고     , 강관 두께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 폭두께비 검토
플랜지:        
표 5.2로부터,
  
  
  
∴       (비세장판)
∴ 압축부재는 비세장판단면이므로 국부좌굴은 고려하지 않는다.

(3) 검토 한계상태 결정
휨좌굴 한계상태

(4)  의 산정
표 5.3으로부터, 유효좌굴길이계수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또는      여기서       
  
강구조공학 연습문제 풀이 | 9

그러므로 좌굴응력 식(5.25)를 적용하여,





   
     

(5) 설계압축강도 산정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5.1(b) 풀이

(1) 단면치수 및 성질
플랜지 폭     , 플랜지 두께     , 형고     , 웨브 두께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 폭두께비 검토
플랜지:     
  
  
  
∴    (비세장판)
웨브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비세장판)
∴ 압축부재는 비세장판단면이므로 국부좌굴은 고려하지 않는다.

(3) 검토 한계상태 결정
휨좌굴 한계상태

(4)  의 산정
표 5.3으로부터, 유효좌굴길이계수   
 축에 대한 세장비      ×   
 축에 대한 세장비      ×   
∴ 지배 세장비                 

 
  
지배 세장비      
   

  


  또는
10 | 강구조공학 연습문제 풀이

  ∙ 
     이므로 (여기서,    
     ),
   

좌굴응력 식(5.26)를 적용하여,


       

(5) 설계압축강도 산정
  
     ×        
    

5.1(c) 풀이

(1) 단면치수 및 성질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의 계산 과정에서   플랜지 도심간 거리,      를 사용함)

                 

(2) 폭두께비 검토
플랜지:     
  
  
  
∴    (비세장판)
웨브 :          
  
  
  
∴    (비세장판)
강구조공학 연습문제 풀이 | 11

∴ 압축부재는 비세장판단면이므로 국부좌굴은 고려하지 않는다.

(3) 검토 한계상태
① 휨좌굴 한계상태
② 휨비틀림좌굴 한계상태

(4)  의 산정
① 휨좌굴 한계상태
표 5.3으로부터, 유효좌굴길이계수   
 축에 대한 세장비      ×   
 축에 대한 세장비      ×   
∴ 지배 세장비                
 
  
지배 세장비           
     
  

또는      여기서       

   
그러므로 좌굴응력 식(5.25)를 적용하여,



   
     ×     

② 휨비틀림좌굴 한계상태
대칭축에 대한 탄성휨좌굴력응력은
  × 
        
   
여기서, 아래첨자  는 대칭축을 의미하므로  는
대칭축인  축에 대한 탄성휨좌굴응력을 의미한다.
탄성비틀림좌굴응력은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탄성휨비틀림좌굴응력은 식(5.31)을 적용하여 계산한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2 | 강구조공학 연습문제 풀이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또는      (여기서,      )
그러므로 좌굴응력은 식(5.25)를 적용하여,



   
     ×     

③ 지배좌굴응력
휨좌굴과 휨비틀림좌굴 한계상태에 기초한 좌굴응력 중에 작은 것으로 한다.
∴         

(5) 설계압축강도 산정
  
     × ×       
    

5.2 다음 그림과 같이 등변ㄱ형강 ㄱ-100×100×13 압축재가 입체트러스의 웨브재로 사용될 때 유효세장


비를 산정하고 설계압축강도를 구하라. 거셋플레이트와의 접합은 한쪽 다리가 사용되며 사용강재는
SM355이다.

문제 5.2

풀이

(1) 단면치수 및 성질
다리 길이     , 다리 두께    
   ×       
강구조공학 연습문제 풀이 | 13

                 

(2) 폭두께비 검토
    
  
  
  
∴    (비세장판)

∴ 압축부재는 비세장판단면이므로 국부좌굴은 고려하지 않는다.

(3) 검토 한계상태 결정
휨좌굴 한계상태

(4) 유효세장비 산정
등변ㄱ형강 또는 긴 다리로 접합된 부등변ㄱ형강이 단일 부재이거나 또는 평면트러스의 웨브재로
인접한 웨브재와 거셋플레이트 또는 현재의 동일면에 접합된 경우에 해당하므로 식(5.17) 또는
(5.18)을 적용한다.
  
    이고  >  이므로, 식(5.18)적용하여
   
 
유효세장비           ×  
  

(5)  의 산정
 



   
  
   




  
 
또는      여기서       
 
그러므로 휨좌굴응력 식(5.26)를 적용하여,       

(6) 설계압축강도 산정
  
     × ×       
    
14 | 강구조공학 연습문제 풀이

5.3 다음 그림과 같이 두께   의 낄판을 사용하여 두 개의 등변ㄱ형강


ㄱ-130×130×12를 연결한 조립압축재의 설계압축강도를 구하라. 조립
압축재의 길이는   이며 양단에서 핀지지되어 있다. 낄판의 간격은
  이며, 낄판과 ㄱ형강 사이의 접합에는 완전 조임 볼트접합을 사용
한다. 사용강재는 SM355이다.
문제 5.3

풀이

(1) 단면치수 및 성질
① 개별부재
다리 길이     , 다리 두께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개별부재의 최소 곡률반경)
      (도심의 위치)
  
등변ㄱ형강의 경우           ×      ×     
  

② 조립부재
    (낄판의 두께),     (볼트 간격)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③                  


강구조공학 연습문제 풀이 | 15

(2) 폭두께비 검토
폭두께비        
  
  
  
∴    (비세장판)

∴ 압축부재는 비세장판단면이므로 국부좌굴은 고려하지 않는다.

(3) 조립부재의 세장비


① 조립부재  축에 대한 세장비
 축에 대하여 조립압축재의 도심축과 개별부재의 도심축이 일치하므로, 조립압축재의 세장비는

 


  × 
     
 

② 조립부재  축에 대한 세장비
 축에 대하여 조립압축재의 도심축과 개별부재의 도심축이 다르므로, 조립압축재의 세장비는

 


  × 
     
 

③ 조립부재  축에 대한 유효세장비
조립부재가 완전 조임 볼트접합되고,        이므로, 유효세장비는 식
(5.22)에 의해 다음과 같이 산정한다.

 

     


 

 
 

④ 조립부재의 세장비 검토
2개 이상의 형강들로 구성된 압축부재에서 연결재 사이의 개별부재의 유효세장비   는 조립
부재의 지배세장비의 3/4배를 초과하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  × 
개별부재 유효세장비:     
  

조립부재의 지배세장비의 3/4:  


   
 

 



∴   
   
 

O.K

(4) 검토 한계상태
① 휨좌굴 한계상태
② 휨비틀림좌굴 한계상태

(5)  의 산정
① 휨좌굴 한계상태

 축에 대한 세장비:  


  × 
     
 
16 | 강구조공학 연습문제 풀이

 축에 대한 유효세장비: 

 
         



   

∴ 지배 세장비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지배 세장비           
    
  

또는      여기서   
   

   
그러므로 좌굴응력 식(5.26)를 적용하여,
     ×     

② 휨비틀림좌굴 한계상태
- 대칭축인  축에 대한 휨좌굴력응력

 축에 대한 유효세장비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또는      여기서   
   

   
그러므로 좌굴응력 식(5.25)를 적용하여,



   
     ×     

- 비틀림좌굴응력
비틀림좌굴응력은 식(5.29)를 적용하여,

  
 
 
 ×  × 

 × 
   

따라서, 휨비틀림좌굴응력은 식(5.28)을 적용하여,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③ 지배좌굴응력
휨좌굴과 휨비틀림좌굴 한계상태에 기초한 좌굴응력 중에 작은 것으로 한다.
∴         
강구조공학 연습문제 풀이 | 17

(6) 설계압축강도 산정
  
    ×       
    

5.4 다음 그림과 같은 세장판단면을 갖는 압축부재들의 설계강도를 구하라. 사용강재는 SM355이다.

