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31

자동차의 역사

시작하며...

내가 생각하는 좋은 자동차의 기준은 무엇일까?

(차종과 그 이유에 대하여 나누어 보기)


~ 1890년 – 내연기관 자동차의 태동

1860년 르노(Lenoir, 프랑스)


작동가능한 내연기관(가스기관, 열효율 3%) 개발

1867년 오토&랑엔(Otto&Langen, 독일)


파리 박람회에 열효율 9%로 개선된 내연기관 출품

1876년 오토(Otto, 독일)


4행정으로 작동하는 가스기관 개발

1883년 다임러&마이바흐(Daimler&Maybach, 독일)


열튜브 점화방식의 4행정 고속 가솔린 기관 개발

1886년 다임러(Daimler, 독일)


가솔린기관 장착된 4륜차 개발
84cc, 0.89ps, 최고속도 약 15km/h

1887년 보쉬(Bosch, 독일) 자석점화장치 개발

1889년 던롭(Dunlop, 영국) 압축공기 타이어 개발


1890 ~ 1920년 – 자동차 대량생산의 길이 열리다

1893년 마이바흐(Maybach, 독일)


압축착화기관(디젤기관) 특허출원

1897년 MAN社
작동가능한 최초의 디젤기관 발표

1913년 포드(Ford, 미국)


자동차 생산라인에 컨베어 시스템 도입으로 대량생산

1925년까지 1일 약 9,100대의 T-모델 생산

생산량의 비약적 증가로 인해 당시 차량 한대 가격이


약 825$로 자동차의 보급화 시작.
(당시 다른 자동차의 가격은 약 2,100$)
가솔린 기관 VS 디젤기관
가솔린기관 내용 디젤기관

출력당 중량 적음 / 비교적 값이 싸다 중량 / 가격 출력당 중량 큼 / 정밀 연료분사장치 때문에 고가

흡입되는 혼합기 양(스로틀 밸브) 속도조절 분사되는 연료의 양

전기 점화 점화방식 압축 착화

CO. HC. Nox 배출가스 Nox, 매연(후처리장치 복잡)

불필요 예열장치 필요

자유 과급기 필요

230~300 g/ps/h 연료소비율 150~240 g/ps/h

8~12 : 1 압축비 16~23 : 1

120~140 ℃ 압축 온도 500~600 ℃

7~11 kg/㎠ 압축 압력 30~45 kg/㎠

30~35 kg/㎠ 연소 압력 45~70 kg/㎠


1920 ~ 1940년 – 경제공황 속에서도 자동차 산업은 성장한다.

1923년 Benz-Man社
최초의 디젤 트럭 발표(1926년 양산시작)

1932년 BMW社
AM-1양산.(1934년 328모델 키드니 그릴적용)

1932년 아우토 유니온 설립


반더라, 호르히, 데카베, 아우디 사가 통합

1936년 다임러-벤츠社
디젤 승용자동차 양산시작

1937년 일본 도요타社
직물공장에서 자동차부를 만들어 자동차 산업 진출

1938년 페디난드 포르쉐 박사


히틀러의 요청으로 비틀(폭스바겐 타입1) 제작
1940년대 – 세계 2차대전으로 인한 자동차 산업의 변화

1940년 폭스바겐社
포르쉐 박사가 독일군을 위해 비틀을 개조하여 퀴벌바겐
양산.

1941년 윌리스 지프
2차 세계대전 중 경량 4륜구동 다목적차량이 필요하여
미군의 요청에 의해 윌리스가 ‘MB’모델로 계약을 성사시
켰으며 군인들이 ‘지프’라고 별명을 지어 주어 현재까지
이어짐.

1948년 포드 F1
미국에서 가장 많이 판매되는 픽업트럭의 원조. 3.7리터,
8기통 엔진 장착.기존 픽업트럭고 달리 섀시와 바디를 전
용으로 제작하였음.
1950년대 – 전쟁의 종료. 미국(승리국)은 대형화, 유럽(패전국)은 실용화

1952년 존 W 헤트릭(미국)
세계 최초 에어백 특허 획득

1953년 쉐보레社
화려함의 극치를 보여준 벨 에어 생산.3.8 직렬6기통
엔진에 최고속도 140km/h

1955년 롤스로이스社
프레임바디의 호화세단. 4887cc 직렬6기통엔진
자동변속기, 유압식브레이크, 파워스티어링 시스템 등
초화 옵션장착한 실버 클라우드1 생산

1955년 BMW社
값비싼 휘발유 가격에 대응하기 위해 세계최초의
3리터카(3리터로 100km주행)인 이세타300 생산

1958년 포드社
자동차에 최초로 2점식 안전벨트 도입
1960년대 – 중산층을 중심으로 가정용 자동차의 시대 개막

자동차 업계의 기술발전으로 FF구동장치의 보편화로 실내 공간 확장. 유럽 및 일본차의 작은 크기와 효율성을 앞세


운 미국시장의 진출. 파워트레인 및 서스펜션 등의 부품을 모터스포츠에서 차용한 스포츠 세단의 등장.

