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심7

You might also like

You are on page 1of 15

나도 안되는데~

남에겐 하라고 한다

돌고 도는게 고수니라~
내차레도 올지 모르겠다~
건배~

나도 남에겐 하라한다
주식은 ~
싸게 산다~

이것만 되면 일단 손실은 대부분 안본다.


안잡힌 물량은 주문을 취소하고 후일을 본다

강한 상승이 예상되는 흐름이면 상승초기 조정음봉을 노려서


그때 추가물량을 늘이면 된다.

약한 흐름이면 타 종목을 또 싸게 받추면 된다.


매수시 가지는 마음은 주면 좋고 안주면 그만이고
이런 마음 가짐으로 주문을 넣어야 한다

절대 보유 하려는 욕심이 앞서면 추격 매수가 되어


당일 손실로 보유하고 넘어가는 결과가 나온다.

이것만 일단되면 매도는 고점매도나 중간이냐


수익크기의 차이일뿐 손실은 안본다.

가능한 바닥 횡보권 이면 전일 밑꼬리 부분을 노려라


꼬리 안다는 종목은 없다~

상승이 아닌 바닥권 횡보구간은 당일 꼬리가 대부분


전일 꼬리 부분을 침범 하는경우가 많다

돌파후 눌림시 지지저항이론 지점 .


눌림목에서 이평선 지지시
밑꼬리음봉.작은도찌.양봉 첫출현 등
바닥징조가 보이면 그때부터 접근 한다던지

상승초기로 들어가면 저가를 높이므로 5 일선 가격부근을 등등~


그당시 챠트 모습에서 핵심을 찾아서
싸게 주문해야 한다

주문가는 얼토 당토 안해도 좋다
그래도 잡힐수 있는게 주식이다.

기준점에서 5 호가 정도 분할로 아래로 깔아보자.


밑꼬리 체결되고 말아 올리면 음봉 이라도 종가로 수익 보유이다
실천한다

아무리 많은 좋은 기법을 알고 있어도


지식이 풍부해도
행하지 않으면 내것이 될수 없다

한두번 해보고 또 다른 매매법을 기웃거리는 것이 아니라


하나의 매매법을 수정해 나가며 확률을 높혀야 한다

매매시 필히 기준을 세워 그것을 실천하고 수정해 나가는 작업을


지속해야 완전한 자신의 매매법이 되 는것이다
기법이란 누구나 다아는 눌림목 하나만 해도 매매 하는데 지장이 없다

하나의 기법에 필승의 대응법을 만들어야 한다

진입시/손절시/매도시 각 단계에서 기준이 세워져야 한다

예를 들어 1 정 1 흑 이라면~

챠트에서 음봉의 모양새 양봉과 위치.거래량등 좋은 모습을 알아야


좋은 종목을 가릴수 있으며

진입시 어떤 기준을 정해서 그 기준이 도달시 버튼을 눌러야 한다

음봉 다음날 매매를 한다면 그 기준은 1 정의 종가를 돌파시 매수한다 등~


기준을 세웠으면 이를 실천할때~
매매다운 매매가 되고 수정해 나감으로
확률높은 기법을 만들어 가는 것이다

진입의 기준이란 아닐때는 손절의 기준으로 변하는 경계점이라 필히


기준을 가지고 진입을 해야 손절또한 자연스럽게 이루어 진다.

그냥 붉은 색에 사고 보자 이런 매매를 한다면
기준점이 없기에 빠른 손절또한 행하기 힘든다
빠져도 그냥 구경만 하는 결과가 나타난다

큰 흐름은 10 년전 이나 지금이나 똑같은 흐름을 반복하고 있다~


즉.가는 길이 대부분은 정해져 있다는 것이다.

다만 어려운 것은 정해진 길을 이탈하는 소수의 그들이 있기에


내가 산 종목이 못갈수 있다는 것이다

아래로 흐르든 물이 인공으로 끌여 올리면 위로 올라가듯~


소수의 그런 종목도 있다
역배열에서 정배열 전환시 순차작으로 이평이 따라 배열 전환되어
고점이되고
다시 역배열로 차레로 이평들이 따라간다.