문제 5.4(a)

문제 5.4(b)

5.4(a) 풀이

(1) 단면치수 및 성질
플랜지 폭     , 플랜지 두께     ,
형강 전체 높이     , 스템 두께     ,
                  
18 | 강구조공학 연습문제 풀이

플랜지 최상단으로부터 도심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 폭두께비 검토
플랜지: 폭두께비     
폭두께비 한계값   
  
  
   이므로,
∴ 플랜지는 비세장 자유돌출판
스템 : 폭두께비     
폭두께비 한계값   
  
  
   이므로,
∴ 스템은 세장한 자유돌출판이고,  를 적용

∴ 압축부재는 세장판단면이므로,
     ∙   를 적용하여 국부좌굴 한계상태를 검토하여야 함

(3)  산정
T형강의 스템의 폭두께비  가 
       ≤ 
   이므로,
강구조공학 연습문제 풀이 | 19

 는 식(5.46)에 따라 다음과 같이 계산함.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 검토 한계상태 결정
① 국부좌굴을 고려한 휨좌굴 한계상태
② 국부좌굴을 고려한 비틀림좌굴 한계상태

(5)  의 산정
① 국부좌굴을 고려한 휨좌굴 한계상태

 


 
    
    



 

 

∴  축에 대한 휨좌굴 지배

 
 


 


 

           
   
또는      여기서   


   

   
그러므로 국부좌굴을 고려한 휨좌굴응력 식(5.35)를 적용하여,
       

② 국부좌굴을 고려한 휨비틀림좌굴 한계상태


- 대칭축인  축에 대한 국부좌굴을 고려한 휨좌굴력응력
 
         
 


  



또는      여기서       

   
그러므로 국부좌굴을 고려한 휨좌굴응력 식(5.34)를 적용하여,



    
    ×   ×     

- 비틀림좌굴응력
비틀림좌굴응력은 식(5.29)를 적용하여,

  
 
 

 ×  × 


     
 × 

따라서, 국부좌굴이 고려된 휨비틀림좌굴응력은 식(5.28)을 적용하여,


20 | 강구조공학 연습문제 풀이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③ 지배좌굴응력
지배좌굴응력은 국부좌굴을 고려한 휨좌굴응력 및 비틀림좌굴응력, 국부좌굴응력 중에서 작은
값으로 한다. 따라서,
       

(5) 설계압축강도 산정
  
      
  
    

5.4(b) 풀이

(1) 단면치수 및 성질
각형강관 폭     , 높이     , 두께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 폭두께비 검토
강구조공학 연습문제 풀이 | 21

짧은 측 : 폭두께비        ×   


폭두께비 한계값   
  
  
폭두께비   (∴ 비세장)

긴 측 : 폭두께비        ×   


폭두께비 한계값   
  
  
폭두께비   (∴ 세장)

∴ 압축부재는 세장판단면이므로,
     ×   를 적용하여 국부좌굴 한계상태를 검토하여야 함

(3)  산정
균일한 두께를 갖는 정방형이나 장방형의 세장판의 유효폭  는 식(5.50)에 따라
 
    
  

   

 
≤  (여기서,    라 가정하고  는 폭두께비 42.44이다)

  
          
   
    

감소된 유효폭  를 고려하여 산정한 유효단면적  는


       
 (여기서,           ×     )
          

세장한 양연지지판의 저감계수  는 식(5.48)에 따라


 
      
 

따라서,      ×   

(4) 검토 한계상태 결정
국부좌굴을 고려한 휨좌굴 한계상태

(5)  의 산정
국부좌굴을 고려한 휨좌굴 한계상태

 


 
    
 

 

  
   

∴  축에 대한 휨좌굴 지배

 
 


   
 

  

    
 

또는      여기서   

   
   
22 | 강구조공학 연습문제 풀이

그러므로 국부좌굴을 고려한 휨좌굴응력 식(5.34)를 적용하여,





    
    ×   ×     

(5) 설계압축강도 산정
  
         
    

5.5 다음 그림과 같이 강축과 약축에 대하여 다르게 지지된 압축


부재에 고정하중   과 활하중   이 작용하고 있다.
SM355강재를 사용하여 압연H형강 단면을 선택하라. 고정하
중에 대한 하중계수는 1.2, 활하중에 대한 하중계수는 1.6으
로 한다.

문제 5.5

풀이

아래와 같은 시행착오법을 수행하여 적합한 압축부재 단면을 선택한다.

(1) 재료 물성치
           

(2) 소요압축강도  산정
         

(3-1) 단면 가정1
좌굴응력      ×      으로 가정

압축강도 검토식  ≤   으로 가정




∴ 검토식으로부터  ≥       
  ×  
 

강구조공학 연습문제 풀이 | 23

단면가정1: H-300×150×6.5×9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폭두께비 검토
플랜지 폭두께비  :   
플랜지 폭두께비 한계값  : 
  
∴  ≤  (비세장 자유돌출판)

웨브 폭두께비  :     


웨브 폭두께비 한계값  : 
  
∴  ≥  (세장 양연지지판)

∴ 압축부재단면은 세장판단면이고,      를 적용하여 국부좌굴을 고려한다.

∙      산정
세장판의 유효폭  는 식(5.49)에 따라
 
    
  
  
  
 
≤  (여기서,    라 가정하고,
  는    )

  
          
   
    
감소된 유효폭  를 고려하여 산정한 유효단면적  는
       
 (여기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세장한 양연지지판의 저감계수  는 식(5.48)에 따라


 
      
 
따라서,      ×   

∙ 설계압축강도  산정
     ×   
     ×   
지배세장비     
세장비한계값 
  
∴   > 
 이므로, 탄성좌굴영역

탄성좌굴응력        


좌굴응력        (식(5.35))
공칭압축강도      
24 | 강구조공학 연습문제 풀이

설계압축강도      

∙ 안전성 검토
    >   
∴ 압축부재는 안전하지 않음

(3-2) 단면 가정2
단면 가정1에서 가정된        와 계산하여 결정된      의 산술평균
값인      으로 가정

압축강도 검토식  ≤   으로 가정




∴ 검토식으로부터  ≥       
  ×  
 

단면가정2: H-200×200×8×12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폭두께비 검토
플랜지 폭두께비  :   
플랜지 폭두께비 한계값  : 
  
∴  ≤  (비세장 자유돌출판)

웨브 폭두께비  :     
웨브 폭두께비 한계값  : 
  
∴  ≤  (비세장 양연지지판)

∴ 압축부재단면은 비세장판단면이고, 국부좌굴을 고려하지 않음.

∙ 설계압축강도  산정
     ×   
     ×   
지배세장비     
세장비한계값 
  
∴   > 
 이므로, 탄성좌굴영역

탄성좌굴응력        


좌굴응력        (식(5.26))
공칭압축강도      
설계압축강도      
강구조공학 연습문제 풀이 | 25

∙ 안전성 검토
    <   
∴ 압축부재는 안전하지 않음

(3-3) 단면 가정3
단면 가정2에서 가정된      와 계산하여 결정된      의 산술평균값인
     으로 가정

압축강도 검토식  ≤   으로 가정




∴ 검토식으로부터  ≥       
  ×  
 

단면가정3: H-244×252×11×11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폭두께비 검토
플랜지 폭두께비  :   
플랜지 폭두께비 한계값  : 
  
∴  ≤  (비세장 자유돌출판)

웨브 폭두께비  :     


웨브 폭두께비 한계값  : 
  
∴  ≤  (비세장 양연지지판)

∙ 설계압축강도  산정
     ×   
     ×   
지배세장비     
세장비한계값 
  
∴   > 
 이므로, 탄성좌굴영역

탄성좌굴응력        


좌굴응력        (식(5.26))
공칭압축강도      
설계압축강도      

∙ 안전성 검토
    <   
∴ 압축부재는 안전함
26 | 강구조공학 연습문제 풀이

(4) 검토결과 요약 및 결론
시행착오법을 통해 선택된 단면들의 검토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소요 단면적
검토
구분  가정값

  

  선택 단면 단면적   계산값
결과

1       H-300×150×6.5×9       N.G.


2       H-200×200×8×12       N.G.
3       H-244×252×11×11       O.K.

단면적    (H-200×200×8×12)와    (H-244×252×11×11)의 사이에 해당하는 단면을


추가적으로 선택하여 동일한 과정에 따라 검토를 수행하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구분 선택 단면 단면적   계산값 검토결과


1 H-354×176×8×13       N.G.
 
2 H-294×200×8×12     O.K.
 
3 H-200×204×12×12     N.G.

따라서, H-244×252×11×11와 H-294×200×8×12가 적합한 압축부재 단면이고, 이 중 더 작은 단면적


을 갖는 H-294×200×8×12를 압축부재 단면으로서 선택한다.

5.6 다음 그림과 같이 강축과 약축에 대하여 다르게 지지된 매입형 합성기둥에 고정하중     과
활하중     의 순수 압축력이 작용할 때 안정성을 검토하라. 단 부재 단면의 크기는 600×600
  , 콘크리트의 설계기준압축강도는     , 강재단면은 압연H형강 H-300×300×10×15
(SM355), 내부 길이방향철근은 4-D25 (SD400), 띠철근은     이다. 콘크리트 피복두께는
  이다. 고정하중에 대한 하중계수는 1.2, 활하중에 대한 하중계수는 1.6으로 한다.

문제 5.6
강구조공학 연습문제 풀이 | 27

풀이

(1) 단면치수 및 성질
① 전체 단면
너비     , 폭     , 피복두께    
단면적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② H-300×300×10×15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③ 길이방향철근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④ 콘크리트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 구조제한 검토
① 강재 코어의 단면적
강재 코어의 단면적은 총단면적의 1% 이상
 
 ×    ×       O.K
  
② 띠철근(횡방향철근) 중심간 간격
횡방향철근 중심간 간격은 직경 D10의 철근을 사용할 경우에는 300mm 이하
띠철근 중심간 간격  ≤   O.K
28 | 강구조공학 연습문제 풀이

띠철근 중심간 간격 (   )은 다음을 초과할 수 없다.


