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300

청 소년을

미래교육원 2021-48

청소년을 사로잡는 진로 디자인


사 로잡는
진 로 디자인2
청 소년을
사 로잡는
진 로 디자인2 2
미래교육원 2021-48

청 소년을
사 로잡는
진 로 디자인2
일러두기
❶ (취지) 2015 개정 교육과정 적용에 따라 진로와 적성에 맞는 분야를 찾은 후 개인별 학업 계획서를 작성
하는 과정에서 계열과 학과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이 자료를 제공합니다.

❷ (내용) ‘청사진2’ 자료에는 기존 2020년 제공된 ‘청사진’ 자료에 14개 학과가 추가되었고, 277개 새로운
영상과 수정·보완한 447개 영상이 소개되어 있습니다. 계열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한 계열 정보(계열
특성, 계열 구성, 관련 학과, 교육 내용, 관련 직업 및 직업 동영상 QR코드)와 학과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한 학과 정보(학과 특성, 관련 역량, 고교 관련 과목, 관련 도서, 학과가 개설된 서울과 부산 지역 대학,
졸업 후 진로, 학과 정보 동영상 QR코드)가 정리되어 있습니다. 또한 동영상은 재생 시간을 안내하였고
웹페이지는 TEXT로 표시해서 활용도를 높였습니다. 그리고 각 학과별 일반 선택 과목과 진로 선택 과목도
재정비하였습니다.

❸ (활용)
- 학생들이 자신의 관심 분야에 해당하는 계열 특성과 관련 전공을 이해하는 데 도움을 받을 수 있는 자료
입니다.
- 진로와 연계한 진학을 위해 준비하는 과정에서 적성과 흥미에 맞는 직업 탐색/학과 탐색/과목 선택의
과정을 자료를 활용해 탐색해 봄으로써 합리적인 과목 선택과 학업 계획을 작성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
습니다.
- 직업 영상과 학과 영상을 통해 관심 정보를 생생하게 탐색해 볼 수 있도록 커리어넷, 워크넷, 대학에서
제작한 영상 등을 선별하여 QR코드와 URL주소로 안내해 두었습니다.

❹ (유의점) 이 자료는 2021년 5월을 기준으로 시도별 교육청과 커리어넷, 워크넷, 대학에서 발표된 자료
등을 참고하여 제작하였음을 미리 알려 둡니다. 또한 학과별 선택 과목의 경우 대학마다 교육과정이
달라 학과 관련 선택 과목 안내가 절대적 기준이 아니므로 반드시 관심 대학, 관심 학과의 교육과정과
전형을 대학 홈페이지를 통해 확인하시고, 안내된 자료는 참고용으로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 학과가 개설된 서울과 부산 지역 대학 안내 부분은 매년 대학별로 모집 단위의 변화가 있을 수 있으니
관심 대학 또는 대학 입학처 홈페이지에서 학과 변동 사항을 확인해 보시기 바랍니다.

자료의 출처
∙ 부산시교육청 ‘청소년을 사로잡는 진로디자인’
∙ 부산시교육청 ‘어떤 과목을 언제 배울까?’
∙ 광주교육청 진로 연계 과목 선택을 위한 학과 안내
∙ 서울교육청 2015 개정 교육과정 선택 과목 안내서
∙ 전라남도교육청 전공 선택 길라잡이
∙ 커리어넷(https://www.career.go.kr/cnet/front/main/main.do)
∙ 워크넷(https://www.work.go.kr/seekWantedMain.do)
∙ 대입정보포털어디가(http://www.adiga.kr/EgovPageLink.do?link=EipMain)
∙ 서울, 부산 지역 대학 학과 홈페이지 및 전공 소개 자료

※ 대부분의 동영상이 youtube로 연결이 되어 있습니다. Internet Explorer를 이용하여 동영상을 연결하는 경우 오류가
발생할 수 있으니 Chrome이나 Microsoft Edge를 이용하여 청사진2의 동영상을 연결하시기 바랍니다. 또한 일부
youtube 연결 동영상에는 광고도 포함되어 있음을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인문계열
고고학과 14 사학과 32
국어국문학과 16 서어서문학과(스페인어) 34
국제지역학과 18 언어학과 36
노어노문학과(러시아어) 20 영어영문학과 38
독어독문학과(독일어) 22 일어일문학과 40
문예창작학과 24 종교학과 42
문헌정보학과 26 중어중문학과 44
미학과 28 철학과 46
불어불문학과(프랑스어) 30 한문학과 48

사회계열
경영정보학과 54 부동산학과 78
경영학과 56 사회복지학과 80
경제학과 58 사회학과 82
경찰행정학과 60 세무·회계학과 84
광고홍보학과 62 심리학과 86
국제통상학과 64 아동가족학과 88
국제학과 66 의료경영학과 90
글로벌비즈니스학과 68 인류학과 92
금융보험학과 70 정치외교학과 94
무역·유통학과 72 행정학과 96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74 호텔관광경영학과 98
법학과 76

교육계열
교육학과 104 유아교육과 126
교육공학과 106 윤리교육과 128
국어교육과 108 음악교육과 130
독어교육과 110 일반사회교육과 132
물리교육과 112 지구과학교육과 134
미술교육과 114 지리교육과 136
불어교육과 116 체육교육과 138
생물교육과 118 초등교육(학)과 140
수학교육과 120 특수교육과 142
역사교육과 122 화학교육과 144
영어교육과 124
2

자연계열
동물생명자원과학과 150 의류학과 170
물리학과 152 의약생명공학과 172
미생물학과 154 자원생물학과 174
바이오소재과학과 156 정보수학과 176
생명과학과 158 조경학과 178
수산생명의학과 160 지구환경과학과(지구과학과) 180
수학과 162 통계학과 182
식물생명과학과 164 해양환경학과 184
식품영양학과 166 화학과 186
원예생명과학과 168 환경대기과학과(천문기상학과) 188

공학계열
건축학과 196 전기공학과 220
게임공학과 198 전자공학과 222
금속공학과 200 정보통신공학과 224
기계공학과 202 제어계측공학과 226
기계설계공학과 204 조선해양공학과 228
도시공학과 206 컴퓨터공학과 230
산업공학과 208 토목공학과 232
생명공학과 210 항공우주공학과 234
식품공학과 212 항공정비학과 236
신소재공학과 214 해양공학과 238
에너지공학과 216 화학공학과 240
자동차공학과 218 환경공학과 242

의약계열
간호학과 248 임상병리학과 258
물리치료학과 250 치위생학과 260
수의예과 252 치의예과 262
약학과 254 한의예과 264
의예과 256

예체능계열
공업디자인학과 270 실내디자인학과 284
공예학과 272 연극·영화학과 286
무용학과 274 음악학과 288
미술학과 276 조형학과 290
사진영상학과 278 체육학과 292
산업디자인학과 280 패션디자인학과 294
시각디자인학과 282
문답으로 알아보는
2015 개정 교육과정
2015 개정 교육과정을 왜 통합 교육과정이라 하나요?

∙ 1학년은 공통 과목(국어, 수학, 영어, 한국사, 통합사회, 통합과학, 과학탐구실험)을 배우고,


∙ 2, 3학년은 문과, 이과 구분 없이 학생의 진로와 연계하여 과목 선택을 하도록 하기 때문에 통합 교육과정이라 합니다.
∙ 학생들은 자신의 진로, 진학과 연계하여 2, 3학년 때 배울 과목을 1학년 때 선택하기 때문에 학생 선택중심 교육과정이라고도
부릅니다.

일반고와 특목고의 단위 배당 기준은?

∙ 고교 졸업을 위해 학생들은 3년간 총 204단위 이상을 이수해야 합니다. 교과는 180단위(학기 기준 30단위), 창의적 체험
활동은 24단위입니다.
∙ 1단위는 50분 기준으로 17회(16회+1회) 받는 수업의 양을 말합니다.
∙ 기초교과 이수 제한 조건이 있습니다. 국, 영, 수 교과 및 한국사 과목은 3년 동안 최대 90단위를 초과하여 들을 수 없습니다.
한국사를 6단위를 듣는다면, 국, 영, 수는 84단위까지 들을 수 있습니다.
∙ 일반고와 특목고의 단위 배당 기준은 다음과 같은데, 학생들은 교과별 필수 이수 단위를 이수하면 적성과 진로에 맞춰 다른
교과의 이수 단위를 늘려 수강할 수 있습니다.
필수 이수 단위
교과 영역 교과(군) 공통 과목(단위) 자율 편성 단위
일반고 특목고
국어 국어(8) 10 10
수학 수학(8) 10 10
기초
영어 영어(8) 10 10
한국사 한국사(6) 6 6 학생의 적성과
사회(역사/도덕 포함) 통합사회(8) 10 10 진로를 고려하여
탐구 통합과학(8) 편성
교과(군) 과학 12 12
과학탐구실험(2)
체육 10 10
체육·예술
예술 10 5
기술·가정/제2외국어/
생활·교양 16 12
한문/교양 86(일반고)
소계 94 85 23(특목고)
전문 교과Ⅰ 전공 관련 교과(특목고) 해당없음 72
창의적 체험활동 24(408시간)
총 이수 단위 204

2, 3학년에 배울 과목 선택은 언제 합니까?

∙ 과목 선택 절차는 1학년 1학기와 2학기 초에 진행됩니다. 4~5월부터 학교 교육과정에 대한 설명을 듣고 진로 연계 과목 안


내와 선생님 상담 등을 통해 수강 과목 선택을 합니다. 그리고 수강 과목 조정 절차 등을 거쳐 과목 선택을 최종 결정합니다.

6 청소년을 사로잡는 진로 디자인 2


학생들이 배우는 교과목은?

∙ 1학년 때는 공통 과목을 배우고 2,3학년 때는 진로와 적성에 따라 선택 과목(일반 선택 과목, 진로 선택 과목)을 이수할 수
있습니다.
∙ 일반 선택 과목(교양과목 제외)은 각 교과별 학문의 기본 이해를 바탕으로 한 과목으로, 기본 5단위에 2단위 내에서 증감하여
3~7단위를 들을 수 있습니다.
∙ 진로 선택 과목은 교과 융합, 진로 안내, 교과 심화 및 실생활 체험학습 등이 가능한 과목으로, 기본 5단위에 3단위 내에서 증감
하여 2~8단위를 들을 수 있습니다. 일반고에서는 학생의 선택에 따라 ‘보통 교과’ 진로 선택 과목을 3과목 이상 이수하도록
편성해야 합니다.
∙ 학교에서는 학생의 과목 선택권 확대를 위하여 학급당 정원의 70% 이상 학생이 아래 표의 과목 개설을 요청할 경우 해당
과목을 운영해야 하고, 교육청에서는 과목 개설을 지원합니다.
∙ 학교에서는 교과 180단위 중 30%(54단위) 이상을 학생 자율선택 단위로 제공해야 합니다. 학교지정은 최대 126단위까지
운영할 수 있습니다.
※ 진하게 표시된 과목은 수능공통, 밑줄은 수능선택 과목임
※ 진한 테두리 안의 과목은 석차 등급 산출 과목임

교과 선택 과목
구분 교과(군) 공통 과목
영역 일반 선택 과목 진로 선택 과목
독서, 화법과 작문, 실용 국어, 심화 국어,
국어 국어
문학, 언어와 매체 고전 읽기
수학Ⅰ, 수학Ⅱ, 실용 수학, 기하, 경제
수학 수학
기초 확률과 통계, 미적분 수학, 수학과제 탐구
영어Ⅰ, 영어Ⅱ, 실용 영어, 영어권 문화,
영어 영어
영어회화, 영어독해와 작문 진로 영어, 영미 문학 읽기
한국사 한국사
한국지리, 세계지리, 세계사,
사회
동아시아사, 경제, 정치와 법, 여행지리, 사회문제 탐구,
(역사/도덕 통합 사회
사회·문화, 생활과 윤리, 고전과 윤리
포함)
탐구 윤리와 사상
통합 과학 물리학Ⅱ, 화학Ⅱ,
물리학Ⅰ, 화학Ⅰ,
과학 생명과학Ⅱ, 지구과학Ⅱ, 과학사,
보통 과학탐구실험 생명과학Ⅰ, 지구과학Ⅰ
생활과 과학, 융합과학
교과
체육 체육, 운동과 건강 스포츠 생활, 체육탐구
체육
예술 음악 연주, 음악 감상과 비평,
예술 음악, 미술, 연극
미술 창작, 미술 감상과 비평
농업생명과학, 공학일반,
기술·
기술・가정, 정보 창의 경영, 해양문화와 기술,
가정
가정과학, 지식 재산 일반
독일어Ⅰ, 프랑스어Ⅰ, 스페인어Ⅰ, 독일어Ⅱ, 프랑스어Ⅱ, 스페인어Ⅱ,
제2
생활 중국어Ⅰ, 일본어Ⅰ, 러시아어Ⅰ, 중국어Ⅱ, 일본어Ⅱ, 러시아어Ⅱ,
외국어
교양 아랍어Ⅰ, 베트남어Ⅰ 아랍어Ⅱ, 베트남어Ⅱ
한문 한문Ⅰ 한문Ⅱ
철학, 논리학, 심리학, 교육학,
교양 종교학, 진로와 직업, 보건, 환경,
실용경제, 논술

문답으로 알아보는 2015 개정 교육과정 7


교과 선택 과목
구분 교과(군) 공통 과목
영역 일반 선택 과목 진로 선택 과목
심화 수학Ⅰ, 심화 수학Ⅱ, 고급 수학Ⅰ, 고급 수학Ⅱ, 고급 물리학, 고급 화학,
과학계열 고급 생명과학, 고급 지구과학, 물리학 실험, 화학 실험, 생명과학 실험, 지구과학 실험,
정보과학, 융합과학 탐구, 과학과제 연구, 생태와 환경

스포츠 개론, 체육과 진로 탐구, 체육 지도법, 육상 운동, 체조 운동, 수상 운동,


체육계열
개인·대인 운동 등
전문교과Ⅰ 음악이론, 음악사, 시창・청음, 음악 전공 실기, 합창, 합주, 공연실습, 미술 이론, 미술사,
예술계열
드로잉, 문예 창작 입문, 문학개론, 시 창작, 연극의 이해, 영화 제작 실습 등
심화 영어 회화Ⅰ, 심화 영어 회화Ⅱ, 심화 영어Ⅰ, 심화 영어Ⅱ, 심화 영어 독해Ⅰ,
외국어계열
전공 기초 독일어 등
국제 정치, 국제 경제, 국제법, 지역 이해, 한국 사회의 이해, 비교 문화, 세계 문제와 미래
국제계열
사회, 국제 관계와 국제 기구, 현대 세계의 변화, 사회 탐구 방법, 사회과제 연구

듣고 싶은 과목을 학교에서 배울 기회가 없다면 학생들은 어떻게 합니까?

∙ 학교 내 수강생 부족, 담당교사 부재나 지리적 여건 등으로 학교 단독 개설이 어려운 과목은 공동 교육과정으로 개설하여
고교학점제 도입(2022년) 기반을 조성합니다. 학생들은 2학년 때부터 공동 교육과정 개설 과목을 수강할 수 있습니다.
∙ 공동 교육과정 개설 현황

구분 운영 기관 장소 시기 개설 과목
학교 간 플러스 교육과정 학교 간 협력 개별 학교 방과후 ∙ 학생 희망 반영 및 인근 학교 협의
∙ 예체능 실기 과목
고교 교육과정 협력 대학 교육청 및 대학 대학 주말
∙ IT, 프로그래밍, 영상․영화, 연극 등
바로교실(BARO Class) 교육청 및 학교 소속 학교 방과후 ∙ 단위 학교 미개설 선택 과목 중심

∙ 위와 같은 교육과정 외에 학생들의 다양한 진로체험 기회 제공을 위해 고교, 대학과 연계하여 방학마다 서머․윈터스쿨을
운영합니다. 학생들은 1학년 겨울방학부터 참여할 수 있습니다.

성적 산출은 어떻게 합니까? 석차 등급을 표시합니까?

∙ 성적 산출은 교과 유형에 따라 성취도 5단계(A~E), 3단계(A~C), 이수 여부(P)를 기록하고, 3번 교과목 표에서 빨강색
틀 안의 과목은 석차등급(1~9)을 기재합니다. 다만, 석차등급 기재 대상 과목이라도 공동 교육과정은 석차등급을 기재하지
않고, 수강자가 13명 이하일 경우 석차등급을 표기하지 않아도 됩니다.
∙ 세부 내용은 아래 표와 같습니다.
구 분 성취도 석차등급 비 고
공통 과목 A~E ○ ∙ 과학탐구실험(성취도 3단계)
기초/탐구/
A~E ○ ∙ 교양 교과(군) 제외
일반 선택 생활·교양
과목 체육·예술 A~C - ∙ 수강자수 입력하지 않음
보통 교과
교양교과(군) P P
∙ 성취도별 분포 비율 표시
진로 선택 과목
A~C - ∙ 진로 선택 과목으로 편성한 ‘전문교과 Ⅰ·
※기초/탐구/생활/교양/체육·예술
Ⅱ’ 포함

8 청소년을 사로잡는 진로 디자인 2


구 분 성취도 석차등급 비 고
- ∙ (성취도 3단계) 융합과학 탐구, 연구·실험
전문교과Ⅰ A~E
(특목고는 산출) 과목
교과(군)별
보통교과 및 전문교과Ⅰ 중 수강자수 ‘⋅’ 또는 ∙ 보통교과 체육·예술 교과(군)의 일반 선택
3단계 또는
13명 이하인 과목 ‘등급표기’ 과목, 교양 교과(군)의 과목 제외
5단계
교과(군)별
학교 간 통합 운영 과목 ∙ 보통교과 체육·예술 교과(군)의 일반 선택
3단계 또는 -
(공동 교육과정 운영 과목) 과목, 교양 교과(군)의 과목 제외
5단계

진로에 따른 과목 선택의 예를 볼 수 있을까요?

∙ 진로와 연계하여 2~3학년 때 수강할 수 있는 과목 선택의 예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희망 진로 계열에 따라 과목 선택이
다름을 볼 수 있습니다. 이것은 예시일 뿐 학생들은 자신의 진로 희망과 능력, 적성에 맞춰 다양한 선택을 할 수 있습니다.
예1. 상경 집중(사회 중점) 예2. 외국어 집중(인문 중점)
구분
일반 선택 과목 진로 선택 과목 일반 선택 과목 진로 선택 과목
문학, 독서, 심화 국어 문학, 독서 심화 국어
국어
화법과 작문(언어와 매체) 고전 읽기 화법과 작문(언어와 매체) (고전 읽기)
수학Ⅰ, 수학Ⅱ 경제 수학 수학Ⅰ, 수학Ⅱ
수학 (수학과제 탐구)
확률과 통계, 미적분 수학과제 탐구 확률과 통계
영어Ⅰ, 영어Ⅱ 영어Ⅰ,영어Ⅱ 영어권 문화
영어 영어독해와 작문 영미 문학 읽기 영어독해와 작문 영미문학읽기
영어회화 영어 회화 심화영어Ⅰ(전문)
세계지리 세계사, 사회문제 탐구
사회 세계사 세계지리 고전과 윤리
경제 사회·문화 한국 사회의 이해 등(전문)
과학 물리학Ⅰ 과학사 생명과학Ⅰ 생활과 과학
체육, 음악,
체육·예술 체육, 음악 미술 스포츠 생활 미술 감상과 비평
연극 운동과 건강
한문Ⅰ, 실용경제 중국어Ⅰ, 철학 중국어Ⅱ
생활·교양
진로와 직업 논술 진로와 직업 중국어회화Ⅰ(전문)

예3. 미술 집중(예술 중점) 예4. 공학 집중(자연공학 중점)


구분
일반 선택 과목 진로 선택 과목 일반 선택 과목 진로 선택 과목
문학, 독서 고전 읽기 문학, 독서,
국어 심화국어
화법과 작문(언어와 매체) 심화국어 화법과 작문(언어와 매체)
수학Ⅰ, 수학Ⅱ 기하
수학Ⅰ, 수학Ⅱ,
수학 미적분 수학과제 탐구
확률과 통계
확률과 통계 심화수학Ⅰ
영어Ⅰ, 영어Ⅱ 영어Ⅰ, 영어Ⅱ
영어 영어 독해와 작문 영어독해와 작문
영어회화 영어 회화
사회 사회・문화, 세계사 여행지리 사회・문화, 세계지리
과학 생명과학Ⅰ 과학사 물리학Ⅰ, 화학Ⅰ 물리학Ⅱ, 물리학 실험
미술 감상과 비평,
체육, 운동과건강 체육, 운동과 건강,
체육·예술 미술전공 실기, 미술 감상과 비평
음악, 미술, 연극 음악, 미술
매체미술(전문)
일본어Ⅰ, 한문Ⅰ 기술·가정, 정보,
생활·교양 공학일반
심리학, 철학 독일어Ⅰ, 논리학

문답으로 알아보는 2015 개정 교육과정 9


2
01 인문계열
인문계열이란 인문계열은 모든 학문의 근본이 되는 인문학의 교육과 연구를 목표로 합니다. 인문
무엇일까? 계열은 인간과 인간의 문화, 인간의 가치와 인간의 자기표현 능력을 바르게 이해
하기 위한 과학적인 연구 방법에 관심을 두고 있습니다.

어떤 분야로 인문계열에는 크게 언어·문학과 인문과학으로 나뉩니다.


구성되어 언어ㆍ문학
있을까? 인류의 언어를 과학적으로 연구하는 언어학과 언어를 표현의 수단으로 하는 예술
활동과 문학 작품을 연구하는 문학을 바탕으로 하는 영역입니다. 이 영역에는 세계
여러 나라의 언어와 문학을 연구하는 분야가 포함됩니다.

인문과학
인간 및 인간의 사상 일반에 관한 과학적 연구가 포함되는 영역으로, 인문과학에
포함되는 학문 영역은 나라마다 다릅니다. 우리나라의 경우에, 언어와 문학을
제외한 인류문화 관련 학문, 역사학, 종교학, 철학 등이 포함됩니다.

어떤 학과가 고고학과, 국어국문학과, 국제지역학과, 노어노문학과, 독어독문학과, 문예창작


있을까? 학과, 문헌정보학과, 미학과, 불어불문학과, 사학과, 서어서문학과, 언어학과, 영어
영문학과, 일어일문학과, 종교학과, 중어중문학과, 철학과, 한문학과

무엇을 ∙ 인문계열에서는 세계 각국의 언어와 문학, 인류학, 철학, 종교학 등을 배울 수


배울까? 있습니다. 일반대학에서는 언어와 문학에 관련된 내용을 배우고, 전문대학에서는
실용적인 외국어를 배울 수 있습니다.
∙ 언어·문학에서는 읽기, 쓰기, 듣기, 말하기 등 해당 언어를 깊이 있게 이해하고
해당 문학에 대한 정보와 지식도 폭넓게 습득합니다. 전공 관련 기초 과목은
주로 해당 국가의 언어 관련 과목, 문화 관련 과목으로 구성됩니다. 대학에 따라
1학년 교육과정에서 글쓰기와 영어를 필수 기초 과목으로 지정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 인문과학은 인간의 사상 및 문화를 대상으로 하는 학문 영역으로 역사, 고고학,
철학, 윤리 등이 있습니다. 역사학과 고고학 관련 전공은 인간과 사회의 기원과
발전을 탐구합니다. 철학은 인간의 삶과 세계 운행의 근본원리를 탐구하고,
윤리학은 인간의 행동, 사람과 사람의 관계에 대한 규범과 원리를 탐구합니다.

12 청소년을 사로잡는 진로 디자인 2


관련 직업관 관세사 광고기획자 문화재 발굴 전문가
[12:37] [09:09] [07:19]

물류관리전문가 번역가 여행안내원


[12:29] [05:05] [13:10]

인문융합-IT 인문융합-공학 인문융합-문화


[14:47] [14:37] [12:40]

잡지기자 출판물기획자 카피라이터


[14:20] [12:07] [11:43]

컨벤션기획사 큐레이터 통역사


[06:06] [10:14] [07:40]

행사기획자 국제기구종사자 국제개발협력전문가


[08:03] [18:37] [05:55]

인문계열 13
고 고 학 과

고고학과는?

고고학이란 인류가 출현한 이래 인간이 남겨놓은 연구 외에, 유적의 발굴 조사 등 지속적인 야외


물질자료, 즉 유적·유물이라는 고고학 자료를 연구 합동 연구 조사를 필요로 하는 학문이므로, 고도의
재료로 전(全) 시기, 각 지역 인류의 역사와 문화를 협동심과 사회생활의 자질이 요구됩니다. 또한,
복원·연구를 목적으로 하는 학문 분야입니다. 고 고고학 자료(유물, 유적)를 직접 다루므로, 사물에
고학이 지향하는 바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대한 뛰어난 관찰력과 분석력도 갖추어야 합니다.
고고학 외에 문헌 사학(역사학)·인류학·미술사· 따라서 고고학이란 결국 인간 그 자체를 탐구
공예사·금석학 등 다양한 보조학문들을 활용, 학습 하고 이해하는 데 가장 유용한 인문학이라 할 수
하고 있습니다. 고고학은 그 특성상, 실내에서의 있습니다.

필요한 역량은 무엇일까?

∙ 한국사 및 세계사, 사회 문화에 대한 관심 및 학업 능력


∙ 고도의 협동심, 관찰력 및 분석력
∙ 사회의 다양한 현상 및 역사적 현상들에 대한 호기심과 상상력
∙ 인간과 사회문제, 인류 문명의 변천사 및 역사적 체험에 대한 관심

어떤 과목을 선택해서 배워야 할까?

교과 선택과목
교과(군)
영역 일반선택 진로선택

국어 화법과 작문, 독서, 언어와 매체, 문학 고전 읽기

기초 수학 수학Ⅰ, 수학Ⅱ, 확률과 통계

영어 영어 회화, 영어Ⅰ, 영어 독해와 작문, 영어Ⅱ 영미 문학 읽기

사회(역사, 도덕) 한국지리, 세계지리, 세계사, 동아시아사 여행지리, 사회문제 탐구


탐구
과학 과학사, 생활과 과학

체육 예술

생활 교양 제2외국어Ⅰ, 한문Ⅰ, 철학, 종교학, 논술 제2외국어Ⅱ, 한문Ⅱ

※ 선택과목 안내는 대학별 교육과정에 따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참고용으로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14 청소년을 사로잡는 진로 디자인 2


어떤 책을 읽어야 할까?

∙ 강인욱의 고고학 여행(강인욱) ∙ 역사(헤로도토스)


∙ 고려사의 재발견(박종기) ∙ 역사란 무엇인가(에드워드 H. 카)
∙ 국화와 칼(루스 베네닉트) ∙ 이야기 일본사(김희영)
∙ 김병모의 고고학 여행(김병모) ∙ 이야기 중국사 1,2,3(김희영)
∙ 나의 문화유산답사기 시리즈(유홍준) ∙ 조선왕비 오백년사(윤정란)
∙ 문화로 읽은 세계사(주경철) ∙ 한국인을 위한 중국사(신성곤/윤혜영)
∙ 사기열전(사마천) ∙ 허드슨 강변에서 중국사를 이야기하다
∙ 삼국유사(일연) (레이 황의 중국사 평설)(레이 황)

고고학과가 있는 대학은?

▶ 학과
- 서울
- 부산: 부산대

▶ 관련 학과
- 서울: 서울대(고고미술사학과)
- 부산: 동아대(역사문화학부(고고미술사학전공))

졸업 후에는 이런 곳으로 갈 수 있어요.

문화재감정평가사, 역사학연구원, 방송작가, 평론가, 출판물기획자, 학예사(큐레이터), 문화재보존원(컨서베이터),


기록물관리사(기록물관리전문요원), 잡지기자, 신문기자, 방송기자, 방송연출가, 무대 및 세트디자이너, 여행상품
개발자, 여행 사무원, 공무원(문화직), 교재 및 교구 개발자, 문화관광해설사, 문화예술프로그램기획자, 문화재 수리 및
복원 연구원, 문화재 디지털 복원가, 문화재발굴조사전문가, 문화재연구원, 문화해설사, 미술품감정사, 미술품경매사,
상품공간스토리텔러, 역사학원 강사, 예술제본가, 유적발굴원, 중등학교 역사교사, 지역 문화사업 연구 조사원, 해외문화
프로그램 방송작가

고고학과 인터뷰 살펴보기

∙ 고고학자 강인욱 인터뷰 ∙ 대학전공별 진로가이드


[06:37] 역사·고고학
[14:34]

인문계열 15
국 어 국 문 학 과

국어국문학과는?

국어국문학은 우리나라의 언어와 문학을 깊이 삼아 변천사를 살피고 철학, 문학 등 사회의 다양한


있게 연구하여 올바른 한국문학의 전통을 확립 요소들과의 관계 속에서 심층적 의미를 탐구함
하고자 하는 학문 분야입니다. 국어국문학과는 으로써 우수한 인문학적 소양을 갖추는 데 중점을
우리말과 우리 문학을 연구하여 민족 문화를 창조 두고 있습니다. 또한, 작자 미상의 고전문학에서
적으로 계승하고 발전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합니다. 부터 현대문학까지 시, 소설, 수필, 희곡, 평론 등
국어의 구조와 역사를 밝히고, 시대별 문학을 시대 다양한 문학 작품 및 작가에 관해 연구하고, 글
정신과 사회 배경 속에서 이해하고 가치를 탐구 쓰는 연습을 통해 문장력, 표현력, 언어력을 익힙
합니다. 우리말과 문학 작품을 연구의 대상으로 니다.

필요한 역량은 무엇일까?

∙ 언어와 문학에 대한 관심과 감각


∙ 우리말의 유래·구조·원리, 문학 작품 읽기, 창작에 대한 관심
∙ 언어 감각과 논리적 사고력, 분석력, 비판적으로 읽고 분석하는 능력
∙ 다양한 문화예술 및 글쓰기와 읽기 활동에 흥미가 높음
∙ 언어와 관련된 사회·문학적 현상의 탐구와 이해에 관심
∙ 올바른 언어 사용과 정책 수립 및 수행에 이바지하려는 자세
∙ 다양한 매체를 활용하여 학습 능력을 배양할 수 있는 능력
∙ 한류 열풍 시대에 한국어와 문화를 세계화할 수 있는 능력
∙ 올바른 가치관과 윤리성에 기반을 둔 창의력과 비판력, 논리적 사고력

어떤 과목을 선택해서 배워야 할까?

교과 선택과목
교과(군)
영역 일반선택 진로선택
국어 화법과 작문, 독서, 언어와 매체, 문학 심화 국어, 고전 읽기
기초 수학 수학Ⅰ, 수학Ⅱ, 확률과 통계
영어 영어 회화, 영어Ⅰ, 영어 독해와 작문, 영어Ⅱ 영미 문학 읽기
한국지리, 세계지리, 세계사, 동아시아사, 사회·문화,
사회(역사, 도덕) 여행지리, 사회문제 탐구
탐구 윤리와 사상
과학 과학사, 생활과 과학
체육 예술
생활 교양 제2외국어Ⅰ, 한문Ⅰ, 철학, 논리학, 심리학, 논술 제2외국어Ⅱ, 한문Ⅱ

※ 선택과목 안내는 대학별 교육과정에 따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참고용으로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16 청소년을 사로잡는 진로 디자인 2


어떤 책을 읽어야 할까?

∙ 82년생 김지영(조남주) ∙ 이것이 인간인가(프리모 레비)


∙ 광장/구운몽(최인훈) ∙ 인간의 대지(앙투안 드 생텍쥐페리)
∙ 내가 좋아하는 한시(민병수/김성언) ∙ 젊은이를 위한 문학 이야기(정명환)
∙ 문학과 예술의 사회사 1,2,3,4(아르놀트 하우저) ∙ 젊음의 탄생(이어령)
∙ 바깥은 여름(김애란) ∙ 조선어학회 항일투쟁사(박용규)
∙ 방언정담(한성우) ∙ 한국어의 탐구와 이해(정경일)
∙ 삼국유사(일연) ∙ 훈민정음-사진과 기록으로 읽는 한글의 역사(김주원)
∙ 아름다운 우리 고소설(간호윤)

국어국문학과가 있는 대학은?

▶ 학과
- 서울: 건국대, 경희대, 고려대, 광운대, 동덕여대, 서울대, 서울시립대, 서울여대, 성균관대, 성신여대, 세종대,
숭실대, 연세대, 이화여대, 중앙대, 한양대, 홍익대 등
- 부산: 동의대, 부경대, 부산대

▶ 관련 학과
- 서울: 경희대(글로벌한국학과, 한국어학과), 국민대(국어국문학 전공, 글로벌한국어전공, 한국어문학부), 동국대
(국어국문문예창작학부), 동덕여대(문예창작과), 명지대(문예창작과), 서강대(국어국문학전공, 글로벌한국학
전공), 서울과기대(문예창작과), 성신여대(문예예술경영학과), 숙명여대(한국어문학부), 숭실대(예술창작
학부 문예창작전공), 한국외대(KFL학부, 한국어교육과)
- 부산: 동아대(한국어문학과), 부산외대(한국어문화학부), 신라대(문예창작비평학과)

졸업 후에는 이런 곳으로 갈 수 있어요.

광고·홍보전문가, 구성작가, 극작가, 기자, 네이미스트, 대학교수, 독서지도사, 방송기자, 방송연출가, 방송앵커, 방송작가,
사서, 성우, 소설가, 스크립터, 시인, 신문기자, 아나운서, 애니메이션작가, 연극연출, 작가, 전문기관 연구원, 중등국어교사,
통번역가, 평론가, 광고기획사/대행사, 교육직 공무원, 국공립 박물관·지자체 및 국립국어원, 기업 일반 사무직, 사설 학원,
신문사, 잡지사, 방송국, 언어민족문화관련 국가 연구소 및 민간연구소, 중앙정부 및 지방자체단체 공무원, 출판사

국어국문학과 인터뷰 살펴보기

∙ 부산대 ∙ 어서와 성균관대 ∙ 대학전공별 진로가이드


국어국문학과 국어국문학과는 국어국문학
소개 처음이지? [14:26]
[01:54] [05:00]

∙ 안득용 교수 ∙ 한양대 국어국문학과 ∙ 고려대


부경대 전공안내 전공체험강의실
국어국문학과 [06:38] 국어국문학과
[05:35] [49:35]

인문계열 17
국 제 지 역 학 과

국제지역학과는?

세계 여러 국가가 정치, 경제, 사회, 문화 등 다 이슈에 대한 학제적 연구와 교육, 그리고 언어 능력


양한 분야에서의 교류가 많아지는 세계화의 물결 향상을 통하여 학생들이 국제 및 지역 문제에 대
속에서 국제지역학은 세계 각 지역의 지리나 역사, 하여 일반적인 소양과 문제해결 능력을 갖추는
문화, 경제 등을 종합적으로 탐구하고 연구하는 동시에 특정 지역 혹은 이슈에 있어서는 전문가가
학문입니다. 될 수 있도록 교육할 뿐만 아니라 또한 공동체의
국제지역학과는 세계화/국제화의 세계적 추세에 선을 추구하고 타인을 배려하는 성숙한 공동체의
부응하여 세계 주요 지역에 대한 체계적 지식과 일원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교육하는 것을 목표로
실무능력을 갖춘 지역전문가를 양성하는 것을 목 합니다.
표로 합니다. 이를 위하여 세계 주요 지역과 주요

필요한 역량은 무엇일까?

∙ 세계의 특정 지역에 대한 관심
∙ 영어를 비롯한 외국어에 대한 소양 및 지식
∙ 국제관계나 외교 등 인류공동체적인 문제에 꾸준한 관심
∙ 문화, 역사, 자연, 사회, 정치 등에 대한 포괄적 지식과 관심

어떤 과목을 선택해서 배워야 할까?

교과 선택과목
교과(군)
영역 일반선택 진로선택

국어 화법과 작문, 독서, 언어와 매체, 문학

기초 수학 수학Ⅰ, 수학Ⅱ, 확률과 통계

영어 영어 회화, 영어Ⅰ, 영어 독해와 작문, 영어Ⅱ

사회(역사, 도덕) 세계지리, 세계사, 동아시아사, 사회·문화, 윤리와 사상 여행지리, 사회문제 탐구


탐구
과학 과학사, 생활과 과학

체육 예술
제2외국어Ⅰ, 한문Ⅰ, 철학, 논리학,
생활 교양 제2외국어Ⅱ, 한문Ⅱ
심리학, 종교학, 논술
※ 선택과목 안내는 대학별 교육과정에 따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참고용으로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18 청소년을 사로잡는 진로 디자인 2


어떤 책을 읽어야 할까?

∙ 2020 대한민국, 다음10년을상상하라!(조셉 나이 외 26인) ∙ 문화의 수수께끼(마빈 해리스)


∙ 국부론(애덤 스미스) ∙ 티셔츠 경제학(피에트라리볼리)
∙ 국제관계 어떻게 이해해야 할까(닉 헌터) ∙ 하룻밤에 읽는 세계사 1,2(미야자키 마사카츠)
∙ 국제기구 멘토링(정홍상) ∙ 나는 세계 일주로 경제를 배웠다(코드 우드먼)
∙ 문명의 충돌(새뮤엘 헌팅턴)

국제지역학과가 있는 대학은?

▶ 학과
- 서울
- 부산: 부경대

▶ 관련 학과
- 서울: 동국대(정치행정학부 북한학 전공), 서강대(영미문화계, 유럽문화 전공, 중국문화 전공), 숙명여대(일본학과),
연세대(아시아학 전공), 한국외대(러시아학과, 아프리카학부, 융합일본지역학부, 인도학과, 중국외교통상
학부, 중앙아시아학과, 프랑스학과, 한국학과)
- 부산: 동아대(글로벌비즈니스학부), 부경대(중국학과), 부산외대(유럽미주대학, 아시아대학), 영산대(글로벌학부),
한국해양대(동아시아학과)

졸업 후에는 이런 곳으로 갈 수 있어요.

국제개발협력전문가, 국제기구종사자, 국제협력사무원, 국제NGO활동가, 경영컨설턴트, 국제범죄전문가, 출입국


심사관, 관광가이드, 의료관광코디네이터, 다문화코디네이터, 해외공보관, 신문기자, 잡지기자, 방송기자, 광고 및
홍보전문가, 번역가, 유학상담자, 관리비서, 무역사무원, 외교관, 해외영업원

국제지역학과 인터뷰 살펴보기

∙ 부산외대 글로벌인재학부 ∙ 부경대 국제지역학


국제개발협력전공 안내 홍보영상
[07:46] [02:05]

인문계열 19
노 어 노 문 학 과

노어노문학과는?

노어노문학과는 실제적으로 러시아어를 구사할 노어학과(러시아어학)과 옛 러시아 작가들의 작품


수 있는 능력과 세계문학사의 큰 획을 그은 러시아 들에 관한 연구와 분석뿐만 아니라 그 문학 작품을
대문호들의 작품과 그들의 작가 정신을 다루고, 기반으로 한 영화, 연극 등의 연구도 진행하는
영화, 연극, 음악, 발레 등 동유럽의 찬란한 문화 노문학(러시아어 문학)으로 나뉩니다. 노어노문학
예술을 이끈 러시아 문화예술 세계를 연구하는 과는 동유럽 문화의 중심지인 러시아의 역사,
학과입니다. 노어노문학과는 일상 러시아어 회화는 정치, 경제, 문화 등에 대하여 체계적으로 연구함
물론 비즈니스 러시아어, 러시아어 독해, 그리고 으로써 러시아 전문가를 양성하는 것을 목표로
러시아어를 중심으로 한 언어학 전반을 배우는 합니다.

필요한 역량은 무엇일까?

∙ 러시아, 러시아어, 러시아문학, 문화 등에 대한 관심


∙ 러시아를 비롯한 동유럽 국가에 대한 관심과 흥미
∙ 톨스토이, 도스토예프스키 같은 러시아 작가들의 문학 작품을 읽고 그들의 정서와 문화에 대한 관심
∙ 다양한 나라의 여러 측면에 대한 관심과 기초지식
∙ 타문화를 존중하며 그러한 문화를 만들며 살아온 사람들의 다양한 의식에 대한 호기심
∙ 풍부한 독서 활동을 통한 인문학적 소양
∙ 언어 능력과 인문학적 사고력

어떤 과목을 선택해서 배워야 할까?

교과 선택과목
교과(군)
영역 일반선택 진로선택
국어 화법과 작문, 독서, 언어와 매체, 문학 심화 국어, 고전 읽기
기초 수학 수학Ⅰ, 수학Ⅱ, 확률과 통계
영어 영어 회화, 영어Ⅰ, 영어 독해와 작문, 영어Ⅱ 영미 문학 읽기
사회(역사, 도덕) 세계지리, 세계사, 사회·문화, 윤리와 사상 여행지리, 사회문제 탐구
탐구
과학 과학사, 생활과 과학
체육 예술
생활 교양 러시아어Ⅰ, 철학, 논리학, 심리학, 논술 러시아어Ⅱ

※ 선택과목 안내는 대학별 교육과정에 따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참고용으로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20 청소년을 사로잡는 진로 디자인 2


어떤 책을 읽어야 할까?

∙ 국가대표 러시아어 완전 첫걸음(이경희) ∙ 소포클레스 비극(소포클레스)


∙ 대위의 딸(알렉산드르 세르게비치 푸시킨) ∙ 안나 카레리나(레프 니콜라예비치 톨스토이)
∙ 러시아 문화에 관한 담론(유리 M. 로트만) ∙ 에우리피데스 비극(에우리피데스)
∙ 러시아어 연구(김진원) ∙ 우리 시대의 영웅(미하일 유리예비치 레르몬토프)
∙ 러시아어로 작문하기(안지영/G.A.부드니코바) ∙ 죄와 벌(표도르 미하일로비치 도스토예프스키)
∙ 러시아의 위대한 작가들(K.B.모출스끼) ∙ 카라마조프 가의 형제들
∙ 부활(레프 니콜라예비치 톨스토이) (표도르 미하일로비치 도스토예프스키)

노어노문학과가 있는 대학은?

▶ 학과
- 서울: 고려대, 서울대, 연세대
- 부산: 부산대

▶ 관련 학과
- 서울: 경희대(러시아어학과), 성균관대(러시아어문학), 중앙대(유럽문화학부(러시아어문학)),
한국외대(노어과, 러시아학과)
- 부산: 부산외대(러시아학과)

졸업 후에는 이런 곳으로 갈 수 있어요.

대학교수, 동시통역사, 러시아 문학, 러시아 지역학, 법학 등 학문연구원, 무역담당자, 방송앵커, 방송작가, 번역가,
성우, 언론인(기자, PD, 아나운서 등), 여행안내원, 작가, 정부 부처 및 공공 기관 공무원, 통번역가, 러시아와 관련된
업무를 수행하는 국내외 기업, 국제통상업체, 여행사, 중앙정부 및 지방자치단체, 해외 현지 기업

노어노문학과 인터뷰 살펴보기

∙ [일문일답 학과편 ∙ 고려대 문과대학 ∙ 대학전공별진로


S3]고려대 노어노문학과 가이드 노어노문학
노어노문학과 홍보영상 [14:00]
[07:35] [04:59]

∙ 정막례 교수, ∙ 어서와 성균관대


계명대 러시아어문학과는
러시아문학과 처음이지?
[TEXT] [05:26]

인문계열 21
독 어 독 문 학 과

독어독문학과는?

독어독문학과는 독일어를 말하고 쓰는 훈련뿐 등을 알아보는 학과입니다. 다양한 독일어 문학


만 아니라 헤세, 릴케, 괴테 등 세계적 명성을 가진 작품을 이해하고 분석하는 능력을 키우고, 인간과
독일 작가들의 작품을 분석하여 독일의 가치관, 사회에 대한 깊은 이해와 통찰을 통해 삶의 방향을
문화, 역사적 특수성을 파악하여 독일어권인 독일, 결정하고 자신을 성찰할 수 있는 계기가 됩니다.
스위스, 오스트리아 등지의 문화와 문학에 관해서도 독어독문학과는 궁극적으로 현재 유럽 속 독일의
연구하는 학과입니다. 독어독문학과는 독일어와 모습을 읽어낼 수 있는 감각을 키워 졸업 후 유럽
독문학을 배움으로써 독일어 문화권의 문화·사회에 전문가·독일어 전문가로 사회에 진출할 수 있게
대해 전반적으로 이해하는 능력과 통찰하는 시각을 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길러 독일어 문화권의 다양한 국가의 사회나 문화

필요한 역량은 무엇일까?

∙ 독일어를 비롯한 외국어 공부에 남다른 열정과 애정


∙ 독일, 오스트리아, 스위스 등의 독일어권 문화에 대한 관심과 흥미
∙ 독일어권을 기반으로 하므로 역사, 철학 및 사회과학에 대한 흥미
∙ 독일어권 국가들의 다양한 모습을 이해하고 끈기 있게 탐구할 수 있는 능력
∙ 국제사회에서 열린 사고를 갖고 유연하게 소통할 수 있는 창의성
∙ 원만한 대인관계로 화합하며 협동할 수 있는 리더십
∙ 독일 및 유럽 문화권에 대한 관심이 있고 국제적인 전문인으로 활동할 수 있는 자질
∙ 언어적 소통능력과 인문학적 소양

어떤 과목을 선택해서 배워야 할까?

교과 선택과목
교과(군)
영역 일반선택 진로선택
국어 화법과 작문, 독서, 언어와 매체, 문학 심화 국어, 고전 읽기
기초 수학 수학Ⅰ, 수학Ⅱ, 확률과 통계
영어 영어 회화, 영어Ⅰ, 영어 독해와 작문, 영어Ⅱ 영미 문학 읽기
사회(역사, 도덕) 세계지리, 세계사, 사회·문화, 윤리와 사상 여행지리, 사회문제 탐구
탐구
과학 과학사, 생활과 과학
체육 예술
생활 교양 독일어Ⅰ, 철학, 논리학, 심리학, 논술 독일어Ⅱ
※ 선택과목 안내는 대학별 교육과정에 따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참고용으로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22 청소년을 사로잡는 진로 디자인 2


어떤 책을 읽어야 할까?
∙ (시인과 사상가의 나라) 독일 이야기 1,2(임종대) ∙ 릴케와 한국의 시인들(김재혁)
∙ 데미안(헤르만 헤세) ∙ 마의 산(토마스 만)
∙ 독일 프랑스 역사 공동교과서-1945년 이후 유럽과 세계 ∙ 변신(프란츠 카프카)
(페터 가이스/기욤 르 캥트렉) ∙ 빈에서는 인생이 아름다워진다(박종호)
∙ 독일 문학사(김성곤) ∙ 양철북(권터 그라스)
∙ 독일 문학의 깊이와 아름다움(정서웅) ∙ 파우스트(요한 볼프강 폰 괴테)
∙ 독일 비평사(김주연) ∙ 향수(파크리트 쥐스킨트)
∙ 독일 시인론(김주연)

독어독문학과가 있는 대학은?

▶ 학과
- 서울: 고려대, 서울대, 서울여대, 성균관대, 숭실대, 연세대, 이화여대, 한양대, 홍익대
- 부산: 부산대

▶ 관련 학과
- 서울: 동덕여대(유러피언스터디즈학과), 서강대(유럽문화전공), 성신여대(독일어문·문화학과), 숙명여대(독일언어·
문화학과), 중앙대(유럽문화학부(독일어문학)), 한국외대(독일어교육과, 독일어과, 독일어통번역학과)
- 부산: 부산외대(독일어과)

졸업 후에는 이런 곳으로 갈 수 있어요.

대학교수, 동시통역사, 무역담당자, 방송앵커, 방송작가, 번역가, 성우, 언론인(기자, PD, 아나운서 등), 여행안내원,
작가, 정부 부처 및 공공 기관 공무원, 통번역가, 국내 및 유럽과 관련된 업무를 수행하는 국내외 기업, 자동차 관련 기업,
MERCEDES BENZ, SIEMENS, BOSCH 등과 같은 독일계 기업, 국제통상업체, 여행사, 중앙정부 및 지방자치단체,
해외 현지 기업

독어독문학과 인터뷰 살펴보기

∙ 부산대 ∙ 서울대 ∙ 대학전공별진로


독어독문학과 독어독문학과 가이드독어독문학
[08:31] [14:29] [13:25]

∙ 고려대 ∙ 한양대 ∙ 조경태 교수,


독어독문학과 독어독문학과 성신여대
홍보영상 전공안내영상 독어독문학과
[04:32] [07:10] [TEXT]

인문계열 23
문 예 창 작 학 과

문예창작학과는?

문예창작학과는 한국문학의 이론과 창작은 물론 합니다. 문예창작학과는 동서양의 고전에서 현대


이고 세계문학의 차원에서 체계적으로 연구하고, 문학에 이르기까지 모든 문학 실체에 대한 이해를
인간 존재의 다양한 현상과 그 의미를 우리가 도모하고 그를 기초로 문학창작 역량을 높이는
사는 세계와의 관련 속에서 깊이 있게 탐구하여 데 주력하고 있습니다. 문예창작학과는 문학을
문학적인 표현으로 형상화하는 학과입니다. 한국 통하여 세계와 인간에 대한 애정, 우리들의 삶에
문학과 세계문학을 비롯하여 시인론, 작가론 등 대한 뜨거운 관심을 표현하고자 하는 열정과
모든 문학 이론 교육은 물론 신문, 잡지, 출판 개성을 동시에 갖춘 인재를 키우는 것을 목표로
관련 기사 작성과 편집, 디자인 실기 등을 공부 합니다.

필요한 역량은 무엇일까?

∙ 언어와 문학에 대한 관심
∙ 상상력과 창의력, 그리고 글쓰기와 읽기에 대한 흥미
∙ 창작의 기본이 되는 상상력과 감성, 사회 현상에 대한 호기심과 문제 의식을 해석을 할 수 있는 안목
∙ 윤리와 사상, 역사와 관련된 교과 지식이 풍부
∙ 고전문학과 개화기 문학의 수월한 이해를 위한 한문 지식
∙ 풍부한 독서 활동을 통한 인문학적 소양
∙ 사회의 문화 현상을 이끌어 갈 수 있는 미래에 대한 자신감

어떤 과목을 선택해서 배워야 할까?

교과 선택과목
교과(군)
영역 일반선택 진로선택
국어 화법과 작문, 독서, 언어와 매체, 문학 심화 국어, 고전 읽기
기초 수학 수학Ⅰ, 수학Ⅱ, 확률과 통계
영어 영어 회화, 영어Ⅰ, 영어 독해와 작문, 영어Ⅱ 영미 문학 읽기
사회(역사, 도덕) 한국지리, 세계지리, 세계사, 동아시아사, 사회·문화, 윤리와 사상 여행지리, 사회문제 탐구
탐구
과학 과학사, 생활과 과학
음악 감상과 비평,
체육 예술 음악, 미술, 연극
미술 감상과 비평
생활 교양 제2외국어Ⅰ, 한문Ⅰ, 철학, 논리학, 심리학, 논술 제2외국어Ⅱ, 한문Ⅱ

※ 선택과목 안내는 대학별 교육과정에 따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참고용으로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24 청소년을 사로잡는 진로 디자인 2


어떤 책을 읽어야 할까?

∙ 나의 첫 필사노트(이효석/이상/김유정) ∙ 문학의 길에서 길을 묻다(전국대학문예창작학회)


∙ 동화 창작의 실제(이동렬) ∙ 밤하늘이 시를 쓰다(김수복)
∙ 문장 강화(이태준) ∙ 소설보다 더 재미있는 소설쓰기(박덕규)
∙ 문학과 미디어(신흥대 미디어문예창작과 교수실) ∙ 소설은 어떻게 작동하는가(제임스 우드)
∙ 문학과 비평의 사유(강상대) ∙ 소설의 감상과 창작(구인환)

문예창작학과가 있는 대학은?

▶ 학과
- 서울: 명지대, 동덕여대, 서울과학기술대, 추계예술대
- 부산

▶ 관련 학과
- 서울: 동국대(국어국문문예창작학부), 숭실대(예술창작학부 문예창작전공)
- 부산: 신라대(문예창작비평학과)

졸업 후에는 이런 곳으로 갈 수 있어요.

감독, 광고기획자, 광고회사 카피라이터, 구성작가, 글쓰기 교사, 극작가, 기업체 홍보 전문가, 대중문화 평론가, 동화
작가, 만화 스토리 작가, 무용 및 오페라 대본 작가, 문학평론가, 방송/신문 기자, PD, 방송국 구성작가, 방송작가, 소설가,
시나리오 작가, 시인, 언론인, 출판사 편집부원, 희곡 및 시나리오 작가, 대학 산하 연구기관 및 국립국어원과 한국학
진흥원

문예창작학과 인터뷰 살펴보기

∙ 글로 새로운 세계를 ∙ 신라대 문예창작비평학과


창조하는 문예창작과 [05:48]
[4:15]

인문계열 25
문 헌 정 보 학 과

문헌정보학과는?

문헌정보학은 전통적인 도서관학의 연구방법론 과학의 급성장과 정보에 대한 새로운 해석 및 가치


과는 달리 주로 정보의 발생, 성질, 행태 및 유통 부여를 시도하고 있는 학문 분야이기도 합니다.
현상에 관한 일반적 원리를 추구하는 순수과학적 문헌정보학과는 각종 정보에 대하여 가장 신속,
측면과 효과적이며 능률적인 정보유통시스템의 정확하게 최적의 정보를 이용자에게 제공할 수
설계와 운용에 관계된 응용과학적 측면을 모두 있도록 그 처리 방법을 개발하는 것을 궁극적인
포함하고 있는 학문 분야입니다. 뿐만 아니라 최근 목표로 합니다.
정보사회에 적극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컴퓨터

필요한 역량은 무엇일까?

∙ 타인을 배려하는 마음과 원만한 인간관계 능력, 의사소통능력


∙ 다양한 정보 자료를 활용하여 새로운 지적 산물을 창출할 수 있는 창의성
∙ 정보통신기술에 대한 이해와 이를 현장에 활용할 수 있는 정보 리터러시 능력
∙ 평소에 책을 좋아하고 신문, 잡지 등 다양한 분야의 신간 도서 및 자료에 대한 관심
∙ 전산, 통계 등에 소질이 있고 방대한 양의 지식과 정보를 체계화할 수 있는 분석력
∙ 다양한 언어 관련 정보와 자료를 접하므로 영어, 한문을 비롯한 외국어에 대한 관심과 소질

어떤 과목을 선택해서 배워야 할까?

교과 선택과목
교과(군)
영역 일반선택 진로선택

국어 화법과 작문, 독서, 언어와 매체, 문학 심화 국어, 고전 읽기

기초 수학 수학Ⅰ, 수학Ⅱ, 확률과 통계

영어 영어 회화, 영어Ⅰ, 영어 독해와 작문, 영어Ⅱ 영미 문학 읽기

사회(역사, 도덕) 세계지리, 세계사, 동아시아사, 사회·문화, 윤리와 사상 여행지리, 사회문제 탐구


탐구
과학 과학사, 생활과 과학

체육 예술

생활 교양 제2외국어Ⅰ, 한문Ⅰ, 철학, 논리학, 심리학, 논술 제2외국어Ⅱ, 한문Ⅱ

※ 선택과목 안내는 대학별 교육과정에 따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참고용으로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26 청소년을 사로잡는 진로 디자인 2


어떤 책을 읽어야 할까?

∙ 지상의 아름다운 도서관(최정태) ∙ 유럽의 책마을을 가다(정진국)


∙ 지상의 위대한 도서관(최정태) ∙ 최신 문헌정보학의 이해(한국문헌정보학회)
∙ 히말라야 도서관(존 우드) ∙ 도서관에서 생긴 일(귀뒬)
∙ 생각하지 않는 사람들(니콜라스 카) ∙ 도서관 친구들 이야기(여희숙)
∙ 도서관의 탄생(스튜어트 A.P. 머레이) ∙ 책 vs 역사-책이 만든 역사, 역사가 만든 책
∙ 책, 문명과 지식의 진화사(니콜 하워드) (볼프강 헤를레스/클라우스-뤼디거 마이)
∙ 독서의 역사(알베르토 망구엘) ∙ 유럽도서관에서 길을 묻다
∙ 에코의 서재 알렉산드리아 도서관(로이 매클라우드) (전국학교도서관담당교사모임)

문헌정보학과가 있는 대학은?

▶ 학과
- 서울: 동덕여대, 서울여대, 숙명여대, 연세대, 이화여대, 중앙대
- 부산: 경성대, 동의대, 부산대, 신라대

▶ 관련 학과
- 서울: 상명대(인문콘텐츠학부 문헌정보학전공)
- 부산

졸업 후에는 이런 곳으로 갈 수 있어요.

사서, 문화재보존가, 언론인(기자, PD, 아나운서등), 인문과학연구원, 작가 , 정보관리전문가, 지식경영전문가, 데이터


분석전문가, 기록물관리사

문헌정보학과 인터뷰 살펴보기

∙ 사서가 되려면 무슨 ∙ 동덕여대 문헌정보학과


학과를 가야할까? 소개
(문헌정보학과) [04:16]
[03:38]

인문계열 27
미 학 과

미학과는?

미학은 미와 예술, 그리고 그것을 가능하게 하는 동원하기도 합니다. 이를 통해 궁극적으로 인간의


인간적인 특성과 사회·문화적 요소들을 이론적으로 가치와 삶의 의미를 성찰하고 문화와 세계를 다양
탐구하는 학문 분야입니다. 철학적 방법론을 주로 한 각도에서 조망해 본다는 점에서 인문학의 다른
사용하지만, 역사적, 심리학적, 사회학적 방법론을 영역들과 공통의 학문적 목표를 갖는 학과입니다.

필요한 역량은 무엇일까?

∙ 예술 교과에 대한 관심과 안목, 학업 역량


∙ 인간의 가치와 삶에 의미에 대한 성찰
∙ 문화와 세계에 대한 깊은 관심과 고민

어떤 과목을 선택해서 배워야 할까?

교과 선택과목
교과(군)
영역 일반선택 진로선택

국어 화법과 작문, 독서, 언어와 매체, 문학 심화 국어, 고전 읽기

기초 수학 수학Ⅰ, 수학Ⅱ, 확률과 통계

영어 영어 회화, 영어Ⅰ, 영어 독해와 작문, 영어Ⅱ 영미 문학 읽기

사회(역사, 도덕) 사회·문화, 생활과 윤리, 윤리와 사상 여행지리, 사회문제 탐구


탐구
과학 과학사, 생활과 과학

음악 연주, 미술 창작,
체육 예술 연극
미술 감상과 비평

생활 교양 제2외국어Ⅰ, 철학, 논리학, 심리학, 종교학 제2외국어Ⅱ

※ 선택과목 안내는 대학별 교육과정에 따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참고용으로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28 청소년을 사로잡는 진로 디자인 2


어떤 책을 읽어야 할까?

∙ 미의 역사(움베르토 에코) ∙ 세상을 바꾼 미술(정연심)


∙ 미학 오디세이 1,2,3(진중권) ∙ 아름다움의 구원(한병철)
∙ 미학의 기본 개념사(W.타타르키비츠) ∙ 예술과 경제를 움직이는 다섯 가지 힘(김형태)
∙ 미학의 역사(미학대계간행회) ∙ 예술수업(오종우)
∙ 미학이론(테오도르 W.아도르노) ∙ 이미지의 힘-영상과 섹슈얼리티(아네트쿤)

미학과가 있는 대학은?

▶ 학과
- 서울: 서울대
- 부산

▶ 관련 학과
- 서울
- 부산

졸업 후에는 이런 곳으로 갈 수 있어요.

대학교수, 연구원, 예술평론가, 출판물기획자, 학예사(큐레이터), 공연 기획자

미학과 인터뷰 살펴보기

∙ 서울대 스누패스파인더 ∙ 서울대 미학과 이해완 교수


미학과 [04:33]
[13:44]

인문계열 29
불 어 불 문 학 과

불어불문학과는?

불어불문학과는 프랑스 문화를 익히고, 프랑스 대문호들의 문학이라면, 프랑스 문학은 다양한
문학과 예술의 전통을 탐구하며, 프랑스 언어의 색을 가진 작은 조각들이 모여 만들어 낸 커다란
기본적인 이론과 개념을 배워 언어와 문학, 인간의 시대정신 자체라고 합니다. 이에 따라 불어불문학
세계를 이해하고 더불어 국제적, 전문적 역량을 과는 더없이 사소한 것들일지라도 결코 소홀히
함양하는 학과입니다. 프랑스어는 전 세계 500만 하지 않고 늘 새롭게 따져보는 실사의 정신을 배양
명이 사용하는 UN 국제 공용어, 예술가의 혼을 하며, 이를 통해 말과 사물의 본 모습, 나아가 그
닮았다는 아름다운 언어, 부드러운 울림 속에서 이면의 깊이를 가늠하는 시각을 길러주면서 인문
뜨거운 열정을 담아낼 수 있는 언어라고 합니다. 학의 원론을 기억하게 하는 학과입니다.
다른 나라의 문학 작품들이 시대정신을 담아낸

필요한 역량은 무엇일까?

∙ 프랑스어라는 언어의 과학적 구조에 대한 관심


∙ 프랑스 문학 작품뿐만 아니라 영미문학, 유럽 문학 등 다양한 외국 문학과 프랑스 영화·예술에 대한 관심
∙ 평소 프랑스를 비롯한 유럽권 국가에 대한 관심과 흥미
∙ 문학적 감수성과 언어를 머릿속에 그릴 수 있는 논리력과 상상력
∙ 새로운 세계를 탐험해 나가려는 호기심과 용기
∙ 인문학 및 문학 전반에 대한 이해도
∙ 언어 능력과 인문학적 소양 및 논리적 사고력

어떤 과목을 선택해서 배워야 할까?

교과 선택과목
교과(군)
영역 일반선택 진로선택
국어 화법과 작문, 독서, 언어와 매체, 문학 심화 국어, 고전 읽기
기초 수학 수학Ⅰ, 수학Ⅱ, 확률과 통계
영어 영어 회화, 영어Ⅰ, 영어 독해와 작문, 영어Ⅱ 영미 문학 읽기
사회(역사, 도덕) 세계지리, 세계사, 사회·문화, 윤리와 사상 여행지리, 사회문제 탐구
탐구
과학 과학사, 생활과 과학
체육 예술
생활 교양 프랑스어Ⅰ, 철학, 논리학, 심리학, 논술 프랑스어Ⅱ

※ 선택과목 안내는 대학별 교육과정에 따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참고용으로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30 청소년을 사로잡는 진로 디자인 2


어떤 책을 읽어야 할까?
∙ 고도를 기다리며(사뮈엘 베케트) ∙ 쎄느강은 좌우를 나누고 한강은 남북으로 가른다
∙ 노틀담 드 파리(청소년 모던 클래식1)(빅토르 마리 위고) (홍세화)
∙ 눈 먼 시계공(리처드 도킨스) ∙ 어린 왕자(앙투안 드 생텍쥐페리)
∙ 눈먼 자들의 도시(주제 사라마구) ∙ 연금술사(파울로 코엘료)
∙ 레 미제라블(청소년 모던 클래식2)(빅토르 마리 위고) ∙ 왜 세계화가 문제일까(게르트 슈나이더)
∙ 마담 보바리(귀스타브 플로베르) ∙ 이방인(알베르 카뮈)
∙ 업그레이드 먼나라 이웃나라 2-프랑스(이원복) ∙ 인간 조건(앙드레 말로)
∙ 비계덩어리(기 드 모파상) ∙ 파리에서 온 낱말(최연구)

불어불문학과가 있는 대학은?

▶ 학과
- 서울: 고려대, 서울대, 서울여대, 숭실대, 연세대, 이화여대, 홍익대
- 부산: 부산대

▶ 관련 학과
- 서울: 경희대(프랑스어학과), 동덕여대(프랑스어과), 성균관대(프랑스어문학과), 성신여대(프랑스어문·문화학과),
숙명여대(프랑스언어·문화학과), 중앙대(유럽문화학부(프랑스어문학)), 한국외대(프랑스어교육과, 프랑스
어학부, 프랑스학과)
- 부산: 부산외대(프랑스어과)

졸업 후에는 이런 곳으로 갈 수 있어요.

대학교수, 무역 담당자, 방송앵커, 방송작가, 번역가, 성우, 언론인(기자, PD, 아나운서 등), 여행안내원, 정부 부처 및
공공 기관 공무원, 통번역가, 프랑스어를 사용하는 국가(프랑스, 스위스, 벨기에, 아프리카 등)와 관련된 업무를 수행
하는 국내외 기업, 프랑스 유학원, 국제통상업체, 여행사, 중앙정부 및 지방자치단체, 해외 현지 기업

불어불문학과 인터뷰 살펴보기

∙ 서울대 ∙ 고려대 문과대학 ∙ 대학전공별 진로가이드


불어불문학과 소개 불어불문학과 불어불문학
[12:17] 홍보영상 [12:24]
[06:03]

∙ 외대생은 프랑스어 ∙ 이홍 교수, 인하대 ∙ 숭실대 불어불문학과


공부를 어떻게 할까? 프랑스언어 [05:21]
[06:55] 문학전공
[TEXT]

인문계열 31
사 학 과

사학과는?

역사학은 과거를 연구하는 학문으로 현 인류가 하는 학문 분야입니다. 사학과는 세계사적 보편적


현재에 이르기까지 지내 온 생활의 발자취와 이룩 법칙을 인식하고 이러한 인식을 바탕으로 인간의
한 유산 모두를 과학적으로 탐구함으로써 우리의 본질을 탐구하여 사회를 바라보는 시각을 키우는
오늘과 내일을 설계하는 데 확고한 지침을 얻고자 데 전공의 목표를 두고 있는 학과입니다.

필요한 역량은 무엇일까?

∙ 한국사 및 세계사에 대한 관심 및 학업 능력
∙ 영어, 한문, 일본어 등에 대한 관심
∙ 인류 문명의 변천사를 비롯한 동서양 고금의 역사에 대한 지적 호기심
∙ 사회의 다양한 현상 및 역사적 현상에 대한 호기심과 상상력

어떤 과목을 선택해서 배워야 할까?

교과 선택과목
교과(군)
영역 일반선택 진로선택

국어 화법과 작문, 독서, 언어와 매체, 문학 고전 읽기

기초 수학 수학Ⅰ, 수학Ⅱ, 확률과 통계

영어 영어 회화, 영어Ⅰ, 영어 독해와 작문, 영어Ⅱ 영미 문학 읽기

사회(역사, 도덕) 한국지리, 세계지리, 세계사, 동아시아사 여행지리, 사회문제 탐구


탐구
과학 과학사, 생활과 과학

체육 예술

생활 교양 제2외국어Ⅰ, 한문Ⅰ, 철학, 종교학, 논술 제2외국어Ⅱ, 한문Ⅱ

※ 선택과목 안내는 대학별 교육과정에 따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참고용으로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32 청소년을 사로잡는 진로 디자인 2


어떤 책을 읽어야 할까?
∙ 고려사의 재발견(박종기) ∙ 역사란 무엇인가(에드워드 H.카)
∙ 국화와 칼(루스 베네닉트) ∙ 이야기 일본사(김희영)
∙ 나의 문화유산답사기 시리즈(유홍준) ∙ 이야기 중국사 1,2,3(김희영)
∙ 문화로 읽은 세계사(주경철) ∙ 조선왕비 오백년사(윤정란)
∙ 미래를 여는 한국의 역사3(권내현/심재우 외) ∙ 한국인을 위한 중국사(신성곤, 윤혜영)
∙ 사기열전(사마천) ∙ 허드슨 강변에서 중국사를 이야기하다
∙ 삼국유사(일연) (레이 황의 중국사 평설)(레이 황)
∙ 역사(헤로도토스)

사학과가 있는 대학은?

▶ 학과
- 서울: 건국대, 경희대, 고려대, 동국대, 서울여대, 성균관대, 성신여대, 숭실대, 연세대, 이화여대, 한국외대, 한양대
- 부산: 부경대, 부산대, 동아대

▶ 관련 학과
- 서울: 고려대(한국사학과), 광운대(동북아문화산업학부), 국민대(한국역사학과), 동덕여대(국사학과),
서강대(사학전공), 서울대(국사학과, 동양사학과, 서양사학과), 서울시립대(국사학과), 세종대(역사학과),
중앙대(역사학과)
- 부산: 동아대(역사문화학부(사학전공)), 신라대(역사문화학과)

졸업 후에는 이런 곳으로 갈 수 있어요.

문화재감정평가사, 역사학연구원, 방송작가, 평론가, 출판물기획자, 학예사(큐레이터), 문화재보존원(컨서베이터),


기록물 관리사(기록물관리전문요원), 잡지기자, 신문기자, 방송기자, 방송연출가, 무대 및 세트디자이너, 여행상품
개발자, 여행 사무원, 공무원(문화직), 교재 및 교구개발자, 문화관광해설사, 문화예술프로그램기획자, 문화재 수리 및
복원 연구원, 문화재 디지털 복원가, 문화재 발굴조사전문가, 문화재연구원, 문화해설사, 미술품감정사, 미술품경매사,
상품공간스토리텔러, 역사학원 강사, 예술제본가, 유적발굴원, 중등학교 역사교사, 지역문화사업 연구 조사원, 해외문화
프로그램 방송작가

사학과 인터뷰 살펴보기

∙ 인류의 발자취에서 ∙ 고려대 ∙ 한양대 사학과


미래를 찾는 전공체험강의실 전공안내 영상
사학과 사학과 [07:11]
[03:41] [35:27]

인문계열 33
서 어 서 문 학 과

서어서문학과는?

스페인어는 세계에서 두 번째로 많이 사용되는 으로 연결되는 학과입니다. 서어서문학과는 스페


언어입니다. 그러므로 스페인어와 문화를 이해 인과 라틴아메리카를 비롯한 스페인어권 세계에
하는 것은 자연스럽게 아름다운 문화를 자랑하는 대한 폭넓은 이해를 통해 우리의 인식 지평을 넓
이베리아반도뿐만 아니라 최근 미개척 시장으로 히고, 더 나아가 인간다움의 추구라는 인문학의
인식된 라틴아메리카 지역의 전문가가 되는 것 근본정신을 구현하고자 하는 학문입니다.

필요한 역량은 무엇일까?

∙ 문학 수업에 대한 흥미와 언어학에 대한 열정


∙ 스페인을 비롯한 유럽, 중남미 국가의 사회 문화와 역사에 대한 관심
∙ 외국어 교과에 대한 학업 능력

어떤 과목을 선택해서 배워야 할까?

교과 선택과목
교과(군)
영역 일반선택 진로선택

국어 화법과 작문, 독서, 언어와 매체, 문학 심화 국어, 고전 읽기

기초 수학 수학Ⅰ, 수학Ⅱ, 확률과 통계

영어 영어 회화, 영어Ⅰ, 영어 독해와 작문, 영어Ⅱ 영미 문학 읽기

사회(역사, 도덕) 세계지리, 세계사, 사회·문화, 윤리와 사상 여행지리, 사회문제 탐구


탐구
과학 과학사, 생활과 과학

체육 예술

생활 교양 스페인어Ⅰ, 철학, 논리학, 심리학, 논술 스페인어Ⅱ

※ 선택과목 안내는 대학별 교육과정에 따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참고용으로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34 청소년을 사로잡는 진로 디자인 2


어떤 책을 읽어야 할까?

∙ 돈키호테(미겔 데 세르반테스 사아베드라) ∙ 영혼을 사로잡는 매혹의 땅 쿠바(김영구)


∙ 라틴아메리카의 역사(카를로스 푸엔테스) ∙ 왜 스페인은 끌리는가(안영옥)
∙ 백 년 동안의 고독(가브리엘 가르시아 마르께스) ∙ 일생에 한 번은 스페인을 만나라(최도성)
∙ 베로니카, 죽기로 결심하다(파울로 코엘료) ∙ 콜럼버스에서 룰라까지-중남미의 재발견(송기도)
∙ 베스트 오브 스페인 101(이재환) ∙ 픽션들(호르헤 루이스 보그헤스)
∙ 스페인 문화 순례(정동희/황수현 외)

서어서문학과가 있는 대학은?

▶ 학과
- 서울: 고려대, 서울대
- 부산

▶ 관련 학과
- 서울: 경희대(스페인어학과), 한국외대(스페인어과), 한국외대(스페인어 통번역학과)
- 부산: 부산외대(스페인어과)

졸업 후에는 이런 곳으로 갈 수 있어요.

마케팅 사무원, 출입국 심사관, 탑승 수속 사무원, 무역사무원, 외교관, 외국어 강사, 저작권에이전트, 시인, 소설가,
평론가, 번역가, 통역가, 잡지기자, 신문기자, 방송기자, 아나운서, 리포터, 해외영업원, 면세 상품 판매원, 여행상품
개발자, 여행 사무원, 여행 안내원, 투어 컨덕터(해외여행 인솔자), 관광통역 안내원, 항공기 객실 승무원, 국제협력사무원,
문학평론가, 방송컨텐츠마케팅디렉터, 스페인어연구원, 신문 방송 해외특파원, 유학상담자, 자막 제작자, 칼럼니스트,
크루즈 승무원, 해외공보관, 호텔 프런트 사무원

서어서문학과 인터뷰 살펴보기

∙ 대학전공별 진로가이드 ∙ 서울대


서어서문학 서어서문학과 소개
[13:26] [17:51]

∙ 고려대 서어서문학과 ∙ EBS 입시 핫 라인


홍보영상 (학과선택) 스페인어과
[05:59] [29:29]

인문계열 35
언 어 학 과

언어학과는?

언어는 사람을 사람답게 만들어 주는 도구이며, 하는 학문 분야입니다. 그렇다고 언어학이 단순히


더 나아가 보다 나은 사람과 사회를 만들어 주는 언어만을 연구하는 학문은 아닙니다. 사회학,
가장 아름답고도 효과적인 도구입니다. 언어학은 심리학, 교육학 등 다른 학문과 접목되어 다양한
이처럼 소중한 도구인 언어를 연구하는 학문입 분야에서 응용되기도 합니다. 이렇듯 언어학은
니다. 언어의 본질은 무엇인지, 언어의 구조는 언어를 연구하는 과학적이며 실용적인 학문입
어떻게 되어있는지, 어떻게 하면 보다 효과적으로 니다.
의사소통을 할 수 있을지 등을 과학적으로 연구

필요한 역량은 무엇일까?

∙ 언어나 어학에 대한 소질과 흥미


∙ 언어 능력에 대한 지적 호기심
∙ 분석적이며 원리적인 탐구 능력
∙ 새로운 것에 대한 호기심과 분석력
∙ 언어학의 응용 분야인 심리언어학, 컴퓨터 언어학, 언어 병리학 등에 대한 관심

어떤 과목을 선택해서 배워야 할까?

교과 선택과목
교과(군)
영역 일반선택 진로선택

국어 화법과 작문, 독서, 언어와 매체, 문학 심화 국어, 고전 읽기

기초 수학 수학Ⅰ, 수학Ⅱ, 확률과 통계

영어권 문화,
영어 영어 회화, 영어Ⅰ, 영어 독해와 작문, 영어Ⅱ
영미 문학 읽기

사회(역사, 도덕) 한국지리, 세계지리, 세계사, 동아시아사 여행지리, 사회문제 탐구


탐구
과학 과학사, 생활과 과학

체육 예술

생활 교양 제2외국어Ⅰ, 논리학, 심리학, 논술 제2외국어Ⅱ

※ 선택과목 안내는 대학별 교육과정에 따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참고용으로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36 청소년을 사로잡는 진로 디자인 2


어떤 책을 읽어야 할까?
∙ 구술문화와 문자문화(월터 J.옹) ∙ 사라져가는 목소리들(다니엘 네틀/수잔 로메인)
∙ 국어학개설(이익섭) ∙ 언어-풀어 쓴 언어학 개론(강범모)
∙ 기호 논리학(벤슨 메이츠) ∙ 언어란 무엇인가(청소년을 위한)(니콜라우스 뉘첼)
∙ 논리 철학 논고(루트비히 비트겐슈타인) ∙ 언어와 신화(에른스트 카시러)
∙ 뉴욕의 한국어 선생님들(민병갑/임세정) ∙ 일반언어학 강의(페드디낭 드 소쉬르)
∙ 비밀의 언어(사이먼 싱) ∙ 지식의 고고학(미셸 푸코)
∙ 뿌리 깊은 나무 1,2(이정명) ∙ 한글의 발명(정광)

언어학과가 있는 대학은?

▶ 학과
- 서울: 고려대, 서울대
- 부산

▶ 관련 학과
- 서울: 한국외대(언어인지과학과)
- 부산: 부산대(언어정보학과)

졸업 후에는 이런 곳으로 갈 수 있어요.

