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57

1. She objected ------ without a ‘Miss’ before her name.

(A) to be addressed
(B) being addressed
(C) for being addressed
(D) to being addressed

(D)
그녀는 자신의 이름 앞에 Miss가 없이 언급되는 것을 싫어했다.
object to –ing 혹은 object to N 구문을 알고 있다면 쉽게 풀 수 있는 문제이다. 언급이 되어
지기 때문에 수동 형태가 나왔다는 점도 기억해두자. 따라서 정답은 to being addressed가 된다.

2. It does not seem easy ------.


(A) to stop children to cry
(B) restrain children to cry
(C) to keep children from crying
(D) holding children’s cry

(C)
아이들의 울음을 그치게 하는 것은 쉽지 않은 것 같다.
형용사 easy는 it – to R 구문을 취하는 단어이며, ‘-을 막다, 방해하다’의 의미를 갖는 동사
prevent, keep, stop, restrain 등의 단어는 뒤에 from –ing 형태가 나와야 한다. 따라서
정답은 (C)번이 된다.

3. He is the boy whose money was ------.


(A) robbed
(B) stolen
(C) robbed of
(D) stolen from

(B)
그가 바로 돈을 도둑맞은 소년이다.
steal이 수동태로 쓰이면 목적어인 사물이 주어 자리에 들어가게 되며 rob이 수동태로 바뀌면
목적어인 사람이 주어 자리에 들어가게 된다. 주어 자리에 사물인 money가 있으므로 정답은
(B)번이 된다. 전치사 from은 굳이 들어갈 필요가 없다.
4.
A: What should we do if it snows tomorrow?
B: I guess we should ------.
(A) call it off
(B) cancel it off
(C) call off it
(D) cancel off it

(A)
내일 눈이 오면 어떻게 하지? 아마도 계획을 취소해야 하겠는걸.
취소하다라는 의미의 call off는 타동사+부사로 이루어진 이어동사이며 대명사 목적어는 동사와
부사 사이에 위치해야 한다. ‘타동사+대명사+부사’ 구문을 기억해둬야 한다.

5. Martha laid her hat on the table, and ------ beside her mother.
(A) seated down in the chair
(B) seated herself on the chair
(C) seated the chair
(D) was seated the chair

(B)
Martha는 식탁 위에 모자를 놓고 어머니 옆에 있는 의자에 앉았다.
타동사 seat를 이용해서 ‘-에 앉다’라고 표현할 때에는 seat oneself 혹은 be seated를
사용해야 한다.

6. The boss ordered the conference room ------.


(A) painted
(B) be painted
(C) painting
(D) paint

(A)
사장은 회의실에 페인트 칠을 하라고 명령했다.
‘order+목적어+to R’ 구문을 먼저 기억해야 한다. 또한 목적어와 목적격 보어 사이의 관계가
수동의 의미이므로 to be painted가 되야 한다. 이 때 to be는 생략이 가능하다. 따라서 정답은
(A)번이 된다.
7. I do not want ------ without a shirt on. You’ll catch cold.
(A) you run out
(B) you running out
(C) that you run out
(D) you to have run out

(B)
나는 당신이 셔츠도 입지 않고 밖에 나가는 것을 원치 않습니다. 감기에 걸릴 수도 있어요.
want는 ‘want+목적어+to R’ 형식으로 쓰이지만 부정문에서는 ‘want+목적어+-ing’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8. Many store owners ------ unaccompanied women to enter their store after
midnight.
(A) do not let
(B) do not allow
(C) prevent
(D) reject

(B)
많은 가게 주인들은 동행인이 없는 여성이 자정을 넘어 가게에 출입하는 것을 허락하지 않는다.
‘let+목적어+R’, ‘allow+목적어+to R’, ‘prevent+목적어+-ing’, ‘refuse to R’ 구문을 알고
있다면 쉽게 정답이 (C)번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9. The Canadian botanist Jack Frost ------ the founder of modern experimental
science.
(A) is considered
(B) considering
(C) to consider
(D) considers

(A)
캐나다의 식물학자인 Jack Frost는 현대 실험 과학의 창시자로 여겨진다.
‘consider+목적어+(to be)+보어’ 구문을 알고 있다면 쉽게 풀 수 있는 문제이다. 문장에
목적어가 없으므로 수동태로 바뀐 형태라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정답은 (A)번이 된다.
10. His new store ------ me very much of the one we had in Toronto.
(A) recollects
(B) recalls
(C) remembers
(D) reminds

(D)
당신의 새 가게는 토론토에 있었던 우리 집을 떠오르게 한다.
of가 문장에 나오는 것을 보아 앞에는 remind가 나오는 것을 예상할 수 있어야 한다. 모든
보기의 의미가 ‘회상하다’이지만 of와 쓰일 수 있는 것은 remind 외에는 없다. ‘remind A of B’
구문을 기억해두자.

11. He does not want ------ any misunderstanding in this matter, so he is willing to
answer any question.
(A) to be
(B) there to be
(C) it to be
(D) that there is

(B)
want는 that절을 취할 수 없는 동사이다. 즉, want to R, 혹은 want+목적어+to R의 형식으로
사용된다. 문맥상 ‘오해가 없기를 바란다’는 의미이므로 정답은 (B)번이 된다.

12. The outcome of this experiment remains ------.


(A) secretly
(B) a secret
(C) to be secretly
(D) being a secret

(B)
이 실험의 결과는 비밀로 남아 있게 되었다.
remain은 2형식 동사이므로 뒤에는 명사나 형용사가 나와야 한다. 형용사가 보기 중에 없으므로
정답은 명사인 (B)번의 a secret이 된다.
13. She is willing to give serious consideration to the question that I ------.
(A) brought
(B) make
(C) put
(D) raised

(D)
그녀는 기꺼이 내가 제기한 문제에 대해서 기꺼이 심각한 생각을 해 볼 것이다.
‘문제를 제기하다’는 표현은 ‘raise question’을 사용한다는 사실을 알고 있다면 쉽게 해결할 수
있는 문제이다.

14. The advisor explained ------ that I should have a complete physical examination
twice a year.
(A) us
(B) at us
(C) to us
(D) for us

(C)
조언가는 내가 일년에 두 번씩 종합 검진을 받아야 한다고 설명했다.
explain은 전치사 to가 필요한 동사이다. ‘explain+명사+to’, ‘explain to+that절’을 기억해야
한다. 이 때 to의 의미는 ‘-에게’이다.

15. Susan’s winter vacation in Toronto led to ------ a Korean man.


(A) her marry
(B) her being married
(C) her to marry
(D) her marrying

(D)
수잔이 토론토에서 겨울 휴가를 가진 것이 그녀로 하여금 한국 남자와 결혼을 하게 만들었다.
lead to에서 to는 to 부정사가 아니라 전치사로 사용된다. 따라서 전치사 뒤에는 명사나
동명사가 나와야 한다. marry는 타동사이기 때문에 전치사를 수반하지 않고 곧장 목적어가
나오며 수동태일 경우에는 be married to 의 형식으로 사용된다.
16. It seems to be too early to ------any objection.
(A) do
(B) raise
(C) have
(D) tell

(B)
이의를 제기하기에는 너무 이른 듯 하다.
‘이의를 제기하다’라는 표현은 ‘raise objection’을 사용해야 한다.

17. Jean Cretien ------ the foundation of the greatness of modern Canada.
(A) laid
(B) had
(C) called
(D) did

(A)
Jean Cretien은 현대 캐나다의 위대함의 토대를 마련했다.
‘기초를 쌓다’, ‘토대를 만들다’라는 표현은 lay the foundation을 사용한다.

18. It is banned by law to mail through parcel post any merchandise that might prove
------ in transport.
(A) dangerous
(B) with danger
(C) dangerously
(D) to the danger

(A)
운반에 위험하다고 판단되는 어떤 물품을 소포를 통해 보내는 것은 법적으로 금지되어 있다.
prove는 2형식 동사이므로 뒤에는 주격 보어인 명사나 형용사가 와야 한다. 따라서 정답은
형용사인 dangerous가 된다.
19. His son is often referred to ------ at the Royal Bank.
(A) be the best teller
(B) by the president to be the best teller
(C) as being the best teller
(D) as the best teller

(D)
그의 아들은 Royal Bank에서 최고의 금전출납원이라는 말을 종종 듣는다.
‘refer to+목적어+as+보어’ 구문이 사용 되어야 한다. 목적어가 주어 자리에 나왔으므로
수동태라는 것을 알 수 있다. 목적어가 주어 자리에 갔으므로 남는 건 as the best teller뿐이다.

20. Everyone who comes first should ------ a ticket with him.
(A) take
(B) bring
(C) get
(D) put

(B)
가장 먼저 들어 오는 사람은 반드시 티켓을 가지고 와야 한다.
bring과 take의 차이점을 묻는 문제이다. bring은 ‘가져오다’의 의미이며 take는 ‘가져가다’의
의미이다. ‘티켓을 가져 오기’ 때문에 정답은 bring이 된다.

21. Conditions for the contract have never been ------ between the two parties.
(A) agreed with
(B) agreed from
(C) agreed to
(D) agreed on

(D)
계약에 대한 세부 조건들이 양자간에 합의되지 않았다.
문맥상 ‘합의가 이루어지다’라는 뜻이 들어가야 한다. 이 경우에는 전치사 on을 사용해서 agree
on이라는 표현을 사용하게 된다. 혹은 on 대신에 upon이 들어갈 수도 있다. 따라서 정답은 (D)
번이 된다.
22. If ------ in this costume, I wouldn’t feel so out of place.
(A) wasn’t dressed
(B) didn’t dress
(C) weren’t dressed
(D) don’t be dressed

(C)
내 옷을 입지 않았다면 이렇게 동떨어진 느낌은 없었을 텐데.
dress는 ‘dress+목적어’, ‘be dressed in’의 형태로 사용되는 동사이다. 주절에 가정법
과거이므로 조건절에도 가정법이 나와야 한다. 가정법 과거의 조건문에서 be 동사는 were로
사용된다. 따라서 정답은 (C)번이 된다.

23. This regulation ------ no exceptions.


(A) admits of
(B) admits from
(C) admits to
(D) admits in

(A)
이 규정에는 예외가 없다.
‘-의 여지가 있다’라는 표현은 admit of를 사용한다. admit to는 ‘–로 통하다’라는 의미로
사용된다는 것도 참고로 기억해두자.

24. There are countless conferences which he attends, foreigners to deal with and
government reports ------.
(A) to attend to
(B) to be heard
(C) to discuss about
(D) to talk to

(A)
그가 참석해야 할 많은 회의, 다루어야 할 외국인들, 관심을 둬야 하는 정부 보고서가 있다.
‘관심을 기울여야’ 하는 뜻의 숙어는 attend to가 된다. (B)번과 (C)번은 문맥상 쓸 수 없으면
(C)번의 discuss는 타동사이므로 about를 쓸 수 없는 동사이다.
25. I ------ so that they would not recognize me.
(A) was disguised
(B) disguised
(C) were disguising
(D) costumed

(A)
나는 그들이 나를 알아 보지 못하도록 변장을 했다.
목적어가 주어 자리에 나왔으므로 수동태로 사용된 문장이다. ‘위장을 하다’의 표현은 disguise+
목적어이므로 수동태 형태인 be disguised가 정답이 된다.