길이방향 철근지름의 16배  ×     O.K
띠철근 지름의 48배  ×     O.K
합성단면 최소변길이의 1/2  ×     O.K
③ 길이방향철근의 철근비
연속된 길이방향 철근의 최소철근비 0.004이므로,
  
철근비          O.K
 

(3) 검토 한계상태
휨좌굴 한계상태

(4)  의 산정
길이효과를 고려하지 않은 공칭압축강도는
      
        

합성단면의 유효강성은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합성단면의 탄성휨좌굴강도는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므로,  축 휨좌굴 한계상태 검토

 
     ≤  이므로, 공칭압축강도  는 식(5.53)을 적용하여,
  

  ×  


  

 
   
   
강구조공학 연습문제 풀이 | 29

(5) 설계압축강도 산정
  
    

(6) 안전성 검토
소요압축강도 
         
         O.K
∴ 설계압축강도가 소요압축강도보다 크므로 안전함.

5.7 다음 그림과 같은 각형강관 충전형합성기둥과 원형강관 충전형합성기둥의 안정성을 검토하라. 콘크리


트의 설계기준압축강도는     , 각형강관은 □-300×300×4.5 (SM355), 원형강관은 
-812.8×9.0 (SM355)을 사용한다. 고정하중에 대한 하중계수는 1.2, 활하중에 대한 하중계수는 1.6으
로 한다.

문제 5.7(a) 문제 5.7(b)

5.7(a) 풀이

(1) 단면성질
① □-300×300×4.5
강관의 총 폭     , 총 높이     , 두께    
강관 모서리 바깥 반경        라 가정.
     ,
   ×    ,

     ,     

② 콘크리트
모서리를 뺀 콘크리트 단면적은
30 | 강구조공학 연습문제 풀이

               ,


모서리를 뺀 콘크리트의 단면2차모멘트 는 전체 콘크리트 단면2차모멘트  에서 모서리 부분의
콘크리트 단면2차모멘트 를 빼어 계산한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 구조제한 검토
① 강관의 단면적
강관의 단면적은 총단면적의 1% 이상
 
 ×    ×       O.K
    

② 폭두께비
각형 강관의 폭두께비         

조밀/비조밀 폭두께비 한계값         
  
 



 

비조밀/세장 폭두께비 한계값    





    


∴  <  <  (비조밀단면)

(3) 검토 한계상태
휨좌굴 한계상태

(4)  의 산정
축부재가 비조밀단면이므로 길이효과를 고려하지 않은 공칭압축강도  는 식(5.61)에 따라 다음과
같다.
  
       
  
여기서,  는 식(5.59)에 따르고,  는 식(5.62)에 따라 산정한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강구조공학 연습문제 풀이 | 31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따라서,               
     
  

합성단면의 유효강성은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합성단면의 탄성휨좌굴강도 및 공칭압축강도는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므로, 공칭압축강도는 식(5.53)을 적용하여,
 

  ×  


  

 
   
   

(5) 설계압축강도 산정
  
     

(6) 안전성 검토
소요압축강도 
         
         O.K
∴ 설계압축강도가 소요압축강도보다 크므로 안전함.

5.7(b) 풀이

(1) 단면성질
① ○-812.8×9.0
강관의 외경     , 두께    
     ,
   ×    ,
32 | 강구조공학 연습문제 풀이

     ,     

② 콘크리트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 구조제한 검토
① 강관의 단면적
강관의 단면적은 총단면적의 1% 이상
 
 ×    ×       O.K
    

② 폭두께비
원형 강관의 폭두께비       
 
조밀/비조밀 폭두께비 한계값         
 
 
조밀/비조밀 폭두께비 한계값         
 
∴  <  <  (비조밀단면)

(3) 검토 한계상태
휨좌굴 한계상태

(4)  의 산정
압축부재가 비조밀단면이므로 길이효과를 고려하지 않은 공칭압축강도  는 식(5.61)에 따라 다음
과 같다.
  
       
  
여기서,  는 식(5.59)에 따르고,  는 식(5.62)에 따라 산정한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강구조공학 연습문제 풀이 | 33

          

      


따라서,               
     
  

합성단면의 유효강성은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합성단면의 탄성휨좌굴강도 및 공칭압축강도는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므로, 공칭압축강도는 식(5.53)을 적용하여,
  

  ×  


  

 
   
   

(6) 설계압축강도 산정
  
   ×    

(7) 안전성 검토
소요압축강도 
         

         O.K


∴ 설계압축강도가 소요압축강도보다 크므로 안전함.
34 | 강구조공학 연습문제 풀이

제6장 휨부재

6.1 압연 형강보 H-400×300×10×16(SM275)의 강축에 대한 항복모멘트와 소성모멘트를 구하시오.

풀이

H-400×300×10×16(SM275)
표준단면치수: 390×300×10×16,      ,     ,
    ,     ,     

항복모멘트         ·  ·


소성모멘트         ·  ·

6.2 T단면의 형강이 24mm×240mm 플랜지와 24mm×300mm 웨브로 구성되어 있고 항복응력은 235MPa
이다. 수평 소성충립축에 대한 소성모멘트  를 구하시오.

풀이

∙ 평형방정식에 의한 짝힘(압축력과 인장력) 및 소성중립축의 위치 결정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짝힘에 의한 소성모멘트 계산
∑            
   ·
강구조공학 연습문제 풀이 | 35

6.3 항복강도  가 275  인 비대칭 강재보 단면의 크기가 상부플랜지 15mm×350mm, 하부플랜지
15mm×250mm, 웨브 12mm×600mm이다.

(a) 상연으로부터 중립축까지의 거리  , 탄성단면계수  및 항복모멘트  를 구하시오.


(b) 상연으로부터 소성중립축(P.N.A.)까지의 거리   , 소성단면계수  및 소성모멘트  를 구하시오.
(c) 이 단면에 대한 형상계수를 구하시오.

풀이

(a)
상부플랜지 상연으로부터 중립축(도심)까지의 거리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중립축에 대한 단면2차모멘트는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탄성단면계수는 다음과 같은 공식으로 정의된다.



 
중립축으로부터 가장 멀리 떨어진 거리
 ×  
     ×  
  
항복모멘트  :
      
  ×   ×    ·
36 | 강구조공학 연습문제 풀이

(b)
소성중립축(P.N.A.)은 인장과 압축을 받는 면적이 서로 같다는 정리로 구한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소성중립축으로부터 위의 단면(압축단면,  )도심까지 거리
∑
  
∑

    
      
 

    
  
소성중립축으로부터 아래의 단면(인장단면,  )도심까지 거리
∑
  
∑
  
     


    
 
소성단면계수는 소성중립축에 대한 단면1차모멘트로 정의되며 다음과 같이 산정한다.
      
   
  ×  
소성모멘트  :
  
  ×   ×  
 ·

(c)
단면에 대한 형상계수 S.F.:
   ×  
S.F.        
 
 
 ×  
강구조공학 연습문제 풀이 | 37

6.4 압연 형강보 H-100×100×6×8(SM275)의 플랜지와 웨브가 조밀단면, 비조밀단면 또는 세장판단면


중에서 어느 단면에 속하는지 결정하시오.

풀이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플랜지 조밀단면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웨브 조밀단면

6.5 압연 형강보 H-150×150×7×10(SM275)의 플랜지와 웨브가 조밀단면, 비조밀단면 또는 세장판단면


중에서 어느 단면에 속하는지 결정하시오.

풀이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따라서, 조밀플랜지
   × 
    


    
  

따라서, 조밀웨브
38 | 강구조공학 연습문제 풀이

6.6 H형강 H-400×300×10×16(SM275)의 보가 양단에 단순지지 되어있으며, 상부슬래브에 의해 압축플


랜지 전길이에 대해 횡방향 지지되어 있다. 휨강도를 산정하시오

풀이

H-400×300×10×16 →표준단면치수 390×300×10×16 ,     


플랜지 조밀단면, 웨브 조밀단면
공칭휨강도        
  ·  ·

6.7 압연H형강보 H 700×300×13×20( =28mm)의 비보강 공칭전단강도를 산정하시오. 강재의 종류는


2
SM275이다(탄성계수 210GPa, 항복강도,   275N/mm ).

풀이

전단좌굴응력비 C를 결정하기 위해 식 6.25~6.27을 검토한다.






     
        
  
이므로 C=1.0을 사용한다.
       
  ×  ×  ×  ×     
 

6.8 H형강 H-300×300×10×15(SM400)의 보가 양단에 단순지


지 되어있으며, 양단지점에만 횡방향지지 가로보가 설치되
어 있다. 하중 P는 사용활하중을 나타낸다면, 최대허용하중
P는 얼마인가?