그 흐름속에 중간 중간 맥점은 필히 존재한다.


한 종목을 지속 매매한다면 수익내는 확률이 높아진다
왜 그럴까~
그런 원리를 알아차려 길목에 기다릴수 있기 때문이다

흐름은 변하지 않는다.


아직도 물이 아래로 흐르듯
주식의 원리도 그러하다
.

60 틱에서~

중요시점 해결사는 항상 그들이 들어와서 해결한다.


빵 ~한방의 기둥이면 주가는 돌파된다.
한방의 거금이 투입된 그들의 몸통은 지켜야 한다

아무리 개미가 많다지만 그들의 힘을 당하진 못한다


간보기~

돌파전 그들은 고점물량 테스트를 거친다


돌파할듯 쳐보고 나오는 매물도 체크하여 눌림목 조정기간을 조정할
것이다

앞전 1 차상승한 고점이 있다면


이후 신고가 시도시는 필히 그 고점을 터치하는 또하나의 나란한 고점을
만든다.
신고가는 새로이 만들어진 2 번째 고점을 돌파하는 3 번째 순간이
될것이다

신고가 종목은 대부분 일봉상 20 일선을 깨지않고


지속 상승한다~
20 일선 눌림 이라면 이들에겐 깊은 눌림에 속한다

이것을 깬다면 당분간 횡보조정 구간으로 접어 든다고 봐야할것이다


다소 힘이 딸리는 종목 이라면 챠트를 그려가는 것이 어지러워 지기에~
깨는 경우도 종종 나타난다.

강한 종목일수록 10 선을 지지바탕으로 상승하면서


종종 20 선 깊은 눌림을 주는 형태가 많다

재료가 좋은 강한 종목이라면 이런 성질을 이용하면


20 일선은 좋은 진입의 길목으로 작용할수있다

아래 예시한 종목이 그렇다는것이 아니고


설명용으로만 보시길 바랍니다.

지지와 저항작용을 이용하면 눌림목 매매시


해당종목의 진입시기를 가격을 개략 예상하기가 쉽다~
종목에 따라 지지선이 다소 다르지만~
기본은 지지저항 작용이다

모 종목이 바닥구간을 돌파하는 흐름이 나온다면


눌림목 매매자라면
1 차 돌파한 지점까지 다시 내려오길 기다려야 할것이다

이런 예측은 기본 원리에 의한 예측 이므로 통밥과는 다르다


바로 매수가격.
즉 저가매수와 연결되는 부분이다

안오면 말고 예상대로 오면 매수하면 된다


어떤 종목은 지지선까지 안내려오고
이평선 10 일선 또는 20 일선에서 지지캔들이 나올수있다

그때는 그 지지캔들 모양이 바닥을 만드는 캔들이 나온다면


그 부분에서 진입을 고려해야할 것이다.

그 지지캔들 모습으로 주로 10 일선 또는 20 일선에 음봉에 제법긴


밑꼬리캔들 망치형
또는 작은 십자 도찌캔들(방향전환을 알리는 캔들).또는 작은 양봉이
첫출현하는 시기
등으로 눌림목 바닥완성시 나타난다.
지지저항을 이용한 지지선부분과
세력가를 이용한 지지선 예측을 비교해본다

지금 고가권 지지선으 ㄹ아직은 지키는 중이나 만약


이탈시는 아래와같이 내려올수있다

지지선 에상가격 2825 정도이구


분챠트에서 세력가 를 분석해보면 2815 원선이다~

개략 2820 정도에서 진입시기를 기다려 볼수있다

아닐땐
진입을 유보하고 또 진입했다면 대응이 남아있다

이 부분은 어디까지나 공부하기 위한 예시 종목이니~


공부용으로 만 보세요~

일봉상 지지선 예상 )

분봉상 세력가 파악)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