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59

新 해양산업 육성과 경제활성화를 위한

제1차
크루즈산업 육성
기본계획

관계부처 합동
Ⅰ.
크루즈산업 현황 및 동향
Ⅰ. 크루즈산업 현황 및 동향

1. 세계

▒ 크루즈 관광객
○ 최근 5년간(2009~2014) 크루즈 관광객(모항기준)은 연평균 5.1% 성장,
시장규모는 연간 운임기준 332억 달러(38조9천억원)로 추산('14년기준)
- 2015년 크루즈 관광객(모항기준)은 2,400만명으로 예측되며 2020년3,110만명으로
연평균 5.3%이상 성장세가 지속될 것으로 전망
Cruise Market Watch : 2015년 2,300만명 → 2020년 2,600만명(연 2.5%↑)
Ocean Shipping Consultants : 2015년 2,400만명 → 2020년 2,970만명(연 4.4%↑)
CLIA(세계크루즈산업협회) : 2015년 2,300만명 → 2020년 3,700만명(연 10.0%↑)

<세계 크루즈 관광객 추이 및 전망> (단위 : 만명)

구 분 2000년 2005년 2010년 2015년 2020년


세계 960 1,430 1,910 2,400 3,110
북미 670 1,000 1,100 1,280 1,490
유럽 200 320 570 750 980
아시아 78 76 91 209 532
오세아니아 11 19 47 83 107
기타 - 0.2 0.9 0.8 1.0
Source : Ocean Shipping Consultants, Cruise Industry News, KMI(한국해양수산개발원) 예측

○ 권역별 관광객 비중*은 캐리비언 35.5%, 지중해 19.5%, 유럽 10.6% 등 캐리비언과


지중해 중심으로 시장이 형성
권역별 비중 : 캐리비안 35.5%, 지중해 19.5%, 유럽 10.6%, 아시아 6.0%,
호주ㆍ뉴질랜드ㆍ태평양 6.0%, 알레스카 4.5%, 남아메리카 2.9%. 기타 15.0%

** Source : CLIA “2015 Cruise Industry Outlook-State of Asia Cruise Industry”, 2015.

▒ 크루즈 선사
○ 2015년 기준 37개 선사가 크루즈선 300척을 운항중이며 카니발, 로얄, NCL, MSC 4개 선사가
세계시장의 84.8%를 점유
- 2020년 4대 선사의 세계시장 점유율은 86.2% 증가 예상
카니발(100 → 116척), 로얄(46 → 53척), NCL(22 → 28척), MSC(12 → 19척)

○ 2015년 기준 북미시장 153척(59%), 유럽시장 113척(26%),


아시아ㆍ태평양시장 34척(15%)의 크루즈를 투입
- 2020년까지 북미와 유럽보다 아시아에 크루즈 투입 확대 계획
북미(59 → 56%), 유럽(26 → 25%), 아시아ㆍ태평양(15 → 19%) - Cruise Market Watch

-2-
<세계 크루즈 선사 현황(2015기준)>
선사명 브랜드 선박척수 선실수
합 계 - 300척 483,074개
CCL 9개 100척 218,096개
RCL 7개 46척 110,774개
NCL 3개 22척 45,012개
MSC - 12척 31,060개
기타 33개선사 - 120척 78,132개
Source : Cruise Industry News, “2015-2016 State of the Industry Annual Report”, 2015.

<세계 크루즈 시장의 지역별 크루즈 비중>


구 분 선박척수 승객수송능력 예상판매수익 시장 점유
전세계 300척 2,200만명 39조원 -
북미 153척 1,300만명 23조원 59%
유럽 113척 640만명 11조원 29%
아시아/태평양 34척 260만명 5조원 12%
Source : Cruise Industry News, “2015-2016 State of the Industry Annual Report”, 2015.

○ 해외 크루즈 선사들이 발주한 선박은 현재 49척, 이 중 15만 톤 이상 대형 크루즈 선박은


최소 16척에 달함 (Cruise Industry News)
카니발 16척, 로얄 6척, 노르웨이언 4척, MSC 7척, 기타 16척

-3-
Ⅰ. 크루즈산업 현황 및 동향

2. 아시아

▒ 크루즈 관광객
○ (모항) 최근 5년간(2009~2014) 크루즈 관광객은 연평균 9.1% 성장,
시장규모는 연간 운임기준 20억 달러(2조4천억원)로 추산(14년기준)
- 2015년 크루즈 관광객은 209만명으로 예측되며 2020년 532만명으로 연평균 20%이상
급성장할 것으로 전망
CLIA(세계크루즈산업협회) : 2015년 217만명 → 2020년 380~660만명(연 15%↑)
해외 선사 전망 : 로얄 캐리비언 선사 2020년 700만명, 카니발 선사 2030년 2,000만명

<아시아 크루즈 관광객 추이 및 전망> (단위 : 만명)

구 분 2000년 2005년 2010년 2015년 2020년


아시아 78 76 91 209 532~592
중국 6 14 22 109 400~460
일본 21 16 16 18 24
기타 51 46 53 82 108
Source : CLIA Southeast Asia 2014년 통계, CLIA, KMI(한국해양수산개발원) 예측

- 국가별 관광객 비중은 중국 52.1%, 싱가포르 11.7%, 일본 8.6%, 인도 6.5%, 홍콩 5.7% 등


중국 중심으로 시장이 급성장

○ (기항지) 아시아 시장 급성장과 기항지 증가(13년 117 → 14년 168개) 등으로


2015년 크루즈 관광객은 676만명으로 예상
- 한국, 일본, 중국 기항지 관광객이 2015년 기준 319만명(47.2%)으로 한ㆍ중ㆍ일 항로의
기항지 관광객 지속적 증가 예상

<아시아 주요 기항지 크루즈 관광객 예측(2015년)> (단위 : 만명)

합 계 일본 한국 말레이시아 중국 싱가포르 기타
676 123 115(88) 87 81 63 207
Source : CLIA 'Asia Cruise Trends 2014 Edition' 2015 / ( ) 해양수산부 기항지 관광객

-4-
▒ 크루즈 선사
○ 2015년 아시아 26개 선사가 크루즈선 34척을 운항중이며 로얄, 코스타, 스타 등
3개 선사들이 시장의 69% 점유

<아시아 주요 크루즈선사 실적> (단위 : 만명)

5대 선사 13년 14년 15년예상


합 계 138 167 200
코스타 30 43 62
로얄캐러비안 33 38 55
스타 69 58 54
프린세스 3 24 23
셀리브리티 3 4 6
Source : Ocean Shipping Consultants, Cruise Industry News

○ 코스타는 7~10만톤급 중형 3척, 로얄은 13~16만톤급 중대형 4척,


프린세스 중형 2척을 한중일 시장에 투입
- 외국 크루즈 선사들은 아시아 시장에 2020년까지 10 → 30척으로 확대하고
2030년까지 100여척으로 확대계획 발표(15.10.13, 카니발)

<아시아 크루즈 현황(2015기준)>


선사명 척수 수용능력 주 모항
합 계 34척 2,622천명 -
코스타 3척 396천명 상해, 천진
카니발 프린세스 5척 386천명 후쿠오카, 상해, 천진
계 열 P&O 5척 259천명 시드니
카니발 1척 126천명 시드니
로 얄 3척 515천명 상해, 천진, 산야
스 타 4척 580천명 홍콩, 싱가포르
기타선사 13척 360천명 천진, 후쿠오카 등

○ 중국은 2016년부터 독일 크루즈 건조사 등과 협력하여 중국 문화에 맞는


호화 크루즈를 5년마다 1척씩 건조 계획 발표(15.10.13, 크루즈협회)
협력기관 : 중국 조선소, 독일 건조사, 카니발, 상해 지방정부, 국제크루즈기준협회, 중국투자사

-5-
Ⅰ. 크루즈산업 현황 및 동향

3. 한국

▒ 크루즈 관광객
○ (모항) 부산연안 주말 크루즈 연 14천명, 여행사 타임차터 크루즈 연 2천명,
해외 크루즈 이용 16천명 등 국내수요는 3만여명 수준
- 2016년 부산항, 동해항 준모항 운항(15항차)과 2017년 국적 크루즈 취항 등
2020년까지 국내 모항 이용 크루즈관광객 20만명이상 육성
동해항(16.1월) : 스카이씨호(7만톤급 800명), 동해 → 일본 → 부산(4박5일)
동해항(16.5월) : 빅토리아호(7만톤급 2,000명), 동해 → 블라디보스톡 → 일본 → 부산(7박8일)
부산항(16.6~/13항차) : 빅토리아호(7만톤급 2,394명), 부산 → 일본 → 부산(5박6일)

○ (기항지) 최근 5년간(2009~2014) 크루즈 관광객은 연평균 69% 급성장,


2014년 105만명이 입국하여 1조원이상 소비지출 효과 발생
- 2015년 메르스로 크루즈 관광객은 88만명으로 감소하였으나
2020년 300만명 이상 해외 크루즈 관광객을 유치할 계획

<기항지 크루즈 관광객 추이 및 유치> (단위 : 만명)

구 분 2005년 2009년 2014년 2016년 2020년


전 체 3 7.6 105 150 300
제 주 0.3 3.8 59 100 200
부 산 2.5 2.7 24 30~40 60
인 천 - 0.9 18 20~26 37~46
여 수 - - - 1 2
동해ㆍ속초 - - - 0.3 1
기타 0.2 0.2 4 - -
Source : 해양수산부 크루즈 통계, KMI(한국해양수산개발원) 예측

▒ 크루즈 선사
○ (국제) 최초 국적 크루즈 선사는 하모니크루즈사는 2만톤급 크루즈를
2012. 2월 취항하여 2013년 1월 운항중단 및 폐업
- 2012.2~11월말까지 27,794명 크루즈 관광객 이용, 승선율 40% 수준,
외국인 관광객 비율 6%(총 1,679명)
크루즈 제원 : 25,558톤, 여객정원 1,000명(승무원 393명), 한-일 위주 항로 운영

- 롯데관광은 2010년부터 코스타 빅토리아호*를 타임차터하여 부산과 인천을 모항으로


한-일 항로에 연 1회 운항
2010 → 2015년까지 국내 모항 시범 크루즈를 이용한 관광객은 총 22,000명으로 항차당 평균 1,800여명 이용
크루즈 제원 : 75,166톤, 여객정원 2,394명(승무원 790명) /
인천 → 오키나와 → 아마미아오시아 → 가고시마 → 나가사키 → 부산