(a) 보의 자중 무시 문제 6.8
(b) 보의 자중 고려

풀이

H-300×300×10×15(SM400)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강구조공학 연습문제 풀이 | 39

∙플랜지,웨브 조밀단면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가정,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a) 보의 자중 무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0 | 강구조공학 연습문제 풀이

(b) 보의 자중 고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6.9 표준단면형강 H-700×300×13×24(SM400)의 보가 양단에


단순지지 되어있으며, 양단지점에만 횡방향지지 가로보가
설치되어 있다. 등분포하중 w(kN/m)는 사용활하중을 나타
낸다면, 최대허용하중 w는 얼마인가?(보의 자중 고려)

문제 6.9

풀이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강구조공학 연습문제 풀이 | 41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6.10 표준단면형강 H-500×200×10×16 (항복강도     ,


탄성계수     )과 폭     , 두께    
의 상부콘크리트 슬래브로 구성된 합성보에는 전단연결재가
충분히 설치되어 완전합성거동을 한다. 콘크리트의 단위질
량      이고, 평균압축강도     이다.

(a) 환산단면에 대한 단면2차모멘트를 계산하시오.


(b) 정모멘트 구간에 설치되어 휨모멘트 320 kN-m을 받는
문제 6.10
경우 강재 상하단과 콘크리트 상단에서 발생하는 응력을
산정하시오.

풀이

(a) 식(6.46)을 이용하여 콘크리트의 탄성계수를 먼저 구한다.


42 | 강구조공학 연습문제 풀이

 
 × 
   ×  
 
  ×  ×    
식(6.45)에서 보인 탄성계수비를 계산하여
 
       ∴    을 사용한다.
 
콘크리트 탄성계수는 근사화하여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통용되는 정수값를 사용한다.
탄성계수비를 사용하여 환산단면적을 산정할 때 높이는 그대로 두고 폭을 변화시키는데 환산된 폭
′ 은 다음과 같다.
 
 ′       
 
환산단면의 중립축이 강재단면의 웨브에 있는 것으로 나타나 있지만 콘크리트단면에 있는지 강재단
면에 있는지 아직은 알 수 없다.
주어진 표준강재단면의 단면적과 단면2차모멘트는 부록으로부터 각각      및
 
   ×   이다. 중립축의 위치는 슬래브 상단을 기준축으로 단면1차모멘트를 취하여 찾을
수 있다.

요소  (mm2)  (mm)  (mm3)


콘크리트 67,500 100 6,750,000
강재단면 11,420 550 6,281,000
78,920 13,031,000

위 표를 참조하고, 슬래브 상단에서 합성단면 도심까지의 거리  는 다음과 같다.


      

  
이 값은 슬래브 두께 200mm 보다 작기 때문에 환산단면의 중립축은 슬래브 내에 위치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요소  (mm2)  (mm) 
 (mm4)  (mm) 
   (mm4)
6
콘크리트 67,500 100 225.0×10 65.1 511.1×106
강재단면 11,420 550 478.0×106 284.9 1,405×106
1,916×106

평행축 정리로 위에 보인 표를 작성하여 환산단면에 대한 단면2차모멘트를 계산하면 다음과 같은


값을 얻는다.
   ×  

(b) 중립축에서 강재 상단까지 거리는


     –  
여기서 는 슬래브의 두께이다.  의 부호가 음이라는 것은 강재단면과 콘크리트의 접합면 기준으로
상향 즉, 콘크리트 단면내에 중립축이 존재한다는 의미이므로 강재단면은 모두 중립축 아래에 위치
강구조공학 연습문제 풀이 | 43

하게 되어 인장상태에 있게 된다. 정모멘트 구간에 설치되어 휨모멘트 320 kN∙m을 받는 경우 강재


단면 상단에서의 응력은
  ×  ·   
    
  ×   
    
으로 계산된다.
중립축으로부터 강재단면 하단까지 거리  및 강재단면 하단에서의 응력은 각각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으로 산정되는데 강재단면 상단과 마찬가지로 인장응력 상태에 있다. 한편, 콘크리트 상단의 응력은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으로 압축응력 상태에 있다.

6.11 문제 10에서 제시된 합성보의 공칭휨강도를 구하시오.

풀이

콘크리트의 압축력 C를 먼저 결정한다. 강재단면 전단면 항복력  와 콘크리트의 전단면 압축력
 중에서 작은 값이 실제 콘크리트에 작용하는 압축력 C가 된다.
         
        
강재단면이 지배하므로 압축력 C는 2,404,770N이 된다. 따라서 슬래브의 총 두께가 요구하는 압축력
을 산정하는 과정은 필요하지 않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 때의 응력분포는 다음 그림과 같다.

강재단면이 압축력을 지배하는 합성단면의 압축력 (C)과 인장력 (T)

이 때 콘크리트 슬래브에 작용하는 압축력은 다음과 같다.


  
이로부터 콘크리트 슬래브 상단으로부터 압축력이 작용하는 깊이 를 산정하면
44 | 강구조공학 연습문제 풀이

  
      
    

이 되고, 압축력 C는 슬래브 상면으로부터 깊이 a/2만큼 떨어진 압축면 중심에 작용하게 된다. 인장력의
합력 T는 압축력 C와 크기는 같고 강재단면의 중심에 작용한다. C와 T에 의한 짝힘 모멘트의 팔길이는
   
               
   
로 계산되고 합성단면의 공칭휨강도는
            ·
로 계산된다. 설계휨강도는 강도계수를 고려하여 다음과 같이 산정한다.
   ·    ·

6.12 문제 10에서 제시된 합성보에서 강재의 항복강도  가 400MPa로 변경되었을 경우 공칭휨강도를 구하


시오.

풀이

콘크리트의 압축력 C를 먼저 결정한다. 강재단면 전단면 항복력  와 콘크리트의 전단면 압축력
 중에서 작은 값이 실제 콘크리트에 작용하는 압축력 C가 된다.
         
        
강재단면이 지배하므로 압축력 C는 4,568,000N이 된다. 이 때 콘크리트 슬래브에 작용하는 압축력은
다음과 같다.
  
이로부터 콘크리트 슬래브 상단으로부터 압축력이 작용하는 깊이 를 산정하면
 
      
    

이 되고, 압축력 C는 슬래브 상면으로부터 깊이 a/2만큼 떨어진 압축면 중심에 작용하게 된다. 인장력의
합력 T는 압축력 C와 크기는 같고 강재단면의 중심에 작용한다. C와 T에 의한 짝힘 모멘트의 팔길이는
   
               
   
로 계산되고 합성단면의 공칭휨강도는
            ·
로 계산된다. 설계휨강도는 강도계수를 고려하여 다음과 같이 산정한다.
    ·    ·
강재의 항복강도를 355MPa에서 400MPa로 12.6% 증가시키면 휨강도는 1,526kN∙m에서 1,704kN∙m
로 11.3% 증가함을 알 수 있다.
강구조공학 연습문제 풀이 | 45

6.13 그림과 같이 단순지지된 강재바닥틀의 경간이 10 m이고, 등


분포 고정하중(DC) 15kN과 충격하중이 고려된 활하중 (LL)
20kN/m이 작용하는 H형강 단면을 설계하였다. 활하중 (LL)
에 의한 처짐은 보도부가 있는 바닥판으로 L/1000로 제한되
어 있다. H󰠏600×200×11×17 단면이 사용되었을 때 처짐의
사용성에 대하여 검토하시오. 단, 하중조합은 사용한계상태 문제 6.13
Ⅱ로      를 사용하시오.

풀이

검토의 목적이 구조물이 사용중일 때의 처짐이므로 하중은 극한하중 대신 활하중을 사용한다. 강재바닥
틀은 고정하중이 재하되면서 바닥구조가 수평이 되도록 부재의 제작시 처짐의 역방향으로 솟음을 설치되
어 있으므로, 활하중(LL)에 의한 처짐의 사용성만 검토하면 된다. 활하중에 의한 모멘트는 아래와 같다.
      
최대모멘트는
          ⋅
단순경간 최대처짐은
    
  
 
로 계산되며 강재제원표에서 찾아보면, H󰠏600×200×11×17의 단면2차모멘트    ×    임
을 알 수 있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6.14 다음과 같은 조건에서 각각의 경우에 대하여 SM355 강종으로 제작된 플레이트거더의 공칭휨강도를
산정하라.