교재교구개발자, 언어학 연구원, 한국어 강사, 다문화 언어 지도사, 시인, 소설가, 카피라이터, 작사가, 방송작가, 번역가,
통역가, 학예사(큐레이터), 신문기자, 방송기자, 편집기자, 아나운서, 리포터, 국어 학원 강사, 네이미스트, 논술지도사,
문서감정사, 문화예술평론가, 사회조사 분석사, 스포츠캐스터, 스피치 강사, 시나리오 작가, 언어연구원, 언어처리 전문가,
음성인식(UX) 디자이너, 정보보호 프로그래머, 키워드에디터, 프레젠테이션 컨설턴트

언어학과 인터뷰 살펴보기

∙ 언어를 통한 ∙ 고려대전공체험 ∙ 노용균 교수,


인간의 연구, 강의실 언어학과 충남대 언어학과
언어학과 [32:49] [TEXT]
[04:03]

∙ 대학전공별 ∙ 서울대 언어학과


진로가이드 [16:35]
언어학
[13:49]

인문계열 37
영 어 영 문 학 과

영어영문학과는?

영어영문학과는 영어학 및 영어 문학에 대한 영국 등 영어권 국가의 고전문학 작품과 현대문학


폭넓은 이해와 국제 공용어로 자유롭게 의사소통 작품에 대한 분석을 통해 영어의 다양한 표현들을
할 수 있는 능력을 함양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익히게 됩니다. 언어로서 영어가 지닌 구조와 특성,
학과입니다. 영어의 구조, 문법, 의미 등 영어와 영어권 문학의 변천사와 작품들에 대한 이해 과정을
관련 이론을 공부함으로써 영어를 바르게 말하고 바탕으로 비판적, 창의적 사고력을 지닌 글로벌
쓰는 능력을 배웁니다. 읽고 말하고 쓰는 실용 영어 인재를 육성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뿐만 아니라 셰익스피어의 작품을 비롯한 미국,

필요한 역량은 무엇일까?

∙ 영어 관련 서적, 영미문학 및 영화 등에 관한 흥미, 작품의 시대적·문화적 배경에 대한 관심


∙ 영국과 미국뿐만 아니라 영어를 사용하는 다양한 국가의 사회 문화적 특성에 대한 관심
∙ 영어뿐만 아니라 국어와 다른 외국어에 대한 남다른 관심, 사회 과목을 통한 외국 문화, 역사, 사회, 경제
등에 관한 흥미
∙ 영문학 및 영어학 지식의 실용적 가치를 창조하는 실천적 노력
∙ 글로벌 시대에 맞는 폭넓은 이해력과 포용력
∙ 창의적인 문제해결 능력
∙ 언어 능력과 분석적 사고 및 문학적 소양

어떤 과목을 선택해서 배워야 할까?

교과 선택과목
교과(군)
영역 일반선택 진로선택
국어 화법과 작문, 독서, 언어와 매체, 문학 심화 국어, 고전 읽기
기초 수학 수학Ⅰ, 수학Ⅱ, 확률과 통계
영어 영어 회화, 영어Ⅰ, 영어 독해와 작문, 영어Ⅱ 영어권 문화, 진로 영어, 영미 문학 읽기
사회(역사, 도덕) 세계지리, 세계사, 사회·문화, 윤리와 사상 여행지리, 사회문제 탐구
탐구
과학 과학사, 생활과 과학
체육 예술 음악, 미술, 연극 음악 감상과 비평, 미술 감상과 비평
생활 교양 제2외국어Ⅰ, 철학, 논리학, 심리학, 논술 제2외국어Ⅱ

※ 선택과목 안내는 대학별 교육과정에 따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참고용으로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38 청소년을 사로잡는 진로 디자인 2


어떤 책을 읽어야 할까?

∙ 동물농장(조지 오웰) ∙ 일리아드 오디세이(호메로스)


∙ 미국 생활과 문화탐방(알리슨 라니에/제프 데이비스) ∙ 찰리와 초콜릿 공장(원서)(로알드 달)
∙ 셰익스피어 4대 비극(윌리엄 셰익스피어) ∙ 태양은 다시 떠오른다(어니스트 헤밍웨이)
∙ 신곡(단테 알리기에리) ∙ 파리 대왕(월리엄 골딩)
∙ 영미문학의 길잡이 1,2(영미문학연구회) ∙ 허클베리 핀의 모험(마크 트웨인)
∙ 올리버 트위스트/위대한 유산(찰스 디킨스) ∙ 호밀밭의 파수꾼(제롬 데이비드 샐린저)
∙ 이야기 미국사(이구한) ∙ 황무지(T.S. 엘리엇)
∙ 이야기 영국사(김현수)

영어영문학과가 있는 대학은?

▶ 학과
- 서울: 건국대, 경희대, 고려대, 국민대, 동국대, 삼육대, 서울과기대, 서울대, 서울시립대, 서울여대, 성신여대,
숙명여대, 숭실대, 연세대, 이화여대, 중앙대, 한양대, 홍익대
- 부산: 경성대, 동의대, 부경대, 부산대, 한국해양대

▶ 관련 학과
- 서울: 경희대(글로벌커뮤니케이션학부, 응용영어통번역학과), 광운대(영어산업학과), 동덕여대(영어과),
서강대(영미문화계), 숙명여대(테슬(TESL)전공), 한국외대(EICC학과, 영미문학·문화학과, 영어통번역학부)
- 부산: 동서대(영어학과), 부산외대(영어학부), 신라대(산업실무영어과)

졸업 후에는 이런 곳으로 갈 수 있어요.

대학교수, 무역 담당자, 방송앵커, 방송작가, 번역가, 성우, 언론인(기자, PD, 아나운서 등), 여행 안내원, 인문과학 연구원,
정부 부처 및 공공 기관 공무원, 작가, 출판사 경영, 출판물 기획자, 통역가, 호텔 지배인, 국제 경제/무역 관련 국가 민간
연구소, 대사관, 무역·수출입 관련 공공 기관, 무역 회사, 방송사, 사설 학원, 신문사, 인문과학 관련 국가 민간 연구소,
여행사, 중앙정부 및 지방자치단체, 잡지사, 출판사, 해외 현지 기업, 호텔

영어영문학과 인터뷰 살펴보기

∙ 어서와 성균관대 ∙ 고려대 ∙ 노승희 교수,


영어영문학과는 전공체험강의실 전남대
처음이지 영어영문학과 영어영문학과
[03:58] [59:09] [TEXT]

∙ 대학전공별 ∙ 부경대 ∙ [하이틴TV]


진로가이드 인문사회과학대학 제주대학교
영어영문학 영어영문학부 영어영문학과
[12:26] [03:28] [04:46]

인문계열 39
일 어 일 문 학 과

일어일문학과는?

일어일문학과에서는 일본어라는 언어만이 아니라 관계를 연구합니다. 일본과 민간차원의 교류가


문학 또는 문화를 뜻하는 한자 ‘문(⽂)’을 함께 활발히 진행되고 있어 서로에게 중요한 경제 파트
포함하기에 일본의 언어, 문학, 사회, 정치, 경제, 너이자 문화 파트너라는 인식이 점차 확대되고
문화를 포함하여 일본과 관련된 인문학 및 사회 있습니다. 이에 따라 일어일문학과에서는 한국의
과학 전반에 관해 탐구하는 학과입니다. 문법, 학계, 경제계, 언론계, 정부 기관 등에서 일본의
어휘 등에 대한 이론적 접근을 통해 일본어 구사 언어, 문화, 사회, 경제 등에 대한 지식을 종합적
능력을 기를 뿐만 아니라 일본 문학 작품과 작가 으로 갖춰 어느 분야에서도 활약이 가능한 일본
를 분석하여 일본 문학의 시대적 발달과정과 전문가를 배출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문예사조를 살펴보고 일본 문학과 사회변천과의

필요한 역량은 무엇일까?

∙ 일본어와 일본의 문화, 정치, 경제 등에 관한 흥미와 관심


∙ 한자에 대한 기본적인 소양과 합리적인 의사소통 능력
∙ 지적 호기심, 탐구력과 편견을 갖지 않는 열린 사고
∙ 역사성과 주체성을 가지고 한국문학과 일본 문학이 주고받는 영향을 연구함으로써 양국 문화를 깊이
이해하고 비교·종합할 수 있는 능력과 소질
∙ 일본 전문가가 되어 한·일 관계는 물론 동아시아를 이끌어 갈 글로벌 리더로서의 자질
∙ 논리적 사고와 국제적 감각을 바탕으로 타인과의 소통을 원만히 수행할 수 있는 능력

어떤 과목을 선택해서 배워야 할까?

교과 선택과목
교과(군)
영역 일반선택 진로선택
국어 화법과 작문, 독서, 언어와 매체, 문학 심화 국어, 고전 읽기
기초 수학 수학Ⅰ, 수학Ⅱ, 확률과 통계
영어 영어 회화, 영어Ⅰ, 영어 독해와 작문, 영어Ⅱ 영미 문학 읽기
사회(역사, 도덕) 세계지리, 세계사, 동아시아사, 사회·문화, 윤리와 사상 여행지리, 사회문제 탐구
탐구
과학 과학사, 생활과 과학
체육 예술
생활 교양 일본어Ⅰ, 한문Ⅰ, 철학, 논리학, 심리학, 논술 일본어Ⅱ, 한문Ⅱ

※ 선택과목 안내는 대학별 교육과정에 따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참고용으로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40 청소년을 사로잡는 진로 디자인 2


어떤 책을 읽어야 할까?

∙ 가와바타 야스나리 문학 연구(김채수) ∙ 일본은 지금 무엇을 생각하는가?(서승원/문정인)


∙ 국화와 칼(루스 베네딕트) ∙ 축소지향의 일본인(이이령)
∙ 마음에 핀 꽃(나카자토 후미오) ∙ 타스크로 배우는 일본 사정(다카하시 마리코 외)
∙ 바쇼의 하이쿠 기행 1,2,3(마츠오 바쇼) ∙ 햐쿠닌잇슈의 작품세계(최충희)
∙ 상실의 시대(무라카미 하루키) ∙ 한 줄도 너무 길다(류시화)
∙ 샐러드 기념일(타와라 마치) ∙ 호리병 속의 일본(국중호)
∙ 우리가 모르는 일본인(최관) ∙ 나의 문화유산 답사기 일본편 1,2,3,4(유홍준)
∙ 일본 일본인 일본문화(정형)

일어일문학과가 있는 대학은?

▶ 학과
- 서울: 고려대, 서울여대, 숭실대
- 부산: 부경대, 부산대

▶ 관련 학과
- 서울: 경희대(일본어학과), 국민대(일본학과), 동국대(일본학과), 동덕여대(일본어과), 삼육대(일본어학과),
성신여대(일본어문·문화학과), 숙명여대(일본학과), 중앙대(아시아문화학부(일본어문학)),
한국외대(융합일본지역학부, 일본어통번역학과, 일본언어문화학부)
- 부산: 경성대(인문문화학부 일어일문학전공), 동서대(동아시아학과, 일본어학과), 동아대(일본학과),
동의대(일본어학과), 부산외대(일본어융합학부), 신라대(일본어일본학과), 한국해양대(동아시아학과)

졸업 후에는 이런 곳으로 갈 수 있어요.

대학교수, 동시 통역사, 무역 담당자, 언론인(기자, PD, 아나운서 등), 여행 안내원, 인문과학 연구원, 작가, 외교관, 일본
전문 투자설계사, 출판물 기획자, 통번역가, 해외(특히 일본) 마케팅, 국내 및 일본 현지 기업, 국제 경제/무역 관련 국가
민간 연구소, 일본 대사관, 무역 회사, 방송사, 사설 학원, 신문사, 인문과학 관련 국가 민간 연구소, 여행사, 중앙정부 및
지방자치단체, 증권사, 잡지사, 출판사

일어일문학과 인터뷰 살펴보기

∙ 고려대 ∙ 고려대 문과대학 ∙ 대학전공별


전공체험강의실 일어일문학과 진로가이드
일어일문학과 홍보영상 일어일문학
[49:46] [05:42] [11:17]

∙ 부경대 ∙ 윤행수 교수,


인문사회과학대학 한밭대 일본어과
일어일문학부 [TEXT]
(일본문화 바로가기)
[02:28]

인문계열 41
종 교 학 과

종교학과는?

인간은 ‘종교적 동물’입니다. 인간은 오래전부터 종교학과는 그런 질문들을 강렬하고 엄격하며


인생의 존재 의미를 스스로 물었습니다. 그리고 동시에 지적으로 선명하게 갈고 닦을 뿐만 아니라
어떻게 사는 것이 이상적인지 고민하였습니다. 그 내용을 가르치고 연구하는 학과입니다. 이뿐만
인간은 그 존재 의미를 찾는 시도를 ‘종교’라고 아니라 기존 신앙, 진리, 그리고 윤리적으로 난해한
불렀습니다. 종교는 예전에도 그랬듯이, 오늘날에도 문제에 대한 솔직한 질문들을 대담하게 던지는
우리 삶에 대한 가장 근본적이며 심오한 질문을 학문입니다.
던져, 삶에 대한 충격적인 시선을 제공합니다.

필요한 역량은 무엇일까?

∙ 종교의 의미와 기능, 종교와 문화, 종교와 사회의 관계 등에 대한 관심


∙ 영어, 라틴어, 한문 등 외국어에 대한 흥미와 소질
∙ 다원적 종교 문화에 대한 깊은 이해와 감수성
∙ 타인에 대한 공감적 이해 능력
∙ 다른 문화와 종교를 존중하고 이해할 줄 아는 열린 마음

어떤 과목을 선택해서 배워야 할까?

교과 선택과목
교과(군)
영역 일반선택 진로선택

국어 화법과 작문, 독서, 언어와 매체, 문학 고전 읽기

기초 수학 수학Ⅰ, 수학Ⅱ, 확률과 통계

영어 영어 회화, 영어Ⅰ, 영어 독해와 작문, 영어Ⅱ 영미 문학 읽기

사회(역사, 도덕) 세계지리, 세계사, 동아시아사, 생활과 윤리, 윤리와 사상 여행지리, 사회문제 탐구
탐구
과학 과학사, 생활과 과학

체육 예술

생활 교양 제2외국어Ⅰ, 철학, 종교학, 논리학, 논술 제2외국어Ⅱ

※ 선택과목 안내는 대학별 교육과정에 따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참고용으로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42 청소년을 사로잡는 진로 디자인 2


어떤 책을 읽어야 할까?

∙ 종교학의 이해(김승혜) ∙ 종교의 본질에 대하여(루트비히 포이어바프)


∙ 교회란 무엇인가(레슬리 뉴비긴) ∙ 이성의 한계 안에서의 종교(임마누엘 칸트)
∙ 성서 입문(정태현) ∙ 종교의 미래(이태하)
∙ 성스러움의 의미(루돌프 옷토) ∙ 종교적 경험의 다양성(월리엄 제임스)
∙ 종교 현상학 입문(게라르두스 반 델 레에우) ∙ 만들어진 신(리처드 도킨스)

종교학과가 있는 대학은?

▶ 학과
- 서울: 서강대, 서울대
- 부산

▶ 관련 학과
- 서울: 가톨릭대(신학과), 감리교신학대(신학부), 동국대(불교학부), 삼육대 (신학과), 서울기독대(기독교신학전공),
서울여대(기독교학과), 서울한영대(신학과), 숭실대(기독교학과), 연세대(신학과), 이화여대 (기독교학과),
장로회신학대(신학과), 총신대(기독교교육과, 신학과), 케이씨대 (신학과), 한국성서대(성서학과)
- 부산: 고신대(신학과)

졸업 후에는 이런 곳으로 갈 수 있어요.

목사, 전도사, 신부, 수녀, 승려, 교무(원불교), 출판물 기획자, 잡지기자, 신문기자, 방송기자, 방송연출가,
인문과학 연구원

종교학과 인터뷰 살펴보기

∙ 최혜영 교수,
가톨릭대 종교학과
[TEXT]

인문계열 43
중 어 중 문 학 과

중어중문학과는?

중어중문학과는 중국 어학과 문학 지식을 함께 시대부터 현재까지의 문학의 흐름과 그 안에서


체계적으로 습득하고 중국의 역사, 정치, 경제, 주요 문학 장르, 작품, 작가들을 배우게 되고, 어학
문화예술 전반에 대한 폭넓은 이해를 통하여 부분에서는 중국어의 발생부터 중국어의 구조를
중국이라는 나라를 배우고 이해하고자 하는 학과 배우게 됩니다. 또한, 고전과 현대, 어학과 문학을
입니다. 중어중문학과에서는 중국어 청취와 회화, 균형 있게 배워 중국의 문화, 역사까지 깊고 넓게
독해, 작문 등 중국어에 관한 체계적인 공부와 이해하여 진정한 중국 전문가를 배출하는 것을
함께 중국의 문학을 연구하여 중국의 오랜 역사와 목표로 합니다.
문화에 관해 탐구합니다. 문학 부분에서는 상고

필요한 역량은 무엇일까?

∙ 우리나라, 일본, 중국 등 동양 문화에 대한 관심


∙ 중국의 역사와 급변하는 중국의 현실에 대한 애정과 호기심
∙ 지속적인 연구와 노력을 할 수 있는 인내심과 끈기
∙ 중국의 어학, 문학, 문화에 대한 심화된 지식과 역량
∙ 중국을 이해하여 국제사회 교류에 이바지하고자 하는 세계인 정신
∙ 인류의 다양한 문제에 대한 관심
∙ 글로벌 시대에 필요한 의사소통 능력과 창의력·논리력·탐구력

어떤 과목을 선택해서 배워야 할까?

교과 선택과목
교과(군)
영역 일반선택 진로선택
국어 화법과 작문, 독서, 언어와 매체, 문학 심화 국어, 고전 읽기
기초 수학 수학Ⅰ, 수학Ⅱ, 확률과 통계
영어 영어 회화, 영어Ⅰ, 영어 독해와 작문, 영어Ⅱ 영미 문학 읽기
사회(역사, 도덕) 세계지리, 세계사, 동아시아사, 사회·문화, 윤리와 사상 여행지리, 사회문제 탐구
탐구
과학 과학사, 생활과 과학
음악 감상과 비평,
체육 예술 음악, 미술, 연극
미술 감상과 비평
생활 교양 중국어Ⅰ, 한문Ⅰ, 철학, 논리학, 심리학, 논술 중국어Ⅱ, 한문Ⅱ

※ 선택과목 안내는 대학별 교육과정에 따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참고용으로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44 청소년을 사로잡는 진로 디자인 2


어떤 책을 읽어야 할까?
∙ 노자를 읽고 장자에게 배운다(푸페이룽) ∙ 아Q정전(루쉰)
∙ 논어(공자) ∙ 절반의 중국사(가오훙레이)
∙ 문학의 숲에서 동양을 만나다(김선자) ∙ 중국사의 수수께끼(김영수)
∙ 사기열전(사마천) ∙ 중국의 경제지리를 읽는다(후자오량)
∙ 아틀라스 중국사(박한제/이준갑 외) ∙ 중국의 내일을 묻다(문정인)
∙ 열려라! 중국 신화-정재서 교수님과 함께하는 ∙ 지금이라도 중국을 공부하라 1,2(류재윤)
(정재서/양재홍) ∙ 차이나 핸드북(성균중국연구소)
∙ 이중톈, 중국인을 말하다(이중톈) ∙ 청소년을 위한 언어란 무엇인가(니콜라우스 뉘첼)

중어중문학과가 있는 대학은?

▶ 학과
- 서울: 건국대, 고려대, 동국대, 서울대, 서울여대, 숙명여대, 숭실대, 연세대, 이화여대, 한양대
- 부산: 부산대

▶ 관련 학과
- 서울: 경희대(중국어학과), 고려대(한문학과), 국민대(중국어문전공, 중국학부), 동덕여대(중어중국학과), 삼육대
(중국어학과), 서울시립대(중국어문화학과), 성균관대(한문학과), 성신여대(중국어문·문화학과), 중앙대
(아시아문화학부 중국어문학), 한국외대(중국어교육과, 중국어통번역학과, 중국언어문화학부)
- 부산: 경성대(중국학과), 동서대(중국어학과), 동아대(중국학과), 동의대(중국어학과), 부산대(한문학과), 부산외대
(중국학부), 신라대(중국어중국학과)

졸업 후에는 이런 곳으로 갈 수 있어요.

대학교수, 동시 통역사, 무역 담당자, 언론인(기자, PD, 아나운서 등), 여행 안내원, 외교관, 인문과학 연구원, 작가, 중국
전문 투자설계사, 출판물 기획자, 통번역가, 해외(특히 중국) 마케팅, 호텔 지배인, 국제 경제/무역 관련 국가 민간 연구소,
대사관, 무역 회사, 방송사, 사설 학원, 신문사, 인문과학 관련 국가 민간 연구소, 여행사, 중국 현지 기업, 중앙정부 및
지방자치단체, 잡지사, 출판사, 호텔

중어중문학과 인터뷰 살펴보기

∙ 고려대 ∙ 고려대 문과대학 ∙ 대학전공별


전공체험강의실 중어중문학과 진로가이드
중어중문학과 홍보영상 중어중문학
[27:13] [05:01] [12:11]

∙ 부경대 ∙ 이영호 교수, ∙ EBS 입시 핫 라인


인문사회과학대학 제주대 (학과선택)
중국학과 홍보영상 중어중문학과 중국언어문화학과
[03:01] [TEXT] [30:02]

인문계열 45
철 학 과

철학과는?

철학은 세계와 인간에 대한 가장 근본적인 문제 더 나아가 철학은 각 분과 학문이 서로 어떤 관계를


들을 이성적으로 탐구하는 학문 분야입니다. 철학은 맺고 있으며 이러한 관계를 통해 드러나는 세계
우리가 일상적 삶에서 당연하고 자명한 것으로 전체의 모습이 어떤 것인가에 대한 총체적 이해를
믿고 있는 전제들을 비판적으로 검토함으로써 추구합니다. 철학과는 현실에 대한 치밀하고 날카
우리의 삶에 대한 근본적 반성을 추구합니다. 이 로운 비판과 분석력을 기반으로 인간과 세계에
뿐만 아니라 철학은 각 분과 학문에서 전제하고 대한 학문적 이해력과 더불어 사회적으로 훌륭한
있는 기본 개념과 원리들을 비판적으로 검토하여 삶을 이끌어갈 강인한 생활력을 가진 인재를 육성
개별 학문들의 토대에 근본적 반성을 추구합니다. 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필요한 역량은 무엇일까?

∙ 사물과 세계를 인문학적 관점으로 바라볼 수 있는 통합적 사고 능력


∙ 인간 본성과 존재 가치, 삶의 본질 및 사회에 대한 관심과 이해
∙ 지적 호기심과 다양한 독서 능력
∙ 논리적이고 합리적인 사고방식
∙ 외국어와 자연과학, 언어, 문학 등에 대한 흥미와 관심

어떤 과목을 선택해서 배워야 할까?

교과 선택과목
교과(군)
영역 일반선택 진로선택
국어 화법과 작문, 독서, 언어와 매체, 문학 고전 읽기
기초 수학 수학Ⅰ, 수학Ⅱ, 확률과 통계
영어 영어 회화, 영어Ⅰ, 영어 독해와 작문, 영어Ⅱ 영미 문학 읽기
한국지리, 세계지리, 세계사, 동아시아사,
사회(역사, 도덕) 여행지리, 사회문제 탐구
탐구 사회·문화, 윤리와 사상
과학 과학사, 생활과 과학
체육 예술
생활 교양 제2외국어Ⅰ, 한문Ⅰ, 철학, 논리학, 종교학, 논술 제2외국어Ⅱ, 한문Ⅱ

※ 선택과목 안내는 대학별 교육과정에 따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참고용으로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46 청소년을 사로잡는 진로 디자인 2


어떤 책을 읽어야 할까?

∙ 10대와 통하는 사찰 벽화 이야기(강호진) ∙ 의지와 표상으로서의 세계(아르투어 쇼펜하우어)


∙ 동양철학 에세이 1,2(이부록/김교빈) ∙ 철학, 영화를 캐스팅하다(이왕주)
∙ 세상과 생각을 여는 철학자의 사고실험 ∙ 철학의 힘(김형철)
(이브 보사르트) ∙ 청소년을 위한 서양 철학사(서용순)
∙ 소크라테스적 성찰(엄정식) ∙ 포스트휴먼이 온다(이종관)
∙ 소피의 세계(요슈타인 가아더) ∙ 소크라테스의 변론(플라톤)
∙ 아주 오래된 질문들(한국철학사상연구회) ∙ 도덕경(노자)
∙ 어떤 양형 이유(박주영)

철학과가 있는 대학은?

▶ 학과
- 서울: 건국대, 경희대, 고려대, 동국대, 서강대, 서울대, 서울시립대, 성균관대, 숭실대, 연세대, 이화여대, 중앙대,
한국외대, 한양대
- 부산: 부산대

▶ 관련 학과
- 서울: 서울시립대(융합전공학부 철학-동아시아문화학전공)
- 부산: 동아대(철학생명의료윤리학과)

졸업 후에는 이런 곳으로 갈 수 있어요.

철학 연구원, 시인, 소설가, 영화시나리오작가, 방송작가, 게임시나리오작가, 기록물 관리사(기록물관리 전문요원),


신문기자, 방송기자, 논술지도사, 문화예술평론가, 생활코치, 중등학교 도덕·윤리교사, 출판물 기획 전문가

철학과 인터뷰 살펴보기

∙ 서울시립대 전공소개 ∙ 고려대 전공체험강의실


철학과 철학과
[03:51] [28:56]

∙ 대학전공별 진로가이드 ∙ 성태용 교수, 건국대


철학·윤리학 철학과
[13:15] [TEXT]

인문계열 47
한 문 학 과

한문학과는?

한문은 동아시아 고대 기록 문자입니다. 한문을 합니다. 한문학과는 한문으로 쓰인 동양 고전을


흔히 중국 문자로 인식하는 경우가 많으나, 한문은 탐구하는 학문으로서, 특히 우리나라의 한문 고전과
우리나라와 일본, 베트남, 중국 등이 공유했던 문학을 중점적으로 연구합니다. 동양과 우리나라의
공동 문어(⽂語)였습니다. 우리나라에서도 전통 고전과 문학을 탐구하여 과거 수천 년간 동양에서
시대에는 한문이 국가 공식 기록 문자였습니다. 축적해 놓은 삶의 지혜를 발굴하여 현대인들의
따라서 한자와 한문은 중국 문자이기도 하지만 삶을 향상시키는데 기여하고자 하는 학문이 바로
동시에 우리 문자이기도 하고, 일본 문자이기도 한문학입니다.

필요한 역량은 무엇일까?

∙ 한문 및 고전문학 교과에 대한 학업 능력
∙ 동양 문화 국가의 역사와 사회 문화에 대한 관심
∙ 한국 고전문학에서 확장된 한자 문화권 고전에 대한 관심

어떤 과목을 선택해서 배워야 할까?

교과 선택과목
교과(군)
영역 일반선택 진로선택

국어 화법과 작문, 독서, 언어와 매체, 문학 심화 국어, 고전 읽기

기초 수학 수학Ⅰ, 수학Ⅱ, 확률과 통계

영어 영어 회화, 영어Ⅰ, 영어 독해와 작문, 영어Ⅱ 영미 문학 읽기

사회(역사, 도덕) 한국지리, 세계지리, 세계사, 동아시아사, 사회·문화, 윤리와 사상 여행지리, 사회문제 탐구
탐구
과학 과학사, 생활과 과학

체육 예술

생활 교양 제2외국어Ⅰ, 한문Ⅰ, 철학, 논리학, 심리학, 논술 제2외국어Ⅱ, 한문Ⅱ

※ 선택과목 안내는 대학별 교육과정에 따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참고용으로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48 청소년을 사로잡는 진로 디자인 2


어떤 책을 읽어야 할까?

∙ 강의(신영복) ∙ 열하일기(박지원)
∙ 도올 논어 1,2,3(김용옥) ∙ 조선시대 책과 지식의 역사(강명관)
∙ 목민심서(정약용) ∙ 이이화의 한문 공부(이이화)
∙ 문명 의식과 실학 ­ 석학 인문 강좌 1 : 한국 지성사를 ∙ 한자의 뿌리 1,2(김언종)
읽다(임형택) ∙ 한학입문-심경호 교수의 한학 강좌(심경호)

한문학과가 있는 대학은?

▶ 학과
- 서울: 고려대, 성균관대
- 부산: 부산대

▶ 관련 학과
- 서울: 성균관대(한문교육과), 성신여대(한문교육과)
- 부산

졸업 후에는 이런 곳으로 갈 수 있어요.

교수, 문화콘텐츠전문가, 방과후교사, 번역가, 신문기자, 연구원, 일반공무원, 중등학교 교사, 학습지 및 방문교사,
학예사, 학예연구사, 학원강사, 문화콘텐츠작가

한문학과 인터뷰 살펴보기

∙ 고려대 전공체험강의실 ∙ 고려대 문과대학


한문학과 한문학과 홍보영상
[58:17] [06:03]

인문계열 49
2
02 사회계열
사회계열이란 사회계열은 사회의 여러 현상을 과학적이고 체계적으로 연구하는 경험과학에
무엇일까? 바탕을 둡니다. 따라서 인간 생활의 다양한 측면과 관련된 기초학문인 사회학,
정치학, 경제학, 법학, 행정학 등과 같은 학문을 교육하고 연구합니다. 개인 혹은
국가의 지속적인 발전을 위해 사회변화를 분석하고 대안을 제시할 수 있는 기본
적인 소양을 기르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어떤 분야로 사회계열은 경영·경제, 세무·회계, 법률, 사회과학으로 나뉘며, 사회과학은 다시


구성되어 행정, 방송·미디어, 심리·사회복지 등의 분야로 나뉩니다.
있을까? 경영·경제
일반 기업에서 통계적인 의사결정에 따르는 활동, 조직체의 구조와 원리를 연구
하는 경영학과 인간의 경제 활동에 기초를 둔 사회적 질서를 연구하는 경제학을
바탕으로 하는 영역입니다. 또 경제 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 학문도 포함됩니다.

세무·회계
세계 표준화, 정보화 시대에 적합한 기업 회계 정보를 제공할 수 있고 개인과
기업의 세무 정보 수요를 충족시키고 회계 정보의 사회적 공공성 및 윤리성 제고를
위해 적용될 수 있는 이론과 실제를 연구하는 분야입니다.

법률‧행정(경찰행정학, 법학, 행정학, 정치외교학)


사회 각 분야의 정의와 민주주의를 실현하기 위해 법률에 대한 전문적인 연구와
교육을 제공하는 법학과 공적인 가치를 달성하기 위해 정부 및 각 기관의 운영과
정에서 일어나는 복잡한 국내‧외 문제들을 효율적으로 관리하여 사회 각 분야의
균형적 발전을 목표로 하는 행정학 및 정치외교학으로 구성됩니다.

국제‧도시‧지역(국제학, 부동산학, 지역개발학)


세계 각 지역의 지리, 역사, 문화, 경제 등을 종합적으로 공부하는 국제학과 최근의
부동산 시장의 변화에 발맞추어 부동산 경제, 경영, 개발, 법, 기술 등 다양한 분야를
종합적으로 연구·교육하는 부동산학, 지역의 토지, 주택, 교통, 환경 등의 문제를
분석하여 해결할 수 있는 이론과 방법을 연구하는 지역개발학으로 구성됩니다.

사회과학(아동가족학, 사회학, 사회복지학, 심리학)


인간과 사회의 여러 현상을 과학적으로 탐구하는 분야로 모든 경험과학에 바탕
을 둡니다. 우리 주변에서 일어나는 크고 작은 사회 현상에 대해 분석·연구하는
사회학, 개별 인간의 마음과 행동을 과학적으로 공부하는 심리학, 급격한 사회변
화에 따른 다양하고 복잡한 문제를 해결하여 공평한 사회를 만들기 위한 방법을
연구하는 사회복지 분야가 포함됩니다.

52 청소년을 사로잡는 진로 디자인 2


언론·방송·매체학(광고홍보학, 언론정보학,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
사람들 간의 원활한 소통을 위해 신문, 방송, 영상 매체, 정보통신 등 대중매
체에 대해 연구하며, 바람직한 미디어 문화와 대중매체의 발전에 기여하는
전문 인력을 양성합니다. 광고홍보학, 언론홍보학, 신문방송학, 언론정보학,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으로 구성됩니다.

인류학(문화인류학)
인간과 문화를 종합적으로 연구하며 인문학과 사회과학을 아우르는 성격의
인류학과 문화적 감수성과 소통 능력을 기반으로 인류문화의 다양성과 보편
성을 이해하고 이론화시키는 문화인류학으로 구성됩니다.

어떤 학과가 경영정보학과, 경영학과, 경제학과, 경찰행정학과, 광고홍보학과, 국제통상학과,


있을까? 국제학과, 글로벌비즈니스학과, 금융보험학과, 무역·유통학과, 미디어커뮤니케이션
학과, 법학과, 부동산학과, 사회복지학과, 사회학과, 세무·회계학과, 심리학과, 아동
가족학과, 의료경영학과, 인류학과, 정치외교학과, 행정학과, 호텔관광경영학과

무엇을 사회계열에서는 각 전공 영역에 따라 배우는 내용이 다릅니다. 경영·경제에서는


배울까? 마케팅, 인사관리, 재무관리, 경영정보, 경제사, 미시·거시경제학, 계량경제학
등을 배운다. 법학 영역에서는 헌법, 행정법, 민법, 형법, 상법, 민사소송법, 형사
소송법, 노동법, 국제법 등 실정법과 법철학, 법사회학, 법사학, 비교법학 등을
배울 수 있습니다. 사회과학에서는 다양한 사회 현상을 배우고 사람들의 의견을
조사하고 과학적으로 분석하기 위해 설문조사기법, 통계분석방법 등의 조사방법
론을 기본으로 배울 수 있습니다.

관련 직업 감정평가사 광고기획자 금융자산운용가 다문화가정상담전문가


[07:00] [09:09] [12:07] [04:54]

디지털포렌식수사관 방송콘텐츠마케팅디렉터 변리사 보험계리사


[00:28] [07:32] [08:58] [08:21]

정신보건사회복지사 증권중개인 프로파일러 호텔리어


[15:07] [11:27] [12:03] [13:32]

사회계열 53
경 영 정 보 학 과

경영정보학과는?

경영정보학은 세계화, 첨단 정보화되어 가는 하에 기업경쟁력의 핵심 요소인 정보기술을 이해


기업환경의 변화에 적극 대처할 수 있도록 여러 하고 응용하여 기업의 경영관리와 효율적 사업
가지 경영정보를 신속, 정확하게 분석, 활용하여 수행에 필요한 정보를 수집, 저장, 관리, 분석할
경영 의사결정에 중요한 지원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수 있는 경영정보기술인의 양성에 교육 목표를
합니다. 경영정보학과는 세계적인 정보화 추세 두고 있습니다.

필요한 역량은 무엇일까?

∙ 최신 IT 기술을 활용하여 전통적인 비즈니스 및 IT 기반 비즈니스를 혁신하고, 새로운 비즈니스를


창출하는데 필요한 전문지식(knowledge)
∙ 실무기술(skill)을 가진 IT 서비스 기반 사회를 선도할 수 있는 전문가로서의 역량

어떤 과목을 선택해서 배워야 할까?

교과 선택과목
교과(군)
영역 일반선택 진로선택

국어 화법과 작문, 독서, 언어와 매체, 문학

기초 수학 수학Ⅰ, 수학Ⅱ, 미적분, 확률과 통계 경제 수학

영어 영어 회화, 영어Ⅰ, 영어 독해와 작문, 영어Ⅱ 진로 영어

사회(역사, 도덕) 경제, 정치와 법, 사회·문화 여행지리, 사회문제 탐구


탐구
과학 과학사, 생활과 과학

체육 예술

생활 교양 제2외국어Ⅰ, 한문Ⅰ, 심리학, 논술

※ 선택과목 안내는 대학별 교육과정에 따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참고용으로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54 청소년을 사로잡는 진로 디자인 2


어떤 책을 읽어야 할까?

∙ 4차산업혁명 세상을 바꾸는 14가지 미래 기술 ∙ 열두 발자국(정재승)


(한국경제TV 산업팀) ∙ 인공지능과 딥러닝(마쓰오 유타카)
∙ 경영정보시스템(케니스 C. 라우던 외) ∙ 정보통신 배움터(정진욱/유수현)
∙ 성공하는 사람들의 7가지 습관(스티븐 코비) ∙ 클라우스 슈밥의 제4차 산업혁명(클라우스 슈밥)
∙ 소프트웨어 중심사회의 컴퓨터 개론(강환수 외) ∙ 스티브 잡스(월터 아이작슨)
∙ 십대가 알아야 할 인공지능과 4차 산업혁명의 미래
(전승민)

경영정보학과가 있는 대학은?

▶ 학과
- 서울: 국민대, 동국대, 명지대, 삼육대
- 부산: 동아대, 동명대, 동의대, 부산가톨릭대

▶ 관련 학과
- 서울: 국민대(빅데이터경영통계전공), 서울기독대(글로벌휴먼경영전공), 케이씨대(G2빅데이터경영학과),
한양대(산업융합학부)
- 부산: 동의대(정보경영학부 e비즈니스학전공)

졸업 후에는 이런 곳으로 갈 수 있어요.

경영기획사무원, 경영정보시스템개발자, 경영컨설턴트, 고객정보분석원, 교수, 금융관련사무원, 금융관리자, 기업


고위임원(CEO), 대학강사, 데이터베이스개발자, 데이터베이스관리자, 마케팅 및 여론조사전문가, 생산관리사무원,
웹 및 멀티미디어 디자이너, 웹디자이너, 웹마스터, 웹엔지니어, 웹프로그래머, 웹프로듀서, 재무관리자, 전자상거래
전문가, 정보기술컨설턴트, 정보보호전문가, 정보시스템운영자, 정보통신기사, 정보통신컨설턴트, 컴퓨터강사, 컴퓨터
시스템감리전문가, 컴퓨터시스템분석가, 컴퓨터시스템설계 및 분석가, 컴퓨터프로그래머, 통계 및 설문조사원, 통계
사무원, 행정공무원, 회계사무원, MIS전문가, ERP 운영자 및 관리자, 창업, 네트워크관리자, 모바일앱개발자, 데이터
분석전문가

경영정보학과 인터뷰 살펴보기

∙ 계명대학교 ∙ 송대진 교수, 충북대학교


경영정보학과 학과소개 경영정보학과 학과 소개
[09:42] [02:49]

사회계열 55
경 영 학 과

경영학과는?

경영학과는 기업 조직의 구조와 행동 원리를 경영 정보 등에 대해 배울 수 있습니다. 조직을


연구하는 사회과학의 일종입니다. 기업, 관청, 학교 경영하는 데 필요한 이론과 기법, 기업의 실제적
등 조직이라고 생각되는 일반적인 기관의 경영에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하고 효율적
대한 전문적인 지식을 연구하는 실용 학문으로 인 관리능력을 키울 수 있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마케팅, 회계, 재무관리, 인사관리, 생산관리, 유통, 있는 학과입니다.

필요한 역량은 무엇일까?

∙ 기본적으로 합리적인 의사 결정 능력과 창의력이 요구되며, 급변하는 환경에 빠르게 대처하기 위한


새로운 기술개발과 글로벌 기업환경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
∙ 재정 관리, 범주화, 판단과 의사결정, 조직체계의 분석 및 평가, 수리력

어떤 과목을 선택해서 배워야 할까?

교과 선택과목
교과(군)
영역 일반선택 진로선택

국어 화법과 작문, 독서, 언어와 매체, 문학 심화 국어, 고전 읽기

기초 수학 수학Ⅰ, 수학Ⅱ, 미적분, 확률과 통계 기하, 경제 수학

영어 영어 회화, 영어Ⅰ, 영어 독해와 작문, 영어Ⅱ 진로 영어

사회(역사, 도덕) 경제, 정치와 법, 사회·문화 여행지리, 사회문제 탐구


탐구
과학 과학사, 생활과 과학

체육 예술

생활 교양 제2외국어Ⅰ, 한문Ⅰ, 논술

※ 선택과목 안내는 대학별 교육과정에 따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참고용으로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56 청소년을 사로잡는 진로 디자인 2


어떤 책을 읽어야 할까?

∙ 넛지(리처드 H. 탈러, 캐스 선스타인) ∙ 이 광고는 망했어요(톰 피시번)


∙ 만약 고교야구 여자 매니저가 피터 드러커를 읽는다면 ∙ 청소년을 위한 경영의 역사: 고대부터 21세기 지식사회
(이와사키 나쓰미) 까지, 한눈에 보는 경영사(이재규)
∙ 부의 탄생(윌리엄 번스타인) ∙ 초난감 기업의 조건(릭 채프먼)
∙ IT혁신으로 세계를 바꾼 스티브 잡스의 리더십(전도근) ∙ 프로테스탄티즘의 윤리와 자본주의 정신(막스 베버)
∙ 알기 쉬운 경영학 입문: 철수와 붕어빵 이야기(양정우) ∙ 경영학 콘서트(장영재)
∙ 열두 살에 부자가 된 키라(보도 섀퍼)

경영학과가 있는 대학은?

▶ 학과
- 서울: 건국대, 경희대, 고려대, 광운대, 국민대, 동국대, 동덕여대, 명지대, 삼육대, 상명대, 서강대, 서경대, 서울과
학기술대, 서울대, 서울시립대, 서울여대, 성균관대, 성신여대, 세종대, 숙명여대, 숭실대, 연세대, 이화여대,
중앙대, 한국외대, 한양대, 홍익대
- 부산: 경성대, 동명대, 동아대, 동의대, 부경대, 부산가톨릭대, 부산대, 부산외대, 신라대, 인제대

▶ 관련 학과
- 서울: 건국대(기술경영학과), 성균관대(글로벌경영학과), 명지대(미래융합경영학과), 성신여대(문화예술경영학과),
숭실대(벤처중소기업학과), 중앙대(지식경영학부), 한양대(파이낸스경영학과), 숭실대(미디어경영학과)
- 부산: 경성대(호텔관광경영학 전공), 동명대(관광경영학과, 유통경영학과, 호텔경영학과), 동아대(관광경영학과,
융합경영학과, 지식서비스경영학과), 부경대(해양수산경영학과), 부산가톨릭대(유통경영학과), 신라대(국제
관광경영학부), 한국해양대(해양경영경제학부 해운경영전공)

졸업 후에는 이런 곳으로 갈 수 있어요.

영업 및 판매 관리자, 영업관리전문가, 보험설계사, 헤드헌터, 인적자원컨설턴트, 경영기획담당자, 창업컨설턴트, CSR


컨설턴트, 아이디어컨설턴트, PPL마케터, 평판관리전문가, 생산관리사무원, 개인자산관리사, 손해사정사, 펀드매니저,
CEO

경영학과 인터뷰 살펴보기

∙ 성민제 교수, 아주대학교 ∙ 한양대학교 경영학부


경영학과 전공 소개 전공 안내
[16:10] [07:40]

사회계열 57
경 제 학 과

경제학과는?

경제학은 인간의 물질 생활과 관련된 여러 경제학을 과학적 방법으로 연구합니다. 이에 따라


문제들에 대한 최선의 합리적 해답을 찾고자 하는 지도적 인격과 창조적 능력을 갖추고 사회의 제반
학문입니다. 경제학적 분석력, 합리적 판단력. 세계 경제 문제를 파악하여 적절한 대책과 해결을 모색
수준에서 경쟁할 수 있는 업무 능력을 배양시키 할 수 있는 능력 있는 전문 경제인 양성을 양성
고자 합니다. 경제학과는 이론과 응용성을 조화시킨 하는데 교육 목표를 두고 있습니다.

필요한 역량은 무엇일까?

∙ 경제 현상을 체계적으로 분석하고, 합리적, 논리적으로 생각하는 습관


∙ 수식이나 그래프 활용하여 경제 현상을 수학적으로 설명하는 방법론이 주류를 이루고 있으므로 그래프,
수식 및 통계를 다룰 수 있는 수리적인 능력

어떤 과목을 선택해서 배워야 할까?

교과 선택과목
교과(군)
영역 일반선택 진로선택

국어 화법과 작문, 독서, 언어와 매체, 문학

기초 수학 수학Ⅰ, 수학Ⅱ, 미적분, 확률과 통계 기하, 경제 수학

영어 영어 회화, 영어Ⅰ, 영어 독해와 작문, 영어Ⅱ

사회(역사, 도덕) 경제, 정치와 법, 사회·문화 여행지리, 사회문제 탐구


탐구
과학 과학사, 생활과 과학

체육 예술

생활 교양 제2외국어Ⅰ, 한문Ⅰ, 논술

※ 선택과목 안내는 대학별 교육과정에 따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참고용으로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58 청소년을 사로잡는 진로 디자인 2


어떤 책을 읽어야 할까?

∙ 경제학 콘서트(팀 하포드) ∙ 청소년을 위한 경제의 역사(니콜라우스 피퍼)


∙ 고등학생을 위한 한국은행의 알기 쉬운 경제 이야기 ∙ 청소년을 위한 세계 경제원론 1,2,3,4
(한국은행 편집부) (바라라 고트프리트 홀랜더 외)
∙ 괴짜 경제학(스티븐 레빗/스티븐 더브너) ∙ 젊은 지성을 위한 케인즈의 일반이론
∙ 청소년을 위한 자본론(김수행) (류동민/존 메이너드 케인즈)
∙ 다윈 지능(최재천) ∙ 하버드 박사의 경제학 블로그(김대환)
∙ 죽은 경제학자의 살아있는 아이디어(토드 부크홀츠) ∙ 20대라면 무조건 써먹는 경제 상식(김종선)

경제학과가 있는 대학은?

▶ 학과
- 서울: 건국대, 경희대, 고려대, 국민대, 동국대, 동덕여대, 서강대, 서울대, 서울시립대, 서울여대, 성신여대, 세종대,
숙명여대, 숭실대, 연세대, 이화여대, 중앙대, 한국외대, 홍익대
- 부산: 동아대, 동의대, 부경대, 부산대

▶ 관련 학과
- 서울: 고려대(식품자원경제학과), 동국대(식품산업관리학과), 서울대(농경제사회학부), 성균관대(글로벌경제학과),
숙명여대(소비자경제학과), 숭실대(금융경제과), 한양대(경제금융학부)
- 부산: 경성대(경제금융물류학부), 부산대(식품자원경제학과), 부산외대(경제금융학과), 한국해양대(해양경영경제
학부 경제전공)

졸업 후에는 이런 곳으로 갈 수 있어요.

일반 기업체, 은행, 증권사, 자산 운용사, 종합 금융사, 보험 회사, 컨설팅 회사, 무역 회사, 회계 법인, 노무 법인, 리서치
회사, 신문사, 잡지사, 방송국, 중앙정부 및 지방자치단체, 금융·무역·수출입 관련 공공 기관, 경영/경제 관련 국가·민간
연구소, 사회과학 관련 국가·민간 연구소

경제학과 인터뷰 살펴보기

∙ 유재원 교수, 숭실대학교 ∙ 성균관대 글로벌경제학과


경제경영학과 학과정보 소개 영상
[17:52] [06:25]

사회계열 59
경 찰 행 정 학 과

경찰행정학과는?

21세기 국가발전에서 최고의 사회간접자본으로 학과의 교육내용은 경찰학과 범죄학 분야로 크게


평가되고 있는 것이 사회질서입니다. 사회질서에 나뉩니다. 경찰학은 경찰의 조직, 인사, 예산, 기획을
대한 국민적 요구와 기대치는 앞으로도 크게 증대 비롯하여 경찰제도사, 각국의 경찰제도, 민간경비
될 것입니다. 경찰은 사회질서 확보에 중심적인 등과 같이 경찰행정과 관련된 학문을 말하며, 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능력 있고 사명감 투철한 죄학은 범죄의 원인, 범죄의 현상, 범죄의 대책,
경찰관에 대한 수요 또한 크게 증가할 것입니다. 그리고 형사사법정책 등을 탐구합니다.

필요한 역량은 무엇일까?

∙ 탐구적 사고를 지니고 조직적이고 체계적인 일에 흥미와 자질이 있는 진취적인 성격


∙ 국가와 국민을 위해 일한다는 봉사 의식과 투철한 사명감, 상황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융통성, 인내심, 자기 통제력
∙ 시민을 위한 정의로운 사회 구현을 최고의 가치로 여기는 명예 의식, 리더십, 정직성
∙ 범죄 수사 업무에 있어 필요한 추리력과 판단력, 분석적 사고, 강인한 체력과 순발력

어떤 과목을 선택해서 배워야 할까?

교과 선택과목
교과(군)
영역 일반선택 진로선택
국어 화법과 작문, 독서, 언어와 매체, 문학

기초 수학 수학Ⅰ, 수학Ⅱ, 확률과 통계

영어 영어 회화, 영어Ⅰ, 영어 독해와 작문, 영어Ⅱ 진로 영어

사회(역사, 도덕) 정치와 법, 사회·문화, 생활과 윤리, 윤리와 사상 여행지리, 사회문제 탐구


탐구
과학 과학사, 생활과 과학
체육 예술

생활 교양 제2외국어Ⅰ, 한문Ⅰ, 철학, 논리학, 심리학

※ 선택과목 안내는 대학별 교육과정에 따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참고용으로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60 청소년을 사로잡는 진로 디자인 2


어떤 책을 읽어야 할까?

∙ 살인자들과의 인터뷰(로버트 K. 레슬러) ∙ 루시퍼 이펙트 : 무엇이 선량한 사람을 악하게 만드는가
∙ 나는 대한민국 국가공무원이다(나상미) (필립 짐바르도)
∙ 보이지 않는 고릴라 ∙ 범죄의 해부학: 살인자의 심리를 완벽하게 꿰뚫어
(크리스토퍼 차브리스/대니얼 사이먼스) 보는 법(마이클 스톤)
∙ 거짓말하는 착한 사람들: 우리는 왜 부정행위에 ∙ 프로파일러(팻 브라운)
끌리는가(댄 애리얼리) ∙ 한국이 보이는 세계사(윤세병/최재호/이성호)
∙ 바른 마음: 나의 옳음과 그들의 옳음은 왜 다른가 ∙ 개 같은 형사 25시(김인화)
(조너선 하이트) ∙ 나비 사냥(박영광)
∙ 허위 자백과 오판: 피의자 신문과 형사사법의 구조 ∙ 허준영의 폴리스 스토리(허준영)
(리처드 A. 레오) ∙ 행복 파출소(김선우)

경찰행정학과가 있는 대학은?

▶ 학과
- 서울: 동국대, 서경대
- 부산: 경성대, 동서대, 동의대, 부산외대, 신라대, 영산대

▶ 관련 학과
- 서울
- 부산: 동아대(경찰‧소방학과), 부경대(공공안전경찰학과), 부산외대(사이버경찰학과), 한국해양대(해양경찰학과)

졸업 후에는 이런 곳으로 갈 수 있어요.

경찰관, 일반행정공무원, 법원공무원, 법무사 및 집행관, 법률 사무원(법원, 로펌, 법무사무소 등), 국가정보원, 청와대
(경호처), 국립재난안전 연구원, 교정‧보호직 공무원, 경찰관, 해양경찰관, 검찰수사관, 사이버수사요원, 소방관, 교도관,
소년원 학교교사, 경호원, 국제경찰관, 군 수사관, 디지털포렌식 수사관, 범죄과학수사관(CSI), 마약단속반, 민간조사원,
세관공무원, 소방공무원, 형사정책 연구원, 한국청소년정책 연구원 등

경찰행정학과 인터뷰 살펴보기

∙ 이수진 교수, 동서대학교 ∙ 건국대학교(글로컬캠)


경찰행정학과 경찰학과 전공 소개
[02:10] [02:48]

사회계열 61
광 고 홍 보 학 과

광고홍보학과는?

광고홍보학과는 미래지향적 사고와 창의를 광고, BTL 광고 등에 관련된 실무적이고 전문적인


바탕으로 글로벌, 정보화 사회 환경에 능동적으로 인재 양성에 교육의 중점을 둡니다. 기업의 입장
대처하고 국가와 지역사회 발전에 기여할 수 있는 에서 제품이나 서비스의 판매를 도와주고, 소비자
마케팅 커뮤니케이션 전문가 양성을 교육 목표로 에게는 제품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광고’와
합니다. 이를 위해 각종 매체와 광고 산업 및 이론 조직이 공중과 호혜적인 관계를 맺기 위해 커뮤
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를 바탕으로 크리에이티브, 니케이션하는 활동을 도와주는 ‘홍보’로 구분
기획, PR, 마케팅, 카피라이팅, 세일즈 프로모션, 됩니다.
리서치, 스피치 및 프리젠테이션, 디지털미디어

필요한 역량은 무엇일까?

∙ 시장, 제품, 소비자를 분석하는 능력과 광고 및 홍보 메시지를 효과적으로 구성하는 창의력


∙ 정보사회 이후에 펼쳐지는 디지털미디어에 기반한 광고 및 마케팅을 위한 최대의 경쟁력인 창의력과
기획력을 갖춘 전문성
∙ 매체에 대한 이해를 기반으로 외국어 실력, 사회변화에 대한 민감성, 미학적 감성
∙ 새로운 도전을 즐기고 노력하며 타인의 의견과 개성을 존중하고 조화로운 사회생활을 넘어 원만한 세계인
(Global Citizenship)으로서의 소양

어떤 과목을 선택해서 배워야 할까?

교과 선택과목
교과(군)
영역 일반선택 진로선택
국어 화법과 작문, 독서, 언어와 매체, 문학 심화 국어, 고전 읽기
기초 수학 수학Ⅰ, 수학Ⅱ, 확률과 통계
영어 영어 회화, 영어Ⅰ, 영어 독해와 작문, 영어Ⅱ 영어권 문화, 진로 영어
사회(역사, 도덕) 세계사, 경제, 정치와 법, 사회·문화, 생활과 윤리 여행지리, 사회문제 탐구
탐구
과학 과학사, 생활과 과학
음악 감상과 비평,
체육 예술
미술 감상과 비평

생활 교양 제2외국어Ⅰ, 한문Ⅰ, 논리학, 논술

※ 선택과목 안내는 대학별 교육과정에 따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참고용으로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62 청소년을 사로잡는 진로 디자인 2


어떤 책을 읽어야 할까?

∙ 1984(조지 오웰) ∙ 위대한 유산(찰스 디킨스)


∙ 걸리버 여행기(조너선 스위프트) ∙ 이반 데니소비치의 하루
∙ 기자로 산다는 것(시사저널 기자) (알렉산드로 이자에비치 솔제니친)
∙ 들소(이문열) ∙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마르셀 프루스트)
∙ 쇼핑은 투표보다 중요하다(강준만) ∙ 참을 수 없는 존재의 가벼움(밀란 쿤데라)
∙ 신문 읽기의 혁명(손석춘) ∙ 카타리나 블룸의 잃어버린 명예(하인리히 뵐)
∙ 앵무새 죽이기(하퍼 리)

광고홍보학과가 있는 대학은?

▶ 학과
- 서울: 국민대, 동국대, 중앙대
- 부산: 경성대, 고신대, 동명대, 동서대, 동의대, 신라대

▶ 관련 학과
- 서울: 서경대(광고홍보컨텐츠학과)
- 부산

졸업 후에는 이런 곳으로 갈 수 있어요.


광고기획 전문가, 홍보기획 전문가, 시장분석 전문가, SP기획, 매체기획, 일반 기업의 광고 관련 관리자, 일반 기업의 홍보
관련 관리자, 출판사, 영화 배급사, 연예 기획사, 광고 대행사, 홍보 대행사, 이벤트 회사, 일반 기업 홍보팀 등의 사무직,
시장 및 여론조사 관리자, 행사기획자, 전시·회의 기획자, 파티플래너, 마케팅사무원, 광고·홍보·마케팅 사무원, 마케팅
조사전문가, 사회조사전문가, 사회단체활동가, 카피라이터, 출판물기획자, 출판·자료 편집 사무원, 잡지기자, 신문기자,
방송기자, 편집기자, 사진기자, 촬영기자, 웹 디자이너, 영화감독, 방송연출가, 연극연출가, 광고영상감독, 웹방송전문가
(1인미디어콘텐츠제작자), 웹 기획자, 이미지컨설턴트, IR전문가(investor), 미디어콘텐츠창작자, 빅데이터분석
전문가, 사이버평판관리자, 상품공간스토리텔러, 소셜미디어전문가, 언론정책연구원, 온라인광고기획자, 키워드에디터,
프리젠트컨설턴트, 중앙정부 및 지방자치단체, 각종 공공 기관의 홍보팀, 마케팅·광고·홍보 관리자 등

광고홍보학과 인터뷰 살펴보기

∙ 남고은 교수, 계명대학교 ∙ 중앙대 광고홍보학과


광고홍보학과 홍보
[08:47] [09:27]

사회계열 63
국 제 통 상 학 과

국제통상학과는?

급변하는 국제 경쟁 환경 속에서 충분한 국제 국제통상학부는 국가 간 원활한 경제 활동을


경쟁력을 지닌 기업과 산업 및 국가 경제를 이룩 위해 이와 관련한 이론·실무 등 제반 사항에 대해
하기 위해 국제통상의 이론과 실제적인 관리기술을 연구하는 학문입니다. 국가 간 거래는 경제 요소의
연구하고 산업과 국가가 필요로 하는 국제통상 전방위에서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러한 활동에
전문가를 양성함으로써 우리나라 국제통상과 통상 영향을 미치는 국내외 장애 요인을 제거해 원활
관련 산업 그리고 한국경제의 지속적인 발전과 하고 효율적인 경제 활동을 도모하는 것을 학문의
나아가서 인류의 복지 향상에 기여함을 목표로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합니다.

필요한 역량은 무엇일까?

∙ 국제경제학의 기본원리를 이해하고 이를 활용하여 정책적 대안을 제시하며, 지역경제 연구에 적용할
수 있는 국제통상전문가로서의 역량
∙ 국제 상거래 일반 및 항만·물류 관련 전문지식을 보유한 국제상거래전문가로서의 역량
∙ 기업 활동의 국제화에 부응하는 국제경영 관련 전문지식과 커뮤니케이션 능력을 보유한 국제경영
전문가로서의 역량

어떤 과목을 선택해서 배워야 할까?

교과 선택과목
교과(군)
영역 일반선택 진로선택
국어 화법과 작문, 독서, 언어와 매체, 문학
수학 수학Ⅰ, 수학Ⅱ, 미적분, 확률과 통계 경제 수학
기초
실용 영어, 영어권 문화,
영어 영어 회화, 영어Ⅰ, 영어 독해와 작문, 영어Ⅱ
진로 영어
사회(역사, 도덕) 세계지리, 세계사, 경제, 정치와 법, 사회·문화 여행지리, 사회문제 탐구
탐구
과학 과학사, 생활과 과학
체육 예술
생활 교양 제2외국어Ⅰ, 한문Ⅰ, 실용 경제 제2외국어Ⅱ

※ 선택과목 안내는 대학별 교육과정에 따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참고용으로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64 청소년을 사로잡는 진로 디자인 2


어떤 책을 읽어야 할까?

∙ 17살, 돈의 가치를 알아야 할 나이(한진수) ∙ 위기는 왜 반복되는가 : 공황과 번영, 불황 그리고


∙ 1퍼센트의 희망이라도(이용주) 제4의 시대(로버트 라이시)
∙ 처음 하는 평화 공부(모가미 도시키) ∙ 죽은 경제학자의 살아있는 아이디어(토드 부크홀츠)
∙ 거꾸로 읽는 세계사(유시민) ∙ 프리라이더: 대한민국 세금의 비밀(선대인)
∙ 삼국지 경영학(최우석) ∙ 넛지(리처드 H. 탈러, 캐스 선스타인)
∙ 나는 세계 일주로 경제를 배웠다(코너 우드먼)

국제통상학과가 있는 대학은?

▶ 학과
- 서울: 광운대, 국민대, 동국대, 명지대, 한국외대
- 부산: 동명대, 동서대, 부경대

▶ 관련 학과
- 서울: 건국대(국제무역학과), 경희대(국제통상·금융투자학부), 숭실대(국제무역학과, 글로벌통상학과),
중앙대(국제물류학과), 한국외대(중국외교통상학부)
- 부산: 경성대(국제무역통상학과), 동아대(국제무역학과), 부산외대(국제무역학과, 유럽지역통상학과),
한국해양대(해양경영경제학부 국제무역전공)

졸업 후에는 이런 곳으로 갈 수 있어요.


M&A전문가(기업인수합병 전문가), 경영컨설턴트, 관세사, 물류관리사, 영업원, 외교관, 외환딜러, 투자분석가(애널
리스트), 금융 관련 기업(은행, 증권, 보험, 자산관리), 상사 및 무역회사, 일반기업 및 공공 기관의 수출입 및 해외사업
업무, 해외사업개발 및 국제마케팅 전문가, 교육계 및 연구 분야, 무역업, 관세사, 공인회계사, 통상정책 및 통상법규관련
업무

국제통상학과 인터뷰 살펴보기

∙ 장선미 교수, 원광대학교 ∙ 동서대학교 국제통상학


국제통상학부 전공 소개
[01:57] [01:56]

사회계열 65
국 제 학 과

국제학과는?

국제사회는 노동, 자본, 상품, 정보가 자유롭게 등 다양한 분야를 종합적으로 연구합니다. 즉, 국제
교류되고, 다양한 문화와 민족이 서로 밀접한 학과는 경제·문화적 요인들이 국제관계에서 점차
관계를 맺으면서 정치, 경제, 사회, 문화 등 모든 중요해지고, 다양한 국제적 상호의존성이 증대되고
면에서 더욱 가까워지고 있습니다. 국제학 분야는 있는 지구화 시대에 발맞춰 국제적 감각과 능력을
‘지구촌화’라는 인류공동체의 과제에 부응하여 겸비한 인재를 양성하는 학과입니다. 즉, 국제학은
개인과 집단, 집단과 집단, 국가와 국가 및 국제 세계의 다양한 언어, 문화, 정치, 경제 등을 연구
기구의 관계를 정의하며, ‘국제화’, ‘세계화’에 따른 하며, 우리나라와 다른 나라와의 관계를 원활하게
세계 각 지역의 정치, 경제, 군사, 문화, 언어, 문학 하는 인재육성에 그 목적이 있습니다.

필요한 역량은 무엇일까?

∙ 자신이 서 있는 곳에서 세계적으로 생각하고 행동할 수 있는 국제적 감각


∙ 다양한 인종과 문화를 아우르는 개방적 사고와 미래 지향적인 진취적 마인드
∙ 국제관계나 외교 등 인류 공동체적인 문제와 세계적 동향에 대한 꾸준한 관심과 정치학, 경제학,
사회학 등 인접 사회과학에 대한 기본적 배경지식
∙ 전공별 특성에 따른 외국어 능력

어떤 과목을 선택해서 배워야 할까?

교과 선택과목
교과(군)
영역 일반선택 진로선택
국어 화법과 작문, 독서, 언어와 매체, 문학 심화 국어
기초 수학 수학Ⅰ, 수학Ⅱ, 확률과 통계
영어 영어 회화, 영어Ⅰ, 영어 독해와 작문, 영어Ⅱ 영어권 문화, 영미 문학 읽기
사회(역사, 도덕) 세계지리, 세계사, 동아시아사, 경제, 정치와 법, 사회·문화 여행지리, 사회문제 탐구
탐구
과학 과학사, 생활과 과학
체육 예술
생활 교양 제2외국어Ⅰ, 한문Ⅰ, 논리학, 심리학, 논술 제2외국어Ⅱ

※ 선택과목 안내는 대학별 교육과정에 따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참고용으로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66 청소년을 사로잡는 진로 디자인 2


어떤 책을 읽어야 할까?

∙ 나는 세계 일주로 경제를 배웠다(코너 우드먼) ∙ 재미있는 한국어 이야기(김진호)


∙ 네 안에 있는 글로벌 인재를 깨워라(안진오) ∙ 티셔츠 경제학(피에트라 리볼리)
∙ 빈곤의 종말(제프리 D. 삭스) ∙ 하룻밤에 읽는 세계사(미야자키 마사카스)
∙ 세상을 바꾼 글로벌 리더 50인의 특강(김덕영/박선미) ∙ 한류 브랜드 세계화(한충민)
∙ 스티글리츠 보고서: 세계 경제의 대안을 말하다 ∙ 한류학개론(박장순)
(조지프 E. 스타글리츠) ∙ 미생(윤태호)
∙ 알토란 한국어 문법(최권진/송경옥)

국제학과가 있는 대학은?

▶ 학과
- 서울: 경희대, 고려대, 광운대, 세종대, 연세대, 이화여대, 추계예술대, 한국외대, 한양대
- 부산: 부산대, 부산외대

▶ 관련 학과
- 서울: 국민대(KMU International Business School), 서울시립대(국제관계학과)
- 부산: 동서대(International Studies과), 신라대(국제관계학과)

졸업 후에는 이런 곳으로 갈 수 있어요.


경영컨설턴트, 행사기획자, 전시·회의 기획자, 마케팅사무원, 출입국심사관, 무역사무원, 외교관, 의료관광 코디네이터,
번역가, 잡지기자, 신문기자, 방송기자, 해외영업원, 관광가이드, 광고 및 홍보전문가, 국제 범죄 전문가, 국제NGO활동가,
국제개발협력전문가, 국제기구 종사자, 국제협력사무원, 다문화코디네이터, 유학상담자, 해외공보관

국제학과 인터뷰 살펴보기

∙ 고려대학교 국제학부 ∙ 김진하 교수, 계명대학교


홍보 영상 국제관계학과
[04:31] [04:05]

사회계열 67
글 로 벌 비 즈 니 스 학 과

글로벌비즈니스학과는?

글로벌비즈니스학과는 글로벌 환경변화 속에서 경제 및 비즈니스 문화 등 글로벌 시장의 이해,


잘 적응하고 성장할 수 있는 인재 양성을 목표로 글로벌 비즈니스에 필수적인 주요 외국어(영어,
이러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경제학과 경영학을 중국어, 일본어) 구사 능력을 배양할 수 있도록
기초로 한 글로벌 경제 및 글로벌 경영 지식 습득, 교육하고 있는 학과입니다.
중국을 포함한 아시아지역·유럽지역·미주지역의

필요한 역량은 무엇일까?

∙ 글로벌 시장 및 환경에 대한 이해 능력
∙ 국제교역 및 투자 증대를 위한 국가 간 기업투자에 대한 이해 능력
∙ 국제경영학적 지식과 실무에 대한 이해 능력
∙ 아시아 및 미주, 유럽권에 대한 언어 구사 능력

어떤 과목을 선택해서 배워야 할까?

교과 선택과목
교과(군)
영역 일반선택 진로선택

국어 화법과 작문, 독서, 언어와 매체, 문학

기초 수학 수학Ⅰ, 수학Ⅱ, 미적분, 확률과 통계 경제 수학

영어 영어 회화, 영어Ⅰ, 영어 독해와 작문, 영어Ⅱ 진로 영어

사회(역사, 도덕) 경제, 정치와 법, 사회·문화 여행지리, 사회문제 탐구


탐구
과학 과학사, 생활과 과학

체육 예술

생활 교양 제2외국어Ⅰ, 한문Ⅰ, 심리학, 논술

※ 선택과목 안내는 대학별 교육과정에 따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참고용으로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68 청소년을 사로잡는 진로 디자인 2


어떤 책을 읽어야 할까?

∙ 경제 기사의 바다에 빠져라(최진기) ∙ 자본주의 역사 바로 알기(리오 휴버먼)


∙ 당신만 몰랐던 국제금융 이야기(이성한) ∙ 통섭의 식탁(최재천)
∙ 세계의 경영학자는 지금 무엇을 생각하는가 ∙ 프로테스탄트 윤리와 자본주의 정신(막스 베버)
(이리야마 아키에) ∙ 한류 브랜드 세계화(한충민)
∙ 스티글리츠 보고서: 세계 경제의 대안을 말하다
(조지프 E. 스타글리츠)

글로벌비즈니스학과가 있는 대학은?

▶ 학과
- 서울: 건국대, 서경대, 성신여대
- 부산: 고신대, 동아대

▶ 관련 학과
- 서울: 건국대(국제무역학과), 숭실대(글로벌통상학과) 중앙대(국제물류학과), 한국외대(국제금융학과)
- 부산: 경성대(국제무역통상학과), 동명대(국제물류학과), 동서대(글로벌경영학부)

졸업 후에는 이런 곳으로 갈 수 있어요.


중앙정부 및 지방자치단체,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 농수산물유통공사, 국제통화기금, 세계은행, 세계무역기구, 중국
관련 경제연구소, 제조 및 유통업체, 무역, 해운, 항공회사, 외국계 회사, 신문사, 방송사 기자, 중국로펌, 중국 무역관련
변호사, 중국관련 전문 콘텐츠 작가 등

글로벌비즈니스학과 인터뷰 살펴보기

∙ 김완중 교수, 동아대학교 ∙ 박철수 교수, 한라대학교


글로벌비즈니스학과 글로벌비즈니스학부 소개
[02:09] [05:16]

사회계열 69
금 융 보 험 학 과

금융보험학과는?

금융산업은 정보기술 혁명, 금융시장의 발전과 실용적인 학과입니다.


자본시장의 개방에 힘입어 고부가가치를 창출 또한 금융·보험학과에서는 이처럼 돈과 관련된
하는 역동적인 분야로서 경제체제에서 차지하는 정보를 산출하고, 이를 잘 관리할 수 있는 전문
금융산업의 중요성과 역할이 날로 커지고 있습니 인력을 육성합니다.
다. 금융보험학과는 급격한 발전을 보이고 있는 사회가 복잡해지고, 재테크의 수단도 늘어나면
보험, 선물옵션, 인터넷 금융, 사회보험, 부동산 서 금융·회계·세무 관련 전문지식의 중요성이 증
중개 분야의 진출에 도움이 되는 내용을 배우는 대되고 있으며, 향후 전망도 밝습니다.

필요한 역량은 무엇일까?

∙ 돈의 흐름을 읽기 위한 수학적 소질과 뛰어난 상황 판단력


∙ 끈기 있는 학습 태도
∙ 컴퓨터 활용 능력

어떤 과목을 선택해서 배워야 할까?

교과 선택과목
교과(군)
영역 일반선택 진로선택

국어 화법과 작문, 독서, 언어와 매체, 문학

기초 수학 수학Ⅰ, 수학Ⅱ, 미적분, 확률과 통계 경제 수학

영어 영어 회화, 영어Ⅰ, 영어 독해와 작문, 영어Ⅱ 진로 영어

사회(역사, 도덕) 경제, 정치와 법, 사회·문화 여행지리, 사회문제 탐구


탐구
과학 과학사, 생활과 과학

체육 예술

생활 교양 제2외국어Ⅰ, 한문Ⅰ, 실용 경제

※ 선택과목 안내는 대학별 교육과정에 따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참고용으로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70 청소년을 사로잡는 진로 디자인 2


어떤 책을 읽어야 할까?

∙ 국부론(애덤 스미스) ∙ 부자의 경제학 빈민의 경제학(유시민)


∙ 나쁜 사마리아인들(장하준) ∙ 양동휴의 경제학 산책(양동휴)
∙ 부의 기원(에릭 바인하커) ∙ 예일대 교수 아빠에게 배우는 경제 이야기(천즈우)
∙ 앨빈 토플러 부의 미래(앨빈 토플러/하이디 토플러) ∙ 행동경제학(도모노 노리오)
∙ 부의 인문학(브라운스톤)

금융보험학과가 있는 대학은?

▶ 학과
- 서울
- 부산: 동의대

▶ 관련 학과
- 서울: 경희대(국제통상·금융투자학부), 국민대(재무금융전공, 재무금융회계학부), 상명대(경제금융학부),
숭실대(금융학부), 한국외대(국제금융학과), 한양대(경제금융학부)
- 부산: 경성대(경제금융물류학부, 회계학과), 동명대(금융·회계학과), 동아대(금융학과),
동의대(부동산금융·자산경영학과), 부산외대(경제금융학과)

졸업 후에는 이런 곳으로 갈 수 있어요.

일반 기업체, 은행, 증권사, 자산운용사, 종합 금융사, 보험 회사, 카드 회사, 컨설팅 회사, 무역회사, 회계 법인, 노무 법인,
리서치 회사, 신문사, 잡지사, 방송국, 경영/경제 관련 국가·민간 연구소, 사회과학 관련 국가·민간 연구소, 중앙정부 및
지방자치단체, 금융·무역·수출입 관련 공공 기관

금융보험학과 인터뷰 살펴보기

∙ 서영수 교수, ∙ 조규성 교수, 협성대학교


서울사이버대학교 금융세무학 금융보험트랙
금융보험학과 소개 인터뷰
[07:31] [TEXT]

사회계열 71
무 역 · 유 통 학 과

무역·유통학과는?

무역·유통학과는 국가 간의 교류가 늘고 세계가 무역의 실무교육을 통한 상담 능력을 지닌 국제


하나의 생활권으로 변해가는 현대의 시대적 흐름을 통상전문가를 배출합니다. 또한 국제 환경에 적절히
반영하므로 국제통상의 실제와 유기적으로 관련 대응할 수 있는 자질과 소양을 지닌 국제 비즈니
된 이론적 체계를 제공하는 교육과정을 통하여 스맨과 무역 실무 전문가를 양성하는 것이 교육
급변하는 국제통상환경에 대한 적응력 향상에 목표입니다.
집중합니다. 무역·유통학과는 상품 및 서비스

필요한 역량은 무엇일까?

∙ 경영, 경제, 통계, 법, 보험 등 인접 학문에 대한 다양한 지식


∙ 정보통신 기술의 발전 방향과 세계 소비 경향 등을 파악할 수 있는 능력 및 영어, 중국어, 스페인어
등 잠재적인 무역 대상 국가의 새로운 언어를 배우는 데 거부감이 없는 글로벌 의사소통역량
∙ 전 세계를 상대로 비즈니스를 하기 위한 적극적이고 도전적인 성격 및 개척 정신

어떤 과목을 선택해서 배워야 할까?

교과 선택과목
교과(군)
영역 일반선택 진로선택

국어 화법과 작문, 독서, 언어와 매체, 문학

수학 수학Ⅰ, 수학Ⅱ, 미적분, 확률과 통계 경제 수학


기초
실용 영어, 진로 영어,
영어 영어 회화, 영어Ⅰ, 영어 독해와 작문, 영어Ⅱ
영어권 문화

사회(역사, 도덕) 세계지리, 세계사, 경제, 정치와 법, 사회·문화 여행지리, 사회문제 탐구


탐구
과학 과학사, 생활과 과학

체육 예술

생활 교양 제2외국어Ⅰ, 한문Ⅰ, 실용 경제 제2외국어Ⅱ

※ 선택과목 안내는 대학별 교육과정에 따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참고용으로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72 청소년을 사로잡는 진로 디자인 2


어떤 책을 읽어야 할까?

∙ 글로벌 기업의 조건(아르누 드 마이어) ∙ 역사란 무엇인가(에드워드 H. 카)


∙ 나쁜 사마리아인들(장하준) ∙ 인문의 숲에서 경영을 만나다 1,2,3(정진홍)
∙ 세상을 바꾼 글로벌리더 50인의 특강(김덕영/박선미) ∙ 자본주의 역사 바로 알기(리오 휴버먼)
∙ 세속의 철학자들(로버트 하일브로너) ∙ 잭 웰치 위대한 승리(잭 웰치, 수지 웰치)
∙ 스타글리츠 보고서: 세계 경제의 대안을 말하다 ∙ 프로테스탄트 윤리와 자본주의 정신(막스 베버)
(조지프 E. 스타글리츠) ∙ 혼 창 통: 당신은 이 셋을 가졌는가?(이지훈)

무역·유통학과가 있는 대학은?

▶ 학과
- 서울
- 부산: 동의대

▶ 관련 학과
- 서울: 건국대(국제무역학과), 경희대(무역학과), 광운대(국제통상학부), 국민대(국제통상학과), 동국대(국제통상
학과, 글로벌무역학과(야)), 숭실대(국제무역학과, 글로벌통상학과), 중앙대(국제물류학과)
- 부산: 경성대(국제무역통상학과), 동명대(국제물류학과, 국제통상학과, 유통경영학과), 동서대(국제물류학과,
국제통상학과), 동아대(국제무역학과), 부산가톨릭대(유통경영학과), 부산대(무역학부), 부산외대(국제
무역학과, 유럽지역통상학과), 영산대(해운항만물류학과), 한국해양대(해양경영경제학부 국제무역전공)

졸업 후에는 이런 곳으로 갈 수 있어요.