26. (A)In the gallery four (B)portraits (C)were (D)hanged for public viewing.

(B) hanged -> hung


전시관에는 네 개의 초상화가 관람객들을 위해 걸려 있었다.
문맥상 ‘걸려있다’라는 의미이므로 hung을 사용해야 옳은 표현이다. ‘걸다’의 의미로 사용되는
hang은 hung-hung 형태로 변화하며 ‘교수형에 처하다’의 의미로 사용되는 hang은 hanged-
hanged의 형태로 변한다.

27. (A)When you go to visit (B)the Tom’s next week, please (C)bring them (D)these
books.

(C) bring -> take


다음 주에 Tom의 집에 방문할 때에는 이 책들을 가져와라.
문맥상 책을 ‘가져오다’의 의미이므로 bring이 아닌 take를 사용해야 올바른 문장이 된다. bring
은 ‘가져가다’의 의미이며 take는 ‘가져오다’의 의미이다.

28. (A)For many people, Jeremy is (B)the most (C)famous for the laws that made
astrology lessons (D)to seem so difficult.

(D) to seem -> seem


많은 사람들에게 있어서 Jeremy는 점성학 수업을 매우 어렵게 보이도록 만든 여러 법칙 때문에
유명하다.
사역동사 make는 ‘make+목적어+R’의 형태로 사용된다. 이 문장에서는 동사원형 대신에 to
부정사가 사용되었으므로 틀린 문장이다. to seem을 seem으로 바꿔야 옳은 문장이다.
29. (A)Now I am (B)not the man to let (C)a cause (D)to be lost for lack of a word.

(D) to be -> be
나는 할 말이 부족해서 그 이유가 유명무실하게 만들 사람은 아니다.
let은 사역동사이며 목적격 보어 자리에 to 부정사를 쓸 수 없는 동사이다. 사역동사의 목적격
보어 자리에는 동사 원형이나 혹은 p.p 형태만이 들어 갈 수 있다는 것을 기억한다면 쉽게 풀 수
있는 문제이다. to be에서 to를 삭제하면 올바른 형태이다.

30. (A)Chances are that the debate (B)between two parties (C)are reaching (D)to a
television near you.

(D) to 삭제
아마도 양당의 토론이 당신 근처에 있는 tv에서 방송될 것이다.
reach는 3형식 동사이므로 전치사를 필요로 하지 않는 동사이다. 따라서 전치사 to는 필요가
없다.

31. The salsa, a (A)modern-day (B)version of a traditional Brazilian dance, (C)has


become (D)popularity in Canada.

(D) popularity -> popular


전통 브라질 춤의 현대판인 살사는 캐나다에서 인기를 얻게 되었다.
become은 2형식 동사로서 주격 보어 자리에 명사나 형용사가 와야 한다. 명사가 오는 경우는
주어와 동격 관계여야 하는데 salsa와 popularity는 동격 관계가 아니다. 따라서 정답은
형용사인 popular가 되야 한다.

32. The Travis engine, (A)sometimes (B)referred as a rotary engine, (C)delivers more
power (D)than a piston engine.

(B) referred -> referred to as


종종 rotary engine이라고 불리는 Travis engine은 피스톤 엔진보다 더 많은 힘을 전달한다.
refer가 나왔을 때에는 반드시 뒤에 to가 있는지를 확인해야 한다. refer는 ‘refer to+목적어
+as+보어’의 형태로 사용된다.
33. He is a (A)former chairman of this committee, (B)which (C)should (D)explain you
why he knows so much about it.

(D) explain -> explain to


그는 이 위원회의 의장이다. 이것이 바로 왜 그가 이 위원회에 대해 많이 알고 있는지에 대한
설명이 될 것이다.
explain은 3형식 동사인데 이 문장에서는 마치 4형식처럼 쓰이고 있다. you를 to you로 바꿔야
올바른 표현이 된다.

34. The (A)different attractions of the sun and the moon (B)have a direct effect (C)in
the rising and (D)falling of the tides.

(C) in -> on
태양의 달의 인력 차이가 조류의 높고 낮음에 직접적인 영향을 끼친다.
‘영향을 끼치다’라는 표현은 have effect on을 사용한다. 따라서 in을 on으로 바꿔야 올바른
문장이다.

35. (A)Even though caffeine is (B)apparently not good, (C)coffee is not regarded
(D)like harmful to one’ health.

(D) like -> as


비록 카페인은 분명히 좋지 않지만 커피는 건강에 해롭다고 여겨지지는 않는다.
‘regard A as B’ 구문을 알고 있다면 쉽게 해결할 수 있는 문제이다. 목적어 coffee가 주어
자리에 나왔으므로 수동태 구문으로 사용되고 있다. 이 경우에도 as는 그대로 남아 있게 된다.
따라서 like를 as로 바꾸면 올바른 표현이 된다.

36. There (A)will be no change (B)in this regulation (C)if the person in charge is
(D)her.

(D) her -> she


책임자가 그녀라면 이 규정의 변화는 없을 것이다.
be 동사 뒤에는 주격 보어가 나와야 하는데 이 문장에서는 목적격인 her가 나오고 있다. 따라서
주격인 she로 바꾸면 된다.
37. (A)Hoping to (B)distract me from my despair, my friends (C)invited me (D)go to
the movies yesterday.

(D) go -> to go
내가 좌절감에서 벗어나길 바라는 마음에서 내 친구들은 어제 나를 영화에 같이 가자고 초대했다.
invite는 ‘invite +목적어+동사원형’의 구문으로 사용되는 동사이다. 따라서 go를 to go로
바꾸면 올바른 문장이 된다.

38. A understanding of (A)how great a distance (B)lay ahead (C)ought to be one of


(D)the rewards of an education.

(B) lay -> lies


얼마나 먼 거리가 앞에 있는지 이해하는 것이 교육의 보상 중 하나가 되야 한다.
‘거리가 놓여있다’라는 의미이므로 목적어가 필요 없는 자동사가 나와야 한다. lay는 ‘-을 놓다’
라는 의미의 타동사이므로 적절하지 않다. 자동사인 lie를 사용하는데 3인칭 단수가 주어이므로
lies가 정답이 된다.

39. (A)One takes (B)about one year (C)for a person to master (D)this kind of
technique.

(A) One -> It


이런 종류의 기술을 마스터하는 것은 약 1년의 시간이 걸린다.
‘시간이 걸리다’의 의미로 사용되는 표현은 ‘it takes+시간+to R’ 이다. 따라서 one을 it으로
바꿔야 올바른 문장이다.

40. John wrote (A)good poems, (B)and it was (C)long before his poems (D)became to
be recognized by the Canadian public.

(D) became -> came


John은 좋은 시를 썼다. 하지만 그의 시들이 캐나다 대중들에게 인정 받는 건 그리 오랜 시간이
걸리지 않았다.
become은 to 부정사를 취할 수 없는 동사이다. 따라서 become을 to 부정사를 취할 수 있는
동사인 come으로 바꾸면 올바른 문장이 된다.
41. This remains (A)with me as (B)vividly as (C)in the moment I first (D)heard of it.

(B) vividly -> vivid


이것은 내가 처음 들었던 그 순간만큼이나 생생하게 기억에 남는다.
remain은 2형식 동사이므로 형용사를 보어로 추해야 한다. 따라서 부사인 vividly를 형용사인
vivid로 바꿔야 올바른 문장이 된다.

42. (A)After the elections, the Prime Minister allowed (B)the vote (C)for proceeding
(D)unimpeded.

(C) for proceeding -> to proceed


선거 후에 수상은 그 투표가 방해되지 않고 진행되도록 하였다.
allow는 ‘allow+목적어+to부정사’의 형태를 갖는 동사이다. 따라서 for proceeding을 to
proceed로 바꿔야 올바른 표현이 된다.

43. The purpose of this survey is ------ people know about this situation.
(A) finding out how much of
(B) how much to find out
(C) to find out how much
(D) find how much that

(C)
이 조사의 목적은 사람들이 이 상황에 대해 얼마나 많이 알고 있는지를 파악하는 것이다.
명사인 the purpose가 주어 자리에 있으므로 be 동사 뒤에 있는 주격 보어 자리에는 to
부정사가 와야 한다. 따라서 정답은 (C)번이 된다.

44. Jane is really tough for Joe to persuade Matthew ------.


(A) to marry with
(B) marrying
(C) to get married
(D) to marry

(D)
우선 persuade가 나왔으므로 ‘persuade A to B’ 구문을 떠올린다면 정답은 (A)번과 (C)번 둘
중의 하나라는 것을 알 수 있다. marry는 타동사이므로 전치사를 필요로 하지 않는 동사이다.
따라서 정답은 (A)번이 된다.
45. The winter weather was cold enough ------ ice on the window.
(A) to be
(B) for being
(C) for it to be
(D) for there to be

(A)
창문에 얼음이 얼 정도로 겨울 날씨가 춥다.
‘enough for+의미상의 주어+동사원형’ 구문을 알고 있다면 쉽게 풀 수 있는 문제이다. 참고로
(D)번의 there는 전치사인 for 뒤에 올 수 없기 때문에 정답이 될 수 없다.

46. You have several books ------.


(A) for you to choose from
(B) to choose
(C) for you to choose
(D) you choose

(A)
당신이 고를 수 있는 여러 권의 책이 있다.
의미상으로 여러 권의 책으로부터 한 권의 책을 고르기 때문에 from 이라는 전치사를 사용해야
한다. 따라서 정답은 (A)번이 된다.

47. To achieve independence ------ the aim of Canada since 1943.


(A) it has been
(B) has been
(C) which has been
(D) is

(B)
1943년 이래로 독립을 쟁취하는 것은 캐나다의 목표였다.
to 부정사가 명사적 용법으로 문두에 위치하므로 주어임을 알 수 있다. 주어 다음에는 동사가
와야하므로 빈칸에는 동사가 들어가야 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since라는 시간의 개념이
나왔으므로 완료를 의미하는 (B)번이 정답이 된다.
48. I found the plan difficult ------.
(A) carrying out
(B) to carry out
(C) to be carried out
(D) to have been carried out

(B)
나는 그 계획을 수행하기 어렵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to 부정사의 목적어가 되는 the plan이 이미 앞쪽으로 이동하였으므로 남는 것은 to 부정사가
된다. 해석상 (C)번과 (D)번은 나올 필요가 없다. 따라서 정답은 (B)번이다.

49. She liked Jack, but since he didn’t like her, she had no choice but ------ Paul.
(A) to marry
(B) marrying
(C) to be married
(D) marry

(A)
그녀는 Jack을 좋아했다. 하지만 그는 그녀를 좋아하지 않았기 때문에 별 수 없이 Paul과 결혼을
했다.
‘-하지 않을 수 없다’라는 숙어 표현인 ‘have no choice but to R’을 알고 있다면 쉽게 해결할 수
있는 문제이다. 혹은 have no alternative but to R도 ‘-하지 않을 수 없다’의 의미를 갖고 있는
숙어이다.