○ (연안) 팬스타라인 선사는 2004년부터 부산-오사카 항로를 운항하는 카훼리를 활용하여


부산항 인근 연안에서 1박2일 크루즈 운항
- 2004.12~2015.11월까지 주말 크루즈를 이용한 관광객은 총 128천명으로
연 14천여명이 이용한 것으로 파악됨
카훼리 제원 : 21,535톤, 여객정원 681명 / 마술쇼, 다양한 공연, 여객 장기자랑 등

-6-
-7-
Ⅱ. 기본계획 개요
1. 수립 배경 및 필요성
Ⅱ. 기본계획 개요

▒ 수립 배경
○ 크루즈 산업 육성을 통한 경제 활성화를 위해
「크루즈산업의 육성 및 지원에 관한 법률」 제정(15.2.3) 및 시행(15.8.4)
법안발의(13.7.16) → 국회 본회의 통과(15.1.12) → 공포일(15.2.3) → 시행(15.8.4)

○ 크루즈 산업을 체계적이고 효율적으로 육성하기 위하여 5년마다


크루즈산업 육성 기본계획을 수립ㆍ시행해야 하는 법정 계획

▒ 필요성
○ 크루즈 산업은 해운, 관광, 호텔 등이 결합된 융ㆍ복합 산업으로 경제적 부가가치가 높은
해양 신 산업으로
- 고용 창출과 지역경제에 파급효과가 높은 크루즈 산업을 체계적으로 육성 및
발전시켜 지역경제 활성화를 도모

○ 크루즈 산업은 관광, 해양, 항공, 조선, 농수산, 유통 등 연관 산업에 파급효과 높은 산업으로
- 관광상품 개발, 전문인력 양성, 선용품 공급 등 정부와 민간이 협업하여
연관 산업을 조기 활성화

○ 크루즈 산업은 항만, 출입국 심사, 기항지 관광 등 중앙부처, 지자체, 항만공사, 관광공사 등
많은 기관들과 연계되어 있어
- 크루즈 관광객, 크루즈 선사 등 수요자들의 불편함이 없도록 관련기관간 명확한
역할과 협력관계 유지 필요

2. 법적근거 및 범위

▒ 법적 근거
○ 「크루즈산업의 육성 및 지원에 관한 법률」 제5조에 따른 크루즈산업 육성 기본계획 수립

크루즈산업의 육성 및 지원에 관한 법률 제5조


① 해양수산부장관은 크루즈산업을 체계적이고 효율적으로 육성하기 위하여
5년마다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크루즈산업 육성 기본계획을 수립
② 기본계획에는 크루즈산업 육성의 기본방향, 동향 분석, 기반 조성, 경쟁력 강화,
전문인력의 양성, 투자 확대, 국제행사 등의 유치, 외국적 크루즈선의 기항 확대,
국가 간 크루즈산업의 협력

- 10 -
▒ 계획의 범위
○ (시간적 범위) 2016년∼2020년(5개년)
- 세계 크루즈 시장의 연 5%이상 성장과 급성장하는 아시아 크루즈 시장의 변화에
적기 대처하고자 5년마다 기본계획 수립

○ (공간적 범위) 대한민국의 주권이 미치는 영해, 관할 해역 및 바다와 인접한 연안지역

○ (내용적 범위) 크루즈 기반조성, 해외 크루즈 관광객 유치, 국적 크루즈 선사 육성,


연관산업 활성화 등
- 크루즈 산업과 관련된 산업의 법, 제도, 기본계획 등을 포함

3. 비전 및 정책목표

비전 아시아 크루즈 허브 육성으로 지역경제 활력 제고

◈ 20년 크루즈관광객 기항지 3백만명 유치, 모항 20만명 확대


정책
◈ 20년 국적 크루즈 3척 취항
목표 ◈ 전문인력 양성으로 20년까지 청년 일자리 2천개 창출

전략과제 세부추진과제
■ 지역별 특색있는 관광상품 개발
외국 크루즈 관광객 ■ 잠재력 있는 기항지 개발
유치 확대 ■ 해외 홍보 마케팅 강화
■ 편리한 입출항 시스템 구축 등

■ 국적 크루즈선사 출범 지원
국적 크루즈선사 ■ 국내 크루즈 인구 저변 확대
육성 지원 ■ 한국형 크루즈 모델 개발
■ 항만시설 사용 지원 및 인센티브 제공

■ 크루즈 항만 운영기능 특화
■ 크루즈 인프라 확충
크루즈 인프라 조성
■ 관광 인프라 확충
■ 교통 인프라 확충

■ 전문인력 양성으로 청년 일자리 창출


크루즈산업 및 ■ 해양ㆍ농수산ㆍ조선ㆍ교육산업 연계
연관산업 활성화 ■ 항만용역 공급업 확충
■ 크루즈산업 지원체계 구축

- 11 -
4. 크루즈 관광객 목표
Ⅱ. 기본계획 개요

▒ 모항
○ 2015년 기준 국내 크루즈 인구는 3만명 내외로 분석되며 외국인 Fly & Cruise 관광객을
포함해서 2020년까지 20만명으로 확대

- (국적선사) 2017년 취항 예정인 국적 크루즈선사 한국 모항 운항을


2020년 50항차 10만명 예측(50항차 × 2,000명)
국내 크루즈 인구 부족으로 국적 크루즈 선사는 한ㆍ중국에서 모항을 병행 이용

- (모항유치) 2016년부터 코스타 선사는 부산 → 일본(4개 항만)


→ 부산 항로를 연 10항차(5천명) 확정, 2020년 2개 선사 80항차 4만명 예측

- (해외이용) 2014년 해외에서 크루즈를 이용하는 관광객은 16천명으로


예측(한중일 크루즈 11천명 + 북미 또는 지중해 5천명)

- (연안크루즈) 2004~2015년까지 팬스타 부산연안 주말 크루즈 관광객은


총 128천명으로 연 평균 14천명으로 집계

- (타임차터) 2010부터 롯데관광이 코스타 7만톤급 크루즈 1회 타임차터 하여


한일 항로에 연 2천명 모객, 2020년 4~5회 확대 계획

<모항 크루즈 수요 추정 및 육성> (단위 : 만명)

구 분 2012년 2015년 2016년 2018년 2020년


합 계 5.9 3.2 4 10.8 20
■ 국적선사 모항운영 2.7 - - 4 10
■ 해외선사 모항 유치 - - 0.5 2 4
내국인 ■ 해외 크루즈 이용 1.6 1.6 1.6 1.6 1.6
■ 주말크루즈(연안) 1.4 1.4 1.4 1.4 1.4
■ 여행사 타임차터 0.2 0.2 0.5 0.8 1
외국인 ■ Fly & Cruise 유치 - - 1 2
자료 : KMI (한국해양수산개발원) + 한국관광문화연구원 예측

- 12 -
▒ 기항지
○ 2014년 기항지 크루즈 관광객은 105만명으로 전용부두 10선석 확충, 기항지 확대,
해외 마케팅 활동 등으로 2020년 300만명 유치

- (제주) 상해, 천진 등 중국 중ㆍ북부 모항에서 출항하는 크루즈


첫 기항지로 2014년 242항차 → 2020년 1,000항차 200만명 유치
2014년 : 제주외항 2선석 242항차 59만명(1항차 평균 2,430명)
2016년 : 제주외항 2선석 500항차 100만명(1항차 2,000명 보수적 적용)
2020년 : 제주외항 2선석 + 강정항 2선석 1,000항차 200만명(1항차 2,000명 보수적 적용)

- (부산) 상해, 일본 등에서 출항하는 크루즈 첫 기항지로 2014년 110항차


→ 2020년 300항차 60만명 유치
2014년 : 동삼동 1선석 + 감만부두 1선석 110항차 24만명(1항차 평균 2,220명)
2016년 : 북항 1선석 + 감만부두 1선석 200항차 40만명(1항차 2,000명 적용)
2020년 : 동삼동 1선석 + 북항 1선석 + 감만부두 1선석 300항차 60만명(1항차 2,000명)

- (인천) 천진에서 출항하는 크루즈 첫 기항지 2014년 92항차


→ 2020년 230항차 39만명 유치(중국 관광객 서울 관광 기피로 보수적 적용)
2014년 : 인천신항 1선석 92항차 18만명(1항차 평균 1,990명)
2016년 : 인천남항 1선석 130항차 20~26만명(1항차 2,000명 적용)
2020년 : 인천남항 2선석 230항차 39~46만명(1항차 2,000명 적용)

- (여수, 속초) 2015년부터 신규 기항지로 개발, 여수는 2016년 쇼핑몰 개장되고


속초는 2018년 동계올림픽 개최로 연 10항차이상 유치

<기항지 크루즈 관광객 추이 및 유치> (단위 : 만명)

구 분 2005년 2009년 2014년 2016년 2020년


전체 3 7.6 105 150 300
제 주 0.3 3.8 59 100 200
부 산 2.5 2.7 24 30~40 60
인 천 - 0.9 18 20~26 37~46
여 수 - - - 1 2
동해ㆍ속초 - - - 0.3 1
기 타 0.2 0.2 4 - -
자료 : KMI(한국해양수산개발원) + 한국관광문화연구원 예측

- 13 -
5. 경제효과
Ⅱ. 기본계획 개요

▒ 소비지출 및 투자비 규모 산정
○ 2020년 크루즈 관광객 300만명 유치, 국내 모항을 이용하는 크루즈 관광객 20만명 확대로
인한 총 소비지출은 3조6,722억원 추정
기항지관광객 소비지출
: 3조4,194억원 <303만명 × 1인 평균 소비액 1,128천원
(15년 조사 평균지출 919$ × 환율 1,228원 16.2.23기준)>
모항관광객 소비지출
① 2,122억원 <내국인 18만명 × 1인 1,173천원 (운임 1,000천원 + 지출액 173천원)
(14년 국민여행실태조사 1인 평균)>
모항관광객 소비지출
② 406억원 <외국인 2만명 × 1인 2,033천원 (운임 1,000천원 + 1인 지출액 1,033천원)
(14년 조사 842$ × 환율 1,228원, 16.2.23기준)>

