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41

리서치본부

2021년 8월
2020년- 주식시장
KEXIM 전망과 투자전략
NHIS Research Week
(2021년 8월 18일~26일)

Green Energy

Clean Mobility로의 전환

Analyst: 조수홍
Tel 02)768-7604
E-mail soohong.cho@nhqv.com
Clean Mobility로의 전환 자동차

적자생존: 차별화와 지속 가능성의 갈림길

133
Clean Mobility로의 전환 자동차

글로벌 자동차 판매(메이커/동력원)

 2020년 글로벌 전기차(EV/PHEV) 판매는 약 315만대, 자동차시장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약 4.1%


 2021년 상반기 전기차(EV/PHEV) 판매는 약 262만대, 자동차 시장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6.3%

글로벌 판매 TOP 10 2020/2019 (단위: 백만대) 글로벌 전기차판매 TOP 10 2020/2019 (단위: 대)

Rank 2020 2019 Rank 2020 2019

1 Toyota 9.53 Volkswagen 10.97 1 Tesla 486,169 Tesla 376,862

2 Volkswagen 9.31 Toyota 10.74 2 Volkswagen 163,843 BYD 197,627


Renault-Nissan- Renault-Nissan- 3 Shanghai GM Wuling 176,030 BMW 140,719
3 7.83 10.06
Mitsubishi Mitsubishi
4 General Motors 6.83 Stellantis 7.91 4 Mercedes 146,132 Hyundai 64,632

5 Hyundai 6.36 General Motors 7.72 5 BYD 169,335 Renault 58,230

6 Stellantis 6.21 Hyundai 7.2 6 Renault 133,515 Shanghai GM Wuling 56,071

7 Honda 4.41 Ford 5.39 7 BMW 166,800 Volvo 45,353

8 Ford 4.19 Honda 5.17 8 Volvo 102,405 Volkswagen 44,663

9 Daimler 2.53 Daimler 3.34 9 Audi 96,117 Mercedes 33,790

10 Suzuki 2.45 Suzuki 3.01 10 Hyundai 97,632 Audi 28,733

자료: NH투자증권 리서치본부 자료:SNE Research, NH투자증권 리서치본부

134
Clean Mobility로의 전환 자동차

Tesla – 자동차산업 패러다임 변화를 주도

 테슬라는 ‘CASE(Connected/Autonomous/Shared & Services/Electric)’로 대변되는 자동차 산업 패러다임 변화를 주도하고


있으며, 전기차 산업 내 차별적인 경쟁력 보유
 테슬라 시가총액은 주요 글로벌 자동차 메이커의 시가총액을 이미 넘어섰음
 테슬라의 중장기 성장세 지속 전망. 모델라인업(Model Y, 사이버트럭 등), 글로벌 생산능력(중국증산 및 유럽 신공장) 확대
 2021년 2분기 매출액과 영업이익은 각각 119.6억달러(+98.1% y-y), 13.1억달러(+301.2% y-y, 영업이익률 11.0%)로 사상 최
대 수준 기록

테슬라 시가총액 추이 주요 완성차 기업 시가총액 순위

(십억원) (십억달러)
900 800
692
800
700 600
600
500 400
291
400
200 154
300 96 80 63 60 42 30 23
200
0
100

VW

BMW
GM
테슬라

토요타

다임러

현대차

기아차
혼다

닛산
0
'16.08 '17.08 '18.08 '19.08 '20.08 '21.08
자료: Bloomberg, NH투자증권 리서치본부 주 : 8월 10일 종가 , 달러 기준
자료: Bloomberg, NH투자증권 리서치본부

135
Clean Mobility로의 전환 자동차

글로벌 자동차 수요, 2021년 두 자릿수 성장세 전환 예상

 중국 시장에서의 회복세가 빠르게 나타나고 있으며, 미국/서유럽 등 주요 지역에서의 수요회복 추세 진행 중


 반도체 수급이슈 및 델타변이 확산 등 코로나19 관련 불확실성 존재하지만, 생산 정상화/ 글로벌 이연수요 표출 등으로 인해 글로벌
자동차 수요회복 추세 지속될 전망

글로벌 월별 자동차 수요 성장률 지역별 자동차 수요 성장률(6월 누적 기준)

('000) Sales (LHS) y-y (RHS) (%) (%) 6월 21 YTD


10,000 100 80
70.9
80
8,000
60 60

6,000 40 44.8
37.4
20 40 32.4 32.8
4,000 28.4 27.2 28.7 26.4
0 23.1
-20 20 17.1
13.9
2,000 10.1
-40 5.6
0 -60 0
'20,1
'08,1
'09,1
'10,1
'11,1
'12,1
'13,1
'14,1
'15,1
'16,1
'17,1
'18,1
'19,1

'21,1

글로벌 미국 서유럽 중국 러시아 브라질 인도

자료: J.D.Power, NH투자증권 리서치본부 자료: J.D.Power, Autodata, CPCA, AEBRussia, AnFavea, CEIC, NH투자증권 리서치본부

136
Clean Mobility로의 전환 자동차

2021년 자동차 수요 전망 - 글로벌 이연수요 본격화

 2021년 글로벌 자동차 수요는 약 8,530만대(+10.1% y-y)로 2020년 7,678만대(-15.0% y-y) 대비 큰 폭 회복 예상


 코로나19 재확산 가능성 등 변수가 존재하지만, 2020년 기저효과 및 생산 정상화, 글로벌 이연수요 표출 등을 고려할 때 수요회복
기조가 지속될 것으로 판단됨. 2023년 9,500만대까지 회복 가능할 것으로 예상됨
 한편, 코로나19 이후 글로벌 시장에서 전동화 방향성이 더 분명해지고 있음. 또한, 글로벌 자동차 메이커의 전기차전용플랫폼 도입
본격화 등으로 인해 전동화 속도는 더욱 빨라질 전망

지역별 글로벌 자동차 수요 성장률 전망 글로벌 자동차 판매 추이 및 전망

(%) '20 '21E (천대) 판매량(좌) 성장률(우) (%)


30 120,000 15
25.0
21.1
100,000 10
20 16.6
10.1 10.1 12.1 5
10 6.3 5.7 80,000
0
0 60,000
-5
-3.0 40,000
-10 -6.8 -10
-15.0 -14.7 -13.0 20,000
-20 -15