50. It often (A)causes inconvenience (B)for a guest (C)coming earlier than the
(D)suggested hour.

(C) coming -> to come


손님이 제 시간보다 일찍 오는 것은 불편을 야기하기도 한다.
가주어 it이 사용되었으므로 뒤에는 진주어가 필요하다. 진주어는 to 동사원형의 형태를
취하므로 coming을 to come으로 바꾸면 자연스러운 문장이 된다.
51. He went all the way to see the doctor, ------ find him absent.
(A) in to
(B) only to
(C) enough to
(D) as to

(B)
그는 의사를 만나기 위해 먼 길을 왔지만 그는 자리에 없었다.
문맥상 ‘결과적으로 –했다’의 의미이므로 only to R 구문을 사용해야 한다. to 부정사의 부사적
용법 중에서 종종 쓰이는 구문이므로 반드시 알아 두어야 한다.

52. This kind of technique ------ arts to be developed by Canadians.


(A) was the fist one
(B) it was the first
(C) as one of the first
(D) was one of the first

(D)
이런 종류의 기술을 캐나다인들이 개발한 최초의 기술 중 하나이다.
This kind of technique이 주어이므로 뒤에는 동사가 나와야 한다. 또한 the first 뒤에는 to R
이 관용적으로 쓰이므로 정답은 (D)번이 됨을 알 수 있다.

53. (A)By (B)studying physics, students can learn (C)what to develop (D)logical
thinking.

(C) what -> how


물리학을 공부함으로써 학생들은 논리적 사고를 개발하는 방법을 배울 수 있다.
의미상으로 논리적인 사고를 개발하는 ‘방법’을 배우는 것이므로 ‘-하는 방법’이라는 의미의 ‘how
to R’ 구문을 사용해야 한다. 따라서 what을 how로 바꾸면 옳은 문장이 된다.

54. He (A)did not know a better training than (B)spend (C)some time (D)in this
company.

(B) spend -> to spend


그는 이 회사에서 시간을 보내는 것보다 더 좋은 훈련을 알지 못했다.
know better than to R 구문을 알고 있다면 쉽게 풀 수 있는 문장이다. 관용적으로 사용되는
표현이니 확실하게 암기해 두도록 하자.
55. The lion’s natural habitat, (A)for example, is (B)being changed into cities,
(C)leaving the lion with no place to (D)live.

(D) live -> live in


사자의 자연 서식지는 예를 들어 도시로 변했고 사자들이 살 수 있는 곳을 남겨두지 않았다.
to 부정사의 수식을 받고 있는 place가 문맥상 live의 목적어인데 live는 자동사이므로 목적어를
취하기 위해서는 전치사 in이 필요하다.

56. The intelligence test is an attempt (A)estimate the ability of children (B)to think
by (C)presenting them (D)with practical situations.

지능 검사는 아이들에게 실제적인 상황을 제시해서 아이들의 생각하는 능력을 평가하는 시도이다.
명사 attempt 의 동격 구문은 to R 으로 표현해야 한다. ability, attempt, plan 등의 단어들은
관용적으로 to 부정사를 동격 구문으로 취한다. 참고로 capability, possibility, doubt, hope
등의 단어들은 of –ing 구문을 동격 구문으로 취한다는 점도 기억해두자.

57. Certain planes (A)have engine instruments in order (B)for the pilot (C)sees that
the engine (D)is running.

(C) sees -> to see


특정 비행기들은 조종사가 엔진이 작동하고 있는지 볼 수 있도록 엔진 장치를 갖고 있다.
‘-할 수 있도록’이라는 의미의 ‘in order to R’ 구문을 알고 있다면 풀 수 있는 문제이다. 중간에
for the pilot 부분이 의미상의 주어로 중간에 삽입된 형태이다. 따라서 sees를 to see로 바꾸면
올바른 문장이 된다.

58. (A)For overcoming this fear, Paul (B)regularly (C)took long hikes (D)on Mount
Everest.

(A) For overcoming -> To overcome


이 두려움을 극복하기 위해 Paul은 에베레스트 산으로 먼 도보 여행을 했다.
주절 맨 앞에 ‘-하기 위해서’의 의미로 사용되기 위해서는 ‘to R’ 구문을 사용해야 한다. ‘for –
ing’ 구문도 해석상 유사한 의미이지만 주절 맨 앞에서는 사용하지 않는다.
59. It is really (A)important to lock the door (B)at night and (C)do not allow anyone
to (D)enter.

(C) do not allow -> not to allow


밤에 문을 잠그고 누구도 들어 올 수 없게 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등위 접속사 and로 연결되고 있는 병렬 구조이기 때문에 앞에 to lock이 나왔으면 뒤에도 to R이
나와야 한다. 따라서 do not allow 를 not to allow로 바꿔야 한다. to 부정사의 부정은 to 앞에
not을 붙여야 한다는 것도 기억해두자.

60. This machine is (A)difficult to use, (B)almost arrogant (C)in its ability (D)working
with other machines.

(D) working -> to work


이 기계는 사용하기 어렵고 다른 기계들과 같이 작동하기가 어렵다.
ability, attempt, plan 등의 단어들은 관용적으로 to 부정사를 동격 구문으로 취한다. 참고로
capability, possibility, doubt, hope 등의 단어들은 of –ing 구문을 동격 구문으로 취한다는
점도 기억해두자. 따라서 working을 to work로 바꿔야 올바른 문장이다.

61. This conference (A)has served (B)as a forum (C)with opponents (D)to show their
anger.

(C) with -> for


이 모임은 상대방이 그들의 분노를 보여주는 장으로 이용되어져 왔다.
to 부정사의 의미상 주어는 for N 를 사용한다. with를 for로 바꾸면 올바른 표현이 된다.

62. Richard, (A)an Canadian explorer and pilot, (B)was the first person (C)fly (D)over
the North Pole.

(C) fly -> to fly


캐나다의 탐험가이자 비행기 조종사인 Richard는 북극을 비행한 첫번째 사람이다.
the first to R 구문을 알고 있다면 쉽게 풀 수 있는 문제이다. fly를 to fly로 바꿔야 올바른
표현이 된다.
63. The Prime Minister believed (A)that his duty to (B)take care of (C)those who live
in (D)their poverty.

(A) that -> it


수상은 가난하게 살고 있는 사람들을 돌봐 주는 것이 그의 임무라고 믿었다.
가주어/진주어 구문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to take care of those who live in their poverty
부분이 진주어이며 가주어는 it을 사용해야 한다. that을 it으로 바꾸면 올바른 문장이 된다.

64. Scientists have not (A)yet been able to (B)have developed (C)a vaccine
(D)against AIDS.

과학자들은 아직까지 AIDS에 대항할 백신을 발명하지 못했다.


본동사가 완료형태인 have not yet been able to 인데 뒤에 다시 have developed라는 완료
시제가 나올 필요가 없다. 따라서 정답은(C)번이 된다.

65. I consider your suggestion ------ of serious consideration.


(A) as worth
(B) being worth
(C) as worthy
(D) being worthy

(C)
나는 당신의 제안을 진지하게 고민할 가치가 있다고 생각한다.
consider가 나왔으므로 ‘consider A as B’ 구문이 나와야 하므로 일단 (B), (D)번은 정답에서
제외된다. 또한 ‘be worth –ing’, ‘be worthy of –ing’ 구문을 알고 있다면 정답은 (C)번임을 알
수 있다.

66. Her day is spent ------ up with development in biology.


(A) take
(B) keeping
(C) to make
(D) put

(B)
그녀는 생물학의 발전을 따라잡는게 많은 시간을 보냈다.
‘spend+목적어+-ing’ 구문을 알고 있다면 쉽게 정답이 (B)번임을 알 수 있으며, 혹시 이 구문을
모르더라도 keep up with라는 숙어를 알고 있어도 답을 찾을 수 있다.
67. This fashion magazine is obviously worth ------.
(A) being read
(B) to be read
(C) reading
(D) of being read

(C)
이 패션 잡지는 읽어 볼만한 가치가 있다.
be worth –ing 라는 숙어만 알고 있다면 쉽게 풀 수 있는 문제이다. ‘-가치가 있다’라는 숙어는
be worth –ing, 혹은 be worthy of –ing 를 사용한다.

68. ------ arriving at the conference, the Prime Minister tried to find out who was
absent.
(A) On
(B) For
(C) No sooner
(D) In

모임에 도착하지 마자 수상은 누가 결석인지 알아 보려 했다.


‘-하자 마자’의 의미로 쓰이는 표현은 ‘on-ing’ 구문을 사용한다. 혹은 upon –ing 구문을
사용하기도 한다. 따라서 정답은 (A)번이다.

69. This machine is out of order and ------.


(A) need to be repairing
(B) repairing is required of these
(C) that they be repairing
(D) need to be repaired

(D)
이 기계는 고정이 났고 수리할 필요가 있다.
주어 자리에 사물이 오면 예외적으로 목적어 자리에 to 부정사 대신에 동명사를 취하는 경우가
있다. 이 때 동명사는 반드시 능동태를 사용하며 to 부정사를 사용할 때는 수동태를 사용한다.
즉, need repairing, 혹은 need to be repaired 가 정답이 된다. need repairing은 보기에
없으므로 정답은 (D)번이 된다.
70. When overcome by fear, people may have trouble ------.
(A) clearly think
(B) thinking clearly
(C) clear thinking
(D) to think clearly

(B)
겁에 질려 버렸을 때 사람들은 생각을 분명하게 하기 힘들다.
‘-하는데 어려움을 겪다’라는 숙어는 ‘have trouble –ing’ 구문이다. 일반적으로 부사는 동사
뒤에 나오므로 thinking clearly가 정답이 된다.

71. I can hardly pick up a magazine ------ encountering this annoying advertisement.
(A) for
(B) with
(C) without
(D) in

(C)
나는 신문을 집어 들 때마다 이 성가신 광고를 마주하게 된다.
‘-하면 반드시 –하다’의 의미이므로 ‘hardly –without’ 구문을 사용해야 한다. 앞에 hardly나
rarely, barely와 같은 부정어가 나왔을 때는 반드시 hardly –without 구문인지 확인해야 한다.

72. Jack objected to ------ like a sinner.


(A) treat
(B) be treated
(C) treating
(D) being treated

Jack은 죄인처럼 취급 받는 것을 반대했다.


object to –ing 구문을 알고 있다면 쉽게 풀 수 있다. 이 때의 to는 to부정사의 to 가 아니라
전치사로 사용되고 있다. 전치사 뒤에는 –ing 구문이 나온다는 것을 기억해야 한다. 의미상으로
‘취급을 받는다’의 의미이므로 수동 형태인 (D)번이 정답이 된다.
73. It will be no good ------ him about your lost bag.
(A) tell
(B) to tell
(C) telling
(D) told

(C)
그에게 당신이 잃어 버린 책에 대해서 이야기 해도 소용이 없을 것이다.
it is no good –ing 구문이다. 해석은 ‘-을 해도 소용이 없다’라는 의미이다.