M&A전문가(기업인수합병전문가), 경영컨설턴트, 관세사, 물류관리사, 영업원, 외교관, 외환딜러, 투자분석가(애널리


스트), 공공 및 기업연구소, 정부 및 지방자치단체(국제통상직, 관세직, 외무행정직), 관세사, 금융자산운용가(펀드
매니저), 보험계리인, 세무사, 손해사정사, 외환딜러, 은행출납사무원, 증권중개인, 투자분석가(애널리스트), 회계사,
회계사무원

무역·유통학과 인터뷰 살펴보기

∙ 은 웅 교수, ∙ 부산대학교 경제통상대학


한남대학교 무역학과 무역학부 학과 안내
[04:05] [01:30]

사회계열 73
미 디 어 커 뮤 니 케 이 션 학 과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는?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이란 사회에서 일어나는 매개체입니다. 이를 바탕으로 매스커뮤니케이션


의사소통 과정을 연구하고 이에 대한 역사적· 분야를 중심으로 하여 사회 내에서 일어나는 모든
사회적 의미를 고찰하는 학문입니다. 의사소통은 커뮤니케이션 현상을 다루고 있습니다. 매체별로는
인간과 인간 사이, 인간과 조직(사회·국가) 사이, 신문·방송·광고·PR·영화·출판 잡지·보도사진·
조직과 조직 사이 등 다양한 차원에서 발생합니다. 영상 그리고 뉴미디어 등이 있고, 이들에 관한 이
흔히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하면 떠오르는 신문과 론과 실습을 병행하고 있습니다.
방송, 광고와 영화, 인터넷, SNS 등은 의사소통의

필요한 역량은 무엇일까?

∙ 신문이나 방송을 통해 사회의 흐름을 살피는 데 관심이 많고 정의로운 사회에 대한 공명심


∙ 기자나 언론인이 되기 위해서는 글짓기 능력, 방송 및 영상학 공부를 위해서는 창의력과 예술적
감수성
∙ 틀에 박힌 일보다는 활동적인 일을 선호하고 미래지향적이며 변화에 능동적이며 민감함
∙ 창의적이면서 긍정적이고 원만한 사회성과 의사소통 능력, 컴퓨터활용능력

어떤 과목을 선택해서 배워야 할까?

교과 선택과목
교과(군)
영역 일반선택 진로선택
국어 화법과 작문, 독서, 언어와 매체, 문학 심화 국어, 고전 읽기

기초 수학 수학Ⅰ, 수학Ⅱ, 확률과 통계

영어 영어 회화, 영어Ⅰ, 영어 독해와 작문, 영어Ⅱ 영어권 문화

사회(역사, 도덕) 경제, 정치와 법, 사회·문화, 생활과 윤리, 윤리와 사상 여행지리, 사회문제 탐구
탐구
과학 과학사, 생활과 과학

체육 예술

생활 교양 제2외국어Ⅰ, 한문Ⅰ, 철학, 논리학, 심리학

※ 선택과목 안내는 대학별 교육과정에 따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참고용으로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74 청소년을 사로잡는 진로 디자인 2


어떤 책을 읽어야 할까?

∙ 대중문화의 이해(김창남) ∙ 아레오파지티카(임상원)


∙ 매스 커뮤니케이션의 이해(정윤식/강명현 외) ∙ 어느 날 나는 바깥으로 들어갔다(최윤필)
∙ 매스커뮤니케이션 이론(데니스 맥퀘일) ∙ 저널리즘 글쓰기의 논리(남재일/이재훈)
∙ 미디어와 정보사회(최정호) ∙ 커뮤니케이션을 공부하는 당신을 위하여
∙ 미디어의 이해(마셜 매클루언) (곽진아/김성해 외)
∙ 세상을 바꾼 미디어(김경화)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가 있는 대학은?

▶ 학과
- 서울: 건국대, 광운대, 동국대, 성신여대, 세종대, 중앙대, 한양대, 한국외대
- 부산: 경성대, 동명대, 동아대, 부산대, 인제대

▶ 관련 학과
- 서울: 경희대(미디어학과), 고려대(미디어학부), 국민대(미디어전공), 서강대(미디어&엔터테인먼트 전공, 신문
방송학전공, 지식융합미디어학부), 숙명여대(미디어학부), 숭실대(글로벌미디어학부), 이화여대(커뮤니
케이션‧미디어학부)
- 부산: 경성대(디지털미디어학과), 동의대(미디어‧광고학부 신문방송학전공), 부경대(신문방송학과)

졸업 후에는 이런 곳으로 갈 수 있어요.

신문・방송・잡지 기자, 시사보도・교양・예능・드라마 PD, 구성작가, 광고 MD, 리포터, VJ, 영상・음향 기술감독, 웹 마스터,
웹 디자이너, 웹 문서관리자, 웹 포토 에디터, 광고기확자, 크리에이티브 디렉터, 카피라이터, 광고 마케터, 사내 홍보・
사보 담당, 드라마・영화 작가 및 감독, 문화콘텐츠 기획・제작자, 축제 및 행사 콘텐츠 기획자, 정부기관 공보담당, 연구원,
교수, 방송 통신 관련 관공서 근무, 정치PR 전문가, 비평가, 사회조사 분석사, NIE 지도사 등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인터뷰 살펴보기

∙ 장민지 교수, 신우열 교수 ∙ 동아대학교


경남대학교미디어커뮤니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케이션학과 학과 안내
[03:42] [03:57]

사회계열 75
법 학 과

법학과는?

우리 주변의 많은 사람이 머릿속에 그리고 있는 성격을 비롯해 헌법과 형법, 소송법과 행정법
‘법학’에 대한 생각은 대체로 ‘법전을 달달 외우 등을 배웁니다. 이뿐만 아니라, 우리 사회에서
는 공부’입니다. 하지만 이는 편견일 뿐, ‘법학’은 벌어진 실제 사례를 통해 법을 사회에 적용하는
논리성과 명확성을 따지면서 실제 세상에 적용될 방법 역시 배워 나갑니다. 세상을 똑똑하고 야무
때는 유연하게 스며들어가 우리의 실생활에 반드 지게 살아갈 수 있는 법(法)을 배우고 싶다면
시 필요한 실용 학문입니다. 법학과에서는 여러 법학과에서 바로 시작하실 수 있습니다.
측면에서 법을 배웁니다. 법이 가지는 철학적인

필요한 역량은 무엇일까?

∙ 법학은 실생활에 적용되는 응용 학문적인 성격이 강하므로 다양한 사회 문제에 대한 관심과 이해 및


공정한 판단력, 자신의 주장을 정확하고 소신 있게 표현하는 능력
∙ 사회 현상에 반영되는 각종 법률 문제의 법적 의미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주어진 상황을 논리적으로
분석하고 사고하는 능력
∙ 법학과 공부를 위해서는 방대한 양의 법조문을 익혀야 하므로 끈기 있는 학습 태도와 의지력
∙ 시사 탐구 및 토론 활동, NIE 활동을 통한 탐구력

어떤 과목을 선택해서 배워야 할까?

교과 선택과목
교과(군)
영역 일반선택 진로선택
국어 화법과 작문, 독서, 언어와 매체, 문학 심화 국어
기초 수학 수학Ⅰ, 수학Ⅱ, 확률과 통계
영어 영어 회화, 영어Ⅰ, 영어 독해와 작문, 영어Ⅱ
사회(역사, 도덕) 경제, 정치와 법, 사회·문화, 생활과 윤리, 윤리와 사상 여행지리, 사회문제 탐구
탐구
과학 과학사, 생활과 과학
체육 예술
생활 교양 제2외국어Ⅰ, 한문Ⅰ, 철학, 논리학, 심리학, 논술

※ 선택과목 안내는 대학별 교육과정에 따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참고용으로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76 청소년을 사로잡는 진로 디자인 2


어떤 책을 읽어야 할까?

∙ 국가는 내 돈을 어떻게 쓰는가(김태일) ∙ 어떻게 살인자를 변호할 수 있을까?


∙ 군주론(니콜로 마키아벨리) (페르디난트 폰 쉬라크)
∙ 정의란 무엇인가(마이클 샌델) ∙ 왜 사회는 이견이 필요한가(카스 R. 선스타인)
∙ 대한민국 전문 변호사들(김홍길/김능현 외) ∙ 정의론(존 롤스)
∙ 목민심서: 마음으로 읽는 다산 정신(정약용) ∙ 죄와 벌(표도르 미하일로비치 도스토예프스키)
∙ 법의 정신(샤를 루리 드 스콩다 몽테스키외) ∙ 진실을 영원히 감옥에 가두어 둘 수는 없습니다
(조영래 변호사를 추모하는 모임)

법학과가 있는 대학은?

▶ 학과
- 서울: 광운대, 동국대, 명지대, 성신여대, 세종대, 숙명여대, 숭실대, 홍익대
- 부산: 경성대, 부경대, 영산대, 인제대

▶ 관련 학과
- 서울: 국민대(기업융합법학과(야)), 명지대(법무행정학과), 숭실대(국제법무학과), 성신여대(지식산업법학과), 중앙대
(공공인재학부)
- 부산: 동의대(법·경찰행정학부 법학 전공), 부산대(공공정책학부), 한국해양대(해사법정학부 법학전공, 해사법전공)

졸업 후에는 이런 곳으로 갈 수 있어요.

감사사무원, 감정평가사, 검사, 경찰관리자, 관세사, 관세행정사무원, 교도관, 교도관리자,국회의원, 노무사, 법률관련
사무원(법무 및 특허사무원), 판사, 검사, 법무사, 법원 공무원, 법학 연구원, 변리사, 변호사, 사이버 수사요원, 검찰
수사관, 사회계열 교수, 세무사, 관세사, 손해사정사, 감정평가사, 스포츠에이전트, 저작권에이전트, 조세행정 사무원,
지방의회 의원, 행정 공무원, 부동산 중개인, 이혼상담사, 주택임대 관리사, 중앙정부 및 지방자치단체(법무 행정직,
검찰 사무직, 마약수사직, 보호관찰직, 교정직, 소년보호직), 출입국관리사무소, 교도소, 구치소, 보호감호소, 보호관찰소,
소년원, 기업체 법무팀, 언론사, 로펌 사무실, 세무사 사무실, 법무사 사무실, 공인노무사 사무실

법학과 인터뷰 살펴보기

∙ 김병기 교수, ∙ 김인유 교수,


전주대학교 법학과 한국해양대학교
[02:30] 해사법학부 법학과 인터뷰
[TEXT]

사회계열 77
부 동 산 학 과

부동산학과는?

부동산학이란 인간의 삶의 터전인 토지와 건물을 산업은 21세기의 지식산업으로 부각되고 있습니
주 대상으로 연구하는 학문입니다. 우리나라는 다. 선진적인 시장으로 급변하는 부동산 시장에서
좁은 국토에 많은 사람이 살고 있어 토지 및 건물의 부동산의 개발, 금융, 투자, 관리에 대한 체계적인
효율적인 이용과 관리가 절대적으로 요청되고 이론과 실무를 통해 부동산 분야의 전문적인
있으며, 이에 따라 부동산에 대한 사회적 관심과 능력과 소양을 갖춘 인재를 양성하는 학과입니다.
수요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기 때문에 부동산

필요한 역량은 무엇일까?

∙ 전 교과에서 균형 있는 성취도를 보이며 뛰어난 문제 해결 능력


∙ 사회 현상에 대한 객관적 관찰력을 갖추고 창의적 문제 제기가 가능한 지적 호기심
∙ 적극적이고 활동적인 리더십을 가지고 창의적 사고를 지향하는 자세
∙ 지리학과 경제학을 토대로 도시공학, 교통공학, 정치학, 행정학, 관광학, 사회학 등 여러 학문과 인접해
있는 학문이므로 관련 분야의 지식을 통합하여 사고하는 능력과 공간 지각력
∙ 수학 또는 공학 계열에 관심이 있으며 동아리 활동, 팀 프로젝트, 토론과 실습을 통한 학습 등에 참여
하는 대인관계 능력 및 의사소통 능력

어떤 과목을 선택해서 배워야 할까?

교과 선택과목
교과(군)
영역 일반선택 진로선택
국어 화법과 작문, 독서, 언어와 매체, 문학
기초 수학 수학Ⅰ, 수학Ⅱ, 미적분, 확률과 통계 경제 수학
영어 영어 회화, 영어Ⅰ, 영어 독해와 작문, 영어Ⅱ 진로 영어
사회(역사, 도덕) 한국지리, 세계지리, 경제, 정치와 법, 사회·문화 여행지리, 사회문제 탐구
탐구
과학 지구과학Ⅰ 과학사, 생활과 과학
체육 예술
생활 교양 제2외국어Ⅰ, 한문Ⅰ, 환경

※ 선택과목 안내는 대학별 교육과정에 따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참고용으로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78 청소년을 사로잡는 진로 디자인 2


어떤 책을 읽어야 할까?

∙ 독 O-157(로빈 쿡) ∙ 운명(임레 케르테스)


∙ 돈의 거의 모든 것(대니얼 코나한/댄 스미스) ∙ 청소년을 위한 무량수전 배흘림기둥에 기대서서
∙ 만화로 보는 경제학의 거의 모든 것(마이클 굿윈) 1,2,3,4(최순우)
∙ 백만장자가 되는 법(토머스 J. 스탠리) ∙ 토지의 경제학(전강수)
∙ 부자아빠 가난한 아빠(로버트 기요사키) ∙ 한니발 라이징(토머스 해리스)
∙ 새로운 미래가 온다(다니엘 핑크) ∙ 현대 부동산학(안정근)
∙ 부동산 경제학(손재영/김경환) ∙ 부동산학 원론(조주현)

부동산학과가 있는 대학은?

▶ 학과
- 서울: 건국대, 명지대
- 부산: 영산대

▶ 관련 학과
- 서울: 광운대(자산관리학과(야)), 서울시립대(융합전공학부 도시공학-도시부동산기획경영학 전공),
중앙대(도시계획·부동산학과)
- 부산: 동의대(경제·금융보험·재무부동산학부 재무부동산학 전공)

졸업 후에는 이런 곳으로 갈 수 있어요.

감정평가사, 도시계획 및 설계가, 통계 및 조사분석 전문가, 도시관련 IT분야 전문가, 도시재생 전문가, 녹색건축전문가,
6차산업컨설턴트, 부동산 컨설턴트, 부동산금융 및 펀드 매니저, 사회계열 교수, 환경영향평가원, 환경컨설턴트,
유흥공간컨설턴트, 교통영향평가원, 도시계획기사, 지리정보시스템전문가, 지적기사, 주택관리사, 주택임대관리사,
자산관리사, 공인중개사, 주택관리사보, 부동산시행사, 분양대행사, 쇼핑몰 디벨로퍼, 공기업(LH공사, SH공사 등),
공공연구원(국토연구원, 경기개발연구원, 토지주택 연구원 등), 레저·프렌차이즈업체 (입지/상권분석), 부동산경매회사,
부동산정보제공업체 등

부동산학과 인터뷰 살펴보기

∙ 건국대학교 ∙ EBS 입시 핫 라인,


부동산학과 전공 체험 영상 부동산학과 학과 소개
[03:33] [28:49]

사회계열 79
사 회 복 지 학 과

사회복지학과는?

사회복지학과는 삶의 질에 대한 관심도가 높아 과목과 사회복지 관련 교과목」을 이수하고 학사


지고 국가와 지방자치단체의 복지정책과 연계하여 학위를 취득하며 사회복지사 2급 자격증을 취득
지역 사회 뿐 아니라 국가의 건강한 삶과 복지 합니다. 단 전문학사와 달리 4년제 학사학위를
향상을 위한 학과로 다양한 분야에 적용되고 가지고 있다면 졸업과 동시에 사회복지사 1급 국가
있습니다. 또한, 사회복지학과는 현대 사회에서 자격증 시험에 응시할 수 있는 자격을 동시에 취득
발생하는 다양한 사회문제에 효과적으로 대응 합니다. 최근 기업의 사회적 공헌 활동이 활발해
하며 인간의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사회복지 짐에 따라 기업 내 복지 재단 등으로 진로를 선택
전문 인력을 양성에 교육 목표를 두고 있습니다. 할 수 있고, 연구소의 연구원, 국회나 보건복지부의
일반대학 사회복지학과는 「사회복지학 전공교 사회복지직의 길 등 다양한 진로가 열려 있습니다.

필요한 역량은 무엇일까?

∙ 투철한 소명 의식과 봉사 정신, 관련 분야에 대한 충분한 전문지식과 직업인으로서의 사명감


∙ 사람에 대한 공감 능력과 이해심, 사회성, 융통성, 유연한 대처 능력, 냉철한 판단력과 다양한 분야에
대한 호기심과 높은 창의력
∙ 사회문제에 대한 통찰력과 소외계층에 대한 편견과 맞서기 위한 진취적인 사고력
∙ 다른 사람들에게 관심이 많고 어려운 사람을 돕는 일을 좋아하는 심리적·정서적 안정감과 포용력

어떤 과목을 선택해서 배워야 할까?

교과 선택과목
교과(군)
영역 일반선택 진로선택
국어 화법과 작문, 독서, 언어와 매체, 문학
기초 수학 수학Ⅰ, 수학Ⅱ, 확률과 통계
영어 영어 회화, 영어Ⅰ, 영어 독해와 작문, 영어Ⅱ 진로 영어
사회(역사, 도덕) 경제, 정치와 법, 사회·문화, 생활과 윤리, 윤리와 사상 여행지리, 사회문제 탐구
탐구
과학 과학사, 생활과 과학
체육 예술
생활 교양 기술·가정, 제2외국어Ⅰ, 한문Ⅰ, 보건, 환경

※ 선택과목 안내는 대학별 교육과정에 따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참고용으로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80 청소년을 사로잡는 진로 디자인 2


어떤 책을 읽어야 할까?

∙ 그들이 말하지 않는 23가지(장하준) ∙ 사회복지사를 꿈꾸는 그대에게(이홍직)


∙ 긍정의 힘(조엘 오스틴) ∙ 스무살에 알았더라면 좋았을 것들(티나 실리그)
∙ 나쁜 사마리아인들(장하준) ∙ 왜 세계의 절반은 굶주리는가?(장 지글러)
∙ 모리와 함께한 화요일(미치 앨봄/모리 슈워츠) ∙ 우리가 만나야 할 미래(최연혁)
∙ 미 비포 유(조조 모예스) ∙ 지도 밖으로 행군하라(한비야)
∙ 사회복지사가 말하는 사회복지사(김세진 외) ∙ 희망의 밥상(제인 구달)

사회복지학과가 있는 대학은?

▶ 학과
- 서울: 덕성여대, 동국대, 동덕여대, 명지대, 삼육대, 서울대, 서울시립대, 서울여대, 서울한영대, 성균관대, 성신여대,
숭실대, 연세대, 이화여대, 중앙대, 총신대, 케이씨대, 한국 성서대
- 부산: 경성대, 고신대, 동서대, 동명대, 동아대, 부산가톨릭대, 부산대, 부산외대, 신라대, 영산대, 인제대

▶ 관련 학과
- 서울: 상명대(가족복지학과), 서울한영대(재활복지학과), 숙명여대(아동복지학부)
- 부산: 동의대(공공인재학부 사회복지학전공), 부산가톨릭대(사회복지상담학과, 노인복지보건학과),
신라대(상담심리복지학과)

졸업 후에는 이런 곳으로 갈 수 있어요.


사회복지 관리자, 전직지원 전문가, 다문화언어지도사, 교도관, 보호관찰관, 놀이치료사, 예술치료사, 사회복지사,
심리상담 전문가, 청소년 상담사, 청소년지도사, 직업상담사, 취업 알선원(직업소개소), 사회단체 활동가, 보육교사 및
보육사, 생활지도원, 복지시설 생활지도 보조원, 국제개발협력전문가, 노년플래너, 다문화 코디네이터, 생활코치, 소년원
교사, 이혼상담사, 자살예방 상담사, 주거복지사, 펀드레이저, 중앙정부 및 지방자치단체(사회복지직, 보호관찰직,
교정직, 소년보호직), 종합사회복지관, 노인복지관, 고용지원센터, 사회복지시설 기업체 사회공헌 관련 부서, 병원,
사회복지연구소, 사회조사연구소, 사회정책연구원, 사회과학연구소 등

사회복지학과 인터뷰 살펴보기

∙ 연세대 사회복지학과 ∙ 남찬섭 교수,


홍보 영상 동아대학교 사회복지학과
[07:39] [TEXT]

사회계열 81
사 회 학 과

사회학과는?

우리는 수많은 사회의 구조 속에 얽혀 들어가 지역감정과 같은 사회집단 사이의 갈등문제 등


있으며, 사회의 구조가 요구하는 규범을 따라 행동 사회 현상과 문제에 대한 시각을 제공해 줍니다.
하고 생각합니다. 또한 사람들은 자신의 문화권에 이를 기초로 사회학은 올바른 사회정책을 세울
따라 각기 다른 행동 양식을 보이고 같은 문화권 수 있게 하고, 사회의 갈등을 바람직한 방향으로
안에서도 언어와 민족에 따라 편차를 보입니다. 해결, 해소해 나가도록 방향을 제시해 줄 수 있게
사회학은 이처럼 복잡한 사회를 어떻게 이해할 됩니다. 사회 현상은 실험을 해 볼 수 없기 때문에,
것인지, 다채로운 사회 현상을 어떠한 관점으로 주로 관찰과 조사 등의 방법에 의존하게 되므로
바라볼 것인지에 대해 연구하는 학문입니다. 그래서 바로 여러분 자신이 살고 있는 생활 세계가 모두
어느 사회나 안고 있는 노인 문제, 청소년 문제, 사회학의 연구 과제이며 연구 장소가 됩니다.
범죄자 문제, 아동 문제, 빈부 격차 문제, 여성 문제,

필요한 역량은 무엇일까?

∙ 사회 현상을 논리적으로 분석하는 통찰력과 과학적인 조사와 분석을 위한 사회통계학적 지식


∙ 평소에 신문이나 책을 통해서 사회에서 일어나는 다양한 사회 현상에 대한 폭넓은 관심과 사회의
변화에 대한 민감성
∙ 사회 문제를 분석하기 위한 폭넓은 독서와 인접 학문에 대한 이해력
∙ 비판적 사고와 합리적인 의사소통 능력

어떤 과목을 선택해서 배워야 할까?

교과 선택과목
교과(군)
영역 일반선택 진로선택
국어 화법과 작문, 독서, 언어와 매체, 문학
기초 수학 수학Ⅰ, 수학Ⅱ, 확률과 통계
영어 영어 회화, 영어Ⅰ, 영어 독해와 작문, 영어Ⅱ 진로 영어
사회(역사, 도덕) 경제, 정치와 법, 사회·문화, 생활과 윤리, 윤리와 사상 여행지리, 사회문제 탐구
탐구
과학 과학사, 생활과 과학
체육 예술
생활 교양 제2외국어Ⅰ, 한문Ⅰ, 논리학, 심리학, 논술

※ 선택과목 안내는 대학별 교육과정에 따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참고용으로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82 청소년을 사로잡는 진로 디자인 2


어떤 책을 읽어야 할까?

∙ 고독한 군중(데이비드 리스먼) ∙ 사회계약론(장 자크 루소)


∙ 그들이 말하지 않은 23가지(장하준) ∙ 사회학: 비판적 사회 읽기(비판사회학회)
∙ 난장이가 쏘아올린 작은 공(조세희) ∙ 사회학적 상상력(C. 라이트 밀즈)
∙ 노동을 보는 눈(강수돌) ∙ 성장 없는 번영(팀 잭슨)
∙ 동물 농장(조지 오웰) ∙ 스무 살의 사회학: 콩트에서 푸코까지, 정말 알고 싶은
∙ 빌려온 시간을 살아가기(지그문트 바우만 외) 사회학 이야기(랠프 페브르/앵거스 밴크로프트)
∙ 사당동 더하기 25: 가난에 대한 스물다섯 해의 기록 ∙ 열정세대(김진아)
(조은) ∙ 한국인의 일상과 문화 유전자(한국국학진흥원)

사회학과가 있는 대학은?

▶ 학과
- 서울: 경희대, 고려대, 국민대, 덕성여대, 서강대, 서울대, 성균관대, 연세대, 이화여대, 중앙대, 한양대
- 부산: 동아대, 부산대

▶ 관련 학과
- 서울: 동국대(사회언론정보학부 사회학전공), 서울대(농경제사회학부), 서울시립대(도시사회학과, 융합전공학부
도시사회학-국제도시개발학 전공), 서울과학기술대(융합사회학부), 숭실대(정보사회학과)
- 부산

졸업 후에는 이런 곳으로 갈 수 있어요.


광고·홍보·마케팅 사무원, 사회조사전문가, 사회학연구원, 사회단체 활동가, 카피라이터, 출판물기획자, 잡지기자,
신문기자, 방송기자, 편집기자, 방송연출가, 다큐작가, 문리학원강사(사회), 빅데이터 전문가, 사회과학 연구원, 소비자
트렌드분석가, 소셜미디어 전문가, 시장 및 여론조사 전문가, 지역사회교육 코디네이터,정부공공 기관(정보사회진흥원,
정보문화진흥원), 각종 연구소(사회조사연구소, 사회여론연구소, 사회정책연구소, 노동사회연구소, 사회과학연구소) 등

사회학과 인터뷰 살펴보기

∙ 한양대학교 ∙ 고려대학교
사회학과 전공 안내 사회학과 학과 홍보
[09:29] [04:51]

사회계열 83
세 무 · 회 계 학 과

세무·회계학과는?

세무·회계학과는 급변하는 기업환경에서 중요 세무·회계학과는 세계 표준화, 정보화 시대에


성이 커지고 있는 기업의 회계 보고 및 세무와 적합한 기업 회계 정보를 제공할 수 있고 개인과
관련한 의사결정과 관련한 전문적 인력을 양성 기업의 세무 정보 수요를 충족시키고 회계 정보의
하는 학과입니다. 기업과 경제를 이해하기 위한 사회적 공공성 및 윤리성 제고를 위해 적용됩니다.
회계, 기업 경영에 필요한 세법 지식을 함양하고, 세무·회계학과는 미래의 경영 및 회계 변화도
높은 도덕성을 갖추는 등 회계 및 세무 전문가가 예측할 수 있는 자질을 함양함으로써 유능한 세무
되는 데 도움이 되는 능력을 기르는 학문입니다. 회계 실무자를 양성하는 것에 교육 목표를 둡니다.

필요한 역량은 무엇일까?

∙ 과학적으로 미래를 예측하기 위한 전문적인 이론과 실무적인 기술


∙ 여러 가지 이해관계를 조절할 수 있는 책임감과 소통 능력
∙ 경제와 기업, 정보‧기술에 대한 관심

어떤 과목을 선택해서 배워야 할까?

교과 선택과목
교과(군)
영역 일반선택 진로선택

국어 화법과 작문, 독서, 언어와 매체, 문학

기초 수학 수학Ⅰ, 수학Ⅱ, 미적분, 확률과 통계 경제 수학

영어 영어 회화, 영어Ⅰ, 영어 독해와 작문, 영어Ⅱ 진로 영어

사회(역사, 도덕) 세계지리, 경제, 정치와 법, 사회·문화 여행지리, 사회문제 탐구


탐구
과학 과학사, 생활과 과학

체육 예술

생활 교양 제2외국어Ⅰ, 한문Ⅰ, 실용 경제

※ 선택과목 안내는 대학별 교육과정에 따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참고용으로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84 청소년을 사로잡는 진로 디자인 2


어떤 책을 읽어야 할까?

∙ 간편 회계 가이드(배후석/정명환) ∙ 읽으면 읽을수록 빠져드는 회계책(권재희)


∙ 더골[THE GOAL](만화판)(엘리 골드렛/제프 콕스) ∙ 재미있는 회계여행(정헌석)
∙ 돈의 흐름이 보이는 회계 이야기(구상수) ∙ 콕콕 정교수 회계입문(정성진)
∙ 상도 1,2,3(최인호) ∙ 회계 천재가 된 홍대리 1: 회계의 본질(손봉석)
∙ 쉽게 배워서 바로 써먹는 이야기 회계(정헌석, 정병수) ∙ 회계학 리스타트 1, 2(유관희)

세무·회계학과가 있는 대학은?

▶ 학과
- 서울: 동덕여대(야)
- 부산: 부산외대

▶ 관련 학과
- 서울: 국민대(재무금융회계학부, 회계학전공), 경희대(회계·세무학과), 동국대(회계학과), 서울시립대(세무학과),
숭실대(회계학과)
- 부산: 경성대(회계학과), 동명대(금융·회계학과), 동의대(경영학부 회계학 전공)

졸업 후에는 이런 곳으로 갈 수 있어요.

공인회계사(CPA), 세무사(CTA), 은행·증권·보험사, 일반기업의 경영 관련 사무직, 금융업의 애널리스트, 펀드매니저,


자산관리사, 공공 기관 국가와 지방자치단체의 세무 및 행정공무원, 언론 및 방송기관, 기타 경영 컨설턴트, 학교·
병원·NGO 단체에서 회계전문 인력 등

세무·회계학과 인터뷰 살펴보기

∙ 동덕여자대학교 ∙ 강변진 교수,


세무회계학과 소개 영상 숭실대학교 금융학부
[05:50] 금융회계세무학과
[TEXT]

사회계열 85
심 리 학 과

심리학과는?

사람은 누구나 자신이 왜 이런 식으로 행동하 측면, 그리고 정보의 기억과 처리라는 인지적
는지 또는 다른 사람들이 왜 저런 식으로 행동하 측면에 대한 설명의 이론과 실제를 제공하는 학과
는지 궁금해하고, 드러난 행동이 이미지의 어떤 입니다. 통계, 실험 등을 통해 얻어진 객관적 자료
심리적 과정과 연관될지도 모른다는 추측을 해보 들을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인간의 특성을 밝혀냄
기도 합니다. 심리학은 바로 이에 대한 해답을 으로써 우리 스스로에 대한 이해의 폭과 깊이를
과학적으로 찾아보려는 학문의 한 분야입니다. 즉, 심화시킬 수 있는 전문적 인재 양성을 목표로
과학적·논리적 탐구 방법을 바탕으로 감정과 같은 합니다.
정서적 측면, 주어진 상황에서 보이는 행동적

필요한 역량은 무엇일까?

∙ 자신의 삶에 만족하며 공동체를 위해 기여하려는 자세


∙ 인간에 대해 지속적인 관심을 갖고 사람들의 성격, 사고, 행동에 대한 지적 호기심, 윤리의식, 봉사 정신
∙ 인간을 이해하는 과정이 지닌 가치를 중요하게 여기는 심리학적 소양과 사람과 사회를 이해하려는
포용력
∙ 평소 타인의 이야기를 잘 들어주고 어려움에 공감할 줄 아는 열린 마음
∙ 심리 현상에 대한 실험 결과를 논리적으로 분석하는 체계적 사고능력, 세밀한 관찰력

어떤 과목을 선택해서 배워야 할까?

교과 선택과목
교과(군)
영역 일반선택 진로선택
국어 화법과 작문, 독서, 언어와 매체, 문학 심화 국어, 고전 읽기
기초 수학 수학Ⅰ, 수학Ⅱ, 미적분, 확률과 통계
영어 영어 회화, 영어Ⅰ, 영어 독해와 작문, 영어Ⅱ 영미 문학 읽기
사회(역사, 도덕) 사회·문화, 생활과 윤리, 윤리와 사상 여행지리, 사회문제 탐구
탐구
과학 생명과학Ⅰ 과학사, 생활과 과학
체육 예술
생활 교양 제2외국어Ⅰ, 한문Ⅰ, 철학, 논리학, 심리학, 교육학

※ 선택과목 안내는 대학별 교육과정에 따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참고용으로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86 청소년을 사로잡는 진로 디자인 2


어떤 책을 읽어야 할까?

∙ 마음 vs 뇌(장현갑) ∙ 월든 투: 스키너의(이장호, B.F.스키너)


∙ 설득의 심리학: 사람의 마음을 사로잡는 6가지 불변의 ∙ 아들러의 인간 이해(알프레드 아들러)
원칙(로버트 치알디니) ∙ 정신분석에로의 초대(이무석)
∙ 스키너의 심리상자 열기(로렌 슬레이터) ∙ 지능의 탄생: RNA에서 인공지능까지(이대열)
∙ 스피노자의 뇌(안토니오 다마지오) ∙ 철학의 책(윌 버킹엄 외)
∙ 심리의 책(마커스 윅스/캐서린 콜린 외) ∙ 프레임: 나를 바꾸는 심리학의 지혜(최인철)
∙ 심리학의 세계(사무엘 E. 우드 외) ∙ 행복의 기원(서은국)
∙ 심리학의 오해(K.E. 스타노비치) ∙ 딱딱한 심리학(김민식)

심리학과가 있는 대학은?

▶ 학과
- 서울: 고려대, 덕성여대, 서강대, 서울대, 성균관대, 성신여대, 연세대, 이화여대, 중앙대
- 부산: 경성대, 부산대

▶ 관련 학과
- 서울: 광운대(산업심리학과), 명지대(심리치료학과), 삼육대(상담심리학과), 서울기독대(상담심리전공 (야)),
서울여대(교육심리학과), 서울한영대(재활상담심리학과), 숙명여대(사회심리학과), 케이씨대(상담심리학과)
- 부산: 동명대(상담심리학과), 부산외대(상담심리학과), 신라대(상담심리복지학과), 인제대(상담심리치료학과)

졸업 후에는 이런 곳으로 갈 수 있어요.


경영컨설턴트, 인사·교육·훈련 사무원, 마케팅사무원, 마케팅조사전문가, 사회조사전문가, 조사자료처리원, 심리학
연구원, 임상심리사(심리치료사), 중독치료사, 놀이치료사, 예술치료사, 심리상담 전문가, 청소년상담사, 청소년지도사,
경영지도사, 평생교육사, 직업상담사, 취업 알선원(직업소개소), 커리어코치, 취업지원관, 카피라이터, 잡지기자, 신문
기자, 방송기자, 게임기획자, 이미지 컨설턴트, 감성인식기술전문가, 거짓말탐지분석가, 공무원(교정직), 미디어콘텐츠
제작자, 범죄심리전문가(프로파일러), 빅데이터분석전문가, 사용자경험기획자(UX/UI디자이너), 사회과학연구원,
산업심리전문가, 전문상담교사, 생활코치, 스포츠심리상담사, 아동발달전문가, 정신건강상담전문가(자살/약물/행위),
소비자전문상담사, 정신보건임상심리사, 전직지원전문가, 심리검사기관 및 상담소 등 근무

심리학과 인터뷰 살펴보기

∙ 일문일답 학과편 씨즌투 ∙ 연세대학교


고려대학교 심리학과 심리학과 전공 소개
[07:40] [06:42]

사회계열 87
아 동 가 족 학 과

아동가족학과는?

전 생애에 걸친 인간발달과 가족관계, 아동, 학문으로서 나 자신과 우리 가족, 우리 사회 구성


청소년, 노인, 여성, 가족에 관련된 미시적·거시적 원 모두가 연구대상이며, 우리의 일상과 삶의 모든
문제에 대한 과학적 탐구와 이해를 바탕으로 단면이 연구주제가 될 수 있습니다.
아동의 복지와 가족의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하는

필요한 역량은 무엇일까?

∙ 평소 아동을 포함하여 친구, 가족, 주변 사람 등 사람에 대해 관심이 많고 도와주려는 마음


∙ 인간에 대한 사랑과 타인에 대한 배려, 봉사 정신, 다양성에 대한 이해와 수용력
∙ 기술 ․ 가정 교과목이나 심리 및 교육에의 소질과 적성

어떤 과목을 선택해서 배워야 할까?

교과 선택과목
교과(군)
영역 일반선택 진로선택

국어 화법과 작문, 독서, 언어와 매체, 문학 고전 읽기

기초 수학 수학Ⅰ, 수학Ⅱ, 확률과 통계

영어 영어 회화, 영어Ⅰ, 영어 독해와 작문, 영어Ⅱ 진로 영어

사회(역사, 도덕) 세계지리, 세계사, 경제, 정치와 법, 사회·문화, 생활과 윤리 여행지리, 사회문제 탐구
탐구
과학 과학사, 생활과 과학

체육 예술

기술·가정, 제2외국어Ⅰ, 한문Ⅰ,


생활 교양
심리학, 교육학, 보건

※ 선택과목 안내는 대학별 교육과정에 따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참고용으로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88 청소년을 사로잡는 진로 디자인 2


어떤 책을 읽어야 할까?

∙ 아동상담(위영희/장현숙 외) ∙ 사회복지정책강론(현외성)
∙ 가르침, 그 용기있는 선택(펄 락 케인) ∙ 미 비포 유(Me Before You)(조조 모예스)
∙ 사회복지실천의 이해(엄명용 외) ∙ 현대사회와 아동발달(이사라/이주연/한세영)
∙ 영아발달(이사라/이주연 외) ∙ 아이들은 놀기 위해 세상에 온다(편해문)
∙ 한 아이(토리 헤이든) ∙ 희망의 밥상(제인 구달)

아동가족학과가 있는 대학은?

▶ 학과
- 서울: 경희대, 덕성여대, 서울대, 연세대
- 부산: 부산대

▶ 관련 학과
- 서울: 동덕여대(아동학과), 상명대(가족복지학과), 서경대(아동학과), 서울여대(아동학과), 숙명여대(아동복지학부,
가족자원경영학과), 총신대(아동학과)
- 부산: 고신대(아동복지학과), 동아대(아동학과), 영산대(아동·가족상담학과)

졸업 후에는 이런 곳으로 갈 수 있어요.


교재교구개발자, 유치원 교사, 방과후교사, 교도관, 소년원학교교사, 놀이치료사, 사회복지사, 청소년 지도사, 직업상담사,
사회단체활동가, 보육교사 및 보육사, 잡지기자, 신문기자, 난독증학습장애지도사, 병원아동생활전문가, 소년교정
기관보호관, 아동공연기획자, 아동미디어콘텐츠개발자, 아동발달전문가, 아동용교육소프트웨어 개발자, 아동용상품
기획자, 아동진술분석전문가, 아동출판물기획자, 아동학대전문요원, 영유아안전장치설치원, 학교전담경찰관

아동가족학과 인터뷰 살펴보기

∙ 대학전공별 진로가이드 ∙ 부산대학교


(별별전공, 별별직업) 아동가족학과 학과 홍보
아동·가족학 [02:23]
[11:25]

사회계열 89
의 료 경 영 학 과

의료경영학과는?

의료경영학과는 의료의 공급 및 이용과 관련된 효과적,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유능한 인력을


정책을 개발하고 의료인력·시설·장비·자금·정보 양성·배출하는 것이 본 학과의 목표입니다. 의료
등의 자원을 효율적으로 이용·관리할 수 있는 방안 경영학과는 이러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의료
을 연구·교육합니다. 국가와 지역 사회가 필요로 제도와 정책 및 의료기관 경영과 관련이 있는 교
하는 의료 정책과 사업을 개발하고 의료 기관을 과목을 체계적으로 편성, 운영하고 있습니다.

필요한 역량은 무엇일까?

∙ 효과적, 효율적인 보건의료제도, 조직, 사업의 관리방안을 개발하기 위한 탐구적 소양


∙ 보건의료조직과 자원의 효율적 관리를 위한 지적 능력
∙ 창의적·발전적으로 보건의료분야의 조직문화를 선도할 수 있는 인성
∙ 다양한 사회체계를 폭넓게 이해할 수 있는 인성과 교양
∙ 국제사회에서의 보건·환경·의료 문제 해결에 참여하여 협력할 수 있는 역량
∙ 보건 관련 국제적 회의·연구 등에 참여하는 데 필요한 보건의료 기초 지식, 외국어 및 교양에 관한
역량

어떤 과목을 선택해서 배워야 할까?

교과 선택과목
교과(군)
영역 일반선택 진로선택

국어 화법과 작문, 독서, 언어와 매체, 문학

기초 수학 수학Ⅰ, 수학Ⅱ, 미적분, 확률과 통계

영어 영어 회화, 영어Ⅰ, 영어 독해와 작문, 영어Ⅱ

사회(역사, 도덕) 경제, 정치와 법, 사회·문화, 생활과 윤리 여행지리, 사회문제 탐구


탐구
과학 생명과학Ⅰ 과학사, 생활과 과학

체육 예술

생활 교양 한문Ⅰ, 심리학, 보건

※ 선택과목 안내는 대학별 교육과정에 따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참고용으로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90 청소년을 사로잡는 진로 디자인 2


어떤 책을 읽어야 할까?

∙ 경영의 신 잭 웰치(정산) ∙ 숫자로 경영하라(최종학)


∙ 청소년을 위한 경영의 역사: 고대부터 21세기 지식사회 ∙ 어떤 복지국가에서 살고 싶은가?(이창곤)
까지, 한눈에 보는 경영사(이재규) ∙ 온 국민 주치의제도(고병수)
∙ 블루오션 전략 확장판(김위찬, 르네 마보안) ∙ 완벽한 보건의료제도를 찾아서(마크 브릿넬)
∙ 설득의 심리학: 사람의 마음을 사로잡는 6가지 불변의 ∙ 의료개혁, 누가 어떻게 할 것인가(이규식)
원칙(로버트 치알디니)

의료경영학과가 있는 대학은?

▶ 학과
- 서울
- 부산: 고신대, 동의대, 영산대

▶ 관련 학과
- 서울: 고려대(보건정책관리학부)
- 부산: 동명대(복지경영학과), 동서대(보건행정학과), 부산가톨릭대(병원경영학과), 신라대(보건행정학과)

졸업 후에는 이런 곳으로 갈 수 있어요.

대학병원, 건강보험관리공단,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지자체 보건직공무원, 의료정보회사, 생명·손해보험회사, 병원행정사,


보건교육사, 보건의료기관 단체, 병원코디네이터, 병원행정사무원, 의료관광코디네이터, 의료코디네이터, 일반공무원,
병원정보관리자, 보건의료 관련 정부기관 등

의료경영학과 인터뷰 살펴보기

∙ 고려대학교 ∙ 광주대학교
보건정책관리학부 학과 보건행정학부 학과 소개
홍보 영상 [05:50]
[05:11]

사회계열 91
인 류 학 과

인류학과는?

인간 고유의 생물학적‧문화적 특징이 역사적 학은 인류가 남긴 유·무형의 유산을 연구 대상으로


시간의 흐름 속에서 어떻게 변화해왔는가를 살피는 삼으며 크게 ‘인간’의 생물학적, 진화론적 측면을
데 중점을 두고 있는 학과입니다. 인문·사회과학의 다루는 체질인류학, 고고학 등의 분야와 현대 사
기초가 되는 학문에 속하며 다양한 인간 집단의 회의 다양한 문화를 연구하는 문화인류학으로 나눠
사회와 문화를 비교‧연구하는 과정을 통해 역사적 집니다. 영화 ‘인디아나 존스’에 나오는 인류학자는
삶의 자취와 그에 내재된 의미를 살피는 것은 물론 고고인류학자입니다. 문화인류학은 고고학과 연결
당면하고 있는 문제를 헤쳐나갈 방안을 모색할 고리를 이어가면서, 동시대를 살아가는 다양한
수 있는 전문적 인재 양성을 목표로 합니다. 인류 문화에 초점을 맞춘다고 볼 수 있습니다.

필요한 역량은 무엇일까?

∙ 다양한 문화권의 역사, 생활양식, 언어, 예술 등 문화 전반에 대한 관심


∙ 사소한 부분까지 놓치지 않고 주의 깊게 관찰하고 탐구하려는 자세
∙ 문화재 보존 관련 학과의 경우 화학/물리/생98물 등 자연과학 교과목에도 관심이 있으며 자연과학적
연구 방법이 동원되는 경우도 있으므로 이에 대한 소양과 통찰력
∙ 현장 중심의 조사 활동에 대한 관심과 흥미, 낯선 환경과 새로운 사람을 만나는 것을 두려워하지
않고 즐기는 적극성과 도전 의지

어떤 과목을 선택해서 배워야 할까?

교과 선택과목
교과(군)
영역 일반선택 진로선택
국어 화법과 작문, 독서, 언어와 매체, 문학 고전 읽기
기초 수학 수학Ⅰ, 수학Ⅱ, 확률과 통계
영어 영어 회화, 영어Ⅰ, 영어 독해와 작문, 영어Ⅱ 영미 문학 읽기
사회(역사, 도덕) 한국지리, 세계지리, 세계사, 동아시아사, 사회․문화 여행지리, 사회문제 탐구
탐구
과학 과학사, 생활과 과학
체육 예술
생활 교양 제2외국어Ⅰ, 한문Ⅰ, 철학, 종교학, 논술

※ 선택과목 안내는 대학별 교육과정에 따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참고용으로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92 청소년을 사로잡는 진로 디자인 2


어떤 책을 읽어야 할까?

∙ 국화와 칼(루스 베네딕트) ∙ 처음 만나는 문화인류학(한국문화인류학회)


∙ 나의 문화유산 답사기 시리즈(유홍준) ∙ 천 번의 붓질 한 번의 입맞춤: 고고학 발굴 이야기
∙ 음식문화의 수수께끼(마빈 해리스) (이건무)
∙ 슬픈 열대(클로드 레비-스트로스) ∙ 총,균,쇠(재레드 다이아몬드)
∙ 오래된 미래(헬레나 노르베리 호지) ∙ 현대 고고학 강의(콜린 렌프류, 폴 반)
∙ 문화의 발견(김찬호) ∙ 사모아의 청소년(마거릿 미드)
∙ 인류학의 거장들(제리 무어)

인류학과가 있는 대학은?

▶ 학과
- 서울: 서울대
- 부산

▶ 관련 학과
- 서울: 덕성여대(문화인류학과), 연세대(문화인류학과)
- 부산: 동아대(역사문화학부(고고미술사학전공))

졸업 후에는 이런 곳으로 갈 수 있어요.

문화재 감정평가사, 평론가, 출판물기획자, 학예사(큐레이터), 문화재 보존원(컨서베이터), 기록물 관리사(기록물관리


전문요원), 잡지기자, 신문기자, 방송기자, 방송연출가, 해외영업원, 여행상품 개발자, 여행 사무원, 고고학발굴조사원,
공무원(문화직), 국제개발협력 연구원, 국제개발협력 활동가, 다큐연출가, 다큐작가, 문화예술프로그램기획자, 문화재
수리 및 복원 연구원, 문화재발굴조사전문가, 문화재연구원, 문화해설사, 상품공간스토리텔러, 인류학 연구원, 지역
문화사업 연구조사원, 해외문화 프로그램 방송작가, 정부·공공 기관(국공립박물관, 문화재청, 지역문화원, 국립문화재
연구소, 국가기록원 재직 등)

인류학과 인터뷰 살펴보기

∙ 서울대학교 ∙ 동아대학교
인류학과 학과 소개 고고미술사학과
[15:16] 학과소개 영상
[02:03]

사회계열 93
정 치 외 교 학 과

정치외교학과는?

정치는 ‘권력을 유지하며 행사하는 일’이고, 외교 있는 많은 행위들이 정치 외교와 관련성을 갖습


는 ‘외부와의 교섭’이라는 뜻을 담고 있습니다. 조 니다. 대통령 선거와 반장 선거는 절차의 복잡성
금 좁혀서 보면, 학급 반장이 여러분을 이끌어 학 에서 차이를 보일 뿐 똑같은 정치 활동이라고 할
급 회의를 진행하는 것은 반장의 권한을 행사한 수 있습니다. 이제 작은 사회를 큰 사회로 나와
다는 의미에서 ‘정치’에 여러분이 친한 친구와 카 주변 사람의 관계를 우리나라와 세계의 관계로
카오톡이나 문자를 주고받으며 서로 간의 이견을 확대해보면 진정한 정치 외교의 의미를 보다 쉽게
좁히는 것은 외부교섭인 ‘외교’에 해당하는 것이 이해할 수 있을 것입니다. 정치외교학은 정치와
라 할 수 있습니다. 정치와 외교가 어른들만의 일 외교를 학문적인 시각으로 바라보며 더 나은 사
인 것 같지만 사실 여러분의 24시간 일상에 녹아 회를 모색하는 길을 배우는 학문이라 하겠습니다.

필요한 역량은 무엇일까?

∙ 매일 접하는 뉴스가 딱딱하지 않고 흥미롭게 느껴지고 사회 전반의 흐름에 대해 관심이 많고 남들이


꿰뚫어 보지 못하는 것을 한눈에 알아보는 날카로운 통찰력
∙ 건전하고 비판적인 폭넓은 사고력
∙ 상반된 의견에 귀 기울일 줄 아는 경청과 배려심
∙ 국내외 다양한 정치, 사회, 경제 문제에 대한 관심 및 분석을 위한 논리력과 추리력

어떤 과목을 선택해서 배워야 할까?

교과 선택과목
교과(군)
영역 일반선택 진로선택
국어 화법과 작문, 독서, 언어와 매체, 문학
기초 수학 수학Ⅰ, 수학Ⅱ, 확률과 통계
영어 영어 회화, 영어Ⅰ, 영어 독해와 작문, 영어Ⅱ 영어권 문화, 진로 영어
한국지리, 세계지리, 세계사, 경제, 정치와 법, 사회·문화,
사회(역사, 도덕) 여행지리, 사회문제 탐구
탐구 생활과 윤리, 윤리와 사상
과학 과학사, 생활과 과학
체육 예술
생활 교양 제2외국어Ⅰ, 한문Ⅰ, 철학, 논리학, 심리학, 논술

※ 선택과목 안내는 대학별 교육과정에 따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참고용으로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94 청소년을 사로잡는 진로 디자인 2


어떤 책을 읽어야 할까?

∙ 10대와 통하는 정치학(고성국) ∙ 정약용: 조선의 르네상스를 꿈꾸다(함규진)


∙ 군주론(마키아벨리) ∙ 정의란 무엇인가(마이클 샌델)
∙ 다산 산문선(정약용) ∙ 정치@영화: 영화 속에서 본 정치
∙ 소셜로 정치하라(김행/공훈의) (한국외국어대학교출판부)
∙ 이이의 율곡문선(전재동) ∙ 정치학 이해의 길잡이 1~7(한국정치학회)
∙ 인간 불평등 기원론(장 자크 루소) ∙ 정치학(아리스토텔레스)
∙ 국제정치 이야기: 전쟁과 평화로 배우는(김준형) ∙ 이황의 퇴계문선(전재동)

정치외교학과가 있는 대학은?

▶ 학과
- 서울: 건국대, 경희대, 고려대, 국민대, 덕성여대, 동국대, 서강대, 성균관대, 서울대, 성신여대, 숙명여대, 숭실대,
연세대, 이화여대, 한국외대, 한양대
- 부산: 동아대, 부경대, 부산대

▶ 관련 학과
- 서울: 상명대(국가안보학과), 한국외대(Language&Diplomacy학부)
- 부산: 부산외대(글로벌 인재학부 외교전공), 인제대(공공인재학부 정치외교학과)

졸업 후에는 이런 곳으로 갈 수 있어요.

무역사무원, 행정공무원, 외교관, 조세행정 사무원, 병무행정 사무원, 일반행정 공무원, 법원 공무원, 정치학 연구원,
사회단체 활동가, 언론계 신문사 및 방송사 기자, PD, 해외영업원, 국제기구 종사자, 국제정치 연구원, 국제협력 사무원,
국제회의 기획자, 사회과학 연구원, 정치 여론조사 전문가, 정치컨설턴트, 정치평론가, 해외무역관, NGO전문가, 교수,
국회의원, 중앙정부 및 지방자치단체(국제통상직, 출입국관리직, 외무영사직), 국립연구원, 통일연구원, 한국국방연구원,
정치문화연구소, 사회정책연구소, 국제협상전략연구소, 안보전략연구소, 남북전략연구소 근무 등

정치외교학과 인터뷰 살펴보기

∙ 고려대학교 ∙ 한양대학교 ∙ 부경대학교


정치외교학과 정치외교학과 정치외교학과
홍보영상 전공 안내 학과 소개
[05:56] [07:48] [04:49]

사회계열 95
행 정 학 과

행정학과는?

행정학은 바람직한 국가 경영을 위해 정부와 공 조직 관리, 기획 등 공공 분야의 다양한 지식을


공 기관이 공익구현과 사회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쌓고 효율적인 관리를 담당하는 행정 전문가를
활동하고 있는 많은 일을 보다 과학적이고 체계적 양성합니다. 졸업 후 사회에 진출하여 정부와 공
으로 수행하는 데 필요한 지식을 습득하도록 해 공부문뿐 아니라 민간영역에서도 필요한 일반관
주며, 정부를 효율적이고 합리적으로 운영하는 데 리와 분야별 관리에 대한 이론적· 실용적 연구와
필요한 지식 또한 제공하는 종합적이고 실천적인 학습을 수행하고 있으며, 세부영역으로는 조직론,
학문입니다. 행정학은 사회의 여러 현상을 볼 줄 인사행정론, 정부예산론, 지방행정론, 행정기획론,
아는 깊고 넓은 안목을 길러주며 정책이나 재정, 환경행정론 등의 과목이 있습니다.

필요한 역량은 무엇일까?

∙ 공익에 기반을 둔 공공윤리관과 가치 있는 일을 하고 싶은 마음과 포용력


∙ 복잡한 사회 현상을 과학적·체계적으로 분석하고 평가할 수 있는 논리력 및 분석력
∙ 기초학문의 연구성과를 융통성 있게 적용하고 활용할 수 있는 유연한 사고와 적응력
∙ 주어진 일만을 수동적으로 처리하지 않고 공익구현을 위해 적극적이고 개방적으로 문제 해결 방법을
탐구할 줄 아는 기업가적 마인드

어떤 과목을 선택해서 배워야 할까?

교과 선택과목
교과(군)
영역 일반선택 진로선택
국어 화법과 작문, 독서, 언어와 매체, 문학

기초 수학 수학Ⅰ, 수학Ⅱ, 미적분, 확률과 통계

영어 영어 회화, 영어Ⅰ, 영어 독해와 작문, 영어Ⅱ

사회(역사, 도덕) 경제, 정치와 법, 사회·문화, 생활과 윤리, 윤리와 사상 여행지리, 사회문제 탐구
탐구
과학 과학사, 생활과 과학

체육 예술

생활 교양 제2외국어Ⅰ, 한문Ⅰ, 철학, 논리학, 심리학

※ 선택과목 안내는 대학별 교육과정에 따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참고용으로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96 청소년을 사로잡는 진로 디자인 2


어떤 책을 읽어야 할까?

∙ 가슴 뛰는 삶(강헌구) ∙ 목민심서: 마음으로 읽는 다산 정신(정약용)


∙ 거짓말하는 착한 사람들: 우리는 왜 부정행위에 ∙ 미국의 민주주의(알렉시 드 토크빌)
끌리는가(댄 애리얼리) ∙ 보이지 않는 고릴라
∙ 공정사회란 무엇인가(피터 코닝) (크리스토퍼 차브리스/대니얼 사이먼스)
∙ 공직자는 나라의 대표선수다(강영두) ∙ 사회계약론(장 자크 루소)
∙ 국가는 내 돈을 어떻게 쓰는가(김태일) ∙ 정의란 무엇인가(마이클 샌델)
∙ 군주론(니콜로 마키아벨리) ∙ 초협력자(마틴 노왁/로저 하이필드)
∙ 나는 대한민국 국가공무원이다(나상미) ∙ 프로테스탄티즘의 윤리와 자본주의 정신(막스 베버)

행정학과가 있는 대학은?

▶ 학과
- 서울: 건국대, 경희대, 고려대, 광운대, 국민대, 서울과학기술대, 서울시립대, 서울여대, 세종대, 숙명여대, 숭실대,
연세대, 이화여대, 한국외대, 한양대
- 부산: 동아대, 부경대, 부산대, 신라대, 인제대

▶ 관련 학과
- 서울: 한양대(정책학과), 서울시립대(도시행정학과), 명지대(법무행정학과), 한성대(융합행정학과(야))
- 부산: 동아대(석당인재학부 공공정책학전공), 부산가톨릭대(환경행정학과), 동의대(소방방재행정학과),
동서대(보건행정학과), 신라대(보건행정학과), 인제대(보건행정학과), 한국해양대(해양행정학전공)

졸업 후에는 이런 곳으로 갈 수 있어요.

총무 및 인사관리자, 정부행정 관리자, 경찰관리자, 노무사, 행사기획자, 전시·회의 기획자, 경리사무원, 인사·교육·
훈련 사무원, 자재관리 사무원, 총무 및 일반 사무원, 교육 및 훈련사무원, 광고·홍보·마케팅 사무원, 경영 기획 사무원,
통계·설문 조사원(슈퍼바이저 포함), 항공‧철도·지하철 운송 사무원, 도로 운송 사무원, 수상 운송 사무원(해상 운송),
정부·공공 행정 전문가, 조세행정·관세행정‧병무행정 사무원, 일반행정 공무원, 비서, 행정학 연구원, 법무사 및 집행관,
법률 사무원(법원, 로펌, 법무사무소 등), 경찰공무원, 소방관, 행정사·문서대행자, 경영지원 사무원, 공공행정컨설턴트,
기업법무전문가, 사회복지행정 사무원, 방송사, 신문사, 대학 및 전문대학 행정실, 병원 원무과 등 근무

행정학과 인터뷰 살펴보기

∙ 한양대학교 ∙ 부경대 행정학과 ∙ 대학전공별 진로


행정학과 전공 학과 소개 가이드 (별별전공,
안내 [03:32] 별별직업)-행정학
[06:06] [10:13]

사회계열 97
호 텔 관 광 경 영 학 과

호텔관광경영학과는?

세계화・무한서비스 경쟁 시대를 맞이하여 관광 필수 생활 문화로 인식됩니다. 이에 관광경영학과는


산업의 관심 및 개발 비중은 날로 증가하고 있습 미래 문화 생활 패턴을 선도하는 관광 전문 경영인,
니다. 성장 잠재력이 크고 고부가가치를 창출하는 한국의 매력을 창출하고 홍보하는 민간 외교관을
관광 산업을 굴뚝 없는 산업 또는 황금알을 낳는 양성하는 데 교육 목표를 둡니다.
거위라 말하기도 하며, 관광 현상은 이제 하나의

필요한 역량은 무엇일까?

∙ 여행과 관광에 흥미를 느끼고, 다양한 삶과 문화에 대한 호기심이 있으며, 사람들을 직접 대하며
서비스를 하는 것에 대한 관심과 봉사 정신
∙ 영어, 중국어, 일본어 등 다양한 외국어를 습득하는 능력
∙ 객실, 연회실 등의 원활한 서비스를 적절히 조정할 수 있는 꼼꼼함과 현장 실무적응력

어떤 과목을 선택해서 배워야 할까?

교과 선택과목
교과(군)
영역 일반선택 진로선택

국어 화법과 작문, 독서, 언어와 매체, 문학

기초 수학 수학Ⅰ, 수학Ⅱ, 확률과 통계

영어 영어 회화, 영어Ⅰ, 영어 독해와 작문, 영어Ⅱ 영어권 문화, 진로 영어

사회(역사, 도덕) 세계지리, 세계사, 경제, 정치와 법, 사회·문화 여행지리, 사회문제 탐구


탐구
과학 과학사, 생활과 과학

체육 예술

생활 교양 제2외국어Ⅰ, 한문Ⅰ 제2외국어Ⅱ

※ 선택과목 안내는 대학별 교육과정에 따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참고용으로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98 청소년을 사로잡는 진로 디자인 2


어떤 책을 읽어야 할까?

∙ 나도 호텔리어가 될 수 있다(권성애) ∙ 전설적인 호텔리어의 NO라고 말하지 않는 서비스


∙ 보기만 해도 힐링 되는 나무들의 감성스토리 (하야시다 마사미쓰)
(여호근/김종오) ∙ 지리의 힘(팀 마샬)
∙ 여행의 이유(김영하) ∙ 처음처럼(신영복)
∙ 잡노마드 사회(군둘라 엥리슈) ∙ 품격을 높이는 이미지 메이킹(김경호 외)

호텔관광경영학과가 있는 대학은?

▶ 학과
- 서울: 세종대
- 부산: 경성대, 동의대

▶ 관련 학과
- 서울: 경희대(관광학부),한양대(관광학부)
- 부산: 동아대(관광경영학과), 동명대(호텔관광학부), 동서대(관광학부), 부산대(관광컨벤션학과), 부산외대(호텔·
관광·컨벤션학부), 신라대(국제관광경영학부), 영산대(호텔·컨벤션 학부(호텔경영전공))

졸업 후에는 이런 곳으로 갈 수 있어요.


호텔업체, 여행사, 테마파크, 항공사, 이벤트기획업체, 기업체 일반 사무직 및 해외 영업직, 해외 현지 호텔 및 기업,
신문사, 잡지사, 방송국, 관광·문화 관련 국가·민간 연구소, 사회과학 관련 국가·민간 연구소, 중앙정부 및 지방자치단체,
관광·문화 관련 공공 기관

호텔관광경영학과 인터뷰 살펴보기

∙ 한양대학교 사회과학대학 ∙ 이철진 교수, 동서대학교


관광학부 전공안내 관광학부-호텔경영학 전공 소개
[05:59] [02:12]

사회계열 99
2
03 교육계열
교육계열이란 교육은 역사에서 축적된 모든 지식과 문화를 후세에게 전달하는 일이며, 인간의
무엇일까? 무한한 가능성을 계발하여 새로운 지식과 문화를 창출하는 숭고한 일로 국가와
민족의 미래와 운명을 결정하는 중요한 활동입니다.
교육계열은 교육 분야에 종사할 교사와 교육 지도자를 양성하고 교육 일반과 교과
교육 원리의 교수 및 연구에 종사할 학자의 배출을 목표로 합니다.

어떤 분야로 교육계열은 교육일반, 유아교육, 특수교육, 초등교육, 중등교육으로 구성됩니다.


구성되어 교육일반
있을까? 교육활동과 그와 관련된 제반 현상들을 종합적이고 체계적으로 연구하는 학문인
교육학에 바탕을 두고 있으며, 여기에는 교육철학, 교육사, 교육행정, 교육심리,
교육과정, 교육사회, 교육측정 및 평가, 교육정책, 평생교육, 교사교육, 교육연구
등이 포함됩니다.

유아교육
유아를 대상으로 취학전 교육이라고도 불리는데 종전에는 어린이가 초등학교에
입학하기 전 1~2년간 교육프로그램에 참여하는 활동을 일컬어 유아교육이라고
하였으나 최근에는 유아교육에 대한 관심의 확장으로 영아교육 및 영·유아교육을
통틀어 유아교육이라고 칭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특수교육
시청각장애·지체부자유·정신박약 등으로 일반학교나 학급에서는 교육의 효과를
기대할 수 없는 학생을 위해 특수학교 학급을 마련하고, 장애의 특성에 맞는 교과
과정에 따라 교육을 실시하는 특수교육학을 중심으로 하고 있습니다.

초등교육
교육제도의 체계상 가장 먼저 받는 교육인 초등교육 및 관련 현상을 연구 대상으로
하는 초등교육학에 바탕을 둡니다. 학교 교육은 체계상 초등교육·중등교육·고등
교육으로 구분되며 각기 그 교육목적이 다릅니다. 초등교육은 민주국가 국민으로서
누구나 받아야 할 기초교육이며, 인간의 성장계열에서 반드시 이수하여야 하는
의무교육의 성격을 띠게 됩니다.

중등교육
초등교육과 고등교육의 중간단계로서 제2단계 교육이라고도 불리는데, 중학교와
고등학교가 여기 해당됩니다. 중등교육은 초등교육의 일반성, 보편성, 기초성 등의
특성과는 달리 진학을 위한 준비교육, 혹은 전문지식·기술의 습득 등을 목표로
하는 교육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102 청소년을 사로잡는 진로 디자인 2


어떤 학과가 교육학과, 교육공학과, 국어교육과, 독어교육과, 물리교육과, 미술교육과, 불어교육과,
있을까? 생물교육과, 수학교육과, 역사교육과, 영어교육과, 유아교육과, 윤리교육과, 음악
교육과, 일반사회교육과, 지구과학교육과, 지리교육과, 체육교육과, 초등교육(학)과,
특수교육과, 화학교육과

무엇을 교육계열에서는 교육일반의 이론과 교육활동의 원리를 내용으로 하는 교직이론


배울까? 영역, 각 교과의 지식과 원리를 내용으로 하는 교과교육영역, 그리고 각 교과의
내용과 구성에 관한 교과내용영역 등의 내용을 배울 수 있습니다.

관련 직업 중·고등학교 교사 진로교육 전문가 특수교육교사


[15:39] [TEXT] [04:34]

교육계열 103
교 육 학 과

교육학과는?

교육학과는 교육에 대한 학문적 이론과 학교 교육학과의 경우는 복수전공과 부전공 병행이 활


현장에서의 실습을 제공합니다. 또, 다양한 분야 발한 편입니다. 교육공학과는 교육용 소프트웨어
에서 교육 활동을 담당하며, 교육 현장의 각종 등을 활용한 교육 효과 극대화를 위한 공부를 주로
문제를 해결하는 교육 전문가를 양성합니다. 교육 하고, 교육심리학과는 교육 콘텐츠의 전달과 활용에
학과, 교육공학과, 교육심리학과 등으로 구분이 적용할 수 있는 심리학의 기본적인 이론과 원리를
가능하며, 주로 4년제 대학에 개설되어 있습니다. 과학적으로 연구하며 교육심리 연구를 수행하는데
교육학과는 교육학의 기초 개념, 이론, 실제에 필요한 통계, 측정 및 실험 등의 기본지식과 기술을
대해 학습하며, 교육의 근본적인 문제와 바람직한 배웁니다.
교육의 방향을 탐색합니다.

필요한 역량은 무엇일까?

∙ 학교 교육을 포함한 교육 전반에 대한 관심과 열정


∙ 사회과학 전반에 대한 폭넓은 이해력
∙ 교육적 현상에 대한 과학적 분석과 논리적 해석력
∙ 교육이론을 개척하기 위한 창의력과 실천에 필요한 추진력
∙ 합리적인 의사소통 능력과 풍부한 표현력
∙ 학생에 대한 애정, 교육적 열정, 정직성, 리더십

어떤 과목을 선택해서 배워야 할까?

교과 선택과목
교과(군)
영역 일반선택 진로선택
국어 화법과 작문, 독서, 언어와 매체, 문학 심화 국어, 고전 읽기
기초 수학 수학Ⅰ, 수학Ⅱ, 확률과 통계
영어 영어 회화, 영어Ⅰ, 영어 독해와 작문, 영어Ⅱ 진로 영어
사회문제 탐구,
사회(역사, 도덕) 사회·문화, 생활과 윤리, 윤리와 사상
탐구 고전과 윤리
과학 과학사, 생활과 과학
체육 예술
생활 교양 철학, 논리학, 심리학, 교육학, 진로와 직업

※ 선택과목 안내는 대학별 교육과정에 따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참고용으로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104 청소년을 사로잡는 진로 디자인 2


어떤 책을 읽어야 할까?

∙ 가르칠 수 있는 용기(파커 J. 파머) ∙ 실패한 교육과 거짓말(노암 촘스키)


∙ 고도를 기다리며(사무엘 베케트) ∙ 아이들은 어떻게 성장하는가(호머 레인)
∙ 공부하는 인간(KBS 공부하는 인간 제작팀) ∙ 에밀(장 자크 루소)
∙ 교사와 학생 사이(하임 G. 기너트) ∙ 인간의 조건(한나 아렌트)
∙ 교육과 교육학(김대현/김석우) ∙ 인공지능시대, 창의성을 디자인하라(조병익)
∙ 꿈이 있는 공동체 학교(윤구병) ∙ 페다고지(파울루 프레이리)
∙ 생각을 생각하는 힘(강이철) ∙ 한국 공교육의 새로운 구상과 전략(권대봉/신현석)
∙ 서머힐(알렉산더 닐) ∙ 행복의 가설(조너선 헤이트)
∙ 소피의 세계(요슈타인 가아드)

교육학과가 있는 대학은?

▶ 학과
- 서울: 고려대, 국민대, 동국대, 상명대, 서울대, 성균관대, 성신여대, 세종대, 숙명여대, 연세대, 이화여대, 중앙대,
한양대, 홍익대
- 부산: 동아대, 부산대, 신라대

▶ 관련 학과
- 서울: 건국대(교육공학과), 서울여대(교육심리학과), 숭실대(평생교육학과), 이화여대(교육공학과), 한양대(교육공학과)
- 부산: 동의대(평생교육·청소년상담학과), 부경대(평생교육·상담학과)

졸업 후에는 이런 곳으로 갈 수 있어요.

중·고등학교 교사, 입학사정관, 학원강사, 인사·교육·훈련 사무원, 광고·홍보·마케팅 사무원, 통계·설문 조사원(슈퍼
바이저 포함), 장학사, 교육행정사무원, 교육학연구원, 교재교구개발자, 이러닝 교수설계자, 학습지·교육교구 방문 강사,
방과후교사, 심리상담 전문가, 직업상담사, 취업 알선원(직업소개소), 커리어코치, 취업지원관, 출판물기획자, 응용
소프트웨어개발자, 웹프로그래머, 교육행정공무원, 기자, 생활코치, 인사관리자, 진로체험코디네이터, 평생교육사, 학교
폭력예방강사, 학습코치, 청소년 상담실 등

교육학과 인터뷰 살펴보기

∙ 고려대학교 사범대학 ∙ 교육학과 소개영상


교육학과 홍보영상 [29:18]
[05:49]

교육계열 105
교 육 공 학 과

교육공학과는?

교육공학과는 교육자 양성을 목표로 교직과목 교육과 관련된 다양한 타 학문 분야의 지식을
이나 다양한 전공과목을 통해 ‘교육’과 관련된 통해서도 교육효과를 최대화하고 있습니다. 교육
내용을 학습합니다. 하지만 교육 본질만을 깊이 공학을 이해하는데 도움을 줄 만한 예로 인터넷
연구하기보다 학습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는 강의, e-learning, smart learning, 유비쿼터스
교육 방법, 교육 매체, 이론 등을 연구하는 학문 러닝, 교수법, 교수설계 등이 있습니다. 종합하자
입니다. 때문에 효율을 중요시하는 공학의 특성을 면 교육을 빠른 시간 내에 많은 사람에게 얼마나
교육과 결합해 보다 높은 교육 효과와 효율을 얻을 효과적이고 효율적으로 할 수 있는가에 관하여
수 있는 방법을 공부하고 연구합니다. 또한, 교육과 연구하며, 교육 커리큘럼 계획과 교육 방법, 교수
관련된 심리학, 경영학이나 커뮤니케이션 이론 등 매체 개발 등 다양한 일을 합니다.

필요한 역량은 무엇일까?

∙ 급변하는 정보화의 시대적 흐름에 대한 관심


∙ 멀티미디어교육, 열린교육, 평생교육, 기업교육 등 다양한 분야의 교육에 대한 관심
∙ 교육방법의 첨단화, 정보화, 선진화 등 미래교육에 대한 관심
∙ 컴퓨터 프로그램에 대한 관심
∙ 배움이 이루어지는 과정에 대한 관심
∙ 팀 활동, 의사소통을 통한 발전, 커뮤니케이션 능력
∙ 교육, 심리, 경영 등의 다양한 학문 분야에 대한 융합적 사고능력
∙ 통계를 통해서 데이터를 분석하고 그에 따른 해결 방법을 도출해내는 것에 대한 관심
∙ 교재, 교육자료를 만드는 것에 대한 관심

어떤 과목을 선택해서 배워야 할까?

교과 선택과목
교과(군)
영역 일반선택 진로선택
국어 화법과 작문, 독서, 언어와 매체, 문학 심화 국어, 고전 읽기
기초 수학 수학Ⅰ, 수학Ⅱ, 확률과 통계
영어 영어 회화, 영어Ⅰ, 영어 독해와 작문, 영어Ⅱ 진로 영어
사회(역사, 도덕) 동아시아사, 사회·문화, 생활과 윤리, 윤리와 사상 사회문제 탐구
탐구
과학 과학사, 생활과 과학
체육 예술
생활 교양 철학, 논리학, 심리학, 교육학, 진로와 직업
※ 선택과목 안내는 대학별 교육과정에 따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참고용으로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106 청소년을 사로잡는 진로 디자인 2


어떤 책을 읽어야 할까?

∙ MT 교육공학(유영만) ∙ 신세대를 위한 교육학개론(주영흠/박진규 외 1명)


∙ 나는 대한민국의 교사다(조벽) ∙ 앨빈 토플러 청소년 부의 미래
∙ 나는 프로그래머다 (앨빈 토플러/하이디 토플러)
(김용준/김종호/원은희/유영창/이춘식/임백준/허광남) ∙ 죽은 시인의 사회(N.H. 클라인바움)
∙ 뉴미디어의 언어(레브 마노비치) ∙ 컴퓨터과학이 여는 세계(이광근)
∙ 미래교육 인사이트(윤성혜/장지은 외 2명) ∙ 현대 정보사회이론(프랭크 웹스터)

교육공학과가 있는 대학은?

▶ 학과
- 서울: 건국대, 이화여대, 한양대
- 부산
- 기타: 안동대

▶ 관련 학과
- 서울
- 부산

졸업 후에는 이런 곳으로 갈 수 있어요.

중·고등학교 교사, 기업 인재개발원, 교육방송, 이러닝기업, 연구원, 출판언론, 컨설팅, 회계사 등 전문직 대상 교육전문가,
대학교수학습센터, 사이버대학, 홍보마케팅 기업, 예술종교사업, 변호사, 교육학연구원, 교재 및 교구개발자, 시스템
소프트웨어개발자, 응용소프트웨어개발자, 일반공무원, 전자공학기술자, 통신공학기술자 등

교육공학과 인터뷰 살펴보기

∙ 건국대 ∙ 한양대 ∙ 교육공학과


교육공학과 교육공학과 (교육부)
[12:28] [08:47] [07:02]

교육계열 107
국 어 교 육 과

국어교육과는?

기본적으로 인간의 언어 행위와 학교 및 사회 관해 연구하는 국어의미론 교육 등으로 구분할


에서의 언어 현상을 연구합니다. 또한 학교에서의 수 있습니다. 국문학 교육은 시, 소설, 수필, 희곡,
국어교육 그리고 사회적 언어소통에 기여할 자질 평론을 고전부터 현대까지 포괄하여 그 실체와
있고 능력이 있는 전문가 양성에 교육 목표를 두고 속성, 교수-학습 방법을 연구하는 학문이며, 의사
있습니다. 국어학 교육은 크게 말소리가 인간의 소통 교육론은 듣기, 말하기, 읽기, 쓰기에 대한
언어에서 어떻게 조직되는지를 연구하는 국어음 이해와 그 교수-학습 방법을 탐구하는 학문입니다.
운론, 언어 현상에 내재한 규칙을 연구하는 국어
문법론, 동음어·유의어·다의어와 같이 의미 구조에

필요한 역량은 무엇일까?

∙ 국어교육의 내용에 대한 긍지와 애정을 지닌 진취적인 태도


∙ 국어 및 국어교육에 대한 흥미와 열정, 그리고 지적 호기심
∙ 평소 풍부한 독서 활동을 통해 다져진 논리적인 표현력과 비판적 사고
∙ 학생 지도를 위한 올바른 교육관과 인성
∙ 미래 국어교육과 연구를 담당할 수 있도록 전문 능력을 갖추려는 자세

어떤 과목을 선택해서 배워야 할까?

교과 선택과목
교과(군)
영역 일반선택 진로선택
국어 화법과 작문, 독서, 언어와 매체, 문학 심화 국어, 고전 읽기
기초 수학 수학Ⅰ, 수학Ⅱ, 확률과 통계
영어 영어 회화, 영어Ⅰ, 영어 독해와 작문, 영어Ⅱ 진로 영어
사회(역사, 도덕) 동아시아사, 사회·문화, 생활과 윤리, 윤리와 사상 사회문제 탐구
탐구
과학 과학사, 생활과 과학
체육 예술
생활 교양 한문Ⅰ, 철학, 논리학, 심리학, 교육학, 진로와 직업

※ 선택과목 안내는 대학별 교육과정에 따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참고용으로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108 청소년을 사로잡는 진로 디자인 2


어떤 책을 읽어야 할까?

∙ 20세기 한국소설(전 50권 세트) ∙ 우리말 상상력(정호완)


∙ 국어 교육의 이해(최미숙/원진숙 외 3명) ∙ 우리말의 수수께끼(박영준)
∙ 꿈의 교실(고봉익) ∙ 청소년을 위한 삼국유사(일연/이상인)
∙ 문학이란 무엇인가(유종호) ∙ 학교문법과 문법교육(임지룡/이은규 외 5명)
∙ 백석 시전집(백석) ∙ 한국문학통사(조동일)
∙ 언어(이론과 그 응용)(김진우) ∙ 한국현대문학사(권영민)
∙ 열하일기(박지원) ∙ 혼불(최명희)
∙ 우리말 문법론(고영근/구본관) ∙ 훈민정음(신강)(서병국)

국어교육과가 있는 대학은?

