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7

<전체 문제 답 또는 힌트>

§3.1 연습문제 (85p)

번호 답 또는 힌트

(1) 평균변화율:  , 미분계수: 


 
1 (2) 평균변화율:   , 미분계수:  
 
(3) 평균변화율:   , 미분계수: 

2 

3 좌미분계수와 우미분계수가  으로 같으므로 미분가능

4 (1)  (2) 

5 

6    ,   

7 미분가능하지 않다

8 ± 
  ∈ℕ ∪  

9 연속이지만 미분가능하지 않다

10 (1)   (2)       (3)         

§3.2 연습문제 (91p)

번호 답 또는 힌트


1 ′      ,  의 정의역:   ∞  ,  ′ 의 정의역:   ∞ 
   

2 (1) ′     (2) ′      
   


3    

두 조건 (i)과 (ii)는 물론이고 심지어는 조건 (i)만을 만족하는 미분가능한 함수



 는 존재하지 않는다. 따라서 잘못된 문제이며, 문제 수정을 위하여 풀이 참조

′  
5 
 
   

6           

§3.3 연습문제 (101p)

번호 답 또는 힌트

(1) ′    (2) ′         


 
(3) ′     (4) ′             
1  
                       
(5) ′   (6) ′  
      
(1) ′               
(2)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 ′           (4) ′     
    

 
          
(5) ′      (6)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7) ′     (8)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 ′   (2) ′  
        

        
(3) ′   문제 오류 (4) ′  
 
               
4 (1) ′   , ″   (2) ′   , ″  
    

 
5      
 
6  
       


 

7           


8  


9 생략

″   ′′   ′    ′   ″ 


10
″′    ″′  ′    ″ ′  ″  ′  ″′

§3.4 연습문제 (111p)

번호 답 또는 힌트

     ln           
(1) ′   (2) ′  
             
    
(3) ′   (4) ′  
   ln    
      
(5) ′       (6) ′  
    

  
(7) ′        (8) ′  
 ln
1

  
       ln    
(9) ′    (10) ′       ln
     

   
(11) ′       ln (12) ′   
     ln

(13) ′  log   (14) ′  
ln  ln
 ln     ln      
(15) ′    


2    일 때는 당연히 성립하고,  ≠  일 때는 적당한 치환을 이용한다.


3 ′    

4  

   ln        
ln
5 

             
(1) ′   (2) ′  
        

   

     

 

 

(3) ′     (4) ′    ln   
6                
     
(5) ′       
     

§3.5 연습문제 (114p)

번호 답 또는 힌트

1 
   
    ⋯


2  


(1)   (2)  



(3)   (4)  

3장 연습문제 (115p)

번호 답 또는 힌트

1 미분가능하도록 결정할 수 없음

2       

3  ′  

4 증명 생략

5  ′      
6    에서 연속이지만 미분가능하지는 않음

7       

    
(1) ′       (2) ′  

      
(3) ′   
  
 (4) ′  
     
 
8 (5) ′   
(6) ′  
      

    ln       
(7) ′   (8) ′      
    
 log   ln  
 
(9) ′    lnln  
  (10) ′    
 log    ln
   
(1) ′   (2) ′  
  
 
9 (3) ′      (4) ′  
 
    
(5) ′   (6) ′  
      

         
(1) ′   
          
10
     ln           
(2) ′       

      

11     

12       
<선택 문제 상세 풀이>

§3.2 연습문제 (91p)


                 
3. ′   lim   lim 
→   → 

     
    lim 
 → 

         
    lim     ′      
 →    

4. 미분가능한 함수  가 조건 (i)을 만족한다고 하자. 먼저,                이


므로      이다. 따라서 임의의 실수  에 대하여

               
′    lim   lim 
→  →  

      
    lim     ′  
→  

이다. 특히    일 때 ′    ・  ′   이므로 ′     이다. 따라서 ′     이다.

 
그러므로 모든 실수  에 대하여          이다. 그런데 이 함수  는 조건 (i)을 만
 

족하지 않는다는 것을 쉽게 알 수 있다. 또한, 조건 (ii)는 ′     를 의미하므로 역시 성

립할 수 없다. 결론적으로 조건 (i)과 (ii)는 물론이고 심지어는 조건 (i)만을 만족하는 미분

가능한 함수  는 존재하지 않는다. 이제, 조건 (i), (ii)를 아래의 조건으로 바꾸어보자.

(i)’                

     
(ii)’ lim 



→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미분가능한 함수  가 두 조건 (i)’, (ii)’을 만족한다고 가정하자.



먼저,                이므로      이다. 또한 조건 (ii)에서 ′     이다.

따라서 임의의 실수  에 대하여
               
′    lim   lim 
→  → 

   
    
   lim   
   

→
 
이다. 그러므로 모든 실수  에 대하여             이다. 이 함수  가 두 조건
 
(i)’, (ii)’을 만족한다는 것을 쉽게 알 수 있다.

 
      
           
5.   
     lim   lim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lim   

    →     

§3.3 연습문제 (101p)

3. (3) 
  
   이면   
   이므로 ′   이다. 따라서 문제를 
  
  

  

로 수정하고 이때 ′   이다.

3장 연습문제 (115p)

11.            라고 놓으면  ′            이다. 곡선      위의 서

로 다른 두 점 P  Q 의 좌표를 각각           라고 하면(단,    ), 각 점에서의

접선의 방정식이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다. 이 두 접선이 같기

위한 필요충분조건은  ′     ′     ′         ′       가 성립하는 것이다.

   이므로 첫 번째 식에서          을 얻고 두 번째 식에서

             을 얻는다.        이면    이므로      가 되어

   에 모순이다. 따라서      이 성립하고 이를          과 연립하여 풀면

  
    
 이다. 이 때  ′     이고   ′         이므로 구하는 접선

의 방정식은      이다.

12. 두 직선          가 곡선         와 접하는 점을 각각          

라고 하면,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가 성립한다. 첫 번째

식에서   ±  을 얻지만    이면 두 번째와 세 번째 식에 모순이므로    이 성립

한다. 이를 각 식에 대입하면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을 얻고
이 연립방정식을 풀면           이다.

You might also like