문제 6.15
46 | 강구조공학 연습문제 풀이

(a) 비지지길이가 7m이고, 균일한 휨모멘트가 작용할 경우


(b) 비지지길이는 위와 동일하되, 아래 그림과 같이 경간 중앙에 집중하중이 재하된 경우

풀이

(a)
가. 국부좌굴강도
압축플랜지의 국부좌굴강도는 다음과 같이 구한다.
①  ≤  인 경우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여기서, 는 다음의 판별식

  ≤ 

163.8 > 138.9
으로 만족하지 못하므로
 
           ≤ 
   
 0.974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② 그 밖의 경우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여기서,
 
  압축플랜지의세장비     
 
   비지지유효폭, x방향(횡방향) 전단연결재 간격(mm)
   상부플랜지 두께
   강재탄성계수
강구조공학 연습문제 풀이 | 47

    상부플랜지 항복강도



  비조밀단면플랜지의 세장비한계  


 

   ×    둘 중에 작은 값≥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따라서,
 
 
       ≤      
   
이므로, ∴    

나. 횡비틀림좌굴강도
① 비지지길이 내에서 균일 단면을 갖는 압축플랜지의 횡 비틀림 좌굴 강도는 다음과 같이 구한다.
  ≺   ≤   인 경우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여기서,
  : 비지지길이 7,000mm 가정
  소성거동을 보장하는 비지지길이의 한계(mm)
 
  ×  ×
 
   ×  ×




  

  비탄성 횡비틀림좌굴을 보장하는 비지지길이의 한계(mm)



  ×  ×
 




  ×  × 


  

  압축플랜지와 압축을 받는 웨브 높이의 1/3을 합한 면적의 연직축에 대한 유효회전반경



   

   × 
   
  × 
  웨브의 국부좌굴을 고려한 플랜지 응력감소계수
  하이브리드 단면의 플랜지 응력감소계수

   

        
  


≤  이므로,

여기서, 브레이싱 양단 지점간의 모멘트의 변화가 없으므로(일정하므로)


48 | 강구조공학 연습문제 풀이

  
   :  에 대응하는 반대지점의 횡방향 휨을 고려하지 않은 휨응력
∴   : 브레이싱 양단 지점에서 발생하는 압축응력 중 큰 값 (MPa).
이를 대입하면,
∴         ≤ 
따라서,
              이므로,
∴   
공칭휨모멘트는 아래와 같이 산정된다.

   ×     ×  

  ·  ·

(b) 하중조건이 달라진 경우


  
   :  에 대응하는 반대지점의 횡방향 휨을 고려하지 않은 휨응력
 : 브레이싱 양단 지점에서 발생하는 압축응력 중 큰 값 (MPa).
이를 대입하면,         ≤ 
압축플랜지의 휨저항강도는
∴    ×  ≤  
   ≥  
  
따라서, 공칭휨모멘트는 다음 식에 의해 산정된다.
   ×     ×  
  ·  ·
강구조공학 연습문제 풀이 | 49

제7장 축력과 휨을 동시에 받는 부재

7.1 다음 그림과 같은 보-기둥 부재의 축력비가   0.1, 0.3,


0.5, 0.7, 0.9일 경우 설계기준식에 의한 모멘트증폭계수를 산정
하시오.

문제 7.1

풀이


증폭계수     ≥  에서 모멘트 저감계수   1.0 적용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는다.
   

  0.1 0.3 0.5 0.7 0.9


 1.11 1.43 2.00 3.33 10.0

7.2 다음 그림과 같이 설계기준의 휨-압축재 설계식(7장의 식(7.1) 및


식(7.2))을 이용하여 단면이 압연H형강    ×  ×  ×  인
다음 기둥의 축압축력-휨모멘트 상호작용 곡선(    관계
식)을 도시하고 비교하시오. 면내의 강축휨만을 고려하시오
(    ,     ).
4

문제 7.2
50 | 강구조공학 연습문제 풀이

풀이

예제 7.3과 예제 7.4의 결과를 이용하여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따라서, 축압축력-휨모멘트 상호작용 곡선을 다음과 같이 나타낸다.

7.3 다음 그림과 같이 형강    ×  ×  ×  의 양단 핀인 기둥


에 축압축력과 강축방향의 1축 휨모멘트가 동시에 작용하고 있다.
축압축력은     ,     이 작용하고 있고, 기둥
상단부에는 휨모멘트가    · ,    · , 기둥 하
단부에는 휨모멘트가    · ,    · 으로 그림과
4
같은 방향으로 작용하고 있다. 이 기둥의 안전성 여부를 검토하시
오. (   ,    이고     ,     )

문제 7.3

풀이

(1) 소요압축강도( ) 산정
       ×    ×   

(2) 소요휨강도(  ) 산정
■ 강축방향 계수휨모멘트     에서
■ 모멘트 증폭계수  
강구조공학 연습문제 풀이 | 51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복곡률)

    (예제 7.2 참조)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 설계압축강도(  ) 산정
   (예제 7.2 참조)

(4) 설계휨강도( ) 산정
     ×    · (예제 7.3 참조)

(5) 보-기둥 부재의 상관관계식


 
       이므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따라서    ×  ×  ×  부재는 문제에서 주어진 외부하중에 대해 안전하다.

7.4 다음 그림과 같이 압연H형강    ×  ×  ×  의 양단 핀인 가새골조의 기둥에 축압축력과 2축


휨모멘트가 동시에 작용하고 있다. 축압축력은 그림 (a)와 같이     ,     이 작용하고
있고, 강축방향의 휨모멘트는 그림 (b)와 같이 기둥 상단부에서   · ,    · , 기
둥 하단부에서    · ,    · 로 각각 같은 방향으로 작용하고 있다. 그리고 약축방
향의 휨모멘트는 그림 (c)와 같이 기둥 상단부와 하단부에서   · ,   · 로 같은 크
기와 방향으로 작용하고 있다. 연속적 횡방향 지지가 있을 경우, 이 기둥의 안전성 여부를 검토하시오.
(      이고     ,     )
52 | 강구조공학 연습문제 풀이

문제 7.4

풀이

(a) 축압축력에 대한 소요압축강도 와 설계압축강도 


(a-1) 소요압축강도(  ) 산정
       ×    ×   

(a-2) 설계압축강도( ) 산정
■ 위험좌굴축 결정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면외방향의 약축좌굴이 지배)


 
   

■ 설계압축강도(   ) 산정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b) 강축방향의 휨모멘트에 대한 소요휨강도 와 설계휨강도 


강구조공학 연습문제 풀이 | 53

(b-1) 소요휨강도(  ) 산정


■ 강축방향 소요휨강도     에서
■ 모멘트 증폭계수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적용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b-2) 설계휨강도( ) 산정
■ 소성모멘트
     ×  ×  ×     ·
■ 국부좌굴을 고려한 휨강도
∙ 플랜지 폭두께비
      
  
   × 
  
∴    로서 조밀단면이므로 국부좌굴에 의한 강도저감이 필요치 않다.
∙ 웨브 폭두께비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로서 조밀단면이므로 국부좌굴에 의한 강도저감이 필요치 않다.
■ 횡비틀림좌굴에 의한 휨강도
횡방향지지에 의해 횡비틀림좌굴이 발생하지 않음.
       ×    ·

(c) 약축방향의 휨모멘트에 대한 소요휨강도 와 설계휨강도 


(c-1) 소요휨강도(  ) 산정
■ 강축방향 소요휨강도     에서
■ 모멘트 증폭계수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적용

 
       
     
54 | 강구조공학 연습문제 풀이

       ×    ·

(c-2) 설계휨강도(  ) 산정


■ 소성모멘트
     ×  ×  ×     ·
■ 국부좌굴을 고려한 휨강도
(b-2)에서와 같이 국부좌굴에 의한 강도저감이 필요치 않다.
■ 횡비틀림좌굴에 의한 휨강도
횡방향지지에 의해 횡비틀림좌굴이 발생하지 않음.
       ×    ·

(d) 보-기둥 부재의 상관관계식


 
       이므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따라서    ×  ×  ×  부재는 문제에서 주어진 외부하중에 대해 안전하다.

7.5 다음 그림과 같이 트러스의 부재 A는 그림과 같이 축압축력과 부재하중을 동시에 받고 있다. 부재 A


(   ×  ×  ×  )의 적합성 여부를 검토하시오. 면내 및 면외 유효좌굴길이는 부재 절점간 길이를
적용하며, 횡비틀림 좌굴은 고려하지 않는다. (   ,    이고     ,     )

문제 7.5
강구조공학 연습문제 풀이 | 55

풀이

(a) 축압축력에 대한 소요압축강도 와 설계압축강도 


(a-1) 소요압축강도(  ) 산정
       ×    ×   

(a-2) 설계압축강도( ) 산정
■ 위험좌굴축 결정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면외방향의 약축좌굴이 지배 (면외방향의 약축좌굴이 지배)
   

■ 설계압축강도(   ) 산정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b) 강축방향의 휨모멘트에 대한 소요휨강도 와 설계휨강도 


(b-1) 소요휨강도(  ) 산정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에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b-2) 설계휨강도( ) 산정
■ 소성모멘트
     ×  ×  ×     ·
■ 국부좌굴을 고려한 휨강도
56 | 강구조공학 연습문제 풀이

∙ 플랜지 폭두께비
      
  
   × 
  
∴    로서 조밀단면이므로 국부좌굴에 의한 강도저감이 필요치 않다.
∙ 웨브 폭두께비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로서 조밀단면이므로 국부좌굴에 의한 강도저감이 필요치 않다.
       ×    ·

(c) 보-기둥 부재의 상관관계식


 
       이므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따라서    ×  ×  ×  부재는 문제에서 주어진 외부하중에 대해 안전하다.