-30 -24.2 -25.9 -26.2 0 -20

'21E
'11

'16

'22F
'23F
'08
'09
'10

'12
'13
'14
'15

'17
'18
'19
'20
글로벌 미국 유럽 중국 내수 러시아 인도 브라질

자료: J.D.Power, Autodata, ACEA, CPCA, AEBRussia, AnFavea, NH투자증권 리서치본부 자료: J.D.Power, NH투자증권 리서치본부

137
Clean Mobility로의 전환 자동차

코로나19 이후 더 분명해진 전동화 방향성

 코로나 19 이후 전동화 방향성(정책이나 규제 & 자동차산업 패러다임 변화)이 더 분명해 진 것으로 판단


 ‘CASE’(Connected/Autonomous/Shared&services/Electric)로 대변되는 자동차 산업 패러다임 변화에 따라 완성차 메이커들
은 ‘제조’에서 ‘모빌리티서비스’로의 사업구조 전환을 모색하고 있음
 전기동력원으로의 전환은 단순한 환경규제에 대한 대응수단만은 아님. 사업구조 전환을 위한 기반기술이자 시작점
 전동화를 통한 선도자(First Mover) 브랜드 이미지 구축 등은 향후 장기 지속 성장에 필수적. 완성차 메이커들은 전기차전용플랫폼
도입을 통해 시장 지배력 확대에 적극적으로 나설 것으로 판단됨

CASE : 자동차산업 패러다임 변화 Clean mobility로의 전환

자료: 언론, NH투자증권 리서치본부 자료: 현대차, NH투자증권 리서치본부

138
Clean Mobility로의 전환 자동차

모빌리티 서비스로의 사업구조 전환

 현재 차량공유 사업의 1마일당 순수익은 적자. 운전자가 지불하는 비용의 30%가 순수익인데, 운전자/승객에 대한 각종 인센티브가
순수익을 초과하기 때문
 현재의 사업구조가 AV(자율주행) 기반의 로보택시로 전환되면, 흑자전환 가능할 것으로 전망. 승객 입장에서는 Cost가 감소, 사업
자 입장에서는 기존대비 서비스 매출액이 증가하고, 대부분의 비용은 차량 유지비용으로 전환

현재 차량공유 사업의 수익구조 로보택시 기반 – 1마일당 손익 흑자전환 가능

($) ($)
Cost to
Passenger 2 Mostly depreciation/
3 Cost to
$2.50 Passenger operations expense
$1.5 <$1.5
2 $1.75 Mostly driver/
to passenger
Driver incentives
1 1

$0.75 $1.0
0
>$0
- $0.25
-1 0
TNC Revenue TNC Cost TNC P&L AV Revenue AV Cost AV P&L

자료: GM, NH투자증권 리서치본부 자료: GM, NH투자증권 리서치본부

139
Clean Mobility로의 전환 자동차

전기 동력원으로의 전환 가속화 전망

 순수 내연 기관차 수요 감소는 2018년부터 시작된 변화


 2020년 코로나19 영향에 따른 글로벌 자동차 수요 감소에도 불구하고 유럽을 중심으로 한 글로벌 전기차(EV/PHEV) 시장 성장세는
지속되고 있음
 강화되는 유럽 규제환경이 완성차 전동화를 촉진. 유럽연합은 2050년 탄소중립 목표를 담은 유럽 그린 딜에 합의. 탄소중립 경제로
의 전환을 새로운 성장동력으로 삼고 기후변화 대응의 글로벌 리더로서 국제 경쟁력을 확보하고자 함

글로벌 내연기관차 vs 전기차(EV/PHEV) 시장 성장률 글로벌 전기차(EV/PHEV) 수요 성장률

(%) (%) 6월 2021YTD


2017
200 300
167.7 2018 256.5
2019 250
160
193.6
2020 200 171.4
120 160.0 169.2 150.4 148.2 156.1
2021YTD 140.7 128.6 129.6 150.4
150 122.0 121.9
80 63.8 95.6
100
35.7 45.2
40 23.1 22.1 18.8 50
2.6 7.4 2.4
0 0
-1.2-4.6 -2.0-4.8 EV PHEV EV PHEV EV PHEV EV PHEV
-40 -15.0 -16.3
전체 전기차(EV/PHEV) 내연기관 글로벌 중국 유럽 미국

자료: SNER Research, NH투자증권 리서치본부 자료: SNER Research, NH투자증권 리서치본부

140
Clean Mobility로의 전환 자동차

중국 전기차 시장 – 글로벌 최대 규모

 2021년 상반기 중국 전기차(EV/PHEV) 판매는 116만대, 글로벌 전기차 시장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44.6%
 중국시장은 최대 전기차 시장( Vs 유럽 40.7%. Vs 미국 10.5%)
 7월 기준 중국 자동차 시장에서 전기차가 차지하는 비중은 14.8%(Vs 21년 상반기 글로벌 전기차 비중은 6.3%)

중국 전기차 Vs 내연기관차 성장률 중국 전기차 판매 및 비중

(%) 7월 2021YTD (대) 판매량(좌) 비중(우) (%)


250 250,000 16
208.0
200 14
169.2 200,000
12
150
150,000 10
100 8
100,000 6
50 25.6 17.2
4
0
50,000
2
-6.2 -15.8
-50 0 0
전체 전기차(EV/PHEV) 내연기관 '16.1 '16.8 '17.3 '17.10 '18.5 '18.12 '19.7 '20.2 '20.9 '21.4

자료: CPCA, NH투자증권 리서치본부 자료: CPCA, NH투자증권 리서치본부

141
Clean Mobility로의 전환 자동차

중국 자동차 시장 - 전기차 시장 확대

 7월 Tesla 중국도매판매(내수+ 수출)는 32,968대로 전월(33,155대)과 유사한 수준


 내수판매 감소는 ModelY 스탠다드 버전 출시(시작가 약 27.6만 위안으로 롱레인지 버전대비 약 20% 저렴) 에 따른 대기수요(8월
부터 출고 본격화) 영향인 것으로 파악됨
 한편, 중국 신생 전기차기업 3사(니오, 샤오펑, 리오토)의 7월 판매는 22,361대(+188.7% y-y)를 기록했으며 중국 전기차 시장 점
유율은 11.1%(Vs 2020년 7월 10.3%, Vs 2021년 6월 9.7%) 로 확대