74. It goes ------- that an inexperienced person will not do better than someone with
experience.

(A) with saying


(B) without saying
(C) to say
(D) without say

(B)
미숙한 사람이 경험자보다 잘 못하는 것은 당연하다.
‘it goes without saying that-‘ 구문의 의미는 ‘-은 두말할 필요가 없다’, ‘-은 당연하다’의
의미이다. 빈번하게 사용되는 숙어이므로 확실하게 숙지해 둬야 한다.

75. Toronto, Ontario, (A)has become a (B)national hub of fashion, (C)bank, and
(D)transportation.

(C) bank -> banking


온타리오에 있는 토론토는 패션, 금융, 제조업의 국가적 중심지가 되었다.
bank는 은행이라는 의미로 어색하게 쓰이고 있다. ‘금융’을 의미하는 banking으로 바꿔야
자연스러운 표현이 된다.
76. The conditions (A)most (B)favorable to the (C)form of rain (D)are a clear
atmosphere.

(C) form -> formation


비의 형성에 유리한 조건은 맑은 대기이다.
해석상으로 ‘모습’이라는 의미의 form 보다 ‘형성’이라는 의미의 formation이 적합하다.

77. (A)All the people (B)are looking forward (C)spending their time (D)relaxing in the
warm weather.

(C) spending -> to spend


모든 사람들이 따뜻한 날씨에 쉬면서 시간을 보내기를 고대하고 있다.
‘-을 학수고대하다’라는 의미의 숙어는 ‘look forward to –ing’ 이다. 이 때 to는 전치사로
사용되기 때문에 뒤에는 명사나 –ing 형태가 나와야 한다. 전치사 to 뒤에 명사가 나오는
숙어들을 기억해 둬야 한다.

78. I thought about (A)to go back (B)in (C)but decided against it (D)due to the lack
of help.

(A) to go -> going


나는 돌아가려 했지만 도움이 없었기 때문에 그러지 않기로 했다.
about는 전치사이므로 뒤에는 명사나 –ing 형태가 나와야 한다. 전치사는 뒤에 명사나 –ing
형태가 온다는 점을 기억한다면 쉽게 풀 수 있는 문제이다.

79. Jane has (A)recently (B)married and is not used to (C)be called (D)by her
married name.

(C) be -> being


Jane은 최근에 결혼했고 남편 성을 따르는 것에 익숙치 않다.
해석상으로 ‘-에 익숙해지다’의 의미이므로 be used to –ing 구문을 사용해야 한다. 따라서
정답은 be를 being으로 고쳐야 한다. 참고로 ‘-에 익숙하다’라는 표현은 ‘be accustomed to –
ing’ 구문도 있다.
80. Despite (A)their having (B)been no warning, (C)none of them (D)panicked.

(A) their -> there


경고가 없음에도 불구하고 어느 누구도 놀라지 않았다.
의미상 ‘경고가 없었다’는 뜻이므로 유도부사 there를 사용해야 한다. 유도부사 there도
동명사의 의미상의 주어가 될 수 있다는 점을 기억하자.

81. In 2003 the (A)well-known scientist Kate declared that (B)clone a cell was
(C)virtually (D)impossible.

(B) clone -> cloning


2003년에 저명한 과학자인 Kent는 세포를 복제하는 것이 사실상 불가능하다고 선언했다.
that절 이하에서 was가 동사이므로 주어가 필요하다. clone은 동사이므로 명사형태인 cloning
으로 바꾸면 올바른 표현이 된다.

82. If a man is not physically (A)healthy, (B)there is no sense in (C)him sacrificing


himself for victory in (D)any one game.

(C) him -> his


만약 사람이 신체적으로 건강하지 않다면 한 경기를 위해 자신을 희생하는 것은 아무 의미가
없다.
sacrificing은 동명사로 사용되고 있는데 동명사의 의미상 주어로 him이 사용되었다. 동명사의
의미상 주어는 소유격을 써야 하므로 him을 his로 바꾸면 정답이 된다.

83. Can you remember ------ with me three years ago?


(A) staying
(B) to have staying
(C) to stay
(D) having stayed

3년전에 나와 함께 머물렀던 것을 기억하십니까?


remember 뒤에 to R은 미래를 의미하고, -ing는 과거를 의미한다. 과거시제 부사인 three
years ago로 미루어 보아 과거 의미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정답은 –ing 형태인 (D)번이 된다.
84. I regret ------ diligently while I was young.
(A) not to work
(B) not work
(C) not having worked
(D) not working

(C)
나는 젊었을 때 부지런히 일을 하지 못한 것이 후회스럽다.
regret 동사 뒤에 to R는 미래, -ing는 과거를 의미한다. 과거시제 부사인 when I was young가
있는데 먼 과거를 나타내므로 완료형 동명사를 사용해야 한다. 따라서 정답은 (C)번이 된다.

85. I cannot imagine ------ in a test.


(A) he failing
(B) his failing
(C) him failing
(D) he to be failed

(B)
그가 시험에 떨어진 것은 상상할 수 없다.
동명사의 의미상의 주어는 소유격을 써서 표현해야 한다. 따라서 정답은 (B)번이 된다.

86. I should remember ------ Carl that the garden needs watering.
(A) reminded
(B) to remind
(C) reminding
(D) to be remindful of

(B)
나는 칼에게 정원에 물 주는 것을 잊지 않게 하는 것을 기억해야 한다.
remember 뒤에 to R는 미래, -ing는 과거를 의미한다. 앞으로 물을 줘야 한다는 의미이므로
미래를 뜻하는 to R을 사용해야 한다. 따라서 정답은 (B)번이 된다.
87. You will want (A)gathering (B)information about (C)exporting (D)the products.

(A) gathering -> to gather


당신은 상품을 수출하는 정보를 얻고자 하게 될 것이다.
want는 to 부정사를 목적어로 취하는 동사이기 때문에 동명사 형태는 목적어로 취하지 않는다.
따라서 gathering을 to gather로 바꿔야 올바른 문장이 된다.

88. Many Canadians are planning to stop to smoke since the government has
required warnings on cigarette packs.

정부가 담뱃감에 경고문을 넣도록 요구한 이래로 많은 캐나다인들이 금연을 계획하고 있다.
stop to R과 stop –ing 구문의 차이점을 묻는 문제이다. ‘-하는 것을 멈추다’는 stop –ing를
사용하며 ‘-하기 위해 멈추다’는 stop to R을 사용한다.

89. The cost of (A)establishing a business are (B)so much (C)that only the rich can
afford (D)running a company.

(D) running -> to run


사업체를 만드는 비용이 너무 많아서 오직 부자들이 회사를 경영할 수 있다.
‘can afford to R’ 구문을 알고 있다면 쉽게 풀 수 있는 문제이다. 해석은 ‘-을 할 수 있는 여력이
있다’라는 의미이다.

90. (A)In response to your request (B)for a 15% discount, we regret (C)saying that
we (D)cannot offer more than 10%.

15% 할인 요구에 대해 10% 이상의 할인은 해드릴 수 없어 죄송합니다.


regret 은 ‘-하게 되어 안타깝다’라는 뜻이므로 해석상 미래를 의미하는 to R가 사용되어야
적절하다. saying을 to say로 바꾸면 올바른 표현이 된다.
91. ------ in all parts of the nation, oak tree is the most common tree in Toronto.
(A) Found
(B) Finding them
(C) To find them
(D) They are found

(A)
전국에 걸쳐 발견되는 oak 나무는 토론토에서 가장 흔한 나무이다.

92. Anyone ------ receiving any scholarship should know this fact.
(A) interest on
(B) interesting in
(C) interested in
(D) having been interesting

(C) interested in
장학금에 받는데 관심있는 사람은 이 사실을 알고 있어야 한다.
‘-에 관심을 가지다’라는 의미이므로 ‘be interested in’이라는 숙어를 사용해야 한다. 분사의
형용사적 용법으로 사용되고 있다. 정답은 (C)번이 된다.

93. The brain tends to ignore pain if ------ to concentrate on other activities.
(A) it allowed
(B) allowed
(C) is it being allowed
(D) allowed it

(B)
두뇌는 다른 활동에 집중할 때 고통을 참고 무시하는 경향이 있다.
(B)번의 allowed 앞에 주어가 없으므로 과거분사로 사용되고 있다. 따라서 과거분사가 사용된
분사구문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brain이 allow가 되어 지기 때문에 과거분사가 사용되고 있다.

94. My intention is to stay in this area for an ------ period of time.


(A) extension
(B) extending
(C) extended
(D) extend
(C)
내 의도는 여기에 오랜 기간 동안 머무는 것이다.
빈칸에 분사를 넣어서 명사 period of time을 수식하는 분사의 형용사적 용법이 사용된다.
머무르는 기간이 ‘연장 되어지는’ 의미이므로 과거분사 extended가 필요하다.

95. ------, people prefer a beautiful girl to a ugly girl.


(A) With the same conditions
(B) Having the equal terms
(C) Other things being equal
(D) Everything being same

(C)
다른 조건이 모두 같다면 사람들은 못생긴 소녀보다 예쁜 소녀를 좋아한다.
(A) under the same condition으로 고쳐야 한다.
(B) terms라는 단어가 들어갈 필요가 없다.
(D) everything being the same으로 고쳐야 한다.

96. The production of nickel in Canada is relatively significant, ------ more than two
million tons annually.
(A) amounts to it
(B) in the amount
(C) amounting to
(D) to the amount of

(C)
캐나다의 니켈 생산량은 상대적으로 많아서 매년마다 2백만톤 이상에 이른다.
주절 뒤에 –ing 형태가 나와서 분사구문으로 쓰이는 (C)번이 적절하다. 참고로 (B)번의 in the
amount는 ‘합계로’ 라는 뜻의 숙어이다.

97. ------ in the southern United States, blues music reached its peak form in the
1930s.
(A) Originating
(B) To originate
(C) It originates
(D) To have been originating

(A)
미국 남부지역에서 유래한 블루스 음악은 1930년대에 전성기를 맞았다.
블루스 음악이 미국 남부 지역에서 유래를 했다는 의미이므로 능동의 현재분사 형태가 쓰여야
적절한 문장이 된다. (B)번은 문맥상 어색하며 (C)번의 경우는 주어와 동사가 각각 두 개씩이
되므로 답이 될 수 없다.

98. Jack is taking care of the children alone, ------ his wife sick in the clinic.
(A) owing to
(B) without
(C) with
(D) as if

(C)
Jack은 아내가 아파서 병원에 있기 때문에 혼자서 아이들을 보고 있다.
‘with+명사+분사/형용사’ 구문이다. 이 구문은 ‘-인 채로’, ‘-이니까’로 해석된다. 해석시에
능동이면 현재분사, 수동이면 과거분사를 사용한다. 이 문제에서는 분사 대신에 형용사가 쓰인
형태로 사용되었다.

99. This change might interest all ------ with this technology.
(A) concerned
(B) concern
(C) concerning
(D) concerns

(A)
이 변화는 이 기술에 관련된 모든 사람에게 흥미를 유발할 것이다.
이 문제를 풀기 위해서는 먼저 ‘be concerned with’, 즉 ‘-에 관련되다’라는 숙어를 알고 있어야
한다. all 뒤에는 that are가 나와야 하는데 주격관계대명사+be 동사이므로 생략된 형태이다.
따라서 정답은 (A)번이 된다.