○ 크루즈 전용부두, 여객터미널, 복합관광단지 등


크루즈산업 기반시설 투자비는 2020년까지 1조6,170억원 투자 계획
전용부두 : 2,703억원(인천남항 1, 제주외항1, 속초항 1, 부산동삼동 확장)
여객터미널 등 : 997억원(인천남항, 강정항, 속초항, 강정항 운영시설)
복합관광단지 : 1조2,470억원(부산북항재개발, 인천 골든하버, 제주탐라문화광장 등)

▒ 경제 파급효과
○ (관광부문) 2020년 크루즈 관광객을 통해 생산 6조1,780억원, 소득 1조2,437억원,
부가가치 2조9,861억원, 고용 4만4,309명
승수적용 : 2009년 전국산업연관표 관광승수에서 숙박업과 운동경기업을 제외하고
운수 및 보관업을 포함하여 기본 승수도출(KMI,한국관광문화연구원)

○ (시설투자) 2016~2020년까지 크루즈 기반시설 투자를 통해 생산 3조4,502억원,


소득 6,271억원, 부가가치 1조2,182억원, 고용 2만213명
승수적용 : 2009년 전국산업연관표 건설업 승수적용

○ (모항운영) 크루즈선 7만톤급 1척 연간 모항 운영비 3,216억원의 소비지출과


1,497명(직접고용 790명, 고용유발 707명) 신규 일자리 창출
경제효과 산출 : 한국해양수산개발원과 한국관광문화연구원

- 14 -
Ⅲ. 전략별 추진 과제
1. 외국 크루즈 관광객 유치 확대
Ⅲ. 전략별 추진 과제

기본방향
▒ 중국을 중심으로 급증하는 아시아 크루즈 관광객*의 50%이상 유치할 수
있도록 해외 홍보 활동, 기항지 추가 개발 등 수용 능력 확대
아시아(모항기준) : (10년) 91만명 → (15년) 209만명→ (20년) 532만명
중국(모항기준) : (10년) 14만명 → (15년) 109만명 → (20년) 400만명

▒ 기항지별로 특화된 관광상품 개발, 신속한 출입국 심사,


크루즈 관광객 불편해소 등으로 기항지 만족도 제고

목 표
▒ 2020년 한해 기항지 크루즈 관광객을 300만명이상 유치할 수 있도록
범정부적 모든 역량을 집중
크루즈 관광객 예측 : (14년) 105만명 → (17년) 200만명 → (20년) 300만명

여건 및 현황
▒ (중국 동향) 북부는 천진항, 중부는 상해항, 남부는 샤먼항 중심으로 2020년까지
모항 10개소, 크루즈관광객 400만명 육성
○ 중국 여행사는 일본 ‘선박관광상륙허가제’ 시행(’15.1월)과 중일관계 개선 등으로
일본 크루즈 상품을 더 많이 기획ㆍ판매*
메르스로 인해 중국 출항 크루즈선이 후쿠오카와 나가사키에 기항하면서 중국 크루즈 관광객이
일본을 더 선호하는 것으로 파악(중국크루즈경제연구센터)

○ 외국 크루즈선사들도 2015년 8척 → 2020년 30척 → 2030년 100여척의 크루즈선을


투입하여 급증하는 크루즈 수요를 수용할 계획

▒ (일본동향) 중국 출항 크루즈관광객 유치를 위해 ’15년 1월 비자면제 정책과


출입국 심사제도를 개선*하고
○ 크루즈선에 대한 항만시설 사용료 면제와 크루즈관광객 터미널 사용료도
1인 500엔(4,700원) → 1척 3,500엔(33천원)으로 감면

○ 한국 기항지와 중국 크루즈관광객 유치 경쟁을 위해 자국 기항지 불편 해소를 위해


파격적인 제도개선 추진
법무대신이 승인한 크루즈선에 탑승하는 여객의 비자면제와 얼굴촬영 생략과
양손지문만 날인 등 출입국 심사인력 확충 등으로 심사시간 최소화

- 16 -
▒ (한국 전망) 상해, 천진, 청도 등을 모항으로 출항하는 한-중-일 항로의
크루즈관광객은 연 20%이상 급증, 2020년까지 지속 증가
○ 2014년 크루즈 관광객은 105만명, 2017년 200만명, 2020년까지 300만명이상 예측

○ 지역 경제효과는 2014년 1조원에서 2020년 3조4,194억원 지역 소비 지출효과가


나타날 것으로 분석

<크루즈선 관광객 추이> <경제효과 추이>

세부 추진과제

▒ 1-1. 지역별 특색있는 관광상품 개발


1-1-가. 기항지별 전략 관광상품 개발
○ 기항지의 자연환경, 전통문화, 세계문화유산, 음식, 쇼핑, 축제 등과 연계한 특색있고
차별화된 전략 관광상품 개발
- (제주) 청정한 자연, 섬의 독특한 문화, 세계자연유산 지정, 잠수정 등 해양체험,
쇼핑 등 강점 → 자연경관과 체험 중심
- (부산) 자갈치 수산시장 등 먹거리, 범어사 역사체험, 국제영화제 등 다양한 축제,
힐링산책 코스 등 강점 → 해양ㆍ쇼핑 중심
- (인천) 수도권(인천, 서울, 경기)의 풍부한 문화유산, 인천의 섬, 다양한 콘텐츠(한류공연) 등
→ 한류공연과 역사 중심
- (전남) 다양한 한식 문화, 여수박람회과 순천정원박람회 등 국제행사장,
순천만 해양보호구역 등 강점 → 한류음식과 환경 중심
- (강원) 2018년 동계올림픽 청정 이미지, 연어ㆍ송이 등 다양한 지역축제,
설악산 가을 단풍 등 강점 → 다양한 체험 중심

○ 지자체는 한국관광공사, 지역 관광공사, 전문기관 등과 협력하여 전략 관광상품을


개발하여 해외 홍보 마케팅에 활용

- 17 -
지역별 관광기반 현황
Ⅲ. 전략별 추진 과제

근대문화유산과 다문화공간형 해안명소, 단풍경관, 자연


성(동화마을, 수도국산박물관 동굴 등 자연 자원 보유
등 새로운 관광자원 발굴) 외 국 인 이 선 호 하 는 DMZ
인천한류관광콘서트 연계 관광활성화
케이팝 상설공연 및 별에서 온 2018동계 올림픽으로 인지도제
그대 촬영지 탐방코스 확대 고 기대 미개척지인
환동해 크루즈라인의 중심

་ᆔ

ၾᅿ

부산만의 먹거리가 넘쳐
나는 재래수산시장 관광
명소화
영화, 드라마촬영지 연계 국제
영화제 영화의 전단, 부산영화
체험박물관 등의 영상문화도시
브랜드 강조

๊ໄ
풍부한 곡식과 해산물, 산채로 만든 향토음 ࿻༮
식을 통해‘넉넉함’과‘건강한’이미지 구축
음식을 통한 트렌드와 부합

제주의 청정이미지를 활용한 화


장품산업의트렌드선도
Ⴔფ౛
한류 뷰티&헬스케어 체험 연계
세계평화의섬브랜드구축
문화 이민 예술인집단의
문화 흡수

- 18 -
1-1-나. K-Culture 페스티벌

○ 크루즈 관광객과 승무원 포함 2만명 이상 동시 입항이 가능한 기항지에서


정기 k-pop 콘서트를 개최

- 1일 동시 3척 이상 입항이 가능한 제주ㆍ부산ㆍ인천항에서 우선 추진하고


이를 해외 크루즈 해외 마케팅 전략에 활용

(제주) 2017년 강정항 개장시 1일 4척 여객 15천명(22만 오아시스 5,400명, 16만톤 퀀텀 4,700명,


11만톤 세레나 3,700명, 7만톤급 스카이씨 2,000명) + 승무원 5천명

<K-POP 등 한류 콘서트>

1-1-다. 한식과 크루즈 연계행사 개최

○ 국내외 유명 요리사를 초빙하여 지역 우수 농수산물을 활용한 한식 요리행사와


해외 크루즈 관광객 시식 등 연계행사 추진

- 지자체는 수협, 농협 등 관계기관 협업을 통해 기항지 우수 농수산물 요리행사와


크루즈 연계방안을 단계적으로 확대

여수박람회장내 세계 유명 셰프 수산물 요리 행사를 크루즈 관광객 신규 유치에 활용 검토(’16.5월중 개최 예정)

<2013년 박람회장내 중국 단체관광객 행사 사례>

- 19 -
1-1-라. 크루즈 선상 한류공연 지원
Ⅲ. 전략별 추진 과제

○ 한ㆍ중ㆍ일 항로를 운영하는 크루즈선 중 국내 2개항 이상 기항하는 크루즈선에 대해


선상 한류공연 개최 지원
- 해외 유치활동 시 인센티브 제공방안으로 활용함으로서 타 국 기항지와의 경쟁력 강화 및
국내 신규 기항지 개발 촉진

< 선상 한류 공연 사례>

▒ 1-2. 잠재력 있는 기항지 개발


1-2-가. 신규 기항지 정착 및 개발
○ 아시아는 일본 30개 기항지 등 아시아에 총 168개의 기항지가 운영되고 있으나
국내는 부산ㆍ제주ㆍ인천항 등 5개 기항지에 불과
- '15~'16년 크루즈가 신규로 입항하는 여수항, 속초항이 기항지로 정착될 수 있도록
기반시설 확충과 마케팅 지원을 강화
- 항만시설이 개발되어 있고, 독특한 지역 문화, 관광 인프라 등 기항지 가능성을
검토하여 2020년까지 3개소 추가 개발

1-2-나. 관광지로 활용이 가능한 섬 기항지 개발


○ 독특한 자연환경, 관광지 개발이 완료된 울릉도, 거제 외도ㆍ장사도 해상공원 및
개발 가능성이 있는 섬을 크루즈 관광객 기항지 상품으로 개발을 검토
- 텐더보트(100톤급, 200명 탑승) 접안 시설, 크루즈선 정박 가능여부 등 타당성 연구용역을
통해 2020년까지 1개소 시범 운영

- 20 -
일본 크루즈 기항지 현황

- 21 -
<섬 관광지 및 카리브해 텐더보트 사례>
Ⅲ. 전략별 추진 과제

1-2-다. 무인도서를 해양관광 기항지로 개발


○ 무인도서의 지리적, 관광 인프라 등을 감안하여 크루즈 관광객이 6~8시간이상 해양관광이
가능한 무인도서를 기항지로 발굴
- 무인도서 기항지 개발 타당성 검토결과에 따라 민간투자 유치 검토
개발방안 : 크루즈는 무인도서 인근에 정박후 텐더보드를 이용하고 해수욕장, 요트, 카약, 산책 등
해양관광 기반시설 조성