Tesla 중국 내 모델별 판매량/MS 추이 중국 전기차 스타트업 3사 판매량/MS 추이

(대) Model 3 Model Y M/S(%) (대) Nio xPENG Li Auto M/S(%) (%)
30,000 31.3 35 10,000 14
12.0
9,000 11.3 11.3 11.1
25,000 30 10.6 10.5 12
8,000 10.4 10.3
9.7 9.4 9.3 9.7
25 7,000 8.8 9.1 10
20,000 7.8 8.1 8.3
18.6 18.1 19.019.4 6,000
16.3 20 6.6975264 8
15,000 5,000
13.314.3 12.711.6 5.5
12.112.3 15 4,000 6
10.39.1 10.0
10,000 3,000
6.5 7.4 10 4
5.0 2,000
5,000 5 2
1,000 6.7
0 0 0 0
'20.1 '20.3 '20.5 '20.7 '20.9 '20.11 '21.1 '21.3 '21.5 '21.7 '20.1 '20.3 '20.5 '20.7 '20.9 '20.11 '21.1 '21.3 '21.5 '21.7
자료: CPCA, NH투자증권 리서치본부 자료: CPCA, NH투자증권 리서치본부

142
Clean Mobility로의 전환 자동차

중국 자동차 시장 메이커별 점유율

(%) HMG HMC Kia VW GM Ford Toyota Honda Nissan BYD Geely Changan Great Wall Local
2012년 10.0 6.4 3.6 19.7 13.4 3.6 5.8 4.9 6.1 3.4 3.1 2.4 3.4 16.4
2013년 9.9 6.5 3.5 19.5 13.5 4.4 5.3 4.8 6.2 3.1 2.5 3.3 3.7 15.7
2014년 9.8 6.2 3.6 19.4 14.3 4.5 5.3 4.3 5.4 2.3 2.2 3.9 3.3 17.6
2015년 8.2 5.2 2.9 17.2 14.4 4.4 5.2 5.1 5.4 2.2 2.5 4.7 3.8 20.9
2016년 7.7 4.9 2.8 16.3 13.9 4.1 4.7 5.4 5.0 2.0 3.3 4.9 4.1 23.5
2017년 5.1 3.4 1.7 16.8 14.5 3.4 4.8 6.1 5.4 1.6 5.1 4.4 3.9 22.9
2018년 4.9 3.3 1.6 17.9 13.7 1.9 5.8 6.4 5.9 2.1 6.6 3.7 3.9 24.1
2019년 4.8 3.4 1.4 19.5 11.9 1.1 6.7 7.5 6.3 2.2 6.3 3.7 4.2 23.4
2020년 3.9 2.7 1.2 19.7 11.5 1.3 8.2 8.1 6.3 2.2 6.6 5.0 4.1 24.1
2021YTD 2.9 2.0 0.8 17.5 11.8 1.3 8.4 7.9 5.7 2.4 5.8 6.2 4.7 24.9
2020-07 3.5 2.3 1.2 19.6 11.1 1.3 8.8 8.5 6.2 1.9 6.3 5.1 3.3 22.0
2020-08 3.3 2.1 1.1 19.8 11.5 1.3 8.3 8.7 6.2 2.1 6.3 4.9 3.7 22.9
2020-09 3.3 2.2 1.1 19.4 11.4 1.4 8.2 8.7 6.2 2.2 6.2 5.2 4.7 24.0
2020-10 3.6 2.4 1.2 18.1 11.8 1.3 7.5 9.1 6.2 2.3 6.5 5.4 5.4 26.0
2020-11 3.0 2.2 0.9 17.9 11.7 1.3 7.4 8.2 6.5 2.6 6.7 5.3 5.6 27.1
2020-12 3.7 2.5 1.2 17.6 12.7 1.4 6.9 9.1 6.3 2.4 6.2 3.8 5.3 24.9
2021-01 3.3 2.5 0.8 18.4 11.8 1.4 7.5 7.3 5.7 1.9 6.8 6.8 5.1 26.7
2021-02 3.4 2.5 0.9 18.3 12.3 1.2 8.5 6.9 5.4 1.7 5.9 8.3 5.8 26.6
2021-03 2.3 1.6 0.7 18.6 11.6 1.4 8.0 8.6 5.8 2.3 5.1 5.9 4.8 23.9
2021-04 2.7 1.9 0.8 16.4 11.6 1.3 8.4 9.3 6.3 2.7 5.7 6.1 4.0 24.5
2021-05 2.8 1.9 0.9 17.6 12.1 1.2 9.0 7.9 5.4 2.7 5.3 5.4 3.7 23.0
2021-06 2.7 1.9 0.8 15.8 11.5 1.3 9.0 7.5 5.7 3.1 5.9 5.0 4.7 24.6
2021-07 3.0 2.2 0.8 14.8 11.3 1.5 9.6 7.2 5.3 3.9 6.1 5.8 4.5 27.1

자료:CPCA, NH투자증권 리서치본부

143
Clean Mobility로의 전환 자동차

현대차그룹, 미국 시장에서의 구조적인 개선

('000) 현대차 판매량(좌) 기아차 판매량(좌) 현대차그룹 M/S(우) (%)

200 12
11.1
180 11.0 11

10.0
160 10

140 9

120 8

100 7

80 6

60 5

40 4

20 3

0 2
'11.01 '12.01 '13.01 '14.01 '15.01 '16.01 '17.01 '18.01 '19.01 '20.01 '21.01

자료:Autonews, NH투자증권 리서치본부

144
Clean Mobility로의 전환 자동차

글로벌 완성차 메이커의 전기차전용플랫폼 도입 본격화

 2020년부터 주요 완성차 업체들의 3세대 전기차 출시 본격화


 제품력/경쟁력을 갖춘 글로벌 메이커의 전기차 공급 본격화로 글로벌 전기차 시장은 장기 가속성장 구간에 진입할 것으로 예상됨
 향후 사업구조 전환에 성공하는 기업과 그렇지 못한 기업의 주가 차별화 예상

2020년부터 전기차 전용 플랫폼 도입 본격화로 전기차 시장 가속성장 구간 진입

자료: 언론, NH투자증권 리서치본부

145
Clean Mobility로의 전환 자동차

글로벌 주요 OEM Maker의 친환경차 전략 ① 포드

 과거의 저력: 포드는 사업구조 전환이 양호하게 진행 중


 주력모델 신차출시(F 150)에 SUV로의 제품구조 변화, 전동화 사업 추진 등이 맞물리면서 금융시장에서 중장기 성장 기대감 반영

포드 주가 추이 포드 신차 스케줄

($)
18
16
14
12
10
8
6
4
2
0
'14.01 '15.01 '16.01 '17.01 '18.01 '19.01 '20.01 '21.01