▶ 학과
- 서울: 고려대, 동국대, 상명대, 서울대, 이화여대, 한양대, 홍익대
- 부산: 부산대, 신라대

▶ 관련 학과
- 서울: 한국외대(한국어교육과)
- 부산

졸업 후에는 이런 곳으로 갈 수 있어요.

중·고등학교 교사, 교수, 교육공무원, 학원 강사, 한국어강사, 교육정책연구원, 논술지도사, 교재교구개발자, 언어학
연구원, 콘텐츠제작자, 출판기획자 및 집필자, 학습지·교육교구 방문 강사, 방과후교사, 다문화언어지도사, 방송작가,
평론가, 출판물기획자, 잡지기자, 신문기자, 방송기자, 언어치료사, 다문화코디네이터, 독서지도사, 상품공간스토리
텔러, 시나리오작가, 일반기업체, 금융관련 기업, 광고 및 마케팅 기업 카피라이터 등

국어교육과 인터뷰 살펴보기

∙ 동국대 국어교육과 교수 ∙ 한양대 국어교육과


인터뷰 [08:37]
[TEXT]

교육계열 109
독 어 교 육 과

독어교육과는?

독어교육과는 중고등학교 독일어 교육에 필요 21세기 한국의 독어교육은 물론 인문학 발전에


한 지식들을 습득 및 연구하도록 하여 훌륭한 기여할 수 있는 유능하고 창의적인 독일어 교사
자질의 독일어 교사를 양성합니다. 독어교육과에 및 융복합적 학문연구에 기여할 수 있는 학자,
서는 독일어 실용능력 및 독일어 문학, 경제, 사회 독일어권 지역학의 전문인 등의 양성을 목포로
전반에 관한 이론과 실제를 체계적으로 학습하여 합니다.

필요한 역량은 무엇일까?

∙ 독일어를 포함한 언어 일반과 다른 문화에 대한 호기심


∙ 언어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꾸준한 노력과 새로운 세계로의 도전 정신
∙ 누군가를 가르치고 지도하는 것에 대한 관심
∙ 교사로서 학생에 대한 애정, 사명감과 책임감, 봉사 정신

어떤 과목을 선택해서 배워야 할까?

교과 선택과목
교과(군)
영역 일반선택 진로선택
국어 화법과 작문, 독서, 언어와 매체, 문학 심화 국어, 고전 읽기

기초 수학 수학Ⅰ, 수학Ⅱ, 확률과 통계

영어 영어 회화, 영어Ⅰ, 영어 독해와 작문, 영어Ⅱ 진로 영어

사회(역사, 도덕) 세계사, 사회·문화, 생활과 윤리, 윤리와 사상 사회문제 탐구


탐구
과학 과학사, 생활과 과학

체육 예술

생활 교양 독일어Ⅰ, 심리학, 교육학, 진로와 직업 독일어Ⅱ

※ 선택과목 안내는 대학별 교육과정에 따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참고용으로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110 청소년을 사로잡는 진로 디자인 2


어떤 책을 읽어야 할까?

∙ 고전의 힘(강명관/강호영 외 3명) ∙ 발도르프 아동교육(루돌프 슈타이너)


∙ 데미안(헤르만 헤세) ∙ 변신(프란츠 카프카)
∙ 독일어 이야기1,2(임종대/전영애 외 5명) ∙ 칼 비테의 자녀교육법(칼 비테)
∙ 독일영상문화(이상금/허남영) ∙ 파우스트(요한 볼프강 폰 괴테)
∙ 독일청소년문학 단편선 ∙ 향수(파트리크 쥐스킨트)
(찰스 실즈필드/빌헬름 하우프 외 1명) ∙ 헤세는 이렇게 말했다(헤르만 헤세)
∙ 마의 산(토마스 만)

독어교육과가 있는 대학은?

▶ 학과
- 서울: 서울대
- 부산: 부산대
- 기타: 경북대, 전북대, 한국교원대

▶ 관련 학과
- 서울: 한국외대(독일어교육과)
- 부산

졸업 후에는 이런 곳으로 갈 수 있어요.

중·고등학교 교사, 학원강사, 외국어강사, 출입국심사관, 무역사무원, 외교관, 교재교구개발자, 언어학연구원, 문리학원
강사, 학습지·교육교구 방문 강사, 방과후교사, 다문화언어지도사, 방송작가, 평론가, 번역가, 통역가, 출판물기획자, 잡지
기자, 신문기자, 방송기자, 교육정책연구원, 국제협력사무원, 다문화코디네이터, 시나리오작가, 신문방송해외특파원,
유학상담자, 해외공보관, 일반 회사, 국내 및 외국계 은행 · 증권회사 · 보험회사 등

독어교육과 인터뷰 살펴보기

∙ 부산대 독어교육과 ∙ 전북대 독어교육과


학과소개 [03:48]
[TEXT]

교육계열 111
물 리 교 육 과

물리교육과는?

물리교육과는 과학적인 이론과 실제적인 실험 에서 필요한 물리교육론, 물리교재연구 및 지도


을 통하여 교육 현장에서 학생을 지도할 수 있는 법, 물리탐구 학습론 등 교과교육학 과목으로
능력을 갖춘 중등교원을 양성하는데 그 목표를 구성되어 있으며, 이론 및 실기 교과들을 다양
둡니다. 물리교육과의 교육과정은 역학교육, 전자 하게 제공합니다. 또한 일반 교육학 과목은 교육
기학교육, 양자물리학, 열통계 물리교육 등 물리의 전반에 대한 일반적 이해와 교사로서의 소양
이해를 돕는 물리 교과 내용학과 물리교육 현장 함양을 목표로 합니다.

필요한 역량은 무엇일까?

∙ 자연 현상의 근원에 대한 호기심, 상상력, 과학적 사고력 및 분석력


∙ 타인과의 원활한 의사소통능력
∙ 자연 현상과 원리에 관심을 갖고 이를 이해하려는 호기심
∙ 예비 물리교사로서의 타인에 대한 이해력과 지도력
∙ 과학 대중화 활동을 위한 과학적 소양과 자세
∙ 학생을 가르치는 것에 흥미와 애정
∙ 논리적인 사고, 수리력, 꼼꼼한 관찰력

어떤 과목을 선택해서 배워야 할까?

교과 선택과목
교과(군)
영역 일반선택 진로선택
국어 화법과 작문, 독서, 언어와 매체, 문학
기초 수학 수학Ⅰ, 수학Ⅱ, 미적분, 확률과 통계 기하, 수학과제 탐구
영어 영어 회화, 영어Ⅰ, 영어 독해와 작문, 영어Ⅱ
사회(역사, 도덕) 생활과 윤리, 윤리와 사상 여행지리, 사회문제 탐구
탐구
과학 물리학Ⅰ, 화학Ⅰ, 생명과학Ⅰ 물리학Ⅱ, 화학Ⅱ
체육 예술
생활 교양 심리학, 교육학, 진로와 직업

※ 선택과목 안내는 대학별 교육과정에 따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참고용으로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112 청소년을 사로잡는 진로 디자인 2


어떤 책을 읽어야 할까?

∙ 공간개념(막스 야머) ∙ 일상적이고 감성적인 물리학 이야기(크리스틴 매킨리)


∙ 도쿄대 물리학자가 가르쳐주는 생각하는 법 ∙ 지구, 46억년의 고독(마쓰이 다카후미)
(우에다 마사히토) ∙ 지구과학개론(한국지구과학회)
∙ 빅뱅과 우주(과학동아 편집부) ∙ 청소년을 위한 시간의 역사(스티븐 호킹)
∙ 새로운 물리탐구의 세계(박종원) ∙ 최무영 교수의 물리학 강의(최무영)
∙ 신의 입자를 찾아서(이종필) ∙ 캠벨 생명과학(닐 캠벨 외)
∙ 어느 물리학자의 세상 보기(김찬주) ∙ 파인만의 여섯 가지 물리 이야기(리처드 파인만)
∙ 이야기 물리학사(다케우치 히토시)

물리교육과가 있는 대학은?

▶ 학과
- 서울: 서울대
- 부산: 부산대
- 기타: 경북대, 경상대, 공주대, 대구대, 순천대, 전남대, 전북대, 조선대, 충북대, 한국교원대, 제주대

▶ 관련 학과
- 서울
- 부산

졸업 후에는 이런 곳으로 갈 수 있어요.

중·고등학교 교사, 장학사, 교수, 연구소 연구원, 과학시험원, 교육행정 전문가, 과학관 학예사, 전시 해설사, 언론사,
전공 관련 연구소, 통신·반도체 기업, 제약회사 등

물리교육과 인터뷰 살펴보기

∙ 부산대 ∙ 경북대 ∙ 대구대


물리교육과 물리교육과 교수 과학교육학부
학과소개 인터뷰 물리교육전공
[TEXT] [TEXT] [03:18]

교육계열 113
미 술 교 육 과

미술교육과는?

미술교육과는 미술의 전 영역에 걸친 기초 기능 한 미술 전반에 대한 지식을 넓히고자 합니다.


을 연마하는 데 중점을 두며 미술 이론을 체계화 세계 문화 속의 일인으로 각자 역할을 다 할 수
하여 미술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작품 활동의 있는 작가와 유능한 미술교육자 양성에 교육 목
방향을 제시합니다. 미술교육과는 자유롭고 창의 표를 두고 있습니다.
적이고 개성적인 조형 능력을 가지고 폭넓고 풍부

필요한 역량은 무엇일까?

∙ 미술과 교육에 대한 전문적 지식


∙ 개방적인 사고와 교육자로서의 사명감
∙ 지역사회의 미술 문화를 주도하는 작가적 기본 소양
∙ 예체능에 대한 전반적인 지식과 미술 분야에서 뛰어난 능력
∙ 가르치는 것에 흥미와 애정, 교사로서의 자질
∙ 예술가로서의 창의력, 예술적 감각

어떤 과목을 선택해서 배워야 할까?

교과 선택과목
교과(군)
영역 일반선택 진로선택
국어 화법과 작문, 독서, 언어와 매체, 문학

기초 수학 수학Ⅰ, 수학Ⅱ, 확률과 통계

영어 영어 회화, 영어Ⅰ, 영어 독해와 작문, 영어Ⅱ 영어권 문화

사회(역사, 도덕) 사회·문화, 생활과 윤리, 윤리와 사상 사회문제 탐구


탐구
과학 과학사, 생활과 과학

체육 예술 미술 미술 창작, 미술 감상과 비평

생활 교양 심리학, 교육학, 진로와 직업

※ 선택과목 안내는 대학별 교육과정에 따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참고용으로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114 청소년을 사로잡는 진로 디자인 2


어떤 책을 읽어야 할까?

∙ 20세기 한국미술(김영나) ∙ 점,선,면(바실리 칸딘스키)


∙ 문학과 예술의 문화사(스티븐 컨) ∙ 천년의 그림 여행(스테파노 추피)
∙ 미술과 사회적 상상력(최태만) ∙ 컬쳐 코드(클로테르 라파이유)
∙ 서양 미술사(에른스트 곰브리치) ∙ 현대 미술 교육의 뿌리(메리 앤 스탠키위츠)
∙ 알기 쉬운 조각 감상의 길잡이(데이비드 핀) ∙ 현대미술(장 루이 프라델)

미술교육과가 있는 대학은?

▶ 학과
- 서울
- 부산
- 기타: 경남대, 경상대, 공주대, 목원대, 한국교원대, 한남대

▶ 관련 학과
- 서울: 한양대(응용미술교육과)
- 부산

졸업 후에는 이런 곳으로 갈 수 있어요.

중 ․ 고등학교 교사, 미술학원 창업 및 교사, 예능강사, 화가, 조각가, 출판물기획자, 제품디자이너, 시각디자이너, 기자,
미술관 학예사 및 큐레이터, 박물관 학예사 및 큐레이터, 방송 및 영화산업 미술감독, 기업체 및 은행 미술·디자인팀, 미술
심리치료상담사, 아동미술심리상담사, 문화예술교육사, 전업 작가 등

미술교육과 인터뷰 살펴보기

∙ 공주대 미술교육과 ∙ 한양대 응용미술교육과


[TEXT] [07:55]

교육계열 115
불 어 교 육 과

불어교육과는?

불어교육과는 프랑스어 교육 및 프랑스어 문학, 서의 프랑스어의 중요성과 문학·예술 분야에서의


프랑스어권 문화 전반에 대해 체계적으로 연구 프랑스어의 역할, 기능적 언어로서의 프랑스어
하며 중등학교 프랑스어 교사를 양성하는데 목적이 구조, 다른 학문과의 학제 간 연구 가능성 등을
있습니다. 세계화와 더불어 선진 외국과의 정치, 인식시킴으로써 단순히 프랑스어라는 언어만을
경제, 사회, 문화적 교류가 확대되고 있습니다. 가르치는 교사를 양성하는 기관으로의 역할뿐만
프랑스어는 전 세계 40여 개 국가에서 사용되고 아니라 프랑스 문화의 전반적인 이해를 통해,
있는 언어로 국제 정치, 경제, 외교적으로 중요한 세계화에 능동적으로 대응하는 전문인을 양성하는
언어 중 하나입니다. 불어교육과에서는 교양어로 기관입니다.

필요한 역량은 무엇일까?

∙ 프랑스어를 포함한 언어 일반과 외국 문화에 대한 호기심


∙ 비판적이고 주체적인 사고력
∙ 누군가를 가르치고 지도하는 것에 대한 관심
∙ 교사로서 학생에 대한 애정, 교육에의 열정, 정직성, 리더십

어떤 과목을 선택해서 배워야 할까?

교과 선택과목
교과(군)
영역 일반선택 진로선택
국어 화법과 작문, 독서, 언어와 매체, 문학 심화 국어, 고전 읽기

기초 수학 수학Ⅰ, 수학Ⅱ, 확률과 통계

영어 영어 회화, 영어Ⅰ, 영어 독해와 작문, 영어Ⅱ 진로 영어

사회(역사, 도덕) 세계사, 사회·문화, 생활과 윤리, 윤리와 사상 사회문제 탐구


탐구
과학 과학사, 생활과 과학

체육 예술

생활 교양 프랑스어Ⅰ, 심리학, 교육학, 진로와 직업 프랑스어Ⅱ

※ 선택과목 안내는 대학별 교육과정에 따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참고용으로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116 청소년을 사로잡는 진로 디자인 2


어떤 책을 읽어야 할까?

∙ DELF A1(김선미/김성희 외 1명) ∙ 이야기 프랑스사(윤선자)


∙ 가장 쉬운 프랑스어 첫걸음의 모든 것(주장수) ∙ 케임브리지 프랑스사(콜린 존스)
∙ 레 미제라블(빅토르 위고) ∙ 풍차간 소식(알퐁스 도테)
∙ 생각의 지도(리처드 니스벳) ∙ 프랑스 단편소설(프랑시스 잠/프랑수아 코페 외 1명)
∙ 쎄느강은 좌우를 나누고 한강은 남북을 가른다 ∙ 프랑스 문학사(민희식)
(홍세화) ∙ 프랑스 문화와 예술 그리고 프랑스어(곽노경/김선미)
∙ 어린왕자(앙투안 드 생텍쥐페리) ∙ 프랑스 하나 그리고 여럿(서울대학교 불어문화권연구소)
∙ 이방인(알베르 카뮈)

불어교육과가 있는 대학은?

▶ 학과
- 서울: 서울대
- 부산: 부산대
- 기타: 경북대

▶ 관련 학과
- 서울: 한국외대(프랑스어교육과)
- 부산

졸업 후에는 이런 곳으로 갈 수 있어요.

중·고등학교 교사, 학원강사, 교수, 출입국심사관, 무역사무원, 외교관, 교재교구개발자, 언어학연구원, 외국어 강사,
학습지·교육교구 방문 강사, 방과후교사, 다문화언어지도사, 방송작가, 평론가, 번역가, 통역가, 출판물기획자, 잡지기자,
신문기자, 방송기자, 교육정책 연구원, 국제협력 사무원, 다문화 코디네이터, 독서지도사, 신문방송 해외특파원, 유학
상담자, 해외공보관, 일반 회사, 국내 및 외국계 은행 · 증권회사 · 보험회사 등

불어교육과 인터뷰 살펴보기

∙ 부산대 ∙ 한국교원대 ∙ 외대생은 프랑스어


불어교육과 불어교육과 교수 공부를 어떻게
학과안내 인터뷰 할까?
[TEXT] [TEXT] [06:54]

교육계열 117
생 물 교 육 과

생물교육과는?

생물교육과는 미래세대의 과학교육에 있어 자연 과학적 사고방식과 탐구 정신을 함양하고자 합


과학의 기초지식 및 개념을 정립하고 생명과학 니다. 또한 생물학 및 과학 전반에 걸쳐서 학생들
분야를 중점적으로 다루어 더욱 합리적이고 역동 에게 과학기술과 사회를 연계하여 이해시킬 수
적인 과학 교육 방향을 제시합니다. 생물교육과는 있는 조력자로서의 능력을 갖춘 우수한 과학교사
충실한 이론 습득과 다양한 실험 실습을 통하여 및 생명과학교사 양성에 교육 목표를 둡니다.

필요한 역량은 무엇일까?

∙ 생명과학 영역에 대한 전문적 소양 및 과학 탐구 능력과 논리성


∙ 훌륭한 인격과 교직관
∙ 생명과학의 내용과 교육이론에 대한 지식
∙ 다양한 학습지도 능력을 발휘할 수 있는 능력
∙ 생명현상 및 생물에 끊임없는 지적 호기심
∙ 어떤 현상에 대해 알기 쉽게 설명하기를 좋아하는 자세
∙ 과학교육을 통해 학생들이 과학적 소양을 갖추도록 도우려는 자세
∙ 생명과학 학습의 주체적인 설계와 적극적인 실행 의지 및 수행능력
∙ 학생을 가르치는 것에 흥미와 애정
∙ 논리적인 사고, 수리력, 꼼꼼한 관찰력

어떤 과목을 선택해서 배워야 할까?

교과 선택과목
교과(군)
영역 일반선택 진로선택
국어 화법과 작문, 독서, 언어와 매체, 문학
기초 수학 수학Ⅰ, 수학Ⅱ, 미적분, 확률과 통계
영어 영어 회화, 영어Ⅰ, 영어 독해와 작문, 영어Ⅱ
사회(역사, 도덕) 생활과 윤리, 윤리와 사상 여행지리, 사회문제 탐구
탐구 생명과학Ⅱ, 생활과 과학,
과학 물리학Ⅰ, 화학Ⅰ, 생명과학Ⅰ
융합과학
체육 예술
생활 교양 심리학, 교육학, 진로와 직업
※ 선택과목 안내는 대학별 교육과정에 따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참고용으로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118 청소년을 사로잡는 진로 디자인 2


어떤 책을 읽어야 할까?

∙ 거의 모든 것의 역사(빌 브라이슨) ∙ 이기적 유전자(리처드 도킨스)


∙ 내몸안의 작은 우주 분자생물학(하기와라 기요후미) ∙ 이중나선(제임스 왓슨)
∙ 사피엔스(유발 하라리) ∙ 인간에 대하여 과학이 말해준 것들(장대익)
∙ 생명윤리, 무엇이 쟁점인가(구인회) ∙ 인간은 왜 병에 걸리는가(R.네스/G.윌리엄스)
∙ 생명이란 무엇인가(린 마굴리스/도리언 세이건) ∙ 즐거운 생물학(위르겐 브라터)
∙ 생물과 무생물 사이(후쿠오카 신이지) ∙ 캠벨 생명과학(닐 캠벨 외)
∙ 생물학 명강 1(강문일/김경진/김영준/김은준/민도식) ∙ 하리하라의 생물학 카페(이은희)

생물교육과가 있는 대학은?

▶ 학과
- 서울: 서울대
- 부산: 부산대
- 기타: 경북대, 경상대, 공주대, 대구대, 서원대, 전남대, 전북대, 조선대, 충북대, 한국교원대, 제주대

▶ 관련 학과
- 서울
- 부산

졸업 후에는 이런 곳으로 갈 수 있어요.

중·고등학교 교사, 교수, 장학사, 연구사, 공공 기관연구원, 한국교육개발원, 한국 교육과정 평가원 및 지구 과학 관련 연구소,
일반기업체 과학학습교재 및 교구 개발, 과학 기자재 제작, 과학교육 소프트웨어 제작, 교육프로그램 개발 등

생물교육과 인터뷰 살펴보기

∙ 부산대 생물교육과 ∙ 서원대 생물교육과 교수


학과소개 인터뷰
[TEXT] [TEXT]

∙ 단국대 과학교육과 ∙ 서원대 생물교육과


[05:13] [04:11]

교육계열 119
수 학 교 육 과

수학교육과는?

수학교육은 자연 현상 및 사회 현상에 내재된 사회에서 필요로 하는 창조적인 능력을 배양하고


본질을 파악할 수 있는 논리적 분석력, 종합적 수학을 효율적으로 교육할 수 있는 우수한 중등
판단력 등의 인간 인식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수학교사와 수학교육 전문가의 양성에 교육 목표
여러 가지 방안을 수학을 도구로 하여 탐구하 를 두고 있습니다.
고자 하는 학문입니다. 수학교육과는 지식정보화

필요한 역량은 무엇일까?

∙ 수학적 활동을 통해 사회 공동의 가치를 실현하려는 의지


∙ 수학적 사고력 및 분석력
∙ 수학 관련 응용 분야(컴퓨터, 통계학, 경제학 등)에 대한 관심
∙ 수학적 사고와 합리적 의사소통능력
∙ 창의적 수학 문제 해결력과 교육능력
∙ 교육을 통하여 사회적 가치를 창조하려는 자세
∙ 수학교사가 되기 위한 수학적 능력 및 올바른 가치관
∙ 학생을 가르치는 것에 흥미와 애정
∙ 논리적인 사고, 수리력, 꼼꼼한 관찰력

어떤 과목을 선택해서 배워야 할까?

교과 선택과목
교과(군)
영역 일반선택 진로선택
국어 화법과 작문, 독서, 언어와 매체, 문학
기초 수학 수학Ⅰ, 수학Ⅱ, 미적분, 확률과 통계 기하, 수학과제 탐구
영어 영어 회화, 영어Ⅰ, 영어 독해와 작문, 영어Ⅱ
사회(역사, 도덕) 생활과 윤리, 윤리와 사상 여행지리, 사회문제 탐구
탐구
과학 물리학Ⅰ, 화학Ⅰ, 생명과학Ⅰ, 지구과학Ⅰ 물리학Ⅱ, 화학Ⅱ, 융합과학
체육 예술
생활 교양 논리학, 심리학, 교육학, 진로와 직업
※ 선택과목 안내는 대학별 교육과정에 따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참고용으로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120 청소년을 사로잡는 진로 디자인 2


어떤 책을 읽어야 할까?
∙ 교실 밖 수학여행(김선화) ∙ 위대한 수학문제들(이언 스튜어트)
∙ 궁금했어, 인공지능(유윤한) ∙ 유추를 통한 수학탐구(한인기)
∙ 나는 대한민국의 교사다(조벽) ∙ 통계의 미학(최제호)
∙ 대변동(재레드 다이아몬드) ∙ 틀리지 않는 법(조던 엘렌버그)
∙ 레오나르도 다빈치(월터 아이작슨) ∙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사이먼 싱)
∙ 문명, 수학의 필하모니(김홍종) ∙ 평균의 종말(토드 로즈)
∙ 수학사(Howard Eves) ∙ 학문의 즐거움(히로나카 헤이스케)
∙ 수학자의 퍼즐(Miodrag S. Petkovic) ∙ 호모 데우스(유발 하라리)

수학교육과가 있는 대학은?
▶ 학과
- 서울: 건국대, 고려대, 동국대, 상명대, 서울대, 성균관대, 이화여대, 한양대, 홍익대
- 부산: 부산대, 신라대

▶ 관련 학과
- 서울
- 부산

졸업 후에는 이런 곳으로 갈 수 있어요.


중·고등학교 교사, 교수, 연구원, 방과후교사, 출판물기획자, 교육계열연구원, 통상직, 관세직, 상사중재원, 은행권, 증권
회사, 보험회사, 학습지 및 교재 개발 업체, 보험계리사, 금융자산전문가, 통계분석가, 프로그래머, 다국적기업, 관세사,
학원강사 등

수학교육과 인터뷰 살펴보기

∙ 부산대 수학교육과 ∙ 충남대 수학교육과 교수


학과소개 인터뷰
[TEXT] [TEXT]

∙ 신라대 수학교육과 ∙ 건국대 수학교육과


[02:59] [10:55]

교육계열 121
역 사 교 육 과

역사교육과는?

역사교육과는 한국사와 세계사에 대한 올바른 서양사 등 역사학 전반에 걸친 교육과정이 포함


이해와 역사교육자로서의 소양을 구비하게 하고 되며 국가의 교원양성정책을 기초로 하여 바람
한국의 역사교육과 역사 연구에 기여할 수 있는 직한 인간교육을 실현할 수 있는 이상적인 중고
역량을 보유하도록 돕습니다. 역사교육과에는 등학교 역사교사와 역사교육 전문가 양성을 교육
교직과목과 교과 교육학을 비롯한 한국사, 동양사, 목표로 두고 있습니다.

필요한 역량은 무엇일까?

∙ 한국사와 세계사에 대한 올바른 이해와 역사교육자로서의 소양


∙ 연대기 파악력 및 역사적 탐구력, 상상력, 판단력
∙ 학습에 대한 주체적인 설계와 적극적인 실행 의지 및 수행 능력
∙ 사건의 개별성보다는 유사성, 다양성에 관심을 갖는 이해력
∙ 미래 교육자로서의 신념을 갖춘 창의적이고 유연한 문제 해결 능력

어떤 과목을 선택해서 배워야 할까?

교과 선택과목
교과(군)
영역 일반선택 진로선택
국어 화법과 작문, 독서, 언어와 매체, 문학 고전 읽기

기초 수학 수학Ⅰ, 수학Ⅱ, 확률과 통계

영어 영어 회화, 영어Ⅰ, 영어 독해와 작문, 영어Ⅱ 진로 영어


사회문제 탐구,
사회(역사, 도덕) 세계사, 동아시아사, 사회·문화, 생활과 윤리, 윤리와 사상
탐구 고전과 윤리
과학 과학사, 생활과 과학

체육 예술

생활 교양 한문Ⅰ, 심리학, 교육학, 진로와 직업 한문Ⅱ

※ 선택과목 안내는 대학별 교육과정에 따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참고용으로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122 청소년을 사로잡는 진로 디자인 2


어떤 책을 읽어야 할까?

∙ 곰브리치 세계사(에른스트 곰브리치) ∙ 역사교사로 산다는 것(전국역사교사모임)


∙ 나의 문화유산답사기(유홍준) ∙ 역사교육의 이론과 방법(양호환)
∙ 사기열전1,2(사마천) ∙ 역사란 무엇인가(E. H. 카)
∙ 살아있는 세계사 교과서 1,2(전국역사교사모임) ∙ 청소년을 위한 세계사(동양편)(우경윤)
∙ 살아있는 한국사 교과서 1,2(전국역사교사모임) ∙ 청소년을 위한 세계사(서양편)(이강무)
∙ 삼국유사(일연) ∙ 평균의 종말(토드 로즈)
∙ 시민을 위한 한국역사(노태돈/노명호 외 3명) ∙ 한국사의 재조명(고려대학교 한국사연구실)
∙ 역사, 무엇을 어떻게 가르칠까(전국역사교사모임) ∙ 한국사통론(변태섭)

역사교육과가 있는 대학은?

▶ 학과
- 서울: 고려대, 동국대, 서울대, 총신대, 홍익대
- 부산: 부산대, 신라대

▶ 관련 학과
- 서울
- 부산

졸업 후에는 이런 곳으로 갈 수 있어요.

중·고등학교 교사, 교수, 고고학자, 장학사, 교육학연구원, 교육/사회관련 공무원, 교육정책 연구원, 사회조사전문가,
교재교구개발자, 학습지·교육교구 방문 강사, 방과후교사, 출판물기획자, 잡지기자, 신문기자, 방송기자, 편집기자, 방송
작가, 교육용 앱개발자, 교육프로그램 관련 방송 PD, 문화재해설사, 평생교육사 등

역사교육과 인터뷰 살펴보기

∙ 부산대 역사교육과 학과소개 ∙ 홍익대 역사교육과 교수


[TEXT] 인터뷰
[TEXT]

∙ 신라대 역사교육과 ∙ 고려대 역사교육과


[02:27] [06:22]

교육계열 123
영 어 교 육 과

영어교육과는?

영어교육과는 영어 사용능력을 기르기 위한 방법 지어지는 사회에서 국가의 경쟁력을 높이고 개인


을 공부하고 연구하는 학과입니다. 따라서 영어 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영어로 의사
교육과에서는 영어 교사로서 갖추어야 하는 영어 소통능력을 함양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영어교육
실력을 기르게 되며, 영어 의사소통능력 향상을 과는 언어 습득과 관련해 인간에 대한 폭넓고
위해 공부합니다. 또한 어떻게 영어를 가르칠 것인 체계적인 지식은 물론, 언어를 교육하는 현장에서
가에 관한 영어교육에 대한 공부 및 연구가 이루 요구되는 제반 교육의 이론과 실제에 대해 전문
어집니다. 적으로 교육합니다. 교육과정은 영어학, 영문학
영어는 현행 우리나라 중등교육 현장의 핵심 분야의 과목과 함께 중등교육 이론 및 방법에
교과목 중의 하나입니다. 정보화, 세계화로 특징 대한 과목들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필요한 역량은 무엇일까?

∙ 우수한 영어 활용 능력과 뛰어난 언어적 감각


∙ 영어를 사용하는 국가의 문화와 철학 등 다양한 분야에 대한 관심
∙ 풍부한 독서 활동과 비평적 사고력
∙ 국제어로써 영어 과목에 대한 지적 탐구심과 학습 능력
∙ 미래 교육자로서의 신념을 갖춘 창의적이고 유연한 문제 해결 능력

어떤 과목을 선택해서 배워야 할까?

교과 선택과목
교과(군)
영역 일반선택 진로선택
국어 화법과 작문, 독서, 언어와 매체, 문학
수학 수학Ⅰ, 수학Ⅱ, 확률과 통계
기초
영어권 문화, 진로 영어,
영어 영어 회화, 영어Ⅰ, 영어 독해와 작문, 영어Ⅱ
영미 문학 읽기
사회(역사, 도덕) 세계지리, 세계사, 생활과 윤리, 윤리와 사상 사회문제 탐구
탐구
과학 과학사, 생활과 과학
체육 예술
생활 교양 심리학, 교육학, 진로와 직업

※ 선택과목 안내는 대학별 교육과정에 따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참고용으로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124 청소년을 사로잡는 진로 디자인 2


어떤 책을 읽어야 할까?

∙ How Languages are Learned ∙ 영국 바꾸지 않아도 행복한 나라(이식/전원경)


(Patsy M. Lightbown/Nina Spada) ∙ 영어 길들이기(안정효)
∙ The Outsiders(S.E. 힌턴) ∙ 영어에 찌든 당신을 위한 영어 디톡스
∙ Tuesdays with Morrie(미치 앨봄) (ACTFL 한국위원회)
∙ 공부를 넘어 교육으로(마사 누스바움) ∙ 영어의 바다에 빠트려라(하광호)
∙ 부활(레프 톨스토이) ∙ 이야기 미국사(이구한)
∙ 셰익스피어(송옥) ∙ 주홍글씨(나다니엘 호손)
∙ 아내를 모자로 착각한 남자(올리버 색스)

영어교육과가 있는 대학은?

▶ 학과
- 서울: 건국대, 고려대, 상명대, 서울대, 이화여대, 중앙대, 총신대, 한국외대, 한양대, 홍익대
- 부산: 부산대, 신라대

▶ 관련 학과
- 서울
- 부산

졸업 후에는 이런 곳으로 갈 수 있어요.

중·고등학교 교사, 학원강사, 교수, 출입국심사관, 무역사무원, 외교관, 교재교구개발자, 언어학연구원, 외국어강사,
학습지·교육교구 방문 강사, 방과후교사, 다문화언어지도사, 방송작가, 평론가, 번역작가, 통역가, 출판물기획자, 잡지
기자, 신문기자, 방송기자, 미디어산업, 교육정책연구원, 국제협력사무원, 다문화코디네이터, 신문방송해외특파원,
유학상담자, 해외공보관, 일반 회사, 국내 및 외국계 은행 · 증권회사 · 보험회사 등

영어교육과 인터뷰 살펴보기

∙ 부산대 ∙ 상명대 ∙ 영어교육과


영어교육과 영어교육과 교수 전공진로 가이드
학과소개 인터뷰 [13:31]
[TEXT] [TEXT]

∙ 서울대 ∙ 신라대 영어교육과 ∙ 고려대


영어영문학과와 [02:19] 영어교육과
영어교육과 [06:22]
학과소개
[09:05]

교육계열 125
유 아 교 육 과

유아교육과는?

유아교육과는 유아교육 및 양육에 관한 전반적 합니다. 또한 건전한 인성을 바탕으로 유아의


인 지식과 교양을 겸비한 유능하고 교육적 경쟁력 특성에 맞는 교육을 개발·적용하는 전문 인력을
을 갖춘 유아 교사 양성에 교육 목표를 두고 있습 양성합니다. 최근 유아교육에 대한 관심이 늘어나
니다. 이를 위해 영·유아기 발달을 체계적으로 이 면서 졸업생들은 유치원교사 외에도 유아 관련
해하는 이론과정과 이론을 실제로 적용해 보는 실 방송, 도서, 소프트웨어 제작 등 다양한 분야로 진
습과정을 통해 유아들의 특성에 맞는 교육을 학습 출합니다.

필요한 역량은 무엇일까?

∙ 아이들을 이해, 배려하는 인성 역량


∙ 긍정적 사고에 바탕을 둔 배려와 소통 능력
∙ 지적 호기심을 바탕으로 한 탐구 역량
∙ 주변의 환경 및 자연을 활용할 줄 아는 자연 친화력
∙ 돌봄과 배려의 리더십
∙ 봉사활동과 교육활동에 대한 경험과 관심

어떤 과목을 선택해서 배워야 할까?

교과 선택과목
교과(군)
영역 일반선택 진로선택
국어 화법과 작문, 독서, 언어와 매체, 문학
기초 수학 수학Ⅰ, 수학Ⅱ, 확률과 통계
영어 영어 회화, 영어Ⅰ, 영어 독해와 작문, 영어Ⅱ 진로 영어

사회(역사, 도덕) 사회·문화, 생활과 윤리, 윤리와 사상 사회문제 탐구


탐구
과학 생명과학Ⅰ 과학사, 생활과 과학
음악 연주, 음악 감상과 비평,
체육 예술
미술 창작, 미술 감상과 비평
생활 교양 심리학, 교육학, 진로와 직업, 보건 가정과학

※ 선택과목 안내는 대학별 교육과정에 따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참고용으로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126 청소년을 사로잡는 진로 디자인 2


어떤 책을 읽어야 할까?

∙ 내 생애의 아이들(가브리엘 루아) ∙ 연을 쫓는 아이(할레드 호세이니)


∙ 놀이터, 위험해야 안전하다(편해문) ∙ 우리가 꿈꾸는 아름다운 학교(김신일)
∙ 딥스(버지니아 M. 액슬린) ∙ 젊은 교사에게 보내는 편지(조너선 코졸)
∙ 몬테소리 유아교육(김지영/성연승) ∙ 한 아이(토리 헤이든)
∙ 아이들은 놀이가 밥이다(편해문) ∙ 한국의 세 번째 기적(정범모)
∙ 에밀(장 자크 루소) ∙ 훌륭한 교사는 무엇이 다른가(토드 휘태커)

유아교육과가 있는 대학은?

▶ 학과
- 서울: 덕성여대, 삼육대, 성신여대, 이화여대, 중앙대, 총신대
- 부산: 경성대, 고신대, 동명대, 동의대, 부경대, 부산대, 신라대, 인제대

▶ 관련 학과
- 서울
- 부산

졸업 후에는 이런 곳으로 갈 수 있어요.

유치원 교사, 유치원 원장 및 원감, 유아교육 관련 행정 공무원, 교재교구개발자, 학습지·교육교구 방문 강사, 놀이치료사,
사회복지사, 심리상담 전문가, 보육교사 및 보육사, 생활지도원, 출판물기획자, 1인미디어콘텐츠창작자, 교육행정공무원,
다문화가정교사, 병원아동생활전문가, 아동발달전문가, 아동방송작가, 아동상품기획자, 유아용앱개발자 등

유아교육과 인터뷰 살펴보기

∙ 경성대 ∙ 고신대 ∙ 동명대


유아교육과 유아교육과 유아교육과
[28:44] [04:11] [02:53]

∙ 동의대 ∙ 신라대 ∙ 인제대


유아교육과 유아교육과 유아교육과
[02:34] [10:15] [02:54]

교육계열 127
윤 리 교 육 과

윤리교육과는?

윤리교육과는 청소년들에게 자유민주주의 국가의 인도하고 이 외에도 우리 사회의 각 생활 영역에서


국민으로서 우리나라의 역사·문화적 전통과 국가· 발생하고 있는 도덕·윤리적 문제들을 구체적인
사회적 현실에 대한 이해를 도울 수 있는 중·고등 이론적 분석을 통해 그 해결 방안을 탐구하는
학교 교사를 양성합니다. 윤리교육과는 청소년들이 전문 연구인력 양성에 교육 목표를 두고 있습니다.
자아실현과 인격 완성을 위해서 노력할 수 있도록

필요한 역량은 무엇일까?

∙ 도덕적 지식과 판단력 및 실천 의지


∙ 도덕교육에 대한 통합적 능력과 실천력
∙ 동・서양의 윤리 사상 및 가치문제에 대한 지적 이해력과 변별력
∙ 사상을 실생활에 연결시킬 수 있는 역량
∙ 도덕 및 윤리 교과 예비교사로서 사명감
∙ 학생을 가르치는 것에 흥미와 애정
∙ 문학과 철학 등 다양한 분야에 관심

어떤 과목을 선택해서 배워야 할까?

교과 선택과목
교과(군)
영역 일반선택 진로선택
국어 화법과 작문, 독서, 언어와 매체, 문학 고전 읽기
기초 수학 수학Ⅰ, 수학Ⅱ, 확률과 통계
영어 영어 회화, 영어Ⅰ, 영어 독해와 작문, 영어Ⅱ 진로 영어
사회문제 탐구,
사회(역사, 도덕) 세계사, 동아시아사, 사회·문화, 생활과 윤리, 윤리와 사상
탐구 고전과 윤리
과학 과학사, 생활과 과학
체육 예술
생활 교양 한문Ⅰ, 철학, 논리학, 심리학, 교육학, 진로와 직업

※ 선택과목 안내는 대학별 교육과정에 따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참고용으로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128 청소년을 사로잡는 진로 디자인 2


어떤 책을 읽어야 할까?

∙ 공화주의(모리치오 비롤리) ∙ 소크라테스의 변론 크리톤 파이돈(플라톤)


∙ 논어(공자) ∙ 왜 동양철학인가(한형조)
∙ 니코마코스 윤리학(아리스토텔레스) ∙ 왜 착한 사람에게 나쁜 일이 생길까(샤론 카예/폴 톰슨)
∙ 동물 해방(피터 싱어) ∙ 이렇게 살아가도 괜찮은가(피터 싱어)
∙ 동양철학 에세이1,2(김교빈/이현구) ∙ 자유론(존 스튜어트 밀)
∙ 바른 마음(조너선 하이트) ∙ 한 권으로 읽는 한국철학(임선영/항광욱 외 1명)
∙ 서머힐(알렉산더 닐)

윤리교육과가 있는 대학은?

▶ 학과
- 서울: 서울대, 성신여대
- 부산: 경성대, 부산대

▶ 관련 학과
- 서울: 서울대, 성신여대
- 부산: 경성대, 부산대
- 기타: 강원대, 경북대, 경상대, 공주대, 목포대, 서원대, 안동대, 인천대, 전남대, 전북대, 제주대, 충북대,
한국교원대

졸업 후에는 이런 곳으로 갈 수 있어요.

중·고등학교 교사, 교수, 학원강사, 교육행정공무원, 연구원, 윤리관련 전문 저술가, 장학사, 군・경찰 정훈교육담당자,
출판사, 윤리경영 기획자 및 카운슬러, 인성교육 담당자 및 컨설턴트, 도덕·윤리교육 콘텐츠 기획·제작자 또는 프로그램
개발자 등

윤리교육과 인터뷰 살펴보기

∙ 성신여대 윤리교육과 ∙ 윤리교육과 학과안내


교수 인터뷰 (광주교육청)
[TEXT] [03:39]

교육계열 129
음 악 교 육 과

음악교육과는?

음악교육과는 학교의 음악교육과 사회의 음악 아울러 제반 교육학에 대한 이론을 이수하여 교육


교육을 담당할 음악교육 전문가 양성을 위해 현장에서 능숙히 지도할 수 있는 역량 있는 교사
설치된 학과입니다. 이 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를 양성하고 졸업과 동시에 중등학교 음악과 2급
다양한 전공실기와 솔페즈, 화성법, 대위법, 음악 정교사 자격증을 수여합니다. 졸업생은 대부분
사, 작곡 및 편곡법, 합창, 합주, 음악교육론, 음악 중등교사로서 진출하며 일부는 전공을 더 연구
교재 연구 및 지도법, 전통음악, 컴퓨터음악, 건반 하기 위해 교육대학원 또는 일반대학원에 진학
화성, 디지털 피아노 연주법 등의 강의를 통해 하기도 합니다.
전공을 심화합니다. 음악교육 관련 실기, 이론과

필요한 역량은 무엇일까?

∙ 음악을 좋아하는 마음과 훌륭한 교사가 되고자 하는 열정


∙ 세부 전공 실기 능력
∙ 기본적인 피아노 반주 및 가창 능력
∙ 가르치는 것에 흥미와 애정, 교사로서의 자질
∙ 예술가로서의 창의력, 예술적 감각

어떤 과목을 선택해서 배워야 할까?

교과 선택과목
교과(군)
영역 일반선택 진로선택
국어 화법과 작문, 독서, 언어와 매체, 문학

기초 수학 수학Ⅰ, 수학Ⅱ, 확률과 통계

영어 영어 회화, 영어Ⅰ, 영어 독해와 작문, 영어Ⅱ 진로 영어

사회(역사, 도덕) 사회·문화, 생활과 윤리, 윤리와 사상 사회문제 탐구


탐구
과학 과학사, 생활과 과학

체육 예술 음악 음악 연주, 음악 감상과 비평

생활 교양 심리학, 교육학, 진로와 직업

※ 선택과목 안내는 대학별 교육과정에 따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참고용으로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130 청소년을 사로잡는 진로 디자인 2


어떤 책을 읽어야 할까?

∙ Classics A to Z(민은기/신혜승) ∙ 음대로 가는 길 그리고 안단테 칸타빌레(송하영)


∙ 내가 사랑하는 클래식1,2,3(박종호) ∙ 이명희의 피아노 워킹(이명희)
∙ 서양 음악사 1,2(민은기/박을미 외 2명) ∙ 작곡가 이건용의 현대음악강의(이건용)
∙ 쉬운 화성학(길일섭/윤혜원) ∙ 피아노 문헌(박유미)
∙ 열려라 클래식1,2(이헌석) ∙ 화성학(백병동)

음악교육과가 있는 대학은?

▶ 학과
- 서울: 건국대
- 부산
- 기타: 경남대, 경상대, 공주대, 목원대, 서원대, 전남대, 조선대, 한국교원대

▶ 관련 학과
- 서울
- 부산

졸업 후에는 이런 곳으로 갈 수 있어요.

중·고등학교 교사, 교수, 연주가, 작곡가, 지휘자, 공공 기관 문화예술 공연장 또는 교육기관 강사, 음악교육 관련 연구원,
음악교육 사업기획가, 공연예술가, 음악치료사, 음악관련 방송인, 음악관련 잡지기자, 출판사, 사업기획가 등

음악교육과 인터뷰 살펴보기

∙ 공주대 음악교육학과 ∙ 경상대 음악교육과


교수 인터뷰 [03:30]
[TEXT]

∙ 건국대 음악교육과 ∙ 음악교사 되는 방법


[08:42] [04:51]

교육계열 131
일 반 사 회 교 육 과

일반사회교육과는?

일반사회교육과는 사람들이 사회생활을 하며 내릴 수 있는 지식, 가치와 태도 그리고 기능을


살아가는 데 불편함을 느끼지 않도록 다양한 키우는 학과입니다. 이러한 지식을 토대로 미래의
사회적 지식을 습득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방법에 민주시민을 양성하고, 다양한 성격을 가진 학생들
대해서 공부하는 곳입니다. 정치, 경제, 사회문화, 에게 열린 마음과 성실한 태도로 교육을 할 수 있는
법규범 등 제반 사회 현상을 과학적으로 탐구하고 사회교사를 배출합니다.
비판적으로 분석하여 합리적으로 의사결정을

필요한 역량은 무엇일까?

∙ 사회 전반적인 상황을 잘 살펴볼 수 있는 통찰력


∙ 사회적, 경제적, 정치적 법적 문제에 대한 관심과 해결 능력
∙ 다양한 사회적 문제들을 다양한 시선에서 바라볼 수 있는 능력
∙ 글로벌 시대 다문화사회의 사회통합을 위한 봉사 정신
∙ 미래 교육자로서의 신념을 갖춘 창의적이고 유연한 문제 해결 능력

어떤 과목을 선택해서 배워야 할까?

교과 선택과목
교과(군)
영역 일반선택 진로선택
국어 화법과 작문, 독서, 언어와 매체, 문학 고전 읽기

기초 수학 수학Ⅰ, 수학Ⅱ, 확률과 통계

영어 영어 회화, 영어Ⅰ, 영어 독해와 작문, 영어Ⅱ 진로 영어

사회(역사, 도덕) 경제, 정치와 법, 사회·문화, 생활과 윤리, 윤리와 사상 사회문제 탐구, 고전과 윤리
탐구
과학 과학사, 생활과 과학

체육 예술

생활 교양 심리학, 교육학, 진로와 직업

※ 선택과목 안내는 대학별 교육과정에 따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참고용으로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132 청소년을 사로잡는 진로 디자인 2


어떤 책을 읽어야 할까?

∙ 낯선 곳에서 나를 만나다(한국문화인류학회) ∙ 세계화 시대의 정치학(홍익표/진시원)


∙ 다시 보는 미국의 민주주의(A. 토크빌) ∙ 어떻게 공부할 것인가(헨리 뢰디거)
∙ 매직 경제학(오영수) ∙ 이방인의 사회학(김광기)
∙ 법교육학 입문 ∙ 인공지능시대, 창의성을 디자인하라(조병익)
(박성혁/김해성/김현철/곽한영/오승호/김자영) ∙ 장하준의 경제학 강의(장하준)
∙ 사회학에의 초대(피터 L. 버거) ∙ 평균의 종말(토드 로즈)
∙ 사회학이론(George Ritzer) ∙ 핀란드의 끝없는 도전(파시 살베르그)

일반사회교육과가 있는 대학은?

▶ 학과
- 서울
- 부산: 부산대
- 기타: 강원대, 경북대, 경상대, 공주대, 대구대, 전북대, 한국교원대, 제주대

▶ 관련 학과
- 서울: 서울대(사회교육과), 성신여대(사회교육과)
- 부산

졸업 후에는 이런 곳으로 갈 수 있어요.

중·고등학교 교사, 교수, 사회과학연구원, 장학사, 교육학연구원, 교육/사회관련 공무원, 교육정책연구원, 사회단체
활동가, 사회조사전문가, 교재교구개발자, 문리학원강사, 학습지·교육교구 방문 강사, 방과후교사, 출판물기획자, 잡지
기자, 신문기자, 방송기자, 편집기자, 교육용 앱개발자, 교육 프로그램 관련 방송 PD, 문화재해설사, 평생교육사 등

일반사회교육과 인터뷰 살펴보기

∙ 부산대 일반사회교육과 ∙ 부산대 일반사회교육과


교수 인터뷰 [10:10]
[TEXT]

교육계열 133
지 구 과 학 교 육 과

지구과학교육과는?

지구과학은 천문학, 지질학, 기상학, 해양학의 과정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지구과학교육과는 지


우주 지구 분야를 연구하는 분야로 구성되어 있 구의 대기, 지질, 해양 및 천문 분야에 관한 깊고도
습니다. 지구과학교육과는 각 분야에 대한 전공지 폭넓은 지식을 갖춘 우수한 중, 고등학교 지구과학
식을 습득하고 이들 지식을 효과적으로 학생들에게 교사와 지구과학 및 지구과학 교육 분야의 전문
가르칠 수 있는 방법을 지구과학 각 분야의 전공 인력을 양성하는 데 교육 목표를 둡니다.
지식 및 교과교육을 통하여 학습할 수 있도록 교육

필요한 역량은 무엇일까?

∙ 지구과학에 대한 호기심과 과학적 사고력 및 교육자적 인성


∙ 과학자적 품성과 지적 능력
∙ 탐구심과 자기계발능력
∙ 미래 지구과학 교사로서 전문적인 능력을 갖추려는 자세
∙ 교사로서의 올바른 가치관, 교육자의 사명의식
∙ 자연과학에 대한 관심과 지구 환경에 대한 흥미
∙ 폭넓은 사고, 통합적 분석력 및 과학적 창의성
∙ 학생을 가르치는 것에 흥미와 애정
∙ 논리적인 사고, 수리력, 꼼꼼한 관찰력

어떤 과목을 선택해서 배워야 할까?

교과 선택과목
교과(군)
영역 일반선택 진로선택
국어 화법과 작문, 독서, 언어와 매체, 문학
기초 수학 수학Ⅰ, 수학Ⅱ, 미적분, 확률과 통계
영어 영어 회화, 영어Ⅰ, 영어 독해와 작문, 영어Ⅱ 진로 영어
사회(역사, 도덕) 한국지리, 세계지리 여행지리, 사회문제 탐구
탐구 지구과학Ⅱ, 과학사,
과학 물리학Ⅰ, 화학Ⅰ, 생명과학Ⅰ, 지구과학Ⅰ
생활과 과학, 융합과학
체육 예술
생활 교양 심리학, 교육학, 진로와 직업, 환경

※ 선택과목 안내는 대학별 교육과정에 따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참고용으로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134 청소년을 사로잡는 진로 디자인 2


어떤 책을 읽어야 할까?

∙ 기후의 역습(모집 라티프) ∙ 초신성의 후예(이석영)


∙ 길들여지지 않는 날씨(존 린치) ∙ 코스모스(칼 세이건)
∙ 살아있는 지구의 역사(리처드 포티) ∙ 한국의 전통 과학 천문학(박창범)
∙ 아빠, 천체 관측 떠나요!(조상호) ∙ 한반도 30억년의 비밀 1,2,3(유정아)
∙ 지구, 46억년의 고독(마쓰이 다카후미) ∙ 호두껍질 속의 우주(스티븐 호킹)
∙ 청소년을 위한 시간의 역사(스티븐 호킹)

지구과학교육과가 있는 대학은?

▶ 학과
- 서울: 서울대
- 부산: 부산대
- 기타: 경북대, 공주대, 대구대, 전남대, 전북대, 조선대, 충북대, 한국교원대

▶ 관련 학과
- 서울
- 부산

졸업 후에는 이런 곳으로 갈 수 있어요.

중·고등학교 교사, 교수, 교육행정직, 공공 기관연구원, 한국교육개발원, 한국 교육과정 평가원, 지구과학 관련 연구소,
천문연구소, 지질자원연구원, 해양연구원, 기상청, 수자원공사, 과학관, 천문대 등

지구과학교육과 인터뷰 살펴보기

∙ 경북대 지구과학교육과 ∙ 부산대 지구과학교육과


교수 인터뷰 [03:09]
[TEXT]

∙ 대구대 과학교육학부 ∙ 경북대 지구과학교육과


지구과학교육 전공 [05:06]
[03:07]

교육계열 135
지 리 교 육 과

지리교육과는?

지리학은 지표상에 나타나는 인문 및 자연 현상 집니다.


의 공간적 분포와 상호 연관성을 연구하는 학문 지리교육과는 중학교 사회과의 지리교육, 고등
으로서 주요한 연구 대상은 공간조직, 자연환경, 학교 지리교육에 필요한 지리학 및 지리교육에
인간과 자연의 관계, 도시구조, 지역개발 등입니다. 관한 폭넓은 이론 연구와 다양한 현장 실습을
지리교육과는 지리학과 지리교육학의 전문 지식을 실시하고 지리과의 교수, 학습 및 평가에 정통
교육하고 이를 중등학교와 사회 현장에서 응용 하고 사고 능력이 탁월한 지리교사 양성에 교육
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를 수 있도록 교육이 이뤄 목표를 두고 있습니다.

필요한 역량은 무엇일까?

∙ 국내외 지리적 현상에 대한 종합적 이해와 다면적인 탐구 역량


∙ 여행 중의 주변 자연 환경과 인문 특성을 관찰하는 것에 대한 흥미
∙ 비판적 성찰력 및 분석력
∙ 지식을 지도에 표현하는 것에 대한 관심
∙ 지식 기반 사회와 세계화의 주역이 될 도전 정신
∙ 지리적 사고력으로 미래 지리교육과 연구를 담당할 수 있는 전문 능력을 갖추려는 자세
∙ 교과 내용에 대한 사랑과 교수법의 향상에 대한 이해를 지속적으로 탐구하려는 자세
∙ 학생을 가르치는 것에 적성과 흥미가 있는 학생
∙ 정치, 경제, 사회·문화 등 다양한 분야에 대한 높은 관심

어떤 과목을 선택해서 배워야 할까?

교과 선택과목
교과(군)
영역 일반선택 진로선택
국어 화법과 작문, 독서, 언어와 매체, 문학
기초 수학 수학Ⅰ, 수학Ⅱ, 확률과 통계
영어 영어 회화, 영어Ⅰ, 영어 독해와 작문, 영어Ⅱ 진로 영어
사회(역사, 도덕) 한국지리, 세계지리, 생활과 윤리, 윤리와 사상 사회문제 탐구
탐구
과학 지구과학Ⅰ 과학사, 생활과 과학
체육 예술
생활 교양 한문Ⅰ, 심리학, 교육학, 진로와 직업

※ 선택과목 안내는 대학별 교육과정에 따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참고용으로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136 청소년을 사로잡는 진로 디자인 2


어떤 책을 읽어야 할까?

∙ 대변동(재레드 다이아몬드) ∙ 앵글 속 지리학 상,하(손일)


∙ 분노의 지리학(하름 데 블레이) ∙ 왜 지금 지리학인가(하름 데 블레이)
∙ 살아있는 지리 교과서 1,2(전국지리교사연합회) ∙ 우리나라 도시여행 1,2,3(전국지리교사모임)
∙ 생각의 지도(리처드 니스벳) ∙ 우리 자연 우리의 삶(권혁재)
∙ 선량한 차별주의자(김지혜) ∙ 지리, 세상을 날다(전국지리교사모임)
∙ 세계지리, 세상과 통하다 1,2(전국지리교사모임)

지리교육과가 있는 대학은?

▶ 학과
- 서울: 고려대, 동국대, 서울대
- 부산: 부산대
- 기타: 가톨릭관동대, 강원대, 경북대, 경상대, 공주대, 대구가톨릭대, 대구대, 전남대, 전북대, 충북대, 한국교원대

▶ 관련 학과
- 서울
- 부산

졸업 후에는 이런 곳으로 갈 수 있어요.

중 ․ 고등학교 교사, 교수, 공무원(환경, 지적), 공기업, 한국토지주택공사, 한국광물자원공사, 한국관광공사, 한국수자원
공사, 한국농어촌공사, 연구원(국토 및 지역계획, 지역개발, 관광, 환경연구 등), 한국해양수산개발원, 기상청, 지적공사,
관광공사, GIS관련 산업전문가, GIS관련 연구소(국토지리정보원, 국토연구원), 통계관련 연구소(통계개발원), 지질/
자원관련 연구소(지질자원연구소), 여행사, 항공사, 장소마케팅 관련산업 전문가, 교재 및 교구개발자, 출판물기획자,
사회조사전문가, 교통환경영향평가원, 방송기자, 사진작가, 신문기자, 잡지기자, 편집기자, 문화재해설사, 학예사 등

지리교육과 인터뷰 살펴보기

∙ 동국대 지리교육과 교수 ∙ 지리교육학 전공가이드


인터뷰 [11:15]
[TEXT]

∙ 고려대 지리교육과 ∙ 대구가톨릭대 지리교육과


[08:43] [03:50]

교육계열 137
체 육 교 육 과

체육교육과는?

체육교육과는 체육 관련 분야를 공부하며 학생 스포츠교육학, 스포츠생리학, 운동역학, 스포츠


들에게 효과적으로 지식을 전달할 수 있는 방법론에 심리학, 스포츠사회학 등 체육의 이해를 돕는
대해서 배웁니다. 체육교육과는 신체활동을 근간 이론 교과와 체육교육 현장에서 필요한 체육교수
으로 하는 스포츠 활동을 학문적으로 연구함과 방법론, 체육교육과정론, 체육학연구방법론, 트레
동시에 바른 인성을 가지고 스포츠 분야를 이끌어 이닝방법론, 육상, 체조, 수영, 구기, 무용 등 이론
갈 수 있는 중등학교 체육교사를 양성합니다. 및 실기 교과들을 다양하게 제공함으로써 체육
따라서 본 학과에서는 인간의 운동 행동에 대한 교사로서 갖추어야 할 전반적인 능력을 함양하는
이론적 지식뿐만 아니라 풍부한 운동 기능적 데 중점을 두면서 국민 체력향상 및 체육의 과학
경험을 쌓아갈 수 있도록 교과과정을 운영하고 적 연구에 헌신할 수 있는 지도자를 양성합니다.
있습니다. 이러한 교과과정에 근거하여 체육사,

필요한 역량은 무엇일까?

∙ 교육적 인성 및 체육 분야 소양
∙ 체육과 학생에 대한 애정
∙ 결단력, 문제 해결력, 배려심, 리더십
∙ 운동을 좋아하는 마음과 운동을 좋아하는 누군가를 가르치고 싶은 마음
∙ 학생을 가르치는 것에 흥미와 애정, 교사로서의 자질
∙ 뛰어난 운동신경

어떤 과목을 선택해서 배워야 할까?

교과 선택과목
교과(군)
영역 일반선택 진로선택
국어 화법과 작문, 독서, 언어와 매체, 문학
기초 수학 수학Ⅰ, 수학Ⅱ, 확률과 통계
영어 영어 회화, 영어Ⅰ, 영어 독해와 작문, 영어Ⅱ 진로 영어
사회(역사, 도덕) 정치와 법, 사회·문화, 생활과 윤리, 윤리와 사상 사회문제 탐구
탐구
과학 생명과학Ⅰ 과학사, 생활과 과학
체육 예술 체육, 운동과 건강 스포츠 생활, 체육 탐구
생활 교양 심리학, 교육학, 진로와 직업
※ 선택과목 안내는 대학별 교육과정에 따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참고용으로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138 청소년을 사로잡는 진로 디자인 2


어떤 책을 읽어야 할까?

∙ 교사와 학생 사이(하임 G. 기너트) ∙ 알고 달리자(체육과학연구원)


∙ 내 인생에 힘이 되어준 한마디 1,2(정호승) ∙ 운동화 신은 뇌(존레이티/에릭 헤이거먼)
∙ 몸짓과 문화(신상미) ∙ 재미있는 스포츠 이야기(기영노)
∙ 무엇이 수업에 몰입하게 하는가(데이브 버제스) ∙ 존 우든의 부드러운 것보다 강한 것은 없다(존 우든)
∙ 바디 워칭(데즈먼드 모리스) ∙ 체육시간에 과학 공부하기(전영석/홍준의)

체육교육과가 있는 대학은?

▶ 학과
- 서울: 건국대, 고려대, 동국대, 서울대, 숙명여대, 연세대, 중앙대
- 부산: 부산대

▶ 관련 학과
- 서울: 한국체대(특수체육교육과)
- 부산

졸업 후에는 이런 곳으로 갈 수 있어요.

중·고등학교 교사, 교수, 연구원, 운동선수, 스포츠 강사, 경기감독 및 코치, 경기심판, 경기기록원, 스포츠트레이너, 스포츠
재활치료사, 운동처방사, 스포츠캐스터, 스포츠에이전트, 경호관련직, 생활체육지도자, 스포츠관련 기업, 스포츠 마케팅
전문가, 트레이너, 스포츠 관련사업, 사설경호관련직, 방송국 스포츠PD, 스포츠 기자, 소방공무원, 경찰공무원 등

체육교육과 인터뷰 살펴보기

∙ 숙명여대 체육교육과 ∙ 고려대 체육교육과


[TEXT] [02:27]

교육계열 139
초 등 교 육 (학) 과

초등교육(학)과는?

초등교육은 6세에서 12세까지의 아동을 대상으로 교사로서의 전문성이 더욱 중요합니다. 초등교육


실시하는 교육을 말합니다. 초등교육학과에서는 학의 교육과정은 교육학 분야와 교과교육 분야로
아동의 심리적 특성을 파악하고 국어, 수학, 미술 구분됩니다. 교육학 분야는 초등교사와 학계 전문
등 다양한 교과에 대한 이론적 기초를 토대로 교육 인력이 될 사람들에게 교육학의 기초 이론과 교사
현장에서 교사로서 활약할 수 있는 방법들을 공부 로서의 사명과 의무를 교육합니다. 교과교육 분야는
합니다. 교사는 단순히 지식전달자가 아닌 인성발 초등학교 교사로서 알아야 하는 교과에 대한 교육
달을 위한 전인교육을 해야 한다는 점에서 다른 과정과 교수 방법을 교육하고 모의 수업을 통해
직업과 다르다고 할 수 있습니다. 특히, 초등교육 실습의 기회를 가집니다.
교사는 학생에게 매우 큰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필요한 역량은 무엇일까?

∙ 침착하고 자기통제를 잘하는 능력과 도덕성


∙ 아이들을 이해, 배려하는 인성 역량
∙ 긍정적 사고에 바탕을 둔 배려와 소통 능력
∙ 지적 호기심을 바탕으로 한 탐구 역량
∙ 초등학교 수업의 특성상 음악, 미술, 체육 등 예체능 역량
∙ 돌봄과 배려의 리더십 역량

어떤 과목을 선택해서 배워야 할까?

교과 선택과목
교과(군)
영역 일반선택 진로선택
국어 화법과 작문, 독서, 언어와 매체, 문학 심화 국어, 고전 읽기
기초 수학 수학Ⅰ, 수학Ⅱ, 확률과 통계
영어 영어 회화, 영어Ⅰ, 영어 독해와 작문, 영어Ⅱ 진로 영어
사회(역사, 도덕) 사회·문화, 생활과 윤리, 윤리와 사상 사회문제 탐구, 고전과 윤리
탐구
과학 과학사, 생활과 과학
체육 예술
생활 교양 심리학, 교육학, 진로와 직업 가정과학

※ 선택과목 안내는 대학별 교육과정에 따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참고용으로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140 청소년을 사로잡는 진로 디자인 2


어떤 책을 읽어야 할까?

∙ 가르칠 수 있는 용기(파커 J. 파머) ∙ 아이들은 무엇을 어떻게 배워야 하는가(비노바 바베)


∙ 나는 선생님이 좋아요(하이타니 겐지로) ∙ 책읽는 교실(여희숙)
∙ 나는 왜 교사인가(윤지형) ∙ 초등교사 이야기(김연화)
∙ 내 아이를 위한 사랑의 기술(존 가트맨) ∙ 핀란드 교육혁명(한국교육연구네트워크 총서기획팀)
∙ 들꽃처럼 피어나라 교육의 봄날(이성대) ∙ 학교란 무엇인가?(EBS 학교란 무엇인가 제작팀/정성욱)
∙ 딥스(버지니아 M. 액슬린) ∙ 훌륭한 교사는 무엇이 다른가(토드 휘태커)
∙ 실패한 교육과 거짓말(노암 촘스키)

초등교육(학)과가 있는 대학은?

▶ 학과
- 서울: 서울교대, 이화여대
- 부산: 부산교대
- 기타: 경인교대, 공주교대, 광주교대, 대구교대, 전주교대, 제주대, 진주교대, 청주교대, 춘천교대, 한국교원대

▶ 관련 학과
- 서울
- 부산

졸업 후에는 이런 곳으로 갈 수 있어요.


초등학교 교사, 문리학원강사, 초등교육 관련 행정 공무원, 교재교구개발자, 학습지·교육교구 방문 강사, 심리상담 전문가,
출판물기획자, 1인미디어콘텐츠창작자, 교육프로그램개발자, 난독증 학습장애 지도사, 병원 아동 생활 전문가, 아동
교육관련 연구원, 아동발달전문가, 아동상품 기획자, 유아용 앱개발자, 교육 프로그램 관련 방송 PD, 아동 방송작가 등

초등교육(학)과 인터뷰 살펴보기

∙ 청주교대 초등교육학과 ∙ 부산교대 홍보 동영상


교수 인터뷰 [06:40]
[TEXT]

∙ 서울교대 온라인 캠퍼스 ∙ 이화여대 초등교육과


투어 [07:56]
[11:09]

교육계열 141
특 수 교 육 과

특수교육과는?

특수교육학은 지적 기능, 사회적 기술, 의사소통, 교육을 제공하여 장애를 효과적으로 극복하고
감각기능 또는 신체기능 중에서 한 가지 이상 사회에 잘 적응할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특수
결함이 있어 학습과 사회활동에 어려움이 있는 교육학 분야는 인간의 존엄성에 대한 실천적·응
아동과 학생들에게 특별한 방법과 서비스로 교육 용적 접근을 중시합니다. 장애인이 지닌 가능성과
시켜 사회구성원으로 당당히 설 수 있는 방법을 강점에 관심을 가지고 더불어 사는 사회를 실현
연구하는 학문입니다. 장애인은 신체적, 정서적 함으로써 그들이 만족스런 삶을 살아갈 수 있도록
으로 어려움이 있는 사람들이기 때문에 비장애인과 도와주는 학문입니다. 연구 분야는 의학, 심리학,
똑같은 교육을 받기에 힘든 면이 있습니다. 일반 과학, 철학, 생리학, 영양학, 사회학 및 교육학을
교육을 받기 곤란한 시각장애아, 청각장애아, 지체 바탕으로 의료교육학, 치료교육학, 재활교육학,
부자유아, 언어장애아 등에게 그들의 특성에 맞는 정형교육학 분야 등이 있습니다.

필요한 역량은 무엇일까?

∙ 특수교육과 교육 현상 전반에 대한 관심과 비판 능력


∙ 봉사와 희생정신이 투철하고 교육자적 자질과 사명감
∙ 교육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창의적인 사고력과 정보 활용 능력
∙ 공동체 의식과 팀워크 능력 및 끈기와 인내심
∙ 교사로서 갖추어야 할 품성과 자질

어떤 과목을 선택해서 배워야 할까?

교과 선택과목
교과(군)
영역 일반선택 진로선택
국어 화법과 작문, 독서, 언어와 매체, 문학
기초 수학 수학Ⅰ, 수학Ⅱ, 확률과 통계
영어 영어 회화, 영어Ⅰ, 영어 독해와 작문, 영어Ⅱ 진로 영어
사회(역사, 도덕) 정치와 법, 사회·문화, 생활과 윤리, 윤리와 사상 사회문제 탐구
탐구
과학 생명과학Ⅰ 과학사, 생활과 과학
체육 예술
생활 교양 심리학, 교육학, 진로와 직업 가정과학

※ 선택과목 안내는 대학별 교육과정에 따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참고용으로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142 청소년을 사로잡는 진로 디자인 2


어떤 책을 읽어야 할까?

∙ 소리없는 파이팅(조일연) ∙ 인간의 교육(프리드리히 프뢰벨)


∙ 딥스(버지니아 M, 액슬린) ∙ 인도기행(법정)
∙ 모리와 함께한 화요일(미치 앨봄) ∙ 죽은 시인의 사회(N. H. 클라인바움)
∙ 신데렐라 천년의 여행(주경철) ∙ 한 아이 1,2(토리 헤이든)
∙ 어느 자폐인 이야기(템플 그랜딘) ∙ 히르벨이란 아이가 있었다(페터 헤르틀링)
∙ 연필 하나로 가슴 뛰는 세계를 만나다(애덤 브라운)

특수교육과가 있는 대학은?

▶ 학과
- 서울: 가톨릭대, 이화여대
- 부산: 부산대, 인제대
- 기타: 가야대, 공주대, 나사렛대, 단국대, 대구대, 백석대, 세한대, 순천향대, 우석대, 조선대, 창원대, 한국교원대

▶ 관련 학과
- 중등특수교육과: 강남대, 건양대, 광주여대, 극동대, 나사렛대, 대구한의대, 대전대, 원광대, 유원대, 전주대, 위덕대
- 초등특수교육과: 강남대, 건양대, 광주여대, 극동대, 남부대, 대구대, 유원대, 위덕대, 한국국제대
- 기타: 중등특수교육과(강남대, 건양대, 광주여대, 극동대, 나사렛대, 대구한의대, 대전대, 원광대, 유원대, 전주대,
위덕대), 초등특수교육과(강남대, 건양대, 광주여대, 극동대, 남부대, 대구대, 유원대, 위덕대, 한국국제대)

졸업 후에는 이런 곳으로 갈 수 있어요.

중·고등학교 교사, 중독치료사, 언어치료사, 작업치료사, 놀이치료사, 교재교구개발자, 청능사, 사회복지사, 심리상담
전문가, 난독증 학습장애 지도사, 수화통역사, 아동발달전문가, 장애관련용품 기획자, 장애인여행코디네이터, 장애인
직업능력평가사, 직업재활사, 특수교육관련 연구원, 장애인복지관, 종합사회복지관, 병원 부설 치료실 및 상담실 등

특수교육과 인터뷰 살펴보기

∙ 백석대 유아특수교육과 ∙ 부산대 특수교육과


교수 인터뷰 [08:34]
[TEXT]

∙ 인제대 특수교육과 ∙ 단국대 특수교육과


[11:37] [05:23]

교육계열 143
화 학 교 육 과

화학교육과는?
화학교육과는 예비교사로서의 경험을 쌓게 하고 있기 때문에 그 중요성이 더욱 증가하고 있습니
새로운 화학교육의 방향을 연구할 수 있도록 화학 다. 따라서 유능하고 의욕적인 화학교육자의 양성
교과와 관련한 전문 지식을 제공하여 화학교육 은 더욱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데, 화학교
전공 교사를 양성하는 학과입니다. 화학은 물질의 육과에서는 이를 위해 먼저 교육자로서의 자질을
조성과 그 물질 상호 간의 영향에 관한 연구를 함양하기 위해 교육학의 제 분야에 대한 강의와
하는 순수 과학으로서, 다른 제반 응용 분야 즉, 화학의 제분야인 물리화학, 유기화학, 무기화학,
신소재공학, 생명공학, 유전공학, 재료공학 등의 분석화학, 생화학 등의 강의를 개설하여 학생들이
밑거름이 되어 인류 문명의 발전에 큰 역할을 하고 선택적으로 수강하도록 합니다.

필요한 역량은 무엇일까?

∙ 화학을 비롯한 과학적 소양과 인성, 과학적 사고와 타인에 대한 이해력 및 지도력
∙ 첨단기술 및 정보 매체를 활용하여 자기 주도적 학습 능력을 배양하려는 자세
∙ 화학 및 화학 교수법에 대한 지적 호기심 및 화학 탐구 능력
∙ 과학적 탐구력, 과학의 기본 개념 이해력, 문제 해결 활용 능력
∙ 과학학습에 대한 흥미와 호기심을 증진 시키고, 과학적 태도를 함양할 수 있는 교수 능력
∙ 세계화, 정보화 시대에 부응하는 평생 학습의 자질
∙ 미래의 화학교육을 책임질 수 있는 인재
∙ 미래사회 발생할 문제점 예견 및 과학을 통한 해결 방법 제시 능력

어떤 과목을 선택해서 배워야 할까?

교과 선택과목
교과(군)
영역 일반선택 진로선택
국어 화법과 작문, 독서, 언어와 매체, 문학
기초 수학 수학Ⅰ, 수학Ⅱ, 미적분, 확률과 통계
영어 영어 회화, 영어Ⅰ, 영어 독해와 작문, 영어Ⅱ 진로 영어
사회(역사, 도덕) 생활과 윤리, 윤리와 사상 여행지리, 사회문제 탐구
탐구 물리학Ⅱ, 화학Ⅱ,
과학 물리학Ⅰ, 화학Ⅰ, 생명과학Ⅰ
생활과 과학, 융합과학
체육 예술
생활 교양 심리학, 교육학, 진로와 직업

※ 선택과목 안내는 대학별 교육과정에 따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참고용으로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144 청소년을 사로잡는 진로 디자인 2


어떤 책을 읽어야 할까?

∙ MT 화학(이익모) ∙ 야누스의 과학(김명진)


∙ 과학이란 무엇인가(A. F. 차머스) ∙ 재미있는 화학 이야기(사키가와 노리유키)
∙ 진정일 교수의 교실 밖 화학 이야기(진정일) ∙ 화학으로 이루어진 세상
∙ 나는 대한민국의 교사다(조벽) (K. 메데페셀헤르만/F. 하마어 외 1명)
∙ 발견하는 즐거움(리처드 파인만) ∙ 화학의 발자취(휴 W. 샐츠버그)
∙ 화학의 변명 1,2,3(존 엠슬리)

화학교육과가 있는 대학은?

▶ 학과
- 서울: 서울대
- 부산: 부산대
- 기타: 경북대, 경상대, 공주대, 대구대, 순천대, 전남대, 전북대, 조선대, 충북대, 한국교원대

▶ 관련 학과
- 서울
- 부산

졸업 후에는 이런 곳으로 갈 수 있어요.

중・고등학교 교사, 교수, 화학 및 석유 관련 기업체, 제약회사, 화장품 제조회사, 화학 관련 중소기업, 병원, 학습지 및
교재 개발 업체, 교구 개발 업체, 사설 학원, 각종 과학기반 놀이시설, 출판사, 언론사, 한국과학창의재단, 한국과학기술
연구원, 교육청, 교육부, 박물관 등 과학ㆍ교육 관련 공공기관 등

화학교육과 인터뷰 살펴보기

∙ 한국교원대 화학교육과 ∙ 화학교육과 직업탐방


교수 인터뷰 (부산대 화학교육과)
[TEXT] [05:47]

∙ 한국교원대 화학교육과 ∙ 대구대 과학교육학부


[00:59] 화학교육전공
[01:43]

교육계열 145
자연계열

2
04 자연계열
자연계열이란 자연계열은 자연 현상의 기본적인 원리를 탐구하고 새로운 자연법칙을 개발하는
무엇일까? 기초과학인 자연과학에 바탕을 둡니다. 우주와 물질의 기원부터 생명현상까지
다양한 물질세계의 원리를 과학적인 방법으로 연구합니다. 국가 경쟁력의 원천이
되는 신지식 창출을 위해 우수한 기초과학 연구 인력의 양성과 기초과학 발전의
중추적 기능 수행을 목표로 합니다.

어떤 분야로 자연계열은 농림·수산, 생물·화학·환경, 생활과학, 수학·물리·천문·지리로 구성


구성되어 됩니다.
있을까? 농림·수산
농업 활동에 관련된 농학, 산림 유지 및 임목 보육 및 경제 활동에 관련된 임학,
수산자원을 이용 개발하는 수산학에 바탕을 둡니다.

생물·화학·환경
생물의 구조와 기능을 과학적으로 연구하는 생물학, 물질의 성질·조성·구조 및
변화를 연구 대상으로 하는 화학, 자연과학의 기초 이론을 토대로 환경문제를
연구하는 환경학으로 구성됩니다.

생활과학
가정생활에서 이루어지는 인간의 활동을 분석하고 연구하는 가정학을 중심으로
합니다. 영양학, 위생학을 비롯하여 에너지·시간·자재·금전 등을 관리하는데
경영학적 접근을 취하는 학문 분야를 포함합니다.

수학·물리·천문·지리
수(數), 양(量)에 관한 학문인 수학 및 통계학, 물질의 무기적인 운동 형태를 연구
하는 물리학, 우주 전체 및 우주 안에 여러 천체와 기후에 관한 천문학 및 기상학,
지구의 표면 부근에서 지구 내부 전반에 관한 연구를 하는 지학 및 지리학이
포함됩니다.

