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4

태양광 에너지(태양전지부터 태양광 전기 자동차까지)

5 조 - 김준모, 임상현, 정은수, 조찬영

서론

신재생 에너지란 기존의 화석연료를 변환시켜 이용하거나 햇빛, 물, 지열, 강수, 생물 유기체
등을 포함하여 재생 가능한 에너지를 변환시켜 이용하는 에너지를 뜻한다. 석유, 천연가스
등의 화석 연료는 이용 과정에서 이산화탄소의 배출량이 많아 지구 온난화를 일으키는 가장
큰 주요 요인일 뿐만 아니라 고갈되고 있는 자원이므로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
신재생 에너지 개발의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특히 전세계적으로 기후변화와 지구
온난화가 급속화 함에 따라 파리기후협약 채택, 신기후체제출범, 탄소 중립 선언 등 각 국가
스스로 온실가스 저감을 위해 체계적인 계획을 세워 노력하는 중이다. 현재 세계 신재생
에너지 시장은 태양광과 풍력을 중심으로 빠르게 발전하고 있으며 우리나라도 문재인 정부
당시 2020 년에 2050 탄소중립을 선언하는 등 에너지 전환에 적극 참여하고 있는 세태이다.
신재생에너지 중 가장 비중이 높고 다양한 형태로의 도입을 준비하는 태양광 에너지에 대해
알아보고 태양광 에너지가 어떠한 형태로 다양한 산업분야에서 응용할 수 있는지
알아보기로 하자.

본론

태양광 에너지는 태양으로부터 비롯된 에너지로 태양에서 발산되는 빛과 열을


전기에너지로 변환하는 방식이다. 태양광 에너지의 장점으로는 친환경적이고 태양이 빛의
발산을 하지 않는 이상 마르지 않는 천연자원이며 수명이 길고 유지보수 비용이 크게 들지
않아 투자 비용 대비 좋은 경제성을 갖고 있다. 또한 태양광은 분산 에너지 생산 시스템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이는 중앙 전력그리드에 대한 의존성을 낮춰 전력 공급의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는 장점도 있다. 태양광 에너지 생산 방식을 살펴보자.

태양전지는 PN 접합으로 구성된 반도체 소자로 반도체의 밴드갭보다 큰 에너지의 빛이


입사되면 반도체 내부의 전자-전공 쌍이 자유롭게 움직이는 상태가 되며 전자-전공 쌍이
서로 반대의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외부에 연결된 도선 및 부하로 전류가 흐르게 된다.(광전
효과) 특징으로는 태양전지는 강한 빛을 흡수해서 전하를 생성해야하기 때문에 태양광이
반사되거나 투과되는 부분을 최소한으로 하여 최대한 많은 빛을 흡수해야한다. 이를 위해
반도체의 두께를 최대한 얇게하고 빛이 흩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반사 방지막을
사용한다.
위 그림과 같이 태양 전지의 최소 단위를 cell 이라고 하고 하나의 셀당 출력 전압은 대략
0.5V 이기 때문에 출력되는 전압을 높이기 위하여 태양전지 cell 을 직렬로 다수 연결하고
용량을 추가 증가시키기 위하여 병렬로 다수 연결하여 우리가 아는 태양 전지의 형태가
만들어진다.

태양광 에너지 시스템은 태양전지와 PCS(Power Conditioning System)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태양 전지에서 만들어지는 전압은 12V 또는 24V 이다. 추가로 태양 전지 에너지는
직류로 전송되기 때문에 교류로 받아 사용하는 곳을 위해 직류를 교류로 변환할 수 있는
인버터가 필수적으로 설치되어야 한다. 태양 전지는 태양이 분산하는 빛을 얼마나 받을 수
있느냐가 중요하기 때문에 설치 방법별 각도의 차이가 중요하다. 이러한 방식으로
만들어지는 태양광 에너지에 대해 조사하는 이유는 발전 가능성이 가장 높기 때문이다.