자료: Bloomberg, NH투자증권 리서치본부 자료: Ford, NH투자증권 리서치본부

146
Clean Mobility로의 전환 자동차

글로벌 주요 OEM Maker의 친환경차 전략 ① 포드

 최근 반도체 수급 이슈로 북미 8개 공장에서 감산 진행했음


 다만, 적극적인 전동화 투자 계획 발표. 2025년까지 투자금액 300억달러
 상반기 F-150 전기차버전인 F-150 Lightning을 공개했는데, 약 7만대 사전계약 확보(2분기 실적발표 시점에서의 사전계약 대수
는 12만대로 확대)함
 SK이노베이션과의 배터리 동맹 및 19만대 이상 대기수요 확보한 Bronco SUV 출시

F-150 Lightning 공개 (사전계약 약 7만대 확보) 포드 전동화 투자 계획 및 목표

자료: Ford, NH투자증권 리서치본부 자료:Ford, NH투자증권 리서치본부

147
Clean Mobility로의 전환 자동차

글로벌 주요 OEM Maker의 친환경차 전략 ② 폭스바겐

 폭스바겐은 향후 10년간 전기차 모델을 70종으로 확대하고 2,200만대의 전기차를 판매하겠다고 발표(Vs 기존 전략 2025년까지 전
기차 모델 15종, 생산량 1,500만대)
 폭스바겐은 지난 3월 첫번째 Power Day를 통해 2030년까지 배터리 및 충전 플랫폼 기술 로드맵 전략을 발표
 2023년부터 전세계적으로 확장될 새로운 통합 셀을 도입할 예정
 폭스바겐은 이를 통해 자동차 전동화 트렌드에 부합하고 이산화탄소 감축, WLTP 등 규제 환경에 대응해나갈 계획

폭스바겐 로드맵 E: 2028년까지 70종의 신규 전기차 모델 출시 폭스바겐 MEB(Modular Electric drive Matrix) 플랫폼

자료: 폭스바겐, NH투자증권 리서치본부 자료: 폭스바겐, NH투자증권 리서치본부

148
Clean Mobility로의 전환 자동차

글로벌 주요 OEM Maker의 친환경차 전략 ② 폭스바겐

 폭스바겐은 2020년 BEV 42만대 기록, 2021년엔 100만대 목표


 2021년 1분기 ID.4, 2분기 Enyaq iV, e-tron GR, Taycan Cross Turismo, Q4 e-tron, 3분기 ID.5, Born 론칭 예정
 지역별 BEV 판매 비중 목표는 2021년에서 2031년 미국 3% 20%, 유럽 9% 70%, 중국 5% 40% 이상으로 제시
 폭스바겐그룹 전체 판매대수 대비 BEV 비중으로는 2021년 6%, 2025년 20%, 2030~2031년 50% 제시.

폭스바겐 그룹 2021년 신차 스케줄 및 출시 지역 폭스바겐 BEV 판매목표

자료: 폭스바겐, NH투자증권 리서치본부 자료: 폭스바겐, NH투자증권 리서치본부

149
Clean Mobility로의 전환 자동차

글로벌 주요 OEM Maker의 친환경차 전략 ③ GM

 GM은 전기차 플랫폼을 이용하여 2023년까지 20차종 이상의 신형 EV를 출시한다는 계획이며, 또한 향후 10년 이내에 모든 자사 브
랜드에 EV 투입 목표. 2021년까지 전기자동차(EV) 사업을 흑자로 전환시키겠다고 선언
 GM은 또한 혼다와 공동으로 새로운 리튬이온전지를 개발 중이며, 또한, 차세대 배터리 시스템(Ultium battery system. 한번 충전
으로 최대 400마일 이상 주행 가능)을 장착한 3세대 전기차 플랫폼을 통한 중장기 EV전략 계획대로 진행. 이를 통한 배터리 코스트
감소(Kwh당 100달러 이하, 현재 145달러 수준) 또한, Honda와의 제휴(GM EV Platform 기반의 혼다 EV 2차종 공동개발)를 통한
규모의 경제 확보 계획

전기차 전용 플랫폼(BEV3)을 통한 효율성과 상품성 제고 GM의 차세대 배터리 시스템(Ultium)

자료: GM, NH투자증권 리서치본부 자료: GM, NH투자증권 리서치본부

150
Clean Mobility로의 전환 자동차

글로벌 주요 OEM Maker의 친환경차 전략 ③ GM

 GM은 올해 반도체수급이슈에 따른 일부 감산은 불가피하지만 고마진 픽업트럭과 SUV 그리고 EV를 위주의 생산계획을 펼칠 것을
발표했으며, 감산으로 인한 중장기 전동화 계획에 차질은 없을 것이라고 발표
 EV 가속화 전략을 통해 세가지 목표를 제시; 1) 2025년까지 EV 100만대 판매 2)북미지역 전기차 판매 1위 달성 3)전기차 수익성을
내연기관 이상 수준으로 개선. 이를 위해, 2025년까지 전기차와 자율주행 분야 투자금액을 270억달러(Vs.기존 200억 달러)로 상향

GM의 EV 가속화 전략 – 2025년까지 EV 100만대 판매 GM의 전동화 목표 – 2025년까지 EV 신차 30개 모델 출시

자료: GM, NH투자증권 리서치본부 자료: GM, NH투자증권 리서치본부

151
Clean Mobility로의 전환 자동차

글로벌 주요 OEM Maker의 친환경차 전략 ④ 도요타

 도요타는 최근 친환경차 판매 목표를 2025년 전체 판매대수의 50%수준인 550만대(PHEV, HEV - 450만대, BEV,FCEV – 100만
대)로 제시. 이는 다소 보수적이었던 기존 판매목표인 2030년 550만대에서 5년 단축된 목표
 2020년부터 최소 10가지 BEV 모델을 출시할 예정인데 이 중 6개는 자사의 TNGA(Toyota New Global Architecture) 플랫폼의 전
기차 버전 (e-TNGA)을 채택해 전 세계에서 판매