어떤 학과가 동물생명자원과학과, 물리학과, 미생물학과, 바이오소재과학과, 생명과학과, 수산


있을까? 생명의학과, 수학과, 식물생명과학과, 식품영양학과, 원예생명과학과, 의류학과,
의약생명공학과, 자원생물학과, 정보수학과, 조경학과, 지구환경과학과(지구과학과),
통계학과, 해양환경학과, 화학과, 환경대기과학과(천문기상학과)

148 청소년을 사로잡는 진로 디자인 2


무엇을 학부제가 시행되면서 자연계열에서 자연과학에 관한 전반적인 분야를 모두 공부
배울까? 할 수 있습니다. 특정 전공을 결정하기 전에 물리, 화학, 생물, 수학 등의 기초 자연
계열 과목을 배우면서 각 전공 연구에 필요한 기초 과목을 배우게 됩니다. 이론
과목에 실험 및 실습 시간을 병행하면서 이론을 검증하고 새로운 현상을 발견할
수 있습니다.

관련 직업 기후변화전문가 미래형 농업 스마트 팜 AI로 코로나19 치료제 개발


[12:09] [11:37] [09:39]

스마트 의류 개발자 정밀 농업 기술자 해양생태연구원


[21:11] [39:30] [11:16]

환경영향평가사
[10:18]

자연계열 149
동 물 생 명 자 원 과 학 과

동물생명자원과학과는?

과학 분야가 눈부시게 발달함에 따라 사람들이 서 배웁니다. 동물생명자원학과는 이론과 실험을


이용할 수 있는 자원의 종류가 다양해지고 있습 바탕으로 이용할 수 있는 자원의 종류를 확대할
니다. 동물생명자원학과에서는 동물자원의 가공, 수 있는 동물자원 전문가를 양성합니다.
생산에서 이용에 이르기까지의 모든 과정에 대해

필요한 역량은 무엇일까?

∙ 평소에 동물을 좋아하고 실험·실습에 대한 흥미


∙ 실험이 많은 전공이므로 사물에 대한 탐구력과 인내력
∙ 생물학, 화학 등 기초과학에 관한 관심과 학습 및 업무수행 능력

어떤 과목을 선택해서 배워야 할까?

교과 선택과목
교과(군)
영역 일반선택 진로선택
국어 화법과 작문, 독서, 언어와 매체, 문학

기초 수학 수학Ⅰ, 수학Ⅱ, 미적분, 확률과 통계

영어 영어 회화, 영어Ⅰ, 영어 독해와 작문, 영어Ⅱ

사회(역사, 도덕) 생활과 윤리, 윤리와 사상 여행지리, 사회문제 탐구


탐구
과학 화학Ⅰ, 생명과학Ⅰ 화학Ⅱ, 생명과학Ⅱ

체육 예술

생활 교양 환경 농업 생명 과학, 창의 경영

※ 선택과목 안내는 대학별 교육과정에 따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참고용으로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150 청소년을 사로잡는 진로 디자인 2


어떤 책을 읽어야 할까?

∙ 대한민국 돼지고기가 좋다!(주선태) ∙ 이기적 유전자(리처드 도킨스/홍영남 외 1명)


∙ 동물과 인간생활(강만종) ∙ 인간과 가축의 역사(J.C. 블록, 과학세대)
∙ 생물학 이야기(김웅진) ∙ 인간과 동물(유리 드미트리에프/신원철)
∙ 알의 혁명(송계원/이무하 외 3명) ∙ 종의 기원(찰스 로버트 다윈/장대익)
∙ 음식이 지구다(이기영) ∙ 최재천의 인간과 동물(최재천)

동물생명자원과학과가 있는 대학은?

▶ 학과
- 서울: 삼육대
- 부산: 부산대

▶ 관련 학과
- 서울: 건국대(동물자원과학과)
- 부산

졸업 후에는 이런 곳으로 갈 수 있어요.

자원 개발업체, 재활용업체, 식품 관련 회사, 자원 공학 연구소, 에너지 연구소, 식품 연구소, 농업직, 축산직, 수산직,
임업직 공무원

동물생명자원과학과 인터뷰 살펴보기

∙ 정길생 건국대 명예교수 ∙ 서울대 동물생명공학전공


동물생명공학의 길을 [08:24]
열다.
[02:32]

자연계열 151
물 리 학 과

물리학과는?

뉴턴은 사과나무에서 떨어지는 사과를 보고 엄청 실험을 통하여 간결한 법칙들로 설명하는 방법에
난 과학적 법칙을 발견했습니다. 물리학은 우리 대해 학습합니다. 자연 현상의 기초를 이루고 있는
주위에서 일어나는 모든 자연 현상들의 법칙을 물질과 그 물질에서 작용하는 힘에 관한 연구를
연구하는 학문입니다. 물리학과는 물리적 현상을 통해 우리 주변 세계에 대한 이해를 높이는 학문
첨단 과학 기술 산업의 어느 분야에서나 쉽게 입니다. 탐구대상은 작게는 물질을 구성하는 기본
적용할 수 있는 인재를 키우는 곳입니다. 물리학 단위인 소립자부터 크게는 우주를 지배하는 원리에
과에서는 자연계에서 일어나는 현상들을 관찰과 이르기까지 매우 광범위합니다.

필요한 역량은 무엇일까?

∙ 논리적인 사고와 수리력, 과학에 대한 호기심, 창의적인 사고를 갖춘 학생


∙ 궁금증을 풀기 위한 적극적인 추진력
∙ 실험하기 위한 꾸준한 인내력과 꼼꼼한 관찰력을 갖춘 학생

어떤 과목을 선택해서 배워야 할까?

교과 선택과목
교과(군)
영역 일반선택 진로선택
국어 화법과 작문, 독서, 언어와 매체, 문학

기초 수학 수학Ⅰ, 수학Ⅱ, 미적분, 확률과 통계 기하, 수학과제 탐구

영어 영어 회화, 영어Ⅰ, 영어 독해와 작문, 영어Ⅱ

사회(역사, 도덕) 여행지리, 사회문제 탐구


탐구 물리학Ⅱ, 화학Ⅱ, 지구과학Ⅱ,
과학 물리학Ⅰ, 화학Ⅰ, 생명과학Ⅰ, 지구과학Ⅰ
과학사, 융합과학
체육 예술

생활 교양 논리학

※ 선택과목 안내는 대학별 교육과정에 따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참고용으로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152 청소년을 사로잡는 진로 디자인 2


어떤 책을 읽어야 할까?

∙ 공부의 즐거움(장회익) ∙ 수학 없는 물리(Paul G. Hewitt/김인묵)


∙ 교양 물리(차동우) ∙ 신의 입자를 찾아서(이종필)
∙ 나의 행복한 물리학 특강(월터 르윈/고중숙) ∙ 어디서나 무엇이든 물리학(이기영)
∙ 발견하는 즐거움(리처드 파인만/승영조) ∙ 인류의 미래(미치오 카쿠)
∙ 밤의 물리학(다케우치 가오루, 꿈꾸는 과학) ∙ 최무영 교수의 물리학 강의(최무영)
∙ 불확정성(데이비드 린들리/박배식) ∙ 파인만의 여섯가지 물리 이야기(리처드 파인만/박병철)

물리학과가 있는 대학은?

▶ 학과
- 서울: 건국대, 경희대, 고려대, 서강대, 서울시립대, 성균관대, 숭실대, 연세대, 이화여대, 중앙대, 한양대
- 부산 : 부경대, 부산대

▶ 관련 학과
- 서울: 경희대(응용물리학과), 광운대(전자바이오물리학과), 국민대(나노전자물리학과), 동국대(물리반도체과학부),
서울대(물리·천문학부(물리학전공)), 세종대(물리천문학과)
- 부산: 경성대(에너지과학과)

졸업 후에는 이런 곳으로 갈 수 있어요.

전기·전자, 반도체, 신소재, 광학, 컴퓨터, 정보통신, 재료, 방사선, 비파괴, 항공, 원자력 등 관련 기업체, 전자통신연구소,
국방과학연구소, 표준과학연구소, 과학기술연구소, 원자력·에너지 관련 연구소

물리학과 인터뷰 살펴보기

∙ 고려대학교 이과대학 ∙ 한양대학교 물리학과


물리학과 홍보영상 전공 안내 영상
[05:12] [08:42]

자연계열 153
미 생 물 학 과

미생물학과는?

유전자 분자 구조가 밝혀진 이래 현대 생물학은 생물학과는 생물에 대한 기초 지식과 이론을 체계


눈부신 발전을 하였습니다. 생물학과는 세포학, 적으로 이해하고 자연 생태계와 생명현상을 탐구
분류학, 발생학, 생리학 등을 기반으로 생명현상을 하는 전문 인력을 기르는 곳입니다.
탐구하며 그 원리에 대해서 자세히 공부합니다.

필요한 역량은 무엇일까?

∙ 기초 자연 과목에 흥미와 생명현상에 관심이 있는 학생


∙ 자연법칙과 과학적 연구 방법을 이해하고 적용할 수 있는 추론적 판단력
∙ 생명현상을 객관적으로 보는 관찰력, 논리적 사고, 도전 정신, 분석력

어떤 과목을 선택해서 배워야 할까?

교과 선택과목
교과(군)
영역 일반선택 진로선택
국어 화법과 작문, 독서, 언어와 매체, 문학

기초 수학 수학Ⅰ, 수학Ⅱ, 미적분, 확률과 통계 기하

영어 영어 회화, 영어Ⅰ, 영어 독해와 작문, 영어Ⅱ

사회(역사, 도덕) 생활과 윤리 여행지리, 사회문제 탐구


탐구
과학 물리학Ⅰ, 화학Ⅰ, 생명과학Ⅰ 화학Ⅱ, 생명과학Ⅱ, 과학사

체육 예술

생활 교양 환경

※ 선택과목 안내는 대학별 교육과정에 따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참고용으로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154 청소년을 사로잡는 진로 디자인 2


어떤 책을 읽어야 할까?

∙ 다윈의 종의 기원(이중원) ∙ 열두 발자국(정재승)


∙ 바이오테크 시대(제레미 리프킨/전영택) ∙ 캠벨 생명과학 포커스(Lisa A. Urry/전상학)
∙ 생명과학 개념과 현상의 이해 ∙ 퀴네가 들려주는 효소 이야기(이흥우)
(Reece, Taylor 외 2명/김명원 외 2명) ∙ 톰슨이 들려주는 줄기세포 이야기(황신영)
∙ 생명의 느낌(이블린 폭스 켈러/김재희)

미생물학과가 있는 대학은?

▶ 학과
- 서울
- 부산: 부경대, 부산대

▶ 관련 학과
- 서울: 고려대(바이오시스템의과학부), 국민대(바이오발효융합학과), 서울대(응용생물화학부),
연세대(시스템생물학과)
- 부산: 동아대(응용생물공학과), 부산대(바이오소재과학과, 분자생물학과)

졸업 후에는 이런 곳으로 갈 수 있어요.

생명과학 분야 기업체, 생명과학 분야 벤처 기업, 환경 관련 전문 기업체, 생명과학 분야 국가 및 민간 연구소, 정부의


생명과학 관련 부서, 환경, 생태, 식품, 의료 분야 공공 기관, 중등학교 교사

미생물학과 인터뷰 살펴보기

∙ 부경대 미생물은 ∙ 단국대 미생물학과


인간에게 어떤 영향을 줄 [06:39]
수 있는가?
[03:13]

자연계열 155
바 이 오 소 재 과 학 과

바이오소재과학과는?

바이오소재(Biomaterials)란 21세기에 새로이 공학의 융합을 기반으로 의료, 의약, 생물, 친환경
부각하는 바이오테크놀로지(BT)와 기능성 소재 소재 및 그 관련 기술을 연구 개발하며, 첨단과학
(Functional materials)가 융합된 과학으로 생물 분야인 BT, NT, ET 분야가 접목되는 미래형 융
을 구성하거나 생물이 생산하는 생리환경에 친화 합과학 기술의 교육과 연구를 추구합니다. 학부와
성이 있는 소재와 생체에 응용할 수 있는 기능성 대학원에서는 강도 높은 융합과정의 코스워크와
유·무기재료에 대한 과학적 이론과 기술적 응용 연구 활동으로 전공의 이론과 기술 그리고 문제
을 탐구하는 학문입니다. 본 전공은 최근 과학기 해결 능력을 배양하며, 또한 국내‧외 연구 교육시
술과 하이테크 산업의 발전 추세에 따라, 미래 산 설의 견학, 국제적 석학의 특강, 그리고 우수연구
업의 첨단기술개발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고급인 실 파견 등의 기회를 통해 폭넓은 실용 지식과 국
력양성을 위하여 개설되었으며, 생명공학과 재료 제적 감각을 익히게 됩니다.

필요한 역량은 무엇일까?

∙ 과학적 탐구력과 창조적인 사고 능력


∙ 강한 지적 호기심을 바탕으로 정확한 방법으로 사실을 관찰하는 자세
∙ 첨단산업 기술을 익히는데 흥미가 있는 학생
∙ 학문적 열정과 자기 주도적 학습 능력

어떤 과목을 선택해서 배워야 할까?

교과 선택과목
교과(군)
영역 일반선택 진로선택
국어 화법과 작문, 독서, 언어와 매체, 문학

기초 수학 수학Ⅰ, 수학Ⅱ, 미적분, 확률과 통계

영어 영어 회화, 영어, 영어 독해와 작문, 영어Ⅱ

사회(역사, 도덕) 생활과 윤리 여행지리, 사회문제 탐구


탐구 화학Ⅱ, 생명과학Ⅱ,
과학 화학Ⅰ, 생명과학Ⅰ, 지구과학Ⅰ
지구과학Ⅱ
생활 교양 환경

※ 선택과목 안내는 대학별 교육과정에 따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참고용으로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156 청소년을 사로잡는 진로 디자인 2


어떤 책을 읽어야 할까?

∙ 바이오코드(던 필드 / 닐 데이비스) ∙ 우리는 우리 뇌다(디크 스왑/신순림)


∙ 생체 모방(제닌 M.베니어스/최돈찬)
∙ 로잘린드 프랭클린과 DNA(브렌다 매독스/나도선)
∙ 바이오테크 시대(제레미 리프킨/전영택)

바이오소재과학과가 있는 대학은?

▶ 학과
- 서울
- 부산: 부산대

▶ 관련 학과
- 서울: 고려대(바이오시스템의과학부), 동국대(바이오환경과학과)
- 부산: 부산대(바이오환경에너지학과)

졸업 후에는 이런 곳으로 갈 수 있어요.

인체바이오소재의 인‧허가 정부 기관, 바이오 관련 국내‧외 연구소, 대학원, 의학 및 한의학 전문대학원, 동아제약, 바이
오톡스텍, 생명공학연구원, 서울대학교병원, 식품의약품안전청, 안전성평가연구소, 오스템인플란트, 유한양행, 제넥
셀메디칼(주), 한국3M(주), 한국화학융합시험연구원, 한의학연구원, 한화케미칼 등 전문기술 분야 진출

바이오소재과학과 인터뷰 살펴보기

∙ 바이오소재과학과 ∙ 황성연 박사 생분해성


홍보영상 바이오 플라스틱, 지구를
[06:31] 살리는 기술
[25:50]

자연계열 157
생 명 과 학 과

생명과학과는?

생명과학은 지구에 존재하는 수많은 동물과 식 생명현상의 과정을 이해하여 의료, 산업 그리고
물, 그리고 눈에 보이지 않는 미생물까지 모든 생 환경 연구와 사업에 폭넓게 적용할 수 있는 핵심적
명체를 대상으로 생명현상에 관하여 연구합니다. 인 지식을 연구하고 교육합니다. 인간유전체 해석,
의약, 농학, 수산학, 식품영양학, 유전공학, 에너지 난치병 치료기술, 의료 생체 재료 기술 등 인간에
공학, 환경공학 등 다양한 응용 분야의 기초가 되 관한 연구, 미생물 유전체의 연구, 농업·식품·환
며, 질병 극복, 식량문제, 환경문제 등 인류가 가 경 등에서의 미생물 이용기술 등의 미생물에 관한
진 다양한 문제에 대한 해결 방법을 모색할 수 있 연구 등이 생명과학에서 이루어집니다.
는 종합학문입니다. 생명과학과에서는 근본적인

필요한 역량은 무엇일까?

∙ 기초 자연 과목에 흥미와 생명현상에 관심이 있는 학생


∙ 자연법칙과 과학적 연구 방법을 이해하고 적용할 수 있는 추론적 판단력
∙ 생명현상을 객관적으로 보는 관찰력, 논리적 사고, 도전 정신, 분석력

어떤 과목을 선택해서 배워야 할까?

교과 선택과목
교과(군)
영역 일반선택 진로선택
국어 화법과 작문, 독서, 언어와 매체, 문학

기초 수학 수학Ⅰ, 수학Ⅱ, 미적분, 확률과 통계 기하

영어 영어 회화, 영어Ⅰ, 영어 독해와 작문, 영어Ⅱ

사회(역사, 도덕) 생활과 윤리 여행지리, 사회문제 탐구


탐구
과학 물리학Ⅰ, 화학Ⅰ, 생명과학Ⅰ 화학Ⅱ, 생명과학Ⅱ, 과학사

체육 예술

생활 교양 환경

※ 선택과목 안내는 대학별 교육과정에 따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참고용으로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158 청소년을 사로잡는 진로 디자인 2


어떤 책을 읽어야 할까?

∙ 다윈의 종의 기원(이중원) ∙ 생명의 느낌(이블린 폭스 켈러/김재희)


∙ 바이오테크 시대(제레미 리프킨/전영택) ∙ 열두 발자국(정재승)
∙ 생명과학 개념과 현상의 이해 ∙ 퀴네가 들려주는 효소 이야기(이흥우)
(Reece, Taylor 외 2명/김명원 외 2명) ∙ 톰슨이 들려주는 줄기세포 이야기(황신영)

생명과학과가 있는 대학은?

▶ 학과
- 서울: 동국대, 서울시립대, 성균관대, 중앙대, 한양대
- 부산: 부산대

▶ 관련 학과
- 서울: 삼육대(화학생명과학과)
- 부산: 고신대(의생명과학과), 부산대(식물생명과학과, 원예생명과학과)

졸업 후에는 이런 곳으로 갈 수 있어요.

제약회사, 대학병원, 생명공학 업체, 바이오 벤처 업체, 생명과학 관련 국공립 연구소, 생명과학 관련 대학 및 기업체
연구소, 정부의 생명과학 및 의약학 분야 부서, 중등학교(생물) 교사

생명과학과 인터뷰 살펴보기

∙ 부산대학교 생명과학과 ∙ 한양대학교 생명과학과


[01:46] 전공 안내 영상
[07:01]

자연계열 159
수 산 생 명 의 학 과

수산생명의학과는?

수산생명의학과에서는 어패류를 비롯한 각종 공중보건학 등의 기초 학문과 수산 동물 질병 발


수산 동물과 해양 생물의 건강관리와 함께 위생 생과 관련되는 미생물, 기생충, 바이러스, 환경 및
적으로 안전한 수산물의 생산을 위하여 해부학, 수산동물의 인상에 대한 약리, 병리, 진단 및 감염
생리학, 생화학, 조직학, 면역학, 식품위생학 및 성 질병 등에 관한 여러 학문을 교수합니다.

필요한 역량은 무엇일까?

∙ 생명체에 대한 호기심과 어류에 관한 관심, 양식업이나 해양 생물에 흥미가 있거나 생명과학에


대한 흥미가 있는 학생
∙ 생물이나 물리, 화학 등 자연과학 과목에 대한 흥미나 기초지식

어떤 과목을 선택해서 배워야 할까?

교과 선택과목
교과(군)
영역 일반선택 진로선택
국어 화법과 작문, 독서, 언어와 매체, 문학

기초 수학 수학Ⅰ, 수학Ⅱ, 미적분, 확률과 통계 기하

영어 영어 회화, 영어Ⅰ, 영어 독해와 작문, 영어Ⅱ

사회(역사, 도덕) 여행지리, 사회문제 탐구


탐구 물리학Ⅱ, 화학Ⅱ,
과학 물리학Ⅰ, 화학Ⅰ, 생명과학Ⅰ, 지구과학Ⅰ
생명과학Ⅱ, 지구과학Ⅱ
체육 예술

생활 교양 환경 해양 문화와 기술

※ 선택과목 안내는 대학별 교육과정에 따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참고용으로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160 청소년을 사로잡는 진로 디자인 2


어떤 책을 읽어야 할까?

∙ 고마운 미생물, 얄미운 미생물(천종식) ∙ 인수공통 모든 전염병의 열쇠(데이비드 콰먼/강병철)


∙ 내 몸 안의 주치의 면역학(하기와라 기요후미/황소연) ∙ 정재승의 과학 콘서트(정재승)
∙ 보이지 않는 지구의 주인 미생물(오태광)

수산생명의학과가 있는 대학은?

▶ 학과
- 서울
- 부산: 부경대

▶ 관련 학과
- 서울
- 부산: 한국해양대(해양생명과학부)

졸업 후에는 이런 곳으로 갈 수 있어요.

양식 현장, 제약회사 및 사료회사, 수산 관련 연구기관의 전문 연구, 국립수산과학원, 국립수산물품질관리원, 지방해양


수산청 등 해양수산부 산하의 국가기관 및 각 시·도의 수산직 공무원, 수산계 고등학교의 교사

수산생명의학과 인터뷰 살펴보기

∙ [수산생명의학과] ∙ EBS 입시 핫 라인
물고기도 감기에 수산생명의학전공
걸리나요 [27:48]
[04:39]

자연계열 161
수 학 과

수학과는?

수학은 여러 자연 현상이나 사회 현상을 추상화 의 성질을 이해하는 기하학, 공간의 위상적 성질


및 계량화시켜 이를 설명하고 분석하여 본질적 을 연구하는 위상수학을 포함합니다. 응용수학은
성질에 관해 설명하는 학문입니다. 수학은 크게 컴퓨터, 최첨단 기술, 생명공학 등의 발전과 더불
순수 기초수학과 응용수학으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어 자연과학, 공학, 인문과학, 사회과학, 생명공학,
순수 기초수학은 수 또는 문자를 사용하여 수의 금융공학 등 다양한 분야에 광범위하게 응용됩
성질이나 관계를 연구하는 대수학, 함수를 다루며 니다.
극한의 개념을 기초로 연구하는 해석학, 공간도형

필요한 역량은 무엇일까?

∙ 문제 해결 과정을 중요하게 여기고 이러한 과정에 흥미가 있는 학생


∙ 논리적인 사고와 분석력, 추리력
∙ 현대수학은 컴퓨터활용능력이 필요함

어떤 과목을 선택해서 배워야 할까?

교과 선택과목
교과(군)
영역 일반선택 진로선택
국어 화법과 작문, 독서, 언어와 매체, 문학

기초 수학 수학Ⅰ, 수학Ⅱ, 미적분, 확률과 통계 기하, 수학과제 탐구

영어 영어 회화, 영어Ⅰ, 영어 독해와 작문, 영어Ⅱ

사회(역사, 도덕) 여행지리, 사회문제 탐구


탐구
과학 물리학Ⅰ, 화학Ⅰ, 생명과학Ⅰ 물리학Ⅱ, 과학사

체육 예술

생활 교양 한문Ⅰ

※ 선택과목 안내는 대학별 교육과정에 따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참고용으로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162 청소년을 사로잡는 진로 디자인 2


어떤 책을 읽어야 할까?

∙ 세상을 바꾼 방정식 이야기(다나 매켄지/오채환 외 2명) ∙ 춤추는 술고래의 수학 이야기


∙ 수학 귀신(한스 마그누스 엔첸스베르거/고영아) (레오나르드 믈로디노프/ 이덕환)
∙ 수학, 문명을 지배하다.(모리스 클라인/박영훈) ∙ 틀리지 않는 법(조던 엘렌버그/김명남)
∙ 아름다움은 왜 진리인가(이언 스튜어트/안재권 외 1명) ∙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사이먼 싱/박병철)
∙ 재미있는 영재들의 수학퍼즐 1(박부성) ∙ 학문의 즐거움(히로나카 헤이스케/방승양)
∙ 천재들의 수학 노트(박부성) ∙ 현대 수학의 아버지(힐베르트 콘스탄스 라드/이일해)

수학과가 있는 대학은?

▶ 학과
- 서울: 건국대, 경희대, 고려대, 광운대, 동국대, 서울시립대, 서울여대, 성균관대, 숙명여대, 숭실대, 연세대,
이화여대, 중앙대, 한국외대, 한양대
- 부산: 부산대

▶ 관련 학과
- 서울: 경희대(응용수학과), 서울대(수리과학부), 세종대(수학통계학부)
- 부산: 경성대(응용수학과), 동아대(정보수학과), 부경대(응용수학과)

졸업 후에는 이런 곳으로 갈 수 있어요.

보험 회사, 증권 회사, 은행, 정보통신 기술 업체, 정보 처리 업체, 리서치 업체, 기업체의 전산·통계실, 수학 관련 연구소,
기초과학 지원 연구소

수학과 인터뷰 살펴보기

∙ EBS 입시 핫 ∙ 한양대 수학과 전공안내


라인(입시정보) [05:47]
[29:26]

자연계열 163
식 물 생 명 과 학 과

식물생명과학과는?

인류는 오래전부터 생존에 필요한 식량, 한약, 상호 관계의 종합적 이해를 통한 효율적 작물생산
섬유, 관상, 사료 등의 원료를 얻기 위하여 식물을 체계 개발에 대한 이론과 응용을 연구, 교육함으로
개발하고 이용해 왔습니다. 현재 지구상에 사는 60억 써 연구, 교육, 행정 및 관련 산업 분야에서 중추적
인구가 번영할 수 있었던 것도 작물 생산기술의 역할을 담당할 인력양성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비약적인 발전 없이는 불가능하였을 것입니다. 식물학, 유전학, 통계학, 생화학 등과 같은 기초
이러한 작물의 생산성 향상, 품종개량, 한약재 학문 분야뿐만 아니라 재배학, 작물생리생태학,
식물개발, 새로운 기능성 물질의 창출 및 환경적인 식량작물학, 약용작물, 특용작물학, 잡초방제학 등
생산을 위하여 전통적 육종 방법뿐만 아니라 생명 작물재배와 직접적으로 관련이 깊은 학문 분야와
공학적 기법을 이용한 작물 유전형질의 개량과 작물육종학, 유전공학 등 작물 품종개량과 관련이
기상, 토양, 잡초, 병해충 등 환경요인과 작물의 깊은 학문 분야 등을 집중적으로 교육하고 있습니다.

필요한 역량은 무엇일까?

∙ 농촌을 이해하고 작물의 상태를 정확히 지각, 판별, 인식하는 능력과 생명현상을 정확하게 볼 수 있는
관찰력이나 분석력
∙ 농촌문제나 식량문제, 가축, 농업기술 등에 관한 관심과 첨단기술의 결합으로 인한 공학적인 지식

어떤 과목을 선택해서 배워야 할까?

교과 선택과목
교과(군)
영역 일반선택 진로선택
국어 화법과 작문, 독서, 언어와 매체, 문학

기초 수학 수학Ⅰ, 수학Ⅱ, 미적분, 확률과 통계 기하, 수학과제 탐구

영어 영어 회화, 영어Ⅰ, 영어 독해와 작문, 영어Ⅱ

사회(역사, 도덕) 여행지리, 사회문제 탐구


탐구 화학Ⅱ, 생명과학Ⅱ,
과학 물리학Ⅰ, 화학Ⅰ, 생명과학Ⅰ, 지구과학Ⅰ
지구과학Ⅱ
체육 예술

생활 교양 환경 농업 생명 과학, 창의 경영

※ 선택과목 안내는 대학별 교육과정에 따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참고용으로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164 청소년을 사로잡는 진로 디자인 2


어떤 책을 읽어야 할까?

∙ 3일 만에 읽는 유전자(와타나베 츠토무/이영주) ∙ 우리 쌀 오천년(공준원)


∙ 6차 산업을 디자인하라(현의송) ∙ 이중나선(제임스 왓슨/최돈찬)
∙ 녹색희망 농업의 미래(임상규) ∙ 인간과 환경 이야기(윤성탁)
∙ 바이오농업은 제2의 녹색혁명인가?(송만강) ∙ 종의 기원(찰스 로버트 다윈/장대익)
∙ 식량안보 한민족의 미래(김현영) ∙ 환경을 살리는 농업 농업을 살리는 환경(정지웅)
∙ 쌀의 세계사(사토 요우이치로/김치영)

식물생명과학과가 있는 대학은?

▶ 학과
- 서울
- 부산: 부산대

▶ 관련 학과
- 서울
- 부산: 부산대(원예생명과학과)

졸업 후에는 이런 곳으로 갈 수 있어요.

제약회사, 대학병원, 생명공학 업체, 바이오 벤처 업체, 생물기기 업체, 생명과학 관련 국공립 연구소, 생명과학 관련
대학 및 기업체 연구소, 정부의 생명과학 및 의약학 분야 부서, 중등학교(생물) 교사

식물생명과학과 인터뷰 살펴보기

∙ 학과정보 생물 ․ ∙ 서울대 식물생산과학부


생명과학과 원예생명공학전공 학과
[16:26] [09:41]

자연계열 165
식 품 영 양 학 과

식품영양학과는?

식품영양학과는 식품, 영양, 보건, 건강 등의 분을 통한 인체의 기능 조절 등을 중점적으로 연구


상호 관계를 통해 국민의 건강 및 영양 상태 개 하는 학문입니다. 현대로 들어서면서 생활 수준이
선을 도모하며, 건강 유지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향상되고 평균 수명이 연장됨에 따라 건강에 관한
위해 식품과 영양에 대한 기초지식 및 응용지식을 관심이 증대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관심은 식생활
공부합니다. 식품의 구성, 구조, 성질과 위생적인 욕구의 다양화에 따른 균형 잡힌 식생활과 건강한
식생활 관리, 영양 문제 등 식품과 영양에 대해 배 삶을 위한 식품영양학의 중요성을 부각시키고 있
우는 곳입니다. 식품영양학과는 사람들의 균형있는 습니다. 이에 따라 밥상의 보약을 만드는 식품영양학
식생활과 건강한 삶을 지원하는 식품영양 전문인 전공자들의 역할은 날로 커지고 있습니다.
을 기르는 곳입니다. 생명의 근본이 되는 식품을 영양사 국가고시는 식품영양 관련 학과를 전공
소재로 하여 생명현상의 본질을 규명하고, 식품 성 했을 때 응시 자격이 주어집니다.

필요한 역량은 무엇일까?

∙ 평소에 식품이나 음식을 만들거나 다양한 식품의 성분과 영양소를 파악하는 흥미


∙ 연구 분야에 공부하고자 하는 사람은 실험·실습을 수행하는 능력과 끈기
∙ 문제에 관한 관심과 정보수집 능력, 분석력
∙ 실습수업을 위한 조리 능력과 제품 개발에 필요한 창의력
∙ 식품의 가공·저장 중의 품질변화 및 부패를 방지하고, 위생적으로 관리하여 건강장해를 미연에 방지
할 수 있도록 책임감과 그에 따른 대처 능력
∙ 식품, 영양에 대한 중요성을 이해하고 첨단기술을 식품에 응용할 수 있는 창의력 및 응용력
∙ 생물이나 화학 등 자연 기초 과목을 좋아하는 학생

어떤 과목을 선택해서 배워야 할까?

교과 선택과목
교과(군)
영역 일반선택 진로선택
국어 화법과 작문, 독서, 언어와 매체, 문학
기초 수학 수학Ⅰ, 수학Ⅱ, 미적분, 확률과 통계 기하
영어 영어 회화, 영어Ⅰ, 영어 독해와 작문, 영어Ⅱ
사회(역사, 도덕) 정치와 법, 사회·문화, 생활과 윤리 여행지리, 사회문제 탐구
탐구
과학 화학Ⅰ, 생명과학Ⅰ 화학Ⅱ, 생명과학Ⅱ
체육 예술
생활 교양 기술·가정, 제2외국어Ⅰ, 보건, 환경 가정과학
※ 선택과목 안내는 대학별 교육과정에 따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참고용으로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166 청소년을 사로잡는 진로 디자인 2


어떤 책을 읽어야 할까?

∙ 과학 이슈 11 Season2(강석기) ∙ 우유의 역습(티에리 수카르)


∙ 과학상식 130가지(청소년이 꼭 알아야 할)(김이리) ∙ 음식고전(한복려/한복진/이소영)
∙ 과학자가 되는 길 ∙ 음식으로 읽는 한국 생활사(윤덕노)
(미국과학한림원/미국공학한림원/미국의학한림원) ∙ 음식혁명(존 라빈스)
∙ 과학하는 여자들(김빛내리/박문정/이홍금/정희선/최영주) ∙ 젊음의 과학(존 몰리/셰리 콜버그)
∙ 노벨상이 만든 세상(화학)(이종호) ∙ 존 로빈스의 100세 혁명(존 라빈스)
∙ 맥도날드 그리고 맥도날드화(조지 리처) ∙ 채식의 배신(리어 키스)
∙ 바람에 실려 온 페니실린(권오길) ∙ 혼밥족을 위한 건강 밥상(이진호)
∙ 오키나와 프로그램(브래들리 윌콕스) ∙ 희망의 밥상(제인 구달/게인 허드슨)

식품영양학과가 있는 대학은?

▶ 학과
- 서울: 경희대, 국민대, 동덕여대, 삼육대, 서울대, 성신여대, 숙명여대, 연세대, 이화여대, 케이씨대, 한양대
- 부산: 경성대, 고신대, 동명대, 동서대, 동아대, 동의대, 부경대, 부산대, 신라대

▶ 관련 학과
- 서울: 동국대(식품산업관리학과), 상명대(외식의류학부 식품영양학전공), 서울여대(식품응용시스템학부)
- 부산

졸업 후에는 이런 곳으로 갈 수 있어요.

식품, 제약, 환경, 화학, 생명공학 관련 국내외 기업, 외식업체, 호텔, 식품업체, 단체 급식업체, 제약 관련 업체, 화장품업체,
제과 제빵업체, 제분 회사, 대학병원과 종합병원, 식품·영양 관련 국가 연구소, 식품·의약 관련 기업체 연구소, 제약회사나
식품 가공기업, 식품 개발원, 식품의약품안전처, 보건복지부, WHO, 농림수산식품부, 농촌진흥청, 식약청이나 수산물
검사원, 보건소나 환경연구원 등 관련 부서, 식품·건강 관련 공공 기관, 식품 보건 및 위생직 공무원, 음식공간연출가,
식품연구원, 식품영업원, 식품품질평가사, 영양교사, 연구사, 식품레시피 연구 및 개발자, 푸드 칼럼니스트, 임상영양사

식품영양학과 인터뷰 살펴보기

∙ 한양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부산대 식품영양학과


전공 안내 영상 [09:19]
[08:55]

자연계열 167
원 예 생 명 과 학 과

원예생명과학과는?

원예생명과학과는 식물의 생리학, 생화학, 분자 분리, 구조 동정 및 산업화


생물학, 유전공학, 병리학, 통계학, 환경제어, 재배 3. 병 질환 예방용 원예작물 및 식‧의약품 개발
기술 등을 기반으로 원예 및 약용식물자원의 개발과 4. 첨단시설 환경제어를 통한 과학적 재배관리와
생산에 역점을 두고 있습니다. 나아가 산업화와 기술집약적 친환경 생산체계
도시화로부터 인간과 자연을 연결하는 원예활동 5. 생산 후 부가가치 증진을 위한 저장·가공·유통
즉, 원예치료, 플라워 디자인 등에 관한 전문지식 기술개발과 연구
교육과 연구를 목표로 합니다. 6. 식물의 정서적 기능과 사회원예학에 기반한
1. 분자생물학과 생명공학기술을 이용한 식물 유 원예치료와 그린 인테리어 등의 6개 원예과학
전자 연구 및 신품종 개발 핵심 분야를 연구
2. 원예·약용식물로부터 신기능성 천연물질의 순수

필요한 역량은 무엇일까?

∙ 학문 탐구에 진취적인 열의
∙ 동아리 활동을 통한 적극적인 사회성
∙ 다양한 경험을 갖추려는 자세
∙ 산을 좋아하고 나무와 꽃, 식물, 지구온난화 등의 자연환경문제에 관심
∙ 생물이나 물리 등의 과목에 흥미가 필요하고 공학 및 예술에 관한 관심

어떤 과목을 선택해서 배워야 할까?

교과 선택과목
교과(군)
영역 일반선택 진로선택
국어 화법과 작문, 독서, 언어와 매체, 문학
기초 수학 수학Ⅰ, 수학Ⅱ, 미적분, 확률과 통계
영어 영어 회화, 영어Ⅰ, 영어 독해와 작문, 영어Ⅱ
사회(역사, 도덕) 경제, 생활과 윤리 여행지리, 사회문제 탐구

탐구 화학Ⅱ, 생명과학Ⅱ,
과학 화학Ⅰ, 생명과학Ⅰ, 지구과학Ⅰ 지구과학Ⅱ, 과학사,
생활과 과학, 융합과학
체육 예술
생활 교양 한문Ⅰ, 환경 농업 생명 과학, 창의 경영
※ 선택과목 안내는 대학별 교육과정에 따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참고용으로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168 청소년을 사로잡는 진로 디자인 2


어떤 책을 읽어야 할까?

∙ 과학과 기술은 어떻게 발전해왔을까?(김명철/정원교) ∙ 십대를 위한 직업 백과(이량주)


∙ 나무를 심은 사람(장 지오노) ∙ 씨앗의 승리(소어 헨슨/하윤숙)
∙ 나무야 나무야(신영복) ∙ 씨앗의 자연사(조나단 실버타운/진선미)
∙ 모든 생명은 서로 돕는다(박종무) ∙ 옥수수밭의 처녀 맥클린토크(나타니엘 C. 컴포트)
∙ 살아있는 야생(신디 엘겔) ∙ 왓슨의 이중 나선 : 생명의 비밀을 엿보다(박승호/최재정)
∙ 숨어있는 채소·과일의 매력(농촌진흥청) ∙ 자연은 위대한 스승이다(이인식)
∙ 숲에게 길을 묻다(김용규) ∙ 종이로 사라지는 숲 이야기(맨디 하기스/이경아)
∙ 식물, 세상의 은밀한 지배자(고정희) ∙ 흙과 비료이야기1, 2(현해남)
∙ 신고 산림경영학(우종춘 외) ∙ 희망의 숲(크리스티안 퀴헬리/탁광일)

원예생명과학과가 있는 대학은?

▶ 학과
- 서울
- 부산: 부산대

▶ 관련 학과
- 서울: 건국대(식량자원과학과), 경희대(원예생명공학과), 삼육대(환경디자인원예학과), 서울대(식물생산과학부),
서울시립대(환경원예학과), 서울여대(원예생명조경학과)
- 부산: 동아대(생명자원산업학과), 부산대(식물생명과학과)

졸업 후에는 이런 곳으로 갈 수 있어요.

산림청, 국립공원관리공단, 산림조합, 지자체 녹지직, 한국임업진흥원, 녹색사업단 등의 조경원(원예사포함), 조림·


영림 및 벌목원, 국립산림과학원, 국립수목원, 산림박물관, 국립환경과학원, 지자체 환경연구원, 국립식물검역원 등의
연구직(생명과학시험원, 임학연구원, 조경기술자, 측량 및지리정보기술자 등), 산림기술사무소, 나무병원, 해외조림 및
산림개발회사, 사립수목원, 생산단순(임업기술자 등) 등

원예생명과학과 인터뷰 살펴보기

∙ 일상이 원예-원예과학과 ∙ 전남대 원예생명공학과


[04:48] [02:31]

자연계열 169
의 류 학 과

의류학과는?

사람의 머리부터 발끝까지 몸에 걸치는 모든 분야를 연구하며, 의복의 소재나 제품, 의복 구성에
것을 의류라고 하며, 의류·의상학은 의생활 환경의 대한 자연과학 분야, 의류 역사나 의상 심리, 마
형성 및 의류에 관한 전반적인 사항을 연구합니다. 케팅 등의 인문사회 분야, 의류 상품 기획, 디자인
의류 제품이 만들어지고 착용되기까지의 모든 등의 예술 분야까지 다양한 영역을 공부합니다.

필요한 역량은 무엇일까?

∙ 의상 디자인의 복식사 공부를 위한 세계사 등 역사 과목에 대한 이해


∙ 패션 관련 비즈니스를 위해 섬유의 소재나 패션의 흐름, 유행, 의복에 대한 관심
∙ 창의력, 색감, 조화미 등 예술적인 감각
∙ 컴퓨터 프로그램을 다룰 수 있는 능력

어떤 과목을 선택해서 배워야 할까?

교과 선택과목
교과(군)
영역 일반선택 진로선택
국어 화법과 작문, 독서, 언어와 매체, 문학

기초 수학 수학Ⅰ, 수학Ⅱ, 미적분, 확률과 통계

영어 영어 회화, 영어Ⅰ, 영어 독해와 작문, 영어Ⅱ


한국지리, 세계지리, 세계사, 동아시아사,
사회(역사, 도덕) 여행지리, 사회문제 탐구
탐구 경제, 사회·문화
과학 화학Ⅰ, 생명과학Ⅰ 화학Ⅱ, 생활과 과학

체육 예술 미술 미술 창작, 미술 감상과 비평

생활 교양 기술·가정, 제2외국어Ⅰ, 심리학 가정과학

※ 선택과목 안내는 대학별 교육과정에 따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참고용으로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170 청소년을 사로잡는 진로 디자인 2


어떤 책을 읽어야 할까?

∙ MT 의류학(채금석) ∙ 스티브 & 요니's 디자인 스튜디오(요니P/스티브J)


∙ 나는 왜 패션을 사랑하는가(리즈 틸버리스/노지양) ∙ 패션 산업의 이해(실무를 위한)(유혜경/정찬진)
∙ 버려지는 디자인 통과되는 디자인(이민기/강윤미) ∙ 아이콘의 탄생 (강민지)
∙ 샤넬 미술관에 가다(김홍기) ∙ 패션 철학(라르스 스벤젠/도승연)
∙ 서양 패션의 역사(제임스 레버/정인희) ∙ 패션을 보면 세계사가 보인다(피오나 맥도널드/김현좌)
∙ 장광효, 세상에 감성을 입히다(장광효) ∙ 패션의 탄생(강민지)
∙ 스타일북 1(장윤주/서은영) ∙ 패턴의 정석(모델리스트의 첫걸음) (이희춘)

의류학과가 있는 대학은?

▶ 학과
- 서울: 서울대, 숙명여대, 한양대
- 부산: 부산대

▶ 관련 학과
- 서울: 건국대(의상디자인학과), 경희대(의류디자인학과, 의상학과), 국민대(의상디자인학과),
동덕여대(패션디자인학과), 서울여대(패션산업학과), 성균관대(의상학과), 성신여대(의류산업학과),
세종대(패션디자인학과), 연세대(의류환경학과)
- 부산: 경성대, 동명대, 동서대, 동아대, 동의대, 부경대, 영산대(패션디자인학과)

졸업 후에는 이런 곳으로 갈 수 있어요.

대학교수, 중고등학교 가정과 교사, 섬유 및 패션관련 연구소 연구원, 섬유 제품 관리원, 패션관련 신문잡지 기자, 패션
에디터, 패션 사진가, 패션 리포터, 패션 카피라이터, 패션 칼럼니스트, 영화 무대의상 디자이너, 한복 디자이너, 디스플
레이어, 무대의상관리원, 비주얼머천다이저, 가방/속옷/신발/패션디자이너, 직물디자이너(텍스타일디자이너), 패션코디
네이터, 섬유 및 의복 관련(섬유공학기술자), 이미지컨설턴트, 아트디렉터, 의류 제조업체 경영자, 전자상거래 관련업,
패션 머천다이저, 패션 디자이너, 디스플레이 디자이너, 패션 정보분석가, 패션 일러스트레이터, 소재컨버터, 패션 액세
서리디자이너 등

의류학과 인터뷰 살펴보기

∙ 한양대학교 의류학과 ∙ EBS 입시 핫 라인


전공안내 의류학과
[07:20] [29:27]

자연계열 171
의 약 생 명 공 학 과

의약생명공학과는?

의약생명공학과는 의약학과 생명공학의 융합학 관련이 있는 의약품 소재에 대한 특성화 연구와


과로서 바이오산업의 핵심 학문인 생명공학과 바이 교육을 통하여 의약품 관련 분야의 선도학과로의
오헬스산업의 기초학문인 기초의약학을 바탕으로 육성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관련 학문에 대한 이론학습, 실험실습 및 현장학 의약생명공학과는 임상시험 분야 전문가를 양성
습과 체계적이고 과학적인 실무교육을 통한 전문 하며 학생들은 임상시험과 관련된 의뢰자의 임무나
인재를 양성하여 국가와 지역 경제 발전에 이바지 역할의 일부 또는 전부를 대행하는 기관인 CRO로
하고자 함을 목적으로 합니다. 취업을 할 수 있도록 생리학, 의약용어, 약리학,
특히, 의약생명공학과에서는 가속화되는 고령 독성학, 의약품개발론, 바이오신약개발, 임상시험실
사회에 대비하여 다양한 원료로부터의 신약과 건강 실무실습으로 구성된 교과과정을 학습하게 됩니다.
식품 소재 개발과 더불어 건강에 직·간접적으로

필요한 역량은 무엇일까?

∙ 다양한 의약품이 인체에 적용하는 원리에 대한 궁금증


∙ 특정 질환에 대한 신약의 개발을 목표로 하는 학생
∙ 신약 개발에 대한 전반적인 내용을 알고 싶은 학생
∙ 기초 자연 과목에 대한 흥미와 생명 현상에 대한 관심
∙ 자연법칙과 과학적 연구 방법을 이해하고 적용할 수 있는 추론적 판단력
∙ 생명현상을 객관적으로 보는 관찰력, 논리적 사고, 도전 정신, 분석력

어떤 과목을 선택해서 배워야 할까?

교과 선택과목
교과(군)
영역 일반선택 진로선택
국어 화법과 작문, 독서, 언어와 매체, 문학
기초 수학 수학Ⅰ, 수학Ⅱ, 미적분, 확률과 통계 기하
영어 영어 회화, 영어Ⅰ, 영어 독해와 작문, 영어Ⅱ
사회(역사, 도덕) 정치와 법, 생활과 윤리 여행지리, 사회문제 탐구
탐구 화학Ⅱ, 생명과학Ⅱ,
과학 화학Ⅰ, 생명과학Ⅰ
과학사, 생활과 과학
체육 예술
생활 교양 심리학, 보건, 환경
※ 선택과목 안내는 대학별 교육과정에 따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참고용으로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172 청소년을 사로잡는 진로 디자인 2


어떤 책을 읽어야 할까?

∙ 감정의 분자(캔더스B. 퍼트/김미선) ∙ 약사가 말하는 약사(홍성광)


∙ 내체질 사용설명서(이병삼) ∙ 예술 속의 파르마콘(허문영)
∙ 동의보감 몸과 우주 그리고 삶의 비전을 찾아서(고미숙) ∙ 옳고 그름(조슈아 그린/최호영)
∙ 마음은 어떻게 작동하는가(스티븐 핑커/김한영) ∙ 육일약국 갑시다(김성오)
∙ 새로운 약은 어떻게 창조되나(교토대학원 약학연구과) ∙ 인간은 왜 병에 걸리는가(R.네스/G.윌리엄즈)
∙ 생물 다양성은 우리의 생명(유네스코한국위원회/최재천 외) ∙ 총, 균, 쇠(재레드 다이아몬드/김진준)
∙ 속도의 배신(프랭크 파트노이/강수희) ∙ 코스모스(칼 세이건/김명남)
∙ 신약 오딧세이(심재우) ∙ 흐름의 철학 경락(이혜정/인창식)
∙ 약과 건강(김동현 /송보완외 1명)

의약생명공학과가 있는 대학은?

▶ 학과
- 서울
- 부산: 동아대

▶ 관련 학과
- 서울: 성신여대(바이오생명공학과)
- 부산: 부경대(의공학과), 부산대(바이오산업기계공학과)

졸업 후에는 이런 곳으로 갈 수 있어요.

임상시험전문회사(CRO), 바이오의약품연구원, 생명과학시험원, 생명정보학자, 생물학연구원, 제약회사, 대학병원,


생명공학업체, 건강기능성 식품회사, 화장품회사, 바이오 벤처업체, 정부의 생명과학 및 의약학 분야 부서, 의약품 인
허가와 관련된 공무원, 의약품 관련 변리사, 중등교사 등

의약생명공학과 인터뷰 살펴보기

∙ 오송첨단의료산업 ∙ 의약바이오학과
진훙재단 바이오 의약품 [03:29]
개발전문가 김종원
[TEXT]

자연계열 173
자 원 생 물 학 과

자원생물학과는?

자원생물학과는 어류학, 무척추동물학, 해산식 아니라 게, 새우, 조개 등 무척추동물과 미역, 김,


물학, 동물생리학, 발생학, 해양생태학, 수산자원 파래 같은 해조류 등 다양한 생물이 해당되며
학, 부유생물학 등의 다양한 자원생물학 기초 및 다양한 분야의 무궁무진한 연구 분야들이 많이
응용 학문에 대해 공부합니다. 해양 생물은 어류뿐 있는 기초학문 중 하나입니다.

필요한 역량은 무엇일까?

∙ 여러 해양 생물에 관한 적성과 흥미
∙ 승선 실습과 수업과 관련된 시료 채집을 위해 현장에서 잘 적응할 수 있는 능력과 체력
∙ 실습수업의 경우 조별협동 활동이 요구되므로 원활한 대인관계와 배려심

어떤 과목을 선택해서 배워야 할까?

교과 선택과목
교과(군)
영역 일반선택 진로선택
국어 화법과 작문, 독서, 언어와 매체, 문학

기초 수학 수학Ⅰ, 수학Ⅱ, 미적분, 확률과 통계

영어 영어 회화, 영어Ⅰ, 영어 독해와 작문, 영어Ⅱ

사회(역사, 도덕) 경제, 생활과 윤리 여행지리, 사회문제 탐구


탐구 화학Ⅱ, 생명과학Ⅱ,
과학 물리학Ⅰ, 화학Ⅰ, 생명과학Ⅰ, 지구과학Ⅰ
생활과 과학
체육 예술

생활 교양 환경 해양 문화와 기술

※ 선택과목 안내는 대학별 교육과정에 따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참고용으로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174 청소년을 사로잡는 진로 디자인 2


어떤 책을 읽어야 할까?

∙ 지구를 살리는 50가지 방법(지구를 위한 모임) ∙ DNA(유전자)무엇이 세계를 움직이는가


∙ 모든 생명은 서로 돕는다(박종무) (이스라엘 로젠필드/이일권)
∙ 바다는 왜?(장순근/김웅서) ∙ 자연은 위대한 스승이다(이인식)
∙ 바다의 터줏대감, 물고기(명정구) ∙ 철없는 전자와 파란만장한 미토콘드리아 그리고
∙ 바람에 실려 온 페니실린(권오길) 인류씨 이야기(서형)
∙ 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실험 열 가지(로버트 P. 크리스) ∙ 해양생물의 세계(김웅서/김동성)
∙ 왓슨이 들려주는 DNA 이야기(이흥우)

자원생물학과가 있는 대학은?

▶ 학과
- 서울
- 부산: 부경대

▶ 관련 학과
- 서울
- 부산: 부경대(해양바이오신소재학과), 한국해양대(해양생명과학부)

졸업 후에는 이런 곳으로 갈 수 있어요.

국립수산과학원, 한국해양과학기술원, 한국해양연구원, 국립수산물품질검사원, 국립해양생물자원관 등 국공립 연구소


수산연구원, 국토해양부, 환경부, 농림수산식품부의 수산공무원과 해양자연사 박물관 등의 해양 관련 박물관 및 아쿠아
리움, 국립해양박물관, 국립생태원, 국립공원관리공단 등

자원생물학과 인터뷰 살펴보기

∙ 방우영 환경부 ∙ 해양생물의 다양성이


국립생물자원관 왜 중요한가?/ 부경대
[03:05] 자원생물학과
[04:10]

자연계열 175
정 보 수 학 과

정보수학과는?

모든 학문의 기초가 되는 수학의 각 분야에 심화과목으로써 해석학, 대수학, 기하학, 통계학,


대한 기초적인 지식과 개념 그리고 수리적인 위상수학 등을 교육합니다. 그리고 첨단 과학사회
체계를 연구, 교육하여 학문의 발전과 첨단 과학 에 필요한 인재를 양성하고 산업분야에서 응용할
사회와 정보기술 사회에 필요한 논리적인 사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하기 위하여 컴퓨터 실습실
능력과 실력을 갖춘 우수한 인재를 목표로 합니다. 에서 응용수학, 수치해석 등을 교육하여 정보
본 전공에서는 기초과학으로써 미적분학, 집합 분야의 능력을 배양합니다.
론, 선형대수학 등 기본도구 과목을 교육하고,

필요한 역량은 무엇일까?

∙ 창의적이고 논리적인 사고와 탐구적이며 개척적인 정신


∙ 팀의 구성원으로서 팀 성과에 기여하고자 하는 팀워크 능력
∙ 수학, 기초과학 등 풀이과정을 중요시하는 자세 및 공식의 의미를 알고 싶어 하는 자세

어떤 과목을 선택해서 배워야 할까?

교과 선택과목
교과(군)
영역 일반선택 진로선택
국어 화법과 작문, 독서, 언어와 매체, 문학
실용 수학, 기하, 경제 수학,
기초 수학 수학Ⅰ, 수학Ⅱ, 미적분, 확률과 통계
수학과제 탐구
영어 영어 회화, 영어Ⅰ, 영어 독해와 작문, 영어Ⅱ

사회(역사, 도덕) 경제, 생활과 윤리 여행지리, 사회문제 탐구


탐구
과학 물리학Ⅰ, 화학Ⅰ, 생명과학Ⅰ, 지구과학Ⅰ 물리학Ⅱ, 생활과 과학

체육 예술 체육, 운동과 건강, 음악, 미술, 연극

생활 교양 정보, 논리학, 실용 경제

※ 선택과목 안내는 대학별 교육과정에 따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참고용으로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176 청소년을 사로잡는 진로 디자인 2


어떤 책을 읽어야 할까?

∙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사이먼 싱) ∙ 프로그래머, 수학으로 생각하라(유키히로시)


∙ 로지코믹스(아포스톨로스 독시아디스) ∙ 소프트웨어 객체의 생애주기(테드 창)
∙ 춤추는 술고래의 수학 이야기(레오나르드 믈로디노프) ∙ 디지털 시대의 마법사들(프랭크 모스)
∙ 수학, 문명을 지배하다(모리스 클라인) ∙ 일렉트릭 유니버스(데이비드 보더니스)
∙ 아름다움은 왜 진리인가(이언 스튜어트) ∙ IT 삼국지(김정남)
∙ 통계 속의 재미있는 세상이야기(구정화) ∙ 세상을 바꾼 작은 우연들(마리 노엘 샤를)
∙ 통계학 리스타트(이다 야스유키) ∙ 유비쿼터스 사회의 정보통신개론(김영춘)

정보수학과가 있는 대학은?

▶ 학과
- 서울
- 부산: 동아대

▶ 관련 학과
- 서울: 고려대(수학과), 성신여대(수학과), 세종대(데이터사이언스학과), 한양대(데이터사이언스학부)
- 부산: 경성대(빅데이터응용통계학과), 부산외국어대(빅데이터학과)

졸업 후에는 이런 곳으로 갈 수 있어요.

금융자산운용가, 보험관리자, 보험사무원, 보험인수심사원, 수학과 교수, 수학 교사, 인공위성개발원, 자연과학시험원,


보험회사, 증권회사, 은행, 정보통신기술업체, 정보처리업체, 리서치업체, 기업체의 전산통계실, 수학관련연구소, 기초
과학지원연구소, 주요 이동통신사업자, CATV사업자, DSL사업자, 기술직공무원, 정보통신표준화 관련기관, 금융결제원,
통계컨설팅, 마케팅, 품질관리, 분석경영전문가, 품질경영, CRM분야의 전문인력, 여론 및 마케팅 조사회사, 통계청,
정부행정기관 일반 및 공기업 품질경영업무, 개인 및 기업 신용평가 기관, 사회조사분석사 등

정보수학과 인터뷰 살펴보기

∙ 빅데이터전문가가 되려면 ∙ 어서와 성균관대학교


무슨 학과를 가야 할까? 데이터사이언스
[03:52] 융합전공은 처음이지?
[04:00]

자연계열 177
조 경 학 과

조경학과는?

조경(造景)이란 ‘造’ 만들다, ‘景’ 경치, 풍경, 공원 등의 공간에의 시각적 아름다움 및 쾌적함에
‘경치, 풍경을 만들다’입니다. 조경학은 말 그대로 주안점을 두었으나 최근에는 친환경적인 생태계
우리가 살아가고 있는 환경 또는 주위를 아름답고 복원, 도시재생, 국가 차원에서의 종합적인 조경
쾌적하게 만들고 가꾸어 나가기 위한 인간의 욕구 계획 및 설계·시공, 감리, 컴퓨터를 활용한 조경
를 충족시켜 주기 위한 실용적인 학문입니다. ‘조 설계 등 그 영역이 보다 광범위해졌습니다. 고속
경’은 건축과 자연에 대한 이해가 함께 필요한 전 도로, 아파트, 병원, 호텔 등에 이르기까지 우리를
공이기 때문에 건축, 토목, 도시계획뿐만 아니라 둘러싼 모든 환경이 조경의 대상이 되며, 산림, 하
디자인, 원예, 임학 등의 학문과도 밀접한 관련이 천 등의 훼손지에 친환경적인 공간조성 측면에서
있습니다. 기존에는 조경을 통한 주택이나 건축물, 생태복원 사업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습니다.

필요한 역량은 무엇일까?

∙ 특정 분야에 뛰어난 재능을 가진 인재보다는 자연환경, 도시환경, 인문사회, 예술 등 다양한 분야를


통찰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진 학생
∙ 정원, 공원, 생태, 지속 가능한 개발, 훼손된 환경 문제 등에 특별한 관심과 열정이 있는 학생
∙ 조경학에 대한 관심 및 학업 열의가 강하며, 자연 현상 및 과학에 대한 지식과 예술적 소양을 갖춘 학생
∙ 창의적이며 진취적인 사고력을 갖춘 학생
∙ 다양한 학문 분야에 필요한 사고력과 소통능력을 갖춘 학생
∙ 책임감을 갖고 주어진 일을 끝까지 수행하려는 자세를 갖춘 학생
∙ (시각적으로 아름답게 보이는 것도 중요하므로) 미적 감각과(여러 분야의 사람들이 함께 일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팀 활동을 위한) 협동심
∙ 현상을 전체적으로 조망할 수 있는 시스템 위주의 사고방식 및 문제 해결 능력 필요

어떤 과목을 선택해서 배워야 할까?

교과 선택과목
교과(군)
영역 일반선택 진로선택
국어 화법과 작문, 독서, 언어와 매체, 문학
기초 수학 수학Ⅰ, 수학Ⅱ, 미적분, 확률과 통계
영어 영어 회화, 영어Ⅰ, 영어 독해와 작문, 영어Ⅱ
사회(역사, 도덕) 한국지리, 세계지리, 경제 여행지리, 사회문제 탐구
탐구 화학Ⅱ, 생명과학Ⅱ,
과학 물리학Ⅰ, 화학Ⅰ, 생명과학Ⅰ, 지구과학Ⅰ
지구과학Ⅱ, 생활과 과학
체육 예술
생활 교양 환경 농업 생명 과학, 창의 경영
※ 선택과목 안내는 대학별 교육과정에 따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참고용으로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178 청소년을 사로잡는 진로 디자인 2


어떤 책을 읽어야 할까?

∙ 녹색도시를 꿈꾸는 저탄소 사회 전략(고재경) ∙ 조경설계론(한국조경학회)


∙ 건축의 바깥(조경이 만드는 외부공간 이야기)(진양교) ∙ 조경설계 키워드 52(조경가를 꿈꾸는 이들을 위한)
∙ 나는 나무처럼 살고 싶다(우종영) (팀 워터맨)
∙ 나무가 말하였네 1, 2(고규홍) ∙ 조경생태학(안영희)
∙ 생태계(인간과 자연의 건강한 공존)(카를로 론디니니) ∙ 조경이 만드는 도시(임승빈)
∙ 생태조경계획 및 설계(조현길/조용현) ∙ 풍경에 다가서기(강영조)
∙ 원예식재와 조경(노엘 킹스버리) ∙ 한국의 정원 선비가 거닐던 세계(문화의 향기 2)(허균)
∙ 정조, 나무를 심다(김은경)

조경학과가 있는 대학은?

▶ 학과
- 서울: 서울시립대
- 부산: 동아대, 부산대

▶ 관련 학과
- 서울: 경희대(환경조경디자인학과), 건국대(산림조경학과), 국민대(산림환경시스템학과), 서울대(조경·지역
시스템공학부), 서울시립대(융합전공학부 조경학-환경생태도시학전공), 서울여대(원예생명조경학과)
- 부산: 부산대(원예생명과학과)

졸업 후에는 이런 곳으로 갈 수 있어요.

관광조경, 종합엔지니어링업체, 조경디자인사무소, 종합건설업체, 종합조경업체, 국토연구원, 국립생태원, 한국환경


정책평가원, 한국문화관광연구원, 한국건설기술연구원, 한국토지주택공사, 한국도로공사, 한국수자원공사, 한국농어
촌공사, 국립공원관리공단, 도시개발공사, 수자원공사, 도로공사, 교통공사, 식물소재사업, 조경시공회사, 조경설계
사무소, 수목관리사 등

조경학과 인터뷰 살펴보기

∙ 서울시립대 조경학과 ∙ EBS 입시 핫 라인


[03:40] 조경학과
[29:47]

자연계열 179
지 구 환 경 과 학 과

지구환경과학과(지구과학과)는?

지구환경과학과는 지구의 기원 및 진화 과정 등 기본으로 하여 지구의 내부구조, 구성물질, 고환경,


지질학적 이론을 습득하여 과거와 현재, 미래의 지질현상, 지질재해, 광물자원 그리고 에너지자원
지구 환경을 분석·예측하고, 지질자원을 활용할 과 지하수 및 토양을 포함한 지질환경의 오염과
수 있는 전문가를 양성하고 있습니다. 복원을 공부합니다. 이를 통하여 순수학문으로써
최근 국내뿐만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 녹색성장, 지구에 대한 깊이 있는 연구뿐만 아니라 다양한
자원개발, 환경보존 등과 같은 자원·환경 분야를 지질 관련 산업에의 응용을 위한 연구 및 교육을
국가발전의 핵심분야로 선정하여 막대한 투자를 수행합니다.
하고 있습니다. 지구환경과학과에서는 지질학을

필요한 역량은 무엇일까?

∙ 자연과 지구에 대한 탐구심과 호기심


∙ 자연과학뿐 아니라 공학에 대한 기초적인 지식
∙ 지적학의 경우 사회학이나 법학 등 사회과학 지식
∙ 암석이나 자원, 자연환경 등 지구에 대한 호기심
∙ 해양 및 지구를 개척해보려는 학생에게 흥미로운 학문

어떤 과목을 선택해서 배워야 할까?

교과 선택과목
교과(군)
영역 일반선택 진로선택
국어 화법과 작문, 독서, 언어와 매체, 문학

기초 수학 수학Ⅰ, 수학Ⅱ, 미적분, 확률과 통계 기하

영어 영어 회화, 영어Ⅰ, 영어 독해와 작문, 영어Ⅱ

사회(역사, 도덕) 한국지리, 세계지리 여행지리, 사회문제 탐구


탐구 물리학Ⅱ, 화학Ⅱ, 지구과학Ⅱ,
과학 물리학Ⅰ, 화학Ⅰ, 지구과학Ⅰ
과학사, 융합과학

체육 예술

생활 교양 환경

※ 선택과목 안내는 대학별 교육과정에 따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참고용으로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180 청소년을 사로잡는 진로 디자인 2


어떤 책을 읽어야 할까?

∙ 거의 모든 것의 역사(빌 브라이슨) ∙ 정재승의 과학 콘서트(정재승)


∙ 빌 게이츠, 기후 재앙을 피하는 법(빌 게이츠) ∙ 지구라는 행성(최진범 외)
∙ 내가 사랑한 지구(최덕근) ∙ 지구의 이해(John P. Grotzinger 외)
∙ 땅 속에서 과학이 숨쉰다(장순근) ∙ 지질학(정창희 외)
∙ 베개너가 들려주는 대륙 이동 이야기(좌용주) ∙ 천재들의 과학노트(캐서린 쿨렌)
∙ 살아있는 지구의 역사(리처드 포티) ∙ 태양계 여행을 떠나요(박경아)
∙ 야누스의 과학(김명진) ∙ 텅 빈 바다(찰스 클로버)
∙ 얼음의 나이(오코우치 나오히코) ∙ 화석, 지질학 이야기(장순근)

지구환경과학과가 있는 대학은?

▶ 학과
- 서울: 고려대, 서울대
- 부산: 부경대

▶ 관련 학과
- 부산: 부산대(지질환경과학과)

졸업 후에는 이런 곳으로 갈 수 있어요.

지구환경, 지질, 해양, 자원, 건축 등 관련분야, 대학, 중고등학교 교사, 국가산업계(한국석유공사) 한국지질자원연구원,
한국광물자원공사, 해양과학기술원, 국립기상과학원, 국립환경과학원, 환경정책평가연구원, 국가위성센터, 농림기상
연구센터, 현대, 한화, 삼성 등 대기업 연구소, 수자원/농어촌공사, 환경/광해관리/교통안전공단, 자원개발, 항공·해운,
선박·건축, 화학·환경, 건설·기계·재료 대기업 기업계, 대기업 마케팅 부서, 회계·금융회사(탄소배출권 거래)

지구환경과학과 인터뷰 살펴보기

∙ 장윤득 경북대학교 ∙ 부경대 지구환경과학과


지질학과 교수 학과 안내
[TEXT] [03:20]

자연계열 181
통 계 학 과

통계학과는?

통계학과에서는 자료 분석 및 해석에 필수적인 과학적으로 분석하고 결과를 이끌어 내는 이론과


통계이론 교육과 더불어 다양한 분야의 실제 자 방법을 연구하는 학문입니다. 통계학은 통계 이론의
료를 통한 통계분석 방법들을 교육하고 있습니다. 개발과 함께 통계적 방법을 연구할 수 있는 이론
방대해진 정보를 체계적으로 처리·분석하고 이를 통계 분야, 그리고 사회에서 발생하는 문제에 대한
이용하여 미래를 예측할 수 있는 능력이 요구되 실험계획, 회귀분석, 시계열분석, 전산통계, 품질
면서 통계학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으며 통계학은 관리 등을 다루는 응용 통계 분야로 구분할 수 있
수학적 지식을 바탕으로 자연 현상이나 사회 현상, 습니다.
경제 현상 또는 특정 집단의 다양한 특성 및 정보를

필요한 역량은 무엇일까?

∙ 수학을 좋아하고 컴퓨터와 친한 학생


∙ 언론에서 통계가 많이 나오는데 과연 믿을만한 내용인가 꼭 체크하는 학생
∙ 내 생각을 전달하기 위해서는 데이터가 가장 강력한 수단이라고 생각하는 학생
∙ 통계 분야 및 전 학문 영역 간 융합 능력을 갖춘 학생
∙ 다양한 정보를 수집하고 분석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춘 학생
∙ 수리적 개념이 우수하고 통계적 추론 능력이 탁월한 인재
∙ 통계분석 기법 사용 시 컴퓨터활용능력 필요
∙ 정보를 분석하고 추리하는 것과 사회·경제 분야에 흥미를 가진 학생

어떤 과목을 선택해서 배워야 할까?

교과 선택과목
교과(군)
영역 일반선택 진로선택
국어 화법과 작문, 독서, 언어와 매체, 문학
기하, 경제 수학,
기초 수학 수학Ⅰ, 수학Ⅱ, 미적분, 확률과 통계
수학과제 탐구
영어 영어 회화, 영어Ⅰ, 영어 독해와 작문, 영어Ⅱ
사회(역사, 도덕) 경제, 정치와 법, 사회·문화 여행지리, 사회문제 탐구
탐구
과학
체육 예술
생활 교양 논리학, 실용 경제
※ 선택과목 안내는 대학별 교육과정에 따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참고용으로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182 청소년을 사로잡는 진로 디자인 2


어떤 책을 읽어야 할까?

∙ The Cartoon Guide to Statistics(래리 고닉) ∙ 우연의 과학(다케우치 케이)


∙ 괴짜가 사랑한 통계학(그레이엄 테터솔) ∙ 통계 속의 재미있는 세상 이야기(구정화)
∙ 괴짜통계학(김진호) ∙ 재미있는 통계 이야기(더렐 허프)
∙ 벌거벗은 통계학(찰스 윌런) ∙ 통계의 미학(통계는 세상을 움직이는 과학이다)
∙ 빅데이터를 지배하는 통계의 힘(니시우치 히로무) (최제호)
∙ 생명의 수학(이언 스튜어트) ∙ 프로그래머, 수학으로 생각하라(유키 히로시)
∙ 세상에서 가장 쉬운 통계학입문(고지마 히로유키)

통계학과가 있는 대학은?

▶ 학과
- 서울: 고려대, 동국대, 서울대, 서울시립대, 성균관대, 성신여대, 숙명여대, 이화여대, 한국외대
- 부산: 부경대, 부산대

▶ 관련 학과
- 서울: 건국대(응용통계학과), 동덕여대(정보통계학과), 세종대(수학통계학부), 숭실대(정보통계·보험수리학과),
연세대(응용통계학과), 중앙대(응용통계학과)
- 부산: 경성대(빅데이터응용통계학과), 한국해양대(데이터정보학과)

졸업 후에는 이런 곳으로 갈 수 있어요.

금융관련사무원, 금융상품개발원, 보험계리사, 국책금융기관, 민간금융기관, 증권회사, 보험회사, 고용노동부통계


주무관, 국립암센터, 국립중앙의료원, 대법원통계주무관, 세무서, 통계청, 한국보건사회연구원, 한국전력공사, 마케팅
사무원, 통계관련 기업(닐스미디어리서치, 마케팅인사이트 등), 데이터베이스개발자, 시스템소프트웨어개발자, 응용
소프트웨어개발자 등 관련직업 경영기획사무원, 보험관리사, 보험사무원, 보험인수심사원, 수학 및 통계연구원, 시장
및 여론조사전문가, 통계사무원, 통계학과교수 등

통계학과 인터뷰 살펴보기

∙ 부산대학교 통계학과 ∙ EBS 입시 핫 라인


[03:36] 응용통계학과
[28:48]

자연계열 183
해 양 환 경 학 과

해양환경학과는?

해양환경학과는 3면이 바다인 우리나라에서는 부응하여 해양과학 분야의 차세대 전문 인력을


효율적인 해양자원의 활용이 국가발전에 크게 양성하고 관련 연구를 수행하기 위하여 설립된
기여할 것이라고 기대하는 학과입니다. 전 세계의 학과입니다. 해양과학부, 해양환경·해양생명과학부
관심이 집중되고 있는 지구 온난화와 관련한 해양 등으로 명칭이 변경되었고, 현장/이론, 학제 간
환경 및 기후 변화 연구는 인류의 생존 문제를 융합적 사고를 갖춘 해양 과학 분야 전문인을 양
좌우할 중대한 과제입니다. 최근 친환경적이고 성하고 해양 과학 분야 뉴이머징 어젠다에 대응
안전한 연안의 이용 및 관리, 해양환경과 해양 할 수 있는 미래 선도 지도자, 학교에서 획득한
생태계 보전 등이 중요한 이슈가 되고 있습니다. 지식을 현장에서 바로 응용 및 활용 가능한 해양
해양환경학과는 이런 국가 및 시대적 요구에 과학기술 전문인을 육성하려는 학과입니다.

필요한 역량은 무엇일까?

∙ 해양과학기술 전문가가 되기 위한 해양과학기술 전문지식, 창의성, 혁신, 분석적 사고


∙ 해양조사, 연구개발전문가가 되기 위한 해양조사 실무, 분석적 사고, 창의성, 혁신, 의사소통 능력
∙ 바다 환경, 해양 환경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와 인접 학문에 대한 이해를 지닌 학생
∙ 수학, 물리학, 화학, 지질학, 역학 등에 대한 기초적인 학습능력을 지닌 학생
∙ 바다 자체는 물론이고 선박을 비롯한 해양 구조물에 대해서도 관심과 흥미를 지닌 학생

어떤 과목을 선택해서 배워야 할까?

교과 선택과목
교과(군)
영역 일반선택 진로선택
국어 화법과 작문, 독서, 언어와 매체, 문학
기초 수학 수학Ⅰ, 수학Ⅱ, 미적분, 확률과 통계 기하, 수학과제 탐구
영어 영어 회화, 영어Ⅰ, 영어 독해와 작문, 영어Ⅱ
사회(역사, 도덕) 한국지리, 세계지리 여행지리, 사회문제 탐구
탐구 물리학Ⅱ, 화학Ⅱ,
과학 물리학Ⅰ, 화학Ⅰ, 지구과학Ⅰ
지구과학Ⅱ
체육 예술
공학 일반, 창의 경영, 해양
생활 교양 기술·가정, 정보, 제2외국어Ⅰ, 환경
문화와 기술, 지식 재산 일반
※ 선택과목 안내는 대학별 교육과정에 따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참고용으로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184 청소년을 사로잡는 진로 디자인 2


어떤 책을 읽어야 할까?

∙ 기후의 역습(월드워치연구소) ∙ 오래된 미래(라다크로부터 배우다) (헬레나 노르베리 호지)


∙ 노 임팩트 맨(콜린 베번) ∙ 지구별에서 함께 살아가기(인물로 읽는 환경 이야기)
∙ 물의 자연사(앨리스 아웃워터) (박강리)
∙ 바다의 반란 적조(윤양호) ∙ 지구를 살리는 빗물의 비밀(한무영)
∙ 북극곰은 걷고 싶다(남종영) ∙ 침묵의 봄(레이첼 카슨)
∙ 새롭고 적극적인 지구를 살리는 방법 50(존 자브나 외) ∙ 해양생물학(Peter Castro 외)
∙ 세로워진 세계의 바다와 해양생물(김기태) ∙ 해파리의 경고(아름답고 불가사의한 생물)(야스다 토루)
∙ 엔트로피(제레미 리프킨) ∙ 환경철학(박이문)

해양환경학과가 있는 대학은?

▶ 학과
- 서울
- 부산: 한국해양대

▶ 관련 학과
- 서울
- 부산: 부경대(생물공학과)

졸업 후에는 이런 곳으로 갈 수 있어요.

한국과학기술연구원, 한국지질자원연구원, 한국화학연구원,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해양수산부(국립해양조사원, 국립수산과학원 등), 기상청, 환경부(국립환경과학원, 낙동강유역환경청 등), 국립공원
관리공단, 한국환경공단, 한국수자원공사, 환경관련 컨설턴트 기업체 및 벤처기업 등

해양환경학과 인터뷰 살펴보기

∙ 홍성민 인하대학교 ∙ 해양, 생물자원의 보고


해양과학과 교수 그리고 활용/부경대
[TEXT] 생물공학과
[03:36]

자연계열 185
화 학 과

화학과는?

화학은 물질을 구성하고 있는 기본 성분과 고유 현상을 예측할 수 있는 지식을 습득합니다. 물질의


한 성질 및 구조를 이해하고, 이들이 서로 상호작용 화학적 성질을 연구하는 물리화학, 탄소가 포함된
하여 어떠한 반응이 일어나서 어떻게 변환되는지 유기화합물의 성질을 연구하는 유기화학, 금속과
등을 연구하는 학문입니다. 모든 물질이 화학과 관련된 무기물질의 성질 및 합성을 연구하는 무기
관련되어 있기 때문에 순수학문 중에서도 가장 화학, 물질의 양과 성질을 분석하는 분석화학, 생명
기초가 되는 학문임과 동시에 다양한 분야에 응용 과학 분야에 화학적 방법을 적용시키는 생화학
되고, 화학을 응용하여 새로운 의약품을 개발하고, 이외에도 환경화학, 재료화학, 나노화학 등 그 연구
신소재 및 대체에너지 등을 발명하는 등 현대 사 영역이 점차 확대되고 있습니다.
회에 필요한 새로운 물질을 만들어내고 새로운

필요한 역량은 무엇일까?