100. ------, the Canadian peoples were extremely heterogeneous


(A) Compare with the Americans
(B) Comparing with the Americans
(C) Comparison with the Americans
(D) Compared with the Americans.

(D)
미국인과 비굑해서 캐나다인들은 매우 이질적이다.
‘compare A to B’ 구문이 A를 B와 비교하다라는 의미를 먼저 알고 있어야 한다. 미국인들과
캐나다인들이 비교가 ‘되어 지므로’, 즉 수동의 의미이므로 과거분사가 나와야 한다. 따라서
정답은 (D)번이 된다.

101. Her patience is surprising ------ his health.


(A) regarding
(B) considering
(C) in regard of
(D) in consideration of

(B)
그녀는 건강을 고려한다면 놀라운 인내심을 갖고 있다.
‘-을 고려하면’ 이라는 의미로 사용되기 적당한 표현은 considering이다. 관용적인 표현으로
암기해두도록 하자. 참고로 regarding은 ‘-에 관하여’라는 표현으로 with regard to, as to,
about 등과 같은 의미이다. 역시 중요한 표현이므로 암기해 두어야 한다.

102. Before discussing this issue, ------.


(A) a general principle should be laid down
(B) I should like to lie down a general principle
(C) I would like to lay down a general principle
(D) a general principle lay

(C)
이 문제를 논하기 전에 일반 원칙을 정하고 싶다.
분사구문 앞에 생략된 의미상의 주어는 문맥상 사람이 나와야 한다. 따라서 일단 (A), (D)번의
제외되어야 한다. a general principle은 목적어이기 때문에 자동사lie는 쓸 수 없고 타동사 lay
만 올 수 있다. 따라서 정답은 (C)번이 된다.

103. ------ his obsequious manner, I believe he is capable of doing it.


(A) Granted
(B) In that
(C) Because
(D) Even if

(A)
그의 비굴한 태도가 있다하더라도 나는 그가 그것을 할 수 있는 능력이 된다고 믿는다.
granted의 의미는 ‘-하더라도’의 의미이다. (B)번은 ‘-이라는 점에서’라는 뜻이므로 문맥상 맞지
않으며 (C)번의 because뒤에는 절이 오기 때문에 답이 될 수 없다. 따라서 정답은 (A)번이 된다.

104. ------, the whole scene came before his eyes as if she had been Toronto.
(A) As he listened
(B) Listening
(C) While listening
(D) Listened

(A)
듣고 있는 동안에 모든 광경이 마치 그녀가 토론토에 있는 것처럼 펼쳐졌다.
분사 구문이 사용되고 있는데 의미상의 주어를 파악해야 한다. 주절의 주어는 the whole scene
이므로 사물이다. 사물은 ‘듣는 것’이 불가능하므로 주어가 서로 다르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의미상의 주어를 표시해 줘야 한다. 정답은 주어가 있는 (A)번이 된다.

105. (A)Dressed (B)in (C)his blue suit, (D)they looked him like a gentleman.

(D) they looked him like -> he looked like


파란색 양복을 입은 그는 신사처럼 보였다.
주절 앞에 분사구문이 나와 있다. 분사 구문의 의미상 주어는 문맥상 he 라는 것을 알 수 있다.
하지만 주절의 주어 자리에는 he가 아닌 they가 나왔으므로 어색하다. 따라서 he looked like로
바꿔야 올바른 표현이다.

106. The Fulrum celebration (A)praised her work, (B)ranged from capitalist realism
(C)to a poem comparing Jack Daniels (D)with Albert Colt.

(B) ranged -> ranging


Fulrum 기념식은 자본주의 리얼리즘부터 Jack Daniels와 Albert Colt를 비교하는 시까지
이르는 그녀의 작품을 기렸다.
동사 ranged는 의미상 바로 앞에 있는 her work를 수식한다는 것을 파악할 수 있다. 따라서
그녀의 작품이 ‘–까지 이르는’ 능동의 의미이므로 ranged를 ranging으로 바꿔야 한다.

107. One of the most crucial (A)considerations (B)was based on his desire (C)to
decrease the (D)risen rate of unemployment in Canada.

가장 중요한 고려사항 중 한가지는 캐나다에서 증가하고 있는 실업률을 줄이고자 하는 바람에


기반을 두고 있다.
(D) risen -> rising
캐나다의 실업률이 점점 증가하고 있다는 능동의 의미이므로 risen을 rising으로 바꿔야 올바른
문장이 된다.
108. Toronto’s school system (A)is (B)the largest in Canada, (C)according to figures
(D)releasing in 1934.

1934년에 공개된 수치에 따르면 토론토의 학교 체계는 캐나다에서 가장 규모가 크다.


releasing이 figures를 수식하고 있는데 문맥상 이런 수치가 공개가 되어진다는 수동의
의미이므로 releasing을 과거분사인 released로 바꿔야 올바른 문장이 된다.

109. (A)Deciphered (B)by archaeologists, the director (C)emphasized that the tablet
(D)is very important.

(A) Deciphered -> The tablet deciphered


고고학자들에 의해서 그 서판이 해독되었을 때 팀장은 이 서판이 매우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주절 앞에 분사 구문이 나와 있는 경우에는 반드시 의미상의 주어가 무엇인지 확인해야 한다.
고고학자들에 의해서 해독이 되어진 것은 the director가 아니라 주절에 나오는 the tablet이다.
따라서 주어가 서로 다르므로 분사 구문에 주어를 표시해 주어야 한다.

110. A deep-blue (A)color apple, rich (B)in Vitamin B, has (C)been produced (D)in
University of Toronto.

(A) color -> colored


매우 푸른 빛을 띠며 비타민B가 풍부한 사과가 토론토 대학교에서 생산된다.
color, 즉 색깔을 갖고 있는 사과이기 때문에 수동의 의미라는 것을 파악해야 한다. 과거분사인
colored로 바꿔야 올바른 문장이 된다.

111. Nickel is (A)almost (B)three times (C)lighter than magnesium, so it is (D)wide


used in aircraft.

(D) wide -> widely


니켈은 마그네슘보다 3배나 가볍기 때문에 비행기에 폭넓게 사용된다.
분사는 준동사로 간주되기 때문에 부사가 수식할 수 있으며 형용사는 수식하는 역할을 할 수
없다. 따라서 wide를 부사인 widely로 바꾸어야 한다.

112. The calculator of today is (A)more (B)sophisticating and effective (C)than the
crude (D)instrument in 1934.
(B) sophisticating -> sophisticated
오늘날의 계산기는 1934년의 조잡한 도구보다 훨씬 정교하고 효과적이다.
정교하다는 의미로 사용되는 표현은 sophisticated이다. complex나 complicated와 같은
의미로 외워두도록 하자.

113. Many people believe that (A)French is one of the (B)poorest taught
(C)languages in middle school (D)today.

(B) poorest taught -> most poorly taught


많은 사람들은 불어가 오늘날 중학교에서 가장 잘못 가르쳐지는 언어라고 믿는다.
분사를 수식하기 위해서는 형용사가 아닌 부사가 필요하다. 왜냐면 분사도 준동사로 간주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poorest taught 를 most poorly taught로 바꿔야 한다.

114. Sociology (A)counts greatly (B)on other fields of knowledge for (C)information,
particularly in some of its (D)specializing branches.

(D) specializing -> specialized


특히 다른 전문화된 분야에 있어서 사회학은 정보의 여타 분야에 크게 의존한다.
specializing과 branches의 관계를 파악해 보아야 한다. branches는 전문화가 되어졌기
때문에, 즉 수동의 의미이므로 과거분사인 specialized가 사용되어야 올바른 문장이다.

115. I was (A)surprising (B)to hear the (C)news of your success and congratulate you
(D)on getting a prize.

(A) surprising -> surprised


나는 당신의 성공 소식을 듣고 놀랐으며 상을 받게 된 것에 대해 축하한다.
주격 보어 자리에 분사가 와 있는데 소식을 듣고 ‘기뻐하다’, 즉, 수동의 의미가 되므로
과거분사인 surprised를 써야 올바른 문장이다.

116. We,(A) having not (B)been to Toronto, (C)called at the police (D)at first.

(A) having not -> not having


토론토에 가본적이 없는 우리는 먼저 경찰을 불렀다.
주절 사이에 있는 분사 구문이 부정의 의미를 갖고 있다. 분사 구문을 부정할 때에는 분사구문
앞에 not이나 never와 같은 부정어를 붙여서 표현한다. 따라서 having not을 not having으로
바꿔야 적절한 표현이다.
117. The idea (A)that FBI is (B)an international agency (C)tracking criminals and
spies is pretty (D)amazed.
FBI가 범죄자나 스파이를 추적하는 국제 기관이라는 생각은 매우 놀랍다.
주어가 길기 때문에 동사를 잘 찾아야 한다. 주어는 The idea that FBI is an international
agency tracking criminals and spies이다. 동사는 amazed가 되는데 이 idea가 매우 놀라게
만드는 것이므로 능동의 의미인 현재 분사가 필요하다. 따라서 과거분사인 amazed를
과거분사인 amazing으로 바꾸면 적절한 문장이 된다.

118. If they needed to go to the hospital they had to walk, ------ was a long way.
(A) it
(B) that
(C) what
(D) which

(D)
그들이 병원에 가야 할 필요가 있으면 먼 길을 가야만 했다.
의미상으로 동사구인 had to walk가 선행사가 되므로 동사구를 선행사로 받을 수 있는
관계대명사 which가 필요하다.

119. A society has its important organs, ------ paralyzes the whole structure.
(A) the destruction of which
(B) of which destruction
(C) destruction of which
(D) to destroy which

(A)
사회는 중요한 기관들을 갖고 있으며 이것이 파괴되면 전체 구조를 마비시킬 수 있다.
its important organs가 선행사이다. 즉, 중요한 기관이 파괴라는 의미가 되야 하므로 정답은
(A)번이 된다. (C)번의 경우는 the가 없어서 틀린 표현이다.

120. Jack promised the award to ------ made the highest grades.
(A) whomever
(B) whichever
(C) whatever
(D) whoever
(D)
Jack은 가장 높은 점수를 얻은 사람에게 상을 주기로 약속했다.
상을 주겠다는 표현이므로 사람이 나와야 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일단 (B), (C)번은 제외된다.
made가 동사이므로 빈칸에는 주어가 들어감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주격인 whoever가 정답이
된다.

121. The process ------ a poem comes into being is very amazing.
(A) on which
(B) for which
(C) by which
(D) from which

(C)
시가 존재하게 되는 과정은 매우 놀랍다.
전치사를 결정할 때에는 선행사가 무엇인지를 우선 확인해야 한다. process는 과정이나 수단을
의미하므로 수단과 관계 있는 전치사 by가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122. Kelly is known to be the only one of the girls who ------ the bar exam.
(A) was passed
(B) has passed
(C) have been passed
(D) have been passing

Kelly는 사범 시험을 통과한 유일한 소녀로 알려져 있다.