도요타 친환경차 전략: 2025년까지 친환경차 550만대 판매 2020년부터 TNGA 플랫폼의 전기차 버전(e-TNGA) 채택

자료: 도요타, NH투자증권 리서치본부 전망 자료: 도요타, NH투자증권 리서치본부 전망

152
Clean Mobility로의 전환 자동차

글로벌 주요 OEM Maker의 친환경차 전략 ④ 도요타

 Toyota는 FY2022의 연결기준 순이익 전망치를 2조3,000억엔(Vs. FY2021 1조9,000억엔)으로 제시. FY2022 글로벌 판매량 가이
던스 1,055만대(Vs. FY2021 992만대)로 상향
 Toyota는 2030년까지 전기차(HEV 포함) 800만대 판매 목표(BEV와 FCEV는 200만대) 제시. 지역별로 2030년 전동화 매출 비중은
내수(일본)95%, 북미 70%, 유럽 100%로 제시. 중국의 경우 2035년까지 100% 목표

2030년까지 전동화 매출비중 지역별 목표 – 글로벌 800만대 도요타 FY2022 판매량 가이던스

FY 2022
(단위: 천대) FY 2020 FY 2021
가이던스
글로벌 판매량(리테
10,457 9,9920 10,550
일)

전동화 판매량 1,919 2,155 2,800

HEV 1,858 2,087 2,670

PHEV 58 59 100

BEV - 6 20

FCEV 2 3 10

자료: 도요타, NH투자증권 리서치본부 전망 자료: 도요타, NH투자증권 리서치본부 전망

153
Clean Mobility로의 전환 자동차

글로벌 주요 OEM Maker의 친환경차 전략 ④ 도요타

 지난 해 12월 토요타는 2세대 미라이(세단)을 출시


 전작 대비 수소탱크 용량 확대를 통해 주행거리를 402마일로 늘리고, 전비를 개선함
 모터 출력을 개선시키고, 차체(전장/전폭/축거)를 키우면서 전고는 낮추는 등 공간 활용도를 높이는 동시에 주행성능 개선에 주력한
것으로 보임
 도요타는 2세대 미라이의 생산능력을 연간 3만대로 늘릴 계획

도요타 미라이 2세대 현대 NEXO Vs 도요타 Mirai 제원 비교

현대 토요타 토요타
Nexo Mirai(2021) Mirai(Old)
가격(Base) 58,935 50,495 59,545
1회 충전후 주행거리 380 402 312
수소탱크 크기(kg) 6.3 5.6 5.0
주행거리(mile)/Kg 60.0 71.8 62.4
출력(hp/kW) 161/120kW 182/128kW 154/120kW
MPGe(City/Highway/Combined) 65/58/61 76/71/74 67/67/67
Length(in.) 183.9 195.8 192.5
Width(in.) 73.2 74.2 71.5
Height(in.) 64.2 57.9 60.5
Wheelbase(in.) 109.8 114.9 109.5
Curb Weight 3,999 4,255 4,075

자료: 도요타, NH투자증권 리서치본부 전망 자료: 도요타, NH투자증권 리서치본부 전망

154
Clean Mobility로의 전환 자동차

현대차그룹 - 2021년 전기차 전용플랫폼(E-GMP)도입

 2021년 전기차 전용플랫폼인 E-GMP(Electric Modular Platform) 적용한 신형 전기차 모델 2종(현대차 아이오닉 5, 기아차 EV 6)
출시
 2025년까지 현대차그룹 전기차(EV/PHEV) 100만대 판매 계획
 현대차는 2025년까지 전략체계 전환 목적으로 사업기반을 확보하기 위해 미래 기술에 약 20조원을 투자할 계획. 이 중 약 9.7조원
이 전동화에 투입.
 기아차의 ‘Plan S’ 전략. 2021년 EV6 모델 론칭을 시작으로 2025년까지 총 11종의 전기차 풀라인업 확보 계획

현대차그룹 글로벌 전기차 판매 현황과 전망 현대차 아이오닉 5

('000)
1,200
1,000
1,000

800

600

400
224
200 145
98
17 46
0
'16 '17 '18 '19 '20 '25T

주: 25T는 현대차그룹의 목표치 자료: 현대차그룹, NH투자증권 리서치본부


자료: 현대차그룹, NH투자증권 리서치본부

155
Clean Mobility로의 전환 자동차

수소전기차(FCEV):전기차(BEV)와 함께 수송분야 탈 탄소화 주도

 수소는 에너지패러다임 변화를 촉진할 주요 기술로서 화석연료를 대체할 수 있는 차세대 에너지원


 FCEV와 전기차를 비교해보면 유지비용, 주행거리, 충전 편의성 등에서 장점과 단점이 명확. 각각의 경쟁력 있는 분야에서 상호 보
완재로서 Clean mobility의 주요 시장을 형성할 것으로 예상
 현재 전기차는 본격적인 성장단계에 진입. FCEV 개발은 시작단계이며, 2025년 전후 본격적인 시장 형성 예상

Clean mobility로의 전환 Cost Parity: FCEV Vs 전기차

자료: 현대차, NH투자증권 리서치본부 자료: 현대차, NH투자증권 리서치본부

156
Clean Mobility로의 전환 자동차

수소경제
수소경제- 화석연료를 대신해 수소를 주요 에너지원으로 사용하는 경제시스템

자료: 현대차, NH투자증권 리서치본부

157
Clean Mobility로의 전환 자동차

수소 기반의 에너지 패러다임 변화

 수소는 에너지패러다임 변화를 촉진할 주요 기술로서 화석연료를 대체할 수 있는 차세대 에너지원


 에너지 변환과 대용량 저장, 장거리 운송 등에 효과적

수소 에너지의 유용성 – 에너지변환, 저장, 운송

자료: 현대차, NH투자증권 리서치본부

158
Clean Mobility로의 전환 자동차

Cost Parity – FCEV Vs EV

 FCEV: 수소와 산소가 연료전지 스택에서 촉매를 통해 반응하여 생성되는 전기로 모터를 구동
 전기발생 이후의 구동원리는 전기차와 동일. 수소차 전용부품은 연료전지, 수소저장탱크, 산소/수소 공급장치
 수소 전기차 : 긴 주행거리 및 짧은 충전시간(승용 ~5분, 상용~20분)으로 상용 차종(버스/트럭) 에서의 우위 경쟁력
 Cost parity: 승용(300km~700km), 상용(150km~200km)