∙ 화학만큼은 재밌고, 내가 생각할 때 소질이 있는 학생


∙ 회를 먹을 때 레몬즙을 뿌리면, 산-염기 반응을 떠올리는 등 생활 화학의 달인
∙ 실험에 흥미가 있고, 여러 가지 화학 실험도구와 기기를 직접 다루어 보고 싶은 학생
∙ 문제를 해결할 때, 여러 가지 경우의 수를 고려하는 통찰력
∙ 인간의 생활을 널리 이롭게 하는 물질을 탐구하고 싶은 ‘홍익인간’의 정신
∙ 강한 지적 호기심을 바탕으로 실험하는 도전 정신, 탐구력, 창의력
∙ 자연 현상에 대한 호기심과 관찰력, 논리적인 분석력 및 탐구력
∙ 꾸준하고 성실한 연구 자세가 요구되며 새로운 것에 관심을 기울이는 자세

어떤 과목을 선택해서 배워야 할까?

교과 선택과목
교과(군)
영역 일반선택 진로선택
국어 화법과 작문, 독서, 언어와 매체, 문학
기초 수학 수학Ⅰ, 수학Ⅱ, 미적분, 확률과 통계 기하
영어 영어 회화, 영어Ⅰ, 영어 독해와 작문, 영어Ⅱ
사회(역사, 도덕) 여행지리, 사회문제 탐구
탐구 물리학Ⅱ, 화학Ⅱ, 생명과학Ⅱ,
과학 물리학Ⅰ, 화학Ⅰ, 생명과학Ⅰ
과학사, 융합과학
체육 예술
생활 교양 정보, 제2외국어Ⅰ, 환경
※ 선택과목 안내는 대학별 교육과정에 따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참고용으로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186 청소년을 사로잡는 진로 디자인 2


어떤 책을 읽어야 할까?

∙ 같기도 하고 아니 같기도 하고(로알드 호프만) ∙ 생활속의 화학(인류의 꿈을 찾아서)(G.뵈크너 외)


∙ 고교생이 알아야 할 화학 스페셜(서인호) ∙ 역사를 바꾼 17가지 화학이야기(제이 버레슨 외)
∙ 과학쌈지(진정일 교수가 풀어놓은)(진정일) ∙ 연금술(선술과 과학사이)(요시다 미쯔구니)
∙ 날마다 일어나는 화학스캔들 104(Kerry K. Karukstis) ∙ 일상에서 과학을 보다(가전제품의 과학원리)(사토 긴페이)
∙ 멘델레예프의 영재들을 위한 화학 강의(백성혜) ∙ 화학과 범죄(셜록 홈스로부터 현대의 법정까지)
∙ 물(과학의 거울)(K.S.데이비스 외) (사무엘M.거버)
∙ 미술관에 간 화학자(전창림) ∙ 화학으로 이루어진 세상(K.메데페셀헤르만 외)

화학과가 있는 대학은?

▶ 학과
- 서울: 건국대, 경희대, 고려대, 광운대, 동국대, 성균관대, 성신여대, 세종대, 숙명여대, 숭실대, 연세대,
중앙대, 한국외대, 한양대
- 부산: 동아대, 부경대, 부산대

▶ 관련 학과
- 서울: 국민대(전자화학재료전공), 삼육대(화학생명과학과), 서울대(화학생물공학부), 서울여대(화학생명환경과학부),
이화여대(화학생명분자과학부), 중앙대(화학신소재공학부)
- 부산: 동의대(화학환경공학부), 부경대(공업화학과)

졸업 후에는 이런 곳으로 갈 수 있어요.

화학 관련 전공 분야 대학교수 및 중・고등학교 교사, 자연과학/화학공학 시험원, 화학연구원, 화학관련(고무 및 플라


스틱화학공학기술자, 도료 및 농약품화학공학기술자, 비누 및 화장품화학공학기술자, 석유화학공학/음‧식료품화학
공학기술자, 의약품화학공학기술자 등), 산업안전원, 위험관리원, 친환경제품인증심사원, 의약품 영업원, 보건‧의료
관련(향기 치료사/아로마테라피스트), 의약, 석유화학, 반도체, 신소재관련 대기업 및 중소기업, 국책연구소(한국과학
기술연구원, 한국화학연구원 등) 및 기업 연구소, 기타 일반기업, 전문직(변리사 등), 자연과학연구원, 재료공학기술자

화학과 인터뷰 살펴보기

∙ 부경대 화학과 학과소개 ∙ EBS 입시


[02:44] 핫 라인(학과선택) 화학과
[29:24]

자연계열 187
환 경 대 기 과 학 과

환경대기과학과(천문기상학과)는?

환경대기과학과는 지구와 다른 행성들의 대기 그리고 기후 변화 등을 탐구하고 연구하고 교육


에서 일어나는 제 현상들을 응용하는 학문으로, 하며, 최신 관측 장비를 이용하여 대기의 상태를
대기과학 및 환경 문제에 대한 전문 지식과 자질을 측정하고 분석하여 미래의 대기의 상태를 예측하
갖춘 인재를 양성하는 학과입니다. 대기 중에서 며 기후 변화, 대기 오염, 오존층 파괴 등과 같은
일어나는 물리, 화학적 현상에 관한 이론 및 과학 환경 변화도 연구하고 교육합니다. 최근 인간의
적 기술을 습득하여 태풍, 지구온난화 등 전 지구 경제·사회 활동에서 기상의 중요성이 크게 인식
적 기후 환경 변화 및 예측 분야와 대기 오염 및 되고 대기 오염이 날로 심각해지고 있기에 대기
제어 분야 등을 연구합니다. 에 관한 연구의 필요성은 더욱 커지고 있습니다.
대기의 상태, 각종 규모의 대기 운동과 대기 현상,

필요한 역량은 무엇일까?

∙ 뜨거운 열정과 냉철한 지성을 지닌 미래지향적 학생


∙ 21세기 과학 시대를 이끌어갈 자유롭고 창의적인 학생
∙ 수학, 물리학, 지구과학 등 기초과학 과목의 적성과 흥미
∙ 평소 날씨와 환경 분야, 별의 원리와 성질에 관심이 많은 학생
∙ 별을 세심하게 관찰할 수 있는 꼼꼼한 성격
∙ 천문계산을 위해 IT 세대다운 소프트웨어 사용법, 수치계산, 수치적분, 프로그래밍 능력을 갖춘 학생

어떤 과목을 선택해서 배워야 할까?

교과 선택과목
교과(군)
영역 일반선택 진로선택
국어 화법과 작문, 독서, 언어와 매체, 문학
기초 수학 수학Ⅰ, 수학Ⅱ, 미적분, 확률과 통계 기하
영어 영어 회화, 영어Ⅰ, 영어 독해와 작문, 영어Ⅱ
사회(역사, 도덕) 세계지리 여행지리, 사회문제 탐구
탐구 물리학Ⅱ, 지구과학Ⅱ,
과학 물리학Ⅰ, 화학Ⅰ, 지구과학Ⅰ
과학사, 융합과학
체육 예술
생활 교양 정보, 환경
※ 선택과목 안내는 대학별 교육과정에 따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참고용으로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188 청소년을 사로잡는 진로 디자인 2


어떤 책을 읽어야 할까?

∙ 레오나르도 다 빈치가 들려주는 양력 이야기(송은영) ∙ 처음 시작하는 천체관측(나가타 미에)


∙ 십대, 별과 우주를 사색해야 하는 이유(이광식) ∙ 처음 읽는 미래과학 교과서 5(우주과학)(채연석)
∙ 우주로켓(조경철) ∙ 천문학자 닐 타이슨과 떠나는 우주 여행(캡 소시어)
∙ 워렌 버핏이 날씨 시장으로 간 까닭은?(반기성) ∙ 치올콥스키가 들려주는 우주 비행 이야기(송은영)
∙ 일상생활의 기상학(변희룡) ∙ 호킹의 블랙홀(정창훈)

환경대기과학과가 있는 대학은?

▶ 학과
- 서울
- 부산: 부경대, 부산대

▶ 관련 학과
- 서울: 경희대(환경학및환경공학과), 동국대(바이오환경과학과), 서울대(지구환경과학부), 연세대(대기과학과)
- 부산: 부산대(지질환경과학과)

졸업 후에는 이런 곳으로 갈 수 있어요.

천문연구소, 기상연구소, 해양연구소, 항공우주연구소, 인공위성 관련 연구소, 국방과학연구소, 표준과학연구소, 전파


연구소, 국가기상위성센터, 극지연구소, 차세대도시농림융합기상사업단, 한국원자력연구원, 한국항공우주연구원,
한국해양과학기술원, 한국형 수치예보모델 개발사업단, APEC Climate Center, 국립기상과학원, 국립환경과학원,
기상청, 한국기상산업기술원, 한국수자원공사,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항공 우주 산업체, 민간 예보 관련 업체,
항공사, 환경 관련 업체, 언론사, 기후변화전문가, 온실가스인증심사원, 전자통신연구원, 항공우주연구원, 환경공학
기술자, 환경컨설턴트, 기상캐스터, 천문 및 기상학연구원, 대기환경기술자 등

환경대기과학과 인터뷰 살펴보기

∙ [부경대학교 학과소개_ ∙ 기후변화전문가가 되려면


환경대기과학과] 무슨 학과를 가야 할까?
[03:55] (대기과학과)
[03:11]

자연계열 189
2

공학계열 191
05 공학계열
공학계열이란 공학계열은 자연 과학과는 달리 일상 생활을 비롯해 산업에 활용되는 기술을 개발
무엇일까? 할 수 있는 지도적 인재 육성과 이공계 고급 인력 양성을 목표로 합니다. 공학계열은
자연 자체를 대상으로 하는 자연 과학과 달리 기계, 장치 등의 인위적인 자연을
대상으로 하여 실제로 무엇인가를 생산하는 실천 행동에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어떤 분야로 공학계열은 건축, 토목·도시, 교통·운송, 기계·금속, 전기·전자, 정밀·에너지,


구성되어 소재·재료, 컴퓨터·통신, 산업, 화공, 기타로 나뉩니다.
있을까? 건축(건축·설비공학, 건축학, 조경학)
건축물의 설계, 건축, 유지 등을 위한 이론과 기술 설계를 연구하는 건축학과
건축에 관한 구조, 재료, 계획, 공법, 역학, 환경 문제 등을 연구하는 건축공학
으로 구성됩니다.

토목·도시(토목 공학, 도시 공학)


도로, 하천, 도시 계획 등 토목에 관한 이론과 실제를 연구하는 토목공학과 도시
문제의 해결, 도시 계획의 작성 및 실시, 새로운 도시의 건설 등을 연구하는 도시
공학으로 구성됩니다.

교통·운송(지상 교통 공학, 항공학, 해양 공학)


교통의 편리 도모와 물자의 효율적인 수송에 대해 공학적 입장에서 접근하는 분야로
도로 공학, 철도 공학, 항만 공학, 공항 공학 등과 도로 철도 공학으로 구성됩니다.

기계·금속(기계 공학, 금속 공학, 자동차 공학)


기계 및 관련 장치 설비의 설계, 제작, 성능, 이용, 운전 등에 관하여 기초적·응용
적 분야를 연구하는 기계 공학 및 관련 학문과 금속을 연구 대상으로 하는 금속
학과 실용성을 고려한 금속 공학으로 구성됩니다.

전기·전자(전기공학, 전자공학, 제어계측공학)


전기 및 자기에 관한 모든 현상을 탐구하는 전기 공학과 진공 속이나 기체, 고체
내에서의 전자의 운동과 활용 기술에 관한 전자 공학으로 구성됩니다.

정밀·에너지(광학공학, 에너지공학)
정밀도가 높고 극히 작은 오차의 범위가 요구되는 현상 및 기기 등을 공학적으로
연구하는 정밀 공학과 인간 생활을 영위하는데 필요한 에너지를 획득하는 것에
대해 공학적으로 접근하는 에너지 공학으로 구성됩니다.

192 청소년을 사로잡는 진로 디자인 2


소재·재료(반도체 세라믹 공학, 섬유 공학, 신소재 공학, 재료 공학)
철강, 비철금속, 종이, 섬유, 석유 등 여러 산업 분야에서 사용되는 원재료와
금속, 무기, 유기 원료 및 이들을 조합한 원료를 새로운 제조 기술로 제조하여
신소재를 개발하는 재료 공학과 신소재 공학이 해당됩니다.

컴퓨터·통신(전산학·컴퓨터 공학, 응용 소프트웨어 공학, 정보·통신공학)


컴퓨터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프로그래밍, 멀티미디어 자료 및 응용 체제의
개발 및 연구와 관련된 컴퓨터 공학과 라디오, 전화 및 컴퓨터 네트워크 등과
같은 다양한 통신 수단의 개발 및 연구를 하는 통신 공학으로 구성됩니다.

산업(산업 공학)
산업 공학은 한정된 재화, 즉 자본과 물자를 이용하여 최대의 이윤을 얻기 위해
발전된 분야로서, 경영 시스템에 공학적 지식을 더해 시스템의 합리적 운영을 연
구합니다.

화공(화학 공학)
화학 공학은 정유 및 석유 화학 공업, 정밀 화학 공업, 산업 화학 공업을 비롯
하여 환경, 에너지 등의 분야를 포함합니다.

어떤 학과가 건축학과, 게임공학과, 금속공학과, 기계공학과, 기계설계공학과, 도시공학과,


있을까? 산업공학과, 생명공학과, 식품공학과, 신소재공학과, 에너지공학과, 자동차공학과,
전기공학과, 전자공학과, 정보통신공학과, 제어계측공학과, 조선해양공학과, 컴퓨터
공학과, 토목공학과, 항공우주공학과, 항공정비학과, 해양공학과, 화학공학과,
환경공학과

무엇을 공학계열에서는 공학의 기초 이론과 각 분야별 이론과 관련된 과학적 지식을


배울까? 배울 수 있습니다. 과학적 지식을 습득하는데 있어 실용성을 위해 실험과 실습을
병행하여 배우게 됩니다. 물리학, 화학, 수학 등의 기초 과학을 바탕으로 배우는
내용은 전공별로 매우 다양합니다.

공학계열 193
관련 직업 가상현실 전문가 게임기획자 VR게임레벨기획자
[TEXT] [02:40] [03:14]

게임마케터 공간정보시스템전문가 도시 재생 전문가


[04:29] [03:56] [TEXT]

드론 개발자 로봇공학자 메카트로닉스공학기술자


[TEXT] [TEXT] [05:56]

모바일콘텐츠제작자 바이오 의약품 개발 전문가 사물 인터넷 전문가


[03:38] [TEXT] [TEXT]

선박검사원 스마트 그리드 엔지니어 스마트도시 전문가


[18:32] [TEXT] [TEXT]

연료전지시스템연구원 인공지능 전문가 자동차공학기술자


[05:43] [TEXT] [03:35]

194 청소년을 사로잡는 진로 디자인 2


전기선박개발자 전기자동차배터리개발자 전자의료기기개발기술자
[13:40] [04:39] [04:40]

정보 보호 전문가 증강현실엔지니어 지능형교통시스템전문가


[TEXT] [04:17] [04:44]

지열시스템기술자 폐기물에너지화설비기술자 항공우주공학자


[05:51] [07:47] [TEXT]

항공우주엔지니어 해양공학기술자 해양에너지시스템연구원


[04:03] [09:33] [06:14]

공학계열 195
건 축 학 과

건축학과는?

건축 영역은 크게 건축물을 설계하고 건축하기 과정으로 운영됩니다. 최근 디지털 건축에 대한


위한 이론과 기술 체계를 연구하는 건축학과와 관심과 활용이 늘면서 BIM(빌딩정보모델링) 적용을
건축물의 구조, 공법, 재료, 역학 등을 주로 공부 위한 3D 모델링 소프트웨어나 캐드를 활용한 도면
하는 건축공학으로 구분됩니다. 건축학과는 사람 작성 등을 배우기도 합니다. 따라서 건축학과는
들에게 편리하고 효율적인 건축물을 설계하는 것을 종합적인 이론을 바탕으로 창의적으로 건축물을
연구하며, 대학에 따라서 4년제 혹은 5년제 교육 만들 수 있는 인재를 양성하고 있습니다.

필요한 역량은 무엇일까?

∙ 공간 지각, 미술 감각, 복잡한 문제의 관계성을 이해하고 적응하는 능력


∙ 문화적, 기술적, 예술적인 능력의 통합적인 소질
∙ 건축물을 설계하는데 필요한 컴퓨터 능력
∙ 사물에 대한 호기심과 환경에 대한 관심

어떤 과목을 선택해서 배워야 할까?

교과 선택과목
교과(군)
영역 일반선택 진로선택

국어 화법과 작문, 독서, 언어와 매체, 문학

기초 수학 수학Ⅰ, 수학Ⅱ, 미적분, 확률과 통계 기하

영어 영어 회화, 영어Ⅰ, 영어 독해와 작문, 영어Ⅱ

사회(역사, 도덕) 세계사, 경제, 정치와 법 여행지리, 사회문제 탐구


탐구
과학 물리학Ⅰ, 화학Ⅰ 물리학Ⅱ

체육 예술 미술 창작, 미술 감상과 비평

생활 교양 기술·가정

※ 선택과목 안내는 대학별 교육과정에 따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참고용으로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196 청소년을 사로잡는 진로 디자인 2


어떤 책을 읽어야 할까?

∙ 건축, 음악처럼 듣고 미술처럼 보다(서현) ∙ 김석철의 세계건축기행(김석철)


∙ 나의 문화유산 답사기(유홍준) ∙ 에너지 세계 일주(블랑딘 앙투안 외/변광배 외)
∙ 남겨진 역사, 잃어버린 건축물(조너선 글랜시/백자은) ∙ 좋은 길은 좁을수록 좋고 나쁜 길은 넓을수록 좋다(김수근)
∙ 딸과 함께 떠나는 건축여행 1, 2, 3(이용재) ∙ 지혜로 지은 집, 한국 건축(김도경)
∙ 반드시 알아야 할 50 위대한 세계사(이안 크로프턴/박유진, 이시은) ∙ 한국 유교건축에 담긴 풍수 이야기(박정해)

건축학과가 있는 대학은?

▶ 학과
- 서울: 건국대, 경희대, 고려대, 광운대, 국민대, 삼육대, 서울과학기술대, 서울대, 서울시립대, 성균관대, 숭실대,
이화여대, 중앙대, 한양대, 홍익대
- 부산: 경성대, 동명대, 동서대, 동아대, 부경대, 부산대, 신라대, 인제대

▶ 관련 학과
- 서울: 경희대(건축공학과), 고려대(건축사회환경공학부), 국민대(건설시스템공학부), 광운대(건축공학과), 동국대
(건축공학부), 서울대(건설환경공학부), 서울시립대(건축학부 건축공학전공), 성균관대(건설환경공학부),
세종대(건축공학부), 숭실대(건축학부 실내건축전공), 연세대(실내건축학과, 건축공학과), 이화여대(건축
도시시스템공학전공), 중앙대(사회기반시스템공학부 건설환경플랜트공학전공), 연세대(실내건축학과),
한양대(실내건축디자인학과, 건축공학부, 건설환경공학부), 홍익대(건축학부 실내건축학전공)
- 부산: 경성대(실내건축학과), 동명대(건축공학과, 실내건축학과), 동서대(건축공학과), 동아대(건설시스템공학과,
건축공학과), 동의대(건설공학부), 부경대(건축공학과), 부산대(건설융합학부 건축공학전공), 인제대(실내
건축학과), 한국해양대(해양공간건축학부)

졸업 후에는 이런 곳으로 갈 수 있어요.


건설·채굴 관리자, 문화재 보존원(콘서베이터), 인테리어 디자이너, 일반 캐드원(건축 및 토목 제외), 건축 및 토목 캐드원,
부동산 컨설턴트, 건축 공학 기술자, 건축가(건축 설계사), 건축 구조 기술자, 건축 시공 기술자, 건축 감리 기술자, 건축
설비 기술자, 조경 기술자, 도시 계획·설계가, 건설 자재 시험원, 건설 견적원, 친환경 건축 컨설턴트, 전통 건축 기능원,
건축 안전·환경·품질·에너지 관리 기술자, BIM 디자이너, 공무원(건축직), 녹색 건축 전문가, 도시 재생 전문가, 매매 주택
연출가, 쇼핑몰 디벨로퍼, 실업 교사(기술) 등

건축학과 인터뷰 살펴보기

∙ 건축·설비공학과(워크넷) ∙ 김남효, 숭실대학교


[16:18] 건축학부
[05:25]

∙ 조창근, 조선대학교 ∙ 건축학과/건축공학과/


건축공학과 실내건축디자인학과편!
[TEXT] [11:01]

공학계열 197
게 임 공 학 과

게임공학과는?

게임은 단순히 오락, 여가를 넘어 고부가가치를 스마트폰, 게임 콘솔, VR기기, 컴퓨터 등 다양한
창출하는 산업이자, 문화로 자리 잡았습니다. 대 기기에서 작동하는 게임 개발에 필요한 프로그래
학의 게임공학과 등 관련 학과에서는 게임을 만 밍 방법과 게임 기획에 대해 배우게 됩니다. 게임
들기 위해 필요한 게임 기획 및 시나리오 설계, 기획은 크게 전반적인 게임 구성과 규칙을 만드는
게임 프로그래밍, 게임 그래픽 디자인, 게임 애니 시스템 기획자와 게임의 난이도, 사용자의 플레이
메이션 개발, 게임 음악 및 음향, 게임 시스템 구성 패턴 등을 기획하는 레벨 기획자로 구분되기도
및 운영 방법 등 게임 제작에 필요한 전반적인 이 합니다. 게임 기획부터 개발, 디자인에 이르기까지
론을 배우고 실습을 통해 실무 능력을 갖추는데 게임과 관련된 폭넓은 지식을 배우는 것이 게임
교육 목표를 두고 있습니다. 게임공학과에서는 공학과의 특성이라 할 수 있습니다.

필요한 역량은 무엇일까?

∙ 게임 콘텐츠에 대한 관심과 이해
∙ 다양한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게임을 영상으로 표현 및 제작하는 것에 관한 흥미
∙ 게임 관련 프로그램 기획을 위해 다양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다루는 능력과 논리적인 사고력
∙ 게임 관련 분야 진출을 위해 상상력과 아이디어를 갖춘 꼼꼼한 성격

어떤 과목을 선택해서 배워야 할까?

교과 선택과목
교과(군)
영역 일반선택 진로선택
국어 화법과 작문, 독서, 언어와 매체, 문학
기초 수학 수학Ⅰ, 수학Ⅱ, 미적분, 확률과 통계 기하, 수학과제 탐구
영어 영어 회화, 영어Ⅰ, 영어 독해와 작문, 영어Ⅱ
사회(역사, 도덕) 세계사, 사회·문화, 생활과 윤리 여행지리, 사회문제 탐구
탐구
과학 물리학Ⅰ 물리학Ⅱ, 융합과학
체육 예술
공학 일반, 창의 경영,
생활 교양 기술·가정, 정보
지식 재산 일반
※ 선택과목 안내는 대학별 교육과정에 따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참고용으로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198 청소년을 사로잡는 진로 디자인 2


어떤 책을 읽어야 할까?

∙ 게임회사 이런 사람이 필요하다:20인이 말하는 ∙ 라프 코스터의 재미이론(라프 코스터)


20가지 비밀(제우미디어 기획팀) ∙ 게임 크리에이터가 알아야 할 97가지(요시오카 나오토)
∙ 그래도 우리는 게임을 만든다(유영욱) ∙ 웰컴 투 디지털 월드(클라이브 기퍼드)
∙ 누구나 게임을 한다(제인 맥고니걸) ∙ 스티브 잡스(월터 아이작슨)
∙ 스토리 전쟁(조나 삭스) ∙ 게임크리에이터를 꿈꾸는 사람을 위한 게임/기획/개발
∙ 유니티 4 게임 개발의 정석(이득우) (바바 야스히토 외)
∙ 애니메이터 서바이벌 키트(리처드 윌리엄스) ∙ 왜 게임에 빠질까(와타나베 슈우지 외)
∙ 위대한 게임의 탄생(마이클 손턴 와이먼)

게임공학과가 있는 대학은?

▶ 학과
- 서울
- 부산: 동명대

▶ 관련 학과
- 서울: 동국대(멀티미디어공학과), 상명대(SW융합학부 게임전공)
- 부산: 동서대(게임학과), 동의대(디지털콘텐츠게임공학부 게임공학전공)

졸업 후에는 이런 곳으로 갈 수 있어요.

게임 기획자, 게임 레벨 디자이너, 게임 마케터, 게임 방송 프로듀서, 게임 방송 해설가, 게임 운영자, 게임 테크니컬


아티스트, 게임 프로그래머, 모바일 게임 QA 전문가,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개발자, 모바일 커스터머 서포트 엔지니어,
모바일 콘텐츠 개발자, 비디오 게임 디자이너, 응용 소프트웨어 개발자, 컴퓨터 게임 시나리오 작가, 컴퓨터 프로그래머,
게임 그래픽 디자이너, 게임 번역사, 웹 및 멀티미디어 기획자, 웹 및 멀티미디어 디자이너, 게임 음향 기술자, 응용 소프트
웨어 개발자 등

게임공학과 인터뷰 살펴보기

∙ 이형구, ∙ 이강혁, 동명대학교


한국산업기술대학교 게임공학과
게임공학과 [02:15]
[TEXT]

∙ 이병춘, 동서대학교 ∙ 성만규, 계명대학교


게임학과 디지펜게임공학전공
[03:02] [07:41]

공학계열 199
금 속 공 학 과

금속공학과는?

재료 공학 및 금속 공학 관련 학과에서는 일상 각종 물질이 물질의 특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


생활 및 산업 생산의 기본요소인 재료를 다루며, 는가를 밝히고 새로운 기술에 요구되는 새로운
물질의 물리적, 화학적, 기계적, 전기적 및 자기적 재료를 연구・개발합니다. 특히 금속 공학 관련
제 성질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와 응용을 공부합 학과에서는 제철이나 제강에서부터 신소재까지
니다. 철강, 비철 재료 및 신소재 등과 관련한 폭 여러 방면을 다루며, 특히 고체 물리학과 물리
넓고 깊이 있는 연구를 수행하며 재료를 구성하 화학을 바탕으로 산업용 재료로 활용할 수 있는
는 각종 물질의 구조와 조직을 연구합니다. 또한 물질을 개발・개선하는데 주력합니다.

필요한 역량은 무엇일까?

∙ 수학, 화학, 물리 등 기초 과학에 대한 관심


∙ 지적 호기심이 강하고, 복잡하게 꼬인 문제를 차근차근 풀어낼 수 있는 인내심과 노력
∙ (다양한 소재의 본질을 규명하고, 그 소재의 특성을 극대화하여 응용하는 일을 담당하므로) 분석적인
사고력과 혁신적인 성격

어떤 과목을 선택해서 배워야 할까?

교과 선택과목
교과(군)
영역 일반선택 진로선택
국어 화법과 작문, 독서, 언어와 매체, 문학
기초 수학 수학Ⅰ, 수학Ⅱ, 미적분, 확률과 통계
영어 영어 회화, 영어Ⅰ, 영어 독해와 작문, 영어Ⅱ
사회(역사, 도덕) 여행지리, 사회문제 탐구
탐구 물리학Ⅱ, 화학Ⅱ,
과학 물리학Ⅰ, 화학Ⅰ
생활과 과학, 융합과학
체육 예술
공학 일반, 창의 경영,
생활 교양 기술·가정, 정보
지식 재산 일반
※ 선택과목 안내는 대학별 교육과정에 따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참고용으로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200 청소년을 사로잡는 진로 디자인 2


어떤 책을 읽어야 할까?

∙ 과학의 미래 청소년이 묻고 과학자가 답하다(박승덕) ∙ 엔트로피(제레미 리프킨)


∙ 꿈의 물질, 초전도(김찬중) ∙ 재미있는 나노과학기술 여행(금동화)
∙ 나노기술이 세상을 바꾼다(이인식) ∙ 정보통신과 신소재(과학동아 편집부)
∙ 미래사회와 신소재(박상준) ∙ 춤추는 술고래의 수학이야기(레오나르도 믈로디노프)
∙ 부분과 전체(베르너 하이젠베르크)
∙ 파인만의 여섯가지 물리 이야기(리처드 파인만)
∙ 세상의 모든 원소 118(시어도어 그레이)

금속공학과가 있는 대학은?

▶ 학과
- 서울
- 부산: 부경대

▶ 관련 학과
- 서울: 경희대(정보전자신소재공학과), 고려대(신소재공학부), 광운대(전자재료공학과), 국민대(기계금속재료전공, 신소재
공학부, 전자화학재료전공), 동국대(융합에너지신소재공학과), 세종대(나노신소재공학과), 서울과학기술대
(신소재공학과), 서울대(재료공학부), 서울시립대(신소재공학과), 연세대(신소재공학부), 한양대(신소재공학부)
- 부산: 경성대(신소재공학과), 동아대(신소재공학과), 동의대(신소재공학부), 부경대(신소재시스템공학과, 재료
공학과), 부산대(재료공학부), 신라대(신소재공학과), 한국해양대(전자소재공학전공, 해양신소재융합공학과)

졸업 후에는 이런 곳으로 갈 수 있어요.

감정 평가사, 변리사, 항공기 정비원(헬리콥터 제외), 금형원, 재료(금속) 공학 기술자, 금속 공학 기술자, 나노 공학


기술자, 금속·재료 공학 시험원, 석유 화학 공학 기술자, 도료 및 농약 화학 공학 기술자, 비누 및 화장품 화학 공학 기술자,
고무 및 플라스틱 화학 공학 기술자, 음식료품 화학 공학 기술자, 의약품 화학 공학 기술자, 연료 전지 개발 및 연구자,
섬유 공학 기술자, 반도체 공학 기술자 및 연구원, 전자 계측 제어 기술자, 전자 제품 및 부품 개발 기술자, 태양열 연구
및 개발자, 전자 의료 기기 개발 기술자, 태양광 발전 연구 및 개발자, 비파괴 검사원, 자동차 공학 기술자, 나노 소재
연구원, 나노 소재 품질 시험원, 반도체 품질 관리 시험원, 섬유 소재 개발 기술자

금속공학과 인터뷰 살펴보기

∙ 고민성, 부경대 ∙ 박진우, 연세대학교


금속공학과 신소재공학부
[02:19] (금속공학전공)
[04:40]

공학계열 201
기 계 공 학 과

기계공학과는?

기계 공학은 각종 산업 기계와 관련 장치 설비의 산업의 뿌리가 된다고 할 만큼 응용 분야도 매우


설계, 제작, 이용, 관리 등에 관한 이론과 응용 광범위하고 졸업 후 진출 분야도 다양합니다. 최
기술을 탐구하며 자동차, 항공기, 선박을 비롯해 근에는 전기 공학 및 전자 공학 등과의 융합으로
우리 일상 생활과 밀접하게 관련이 있는 크고 작은 예전의 전통적인 기계 공학 학문 분야 이외에도
기계 장치에서부터 대형 산업용 기계에 이르기 ICT와 연계하여 융합 기계 공학, 메카트로닉스
까지 광범위한 영역을 배웁니다. 따라서 다양한 공학, 제어 계측 공학도 함께 발전하고 있습니다.

필요한 역량은 무엇일까?

∙ 기계 작동 원리에 대한 높은 이해력
∙ 자동차, 전기, 전자 등 다양한 분야에 대한 흥미
∙ 실생활에서 사물에 대한 호기심
∙ 수학과 물리학에 대한 이해

어떤 과목을 선택해서 배워야 할까?

교과 선택과목
교과(군)
영역 일반선택 진로선택
국어 화법과 작문, 독서, 언어와 매체, 문학
실용 수학, 기하,
기초 수학 수학Ⅰ, 수학Ⅱ, 미적분, 확률과 통계
수학과제 탐구
영어 영어 회화, 영어Ⅰ, 영어 독해와 작문, 영어Ⅱ
사회(역사, 도덕) 여행지리, 사회문제 탐구
탐구 물리학Ⅱ, 화학Ⅱ,
과학 물리학Ⅰ, 화학Ⅰ, 생명과학Ⅰ
생활과 과학, 융합과학
체육 예술
생활 교양 정보
※ 선택과목 안내는 대학별 교육과정에 따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참고용으로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202 청소년을 사로잡는 진로 디자인 2


어떤 책을 읽어야 할까?

∙ 김대식의 인간 vs 기계(김대식) ∙ 사피엔스(유발 하라리)


∙ 도구와 기계의 원리(데이비드 맥컬레이) ∙ 아웃라이어(말콤 글래드웰/노정태)
∙ 물리학자는 영화에서 과학을 본다(정재승) ∙ 엔트로피(제레미 리프킨)
∙ 미래를 위한 공학 실패에서 배운다(김수삼) ∙ 인간이 그리는 무늬(최진석)
∙ 발명콘서트(스티브파커) ∙ 프레임(나를 바꾸는 심리학의 지혜)(최인철)

기계공학과가 있는 대학은?

▶ 학과
- 서울: 경희대, 고려대, 국민대, 서강대, 서울대, 성균관대, 숭실대, 연세대, 중앙대, 한양대
- 부산: 동명대, 동아대, 부경대, 부산대

▶ 관련 학과
- 서울: 건국대(기계항공공학부), 동국대(기계로봇에너지공학과), 서울과학기술대(기계시스템디자인공학과, 기계·
자동차공학과), 서울시립대(기계정보공학과), 성균관대(기계공학부), 숙명여대(기계시스템학부), 이화여대
(휴먼기계바이오공학전공), 홍익대(기계·시스템디자인공학과)
- 부산: 경성대(메카트로닉스공학전공), 동명대(냉동공조공학과), 동서대(메카트로닉스공학과), 동의대(기계자동차
로봇부품공학부), 부경대(기계설계공학과, 기계시스템공학과, 냉동공조공학과), 부산대(바이오산업기계
공학과), 신라대(융합기계공학과), 한국해양대(기계시스템공학전공, 냉동공조‧에너지시스템공학전공)

졸업 후에는 이런 곳으로 갈 수 있어요.


기계 및 장비 생산업체, 산업 기계 제작 회사, 자동차 생산업체, 자동차 정비 및 검사 업체, 기계직 공무원, 기계 관련 국가
연구소 및 민간 연구소, 기계 공학 기술자, 엔진 기계 공학 기술자, 냉난방 및 공조 공학 기술자, 사무용 기계 공학 기술자,
철도 차량 공학 기술자, 로봇 공학 기술자, 공업 기계 설치 및 정비원, 철도 기관차·전동차 정비원, 자동차 정비원, 일반
기계 조립원, 조선 공학 기술자, 자동차 공학 기술자, 항공 공학 기술자, 드론 개발자, 자동차 튜닝 엔지니어 등

기계공학과 인터뷰 살펴보기

∙ 한양대 기계공학부 ∙ 안형준, 숭실대학교


[06:27] 기계공학과
[02:04]

∙ 김태완, 부경대
기계공학과
[04:11]

공학계열 203
기 계 설 계 공 학 과

기계설계공학과는?

기계 설계 공학 전공은 현대 산업에서 필요로 경제적 운영 기술과 첨단 ICT 융복합 지식을 습득


하는 기계 공학 전반의 기초 학문 및 실용 학문을 합니다. 이를 통하여 설계 및 생산 과정을 이해
배우고 열유체 기계, 공조 냉동 기계, 각종 생산용 하고, 거시적인 안목으로 창의적인 기계 설계를
기계, 에너지 시스템 설계 및 제작 기법과 경제적 할 수 있는 전문 엔지니어 양성에 교육 목표를 두고
운영, 각종 기계 에너지 시스템 설계 및 제작 기법, 있습니다.

필요한 역량은 무엇일까?

∙ 물리, 수학 과목 및 기계에 대한 관심
∙ 급변하는 과학 기술에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는 능력
∙ 타인과의 교류를 좋아하며, 성실하고 강한 책임감
∙ 미래 사회를 이끌어 나갈 수 있는 리더십

어떤 과목을 선택해서 배워야 할까?

교과 선택과목
교과(군)
영역 일반선택 진로선택
국어 화법과 작문, 독서, 언어와 매체, 문학
기초 수학 수학Ⅰ, 수학Ⅱ, 미적분, 확률과 통계 기하, 수학과제 탐구
영어 영어 회화, 영어Ⅰ, 영어 독해와 작문, 영어Ⅱ
사회(역사, 도덕) 여행지리, 사회문제 탐구
탐구
과학 물리학Ⅰ, 화학Ⅰ 물리학Ⅱ, 화학Ⅱ
체육 예술
생활 교양 정보

※ 선택과목 안내는 대학별 교육과정에 따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참고용으로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204 청소년을 사로잡는 진로 디자인 2


어떤 책을 읽어야 할까?

∙ 김대식의 인간 vs 기계(김대식) ∙ 사피엔스(유발 하라리)


∙ 도구와 기계의 원리(데이비드 맥컬레이) ∙ 아웃라이어(말콤 글래드웰/노정태)
∙ 물리학자는 영화에서 과학을 본다(정재승) ∙ 엔트로피(제레미 리프킨)
∙ 미래를 위한 공학 실패에서 배운다(김수삼) ∙ 인간이 그리는 무늬(최진석)
∙ 발명콘서트(스티브 파커) ∙ 프레임(최인철)

기계설계공학과가 있는 대학은?

▶ 학과
- 서울
- 부산: 부경대

▶ 관련 학과
- 서울: 건국대(기계항공공학부), 경희대(기계공학과), 고려대(기계공학부), 국민대(기계공학부), 서강대(기계공학
전공), 서울과기대(기계·자동차공학과, 기계시스템디자인공학과), 서울시립대(기계정보공학과), 서울대
(기계항공공학부 기계공학전공), 성균관대(기계공학부), 세종대(기계항공우주공학부), 숙명여대(기계
시스템학부), 숭실대(기계공학부), 연세대(기계공학부), 이화여대(휴먼기계바이오공학부), 중앙대(기계
공학부), 한양대(기계공학부), 홍익대(기계·시스템디자인공학과)
- 부산: 경성대(기계자동차공학전공, 메카트로닉스공학전공), 동명대(기계공학부), 동서대(메카트로닉스공학과),
동아대(기계공학과), 동의대(기계자동차로봇부품공학부), 부경대(기계공학과, 기계시스템공학과, 기계조선
융합공학과), 부산대(기계공학부), 신라대(융합기계공학과), 한국해양대(기계시스템공학전공)

졸업 후에는 이런 곳으로 갈 수 있어요.

공작 기계 조작원, 기계 공학 기술자, 산업 공학 기술자, 자동차 공학 기술자, 하이브리드 동력 시스템 개발자, 자동차·


중공업·항공 우주·조선·건설·플랜트·전기 전자·반도체 업체 등

기계설계공학과 인터뷰 살펴보기

∙ 강대진, ∙ 김창중, 부경대학교


한국산업기술대학교 기계설계공학과
메카트로닉스공학과 [02:52]
[06:28]

공학계열 205
도 시 공 학 과

도시공학과는?

도시에는 많은 사람들이 거주하거나 생활하면서 공학과’는 복잡한 도시 문제를 해결하고, 미래 도


주택, 교통, 환경 등 다양한 문제가 발생할 수 시를 계획·건설·관리하는 데 필요한 역량과 지식
있어서 보다 쾌적하고 살기 좋은 도시를 원하는 을 갖춘 도시 전문가를 양성하고 있습니다. 사람
사람들의 욕구도 커지고 있습니다. 도시 공학 들의 생활과 관련한 공간을 다루기 때문에 건축,
분야는 도시가 안고 있는 제반 문제를 해결하여 토목, 환경, 기계 등의 공학적 지식뿐만 아니라
삶의 질을 높이고 생활 환경을 효율적으로 계획 법, 행정, 사회, 경제, 경영 등 다양한 인문・사회
하고 개발하기 위한 방법들을 탐구합니다. ‘도시 분야 학문 영역과도 밀접한 관련이 있습니다.

필요한 역량은 무엇일까?

∙ 다양한 분야에 대한 호기심


∙ 생활 공간과 관련한 문제들에 대한 관심
∙ 공간 지각 능력을 토대로 무언가를 설계하고 만드는 것에 대한 흥미
∙ 문제에 대한 전략적 사고 방식과 함께 창의적인 디자인 감각

어떤 과목을 선택해서 배워야 할까?

교과 선택과목
교과(군)
영역 일반선택 진로선택
국어 화법과 작문, 독서, 언어와 매체, 문학
기초 수학 수학Ⅰ, 수학Ⅱ, 미적분, 확률과 통계 기하
영어 영어 회화, 영어Ⅰ, 영어 독해와 작문, 영어Ⅱ
사회(역사, 도덕) 한국지리, 세계지리 여행지리, 사회문제 탐구
탐구 물리학Ⅱ, 화학Ⅱ,
과학 물리학Ⅰ, 화학Ⅰ, 지구과학Ⅰ
지구과학Ⅱ, 융합과학
체육 예술
공학 일반, 창의 경영,
생활 교양 기술·가정, 정보, 환경
지식 재산 일반
※ 선택과목 안내는 대학별 교육과정에 따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참고용으로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206 청소년을 사로잡는 진로 디자인 2


어떤 책을 읽어야 할까?

∙ 건축물은 어떻게 해서 무너지는가(마리오 샐바도리) ∙ 알기 쉬운 도시이야기(경실련 도시개혁센터)


∙ 기후는 역사를 어떻게 만들었는가(브라이언 페이건) ∙ 우리 마을 만들기(김기호 외)
∙ 꿈의 도시 꾸리찌바(박용남) ∙ 인물로 읽는 환경 이야기 지구별에서 함께 살아가기
∙ 나는 튀는 도시보다 참한 도시가 좋다(정석) (박강리)
∙ 내일의 도시(피터 홀) ∙ 작은 도시 큰 기업(모종린)
∙ 대한민국 건설(불가능은 가능이다)(박길숙) ∙ 재미있는 흙 이야기(히메노 켄지 외)
∙ 건축구조 뿌리에서 새순까지(이창남) ∙ 토목을 디자인하다(시노하라 오사무)

도시공학과가 있는 대학은?

▶ 학과
- 서울: 서경대, 서울시립대, 연세대, 한양대, 홍익대
- 부산: 경성대, 동아대, 부산대

▶ 관련 학과
- 서울: 서울시립대(공간정보공학과, 교통공학과)
- 부산: 영산대(스마트시티공학부)

졸업 후에는 이런 곳으로 갈 수 있어요.

감정 평가사, 부동산 컨설턴트, 토목 공학 기술자, 도시 계획·설계가, 교통 계획 및 설계가, 지적 및 측량기술자, 지리 정보


시스템 전문가, 교통 영향 평가원, 공무원(도시계획직), 녹색 건축 전문가, 도시 재생 전문가, 지능형 교통 시스템(ITS)
연구원

도시공학과 인터뷰 살펴보기

∙ 김흥순, 한양대학교 ∙ 이상호, 한밭대학교


도시공학과 도시공학과
[02:55] [TEXT]

공학계열 207
산 업 공 학 과

산업공학과는?

산업 공학은 특정 산업에만 국한된 것이 아닌 있어 사회과학적인 마인드도 많이 필요합니다. 제


전 산업 분야에 모두 응용이 가능한 전공이며, 인력, 품 생산과 전달의 전 과정에서 과학적이고 합리
기계, 기술 등과 관련한 최적의 시스템을 연구합 적으로 산업 시스템을 설계하고 운영하는 일을
니다. 기존 시스템의 문제점을 분석하여 개선점을 담당하는 기술 경영 인재를 양성합니다. 졸업 후
찾아내기 위한 방법과 기술을 공부하며, 물리적인 에는 산업 시스템과 관련한 모든 분야에 종사 가
시스템뿐만 아니라 다양한 조직원의 커뮤니케이 능하기 때문에 제조업뿐만 아니라 서비스업, 유통
션을 이끌고 리더십을 발휘할 수 있는 관리 능력 업, 정보통신업, 금융업 등 진출 분야가 다양하며
도 공부합니다. 따라서 공학에 해당되는 분야이지 마케팅, 인사 관련 업무를 담당하기도 합니다.
만 산업 활동에 대한 ‘경영’과도 밀접한 관련이

필요한 역량은 무엇일까?

∙ 수학, 역학 등의 자연 과학 교과목뿐 아니라 사회 과학 등 다양한 학문 영역에 대한 관심


∙ 생산 활동과 관련한 각종 시스템의 문제점을 진단하고 개선하기 위한 문제 해결 능력, 논리적 사고력,
독창성

어떤 과목을 선택해서 배워야 할까?

교과 선택과목
교과(군)
영역 일반선택 진로선택
국어 화법과 작문, 독서, 언어와 매체, 문학
기초 수학 수학Ⅰ, 수학Ⅱ, 미적분, 확률과 통계 기하, 경제 수학
영어 영어 회화, 영어Ⅰ, 영어 독해와 작문, 영어Ⅱ
사회(역사, 도덕) 경제, 사회·문화 여행지리, 사회문제 탐구
탐구
과학 물리학Ⅰ, 화학Ⅰ 물리학Ⅱ, 화학Ⅱ, 융합과학

체육 예술
공학 일반, 창의 경영,
생활 교양 기술·가정, 정보
지식 재산 일반
※ 선택과목 안내는 대학별 교육과정에 따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참고용으로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208 청소년을 사로잡는 진로 디자인 2


어떤 책을 읽어야 할까?

∙ 경영학 콘서트(장영재) ∙ 산업공학개론(Wayne C. Turner/김성인)


∙ 공학의 마에스트로 산업공학(대한산업공학회) ∙ 생각의 지도(리처드 니스벳)
∙ 괴짜처럼 생각하라(스티븐 레빗) ∙ 스마트 세상을 여는 산업공학(대한산업공학회)
∙ 끝까지 해내는 힘(나카무라 슈지) ∙ 스마트 스웜(피터 밀러)
∙ 링크 21세기를 지배하는 네트워크 과학(알버트 바라바시) ∙ 창조의 탄생(케빈 애슈턴)

산업공학과가 있는 대학은?

▶ 학과
- 서울: 건국대, 서울과학기술대, 서울대, 연세대, 한양대
- 부산: 부산대

▶ 관련 학과
- 서울: 경희대(산업경영공학과), 고려대(산업경영공학부), 동국대(산업시스템공학과), 서경대(물류시스템공학과),
성균관대(시스템경영공학부), 숭실대(산업‧정보시스템공학과), 한국외대(산업경영공학과)
- 부산: 경성대(산업경영공학과), 동아대(산업경영공학과), 동의대(산업융합시스템공학부), 부경대(시스템경영공
학부), 인제대(산업경영공학과). 한국해양대(물류시스템공학과)

졸업 후에는 이런 곳으로 갈 수 있어요.

제품 생산 관련 관리자, 경영 컨설턴트, 품질 인증 심사 전문가, 물류 사무원(물류 관리사), 자재 관리 사무원, 생산 관리


사무원, 항공 운송 사무원, 철도·지하철 운송 사무원, 도로 운송 사무원(배차 사무 포함), 수상 운송 사무원(해상 운송),
변리사, 교통 안전 연구원, 전자 계측 제어 기술자, 전자 제품 및 부품 개발 기술자, 전자 의료 기기 개발 기술자, 컴퓨터
시스템 설계 및 분석가, 정보 시스템 운영자, MIS 전문가(경영 정보 시스템 개발자), 온실 가스 인증 심사원, 품질 관리
사무원, 산업 안전원, 위험 관리원, 산업 공학 기술자, 연구실 안전 전문가 등

산업공학과 인터뷰 살펴보기

∙ 고려대학교 ∙ 성균관대학교
산업경영공학부 시스템경영공학
[05:30] [12:00]

∙ 이종수, 서울대학교 ∙ 한양대 산업공학과


산업공학과 [07:54]
[04:33]

공학계열 209
생 명 공 학 과

생명공학과는?

생명 공학이란 인체를 포함한 모든 생물체의 데 목적을 두고 있습니다. 동물 생명 공학은 동물


유용한 특성을 산업에 이용하기 위해 생화학적인 생리나 동물의 유전 정보를 연구하여 인간의 질
공정을 연구하는 학문으로 산업적으로 유용한 병을 치료하기 위한 신약 개발, 이종 장기 개발,
제품을 만들거나 이러한 제품을 만드는 공정을 유전자 치료에 관련된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개선하기 위한 모든 기술을 연구합니다. 생물학이 분자 생물 공학은 화학을 바탕으로 생명 현상을
단순히 생명 현상에 대한 연구를 목적으로 한다 분자 수준에서 해석하고 주로 의약품과 식품 및
면 생명 공학은 한발 더 나아가 이러한 생명 현상 화학 산업 등의 분야를 대상으로 합니다.
지식들 중 유용한 것을 골라 산업 전반에 응용, 생명 공학과는 이론과 실험을 통한 생명 공학
적용한다는 차이점이 있습니다. 또한 생명 공학은 분야의 기술과 응용력 향상을 목표로 생명공학도
크게 식물 생명 공학, 동물 생명 공학, 분자 생물 로서의 높은 긍지와 사명감을 갖도록 교육합니다.
공학 등을 연구 대상으로 합니다. 식물 생명 공학은 이로써 생명 공학 기술의 핵심 역할을 수행할 과학
식물의 성장 및 발달을 이해하여 친환경적이고 기술자 양성에 교육 목표를 두고 있습니다.
생산성이 높은 작물이나 고기능성 작물을 만드는

필요한 역량은 무엇일까?

∙ 지구상에 존재하는 생명체, 생명 현상 그리고 자연에 대한 관심


∙ 논리적인 사고나 통찰력, 추론적 판단력, 인내심
∙ 생명 현상을 객관적으로 정확하게 보는 관찰력, 도전 정신, 분석력
∙ 자연법칙과 과학적 연구 방법을 이해하고 적용할 수 있는 추론적 판단력
∙ 연구자적인 소양, 기초 과학 과목과 문제 해결에 대한 흥미

어떤 과목을 선택해서 배워야 할까?

교과 선택과목
교과(군)
영역 일반선택 진로선택
국어 화법과 작문, 독서, 언어와 매체, 문학
기초 수학 수학Ⅰ, 수학Ⅱ, 미적분, 확률과 통계 기하
영어 영어 회화, 영어Ⅰ, 영어 독해와 작문, 영어Ⅱ
사회(역사, 도덕) 생활과 윤리 여행지리, 사회문제 탐구
탐구
과학 물리학Ⅰ, 화학Ⅰ, 생명과학Ⅰ 화학Ⅱ, 생명과학Ⅱ, 과학사
체육 예술
생활 교양 환경
※ 선택과목 안내는 대학별 교육과정에 따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참고용으로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210 청소년을 사로잡는 진로 디자인 2


어떤 책을 읽어야 할까?

∙ MT 생명공학(최강열) ∙ 생명과학 교과서는 살아있다


∙ 미래혁명이 시작된다(홍순기) (생명과학이 세상을 구할 것이다)(차형준 외)
∙ 생명공학, 판도라 상자의 열쇠인가? ∙ 영화 속의 바이오테크놀로지
(생명공학 세기의 인간 존엄성)(찰스 콜슨) (영화로 읽는 생명공학 이야기)(박태현)
∙ 생명공학으로의 초대(레이 V. 헤렌) ∙ 이기적 유전자(리처드 도킨스)
∙ 조상 이야기(생명의 기원을 찾아서)(리처드 도킨스)

생명공학과가 있는 대학은?

▶ 학과
- 서울: 고려대, 상명대, 연세대, 한국외대, 한양대
- 부산

▶ 관련 학과
- 서울: 건국대(생물공학과, 시스템생명공학과, 축산식품생명공학과), 경희대(식품생명공학과, 원예생명공학과,
유전생명공학과), 동국대(식품생명공학과), 서경대(나노화학생명공학과), 서울대(식품·동물생명공학부),
성균관대(글로벌바이오메디컬공학과), 성신여대(바이오생명공학과)
- 부산: 경성대(식품생명공학과), 동아대(식품생명공학과, 의약생명공학과), 동의대(바이오응용공학부),
부경대(생물공학과), 부산대(화공생명·환경공학부 화공생명공학전공)

졸업 후에는 이런 곳으로 갈 수 있어요.

생물학 연구원, 생명 정보 학자, 수산학 연구원, 의학 연구원, 약학 연구원, 바이오 에너지 연구 및 개발자, 생명과학
시험원, 변리사, 의약품 영업원, 재료(금속) 공학 기술자, 나노 공학 기술자, 식품 공학 기술자, 환경 공학 기술자, 환경
영향 평가원, 친환경 제품 인증 심사원, 보건 위생·환경 검사원, 곤충 컨설턴트, 생명 과학 연구원, 의약품 인허가 전문가,
의약품 품질 관리원, 특허 사무원

생명공학과 인터뷰 살펴보기

∙ 고려대학교 생명공학부 ∙ 김창경, EBS Culture


[05:30] (4차 산업혁명과
생명공학)
[14:43]

공학계열 211
식 품 공 학 과

식품공학과는?

식품 공학은 생물, 화학, 물리 등을 기초로 한 대해 연구합니다. 식품공학과는 오늘날의 사회가


응용 과학의 하나로써 식품의 효율적인 생산 기술, 요구하는 다양한 식품 개발에 필요한 학문을 중심
제품 개발, 가공, 품질 관리, 식품 위생, 발효 공정, 으로 하고 식품의 저장, 유통, 마케팅 등 식품과
생물 공학적 기법 등 식품 생산에 관련된 기술 관련된 폭넓은 학문과 기술에 대한 전문가 양성에
개발 및 제조 장비 등에 관한 기계적 기술론에 교육 목표를 두고 있습니다.

필요한 역량은 무엇일까?

∙ 인간, 자연, 생명을 중시하는 소양


∙ 성실하고 꾸준히 노력하여 지식을 습득하려는 자세
∙ 주위 사람들과 소통하려는 자세
∙ 첨단 기술을 식품에 응용할 수 있는 창의력 및 응용력

어떤 과목을 선택해서 배워야 할까?

교과 선택과목
교과(군)
영역 일반선택 진로선택
국어 화법과 작문, 독서, 언어와 매체, 문학

기초 수학 수학Ⅰ, 수학Ⅱ, 미적분, 확률과 통계 기하

영어 영어 회화, 영어Ⅰ, 영어 독해와 작문, 영어Ⅱ

사회(역사, 도덕) 경제 여행지리, 사회문제 탐구


탐구
과학 물리학Ⅰ, 화학Ⅰ, 생명과학Ⅰ 화학Ⅱ, 생명과학Ⅱ, 생활과 과학

체육 예술

생활 교양

※ 선택과목 안내는 대학별 교육과정에 따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참고용으로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212 청소년을 사로잡는 진로 디자인 2


어떤 책을 읽어야 할까?
∙ 과학자를 꿈꾸는 젊은이에게(라몬 이 카할/김성준) ∙ DNA(유전자) 무엇이 세계를 움직이는가
∙ 단백질이 없으면 생명도 없다(다케무라 마사하루) (이스라엘 로젠필드/이일권)
∙ 모든 생명은 서로 돕는다(박종무) ∙ 음식고전(한복려/한복진/이소영)
∙ 식탁 위의 과학 분자요리(이시카와 신이치) ∙ 음식으로 읽는 한국 생활사(윤덕노)
∙ 왜 세계의 절반은 굶주리는가(장 지글러) ∙ 자연은 위대한 스승이다(이인식)
∙ 혼밥족을 위한 건강 밥상(이진호)

식품공학과가 있는 대학은?

▶ 학과
- 서울: 고려대, 서울과학기술대
- 부산: 부경대, 부산대

▶ 관련 학과
- 서울: 건국대(식품유통공학과), 경희대(식품생명공학과, 식품영양학과), 국민대(식품영양학과), 동국대(식품생명
공학과), 동덕여대(식품영양학과), 삼육대(식품영양학과), 서울대(식품·동물생명공학부, 식품영양학과), 서울
여대(식품응용시스템학부), 성균관대(식품생명공학), 성신여대(바이오식품공학과), 숙명여대(식품영양학과),
연세대(식품영양학과), 이화여대(식품영양학과), 한양대(식품영양학과)
- 부산: 경성대(식품영양학과), 고신대(식품영양학과), 동명대(식품영양학과), 동서대(식품영양학과), 동아대(식품
영양학과), 동의대(식품영양학과), 부경대(식품영양학과), 부산대(식품영양학과), 신라대(식품영양조리학부)

졸업 후에는 이런 곳으로 갈 수 있어요.

식품 공학 기술자, 영양사, 식품 기업, 화장품 기업, 제약 기업, 바이오 벤처 기업, 식품의약품안전처, 시도 보건 환경직,
농수산식품검역원, 농촌진흥청, 국립수산과학원, 식품 관련 기업 연구소, 한국 식품 개발 연구원, 생명 공학 연구원, 한국
해양과학기술원, 국내외 대학 식품 공학·생명 공학 관련 대학원, 식품 분석 전문 기관, 프랜차이즈, 한국식품안전관리
인증원, 전임상/임상 평가 기관 등

식품공학과 인터뷰 살펴보기

∙ 고려대학교 식품공학과 ∙ 노봉수, 서울여자대학교


[04:58] 식품공학과
[06:34]

∙ 양지영, 부경대학교 ∙ 성균관대학교


식품공학과 식품생명공학과
[03:34] [08:12]

공학계열 213
신 소 재 공 학 과

신소재공학과는?

신소재 공학은 첨단 산업 발전의 핵심적인 역 환경 재료 등의 첨단 재료를 연구·개발합니다.


할을 담당하는 공학 소재의 개발 및 개선을 위한 금속 소재, 세라믹 소재, 전자 소재, 고분자 바이오
학문입니다. 새로운 산업 재료 및 첨단 재료 개발에 소재 등을 연구하며 재료에 대한 기본적인 이론,
대한 산업적 요구에 부응하여 고부가가치 산업에 실험, 실습을 통하여 신소재를 제조하고 가공할
필요한 기술적인 신소재, 생체 재료, 기능 재료, 수 있는 능력도 배웁니다.

필요한 역량은 무엇일까?

∙ 새로운 과학 기술의 발달과 인간 욕구에 대한 이해 능력


∙ 실생활의 다양한 소재에 대한 원리를 잘 이해하고 응용할 수 있는 능력
∙ 수학, 물리, 화학 등 기초 공학 과목에 대한 관심과 이해

어떤 과목을 선택해서 배워야 할까?

교과 선택과목
교과(군)
영역 일반선택 진로선택
국어 화법과 작문, 독서, 언어와 매체, 문학

기초 수학 수학Ⅰ, 수학Ⅱ, 미적분, 확률과 통계 기하, 수학과제 탐구

영어 영어 회화, 영어Ⅰ, 영어 독해와 작문, 영어Ⅱ

사회(역사, 도덕) 경제 여행지리, 사회문제 탐구


탐구 물리학Ⅱ, 화학Ⅱ,
과학 물리학Ⅰ, 화학Ⅰ, 생명과학Ⅰ
생활과 과학, 융합과학

체육 예술

생활 교양

※ 선택과목 안내는 대학별 교육과정에 따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참고용으로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214 청소년을 사로잡는 진로 디자인 2


어떤 책을 읽어야 할까?

∙ 진정일 교수의 교실밖 화학 이야기(진정일) ∙ 이공대생을 위한 수학특강(박석재)


∙ 과학자가 되는 길 ∙ 재미난 화학 이야기(청소년과학총서)(윤실)
(미국과학한림원/미국공학한림원/미국의학한림원) ∙ 재미있는 나노과학기술 여행(금동화)
∙ 꿈의 물질, 초전도(김찬중) ∙ 창의력 교육 어떻게 할 것인가?
∙ 미래사회와 신소재(박상준) (앨런 조던 스타코/이남진)
∙ 앨런 튜링(짐 오타비아니/릴런드 퍼비스/김아림) ∙ 천재들의 과학 노트(캐서린 쿨렌)

신소재공학과가 있는 대학은?

▶ 학과
- 서울: 고려대, 국민대, 서울과학기술대, 서울시립대, 연세대, 한양대
- 부산: 경성대, 동아대, 동의대, 신라대

▶ 관련 학과
- 서울: 경희대(정보전자신소재공학과), 동국대(융합에너지신소재공학과), 서울대(재료공학과), 세종대(나노신소재
공학과), 이화여대(화학신소재공학전공), 중앙대(화학신소재공학부)
- 부산: 경성대(화학신소재학과), 부경대(신소재시스템공학과), 부산대(바이오소재과학과), 한국해양대(해양신소재
융합공학과)

졸업 후에는 이런 곳으로 갈 수 있어요.

반도체 제조업체, 반도체 장비 및 소재 관련 기업, 비철 금속 제련업체, 금속 가공업체, 자동차, 조선, 항공기 제조업체,
염색 가공업체, 반도체, 금속, 신소재, 섬유 및 가공 관련 국가 연구소 및 민간 연구소, 나노 공학 기술자, 비누 및 화장품
화학 공학 기술자, 섬유 공학 기술자, 고무 및 플라스틱 화학 공학 기술자, 석유 화학 공학 기술자, 전자 계측 제어 기술자,
비파괴 검사원, 나노 소재 연구원 등

신소재공학과 인터뷰 살펴보기

∙ 권명석, 서울시립대학교 ∙ 고려대 신소재공학부


신소재공학과 [04:04]
[08:27]

∙ 권한상, 부경대학교 ∙ 신소재공학부(한양대학교


신소재시스템공학과 전공안내영상)
[05:13] [07:08]

공학계열 215
에 너 지 공 학 과

에너지공학과는?

도로를 달리고 있는 자동차, 손목에서 째깍거리 에너지 부족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에너지 자원


고 있는 시계, 더운 여름을 시원하게 해주는 에어 기술 개발을 할 수 있는 에너지 전문 인력을 양성
컨 등 우리가 일상 생활에서 자주 사용하고 있는 하는 데 힘쓰고 있습니다. 또한 지구 온난화와 관
물건들을 움직이게 하는 것이 바로 에너지입니다. 련이 있는 온실가스 감축, 탄소 배출권 확보 등
에너지공학과는 한정된 에너지를 합리적이고 경 녹색 산업의 성장이 국가 발전에 매우 중요한 역
제적으로 사용하는 방법을 연구하며, 기존 에너지 할을 함에 따라 에너지공학과의 중요성도 더욱
를 사용 가능한 에너지로 전환하기 위해서 에너 커질 것으로 예상됩니다.
지의 특성에 대해서 배웁니다. 에너지공학과는

필요한 역량은 무엇일까?

∙ 새로운 것을 찾아내고 응용하는 것을 좋아하는 성격


∙ 집중력과 꼼꼼하고 차분한 성품
∙ 화학, 물리, 수학 등 기초 과학에 대한 관심과 지식

어떤 과목을 선택해서 배워야 할까?

교과 선택과목
교과(군)
영역 일반선택 진로선택
국어 화법과 작문, 독서, 언어와 매체, 문학
기초 수학 수학Ⅰ, 수학Ⅱ, 미적분, 확률과 통계 기하
영어 영어 회화, 영어Ⅰ, 영어 독해와 작문, 영어Ⅱ
사회(역사, 도덕) 경제 여행지리, 사회문제 탐구
탐구 물리학Ⅱ, 화학Ⅱ,
과학 물리학Ⅰ, 화학Ⅰ, 생명과학Ⅰ, 지구과학Ⅰ
지구과학Ⅱ
체육 예술
생활 교양

※ 선택과목 안내는 대학별 교육과정에 따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참고용으로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216 청소년을 사로잡는 진로 디자인 2


어떤 책을 읽어야 할까?
∙ 공학의 눈으로 미래를 설계하라(연세대학교 공과대학) ∙ 세상을 바꾼 다섯 개의 방정식(마이클 길롄/서윤호)
∙ 공학이란 무엇인가(성풍현 외) ∙ 엔트로피(제레미 리프킨)
∙ 교양있는 엔지니어(새뮤얼 C. 플러먼) ∙ 자원전쟁(천연자원을 둘러싸고 벌어지는 새로운 냉전의 시대)
∙ 깨끗한 부자(김동호) (김태희)
∙ 바보야, 이제는 이공계야(백일승) ∙ 정글만리(조정래)
∙ 석유 욕망의 샘(김재명)

에너지공학과가 있는 대학은?

▶ 학과
- 서울: 서울대, 한양대
- 부산: 부경대, 한국해양대

▶ 관련 학과
- 서울: 건국대(미래에너지공학과), 경희대(원자력공학과), 동국대(기계로봇에너지공학과), 서울대(원자핵공학과),
성신여대(청정융합에너지공학과), 이화여대(기후‧에너지시스템공학전공), 중앙대(에너지시스템공학부),
한양대(원자력공학과)
- 부산: 부산대(나노에너지공학과), 동아대(환경·에너지공학부), 인제대(미래에너지공학과)

졸업 후에는 이런 곳으로 갈 수 있어요.

에너지 산업 관련 회사, 신재생 에너지 관련 회사, 석유 화학·정유·정밀 화학·엔지니어링·반도체 관련 기업체, 에너지


관련 민간·국가 연구소, 에너지 관련직 공무원, 바이오 에너지 연구 및 개발자, 신재생 에너지 사업자, 에너지 시험원,
에너지 진단 전문가, 원자력 공학 기술자, 바이오 에너지 연구 및 개발자, 태양열 연구 및 개발자, 풍력 발전 연구 및
개발자, 에너지 시험원, 에너지 공학 기술자 등

에너지공학과 인터뷰 살펴보기

∙ 한양대학교 에너지공학과 ∙ 이영무, 한양대학교


[07:48] 에너지공학과
[05:16]

∙ 최요순, 부경대학교 ∙ 한국해양대학교


에너지자원공학과 에너지자원공학전공
[03:00] [04:22]

공학계열 217
자 동 차 공 학 과

자동차공학과는?

자동차공학은 자동차 제작에 필요한 다양한 이론 분야, 자동차 성능해석 분야, 자동차와 환경 분야
연구와 새로운 기술 개발을 통해 자동차 산업을 등이 있습니다. 최근 자동차는 기계 장치를 넘어
발전시키는 첨단 분야입니다. 주로 다루는 분야는 첨단 ICT가 결합하는 추세이고 친환경 자동차에
자동차 내부 기관에 들어갈 기계를 연구하는 내연 대한 관심도 점차 높아지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기관 분야, 자동차의 외장을 연구하는 자동차 섀시 미래에는 사람들의 삶을 더욱 더 풍요롭게 해 줄
분야, 전기와 전자를 연구하는 자동차 전기·전자 수 있는 첨단 기술을 이용한 다양한 종류의 자동
분야, 차량의 움직임과 힘의 원리를 연구하는 차량 차가 개발될 것이므로 자동차공학과의 전망도 밝을
동역학 분야가 있습니다. 이외에도 자동차 설계 것으로 예상됩니다.

필요한 역량은 무엇일까?

∙ 다양한 공학 지식과 이론을 응용할 수 있는 능력


∙ 기계, 항공, 전기, 전자, 디자인, 심리학 등 인접 학문에 대한 흥미
∙ 수학, 물리 등 기초 과학에 대한 기본적인 지식

어떤 과목을 선택해서 배워야 할까?

교과 선택과목
교과(군)
영역 일반선택 진로선택
국어 화법과 작문, 독서, 언어와 매체, 문학
기초 수학 수학Ⅰ, 수학Ⅱ, 미적분, 확률과 통계 기하, 수학과제 탐구
영어 영어 회화, 영어Ⅰ, 영어 독해와 작문, 영어Ⅱ
사회(역사, 도덕) 경제 여행지리, 사회문제 탐구
탐구 물리학Ⅱ, 화학Ⅱ,
과학 물리학Ⅰ, 화학Ⅰ, 생명과학Ⅰ
생활과 과학, 융합과학
체육 예술
생활 교양 기술·가정, 정보

※ 선택과목 안내는 대학별 교육과정에 따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참고용으로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218 청소년을 사로잡는 진로 디자인 2


어떤 책을 읽어야 할까?

∙ CATIA(카티아) 쉽게 따라하기(정경애) ∙ 메이커 다은쌤의 TINKERCAD & FDM 3D PRINTING 세트


∙ KS 기계제도 도면해독법&작성법(이광수) (전다은)
∙ NEW 재미있는 물리 여행(루이스 캐럴 엡스타인) ∙ 박막례, 이대로 죽을 순 없다(박막례, 김유라)
∙ What's 전기자동차 속이 보인다(GB기획센터) ∙ 생쥐와 인간(존 스타인벡)
∙ 도구와 기계의 원리(데이비드 맥컬레이) ∙ 엔트로피(제레미리프킨)
∙ 자동차 속의 물리이야기(베리 파커)

자동차공학과가 있는 대학은?

▶ 학과
- 서울: 국민대, 한양대
- 부산: 동명대

▶ 관련 학과
- 서울: 서울과학기술대(기계·자동차공학과), 서울시립대(기계정보공학과)
- 부산: 경성대(기계자동차공학전공), 신라대(자동차기계공학과), 영산대(기계‧자동차공학부), 인제대(전자IT기계
자동차공학부)

졸업 후에는 이런 곳으로 갈 수 있어요.

각종 기계 및 장비 관련 생산업체, 산업 기계 제작 회사, 자동차 생산업체, 자동차 부품 설계 및 생산업체, 자동차 정비


및 검사업체, 기계직 공무원, 기술, 기계, 통신 관련 연구소, 자동차 튜닝 엔지니어, 철도 차량 공학 기술자, 철도 기관차
및 전동차 정비원, 레이싱 미캐닉, 자동차 영업원, 자동차 부품 기술 영업원 등

자동차공학과 인터뷰 살펴보기

∙ 한양대 미래자동차공학과 ∙ 자동차공학과 수업에


[06:19] 도전한다(커리어넷)
[06:24]

∙ 허승진, 국민대학교
자동차공학과
[10:11]

공학계열 219
전 기 공 학 과

전기공학과는?

‘전자공학’이 고체, 기체, 진공 내에서의 전자 적으로 생산하고 운송하는 데 필요한 재료, 부품,
운동을 탐구하여 반도체, 전자 회로, 통신 등에 대한 시스템에 관해서 배웁니다. 또한 전기 에너지에
연구를 한다면, ‘전기공학’은 전기 및 자기의 흐름에 관한 연구 이외에도 인간 생활을 쾌적하게 만들어
대해 탐구하고 이것을 실생활에 응용하기 위한 주는 첨단 생활 기기, 제반 사회 시스템의 자동화
분야입니다. 전기공학과는 전기를 생산할 수 있는 및 정보화, 정보 문화 생활의 도구인 컴퓨터 등
화석 연료, 수력, 원자력, 풍력, 태양열 등의 에너 다양한 영역에 대해서 공부합니다.
지원에 대해서 공부하며, 변환된 에너지를 효율

필요한 역량은 무엇일까?

∙ 빠르게 발전하는 전기‧전자 분야 특성에 대한 이해 능력


∙ 새로운 것에 대한 호기심과 열정
∙ 복잡한 시스템 구조를 분석하고 잘 이해 할 수 있는 능력
∙ 수학, 물리에 대한 흥미와 더불어 복잡한 수식을 계산할 수 있는 능력

어떤 과목을 선택해서 배워야 할까?

교과 선택과목
교과(군)
영역 일반선택 진로선택
국어 화법과 작문, 독서, 언어와 매체, 문학
기초 수학 수학Ⅰ, 수학Ⅱ, 미적분, 확률과 통계 기하, 수학과제 탐구
영어 영어 회화, 영어Ⅰ, 영어 독해와 작문, 영어Ⅱ
사회(역사, 도덕) 여행지리, 사회문제 탐구
탐구 물리학Ⅱ, 화학Ⅱ,
과학 물리학Ⅰ, 화학Ⅰ, 생명과학Ⅰ, 지구과학Ⅰ
생활과 과학
체육 예술
생활 교양 정보, 환경

※ 선택과목 안내는 대학별 교육과정에 따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참고용으로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220 청소년을 사로잡는 진로 디자인 2


어떤 책을 읽어야 할까?
∙ 미래를 여는 에너지(안젤라 로이스턴) ∙ 엔트로피(제레미 리프킨)
∙ 신 재생 에너지(윤천석 외) ∙ 지식재산의 이해(한국발명진흥회)
∙ 십 대가 알아야 할 인공지능과 4차 산업혁명의 미래 ∙ 청소년을 위한 이야기 과학사(위르겐 타이히만)
(전승민) ∙ 클라우스 슈밥의 제4차 산업혁명 THE NEXT
∙ 에너지 위기, 어떻게 해결할까?(이은철) (클라우스 슈밥)
∙ 에너지 혁명 2030(토니 세바) ∙ 호박에도 전기가 흐른다(김성수)

전기공학과가 있는 대학은?
▶ 학과
- 서울: 광운대, 숭실대
- 부산: 경성대, 동명대, 동아대, 부경대, 부산대

▶ 관련 학과
- 서울: 건국대(전기전자공학부), 고려대(전기전자공학부), 동국대(전자전기공학부), 상명대(SW 융합학부 전기공학
전공), 서울과학기술대(전기정보공학과), 서울대(전기·정보공학부), 서울시립대(전자전기컴퓨터공학부),
성균관대(전자전기공학부), 연세대(전기전자공학부), 이화여대(차세대기술공학부 전자전기공학전공),
중앙대(전자전기공학부), 한양대(전기·생체공학부 전기공학전공), 홍익대(전자·전기공학부)
- 부산: 동의대(전기전자통신공학부), 신라대(전기전자공학과), 영산대(전기전자공학부), 한국해양대(전기전자공학
전공)

졸업 후에는 이런 곳으로 갈 수 있어요.


에너지, 반도체, 정보 통신, 가전 기기 산업체, 전기 관련 제조업체, 건설 회사, 위성 통신 및 위성 방송 관련 업체, 첨단
의료 장비 제조업체, 전기 관련 공무원, 전기·전자 관련 국가·민간 연구소, 전기·가스·수도 관리자, 변리사, 전기 감리
기술자, 송·배전 설비 기술자, 전기 기기·제품 개발 기술자 및 연구원, 전기 계측 제어 기술자(전기 패널, 계장, 공정
자동화 전기 등), 발전 설비 기술자, 전기·전자 공학 시험원, 외내선 전기공(건물 내 전기공사원), 통신 공학 기술자, 통신
기기·장비 기술자, 통신망 운영 기술자, 인공위성 개발원, 통신기술 개발자 등

전기공학과 인터뷰 살펴보기

∙ 이개명, 제주대학교 ∙ 최영호, 건국대학교


전기공학과 전기공학과
[TEXT] [05:30]

∙ 신라대학교 ∙ 김장현, 부경대학교


스마트전기전자공학부 전기공학과
[01:13] [03:10]

공학계열 221
전 자 공 학 과

전자공학과는?

전자 공학은 인간의 삶을 편리하게 해 주는 기 학과에서는 산업체, 연구 기관, 교육 분야 등에서


계를 만드는 방법에 대해서 공부합니다. 컴퓨터, 필요로 하는 능력과 전문 기술을 갖춘 인력을 양
반도체, 이동 통신, 가전, 로보틱스, 영상 등 다양 성하며, 많은 대학에서 최근의 융복합 IT시대에
한 분야의 기술 발전을 주도하며 정보화, 자동화 부합하는 학과와 교육과정을 운영 중입니다.
시대의 핵심 분야이기도 합니다. 전자 공학 관련

필요한 역량은 무엇일까?

∙ (복잡한 수식을 계산할 수 있는 능력이 필요하므로) 수학과 물리학에 대한 흥미


∙ 기술이 빠르게 발전하는 전자 분야의 특성에 대한 이해도
∙ 새로운 것에 대한 호기심과 열정

어떤 과목을 선택해서 배워야 할까?