1961년 미니쿠퍼 출시
영국의 작은차 MINI를 F1레이서 존 쿠퍼가 개조하여
MINI-쿠퍼 출시. 존쿠퍼웍스(JCW)라는 고성능 버전도
출시.

1963년 메르세데스 벤츠 600 출시


1981년까지 2677대만 생산한 럭셔리카. 6.3리터 8기통
엔진으로 최고속도 209km/h

1966년 Bosch社
전자제어 가솔린 분사장치 개발

1969년 닛산 스카이라인 GT-R출시


닛산의 스카이라인을 바탕으로한 고성능차량으로 일본
과 호주의 각종 레이싱대회 석권하며 일본차량의 우수성
을 알림.
전자제어연료분사장치
1970년대 – 럭셔리 슈퍼카의 시대

페라리로 대표되던 이태리 슈퍼카 시장에 람보르기니가 뛰어들며 고성능 슈퍼카 시대가 시작. SUV시장에서는 여가
시간이 늘며 포장도로를 달리고 싶은 욕구에 튜닝을 더하기 시작하였고 이에 자동차회사들은 튜닝을 기본으로 레인
지 로버를 대표한 럭셔리 SUV시장이 열림.

1970년 랜드로버社 레인지로버 출시


현재와 같은 럭셔리카는 아니지만 플라스틱 데시보드와
비닐시트를 장착해 험로 통과 후 물세척이 가능하였음.

1972년 포트社 머스탱 마하1 출시


가장 작은 엔진이 5.8리터 8기통이었고 가장 큰 라인업은
7.0리터 8기통엔진으로 70년대에 370마력을 뛰어넘었음.

1973년 포르쉐 911카레라 RS출시


1963년부터 시작하였으나 1970년대 911카레라 출시로
세계 스포츠카 시장에 두각을 나타내기 시작함.

1978년 승용자동차에 ABS시스템 도입


1980년대 – 도시의 교통량 증가와 차량관리의 편리성으로 인한 작은차의 시대

둥근 디자인의 자동차가 사라지고 각진 자동차가 대세를 이룸. 1970년대 부터 이어진 SUV의 열풍이 거의 모든 자동
차 회사로 이어지로 랜드로버社는 디스커버리, 레인지로버 등은 럭셔리 SUV로 자리잡았음.

1983년 아우디社 스포르트 콰트로 출시


4륜구동 고성능모델로 2,144cc 5기통엔진으로
306마력의 성능을 나타냄.

1985년 현대社 포니 엑셀 출시
전륜구동이 모델로 1986년 미국으로 첫 수출.

1988년 람보르기니社 쿤타치 출시


마르첼로 간디니가 디자인 하였고 당시의
이탈리아 자동차 디자인을 선도하였음.

1988년 BMW社 M3 출시
3시리즈의 경주용 차량을 만들면서 출시한
상징적인 차량으로 2,303cc 직렬4기통 엔진과
게틀락社의 5단 자동변속기 장착으로 195마력의
출력을 발휘함.
1990년대 – 자동차 산업의 합병과 배출가스 규제

지구 온난화의 주범으로 자동차의 배출가스가 지목되며 미국 캘리포니아는 무공해차 규정을 발표하였고, 유럽에서
는 ‘유로X’ 기준을 채택하였음. 규제에서 벗어나 연료 효율의 향상을 위해서 도요타社는 하이브리드카를 선보였고,
터보와 인터쿨러를 적용한 다운사이징이 대세로 떠오르게 되었음.
1994년 크라이슬러社 닷지 네온 출시
값싸고 잘 달리는 차를 목표로 출시하여 ‘일본차
킬러’라고 불리웠음.

1996년 GM社 EV1 출시


2인승 전기차로 미국 일부 지역에서 한정판매.
석연치 않은 이유로 2002년 전량 폐차되어
석유회사의 음모론까지 제기되었음.