<카리브해 로얄 캐리비언 코코케이섬 개발사례>

- 22 -
▒ 1-3. 해외 홍보 마케팅 강화
1-3-가. 기항지별 해외 타겟 마케팅
○ 한ㆍ중ㆍ일 크루즈선 항로와 모항지 등을 고려하여 동해ㆍ서해ㆍ남해 3개 권역으로 나누어
지자체별 해외 타켓 마케팅 지역 선정
- 모항 운항선사, 모객 여행사, 항만 및 지방정부 등 크루즈 관계자와 인적 네트워크 구성 등
밀착 마케팅 추진
- 기항지별 선사ㆍ여행사 등 해외 마케팅, 온ㆍ오프라인 홍보자료 발송 등
매년 권역별 마케팅 계획을 수립하여 8월이전에 완료
(인천) 천진, 연태, 청도 등 중국 북부지역에서 출항하는 크루즈 및 관계자
(제주) 상해, 청도 등 중국 중부와 북부지역에서 출항하는 크루즈 및 관계자
(부산) 중국 중부와 일본 서북부지역에서 출항하는 크루즈 및 관계자

<기항지별 타켓 마케팅 권역>


오타루
라디보스
스톡
블라디보스톡

카타
니카타

인천

서해권역
텐진
텐진
속초
초 울릉
동해권역
부산
부산 사카이미나토
사카
카이
이미
이미
청도 여수
여수

후쿠오카
후쿠오
오카
오카
제주

상해
상해

남해권역
대만
홍콩

1-3-나. 해외 크루즈관계자 초청 마케팅


○ 중국, 일본, 홍콩 등 크루즈 선사, 여행사, 지방정부 등을 크루즈 관계자를 국내로 초청하여
팸 투어, 트래블 마트 개최
- 해수부, 문체부, 지자체, 항만ㆍ관광공사 합동으로 매년 팸투어는 2~3회,
트래블 마트는 1회 추진
- 익년도 기항지 입항계획이 확정되는 8월 이전에 행사를 완료
팸투어 개요 : 해외 크루즈 관계자를 국내 기항지로 초청 항만시설, 기항지 관광상품 코스를 직접 체험하게
함으로서 향후 기항지 결정 계기 마련
트래블 마트 개요 : 해외 크루즈 선사와 전문 여행사 관계자를 초청하여 국내 기항지 관계자와
비즈니스 미팅 및 네트워크 형성

- 23 -
▒ 1-4. 편리한 입출항 시스템 구축
1-4-가. 출입국 심사 인력 및 기반시설 확충
Ⅲ. 전략별 추진 과제

○ 법무부의 크루즈 관광객 대면심사 방식 개편(’16년)관련, 신속한 심사를 위해


기항지 출입국 심사인력 단계적 확충
- BPA는 부산북항(영도, 신국제, 감만)에 IPA는 인천신항ㆍ남항의 여객터미널,
보안 검색시설과 인력 확충방안 마련
- 제주도는 2017년 강정항 전용부두 우선 운영과 2018년 개장에 대비 여객터미널,
부두내 이동시설, 출입국 심사방안 등을 마련

1-4-나. 신속한 심사시스템 구축


○ 2018년 한중일 크루즈 항로에 22만톤급 초대형 크루즈* 운항에 대비, CIQ 심사,
여객터미널 건립 등 신속한 출입국 심사 시스템 구축
오아시스호(22만5천톤) 여객 정원 5,400명, 승무원 2,384명(로얄캐리비언 2018년 상반기 한중일 항로에 투입 예정)

1-4-다. 출국 보안검색 장비 및 인력 확충
○ 크루즈 관광객 출국시 보안검색이 지연되지 않도록 여객수 등을 감안한 검색장비와
인력 확충 등 운영계획을 사전 수립(지자체, PA)

▒ 1-5. 크루즈관광객 불편 해소
1-5-가. 개별관광객 기항지 관광 및 교통수단 홍보
○ 지자체는 도심관광 셔틀버스, 택시 등 대중교통 이용 방안과 주요 관광지 등을
크루즈 여객에게 홍보할 수 있는 방안 마련
- 크루즈 선사에서 매일 아침 크루즈 여객에게 제공되는 'Today the daily programme' 게재
방안을 각 크루즈선사와 협의 추진
해외사례 : 항만 인접위치에 10인이하 승합차를 이용할 수 있도록 주차장을 조성하고 관광코스 및 요금 등을
매일 아침 소식지에 담아 객실로 전달

<해외 운영사례>

1-5-나. 국내외 크루즈 관계자 소통 강화


○ 우리부 크루즈산업 육성 협의체와 문체부 크루즈관광협의회를 2016년부터
'크루즈 발전 협의회'로 통합하고
- 기항지 인프라 확충, 입출국 심사, 지역 건의사항 등은 중앙부처간 협력하여 해결할 수
있는 중앙 협의체를 연 2회이상 운영
참여기관 : 해수부, 문체부(공동주관), 법무부, 경찰청, 관세청, 검역본부, 지자체, 관광공사,
항만공사, 외국 크루즈선사, 여행업계, 크루즈 연구기관 등

- 24 -
○ 크루즈 스케줄 공유, 기항지 관광 불편사항 등을 사전에 점검ㆍ개선할 수 있도록
지역 협의체를 분기 1회이상 운영
참여기관 : 지자체, 지방해양수산청, 지역 CIQ기관, 지방경찰청, 항만ㆍ관광공사, 선사대리점, 크루즈 여행사,
시장ㆍ상인 연합회 등

2. 국적 크루즈선사 육성 지원

기본방향
▒ 국내 모항 운영에 따른 경제효과와 외국 크루즈선사 국내 크루즈시장 선점에
대응하고자 적정규모의 국적선사 육성

▒ 선박금융, 세제, 항만시설 및 정부, 지자체, 공기업 지원 강화로 크루즈산업 초기


국적 크루즈 선사 경쟁력 확보

목 표
▒ 2015년 3만명 내외인 국내 크루즈 관광 인구를 체험단 운영, 방송홍보 등을 통해
2020년까지 20만명으로 확대

▒ 국적 크루즈선 3척이상 취항으로 1조원이상 경제효과와 4,400여개의


직ㆍ간접 고용효과 발생
크루즈선 1척(7만톤급) 운영시 3,216억원의 소비지출과 1,497명 신규일자리 창출

여건 및 현황
▒ (세계) 37개 선사가 북미(카리브해, 알래스카), 유럽, 지중해, 극동아시아,
동남아시아 등에서 크루즈선 300척 운영(2015년 기준)
○ 크루즈선 규모도 7~8만톤급 중심에서 10~22만톤급으로 대형화

<세계 크루즈 선사 현황(2015기준)>


선사명 브랜드 선박척수 선실수
합 계 - 300척 483,074개
CCL 9개 100척 218,096개
RCL 7개 46척 110,774개
NCL 3개 22척 45,012개
MSC - 12척 31,060개
기타 33개선사 - 120척 78,132개

- 25 -
세계 10대 크루즈 관광지
Ⅲ. 전략별 추진 과제

<주요 크루즈선 전경>

(코스타 11만톤급 세레나호) (로얄캐리비언 22만톤급 오아시스)

(코스타 7만톤급 빅토리아호) (로얄캐리비언 16만톤급 퀀텀)

- 26 -
▒ (아시아) 동북아(한ㆍ중ㆍ일), 동남아, 오세아니아에 21개 선사 34척의 크루즈 운영
(2015년 기준)
○ 아시아 국적 크루즈 선사는 8개 선사 9척이며, 외국 크루즈 6개 선사 23척의 크루즈선을
시장에 투입
- 중국은 국적 크루즈선사 3개사가 3척을 운영중이며, 외국 크루즈선사들은 2006년
중국시장에 진출 이후 2015년 현재 8척 투입
카니발선사는 2016년 중국 현지 법인을 설립하고 크루즈선을 2020년까지 30척,
2030년까지 100척으로 확대 투입계획 발표(카니발 회장 발표,15.10월)
** 중국 크루즈 시장은 외국과 달리 크루즈여행사들이 외국 크루즈선을 차터하여 관광객을 모객하고
외국 선사들은 크루즈 운항만 담당하는 특이한 구조

<중국 크루즈 운영 현황>


구분 선사명 선박명 톤수 여객/승무정원
HNA Tourism Henna 47,000 1,965/670
국적선사 보하이크루즈 중화태산 25,000 1,000/380
Sky Sea 크루즈 skyseas골든애라 72,458 1,814/860

외국선사 Royal Caribbean Mariner 138,276 3,840/1,185


(천진) Costa Atlantica 85,619 2,680/897
Royal Caribbean Quantum 167,800 4,905/1,300
(상해) Costa Serena 114,500 3,780/1,100
Princess Sapphire 115,875 2,670/1,100
(하문) Royal Caribbean Legend 70,000 2,076/720
Royal Caribbean Voyager 138,000 3,114/1,176
홍콩
Costa Victoria 75,166 2,394/790

- 일본은 국적 크루즈선사 4개사가 5척을 운영중이며, 외국 크루즈선은 1개 선사가 1척을 운영

<일본 크루즈 운영 현황>


구분 선사명 선박명 톤수 여객/승무정원
유선크루즈 ASUKA Ⅱ 50,142 960/545
크리스탈 크루즈 크리스탈심포니 51,044 922/566
국적선사 크리스탈세레니티 68,000 1,070/655
상선미츠이객선(주) 니혼마루 22,472 524/230
일본크루즈객선(주) 퍼시픽비너스 26,518 680/220
외국선사 Princess Diamond princess 115,875 2,706/1,100

- 27 -
▒ (한국) 하모니크루즈(’12.2~’13.1월) 이후 국적 크루즈선사는 없으며,
크루즈법률 제정(’15.2월)과 관심업체들이 국적선사 출범을 준비
○ 2015년 기준 국내 크루즈인구는 3만명 내외로 부족한 상황으로 크루즈 관광 체험,
Ⅲ. 전략별 추진 과제

방송 홍보 등 크루즈 인구 확대 필요

<하모니 크루즈선사 현황>

선명 여객정원 운영기간(’12.2~11월말)
선사 항로
(총톤수) (승무원) 모객인원 승선율
클럽하모니 1천명
하모니크루즈 한-일중심 27,794명 40%
(25,558톤) (393명)