선행사가 무엇인지를 파악해야 하는 문제이다. ‘the only one of +복수명사’ 구문에서는
관계절의 동사의 수가 단수로 간주된다. 따라서 정답은 (B)번이 된다. (A)번은 수동태
표현이므로 문맥상 어색하다.

123. ------ pollution control measures exist, many nations do not want to adopt
them.
(A) No matter
(B) Although
(C) However
(D) Even if

(C)
오염조절장치가 있더라도 많은 국가들은 이것들을 채택하기를 원치 않는다.
‘however+형용사+주어+동사’ 구문이다. 혹은 ‘no matter how+형용사+주어+동사’ 구문을
사용해도 된다. 해석은 ‘아무리 –하더 라도’ 라고 이해하면 된다.

124. This diamond ring will be too tight for you ------ finger you wear it on.
(A) whomever
(B) whatever
(C) what
(D) whichever

(D)
어느 손가락에 끼더라도 이 다이아몬드 반지는 너무 꽉 낄 것이다.
빈칸 다음에 명사가 나왔으므로 소유격 관계대명사나 관계형용사를 의심할 수 있다. 그렇다면
(B)번과 (D)번, 둘 중의 하나가 정답인데 whichever는 범위가 정해졌을 때 사용가능하므로
정답은 (D)번이 된다.

125. Who ------has read his great poems can forget their fascination?
(A) who
(B) that
(C) which
(D) whoever

(B)
그의 위대한 시를 읽은 사람 중 누가 이 시의 매력을 잊을 수 있을까?
선행사 자리에 의문 대명사가 들어갈 때에는 관계대명사 that만을 사용할 수 있다.

126. ------ comes first is the winner.


(A) Those who
(B) Anyone
(C) Somebody
(D) Whoever

(E)
가장 먼저 오는 사람이 승리자이다.
본동사가 두 번 나왔으므로 반드시 접속사가 필요함을 알 수 있다. 이 때 (A)는 those로 보아
복수인데 뒤에 단수를 받는 comes가 나왔으므로 답이 될 수 없다. 따라서 정답은 (D)가 된다.

127. Select such friends ------ will harm you.


(A) as
(B) that
(C) but
(D) if

(A)
당신에게 해가 되는 친구를 고르시오.
선행사 자리에 such가 나왔으므로 뒤에는 관계대명사 as가 나온다는 것을 쉽게 파악할 수 있다.
따라서 정답은 (A)번이 된다.

128. Peter asked me to lend him all the money ------ I had yesterday.
(A) which
(B) what
(C) that
(D) as

(C)
Peter는 어제 내가 가지고 있는 돈을 모두 빌려 달라고 요청했다.
선행사 자리에 부정 형용사인 all이 있으므로 뒤에는 관계대명사 that만이 올 수 있다. 선행사가
부정대명사 all, any, every, no가 나오는 경우나 의문대명사 who, what이 쓰이는 경우에는
관계대명사 that을 쓴다는 것을 기억해두자.

129. I sent wedding invitations to 20 people, ------ have replied.


(A) of whom only 2 of these
(B) only 2 of these who
(C) only 2 what
(D) of whom only 2

(C)
나는 20명에게 결혼 초대장을 보냈고 오직 2명이 응답했다.
그들 중에서 2명이 응답했다는 의미이므로 of whom이 나와야 한다. 따라서 정답은 (D)번이
된다.

130. Collin has no sense ------.


(A) wherever
(B) whatsoever
(C) whichever
(D) however

(D)
Collin은 전혀 센스가 없다.
whatever나 whatsoever가 부정어 뒤에서 수식하는 경우에는 강조의 역할을 하게 된다.

131. A movie is associated with the way a society ------ at another.


(A) being looked
(B) to look
(C) looks
(D) looking

(C)
영화는 사회가 서로를 바라보는 방식과 연관이 있다.
선행사 the way 앞에 관계부사 how가 생략된 형태이다. a society는 관계절의 주어이며 따라서
빈칸에는 본동사가 와야 한다. a society가 단수이므로 단수를 받는 looks가 정답이 된다.

132. Kelly (A)asked him (B)to give some chalk to (C)whomever of us boys (D)would
go down.

(C) whomever -> whoever


Kelly는 아래로 내려가는 남학생 중 누구에게나 분필을 가져다 달라고 부탁했다.
of us boys는 whomever를 꾸미는 수식어일 뿐이므로 주어 자리가 비어 있다는 것을 알아 채야
한다. 따라서 복합관계대명사는 목적격인 whomever가 아닌 주격 whoever가 쓰여야 한다.

133. Hairy leaves (A)help desert plants (B)to absorb (C)whichever moisture is (D)in
the air.

(C) whichever -> whatever


털이 많은 잎은 사막에 있는 식물들이 공기 중에 있는 어떤 수분이라도 흡수하도록 도와준다.
whichever와 whatever의 차이점을 묻는 문제이다. ‘어떤 것이라도’라는 의미로 사용되어
지는데 이 중에서 whichever는 범위가 주어지는 경우에 사용된다. 문장의 의미상 특정한 범위가
나오는 것은 아니므로 whichever를 whatever로 바꾸면 적절하다.

134. (A)Some sociologists (B)see Capitalism (C)as the result of the political system
we (D)live.
(D) live -> live in
몇몇 사회학자들은 자본주의를 우리가 사는 정치 체계의 결과물로 본다.
system과 we 사이에 목적격 관계대명사가 생략되어 있다는 것을 먼저 파악할 수 있어야 한다.
목적 관계대명사가 오기 위해서는 관계절의 목적어 자리가 비어 있어야 한다. 하지만 live는
자동사이므로 목적어를 취할 수 없다. 따라서 전치사 in을 넣어야 적절하다.
135. Many things, (A)with which her friends would (B)never have been conscious,
(C)made her (D)angry.

(A) with -> of


그녀의 친구들은 의식하지 못한 많은 것들이 그녀를 화나게 했다.
관계대명사 앞에 전치사가 나왔을 때는 반드시 주의를 기울일 필요가 있다. 이 경우에는
conscious가 단서가 된다. be conscious of라는 숙어를 알고 있다면 of가 문장에 빠져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with를 of로 바꾸면 올바른 문장이 된다.

136. The (A)incidence (B)of which is now (C)referred to as Plasma action is (D)quite
high these days.

(B) of which -> of what


요즘에는 플라즈마 활동이라고 불리는 것의 발생률이 흔하다.
which가 받는 것이 무엇인지 파악할 수 없는 문장이다. 따라서 –‘하는 것’이라는 의미의 what이
of which 자리에 들어가면 ‘플라스마 활동이라 불려 지는 것’이라는 의미가 되어 문맥상
자연스러워진다. 따라서 정답은 (B)번이 된다.

137. (A)According to the recent (B)estimates, Toronto has (C)more than 500,000
Spanish-speaking people, of (D)who about 20,000 are Mexicans.

(D) who -> whom


최근 조사에 따르면 토론토에는 500,000명이 넘는 스패인어 구사자들이 있으며 이 중에서
20,000명은 멕시코 사람들이다.
of는 전치사이다. 전치사 뒤에는 반드시 목적격이 와야 한다. 따라서 who가 아니라 whom이
정답이 된다.

138. The director (A)was advised to (B)give the project to (C)whomever (D)he
believed had the courage.

(C) whomever -> whoever


이 담당자는 용기 있는 자에게는 누구라도 이 프로젝트를 주라는 충고를 받았다.
he believed가 삽입절이라는 사실을 알아야 문제를 풀 수 있다. 삽입절은 해석상 무시할 수
있으므로 had가 동사이며 주어 자리에는 whomever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주어 자리에는
목적격 관계대명사 whomever가 올 수 없으므로 주격인 whoever로 바꿔야 올바른 표현이 된다.
139. (A)Thousands of wildlife refuges (B)are in Canada to provide animals (C)with
safe place which to (D)live.

(D) live -> live in


캐나다에는 동물들에게 살 수 잇는 안전한 곳을 제공하기 위해 수천개의 야생 동물 보호구역이
있다.
문장 맨 뒤에 있는 place와 live의 관계를 파악해야만 풀 수 있는 문제이다. 의미상으로 live의
목적어는 place가 되야 한다. 하지만 live는 자동사이므로 뒤에 목적어가 올 수 없다. 따라서 live
를 live in으로 바꾸면 뒤에 목적어가 올 수 있으므로 적절한 문장이 된다.

140. It is (A)crucial for the government that (B)people think (C)are useless (D)to
solve this problem.

(C) are -> is


사람들이 쓸모없다고 믿는 정부가 이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중요하다.
people think가 삽입절이라는 것을 먼저 볼 수 있어야 한다. 그렇다면 government가
선행사이고 that은 주격 관계대명사가 된다. 선행사가 the government, 즉 단수이므로 뒤에는
are가 아니라 is가 나와야 한다. 따라서 정답은 (C)번이 된다.

141. One of the most famous singers of Canada (A)was Shania Twain, (B)her songs
are (C)still (D)being played.

(B) her -> whose


캐나다의 가장 유명한 가수 중 한 명은 Shania Twain이다. 그녀의 노래는 아직까지도
연주되어진다.
본동사가 두 번 나왔으므로 접속사가 필요한데 이 문장에서는 보이지 않는다. 이 문장에서 her는
Shania Twain을 받고 있으므로 접속사+대명사의 역할을 할 수 있는 관계 대명사를 써야
적절하다. 대명사가 소유격이기 때문에 소유격 관계대명사인 whose로 바꾸면 적절한 문장이
된다.

142. Ideas of philosophy (A)are very important in (B)everyone’s thinking


(C)regardless of (D)whatever one thinks of oneself as a philosopher.

(D) whatever -> whether


자신을 철학자라고 생각하든, 생각하지 않든 철학적인 사고는 모든 사람의 사고에 매우 중요하다.
what은 복합관계대명사이므로 관계절의 구조가 불완전해야 한다. 하지만 완전한 절이
나왔으므로 whatever를 사용할 수 없다. 의미상 ‘-하든, 혹은 하지 않든’ 이라는 뜻이므로
whether가 더욱 적절하다.
(D) whatever -> whether

143. (A)The police (B)has found the body of a man (C)who they believe to (D)be the
victim.

(C) who -> whom


경찰은 희생자라고 믿는 사람의 시신을 발견했다.
‘believe+목적어+to be+보어’ 구문이므로 believe 뒤에 목적어가 빠져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목적격 whom을 주격인 who로 바꿔야 올바른 문장이 된다.

144. Jackson invented (A)another (B)kind of microscope (C)which he installed mirrors


(D)in place of lenses.

(C) which -> in which


Jackson은 렌즈 대신에 거울을 설치한 또 다른 종류의 현미경을 발명했다.
which라는 관계대명사가 나왔으므로 관계절의 구조가 불완전해야 하는데 이 문장은 완전하다.
따라서 관계부사나 전치사+관계대명사 형태가 나와야 한다. 현미경 안쪽에 거울을 설치한다는
의미이므로 ‘안쪽에’ 해당하는 in이 들어가면 적절한 문장이 된다.