7.6 다음 그림과 같은 길이  의 H형강 부재가 트러스 인장재로 사용되고 있다. 계수인장력은


    이고, 계수중력하중     이 부재 중앙부에 작용하여 강축휨모멘트를 유발하고
있다. 이 부재에 압연H형강    ×  ×  ×  이 사용될 경우 적정성 여부를 검토하시오
(     ,     ).

u u

문제 7.6

풀이

(a) 축압축력에 대한 소요압축강도 와 설계압축강도 


(a-1) 소요압축강도(  )
  

(a-2) 설계인장강도( ) 산정
       ×  ×  ×    
강구조공학 연습문제 풀이 | 57

(b) 강축방향의 휨모멘트에 대한 소요휨강도 와 설계휨강도 


(b-1) 소요휨강도(  ) 산정
  
 × 
     ·

      에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b-2) 설계휨강도( ) 산정
■ 소성모멘트
     ×  ×  ×     ·
■ 국부좌굴을 고려한 휨강도
∙ 플랜지 폭두께비
      
  
   × 
  
∴    로서 조밀단면
∙ 웨브 폭두께비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로서 조밀단면
∙ 횡비틀림좌굴을 고려한 설계휨강도 (예제 6.8 참조)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여기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축대칭 H형강의 경우
 : 상하부 플랜지 간 중심거리 (mm) = 500-18=482mm
    
    
58 | 강구조공학 연습문제 풀이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므로
   

 
           ≤  에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c) 보-기둥 부재의 상관관계식


 
       이므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따라서    ×  ×  ×  부재는 문제에서 주어진 외부하중에 대해 안전하다.

7.7 다음 그림의 비횡변위골조구조의 기둥AB의 유효좌굴길이


계수를 구하시오. 여기서, 비탄성 보정계수 τ=1.0로 가정
한다.

문제 7.7

풀이

비횡변위골조 기둥의 유효좌굴길이 K


   (∵A점에서 고정단)
강구조공학 연습문제 풀이 | 59


  
     (∵거더의 원단 C에서 힌지이므로 LBC = L/1.5)
 
 × 

따라서, 그림 7.13에서 기둥AB의 유효좌굴길이는 K = 0.7036 이다.

7.8 다음 그림의 횡변위골조구조의 기둥AB의 유효좌굴길이계수


를 구하시오. 여기서, 비탄성 보정계수 τ=1.0로 가정한다.

문제 7.8

풀이

횡변위골조 기둥의 유효좌굴길이 K


   (∵A점에서 고정단)


     (∵거더의 원단 C에서 힌지이므로 LBC = 2.0L)


따라서, 그림 7.15에서 기둥AB의 유효좌굴길이는 K = 1.32이다.
60 | 강구조공학 연습문제 풀이

제8장 용접연결

8.1 다음과 같은 용접부에 최대로 작용할 수 있는 계수하중을 구


하여라.

강종 : SM275 ( =410 MPa)


하중 P : Lug 중심에서 연직선에 대해 20 ̊경사로
Lug 면내에서 작용

문제 8.1 (단위:mm)

풀이

1) 용접부에 작용하는 응력
   이므로, 수평  ·수직  방향으로 힘을 나누면
   ×     
   ×     
 에 의한 모멘트는
   ×    ×    ·

완전용입 그루브용접의 유효면적 및 단면계수는


   ×     
 ×  
      

용접부에 작용하는 수평응력 및 수직응력은


  × 
수평응력 :         
 
    × 
수직응력 :                 
   

2) 조합응력 및 설계강도
용접이음부에 작용하는 조합응력은
  
    
         

용접부의 단위면적당 설계강도는


        
강구조공학 연습문제 풀이 | 61

 ≥ 
 ≥ 
 ≤  
∴ 최대 계수하중은 1,219 kN이다.

8.2 다음과 같은 H형강의 플랜지에 연결판을 필릿용접으로 연


결하고자 한다. 최소 요구되는 필릿용접의 치수를 구하라.

강종 : SM275 ( =410 MPa)


계수하중 :  =200 kN
 =20˚

연결판 : 폭 220mm, 두께 20mm

문제 8.2

풀이

1) 용접부에 작용하는 응력
   이므로, 수평  ·수직  방향으로 힘을 나누면
   ×     
   ×     
 에 의한 모멘트는
   ×    ×    ·

유효목두께    ×    


유효길이        (1면 기준)

양면 필릿용접의 유효면적 및 단면계수


  ⋅   × 면   ×  ×     

⋅   ×  × 
   × 면      
 

용접부에 작용하는 수평응력 및 수직응력은


  ×  
수평응력 :         
  
   ×   ×  
수직응력 :                 
    
62 | 강구조공학 연습문제 풀이

2) 조합응력 및 설계강도
용접이음부에 작용하는 조합응력은

  
     


 
 
       
 

용접부의 단위면적당 설계강도는


   ×     ×     
 ≥ 

 ≥ 

 ≥  

∴ 최소 요구되는 용접치수는 7mm이다.

8.3 다음 그림과 같이 인장부재로 사용된 평강이 연결판(거셋플


레이트)에 필릿용접으로 접합되어 있다. 용접치수는 0.5 cm
이다. 접합부는 SS275강재( =410 Mpa)가 사용되었고 부
재의 인장강도가 적절하다고 가정할 때, 용접접합부의 설계
강도를 결정하라.

문제 8.3 (단위:cm)

풀이

유효목두께    ×    ×    


용접유효길이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설계강도는 131 kN이다.
강구조공학 연습문제 풀이 | 63

8.4 다음 그림과 같이 계수하중 164 kN을 지지하는 인장부


재로 사용된 폭 10cm, 두께 1.3cm의 SS275강재 ( 
=410 MPa)가 연결판(거셋플레이트, 두께=1 cm)에 부
착되어 있을 때 필릿용접 이음을 설계하라.

문제 8.4 (단위:cm)

풀이

1) 용접치수(z)의 결정
접합부의 두꺼운 쪽 두께가 13mm이므로 표 8.4에 따라, 필릿용접의 최소사이즈는 6mm이다. 두꺼
운 쪽 판두께가 13mm이므로 필릿용접의 최대사이즈는 판두께보다 2mm 작은 11mm이다. 용접치수
z=6mm로 설계하자.

2) 단위길이당 용접강도 및 유효용접길이


      ×   여기서,  는 단위길이당 면적
  ×  ×  ×    

부재 길이방향으로 양면에 동일한 길이의 필릿용접을 설계한다면


소용유효용접길이는
      ×    
한쪽의 소요 실제용접길이는
        
용접길이     를 사용한다.

3) 최소 유효용접길이 검토
             O.K.

∴ 용접치수     , 용접길이     로 한다.


64 | 강구조공학 연습문제 풀이

8.5 다음 그림과 같이 계수하중  =350 kN 작용 시


PL 1.3x20의 SS315강판 ( =490 MPa)을 사용하
여 겹침용접이음을 하려고 할 때 필요한 횡방향
용접길이를 결정하라.

문제 8.5 (단위:cm)

풀이

1) 단위길이당 용접강도 및 유효용접길이


      ×   여기서,  는 단위길이당 면적
  ×  ×  ×    

부재 길이방향으로 양면에 동일한 길이의 필릿용접을 설계한다면


소용유효용접길이는
      ×    
한쪽의 소요 실제용접길이          

2) 최소 유효용접길이 검토
              O.K.

∴ 필요한 용접길이     로 한다.

8.6 계수하중 140 kN이 작용하는 다음 그림과 같은 인장재에 합


당한 필릿용접의 용접길이를 산정하시오. 필릿용접사이즈 z
는 6mm이고, 모재는 SM355강재( =490 MPa)이다. 필릿용
접 이음부의 설계강도는 용접재의 강도로 결정되도록 한다.

문제 8.6

풀이

1) 단위길이당 용접강도 및 유효용접길이


      ×   여기서,  는 단위길이당 면적
  ×  ×  ×    
강구조공학 연습문제 풀이 | 65

소용유효용접길이는
      ×    
한쪽의 소요 실제용접길이          

2) 최소 유효용접길이 검토
              O.K.

∴ 용접길이     로 한다.

8.7 다음 그림과 같이 ㄱ형강(SM275,  = 410 MPa,  =


22.74 cm2)과 덧댐판의 겹연결부에  = 110 kN의 압축력
이 작용한다. 용접연결길이  을 구하라. 단, 필릿용접의
ab, ed 및 cd는 용접선이 불연속으로서 결함이 발생하기
쉬우므로 유효용접길이에 포함하지 않는 것으로 한다.

문제 8.7

풀이

1) 용접치수(z)의 결정
접합부의 두꺼운 쪽 두께가 14mm이므로 표 8.4에 따라, 필릿용접의 최소사이즈는 6mm이다. 두꺼
운 쪽 판두께가 14mm이므로 필릿용접의 최대사이즈는 판두께보다 2mm 작은 12mm이다. 용접치수
z = 6mm로 설계하자.