○ 2014년 인바운드 관광객 1,400만 명(중국 612만명), 아웃바운드 관광객 1,608만 명을


활용한 크루즈 시장 확대방안 강구
’14년 인바운드 관광객은 중국인 여행객과 스키 등 동계스포츠 즐기려는 홍콩, 태국 등
동남아 가족단위 여행객 증가

<인바운드 관광객 현황>

지역 관광객 (명)
아시아 11,863,787
중동 155,219
아메리카 974,021
유럽 848,527
오세아니아 177,934
아프리카 44,053
기타 605
전체 14,201,516

<아웃바운드 관광객 현황>

지역 관광객 (명)
아시아 13,289,546
아메리카 1,577,627
유럽 820,208
오세아니아 336,360
아프리카 11,178
기타 45,765
전체 16,080,684

- 28 -
세부 추진과제

▒ 2-1. 국적 크루즈선사 출범 지원
2-1-가. 크루즈선 취항 계획
○ 2017년까지 7만톤급 크루즈선 1척 취항, 2020년까지 5~7만톤급 크루즈선 3척 취항

<(예시) 7만톤급 크루즈 제원>

선명 코스타 빅토리아호
총톤수 75,166G/T
길이 252m, 폭 32m, 흘수
제원 8m, 항속 22노트
여객정원 2,394명
승무원 790명

2-1-나. 선박금융 및 세제 지원
○ 국책은행(산업은행, 수출입은행)과 관광진흥개발기금 융자 등을 통해 크루즈선 매입
자금 지원방안 관계부처 협의
- 금융권의 크루즈선령 15년 이상 담보대출 제한 규제는 관계기관 협업 과제로 선정하여 개선
중고선 매입가격 : 4만톤급(8백억원), 5만톤급(1,200억원), 7~8만톤급(2천억원이상)

○ 외국 크루즈 선사와 경쟁할 수 있도록 국적선사들의 국제순항여객운송 사업에 톤세제* 적용


법인세를 실제 영업상 이익이 아닌 선박의 순톤수와 운항일수 등을 기준으로 과세함으로써
과세편의성을 제고하는 한편, 세부담을 완화하는 제도

2-1-다. 원스톱 행정지원시스템 구축


○ 면허 및 허가 신청시 정부합동 T/F를 통해 국적 크루즈선이 취항할 때 까지
원스톱 서비스 제공
(T/F구성) : 해수부(총괄), 문체부(카지노 허가, 기금 지원), 금융위(선박금융), 지자체(관광객이용시설업,
인센티브 제공), 항만공사(선석제공)

2-1-라. 국내항에서 탑승한 관광객 국내항 하선 허용


○ 국내항에서 새로 탑승한 크루즈 관광객이 관광 등의 목적으로 단순 하선시
국내 기항지에서 하선 허용
- 하선 허용으로 크루즈관광객 불편 해소와 국적 크루즈선사 모객활동 간접지원 추진
(한국) 현행 국내항에서 출국수속을 받은 관광객은 타 국내항 기항시 하선 금지
(일본) 국내항간 기항시 출국심사를 하지 않고 탑승, 외국으로 나가기 직전 항만에서
승선객 전원 의무 하선하여 출국심사
(중국) 승선지에서 출국심사하나, 국내 타항만 기항 시 관광목적의 일시하선 허용

- 29 -
▒ 2-2. 국내 크루즈 인구 저변 확대
2-2-가. 크루즈 승선 체험단 운영
Ⅲ. 전략별 추진 과제

○ 매년 일정 규모의 크루즈 체험단을 운영하여 크루즈 관광에 대한 인식 전환 등


국적 크루즈선사의 모객활동을 간접 지원
(16년) 80명 → (17년) 100명 → (18년) 150명 → (19년) 200명 → (20년) 200명

2-2-나. 크루즈관광 방송 홍보
○ 멋진 공연과 오락, 최고급 호텔과 레스토랑, 기항지 관광과 쇼핑, 낭만과 여유 등
매력적인 관광 상품을 방송 홍보
한-중-일-러 항로를 운항하는 크루즈선의 예약 → 탑승 → 선내운영 → 기항지관광
→ 하선 등 전 과정을 제작ㆍ방송

2-2-다. 크루즈 홍보자료 제작ㆍ홍보


○ 크루즈 홍보동영상을 제작하여 정부운영 전광판, 여행사, KTX, 터미널 등 공공시설에 방영
- 국내ㆍ외 여행관련 파워블로거와 관광저널 등 여행관련 온ㆍ오프라인 매체를 통한
홍보 병행 추진

<홍보영상 예시>

- 30 -
2-2-라. 국내ㆍ외 행사 크루즈 유치
○ 공공기관 워크숍, 대기업 및 보험사 등 인센티브 관광수요를 크루즈관광으로 흡수할 수
있도록 선사ㆍ여행사의 마케팅 활동 지원
중국 미스차이나 선발 지역선발 행사를 Skysea Golden Era호에서 개최(’15.11.11/부산입항)

<중국의 크루즈 관광 수요 촉진 행사 예시>

▒ 2-3. 한국형 크루즈 모델 개발


2-3-가. 新 크루즈 항로 정보 제공
○ 환동해권의 한국ㆍ러시아ㆍ일본의 주요관광지를 기항하는 新 크루즈 항로의
소요일수, 기상, 기항지 특색 등 다양한 정보 제공
동해ㆍ부산 → (러)블라디보스톡 → (일)니카타ㆍ사카이미나토 → 동해ㆍ부산

<환동해권 新 크루즈 항로>

- 31 -
2-3-나. 크루즈 운영모델 개발
○ 크루즈선내 K-pop 공연, 한식체험, 노래방, 네일ㆍ헤어 등 뷰티샵, 최고의 면세점 등
유럽형 크루즈와 차별화된 모델 개발ㆍ제공
Ⅲ. 전략별 추진 과제

- 크루즈 전문가, 한국관광공사, 국적 크루즈선사, 여행사 등 전문가 T/F를 구성하여


한국형 크루즈 운영 모델을 2017년까지 개발

<한국형 운영모델 예시>

<해외 사례 : 디즈니 크루즈>

디즈니 크루즈 : ‘디즈니월드’를 테마로 인테리어, 공연 및 체험 등


모든 선상프로그램이 디즈니캐릭터와 스토리로 운영(아동, 가족 대상 판매)

▒ 2-4. 항만시설 사용 지원 및 인센티브 제공


2-4-가. 항만시설 무상사용 제공
○ 국내 항만 모항 이용에 필요한 여객 수속시설, 주차장, 선사 사무실, 창고 등을
무상사용 지원(지자체, 항만공사)
지자체는 국적 크루즈선 모항 기능 유치를 위해 공유재산을 무상으로 대부ㆍ사용ㆍ수익하게 할 수 있고,
그 밖의 물품을 양여 또는 무상 사용 가능(법8조)

- 32 -
<항만시설(여객수속, 주차창)>

2-4-나. 항만시설 사용료 감면


○ 국내 항만 모항 이용시 크루즈선 접안료ㆍ입출항료, 여객터미널 사용료 감면 지속
(현행) 외국 크루즈선 국내항만 기항시 접안료, 입ㆍ출항료 30% 감면,
크루즈관광객 1人 여객터미널 사용료 3,300원 징수

2-4-다. 다양한 인센티브 제공


○ 국적 크루즈선사 모항 이용과 크루즈관광객 지역 관광에 따른 경제효과 등을 감안하여
지자체 차원의 다양한 지원 방안 마련
(사례) 지자체가 국제 카페리선사에게 사업초기 항차 또는 시기별 예산지원 등

- 33 -
3. 크루즈 인프라 조성
Ⅲ. 전략별 추진 과제

기본방향
▒ 항만 여건과 인프라 등을 감안하여 모항ㆍ기항지 기능을 선정하고
이에 맞는 기반시설 조성을 통해 지역 경제 활성화

▒ 항만시설은 기존시설 보강하여 확충하고, 복합관광단지 등은 정부ㆍ지자체 계획과


연계하고 시기조정 등을 통해 예산 투입 최소화

목 표
▒ 2020년까지 크루즈 전용부두 5 → 10선석으로 여객터미널 3 → 7개소 확충하여
2020년 기항지 크루즈 관광객 300만명 수용 능력 확충

▒ 5개 항만을 모항으로 선정하고 기반시설 조성 등을 통해 2020년 한해


모항 크루즈 관광객 20만명으로 확대

여건 및 현황
▒ (지리적) 한국의 주요 항만은(부산, 인천, 제주, 여수, 속초 등)
한-중-일-러 크루즈 항로의 중심에 위치
○ 2016년부터 부산항을 중심으로 한-일 항로와 동해항을 중심으로
한-러-일 항로를 대상으로 모항 시범운항 사업 추진

▒ (인프라) 크루즈 전용부두, 여객터미널, 주차장 등 기반시설과 관광ㆍ쇼핑,


대중교통 등 모항으로서 편의시설 부족한 상황
○ 크루즈 전용부두는 2015년 기준 5선석(제주2, 부산2, 여수1) 운영중이고 크루즈선
접안 능력은 10만톤급 수준

- 16만톤급 크루즈(퀀텀호)는 접안할 수 있는 전용부두가 없어 부산 북항과


인천신항 화물선 부두에 접안하는 실정

<크루즈 전용부두 현황>


항만별 합계 10만톤이하 10~15만톤 15만톤이상
합 계 5 2 2 1
부산항 2 1 1 -
제주항 2 1(임시부두) 1 -
여수항 1 - - 1

- 34 -
○ 여객터미널은 부산, 제주, 여수 3개소를 운영중, 부산북항은 부두와 이동거리가 멀고,
제주외항은 공간부족 등 관광객 이용 불편 초래
- 여수신항도 터미널 공간이 부족하고, 인천남항과 속초항은 설계중으로 ’18년 이후
완공 예정