145. (A)No matter (B)how crises of the moment (C)dominate the headlines, the
nuclear weapon is (D)the most critical problem.

(B) how -> what


현시점의 어떤 위기가 신문머리기사를 장식하던지 간에 핵무기가 가장 중요한 문제이다.
No matter how 뒤에는 형용사, 혹은 부사가 나와야 하는데 crises라는 명사가 나왔다. 따라서
어색한 문장이다. ‘어떤 위기가 신문머리기사를 장식하던지 간에’ 라는 의미가 되기 위해서는 no
matter what, 혹은 whatever가 적절하다.

146. Taxidermy is the skill of (A)preserving animals that (B)they look (C)as they did
(D)when they were alive.

(B) they 삭제
박제술은 살아 있었을 때처럼 보이게 동물들을 보전하는 기술이다.
관계대명사 that이 나왔는데 뒤에 동사 look이 나와 있는 것으로 보아 주격 관계대명사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they를 빼주면 적절한 문장이 된다.
147. The Karisad Indian leader was (A)one of the few Indian leaders (B)whose
(C)helped Europeans to migrate (D)westward.

(B) whose -> who


Karisad 인디안 추장은 유럽인들이 서쪽으로 이동하는 것을 도와준 몇몇 인디안 추장 중 한
명이었다.
helped가 동사이므로 앞에 주격 관계대명사가 들어가야 하는데 소유격 관계 대명사인 whose가
들어가 있다. 따라서 주격관계대명사인 who로 바꿔야 올바른 문장이 된다.

148. (A)Under the condition of slavery, (B)which Blacks were not paid properly, there
(C)was not any (D)need to work diligently.

(B) which -> in which


흑인들이 적절하게 돈을 받지 못하는 노예제도 조건 하에서는 열심히 일할 필요가 없었다.
관계대명사 which가 나왔으므로 관계절의 구조가 불완전해야 하지만 이 문장은 완전하다.
따라서 관계부사, 혹은 전치사+관계대명사로 바꿔야 한다. which를 in which로 바꾸면 적절한
문장이 된다.

149. (A)No one (B)is allowed (C)except (D)them who have an ID card.

ID 카드가 있는 사람을 제외하고는 누구도 허락되지 않는다.


관계대명사 who 앞에 있는 선행사로 them이 쓰이고 있는데 선행사 자리에는 대명사 they나
them이 쓰일 수 없으므로 those로 바꿔야 한다.

150. (A)Whoever (B)investigated this building (C)should have put (D)their


identification card on the box.

(D) their -> his or her


빌딩을 조사한 사람이라면 누구나 상자안에 ID 카드를 넣어 두어야 했었다.
복합관계대명사 whoever는 반드시 단수 취급을 한다. their는 복수를 받으므로 적절치 않다.
따라서 their를 단수 형태인 his 혹은 her로 바꿔야 한다.

151. The researcher (A)feels sure that (B)who wins the race (C)will have (D)the
support of Canadians.

(B) who -> whoever


연구자는 경주에서 이긴 사람은 캐나다인들의 지지를 받을 것이라고 확신했다.
who 앞에 있는 that은 who의 선행사가 아니라 명사절을 이끄는 접속사로 사용되고 있다.
따라서 이 문장에서는 선행사가 없는 형태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선행사가 필요없는
복합관계대명사 whoever로 바꾸어 주면 올바른 문장이 된다.

152. We had to wait to get our passport, ------?


(A) didn’t we
(B) couldn’t we
(C) don’t we
(D) shouldn’t we

(A)
had to는 조동사가 아니라 일반동사로 간주된다. 따라서 부가 의문문을 만들 때에는 didn’t를
사용한다.

153. ------ seat belts save our lives has been proven in many studies.
(A) There are
(B) The
(C) In that
(D) That

(D)
안전벨트가 우리의 생명을 구해준다는 것은 많은 연구결과 증명되었다.
save와 has been proven이라는 두 개의 본동사가 있으므로 접속사가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명사절을 이끄는 접속사 that이 나오면 적절한 문장이 된다.

154. Let me see the picture, ------?


(A) don’t you
(B) will you
(C) let me
(D) shall we

(B)
사진 좀 보여 주세요.
let이 사용되는 일반적인 명령문에서는 부가의문문으로 will you를 사용한다. let’s로 시작하는
제안 명령문에서는 shall we가 사용된다는 것도 기억해두자.
155. ------ that power is used well or ill rests on his decision.
(A) Whether
(B) If
(C) Those
(D) How

(A)
권력이 올바로 쓰일지 아니면 잘못 쓰일지는 그의 결정에 달려 있다.
or가 나오기 때문에 쉽게 whether를 의심해 볼 수 있다. whether – or 구문의 의미는 ‘-이든지,
혹은 –이든지’의 의미이므로 해석상으로도 맞아 떨어진다.

156. ------ acceptance of photograph as a work of art, many museums today house
collections of photographs.
(A) With
(B) But
(C) For all
(D) The

(A)
사진이 예술작품으로 인정됨에 따라 오늘날 많은 박물관은 사진 작품집을 소장하고 있다.
주절 앞에 명사구가 나와 있는데 문맥상 주절의 주어인 many museums의 동격이 아님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명사구 앞에 전치사를 집어 넣어야 한다. 해석상 ‘-함에 따라’ 의 의미이므로 (A)
번의 with가 적절하다.

157. Let’s keep the heater on ------ the temperature drops below zero.
(A) unless
(B) in case
(C) whatever
(D) in that

(B)
온도가 영하로 내려가는 경우에 대비해서 난방기를 틀어 놓자.
해석상 ‘-하는 경우에 대비해서’라는 의미이므로 in case가 적절하다. in case 뒤에는 주어와
동사, 즉 절이 나온다는 것도 기억해 두자.
158. ------ the poet wrote the book describing the beautiful sky is still unknown to
any of Canadians.
(A) Because
(B) Though
(C) Through
(D) When

(D)
언제 시인이 아름다운 하늘을 묘사하는 책을 썼는지 캐나다인 중 누구도 알지 못한다.
본동사가 두 개, wrote와 is가 있으므로 접속사가 필요하다. 명사절을 이끄는 접속사가 필요한데
이 경우에는 that과 의문사가 사용될 수 있다. that은 보기 중에 없으므로 의문사인 when이
정답이 된다.

159. The scientific study of the property of stars ------ astronomy.


(A) called
(B) calls
(C) are called
(D) is called

(D)
별의 특성을 과학적으로 연구하는 것을 천문학이라 한다.
‘call+목적어+목적보어’ 형식이 수동태로 바뀐 문장이다. 주어가 사물이라는 점을 생각한다면
쉽게 판단할 수 있다. 주어가 the scientific study, 즉 단수이므로 단수를 받는 동사인 is called
가 나와야 올바른 문장이 된다.

160. The behavior of gases is explained by ------ the kinetic theory.


(A) what they call
(B) what do they call
(C) they call what
(D) they call it

(A)
기체의 움직임은 소위 열운동 이론에 의해 설명된다.
본동사가 두 개 있으므로 접속사가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간접의문문의 형식이므로 (A)
번이 정답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혹은 ‘소위’라는 뜻의 숙어가 what they call이나 what is
called라는 것을 알면 더욱 쉽게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161. I do not know ------ it.
(A) how did she do
(B) how did she
(C) how she did
(D) how has done she

(C)
나는 그녀가 그것을 어떻게 했는지 모르겠다.
know가 타동사이며 뒤에는 간접 목적어가 나온다는 것을 염두에 둬야 한다. 간접 의문문의
순서는 ‘의문사+주어+동사’ 이다. 따라서 정답은 (C)번이 된다.

162. The fact that the word synergy is unknown shows ------ ignorant humanity as
yet is.
(A) that
(B) much
(C) to
(D) how

(D)
협력작용이라는 단어가 잘 알려져 있지 않다는 사실은 인류가 아직까지 얼마나 무지한지를
보여주는 것이다.
‘how+형용사/부사+주어+동사’ 구문을 기억한다면 쉽게 풀 수 있는 문제이다. humanity와 is
사이에 있는 as yet은 아직까지라는 의미이다. 즉, humanity가 주어이며 is가 동사라는 것을
파악할 수 있어야 한다. 따라서 정답은 (D)번이 된다.

163. It is the first time that the Prime Minister has been to Korea, ------?
(A) isn’t she
(B) hasn’t she
(C) isn’t it
(D) hasn’t it

수상이 한국을 방문한 것을 처음입니다. 그렇죠?


has를 동사로 보고 부가 의문문을 (D)번으로 생각해서는 안된다. that이하는 종속절이므로
무시해야 하며 앞에 있는 주절에 일치시켜야 한다. 즉, 동사는 is가 되므로 부가 의문문은 isn’t it
이 적절하다.
164. I wonder ------ to purchase these expensive programs.
(A) how does she manage
(B) she manages
(C) does she manage
(D) how she manages

(D)
나는 어떻게 그녀가 이 비싼 프로그램들을 구입했는지 의아스럽다.
본동사가 두 개이므로 접속사가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A)번과 (C)번 중의 하나가
정답인데 간접의문문이므로 ‘의문사+주어+동사’의 순서인 (D)번이 정답이다.

165. The conference is not over yet, but we can leave now, ------?
(A) can we
(B) we can’t
(C) can’t we
(D) won’t we

(C)
회의는 아직 끝나지 않았지만 그래도 지금 떠날 수 있습니다. 그렇지 않나요?
등위접속사로 연결된 절이 두 개 있다. 이 경우에는 뒤 쪽에 있는 동사에 맞춰서 부가 의문문을
만들어야 한다. is에 맞춰서 isn’t it을 정답으로 고르는 실수를 하면 안된다. 정답은 can’t we가
된다.

166. They are living in fear ------ the earthquake should break upon them suddenly.
(A) while
(B) for
(C) lest
(D) least
(E) with

(C)
그들은 갑자기 지진이 그들에게 닥치지 않을까 두려움을 느끼며 살고 있다.
해석상 ‘-하지 않을까 걱정스러워’의 의미이므로 lest –should 구문을 사용해야 한다. 이 구문은
‘-하지 않도록’이라는 의미로도 사용되므로 확실하게 알아 두도록 한다.
167. A device called a laser ------ through metal and other materials easily.
(A) to cut
(B) cutting
(C) will be cut
(D) cuts

레이저라고 불리는 장치는 금속과 타 물질을 쉽게 자른다.


a device called a laser는 레이저라고 불리는 장치로 해석이 되어지므로 본동사가 없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동사로 사용할 수 있는 (D)번이 정답이 된다. (C)번의 경우는
수동태이므로 해석상 적절하지 않다.

168. Malaria, which can be fatal, is transmitted by the female, ------ by the male,
mosquito.
(A) however
(B) not
(C) but
(D) whether

(B)
치명적인 말리리아는 수컷 모기가 아닌 암컷 모기에 의해 전염된다.
해석상 ‘수컷이 아닌 암컷’이라는 의미이므로 ‘not A but B’ 구문이 적절하다. 이 문장에서는
‘not A but B’ 대신에 ‘B, not A’ 구문이 사용되었다. 따라서 정답은 (C)번이 된다.