승용 Cost parity 상용 Cost Parity

주: 연료전지 가격 : 연료전지시스템 + 고전압 배터리 + 수소저장시스템, 전기차 가격 전기차 주: 연료전지 가격 : 연료전지시스템 + 고전압 배터리 + 수소저장시스템, 전기차 가격 전기차
배터리 시스템 배터리 시스템
자료: 현대차, NH투자증권 리서치본부 자료: 현대차, NH투자증권 리서치본부

159
Clean Mobility로의 전환 자동차

FCEV의 장점: 무게와 공간 측면에서의 효용성

 전기차 : 낮은 유지비용(부품수 감소, 전기료) 이 장점. 짧은 주행거리와 긴 충전시간이 단점


 배터리 용량이 확대될 수록 공차중량 증가에 따른 효율 감소가 불가피. 상온과 냉온에서의 주행거리 변화(효율 ~30% 감소)가 큼
 수소차: 긴 주행거리 및 짧은 충전시간이 장점. 다만, 인프라 구축이 전제되어야 가능한 장점. 상용에서 승용까지 적용범위가 확대
되어야 원가경쟁력 확보 가능
 경쟁우위의 변수: 2차전지 원가/성능 개선 Vs 수소 인프라 구축(규모의 경제)

코나 동력원별 중량비교 40톤 세미트럭 기준 파워트레인 무게 비교

(kg) (ton)

1,800 1,685 12
1,540 10
1,600 1,450 10
1,370
1,400
8 7.5
1,200 7
1,000
6
800
600 4
400
2
200
0 0
ICE(2WD) ICE(4WD) EV(39.2kWh) EV(64kWh) 디젤 BEV FCEV

자료: NH투자증권 리서치본부 자료: NH투자증권 리서치본부

160
Clean Mobility로의 전환 자동차

다임러와 볼보의 합작사 설립

 다임러트럭은 볼보그룹과 상용차용 연료전지시스템의 개발과 생산, 판매를 담당할 합작회사 ‘셀센트릭(Cellcentric)’을 설립
 다임러트럭은 자사의 모든 연료전지시스템 관련 기술과 인력, 연구 자료를 합작회사와 공유
 볼보그룹은 6억유로를 출자해 다임러트럭의 연료전지시스템 개발 전담법인인 다임러트럭 퓨얼셀의 지분 50%를 인수

다임러트럭-볼보그룹의 상용차용 연료전지 시스템 합작회사 ‘셀센트릭'

자료: 다임러, NH투자증권 리서치본부

161
Clean Mobility로의 전환 자동차

친환경차의 구분

하이브리드차 플러그인 하이브리드차 전기차 수소연료전지차


구분
(HEV) (PHEV) (EV) (FCEV)

구동원 엔진+모터 모터+엔진 모터 모터

에너지원 전기, 화석연료 전기, 화석연료(방전시) 전기 수소

구동형태

배터리 용
0.98~1.8kWh 4~16kWh 16~100kWh 1~2kWh

-주행 조건별 엔진과 모터를


-산소와 수소가 반응하여 생
조합한 최적 운행으로 연비 -단거리는 전기로만 주행, 장 -충전된 전기 에너지만으로
성되는 전기를 동력원으로 사
특징 향상 거리는 주행시 엔진 사용 주행

-이산화탄소 배출은 기존 내 -하이브리드+전기차 특성 -무공해(ZEV)차량
-무공해(ZEV) 차량
연기관보다 적음

자료: NH투자증권 리서치 본부

162
Clean Mobility로의 전환 자동차

FCEV : 2030년 전기차 수준의 연료비 달성 가능 전망

 현재 수소전기차 연료비는 HEV와 유사한 수준에서 정책 가격 형성


 2030년 수소공급가격목표 1Kg당 4천원 달성시, 전기차 수준의 연료비 달성 가능할 전망

주요차종 동력원별 연료비 비교: 수소전기차 연료비는 HEV 차량과 유사한 수준

쏘나타 그랜저 투싼 니로 아이오닉5 넥쏘


구분
가솔린 HEV HEV HEV EV FCEV
연비(L/km) 12.9 16.2 15.8 17.1
주행거리(km) 430 609
배터리용량(Kwh) 73
Kwh당 주행거리(km) 5.9
수소탱크용량(kg) 6.3
Kg당 주행거리(km) 96.2
연료비(원/ L) 1,500 1,500 1,500 1,500
전기료(원/kwh) 256
수소가격(원/Kg) 8,800
연료비(100km 주행시) 11,628 9,259 9,494 8,772 4,317 9,147
거리(Km) 100 100 100 100 100 100
1년 연료비(1.5만km 기
1,744,186 1,388,889 1,424,051 1,315,789 647,575 1,372,020
준)
자료: NH투자증권 리서치본부

163
Clean Mobility로의 전환 자동차

FCEV Outlook

 현대차는 수소비젼 2030을 통해 2030년 수소차생산 50만대 목표(22년 4만대, 25년 13만대)를 설정
 국내 수소차 보급목표(누적)는 22년 6.7만대, 30년 85만대, 40년 290만대
 충전소 보급 목표는 22년 310기, 30년 660기, 40년 1,200기. 수소가격은 2030년 현재의 절반수준으로 하락 예상

수소차/수소충전소 국내 목표

‘19 ‘20 ‘22 ‘25 ‘30 ‘40

수소차판매(대) 4,194 5,865 25,000 60,000 160,000

수소차판매(누적) 67,000 850,000 2,900,000

승용차 65,000 810,000 2,750,000

버스 2,000 20,000 40,000

택시 - 10,000 80,000

트럭 - 10,000 30,000

수소충전소(기) 34 45 310 660 1200


승용용 수송수요(만톤/
2.9 10 37.4 101.5
연간)
수소생산(만톤) 13 47 194 526

수소가격(KRW/KG) 8,000원 6,000원 4,000원 3,000원


자료: 산업통산부, NH투자증권 리서치본부

164
Clean Mobility로의 전환 자동차

국내 수소 기업 - 수소 사업 참여 본격화
 대기업 중심의 수소 사업 진출 본격화: 현대차그룹, SK그룹, 한화그룹, 효성그룹, 한국가스공사, 두산그룹, POSCO 등이 본격 참여
 Production: 당진 부생수소 출하센터 착공(21년 초 완공 목표, 10월), 포스코 그린수소 사업모델 발표, 수소 생산 500만톤 체제 구
축(12월), 효성-Linde 세계 최대 액화수소 생산공장 건설 MOU 체결(4월)
 활용 (Mobility): 수소화물차 시범사업 실시(5월), 넥쏘 연료전지 시스템 첫 수출 (9월), 현대차 수소연료전지 브랜드 HTWO 공개
 활용 (발전): 부생수소 활용 연료전지 발전소 최초 준공, 두산퓨얼셀 (7월) / 충전 : 한국가스공사와 한화파워시스템 수소충전시스템
공급 협력(6월)
 해외 기업과 협력 강화: 블룸-SK 연료전지 J/V, PEM 연료전지 기업인 Plug Power 지분 투자, 중국 지리자동차와 수소차 협력