○ 항만 배후지 관광ㆍ쇼핑 등 복합해양관광단지 부족과 도심에서 여객터미널까지


대중교통 확충도 필요한 상황

※ 크루즈 인프라 여건
○ 지역별 항만 기반시설 여건
지역 전용부두 터미널 비고
부산북항 10만톤급 1선석 국제여객터미널 1동 운영
(예비선석 포함 10만톤급 2선석 운영)
부산
부산 동삼동부두 8만톤 1선석 22만톤급 여객 5,400여명 이용할
(18년 6월 22만톤급 확충공사 완공) 수 있는 여객터미널 건립 계획
화물부두 임시 접안 인천남항 여객터미널
인천
(인천남항 15만톤급 전용부두 17년 운영) 18년 상반기 완공 계획
제주외항 10만톤급 1선석
8만톤급 1선석 (임시부두) 국제여객터미널 1동 운영
제주 (20년까지 10만톤급 1선석 추가 개발)

강정항 15만톤급 2선석 준공 18년 3월까지 완공ㆍ개장 계획


(17년 상반기 운영 예정)

전남 여수항 15만톤급 1선석 국제여객터미널 1동 운영


강원 속초항 3만촌급( → 7만톤급) 1선석 16년 1월 운영 계획
(17년 운영 예정)

○ 지역별 관광 및 교통 기반시설 여건
지역 관광여건 교통여건 비고
부산북항재개발, 범어사, 용궁사, 해운대,
부산 자갈치수산시장,국제시장, 백화점 등 다양한 쇼핑 등
김해공항, KTX, 경부고속도로 등

(서울) 고궁, 남산, 명동 쇼핑 등 인천공항, 인천-서울공항철도ㆍ


인천 (인천) 월미도, 차이나타운, 자유공원 고속도로 등
세계문화유산(성산일출봉), 중문관광단지,
제주 면세점 쇼핑, 바오젠 거리 등
제주공항, 제주신공항(2025년 완공)

여수박람회장, 순천만, 정원박람회장, 낙안읍성,


전남 대형아울렛매장 등
여수공항, KTX, 남해고속도로 등

2018년 평창동계올림픽, 양양 송이 및 연어 등 양양공항, 원주-강릉 고속철도(’17년 개통),


강원 다양한 체험, 강릉선교 등 전통문화 체험 등 영동고속도로 등

- 35 -
▒ (크루즈선) 로얄, 코스타 등 해외 주요선사들은 한중일 항로에 현재 9척의 크루즈 투입
ㆍ운영하고 있으나
○ 2018년까지 10만톤급이상 중ㆍ대형 크루즈 15척을 추가로 투입하여 총 24척의 크루즈를
Ⅲ. 전략별 추진 과제

운항할 예정

○ 특히, 로얄은 2016년도에 16만톤급 1척을 추가 투입하고, 프랑스 STX에서


건조중인 22만톤급 2척을 2018년에 투입 계획

<외국 크루즈선사 한중일 선박 투입계획> (단위 : 척)

운영중(A) 신규 투입계획(B)
선사별 합계 16년 17년 18년
7~8만 10~13만 16만
10만 14만 16만 14만 10만 22만
합 계 24 3 5 1 2 1 1 2 6 3
로얄 8 1 2 1 1 3
코스타 4 2 1 1
프린세스 4 2 1 1
스타 2 1 1
NCL 6 6

세부 추진과제

▒ 3-1. 크루즈 항만 운영기능 특화


3-1-가. 항만별 운영 기능 선정 및 개발
○ 전용부두, 터미널 등 항만 여건과 쇼핑, 체험 등 관광여건, 공항, 철도 등 교통여건 등을 감안
2020년까지 항만별 크루즈 기능 선정
- (부산) 부산북항은 항만ㆍ관광ㆍ교통 여건을 감안 모항과 기항지 겸용 항만으로,
동삼동은 기항지 전용 항만으로 육성
- (인천) 인천남항은 항만ㆍ관광ㆍ교통 여건을 감안 모항과 기항지 겸용 항만으로 육성
- (제주) 제주외항은 항만ㆍ관광 여건을 감안 모항과 기항지 겸용 항만으로,
강정항은 기항지 전용항만으로 육성
- (전남) 여수항은 항만ㆍ관광ㆍ교통 여건을 감안 모항과 기항지 겸용 항만으로 육성
- (강원) 속초항은 항만ㆍ관광ㆍ교통 여건을 감안 모항과 기항지 겸용 항만으로 육성

○ 모항과 기항지 항만의 크루즈 관광객 규모에 맞는 전용부두, 여객터미널 등


기반시설 조성 계획 수립
- (전용부두) 기항지 항만은 도심과 인접한 화물선 부두를 개축 또는 보강하여 활용하고,
모항은 관광객 수요를 감안하여 개발
- (여객터미널) 기항지 항만은 출입국 심사와 보안검색 등 기능을 최소화하고 모항은
CIQ 심사, 여객수속, 편의시설 등을 감안 개발

- 36 -
항만별 운영기능 현황

- 37 -
▒ 3-2. 크루즈 인프라 확충
3-1-가. 항만별 운영 기능 선정 및 개발
Ⅲ. 전략별 추진 과제

○ 2020년까지 인천남항 1선석, 제주 강정항 2선석과 외항 1선석, 속초항 1선석 총 10선석 확충

<크루즈 전용부두 건설계획> (단위 : 선석)

운영중 건설계획
항만별 합계
7~10만톤 10~15만톤 15만톤이상 7~10만톤 10~15만톤 15만톤이상
합 계 10 2 2 1 1 1 3
부산 북항 1 1
부산동삼동 1 1
인천남항 1 1
제주외항 3 1 (임시부두) 1 1
제주강정항 2 2
여수항 1 1
속초항 1 1

○ 크루즈선 대형화에 대비 부산 동삼동 전용부두(8 → 22만톤급),


속초항(3 → 10만톤급) 접안능력 확대를 추진
중국 등 아시아에 진출한 코스타, 로얄, 프린세스 등 외국선사는 기존 10만톤급 이하에서 10만톤급 이상
대형화 전략으로 전환(낮은 운임, 서비스 차별화 등)

<부산 동삼동 크루즈부두 확장 계획>

- 38 -
○ 부산, 인천, 제주 등 크루즈 전용부두의 접안능력을 DWT → GT로 환산하여
실제 접안능력을 재산정하고
- 부두 길이, 준설(수심), 방충재 보강 등으로 기존 부두의 접안능력 확대 및 화물선
부두 활용으로 신규 크루즈부두 개발을 최소화
부산항(북항ㆍ동삼동ㆍ감만 부두), 인천항(남항부두), 제주항(외항, 강정항),여수항(크루즈부두),
속초항(크루즈부두), 동해항(북부두)

3-2-나. 국제여객터미널 확충
○ 부산북항, 제주외항, 여수항에 국제 여객터미널을 운영중이며, 속초항, 강정항, 인천남항,
부산 동삼동에 2018년까지 4개소 확충

<국제여객 터미널 운영 및 건설계획> (단위 : 선석)

건설계획
항만별 합계 운영
’16년 완공 ’17년완공 ’18년완공
합 계 7개소 3개소 1개소 2개소 1개소
부산 북항 1 ’15.8월 - - -
부산동삼동 1 - - 1 -
인천남항 1 - - - 1
제주외항 1 ’15.10월 - - -
제주강정항 1 - - 1 -
여수항 1 ’12.1월 - - -
속초항 1 - 1 - -

- 39 -
Ⅲ. 전략별 추진 과제

3-2-다. 선용품 공급센터 건립


○ 외국 크루즈선 선용품 공급에 불편이 없도록 제주 등 주요 기항지 항만에 선용품 공급센터를
단계적으로 구축
(제주) 선용품 육지 → 제주도 선박 운송후 공급, 기상 악화시 공급에 차질 발생

<마이애미 선용품 공급창고>

3-2-라. 유류 공급기지 건립
○ 한ㆍ중ㆍ일 크루즈항로의 중간에 위치한 지리적 이점을 활용하여 외국 크루즈 입항 시
원활할 유류 공급 등 항만이용 편의 제공
- 2020년 크루즈 1,500회 이상 입항에 대비, 제주ㆍ부산ㆍ인천 항만 인근에 크루즈선
유류 공급기지 건설 추진 검토
크루즈 입항추이 : (14년) 460회 → (16년) 830회 → (18년) 1,100회 → (20년)1,500회

<육상 유류공급기지 예시>

- 40 -
마이애미 크루즈 모항 인프라 구축 사례

3-2-라. 유류 공급기지 건립
전용부두 10만톤급 8선석과 터미널, 주차장, 창고를 항만내 집중 배치하여 크루즈관광객이
이용 편의 제고
- 카니발, 로얄, NCL 선사 모항 유치와 마리나, 비치, 리조트 등 조성 연간 433만명 방문,
17만개 일자리와 20조원이상 경제효과

- 41 -
▒ 3-3. 관광 인프라 확충
3-3-가. 항만 배후 복합해양관광단지 조성
Ⅲ. 전략별 추진 과제

○ 부산 및 인천의 경우 항만배후단지 및 재개발 계획과 연계하여 쇼핑ㆍ관광ㆍ체험 시설 등을


2020년까지 개발(항만공사)

<부산북항 재개발> <인천남항 골든하버 개발>

전체 153만㎡, 2008~2019년까지 전체 5만5천㎡, 2016~2018년까지

○ 전남(여수)의 경우 여수박람회장 해양관광ㆍ체험 시설을 활용한 기항지 관광 상품 마련


(여수박람회재단, 지자체, 관광공사 등 협의)

<여수박람회장> <여수박람회장>

3-3-나. 모항 인근 복합관광단지 조성
○ 각 지자체별 추진 중인 동부산 관광단지, 부산 오페라하우스, 제주 탐라문화광장 등
기존 계획과 연계하여 개발

<동부산관광단지> <부산 오페라하우스>

아쿠아리조트・쇼핑등 실내 외 공연장 등
366만㎡, ’05~’17 (2020년 9월개장)

<제주 탐라문화광장> <인천 영종복합문화도시>

세계음식 테마거리, 공원 등 호텔・복합리조트등


5만㎡, ’11~’16 10만㎡, ~’20까지

- 42 -
3-3-다. 중소기업 제품 쇼핑몰 조성
○ 크루즈 기항지에 부족한 쇼핑몰 확충과 중소기업 제품 판로 확대 등을 위해 민자 등을
유치하여 중소기업 전용 쇼핑몰 조성 추진
- 제주, 부산, 인천 등 크루즈 관광객을 감안하여 사업 타당성을 검토하여 2020년까지
1개소 건립ㆍ운영
6~8시간 기항지 체류하는 크루즈 특성과 중국 크루즈관광객의 쇼핑 선호 성향 등을 감안할 때
연 100만명이상 기항지에 쇼핑몰 건립을 검토할 필요