교과 선택과목
교과(군)
영역 일반선택 진로선택
국어 화법과 작문, 독서, 언어와 매체, 문학

기초 수학 수학Ⅰ, 수학Ⅱ, 미적분, 확률과 통계 기하, 수학과제 탐구

영어 영어 회화, 영어Ⅰ, 영어 독해와 작문, 영어Ⅱ

사회(역사, 도덕) 여행지리, 사회문제 탐구


탐구
과학 물리학Ⅰ, 화학Ⅰ 물리학Ⅱ, 화학Ⅱ, 융합과학

체육 예술

공학 일반, 창의 경영,
생활 교양 기술·가정, 정보
지식 재산 일반

※ 선택과목 안내는 대학별 교육과정에 따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참고용으로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222 청소년을 사로잡는 진로 디자인 2


어떤 책을 읽어야 할까?
∙ 뜯고 태우고 맛보고, 몸으로 배우는 짜릿짜릿 전자회로 ∙ 만화로 쉽게 배우는 전자회로(켄이치 타카나)
DIY(찰스 플랫) ∙ 무지개 원리(차동엽)
∙ 십 대가 알아야 할 인공지능과 4차 산업혁명의 미래(전승민) ∙ 세상에서 가장 재미있는 물리학(아트 후프만)
∙ IT 삼국지(김정남) ∙ 수학 없는 물리(파울 G. 헤위트)
∙ 같기도 하고 아니 같기도 하고(로얼드 호프만) ∙ 실용주의 프로그래머(앤드류 헌트)
∙ 뉴턴의 프린키피아(안상현) ∙ 일렉트릭 유니버스(데이비드 보더니스)
∙ 대한민국 IT史 100(김중태) ∙ 잡스처럼 꿈꾸고 게이츠처럼 이뤄라(이창훈)
∙ 마이크로 프로세서(남시병 외) ∙ 파인만의 여섯가지 물리 이야기(리처드 파인만)

전자공학과가 있는 대학은?
▶ 학과
- 서울: 경희대, 광운대, 국민대, 서강대, 서경대, 숙명여대, 숭실대, 한국외대
- 부산: 경성대, 동아대, 부경대, 부산대

▶ 관련 학과
- 서울: 건국대(전기전자공학부), 고려대(반도체공학과, 전기전자공학부), 국민대(지능형반도체융합전자전공,
전자시스템공학전공, 지능전자공학전공), 동국대(전자전기공학부), 성균관대(전자전기공학부), 연세대
(시스템반도체공학과, 전자전기공학부), 중앙대(전자전기공학부), 한양대(융합전자공학부), 홍익대(전자·
전기공학부)
- 부산: 부산외대(전자로봇공학과), 신라대(전기전자공학과), 영산대(전기전자공학과), 한국해양대(전기전자공학
전공, 전자통신공학전공)

졸업 후에는 이런 곳으로 갈 수 있어요.


변리사, 드론 조종사, 로봇 공학 기술자, 반도체 장비 기술자, 반도체 공학 기술자 및 연구원, 전자 계측 제어 기술자, 전자
제품 및 부품 개발 기술자, LED 연구 및 개발자, 태양열 연구 및 개발자, 발전 설비 기술자, 전자 의료 기기 개발 기술자,
태양광 발전 연구 및 개발자, 전기·전자 공학 시험원, RFID 시스템 개발자, 컴퓨터 시스템 설계 및 분석가, 시스템 소프트
웨어 개발자(프로그래머), 응용 소프트웨어 개발자, 데이터베이스 개발자, 네트워크 관리자(클라우딩컴퓨터운영관리자),
정보 시스템 운영자, 드론 개발자, 사물인터넷(IOT) 개발자, 스마트 헬스 케어 기기 개발자, 입체(3D) 프린터 개발자, 첨단
의료 장비 개발자 등

전자공학과 인터뷰 살펴보기

∙ 동아대학교 전자공학과 ∙ 직업과 학과 전자공학과


[03:07] [03:30]

공학계열 223
정 보 통 신 공 학 과

정보통신공학과는?

정보・통신 공학은 정보를 빠르고 안정적으로 관련 학과에서는 통신 공학에 대한 이론을 비


전송하기 위한 방법을 연구하고 데이터 통신과 롯해 정보 수집 및 관리 기술, 정보 분석, 정보 처리,
광 통신 등을 연구하는 첨단 분야로 각종 인터넷 컴퓨터 시스템, 네트워크, 인공 지능에 대한 다양
이나 스마트폰 등을 비롯해 항공기, 자동차 등에 한 과목을 통해 졸업 후 유·무선 통신 관련 분야,
적용을 위한 것까지 포괄합니다. 유·무선과 컴퓨터 네트워크 관리 분야, IT 기기 개발 분야 등으로
통신 기술을 활용하여 정보를 전달하는 방법을 진출합니다.
개발하는 인력을 양성합니다.

필요한 역량은 무엇일까?

∙ (컴퓨터와 정보통신은 서로 밀접한 관련이 있기 때문에) 서로의 영역에 대한 이해도


∙ 수학·통계·물리 등에 대한 기본 지식과 전기 전자 공학에 대한 기초 지식
∙ 논리적인 사고력과 과학적인 응용력 및 정확한 판단력
∙ 기계나 사물의 원리에 대한 호기심과 탐구심

어떤 과목을 선택해서 배워야 할까?

교과 선택과목
교과(군)
영역 일반선택 진로선택
국어 화법과 작문, 독서, 언어와 매체, 문학
기초 수학 수학Ⅰ, 수학Ⅱ, 미적분, 확률과 통계 기하
영어 영어 회화, 영어Ⅰ, 영어 독해와 작문, 영어Ⅱ
사회(역사, 도덕) 여행지리, 사회문제 탐구
탐구
과학 물리학Ⅰ, 화학Ⅰ, 지구과학Ⅰ 물리학Ⅱ, 융합과학
체육 예술
공학 일반, 창의 경영,
생활 교양 기술·가정, 정보
지식 재산 일반
※ 선택과목 안내는 대학별 교육과정에 따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참고용으로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224 청소년을 사로잡는 진로 디자인 2


어떤 책을 읽어야 할까?
∙ 명품 C++ Programming(황기태) ∙ 만화로 쉽게 배우는 전자회로(켄이치 타나카)
∙ IT 삼국지(김정남) ∙ 미래를 바꾼 아홉 가지 알고리즘(존 맥코믹)
∙ JAVA JSP를 배워 ORACLE JDBC로 완성하는 웹 ∙ 세상을 바꾼 작은 우연들(마리 노엔 샤를)
프로그래밍(권기현) ∙ 인공지능과 딥러닝(마쓰오 유타카)
∙ 경영정보시스템(케니스 C. 라우던) ∙ 일렉트릭 유니버스(데이비드 보더니스)
∙ 공학 인증을 위한 실무 시스템 개발체계(김상춘) ∙ 정보통신 배움터(정진욱))
∙ 대한민국 IT史 100(김중태)

정보통신공학과가 있는 대학은?
▶ 학과
- 서울: 동국대, 한국외대
- 부산: 경성대, 동서대, 부경대

▶ 관련 학과
- 서울: 건국대(스마트ICT융합공학과), 광운대(전자융합공학과, 전자통신공학과), 상명대(지능‧데이터융합학부
휴먼지능정보공학전공), 서울과학기술대(전자IT미디어공학과), 성신여대(융합보안공학과),
세종대(전자정보통신공학과), 한양대(정보시스템학과)
- 부산: 한국해양대(전파공학과)

졸업 후에는 이런 곳으로 갈 수 있어요.

정보 통신 관리자, 사이버 수사 요원, 풍력 발전 시스템 운영 관리자, 통신 기술 개발자, 디지털 영상 처리 전문가, 모바일


앱 개발자, 정보 시스템 운영자, 정보 통신 컨설턴트,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 개발자, 인공 지능전문가, 지리 정보시스템
전문가, 통신 공학 기술자, 통신 장비 기술자, 가상(증강)현실전문가, 데이터베이스 개발자, 통신 장비 기사, 증강 현실
전문가, 지능형 교통 시스템(ITS) 연구원, 컴퓨터 강사, 컴퓨터 하드웨어 기술자, 통신기기·장비 기술자, 시스템 소프트
웨어 개발자(프로그래머), 음성 처리 전문가, 네트워크 관리자(클라우딩 컴퓨터 운영 관리자), 방송 송출 장비 기사, 네트
워크 프로그래머, 변리사, 핸드폰(휴대폰) 수리원, 통신망 운영 기술자, 응용소프트웨어 개발자, 컴퓨터 프로그래머, 게임
프로그래머, 네트워크 엔지니어, 컴퓨터 보안 전문가, 컴퓨터 시스템 감리 전문가, 사물인터넷(IOT) 개발자, 항공 교통
관제사 등

정보통신공학과 인터뷰 살펴보기

∙ 김기창, 인하대학교 ∙ 류지열, 부경대학교


정보통신공학과 정보통신공학과
[TEXT] [03:45]

∙ 임대운, 동국대학교 ∙ 이석호, 동서대학교


정보통신공학과 [03:58] 정보통신공학과 [02:12]

공학계열 225
제 어 계 측 공 학 과

제어계측공학과는?

제어 계측 공학은 제어와 센서 기술을 기반으로 전자 분야, 컴퓨터 분야, 메카트로닉스 분야 등이


기계에서부터 전기, 전자, 컴퓨터 등에 이르기까지 있습니다. 전기 및 전자공학을 기반으로 IT와 관
다양한 기술을 연결하여 활용할 수 있게 연구하는 련된 여러 가지 도구와 관련된 학문을 학습하여,
학문으로서, 컴퓨터와 산업용 로봇을 이용해서 로봇, 반도체, 제조 장비를 만드는 곳의 온도 제어
자동화로 물건을 생산하는 과정 등이 이에 해당 및 위치 제어 등도 공부합니다.
합니다. 학과 주요 분야로는 기계 분야, 전기 분야,

필요한 역량은 무엇일까?

∙ 빠른 기술 사회에 적응하고자 하는 탐구심과 열정


∙ 힘들고 어려운 과제에도 끝까지 해결하고자 하는 인내심
∙ 기계, 전기, 전자 컴퓨터 등의 기술을 종합적으로 사고할 수 있는 능력
∙ 컴퓨터, 수학, 과학에 대한 높은 관심

어떤 과목을 선택해서 배워야 할까?

교과 선택과목
교과(군)
영역 일반선택 진로선택
국어 화법과 작문, 독서, 언어와 매체, 문학
기초 수학 수학Ⅰ, 수학Ⅱ, 미적분, 확률과 통계 기하, 수학과제 탐구
영어 영어 회화, 영어Ⅰ, 영어 독해와 작문, 영어Ⅱ
사회(역사, 도덕) 여행지리, 사회문제 탐구
탐구 물리학Ⅱ, 화학Ⅱ,
과학 물리학Ⅰ, 화학Ⅰ, 생명과학Ⅰ
생활과 과학, 융합과학
체육 예술
생활 교양 정보

※ 선택과목 안내는 대학별 교육과정에 따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참고용으로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226 청소년을 사로잡는 진로 디자인 2


어떤 책을 읽어야 할까?

∙ 과학으로 보는 4차 산업과 미래 직업(이보경) ∙ 십 대가 알아야 할 인공지능과 4차 산업혁명의 미래


∙ 김대식의 인간 vs 기계(김대식) (전승민)
∙ 도구와 기계의 원리(데이비드 맥컬레이) ∙ 우리에게 IT란 무엇인가(김국현)
∙ 로봇 수업(존 조던) ∙ 청소년을 위한 이야기 과학사(위르겐 타이히만)
∙ 미래를 위한 공학 실패에서 배운다(김수삼) ∙ 프로그래머로 사는 법(샘 라이트스톤)
∙ 반도체 제대로 이해하기(강구창)

제어계측공학과가 있는 대학은?

▶ 학과
- 서울
- 부산: 부경대, 한국해양대

▶ 관련 학과
- 서울: 광운대(로봇학부), 세종대(지능기전공학부)
- 부산: 경성대(메카트로닉스공학과), 동서대(메카트로닉스공학과), 부산대(광메카트로닉스공학과, 나노메카트로
닉스공학과), 신라대(융합기계공학부)

졸업 후에는 이런 곳으로 갈 수 있어요.

컴퓨터 응용 제어 계측 장치 개발 분야 기업체, 로봇 개발 기업체, 소프트웨어 개발 기업체, 항공 및 방위 산업 기업체,


공정 제어와 계정 설비 업체, 전기·전산직 공무원, 전기, 통신 관련 국가 연구소, 지능형 교통 시스템 연구원, 정보 시스템
운영자, 컴퓨터 시스템 설계 분석가, 발전 설비 기술자, 전자 계측 제어 기술자, 전자 의료기 개발 기술자 등

제어계측공학과 인터뷰 살펴보기

∙ 최용환, 신라대학교 ∙ 김만고, 부경대학교


융합기계공학부 제어계측공학과
[03:00] [03:30]

공학계열 227
조 선 해 양 공 학 과

조선해양공학과는?

조선 해양 공학은 이동성, 부양성, 적재성을 이에 조선해양공학과에서는 국제 경쟁력이 높은


갖는 선박 및 해양 구조물의 효율적이고도 경제 선박과 해양 구조물의 설계, 건조 및 운용에 관한
적인 설계, 생산, 건조, 운용에 필요한 기술을 연구 기초 학문과 응용 기술을 교육시켜, 첨단 고부가
하는 학문이며, 조선 해양 산업은 해상 운송, 해양 가치 선박의 개발, 해양 자원 및 해양 에너지의
개발에 대한 기반 산업으로서 기술 집약적이며 개발, 해양 공간 이용 등 21세기 조선 및 조선
다른 산업 분야에 미치는 파급 효과가 매우 큰 산업 관련 산업을 선도할 수 있는 신기술인 양성을
입니다. 교육 목표로 두고 있습니다.

필요한 역량은 무엇일까?

∙ 바다 환경 및 해양 환경에 대한 높은 관심
∙ 복잡한 구조물에 대한 공간 지각 능력
∙ 기계, 컴퓨터 등 다양한 분야에 대한 흥미
∙ 수학, 물리, 화학, 지구과학 등에 대한 관심

어떤 과목을 선택해서 배워야 할까?

교과 선택과목
교과(군)
영역 일반선택 진로선택
국어 화법과 작문, 독서, 언어와 매체, 문학 심화 국어, 고전 읽기

기초 수학 수학Ⅰ, 수학Ⅱ, 미적분, 확률과 통계 기하, 수학과제 탐구

영어 영어 회화, 영어Ⅰ, 영어 독해와 작문, 영어Ⅱ

사회(역사, 도덕) 여행지리, 사회문제 탐구


탐구
과학 물리학Ⅰ, 화학Ⅰ, 지구과학Ⅰ 물리학Ⅱ, 화학Ⅱ, 지구과학Ⅱ

체육 예술
공학 일반,
생활 교양 정보
해양 문화와 기술
※ 선택과목 안내는 대학별 교육과정에 따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참고용으로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228 청소년을 사로잡는 진로 디자인 2


어떤 책을 읽어야 할까?

∙ 교양으로 읽는 조선공학(해리 벤포드) ∙ 과학 혁명의 구조(토마스 쿤)


∙ 조선 기술(대한조선학회) ∙ 배이야기(헨드릭 빌럼 반 룬)
∙ 한국의 배(김효철) ∙ 총, 균, 쇠(재레드 다이아몬드)
∙ 핵심이 보이는 제어공학(김성중) ∙ 과학이 말해주는 신화의 진실(박영목)
∙ 세계를 움직인 해전의 역사(허홍범, 한종엽)

조선해양공학과가 있는 대학은?

▶ 학과
- 서울: 서울대
- 부산: 부산대, 동의대, 동명대

▶ 관련 학과
- 서울
- 부산: 동아대학교(조선해양플랜트공학과), 부경대학교(기계조선융합공학과, 조선해양시스템공학전공, 해양공학과),
한국해양대학교(해양공학과, 기관공학부, 기관시스템공학부, 조선해양시스템공학부, 해양플랜트운영학과)

졸업 후에는 이런 곳으로 갈 수 있어요.

조선소, 조선 담당 금융기관, 산업자원부, 해운항만청, 선급협회, 선박안전기술원, 선박 해양 연구소, 해양 오염 관련 업체,


선박 관련 기자재 산업체, 항만 장비 개발업체, 해양 수산 관련 국가 연구소 및 민간 연구소, 해양 플랜트 사업 연구소,
해양 관련 공무원, 선박 교통 관제사, 토목 구조 설계 기술자, 해양 공학 기술자, 해양 수산 기술자, 선박 중개인, 해양 설비
(플랜트) 기본 설계사 등

조선해양공학과 인터뷰 살펴보기

∙ 조선해양공학과 ∙ 정광효, 부산대학교


(인하대학교) 조선해양공학과
[03:03] [TEXT]

공학계열 229
컴 퓨 터 공 학 과

컴퓨터공학과는?

컴퓨터 공학은 공업을 위주로 하던 산업 사회 공학인의 양성에 교육 목표를 두고 있습니다. 컴


에서 정보화 사회로의 이행이 가속됨에 따라 정보 퓨터 공학은 컴퓨터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멀티
산업을 선도하는 핵심적인 학문 분야로 자리 잡고 미디어, 임베디드 시스템 등 컴퓨터와 관련한
있습니다. 컴퓨터공학과는 인류 사회 복지에 선도 지식과 기술을 익히고 다양한 분야에 적용하는
적으로 공헌할 수 있는 창의적이고 책임감 있으 분야로 관련 학과에서는 프로그래밍 언어를 비롯
며 도전 의식과 적응 능력을 겸비하고 IT 분야의 해 네트워크, 컴퓨터 시스템 운영 체제, 인공 지능
전문 이론과 현장 실무 경험을 두루 갖춘 유능한 등을 공부합니다.

필요한 역량은 무엇일까?

∙ 컴퓨터 하드웨어와 다양한 응용 소프트웨어에 대한 관심과 흥미


∙ 공학 및 과학에 근거한 논리적 추리력과 창의력
∙ 새로운 것에 대한 호기심과 관심
∙ 수학, 물리학 등의 기초 과학 분야에 관한 흥미와 재능

어떤 과목을 선택해서 배워야 할까?

교과 선택과목
교과(군)
영역 일반선택 진로선택
국어 화법과 작문, 독서, 언어와 매체, 문학
기초 수학 수학Ⅰ, 수학Ⅱ, 미적분, 확률과 통계 기하
영어 영어 회화, 영어Ⅰ, 영어 독해와 작문, 영어Ⅱ
사회(역사, 도덕) 생활과 윤리 여행지리, 사회문제 탐구
탐구
과학 물리학Ⅰ 물리학Ⅱ, 융합과학
체육 예술
공학 일반, 창의 경영,
생활 교양 기술·가정, 정보
지식 재산 일반
※ 선택과목 안내는 대학별 교육과정에 따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참고용으로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230 청소년을 사로잡는 진로 디자인 2


어떤 책을 읽어야 할까?
∙ IT 삼국지(김정남) ∙ 일렉트릭 유니버스(데이비드 보더니스)
∙ 유비쿼터스를 겨냥한 통신생활 속이 보인다(요시아키 타카사쿠) ∙ 지상 최대의 쇼(리처드 도킨스)
∙ 과학 혁명의 구조(토머스 S. 쿤) ∙ 뜯고 태우고 맛보고, 몸으로 배우는 짜릿짜릿 전자회로
∙ 괴델, 애셔, 바흐: 영원한 황금 노끈(더글러스 호프스태터) DIY(찰스 플랫)
∙ 교양(사람이 알아야 할 모든 것)(디트리히 슈바니츠) ∙ 뜯고 태우고 맛보고, 몸으로 배우는 짜릿짜릿 전자회로
∙ 기술의 충격(케빈 켈리) DIY 플러스(찰스 플랫)
∙ 디지털 포트리스(댄 브라운) ∙ 철학 콘서트 1, 2, 3(황광우)
∙ 미래를 바꾼 아홉 가지 알고리즘(존 맥코믹) ∙ 프로그래머로 사는 법(샘 라이트스톤)
∙ 생각하지 않는 사람들(니콜라스 카) ∙ 하리하라의 과학블로그 1, 2(이은희)
∙ 위대한 설계(스티븐 호킹)

컴퓨터공학과가 있는 대학은?
▶ 학과
- 서울: 건국대, 경희대, 동국대, 삼육대, 서강대, 서경대, 서울과학기술대, 서울대, 성신여대, 세종대, 한국외대
- 부산: 경성대, 동명대, 동서대, 동아대, 동의대, 부경대, 부산가톨릭대, 부산대, 부산외대, 영산대

▶ 관련 학과
- 서울: 경희대(소프트웨어융합학과), 고려대(컴퓨터학과), 광운대(소프트웨어학부, 정보융합학부, 컴퓨터정보
공학부), 국민대(소프트웨어학부), 동국대(멀티미디어공학과), 동덕여대(컴퓨터학과), 상명대(SW융합학부
컴퓨터과학전공), 서경대(소프트웨어학과), 서울시립대(전자전기컴퓨터공학부, 컴퓨터과학부), 서울여대
(디지털미디어학과, 소프트웨어융합학과), 성균관대(소프트웨어학과), 성신여대(정보시스템공학과), 세종대
(소프트웨어학과), 숭실대(미디어경영학과, 스마트시스템소프트웨어학부, 컴퓨터학부), 연세대(컴퓨터과
학과), 이화여대(소프트웨어학부), 중앙대(소프트웨어학부), 한국성서대(컴퓨터소프트웨어학과), 한양대
(컴퓨터소프트웨어학부)
- 부산: 경성대(소프트웨어학과), 동명대(디지털미디어공학부), 동서대(소프트웨어학과), 부산가톨릭대(소프트웨어
학과), 부산외대(소프트웨어학부)

졸업 후에는 이런 곳으로 갈 수 있어요.


가상(증강) 현실 전문가, 게임 프로그래머, 기술 지원 전문가, 네트워크 관리자(클라우딩 컴퓨터 운영 관리자), 네트워크
프로그래머, 데이터베이스 개발자, 변리사, 사물 인터넷(IOT) 개발자,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 개발자, 시스템 소프트웨어
개발자(프로그래머), 만화 영화 작가(애니메이터), 웹 디자이너, 웹 마스터(운영자), 웹 엔지니어, 웹 프로그래머, 응용
소프트웨어 개발자, 인공 지능 전문가, 임베디드 전문가, 정보시스템 운영자, 컴퓨터 보안 전문가, 컴퓨터 시스템 감리
전문가, 컴퓨터 시스템 설계 및 분석가, 컴퓨터 하드웨어 기술자 등

컴퓨터공학과 인터뷰 살펴보기

∙ 박기호, ∙ 성균관대학교 ∙ 부산대학교


세종대학교 소프트웨어학과 정보컴퓨터공학부
컴퓨터공학과 [04:33] [02:30]
[03:36]

∙ 한국고용정보원 ∙ 이철, 부경대학교 ∙ 서울시립대학교


학과정보 컴퓨터공학과 전자전기컴퓨터
컴퓨터공학과 [03:34] 공학부 VS.
[15:06] 컴퓨터과학부
[07:47]

공학계열 231
토 목 공 학 과

토목공학과는?

토목(공)학은 우리가 살아가는데 필요한 다리, 최근에는 우주 개발이나 사막 개발, 해저 개발 등


터널, 철도, 지하철 등의 교통 시설, 발전소 같은 탐구 영역이 점차 넓어지는 추세입니다.
전력 시설, 댐 같은 해양 시설, 상하수도, 환경 관련 토목공학과는 자연 환경을 보존하면서 사람들이
시설, 안전 관리 시설 등 각종 사회 기반 시설물이 편리하고 쾌적하게 살 수 있는 공간과 기반을 만들
안전하게 작동하여 최적의 기능을 할 수 있도록 수 있는 인재를 양성합니다.
설계 및 시공・유지하는 지식과 기술을 공부합니다.

필요한 역량은 무엇일까?

∙ 수학, 물리학 등 공학 기초 과목에 대한 관심과 흥미


∙ 활동적이고 진취적인 성격
∙ 각종 건축 구조물에 대한 호기심

어떤 과목을 선택해서 배워야 할까?

교과 선택과목
교과(군)
영역 일반선택 진로선택
국어 화법과 작문, 독서, 언어와 매체, 문학
기초 수학 수학Ⅰ, 수학Ⅱ, 미적분, 확률과 통계 기하, 수학과제 탐구
영어 영어 회화, 영어Ⅰ, 영어 독해와 작문, 영어Ⅱ
사회(역사, 도덕) 한국지리, 세계지리 여행지리, 사회문제 탐구
탐구 물리학Ⅱ, 화학Ⅱ,
과학 물리학Ⅰ, 화학Ⅰ, 지구과학Ⅰ
지구과학Ⅱ, 융합과학
체육 예술
공학 일반, 창의 경영,
생활 교양 기술·가정, 정보, 환경
지식 재산 일반
※ 선택과목 안내는 대학별 교육과정에 따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참고용으로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232 청소년을 사로잡는 진로 디자인 2


어떤 책을 읽어야 할까?
∙ 건축물은 어떻게 해서 무너지는가(마리아 샐바도리) ∙ 사진과 함께하는 세계의 토목유산 1, 2, 3
∙ 재미와 장난이 만든 꿈의 도시 꾸리찌바(박용남) (건설컨설턴츠협회)
∙ 대한민국 건설: 불가능은 가능이다(박길숙) ∙ 인물로 읽는 환경 이야기 지구별에서 함께 살아가기
∙ 문명 위에 서다(노수민) (박강리)
∙ 부유한 노예(로버트 라이시) ∙ 재미있는 흙이야기(히메노 캔지 외)
∙ 건축구조 뿌리에서 새순까지 1, 2, 3(이창남) ∙ 토목을 디자인하다(시노하라 오사무)

토목공학과가 있는 대학은?

▶ 학과
- 서울: 서울시립대
- 부산: 경성대, 부경대

▶ 관련 학과
- 서울: 건국대(사회환경공학부), 국민대(건설시스템공학부), 동국대(건설환경공학과), 서경대(토목건축공학과),
서울과학기술대(건설시스템공학과), 서울대(건설환경공학부), 세종대(건설환경공학과), 한양대(건설환경
공학과), 홍익대(건설환경공학과)
- 부산: 동서대(토목환경공학과), 동아대(건설시스템공학과), 부산대(건설융합학부 토목공학전공), 한국해양대(건설
공학과)

졸업 후에는 이런 곳으로 갈 수 있어요.

건설·채굴 관리자, 건축 및 토목 캐드원, 건축 구조 기술자, 건축 시공 기술자, 토목 공학 기술자, 토목 안전·환경·품질


기술자, 토목 구조 설계 기술자, 토목 시공 기술자, 토목 감리 기술자, 토목 견적원, 도시 계획·설계가, 지적 및 측량 기술자,
건설 자재 시험원, 건설 견적원, 건축 안전·환경·품질·에너지관리 기술자, 공무원(토목직), 도시 재생 전문가, 지능형 교통
시스템(ITS) 연구원

토목공학과 인터뷰 살펴보기

∙ 손무락, 대구대학교 ∙ 이태형, 건국대학교


토목공학과 토목공학과
[TEXT] [08:45]

∙ 대한토목학회 토목공학! ∙ 김수한, 부경대학교


인류의 미래를 묻는다 토목공학과
[06:48] [03:22]

공학계열 233
항 공 우 주 공 학 과

항공우주공학과는?

항공 우주 분야는 기계 공학의 한 분야로 비행 대한 이해와 지식이 필수적이기 때문에 대학에


기를 비롯해 인공위성, 헬리콥터, 미사일과 우주 따라 기계공학부에 속해 있기도 합니다. 따라서
비행체 등의 설계와 제작, 그리고 운용에 필요한 이들 관련 학과에서는 물리학, 수학, 공업 역학 등의
물리적 현상을 분석하고 탐구합니다. 기계적 요소에 교과목에 대한 이해도 필수입니다.

필요한 역량은 무엇일까?

∙ 수학, 물리학 등 기초 공학 과목에 대한 관심과 흥미


∙ 기계나 사물을 다루는 것을 좋아하고 진취적이고 새로운 것에 도전하는 열정
∙ (항공 우주 산업은 NASA 등 미국을 중심으로 영어를 통해 기술적 교류가 이루어지므로) 영어 실력

어떤 과목을 선택해서 배워야 할까?

교과 선택과목
교과(군)
영역 일반선택 진로선택
국어 화법과 작문, 독서, 언어와 매체, 문학
기초 수학 수학Ⅰ, 수학Ⅱ, 미적분, 확률과 통계 기하, 수학과제 탐구
영어 영어 회화, 영어Ⅰ, 영어 독해와 작문, 영어Ⅱ
사회(역사, 도덕) 여행지리, 사회문제 탐구
탐구 물리학Ⅱ, 화학Ⅱ,
과학 물리학Ⅰ, 화학Ⅰ, 지구과학Ⅰ
지구과학Ⅱ, 융합과학
체육 예술
공학 일반, 창의 경영,
생활 교양 기술·가정, 정보
지식 재산 일반
※ 선택과목 안내는 대학별 교육과정에 따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참고용으로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234 청소년을 사로잡는 진로 디자인 2


어떤 책을 읽어야 할까?

∙ 나노기술의 이해(서갑양) ∙ 처음 읽는 미래과학 교과서 5: 우주과학(채연석)


∙ 뉴턴도 놀란 영재들의 물리노트 1, 2(도쿄물리서클) ∙ 청소년이 꼭 알아야 할 과학이슈 11(이은희 외)
∙ 레오나르도다빈치가 들려주는 양력 이야기(송은영) ∙ 코스모스(칼 세이건)
∙ 인간이 초대한 대형참사(제임스 R. 차일스) ∙ 특이점이 온다(레이 커즈와일)
∙ 창의력에 미쳐라(김광희) ∙ 하리하라의 과학 블로그 1, 2(이은희)

항공우주공학과가 있는 대학은?

▶ 학과
- 서울: 서울대(기계항공공학부 우주항공공학전공)
- 부산: 부산대

▶ 관련 학과
- 서울: 건국대(기계항공공학부, 항공우주정보시스템공학과), 세종대(기계항공우주공학부)
- 부산

졸업 후에는 이런 곳으로 갈 수 있어요.

발사체 기술 연구원, 우주센터 발사 지휘통제원, 우주 전파 예보관, 인공위성 분석원, 항공기 계기 부품 검사원, 항공 운송


사무원, 항공 교통 관제사, 항공 운항 관리사, 지적 및 측량기술자, 기계 공학 기술자, 항공기 정비원(헬리콥터 제외), 인공
위성 개발원, 산업 안전원, 위험 관리원, 항공 공학 기술자, 드론 조종사 등

항공우주공학과 인터뷰 살펴보기

∙ 노태수, 전북대학교 ∙ 변영환, 건국대학교


항공우주공학과 기계항공공학부
[TEXT] [08:53]

∙ 윤석준, 세종대학교 ∙ 부산대학교


기계항공우주공학부 항공우주공학과
[03:30] [01:27]

공학계열 235
항 공 정 비 학 과

항공정비학과는?

항공정비학과는 항공·자동차 산업 및 관련 기계 중추적인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실무형 전문 기술


산업 분야에 필요한 이론과 실무 지식을 습득시 인력을 양성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ICAO(국제
키고, 이와 같은 교육을 바탕으로 창의적이고 미래 민간항공기구) 규정에 의거 항공 정비 분야를 선
지향적인 기술 교육을 실시합니다. 또한 항공· 도할 창의적인 정비사 양성과 현장 실무 교육을
자동차 산업체에서 필요로 하는 전문 기술 인력의 통하여 졸업과 동시에 항공인으로서 종사할 수
자질을 갖추고, 일반 기계 산업 분야에도 진출하여 있습니다.

필요한 역량은 무엇일까?

∙ 수학, 물리 등 기초 공학 과목에 대한 흥미
∙ 기계나 사물을 다루는 것을 좋아하고 진취적인 열정
∙ 다양한 정보와 기술 습득에 도움이 되는 영어 흥미

어떤 과목을 선택해서 배워야 할까?

교과 선택과목
교과(군)
영역 일반선택 진로선택
국어 화법과 작문, 독서, 언어와 매체, 문학
실용 수학, 기하, 수학과제
기초 수학 수학Ⅰ, 수학Ⅱ, 미적분, 확률과 통계
탐구
영어 영어 회화, 영어Ⅰ, 영어 독해와 작문, 영어Ⅱ
사회(역사, 도덕) 여행지리, 사회문제 탐구
탐구 물리학Ⅱ, 화학Ⅱ,
과학 물리학Ⅰ, 화학Ⅰ
생활과 과학, 융합과학
체육 예술
생활 교양 정보 공학 일반

※ 선택과목 안내는 대학별 교육과정에 따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참고용으로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236 청소년을 사로잡는 진로 디자인 2


어떤 책을 읽어야 할까?

∙ 김대식의 인간 vs 기계(김대식) ∙ 비행기는 어떻게 날까?(장밥티스트 투샤르)


∙ 도구와 기계의 원리(데이비드 맥컬레이) ∙ 아웃라이어(말콤 글래드웰)
∙ 레오나르도 다 빈치가 들려주는 양력 이야기(송은영) ∙ 엔트로피(제레미 리프킨)
∙ 미래를 위한 공학 실패에서 배운다(김수삼) ∙ 우주로켓(조경철)
∙ 발명콘서트(스티브 파커) ∙ 처음읽는 미래과학 교과서 5 : 우주공학(채연석)

항공정비학과가 있는 대학은?

▶ 학과
- 부산: 신라대
- 기타: 가톨릭관동대, 극동대, 세한대, 제주국제대, 중원대, 초당대

▶ 관련 학과
- 부산
- 기타: 한서대(항공기계정비학과), 호원대(항공정비공학과)

졸업 후에는 이런 곳으로 갈 수 있어요.

항공기·선박 조립 및 검사원, 항공기 정비원, 국내외 민간 항공사 및 항공 운수업체(대한항공, 아시아나항공, 제주항공,


에어부산 등), 항공기 MRO 전문업체(한국항공서비스(KAEMS), STX 에어로 서비스, 샤프테크닉스케이 등), 항공기 및
부품 제조업체 엔지니어(한국항공우주산업(KAI), 한화/항공기 부품, 데크항공 등), 육해공군 항공 정비 기술 부사관 및
장교, 대학원 진학(석/박사) 등

항공정비학과 인터뷰 살펴보기

∙ 김명준, 신라대학교 ∙ 미래의 나를 찾아라,


항공정비학과 항공정비사
[06:31] [06:50]

공학계열 237
해 양 공 학 과

해양공학과는?

해양공학과에서는 해양 및 연안 개발과 관련된 국가적 산업으로, 해양공학과에서는 이러한 해양을


다양한 공학적 분야에 대한 교육 및 연구를 수행 우리 인류와 보다 가깝게 두고자 효율적으로 이용
하고 있습니다. 해양 구조물 및 지반 공학, 해양 하고 개발하는 방안을 연구함으로써, 앞으로도
유체 및 수중 음향 등의 해양과 관련된 폭넓은 공 우리나라의 해양 과학 기술 발전에 기여할 수 있는
학적 해석 및 설계 지식을 배양하며, 다양한 실험 학과가 될 수 있도록 끊임없이 노력하고 있습니다.
실습 과정을 통해서 현장 맞춤형 인재를 양성하 또한 다양한 정부 지원 사업을 지속적으로 수행
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해양 산업은 우리 하여 교육의 질을 향상시키고, 해양 전문 인력 양
나라를 비롯한 전 인류의 장래를 좌우할 중요한 성을 통해 취업률을 높여 나가고 있습니다.

필요한 역량은 무엇일까?

∙ 바다 환경 및 해양 환경에 대한 높은 관심
∙ 복잡한 구조물에 대한 공간 지각 능력
∙ 기계, 컴퓨터 등 다양한 분야에 대한 흥미
∙ 수학, 물리, 화학, 지구과학 등에 대한 관심

어떤 과목을 선택해서 배워야 할까?

교과 선택과목
교과(군)
영역 일반선택 진로선택
국어 화법과 작문, 독서, 언어와 매체, 문학
기초 수학 수학Ⅰ, 수학Ⅱ, 미적분, 확률과 통계 기하
영어 영어 회화, 영어Ⅰ, 영어 독해와 작문, 영어Ⅱ
사회(역사, 도덕) 세계지리 여행지리, 사회문제 탐구
탐구 물리학Ⅱ, 화학Ⅱ,
과학 물리학Ⅰ, 화학Ⅰ, 생명과학Ⅰ, 지구과학Ⅰ
지구과학Ⅱ
체육 예술
생활 교양 정보

※ 선택과목 안내는 대학별 교육과정에 따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참고용으로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238 청소년을 사로잡는 진로 디자인 2


어떤 책을 읽어야 할까?
∙ 배 이야기(헨드릭 빌럼 반 룬) ∙ 새로워진 세계의 바다와 해양생물(김기태)
∙ 교양으로 읽는 조선공학(해리 벤포드) ∙ 조선 기술(대한조선학회)
∙ 기상의 구조(추효상) ∙ 해양생물학(피터 카스트로 외)
∙ 도구와 기계의 원리(데이비드 맥컬레이) ∙ 해파리의 경고: 아름답고 불가사의한 생물
∙ 바다의 반란 적조(윤양호) (야스다 토루)
∙ 북극곰은 걷고 싶다(남종영)

해양공학과가 있는 대학은?

▶ 학과
- 서울
- 부산: 부경대, 한국해양대

▶ 관련 학과
- 서울: 서울대(조선해양공학과)
- 부산: 동명대(조선해양공학과), 동아대(조선해양플랜트공학과), 동의대(조선해양공학과), 부경대(조선해양시스템
공학과), 부산대(조선·해양공학과), 한국해양대(조선해양시스템공학부, 해양플랜트 운영학과)

졸업 후에는 이런 곳으로 갈 수 있어요.


조선소, 조선 담당 금융기관, 선박 관련 기자재 산업체, 항만 장비 개발업체, 건설 관련 업체, 해양‧수산 관련 국가 연구소
및 민간 연구소, 해양 플랜트 사업 연구소, 해양 관련 공무원, 선박 교통 관제사, 토목 구조 설계 기술자, 해양 공학 기술자,
해양 수산 기술자, 선박 중개인, 해양 설비(플랜트) 기본 설계사 등

해양공학과 인터뷰 살펴보기

∙ 해양수산부, ∙ 류용욱, 부경대학교


해양공학기술자 해양공학과
[09:33] [02:00]

∙ 김세권, 한양대학교 ∙ 한국해양대학교


융합해양공학과 해양공학전공
[26:48] [05:50]

공학계열 239
화 학 공 학 과

화학공학과는?

화학 공학은 고분자, 신에너지, 환경 기술 등 응용하는 기술과 방법까지도 다루는 보다 매크로


최근 주목받는 분야에서 응용될 뿐만 아니라, 반 (macro)한 분야라고 할 수 있습니다. 화학 공학은
도체, 생명 공학, 환경 공학, 교통 공학, 재료 공학 섬유, 석유, 플라스틱, 세제, 화장품, 제약 등 우리
등 다양한 분야를 다루는 종합 학문입니다. 화학 실생활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제품에서부터 환경
분야가 화학 반응의 원리를 주로 다루는 마이크로 기술, 에너지 생산, 엔지니어링 등 화학 공정이 필
(micro) 분야라면, 화학 공학은 이것을 실생활에 요한 전 산업에 걸쳐 응용됩니다.

필요한 역량은 무엇일까?

∙ 화학적인 분석, 실험에 대한 관심과 물질 변화에 대한 흥미


∙ 수학, 물리, 생물, 화학 등 다양한 기초 과학 과목에 대한 흥미
∙ 꼼꼼하고 주의 깊은 성격
∙ 팀 업무를 위한 원만한 대인 관계

어떤 과목을 선택해서 배워야 할까?

교과 선택과목
교과(군)
영역 일반선택 진로선택
국어 화법과 작문, 독서, 언어와 매체, 문학
기초 수학 수학Ⅰ, 수학Ⅱ, 미적분, 확률과 통계 기하, 수학과제 탐구
영어 영어 회화, 영어Ⅰ, 영어 독해와 작문, 영어Ⅱ
사회(역사, 도덕) 경제 여행지리, 사회문제 탐구
탐구 물리학Ⅱ, 화학Ⅱ,
과학 물리학Ⅰ, 화학Ⅰ, 생명과학Ⅰ
생활과 과학, 융합과학
체육 예술
생활 교양

※ 선택과목 안내는 대학별 교육과정에 따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참고용으로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240 청소년을 사로잡는 진로 디자인 2


어떤 책을 읽어야 할까?
∙ 에코 에너지(피터 호프만) ∙ 천재들의 과학노트 2:화학(캐서린 쿨렌)
∙ 엔트로피(제레미 리프킨) ∙ 축적의 시간(서울대학교 공과대학)
∙ 역사를 바꾼 17가지 화학 이야기 1, 2(페니 르 쿠터) ∙ 하버가 들려주는 화학 산업 이야기(신현철)
∙ 위험한 행성 지구(브린 버나드) ∙ 화학 교과서는 살아있다(문상흡)
∙ 일상에서 과학을 보다 1, 2(사토 긴페이)

화학공학과가 있는 대학은?
▶ 학과
- 서울: 건국대, 경희대, 광운대, 서울시립대, 숭실대, 한양대
- 부산: 동아대, 부경대

▶ 관련 학과
- 서울: 고려대(화공생명공학과), 동국대(화공생물공학과), 상명대(생명화학공학부 화공신소재전공, 화학에너지공학
전공), 서강대(화공생명공학전공), 서울과학기술대(화공생명공학과), 서울대(화학생물공학부), 성균관대
(화학공학/고분자공학부), 숙명여대(화공생명공학부), 연세대(화공생명공학부), 이화여대(화공신소재공학
전공), 중앙대(화학신소재공학부), 한양대(유기나노공학과)
- 부산: 동의대(화학환경공학부), 부경대(고분자공학과, 공업화학과), 부산대(고분자공학과, 화공생명·환경공학부
화공생명공학전공)

졸업 후에는 이런 곳으로 갈 수 있어요.


석유 화학 및 정유업체, 정밀 화학 업체, 환경 및 에너지 관련 산업체, 식음료 업체, 섬유업체, 신소재 관련 업체, 제약 및
생명 과학 관련 업체, 화학 관련 기업체 연구소, 화학 관련 대학 부설 연구소, 정부의 화공 관련 부서, 석유공사 및 화학
관련 공공 기관, 재료(금속) 공학 기술자, 석유 화학 공학 기술자, 도료 및 농약 화학공학 기술자, 비누 및 화장품 화학 공학
기술자, 고무 및 플라스틱 화학 공학 기술자, 의약품 화학 공학 기술자, 연료 전지 개발 및 연구자, 화학 공학 시험원, 환경
공학 기술자, 수질 환경 기술자, 대기 환경 기술자, 폐기물 처리 기술자, 화학 물질 안전 관리사 등

화학공학과 인터뷰 살펴보기

∙ 김정현, ∙ 민요셉,
서울시립대학교 건국대학교
화학공학과 화학공학과
[06:47] [TEXT]

∙ 강인석, 포스텍 ∙ 임도진,


화학공학과 부경대학교
[16:51] 화학공학과
[03:32]

공학계열 241
환 경 공 학 과

환경공학과는?

지구 온난화, 황사, 기상 이변 등으로 환경에 발생 형태에 따라 대기, 수질, 토양, 폐기물 처리,
대한 관심이 고조되면서 환경학 및 환경 공학의 소음, 진동 등으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전반적인
중요성도 커지고 있습니다. 환경(공)학은 대기, 환경에 대한 교육이 다루어지며, 환경과 바로 연
물, 토양 등의 자연 환경을 구성하는 환경이 어떻 관되는 지구, 지질, 해양, 건설 등 다양한 분야와
게 변화하고 있는지, 또 이러한 환경이 오염되는 결합하여 각각의 분야를 보다 전문적으로 학습할
원인과 오염 물질을 분석하고, 환경 오염에 따른 수 있습니다. 환경공학과는 환경 공학 기술을 이
문제점 및 해결 방안을 강구하는 등 환경 및 제반 용하여 삶의 터전을 보존하고 치료하는 분야에
설비에 대해 전반적으로 연구합니다. 환경 오염의 종사할 전문 인력을 기르는 곳입니다.

필요한 역량은 무엇일까?

∙ 화학이나 물리학 등 자연 과학 과목에 대한 흥미


∙ 환경 문제나 자연에 대한 관심
∙ 분석력, 체계적인 사고 능력
∙ 환경학 전반을 이해할 수 있는 폭넓은 시야

어떤 과목을 선택해서 배워야 할까?

교과 선택과목
교과(군)
영역 일반선택 진로선택
국어 화법과 작문, 독서, 언어와 매체, 문학
기초 수학 수학Ⅰ, 수학Ⅱ, 미적분, 확률과 통계 기하, 수학과제 탐구
영어 영어 회화, 영어Ⅰ, 영어 독해와 작문, 영어Ⅱ
사회(역사, 도덕) 한국지리, 세계지리 여행지리, 사회문제 탐구
탐구 물리학Ⅱ, 화학Ⅱ,
과학 물리학Ⅰ, 화학Ⅰ, 생명과학Ⅰ, 지구과학Ⅰ
생명과학Ⅱ, 지구과학Ⅱ
체육 예술
공학 일반, 창의 경영,
생활 교양 기술·가정, 정보, 환경
지식 재산 일반
※ 선택과목 안내는 대학별 교육과정에 따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참고용으로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242 청소년을 사로잡는 진로 디자인 2


어떤 책을 읽어야 할까?
∙ 10대와 통하는 환경과 생태 이야기(최원형) ∙ 에너지혁명 2030(토니 세바)
∙ 가이아의 복수(제임스 러브록) ∙ 엔트로피(제레미 리프킨)
∙ 괴짜생태학(브라이언 클레그) ∙ 이중나선(제임스 왓슨)
∙ 기후의 역습(2009 지구 환경 보고서)(월드워치연구소) ∙ 인물로 읽는 환경 이야기(지구별에서 함께 살아가기)
∙ 노 임팩트 맨(콜린 베번) (박강리)
∙ 도둑 맞은 미래(테오 콜본) ∙ 지구를 살리는 빗물의 비밀(한무영)
∙ 물의 자연사(앨리스 아웃워터) ∙ 청소년을 위한 환경 교과서(클라우스 퇴퍼 외)
∙ 새롭고 적극적인 지구를 살리는 방법 50(존 자브나 외) ∙ 침묵의 봄(레이첼 카슨)
∙ 숲 그리고 희망(마크 런던 외)

환경공학과가 있는 대학은?

▶ 학과
- 서울: 광운대, 서울과학기술대, 서울시립대
- 부산: 경성대, 부경대, 부산가톨릭대, 한국해양대

▶ 관련 학과
- 서울: 건국대(사회환경공학부), 경희대(환경학및환경공학부), 고려대(건축사회환경공학부), 동국대(건설환경공
학과), 서울대(건설환경공학부), 성균관대(건설환경공학부), 세종대(건설환경공학과), 연세대(사회환경
시스템공학부), 한양대(건설환경공학과, 자원환경공학과), 홍익대(건설환경공학과)
- 부산: 동서대(토목환경공학과), 동의대(화학환경공학부), 부경대(생태공학과), 부산대(화공생명·환경공학부 환경
공학전공)

졸업 후에는 이런 곳으로 갈 수 있어요.

기후 변화 전문가, 바이오 에너지 연구 및 개발자, 환경 및 해양 과학 연구원, 자연 과학 시험원, 변리사, 사회 단체 활동가,


잡지 기자, 신문 기자, 방송 기자, 편집 기자, 사진기자, 촬영 기자, 조경 기술자, 도시 계획·설계가, 친환경 건축 컨설턴트,
환경 공학 기술자, 수질 환경 기술자, 대기 환경 기술자, 폐기물 처리 기술자, 소음진동 기술자 및 연구원, 환경 영향
평가원, 토양 기술자 및 연구원, 환경 컨설턴트, 친환경 제품 인증 심사원, 보건 위생·환경 검사원, 환경 시험원, 비파괴
검사원, 산업 안전원, 위험 관리원, 에너지 진단 전문가, 가정 에코 컨설턴트, 공무원(환경직), 도시 재생 전문가, 온실 가스
관리 컨설턴트, 특허 사무원 등

환경공학과 인터뷰 살펴보기

∙ POSTECH ∙ 노영민, 부경대학교


환경공학부를 환경공학과
소개합니다! [03:38]
[01:44]

공학계열 243
2
244 청소년을 사로잡는 진로 디자인 2
의약계열 245
06 의약계열
의약계열이란 의약계열은 인간 신체의 구조와 기능을 연구하며 질병의 예방과 치료를 연구하는
무엇일까? 의학, 의약품에 관한 기초 및 응용과학을 다루는 약학이 포함됩니다. 병의 예방,
진단과 치료를 위한 단계별 이론과 응용능력을 습득하여 국민 의료를 담당하며
향상시키는 인재 양성과 인류복지에 기여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계열입니다.

어떤 분야로 의약계열은 의료, 간호, 약학, 치료·보건으로 구성됩니다.


구성되어 의료
있을까? 인체에 관한 연구와 질병의 예방 및 치료를 연구하는 영역입니다. 서양의학인
의학, 동양의학인 한의학, 인간의 치아에 관한 치의학 등이 포함됩니다.

간호
질병을 예방하고 건강을 유지·증진·회복하도록 돕는 전문적인 지식 및 기술을
연구하는 간호학이 중심입니다. 성인간호학, 모자간호학, 정신간호학, 보건간호학,
간호행정 및 간호사회학 등이 포함됩니다.

약학
사람 또는 동물의 질병을 예방·치료하는데 사용되는 의약품에 관한 기초 및 응용
과학을 다루는 학문인 약학이 중심입니다. 신의약품 개발을 위한 질병 발생 및
생명 현상의 기본적 원리와 의약품의 제조생산 관리 내용이 포함됩니다.

치료·보건
인간집단의 신체적 건강문제를 다루는 학문인 보건학과 관련 학문을 바탕으로
합니다. 환경위생, 개인위생교육, 질병의 조기진단 및 예방, 심신장애인의 사회적
응을 도와주는 활동을 포함하는 재활학과 의료공학 등이 포함됩니다.

어떤 학과가 간호학과, 물리치료학과, 수의예과, 약학과, 의예과, 임상병리학과, 치위생학과,


있을까? 치의예과, 한의예과

무엇을 의약 분야에서 전문대에 개설된 물리치료과, 치기공과도 3년제 이상의 교과과정


배울까? 으로 개설되어 있습니다. 전문대에 개설된 간호학과는 모두 4년제 교과과정으로
변경되었습니다. 이론적인 교과목과 함께 실제 환자를 대상으로 하는 임상실습
교과목을 배우게 됩니다. 각 전공에 따라 기초이론교과목과 임상과목을 배우게
됩니다.

246 청소년을 사로잡는 진로 디자인 2


관련 직업 간호사 물리치료사 수의사
[04:27] [03:03] [02:50]

약사 의사 임상병리사
[04:20] [02:26] [05:05]

치과의사 치과위생사 한의사


[03:01] [11:30] [03:55]

의약계열 247
간 호 학 과

간호학과는?

간호학과에서는 사람들의 건강을 증진시키고 전문 간호사 육성을 교육 목표로 두고 있습니다.


질병에서 오는 고통을 줄여 더 행복한 삶을 살 수 간호학은 사람들의 건강을 증진시키고 질병에서
있도록 돕는 방법을 배웁니다. 개인, 가족, 지역 오는 고통을 줄여 더 행복한 삶을 살 수 있도록
사회를 대상으로 대상자의 간호, 질병의 예방 및 돕는 전문 간호 이론과 기술을 배우는 학문입니다.
국민보건 증진을 위하여 인간을 신체적, 정신적, 간호학은 간호대상의 특성과 변화에 따른 간호
사회적으로 통합된 존엄한 존재로 이해하며 또한, 방법을 연구하며, 성인간호학, 아동간호학, 모성
기본욕구를 지니고 내·외적 환경의 영향을 주고 간호학, 노인간호학, 정신건강간호학 등으로 구분
받는 상호관련성을 지닌 개체로 이해합니다. 간호 할 수 있습니다. 4년제 교육과정으로 개설되어 있
학과는 정보기술 사회가 필요로 하는 지식과 기술, 으며 국가시험을 거쳐 간호사 면허 취득 후 간호
높은 윤리적 가치, 인류의 건강증진에 공헌하는 사로 종사할 수 있습니다. 병원에서의 임상간호사
간호 전문직 정신, 합리적이며 과학적 사고를 지닌 외에 보건간호사, 산업간호사 등 다양한 분야에서
국제화, 세계화 시대에 기여할 수 있는 능력있는 활동합니다.

필요한 역량은 무엇일까?

∙ 사람에 대한 관심과 애착
∙ 상황에 대한 이해력을 바탕으로 한 창의적인 문제 해결 능력
∙ 다양한 개인 및 집단을 이해할 수 있는 원만한 대인관계 및 팀워크 능력
∙ 남을 도우려는 열린 인성과 원만한 대인관계, 의료분야에 대한 흥미와 적성
∙ 마음이 따뜻하고 타인을 잘 이해하며 배려하는 태도
∙ 논리적인 사고와 건전한 비판적 사고를 할 수 있는 통찰력

어떤 과목을 선택해서 배워야 할까?

교과 선택과목
교과(군)
영역 일반선택 진로선택
국어 화법과 작문, 독서, 언어와 매체, 문학
기초 수학 수학Ⅰ, 수학Ⅱ, 미적분, 확률과 통계
영어 영어 회화, 영어Ⅰ, 영어 독해와 작문, 영어Ⅱ
사회(역사, 도덕) 정치와 법, 생활과 윤리 여행지리, 사회문제 탐구
탐구 화학Ⅱ, 생명과학Ⅱ,
과학 화학Ⅰ, 생명과학Ⅰ
생활과 과학, 융합과학
체육 예술
생활 교양 심리학, 보건
※ 선택과목 안내는 대학별 교육과정에 따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참고용으로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248 청소년을 사로잡는 진로 디자인 2


어떤 책을 읽어야 할까?

∙ 간호사, 너 자신이 되어라(한화순) ∙ 레이첼 카슨 평전(린다 리어)


∙ JOB 간호사(고정민/김성숙 외 3명) ∙ 마지막 여행(매기 캘러넌)
∙ 간호사, 프로를 꿈꿔라!(도나 월크 카르딜로) ∙ 미스터, 나이팅게일(문광기)
∙ 간호사가 말하는 간호사(권혜림/권성희 외 3명) ∙ 사랑의 돌봄은 기적을 만든다(김수지)
∙ 간호사라서 다행이야(김리연) ∙ 생명 윤리 이야기(권복규)
∙ 나는 파독 간호사 입니다(박경란) ∙ 숨결이 바람 될 때(폴 칼라니티)
∙ 나이팅게일의 간호론(플로렌스 나이팅게일) ∙ 신입간호사 1%(엄영란/임숙빈 외 1명)
∙ 새로 만든 내몸 사용설명서(마이클 로이젠/메멧 오즈) ∙ 장관이 된 간호사(김화중)
∙ 도시에서 죽는다는 것(김형숙) ∙ 좋은 간호사 더 좋은 간호(엄영란/송경자 외 1명)

간호학과가 있는 대학은?

▶ 학과
- 서울: 가톨릭대, 경희대, 고려대, 삼육대, 서울대, 성신여대, 연세대, 이화여대, 중앙대, 케이씨대, 한국성서대,
한양대
- 부산: 경성대, 고신대, 동명대, 동서대, 동아대, 동의대, 부경대, 부산가톨릭대, 부산대, 신라대, 영산대, 인제대

▶ 관련 학과
- 서울
- 부산

졸업 후에는 이런 곳으로 갈 수 있어요.

중앙정부 및 지방자치단체 간호직 및 보건직, 종합병원, 대학병원, 개인 병・의원, 보건소, 보험회사, 기업체 의무실,
의료기기업체, 의료정보업체, 국민건강보험공단, 보건교사, 노인복지관, 요양원, 산후조리원, 조산원, 사회복지관 등

간호학과 인터뷰 살펴보기

∙ 간호학과 인터뷰 ∙ 간호학과 인터뷰


[13:05] (한남대학교 간호학과)
[TEXT]

의약계열 249
물 리 치 료 학 과

물리치료학과는?

물리치료는 질병, 사고 혹은 선천적인 질환 등 학과에서는 물리적인 요소를 이용한 전기치료, 광


으로 일시적이거나 영구적인 장애를 갖게 된 환 선치료, 수치료, 온열치료 등과 운동생리학 및 임
자나 운동선수, 산모, 아동, 환자 가족에 이르기까 상운동학, 관절생리학 등의 학문을 기초로 하는
지 다양한 대상에 적용되고 있습니다. 물리치료학 운동치료 및 기능 훈련을 통하여 환자의 손상 및
은 운동치료나 물리적인 요소들(물, 광선, 전기, 장애 등을 치료, 진단하고 손상으로 인해 소실된
열 등)을 이용하여 손상된 기능을 회복시키고 장 기능을 되찾아 주며, 나아가 신체의 건강 증진을
애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평가, 치료, 교육하는 의 통하여 질병을 예방하도록 하는 학문입니다. 물리
학의 한 전문영역입니다. 그리고 점차 세분화, 전 치료학과에서는 물리치료 전공학습을 통해 물리
문화되어 가고 있는 국내·외 의료계의 변화에 부 치료의 원리를 이해하고 물리치료를 발전시킬 수
응하여 보다 전문적이고 국제적인 물리치료사 양 있는 지식과 역량을 갖춘 물리치료 전문 인력을
성에 교육 목표를 두고 있습니다. 물리치료 관련 양성합니다.

필요한 역량은 무엇일까?

∙ 원만한 대인관계, 능동적 자세와 책임감


∙ 다양한 환경에 대한 적응력
∙ 정보화·다양화·국제화의 변화에 대한 적응력
∙ 기초과학 지식과 외국어 능력
∙ 문제 해결을 위한 비판적 사고
∙ 인간애를 바탕으로 한 봉사정신

어떤 과목을 선택해서 배워야 할까?

교과 선택과목
교과(군)
영역 일반선택 진로선택
국어 화법과 작문, 독서, 언어와 매체, 문학
기초 수학 수학Ⅰ, 수학Ⅱ, 미적분, 확률과 통계
영어 영어 회화, 영어Ⅰ, 영어 독해와 작문, 영어Ⅱ
사회(역사, 도덕) 정치와 법, 생활과 윤리 여행지리, 사회문제 탐구
탐구 화학Ⅱ, 생명과학Ⅱ,
과학 화학Ⅰ, 생명과학Ⅰ
생활과 과학, 융합과학
체육 예술 운동과 건강 스포츠 생활, 체육 탐구
생활 교양 심리학, 보건
※ 선택과목 안내는 대학별 교육과정에 따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참고용으로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250 청소년을 사로잡는 진로 디자인 2


어떤 책을 읽어야 할까?

∙ WOW! 인체(리처드 워커) ∙ 불광불급: 미치려면, 미쳐라(이윤환)


∙ 그건, 사랑이었네(한비야) ∙ 생활 속의 물리치료(민경옥)
∙ 나는 대한민국 물리치료사다(이문환) ∙ 일반인을 위한 물리치료(민명식)
∙ 물리치료사 되기(안소윤) ∙ 하루 15분 기적의 림프 청소(김성중/심정묘)
∙ 미움 받을 용기(기시미 이치로/고가 후미타케) ∙ 헬스의 정석(시리즈)(수피)

물리치료학과가 있는 대학은?

▶ 학과
- 서울: 삼육대
- 부산: 경성대, 동의대, 부산가톨릭대, 신라대, 영산대, 인제대

▶ 관련 학과
- 서울
- 부산

졸업 후에는 이런 곳으로 갈 수 있어요.

물리치료사, 스포츠트레이너, 작업치료사, 보건직 공무원, 한방병원, 요양병원, 종합병원, 개인병원, 각 기업체 부속병원,
재활 관련 연구소, 재활 관련 정부기관, 장애인 복지관, 스포츠 관련 기관, 스포츠 연구소 등

물리치료학과 인터뷰 살펴보기

∙ 물리치료과 인터뷰 ∙ 물리치료학과가 알려주는


(마산대학교 물리치료과) 물리치료학과의 모든 것
[TEXT] [06:02]

의약계열 251
수 의 예 과

수의예과는?

신종플루와 같이 동물 유래 바이러스가 인간에 안전공급 등의 영역을 다룹니다. 사람에게까지 전


게 빈번히 영향을 줍니다. 따라서 동물의 질병 예 염되는 조류독감, 구제역 등의 질병을 예방하고
방과 치료는 중요합니다. 수의학과는 가축, 애완 동물 관련 의약품 및 신제품 개발에 이르기까지
동물, 야생동물뿐 아니라 수생동물까지 모든 동물 다양한 영역을 연구합니다. 수의학은 수의예과 2
의 질병 예방과 치료에 대하여 배우는 곳입니다. 년과 수의학과 4년, 총 6년으로 구성되어 있습니
수의학과는 동물의 질병 예방과 치료를 담당하는 다. 예과 과정에서 동물의 생리, 조직, 해부학 등
동물의 의사를 기르지만, 궁극적으로는 인류와 동 을 배우며 수의학의 기초지식을 배웁니다. 본과
물의 건강과 복지를 위한 전문 수의사를 기르는 과정에서는 각종 동물들의 질병을 진단하고 치료
곳입니다. 수의학과는 가축, 애완동물, 야생동물, 할 수 있도록 수의내과학, 외과학, 전염병학 등의
산업동물뿐 아니라 수생동물까지 모든 동물의 질 임상학적 지식을 쌓고, 이를 다양한 분야에 응용
병 예방과 치료에 대하여 연구하고 교육합니다. 할 수 있도록 수의기생충학, 수의병리학 등 심화
동물의 진료 이외에도 동물의 보존, 축산식품의 된 과목을 공부합니다.

필요한 역량은 무엇일까?

∙ 생명, 특히 동물에 대한 깊은 애정
∙ 의학과 생명과학분야에 대한 관심과 탐구하는 자세
∙ 과학적 사실을 바탕으로 한 논리적 추론 능력
∙ 생명 현상에 대한 높은 지적 호기심과 관찰 능력
∙ 응급상황에 대처할 줄 아는 냉정함과 침착함
∙ 생명과학 분야에 대한 관심 및 탐구 자세

어떤 과목을 선택해서 배워야 할까?

교과 선택과목
교과(군)
영역 일반선택 진로선택
국어 화법과 작문, 독서, 언어와 매체, 문학
기초 수학 수학Ⅰ, 수학Ⅱ, 미적분, 확률과 통계 기하, 수학과제 탐구
영어 영어 회화, 영어Ⅰ, 영어 독해와 작문, 영어Ⅱ
사회(역사, 도덕) 정치와 법, 사회·문화, 생활과 윤리, 윤리와 사상 여행지리, 사회문제 탐구
탐구
과학 화학Ⅰ, 생명과학Ⅰ 화학Ⅱ, 생명과학Ⅱ, 생활과 과학
체육 예술
생활 교양 보건, 환경
※ 선택과목 안내는 대학별 교육과정에 따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참고용으로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252 청소년을 사로잡는 진로 디자인 2


어떤 책을 읽어야 할까?

∙ 동물 인지와 데카르트 변호하기(김성환) ∙ 숲 속 수의사의 자연일기(다케타즈 미노루)


∙ 동물 해방(피터 싱어) ∙ 알이 닭을 낳는다(최재천)
∙ 돼지가 사는 공장(니콜렛 한 니먼) ∙ 애완동물사육(안제국)
∙ 돼지도 장난감이 필요해(박하재홍) ∙ 애완동물학(김옥진)
∙ 미친 농부의 순전한 기쁨(조엘 샐러틴) ∙ 유기축산(윤세형/전병수 외 3명)
∙ 바이오필리아(에드워드 윌슨) ∙ 인간의 위대한 스승들(제인 구달)
∙ 반려동물 행동학(강성호/최경선) ∙ 인간이 만든 질병 구제역(아비가일 우즈)
∙ 생명공학 소비시대 알 권리 선택할 권리(김훈기) ∙ 제인 구달의 생명사랑 십계명(제인 구달/마크 베코프)
∙ 수의사가 말하는 수의사(김영찬/양효진 외 20명) ∙ 최재천의 인간과 동물(최재천)

수의예과가 있는 대학은?

▶ 학과
- 서울: 건국대, 서울대
- 부산
- 기타: 강원대, 경북대, 경상대, 전남대, 전북대, 제주대, 충남대, 충북대

▶ 관련 학과
- 서울
- 부산

졸업 후에는 이런 곳으로 갈 수 있어요.

농림수산식품부, 국립수의과학검역원, 식품 의약품 안전청, 국립보건원, 국립 독성 연구소, 광역지방단체 보건환경연


구원, 축산기술연구소, HACCP, 서울대공원·지자체 동물원 법인 단체, 농축협중앙회, 한국마사회, 한국동물약품협회,
한국양록협회 등 동물진료·동물약품 업계, 소동물, 대동물, 야생동물, 어류 질병, 양계 전문, 양돈 전문, 동물약품·인체
약품, 수출임업, 식품위생, 육가공, 유가공, 수의공중보건 등

수의예과 인터뷰 살펴보기

∙ 건국대학교 수의대 ∙ 수의학과 인터뷰


학생이 밝히는 수의대의 (경상대학교 수의예과)
진실? [TEXT]
[14:08]

의약계열 253
약 학 과

약학과는?

약학은 의약품과 약물치료에 대한 이론을 바탕 분야, 의약품의 혼합, 용해, 여과, 멸균 등의 제제


으로 약품의 개발 및 생산, 관리 등을 공부하는 공정에 대해 공부하는 제제공학 분야 등이 있습
학문입니다. 약학은 천연물에서 새로운 약을 개발 니다. 신약학과에서는 질병의 예방 및 치료에 사
하기 위한 생약학 분야와 인체 내에서의 약물 용되는 의약품에 관한 지식을 가르치고, 임상 응
효과를 극대화시키기 위해 투여형태나 투여 경로 용 능력을 갖추어 관련된 학문적 연구를 수행할
등을 연구하는 약제학 분야, 그리고 에너지대사 수 있는 학생을 키우고자 합니다. 약학과에서는
및 생체방어 등을 다루는 생화학 분야, 의약품구 의약품과 약물 치료에 대한 이론을 바탕으로 약
조 및 약리작용을 연구하는 약품분석학 분야, 식 품의 개발 및 생산, 관리 등을 공부합니다.
품이나 화장품 등의 안전성을 연구하는 위생약학

필요한 역량은 무엇일까?

∙ 사물에 대한 과학적 분석력과 물리학, 화학, 생명과학 교과에 대한 기본적인 소양


∙ 신약 및 신물질 개발 등과 관련된 의약품 개발에 대한 관심
∙ 꼼꼼하고 침착한 성격, 냉철한 판단력과 분석력
∙ 타인에 대한 배려와 봉사 정신
∙ 생물, 화학적 기초 이론에 대한 흥미
∙ 환자를 배려하는 따뜻한 마음, 개인의 이익보다 환자 및 공중의 이익을 우선시하는 도덕성

어떤 과목을 선택해서 배워야 할까?

교과 선택과목
교과(군)
영역 일반선택 진로선택
국어 화법과 작문, 독서, 언어와 매체, 문학
기초 수학 수학Ⅰ, 수학Ⅱ, 미적분, 확률과 통계 기하, 수학과제 탐구
영어 영어 회화, 영어Ⅰ, 영어 독해와 작문, 영어Ⅱ
사회(역사, 도덕) 정치와 법, 사회·문화, 생활과 윤리, 윤리와 사상 여행지리, 사회문제 탐구
탐구 물리학Ⅱ, 화학Ⅱ,
과학 물리학Ⅰ, 화학Ⅰ, 생명과학Ⅰ
생명과학Ⅱ, 생활과 과학
체육 예술
생활 교양 심리학, 보건
※ 선택과목 안내는 대학별 교육과정에 따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참고용으로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254 청소년을 사로잡는 진로 디자인 2


어떤 책을 읽어야 할까?

∙ MT 약학(대한약학회) ∙ 신약 오딧세이(심재우)
∙ 감정의 분자(캔더스 B. 퍼트) ∙ 신약의 탄생(윤태진)
∙ 마법의 탄환(다니엘 바젤라/로버트 슬레이트) ∙ 약사가 말하는 약사(홍성광)
∙ 만화로 쉽게 배우는 유기화학(Toshio Hasegawa) ∙ 위대하고 위험한 약 이야기(장진호)
∙ 생명과 약의 연결고리(김성훈) ∙ 재밌어서 밤새읽는 화학 이야기(사마키 다케오)

약학과가 있는 대학은?

▶ 학과
- 서울: 가톨릭대, 경희대, 덕성여대, 동국대, 동덕여대, 삼육대, 서울대, 성균관대, 숙명여대, 연세대, 이화여대, 중앙대
- 부산: 경성대, 부산대, 인제대

▶ 관련 학과
- 서울
- 부산

졸업 후에는 이런 곳으로 갈 수 있어요.

중앙정부 및 지방자치단체 약무직 및 보건직, 식품의약품 안전청, 개인 및 대형약국 개업 및 관리 약사, 종합병원, 대학


병원, 제약업체, 화장품제조업체, 건강식품업체, 국립보건연구원, 환경연구원, 생명공학연구소, 제약회사 부설 연구소

약학과 인터뷰 살펴보기

∙ 약대생은 문과다? ∙ 약학과 인터뷰


약학대학 약대생 후기 (강원대학교 약학과)
[07:20] [TEXT]

의약계열 255
의 예 과

의예과는?

의예과는 의학과 진입 과정으로서 교육과정을 니다. 의료 각 분야에 대하여 구체적이고 체계적


자연계열 과목 중심에서 인문학과 사회과목 중심 인 지식을 습득하게 함과 동시에 인간 생명의 존
으로 바꾸어 인성교육과 가치관 확립의 역점 교 엄성을 인식시키고 의술을 통해 인류에 봉사할
육으로 개편하여 실제 의료현장에서 필요한 지식 수 있는 박애와 봉사 정신에 충실한 의료인을 양
을 고루 갖추도록 하였습니다. 의예과는 의학과에 성합니다. 의예과 2년, 의학과 4년, 총 6년 과정의
진입하기 전의 교양교육과 의학적 행위에 필요한 의과대학 졸업 후 의사국가고시에 합격해야 의사
자질을 함께 개발하는 과정이며, 의사로서 갖추어 면허가 주어지며 이후 인턴과정 1년, 레지던트과
야 할 인격 형성을 위한 일반교양 학문과 더불어 정 3~4년을 거쳐 전문의 자격시험에 합격하면 각
의학 및 자연과학 분야, 사회과학 등을 함께 배웁 전공 분야별 전문의사가 될 수 있습니다.

필요한 역량은 무엇일까?

∙ 풍부한 기초 과학지식, 정교한 동작을 할 수 있는 신체 운동 능력


∙ 강한 지적 호기심, 과학적 방법에 기반하여 해결하는 능력
∙ 새로운 의학지식의 습득과 국제화 시대에 따른 영어 구사 능력
∙ 의학지식, 임상술기능력, 문제해결능력, 의학전문직업성, 의학연구역량
∙ 사람을 돌보는 것과 생명을 소중히 여기는 마음
∙ 인체의 구조와 특성에 대한 관심
∙ 타인을 배려하며 봉사하는 마음

어떤 과목을 선택해서 배워야 할까?

교과 선택과목
교과(군)
영역 일반선택 진로선택
국어 화법과 작문, 독서, 언어와 매체, 문학
기초 수학 수학Ⅰ, 수학Ⅱ, 미적분, 확률과 통계 기하, 수학과제 탐구
영어 영어 회화, 영어Ⅰ, 영어 독해와 작문, 영어Ⅱ
사회(역사, 도덕) 정치와 법, 사회·문화, 생활과 윤리, 윤리와 사상 여행지리, 사회문제 탐구
탐구
과학 물리학Ⅰ, 화학Ⅰ, 생명과학Ⅰ 화학Ⅱ, 생명과학Ⅱ, 생활과 과학
체육 예술
생활 교양 심리학, 보건
※ 선택과목 안내는 대학별 교육과정에 따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참고용으로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256 청소년을 사로잡는 진로 디자인 2


어떤 책을 읽어야 할까?

∙ 과학의 변경지대(마이클 셔머) ∙ 시골의사의 아름다운 동행 1,2(박경철)


∙ 과학혁명의 구조(토마스 쿤) ∙ 의학, 인문으로 치유하다(예병일)
∙ 그 청년 바보의사(안수현) ∙ 의학의 역사(재컬린 더핀)
∙ 나는 고백한다, 현대 의학을(아툴 가완디) ∙ 차가운 의학 따뜻한 의사(로렌스 A 사벳)
∙ 미래의 의사에게(페리 클라스) ∙ 청년의사 장기려(손홍규)
∙ 불량의학(크리스토퍼 완제크) ∙ 친구가 되어 주실래요?(이태석)
∙ 성채 1,2(A. J. 크로닌) ∙ 확장된 표현형(리처드 도킨스)
∙ 소설 의과대학(강동우)

의예과가 있는 대학은?

▶ 학과
- 서울: 가톨릭대, 경희대, 고려대, 서울대, 성균관대, 연세대, 이화여대, 중앙대, 한양대
- 부산: 고신대, 동아대, 부산대, 인제대

▶ 관련 학과
- 서울
- 부산

졸업 후에는 이런 곳으로 갈 수 있어요.

가정의학과 의사, 내과 의사, 마취병리과 의사, 방사선과 의사, 보건의료관련 관리자, 비뇨기과 의사, 산부인과 의사,
생명과학시험원, 성형외과 의사, 소아청소년과 의사, 안과 의사, 외과 의사, 의약계열교수, 의학연구원, 이비인후과 의사,
일반 의사, 정신과 의사, 피부과 의사 등

의예과 인터뷰 살펴보기

∙ 의대생이 말하는 의대 ∙ 의예과 인터뷰


[10:00] (서울대학교 의예과)
[TEXT]

의약계열 257
임 상 병 리 학 과

임상병리학과는?

임상병리학은 인간의 건강증진을 목표로 하는 맞추어 임상병리학 분야도 해를 거듭하여 발전


자연과학과 의과학을 접목하여 질병의 진단, 경과, 하고 있고, 이러한 변화에 맞추어 임상병리학과는
치료 효과 및 예후 등을 판단하는 데 필요한 여러 이론적 의과학의 이해를 바탕으로 하여 임상병리학
학문이 융합된 응용학문이다. 우리 인류는 건강 전반에 첨단 지식을 갖추고 있는 전문화된 의료
하게 오래 살기를 바라기에 계속되는 연구를 통해 인을 양성하는데 목표를 하고 있다. 임상병리학을
생명과학과 의과학 분야에 끊임없는 발전을 이루어 전공한 사람은 생명과학의 한 분야에서 연구를
왔고, 이와 더불어 질병 진단 분야에도 많은 첨단 계속할 수 있고, 의과학의 한 분야에서 전문 의료
기술과 기기를 개발하여 이용하고 있다. 따라서 인으로서 인류 복지를 위해 활동할 수 있다. 이러
현재 의과학 분야에서 임상 진단과 관련하여 전문 한 전문 의료인 양성을 위한 임상병리학과의 발전
화된 의료인 양성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이에 은 현재와 미래사회의 요구이기도 하다.

필요한 역량은 무엇일까?

∙ 의생명과학 분야에서의 연구능력과 창의성


∙ 첨단의료장비 사용에 용이한 기계를 능숙하게 다룰 수 있는 능력
∙ 화학, 생명과학 등의 교과목에 대한 흥미
∙ 실험적 문제 해결을 위한 창의적 사고와 협력 자세
∙ 보건의료인으로서의 투철한 사명감

어떤 과목을 선택해서 배워야 할까?

교과 선택과목
교과(군)
영역 일반선택 진로선택
국어 화법과 작문, 독서, 언어와 매체, 문학
기초 수학 수학Ⅰ, 수학Ⅱ, 미적분, 확률과 통계 기하
영어 영어 회화, 영어Ⅰ, 영어 독해와 작문, 영어Ⅱ
사회(역사, 도덕) 정치와 법, 생활과 윤리, 윤리와 사상 여행지리, 사회문제 탐구
탐구 화학Ⅱ, 생명과학Ⅱ,
과학 물리학Ⅰ, 화학Ⅰ, 생명과학Ⅰ
생활과 과학
체육 예술
생활 교양 심리학, 보건

※ 선택과목 안내는 대학별 교육과정에 따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참고용으로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258 청소년을 사로잡는 진로 디자인 2


어떤 책을 읽어야 할까?

∙ 나의 생명 수업(김성호) ∙ 생명이란 무엇인가(폴 너스)


∙ 내 몸안의 과학(예병일) ∙ 이기적 유전자(리처드 도킨스)
∙ 노벨상 수상자가 들려주는 미생물 이야기(아서 콘버그) ∙ 인간은 왜 병에 걸리는가(R. 네스/G. 윌리엄즈)
∙ 백신 그리고 우리가 모르는 이야기(팀 오시) ∙ 질병의 역사(프레더릭 F. 카트라이트)
∙ 생명설계도, 게놈(매트 리들리) ∙ 화학 교과서는 살아있다(박태현/문상흡 외 3명)
∙ 생명의 기원(폴 데이비스)

임상병리학과가 있는 대학은?

▶ 학과
- 서울
- 부산: 동서대, 동의대, 부산가톨릭대, 인제대
- 기타: 가톨릭관동대, 건양대, 경동대, 경운대, 극동대, 김천대, 나사렛대, 남서울대, 단국대, 대구한의대, 대전대,
상지대, 세명대, 순천향대, 신한대, 연세대(미래), 을지대, 중원대, 청주대, 호남대, 호서대

▶ 관련 학과
- 서울
- 부산

졸업 후에는 이런 곳으로 갈 수 있어요.