2) 유효용접길이
소요유효용접길이는

 
      × 
  
    
 ×  ×  × 
한쪽의 소용 실제용접길이는
         
용접길이     를 사용한다.

3) 최소 유효용접길이 검토
             O.K.
∴ 용접길이     로 한다.
66 | 강구조공학 연습문제 풀이

제9장 볼트접합

9.1 아래 그림과 같은 두 강판(SM 275)의 이음에서 전단면에 나사부가 포함되지 않으며 사용하중상태에
서 볼트구멍의 변형이 설계에 고려하는 경우 지압이음에 대한 최대사용하중을 구하라. M22(F10T, 표
준구멍) 볼트 4개를 사용하며 F10T 볼트의     로 한다. 사용활하중( )은 고정하중( )
의 3배이며, 하중계수는    ,    이고 하중조합은 극한한계상태Ⅰ로   ∑  
  ×  ×    ×  ×      을 사용하며, 하중수정계수  는 1.0으로 한다.

문제 9.1

풀이

1) 고장력볼트의 설계전단강도(1면 전단)


    
  ×  ×  ×  ×  ×     

2) 고장력볼트 구멍의 설계지압강도


연단측 고장력볼트 구멍의 설계지압강도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따라서, 연단측 고장력볼트 구멍의 설계지압강도는   개이다.


나머지 고장력볼트 구멍의 설계지압강도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따라서, 내측 고장력볼트 구멍의 설계지압강도는   개다.
∴ 고장력볼트 4개에 대한 설계지압강도 :  ×    ×    
강구조공학 연습문제 풀이 | 67

3) 고장력볼트의 설계전단강도와 고장력볼트 구멍의 설계지압강도 중 작은 값을 지압접합의 설계강도


로 한다. 따라서,
   
4) 최대 사용하중은    이므로        로부터
∴             

9.2 아래 그림의 2면 전단형 마찰접합(아연말 프라이머 도장 실시) 이음부의 설계강도를 구하시오. 단, 지


압접합 강도 검토 시에는 1) 전단면에 볼트 나사부가 포함되어 있지 않을 경우와 2) 전단면에 볼트
나사부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 대해 검토하라. 사용볼트는 M20(F8T) 볼트이며, 표준볼트구멍을 사
용하고 사용강재는 SM 355이다.

문제 9.2

풀이

1) 고장력볼트의 설계미끄럼강도(2면전단)
       
저항계수 :   
아연말 프라이머 도장 :   
끼움재를 사용하지 않은 경우 :   
표준구멍 :   
따라서,
          ×  ×  ×  ×  ×    
∴ 고장력볼트 6개에 대한 설계미끄럼강도  ×    

2) 고장력볼트의 설계전단강도(2면전단)
① 나사산이 전단면에 포함되는 경우
    
  ×  ×  ×  ×  ×     
68 | 강구조공학 연습문제 풀이

② 나사산이 전단면에 포함되지 않는 경우


    
  ×  ×  ×  ×  ×     
3) 고장력볼트 구멍의 설계지압강도
연단측 고장력볼트 구멍의 설계지압강도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따라서, 연단측 고장력볼트 구멍의 설계지압강도는   개이다.
나머지 고장력볼트 구멍의 설계지압강도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따라서, 내측 고장력볼트 구멍의 설계지압강도는   개다.
∴ 고장력볼트 6개에 대한 설계지압강도 :  ×    ×    
이상으로부터 나사산 포함 여부 관계없이 설계미끄럼강도가 최소값을 보이며, 설계이음강도는
   

9.3 아래 그림과 같이 편심하중을 받고 있는 볼트접합(1면 전단)


에서 최대볼트반력을 계산하라.

문제 9.3

풀이

볼트군의 ∑  ∑       ×    ×     


편심모멘트     ×       
최원단 볼트의 편심모멘트에 의한  축 및  축 반력은
 ⋅   ⋅ ×  
    
 
  
∑      
강구조공학 연습문제 풀이 | 69

 ⋅  ⋅ ×  


    
 
  
∑      
연직력에 의한 볼트 1개당  축 반력은
 
     

따라서, 최원단 볼트의 반력은
  
        

9.4 9.6절의 플레이트거더 볼트이음 계산 예에서 웨브 볼트이음


이 그림과 같이 수정되었을 때 강도한계상태에 대해 볼트이
음강도를 재검토하라.

문제 9.4

풀이

▪ 웨브 볼트접합부의 소요강도
① 설계전단력
9.6절로부터
  ⋅   ×    
② 설계 모멘트
9.6절로부터
   ×     ⋅
③ 설계 축력
9.6절로부터
   ×     
④ 볼트의 최대 작용하중 (볼트 1개당)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웨브의 볼트 군이 분담하는 설계수평력과 설계수직력으로 인해 볼트 1개가 받게 되는 각 방향의
70 | 강구조공학 연습문제 풀이

힘의 크기는 다음과 같다.


 
       
 
 
       
  
웨브의 볼트 군이 분담하는 설계모멘트로 인해 가장 외측의 볼트 1개가 받게 되는 각 방향의 힘
의 크기는 다음과 같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볼트 1개가 받게 되는 힘의 크기는 벡터의 합으로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  
          

▪ 웨브 접합부 볼트의 전단강도


   ⋅  ⋅⋅   ×  ×  ×  ×     
     ∴ O.K.
▪ 웨브 접합부 볼트구멍의 지압강도
순연단거리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O.K.
강구조공학 연습문제 풀이 | 71

제10장 피로

10.1 철합금 시험편의 피로시험 결과 응력범위 240 ksi에서 피로


수명  회, 응력범위 135 ksi에서 피로수명  회까지 (로그
스케일에서) 선형적으로 연결되는 S-N 선도를 가진다. 해당
시험편에 응력범위를 160 ksi로  회동안 가한 후, 응력범
위를 180 ksi로 증가시켰을 때 이 시험편의 남은 피로수명을
구하시오.

문제 10.1

풀이

     
식 10.1로부터 재료상수  ,  값을 구한다.
     
     
  
  

응력범위 160 ksi, 180 ksi에서의 피로수명을 구한다.


     
   회
     
   회

 
Miner법칙을 사용하면      . 여기서, 남은 피로수명  을 계산한다.
   

No.   (cycle)  (cycle)


1 160 100,000 255,990
2 180 ? 99,724
합계

 = 60,768 회

answer. 60,768 회
72 | 강구조공학 연습문제 풀이

10.2 아래 그림에서와 같이 파괴응력  를 갖는 재료는 응력범위


 에서 피로수명이  회인 선형의 S-N 선도를 가진다.
이 재료에  의 응력범위로  회를 가한 후, 응력진폭
을  로 증가시켰을 때 피로파괴 전까지 추가적으로 견딜
수 있는 회를 구하시오.

문제 10.2

풀이

     
식 10.1로부터 재료상수  ,  값을 구한다.
     

       

  
     

응력범위  ,  에서의 피로수명을 구한다.


         
   회
         
   회
 
Miner법칙을 사용하면      . 여기서, 남은 피로수명  을 계산한다.
   

No.   (cycle)  (cycle)


1  1,000 260,916
2  ? 1,873
합계

 = 1,866 회

answer. 1,866 회
강구조공학 연습문제 풀이 | 73

10.3 그림과 같은 패턴으로 완전 반전(reversed)된 응력이력을 받는 강구조물이 있다. 주어진 정보와


Miner법칙을 적용하여 아래 표의 남은 부분을 완성하라.

  720 MPa, 5.44×10⁵회


  1,000 MPa, 5.35×10³회
  880 MPa, 3.24×10⁴회

문제 10.3

응력범위(MPa)  
 



5
720 5.44×10
1,000 5.35×103 0.268
4 4
880 3.24×10 6×10

풀이

2회 차 응력범위에 대한 피로수명
  × 
    
   

   ×  회
3회 차 응력범위에 의한 피로손상 기여도
  × 
    
  × 
Miner법칙에 따른 1회 차 응력범위에 대한 피로수명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회
74 | 강구조공학 연습문제 풀이

answer.

   (cycle)  (cycle)  

 
720  ×   ×  0.192
 
1,000  ×   ×  0.268
 
880  ×   ×  0.54

10.4 W24×68 보의 플랜지에 플랜지 폭보다 좁은 덮개판이 용접


으로 연결되어 있다. 플랜지의 두께는 15mm이다. 강구조설
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을 사용하여 이 덮개판 용접연결부
의 공칭피로강도를 구하여라. 단순보의 경간은 10m이고, 2
차로이며, 일평균트럭교통량(ADTT)은 8,000대, 설계피로수
명은 100년으로 한다.