<목동 중소기업 행복한세상 백화점> <서울역 중소기업 명품마루>

- 43 -
마이애미 크루즈 모항주변 해양관광 인프라 구축 사례
Ⅲ. 전략별 추진 과제

○ 크루즈 모항주변에 비치, 마리나, 복합휴양지, 호텔 등 크루즈 관광객들의 해양체험,


관광시설을 집중 개발

- 44 -
▒ 3-4. 교통 인프라 확충
3-4-가. 개별 크루즈관광객 교통수단 마련
○ 한중일 항로 크루즈 개별 관광객 증가와 월드 크루즈 국내 입항 증가에 대비,
지자체별 교통대책 마련(’18년)
- 해외 기항지 사례를 반영하고 셔틀버스, 10인용이하 승합차, 택시ㆍ시내버스 등
대중교통 등을 포함
2015년부터 중국 크루즈관광객중 개별 관광을 희망하는 관광객 수요가 증가하고 있고 미국 등
월드와이드 크루즈 입항시 도심으로 가는 교통수단 미흡

3-4-나. 크루즈 여객터미널 주차장 확충


○ 항만공사와 지자체는 크루즈 대형화로 단체관광객 버스 수요를 감안한 항만내 관광버스 등
주차장 확충('17년)
세레나호(11만4천톤, 여객 3,780명) 45인승 84대, 퀀텀호(16만7천톤, 여객 4,700명) 45인승 104대,
오아시스호(22만5천톤, 여객 5,400명) 45인승 120대

- 45 -
4. 크루즈산업 및 연관산업 활성화
Ⅲ. 전략별 추진 과제

기본방향
▒ 전문인력 양성, 선용품 공급 등은 정부와 민간이 협업하여 성과를 조기 가시화하고
크루즈 건조 기술개발 등은 중장기과제로 추진

▒ 크루즈산업과 관광, 항공, 조선, 농수산, 교육 등 연관산업 활성화를 통해


경제효과 극대화

목 표
▒ 2020년까지 크루즈 승무원 전문인력을 2천명 양성하여 국내외 크루즈 선사 취업을
알선하고 선용품 공급 규모를 200억원으로 확대

여건 및 현황
▒ (크루즈 산업) 크루즈 선진국들은 크루즈선사 육성과 모항 유치, 산업 박람회 등을
통해 크루즈 산업 활성화 도모
○ 크루즈 한 척당 평균 승무원 1천여명 기준으로 전세계 크루즈 승무원 인력은 30만명* 예상
- 외국 크루즈 선사들은 2018년까지 23척을 건조중이고 2020년까지
49척 건조 계획으로 승무원 49천명 추가 소요(척당 1천명 기준)
승무원 예측 : 1척당 평균 1,000명 × 300척(근무기간 계약 9개월)
중국 : 크루즈 인력양성을 위해 중국 해사대학, 상해국제항무집단유한공사, 중국크루즈요트협회 3개
기관이 협력하여 아시아 크루즈 아카데미를 설립 예정

○ 유류(벙커C), 청수, 식자재, 공산품 등 크루즈선의 다양한 선용품 수요 확대로


전 세계 크루즈 선용품 시장도 급성장 예측
- 한국 크루즈 선용품 공급회사가 제주ㆍ부산ㆍ인천항에 입항한 외국 크루즈에
공급한 식자재 등 규모는 (13년)28 → (14년)50 → (15년)70억원
공급내역 : 육류(돼지, 닭, 오리 등) 계란, 햄종류, 마요네즈 케찹 등 소스류 등

○ 크루즈관련 산업박람회는 미국(마이애미), 유럽, 중국(상해) 등에서 매년 개최하고 있으며


컨퍼런스 행사를 병행 추진
- 한국은 2013년부터 제주크루즈포럼 행사를 시작으로 아시아를 대표하는
크루즈 행사로 발전하고 있음
마이애미 박람회(31년 역사) : 전세계 선사, 선박건조 및 장비, 호텔, 음식, 기항지 등
크루즈 관계자 1만여명 참가(127개국 컨퍼런스와 비즈니스 활동)

- 46 -
▒ (연관산업) 외국 크루즈관광객 기항지 입항 인프라와 쇼핑관광에 따른 면세점
외에는 연관산업의 육성과 발전은 미흡한 수준
○ 크루즈 건조시장은 유럽국가들이 건조시장의 84%이상 점유하고 관련 기자재 산업도
선도하고 있음
- 이탈리아(26.7%), 프랑스(19.2%), 핀란드(18.6%), 독일(15.9%) 등 유럽 4개국이
건조시장을 점유(Clarkson Research Services 자료)
중국동향 : 독일 크루즈건조사, 카니발, 상해 보산구, 국제크루즈기준협회, 중국 전문투자기관 6개 기관이
협력하여 16년부터 크루즈 건조(1척 5년 소요)

○ 중국 관광객의 기항지 쇼핑 위주의 관광상품 선호에 따라 해양관광, 한류문화,


농수산물 가공식품 등과 연계방안 마련 필요

세부 추진과제

▒ 4-1. 전문인력 양성으로 청년 일자리 창출


4-1-가. 크루즈 선박운영 전문인력 양성
○ 국적 크루즈선사 출범과 외국 선사 크루즈 승무원 수요 등 중장기 수요를 예측하여
2020년까지 승무원 2천명 양성
양성계획 : (’15년)70명 → (’16)200 → (’17)300 → (’18)400 → (’19)500 → (’20)500

- 크루즈 항로 및 운항 스케쥴, 선내 운영 콘텐츠 등을 설계ㆍ운영할 수 있는


크루즈 전문 경영자 육성 방안 마련
해외사례 : 영국, 독일, 중국 관련 대학에 전문경영자과정 운영(실습 병행)

4-1-나. 크루즈 관광관련 전문인력 양성


○ 6시간 내외 기항지 관광을 하는 크루즈 특성을 감안하여 여행플래너, 관광가이드 등
전문인력 양성 추진
한국관광공사 관광통역안내사 교육과정 등과 연계하여 추진

4-1-다. 해양체험 전문인력 양성


○ 크루즈 개별관광객 증가에 대비, 기항지 인근 요트, 카약 등 해양체험을 안전하게
즐길 수 있도록 해양체험 전문인력 양성방안 마련

- 47 -
▒ 4-2. 해양ㆍ농수산ㆍ조선ㆍ교육산업 연계
4-2-가. 기항지 해양관광 상품 개발ㆍ지원
Ⅲ. 전략별 추진 과제

○ 기항지의 6시간 내외 체류시간을 감안하여 이동과 체험시간이 짧은 해양체험 위주로


관광 상품 개발ㆍ제공
예시 : 잠수정을 이용한 해저 관광, 기항지 주변 아쿠아, 해양박물관 등

<제주 문섬 해저관광> <아쿠아>

4-2-나. 국산 식자재 크루즈 공급


○ 농협, 수협 등의 농ㆍ축ㆍ수산, 냉동ㆍ가공식품과 해양심층수 등을
크루즈 식자재로 공급 추진
- 외국 크루즈 선사 관계자와의 비즈니스 마케팅을 통해 식자재 공급문제를 협의
(연 1회 이상)하고, 국제 크루즈 박람회 등에 홍보부스 운영

< 농ㆍ축ㆍ수산식품 및 해양심층수 >

- 48 -
4-2-다. 크루즈 건조 및 수리 기반 구축
○ 국내 조선소의 단계적인 크루즈선 건조 역량 확보를 통한 신 성장 동력 창출을 위해 크루즈
설계 기술 R&D 추진
중국은 독일 크루즈건조사, 카니발, 상해 보산구, 국제크루즈기준협회,
중국 전문투자기관 6개 기관이 협력하여 16년부터 크루즈 건조(1척 5년 소요)

- 크루즈선 수리 전문 인력(공조시설 등), 기자재 공급 등 크루즈선 수리 지원 계획 마련


중국 사례 : 모항인 상해ㆍ텐진에 선실 내부 공조시설 등 수리 전문인력 배치

<크루즈선 건조사례(오아시스 오브 더 씨 호)>

4-2-라. 크루즈 체험학교 운영


○ 크루즈 승선체험을 통해 외국어 학습 및 문화체험, 진로탐색활동이 가능하도록
중학교 자율학기제와 크루즈를 접목한 교육과정 운영
- 학교, 학부모 의견수렴 등 사업 타당성, 안전성 등을 충분히 검토하고
관계기관 협의를 거쳐 추진

- 49 -
▒ 4-3. 크루즈 항만용역 공급업 확충
4-3-가. 크루즈 선용품 공급회사 확대
Ⅲ. 전략별 추진 과제

○ 국제기준 시설확보, 외국 전문기관 선용품 인증 절차 등을 지원하여


외국 크루즈 선용품 공급업체 확대(1 → 3개소이상)
국내 선용품회사 외국 크루즈 공급 실적 : (’13) 28억원 → (’14)53억원 → (’15)70억원

4-3-나. 항만 서비스업 확충
○ 속초항, 여수항 등 크루즈 신규 기항지 항만의 예인선, 도선사, 청수 등 항만 서비스에
불편이 없도록 장비와 시설 확충

▒ 4-4. 크루즈산업 지원체계 구축


4-4-가. 산업 박람회 개최
○ 제주국제크루즈포럼과 연계하여 아시아를 대표할 수 있는 크루즈산업 박람회를 개최(연 1회)하고
- 국내외 크루즈관계자를 초청하여 크루즈 산업 인식 전환, 기항지 홍보, 관광객 유치 등
비즈니스 장으로 활용

<미국 마이애미 크루즈박람회(매년 3월 개최)>

4-4-나. 정부 및 민간 협의체 운영
○ 한ㆍ중 크루즈 산업의 건전한 발전을 위해 정부, 지자체, 선사, 여행사 등
범정부적인 협의체 구성 추진
- 제주국제크루즈포럼, 기타 국제 회의 시 ‘한ㆍ중 크루즈 협의체’ 구성 제안
운영(안) : 한중 정부, 지자체, 선사, 여행사 등 크루즈 관계자, 입출항 심사 방식,
기항지 관광상품 등 발전방안 모색