169. ------ have an opportunity to meet the king.


(A) Until then did not I
(B) Until I then did not
(C) Not until then did I
(D) Not until then I did

(C)
그 때가 되어서야 비로서 왕을 만날 기회가 생겼다.
not until이 문두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동사와 주어의 위치가 바뀐다. 따라서 정답은 (C)번이
된다.

170. ----- number of different sorts of corrosion, depending on the types of metals.
(A) A
(B) It is a
(C) That a
(D) There are a

(D)
금속의 종류에 따라 많은 서로 다른 종류의 부식 작용이 존재한다.
depending on the types of metals는 분사구문이다. 따라서 주절에는 동사가 없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보기 중에 동사가 들어가는 (B)번과 (D)번 둘 중의 하나가 정답인데, a number of는
복수로 취급하므로 정답은 (D)번이 된다.

171. Reading is to the mind ------ food is to the body.


(A) when
(B) what
(C) like
(D) so

(B)
독서와 마음의 관계는 음식과 육체의 관계와 같다.
‘A is to B what C is to D’ 구문이다. 즉, A와 B의 관계는 C와 D의 관계와 같다라는 의미가
된다. 따라서 정답은 (B)번이다.

172. ------ will win the game?


(A) Whom do you think
(B) Do you think who
(C) Who do you think
(D) Who you think

(C)
누가 경기에 이길 것 같습니까?
‘의문사+do you think+주어+동사’ 구문이다. Who will win the game? 이라는 문장에 do
you think라는 부분이 삽입된 문장으로 보면 된다.

173. I have no idea ------.


(A) what does this word mean
(B) what this word means
(C) what the meaning of this word
(D) what this word meaning
(B)
이 단어가 무엇을 의미하는지 모르겠다.
간접의문문이므로 접속사+주어+동사 순서가 되야 한다. what이 접속사, this word가 주어,
means가 동사이다. 참고로 (C)번의 경우는 동사가 없어서 답이 될 수 없다.

174. It was Paul’s driving ------ bothered everyone.


(A) when
(B) that
(C) from where
(D) as

(B)
모든 사람들을 괴롭혔던 것은 바로 Paul의 운전이다.
it – that 강조구문이라는 것을 파악해야 한다. 강조 구문에서는 접속사로 that, who, which를
제외하고는 사용할 수 없다. 따라서 정답은 (B)번이 된다.

175. Have a cup of tea, ------?


(A) would you
(B) should you
(C) haven’t you
(D) won’t you

명령문에 대한 부가의문문은 관용적으로 will you를 사용한다. 하지만 ‘권유’하는 의미가 있을


경우에는 won’t you를 쓴다. 차를 마시라는 것은 권유의 의미이므로 정답은 (D)번이 된다.

176. The director (A)discussed the effect (B)it was (C)having on (D)the both
employer and employee.

(D) the both -> both


담당자는 이것이 고용주와 피고용자에게 미치는 영향력에 대해 토론을 했다.
both는 앞에 the를 붙일 수 없으므로 정답은 (D)번이다. 참고로 (A)번의 discuss는
타동사이므로 전치사가 필요없으므로 맞는 표현이다. discuss about라는 표현은 틀리다는 것을
기억하자.

177. She asked the assistant (A)that he could (B)give her (C)a wake-up call (D)at
seven o’clock in the morning.
(A) that -> if or whether
그녀는 비서에게 아침 7시에 전화로 깨워달라고 부탁했다.
ask가 ‘부탁’의 의미가 되는 경우에는 목적어 자리에 that절이 올 수 없고 반드시 의문사절이나
whether절, if절이 와야 한다. 따라서 문맥상 that을 if나 whether로 바꾸면 올바른 문장이 된다.

178. (A)The more I (B)listen to Paul Jones, (C)the more I am convinced (D)of he is
one of the greatest singers in Canada.

(D) of -> that


Paul Jones 의 음악을 들으면 들을수록 그가 캐나다에서 가장 위대한 가수라는 확신이 든다.
of 뒤에 he is one of the greatest singers in Canada라는 절이 나왔으므로 틀린 문장이다. of
뒤에는 반드시 명사가 나오면 절을 받기 위해서는 that을 사용해야 한다. 따라서 of를 that으로
바꾸면 올바른 문장이 된다.

179. It is (A)not known when (B)did the first Europeans arrived in American, but
(C)where that event occurred (D)is obvious.

(B) did 삭제
언제 최초의 유럽인들이 아메리카 대륙에 도착했는지는 알 수 없다. 하지만 어디에 도착했는지는
분명하다.
간접의문문은 ‘의문사+주어+동사’의 순서로 되어 있어야 하는데 이 문장에서는 의문사 when
옆에 동사 did가 나와있으므로 틀린 문장이다.

180. If anyone (A)should know what it is really (B)likely (C)inside the company, it is
the people (D)who work there.

(B) likely -> like


회사 내부 사정이 어떤지 아는 사람이 있다면 바로 그 안에서 일하는 사람들이다.
what –like 표현을 알고 있다면 쉽게 풀 수 있는 문제이다. what – like는 how와 같은
의미이다. 따라서 likely는 like로 바꾸면 옳은 문장이 된다.

181. (A)It was Jane who first (B)suggested that (C)as trees grow, (D)add a fruit .

(D) add -> they add


나무가 성장함에 따라 열매가 생긴다고 제안한 사람이 바로 Jane이다.
동사 add에 대한 주어가 없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주어는 trees를 받아 they 정도로 하면
적당하다. 따라서 정답은 (D)번이 된다.
182. Little (A)known about this attempt (B)until Collin (C)passed on (D)available
information.

(A) known -> was known


Collin이 유용한 정보를 건제 주기 전까지는 이 시도에 대해서 알려진 바가 없었다.
접속사 until 앞까지가 주절인데 본동사가 없다는 것을 알 수 있다. little이 주어이며 과거분사
known이 쓰였으므로 앞에는 be 동사가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passed가 과거형이므로
시제를 일치시켜 was가 나오면 올바른 문장이 된다.

183. The reason (A)that Phil, the great basketball player, was on the plane was
(B)because he was (C)on his way (D)home.

(B) because -> that


위대한 농구 선수인 Phil이 비행기에 있었던 이유는 그가 집에 가는 도중이었기 때문이다.
‘the reason is that+절’ 구문만 알고 있다면 쉽게 풀 수 있는 문제이다. ‘the reason is
because+절’은 무조건 잘못된 표현이다.

184. The southwest winds of the Pacific (A)they were used (B)by people (C)traveling
from Europe (D)to India.

(A) they 삭제
태평양의 남서풍은 유럽에서 인도로 여행하려는 사람들이 사용했다.
The southwest wind of the Pacific이 주어인데 뒤에 대명사 they가 나와 있다. 서로 동격
관계가 성립 되지 않으므로 대명사 they는 필요 없다는 것을 알 수 있다.

185. Jazz (A)includes (B)not only swing (C)also Dixieland, bebop and (D)progressive
jazz.

(C) also -> but also


재즈는 스윙 뿐 아니라 딕시랜드, 비밥, 프로그레시브 재즈도 포함한다.
‘not only A but also B’ 구문이다. ‘A뿐 아니라 B도’ 라는 의미로 주의할 점은 also는 생략
가능하나 but은 생략할 수 없다는 점이다.
186. The condition (A)in Canada (B)which most (C)affecting manufacturers is
(D)labor supply.

제조업자들에게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캐나다의 조건은 인력공급이다.


which가 관계대명사이므로 두 개의 본 동사가 있어야 한다. 이 문장에서는 본동사가 하나 밖에
없으므로 하나를 더 만들어 줘야 한다. 따라서 affecting을 affect로 바꾸면 올바른 문장이 된다.

187. (A)The actual quantity of vitamin (B)is required (C)in the weekly diet is (D)not
known.

(B) is 삭제
주당 식사에 요구되는 비타민의 실질량은 알려져 있지 않다.
접속사가 없는데 본동사가 두 개 있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접속사가 필요하다. 관계대명사
which나 that을 삽입하거나 아니면 ‘관계대명사+be동사’는 생략할 수 있으므로 is를 삭제해
줘도 된다.

188. Mr. Jones (A)called (B)to find out where (C)was the conference (D)being held.

(C) was the conference -> the conference was


James씨는 어디에서 회의가 열리는지 알아보기 위해서 전화했다.
간접 의문문이므로 ‘의문사+주어+동사’ 순서가 되야 한다. where가 의문사이므로 the
conference와 was의 위치가 도치 되야 한다.

189. Some scientists (A)believe (B)what sleeping (C)affects how one feels
(D)emotionally and physically.

(B) what -> how


몇몇 과학자들은 수면이 정서적으로, 그리고 육체적으로 사람이 느끼는 방식에 영향을 준다고
믿는다.
의문대명사 what이 나와 있는데 이 때 what이 이끄는 절은 불완전해야 한다. 주어인 sleeping
과 목적어로 나오는 how one feels emotionally and physically 부분이 완전하므로 what을 쓸
수 없다. 따라서 what을 that으로 바꿔야 한다.

190. Some researchers (A)have already (B)predicted (C)that the (D)next Prime
Minister will be.

(C) that -> who


몇몇 연구원들은 다음 수상이 누가 될지 이미 예상하고 있다.
타동사 predicted 뒤에 명사절 that이 나와 있다. that절은 반드시 완벽해야 하는데 will be 뒤에
주격 보어 자리가 비어 있으므로 완벽한 문장이 아니다. 따라서 완벽한 문장이 되기 위해서는
that을 who로 바꾸면 문맥상으로도 어울리며 문법상으로도 오류가 없다.

191.

시제파트

1. There ------ four accidents at this intersection in the last two months.
(A) have been
(B) will be
(C) were
(D) has been

(A)
지난 두 달 동안 이 교차로에서 4건의 사고가 있었다.
in the last two months는 시간의 개념으로 ‘계속’의 의미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완료 시제가
와야 한다. 유도 부사 there 뒤에 있는 동사는 주어인 four accidents와 일치시켜야 하므로 has
been 이 아니라 have been이 되어야 정답이 된다.

2.
A: Did you remember to give Cory the book?
B: Yes. ------ I saw her, I remembered.
(A) While
(B) The moment
(C) Suddenly
(D) For

(B)
Cory에게 책을 주어야 하는 것을 기억하십니까?
예, 그녀를 본 순간 기억이 났습니다.
‘the moment S+V’ 구문의 의미가 ‘-하자마자’라는 것을 알고 있다면 쉽게 풀 수 있는 문제이다.
the instant S+V 구문도 같은 의미이다.
3. Prior (A)to the (B)1700’s, students (C)have received (D)little formal training in the
school.

(C) have received -> had received


1700년대 전에는 학생들이 학교에서 정식 훈련을 거의 받지 못했었다.
1700년대는 과거인데 prior to, 즉 그 이전이므로 ‘-을 해 왔었다’의 의미를 가지는 과거완료
시제가 필요하다. 따라서 have received를 had received로 바꿔야 올바른 문장이 된다.

4.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