1997년 CRDi(커먼레일 디젤 분사장치) 도입

1997년 도요타社 프리우스 출시


연비 30km/h가 목표였으나 28km/h의 수준으로
출시하였음. 당시 높은 차량가격으로 환영받지 못함.
EURO 배출가스 규제 법규
0.36
EURO 1
0.15 EURO 2

PM 0.1
(g/kWh) EURO 3

EURO 5 EURO 4
EURO 6
0.02 0.46 2 3.5 5 7
8 NOx
0.01
(g/kWh)
EURO 배출가스 규제 법규
NOX / PM 0.97 / 0.14
Euro1 1992

• 기계식 엔진

전자화
• NOX / PM 0.7 / 0.08
1996 • EGR 및 전자식 연료분사 타이밍 제어
Euro2 10.
NOX / PM 0.56 / 0.05
연료고압화

커먼레일 적용(1500bar) + DOC


Euro3

2000
• NOX / PM 0.23 / 0.005
커먼레일 고압화(2000bar) + DPF
후처리

2005
Euro4 • NOX / PM 0.23 / 0.005
• 커먼레일 고압화(2500bar) + LNT + DPF

Euro 5 2008 • NOX / PM 0.17 / 0.005


• LNT + DPF + SCR ….
Euro6 2014
B C D RDE
2000년대 이후 – 더욱더 강력해진 환경규제 속에 가속화되는 친환경시장

강력해지고 있는 환경규제 속에 소형 및 중형승용에 주로 적용되었던 하이브리드 차량의 라인업이 SUV등으로 확대


되었음. ‘테슬라’라는 굴지의 전기차 회사가 나타나며 전기차 시장을 선도하고 있고 수소 연료전지 자동차도 영역을
확대 하고 있음.

2016년 테슬라社 모델3 출시


현재 가장 인기있는 전기차 모델로 한국에는
2019년 출시되어 점유율을 높여가고 있음.

2018년 현대자동차 넥쏘 출시
수소연료전지차량으로 글로벌 판매량 2만대를
목전에 두고 있음.

2021년 SUV 하이브리드 출시


현대 싼타페, 기아 쏘렌토, 도요타 RX 등 SUV 차량에서
하이브리드 시스템 확대.
자동차 주변 환경의 변화

자동차 시장 지속 성장 화석 연료 소비 증가
(2020년 1억대 시장)

OIL

환경 규제 강화 지구 온난화 가속 (이상기후, 재해발생)


자동차 주변 환경의 변화 – 연비 및 배기가스 규제

·1 년 생 산 차 량 의 평 균 연 비 를 규 제
·승용기준’15년15.4Km/l에서 ’25년까지
22.3Km/l로 23% 강화

·CO2 배출량을 규제
·’15년 130g/km 에서 ’21년까지
95g/km로 27% 강화

·’16~’20년까지 4단계 연비 규제
·’15년 14.5km/l에서 ’20년까지
20.0km/l로 27% 강화
자동차 주변 환경의 변화 – 미국과 중국의 친환경차 정책

18년부터 미국 캘리포니아, 오레곤 등 10개 주


ZEV(Zero Emission Vehicle) 2% 의무 판매

매년 2% 증가… 그리고 위반 시 벌금 부과

중국, 新 에너지 정책 강화
新 에너지차 : PHEV, EV, FCEV

’20년 까지 500만대 보급 목표
친환경 자동차의 종류

HEV PHEV
친환경 자동차의 종류

EV FCEV
미래 자동차의 핵심 화두

① 동력원의 친환경화
기존 내연기관은 배출가스 규제와 친환경으로의 시대적 흐름으로 인하여 친환경 에너지원을 사용하는
자동차로 전환. (ex. 전기자동차, 수소연료전지자동차, 태양광 자동차 등)

② 자율주행에 따른 이동수단의 변화
고도화된 전자제어 시스템으로 인하여 자율주행이 가능해지면서 이동수단의 개념이 ‘소유’에서 ‘공유’
로 전환되고 UAM과 같은 항공 모빌리티의 시장이 확대될 가능성이 있음.
자동차 주변 환경의 변화 – 2030 국가비전(우리나라)
자율주행의 단계
미래 모빌리티

UAM (Urban Air Mobility) PBV(Purpose Built Vehicle) Smart City


도심형 항공 모빌리티 목적기반 모빌리티 모빌리티의 확장(2021 모빌리티쇼)
자동차의 미래
자동차의 미래
감사합니다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