문제 10.4

풀이

반복횟수 결정
편도 2차선의 일평균트럭교통량  [도로교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
      × 
p = 2차로에서의 트럭교통량 비율 = 0.85
∴     ×    
설계피로수명 100년에 대한 총 반복횟수, N
        ×  회
(도로교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에 의하면 단순보의 경우, 경간이 12m 이하일 때 트럭통과 당 반복횟
수 n은 2.0이고 12m 이상일 때 n은 1.0이다.)

대상부재의 구조상세 범주 및 공칭피로강도 결정


대상부재의 구조상세
덮개판의 폭이 플랜지보다 좁고 플랜지 두께가 20mm 미만이므로 강구조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의
규정에 따라 E등급으로 분류된다.
공칭피로강도
상세범주 E에서의
         × 
강구조공학 연습문제 풀이 | 75

       이므로 공칭피로강도는


 
    
  
   
 × 
 ×   ×     

answer. 42 MPa

10.5 응력 작용방향과 평행한 필릿용접에 의해 연결된 덮개판의


용접금속 및 모재부는 강구조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에
의하면 상세범주는 B에 해당한다.

1) 해당 부재의 기대피로수명을 500,000회로 확보하려면 허


용되는 응력범위를 구하여라.

2) 만일 설계 피로허용응력범위가 100 MPa이라면 이 구조물 문제 10.5


의 기대 피로수명을 구하여라.

풀이

상세범주 B에 대하여        ×   이므로


   

         ≤ 

상세범주 B의   는 110.0 MPa이다.



 × 



     × 
 × 
∴   

answer. 198.7 MPa

상세범주 B에 대하여
              이므로


 


         ≤  ≤ 


 × 



   × 

   회

answer. 4.75×10⁶ 회
76 | 강구조공학 연습문제 풀이

10.6 엔진의 주 부품인 강철 크랭크샤프트(crankshaft)가 사용 중에 225 MPa의 응력범위를 받는다. 사용


전에 초음파 기술을 사용하여 검사한 결과, 표면에 최대 2.5mm의 균열이 발견되었다. 본 강철 재료의
하한계응력확대계수범위( )가 45  -3/2 일때, 임계균열길이( ) 및 피로수명을 구하여라.


(응력확대계수범위의 보정계수 F1, 재료상수    ×     
 , m 2.5로 한다.)

풀이

  
  (식 10.12)

  


 
  × 

 

answer. 12.7mm


         (식 10.11)을 적용하여 피로수명  을 계산한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회

answer. 1.26 × 10⁶ 회


강구조공학 연습문제 풀이 | 77

10.7 아래 그림과 같은 단순교에 대하여 현장계측을 수행하였다. 보 경간의 2/3만큼 하부플랜지에 덮개판
이 연결되어 있다. 덮개판의 끝부분에는 용접이 안 되어 있다. 콘크리트 바닥판의 두께는 8인치이고
전단연결재는 없다. 그림에서와 같이 스트레인게이지는 덮개판 끝부분의 하부플랜지에 설치되어 있
다. 이 교량은 40년 동안 사용되어 왔고 바닥판이 노후화되어 바닥판을 교체하는 것으로 제안되었다.
35일동안 현장계측을 수행하여 rainflow cycle-counting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아래와 같은 응력범위
히스토그램을 얻었다. 이는 이 교량이 앞으로 경험할 응력이력을 대표한다고 가정하자. 현 상태로 교
량을 계속 사용한다면, 강구조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을 적용하여 남은 피로수명을 구하라.

(상세범주는 E’에 해당하며,    ≒       ≒   로


   ≒    의 응력범위는 피로손상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가정한다.)

Stress Range (ksi) Number of Cycles


0.25-0.5 281697
0.5-1.0 181868
1.0-1.5 114030
1.5-2.0 39899
2.0-2.5 24100
2.5-3.0 5177
3.0-3.5 1545
3.5-4.0 854
4.0-4.5 282
4.5-5.0 138
5.0-5.5 85
5.5-6.0 26
6.0-6.5 8
6.5-7.0 4
7.0-7.5 2
7.5-8.0 1
8.0-8.5 0
8.5-9.0 0
9.0-9.5 0
문제 10.7 9.5-10.0 0

풀이

유효등가응력범위 산정

            응력범위에서의 피로수명은




 


       식을,



 


      응력범위에서의 피로수명은      식으로 각각 산출한다.

78 | 강구조공학 연습문제 풀이


∆
    
평균∆ (ksi)           
  
 ×    

  
0.375 0 (truncated)
0.75 0 (truncated)
1.25 0 (truncated)
1.75 39899 132.80 0.000300 104779
2.25 24100 37.80 0.000638 222356
2.75 5177 16.77 0.000309 107665
3.25 1545 10.16 0.000152 53037
3.75 854 6.61 0.000129 45035
4.25 282 4.54 0.000062 21648
4.75 138 3.25 0.000042 14790
5.25 85 2.41 0.000035 12300
5.75 26 1.83 0.000014 4943
6.25 8 1.43 0.000006 1953
6.75 4 1.13 0.000004 1230
7.25 2 0.92 0.000002 762
7.75 1 0.75 0.000001 465
∑ 72121 0.001694 590963 8.194

1.3 ksi보다 큰 응력범위의 반복횟수의 합은 72,121회이며, 두 가지의 기울기상수 3과 5에 걸쳐있는


응력범위 분포를 보이므로 식 (10.13)을 통해 등가응력범위를 계산한다.


따라서 등가응력범위는         이다.

등가응력범위에 대한 피로수명 산정
상세범주 E’과 2.02 ksi의 등가응력범위에 대한 피로수명은 다음과 같이 계산한다.

 ×  
        ×   


   ×  회

현장계측결과를 토대로 해당 상세부에 하루에 작용하는 반복횟수는 다음과 같다.


 회
   회
 

따라서 총 피로수명은 다음과 같다.


 ×  회
        
 회

교량이 40년간 사용되어 왔으므로 남은 피로수명은 16년 (56년 – 40년)이다.


강구조공학 연습문제 풀이 | 79

* 다른 풀이
 
35일 계측에 대한 소모된 수명은 
 


  이므로
 

 
40년 동안 소모된 수명은  ×  ×    이다.
 
 
따라서 해당 상세범주에 대한 총 피로수명은     이다.


answer. 16 년

10.8 문제 10.7에서 40년 동안 사용된 교량의 플랜지를 새로운 것으로 교체한다고 하자. 초기에 설치된 플
랜지는 비합성단면으로 단면계수가 220.9 ³ 이나, 합성단면으로 교체하여 단면계수가 345.9 ³ 으로
증가하였다. 잔여 피로수명을 예측하라.
(문제 10.7에서와 같이 이 교량은 계측된 응력범위이력 패턴을 과거부터 미래까지 동일하게 경험하는
것으로 가정하고, 응력을 유발하는 하중 또한 동일하다고 가정하자.
   ≒   의 응력범위는 피로손상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가정한다.)

풀이

비합성단면을 적용한 응력이력 산정


비합성  
   
합성  
각 응력범위에 이 비율을 곱하여 응력범위를 수정한다.


∆
    
평균∆ (ksi)           
  
 ×    

  
0.24 0 (truncated)
0.48 0 (truncated)
0.80 0 (truncated)
1.12 0 (truncated)
1.44 24100 354.79 0.000068 23689
1.76 5177 130.08 0.000040 13879
2.08 1545 56.43 0.000027 9549
2.40 854 27.59 0.000031 10795
2.72 282 17.41 0.000016 5648
3.04 138 12.47 0.000011 3859
3.35 85 9.24 0.000009 3209
3.67 26 7.03 0.000004 1290
3.99 8 5.47 0.000001 510
80 | 강구조공학 연습문제 풀이

4.31 4 4.35 0.000001 321


4.63 2 3.51 0.000001 199
4.95 1 2.87 0.000000 121
∑ 32222 0.000209 73069 2.268

등가응력범위 산정

1.3 ksi보다 큰 응력범위의 반복횟수의 합은 32,222회이며,




등가응력범위는         이다.

Miner법칙에 따른 잔여 피로수명 산정

∆ =2.02 ksi


∆ =1.31 ksi
 = 비합성단면에서의 반복횟수
 = 합성단면에서의 반복횟수

     , 상세범주에서의 총 피로수명

 
 은 40년,  , 즉 개조 후 잔여수명은 Miner’s rule      을 사용하여 산정한다.
 

피로파괴 전까지 누적될 수 있는 잔여 손상여유분은 0.29로 합성교량의 잔여 피로수명은 합성상태에서


등가응력범위의 범주  ’ 총 기대 수명의 29%이다.

상세범주  ’ 과 1.31 ksi의 등가응력범위에 대한 피로수명은 다음과 같이 계산한다.



 ×  
        ×   


   ×  회

잔여 피로 수명은
 ×  ×  회   ×  회

현장계측결과를 토대로 해당 상세부에 하루에 작용하는 반복횟수는 다음과 같다.


 회
   회
 

따라서 세부사항의 총 피로수명은 다음과 같다.


강구조공학 연습문제 풀이 | 81

 ×  회
        
 회

answer. 133년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