공무원(환경 및 보건직), 병리학자, 임상병리사, 임상연구 코디네이터, 교수, 대학병원, 종합병원, 한방병원, 임상 검사
센터, 전문 검진 센터, 제약 회사, 생명 보험 회사, 의료 기기 회사, 한국보건의료연구원, 보건·의료 관련 공공기관 등

임상병리학과 인터뷰 살펴보기

∙ 임상병리사편(현실 기반 ∙ [보건의료계열]
직업 인터뷰) 임상병리학과
[10:02] [01:49]

의약계열 259
치 위 생 학 과

치위생학과는?

치위생학과는 국민의 구강질환 예방과 구강 할 수 있도록 전문 치위생 이론 및 기술을 공부


건강 증진을 위해 예방 치과 처치, 구강보건 지도 하며 치과 병·의원에서 치과의사를 도와 국민의
및 교육, 지역사회 구강보건 활동에 중점을 두어 구강보건에 힘쓰는 치과위생사를 양성합니다. 치
공부하는 학과입니다. 치위생학과는 지역주민과 위생학은 기초의학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치아
구강질환을 가진 사람을 대상으로 구강병 예방과 의 특성, 구강조직, 치주조직 등을 이해하기 위해
구강 건강증진에 필요한 전문적인 지식교육과 구강생리학, 치아형태학, 구강병리학 등의 치위생
현장 및 임상 실습을 통해 예방 치과 처치, 구강 기초과학부터 임상 영역별 질병을 예방하고 치료
보건 교육, 구강위생 교육, 치과 의료 관리 전문가 하는데 필요한 치과임상학, 치주학, 보존학, 구강
로서 사회에 봉사하여 국민의 구강건강 증진에 병리학, 치과방사선학 등의 임상치위생학, 그리고
이바지할 유능한 치과위생사를 양성하는데 교육 가정 및 지역사회의 구강건강 증진을 위한 구강
목표를 두고 있습니다. 치위생학은 사람들의 구강 보건 교육학 등의 다양한 분야를 학습합니다.
질환을 예방하고 건강하고 아름다운 치아를 유지

필요한 역량은 무엇일까?

∙ 정교한 손놀림, 꼼꼼함, 성실함, 타인에 대한 배려심


∙ 인간과 자연을 사랑하는 마음과 생명과학을 이해하는 능력
∙ 구강건강 증진과 구강 보건교육에 대한 관심
∙ 규칙과 규율을 존중하는 태도와 타인과 협력하고 소통할 수 있는 능력
∙ 윤리적 시민의식을 토대로 한 헌신과 봉사정신
∙ 자연과학과 인문사회학의 융복합적 기본 소양을 토대로 한 자기주도적 사고능력

어떤 과목을 선택해서 배워야 할까?

교과 선택과목
교과(군)
영역 일반선택 진로선택
국어 화법과 작문, 독서, 언어와 매체, 문학
기초 수학 수학Ⅰ, 수학Ⅱ, 미적분, 확률과 통계 기하
영어 영어 회화, 영어Ⅰ, 영어 독해와 작문, 영어Ⅱ
사회(역사, 도덕) 정치와 법, 생활과 윤리, 윤리와 사상 여행지리, 사회문제 탐구
탐구
과학 물리학Ⅰ, 화학Ⅰ, 생명과학Ⅰ 생활과 과학
체육 예술
생활 교양 심리학, 보건

※ 선택과목 안내는 대학별 교육과정에 따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참고용으로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260 청소년을 사로잡는 진로 디자인 2


어떤 책을 읽어야 할까?

∙ 나의 생애와 사상(알버트 슈바이처) ∙ 치과 예방진료(공정인)


∙ 백세치아(김문섭) ∙ 치과의 비밀(류성용)
∙ 의식 혁명(데이비드 호킨스) ∙ 치아를 보면 건강과 체질이 보인다(박금출)
∙ 자존감 수업(윤홍균) ∙ 치과위생사 치과적응 101가지 매뉴얼(김영삼)
∙ 잘못된 치아 관리가 내 몸을 망친다(윤종일) ∙ 푸코와 치아(사라 네틀턴)

치위생학과가 있는 대학은?

▶ 학과
- 서울
- 부산: 동서대, 동의대, 신라대, 영산대
- 기타: 가천대, 가톨릭관동대, 강릉원주대, 강원대, 건양대, 경동대, 경북대, 경운대, 광주여대, 김천대, 남서울대,
단국대, 백석대, 선문대, 송원대, 신한대, 연세대(미래), 유원대, 을지대, 청주대, 초당대, 한서대, 호남대,
호원대

▶ 관련 학과
- 서울
- 부산

졸업 후에는 이런 곳으로 갈 수 있어요.

정부기관 중앙정부 및 지방자치단체의 보건직 및 의료기술직, 종합병원, 치과 병・의원, 보건소의 구강보건실, 기업체
치과의무실, 구강약품 제약회사, 건강보험공단, 구강용품 관련업체, 구강보건 관련 연구소 등

치위생학과 인터뷰 살펴보기

∙ 이영애, 대구보건대학교 ∙ 치위생학과가 말하는


치위생과 치위생학과
[TEXT] [06:59]

의약계열 261
치 의 예 과

치의예과는?

치의예과는 치과의사로서의 사명감과 사회에 인해 노인들의 약한 치아를 보존하고 새로운 치


봉사하는 인생관을 지니고 국민의 구강 건강을 아를 심는 임플란트 기술 등도 발전하고 있어 치
지키며 선진국 수준의 국제 감각을 지닌 치과의 의예과에 대한 사람들의 관심은 더욱 증가하고
사를 키웁니다. 치의예과에서는 치아 및 구강 외 있습니다. 치의예과 2년, 치의학과 4년 총 6년 과
에도 아래턱, 위턱, 얼굴과 관련된 질환과 장애, 정의 치과대학 졸업 후 치과의사 국가고시에 합
기형 등에 대해 치료하고 예방하는 방법에 대해 격해야 치과 의사 면허가 주어지며 이후 인턴과
공부합니다. 외모에 대한 관심이 점차 증가하는 정 1년, 레지던트과정 3년을 거쳐 전문의 자격시
사회 분위기와 의료 기술의 발달로 치의과 기술 험에 합격하면 각 전공 분야별 치과 의사 전문의
도 점차 중요해지고 있습니다. 또, 노화 증상으로 가 될 수 있습니다.

필요한 역량은 무엇일까?

∙ 치아 구조나 턱선 및 구강 구조 등 사람의 구조에 대한 관심


∙ 타인의 아픔에 대한 공감과 연민 그리고 인간에 대한 헌신과 봉사
∙ 새로운 의학지식의 습득 능력과 국제화 시대에 따른 영어 구사 능력
∙ 인성을 바탕으로 인간 삶에 대한 깊은 이해와 성찰
∙ 강한 지적 호기심, 과학적 방법에 기반한 문제 해결 능력
∙ 인체의 구조나 기능에 대한 관심과 과학적인 사고능력
∙ 꼼꼼한 성격, 정교한 손놀림

어떤 과목을 선택해서 배워야 할까?

교과 선택과목
교과(군)
영역 일반선택 진로선택
국어 화법과 작문, 독서, 언어와 매체, 문학
기초 수학 수학Ⅰ, 수학Ⅱ, 미적분, 확률과 통계 기하, 수학과제 탐구
영어 영어 회화, 영어Ⅰ, 영어 독해와 작문, 영어Ⅱ
사회(역사, 도덕) 정치와 법, 사회·문화, 생활과 윤리, 윤리와 사상 여행지리, 사회문제 탐구
탐구 화학Ⅱ, 생명과학Ⅱ,
과학 물리학Ⅰ, 화학Ⅰ, 생명과학Ⅰ
생활과 과학
체육 예술
생활 교양 한문Ⅰ, 심리학, 보건
※ 선택과목 안내는 대학별 교육과정에 따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참고용으로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262 청소년을 사로잡는 진로 디자인 2


어떤 책을 읽어야 할까?

∙ 김기섭 원장의 즐거운 치과 이야기(김기섭) ∙ 재미있는 치과 이야기(서정욱)


∙ 닥터스 1,2(에릭 시걸) ∙ 치과의 비밀(류성용)
∙ 백경(허먼 멜빌) ∙ 치과의사(고정민/강창용 외 7명)
∙ 우리 아이 홈치과(유성훈) ∙ 치과의사(피에르 포샤르)
∙ 입속에서 시작하는 미생물 이야기(김혜성) ∙ 치과의사가 말하는 치과의사(안상수/오동찬 외 17명)

치의예과가 있는 대학은?

▶ 학과
- 서울: 경희대, 서울대, 연세대
- 부산: 부산대
- 기타: 강릉원주대, 경북대, 단국대, 원광대, 전남대, 전북대, 조선대

▶ 관련 학과
- 서울
- 부산

졸업 후에는 이런 곳으로 갈 수 있어요.

식품의약품 안전청, 의료기관 종합병원, 대학병원, 치과병원, 개인 병・의원, 보건소, 생명과학연구원, 방송사, 신문사
등의 미디어 업체, 국립암센터, 국립과학수사연구소, 치의학 관련 연구소 등

치의예과 인터뷰 살펴보기

∙ [연대생 질문받는다] ∙ 김진수, 조선대학교


치과대학 편 치의학과
[01:57] [TEXT]

의약계열 263
한 의 예 과

한의예과는?

한의예과는 한의학 지식과 진료 능력을 가지고 한의사가 되고, 인턴과정 1년, 레지던트과정 3년을
봉사 정신과 사명감을 갖춘 유능한 한의사 및 한 거쳐 전문의 자격시험에 합격하면 각 전공 분야
의학자를 키웁니다. 한의예과에서는 질병의 근본 별 한의사 전문의가 될 수 있습니다. 한의학은
적인 원인을 알아내어 인체의 기능을 정상으로 동양의학으로 대표되는 의학으로, 질병의 근본적
회복시키기 위해 한약과 침술을 사용하는 방법에 인 원인을 규명하여 인체의 기능을 정상으로 회복
대해 학습합니다. 우리가 의학이라고 말할 때 그 시키는 데 중점을 두고 치료기술 및 치료영역을
것은 대부분 서양의학을 의미합니다. 그러나 서양 연구하는 학문입니다. 우리나라를 비롯해 중국 및
의학과 대응되는 동시에 보완해주고 있는 동양 일본 등 한자 문화권에서 연구되고 발전되어 온
의학, 즉 한의학까지 포함해야 진정한 의미의 의학 학문으로 서양에서도 한의학에 대한 관심이 점차
이라고 할 수 있을 겁니다. 한의예과 2년, 한의학과 증가하고 있습니다.
4년 총 6년 과정으로 국가 면허 시험에 합격하면

필요한 역량은 무엇일까?

∙ 인체 및 생명에 대한 호기심과 원활한 의사소통 능력


∙ 한자에 대한 풍부한 지식
∙ 인체 생리 이해를 위한 기본 과학 이해 역량
∙ 배려심, 이해심, 봉사 정신
∙ 고대 동양철학에 대한 기초 지식
∙ 방대한 학습량을 소화할 수 있는 도전정신, 끈기와 인내

어떤 과목을 선택해서 배워야 할까?

교과 선택과목
교과(군)
영역 일반선택 진로선택
국어 화법과 작문, 독서, 언어와 매체, 문학
기초 수학 수학Ⅰ, 수학Ⅱ, 미적분, 확률과 통계 기하, 수학과제 탐구
영어 영어 회화, 영어Ⅰ, 영어 독해와 작문, 영어Ⅱ
사회(역사, 도덕) 한국지리, 동아시아사, 정치와 법, 생활과 윤리, 윤리와 사상 여행지리, 사회문제 탐구
탐구
과학 물리학Ⅰ, 화학Ⅰ, 생명과학Ⅰ 화학Ⅱ, 생명과학Ⅱ
체육 예술
생활 교양 한문Ⅰ, 심리학, 보건 한문Ⅱ
※ 선택과목 안내는 대학별 교육과정에 따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참고용으로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264 청소년을 사로잡는 진로 디자인 2


어떤 책을 읽어야 할까?

∙ 공부에 다음이란 없다(김태진) ∙ 한의학 입문(주춘재)


∙ 과학사 이야기(천병수/유종수) ∙ 한의학과 심리학의 만남(김태형/양웅모)
∙ 나는 치매랑 친구로 산다(김철수) ∙ 한의학 어떻게 공부할 것인가(손영기)
∙ 내 손으로 하는 경혈지압 마사지324(산차이원화) ∙ 한의학에 미친 조선의 지식인들(김남일)
∙ 동의보감(허준) ∙ 한의학의 원류를 찾다(장기성)
∙ 몸, 한의학으로 다시 태어나다(안세영/조정래) ∙ 황제내경(지토 편집부)

한의예과가 있는 대학은?

▶ 학과
- 서울: 경희대
- 부산: 동의대, 부산대
- 기타: 가천대, 대구한의대, 대전대, 동국대(경주), 동신대, 상지대, 세명대, 우석대, 원광대

▶ 관련 학과
- 서울
- 부산

졸업 후에는 이런 곳으로 갈 수 있어요.

중앙정부 및 지방자치단체 의무직 및 보건직, 한방병원, 한의원, 양방종합병원의 한방과, 보건소, 국립의료원, 일반기업
생명과학연구원, 의학 전문기자, 한의학 관련 연구소, 식품 및 제약 관련 연구소 등

한의예과 인터뷰 살펴보기

∙ 동국대학교(경주) ∙ 김병수, 대전대학교


한의예과 한의학과
[03:01] [TEXT]

의약계열 265
2
266 청소년을 사로잡는 진로 디자인 2
예체능계열 267
07 예체능계열
예체능계열이란 예체능계열은 변화하는 시대에 맞게 첨단화, 전문화되고 있는 예술 환경의 변화에
무엇일까? 대처할 수 있는 전문 예술인과 신체 활동을 통해 개인 건강 유지 및 대중들이 쉽게
접할 수 있는 활동을 지도할 수 있는 체육인을 양성하는데 목표가 있습니다.
예술이라는 창작과 표현 수단을 통해 감동과 아름다움을 추구하는 음악, 미술,
체육, 연극, 영화 등의 영역이 포함됩니다.

어떤 분야로 예체능계열은 디자인, 응용 예술, 무용·체육, 미술·조형, 연극·영화, 음악으로


구성되어 구성됩니다.
있을까? 디자인
여러 조형 요소 가운데 의도적으로 선택한 것을 합리적으로 구성하여 유기적인
통일을 얻기 위한 창조 활동을 디자인이라고 합니다. 시각 디자인, 제품 디자인,
환경 디자인이 포함됩니다.

응용예술
실제적인 효용에 목적을 둔 예술 영역을 의미합니다. 공예, 장식 미술을 비롯하여
과학 기술의 발달로 각종 매체를 활용한 사진, 영상, 애니메이션이 포함됩니다.

무용·체육
시간과 공간 속에 존재하는 육체의 활동적인 운동인 무용, 건전한 신체와 온전한
운동 능력을 기르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체육이 포함됩니다.

미술·조형
일정한 세계상과 인간상을 미적, 조형적으로 표현하는 예술인 미술에 바탕을
두는데, 각종 재료를 사용하여 공간에 형태를 만드는 조형 예술과 시각 예술이
포함됩니다.

연극·영화
실제의 공연을 보여주는 공연 예술 또는 무대 예술과 영상에 바탕을 두고 보여
주는 복제 예술의 성격을 띠는 영상 예술이 포함됩니다.

음악
시간의 흐름에 따라 생성, 전개되는 시간 예술로 분류되며, 이론적 음악, 작곡과
같은 창작적 음악, 연주와 같은 실천적 음악이 포함됩니다. 기능과 용도에 따라
구분되는 실용 음악과 자유 음악 그리고 표현 매체에 따라 구분되는 성악, 기악이
포함됩니다.

268 청소년을 사로잡는 진로 디자인 2


어떤 학과가 공업디자인학과, 공예학과, 무용학과, 미술학과, 사진영상학과, 산업디자인학과,
있을까? 시각디자인학과, 실내디자인학과, 연극·영화학과, 음악학과, 조형학과, 체육학과,
패션디자인학과

무엇을 예체능계열에서 이론 과목과 실기 과목을 병행해서 배우게 되는데, 배우는 내용은


배울까? 전공 영역에 따라 매우 다릅니다. 전공에 따라 시각디자인론, 일러스트레이션, 컴퓨
터 그래픽스, 제품 조형, 환경 디자인, 공업 디자인, 패션 디자인, 실내 디자인, 조명
디자인, 디스플레이, 동양화 과목, 서양화 과목, 기초 조소, 조각 실기, 영상, 애니메
이션, 피아노, 관현악, 타악, 성악, 화성법, 예술 가곡, 작곡, 국악, 국악 실기, 무용론,
무용 연기법, 운동 생리학, 스포츠 생리학, 체육교육 등을 배울 수 있습니다.

관련 직업 가구 디자이너 가수 경호원 레크리에이션강사


[18:37] [06:44] [10:29] [08:56]

만화가 메디컬일러스트레 미디어콘텐츠창작자 배우


[09:24] 이터 [08:24] [10:20] [14:34]

사진작가 성악가 스턴트맨 스포츠분야전문가


[03:50] [12:27] [11:24] [14:32]

야구코치 자동차 디자이너 캐릭터디자이너 큐레이터


[13:37] [07:06] [13:28] [10:14]

특수분장사
[07:26]

예체능계열 269
공 업 디 자 인 학 과

공업디자인학과는?

공업디자인은 인간 삶에 필요한 제품과 서비스를 력과 문화 수준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가져다줍니


창안해내고 그 외관과 사용 과정을 설계하여, 기업과 다. 공업 디자인의 적용 대상은 TV, 세탁기와 같은
사용자 모두에게 가치를 제공하는 산업 사회의 가전 제품, 스마트폰을 비롯한 정보 통신 기기, 자
전문 분야입니다. 우수한 공업디자인 결과물은 사 동차 등의 운송 기기, 사무용품, 주방 기기, 로봇
용자 개인에게는 심미적 만족감과 우아한 사용 산업, 항공 우주 산업, 디지털 미디어, VR 및 게임,
경험을 주며 기업에는 영리 창출과 기업 이미지 공공 시설물과 환경 구조물, 서비스 시스템 등 모든
제고 효과를, 국가·사회적 차원으로는 국가 경쟁 산업에 걸쳐 있습니다.

필요한 역량은 무엇일까?

∙ 학문의 범위가 방대하고 헤아릴 수 없기에 작은 것도 배우려는 의지


∙ 디자인 관련 실기 능력
∙ 주변의 사소한 것도 눈여겨보는 집중력
∙ 새로운 것을 제시하는 것에 대한 흥미
∙ 뛰어난 종합적 문제 해결 능력 및 의사소통 능력

어떤 과목을 선택해서 배워야 할까?

교과 선택과목
교과(군)
영역 일반선택 진로선택
국어 화법과 작문, 독서, 언어와 매체, 문학
기초 수학 수학Ⅰ, 수학Ⅱ, 확률과 통계
영어 영어 회화, 영어Ⅰ, 영어 독해와 작문, 영어Ⅱ
사회(역사, 도덕) 세계사, 사회·문화, 생활과 윤리 여행지리
탐구
과학 생활과 과학, 융합과학
체육 예술 음악, 미술, 연극 미술 창작, 미술 감상과 비평
생활 교양 기술·가정, 정보, 철학, 심리학

※ 선택과목 안내는 대학별 교육과정에 따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참고용으로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270 청소년을 사로잡는 진로 디자인 2


어떤 책을 읽어야 할까?

∙ 그리드 디자인 어드밴스(킴벌리 일램) ∙ 디자인의 탄생(페니 스파크)


∙ 금속공예를 위한 디자인 가이드(안순주/박준) ∙ 물건의 재구성(연정태)
∙ 디자이너가 말하는 디자이너(오준식/최광우 외 3명) ∙ 영혼을 잃지 않는 디자이너 되기(아드리안 쇼네시)
∙ 디자인에 대해 알고 싶은 모든 것들(안 보니) ∙ 위로의 디자인(유인경/박선주)
∙ 디자인의 디자인(하라 켄야) ∙ 유럽 디자인 여행(문무경/김성곤)

공업디자인학과가 있는 대학은?

▶ 학과
- 서울: 국민대, 서울시립대
- 부산: 부경대

▶ 관련 학과
- 서울: 건국대(산업디자인학과), 경희대(산업디자인학과), 서울과학기술대(디자인학과 산업디자인전공), 서울
시립대(산업디자인학과 산업디자인전공), 서울여대(산업디자인학과), 성신여대(산업디자인과), 숙명여대
(산업디자인과)
- 부산: 경성대(산업디자인학전공), 동명대(산업디자인학과), 동아대(산업디자인학과), 동의대(디자인조형학과
산업디자인전공)

졸업 후에는 이런 곳으로 갈 수 있어요.

전자 제품, 생활용품, 패키지 디자이너, UX/UI, 게임 그래픽, VR 디자이너, 메카트로닉스, 자동차 및 모빌리티 관련
디자이너, 인테리어, 익스테리어, 공공 환경 디자이너, 기업 소속 인하우스 디자이너, 디자인 전문 회사 소속 컨설턴트,
디자인 창업가, 프리랜서, 디자인 관련 학과 교수 및 연구자 등

공업디자인학과 인터뷰 살펴보기

∙ 국민대 공업디자인학과 ∙ 부경대 공업디자인학과


[02:58] [03:15]

예체능계열 271
공 예 학 과

공예학과는?

공예는 금속, 도자기, 목칠, 염직 등을 재료로 적용할 수 있는 합리적인 디자인 개발과 기획 능


작품을 만드는 조형 예술 분야로서 조형과 기능을 력을 발휘할 수 있는 전문 디자이너 및 제작인을
조화롭게 표현하여 산업과 공예 문화의 발전에 양성하는데 교육 목표를 두고 있습니다.
기여하고자 합니다. 현대 생활의 실질적인 요구에

필요한 역량은 무엇일까?

∙ 예술과 과학으로 이루어진 디자인 경쟁 시대에 필요한 사고력과 창조성


∙ 공예, 디자인, 예술 분야에 대한 관심
∙ 다양한 재료를 통한 표현 기법, 융·복합적인 창의력
∙ 포토샵, 일러스트레이터, 3D 캐드 등의 컴퓨터 프로그램에 대한 관심
∙ 문화와 역사 의식을 고취, 주체적 공예관과 국제적 보편성
∙ 공예가와 디자이너로서 사회적 책임감
∙ 공예와 디자인에서 요구되는 전문 지식과 국제적 동시대성
∙ 공예의 가치를 산업적으로 활용, 타 분야와의 협업을 주도하는 능력
∙ 자유로운 사고와 창의력, 예술 감각

어떤 과목을 선택해서 배워야 할까?

교과 선택과목
교과(군)
영역 일반선택 진로선택

국어 화법과 작문, 독서, 언어와 매체, 문학

기초 수학 수학Ⅰ, 수학Ⅱ, 확률과 통계

영어 영어 회화, 영어Ⅰ, 영어 독해와 작문, 영어Ⅱ

사회(역사, 도덕) 세계사, 사회·문화, 생활과 윤리 여행지리


탐구
과학 물리학Ⅰ, 화학Ⅰ 생활과 과학, 융합과학

체육 예술 음악, 미술, 연극 미술 창작, 미술 감상과 비평

생활 교양 기술·가정, 정보, 철학, 심리학

※ 선택과목 안내는 대학별 교육과정에 따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참고용으로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272 청소년을 사로잡는 진로 디자인 2


어떤 책을 읽어야 할까?

∙ 공예로 생각하기(글렌 아담슨) ∙ 영혼을 잃지 않는 디자이너 되기(아드리안 쇼네시)


∙ 금속공예 기법(전용일) ∙ 유럽 디자인 여행(문무경/김성곤)
∙ 금속공예를 위한 디자인 가이드(안순주/박준) ∙ 장인(리처드 세넷)
∙ 디자인의 탄생(페니 스파크) ∙ 진중권의 미학 오디세이 1,2,3(진중권)
∙ 몰라봐주어 너무도 미안한 그 아름다움(서진영) ∙ 클릭 서양미술사(캐롤 스트릭랜드)
∙ 문화비평과 미학(최연희) ∙ 한국현대미술사(오광수)
∙ 물건의 재구성(연정태)

공예학과가 있는 대학은?

▶ 학과
- 서울: 서울대(디자인학부 공예전공), 서울여대, 성신여대, 숙명여대
- 부산: 경성대(공예디자인학과), 동아대, 동의대(디자인조형학과 공예디자인전공)

▶ 관련 학과
- 서울: 건국대(리빙디자인학과), 경희대(도예학과), 국민대(금속공예학과, 도자공예학과), 동덕여대(디지털공예과),
상명대(미술학부 생활예술전공), 서울과기대(금속공예디자인학과, 도예학과), 홍익대(도예·유리과, 목조형
가구학과)
- 부산: 부산대(조형학과 도예전공)

졸업 후에는 이런 곳으로 갈 수 있어요.

예능 강사, 방과 후 교사, 학예사(큐레이터), 잡지 기자, 제품 디자이너, 팬시 및 완구 디자이너, 공예원, 한지 공예가, 점토


공예가, 금속 공예가, 미술품 감정사, 보석 디자이너 등

공예학과 인터뷰 살펴보기

∙ 서울대 디자인학부 공예 ∙ 서울여대 공예전공


[13:16] [05:58]

예체능계열 273
무 용 학 과

무용학과는?

무용 예술 전반에 걸친 전문가를 양성하기 위 지도력을 길러서 우수한 무용 예술 전문가 및 이론


하여 예술 교육의 체계적인 이해도를 높이고, 전문 지도자를 배출하는 데 그 목적을 두고 있습니다.
적인 지식을 습득하고 있습니다. 특히 창의력과

필요한 역량은 무엇일까?

∙ 무용에 대한 열정과 자신감


∙ 추상적 생각에 대한 구체적인 표현력
∙ 이론적 지식, 인문학적 소양, 실기 실력, 창의력
∙ 유연한 신체 조건과 표현력 및 음악에 대한 리듬 감각
∙ 다양한 문화 예술 분야에 관심
∙ 오랜 연습을 견딜 수 있는 강인한 체력

어떤 과목을 선택해서 배워야 할까?

교과 선택과목
교과(군)
영역 일반선택 진로선택
국어 화법과 작문, 독서, 언어와 매체, 문학
기초 수학 수학Ⅰ, 수학Ⅱ, 확률과 통계
영어 영어 회화, 영어Ⅰ, 영어 독해와 작문, 영어Ⅱ
사회(역사, 도덕) 세계사, 사회·문화, 생활과 윤리 여행지리
탐구
과학 물리학Ⅰ, 생명과학Ⅰ 생활과 과학, 융합과학
스포츠 생활, 체육 탐구,
체육 예술 체육, 운동과 건강, 음악, 미술, 연극 음악 감상과 비평,
미술 감상과 비평
생활 교양 철학, 심리학, 보건

※ 선택과목 안내는 대학별 교육과정에 따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참고용으로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274 청소년을 사로잡는 진로 디자인 2


어떤 책을 읽어야 할까?

∙ 무용교육론(김화숙) ∙ 춤과 문화(허영일)
∙ 무용교육의 힘(무용교육발전추진위원회) ∙ 춤을 빛낸 아름다운 남성 무용가들(심정민)
∙ 무용 예술의 이해(김말복) ∙ 한국 근대 무용사(김호연)
∙ 세계무용사(배소심/김영아) ∙ 한국춤이 알고 싶다(유인화)
∙ 인물로 본 한국무용사(이영란) ∙ 현대 무용의 역사(박혜란)

무용학과가 있는 대학은?

▶ 학과
- 서울: 경희대, 국민대, 동덕여대, 서울기독대, 세종대, 숙명여대, 이화여대, 한양대
- 부산: 부산대

▶ 관련 학과
- 서울: 상명대(스포츠무용학부 무용예술전공), 서경대(실용무용전공, 한국무용전공), 성신여대(무용예술학과),
중앙대(공연영상창작학부 무용), 한국체대(생활무용학과), 한성대(발레전공, 한국무용전공, 현대무용전공)
- 부산

졸업 후에는 이런 곳으로 갈 수 있어요.

공연 기획자, 예능 강사, 방과 후 교사, 잡지 기자, 무용가, 안무가, 대중 무용수(백댄서), 스포츠 강사, 체육교사(무용) 등

무용학과 인터뷰 살펴보기

∙ 동덕여대 무용과 ∙ MY Dream과 Talk


[03:01] 무용학과
[05:06]

예체능계열 275
미 술 학 과

미술학과는?

한국화, 서양화, 조소의 세 전공으로 분류되고 새로운 예술 정보화 교육을 신속하게 수용하는
일반 교양 과목, 정보화 소양, 기초 실기, 전공 실기, 등 여러 연구 방법을 통하여 향후 교사, 작가, 프리
전공 이론 등 다양한 교과 과정을 중심으로 하여 랜서 등의 광범위한 진로의 가능성과 자율적인
자유로운 학습과 연구를 목적으로 하고 있습니다. 창작 활동 및 연구를 지원하고 있습니다.
개인 창작 능력을 높여주기 위해 다양한 신소재와

필요한 역량은 무엇일까?

∙ 개별 체험을 시각화시킬 수 있는 능력
∙ 회화에 대한 관심과 탐구심
∙ 자유롭고 창의적인 사고와 호기심 그리고 꾸준한 인내심
∙ 미술 산업 분야의 트렌드에 대한 관심
∙ 과감하면서도 독창적인 실험을 지향하는 마인드
∙ 개개인의 독창적인 개성과 기본 실기 능력
∙ 오랜 연습을 견딜 수 있는 인내력과 풍부한 상상력 및 창의력

어떤 과목을 선택해서 배워야 할까?

교과 선택과목
교과(군)
영역 일반선택 진로선택

국어 화법과 작문, 독서, 언어와 매체, 문학

기초 수학 수학Ⅰ, 수학Ⅱ, 확률과 통계

영어 영어 회화, 영어Ⅰ, 영어 독해와 작문, 영어Ⅱ

사회(역사, 도덕) 세계지리, 세계사, 동아시아사, 사회·문화, 생활과 윤리 여행지리


탐구
과학 과학사, 생활과 과학

체육 예술 음악, 미술, 연극 미술 창작, 미술 감상과 비평

생활 교양 철학, 심리학

※ 선택과목 안내는 대학별 교육과정에 따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참고용으로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276 청소년을 사로잡는 진로 디자인 2


어떤 책을 읽어야 할까?

∙ 20세기 시각 예술(에드워드 루시-스미스) ∙ 서양미술사(에른스트 곰브리치)


∙ 20세기의 매체 철학(심혜련) ∙ 서양미술사(이은기/김미정)
∙ 20세기의 한국미술(김영나) ∙ 요제프 보이스 우리가 혁명이다(송혜영)
∙ 21세기 문화 미리보기(이영철) ∙ 천년의 그림여행(스테파노 추피)
∙ 21세기 회화이론 및 방법(박기웅) ∙ 클릭 서양미술사(캐롤 스트릭랜드)
∙ 동양미술사 상(한정희 외 3명) ∙ 한국미술의 역사(안휘준/김원용)
∙ 문화와 미술(박일호) ∙ 현대 미술 이론 1,2,3(박기웅)
∙ 미술과 사회적 상상력(최태만) ∙ 현대 미술교육의 뿌리(메리 앤 스탠키위츠)
∙ 상인과 미술(양정무)

미술학과가 있는 대학은?

▶ 학과
- 서울: 경희대, 상명대
- 부산: 부산대

▶ 관련 학과
- 서울: 건국대(현대미술학과), 국민대(입체미술전공, 회화전공), 동국대(불교미술전공, 서양화전공, 조소전공,
한국화전공), 동덕여대(회화과), 서울대(동양학과, 서양화과, 조소과), 서울여대(현대미술전공), 성신여대
(동양학과, 서양학과, 조소과), 세종대(회화과), 숙명여대(회화과), 이화여대(조형예술학부, 디자인학부, 섬유·
패션학부), 추계예술대(동양화과, 서양화과, 판화과), 한성대(동양화전공, 서양화전공), 한양대(응용미술
교육과), 홍익대(동양화과, 조소과, 판화과, 회화과)
- 부산: 경성대(공예디자인학과, 디자인학부, 패션디자인학과, 현대미술학과), 고신대(융합디자인학과), 동명대(산업
디자인학과, 시각디자인학과, 패션디자인학과), 동서대(디자인학부, 패션디자인학과), 동아대(공예학과, 산업
디자인학과, 현대미술학과), 부경대(공업디자인학과, 시각디자인학과, 패션디자인학과), 부산대(디자인학과),
신라대(디자인·미술학부), 영산대(디자인학부)

졸업 후에는 이런 곳으로 갈 수 있어요.

광고·홍보·마케팅 사무원, 예능 강사, 학예사(큐레이터), 화가, 조각가, 서예가, 만화가, 제품 디자이너, 조명 디자이너,
시각 디자이너, 일러스트레이터, 웹 디자이너, 색채 전문가(컬러리스트), 공예원, 한지 공예가, 도예가, 동양화가, 문화
보존가, 문화 예술 정책 평가 연구원, 문화 콘텐츠 기획자, 미술사학자, 미술 서적 출판 기획자, 미술 평론가, 미술품
감정사, 미술품 경매사, 미술 프로그램 기획자, 서양화가, 아트 디렉터, 아트 딜러, 잡지 기자(문화 예술) 등

미술학과 인터뷰 살펴보기

∙ 건국대 현대미술학과 ∙ 대학전공별 진로가이드


[08:32] 미술학 [12:44]

예체능계열 277
사 진 영 상 학 과

사진영상학과는?

사진영상학과에서는 사진을 비롯해 다양한 디 야로 예술적인 표현뿐만 아니라 기록, 보도, 광고,
지털영상 콘텐츠 제작을 위한 이론을 배우며 실 학술연구, 의료, 항공사진측량, 우주개발, 고고학
습을 병행합니다. 최근 디지털카메라 사용의 증가 연구 등 사진영상의 응용범위가 더욱 넓어지고
와 다매체, 다채널의 멀티미디어 시대가 본격화되 있으며 이들 학과에서도 다양한 분야를 아우르는
면서 사진과 영상을 함께 배우는 융합 학과들이 사진 촬영 및 편집, 영상 연출, 촬영 등과 관련한
생겨나고 있으며 드론 관련 수업이 진행되기도 제작기법과 기획력을 함양합니다.
합니다. 과학기술의 바탕 위에 이루어진 예술 분

필요한 역량은 무엇일까?

∙ 삶의 철학을 갖고 사진이나 만화 작품 속에 그것을 표현하는 것에 대한 흥미


∙ 영상과 그림에 대한 남다른 조형 감각
∙ 기계나 도구를 다루는 소질과 미적 감각
∙ 생각이나 감정을 사진이나 영상매체를 통해 표현하기 위한 관찰력과 탐구력
∙ 창의적인 사고로 새로운 일에 끈기있게 도전하는 역량

어떤 과목을 선택해서 배워야 할까?

교과 선택과목
교과(군)
영역 일반선택 진로선택

국어 화법과 작문, 독서, 언어와 매체, 문학

기초 수학 수학Ⅰ, 수학Ⅱ, 확률과 통계

영어 영어 회화, 영어Ⅰ, 영어 독해와 작문, 영어Ⅱ

사회(역사, 도덕) 세계지리, 사회·문화, 생활과 윤리, 윤리와 사상 여행지리


탐구
과학 과학사, 생활과 과학

체육 예술 음악, 미술, 연극 미술 창작, 미술 감상과 비평

생활 교양 기술·가정, 정보, 철학, 심리학

※ 선택과목 안내는 대학별 교육과정에 따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참고용으로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278 청소년을 사로잡는 진로 디자인 2


어떤 책을 읽어야 할까?

∙ 뇌는 스크린이다 들뢰즈와 영화철학(그렉 램버트) ∙ 서양 사진사 32장면(최봉림)


∙ 디지털 시대의 영화(토마스 앨새서/케이 호프만) ∙ 예술과 환영(에른스트 곰브리치)
∙ 문명교류사 연구(정수일) ∙ 임권택이 임권택을 말하다 1,2(임권택/정성일)
∙ 봉인된 시간(안드레이 타르코프스키) ∙ 포토그래피(그라함 클라크)
∙ 사진 어떻게 읽을 것인가(이안 제프리) ∙ 필사의 탐독(정성일)
∙ 사진예술의 풍경들(진동선)

사진영상학과가 있는 대학은?

▶ 학과
- 서울
- 부산

▶ 관련 학과
- 서울: 건국대(영상영화학과), 경희대(디지털콘텐츠학과), 경기대(미디어영상학과), 국민대(영상디자인학과),
동국대(영화영상학과), 서경대(영화영상학과), 서울여대(언론영상학부), 성균관대(영상학과), 성신여대
(미디어영상연기학과), 숙명여대(시각·영상디자인과), 연세대(언론홍보영상학부), 추계예술대(영상비즈
니스과, 영상시나리오과)
- 부산: 경성대(사진학과, 영상애니메이션학부), 동서대(방송영상학과, 영상애니메이션학과), 부산대(예술문화영상
학과), 부산외대(영상콘텐츠융합학과), 영산대(문화콘텐츠학부, 방송사진예술학과, 웹툰영화학과)

졸업 후에는 이런 곳으로 갈 수 있어요.

공연 기획자, 예능 강사, 방과 후 교사, 학예사(큐레이터), 잡지 기자, 신문 기자, 방송 기자, 사진 기자, 촬영 기자, 사진


작가 및 사진사, 일러스트레이터, 게임 그래픽 디자이너, 영상 그래픽 디자이너, 영화 감독, 방송 연출가, 연극 연출가,
광고 영상 감독, 비디오자키(VJ), 게임 기획자, 에니메이션 기획자, 연극 영화 방송 기술 감독, 촬영 기사, 음향·녹음 기사,
영상·녹화 및 편집 기사, 조명 기사, 영사 기사, 가상(증강) 현실 전문가, 방송 송출 장비 기사, 증강 현실 전문가, 1인
미디어 콘텐츠 창작자, 다큐 작가, 드론 촬영 기사, 애니메이터, 영상 필름 관리원, 홀로그램 전문가 등

사진영상학과 인터뷰 살펴보기

∙ 공주대 영상학과 ∙ 건국대 영상영화학과


[02:01] [03:31]

예체능계열 279
산 업 디 자 인 학 과

산업디자인학과는?

현대 사회의 인간 생활과 발전에 요구되는 다 한 다양한 학문에 기반을 둔 융합적 디자인 사고


양한 이슈와 문제들을 창의적이며 과학적인 사고를 능력과 자질을 함양하고 국가와 지역 사회, 나아가
기반으로 통합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디자인 인력 세계가 요구하는 다양한 디자인 수요에 능동적
을 양성합니다. 이를 위하여 예술과 공학을 비롯 대응이 가능한 고급 디자인 인력을 양성합니다.

필요한 역량은 무엇일까?

∙ 창의적인 발상을 좋아하고, 새로운 것에 대한 도전 정신


∙ 만들기와 그리기를 좋아하며, 예쁘고 잘 만들어진 것에 대한 관심
∙ 다양한 분야의 예술과 사상을 접목한 넓은 안목
∙ 남다른 미적 감각과 감수성, 창의력, 표현력
∙ 새로운 아이디어 창출을 위한 끊임없는 호기심과 관찰력
∙ 최종 작업물을 완성해내는 끈질긴 근성과 꼼꼼함
∙ 최신 트렌드를 읽어내고 이를 디자인에 적용할 수 있는 능력

어떤 과목을 선택해서 배워야 할까?

교과 선택과목
교과(군)
영역 일반선택 진로선택

국어 화법과 작문, 독서, 언어와 매체, 문학

기초 수학 수학Ⅰ, 수학Ⅱ, 확률과 통계

영어 영어 회화, 영어Ⅰ, 영어 독해와 작문, 영어Ⅱ

사회(역사, 도덕) 세계사, 사회·문화, 생활과 윤리 여행지리


탐구
과학 생활과 과학, 융합과학

체육 예술 음악, 미술, 연극 미술 창작, 미술 감상과 비평

생활 교양 기술·가정, 정보, 철학, 심리학

※ 선택과목 안내는 대학별 교육과정에 따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참고용으로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280 청소년을 사로잡는 진로 디자인 2


어떤 책을 읽어야 할까?

∙ 21세기 디자인 문화 탐사(김민수) ∙ 사회를 위한 디자인(나이젤 화이틀리)


∙ 디자이너 생각 위를 걷다(나가오카 겐메이) ∙ 인간과 디자인의 교감(조영식)
∙ 디자인과 인간 심리(도널드 노먼) ∙ 인간을 위한 디자인(빅터 파파넥)
∙ 디자인의 디자인(하라 켄야) ∙ 재미있는 디자인 여행(커트 행크스)
∙ 비넬리의 디자인의 원칙(마시모 비넬리) ∙ 좋아 보이는 것들의 비밀 Good Design(최경원)

산업디자인학과가 있는 대학은?

▶ 학과
- 서울: 건국대, 경희대, 서울과학기술대, 서울시립대, 서울여대, 성신여대, 숙명여대
- 부산: 경성대, 동명대, 동아대, 동의대

▶ 관련 학과
- 서울: 국민대(공업디자인학과)
- 부산: 고신대(융합디자인학과), 부경대(공업디자인학과)

졸업 후에는 이런 곳으로 갈 수 있어요.

광고·홍보·마케팅 사무원, 디자인 강사, 기술·기능계 강사, 예능 강사, 출판·자료 편집 사무원, 학예사(큐레이터), 제품
디자이너, 가구 디자이너, 자동차 디자이너, 주얼리 디자이너, 휴대폰 디자이너, 조명 디자이너, 시각 디자이너, 광고
디자이너, 일러스트레이터, 포장(패키지) 디자이너, 웹 디자이너, 게임 그래픽 디자이너, 캐릭터 디자이너, 색채 전문가
(컬러리스트), 영상 그래픽 디자이너, 패션 디자이너(의상 제외), 3D 프린팅 모델러, 게임 기획자, 한지 공예가, 3D 입체
영상 디자이너, 무대 디자이너, 비주얼 머천다이저, 운송 기기 디자이너, 의료 기기 디자이너, 전시 디자이너, 중장비
디자이너 등

산업디자인학과 인터뷰 살펴보기

∙ MY Dream과 Talk ∙ 서울여대 산업디자인학과


산업디자인학과 [06:23]
[05:09]

예체능계열 281
시 각 디 자 인 학 과

시각디자인학과는?

산업 사회의 선도적인 삶의 모델은 예술과 테크 새로운 메커니즘 시스템과 교육 방법을 연구하여


놀로지의 퓨전(fusion) 현상입니다. 그리고 현대는 효과적인 디자인 감각과 기능을 연마토록 하고
과거와는 다른 예술의 새로운 가능성을 요구합니다. 있습니다. 학생들은 표현의 가능성과 그것을 구축
그러한 가능성은 인간의 시각적 접근으로 시작되 하는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시각적 표현 방
며 디자인의 기본을 구성합니다. 이에 본 전공은 법의 여러 가지 기술을 습득합니다.

필요한 역량은 무엇일까?

∙ 문화적 트렌드 세터(Trend setter)가 되기 위한 노력


∙ 예술적 감성과 다양한 문제 해결 능력
∙ 기본적인 드로잉 기술, 자유로운 생각, 자신이 가고자 하는 분야에서 최선을 다하는 자세
∙ 사물에서 느끼는 이미지를 시각적으로 표현할 수 있는 능력
∙ 다양한 분야의 예술과 사상에 대한 넓은 안목
∙ 남다른 미적 감각과 감수성, 창의력, 표현력
∙ 시각 예술이나 문화 전반에 대한 관심과 탐구력

어떤 과목을 선택해서 배워야 할까?

교과 선택과목
교과(군)
영역 일반선택 진로선택

국어 화법과 작문, 독서, 언어와 매체, 문학

기초 수학 수학Ⅰ, 수학Ⅱ, 확률과 통계

영어 영어 회화, 영어Ⅰ, 영어 독해와 작문, 영어Ⅱ

사회(역사, 도덕) 세계사, 사회·문화, 생활과 윤리 여행지리


탐구
과학 생활과 과학, 융합과학

체육 예술 음악, 미술, 연극 미술 창작, 미술 감상과 비평

생활 교양 기술·가정, 정보, 철학, 심리학

※ 선택과목 안내는 대학별 교육과정에 따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참고용으로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282 청소년을 사로잡는 진로 디자인 2


어떤 책을 읽어야 할까?

∙ 광고와 철학적 사고(강승구) ∙ 디자이너란 무엇인가(노머 포터)


∙ 그래픽 디자인을 뒤바꾼 아이디어 100 ∙ 문학과 예술의 사회사 1,2,3,4(아르놀트 하우저)
(스티븐 헬러/베로니크 비엔느) ∙ 욕망의 사물 디자인의 사회사(에이드리언 포티)
∙ 데이터 과학자, 무엇을 배울 것인가 ∙ 좋아 보이는 것들의 비밀 패키지 디자인
(사토 리호유키/하라다 히로우에 외 3명) (문수민/박상규)
∙ 디자인 사고(나건/김선아) ∙ 포스터를 훔쳐라(하라 켄야)
∙ 디자인 사람을 만나다(프롬나드디자인연구원) ∙ 한 권으로 읽는 20세기 디자인(락시미 바스카란)

시각디자인학과가 있는 대학은?

▶ 학과
- 서울: 경희대, 국민대, 서울과학기술대, 서울시립대, 서울여대
- 부산: 경성대, 동명대, 동의대, 부경대, 부산대

▶ 관련 학과
- 서울
- 부산

졸업 후에는 이런 곳으로 갈 수 있어요.

광고·홍보·마케팅 사무원, 디자인 강사, 예능 강사, 출판·자료 편집 사무원, 제품 디자이너, 팬시 및 완구 디자이너, 휴대폰
디자이너, 조명 디자이너, 직물 디자이너(텍스타일 디자이너), 디스플레이어, 시각 디자이너, 광고 디자이너, 북 디자이너,
일러스트레이터, 포장(패키지) 디자이너, 웹 디자이너, 게임 그래픽 디자이너, 캐릭터 디자이너, 색채 전문가(컬러리스트),
영상 그래픽 디자이너, 광고 영상 감독, 모바일 앱 개발자, BX(Brand Experience) 디자이너, GUI(그래픽 유저 인터
페이스) 디자이너, POP 디자이너, UX/UI 디자이너, 간판 디자이너, 글꼴 디자이너, 모션 그래픽 디자이너, 브랜딩 디자
이너, 아트 디렉터 앱 디자이너, 인포그래픽 디자이너, 캘리그라퍼, 패션 그래픽 디자이너, 패키지 디자이너, 편집 디자
이너, 홍보 디자이너 등

시각디자인학과 인터뷰 살펴보기

∙ MY Dream과 Talk ∙ EBS 입시 핫라인


시각디자인과 시각디자인학과
[04:09] [29:05]

예체능계열 283
실 내 디 자 인 학 과

실내디자인학과는?

실내디자인은 인간이 생활하는 모든 실내 공간, 아름답고 기능적인 공간을 창조할 수 있는 능력과


즉 주거 공간, 상업 공간, 업무 공간, 의료 공간, 소양을 기릅니다. 실내디자인학과는 실내 공간을
서비스 공간, 전시 공간 등을 입체적으로 디자인 인간이 생활하기에 편리하고 아름답고 쾌적한 환경
합니다. 실내디자인학과에서는 인간의 생활 공간을 으로 디자인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하여 미래의
아름답고 쾌적하게 만드는 전문 인력을 양성하며 공간 문화를 선도할 수 있는 전문 인력 양성을 교육
실내 환경과 건축에 대한 이해의 깊이를 더하여 목표로 두고 있습니다.

필요한 역량은 무엇일까?

∙ 인간 중심의 생활 공간 창조에 기여하는 창의적 사고 역량과 심미적 감성 역량


∙ 정해진 공간을 아름답고 새롭게 디자인하기 위한 창의성
∙ 새로운 공간을 만드는 것에 대한 흥미
∙ 기본적인 디자인 능력
∙ 실내 건축과 디자인 분야의 변화 흐름을 읽을 수 있는 역량

어떤 과목을 선택해서 배워야 할까?

교과 선택과목
교과(군)
영역 일반선택 진로선택

국어 화법과 작문, 독서, 언어와 매체, 문학

기초 수학 수학Ⅰ, 수학Ⅱ, 확률과 통계

영어 영어 회화, 영어Ⅰ, 영어 독해와 작문, 영어Ⅱ

사회(역사, 도덕) 세계사, 사회·문화, 생활과 윤리 여행지리


탐구
과학 생활과 과학, 융합과학

체육 예술 음악, 미술, 연극 미술 창작, 미술 감상과 비평

생활 교양 기술·가정, 정보, 철학, 심리학

※ 선택과목 안내는 대학별 교육과정에 따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참고용으로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284 청소년을 사로잡는 진로 디자인 2


어떤 책을 읽어야 할까?

∙ 건축 조형 디자인론(김홍기) ∙ 디자인과 인간심리(도날드 노먼)


∙ 기초실내디자인(한영호/하숙녕) ∙ 디자인에 대해 알고 싶은 모든 것들(안 보니)
∙ 도시공간의 이해(김철수) ∙ 서울, 도시의 품격(전상현)
∙ 도시환경의 색채디자인(박연선/최정석 외 3명) ∙ 실내 디자인 핸드북(크리스 그리믈리/미미 러브)
∙ 디자인과 문화(박영순/윤지영 외 6명) ∙ 좋아 보이는 것들의 비밀 공간디자인(김석훈)

실내디자인학과가 있는 대학은?

▶ 학과
- 서울: 덕성여대
- 부산

▶ 관련 학과
- 서울: 국민대(공간디자인학과), 동덕여대(시각&실내디자인학과), 명지대(건축학부 공간디자인전공), 숭실대
(건축학부 실내건축전공), 연세대(실내건축학과), 한양대(실내건축디자인학과), 홍익대(건축학부 실내
건축학전공)
- 부산: 경성대(실내건축학과), 동명대(실내건축학과), 부산대(실내환경디자인학과), 인제대(실내건축학과)

졸업 후에는 이런 곳으로 갈 수 있어요.

디자인 강사, 잡지 기자, 가구 디자이너, 조명 디자이너, 인테리어 디자이너, 디스플레이어, 무대 및 세트 디자이너, 귀금속
머천다이저, 금속 공예가, 도예가, 디자인 연구원, 매매 주택 연출가, 보석 디자이너, 학예사 등

실내디자인학과 인터뷰 살펴보기

∙ 동덕여대 ∙ 한양대
시각&실내디자인학과 실내건축디자인학과
[03:34] [08:31]

예체능계열 285
연 극 · 영 화 학 과

연극·영화학과는?

연극·영화학과는 영화 트랙과 연극 트랙으로 연극 전공은 배우, 연출, 창작자 및 기획자로서


독립 운영되며, 소속 학생들은 두 트랙의 필요한 활약할 기량과 이론을 균형 있게 습득한 창의적
교육을 선택적으로 수용하여 다양한 예술적 훈련 인 공연 예술인을 양성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
을 받고 있습니다. 연극 트랙의 교육에서는 정통 습니다. 영화 전공은 종합적인 전문 영화·방송인
드라마와 퍼포먼스, 실험극과 전통극 등을 다양하 을 양성하자는 전공 목표에 맞게 현재 커리큘럼
게 익힐 수 있는 전인적인 배우 훈련 체계와 함께 을 대폭 개선하였습니다. 영화 및 영상에 있어 이
특화된 뮤지컬 연기자를 위한 뮤지컬 공연 실기 론과 실습을 겸비한 커리큘럼을 개설하고 있습니
교육 등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영화 트랙의 교육 다. 특히 후반 작업인 포스트 프로덕션에 중점을
에서는 인문학적 지식과 상상력 등을 영화 이론 두고 편집, 사운드, CG, DI 분야를 특성화하고 있
교육을 통하여 배양하면서 시나리오, 촬영, 조명, 습니다. 또한, 전통적인 교과목 외에도 다양한 현
연출, 제작, 편집 등 폭넓은 전문 실기 영역을 강 장 실습 과목을 개설하여 영화와 방송 제작 현장
화하고 있습니다. 에서 필요한 인재를 양성하고 있습니다.

필요한 역량은 무엇일까?

∙ 뛰어난 예술가들의 삶에 대한 이해
∙ 인간과 예술, 나라와 사회를 위한 인류 보편의 문제를 탐구하는 미래지향성
∙ 인문학적 지식과 예술적 상상력, 첨단 테크놀로지에 대한 이해
∙ 미술, 음악, 무용, 문학, 건축, 연극, 어학, 심리학, 사회학 전반에 걸친 지식과 관심
∙ 끈기 있는 인내심
∙ 종합적인 사고력과 판단력
∙ 많은 스태프들과 협업하기 위한 유연한 대인 관계능력

어떤 과목을 선택해서 배워야 할까?

교과 선택과목
교과(군)
영역 일반선택 진로선택
국어 화법과 작문, 독서, 언어와 매체, 문학
기초 수학 수학Ⅰ, 수학Ⅱ, 확률과 통계
영어 영어 회화, 영어Ⅰ, 영어 독해와 작문, 영어Ⅱ
사회(역사, 도덕) 세계사, 사회·문화, 생활과 윤리 여행지리
탐구
과학 과학사, 생활과 과학
음악 감상과 비평, 미술 창작,
체육 예술 음악, 미술, 연극
미술 감상과 비평
생활 교양 기술·가정, 정보, 철학, 심리학
※ 선택과목 안내는 대학별 교육과정에 따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참고용으로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286 청소년을 사로잡는 진로 디자인 2


어떤 책을 읽어야 할까?

∙ 다큐멘터리(차민철) ∙ 셰익스피어, 대학로에서 연극을 보다(권오숙)


∙ 드라마 속 인생 경험(이혜경) ∙ 연출가처럼 생각하기(마이크 블룸)
∙ 봉인된 시간(안드레이 타르코프스키) ∙ 영화와 사회(김이석/김성욱)
∙ 서양 연극사 이야기(밀리 S. 배린저) ∙ 자유로운 음성을 위하여(크리스틴 링크레이터)
∙ 세계영화사 강의(임정택) ∙ 좋은 시나리오의 법칙(톰 스템플)

연극·영화학과가 있는 대학은?

▶ 학과
- 서울: 경희대, 한양대
- 부산

▶ 관련 학과
- 서울: 건국대(영상영화학과), 경기대(연기학과), 국민대(연극전공, 영화전공), 동국대(연극학부, 영화영상학과),
동덕여대(방송연예과), 서경대(무대기술전공, 무대패션전공, 뮤지컬학과, 모델연기전공, 연기전공, 연출전공,
영화영상학과), 성균관대(연기예술학과), 세종대(영화예술학과 연기예술전공, 연출제작전공), 숭실대(예술
창작학부 영화예술전공)
- 부산: 경성대(뮤지컬전공, 연극전공, 영화전공), 동서대(뮤지컬과, 연기과, 영화과), 동의대(영화학과), 부산대(예술
문화영상학과), 영산대(방송사진예술학과, 연기공연예술학과, 웹툰영화학과)

졸업 후에는 이런 곳으로 갈 수 있어요.

공연 기획자, 방과 후 교사, 영화 시나리오 작가, 방송 작가, 평론가, 가수, 영화 감독, 방송 연출가, 연극 연출가, 광고 영상
감독, 성우, 모델, 연극 및 뮤지컬 배우, 영화 배우 및 탤런트, 개그맨 및 코미디언, 아나운서, 리포터, 게임 기획자, 애니메
이션 기획자, 연극 영화 방송 기술 감독, 촬영 기사, 영상·녹화 및 편집 기사, 조명 기사, 영사 기사, 무대 및 세트 디자이너,
1인 미디어 콘텐츠 창작자, 드론 촬영 기사, 메이킹 필름 제작자, 뮤지컬 배우, 연기 학원 강사, 영화 배급 관리자 등

연극·영화학과 인터뷰 살펴보기

∙ 동서대 영화과 ∙ 한양대 연극영화학과


[01:56] [06:41]

예체능계열 287
음 악 학 과

음악학과는?

체계적인 이론을 바탕으로 개인 실기 교육을 음악 콘서트와 같은 학과의 음악회를 통하여 무대


통해 음악 예술성을 개발하고, 예술 문화 발전을 연주의 경험을 쌓고 있습니다. 또한, 클래식과 실용
선도하는 창조적인 음악인 양성을 목표로 하고 음악을 함께 배움으로써 21세기에 맞는 다양한
있습니다. 피아노, 성악, 관현악, 실용음악 전공의 미디어 콘텐츠를 경험하여 시대를 이끌어 갈 수
학생들에게 최상의 교육을 제공하기 위하여 노력 있는 창조적인 음악인으로서의 소양을 키워나가고
하고 있으며, 춘계 음악회, 앙상블 연주회, 실용 있습니다.

필요한 역량은 무엇일까?

∙ 자신만의 음악 세계를 창출하고 전달하고자 하는 창의성, 열정, 의지


∙ 귀로 들리는 모든 소리에 대한 호기심 및 악기 연주에 대한 관심
∙ 예술에 대한 끊임없는 탐구 정신
∙ 목표를 향하여 인내하면서 노력할 수 있는 인성
∙ 사람에 대한 친화력과 이해력
∙ 장시간의 꾸준한 연습을 이겨낼 수 있는 인내력 및 성실함
∙ 풍부한 음악적 감수성과 창의력을 위한 영화, 연극, 뮤지컬, 문학 등 다양한 문화예술 장르에 대한 관심

어떤 과목을 선택해서 배워야 할까?

교과 선택과목
교과(군)
영역 일반선택 진로선택
국어 화법과 작문, 독서, 언어와 매체, 문학
기초 수학 수학Ⅰ, 수학Ⅱ, 확률과 통계
영어 영어 회화, 영어Ⅰ, 영어 독해와 작문, 영어Ⅱ
사회(역사, 도덕) 세계사, 사회·문화, 생활과 윤리 여행지리
탐구
과학 과학사, 생활과 과학
체육 예술 음악, 미술, 연극 음악 연주, 음악 감상과 비평
생활 교양 철학, 심리학

※ 선택과목 안내는 대학별 교육과정에 따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참고용으로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288 청소년을 사로잡는 진로 디자인 2


어떤 책을 읽어야 할까?

∙ 그림이 들리고 음악이 보이는 순간(노엘라) ∙ 슈베르트와 나무(고규홍)


∙ 모두를 위한 서양음악사 1(박을미) ∙ 오페라에 빠지다(허영한)
∙ 모두를 위한 서양음악사 2(김용환) ∙ 음악가와 친구들(이덕희)
∙ 모차르트(미셸 파루티) ∙ 재미있는 음악사 이야기(신동헌)
∙ 문학과 예술의 사회사 1,2,3,4(아르놀트 하우저) ∙ 재미있는 클래식 길라잡이(신동헌)
∙ 새롭게 이해하는 한 권의 음악사(베아트리스 퐁타넬)

음악학과가 있는 대학은?

▶ 학과
- 서울: 국민대, 삼육대, 상명대, 서경대, 서울기독대, 서울시립대, 서울한영대, 중앙대
- 부산: 고신대, 경성대, 동아대, 동의대, 부산대, 인제대

▶ 관련 학과
- 서울: 건국대(음악교육과), 경기대(실용음악과), 경희대(PostModern음악학과, 기악과, 성악과, 작곡과), 동덕여대
(관현악과, 성악과, 실용음악과, 피아노과), 서경대(실용음악학부), 서울대(국악과, 기악과, 성악과, 작곡과),
성신여대(기악과, 성악과, 작곡과, 현대실용음악학과), 세종대(음악과), 숙명여대(관현악과, 성악과, 작곡과,
피아노과), 연세대(관현악과, 교회음악과, 성악과, 작곡과, 피아노과), 이화여대(관현악과, 성악과, 작곡과,
한국음악과), 장로신학대(교회음악학과), 총신대(교회음악과), 추계예술대(관현악과, 국악과, 성악과, 작곡과,
피아노과), 케이씨대(음악콘텐츠학과), 한양대(관현악과, 성악과, 작곡과, 피아노과), 홍익대(공연예술학부
실용음악전공)
- 부산: 부산대(한국음악학과)

졸업 후에는 이런 곳으로 갈 수 있어요.

공연 기획자, 예능 강사, 방과 후 교사, 지휘자, 작곡가, 연주가, 성악가, 가수, 전통 예능인, 국악인, 음반 기획자, 음향·
녹음 기사, 악기제조 수리 및 조율사, 게임 음향 기술자, 문화 사업 기획자, 뮤지컬 배우, 음악 교재 출판 기획자, 음악 방송
PD, 음악 평론가, 잡지 기자(음악), 클래식 음악 해설사, 특수 효과 음향 제작자, 편곡가, 행사 음악 기획자 등

음악학과 인터뷰 살펴보기

∙ 대학전공별 진로가이드 ∙ 슬기로운 대학생활


음악학 음악대학
[10:32] [10:00]

예체능계열 289
조 형 학 과

조형학과는?

조형학과의 교육 목표는 창의적 사고와 합리적 위하여 국내외 대학원에 진학하여 학계 전문가
디자인 철학을 바탕으로 21세기 공예 문화 및 조형 및 조형 예술가, 대학 교수로 성장하고 있으며, 개
예술의 일익을 담당할 인재를 육성하고, 장인 의 인의 창작 활동을 통하여 독자적인 브랜드를 가
식과 창의적 소양을 겸비한 전문가를 양성하여 진 공방을 운영하며 창작품 및 공예 문화 상품을
이들의 자질과 능력을 향상시키는 것입니다. 조형 제작·판매하기도 하는 전업 작가로 활동하기도
학과 졸업생들은 예술계 각계 각층으로 활발한 하고 공예 및 디자인 계열의 산업체에 취업하고
활동을 펼치고 있습니다. 더욱 전문화된 연구를 있습니다.

필요한 역량은 무엇일까?

∙ 예술에 대한 관심과 풍부한 감성


∙ 작품 제작 활동과 예술 관련 직종에 대한 의지
∙ 21세기 문화 정보 시대의 예술과 과학이 이루어진 디자인 경쟁 시대에 필요한 사고력과 창조성
∙ 새로운 문화에 대한 관심과 도전 정신
∙ 내적인 감성을 자신만의 언어로 표현해내는 미적·감성적 능력
∙ 새로운 생각과 아이디어를 논리적으로 배열하고 계획하는 사고력
∙ 사회, 문화, 역사, 공학 등 다양한 분야에 대한 인문학적 소양
∙ 인간에 대한 가슴 뜨거운 사랑과 관심
∙ 패션이나 전자 기기 등 제품의 트렌드에 대한 감각적 이해

어떤 과목을 선택해서 배워야 할까?

교과 선택과목
교과(군)
영역 일반선택 진로선택
국어 화법과 작문, 독서, 언어와 매체, 문학
기초 수학 수학Ⅰ, 수학Ⅱ, 확률과 통계
영어 영어 회화, 영어Ⅰ, 영어 독해와 작문, 영어Ⅱ
사회(역사, 도덕) 세계사, 사회·문화, 생활과 윤리 여행지리
탐구
과학 생활과 과학, 융합과학
체육 예술 음악, 미술, 연극 미술 창작, 미술 감상과 비평
생활 교양 기술·가정, 정보, 철학, 심리학

※ 선택과목 안내는 대학별 교육과정에 따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참고용으로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290 청소년을 사로잡는 진로 디자인 2


어떤 책을 읽어야 할까?

∙ 금속공예를 위한 디자인 가이드(안순주/박준) ∙ 영혼을 잃지 않는 디자이너 되기(아드리안 쇼네시)


∙ 디자인의 탄생(페니 스파크) ∙ 우리 그림의 색과 칠(정종미)
∙ 디자인이다(김준교/김희헌) ∙ 유럽 디자인 여행(문무경/김성곤)
∙ 문화비평과 미학(최연희) ∙ 진중권의 미학 오디세이 1,2,3(진중권)
∙ 물건의 재구성(연정태) ∙ 클릭 서양미술사(캐롤 스트릭랜드)
∙ 상상력에 엔진을 달아라(임헌우) ∙ 한국현대미술사(오광수)
∙ 청소년을 위한 서양미술사(도병훈)

조형학과가 있는 대학은?

▶ 학과
- 서울
- 부산: 부산대

▶ 관련 학과
- 서울: 고려대(디자인조형학부), 동국대(조소전공), 상명대(미술학부 조형예술전공), 서울과학기술대(조형예술학과),
서울대(조소과), 성신여대(조소과), 이화여대(조형예술학부), 추계예술대(판화과), 홍익대(금속조형디자인과,
목조형가구학과, 조소과, 판화과)
- 부산: 동의대(디자인조형학과 서양화·한국화·환경조형), 부산대(미술학과 조소전공)

졸업 후에는 이런 곳으로 갈 수 있어요.

디자인 강사, 예능 강사, 방과 후 교사, 학예사(큐레이터), 조각가, 제품 디자이너, 인테리어 디자이너, 시각 디자이너,
웹 디자이너, 공예원, 점토 공예가, 귀금속 머천다이저, 금속 공예가, 도예가, 디자인 연구원, 미술품 감정사, 보석 디자
이너, 판화가 등

조형학과 인터뷰 살펴보기

∙ 고려대 디자인조형학부 ∙ 부산대학교 조형학과


[05:31] 오현성 교수
[TEXT]

예체능계열 291
체 육 학 과

체육학과는?

체육학은 체육 교육을 담당할 수 있는 유능한 육사·철학, 운동 생리학, 운동 영양학, 운동 생화


지도자는 물론, 교사와 교수 및 체육학 분야의 전 학, 운동 역학, 스포츠 의학, 스포츠 심리 등의 이
문 연구 요원을 양성하는 전공 분야로 체육학의 론 과목과 축구, 농구, 배구, 배드민턴, 야구, 테니
이론과 실기에 열의를 가진 학생이 공부하기에 스, 수영, 육상, 체조, 스키, 수상 동력 스포츠, 캠
적합하고, 체육의 일반적 지식을 체계적이고 합리 프 및 해양 훈련 등의 실기 교과목 교과 과정으로
적으로 습득하게 하고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체 운영되고 있습니다.

필요한 역량은 무엇일까?

∙ 창의적 사고와 현장의 전문 체육 실기 능력


∙ 미래의 건강 사회를 주도해 나갈 자질과 인격
∙ 스포츠 전문 지도자로서의 리더십
∙ 스포츠를 과학과 문화로 이해하고 바라볼 수 있는 지적호기심과 문제해결역량
∙ 건전한 육체와 사고를 지니고, 경기를 정당하게 치러내는 스포츠맨십
∙ 많은 양의 연습과 훈련을 위해 학과 수업 이외의 시간과 노력을 투자할 수 있는 끈기와 인내심
∙ 다른 사람을 가르치기 위한 남다른 지도력과 인격

어떤 과목을 선택해서 배워야 할까?

교과 선택과목
교과(군)
영역 일반선택 진로선택

국어 화법과 작문, 독서, 언어와 매체, 문학

기초 수학 수학Ⅰ, 수학Ⅱ, 확률과 통계

영어 영어 회화, 영어Ⅰ, 영어 독해와 작문, 영어Ⅱ

사회(역사, 도덕) 세계사, 사회·문화, 생활과 윤리 사회문제 탐구


탐구
과학 물리학Ⅰ, 생명과학Ⅰ 과학사, 생활과 과학

체육 예술 체육, 운동과 건강, 음악, 미술, 연극 스포츠 생활, 체육 탐구

생활 교양 철학, 심리학, 보건

※ 선택과목 안내는 대학별 교육과정에 따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참고용으로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292 청소년을 사로잡는 진로 디자인 2


어떤 책을 읽어야 할까?

∙ 건강교육: 건강교육의 이론과 실제(이동규/엄우섭 외 3명) ∙ 스포츠윤리학(김정효)


∙ 골프, 당신은 멘탈을 볼 수 있는가(정헌순/홍준희) ∙ 스포츠 트레이닝(한국운동생리학회)
∙ 노인체육: 성공적인 노화와 노인체육(박채희) ∙ 운동과 건강(여남회/우상헌 외 2명)
∙ 매혹과 열광(한스 U. 굼브레히트) ∙ 특수체육의 이해(오광진)
∙ 스포츠마케팅 커뮤니케이션(김용만) ∙ 현대 스포츠교육학의 이해(강신복)

체육학과가 있는 대학은?

▶ 학과
- 서울: 경희대, 동덕여대, 세종대, 한국체대
- 부산: 동서대, 동아대, 동의대, 신라대

▶ 관련 학과
- 서울: 경희대(골프산업학과, 스포츠의학과, 스포츠지도학과, 태권도학과), 광운대(스포츠융합학과), 국민대(스포츠
건강재활학과, 스포츠교육학과, 스포츠산업레저학과), 동국대(스포츠문화학과), 삼육대(생활체육학과),
상명대(스포츠건강관리학과, 스포츠무용학부), 삼육대(생활체육학과), 서울과학기술대(스포츠과학과),
서울시립대(스포츠과학과), 서울여대(스포츠운동과학과), 성균관대(스포츠과학과), 성신여대(스포츠레저
학과), 숭실대(스포츠학부), 연세대(스포츠응용산업학과), 이화여대(체육과학부), 한국외대(글로벌스포츠
산업학부), 한국체대(노인체육복지학과, 레저스포츠산업학과, 사회체육학과, 스포츠청소년지도학과, 운동
건강관리학과, 태권도학과, 특수체육교육과), 한양대(스포츠산업과학부)
- 부산: 경성대(스포츠건강학과), 고신대(태권도선교학과), 동명대(스포츠재활학과), 동서대(운동처방학과), 동아대(태권
도학과), 동의대(레저스포츠태권도학부), 부경대(해양스포츠학과), 부산대(스포츠과학부), 부산외대(사회체육
학과, 스포츠재활학과), 영산대(태권도학부), 인제대(스포츠헬스케어학과), 한국해양대(해양스포츠과학과)

졸업 후에는 이런 곳으로 갈 수 있어요.

스포츠 마케터, 방과 후 교사, 경찰관, 잡지 기자, 신문 기자, 방송 기자, 경호원, 다이어트 프로그래머, 스포츠 감독 및 코치,
스포츠 트레이너, 경기 심판, 경기 기록원, 스포츠 강사, 레크리에이션 전문가, 스포츠 에이전트, 생활 스포츠 지도사, 생활
체육 연구원, 스포츠 비디오 판독가, 스포츠 캐스터, 운동 처방사 등

체육학과 인터뷰 살펴보기

∙ 대학전공별 진로가이드 ∙ 한양대 체육학과


체육학 [11:17] [09:08]

예체능계열 293
패 션 디 자 인 학 과

패션디자인학과는?

패션디자인학과의 교육 목표는 디자인과 테크 머천다이징 분야로 세분화하여 교육하고 있습니다.


놀로지를 바탕으로 한 융합형 디자인 교육을 지향 세부 교육 영역에 따라 인문학, 경영학, 공학 등의
하고 있습니다. 패션 산업에서 필요로 하는 융복 유관 학문 분야를 포함하는 융복합 교육과정으로
합형 실무 능력을 중심으로 글로벌 패션디자인 글로벌 패션 산업에 필요한 전문인을 육성하고자
인력 양성을 위해 패션 산업에 기초가 되는 디자인, 합니다.
소재, 의복 구성, 복식 문화사, 마케팅 및 리테일

필요한 역량은 무엇일까?

∙ 뛰어난 표현 능력
∙ 문화에 대한 관심이 높으며 유연한 사고
∙ 패션에 대한 관심과 열정
∙ 패션의 시대성, 심미성에 대한 이해력과 분석력
∙ 패션 정보를 분석하고 구성하여 응용하는 능력
∙ 패션 디자인 개발을 위한 창의력과 진취적이고 열정적인 자세
∙ 맡은 바를 성실히 수행하는 성실함과 책임감
∙ 패션 분야 내에서 자신이 하고 싶고 잘할 수 있는 일을 찾아내려는 열정
∙ 트렌드를 읽어 내고 사람들이 원하는 것을 파악하는 능력
∙ 새로운 아이디어 창출을 위한 끊임없는 호기심과 관찰력
∙ 꼼꼼한 수작업으로 작품에 생명을 불어넣을 수 있는 손재주

어떤 과목을 선택해서 배워야 할까?

교과 선택과목
교과(군)
영역 일반선택 진로선택
국어 화법과 작문, 독서, 언어와 매체, 문학
기초 수학 수학Ⅰ, 수학Ⅱ, 확률과 통계
영어 영어 회화, 영어Ⅰ, 영어 독해와 작문, 영어Ⅱ
사회(역사, 도덕) 세계사, 사회·문화, 생활과 윤리 여행지리
탐구
과학 생활과 과학, 융합과학
체육 예술 음악, 미술, 연극 미술 창작, 미술 감상과 비평
생활 교양 기술·가정, 정보, 철학, 심리학
※ 선택과목 안내는 대학별 교육과정에 따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참고용으로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294 청소년을 사로잡는 진로 디자인 2


어떤 책을 읽어야 할까?

∙ 20세기 패션(밸러리 멘데스) ∙ 좋아보여(계한희)


∙ 서양복식사(신상옥) ∙ 패션디자이너로 살아남기(메리 겔할)
∙ 세계유명 패션디자이너 시리즈(박기완) ∙ 패션 코리아, 세계를 움직이다(이동섭)
∙ 야나이 다다시 유니클로 이야기(가와시마 고타로) ∙ 패션의 탄생(강민지)
∙ 옷장 속 인문학(김홍기) ∙ 패턴의 정석(이희춘)

패션디자인학과가 있는 대학은?

▶ 학과
- 서울: 동덕여대, 세종대
- 부산: 경성대, 동명대, 동서대, 동의대, 부경대, 영산대

▶ 관련 학과
- 서울: 건국대(의상디자인학과), 경희대(의류디자인학과, 의상학과), 국민대(의상디자인학과), 상명대(외식의류학부
의류학전공), 서경대(공연예술학부 무대패션전공), 서울대(의류학과), 서울여대(패션산업학과), 성균관대
(의상학과), 성신여대(의류산업학과), 숙명여대(의류학과), 연세대(의류환경학과), 이화여대(섬유·패션학부,
의류산업학과), 한성대(글로벌패션산업학부), 한양대(의류학과), 홍익대(섬유미술·패션디자인과)
- 부산: 동아대(산업디자인학과), 부산대(의류학과), 신라대(산업․패션디자인학부)

졸업 후에는 이런 곳으로 갈 수 있어요.

디자인 강사, 잡지 기자, 사진 작가 및 사진사, 주얼리 디자이너, 의상 디자이너, 속옷 디자이너, 직물 디자이너(텍스타일


디자이너), 비주얼 머천다이저(VMD), 일러스트레이터, 색채 전문가(컬러리스트), 패션 디자이너(의상 제외), 패션 코디
네이터, 이미지 컨설턴트, 섬유 공학 기술자, 디자인 연구원, 패션 머천다이저, 패션 에디터 등

패션디자인학과 인터뷰 살펴보기

∙ 동서대 디자인학부 ∙ 동아대 패션디자인학과


[01:39] [02:27]

예체능계열 295
기획 · 편집위원
부산광역시미래교육원 진로진학지원센터 센 터 장 황서운
부산광역시미래교육원 진로진학지원센터 교육연구사 구진영
부산광역시미래교육원 진로진학지원센터 교육연구사 강상원
부산광역시미래교육원 진로진학지원센터 교육연구사 강옥화
부산광역시미래교육원 진로진학지원센터 교육연구사 강동완

개발 · 검토위원
대덕여자고등학교 교 사 예병식 덕문고등학교 교 사 김동진
동아고등학교 수석교사 장영주 양운고등학교 교 사 조국희
양정고등학교 교 사 최경해 덕문여자고등학교 교 사 우태연
배정고등학교 교 사 박두일 동래여자고등학교 교 사 이주현
부산장안고등학교 교 사 김혜옥 예문여자고등학교 교 사 오지훈
부산국제고등학교 교 사 박미정 예문여자고등학교 교 사 김형길
부산컴퓨터과학고등학교 교 사 조병학 부경고등학교 교 사 이창식
부일외국어고등학교 교 사 오규식 다대고등학교 교 사 이상미
주례여자고등학교 교 사 이영식 명호고등학교 교 사 박경희

발행일 2021. 6.
발행인 류성욱
발행처 부산광역시미래교육원
부산진로진학지원센터
Tel.(051)8606-202
청 소년을
미래교육원 2021-48

청소년을 사로잡는 진로 디자인


사 로잡는
진 로 디자인2
청 소년을
사 로잡는
진 로 디자인2 2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