위 그래프와 같이 OECD 국가들의 지난 30 년간 성장률 중 태양광이 독보적인 모습을 보이고


있고 많은 국가들이 목표로 하는 탄소중립이 계획대로 이행되었을 경우를 시나리오로 했을
경우의 결과값도 태양광 에너지가 25 프로가 넘는다. 현재 태양전지 시장의 대부분을
사용되는 실리콘 태양 전지는 25%정도의 높은 효율과 장기 안정성을 보이고 있다. 최근에는
페로브 스카이트 태양전지에 대한 연구가 활발이 진행되고 있는데 페로브 스카이트 전지는
현재 많이 사용되는 실리콘 태양전지가 높은 효율과 장기 안정성이 있지만 고순도의
실리콘을 생산하기 위해 고가의 공정이 필요하여 추가적인 발전단가의 인하가 어려운
단점이 있어 추가적인 발전단가의 인하를 위해 활발히 연구되고 있는 전지로
페로브스카이트는 화합물의 결정이
정육면체 모양(단순입방구조)으로 생긴
물질을 일컫는다. 그중 태양전지에
사용되는 페로브스카이트는 특정한 유기물(A)과 무기물(B), 할로겐화물(X)이 결합한 유무기
혼합형 화합물(ABX3)이다. 페로브 스카이트는 타 광활성 물질들과 비교해 10 배 이상의
흡광 계수를 가지는 등 우수한 광학적 특성을 가지고 있고 X 자리에 들어가는 할로겐 원소의
종류 및 비율을 조정해 손쉽게 밴드갭을 튜닝할 수 있고 이를 이용해 탠덤 태양전지 및 수소
생산과 같은 다양한 분야에 응용 가능할 것으로 기대되어 페로브 스카이트 태양전지는
실리콘 뛰어넘는 차세대 태양전지로 발돋움할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요즘 유망한 산업이 뭐가 있냐 사람들에게 물어본다면 많은 답이 나오겠지만 전기자동차는


빠지지 않고 나올 것이다. 그만큼 사람들의 전기자동차에 대한 관심과 연구 및 개발또한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데 태양광 에너지와 전기차가 결합한 태양광 하이브리드 전기차가
새롭게 떠오르고 있다. 태양광 하이브리드 전기차는 전기차 배터리 팩과 태양광 패널을
장착한 차량을 의미하는데 일반 전기차에 배터리 의존도가 낮아 가볍고 충전이 번거롭지
않다는 장점이 있다. 이제 태양광 전기차의 작동원리를 살펴보면 태양광 전기차는 차량의
위층에 태양광 패널을 장착하는데 태양광 패널은 태양광 에너지를 직접 수집하여 전기 에너지로
변환한다.이렇게 생성된 전기 에너지는 전기차의 배터리로 충전된다. 충전된 배터리는 전기 모터를
구동하는 데 사용되고 전기 모터는 내부 연료없이 전기 에너지를 사용하여 차량을 움직이는데
필요한 토크를 생성하여 차량을 움직이는데 일반적인 내연기관을 사용하는 차량과 다른 원리이며
내부 연료가 필요 없기에 친환경적이고 또 전기차 배터를 충전할 때 태양광 충전과 외부 전력망을
이용한 충전이 둘다 가능하기 때문에 에너지 비용을 크게 줄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장점들 덕분에 시장의 규모도 점점 커지고 있다. 글로벌 시장 조사기관
얼라이드마켓리서치는 태양광 전기차의 규모가 2023 년 3 억 2950 만 달러에서 매년 43.3%
정도 성장하여 2030 년에는 40 억 8760 만 달러로 늘어날 것으로 전망했을 만큼 태양광
전기차에 대한 관심이 뜨겁다.
결론
지금까지 신재생 에너지 중에서도 태양광 에너지에 관하여 어떠한 방식으로 생성되는지
그리고 산업에 응용되는 예시로 태양전지, 태양광 전기차 등을 살펴보았다.
태양광 에너지는 신재생 에너지 중에서도 발전 가능성이 높으며 태양 에너지가 고갈되지 않는한
무한한 에너지원과 친환경적이라는 장점이 있고 태양전지에서부터 핫한 주제인 전기 자동차와
결합할 수 있는 등 다양한 분야에 접목하여 이용될 수 있는 미래 먹거리 사업 이라고 할 수 있다.
태양 전지 및 패널의 효율 및 안정성을 높이고 있는 연구가 전세계적으로 활발히 진행되고 있고
우리나라 또한 태양광 산업에 대하여 관심을 기울이고 있고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태양광
에너지는 기존의 화석연료 중심에서 신재생 에너지로 파이를 키우고 있는 에너지 시장 결국 미래
에너지 산업에서 가장 중요한 에너지원 중 하나일 것이다. 이러한 태양광 에너지에 대해 알아보고
미래 에너지 산업에 대해 대비하는 것이 좋다고 생각된다.

참고문헌

KEPCO - https://home.kepco.co.kr/kepco/SM/C/htmlView/SMCCHP001.do?menuCd=FN29030304

국제 신재생에너지 정책 변화 및 시장분석 [공지영-조일현 (2016, 에너지경제연구원)]

네이버블로그 - https://blog.naver.com/lagrange0115/222461122962

https://blog.hyundai-transys.com/377

https://m.dongascience.com/news.php?idx=51850
https://scienceon.kisti.re.kr/commons/util/originalView.do?
cn=JAKO202116047159021&oCn=JAKO202116047159021&dbt=JAKO&journal=NJOU00568343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