수소융합얼라이언스 추진단(H2KOREA) 회원 구성 POSCO의 수소 사업모델, 2050년까지 수소 매출 30조원

자료: 수소융합얼라이언스추진단 자료: POSCO, 수소융합얼라이언스추진단

165
Clean Mobility로의 전환 자동차

HTWO Vs FCEV 비젼 2030

 현대차그룹은 2020년말 ‘HTWO’라는 브랜드를 론칭. 수소(Hydrogen)와 인류(Humanity)라는 수소연료전지 사업의 두개의 축
 현대차그룹은 투싼 수소전기차를 세계 최초로 양산했고 승용 FCEV인 넥쏘 뿐만 아니라 수소전기트럭(엑시언트)의 수출(중동 및 유
럽) 등의 성과도 거두고 있음
 전세계 수소, 에너지, 물류 기업들과의 전략적 파트너십을 통해 연관 수소사업에서 주도권도 선점해 나갈 계획
 향후 수소연료전지 브랜드 론칭을 계기로 본격적인 사업확장을 통해 2030년까지 70만기(수소차 생산능력 50만대)의 수소연료전지
시스템 판매를 계획. 최근에는 중국(광저우)에 수소연료전지 시스템 공장 건설 계획을 발표

현대차 그룹 수소연료전지 시스템 브랜드 “HTWO” 현대차 그룹: FCEV 비전 2030

(대)
600,000
500,000
500,000

400,000

300,000

200,000
130,000
100,000 40,000
1,049 6,020 6,459
0
'18 '19 '20 '22T '25T '30T

자료: 현대차, NH투자증권 리서치본부 자료: 현대차, NH투자증권 리서치본부

166
Clean Mobility로의 전환 자동차

현대차: H2 솔루션 사업

 수소 생태계 이니셔티브를 확보하기 위하여 연료전지시스템 기술을 고도화하고, 연료전지시스템의 적용 영역을 全 수송수단으로
확장해 나갈 계획

연료전지 시스템 적용 영역 확대

당사 내연기관 대체 타 완성차업체 대상 판매 全 수송부문 엔진대체

승용/상용 특수차/기타 승용/상용 특수차/기타 차량 특수차/기타

타사 타사 타사 대상 타사 타사 대상
연료전지 제공 연료전지 제공

내연기관 내연기관
현대차 내연기관 현대차
현대차 →연료전지 →연료전지
→연료전지

연료전지시스템 적용 영역 확대

자료: 현대차, NH투자증권 리서치본부

167
Clean Mobility로의 전환 자동차

SK그룹 - 핵심 기술 확보를 위한 해외 파트너 확보에 집중

 SK그룹 수소 사업 추진 전략 (CEO 직속 하에 수소 사업 추진단 신설)


1) 그룹 인프라 활용한 수소 대량 생산 체제 구축
2) 수소 생산-유통-공급에 이르는 밸류체인 통합 운영
3) 수소 핵심 기술 확보를 위한 기술 회사 투자 및 파트너십 통한 글로벌 시장 공략
 2023년 SK이노베이션의 부생수소를 이용해 연간 3만톤 규모의 액화 수소 생산설비 구축 목표 (국내 최대 규모)
 2025년부터 SK E&S의 직도입 LNG를 개질한 블루 수소를 연간 25만톤 생산 예정. SK에너지 주유소를 그린에너지 허브로 이용

SK그룹 계열사 수소 관련 사업 현황

기업 수소 관련 사업 개요

- SK인천석유화학을 통해 부생 수소를 SK E&S에 공급할 예정. SK E&S를 중심으로 연간 3만톤 규모의 액화수소 생산
SK이노베이션
설비 건설 예정

- 블룸에너지(미국 상장 연료전지 기업)와 국내에 Joint Venture를 설립하여 SOFC 타입 연료전지를 국내에서 생산 및
SK건설
공급

- 연간 300만톤 이상의 LNG를 직수입하고 있는 국내 최대 민간 LNG 사업자. SK그룹은 SK E&S의 LNG를 활용해
SK E&S
2025년부터 이산화탄소를 제거한 25만톤 규모의 ‘블루 수소’를 생산할 계획

SK인천석유화학 - SK이노베이션의 자회사. SK E&S에 부생수소를 공급해 액화수소 유통 사업 참여

- 자회사 SK어드밴스드를 통해 매년 3만톤의 부생수소를 생산, 판매 중. SK가스의 LPG충전소를 수소충전소로 확장할


SK가스
예정
자료: NH투자증권 리서치본부 정리
SK에너지 - SK에너지의 주유소와 화물 운송 트럭 휴게소 등을 그린에너지 서비스 허브로 활용, 연료전지 발전소 수요를 적극 개발

168
Clean Mobility로의 전환 자동차

한화그룹 - 한화솔루션을 중심으로 태양광 + 수소 연계 사업 확대

 한화솔루션을 중심으로 수소 사업 진출 가속화


 한화솔루션은 300억원을 투자해 평창에 연간 290톤 생산규모의 그린수소 수전해 시설과 수소 충전소 구축. 2022년 하반기부터 상업 운전
을 목표로, 향후 15년간 운영될 예정.
 수소 생산과 저장, 유통에 2,000억원 투자 예정. 첨단소재 사업부문을 통해 수소 충전소, 트럭용 수소 탱크에 사용되는 소재를 공급 목표
 한화에너지는 2018년 8월, 국내 충남 서산 대산산업단지에도 2,500억원을 투자해 50MW급 수소연료전지 발전 사업 진출
 한화에너지와 한화종합화학은 각각 5,000만달러씩 총 1억달러를 미국 니콜라에 투자