○ 한ㆍ중ㆍ일 크루즈 연구기관간 업무협력*, ACLN**(아시아크루즈리더스네트워크)을 통해


관련 정보 공유 및 인적 교류 확대 추진
참여기관 : (한)한국해양수산개발원, (중)상해크루즈연구센터, (일)항만연구재단
** ACLN 참여기관 : 아시아 항만 및 크루즈터미널 등 8개국 52개 크루즈관련 기관

- 50 -
4-4-다. 한국크루즈산업협회 설립 지원
○ 크루즈산업협회의 구성ㆍ운영과 주요사업 등 크루즈산업 지원방안을 마련하여
’18년 이후에 발족할 수 있도록 관련 계획을 수립

4-4-라. 상해 크루즈정보센터 운영
○ 급변하는 중국 크루즈 시장 동향과 인프라 정보를 활용하기 위해 상해 크루즈정보
분석기구 마련
운영(안) : 한국해양수산개발원 상해연구기관을 활용 또는 연구용역 발주 등

4-5-마. 크루즈산업 통계 구축
○ 산업동향, 전용부두 등 기반시설, 입출항 규모, 기항지별 관광객 추이 등
다양한 크루즈 통계자료 마련
- 관련 통계자료 확보와 행정절차 등을 거쳐 크루즈산업 국가승인 통계
대국민 제공서비스 구축

4-5-바. 지역별 크루즈산업 육성 시행계획


○ 크루즈 산업을 체계적으로 추진할 수 있도록 부산, 인천, 제주 등 주요 지역별
크루즈산업 육성 실천계획’ 수립
- ‘제1차 크루즈산업 육성 기본계획’과 연계하여 크루즈 관광객 유치 전략,
인프라 구축 등 세부과제를 매년 수립ㆍ이행(지자체, 항만공사)

- 51 -
Ⅳ. 계획의 집행체계 확립
Ⅳ. 계획의 집행체계 확립

1. 부처별 추진과제

세부 추진과제 협업부처・기관
1. 외국 크루즈관광객 유치 확대

1-1. 지역별 특색있는 관광상품 개발 해수부, 문체부, 지자체

1-2. 잠재력 있는 기항지 개발 해수부, 지자체

1-3. 해외 홍보 마케팅 강화 해수부, 문체부, 지자체

1-4. 편리한 입출항 시스템 구축 법무부, 해수부

1-5. 크루즈 관광객 불편 해소 해수부, 법무부, 문체부

2. 국적 크루즈선사 육성 지원

2-1. 국적 크루즈선사 출범 지원 해수부, 문체부, 금융위

2-2. 국내 크루즈인구 저변 확대 해수부, 문체부

2-3. 한국형 크루즈 모델 개발 해수부

2-4. 항만시설 사용 지원 및 인센티브 제공 해수부, 지자체

3. 크루즈 인프라 조성

3-1. 크루즈 항만 운영기능 특화 해수부, 지자체

3-2. 크루즈 인프라 확충 해수부, 산자부

3-3. 관광 인프라 확충 해수부, 중소기업청, 지자체

3-4. 교통 인프라 확충 해수부, 지자체

4. 크루즈 산업 및 연관산업 활성화

4-1. 전문인력 양성으로 청년 일자리 창출 해수부, 노동부

4-2. 해양ㆍ농수산ㆍ조선ㆍ교육산업 연계 활성화 해수부, 농림부, 산자부, 교육부

4-3. 항만용역 공급업 확충 해수부

4-4. 크루즈산업 지원체계 구축 해수부

- 54 -
2. 연차별 사업 실행계획

1. 외국 크루즈 관광객 유치 확대
세부추진과제 2016 2017 2018 2019 2020

1-1. 지역별 특색있는 관광상품 개발

상품개발 상품개발 상품개발 상품개발 상품개발


가. 기항지별 전략 관광상품 개발
및 운영 및 운영 및 운영 및 운영 및 운영

나. K-Culture 페스티벌 계획수립 운영 운영 운영 운영

다. 한식과 크루즈 연계행사 개최 1개소 2개소 3개소 4개소 5개소

라. 크루즈 선상 한류공연 지원 계획수립 운영 운영 운영 운영

1-2. 잠재력 있는 기항지 개발

속초항 타당성 관계기관 기반시설 1개소


가. 신규 기항지 정착 및 개발
기반확충 용역 협의 조성 운영
타당성 관계기관 기반시설 1개소
나. 관광지로 활용이 가능한 섬 기항지 개발 -
용역 협의 조성 운영
타당성 관계기관 기반시설 1개소
다. 무인도서를 해양관광 기항지로 개발 -
용역 협의 조성 운영

1-3. 해외 홍보 마케팅 강화

전략 마련
가. 기항지별 해외 타겟 마케팅 운영 운영 운영 운영
및 추진

나. 해외 크루즈관계자 초청 마케팅 계속 계속 계속 계속 계속

1-4. 편리한 입출항 시스템 구축

동삼동,
가. 출입국 심사인력 및 기반시설 확충 강정항 속초항 - -
인천남항
22만톤급 시설 및 시범운영
나. 신속한 심사시스템 구축 운영 운영
운영협의 인력 확충 등
운영계획
다. 출국 보안검색 장비 및 인력 확충 운영 운영 운영 운영
수립

1-5. 크루즈 관광객 불편 해소

가. 개별관광객 기항지 관광 및 교통수단 홍보 계획수립 계획수립 홍보 홍보 홍보

나. 국내외 크루즈관계자 소통 강화 계속 계속 계속 계속 계속

- 55 -
Ⅳ. 계획의 집행체계 확립

2. 국적 크루즈선사 육성 지원
세부추진과제 2016 2017 2018 2019 2020

2-1. 국적 크루즈선사 출범 지원

가. 크루즈선 취항 계획 - 1척 - 1척 1척

톤세제 개정
나. 선박금융 및 세제 지원 금융협의 계속 계속 계속
금융협의

다. 원스톱 행정지원시스템 구축 - T/F운영 - T/F운영 T/F운영

라. 국내항에서 승선한 관광객 법무부지침


운영 운영 운영 운영
국내항 하선 허용 개정ㆍ운영

2-2. 국내 크루즈인구 저변 확대

가. 크루즈 승선체험단 운영 80명 100명 150명 200명 250명

나. 크루즈관광 방송 홍보 3회 4회 4회 4회 4회

다. 크루즈 홍보자료 제작ㆍ홍보 제작ㆍ홍보 제작ㆍ홍보 제작ㆍ홍보 제작ㆍ홍보 제작ㆍ홍보

라. 국내외 행사 크루즈 유치 - - 마케팅 마케팅 마케팅

2-3. 한국형 크루즈 모델 개발

가. 新 크루즈 항로 정보 제공 현장조사 정보제공 정보제공 정보제공 정보제공

나. 크루즈 운영모델 개발 - 개발용역 정보제공 정보제공 정보제공

2-4. 항만시설 사용지원 및 인센티브 제공

무상지원
가. 항만시설 무상사용 제공 제공 제공 제공 제공
근거마련

나. 항만시설 사용료 감면 30% 30% 30% 30% 30%

지원방안
다. 다양한 인센티브 제공 제공 제공 제공 제공
마련

- 56 -
3. 크루즈 인프라 조성
세부추진과제 2016 2017 2018 2019 2020

3-1. 크루즈 항만 운영기능 특화

확정 및
기반시설 기반시설 기반시설 기반시설 기능
가. 항만별 운영기능 선정 및 개발
조성계획 조성 조성 조성 재산정
수립

3-2. 크루즈 인프라 확충

강정항 2
가. 전용부두 확충 - 속초항 1 - - 제주외항 1
인천남항 1
강정항
나. 국제여객터미널 확충 - 속초항 인천남항 - -
부산동삼동

다. 선용품 공급센터 건립 - - 1개소 - 1개소

타당성
라. 유류 공급기지 건립 - - - -
검토

3-3. 관광 인프라 확충

가. 항만 배후 복합해양관광단지 조성 - - 인천남항 부산북항 -

제주탐라 동부산 부산오페라


나. 모항 인근 복합관광단지 조성 - -
문화광장 관광단지 하우스

타당성
다. 중소기업 제품 쇼핑몰 조성 - - - 1개소
검토

3-4. 교통 인프라 확충

교통대책
가. 개별 크루즈관광객 교통수단 마련 - - 운영 운영
수립

확충계획
나. 크루즈 여객터미널 주차장 확충 - 확충 확충 확충
수립

- 57 -
Ⅳ. 계획의 집행체계 확립

4. 크루즈산업 및 연관산업 활성화


세부추진과제 2016 2017 2018 2019 2020
4-1. 전문인력 양성으로 청년 일자리 창출

가. 크루즈 선박 운영 전문인력 양성 200명 300명 400명 500명 500명

문체부
나. 크루즈 관광 관련 전문인력 양성 양성 양성 양성 양성
업무협의
양성방안
다. 해양 체험 전문인력 양성 - - 양성 양성
마련

4-2. 해양ㆍ농수산ㆍ조선ㆍ교육산업 연계 활성화 추진


관계기관
가. 기항지 해양관광 상품 개발ㆍ지원 - 운영 운영 운영
업무협의
외국선사 외국선사 외국선사 외국선사
외국선사
나. 국산 식자재 크루즈 공급 마케팅 마케팅 마케팅 마케팅
업무협의
ㆍ공급 ㆍ공급 ㆍ공급 ㆍ공급
크루즈선
다. 크루즈 건조 및 수리기반 구축 - - 설계 R&D 계속 계속
추진
운영방안
라. 크루즈 체험학교 운영 - 운영 운영 운영
교육부협의

4-3. 크루즈 항만용역 공급업 확충

가. 크루즈 선용품 공급회사 확대 - - 1개소 1개소 1개소

실태파악,
장비 및
나. 항만 서비스업 확충 관련기관 운영 운영 운영
시설 확충
업무협의

4-4. 크루즈산업 지원체계 구축


홍보부스 홍보부스 홍보부스 홍보부스 홍보부스
가. 산업박람회 개최
30개이상 40개이상 50개이상 70개이상 100개이상
관계기관 협의체 제안
나. 정부 및 민간협의체 운영 운영 운영 운영
의견수렴 및 구성
협회구성
다. 한국크루즈산업협회 발족 - 발족 운영 운영
준비
지정 및
라. 상해 크루즈정보센터 운영 운영 운영 운영 운영
운영
통계청
마. 크루즈산업 통계 구축 발표 발표 발표 발표
협의
바. 지역별 크루즈산업 육성
운영 운영 운영 운영 운영
시행계획 수립

- 58 -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