한화그룹 계열사 수소 관련 사업 현황

기업 수소 관련 사업 개요

- 1.2조원 유상증자 실시. 향후 5년간 2.8조원 태양광(1조원), 그린수소(2,000억원) 사업에 투자


- 알칼리 수전해 통해 수소 생산기술 개발 중. 2023년 상용화 목표.
한화솔루션 - 고압탱크기업인 태광후지킨, 스페이스X에 고압탱크 공급한 시마론(Cimarron) 인수. 수소 저장에 사용되는 Type 4
기술 개발 중
- 20년 12월, 강원도에 풍력발전 기반 수전해(연간 290톤), 수소충전소 구축. 2022년 하반기 상업운전 목표

- 2020년 7월, 충남 서산 대산산업단지에 2,500억원을 투자해 50MW급 수소연료전지발전소를 준공


- 두산과 대산그린에너지 합작사 설립, 두산퓨얼셀이 연료전지 공급, 한화에너지가 발전소 운영 담당, 한국동서발전이
한화에너지
REC 매입
- 수소는 한화토탈로부터 공급. 발전소는 한화건설이 설치 및 시공

- 수소충전소 사업 진출. 산업용 압축기 기술력 기반으로 수소충전시스템 공급 목표


한화파워시스템 - 2020년 6월, 한국가스공사에 수소충전 시스템 공급업체로 선정. 압축기, 고압용기, 냉각장치 등의 패키지화된 시스
자료: NH투자증권 리서치본부 템 개발 계획

169
Clean Mobility로의 전환 자동차

효성그룹 - 좋은 파트너를 찾았다

 효성그룹은 향후 효성중공업을 중심으로 수소 사업을 확장할 계획


 효성그룹은 Upstream 강자인 독일의 Linde 그룹과 1,500억원을 투자해 2022년까지 효성그룹이 보유하고 있는 울산 용연공장 내
부지에 액화수소 생산 공장을 신설할 예정
 완공시점에 맞춰 1,500억원을 추가 투자해 효성중공업으로 하여금 전국 주요 거점 120곳에 액화수소 충전 인프라를 구축(신설 50
곳, 액화수소 충전설비 확충 70곳)하는 등 생산, 운송, 충전, 운영 등 밸류체인 전반을 구축할 예정
 효성화학은 용연공장에서 생산되는 부생수소를 공급하고, Linde의 수소 액화 기술과 설비를 이용해 액화수소를 생산할 예정
 효성첨단소재는 2028년까지 1조원을 투자해 연산 24,000톤의 탄소섬유를 생산하여, 수소차 연료탱크에 판매 계획

효성그룹 계열사 수소 관련 사업 현황

기업 수소 관련 사업 개요

- 수소 액화 기술 및 저장장치 기술을 보유한 Linde Korea와 MOU를 체결


효성화학 - 2022년까지 총 3,000억원을 투자해 액화수소 생산, 운송, 충전 인프라 설치, 운영 등을 망라하는 밸류체인 구축 예

- 타이어 제조에 필수적인 타이어 보강재, 자동차 안전벨트용 원사, 에어백용 직물 등 산업용 섬유 제조 기업. 수소 튜
효성첨단소재 브트레일러 생산에 필요한 탄소섬유를 생산. 2013년부터 연간 2,000톤 규모의 생산능력 확보를 시작으로, 2025년
까지 업계 Top Player 대열에 진입을 목표. 동사의 탄소섬유는 2021년 하반기부터 수소차 넥쏘로의 적용 기대

- 산업설비, 가스충전 시스템 사업의 경험을 바탕으로 수소 충전소 사업을 10년 이상 영위. 국내 수소충전소 관련 1위
효성중공업 사업자
- 액화수소 플랜트 건설 등으로 사업 확대 계획. 울산 액화수소 공장, 운송 및 충전시설을 건설을 담당할 계획
자료: NH투자증권 리서치본부

170
Clean Mobility로의 전환 자동차

현대차그룹 장기 수익성 개선추세 지속

 최근 자동차 기업 주가 상승폭이 컸지만, 장기 추세전환의 초입 국면으로 판단. 1) 성공적 신차출시를 통한 수익성 개선효과가 아직
본격화되지 않았고, 2) 장기적으로는 성공적인 사업전환 기대감도 존재
 ROE(자기자본이익률)가 장기 상승추세로 전환되는 시점에서 현대차와 기아차의 Valuation이 여전히 순자산가치 대비 낮은 수준에
머물고 있음

신차출시 골든 사이클 진입 – 향후 5년간 사업구조 전환 및 수익성 개선 기대

(원) 현대차주가(LHS) 원/달러 환율(RHS) (원/달러)


350,000 성장통기 차화정 시기 잠재성장여력 확충 사업구조 전환 1,700
양적성장기
- 중국공장 (03) -가격정책 실패 - 신차사이클 - 브랜드 강화 - 전동화
300,000 1,600
- 미국공장 (05) -원화절상 압력 - 우호적 외부환경 - R&D 투자 확대 - 모빌리티서비스
1,500
250,000
1,400
200,000
1,300
150,000 LF 출시
NF 출시 (14.6) 1,200
100,000 (05.5)
1,100
YF 출시 DN8 출시
50,000 (10.2) (19.11) 1,000

0 900
'00.1 '01.1 '02.1 '03.1 '04.1 '05.1 '06.1 '07.1 '08.1 '09.1 '10.1 '11.1 '12.1 '13.1 '14.1 '15.1 '16.1 '17.1 '18.1 '19.1 '20.1 '21.1

자료:DataGuide, NH투자증권 리서치본부

171
Clean Mobility로의 전환 자동차

현대차그룹 사업구조/지배구조 개편 가능성

 2018년 현대모비스와 현대글로비스의 분할 합병을 통한 사업구조/지배구조 개편안 무산


 현대차그룹 사업/지배구조 개편은 향후 재추진될 가능성 높음. 현대모비스의 경우 현대차그룹 미래 자동차 사업관련 핵심 부품 공
급업체. 어떤 형태로든 변화하는 과정에서 주요 포지션에 위치할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판단

2018년 현대차그룹 사업/지배구조 개편 시나리오 – 현대모비스/현대글로비스 분할 합병안 주요 내용

현대차그룹 지배구조 사업구조 개편 이후 지배구조 대주주(Family) 보유 주요 지분

정의선 정몽구

23.29% 6.71%
현대글로비스

11.72% 4.68%
현대엔지니어링

9.57%
현대오토에버

2.62% 5.33%
현대차

1.74%
기아차

0.32% 7.13%
현대모비스

11.81%
현대제철

자료: 현대모비스, NH투자증권 리서치본부

172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